KR20190052310A - 유리 조성물, 코팅 부재 및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유리 조성물, 코팅 부재 및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310A
KR20190052310A KR1020170147897A KR20170147897A KR20190052310A KR 20190052310 A KR20190052310 A KR 20190052310A KR 1020170147897 A KR1020170147897 A KR 1020170147897A KR 20170147897 A KR20170147897 A KR 20170147897A KR 20190052310 A KR20190052310 A KR 20190052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on
glass
glass composition
functional layer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385B1 (ko
Inventor
김윤성
김남진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3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03C8/08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containing phosphor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5Coatings for ov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성물은, 유리 프릿 및 밀착력 강화 물질을 포함하는 유리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탄소나노튜브(CNT),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이산화규소(SiO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 조성물, 코팅 부재 및 조리기기{GLASS COMPOSITION, COATION MEMBER AND COOKING APPLIANCE}
실시예는 유리 조성물, 코팅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유리 조성물 즉, 법랑(enamel)은 금속판의 표면에 유리질 유약을 도포시킨 것이다. 일반적인 법랑은 전자레인지와 오븐과 같은 조리기기 등에 사용된다. 한편, 법랑은 유약의 종류 또는 용도에 따라, 산화를 방지하는 내산법랑, 고온에 견딜 수 있는 내열법랑 등으로 나뉜다. 또한, 법랑에 첨가되는 재료에 따라, 알루미늄법랑, 지르코늄법랑, 티탄법랑 및 소다유리법랑 등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음식물 찌꺼기 등이 상기 조리기기의 캐비티 내벽에 묻게 되므로, 상기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된 경우, 상기 캐비티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는 고온을 수반하고, 상기 캐비티 내벽 등은 유기물질 및 알칼리 성분에 노출된다. 따라서, 법랑을 조리기기에 사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법랑은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 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법랑의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법랑용 조성물이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법랑은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모재의 일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법랑을 구성하는 유리 조성물과 모재의 밀착력이 저하되면, 법랑에 의해 구현되는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 등의 특성이 함께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기의 청소성 및 내화학성 등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모재와 법랑을 구성하는 유리 조성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리 조성물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밀착력을 가지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성물은, 유리 프릿 및 밀착력 강화 물질을 포함하는 유리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탄소나노튜브(CNT),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이산화규소(SiO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성물은 유리 조성물을 모재의 일면 상에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때,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유리 조성물은 모재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신뢰성 및 향상된 코팅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유리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가 모재와 유리 조성물의 반응할 때, 촉매 역할을 하여,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조성물은 나노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가 모재와 유리 조성물의 반응할 때, 반응 면적을 증가시켜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캐비티 내면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도어의 이면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코팅층의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9은 비교예들에 따른 코팅층의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조리실(12)이 형성되는 캐비티(11), 상기 조리실(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4) 및 상기 조리실(12)에서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적어도 1개의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캐비티(11)는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원은 상기 캐비티(11)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컨벡션 어셈블리(13), 상기 캐비티(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히터(15), 및 상기 캐비티(1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히터(16)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열원이 반드시 상기 컨벡션 어셈블리(13), 상기 상부 히터(15) 및 상기 하부 히터(16)를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가열원은 상기 컨벡션 어셈블리(13), 상부 히터(15) 및 하부 히터(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5) 및 상기 하부 히터(16)는 상기 캐비티(11)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11)의 내면 및 상기 도어(14)의 이면에는 각각 기능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리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상기 캐비티(11)의 내면 및 상기 도어(14)의 이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층은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상기 캐비티(11)의 내면 및 상기 도어(14)의 이면의 내열성,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에는 기능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1)는 금속층(11a), 상기 금속층(11a) 상의 기능층(11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티(11)는 금속층(11a) 및 상기 금속층(11a) 상의 기능층(11b)을 포함하는 코팅 부재일 수 있다.
