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232A - Icecream blender - Google Patents

Icecream blen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232A
KR20190050232A KR1020170145557A KR20170145557A KR20190050232A KR 20190050232 A KR20190050232 A KR 20190050232A KR 1020170145557 A KR1020170145557 A KR 1020170145557A KR 20170145557 A KR20170145557 A KR 20170145557A KR 20190050232 A KR20190050232 A KR 20190050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ain body
guide
contents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기관호
황일봉
송춘섭
전순희
Original Assignee
기관호
송춘섭
전순희
황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관호, 송춘섭, 전순희, 황일봉 filed Critical 기관호
Priority to KR102017014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0232A/en
Publication of KR20190050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2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66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on type blender. More specifically, the elevation type blender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power cod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 operat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and one or more drive units embedded therein; a guide and an elevating guide disposed in the main body while being installed vertically towards the ground; an elevating member penetrating the guide and the elevating guide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drive units; a cup hold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from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cup accommodating unit formed on a front end portion, into which a cup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contents is inserted into and fixed, such that the cup holder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elevation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mber; a mixing screw fixed while facing downward from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o receive power from the drive units to be able to rotate, and automatically rotating to mix and compress the contents filling the cup so as to extract the contents to a lower end of the cup when the cup holder is eleva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automatically stopping rotating when the cup holder is lowered; and an ascending/descending switch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to control operation of the mixing screw and the elevation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xing and discharge of the content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such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provide a service to a customer.

Description

승강식 블렌더{Icecream blender}Lift blender {Icecream blender}

본 발명은 승강식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전면에서 상하 승강되는 컵홀더에 음식물과 첨가물이 담긴 컵이 상승될 때 컵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첨가물과 음식물을 혼합시키도록 본체 상측에서 하방을 향해 회전가능한 혼합스크류가 고정 설치되는 승강식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type blen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type blen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type blender in which, when a cup containing foods and additives is raised in a cup holder vertically lifted and lowered from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And a mixing screw rotatable toward the mixing screw is fixedly installed.

일반적으로 믹서기(Mixer)는 가정 뿐만 아니라 식당, 식음료를 제공하는 패스트푸드 영업점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도구 중 하나이다.In general, a mixer is one of the tools widely used in homes, restaurants, and fast food restaurants that provide food and beverages.

이러한 믹서기는 단일 또는 서로 다른 음식물을 잘 섞이게 하도록 혼합시키는 기계장치로, 주요 구성으로는 회전체와, 회전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와,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 용기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뚜껑 등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Such a blender is a mechanical device that mixes a single or different food to mix well. The main components of the mixer are a rotating body, a powe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par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rotating body, a container for receiving food, And a lid provided therein.

근래에 들어서 각종 패스트푸드 체인점이 늘어나고, 계절에 관게없이 취식이 가능한 다양한 음료들이 개발되면서 아이스크림, 세이크(shakes), 스무디 등의 음료들도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fast food chains have been increasing, and as a variety of beverages that can be consumed regardless of season have been developed, beverages such as ice cream, shakes, and smoothies are becoming popular.

이러한 아이스크림이나 세이크, 스무디 등은 얼음과 우유, 시럽, 과일, 주스, 베리 등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하여 다양한 맛을 내고 있으며, 여러가지 첨가물이 골고루 섞이도록 일반적으로 가정용 믹서기나 상업용 블렌더를 사용하고 있다.These ice creams, shakes, and smoothies add a variety of flavors, including ice, milk, syrup, fruit, juice, and berries, and use a mixer or a commercial blender to mix various additives evenly.

