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390A - Suction Pump Eqipped with Position Adjustable Catheter Structure - Google Patents

Suction Pump Eqipped with Position Adjustable Cathete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390A
KR20190050390A KR1020170145738A KR20170145738A KR20190050390A KR 20190050390 A KR20190050390 A KR 20190050390A KR 1020170145738 A KR1020170145738 A KR 1020170145738A KR 20170145738 A KR20170145738 A KR 20170145738A KR 20190050390 A KR20190050390 A KR 2019005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module
guide
patient
gui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5682B1 (en
Inventor
강정길
Original Assignee
(주)엘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메카 filed Critical (주)엘메카
Priority to KR102017014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682B1/en
Publication of KR2019005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3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61M1/008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6Connectors between drainage tube and handpiece, e.g. drainage tubes detachable from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4Supporting bases, stand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dical suction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 catheter guid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theter guide structure in which a catheter, which is coupled to a medical suction unit to remove foreign matters from a respiratory apparatus, is inserted into the structure, and which guides the entry of the catheter into the respiratory system; and a position fixing structure for fix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pite a sudden movement of a patient,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nstalled in the patient can stably maintain the installation stat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nager can freely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ward environment.

Description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의료용 석션기{Suction Pump Eqipped with Position Adjustable Catheter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guide structure,

본 발명은 의료용 석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급작스러운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환자에게 설치되어 있는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가 그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실 환경에 따라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석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s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theter guide structure that can stably maintain a catheter guide structure installed in a patient regardless of a sudden movement of a pati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suction unit capable of freely adjusting an installation position and an installation direction.

의료용 석션기는 병원에서 시술을 하면서 환자의 몸속으로부터 발생되는 피, 타액, 구토물 및 분비물 등의 이물질을 용기로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 장치이다. The medical suction unit is a medical foreign body suction device for forcibly suck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blood, saliva, vomit and secretion generated in the body of a patient while performing a procedure in a hospital.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가정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상시 석션기를 장착하고 보호자나 간호사들이 이물질을 기도나 수술부위에서 빼내는 일을 하게 된다.In general, patients with mobility problems in hospitals or homes are usually equipped with a suction unit and guardians or nurses work to remove foreign objects from the airway or surgical site.

한편, 산소 호흡기를 설치한 환자의 호흡기에 가래 등의 이물질이 발생한 경우에 간호사는 산소 호흡기가 환자에게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호흡기에 의료용 석션기에 구비된 카테터를 삽입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foreign substances such as sputum are generated in the patient's respiratory apparatus having the oxygen respirator, the nurse removes the foreign substance by inserting the catheter provided in the medical suction unit into the patient's respirator while the oxygen respirator is installed in the patient .

한편, 환자의 호흡기에 카테터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느끼는 통증으로 인해 환자가 급격하게 머리를 돌리는 경우나, 환자가 몸을 급격히 움직이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환자의 호흡기에 삽입된 카테터가 의도치 않게 강제적으로 인발된다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when the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the patient may suddenly turn his / her head due to the pain felt by the patient, or the patient may move rapidly. In such a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unintentionally pulled out forcefully.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경우에는 환자의 호흡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산소 공급 모듈이 환자로부터 이탈되어 환자가 심각한 위험에 빠지기도 한다.In addition, in such cases, the oxygen supply module installed for the patient's breathing may be detached from the patient and the patient may be in serious dang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급작스러운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환자에게 설치되어 있는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가 그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실 환경에 따라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석션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theter guide structure which can stably maintain the installation state of a catheter guide structure installed in a patient regardless of a sudden movement of a pati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pressure of the medical syrin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석션기는, 의료용 석션기에 결합되어 호흡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카테터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카테터의 호흡기로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 및 상기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구조체를 포함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dical suction unit, comprising: a catheter guide structure coupled to a medical suction unit for inserting a cathet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a respiratory apparatus and guiding entrance of the catheter into a respiratory apparatus; And a position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고정 구조체는, 상기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직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includes a guide membe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n a linear direction.

또한, 상기 위치 고정 구조체의 설치 방향의 전환에 따라 상기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설치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급작스러운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환자에게 설치되어 있는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는 그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pite the sudden movement of the patient,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nstalled in the patient can stably maintain the installation stat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는 병실 환경에 따라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ministrator can freely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ward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의 제2 가이드 모듈에 연결 설치되는 제3 가이드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에서의 제1 가이드 모듈, 제2 가이드 모듈, 및 제3 가이드 모듈이 연결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카테터 구조체의 의료용 석션기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석션기의 본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의 결합구와 체결되는 연결 부재의 단부에 구비된 체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third guide module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module in FIGS. 1 and 2,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guide module, a second guide module, and a third guide modu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upling member provided in a main body of a medical infusion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astener provided at an end of a connecting member to be fastened to the fastener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and 11 ar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top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의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는 호흡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의료용 석션기(400)에 구비된, 가래 등의 이물질 흡입관인 카테터의 호흡기로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the entrance of a catheter, which is a foreign substance suction pipe of a sputum or the like, provided in a medical absorber 400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respiratory apparatus into a respiratory apparatu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는 제1 가이드 모듈(100), 및 제1 가이드 모듈(100)에 연결 설치된 제2 가이드 모듈(200)을 포함한다. 1 and 2,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uide module 100 and a second guide module 200 connected to the guide module 100 do.

먼저, 제1 가이드 모듈(100)은 산소 공급용 가이드 모듈로서, 본체부(130), 및 본체부(130)의 측면에 구비된 산소 공급구(110)를 포함한다. 본체부(130)의 일단은 환자의 목에 고정 설치되어 환자의 목을 통해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거나,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 카테터를 진입시키며, 본체부(130)의 타단에는 제2 가이드 모듈(200)이 연결 설치된다.First, the first guide module 100 includes a main body 130 and an oxygen supply port 110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30, as an oxygen supply guide module. One end of the main body 130 is fixed to the neck of the patient and supplies oxygen to the patient through the patient's neck or the catheter into the patient's respiratory system. 200 are connected.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산소 공급구(110)에는 멀티 커넥터 모듈(60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이와 같은 멀티 커넥터 모듈(600)은 제1 분기관(610), 제2 분기관(620), 제3 분기관(630), 및 연결관(650)을 포함한다.1, the multi-connector module 6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xygen supply port 110. The multi-connector module 600 includes a first branch pipe 610, a second branch pipe 610, 620, a third branch pipe 630, and a connecting pipe 650.

멀티 커넥터 모듈(600)의 연결관(650)은 일측이 산소 공급구(100)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원통형 관으로서, 연결관(650)의 타측에는 제1 분기관(610)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on pipe 650 of the multi-connector module 600 is a cylindrical pipe fitted to one side of the oxygen supply port 10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branch pipe 610 is extend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ipe 650 have.

