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131A -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 Google Patents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131A
KR20190051131A KR1020170146452A KR20170146452A KR20190051131A KR 20190051131 A KR20190051131 A KR 20190051131A KR 1020170146452 A KR1020170146452 A KR 1020170146452A KR 20170146452 A KR20170146452 A KR 20170146452A KR 20190051131 A KR20190051131 A KR 20190051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re
hinge
frame cor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242B1 (ko
Inventor
김희일
Original Assignee
김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일 filed Critical 김희일
Priority to KR102017014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2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은 프레임 코어, 프레임 코어의 일 코너에 형성된 힌지 수용부, 및 힌지 수용부에 대응하는 힌지 돌기를 포함하는 프레임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돌기가 힌지 수용부에 수용되면서 프레임 연장부가 힌지 수용부가 형성된 프레임 코어의 일면에 밀착되면서 사이즈가 확장된 창호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WINDOW FRAME HAVING VARIABLE SIZE}
본 발명은 프레임의 폭을 용이하게 확장 및 변경할 수 있는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강화유리를 이용한 벽면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창호 프레임을 이용하고 있으며, 창호 프레임은 단일 또는 이중 유리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한 장의 유리를 이용하게 되면 이중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단열이나 방음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최근 관공서나 학교, 병원, 상가 등의 현관에 시공되는 창호에는 대부분 페어글라스와 같은 이중 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중 유리를 사용한다고 해도 종래의 창호 프레임은 실내 및 실외 공기와 직접 접하기 때문에 실외 온도를 직접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종래의 창호 프레임은 알루미늄 코어에 스테인리스 프레임 커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열전도도가 높아 내외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열 손실의 주범이 되기도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67089호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단열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전후 좌우로 수용홈이 형성된 메인바를 기준으로, 제1 측면커버 및 제2 측면커버, 보강프레임이 결합된다. 또한, 제1 측면커버의 공간부에 단열재를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구조에 따르면, 결합이 복잡하며 내부를 고무, 실리콘 등의 소프트한 재질로 충진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약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단열재를 삽입하는 과정도 어려워 실질적으로 사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이즈 확장이 용이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이즈 확장에 필요한 부품을 최소로 하고, 장착 및 확장 과정이 용이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에 대응하여 사이즈를 확장시킬 수 있는 창호 프레임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은 프레임 코어, 프레임 코어의 일 코너에 형성된 힌지 수용부, 및 힌지 수용부에 대응하는 힌지 돌기를 포함하는 프레임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돌기가 힌지 수용부에 수용되면서 프레임 연장부가 힌지 수용부가 형성된 프레임 코어의 일면에 밀착되면서 사이즈가 확장된 창호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 수용부 및 힌지 돌기는 프레임 코어와 프레임 연장부가 결합되는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며, 힌지 돌기가 힌지 수용부 내에서 회전 중심으로 작동하여 프레임 연장부가 프레임 코어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밀착 고정될 수가 있다.
힌지 돌기는 프레임 연장부의 일 코너에만 형성되며, 프레임 연장부는 힌지 수용부에 수용된 힌지 돌기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프레임 코어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다.
프레임 코어의 일면 또는 일면과 접하는 프레임 연장부의 대응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으며,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1차적으로 프레임 연장부가 프레임 코어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 이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연장부 및 프레임 코어의 외면을 프레임 커버가 덮음으로써, 외형적으로 물리적으로 창호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힌지 수용부는 수용홈 및 수용홈의 일측을 덮는 걸림루프를 포함하며, 힌지 돌기는 걸림루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및 굴곡될 수 있다. 걸림루프에 의해서 힌지 수용부는 곡면 또는 직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 연장부 없이도 프레임 커버가 코너에 변형 없이 밀착되도록 할 수가 있다.
프레임 코어는 단열 프레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프레임 코어는 제1 프레임 코어, 제1 프레임 코어에 대응하는 제2 프레임 코어 및 제1 프레임 코어와 제2 프레임 코어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 수용부는 제1 프레임 코어 및 제2 프레임 코어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코너에 형성될 수가 있다.