이와 같은 다양한 음료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믹서기나 블렌더는 그 사용방법이나 과정 및 조작이 불편하고, 용기에 담아진 내용물의 성상(性狀)에 따라 혼합기의 회전이 자주 멈추거나 막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기 내부에서 회전날에 걸린 음식물을 빼내기 위해 숟가락이나 주걱 등을 집어 넣어 휘젖거나 빼내는 동작시에 사용자가 상처를 입거나 다칠 수 있는 위험성도 있었다.Conventional mixers and blenders used for manufacturing such a variety of beverages are inconvenient to use, process, and operation, and often have a problem that rotation of the mixer frequently stops or clog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re was also a risk that the user could get injured or injured when putting a spoon or a spatula into the container to take out the food caught in the rotating blade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또한, 종래의 믹서기나 블렌더는 용기에 채워진 내용물을 혼합한 후에 뚜껑을 열고 용기 내부에서 혼합된 음식물을 컵이나 다른 용기로 따라 낼때 용기의 입구가 넓어 음식물을 흘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용기 내부에서 혼합된 내용물이 용기 중심부에 설치된 회전날에 걸려 잘 빠져 나오지 않아 다음 작업을 할기 전에 용기 내부를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a conventional blender or a blender, when the contents filled in the container are mixed and then the lid is opened and the mixed food is discharged into the cup or another container in the container,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is wide and the food sometimes flows, The mixed contents were caught by the rotating blad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ntainer and did not come out easily so that it was troublesome to clea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efore performing the next operation.

- 한국 실용공개 실1998-018397(공개일: 1998.07.06, 고안의 명칭: 믹서기)- Korean Utility Public Disclosure Room 1998-018397 (Published on July 7, 1998, Design Name: Mixer) - 한국 특허등록 제10-0842596호(등록일:2008.06.24, 발명의 명칭: 음료 믹서기)-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2596 (Registered Date: June 24, 2008, title: Drink Mixer) - 한국 특허등록 제10-1364333호(등록일: 2014.02.11, 발명의 명칭: 교반기구를 구비하는 소형 블렌더)-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64333 (Registered on Apr. 21, 201, entitled "Small Blender Having an Agitator")

본 발명은 종래의 믹서기 또는 블렌더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작이 간편하고 내용물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면서 회전하는 스크류가 내용물에 걸러 회전이 멈추는 것을 방지하면서 혼합된 음용식품의 인출이 편리한 승강식 블렌더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a conventional blender or a blend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ender which is simple in operation and in which content is mixed well and the rotating screw is stopped by the conten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venient lifting blend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코드가 구비되고, 일 측면에 전원제어스위치가 구비되며, 한개 이상의 구동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지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고정대; 상기 수직고정대에 고정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면서 그 선단부에 일정량의 내용물을 채울 수 있는 컵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컵수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컵홀더; 구동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본체 상측에서 하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컵홀더가 일정높이 상승하는 경우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컵에 채워진 내용물을 혼합시키면서 압착하여 컵 하단으로 내용물을 압출시키고 컵홀더가 하강하는 경우 그 회전이 자동 정지되도록 구성되는 혼합스크류; 상기 혼합스크류의 동작제어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동작을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lifting bl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power cor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 power control switch on one side thereof, and at least one drive unit; A plurality of vertical fixtures installed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ward the ground; An elevating member fixed to the vertical fixing table and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 cup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fixing a cup capable of fill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contents to the distal end portion thereof is provided and is lif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mber Cup holder; The cup holder is rotated in a state that the cup holder rotates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part. While the cup holder is lifted to a certain height, the cup holder is automatically rotated to mix the contents filled in the cup, A mixing screw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top its rotation when it is lowered; And an operat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ixing screw and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mber.

특히, 상기 컵은 상단 입구부에서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그 외경이 점차 줄어드는 고깔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단 중심부에는 내용물이 인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컵의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혼합스크류는 컵의 형상과 동일하게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점점 그 외경이 줄어드는 나선형 회전날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Particularly, the cup is formed in a pointed shape in which its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down from the upper inlet portion to the lower end,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rawn out is provided at the lower center portion. Like shap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helical rotary blade whose radius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end portion to the lower end portion is formed.

또한,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조작부에 구성되는 상승/하강스위치 조작에 따라 좌우 회전방향이 제어되면서 승강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구동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 위치에 따라 상기 혼합스크류의 회전과 정지를 제어하도록 상기 승강부재가 승강되는 승강구간의 일측 상단 및 하단측에는 복수개의 승강부 이동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자동으로 혼합스크류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Further, the elevating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or lowering of the elevating member is controlled integrally with the elevating / lowering direction of the elevating member A plurality of ascending / descending movement detecting sensors are provided at on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evating / lowering elevation so as to control the rotation and stop of the mixing screw according to the ascending or descending position so as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mixing screw automatically .

