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247A - 시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247A
KR20190051247A KR1020170146679A KR20170146679A KR20190051247A KR 20190051247 A KR20190051247 A KR 20190051247A KR 1020170146679 A KR1020170146679 A KR 1020170146679A KR 20170146679 A KR20170146679 A KR 20170146679A KR 20190051247 A KR20190051247 A KR 20190051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control unit
driving
inter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기
Original Assignee
이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기 filed Critical 이성기
Priority to KR102017014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1247A/ko
Publication of KR2019005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개폐시키는 시건장치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구동부 및 센서부를 제어하는 내부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시건부; 상기 내부컨트롤부와 네크워크 연결되어 상기 시건부를 제어하는 관리컨트롤부와, 상기 시건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서버부; 및 상기 시건부 또는 내부컨트롤부와 네크워크 연결되어 상기 시건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부를 통하거나 자체적으로 상기 시건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시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건 시스템{LOCKING SYSTEM}
본 발명은 시건장치의 보안성 및 시건장치가 구비된 함체의 관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시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다각적으로 발전됨에 따라, 특정 물건 또는 자료를 보관하기 위한 함체 또는 차량의 개폐 여부의 보안과 함체 또는 차량 내부 컨디션의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의 함체 또는 차량은 사람이 키를 가지고 직접적으로 개폐했으며, 이러한 종래의 함체 또는 차량은 사람이 키를 다른 곳에 두고 오거나 분실하였을 경우, 당해 함체 또는 차량에 있는 시건장치를 파손시켜 개폐를 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4-0047882호(발명의 명칭: RFID에 의한 해양플랜트 내의 시건장치 작동 방법)은 RFID 태그와 RFID리더기를 통해 접근시 액세스를 허용하는 기술을 게재하고 있다.
또한, 현재 상용화된 함체 또는 차량의 다수는 상기와 같이 RFID 태그와 RFID리더기로써 차량 또는 함체의 개폐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경우, RFID 태그를 가진 사람이 함체가 근접했을 때만 문이 개폐되므로 보안성이 의문시될 수 있으며, 함체 또는 차량 내부의 컨디션을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의 보안성을 강화하고 함체 내부의 컨디션을 관리할 수 있는 시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어를 개폐시키는 시건장치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구동부 및 센서부를 제어하는 내부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시건부; 상기 내부컨트롤부와 네크워크 연결되어 상기 시건부를 제어하는 관리컨트롤부와, 상기 시건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서버부; 및 상기 시건부 또는 내부컨트롤부와 네크워크 연결되어 상기 시건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부를 통하거나 자체적으로 상기 시건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시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시건부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시건부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시건부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 상기 시건부 내부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감지센서, 및 상기 시건부 내부에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컨트롤부, 조작부 또는 관리컨트롤부는 상기 송풍기의 온, 오프(on/off)와 바람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컨트롤부, 조작부 또는 관리컨트롤부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센싱값 이상일 때 상기 송풍기의 온, 오프(on/off)와 바람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RFID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가 상기 시건부에 근접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거나, 상기 내부컨트롤부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알람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알람장치가 동작하고, 상기 서버부 또는 조작부에 이러한 알람장치의 구동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컨트롤부는 상기 시건부에 배치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시건부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시건부상태화면을 제공하거나,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화면을 제공하거나, 또는, 터치패널 자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로그인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건부는 시약의 보관을 위한 함체이며, 상기 내부컨트롤부, 관리컨트롤부 또는 조작부는 상기 시건부 내부에 배치된 시약의 종류, 종류별 갯수, 입출고일, 용량, 제조일 또는 내구연한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컨트롤부는 상기 조작부 또는 시건부의 추가, 삭제, 정보변경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건부는 시약의 보관을 위한 함체이며, 상기 내부컨트롤부, 모니터링부 또는 조작부는 상기 시건부 내부에 배치된 시약의 종류, 종류별 갯수, 입출고일, 용량, 제조일 또는 내구연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서버부 또는 시건부와 이격된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시건부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자의 요청에 따라 서버부에 의해 조작부를 등록하고, 상기 조작부와 서버부에 의한 시건부의 제어, 모니터링 등을 유기적으로 도모함으로써, 시건의 보안성 및 함체 내부에 배치된 물품 관리의 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서 로그인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서 로그인후 접속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내부컨트롤부의 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센서부의 센싱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송풍기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오염도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필터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시약 정보 입력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부에서 