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326A -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1326A KR20190051326A KR1020170146836A KR20170146836A KR20190051326A KR 20190051326 A KR20190051326 A KR 20190051326A KR 1020170146836 A KR1020170146836 A KR 1020170146836A KR 20170146836 A KR20170146836 A KR 20170146836A KR 20190051326 A KR20190051326 A KR 201900513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tributed network
- providing server
- unique
- block chain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 H04L61/201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권한 없는 제3 자가 공인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를 통해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여 사물 인터넷 장치를 무단 제어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가 상호 연결된 분산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 간 상호 인증하는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이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와, 사물 인터넷 장치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고,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포함하고,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는,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기초로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사람이 정보의 생산자 및 소비자로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어 왔다. 향후, 가전 기기 및 센서 등 우리 주변의 사물까지도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물 주변의 환경 정보 및 사물 자체의 정보도 공유될 수 있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된다. 즉, 사물 인터넷을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향후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물 인터넷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 상호 작용, 정보 공유가 가능해지면, 사물 스스로 판단하는 지능형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기업은 비용절감, 나아가 녹색 성장을 위한 그린(Green) 사물 인터넷을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사물 인터넷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물 인터넷을 지원하는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사물 인터넷 분야의 응용이 확대되면서 사물간, 또는 사물 기기간 통신의 보안 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장치(1)는 통신망 접속 장치(5) 또는 통신망 접속 장치(5)와 연결된 공유기(6)와 연결된다. 여기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7)는 사물 인터넷 장치(1)가 통신망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공인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사물 인터넷 장치(1)에 할당한다.
그리고, DNS 서버(3)는 할당된 공인 IP 주소와 도메인 이름을 상호 매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DHCP 서버(3)에 의해 사물 인터넷 장치(1)에 공인 IP 주소가 할당되면, 사용자 단말(2)은 통신망을 통해 사물 인터넷 장치(1)에 할당된 공인 IP 주소에 접속하여 사물 인터넷 장치(1)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의 경우, 권한 없는 제3 자가 공인 IP 주소를 해킹하여 이를 통해 사물 인터넷 장치(1)에 접속하여 사물 인터넷 장치(1)를 무단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은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서버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는 기본적으로 중앙 서버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서버 관리 비용이 커져서 소비자에게 큰 부담을 준다.
또한, 이러한 중앙 서버는 해킹의 확실한 목표 지점이 되기 때문에 해킹의 위험이 항상 내재될 뿐만 아니라 해킹을 방어하기 위한 부담과 비용도 커질 수 밖에 없으며, 이 부분에서도 소비자나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큰 부담이 된다.
본 발명은 권한 없는 제3 자가 공인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를 통해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여 사물 인터넷 장치를 무단 제어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정의 이름을 계층적 주소 체계로 확장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하나의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가 상호 연결된 분산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 간 상호 인증하는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이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와, 사물 인터넷 장치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고,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포함하고,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는,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기초로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면, 제어 명령을 사물 인터넷 장치로 전송하고,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고유 접속 정보는 고유 키, 고유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고유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고유 키로 디지털 서명하여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제어 명령 및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고유 키로 디지털 서명하여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고유 주소는 2개 이상으로 설정되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의 이름은 계층적 주소 체계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는, 제1 및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 간 접속 권한 관리를 위해 사용자 단말의 권한 정보를 블록 체인에 등록하고, 권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 명령을 사물 인터넷 장치로 전송하고,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와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 간 접속에 필요한 공인 IP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사물 인터넷 장치에 할당하는 DHCP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에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 정의 이름을 계층적 주소 체계로 확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 장치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단계와,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가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기초로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와,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가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가 상호 연결된 분산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 간 상호 인증하는 단계와,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가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가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유 접속 정보는 고유 키, 고유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고유 주소 및 상기 사용자 정의 이름을 고유 키로 디지털 서명하고,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 및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제어 명령 및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고유 키로 디지털 서명하고,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을 인증함으로써, 권한 없는 제3 자가 공인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를 통해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여 사물 인터넷 장치를 무단 제어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서명된 제어 명령 및 제어 명령에 따른 수행 결과에 한해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권한이 없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명령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정의 이름을 계층적 주소 체계로 확장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하나의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분산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장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분산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장치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분산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2의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는, 사물 인터넷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 및 제1 및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0)은 기존에 구축된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망과, Wi-Fi 망 등, 현재 이용 가능하거나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사물 인터넷 장치(10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로서, 카메라, 에어컨, TV, 냉장고 등의 다양한 가전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태 제어 및 데이터 전송 등 소정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 장치(100)는 댁내에 설치된 카메라일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 전송 명령에 따라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물 인터넷 장치(100)는 통신망 접속 장치(500) 또는 통신망 접속 장치(500)와 연결된 공유기(600)를 통해 통신망(10)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통신 기능 및 정보 처리 기능을 구비한 장치로서,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BN)가 상호 연결된 분산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BN) 간 상호 인증한다.
