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187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187A
KR20190050187A KR1020170145480A KR20170145480A KR20190050187A KR 20190050187 A KR20190050187 A KR 20190050187A KR 1020170145480 A KR1020170145480 A KR 1020170145480A KR 20170145480 A KR20170145480 A KR 20170145480A KR 20190050187 A KR20190050187 A KR 20190050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unit
pattern
shape
posterior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4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찬
안두백
Original Assignee
에이티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티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0187A/en
Publication of KR2019005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1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61F2002/0081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directly machined on the prosthetic surface, e.g. holes,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26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surface struc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osterior capsule patterning method that forms a predetermined pattern in the posterior capsule, wherein a first lens is extracted from the eyeball; a shap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posterior capsule with respect to the space side where a second lens is inserted and the first lens is removed; the recognized 3D shap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e 3D shape of the posterior capsule is transmitted to a laser irradiation unit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laser irradiation unit irradiates the laser according to the 3D shape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후낭 혼탁을 방지하기 위한 패터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osterior capsule opacity,

본 발명은 후낭 혼탁을 방지하기 위한 패터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osterior caps opacity.

안구 속의 수정체가 굳어지거나 흐려지는 질환은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백내장 질환의 치료는, 혼탁한 수정체를 제거하고 그 수정체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수정체를 삽입함으로써, 마취 없이 15 분간의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2011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는 약 30 만 8000 명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백내장 수술은 흔하고 안전한 수술이지만, 후발백내장이라는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후발백내장 합병증은 전체 백내장 수술 환자의 50% 가량에서 나타날 정도로 흔한 합병증으로, 인공수정체에 세포 확산이 이루어짐으로써, 다시 후낭이 혼탁해지는 것이다. 현재 후발백내장에 대하여 레이저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백내장 수술에 버금가는 시술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합병증으로 인공수정체의 손상, 염증, 안압 상승, 망막 박리 현상 등이 발생한다. 그러나, 백내장 수술 후 시력저하를 유발하는 흔한 합병증인 후발백내장에 대한 방지 기술이 부재하며, 발생 후 부작용을 동반하는 레이저 치료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후발백내장을 애초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Diseases in which the lens in the eye becomes hard or cloudy are being treated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treatment of cataracts is simple and safe for 15 minutes without anesthesia by removing the opacifying lens and inserting an intraocular lens that can replace the lens's function. According to the 2011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bout 308,000 patients underwent cataract surgery. Such cataract surgery is a common and safe procedure, bu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complication called late cataract. This posterior cataractic complication is a common complication that occurs in about 50% of patients with cataract surgery, resulting in cell diffusion into the intraocular lens, resulting in posterior capsular opacity. Currently, laser procedures are performed for posterior cataracts. However, this complication is not only complicated by cataract surgery but also complications such as damage to the intraocular lens, inflammation, elevation of intraocular pressure, and retinal detachment. However, there is no technique to prevent posterior cataract, which is a common complication that causes visual loss after cataract surgery, and it relies on laser treatment with side effec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ique capable of preventing such posterior cataracts in the first pla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6-0040807 호 (2016. 04. 15)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040807 (Apr. 15, 201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구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기 전에, 후낭에 패턴을 형성하여, 안질환을 유발하는 세포증식을 차단함으로써, 안질환 치료 후의 후발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후낭 혼탁을 방지하기 위한 패터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eventing posterior disease after eye disease treatment by preventing a cell proliferation that causes eye disease by forming a pattern in the posterior capsule before inserting the intraocular lens into the eyeball, And to provide a pattern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f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구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기 전에, 후낭에 안질환을 유발하는 세포증식을 기 결정된 특정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안질환 치료 후의 후발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후낭 혼탁을 방지하기 위한 패터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posterior capsular opacity, which can prevent secondary disease after eye disease treatment, so as to induce cell proliferation that causes eye diseases in a specific predetermined direction before inserting an intraocular lens into an eyeball And to provide a patte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atter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공수정체에 형성되는 패턴을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단위의 패턴을 레이저를 통해 가공함으로써, 후낭에 정밀한 레이저 가공이 수행하기 위한 후낭 혼탁을 방지하기 위한 패터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osterior lens opacity for performing a precise laser machining in a postcask by processing a pattern formed on the intraocular lens through a micro-meter or a nano-meter pattern through a laser And to provide the above objects.