그리고, 단열 프레임에서도 프레임 커버는 프레임 코어의 외면을 덮어 장식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 코어, 제2 프레임 코어 또는 프레임 연장부의 외면을 덮어 단열 프레임의 외면을 장식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코어 또는 제2 프레임 코어에는 유리 수용홈과 별도로 프레임 커버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커버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창호 프레임이 벽면에 밀착하는 경우, 커버 수용홈까지만 프레임 커버를 형성함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 프레임은 사이즈 확장이 용이하며, 사이즈 확장에 필요한 부품을 최소로 할 수 있고, 장착 및 확장을 위한 과정의 공정이 적다.
또한, 프레임 연장부를 다양한 치수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한 사이즈 별로 창호 프레임의 완성품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중심을 이루는 프레임 코어에 부가되는 프레임 연장부를 구비하여 적재 공간이 적고 보관이 용이한 다양한 사이즈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힌지 돌기 및 힌지 수용부를 이용하여 프레임 연장부를 선회시키면서 조립하기 때문에, 위치 조정이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완료시킬 수 있고, 프레임 커버의 장식도 용이하여 작업이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창호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창호 프레임에서 프레임 코어에 프레임 연장부를 밀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창호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창호 프레임에서 프레임 코어에 프레임 연장부를 밀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100)은 제1 프레임 코어(110), 제2 프레임 코어(120), 단열 부재(130), 프레임 연장부(140) 및 프레임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연장부(140)는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의 양 측면에 밀착되며, 프레임 연장부(140)가 밀착된 상태에서 프레임 커버(150)가 제1 프레임 코어(110)와 프레임 연장부(140)를 덮으며, 제2 프레임 코어(120)와 프레임 연장부(140)를 덮어 외면을 장식한다.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의 일 코너에는 힌지 수용부(160)가 형성되며, 힌지 수용부(160)에 대응하여 프레임 연장부(140)에는 힌지 돌기(142)가 제공된다. 힌지 돌기(142)가 힌지 수용부(160)에 수용되면서 프레임 연장부(140)가 힌지 수용부(160)가 형성된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의 일면에 밀착되고, 그로 인해 창호 프레임(100)의 사이즈를 확장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프레임 연장부(140)가 사용되며, 각각 힌지 돌기(142)가 힌지 수용부(160)에 삽입되도록 프레임 연장부(140)를 180도 돌려서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에 장착되는 프레임 연장부의 치수를 달리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 역시 동일한 단면을 가지며, 서로 혼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의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구조, 예를 들어 단열 결속부(112, 122)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그 외 구조는 전혀 다른 형상 또는 치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는 알루미늄 압출 과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는 상부에 돌출 형성된 단열 결속부(112, 122)에 단열 부재(130)의 단부를 삽입시킨 후, 단열 결속부(112, 122)를 상하에서 눌러 단열 부재(130)와 제1 프레임 코어(110), 제2 프레임 코어(120)를 상호 고정시킬 수가 있다. 이를 위해 단열 결속부(112, 122)에는 역삼각형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단열 결속부(112, 122)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의 유리 수용홈에 단열 또는 이중 유리창이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단열 부재(13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2개의 단열 부재(130)가 길이 방향으로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단열 부재(130)가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 사이에 삽입된 후,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가압 부재가 단열 결속부(112, 122)의 상부 및 하부로 열린 공간에서 접근하여 단열 결속부(112, 122) 및 단열 부재(130) 간의 견고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보면, 힌지 수용부(160)는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의 코너에 형성된 수용홈(162) 및 수용홈(162)의 일측을 덮는 걸림루프(16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레임 연장부(140)에 형성되는 힌지 돌기(142)는 걸림루프(164)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및 굴곡되도록 형성되어, 수용홈(162)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루프(164)에 의해서 힌지 수용부(160)는 곡면 또는 직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 4의 (a)와 같이, 프레임 연장부(140) 없이도 프레임 커버(150)가 코너에 변형 없이 밀착되도록 할 수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돌기(142)가 힌지 수용부(160)에 삽입되면서, 프레임 연장부(140)는 제2 프레임 코어(120)의 힌지 수용부(160)에 삽입된 힌지 돌기(142)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제2 프레임 코어(12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프레임 코어(120)의 외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불인 상태에서, 프레임 연장부(140)를 밀착시켜 1차적으로 프레임 연장부(140)를 제2 프레임 코어(120)에 부착시킬 수가 있다.