특히, 상기 혼합스크류에 구비된 나선형 회전날은 일정간격마다 절단부가 구비되어 과도한 하향 압착이 방지되면서 내용물을 압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Particularly, the spiral rotary blade provided in the mixing screw is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extreme downward squeezing and to extrude the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는 다양한 종류의 음용식품이 채워진 컵을 받쳐주는 컵홀더가 본체의 전면부에서 상하 승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컵 및 컵홀더가 일정 높이 상승된 경우에 본체 상부에서 하향 설치된 혼합스크류가 회전되면서 컵 내측으로 진입하여 컵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을 혼합시키면서 동시에 컵 하부로 압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혼합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져 손님들에게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 cup holder for supporting a cup filled with various kinds of food is vertically lifted and raised from a front part of the main body. When the cup and the cup holder are raised to a certain height, The mixing screw is rotat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cup to mix the contents of the inside of the cup while simultaneously pushing out the mixture to the bottom of the cup so that the contents can be mixed and discharge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prompt service to the customers.

또한, 본 발명은 컵에 채워진 내용물을 혼합, 압출시키는 과정에서 컵의 하단 배출구로 내용물이 순조롭게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 회전하는 혼합스크류의 회전날에 절단부가 구비되어 컵의 하단으로 몰리는 내용물이 상기 절단부를 통해 상방으로 일정부분 빠져나가게 되면서 회전날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여 혼합스크류에 발생하는 과부하 및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contents are not smoothly escaped into the lower outlet of the cup in the process of mixing and extruding the contents filled in the cup, the cutting part is provided on the rotating blade of the rotating mixing screw, So that an excessive load is not applied to the rotary blade, thereby preventing an overload and a trouble occurring in the mixing screw.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의 외관사시도, 정면도, 일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에서 컵홀더가 하강된 상태의 일측 절단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에서 컵홀더가 상승된 상태의 일측 절단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에 이용되는 혼합스크류의 발췌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에 이용되는 컵 및 컵홀더의 발췌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의 사용상태도이다.
1 to 3 are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side view of a lifting bl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elevating bl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up holder is lowered
Fig. 5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elevated bl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ixing screw used in the lifting bl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cerpt of a cup and a cup holder used in the lifting bl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use state diagram of a lifting bl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는 일정 크기로 이루어진 박스형 본체의 전면 상부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나선형 혼합스크류가 하향되게 고정 설치되고, 혼합스크류의 하방측에서 내용물이 채워진 컵이 고정되는 컵홀더가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게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승강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승강부재의 상하 승강으로 컵 및 컵홀더가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컵홀더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게 되면서 혼합스크류가 자동으로 회전되어 컵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을 혼합 및 하향 압착시켜 컵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다양한 음용식품에 대한 혼합과 분쇄 및 배출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type blender, comprising: a spiral type mixing screw rotatably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a box-shaped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cup holder on which a cup filled with contents is fixed on the lower side of the mixing screw, And the cup and the cup holder are raised or lowered by the vertical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so that the cup holder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higher and the mixing screw is automatically rotated,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up,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mix, grind and discharge various food products.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100)의 외관사시도와 정면도 및 일 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1 to 3 show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of a lifting blen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100)는 밀폐형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일정 높이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서 하향되게 설치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혼합스크류(30)가 설치되고, 상기 혼합스크류(30)가 설치된 수직 하방에는 본체(10)의 전면으로 컵홀더(40)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컵홀더(40)에는 탈착 가능한 컵(50)이 안착되며, 상기 컵(50)과 컵홀더(4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승강부재의 승강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a lifting blen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closed box shape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 mixing screw (not shown) install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cup holder 40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a removable cup 50 is seated in the cup holder 40 The cup 50 and the cup holder 40 are structured such that they are raised or lowered by raising and lowering an elevat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상기 혼합스크류(3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컵홀더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 가 각각 구비되며, 이들 각 구동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판넬(도시생략)이 내장되어 박스형으로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 includes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ixing screw 30 and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of the cup holder, And a control panel (not shown) for the control panel (not shown).