안구로부터 제1수정체가 취출되고, 제2수정체가 삽입되는 제1수정체가 제거된 공간 측으로 후낭에 대하여 형상인식부가 3차원 형상을 인식하고, 인식된 3차원 형상을 제어부로 송신하고, 제어부로부터 후낭의 3차원 형상을 레이저 조사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3차원 형상에 따라 레이저 조사부가 레이저를 조사하여, 후낭에 기 결정된 패턴을 형성하는, 후낭 패터닝 방법이 제공된다.The shap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three-dimensional shape with respect to the posterior capsule on the side of the space where the first lens to be inserted with the second lens is removed, transmits the recognized three-dimensional shape to the control unit, Dimensional shape of the posterior capsule is transmitted to the laser irradiation unit and the laser irradiation unit irradiates the laser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in the posterior capsule.

그리고, 패턴은, 레이저에 의해 가공되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요철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The pattern may include one or more irregularities that are processed by a laser and formed independently.

또한, 패턴은, 레이저에 의해 가공되고,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요철이 포함될 수 있다.Further, the patter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that are processed by a las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패턴은 상기 후낭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attern may be formed from the edge of the posterior to the center.

또한, 형상인식부는, 후낭의 XY 평면 상인 2차원의 왜곡 및 XY 평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인 Z 방향의 왜곡을 포함한 3차원의 왜곡을 보정한 3차원 형상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Further, the shape recognizing unit can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a three-dimensional shape in which three-dimensional distortion including two-dimensional distortion in the XY plane of the posterior capsule and distortion in the Z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is corrected.

또한, 레이저 조사부는,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부;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레이저가 통과되는 빔 익스펜더; 및 빔 조절부를 통과한 레이저가 전달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Z 방향의 위치값에 대응되는 곳에 레이저 조사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 및 Z 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의 평면인 XY 평면의 위치값에 대응되는 곳에 레이저 조사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스캔 헤드를 포함하는 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ser irradi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lase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laser; A beam expander through which the laser generated from the laser generating portion passes; And a laser focusing unit that receives the laser beam passed through the beam adjusting unit and positions the laser irradiating unit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value in the Z direc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corresponds to a position value of an XY plane that is a plan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Z direction And a beam adjuster including a scan head for causing a laser irradiator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laser irradiator is positioned.

또한, 빔 조절부는 레이저가 외측으로 조사되는 측에 위치되는 집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beam adjusting secti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 collecting section positioned on a side where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또한, 레이저의 조사는, 나노초, 피코초 및 펨토초 중 하나의 단위로 조사되어 기 결정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lso, the irradiation of the laser can be irradiated in one unit of nanosecond, picosecond, and femtosecond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안구에서 혼탁물이 증식된 제1수정체가 취출되어 노출되는 후낭의 표면의 형상을 인식하는 형상인식부; 및 형상인식부가 인식한 형상의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후낭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기 결정된 패턴을 가공하는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고, 패턴은, 제1수정체를 대체하여 위치되는 제2수정체에 혼탁물이 증식되지 않도록 가공되되, 후낭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후낭 패터닝 장치가 제공된다.A shap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shape of a surface of a posterior capsule from which an opaque first fluid is extracted and exposed; And a laser irradiating part for irradiating the posterior capsule with a predetermined pattern, the laser irradiation part being controlled by a control part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a shape recognized by the shape recognizing part, A posterior patterning device is provided which is fabricated so that turbid water is not proliferated, but is formed adjacent to the edge of the posterior.

그리고, 패턴은, 레이저에 의해 가공되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요철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The pattern may include one or more irregularities that are processed by a laser and formed independently.

또한, 패턴은, 레이저에 의해 가공되고,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요철이 포함될 수 있다.Further, the patter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that are processed by a las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패턴은 상기 후낭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attern may be formed from the edge of the posterior to the center.

또한, 형상인식부는, 후낭의 XY 평면 상인 2차원의 왜곡 및 XY 평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인 Z 방향의 왜곡을 포함한 3차원의 왜곡을 보정한 3차원 형상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Further, the shape recognizing unit can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a three-dimensional shape in which three-dimensional distortion including two-dimensional distortion in the XY plane of the posterior capsule and distortion in the Z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is corrected.

또한, 레이저 조사부는,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부;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레이저가 통과되는 빔 익스펜더; 및 빔 조절부를 통과한 레이저가 전달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Z 방향의 위치값에 대응되는 곳에 레이저 조사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 및 Z 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의 평면인 XY 평면의 위치값에 대응되는 곳에 레이저 조사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스캔 헤드를 포함하는 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ser irradi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lase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laser; A beam expander through which the laser generated from the laser generating portion passes; And a laser focusing unit that receives the laser beam passed through the beam adjusting unit and positions the laser irradiating unit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value in the Z direc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corresponds to a position value of an XY plane that is a plan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Z direction And a beam adjuster including a scan head for causing a laser irradiator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laser irradiator is positioned.