제1 분기관(610)에는 산소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제공하는 산소 공급관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호자 또는 간호사는 필요시 제1 분기관(610)에 산소 공급관을 결합함으로써 산소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제1 분기관(610)을 통해 산소 공급구(11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branch pipe 610 is detachably coupled to an oxygen supply pipe for supplying oxygen supplied from an oxygen supplier, and the guardian or the nurse supplies the oxygen supply pipe to the first branch pipe 610, The oxygen can be delivered to the oxygen supply port 110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610.

한편, 제2 분기관(620) 및 제3 분기관(630)은 연결관(650)의 측면으로부터 나뭇가지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분기관이며, 제1 분기관(610), 제2 분기관(620), 제3 분기관(630), 및 연결관(650)의 내부는 상호 연결되어 있다.The second branch pipe 620 and the third branch pipe 630 are branch pipes extending diagonally from the side of the connecting pipe 650 like the branches. The first branch pipe 610, The two-branch pipe 620, the third branch pipe 630, an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650 are interconnected.

제2 분기관(620)에는 필요에 따라 네블라이저의 기체 공급관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에 따라 환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석션기와 네블라이저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branch pipe 6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as supply pipe of the nebulizer as necessary, so that the patient can use the medical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nebulizer.

한편, 제3 분기관(630)에는 외부에 설치된 가습기로부터 공급되는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관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호자 또는 간호사는 필요시 제1 분기관(610)을 통해 가습기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석션기를 통한 이물질 제거와 함께 환자의 구강 및 기관지에 대한 가습을 실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ird branch pipe 630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humidifier pipe for providing moisture supplied from an external humidifier, and a guardian or a nurse may connect the humidifier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610 if necessary , It is possible to perform humidification of the oral cavity and bronchus of the patient together with removal of foreign matter through the medical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멀티 커넥터 모듈(600)에 구비된 제1 분기관(610), 제2 분기관(620), 및 제3 분기관(630)은 필요에 따라 각각 산소 공급기, 네블라이저, 및 가습기와 같은 외부 장비가 선택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특정 분기관에 외부 장비의 연결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분기관의 입구를 마개를 통해 차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first branch pipe 610, the second branch pipe 620, and the third branch pipe 630 provided in the multi-connector module 600 are connected to an oxygen supplier, a nebulizer, and a humidifier If the same external equipment is selectively installed and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equipment to the specified branch is not necessary, it is preferable to block the inlet of the branch via the plug.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보호자 또는 간호사는 환자가 있는 병상의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제1 분기관(610), 제2 분기관(620), 및 제3 분기관(630)에 산소 공급기, 네블라이저, 및 가습기를 연결 설치함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상호 교환하여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egiver or the nurse may supply oxygen to the first branch tube 610, the second branch tube 620, and the third branch tube 630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conditions of the patient's bed, , The nibilizer, and the humidifier are connected and install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may be freely mutually exchanged.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환자에게 보다 깨끗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산소 공급구(110)의 내부에 공기 정화 필터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purification filter may be installed in the oxygen supply port 110 to supply more clean oxygen to the patient.

아울러, 제1 가이드 모듈(100)과 제2 가이드 모듈(200)이 결합 설치됨에 있어서, 제1 가이드 모듈(100)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토록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산소 공급기의 설치 위치 및 병상의 환경에 따라 산소 공급구(110)의 방향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uide module 100 and the second guide modul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guide module 100 is freely rotatable. And the direction of the oxygen supply port 110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bed.

제2 가이드 모듈(200)은 개폐구(210), 연결부(230), 결합구(250), 제1 포트(270), 및 제2 포트(290)를 포함한다. 연결부(230)는 제2 가이드 모듈(200)을 제1 가이드 모듈(100)에 연결 설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결합구(250)는 제3 가이드 모듈(300)과 결합된다. The second guide module 200 includes a door 210, a coupling 230, a coupling 250, a first port 270, and a second port 290. The connection part 230 functions to connect the second guide module 200 to the first guide module 100 and the coupling part 250 is coupled to the third guide module 300.

개폐구(210)는 연결부(230)와 결합구(250) 사이에 카테터의 진입 방향과 직각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3 가이드 모듈(300)로부터 진입되는 카테터의 제1 가이드 모듈(100) 내부로의 진입이 필요한 경우에만 내부 공간이 개방되며, 카테터의 진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부 공간이 팽창된 풍선(285)에 의해 충진됨으로써, 산소 공급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산소가 환자에게 공급되지 못하고, 결합구(25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port 210 is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entry direction of the catheter between the connection part 230 and the coupling port 250. The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module 100 through the third guide module 300, The internal space is opened only when the entry is necessary. When the entry of the catheter is not necessary, the internal space is filled with the inflated balloon 285, so that the oxygen supplied through the oxygen supply port 110 is not supplied to the patient And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upling hole 250.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연결부(230)의 측면에는 제1 포트(270) 및 제2 포트(29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포트(270)에는 환자의 호기 가스의 질량을 측정하는 질량유량계(MASS FLOW METER: MFM) 센서가 연결 설치되며, 제2 포트(290)는 환자의 기도 및 기관지의 습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2, a first port 270 and a second port 290 ar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230. [ A mass flow meter (MFM) sensor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270 to measure the mass of the patient's exhalation gas. The second port 290 functions to maintain the humidity of the patient's airway and bronchus .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의 제2 가이드 모듈(200)에 연결 설치되는 제3 가이드 모듈(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hird guide module 300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module 200 in FIGS. 1 and 2.

제3 가이드 모듈(300)은 제1 가이드 모듈(100) 내부로의 카테터의 진입을 유도하는 카테터 진입 유도용 가이드 모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3 가이드 모듈(300)은 유도구(310), 병목부(330), 투입구(350), 체결구(370), 및 유동관(390)을 포함한다.3, the third guide module 300 is a guide module for introducing the catheter into the first guide module 100 to guide the catheter into the catheter. Referring to FIG. 3, The module 300 includes a hydraulic tool 310, a bottleneck 330, an inlet 350, a fastener 370, and a flow tube 390.

유도구(310)는 단부를 통해 카테터의 삽입을 유도하며, 유도구(310)를 통해 삽입된 카테터는 병목부(330)를 거쳐 병목부(330)에 결합되어 있는 유동관(390)을 통해 체결구(370)까지 진입된다.The catheter 310 inserts the catheter through the end and the catheter inserted through the catheter 310 is fastened through a flow tube 390 coupled to the bottleneck 330 via the bottleneck 330. [ And enters the sphere 370.

구체적으로, 유동관(390)은 카테터의 제1 가이드 모듈(100)로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연성 재질의 관으로서, 제1 가이드 모듈(100)이 환자에게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유동관(390)의 유동성에 의해 유도구(310)는 설치 방향 및 설치 위치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flow tube 390 is a ductile material tube that guides the entry of the catheter into the first guide module 100. The fluidity of the flow tube 390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guide module 100 is fixed to the patient The mounting tool 310 is freely adjustable in its mounting direction and mounting position as needed.