그리고, 본체(10)의 전면 일측에는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조작스위치가 구비된 조작부(20)가 구비되고, 본체(10)의 후면으로는 외부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전원코드(12)가 일정길이 인출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n operation unit 20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switch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power cord 12 ) Is drawn out to a certain length.

상기 조작부(20)에는 본체(10)에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전원스위치(21)와, 컵홀더(40)의 상승과 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상승스위치(22)와 하강스위치(24)가 각각 구비된다.The operation unit 20 includes a main power switch 21 for controlling the main power supplied to the main body 10, a lifting switch 22 for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up holder 40, Respectively.

상기 상승 및 하강스위치(22,24)는 버튼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일정한 힘으로 버튼을 누르면 해당 장치가 각각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승스위치(22)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만 상승이 이루어지고, 최고의 높이까지 상승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상승이 정지되도록 구성되며, 하강스위치(24)는 한번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최하단까지 한번에 하강되도록 구성된다.The up and down switches 22 and 24 are configured to be operated in a button manner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corresponding devices by pressing a button with a predetermined force. And when the lifting switch 24 is lifted up to the maximum height, the lifting switch 24 is automatically configured to be stopped.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단부는 본체(10)의 상부에 혼합스크류가 설치되어 있어서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려 블렌더 사용시 본체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 하단부에는 전도방지부(60)가 일정 길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mixing screw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directed forward so that the main body 10 is prevented from being turned when the blender is used. And the length thereof is protruded.

상기 혼합스크류(30)는 본체(10)의 전방 상부에서 아래방향을 향해 고정 설치되어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승한 컵홀더(40)에 고정된 컵(50)의 내용물을 혼합, 분쇄 및 아래방향으로 압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점점 그 외경이 줄어드는 나선형 회전날(3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mixing screw 30 is fixed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receives the power from the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rotate the cup 30 fixed to the cup holder 40 50 have a helical rotary blade 32 that is gradually reduced in diameter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so as to be able to be mixed, crushed, and extru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그리고, 본체(10)의 전방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컵(50) 및 컵홀더(40)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승강부재에 연결되어 별도의 구동부를 통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cup 50 and the cup holder 40 located at the lower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 are connected to an elevat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cup 50 and the cup holder 40 can ascend and descend through a separate driving unit.

음용식품이 채워지는 컵(50)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용물을 채우기 편리하도록 구성되고, 하단(저면)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도시안됨)가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컵의 외형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그 외경이 점점 줄어드는 고깔형(콘형)으로 이루어진다.The cup (50) filled with the food for drinking is formed with an opening at its upper end so as to be convenient to fill the contents, and a discharge port (not shown) through which contents are discharged is formed at a lower end (Cone typ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gradually as it goes down to the lower end.

즉, 상기 혼합스크류(30)와 동일한 형상으로 컵(50)의 상단측 외경이 크고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점차 줄어들는 상광하협(上廣下狹) 구조로 이루어져 혼합스크류(30)가 그 내부로 진입할 경우 회전날(32)의 가장자리부가 컵(50)의 내주연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혼합스크류 외경과 컵의 내주면이 상호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mixing screw 30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mixing screw 30 and has a larger outer diameter at the upper end of the cup 50 and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down to the lower end so that the mixing screw 30 enters the inside thereof The outer diameter of the mixing screw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edge of the rotary blade 32 closely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cup 50.