여기서, 블록 체인(Block chain)이라 함은 개인과 개인 간 거래(P2P) 데이터가 기록되는 장부(Database)인 블록(Block)들을 사슬(Chain) 형태로 엮은 것을 의미한다. 즉, 블록 체인은 블록들이 형성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사슬 구조를 가지게 되며, 거래 데이터가 기록된 블록들이 사슬로 이어져 하나의 거래 장부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모든 거래 장부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공개 및 분산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블록 체인은 중개자의 개입 없이 투명하고 안전한 직접 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시스템 자체가 안전하여 자율적 권한 위임이 가능하므로 중개자 없이 실시간 승인 또한 가능하다.
또한, 블록 체인 내 정보는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에게 공개되는 동시에 보관 및 관리되므로 특정 거래 정보를 조작하려면 모든 참여자의 컴퓨터를 해킹해 블록 체인 전체를 조작해야 하는 비현실적인 작업이 필요하므로 거래의 안전성과 투명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 단말(200)과 사물 인터넷 장치(100) 간 접속되어 주고 받은 데이터가 기록된 하나의 블록 체인 노드(BN)가 형성되고, 이 후 새롭게 사용자 단말(200)과 사물 인터넷 장치(100) 간 접속되어 주고 받은 데이터가 기록된 새로운 블록 체인 노드(BN)가 형성되면 이를 이전 형성된 블록 체인 노드(BN)에 덧붙이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BN)가 상호 연결된 분산 네트워크가 형성되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사물 인터넷 장치(100) 간 접속할 때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BN)에 기록된 데이터들을 블록 체인 노드(BN) 상호 간 대조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이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접속할 권한이 있는지 인증한다.
이에 따라, 권한 없는 제3 자가 공인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를 통해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접속하여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무단 제어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권한 없는 제3 자가 공인 IP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를 통해 카메라에 접속하여 카메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무단으로 전송 받는 행위를 차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는 입력부(411), 등록 요청 처리부(412) 및 출력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 요청 처리부(412)는 입력부(411)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제1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출력부(413)를 통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에 전송하여 등록 요청한다. 그리고, 출력부(413)는 사용자 단말(200)이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는 입력부(421), 등록 요청 처리부(422) 및 출력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 요청 처리부(422)는 입력부(421)를 통해 사물 인터넷 장치(100)의 제2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출력부(423)를 통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에 전송하여 등록 요청한다. 그리고, 출력부(423)는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입력부(310), 인증부(320) 및 출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부(320)는, 입력부(310)를 통해 제1 및 제2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기초로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인증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이 인증되면, 출력부(330)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을 사물 인터넷 장치(1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고유 접속 정보는 고유 키, 고유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고유 키는 사용자에게만 제공되고, 외부 및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에 제공되지 않는다. 즉, 고유 키는 사용자만 알고 있는 정보로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고유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은 외부로 노출되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제1 고유 접속 정보는 고유 사용자 키, 고유 사용자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포함하고, 제2 고유 접속 정보는 고유 장치 키, 고유 장치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유 사용자 주소는 사용자 단말(200)에 접속하기 위한 주소이고, 고유 사용자 키는 고유 사용자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디지털 서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 고유 접속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되거나 외부의 장치에 설치된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되어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의 이름은 사용자가 정의한 사물 인터넷 장치(100)의 이름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유 장치 주소는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접속하기 위한 주소이고, 고유 장치 키는 고유 장치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디지털 서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 고유 접속 정보는 통신망 접속 장치(500) 또는 공유기(600)에 설치된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되거나 외부의 장치에 설치된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되어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의 이름은 사용자가 정의한 사물 인터넷 장치(100)의 이름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의 등록 요청 처리부(412)는, 공유 장치 주소, 고유 사용자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고유 사용자 키로 디지털 서명하고, 출력부(413)는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에 전송하여 등록 요청 한다.