상기 금속층(11a)은 상기 캐비티의 모재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층(11b)은 상기 금속층(11a)과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능층(11b)은 상기 금속층(11a)과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금속층(11a)과 상기 기능층(11b) 사이에는 버퍼층(11c)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c)은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퍼층(11c)에 의해 상기 금속층(11a)과 상기 기능층(11b)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4)의 이면에는 기능층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조리실(12)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12)과 마주보는 상기 도어(14)의 이면에는 기능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상기 도어(14)의 이면의 내열성,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14)는 금속층(14a), 상기 금속층(14a) 상의 기능층(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14a)은 상기 캐비티의 모재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층(14b)은 상기 금속층(14a)과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층(14b)은 상기 금속층(14a)과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금속층(14a)과 상기 기능층(14b) 사이에는 버퍼층(14c)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4c)은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퍼층(14c)에 의해 상기 금속층(14a)과 상기 기능층(14b)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상기 유리 조성물을 상기 캐비티(11)의 내면 또는 상기 도어(14)의 이면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은 상기 캐비티(12)의 내면 및 상기 도어(14)의 이면에 코팅되어 상기 캐비티(12)의 내면 및 상기 도어(14)의 이면의 내열성,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조리기기의 캐비티 및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코팅되는 유리 조성물을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성물은 유리 프릿 및 밀착력 강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프릿은 P2O5, SiO2, Ⅰ족계 산화물, Al2O3, B2O3, 불화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리 프릿은 P2O5, SiO2, Ⅰ족계 산화물, Al2O3, B2O3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리 프릿은P2O5, SiO2, Ⅰ족계 산화물, Al2O3, B2O3 및 금속 산화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2O5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20 중량% 이하만큼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P2O5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10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P2O5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11 중량% 내지 약 1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2O5는 상기 유리 조성물에 포함되어, 상기 유리 조성물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P2O5가 상기 유리 조성물 전체에 대해 약 1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리 조성물의 청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2O5가 상기 유리 조성물 전체에 대해 약 20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리 조성물의 열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유리 조성물의 유리화를 약화시킬 수 있다.
상기 SiO2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40 중량% 이하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SiO2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25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SiO2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29 중량% 내지 약 39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iO2는 상기 유리 조성물에 포함되어, 유리 조성물의 유리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유리 구조의 골격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리 프릿의 내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SiO2가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29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리 조성물의 유리 구조가 저하되어 기능층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iO2가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39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리 프릿의 청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Ⅰ족계 산화물은 Li2O, Na2O 및 K2O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Ⅰ족계 산화물은 Li2O, Na2O 및 K2O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리 프릿은 Li2O, Na2O 및 K2O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Ⅰ족계 산화물은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21 중량% 이하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Ⅰ족계 산화물은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5 중량% 내지 약 21 중량% 만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Ⅰ족계 산화물은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8 중량% 내지 약 21 중량% 만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Ⅰ족계 산화물은 상기 유리 조성물에 포함되어, 상기 유리 조성물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Ⅰ족계 산화물은 상기 P2O5와 함께 상기 유리 조성물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Ⅰ족계 산화물이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8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리 조성물의 청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Ⅰ족계 산화물이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21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리 조성물의 열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P2O5, Li2O, Na2O 및 K2O는 알칼리 포스페이트 유리 구조(alkali phosphate glass structure)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2O5, Li2O, Na2O 및 K2O는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성물에 향상된 청소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리 프릿이 P2O5, Li2O, Na2O 및 K2O를 포함하기 때문에,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성물에 의해서 형성되는 기능층이 음식물 등에 의해서 오염될 때, 상기 기능층은 물에 의해서 용이하게 청소될 수 있다.