그리고, 상기 컵(50)이 고정되는 컵홀더(40)는 본체(10) 외부로 돌출된 선단부에 원형의 컵수용부가 형성되며, 그 내측단이 본체 내부에 상하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 승강부재에 고정되어 승강부재와 함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cup holder 40 to which the cup 50 is fixed is formed with a circular cup receiving portion at a tip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10 and is fixed to an elevat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elevating member.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100)의 일측 수직 절단단면이 도시되어 있다.4 and 5 show one side vertical section of the lift blen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의 일측 절단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 상단측에는 상기 혼합스크류(30)의 회전을 위한 구동부(35))가 구비되어 있고, 컵홀더(40)가 고정되는 승강부재(45)에도 또 다른 구동부(46)가 구비되어 있어 승강부재(45)의 승강에 따라 컵(50) 및 컵홀더(40)가 승강되도록 구성된다.4 and 5, a driving unit 35 for rotating the mixing screw 30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cup holder 40 The elevating member 45 is also provided with another driving unit 46 so that the cup 50 and the cup holder 40 ar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elevation member 45.

도시된 바와 같이, 컵홀더(40)가 고정되는 승강부재(45)에는 수직으로 안내가이드(16)가 관통 설치되어 승강부재(45)가 상하 승강동작시 안내가이드(16)를 따라 상하 승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재(45)에는 또 다른 수직부재인 승강가이드(18)가 관통 설치되어 구동부(46)의 구동시 상기 승강부재(45)가 승강가이드(18)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guide member 16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elevating member 45 to which the cup holder 40 is fixed so that the elevating member 45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uide 16 during the up- And an elevation guide 18 as another vertical member penetrates through the elevation member 45 so that the elevation member 45 is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elevation guide 18 when the driving unit 46 is driven .

즉, 상기 안내가이드(16)는 승강부재(45)의 수직 직선운동을 안정되게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또 다른 수직 고정대인 승강가이드(18)는 승강부재(45)에 설치된 구동부(46)의 동작에 따라 승강부재(45)를 승강시키는 승강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승강부재(45)의 승강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46)와 승강가이드(18) 사이의 동력전달 구조 또는 구성은 랙과 피니언, 회전 스크류형, 체인기어형, 벨트기어형, 와이어권취형 등 다양한 형태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guide guide 16 serves to guide the vertical linear motion of the elevating member 45 in a stable manner, and the elevation guide 18, which is another vertical fixing unit,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or structure between the driving unit 46 for performing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mber 45 and the elevating guide 18 is not limited to the rack and the pinion, A screw gear type, a rotating screw type, a chain gear type, a belt gear type, a wire winding type, and the like.

한편, 상기 승강부재(45)가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여 혼합스크류(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승강부재(45)의 후방측에는 한 개 이상의 상승감지센서(47)가 구비되고, 반대로 승강부재(45)가 하강하는 것을 감지하여 승강부재의 하강을 정지시키도록 승강통로(15)의 후방측에는 한 개 이상의 하강감지센서(48)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one or more elevation detection sensors 47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elevation member 45 so that the mixing screw 30 can be rotated by detecting the elevation of the elevation member 45, The lowering sensor 15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elevating passage 15 so as to stop the lowering of the elevating member.

즉, 상기 상승감지센서(47)는 혼합스크류(30)가 컵(50)의 내측으로 진입하기 시작하는 높이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1차 감지센서(47a)가 구비되어 혼합스크류(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전달하고, 혼합스크류(30)가 컵의 내측으로 완전히 진입된 위치까지 승강부재(45)가 상승한 것을 감지하도록 2차 감지센서(47b)가 구비되어 승강부재(45)의 상승을 저지할 수 있는 신호를 검출, 전송한다.That is, the rising sensor 47 is provided with a primary sensor 47a for detecting that the mixing screw 30 reaches a height at which the mixing screw 30 starts to enter the inside of the cup 50, A second detection sensor 47b is provided to transmit the signal so that the rotation of the elevation member 45 is transmitted to the elevation member 45 and to detect the elevation of the elevation member 45 to the position where the mixing screw 30 completely enters the inside of the cup, Detects and transmits a signal capable of preventing the rise.

일례로, 상기 승강부재(45)가 구동부(46)의 동작으로 승강가이드(18)를 따라 일정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1차 감지센서(47a)가 승강부재(45)의 상승을 감지하여 제어판넬(25)측으로 신호를 보내면, 제어판넬(25)에서는 혼합스크류(30)의 구동부(35)에 신호를 보내 혼합스크류(3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컵(50)의 내용물에 대한 혼합이 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elevation member 45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levation guide 18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6, the first detection sensor 47a senses the elevation of the elevation member 45, The control panel 25 sends a signal to the driving unit 35 of the mixing screw 30 to rotate the mixing screw 30 so that mixing of the contents of the cup 50 is performed .