또한, 빔 조절부는 레이저가 외측으로 조사되는 측에 위치되는 집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beam adjusting secti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 collecting section positioned on a side where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또한, 레이저의 조사는, 나노초, 피코초 및 펨토초 중 하나의 단위로 조사되어 기 결정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lso, the irradiation of the laser can be irradiated in one unit of nanosecond, picosecond, and femtosecond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공수정체에 패턴을 형성하여, 안질환을 유발하는 세포증식을 차단함으로써, 안질환 치료 후의 후발질환을 예방할 수 후낭 혼탁을 방지하기 위한 패터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atte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osterior capsular opacity that can prevent a posterior disease after an eye disease treatment by forming a pattern on an intraocular lens to block cell proliferation that causes eye disease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공수정체에 패턴을 형성하여, 안질환을 유발하는 세포증식을 기 결정된 특정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안질환 치료 후의 후발질환을 예방할 수 후낭 혼탁을 방지하기 위한 패터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tterning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posterior capsular opacity that can prevent secondary disease after eye disease treatment by forming a pattern on the intraocular lens to induce cell proliferation that causes eye disease in a predetermined specific direc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공수정체에 형성되는 패턴을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단위의 레이저를 통해 가공함으로써, 가공 대상물에 정밀한 가공이 수행된 후낭 혼탁을 방지하기 위한 패터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tte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ost-turbid opacity after precise processing of an object to be processed by processing a pattern formed on an artificial lens through a laser of a micro-meter or a nano-meter unit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 장치에 의해 패터닝이 수행될 안구의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을 수행하기 전, 제1수정체를 취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 장치의 형상인식부에 의해 후낭의 형상을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인식부가 후낭의 형상을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부에 의해 후낭에 패턴이 가공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이 가공된 가공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W)의 평면측 도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W)의 요부의 깊이 및 폭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yeball to be patterned by a posterior capsule patte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aking out a first lens before performing a posterior capsule patte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recognition of the shape of the posterior capsule by the shape recognition unit of the posterior capsule patter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recognizing a shape of a posterior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ckpack patte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 backpack patte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llustrates a backpack patte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pattern is processed in a posterior capsule by a laser irradi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machining part in which a pattern is mach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a pattern 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depth and a width of a recess of a pattern 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 ch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에 따른 후낭 패터닝 장치는, 인공수정체 이식, 치과용 임플란트 이식, 정형외과용 임플란트 이식 등의 생체이식체 가공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레이저 발생부 및 빔 조절부를 포함하여, 생체에 있어서 세포 정렬 및 이동 방향에 영향을 주는 마이크로 패턴과 나노 패턴 중 하나 이상의 패턴을 패터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공수정체를 이식하는 과정에서 혼탁물을 조성하는 세포가 증식하는 방향을 차단하는 등의 제어를 하는 예로써, 본원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posterior capsule patte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implanting an implant such as an intraocular lens implant, a dental implant implant, or an orthopedic implant implant. Meanwhile, at least one of a micro pattern and a nano pattern, which affects cell alignment and movement direction in a living body, may be patterned, including a laser generator and a beam controller.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cells forming the turbid body in the process of implanting the intraocular le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 장치에 의해 패터닝이 수행될 안구(100)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ye 100 to be patterned by a posterior capsule patte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후낭 패터닝 장치에 의해 패턴이 가공될 안구(100)는 각막(140), 수정체(110), 진대(130), 홍체(150), 모양체(160) 및 유리체(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정체(110)는 광이 입사되면서 상이 ?p힘으로써 사물을 시각정보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수정체(110)는 상피세포 증식 또는 혼탁물의 증식에 의해 광이 입사되는 부분이 혼탁해져 정상적인 시각정보를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고자 혼탁해진 수정체(110)를 인공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데, 이 때 안구에 핵세포 또는 혼탁물을 증식시키는 상피세포가 잔류하여 수정체(110)를 인공적으로 대체한 후에도 증식한 혼탁물로 인해 정상적인 시각정보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1, an eyeball 100 to be patterned by a posterior capsule patterning apparatus includes a cornea 140, a lens 110, a phantom 130, an iris 150, a ciliary body 160, and a body 120 . ≪ / RTI > Herein, the lens 110 allows the light to be recognized as visual information by using the? P force while the light is incident. However, in some cases, the lens 110 may be difficult to perceive normal visual information because the part where the light is incident becomes turbid due to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or proliferation of turbid substances. In order to overcome this phenomenon, it is possible to artificially replace the opaque lens 110. At this time, epithelial cells that proliferate nuclear cells or opacity remain in the eye, and after the lens 110 is artificially replaced, So that normal time information can not be recognized.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기 상피세포의 증식을 막기 위해 수정체(110)의 배면에 위치한 후낭(도 2의 112)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피세포가 증식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패턴을 가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후낭은 수정체 낭의 일부로서, 상기 수정체(110)를 취출하고 난 후에 수정체(110)를 수용하는 수정체 낭에서 전면에 위치한 낭을 전낭, 배면에 위치한 낭을 후낭으로 기재하도록 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proliferation of the epithelial cells, the present invention irradiates a posterior capsule (112 in FIG. 2)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ens 110 to form a pattern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proliferation of the epithelial cells. Here, the posterior capsule is a part of the lens capsule, and after the capsule lens 110 is taken out, the capsule located in the foreground and the capsule located in the back are described as capsules in the lens capsule accommodating the lens 110.