그 결과, 제1 가이드 모듈(100)이 신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환자가 고개를 돌리거나, 누워있는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도 유도구(310)는 환자의 자세에 따라 필요한 설치 방향 및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even when the first guide module 100 is fixed to the body and the patient turns his / her head or chang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uide module 100 is laid, the guide tool 310 can freely set the necessary installation direction and installation position .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유동관(390)의 내벽면에 코일 스프링(395)을 연속적으로 삽입 설치함으로써, 유도구(310)의 설치 방향 및 설치 위치 조절됨에 따라 특정 형상으로 만곡된 유동관(390)이 만곡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3, a coil spring 395 is continuously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low pipe 390 to adjust the mounting direction and mounting position of the oil tool 310,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minimum rigidity that can maintain the curved shape of the flow tube 390 bent.

아울러, 유동관(390)을 통과하는 카테터는 유동관(390)의 내벽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395)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며, 코일 스프링(395)은 유동관(390) 내부에서의 카테터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atheter passing through the flow tube 39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il spring 395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low tube 390 and the coil spring 395 passes through the moving space of the catheter inside the flow tube 390 .

구체적으로, 유동관(390)의 내부 벽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395)은 유동관(390)이 임의의 형상으로 만곡되는 경우라도 유동관(390)의 내부 공간의 단면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단면이 협착됨으로써 카테터의 이동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coil spring 395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low tube 390 deforms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flow tube 390 or the cross section is stuck even when the flow tube 390 is curved to an arbitrary shape Thereby preventing the obstruction of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즉, 유동관(390)의 내부 벽면에 코일 스프링(395)을 설치함으로써, 유동관(390)의 내경은 코일 스프링(395)의 외경과 동일하게 유지되며, 유동관(390)의 만곡에도 불구하고 유동관(390)의 단면은 그 크기 및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providing the coil spring 395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low tube 390,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tube 390 is maintained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il spring 395, 390 can maintain its size and shape.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유동관(390)은 연성 튜브 재질의 관으로서, 일단은 체결구(37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은 병목부(33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meantime,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tube 390 may be a tube made of a flexible tube, one end of which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37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leneck 330 will be.

한편, 체결구(370)는 제2 가이드 모듈(200)에 구비된 결합구(250)의 내부에 도 4에서와 같이 삽입 설치되되, 결합구(250)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토록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4, the fastening tool 370 is installed inside the coupling hole 250 of the second guide module 200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in a state where it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hole 250, Lt; / RTI >

이 경우 사용자는 카테터 공급 장치의 위치 및 병상의 환경에 따라 체결구(37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3 가이드 모듈(300)의 설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카테터의 제2 가이드 모듈(200)로의 진입에 있어서 다양한 진입 각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카테터의 진입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user can adjust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third guide module 300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astener 37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theter feeder and the environment on the bed, The user is able to adjust the angle of entry of the catheter in a direction that minimizes the pain of the patient.

병목부(330)는 제2 가이드 모듈(200)의 내부에 형성된 카테터의 이동 통로의 크기가 좁아진 구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병목부(330)의 내부에 형성된 카테터의 이동 통로의 직경은, 카테터의 외면에 마찰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카테터의 외경과 거의 일치시킴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bottleneck 330 forms a section in which the size of the passage of the catheter formed inside the second guide module 200 is narrowed. Specifically, the diameter of the passage of the catheter formed inside the bottleneck 330 should preferably be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catheter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frictional resistan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theter.

한편, 병목부(330)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로의 병목 구간의 아래쪽 끝(병목 구간의 하단) 부분에는 유도구(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병목 구간의 위쪽 끝(병목 구간의 상단) 부위에는 한 쌍의 투입구(350)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iling tool 3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ttleneck section (the lower end of the bottleneck section) of the movement path formed by the bottleneck section 330, and the upper end of the bottleneck section A pair of inlet ports 350 are formed.

사용자는 제3 가이드 모듈(3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투입구(350)를 통해 식염수 또는 살균수를 제2 가이드 모듈(2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카테터의 흡입 단부를 병목부(330) 내부의 병목 구간의 상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투입구(350)를 통해 식염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함으로써, 카테터의 내부로 식염수 또는 살균수가 투입할 수 있게 되는 결과, 카테터의 내부 벽면에 대한 세척 또는 살균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The user can supply saline or sterilized water into the second guide module 200 through the pair of inlet ports 350 formed on the side of the third guide module 300. More specifically, By supplying saline or sterile water through the inlet 350 with the suction end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bottleneck section in the bottleneck 330, the saline or sterile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atheter, Cleaning or sterilization treatment for the inner wall surface becomes possible.

한편, 병목부(330) 내부의 이동 통로와 카테터의 외부면 사이에는 미세한 간격(약 0.5mm)이 존재하므로, 투입구(350)를 통해 공급된 식염수 또는 살균수는 카테터의 외부면으로도 공급되게 되며, 그 결과 카테터의 외부면에 대한 세척 또는 살균 처리 또한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is a minute gap (about 0.5 mm) between the moving passage in the bottleneck 3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atheter, the saline or steriliz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350 is also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theter As a result of which washing or sterilization treatme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theter is also possible.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병목부(330) 내부의 병목 구간의 중앙에 이동 통로가 다시 넓어지는 확개 구간(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확개 구간에서 카테터의 외부면이 식염수 또는 살균수에 의해 소정의 시간(약 3분) 동안 침적되도록 하여, 카테터 외부면에 대한 세척 또는 살균 처리의 효과가 배가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widening section (not shown) in which the moving passage again widens at the center of the bottleneck section in the bottleneck 330, the outer surface of the catheter is expanded by the saline solution or the sterilizing water It may be allowed to settle for a predetermined time (about 3 minutes) so that the effect of washing or sterilization treatment on the catheter outer surface is doubled.

한편, 소정의 침적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석션 장비를 이용하여 유도구(310)를 통해 병목부(330) 내부의 확개 구간에 저류되어 있는 식염수 또는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함이 바람직할 것이다.When the predetermined immersion time has elapsed, it may be preferable to discharge the saline solution or sterilized water stored in the expansion section inside the bottleneck section 330 to the outside through the oil tool 310 using a suction device.

아울러, 호흡기 내부로 전진 삽입되었던 카테터가 후진함에 따라 병목 구간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턱에 카테터의 외부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며, 이와 같이 카테터의 외부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석션 장비를 이용하여 유도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catheter that has been inserted into the respiratory apparatus is backwardly moved, the foreign substanc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theter is filtered by the protruding jaw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ttleneck section. Thus,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il tool 310.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용 석션기(400)에 구비된 카테터의 내부 및 외부에서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heter provided in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can be easily cleaned and sterilized inside and outside.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에서의 제1 가이드 모듈(100), 제2 가이드 모듈(200), 및 제3 가이드 모듈(300)이 연결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guide module 100, a second guide module 200, and a third guide module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와 같이, 제2 가이드 모듈(200)에 구비된 개폐구(210)의 단부에는 일단에 풍선(285)이 설치되고 타단에 공기 주입구(287)가 구비된 개폐 모듈(280)이 삽입 설치된다. 4, an opening / closing module 280 having a balloon 285 at one end and an air inlet 287 at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 closing part 210 of the second guide module 200, do.