그리고,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의 등록 요청 처리부(422)는, 고유 장치 주소, 고유 사용자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고유 장치 키로 디지털 서명하고, 출력부(423)는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에 전송하여 등록 요청한다.
한편,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는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구비되거나, 통신망 접속 장치(500) 또는 공유기(600)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모듈로 제작될 수 있다.
분산 네트워크 제공 장치(300)의 인증부(320)는 제1 및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 420)로부터 등록 요청된 고유 장치 주소, 고유 사용자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이들 접속 정보가 일치하면 사용자 단말(200)과 사물 인터넷 장치(100) 간 접속을 위한 채널을 형성한다.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는 채널을 통해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고유 사용자 키로 디지털 서명하여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디지털 서명된 제어 명령에 한해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로 전송한다.
전술한 예에서,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는 채널을 통해 카메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요청 명령을 고유 사용자 키로 디지털 서명하여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디지털 서명된 영상 데이터 요청 명령을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서명된 제어 명령에 한해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로 전송함으로써, 권한이 없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명령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는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고유 장치 키로 디지털 서명하여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디지털 서명된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에 한해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로 전송한다.
전술한 예에서,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는 채널을 통해 카메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고유 사용자 키로 디지털 서명하여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디지털 서명된 영상 데이터를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서명된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에 한해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로 전송함으로써, 권한이 없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가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는 채널을 통해 접속 해제 요청을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접속 해제 요청에 따라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200)이 복수 개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이 하나의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 사용자 주소는 2개 이상으로 설정되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에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의 이름은 계층적 주소 체계로 확장된다.
구체적으로, 주 사용자가 사용자 정의 이름에 대하여 먼저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 사용자 주소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에 등록한 후, 서브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 사용자 주소를 그 하위 계층으로 등록함으로써, 계층적 주소 체계로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주 사용자가 서브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 사용자 주소를 등록함에 있어, 권한 범위 및 유효 기간 등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제1 및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 420) 간 접속 권한 관리를 위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의 권한 정보를 블록 체인에 등록하고, 권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 명령을 사물 인터넷 장치(100)로 전송하고,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권한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마다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와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 간 접속에 필요한 공인 IP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할당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는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가 구비되어 있고,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 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 관리 및 제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에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 정의 이름을 계층적 주소 체계로 확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술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브라우저 주소 창에 사용자 정의 이름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터치 패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 정의 이름을 입력하고 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공유 사용자 주소, 고유 장치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이 고유 사용자 키에 의해 디지털 서명되어 자동으로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되어 등록된다.
한편, 고유 사용자 주소, 고유 장치 주소 및 고유 사용자 키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되거나 외부의 장치에 설치된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되어 이를 입력 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다. 그리고, 고유 사용자 주소, 고유 장치 주소 및 고유 사용자 키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에 기 등록된 사물 인터넷 장치(100)들이 이미지 또는 사용자 정의 이름으로 리스트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리스트된 사물 인터넷 장치(100)의 이미지 또는 사용자 정의 이름을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200)과 사물 인터넷 장치(100)가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거나 제어 명령에 따른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전술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리스트된 카메라의 이미지 또는 사용자 정의 이름을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200)과 카메라가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카메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요청 명령을 전송하거나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권한 없는 제3 자가 전술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더라도 고유 접속 정보가 없어 사용자 단말(200)이 사물 인터넷 장치(100)와 접속되지 않으며, 브라우저 주소 창에 공인 IP주소 또는 사설 IP주소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200)과 사물 인터넷 장치(100)가 접속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장치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되,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겠다.
한편,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는 사용자 단말(200)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단말(200)을 분산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는 사물 인터넷 장치(100) 측에 구비되어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분산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를 통해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출력하고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입력 받는다. 그리고, 사물 인터넷 장치(100)는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 받고,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출력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방법은, 먼저,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가 사물 인터넷 장치(100)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한다(S10). 그러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상기 등록 요청에 따라 사물 인터넷 장치(100)의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한다(S11).
다음,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한다(S20). 그러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상기 등록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한다(S21).
여기서, 고유 접속 정보는 고유 키, 고유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각각 포함한다. 그리고, 고유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고유 키로 디지털 서명하고,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단말(200)이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를 통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에 접속 요청한다(S30).
다음,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등록된 이들 고유 접속 정보를 기초로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인증한다(S31).
또한,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가 상호 연결된 분산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BN) 간 상호 인증한다.
이를 통해, 권한 없는 제3 자가 공인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를 통해 사물 인터넷 장치(100)에 접속하여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무단 제어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가 사물 인터넷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S40).