상기 Al2O3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14 중량% 이하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Al2O3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3 중량% 내지 약 14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l2O3가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3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유리 조성물의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l2O3가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14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리 프릿의 청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B2O3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20 중량% 이하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B2O3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10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B2O3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13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B2O3는 상기 유리 프릿의 유리화 영역을 확대하고,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성물의 열팽창 계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B2O3가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13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유리화 영역이 감소되어 유리 구조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기능층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2O3가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리 프릿의 청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불화 화합물은 NaF, CaF2 또는 AlF3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불화 화합물은 NaF, CaF2 및 AlF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리 프릿은 NaF, CaF2 및 AlF3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화 화합물은 유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코팅막의 표면 장력(surface tension)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화 화합물에 의해 상기 유리 프릿의 유리화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상기 불화 화합물은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7 중량% 이하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불화 화합물은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1 중량% 내지 약 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불화 화합물이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유리화 영역이 감소되어 유리 구조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기능층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화 화합물이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7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리 프릿의 청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Co3O4, NiO, Fe2O3 및 Mn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금속 산화물은 Co3O4, NiO, Fe2O3 및 MnO2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은 모재 상에 코팅되는 유리 조성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는 유리 조성물을 모재 상에 코팅할 때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에 의해, 상기 유리 조성물을 상기 모재 상에 배치할 때 별도의 버퍼층 없이 상기 유리 조성물을 직접 상기 모재 상에 코팅하여도 향상된 밀착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리 조성물이 코팅되는 캐비티 및/또는 도어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5 중량% 이하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는 상기 유리 프릿 전체에 대해 약 1 중량% 내지 약 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리 프릿은 상기 물질들 이외에 용도에 따라 추가적인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리 프릿은 TiO2, SnO, ZnO, CaO, MgO, BaO, ZrO2, NaF, CaF2 및 AlF3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물질은 유리 조성물의 표면 장력 제어, 은폐력, 밀착력 등의 성능과 관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유리 프릿의 조성 및 조성비는 유리 프릿에 의해 제조되는 유리 분말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성물의 유리 프릿의 조성 및 조성비는 앞서 설명한 조성 및 조성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상기 유리 프릿과 혼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리 프릿과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서로 혼합되어 유리 조성물을 형성하는 유리 분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상기 유리 프릿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탄소나노튜브(CNT)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하나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나노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 분말은 무기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나노 분말은 산화 알루미늄 분말(Al2O3) 및 이산화규소(SiO2) 분말 중 적어도 하나의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분말의 입경은 약 10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나노 분말의 입경은 약 1㎚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나노 분말의 입경은 약 5㎚ 내지 약 5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나노 분말의 입경은 약 1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상기 나노 분말의 입경이 약 100㎚을 포함하는 경우, 유리 조성물에 포함되는 나노 분말의 양이 감소되어, 기능층과 모재의 밀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상기 유리 프릿보다 작은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상기 유리 분말 전체에 대해 소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상기 유리 분말 전체에 대해 약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상기 유리 분말 전체에 대해 약 0.05 중량% 이하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상기 유리 분말 전체에 대해 약 0.01 중량% 이하만큼 포함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상기 유리 분말 전체에 대해 약 0.005 중량% 이하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이 상기 유리 분말 전체에 대해 약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유리 분말에 의해 형성되는 기능층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과 대기 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기능층의 표면에 버블(bubble) 등이 형성되어 외관 품질 및 기능층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유리 분말에 의해 형성되어 기능층으로 작용하는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층과 상기 모재의 밀착력은 상기 유리 프릿에 포함되는 금속 산화물과 관계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리 프릿에 포함되는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에 의해 상기 코팅층과 상기 모재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는 상기 모재와 반응하여 상기 코팅층 및 상기 모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유리 분말에 포함되어,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와 상기 모재와의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유리 분말에 포함되어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와 상기 모재와 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와 상기 모재와 반응을 촉진시켜,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분말은 상기 유리 분말에 의해 형성되어 기능층으로 작용하는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유리 조성물 내에서 상기 나노 분말은 상기 유리 분말의 표면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이에 따라, 유리 프릿 분말의 비표면적이 향상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나노 분말은 상기 유리 분말에 포함되어 유리 분말 전체의 비표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유리 분말에 포함되는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와 상기 모재와의 반응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나노 분말은 상기 Co3O4, NiO, Fe2O3 및 MnO2와 상기 모재와 반응면적을 증가시켜,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밀착력 강화 물질은 탄소나노튜브 및 나노 분말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밀착력 강화물질에 의해 모재와의 반응을 촉진하고, 비표면적을 동시에 향상시켜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유리 조성물 제조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1과 같이, 유리 프릿 재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P2O5의 원재료로는 NH4H2PO4를 사용하였고, Na2O, K2O, Li2O의 원재료로는 각각 Na2CO3, K2CO3, Li2CO3를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성분은 표 1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상기 유리 프릿 재료를 혼합한 후, 약 1400℃의 온도에서 약 1 시간 내지 약 2 시간 동안 용융시킨 후, 퀀칭 롤러(quenching roller)에서 급냉시켜 유리 컬렛(cullet)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상기 유리 컬렛과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물에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유기폴리실옥산을 투입하고 볼밀에서 약 4시간 내지 약 6시간 동안 밀링하여 분쇄한 후 메쉬(325 mesh sieve)를 통하여, 약 45㎛ 이하의 입경을 가지도록 걸러져서, 유리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05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유리 조성물을 200×200(mm) 및 두께 1(mm)이하의 저탄소강 시트에 코로나 방전 건(Corona discharge gun)을 이용하여 스프레이 하였다. 방전 건의 전압은 40 kV 내지 100 kV 조건으로 제어하였으며, 저탄소강 시트에 스프레이 되는 유리 조성물의 양은 300 g/㎡ 이었다.