이하에서는, 수정체(110)를 안구(100)에서 취출하는 단계부터 후낭(도 2의 112)에 패터닝하는 단계까지 설명하도록 하며, 후낭(도 2의 112)에 레이저 가공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ep of taking out the lens 110 from the eyeball 100 to the step of patterning the posterior capsule (112 of FIG. 2) will be describ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for laser processing in the posterior capsule (112 in FIG. 2) Explain it.

또한, 이하에서는 수정체(110; 10, 20)를 제1수정체(10) 및 제2수정체(20)로 기재하며, 제1수정체(10)는 교체 전 기존에 안구에 포함되는 수정체(110)를 의미하고, 제2수정체(20)는 교체 후 안구에 새로 대체되는 수정체(110)를 의미한다. The first lens 10 and the second lens 20 are referred to as a first lens 10 and a second lens 20 and the first lens 10 includes a lens 110, And the second lens 20 refers to the lens 110 which is newly replaced in the eyeball after replacemen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을 수행하기 전, 제1수정체(10)를 취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taking out the first lens 10 before performing the posterior capsule pattern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1수정체(10)는 안구(100)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100)의 각막(140)이 일부 절개되면서 형성된 개구를 통해 취출기(10)가 삽입되고, 취출기(10)에 의해 수정체(110)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거는 박리 및 흡입 등의 방법을 통해 안구(100)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lens 10 can be taken out of the eye 100. For example, the take-out device 1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cornea 140 of the eyeball 100, and the lens 110 may be removed by the take-out device 10. The removal can be removed from the eye 100 through a method such as peeling and suction.

상기 제1수정체(10)가 취출되면, 안구(100)는 후낭(112)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표면이 곡면 형으로 형성되는 제1수정체(10)는 안착점인 상기 후낭(112) 또한 그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낭(112)은 인체의 일부로서, 개개인마다 다른 면적 및 곡률을 띄고 있음으로, 후낭의(112) 표면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형상을 인식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3차원 스캔을 통하여 후낭(112)의 표면정보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first lens 10 is taken out, the eye 1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The first lens 10 having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sterior capsule 112 as a seating point. Since the posterior capsule 112 is a part of the human body and has a different area and curvature for each individual,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shape is required in order to obtain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For example, surface information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can be obtained through a three-dimensional scan.

상기 후낭(112)의 표면정보는 후낭(112)에 조사될 레이저의 조사정보에 직접적인 배경정보가 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배경정보가 되는 후낭(112)의 표면정보를 얻는 형상인식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may be direct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irradiation information of the laser to be irradiated to the posterior capsule 112. Next, with reference to FIG. 3,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hape recognition process for obtaining surface information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as the background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 장치의 형상인식부(200)에 의해 후낭(112)의 형상을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인식부(200)가 후낭(112)의 형상을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recognition of the shap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by the shape recognizing part 200 of the posterior capsule patte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by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도 3을 참조하면, 형상인식부(200)는 안구(100)를 향해 인식파 또는 인식광(201)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인식부(200)는 제1수정체(10)가 취출되고 나서 노출되는 후낭(112)을 향해 후낭(112)의 표면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인식파 또는 인식광(201)을 방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may emit a recognition wave or recognition light 201 toward the eyeball 100. Specifically,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emits recognition light or recognition light 201 for acquiring surface information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toward the posterior capsule 112 exposed after the first crystalline lens 10 is taken out .

도 4를 참조하면, 형상인식부(200)는 보정부(210) 및 인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인식부(200)는 안구(100)에 인접하여, 후낭(112)에 인식파(201)를 방출하여, 후낭(112)의 표면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후낭(112)에 대하여 형상인식부(200)의 초점거리가 3차원 방향으로 굴곡진 표면을 감지하고 지점마다 다른 초점거리를 보상하기 위해 이동해야하므로, XY 평면 상의 왜곡보정뿐만 아니라 높이방향인 Z 축방향의 보정도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may include a correction unit 210 and a recognition unit 220.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can sense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by emitting a recognition wave 201 to the posterior capsule 112 adjacent to the eyeball 100. [ At this time, since the focal distance of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with respect to the posterior capsule 112 should be sensed on the surface curved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and moved to compensate different focal distances for each point, distortion correction on the XY plane as well as height Direction in the Z-axis direction can also be corrected.