한편, 환자의 호흡기에서 가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1 가이드 모듈(100)로 카테터가 유입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부(미도시)는 공기 주입구(287)에 연결 설치된 에어 컴프레셔(미도시)를 통해 풍선(285)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개폐구(2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풍선(285)이 팽창되어 내부 공간을 충진시킴에 따라, 개폐구(210)의 결합구(250)와의 연결 통로 및 개폐구(210)의 연결부(230)와의 연결 통로를 모두 폐쇄시킨다.In the case where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foreign materials such as sputum from the patient's respiratory apparatus, the controller (not shown) does not need to introduce the catheter into the first guide module 100, The balloon 285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pening / closing port 210 is inflated to fill the inner space by injecting air into the balloon 285 through the coupling hole 250 of the opening / And the connecting passage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door 2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0 are all closed.

이와 같이 개폐구(210)의 내부 공간을 폐쇄시킴으로써, 산소 공급구(110)를 통해 제1 가이드 모듈(100)로 공급되는 산소가 제2 가이드 모듈(200) 및 제3 가이드 모듈(300)을 통해 외부로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3 가이드 모듈(300)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카테터가 흡입한 가래 등의 오염 물질이 제1 가이드 모듈(100)을 통해 환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환자의 호흡에 의해 제3 가이드 모듈(300)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카테터가 오염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Oxygen supplied to the first guide module 100 through the oxygen supply port 110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guide module 200 and the third guide module 300 by closing the inner space of the opening / The third guide module 3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to the outside and the contamination such as sputum sucked by the catheter connected to the third guide module 3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first guide module 100 So that contamination of the catheter connected to the third guide module 300 by the patient's breathing can be prevented.

한편, 환자의 호흡기에서 가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1 가이드 모듈(100)로 카테터가 유입되어야 하므로, 제어부(미도시)는 공기 주입구(287)와 에어 컴프레셔(미도시)와의 결합을 해체하고, 풍선(285)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개폐구(2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풍선(285)이 수축됨에 따라, 개폐구(210)의 결합구(250)와의 연결 통로 및 개폐구(210)의 연결부(230)와의 연결 통로를 모두 개방시킨다.If it is necessar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sputum from the respiratory apparatus of the patient, the control unit (not shown) must be connected to the air inlet 287 and the air compressor (not shown) since the catheter must flow into the first guide module 100, As the balloon 285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pening / closing port 210 is contracted by discharging the air from the balloon 285, the connection passage with the coupling port 250 of the opening / closing port 210, Thereby opening both the connection passages to the connection portion 230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0.

이와 같이 개폐구(21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됨으로써, 제3 가이드 모듈(300)을 통해 진입되는 카테터는 제2 가이드 모듈(200) 및 제1 가이드 모듈(100)의 내부를 통과하여 환자의 호흡기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The catheter that enters through the third guide module 30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guide module 200 and the first guide module 100 and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You will be able to enter.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2 가이드 모듈(200)을 본 명세서에서는 개폐용 가이드 모듈이라고 명하기로 한다.The second guide module 200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will be referred to as a guide module for opening and closing in this specific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산소 호흡기를 장착하고 있는 환자의 호흡기에 존재하는 가래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카테터를 호흡기에 삽입함에 있어서 개폐구(210)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키는 작업과, 카테터를 제거한 후에 개폐구(210)의 내부 공간을 폐쇄시키는 작업이 개폐 모듈(280)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행됨으로써,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도 효율적인 간호 처치가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erting the catheter into the respiratory apparatus to suck foreign substances such as sputum present in the respiratory apparatus of the patient having the oxygen respirator,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opening / closing port 210, Closing opera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opening / closing port 210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opening / closing module 280, thereby enabling quick and efficient nursing treatment for the patient.

한편, 제2 가이드 모듈(200)로 진입하는 카테터는 결합구(250)로부터 개폐구(210)를 지나 연결부(230)를 통해 제1 가이드 모듈(100)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연결부(230)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카테터가 연결부(230)와 개폐구(210)의 경계턱에 걸리지 않도록 도 4에서와 같이 결합구(250)의 수직 설치 높이가 연결부(230)의 수직 설치 높이보다 소정의 크기(약 1cm)만큼 높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Meanwhile, the catheter entering the second guide module 200 enters the first guide module 100 through the coupling part 250 and the coupling part 23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10. In this process, the coupling part 230 The vertical installation height of the coupling member 250 may be smaller than the vertical installation height of the connection unit 230 so that the catheter may not be caught by the boundary between the connection unit 230 and the opening / (About 1 cm).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풍선(285)을 통해 구현한 개폐 모듈(280)의 기능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선택적 차폐 기능, 에어 커튼에 의한 선택적 차폐 기능, 스프링 등의 탄성 구조체의 탄성력에 의한 선택적 차폐 기능을 통해서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meantime, the func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odule 280 implemented through the balloon 285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ective shielding function of a solenoid valve, a selective shielding function by an air curtain, a selective shielding function by an elastic force of a spring, Func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의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는 도 4에서의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에서의 제2 가이드 모듈(200)을 생략하고, 제1 가이드 모듈(100)과 제3 가이드 모듈(300)을 직접 연결 설치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8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n FIG. 8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guide module 200 in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n FIG. 4 is omitted and the first guide module 100 and the third guide module 300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도 8에서의 제1 가이드 모듈(100)에는 제1 포트(270) 및 제2 포트(290)가 구비된 연결부(230)가 본체부(130)의 반대쪽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연결부(230)는 제3 가이드 모듈(300)의 체결부(370)와 직접 결합되게 된다.Specifically, the first guide module 100 of FIG. 8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230 having a first port 270 and a second port 29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130, The connection portion 230 is direct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70 of the third guide module 300. [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카테터 구조체의 의료용 석션기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medical suction machin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카테터 구조체는, 제1 가이드 모듈(100), 제2 가이드 모듈(200), 및 제3 가이드 모듈(300)로 이루어지거나, 도 8에서와 같이 제1 가이드 모듈(100)과 제3 가이드 모듈(300)로 이루어진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 의료용 석션기(400)의 본체와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를 연결하며, 내부에 카테터(10)의 이송관(535)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부재(500), 및 연결 부재(500)의 내부에서 설치되어 있는 카테터(10)를 포함한다.5, the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uide module 100, a second guide module 200, and a third guide module 300, A catheter guide structure including a first guide module 100 and a third guide module 300 as well as a main body of the medical absorber 400 and a catheter guide structur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transfer tube 535 of the catheter 10 And a catheter 10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500. The catheter 10 may be a cathet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카테터 구조체는,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와,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로 삽입되는 카테터(1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통형 케이싱 부재인 연결 부재(500)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 부재(500)의 일단에는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가 결합되어 있고, 연결 부재(500)의 타단은 도 6에서와 같이 의료용 석션기(400)의 본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모듈(43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The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theter guide structure and a connecting member 500 that is a cylindrical casing member in which a catheter 10 inserted into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s installed.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5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module 430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as shown in FIG.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의료용 석션기(400)의 본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모듈(430)과 체결되는 연결 부재(500)의 단부에는 도 7에서와 같은 형태의 체결모듈(530)이 구비되어 있다.6, a fastening module 530 as shown in FIG. 7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fastened to the fastening module 430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have.