시건장치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부에서 조작부의 추가, 삭제 또는 변경을 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부에서 시건부의 추가, 삭제 또는 변경을 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러한 블럭도에 게재된 구성은 하기와 같은 도 2 내지 도 12 등으로 발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화면의 배열 또는 패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서 로그인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서 로그인후 접속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내부컨트롤부의 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센서부의 센싱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송풍기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오염도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필터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시약 정보 입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부에서 시건장치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부에서 조작부의 추가, 삭제 또는 변경을 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부에서 시건부의 추가, 삭제 또는 변경을 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건 시스템은 크게 시건부(100), 서버부(200) 및 조작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건부(100), 서버부(200) 및/또는 조작부(300)는 상호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시건부(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함체이거나, 차량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시건부(100)가 시약의 보관을 위한 함체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이러한 시건부(100)는 구동부(110), 센서부(120) 및 내부컨트롤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10) 또는 센서부(120)는 상기 내부컨트롤부(130)와 후술할 서버부(200)와 조작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0)는 도어를 개폐시키는 시건장치(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건장치(111) 이외에도 상기 시건부(100) 내외에서 구동되는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10)는 상기 시건부(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112,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10)는 상기 시건부(100)의 내부온도, 내부습도,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송풍기(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10)는 상기 시건부(100) 내부에 유입되는 기체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10)는 상기 시건부(100)의 개폐 또는 제어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RFID 리더기(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0)는 상기 시건부(100)의 의도치 않은 개폐, 상기 시건부(100) 내부 구성요소의 오작동 또는 후술할 센서부(120)에 의해 센싱된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동작하고, 상기 서버부(200) 또는 조작부(300)에 이러한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알람장치(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시건부(100) 내부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감지센서(121)는 상기 시건부(100)의 개폐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며, 상기 시건부(100)는 이러한 도어 개폐 정보를 상기 서버부(200) 및/또는 조작부(300)에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시건부(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22), 상기 시건부(10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123), 상기 시건부(100) 내부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감지센서(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건부(100)는 이러한 온도, 습도 또는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부(200) 및/또는 조작부(300)에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시건부(100) 내부에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2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건부(100)는 이러한 내부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부(200) 및/또는 조작부(300)에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내부컨트롤부(130)는 상기 구동부(110) 및 센서부(1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시건부(100) 내부에 배치된 시약의 정보를 입력(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약의 정보라 함은 시약의 종류, 종류별 갯수, 입출고일, 용량, 제조일 또는 내구연한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내부컨트롤부(130)는 상기 시건부(100)에 배치되는 터치패널(1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패널(131)은 도 2 내지 도 9와 같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패널(131)은 도 2와 같이 터치패널(131) 자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로그인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조작부(300)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상기 시건부(100)에 근접하면, 상기 조작부(300)에 내재된 RFID 태그와 상기 구동부(110)의 RFID 리더기(115)가 반응하여 도 2의 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300)는 후술할 서버부(200)에 등록된 사용자의 스마트폰(310)에 한해 당해 시건부(100)에 로그인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패널(131)은 상기 조작부(300)가 RFID 방식으로 로그인 할 경우, ID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다음 화면으로 이동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31)은 도 3과 같이 로그인 이후에 시건부(100)를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도 4와 같이 상기 구동부(110)를 제어할 수 있는 설정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SEARCH' 버튼은 시약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으로 넘어가는 버튼이며, 'A 내지 E' 버튼은 시약장의 시약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당 칸의 시약 정보를 바로 조회하고자 할 때 클릭하면 시약 정보를 바로 볼 수 있다.
또한, 'ALARM' 버튼은 알람 상태에 따라 색이 바뀌며, 클릭하면 알람하고자 하는 상세 내용을 알 수 있다.