또한, 렌즈형태일 수 있는 인식부(220)가 인식한 후낭(112)의 표면정보를 보정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인식부(220)에서는 상기 표면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렌즈의 초점과 XY 평면인 2차원 평면을 기준으로 측정된 후낭(112)의 표면정보가 왜곡될 수 있다. 보정부(210)는 상기 왜곡된 정보를 보정함과 동시에 XY 평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인 Z 축방향의 거리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Z 축방향은 높이 방향일 수 있다.In addition, surface information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220, which may be in the form of a len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ctor 210. In the recognizing unit 220,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measured based on the focus of the lens and the two-dimensional plane, i.e., the XY plane, may be distorted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surface information. The correcting unit 210 can correct the distorted information and correct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from the XY plane. The Z-axis direction may be a height direction.

도 5를 참조하면, 후낭(112)의 3차원 상의 형상을 인식하는 단계의 일예로서, (a)는 표면의 높이인 Z 축방향의 정보를 감지하는 것이고, (b)는 XY 평면 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b) 단계를 보다 세밀화하여 정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촘촘하게 설정된 상태가 (c)이고, (d)는 (a) 단계를 세밀게 설정한 상태이다. (c) 및 (d) 단계를 종합하여 XY 평면 상의 왜곡 및 Z 축방향의 왜곡을 보상하여 레이저를 토출하여 가공할 수 있는 레이저 조사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example of a step of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is as follows. (A) is to sense information in the Z-axis direction which is the height of the surface, Correction step. (c), and (d) is a state in which the step (a) is finely set so that the step (b) is further refined to increase the precision. (c) and (d), it is possible to move the laser irradiation unit 300 which can process the laser beam by compensating for the distortion on the XY plane and the distortion in the Z axis direc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backpack patte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를 참조하면, 레이저 발생부(310)에서 생성된 레이저 빔은 빔 익스팬더(320)를 통과하여, 빔 조절부(330)로 전달된다. 빔 조절부(330)로 전달된 레이저 빔은 다이다믹 포커싱 모듈(331)에 의해 z축이 조절되고, 스캔 헤드(332)에 의해 x축 및 y축이 조절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or 310 passes through the beam expander 320 and is transmitted to the beam controller 330. The z-axis of the laser beam transmitted to the beam adjusting unit 330 is adjusted by the multimic focusing module 331, and the x-axis and the y-axis of the laser beam can be adjusted by the scan head 332.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posterior patte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3차원 가공대상체인 후낭(112)의 표면높이가 다른 x축 및 y축 필드(즉, 결상면)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사이즈는 동일할 수 있다. 집광부(50)의 집속 렌즈의 사양에 따라 스캐닝 가능한 x축 및 y축의 크기 결정되며, 이에 따라 z축의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x축 및 y축의 스캐닝 범위(Field size)가 120mm x 120mm일 경우 z축 초점 범위(Focus Range in Z-direction)는 8mm일 수 있다. 또한, x축 및 y축의 스캐닝 범위가 180mm x 180mm일 경우 z축 초점 범위는 41mm일 수 있고, x축 및 y축의 스캐닝 범위가 300mm x 300mm일 경우 z축 초점 범위는 202mm일 수 있다. 즉, 제어부(도 8의 400)에 입력된 3차원 표면의 3차원 패턴 데이터에 따라서, 스캔 헤드(332)가 조절하는 x축 및 y축 좌표값에 대응되어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이 z축을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ize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ther x-axis and y-axis fields (that is, the imaging plane) of the surface height of the posterior bag 112 as a three-dimensional processing target may be the same. The size of the x-axis and the y-axis that can be scann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focusing lens of the light condensing portion 50, and thus the range of the z-axis can be determined. When the field size of the x-axis and the y-axis is 120 mm x 120 mm, the focus range in the Z-direction may be 8 mm. Also, the z-axis focus range may be 41 mm when the scanning range of the x- and y-axes is 180 mm x 180 mm, and the z-axis focus range may be 202 mm when the scanning range of the x- and y-axes is 300 mm x 300 mm. That is, in accordance wit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putted to the control section (400 in FIG. 8),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calculates the z-axis corresponding to the x- Can be adjus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post-baking patte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가공대상체의 레이저 패터닝 장치는, 3차원 후낭(112)표면에 미세한 패터닝을 하기 위해 레이저 발생부(310), 빔 익스팬더(320), 빔 조절부(330), 집광부(350), 형상 인식부(36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8, a laser patterning apparatus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ser generating unit 310, a beam expander 320, a beam adjusting unit (not shown) for fine patterning on the surface of the three- 330, a light collecting unit 350, a shape recognizing unit 360, and a control unit 400.