구체적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체결모듈(530)의 중앙에는 카테터(10)가 이송되는 이송관(53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a conveyance pipe 535 through which the catheter 10 is conveyed is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fastening module 530.

한편, 결합모듈(430)의 중앙에는 중심관(435)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관(435)은 이송관(535)의 내측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관(53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카테터(10)는 중심관(435)을 통해 의료용 석션기(400)의 내부로 삽입 설치가능하게 된다.A center pipe 435 is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coupling module 430 and the center pipe 435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ransfer pipe 535 in a fitting manner. Accordingly, the catheter 10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535 can be inserted into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through the center pipe 435.

아울러, 도 7에서와 같이 체결모듈(53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관(535)은 연결 부재(500)의 내부를 통해 연결 부재(500)의 타단에까지 연장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카테터(10)는 중심관(435), 및 이송관(535)을 통해 의료용 석션기(400)의 내부로부터 연결 부재(500)의 내부를 통해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내부에까지 전개되게 된다.7,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fer tube 535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astening module 530 is extend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The catheter 10 is deployed from the interior of the medical absorber 400 through the central tube 435 and the transfer tube 535 to the interior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체결모듈(530)에는 이송관(535)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을 이루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주변관(537)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모듈(430)에는 중심관(435)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을 이루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부속관(437)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7, a plurality of peripheral pipes 537 protrude from the coupling module 530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oupling module 430 has a central tube And a plurality of attached pipes 437 are protruded at regular intervals.

이와 같이 체결모듈(5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주변관(537)은 결합모듈(430)에 형성된 복수개의 부속관(437)에 각각 끼움 방식으로 상호 결합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peripheral pipes 537 formed on the fastening module 530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attached pipes 437 formed on the coupling module 430 in a fitting manner.

한편, 체결모듈(53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주변관(537)은 연결 부재(500)의 내부를 통해 연결 부재(500)의 타단에까지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와 같이 연결 부재(500)의 타단에까지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주변관(537)은 각각 제1 포트(270), 제2 포트(290), 공기 주입구(287), 투입구(350)에 각각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peripheral pipes 537 formed in the fastening module 530 exten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The second port 290, the air inlet 287, and the inlet 35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port 270, the second port 290, the air inlet 287, and the inlet port 350, respectively.

그에 따라, 의료용 석션기(400)로부터 특정 부속관(437)을 통해 공급되는 식염수 또는 살균수는 해당 부속관(437)에 결합된 주변관(537)을 통해 투입구(350)로 공급될 수 있게 되며, 의료용 석션기(40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특정 부속관(437)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는 해당 부속관(437)에 결합된 주변관(537)을 통해 공기 주입구(287)로 공급가능하게 된다.The saline or sterilized water supplied from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through the specific attached tube 437 can be supplied to the inlet 350 through the peripheral tube 537 coupled to the attached tube 437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compressor installed in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through the specific attached pipe 437 is supplied to the air inlet 287 through the peripheral pipe 537 coupled to the attached pipe 437 do.

또한, 의료용 석션기(400)의 내부에 설치된 질량 유량계 센서는 제1 포트(270)에 연결된 주변관(537) 및 해당 주변관(537)과 결합된 부속관(437)을 통해 환자의 호기 가스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e mass flowmeter sensor installed inside the medical absorber 400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270 through a peripheral tube 537 and an associated tube 437 coupled to the peripheral tube 537, The mass can be measured.

아울러, 의료용 석션기(400)로부터 특정 부속관(437)을 통해 공급되는 미스트는 해당 부속관(437)에 결합된 주변관(537)을 통해 제2 포트(290)로 공급가능하게 된다.The mist supplied from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through the specific attached pipe 437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port 290 through the peripheral pipe 537 coupled to the attached pipe 437.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석션기(400)의 관리자는 체결모듈(530)과 결합모듈(430)의 결합을 해체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카테터 구조체를 의료용 석션기(400)로부터 손쉽게 분리한 다음, 새로운 착탈식 카테터 구조체를 의료용 석션기(400)에 결합 설치함으로써, 오염된 카테터(10)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The manager of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assembles the coupling module 530 and the coupling module 430 to easily separate the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By attaching the new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to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the contaminated catheter 10 can be quickly and efficiently replac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카테터 구조체에 구비된 카테터(10)는 연결 부재(50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에 따라, 오염된 카테터(10)로 인한 감염 등의 보건상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Meanwhile, since the catheter 10 provided in the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on member 500, the catheter 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there is a health problem such as infection caused by the contaminated catheter 10 .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는 제3 가이드 모듈(300)을 구비하지 않으며, 제2 가이드 모듈(200)과 제1 가이드 모듈(100)이 복수의 연결 호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the third guide module 300, and the second guide module 200 and the first guide module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s The hoses are interconnect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는 제1 가이드 모듈(100), 제2 가이드 모듈(200), 및 연결 부재(500)를 포함하며, 제2 가이드 모듈(200)은 연결 부재(500)를 통해 전달되는 카테터를 연결 호스를 통해 제1 가이드 모듈(100)로 전달한다.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uide module 100, a second guide module 200 and a connecting member 500, And transmits the catheter deliver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500 to the first guide module 100 through the connection hose.

도 9에서의 연결 부재(500)의 내부 구조 및 체결모듈(530)의 구조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도 5에서와는 달리 체결모듈(530)이 연결 부재(50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9,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and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module 53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the fastening module 53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unlike FIG.