그렇게 프레임 연장부(140)를 제2 프레임 코어(120)의 측면에 부착시키면, 좌측과 같이 프레임 연장부(140)가 제1 프레임 코어(110)에 부착된 것과 같이 고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프레임 커버(150)를 그 외면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b)에 도시된 창호 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창호 프레임과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프레임 연장부(140)를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a)와 같이, 프레임 연장부(140) 없이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의 외면에 직접 프레임 커버(150-1)를 밀착시켜 장식할 수 있으며, (c)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 큰 프레임 연장부(140-2)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의 외면에 부착하여 프레임 코어의 사이즈를 확장시키고, 그 외면에 프레임 커버(150-2)를 밀착시켜 사이즈가 확장된 창호 프레임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를 이용한 하나의 단열 프레임으로, 프레임 연장부(140, 140-2)를 다양하게 선택 및 부착시킴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창호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은 제1 프레임 코어(110), 제2 프레임 코어(120), 단열 부재(130), 프레임 연장부(140) 및 프레임 커버(150-3)를 포함한다.
단열 부재(130)가 형성된 중앙부에는 유리 수용홈이 형성되며, 유리 수용홈보다 좌우로 치우쳐 제1 프레임 코어(110) 및 제2 프레임 코어(120)에 커버 수용홈(114, 12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프레임 커버가 유리 수용홈까지 연장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은 벽체에 밀착될 수 있으며, 벽체에 밀착된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 커버(150-3)가 유리 수용홈이 아닌 커버 수용홈(114, 124)까지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커버(150-3)가 커버 수용홈(114, 124)까지만 형성되어, 프레임 커버의 단수 수용 및 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 코어(210-1) 및 제2 프레임 코어(220-1)는 이전 실시예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유리 수용홈을 형성하지만, 하부로는 마감용 커버(260)를 덮음으로써 단부를 마감시킬 수가 있다. 마감용 커버(260)는 단열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연장부(240-1) 및 프레임 커버(250-1)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단열 프레임을 형성할 수가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 코어(210-2) 및 제2 프레임 코어(220-2) 역시 이전 실시예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 프레임의 상부에는 유리 수용홈을 형성하지만, 하부로는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봇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도 프레임 연장부(240-2) 및 프레임 커버(250-2)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단열 프레임을 형성할 수가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 코어(210-3) 및 제2 프레임 코어(220-3)는 대형 사이즈의 단열 프레임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단열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유리 수용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프레임 연장부(240-3)도 대형 프레임 코어에 대응하여 대형 사이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열 부재(230-3)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유리 수용홈의 폭도 다양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창호 프레임은 힌지 수용부(360)가 형성된 프레임 코어(310), 프레임 연장부(340-1), 프레임 커버(35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별개로, 단열 프레임이 아닌 일반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으로 프레임 코어(310)가 제공될 수 있으며, 한 종류의 프레임 코어(310)에 대응하여 프레임 연장부(340-1)를 양측에 부착하여 프레임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의 (a)를 보면, 프레임 연장부 없이 프레임 코어(310)에 프레임 커버(350)를 밀착시켜 최소 사이즈의 창호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7의 (c)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 큰 프레임 연장 부(340-2)을 동일한 사이즈의 프레임 코어(310)에 부착하여 더 큰 사이즈로 확장된 창호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커버 수용부를 형성하여 프레임 커버(350, 350-1, 350-2)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힌지 돌기 및 힌지 수용부(360)도 이전 실시예를 참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창호 프레임 110 : 제1 프레임 코어
120 : 제2 프레임 코어 130 : 단열 부재
140 : 프레임 연장부 150 : 프레임 커버

Claims (6)

  1. 프레임 코어;
    상기 프레임 코어의 일 코너에 형성된 힌지 수용부; 및