상기 1차 감지센서(47a)를 지나쳐 승강부재(45)가 더 상승하여 혼합스크류(30)가 컵(50)의 내측으로 완전히 진입하는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2차 감지센서(47b)가 승강부재의 상승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판넬(25)으로 신호를 보내서 승강부재의 구동부(46)에 신호를 보내 구동부를 정지시켜 승강부재의 상승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When the elevation member 45 further passes the first detection sensor 47a and reaches the height at which the mixing screw 30 completely enters the inside of the cup 50,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panel 25 to send a signal to the driving unit 46 of the elevation member to stop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elevation member is no longer raised.

그리고, 컵(50)이 바닥에 닿는 위치로 컵홀더(40) 및 승강부재(45)가 하강되면, 승강부재(45)의 하강을 감지하여 더 이상 승강부재(45)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승강부재의 하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하강감지센서(48)가 승강통로(15)의 하단 일측에 한 개 이상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When the cup holder 40 and the elevating member 45 are lowered to the position where the cup 50 touches the floor, the lowering of the elevating member 45 is detected, One or more lowering sensors 48 for detecting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elevating member are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passage 15.

따라서, 하강감지센서(48)가 승강부재(45)의 하강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판넬(25)측으로 전달하게 되면, 제어판넬에서는 승강부재의 구동부(46)에 신호를 보내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승강부재의 하강이 정지된다.Therefore, when the falling sensor 48 senses the fall of the elevating member 45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panel 25 side, the control panel sends a signal to the driving part 46 of the elevating member to stop the operation The descent of the lifting member is stopped.

도 6에는 상술한 혼합스크류(30)가 발췌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컵(50) 및 컵홀더(40)가 간단하게 발췌도시되어 있다.FIG. 6 shows the above-described mixing screw 30, and FIG. 7 shows the cup 50 and the cup holder 40 simply.

싱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에 이용되는 혼합스크류(30)는 고깔형으로 이루어진 컵(50)의 내부로 진입하여 그 내주연에 일치되도록 컵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점점 그 외경이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mixing screw 30 used in the elevating bl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the inside of the cup 50 made of a conical shape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cup so as to coincide with the inner periphery thereof. And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down.

특히, 그 외주연에 일정간격의 피치를 갖도록 형성된 나선형 회전날(32)은 통상의 일반적인 스크류와 같이 하나의 회전날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정 길이마다 절단부(3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그 회전에 따라 컵의 내용물을 분쇄함은 물론 내용물의 하향 압착시 과도한 하향 압착을 방지하면서 컵하부로 내용물이 압출될 수 있도록 압착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helical rotary blade 32 formed to have a pitch at a certain interval on its outer periphery is formed not to have a shape in which one rotary blade continuously extends like a general screw, but to form a cut portion 34 at a constant length So as to crush the contents of the cup according to the rotation, and to control the pressing force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xtrud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while preventing the excessive downward pressing when the contents are downwardly pressed.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채워지는 컵(50)은 상광하협(上廣下狹) 구조를 갖는 고깔형(콘형)으로 이루어져 상부 주입구(51)의 외경이 가장 크고 하단 배출구(55)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 외주연에는 컵홀더(40)에 걸리는 걸림턱(52)이 형성되고, 걸림턱(52)의 하단에는 고정턱(54)이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컵홀더(40)의 컵수용부(42)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홈(44)에 끼워져 컵이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cup 50 filled with contents is formed in a cone shape having a top-down shap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injection port 51 is the largest, And a fixing jaw 5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cup holder 40 so that the fixing jaw 54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fitted in the fixing groove 44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cup receiving portion 42 of the cup holder 40 so that the cup can be fixed firmly without being flowed.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100)의 사용상태도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8, the state of use of the lifting blen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riefly shown.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100)를 이용하여 아이스크림을 혼합할 경우, 컵홀더(40)에 안착된 컵(50)에 아이스크림(I)이 채워넣고, 아이스크림(I)에 첨가할 참가물을 아이스크림 위에 올려 놓은 후에 조작부(20)의 상승스위치(22)를 누르면,컵과 컵홀더(40)가 본체(1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컵홀더의 상승으로 본체의 상단측에 고정 설치된 혼합스크류가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컵(50)의 내측으로 진입하게 된다.When the ice-cream is mixed using the lifting blen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cream I is filled in the cup 50 seated in the cup holder 40 and the contents to be added to the ice- The cup and the cup holder 40 are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lifting switch 22 of the operating portion 20 is pressed on the ice cream, The screw is rotated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cup 50.