연결 부재(500)의 일단에 구비된 체결모듈(5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의료용 석션기(400)의 본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모듈(43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연결 부재(500)의 타단에 구비된 체결모듈(530)은 도 9에서와 같이 제2 가이드 모듈(200)에 구비되어 있는 커넥터(205)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The coupling module 530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member 5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module 430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module 530 provided at the other end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connector 205 provided in the second guide module 20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 모듈(200)의 일단에는 결합 모듈(43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커넥터(205)가 구비되어 있다.Specifically, a connector 205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coupling module 43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guide module 2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커넥터(205)의 중앙에는 중심관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관은 이송관(535)의 내측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관(53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카테터(10)는 커넥터(205)의 중심관을 통해 제2 가이드 모듈(200)의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a center pipe is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connector 205, and the center pipe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ransfer pipe 535 in a fitting manner. The catheter 10 installed in the transfer tube 535 can be moved into the second guide module 200 through the center tube of the connector 205.

아울러, 커넥터(205)에는 상기 중심관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을 이루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부속관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모듈(5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주변관(537)은 커넥터(205)에 형성된 복수개의 부속관에 각각 끼움 방식으로 상호 결합하게 된다.A plurality of peripheral pipes 537 formed on the fastening module 53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5 through the connector 205. The connectors 205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round the center pip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ttached tubes is coupled to each other in a fitting manner.

그에 따라, 의료용 석션기(400)로부터 복수개의 부속관(437)을 통해 각각 공급되는 식염수, 산소, 에어 컴프레셔에 의한 공기 등은 각 부속관(437)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 부재(530)의 주변관(537) 및 커넥터(205)의 주변관을 통해 제2 가이드 모듈(200)로 공급되게 된다.Accordingly, the saline solution, oxygen, air, and the like, which are supplied from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through the plurality of attached tubes 437, are supplied to the connecting members 530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associated tubes 437 And is supplied to the second guide module 200 through the peripheral tube 537 and the peripheral tube of the connector 205.

보다 구체적으로, 커넥터(205)에는 체결모듈(530)에 구비된 6개의 주변관(537)에 각각 결합되는 6개의 주변관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커넥터(205)에 구비된 6개의 주변관은 제2 가이드 모듈(200)에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6개 종류의 포트와 제2 가이드 모듈(200)의 내부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or 205 is provided with six peripherals connected to the six peripherals 537 provided in the securing module 530,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six kinds of port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guide module 200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guide module 20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 모듈(200)에 구비된 6개 종류의 포트 중 제1 포트(270)에는 환자의 호기 가스의 질량을 측정하는 질량유량계(MASS FLOW METER: MFM) 센서가 연결 설치된다.Specifically, a mass flow meter (MFM) sensor for measuring the mass of the patient's exhalation gas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270 of the six types of ports provided in the second guide module 200.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호기 가스의 질량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제1 포트(270)는 제2 가이드 모듈(200)에서 환자에 가까운 부분인 연결부(230)에 설치하되, 커넥터(205)에 인접한 부분에 추가의 제1 포트(270)를 설치하고, 이와 같은 한 쌍의 제1 포트(270)를 연결 호스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커넥터(205)에 구비된 주변관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질량유량계(MASS FLOW METER: MFM) 센서를 통한 호기 가스의 질량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9, the first port 270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230, which is a part close to the patient in the second guide module 200, and the connector 205, By connecting the first port 270 and the second port 270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hose, the mass of the mass pipe connected to the peripheral pipe of the connector 205 It would be desirable to measure mass of exhalation gas through a MASS FLOW METER (MFM) sensor.

한편, 제2 가이드 모듈(200)에 구비된 6개 종류의 포트 중 제2 포트(290)는 제1 가이드 모듈(100)에 구비된 식염수 공급구(190)와 연결 호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Meanwhile, the second port 290 among the six types of ports provided in the second guide 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saline solution supply port 190 provided in the first guide module 100 through a connection hose .

그에 따라, 석션기(400)로부터 공급되는 식염수는 제2 포트(290) 및 식염수 공급구(190)를 거쳐 제1 가이드 모듈(100)로 전달되며, 제1 가이드 모듈(100)에 결합되어 있는 튜브(50)를 통해 환자의 기관지에 공급됨으로써, 환자의 기도 및 기관지의 습도를 유지함으로써, 가래 등의 이물질이 말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saline solution supplied from the suction device 400 is delivered to the first guide module 100 through the second port 290 and the saline solution supply port 190 and the saline solution supplied to the first guide module 100 Is supplied to the bronchus of the patient through the ventricles (50), thereby keeping the airway of the patient and the airway of the bronchus,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such as sputum from drying out.

또한, 제3 포트(220)는 내부에 풍선(285)이 설치된 개폐구(210)와 커넥터(205)에 인접한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한 쌍의 제3 포트(220)는 연결 호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The third port 220 is installed in the opening 210 where the balloon 285 is installed and the portion adjacent to the connector 205. The third port 2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se .

한편, 의료용 석션기(300)에 설치된 에어 컴프레셔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제3 포트(220)를 통해 풍선(285)에 주입되며, 풍선(285)에 주입된 공기는 이후 제3 포트(220)를 통해 제거되게 된다.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compressor installed in the medical absorber 300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285 through the third port 220 and the air injected into the balloon 285 is injected into the third port 220 Lt; / RTI >

도 9에서와 같이, 제1 가이드 모듈(100)의 본체부(130)에 결합되어 환자의 기관지로 삽입되는 튜브(50)의 측면에는 튜브(50)를 기관지 내에서 고정시키는 벌룬형 커프(55)가 구비되어 있다.9, a balloon-shaped cuff 55 for fixing the tube 50 in the bronchus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ube 50 which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art 130 of the first guide module 100 and inserted into the patient's bronchus .

제4 포트(240)는 상기 벌룬형 커프(55)와 연결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그 결과 에어 컴프레셔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4 포트(240)를 통해 커프(55)에 공기를 주입 또는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fourth port 240 is connected to the balloon type cuff 55 via a connection hose so that air is injected into or removed from the cuff 55 through the fourth port 240 to which the air compressor is connected, .

또한, 제5 포트(260)는 연결 호스를 통해 튜브(550)의 외측면 상에서의 커프(55)의 상부 부위까지 연결되어 있다.The fifth port 260 is also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uff 5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550 through the connecting hose.

관련하여, 튜브(50)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4 포트(240)를 통한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된 커프(55)의 상부면에는 침(환자의 기도로 넘어간 침) 등의 타액이 고여있게 된다.In this conn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ff 55, which is inflated by air infusion through the fourth port 240 to secure the tube 50, is filled with saliva, such as a needle (saliva dropped into the patient's airways).

이와 같이 커프(55)의 상부면에 고여있는 환자의 타액은 석션 펌프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5 포트(260)를 통해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patient's saliva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ff 55 can be removed through the fifth port 260 to which the suction pump is connected.

아울러, 제6 포트(265)는 제1 가이드 모듈(100)에 구비된 산소 주입구(165)과 연결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물질의 석션 개시 시점부터 석션 종료 시점까지 석션기(400)로부터 제6 포트(265)로 공급되는 산소는 연결 호스를 통해 제1 가이드 모듈(100)에 구비된 산소 주입구(165)로 전달된다.The sixth port 265 is connected to the oxygen inlet port 165 of the first guide module 100 through a connection hose and is connected to the sixth guide port The oxygen supplied to the port 265 is transferred to the oxygen inlet 165 provided in the first guide module 100 through the connection hose.