여기서, 제어 명령을 고유 키로 디지털 서명하고,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단말(200)이 인증되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가 제어 명령을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로 전송한다(S50).
이와 같이, 디지털 서명된 제어 명령에 한해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로 전송함으로써, 권한이 없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명령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가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S60).
여기서,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고유 키로 디지털 서명하고,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단말(200)이 인증되면,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가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로 전송한다(S70).
이와 같이, 디지털 서명된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에 한해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로 전송함으로써, 권한이 없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가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는 채널을 통해 접속 해제 요청을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S80).
다음,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300)는 접속 해제 요청을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20)로 전송하고(S90),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410)는 접속 해제 요청에 따라 접속을 해제한다(S100).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물 인터넷 장치
200: 사용자 단말
300: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
410: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
420: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
200: 사용자 단말
300: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
410: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
420: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
Claims (15)
-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가 상호 연결된 분산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상기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 간 상호 인증하는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는,
상기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면,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접속 정보는
고유 키, 고유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상기 고유 주소 및 상기 사용자 정의 이름을 상기 고유 키로 디지털 서명하여 이를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고유 키로 디지털 서명하여 이를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주소는
2개 이상으로 설정되어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에 등록 가능한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 이름은
계층적 주소 체계로 확장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 간 접속 권한 관리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권한 정보를 블록 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와 상기 제1 분산 네트워크 접속 장치 간 접속에 필요한 공인 IP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에 할당하는 DHCP 서버를 더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에 상기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정의 이름을 계층적 주소 체계로 확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 사물 인터넷 장치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접속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가 상기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가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가 상호 연결된 분산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사물 인터넷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상기 복수의 블록 체인 노드 간 상호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면,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가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면,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가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접속 정보는
고유 키, 고유 주소 및 사용자 정의 이름을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접속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고유 주소 및 상기 사용자 정의 이름을 상기 고유 키로 디지털 서명하고, 이를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인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명령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고유 키로 디지털 서명하고, 이를 상기 분산 네트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인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6836A KR102472362B1 (ko) | 2017-11-06 | 2017-11-06 |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6836A KR102472362B1 (ko) | 2017-11-06 | 2017-11-06 |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1326A true KR20190051326A (ko) | 2019-05-15 |
KR102472362B1 KR102472362B1 (ko) | 2022-11-29 |
Family
ID=6657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6836A KR102472362B1 (ko) | 2017-11-06 | 2017-11-06 |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2362B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33855A (zh) * | 2019-06-28 | 2019-09-13 | 浪潮卓数大数据产业发展有限公司 | 一种基于区块链的区域防暴力破解方法 |
KR102152537B1 (ko) * | 2019-10-10 | 2020-09-07 | (주) 모로보기 | 사물 인터넷 장치를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
CN112116175A (zh) * | 2019-06-19 | 2020-12-22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物联网的安全管理方法 |
KR102202737B1 (ko) * | 2019-11-18 | 2021-01-12 | 사단법인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블록 체인 기반의 접근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 |
KR102227159B1 (ko) * | 2019-11-21 | 2021-03-11 | 주식회사 에스원 |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
KR20210073861A (ko) * | 2019-12-11 | 2021-06-21 | 주식회사 신의테크 | 블록체인을 적용한 배전선로 개폐기 제어 방법 |
KR20210073851A (ko) * | 2019-12-11 | 2021-06-21 | 주식회사 신의테크 | 블록체인을 이용한 루프방식 배전 선로 작업구간 개폐기 제어 시스템 |
KR20210073857A (ko) * | 2019-12-11 | 2021-06-21 | 주식회사 신의테크 | 블록체인을 이용한 루프방식 배전 선로 작업구간 개폐기 제어 방법 |