레이저 발생부(310)는 패터닝을 위한 레이저 빔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발생부(310)는 펄스화된 레이저 소스(laser source)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레이저 발생부(310)는 나노초, 피코초, 또는 펨토초 중 하나의 레이저 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중, 예를 들어, 펨토초 레이저 빔은 1~1000 펨토초의 펄스 지속시간(duration time)을 갖는 극초단파 레이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발생부(310)는 펨토초 범위 내의 펄스 지속 시간을 갖는 펄스화된 레이저 빔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펄스 반복율은 두자리 kHz 범위 내지 최대 세자리 kHz 범위 내에 있거나, MHz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레이저 빔의 파장은 적외선 영역에서부터 자외선 영역 내에 위치하는 레이저 파장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파장, 그린 파장, 자외선 파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laser generating unit 310 may generate a laser beam for patterning. Specifically, the laser generating unit 310 may use a pulsed laser source. Accordingly, the laser generating unit 310 can generate one of a laser beam of nanosecond, picosecond, or femtosecond. For example, the femtosecond laser beam may be a microwave laser having a pulse duration of 1 to 1000 femtoseconds. Specifically, the laser generating unit 310 may generate a pulsed laser beam having a pulse duration within a femtosecond range. Here, the pulse repetition rate may be in the range of two to about three kHz, or in the range of MHz. The wavelength of the laser beam can be all of the laser wavelengths located in the ultraviolet region from the infrared region. For example, ultraviolet wavelength, green wavelength, ultraviolet wavelength,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공대상체의 레이저 패터닝 장치는, 3차원 후낭(112)표면에 마이크로 단위에서 나노 단위의 폭과 깊이를 갖는 패턴을 패터닝 할 수 있다. 설계된 패턴 크기에 따라 레이저 파장을 변환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패턴 크기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가공대상체가 생체의 일부인 후낭(112)인 경우, 10mm 이상(바람직하게는, 12mm) 직경 이상을 갖는 가공대상체의 표면 전체에 한번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수 마이크로 단위에서 나노 단위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공대상체의 레이저 패터닝 장치는, 레이저의 파장을 자외선 영역의 짧은 파장을 갖도록 변환시켜 사용함으로써 집광부(350)의 회절한계를 극복하고 나노 단위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A laser patterning apparatus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attern a pattern having a width and a depth in units of nanometers on the surface of a three-dimensional posterior bag 112. By varying the laser wavelength according to the designed pattern size, various pattern sizes can be realized. For example, when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is the posterior capsule 112 which is a part of the living body, a laser beam is irradiat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having a diameter of 10 mm or more (preferably, 12 mm) Can be generated. That is, in the laser patterning apparatus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velength of the laser is converted to have a short wavelength in the ultraviolet region and used to overcome the diffraction limit of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350, Can be implemented.

레이저 발생부(310)에서 생성된 레이저 빔은, 펄스화된 펨토초 레이저 빔일 수 있으며, 빔 익스팬더(320) 및 빔 조절부(330)를 경유할 수 있다.The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ng unit 310 may be a pulsed femtosecond laser beam and may pass through the beam expander 320 and the beam adjusting unit 330.

빔 익스팬더(320)는 레이저 발생부(310)에서 생성된 레이저 빔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빔 익스팬더(320)는 레이저 빔을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빔 익스팬더(320)는 레이저 빔을 분산이나 집중이 적은 콜리메이트 빔(collimated beam)으로 생성시켜 줄 수 있다. 이로써, 레이저 발생부(310)에서 생성된 레이저 빔은 빔 익스팬더(320)를 경유하며 확대 또는 축소되어 크기 조절 되면서, 콜리메이트 빔으로 생성될 수 있다. 빔 익스팬더(320)에서 가공된 레이저 빔의 크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공대상체의 레이저 패터닝 장치의 마지막 단의 렌즈로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크기일 수 있다. 빔 익스팬더(320)는 레이저 발생부(310)에서 생성된 레이저 빔의 직경을 변경하고, 변경된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다. 빔 익스팬더는(32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beam expander 320 can adjust the size of the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ng unit 310. Specifically, the beam expander 320 can enlarge or reduce the laser beam. In addition, the beam expander 320 can generate a laser beam as a collimated beam having less scattering or concentration. Accordingly, the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ng unit 310 can be generated as a collimated beam while scaled and enlarged or reduced through the beam expander 320. The size of the laser beam processed in the beam expander 320 may be the size of the laser beam incident on the lens at the last stage of the laser patterning devic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expander 320 may change the diameter of the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generating unit 310 and output a modified laser beam. The beam expander 320 may be manually or automatically adjustable.