그 결과, 이물질 석션 중에는 제1 가이드 모듈(100)에 연결된 튜브(50)를 통해 환자에게 산소가 상시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이물질 석션의 실행 과정에서 환자가 산소 부족 상태에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oxygen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tube 50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module 100 during the foreign substance sucking, thereby preventing the patient from being in an oxygen deficiency stat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oreign body sucking .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제2 가이드 모듈(200)과 제1 가이드 모듈(100)은 복수개의 연결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제1 가이드 모듈(100)의 본체부(130)에는 튜브(50)가 결합되어 사용되므로, 관리자는 제2 가이드 모듈(200)의 커넥터(205)를 연결 부재(500)의 체결모듈(53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2 가이드 모듈(200), 제1 가이드 모듈(100),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호스, 및 튜브(50)를 일체로서 교체할 수 있게 된다.9, the second guide module 200 and the first guide module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hoses, and the main body 130 of the first guide module 100 is provided with a tube 50 The manager separates the connector 205 of the second guide module 200 from the fastening module 530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so that the second guide module 200 and the first guide module 100, a plurality of connection hoses connecting them, and the tube 50 can be integrally replaced.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제2 가이드 모듈(200), 제1 가이드 모듈(100),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호스, 및 튜브(50)가 일체로서 결합되어 있는 부품 결합체를 제1 소모품 모듈 구조체라 명하기로 한다.9, the component assembly including the second guide module 200, the first guide module 100, the plurality of connection hoses connecting them, and the tube 50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is referred to as a first consumable product Module structure.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조자는 상기 제1 소모품 모듈 구조체를 별도로 제작하여 의료용 석션기를 사용하는 병원 등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며, 의료용 석션기의 관리자는 제조자로부터 구입한 상기 제1 소모품 모듈 구조체에서의 커넥터(205)를 연결 부재(500)의 체결모듈(530)에 교체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1 소모품 모듈 구조체를 일정한 주기(예를 들면, 1일)로 교체함으로써 의료용 석션기의 주기적인 위생 관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er may separately prepare the first consumable module structure and supply the same to a hospital or the like using the medical suction machine. The administrator of the medical suction machine may install the connector (For example, one day) by replacing the first consumable module structure with the fastening module 530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by replacing the first consumable module structure 205 with the fastening module 530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Can be executed.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양단에 각각 체결모듈(530)이 구비된 연결 부재(500)를 제2 소모품 모듈 구조체로 명하기로 한다.9, the connecting member 500 having the fastening modules 530 at both ends thereof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nsumable module structure.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조자는 상기 제2 소모품 모듈 구조체를 별도로 제작하여 의료용 석션기를 사용하는 병원 등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며, 의료용 석션기의 관리자는 상기 제1 소모품 모듈 구조체의 교체와는 별도로, 상기 제2 소모품 모듈 구조체를 별도의 주기(예를 들면, 1개월)에 따라 교체 관리함으로써 의료용 석션기의 경제적인 위생 관리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er may separately prepare the second consumable module structure and supply the second consumable module structure to a hospital or the like using the medical suction unit. In addition to the replacement of the first consumable module structure, Economical hygienic management of the medical suction unit can be achieved by managing the replacement of the second consumable module structure in a separate cycle (for example, one month).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and 11 ar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에서의 연결 부재(500)는 체결모듈(530)과 결합모듈(430)의 상호 결합을 통해 의료용 석션기(400)의 본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10, the connecting member 500 in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medical infusion set 400 through the mutual coupling of the coupling module 530 and the coupling module 430 Is installed.

한편, 연결 부재(500)를 포함하는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연결 부재(500)를 포함하는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설치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설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위치 고정 구조체(700)를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ncluding the connecting member 500 is changed by the user so that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ncluding the connecting member 500 can be installed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as requi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fixing the changed installation position is installed as shown in FIGS. 10 and 11. FIG.

구체적으로, 위치 고정 구조체(700)는 봉형 부재로서 전단부는 직선형 구간을 형성하며, 후단부는 곡선형 구간을 형성한다.Specifically,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is a bar-shaped member, and the front end portion forms a straight section, and the rear end section forms a curved section.

도 11에서와 같이 직선형 구간의 내부에는 직선형 구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봉형 부재인 슬라이딩 바(7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바(750)의 단부에는 결합구(770)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구(770)는 연결 부재(500)의 체결모듈(53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a sliding bar 750, which is a bar-shaped member slidable along a linear section, is provided in the linear section. A coupling hole 770 is formed at an end of the sliding bar 750, (7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module (530)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한편, 기관지에 튜브(50)를 삽입하고 있는 환자가 통증에 의해 머리를 돌리거나, 몸을 움직임으로써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가 수평 방향 또는 직선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에 연결 부재(500)가 수평 방향 또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연결 부재(500)와 결합구(770)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바(750)가 위치 고정 구조체(7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s pu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in the linear direction by the patient who is putting the tube 50 into the bronchial tree by turning the head or by moving the body, the connecting member 500 is horizontally or rectilinearly As a result, the sliding bar 750,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500 through the coupling hole 770, slides inside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즉,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가 수평 방향 또는 직선 방향으로 급작스럽게 당겨지는 경우에도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는 어떠한 저항도 없이 수평 방향 또는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바(750)를 통해 이동하게 되며, 또한 그와 같이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even i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s suddenly pulled horizontally or linearly,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will move horizontally or linearly through the sliding bar 750 without any resistance, .

그 결과, 기관지에 튜브(50)를 삽입하고 있는 환자의 급작스러운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는 그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can stably maintain its installed state despite sudden movement of the patient who is inserting the tube 50 into the bronchus.

이와 같이 도 11에서의 위치 고정 구조체(700)의 전단부인 직선형 구간은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수평 방향 또는 직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way, the straight section,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in Fig. 11, functions a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in the linear direction.

도 10에서와 같이 위치 고정 구조체(700)의 곡선형 구간의 단부는 고정부(730)를 통해 의료용 석션기(400)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10, the end portion of the curved section of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is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medical suction unit 400 through the fixing portion 730. [

한편, 고정 구조체(700)의 곡선형 구간의 단부는 고정부(730)에 의해 설치 위치가 고정되되, 봉형 위치 고정 구조체(70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Meanwhile, the end of the curved section of the stationary structure 700 is fixed by the stationary part 730,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rod-lik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as the rotation axis.