이어서, 상기 유리 조성물이 스프레이 된 저탄소강을 830℃ 내지 870℃의 온도조건으로 300초 내지 450초 동안 소성하여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하였다.
즉, 건식 공정에 의해 기능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밀착 시험용 기구는 Dupont Impact Tester (ASTM D1794, JIS K5400)를 이용하여 시험체를 Sample Stage의 중심에 놓고, 시험체의 평면부의 중심에 지름 약 25.4 ㎜ (1 inch) 강구를 설치한 후 무게 2㎏의 철편을 300 ㎜의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벗겨짐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밀착성 레벨의 판정기준은 하기와 같다.
[밀착성 레벨]
Level 0 = 밀착성 없음
Level 1 = 밀착도 매우 낮음
Level 2 = 밀착도를 가짐
Level 3 = 밀착도 우수
Level 4 = 밀착도 매우 우수
Level 5 = 밀착도 최우수
실시예 2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5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4
탄소나노튜브 대신에 산화알루미늄 분말과 유리 컬렛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고, 산화알루미늄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05 중량% 포함시켰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5
산화알루미늄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6
산화알루미늄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5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7
탄소나노튜브 대신에 이산화규소 분말과 유리 컬렛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산화규소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05 중량% 포함시켰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8
이산화규소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9
이산화규소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5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0
유리 조성물을 물과 1:1로 혼합하고, 클레이(clay), 산화알루미늄, 붕사(borax), 벤토나이트(bentonite)를 첨가하여 10시간 동안 혼한하였다.
이어서, 유리 조성물을 200×200(mm) 및 두께 1(mm)이하의 저탄소강 시트에 에어 스프레이 건(air spray gun)을 이용하여 스프레이 하였다. 저탄소강 시트에 스프레이 되는 유리 조성물의 양은 300 g/㎡ 이었다.
이어서, 상기 유리 조성물이 스프레이 된 저탄소강을 830℃ 내지 870℃의 온도조건으로 300초 내지 450초 동안 소성하여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하였다.
즉, 습식 공정에 의해 기능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05 중량% 포함되었다.
실시예 11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2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5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3
탄소나노튜브 대신에 산화알루미늄 분말과 유리 컬렛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고, 산화알루미늄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05 중량% 포함시켰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4
산화알루미늄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 및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5
산화알루미늄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5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 및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6
탄소나노튜브 대신에 이산화규소 분말과 유리 컬렛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산화규소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05 중량% 포함시켰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7
이산화규소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 및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8
이산화규소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0.05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 및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지 않고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
산화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하지 않고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3
이산화규소 분말을 포함하지 않고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4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5
산화알루미늄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실시에 4와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6
이산화규소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7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지 않고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8
산화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하지 않고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 및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9
이산화규소 분말을 포함하지 않고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 및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0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1
산화알루미늄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 및 실시에 13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2
이산화규소 분말이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해 약 1 중량% 포함시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 및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저탄소강의 일면 상에 기능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기능층과 저탄소강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밀착성
실시예1 5
실시예2 5
실시예3 5
실시예4 5
실시예5 5
실시예6 5
실시예7 5
실시예8 5
실시예9 5
실시예10 5
실시예11 5
실시예12 5
실시예13 5
실시예14 5
실시예15 5
실시예16 5
실시예17 5
실시예18 5
비교예1 2
비교예2 2
비교예3 2
비교예4 5
비교예5 5
비교예6 5
비교예7 2
비교예8 2
비교예9 2
비교예10 5
비교예11 5
비교예12 5
표 1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층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비교예 7 내지 비교예 9에 따른 기능층에 비해 향상된 밀착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6, 비교예 10 내지 비교예 12에 따른 기능층은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층과 유사한 밀착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6, 비교예 10 내지 비교예 12에 따른 기능층은 기능층의 표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성물은 유리 조성물을 모재의 일면 상에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때,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유리 조성물은 모재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신뢰성 및 향상된 코팅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유리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가 모재와 유리 조성물의 반응할 때, 촉매 역할을 하여,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조성물은 나노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가 모재와 유리 조성물의 반응할 때, 반응 면적을 증가시켜 코팅층과 모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유리 프릿 및 밀착력 강화 물질을 포함하는 유리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탄소나노튜브(CNT),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이산화규소(SiO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력 강화물질은 상기 유리 분말 전체에 대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유리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이산화규소(SiO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나노 분말을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분말의 입경은 100㎚ 이하인 유리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프릿은 P2O5, SiO2, Ⅰ족계 산화물, Al2O3, B2O3, 불화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산화물은 Co3O4, NiO, Fe2O3 및 Mn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