CN113596141A (zh) * | 2021-07-26 | 2021-11-02 |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 设备控制权限的设置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CN114928552A (zh) * | 2022-05-23 | 2022-08-19 |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 一种通信设备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5550403A (zh) * | 2022-09-16 | 2022-12-30 |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 基于区块链的物联网设备管理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4680A (ko) * | 2015-01-06 | 2016-07-14 | 주식회사 케이티 | Iot 디바이스 인증 방법, iot 디바이스 인증 수행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인증 서버 |
KR101678795B1 (ko) * | 2015-11-30 | 2016-11-22 | 전삼구 |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하는 IoT 기반 사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149751A (ko) * | 2015-06-19 | 2016-12-28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방법, 이를 수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20170011388A (ko) * | 2015-07-22 | 2017-02-02 | 주식회사 케이티 | 안전한 사물 인터넷 단말 원격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ip 주소 할당 방법 |
-
2017
- 2017-11-06 KR KR1020170146836A patent/KR1024723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4680A (ko) * | 2015-01-06 | 2016-07-14 | 주식회사 케이티 | Iot 디바이스 인증 방법, iot 디바이스 인증 수행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인증 서버 |
KR20160149751A (ko) * | 2015-06-19 | 2016-12-28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방법, 이를 수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20170011388A (ko) * | 2015-07-22 | 2017-02-02 | 주식회사 케이티 | 안전한 사물 인터넷 단말 원격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ip 주소 할당 방법 |
KR101678795B1 (ko) * | 2015-11-30 | 2016-11-22 | 전삼구 |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하는 IoT 기반 사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16175A (zh) * | 2019-06-19 | 2020-12-22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物联网的安全管理方法 |
CN110233855A (zh) * | 2019-06-28 | 2019-09-13 | 浪潮卓数大数据产业发展有限公司 | 一种基于区块链的区域防暴力破解方法 |
KR102152537B1 (ko) * | 2019-10-10 | 2020-09-07 | (주) 모로보기 | 사물 인터넷 장치를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
KR102202737B1 (ko) * | 2019-11-18 | 2021-01-12 | 사단법인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블록 체인 기반의 접근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 |
KR102227159B1 (ko) * | 2019-11-21 | 2021-03-11 | 주식회사 에스원 |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
KR20210073851A (ko) * | 2019-12-11 | 2021-06-21 | 주식회사 신의테크 | 블록체인을 이용한 루프방식 배전 선로 작업구간 개폐기 제어 시스템 |
KR20210073861A (ko) * | 2019-12-11 | 2021-06-21 | 주식회사 신의테크 | 블록체인을 적용한 배전선로 개폐기 제어 방법 |
KR20210073857A (ko) * | 2019-12-11 | 2021-06-21 | 주식회사 신의테크 | 블록체인을 이용한 루프방식 배전 선로 작업구간 개폐기 제어 방법 |
CN113596141A (zh) * | 2021-07-26 | 2021-11-02 |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 设备控制权限的设置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CN113596141B (zh) * | 2021-07-26 | 2023-07-25 |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 设备控制权限的设置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CN114928552A (zh) * | 2022-05-23 | 2022-08-19 |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 一种通信设备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4928552B (zh) * | 2022-05-23 | 2023-07-18 |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 一种通信设备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5550403A (zh) * | 2022-09-16 | 2022-12-30 |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 基于区块链的物联网设备管理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2362B1 (ko) | 2022-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72362B1 (ko) |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US20170302666A1 (en) | Establishing trust between two devices | |
US11399076B2 (en) | Profile information sharing | |
KR20160043044A (ko) | 대량의 vpn 접속들을 종료시키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 |
US20110013775A1 (en) | System and method of mobile content sharing and delivery in an integrated network environment | |
US2014034491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ingle-sign-on in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environment | |
Kim et al. | Trustworthy gateway system providing IoT trust domain of smart home | |
CN107182053B (zh) | 一种用于连接隐藏无线接入点的方法与设备 | |
CN115462108A (zh) | 无密码无线认证 | |
US1168181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enforcing context-based data transfer and access | |
TWI785111B (zh) | 網路系統 | |
US20170310666A1 (en) |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user equipment device in a private network | |
Benomar et al. | Enabling secure RESTful web services in IoT using OpenStack | |
US11231920B2 (en) | Electronic device management | |
EP3776320B1 (en) | Transmitting service provider access data to a service provider server | |
JP2007334753A (ja) | アクセス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KR102500080B1 (ko) | 공동 주택 단지에서의 앱 보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
TWI852156B (zh) | 網路系統以及資料處理方法 | |
CN114978741B (zh) | 一种系统间认证方法及系统 | |
US20230388182A1 (en) | Updating meshnet internet protocol maps in a mesh network | |
JP6225283B1 (ja) | 閉域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 |
KR20110043207A (ko) | 신뢰도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2018011190A (ja) | 機器リスト作成システムおよび機器リスト作成方法 | |
KR20230112819A (ko) | 가상 블록체인에 기반한 신원 기반 보안 기법을 이용한 IoT 기기용 게이트웨이의 보안 구축 시스템 및 방법 | |
CN115967623A (zh) | 设备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