즉, 사용자는 고정부(730)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 고정 구조체(700)를 도 10에서의 ① 방향(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위치 고정 구조체(700)의 설치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위치 고정 구조체(700)의 설치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함에 따라 위치 고정 구조체(700)에 결합구(770)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설치 방향 또한 수평 방향으로 조절되게 된다.That is, the user can rotate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fixed to the fixing portion 730 in the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in FIG. 10, thereby adjusting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coupled to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through the coupling hole 770 is adjus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is adjus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이를 위해서는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석션기(400)와의 결합 부위에서의 원활할 회전이 가능토록 함이 바람직하므로, 연결 부재(500)의 체결모듈(530)과 결합된 결합모듈(430)을 도 6에서와 같이 석션기(400) 본체에 설치함에 있어서, 결합모듈(43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rder to accomplish this,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to smoothly rotate at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suction device 400, so that the coupling module 430 combined with the coupling module 530 of the coupling member 500 is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coupling module 43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위치 고정 구조체(700)의 곡선형 구간의 내부에는 외력에 의해 소성 변형하는 코일 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곡선형 구간의 곡률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rder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 curved portion of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is provided with a coil structure which is p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as needed Lt; / RTI >

즉, 사용자는 필요시 위치 고정 구조체(700)의 곡선형 구간에 도 10에서의 ② 방향으로 휨변형을 가함으로써, 위치 고정 구조체(700)의 직선형 구간의 설치 각도를 수직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위치 고정 구조체(700)에 결합구(770)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연결 부재(50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f necessary, the user can flexively deform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linear section of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pplying a bending deformation to the curved section of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in the direction & As a result, the mounting height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coupled to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700 through the coupling hole 770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카테터, 50: 튜브,
55: 커프, 100: 제1 가이드 모듈,
110: 산소 공급구, 130: 본체부,
200: 제2 가이드 모듈, 205: 커넥터,
210: 개폐구, 220: 제3 포트,
230: 연결부, 240: 제4 포트,
250: 결합구, 260: 제5 포트,
265: 제6 포트, 270: 제1 포트,
280: 개폐 모듈, 285: 풍선,
287: 공기 주입구, 290: 제2 포트,
300: 제3 가이드 모듈, 310: 유도구,
330: 병목부, 350: 투입구,
370: 체결구, 390: 유동관,
395: 코일 스프링, 400: 의료용 석션기,
410: 산소 공급관, 430: 결합모듈,
435: 중심관, 437: 부속관,
500: 연결 부재, 530: 체결모듈,
535: 이송관, 537: 주변관,
600: 멀티 커넥터 모듈, 610: 제1 분기관,
620: 제2 분기관, 630: 제3 분기관,
650: 연결관, 700: 위치 고정 구조체,
730: 고정부, 750: 슬라이딩 바,
770: 결합구.
10: catheter, 50: tube,
55: cuff, 100: first guide module,
110: oxygen supply port, 130: main body,
200: second guide module, 205: connector,
210: access port, 220: third port,
230: connection part, 240: fourth port,
250: coupling port, 260: fifth port,
265: sixth port, 270: first port,
280: opening and closing module, 285: balloon,
287: air inlet port, 290: second port,
300: third guide module, 310: oil tool,
330: bottleneck, 350: inlet,
370 fastener, 390 flow tube,
395: coil spring, 400: medical suction machine,
410: oxygen supply pipe, 430: coupling module,
435: central tube, 437: attached tube,
500: connecting member, 530: fastening module,
535: transfer pipe, 537: peripheral pipe,
600: multi-connector module, 610: first branch,
620: the second branch, 630: the third branch,
650: connector, 700: position fixing structure,
730: Fixing portion, 750: Sliding bar,
770: bond.

Claims (3)

의료용 석션기에 결합되어 호흡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카테터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카테터의 호흡기로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 및
상기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구조체
를 포함하는 의료용 석션기.
A catheter guide structure coupled to the medical suction unit for inserting a cathet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respiratory apparatus and guiding the entry of the catheter into the respiratory tract; And
And a position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구조체는,
상기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직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의료용 석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includes:
And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구조체의 설치 방향의 전환에 따라 상기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의 설치 방향이 전환되는 것인 의료용 석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catheter guide structure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osition fixing structure.
KR1020170145738A 2017-11-03 2017-11-03 Suction Pump Eqipped with Position Adjustable Catheter Structure KR102075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738A KR102075682B1 (en) 2017-11-03 2017-11-03 Suction Pump Eqipped with Position Adjustable Cathete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738A KR102075682B1 (en) 2017-11-03 2017-11-03 Suction Pump Eqipped with Position Adjustable Catheter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390A true KR20190050390A (en) 2019-05-13
KR102075682B1 KR102075682B1 (en) 2020-03-02

Family

ID=6658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738A KR102075682B1 (en) 2017-11-03 2017-11-03 Suction Pump Eqipped with Position Adjustable Cathete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68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0036A (en) * 2008-03-14 2011-02-09 康尔福盛207公司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fluid material from the airway above an endotracheal tube cuff
JP2015037572A (en) * 2008-05-06 2015-02-26 コリンダ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atheter system
US20150157497A1 (en) * 2013-12-06 2015-06-11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Guide tool for catheter insertion
US20160235933A1 (en) * 2013-11-15 2016-08-18 Ciel 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irway suctioning
KR101729027B1 (en) * 2016-09-23 2017-04-21 (주)엘메카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KR101970036B1 (en) 2011-12-08 2019-04-1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Ultrasound sensor for detecting the fill level of a liquid in a contai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0036A (en) * 2008-03-14 2011-02-09 康尔福盛207公司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fluid material from the airway above an endotracheal tube cuff
JP2015037572A (en) * 2008-05-06 2015-02-26 コリンダ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atheter system
KR101970036B1 (en) 2011-12-08 2019-04-1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Ultrasound sensor for detecting the fill level of a liquid in a container
US20160235933A1 (en) * 2013-11-15 2016-08-18 Ciel 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irway suctioning
US20150157497A1 (en) * 2013-12-06 2015-06-11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Guide tool for catheter insertion
KR101729027B1 (en) * 2016-09-23 2017-04-21 (주)엘메카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682B1 (en)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41928B2 (en) Respiratory apparatus having an instrument introduction section and manifold
KR101092703B1 (en) Respiratory suction catheter apparatus configured for releasable attachment with an artificial airway structure
US11684738B2 (en) Systems for automatically removing fluid from multiple regions of a respiratory tract
AU2004238186B2 (en) Respiratory apparatus having an introduction section configured for releasable attachment with a respiratory instrument
KR101723969B1 (en) Catheter Guide Structure
KR101729027B1 (en)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KR102062781B1 (en) Multi Connector Module, and Catheter Guide Structure with Multi Connector Module
KR102075698B1 (en) Catheter Guide Structure Being Capable of Adjunting Inserting Direction and Angel of Catheter
KR102235677B1 (en)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KR20190050390A (en) Suction Pump Eqipped with Position Adjustable Catheter Structure
KR20170113381A (en) Catheter Guide Structure
KR20180033039A (en) Detachable Cathet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