이 밖에도, 편광판, 반파장판, 스플리터, 필터, 셔터 등의 다양한 광학소자가 더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optical elements such as a polarizing plate, a half-wave plate, a splitter, a filter, and a shutter can be further disposed.

빔 조절부(330)는 3차원 가공대상체에 조사될 수 있는 레이저 빔의 초점 높이 및 초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빔 조절부(330)는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dynamic focusing module)(331) 및 스캔 헤드(scan head)(332)를 포함할 수 있다. 빔 조절부(330)의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은 레이저 빔의 초점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스캔 헤드(332)는 3차원 가공대상체인 후낭(112)의 표면을 따라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beam adjuster 330 can adjust the focus height and the focal position of the laser beam that can be irradiated to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he beam adjusting unit 330 may include a dynamic focusing module 331 and a scan head 332. [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of the beam adjusting unit 330 can adjust the focus height of the laser beam and the scan head 332 adjusts the focus position of the laser beam along the surface of the posterior bag 112, .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은 3차원 가공 데이터에 따라, 집광부(350)를 통과하는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은 2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은 제1 렌즈(미도시됨) 및 제2 렌즈(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을 통과한 레이저 빔의 발산, 수렴을 조절함으로써 집광부(350)를 통과한 레이저 빔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can adjust the focal position of the laser beam passing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part 350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machining data. Specifically,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may include two lenses. That is,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may include a first lens (not shown) and a second lens (not show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can be adjusted to control the divergence and convergence of the laser beam passing through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so that the focus of the laser beam passing through the condensing part 350 can be adjusted.

다시 말해,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은 빔 조절부(320)를 경유한 레이저 빔의 초점 높이, 즉 초점의 z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은 빔 익스팬더(320)를 경유한 레이저 빔의 수렴 및 발산을 조절하여 레이저 빔의 z축 위치, 즉 레이저 빔의 초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can adjust the focal height of the laser beam via the beam adjuster 320, i.e., the z-axis position of the focus.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adjusts the z-axis position of the laser beam, that is, the focus height of the laser beam, by adjusting the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the laser beam via the beam expander 320. [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은 수평 왕복 이동을 하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스캔 헤드(332)로 발사되는 레이저 빔의 거리를 조절하여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가 수평 왕복 이동을 할 경우,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레이저 빔의 초점이 3차원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레이저 빔이 z축 상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빔의 높이가 짧아질 수 있다. 반대로,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레이저 빔이 후낭(112)의 표면으로 가까워지므로, 레이저 빔의 초점이 z축 상에서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빔의 높이가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낭의 표면에 입사되는 상기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를 z축 방향으로 제어 할 수 있다.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can irradiate the laser beam by adjusting the distance of the laser beam emitted to the scan head 332 by driving a motor (not shown) that reciprocates horizontally. For example, when the motor is horizontally reciprocating, when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moves to the left, the focal point of the laser beam moves away from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so that the laser beam can move upward on the z axis . Therefore, the height of the laser beam can be shortened. Conversely, when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moves to the right side, the laser beam approaches the surfac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so that the focus of the laser beam can move downward on the z axis. Therefore, the height of the laser beam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focal position of the laser beam incident on the surface of the posterior capsule can be controlled in the z-axis direction.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을 통해서, 후낭(112)표면의 3차원 형상의 높이를 따라 패터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낭(112)은 표면의 형상에 따라 곡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레이저 빔에 의하여 패턴이 패터닝되어야 하는 위치가 각각의 x축 및 y축에 따라 높이(즉, z축)가 다를 수 있다.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을 통한 레이저 빔의 초점의 z축상 위치 조절은 각각의 x축 및 y축 좌표마다 다른 z축 위치에 대응하여 균일한 패터닝을 할 수 있다. 또한, 나노 크기에서 마이크로 크기의 선폭으로 패터닝을 할 수 있다.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은 내부 광학계의 이동 또는 광학계에 포함된 렌즈 각각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빔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고속제어가 가능하여 3차원 가공대상체 표면에서의 선폭의 균일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erform patterning along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surfac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through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For example, since the posterior capsule 112 has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rface, the positions where the pattern should be patterned by the laser beam are different in height (i.e., z axis) along the respective x and y axes .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focal point of the laser beam through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on the z axis can uniformly perform patterning corresponding to different z axis positions for respective x axis and y axis coordinates. In addition, patterning can be performed with nano size to micro size line width.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can move each of the lenses included in the optical system or the movement of the internal optical system. Accordingly, high-speed control of the height of the laser beam in real time is possible, thereby increasing the uniformity of the line width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에 의해 z축 초점위치가 조절된 상기 레이저 빔은 스캔 헤드(332)에 의해 x축 및 y축 초점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The x-axis and y-axis focal positions of the laser beam whose z-axis focal position is adjusted by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can be adjusted by the scan head 332.