컵 내부로 진입한 혼합스크류는 컵에 채워진 아이스크림(I)과 첨가물을 혼합시키면서 나선형 구조의 회전날 회전으로 발생되는 하향 추력에 의해 컵 내부에 채워진 아이스크림(I)이 컵의 저면에 관통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게 된다.The mixing screw that has entered the inside of the cup mixes the ice cream (I) filled in the cup with the additive, and the ice cream (I) filled in the inside of the cup by the downward thrust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lade of the spiral structure passes through the outlet .

따라서, 사용자는 상승스위치(22)를 누른 후에 첨가물이 혼합된 아이스크림을 담을 별도의 음용컵(C)을 컵(50)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컵(50)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아이스크림이 음용컵(C)에 채워지게 되고, 사용자는 컵의 내용물을 다 배출시킨 후에 하강스위치(24)를 조작해서 상승된 컵과 컵홀더 및 승강부재를 하강시켜 다음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ushes the up switch 22 and places a separate drinking cup C, which will hold the ice cream mixed with the additive, in the lower part of the cup 50, the ice cream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cup 50 flows into the drinking cup C, and the user may operate the lowering switch 24 to lower the cup, the cup holder, and the lifting member after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cup to perform the next operation.

이상, 명세서에 첨부된 일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블렌더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본체 12 : 전원코드
15 : 승강통로 16 : 안내가이드
18 : 승강가이드
20 : 조작부 21 : 메인전원스위치
22 : 상승스위치 24 : 하강스위치
25 : 제어판넬
30 : 혼합스크류 32 : 교반날
34 : 절단부 35 : 구동부
40 : 컵홀더 42 : 컵수용부
44 : 고정홈 45 : 승강부재
46 : 구동부 47 : 상승감지센서
48 : 하강감지센서
50 : 컵 51 : 주입구
52 : 걸림턱 54 : 고정돌기
55 : 배출구 60 : 전도방지부
100 : 승강식 블렌더
I : 아이스크림 C : 음용컵
10: Main unit 12: Power cord
15: elevating passage 16: guide guide
18: Lift guide
20: Operation part 21: Main power switch
22: up switch 24: down switch
25: Control panel
30: mixing screw 32: stirring blade
34: Cutting section 35:
40: cup holder 42: cup receiving part
44: fixing groove 45: elevating member
46: Driving unit 47:
48: Fall detection sensor
50: cup 51: inlet
52: latching jaw 54: fixing projection
55: exhaust port 60:
100: lifting blender
I: ice cream C: drinking cup