    상기 힌지 수용부에 대응하는 힌지 돌기를 포함하는 프레임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돌기가 상기 힌지 수용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프레임 연장부가 상기 힌지 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프레임 코어의 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돌기는 상기 프레임 연장부의 일 코너에만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연장부는 상기 힌지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힌지 돌기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프레임 코어의 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코어의 상기 일면 또는 상기 일면과 접하는 상기 프레임 연장부의 대응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용부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일측을 덮는 걸림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돌기는 상기 걸림루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및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코어는 제1 프레임 코어, 상기 제1 프레임 코어에 대응하는 제2 프레임 코어 및 상기 제1 프레임 코어와 상기 제2 프레임 코어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수용부는 상기 제1 프레임 코어 및 상기 제2 프레임 코어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코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코어, 상기 제2 프레임 코어 또는 상기 프레임 연장부의 외면을 덮는 프레임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코어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코어에는 유리 수용홈과 별도로 상기 프레임 커버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커버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KR1020170146452A 2017-11-06 2017-11-06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KR10202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52A KR102026242B1 (ko) 2017-11-06 2017-11-06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52A KR102026242B1 (ko) 2017-11-06 2017-11-06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31A true KR20190051131A (ko) 2019-05-15
KR102026242B1 KR102026242B1 (ko) 2019-09-27

Family

ID=6657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452A KR102026242B1 (ko) 2017-11-06 2017-11-06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880A (ko) * 2019-09-30 2021-04-07 김희일 경량 단열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067B1 (ko) * 2014-06-16 2015-02-11 김완중 프레임 단열보강 연결구
KR101527875B1 (ko) * 2014-05-21 2015-06-10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복합 미서기 창호
KR101767089B1 (ko) * 2016-10-05 2017-08-14 주식회사 경기창호금속 조립식 구조를 갖는 단열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875B1 (ko) * 2014-05-21 2015-06-10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복합 미서기 창호
KR101492067B1 (ko) * 2014-06-16 2015-02-11 김완중 프레임 단열보강 연결구
KR101767089B1 (ko) * 2016-10-05 2017-08-14 주식회사 경기창호금속 조립식 구조를 갖는 단열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880A (ko) * 2019-09-30 2021-04-07 김희일 경량 단열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242B1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668B1 (ko)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RU2621246C2 (ru) Окно, имеющее сменное средство сопря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90051131A (ko)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KR20200068834A (ko) 단열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유리받침대의 조립구조
US5251417A (en) Decorative art glass window grid system
KR100683818B1 (ko)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고정구조
KR102169160B1 (ko) 단열 커튼월
KR102071319B1 (ko)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이중프레임 구조를 갖는 커튼월
KR20190074750A (ko) 친환경 복합 커튼월
KR101784360B1 (ko) 창호의 가변형 복합 창짝
CN211499573U (zh) 一种适用于蜂窝板集成墙面的装饰组件
CN110195555B (zh) 窗框及反拼料组合的装配式窗系统
CN207907465U (zh) 密封连接件和箱体
KR102036569B1 (ko) 덧창
JP2000104459A5 (ko)
KR20070035830A (ko)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고정구조
KR101566931B1 (ko) 커튼월 공틀일체형 구조
JP7254728B2 (ja) 戸体及び建具
CN211397283U (zh) 智能门
CN210567682U (zh) 一种无缝拼接弧形灯
JPH0842257A (ja) 建物の壁、屋根、窓またはドアのための板保持装置
JP2001346664A (ja) 可動仕切陳列箱
KR20160056748A (ko) 단열성능을 개선한 유글라스 알루미늄 커튼 월 시스템
CN210798110U (zh) 一种装配式的内饰结构
JPS61209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