또한, VENTILATION' 버튼은 송풍기(113) 제어로 넘어가고자 하는 화면이며, 버튼에 표시된 시간은 향후 송풍기(113)의 남은 작동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SETUP' 버튼은 도 4에 도시된 화면으로 넘어가는 버튼이며, 'DISPLAY'는 도 5에 도시된 화면으로 넘어가는 도면이며, 'OPEN/CLOSE'는 문을 개폐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버튼이다.
또한, 사람이 개구된 함체 내부에 있을 경우, 도 3의 오른쪽 상단처럼 직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31)은 도 5와 같이 상기 센서부(120)에 의해 센싱된 온도, 습도 또는 오염도에 대한 현재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필터(114)의 유효기간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 습도 또는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이거나 필터(114)의 교환주기가 지났을 경우, 또는 시약의 유통기한이 지났을 경우에는 상기 터치패널(131) 일측에 알람 아이콘이 깜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31)은 도 4에서 도시된 송풍기(113) 세팅, 오염도 세팅, 필터(114) 교환주기, 또는 신규시약 등록/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6 내지 도 9처럼 각각의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패널(131)을 포함하는 내부컨트롤부(130)는 직접적으로 상기 송풍기(113)의 온, 오프(on/off)와 바람 세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센서부(120)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센싱값 이상일 때 상기 송풍기(113)의 온, 오프(on/off)와 바람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버부(200)는 상기 내부컨트롤부(130)와 네크워크 연결되어 상기 시건부(100)를 제어하는 관리컨트롤부(210)와, 상기 시건부(100)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220)와, 상기 모니터링부(220)에서 모니터링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컨트롤부(21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조작부(300) 또는 시건부(100)의 추가, 삭제, 정보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상기 관리컨트롤부(210)에서 입력된 조작자만이 당해 시건부(100)를 개폐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컨트롤부(210)에 입력될 조작자의 정보는 조작자 이름, ID, 비밀번호, RFID 카드 번호, 전화번호 및 주소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컨트롤부(210)는 도 10과 같이 다수 개의 시건부(100)를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시건부(100)의 개폐 및 구동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컨트롤부(210)는 직접적으로 상기 송풍기(113)의 온, 오프(on/off)와 바람 세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센서부(120)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센싱값 이상일 때 상기 송풍기(113)의 온, 오프(on/off)와 바람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컨트롤부(210)는 상기 시건부(100) 내부에 배치된 시약의 종류, 종류별 갯수, 입출고일, 용량, 제조일 또는 내구연한을 입력할 수있다.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시건부(100)의 상태 및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구동부(110)에 배치된 GPS(112)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시건부(100)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상기 시건부(100) 내부에 배치된 시약의 종류, 종류별 갯수, 입출고일, 용량, 제조일 또는 내구연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시건부(100) 또는 내부컨트롤부(130)와 네크워크 연결되어 상기 시건부(100)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부(200)를 통하거나 자체적으로 상기 시건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서버부(200) 또는 시건부(100)와 이격된 스마트폰(310) 또는 컴퓨터(320)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가 스마트폰(310)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300)는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0)가 상기 시건부(100)에 근접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거나, 상기 내부컨트롤부(130)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300)가 상기 시건부(100)에 근접시 상기 터치패널(131)을 온(on)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는,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상기 송풍기(113)의 온, 오프(on/off)와 바람 세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센서부(120)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센싱값 이상일 때 상기 송풍기(113)의 온, 오프(on/off)와 바람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시건부(100) 내부에 배치된 시약의 종류, 종류별 갯수, 입출고일, 용량, 제조일 또는 내구연한을 입력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시건부(100)와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310)의 전력 낭비를 절감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건 시스템은 조작자의 요청에 따라 서버부(200)에 의해 조작부(300)를 등록하고, 시건부(100)의 제어, 모니터링 등을 유기적으로 도모함으로써 시건의 보안성 및 함체 및 함체 내부에 배치된 물품 관리의 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시건부 110: 구동부
111: 시건장치 112: GPS
113: 송풍기 114: 필터
115: RFID 리더기 116: 알람장치
120: 센서부 121: 도어감지센서
122: 온도감지센서 123: 습도감지센서
124: 오염감지센서 125: 동작감지센서
130: 내부컨트롤부 131: 터치패널
200: 서버부 210: 관리컨트롤부
220: 모니터링부 230: 메모리부
300: 조작부 310: 스마트폰
320: 컴퓨터

Claims (14)

  1. 도어를 개폐시키는 시건장치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구동부 및 센서부를 제어하는 내부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시건부;
    상기 내부컨트롤부와 네크워크 연결되어 상기 시건부를 제어하는 관리컨트롤부와, 상기 시건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서버부; 및