  6. 모재;
    상기 모재 상에 배치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유리 프릿 및 밀착력 강화 물질을 포함하는 유리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탄소나노튜브(CNT),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이산화규소(SiO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 부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력 강화물질은 상기 유리 분말 전체에 대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코팅 부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력 강화 물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이산화규소(SiO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나노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 부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분말의 입경은 100㎚ 이하인 코팅 부재.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저탄소강을 포함하는 코팅 부재.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프릿은 P2O5, SiO2, Ⅰ족계 산화물, Al2O3, B2O3, 불화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산화물은 Co3O4, NiO, Fe2O3 및 Mn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팅 부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금속 산화물과 모재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코팅 부재.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분말은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금속 산화물과 모재의 반응 면적을 증가시키는 코팅 부재.
  14.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및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모재 및 상기 모재 상의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저탄소강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170147897A 2017-11-08 2017-11-08 유리 조성물, 코팅 부재 및 조리기기 KR10202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897A KR102022385B1 (ko) 2017-11-08 2017-11-08 유리 조성물, 코팅 부재 및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897A KR102022385B1 (ko) 2017-11-08 2017-11-08 유리 조성물, 코팅 부재 및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310A true KR20190052310A (ko) 2019-05-16
KR102022385B1 KR102022385B1 (ko) 2019-09-18

Family

ID=6667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897A KR102022385B1 (ko) 2017-11-08 2017-11-08 유리 조성물, 코팅 부재 및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9465A (zh) * 2021-03-31 2021-06-11 江西太阳陶瓷有限公司 一种止滑釉及止滑釉砖的加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6129A (ja) * 2000-02-23 2001-11-13 Kawasaki Steel Corp 琺瑯用フリット組成物およびその琺瑯製品
JP2010189218A (ja) * 2009-02-17 2010-09-02 Ono Kogei Kk 炭素繊維含有皮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7005A (ko) * 2009-07-15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30125918A (ko) * 2012-05-10 201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170079848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유리프릿 및 이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6129A (ja) * 2000-02-23 2001-11-13 Kawasaki Steel Corp 琺瑯用フリット組成物およびその琺瑯製品
JP2010189218A (ja) * 2009-02-17 2010-09-02 Ono Kogei Kk 炭素繊維含有皮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7005A (ko) * 2009-07-15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30125918A (ko) * 2012-05-10 201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170079848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유리프릿 및 이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9465A (zh) * 2021-03-31 2021-06-11 江西太阳陶瓷有限公司 一种止滑釉及止滑釉砖的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385B1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663B1 (ko) 유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024162B1 (ko) 유리 조성물 및 조리기기
KR102234551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519215B1 (ko) 유리 조성물 및 조리기기
EP2470482B1 (en) Cooking appliance
KR102172459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US11396472B2 (en) Enamel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enamel composition, and cooking appliance
KR101476501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216709B1 (ko) 유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JP6826670B2 (ja) ガラス組成物及び調理機器
KR102118456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EP3495330B1 (en) Coating composition and cooking appliance
KR20180089986A (ko) 유리 조성물 및 조리기기
KR20140115562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200102761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US11401201B2 (en) Enamel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enamel composition, and cooking appliance
KR102547835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022385B1 (ko) 유리 조성물, 코팅 부재 및 조리기기
KR20210093118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200102759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310341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677557B1 (ko) 유리 조성물 및 조리기기
KR20210093119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210093116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210093117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