Claims (4)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코드가 구비되고, 일 측면에 조작부가 구비되며, 한개 이상의 구동부가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지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안내가이드 및 승강가이드;
상기 안내가이드 및 승강가이드에 관통 설치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면서 그 선단부에 일정량의 내용물을 채울 수 있는 컵이 끼워져 고정되는 컵수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컵홀더;
상기 구동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본체 상측에서 하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컵홀더가 일정높이 상승하는 경우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컵에 채워진 내용물을 혼합시키면서 압착하여 컵 하단으로 내용물을 압출시키고 컵홀더가 하강하는 경우 그 회전이 자동 정지되도록 구성되는 혼합스크류;
상기 혼합스크류의 동작제어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동작을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는 상승 및 하강스위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블렌더.
A main body having a power cor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 operat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and at least one driving unit incorporated therein;
A guide and a lift guide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ward the ground;
A lifting member installed through the guide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guide and being lif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 cup holder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rotrud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has a cup which can be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contents at its distal end portion and is fixed, ;
The cup holder is rotated in a state that the cup holder rotates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When the cup holder rises to a certain height, the cup holder is automatically rotated to press the cup- A mixing screw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top its rotation when the holder is lowered;
And a lifting / lowering switch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ixing screw and the lifting /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상단 주입구에서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그 외경이 점차 줄어드는 상광하협(上廣下狹) 구조의 고깔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단 중심부에는 내용물이 인출되는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컵의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혼합스크류는 컵의 형상과 동일하게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점점 그 외경 또는 폭이 줄어드는 나선형 회전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블렌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p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having a top-down structure in which an outer diameter of the cup gradually decreases from a top injection port to a bottom end, and an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rawn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Wherein the mixing screw, which rotates while entering the inside of the cup, is formed with a helical rotary blade whose diameter or width decreases gradually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like the shape of the cu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조작부의 상승/하강스위치 조작에 따라 좌우 회전방향이 제어되면서 승강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 및 승강가이드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 위치에 따라 상기 혼합스크류의 회전과 정지를 제어하도록 상기 승강부재가 승강되는 승강통로의 일측 상단 및 하단측에는 복수개의 상승감지센서와 하강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승강식 블렌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evating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ith a driving unit for raising or lowering the elevating member while controll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 lower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 lowering switch of the operating uni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levation passage on which the elevation member is elevated and lowered to control rotation and stop of the mixing screw in accordance with the ascending or descending position of the elevation member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and elevation guide, Wherein a senso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blen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스크류에 구비된 나선형 회전날은 일정간격마다 절단부가 구비되어 과도한 하향 압착을 방지하면서 내용물을 파쇄, 혼합 및 압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블렌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piral rotary blade provided in the mixing screw is provided with cut-out portions at regular intervals to crush, mix, and extrude the contents while preventing excessive downward squeezing.
KR1020170145557A 2017-11-02 2017-11-02 Icecream blender KR201900502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557A KR20190050232A (en) 2017-11-02 2017-11-02 Icecream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557A KR20190050232A (en) 2017-11-02 2017-11-02 Icecream ble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232A true KR20190050232A (en) 2019-05-10

Family

ID=6658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557A KR20190050232A (en) 2017-11-02 2017-11-02 Icecream blen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0232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397A (en) 1996-08-08 1998-06-05 헨리. 디. 지. 웰레스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code registration method
KR100842596B1 (en) 2000-11-13 2008-07-01 토마스 이. 주니어. 대니얼스 Beverage mixer
KR101364333B1 (en) 2012-01-16 2014-02-19 (주)리큅 A Compact Blender Having Agit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397A (en) 1996-08-08 1998-06-05 헨리. 디. 지. 웰레스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code registration method
KR100842596B1 (en) 2000-11-13 2008-07-01 토마스 이. 주니어. 대니얼스 Beverage mixer
KR101364333B1 (en) 2012-01-16 2014-02-19 (주)리큅 A Compact Blender Having Agit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92962B2 (en) Combination juicer blender
US9393533B2 (en) Blender
AU2002230719B2 (en) Beverage mixer
US20170095122A1 (en) Combination Juicer Blender
CA2879829C (en) Blender with elevator assembly and removable spindle
US9795240B2 (en) Personal juice extractor system
US9386882B2 (en) Compact blender for frozen beverages
US9420917B2 (en) Method for blending food or beverages
US20130344220A1 (en) Removable cupholder for compact blender
AU2002230719A1 (en) Beverage mixer
WO2003057355A1 (en) Food preparation system
WO2017050190A1 (en) Juicer
US20130343150A1 (en) Removable blender spindle with container cover
KR20190050232A (en) Icecream blender
KR200445892Y1 (en) Blending device
EP2863783B1 (en) Blender with elevator assembly and removable spindle
AU2003100173B4 (en) Beverage mixer
EP1708598B1 (en) Juicing reamer
AU2005200919B2 (en) Beverage mixer
WO2023201398A1 (en) Plant based mil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