    상기 시건부 또는 내부컨트롤부와 네크워크 연결되어 상기 시건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부를 통하거나 자체적으로 상기 시건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시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시건부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시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시건부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시건부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 상기 시건부 내부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감지센서, 및 상기 시건부 내부에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시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컨트롤부, 조작부 또는 관리컨트롤부는 상기 송풍기의 온, 오프(on/off)와 바람 세기를 제어하는 시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컨트롤부, 조작부 또는 관리컨트롤부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센싱값 이상일 때 상기 송풍기의 온, 오프(on/off)와 바람 세기를 제어하는 시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시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RFID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가 상기 시건부에 근접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거나, 상기 내부컨트롤부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시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알람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알람장치가 동작하고, 상기 서버부 또는 조작부에 이러한 알람장치의 구동신호가 송신되는 시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컨트롤부는 상기 시건부에 배치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시건부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시건부상태화면을 제공하거나,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화면을 제공하거나, 또는, 터치패널 자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로그인화면을 제공하는 시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부는 시약의 보관을 위한 함체이며,
    상기 내부컨트롤부, 관리컨트롤부 또는 조작부는 상기 시건부 내부에 배치된 시약의 종류, 종류별 갯수, 입출고일, 용량, 제조일 또는 내구연한을 입력할 수 있는 시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컨트롤부는 상기 조작부 또는 시건부의 추가, 삭제, 정보변경을 할 수 있는 시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부는 시약의 보관을 위한 함체이며,
    상기 내부컨트롤부, 모니터링부 또는 조작부는 상기 시건부 내부에 배치된 시약의 종류, 종류별 갯수, 입출고일, 용량, 제조일 또는 내구연한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서버부 또는 시건부와 이격된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인 시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시건부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하는 시건 시스템.
KR1020170146679A 2017-11-06 2017-11-06 시건 시스템 KR20190051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79A KR20190051247A (ko) 2017-11-06 2017-11-06 시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79A KR20190051247A (ko) 2017-11-06 2017-11-06 시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47A true KR20190051247A (ko) 2019-05-15

Family

ID=6657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79A KR20190051247A (ko) 2017-11-06 2017-11-06 시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12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35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US10650629B1 (en) Access control provisioning
US9514636B2 (en) Premises management system with prevention measures
US20120233006A1 (en) Wireless device operable cash drawer having biometric, database, and messaging capabilities
US107834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package
US9728076B2 (en) Adaptive exception handling in security system
CN104732635B (zh) 一种锁具系统
US8928456B2 (en) Wireless device operable cash drawer
CA2715471A1 (e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US20180367419A1 (en) Automated tracking-number based administration of access codes
CN104468690B (zh) 由分布式系统中的装置执行的方法及分布式系统的装置
EP3188148B1 (en) Intrusinon alarm system with learned and dynamic entry delays
EP3297300B1 (en) Sensor management system
KR101981898B1 (ko) 스마트 함체
KR101650423B1 (ko) 센서 통합 관리에 의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JP4402135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制御装置
CA2809857A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5190643A (zh) 利用两因素认证的移动身份提供商
KR20190051247A (ko) 시건 시스템
KR101746515B1 (ko) 시약장 관리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0688A (ko) 실험장치 관리 방법
CN105191218A (zh) 建筑物自动化系统控制器的配置
KR102622677B1 (ko)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Al-Samarraei Smart home design with IoT (Home automation)
KR20180039845A (ko) 센서 및 nfc 기반 실시간 시약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시약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