스캔 헤드(332)는 후낭(112)의 x축 및 y축의 초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스캔 헤드(332)는 x축 스캔미러(미도시됨) 및 y축 스캔미러(미도시됨)를 포함하여, 2차원적인 스캐닝을 할 수 있다. x축 스캔미러 및 y축 스캔미러를 통해 후낭(112)표면의 곡면을 따라 레이저 빔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scan head 332 can adjust the focus positions of the x and y axes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The scan head 332 includes an x-axis scan mirror (not shown) and a y-axis scan mirror (not shown) to perform two-dimensional scanning. the laser beam can be finely controlled in the x and y axis directions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through the x-axis scan mirror and the y-axis scan mirror.

스캔 헤드(332)의 x축 스캔미러와 y축 스캔미러는 레이저 빔을 패터닝을 위한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반사시켜 후낭(112)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레이저 빔을 조사시킬 수 있다. x축 스캔미러와 y축 스캔미러는 갈바노미터(galvanometer)식으로 한 쌍의 스캔미러로 구성되고, 이 한 쌍의 스캔 미러들은 각각 x-y 평면을 가로지르는 축들 중의 하나의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편향시킬 수 있다.The x-axis scan mirror and the y-axis scan mirror of the scan head 332 can reflect the laser beam in the direction for patterning the laser beam to irradiate the laser beam to a desired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The x-axis scan mirror and the y-axis scan mirror are composed of a pair of scan mirrors in the form of a galvanometer, each of which deflects the laser beam in one of the axes crossing the xy plane, .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빔 조절부(330)는 상기 레이저 빔의 초점 높이 및 초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레이저 빔은 빔 익스팬더(320)를 경유하면서 확대 또는 축소되어 크기 조절이 되고, 콜리메이트 빔으로 생성되어 제어된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빔 익스팬더(320)를 경유한 레이저 빔은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에 의해 z축 초점위치가 조절되고, 스캔 헤드(332)에 의해 x, y 좌표가 조절되어 후낭(112)의 표면에 대응되도록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beam adjuster 330 can adjust the focal height and the focal position of the laser beam. The laser beam is magnified or scaled down via the beam expander 320, and can be generated as a collimate beam and refracted in a controlled direction. The focal position of the laser beam passed through the beam expander 320 is adjusted by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so that the x and y coordinates are adjusted by the scan head 332 to correspond to the surfac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The focal position of the laser beam can be adjusted.

빔 조절부(330)의 하부에는,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1) 및 스캔 헤드(332)를 통과한 상기 펨토초 레이저 빔을 3차원 후낭(112)표면으로 집속하기 위한 집광부(350)가 배치될 수 있다.  A condenser 350 for condensing the femtosecond laser beam having passed through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and the scan head 332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after-bag 112 may be disposed under the beam adjuster 330 have.

집광부(350)는 레이저 빔을 집속시킬 수 있다. 집광부(350)는 빔 조절부(330)를 통과한 레이저 빔이 집광시켜서, 후낭(112)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집광부(350)는 텔레센트릭 에프-세타 렌즈(telecentric F-theta lens) 또는 에프-세타 렌즈(F-theta len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 단위의 미세 패턴을 가공할 수 있다.The light collecting part 350 can focus the laser beam. The light condensing unit 350 can condense the laser bea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eam adjusting unit 330 and irradiate the surfac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with a laser beam. The light collecting part 350 may include a telecentric F-theta lens or an F-theta lens. As a result, fine patterns of micro- or nano-sized units can be processed.

이러한 구성들을 통해, 레이저 빔의 조사 위치, 초점 거리,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펄스 파형, 조사 시간, 발산 특성, 비점 수차 등 다양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Through these configurations, at least one of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irradiation position of the laser beam, the focal distance, the pulse waveform of the laser beam to be output, the irradiation time, the divergence characteristic, and the astigmatism can be controlled.

형상인식부(200)는 3차원 가공대상체(1)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형상인식부(200)는 레이저 조사부(30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의 경로와 다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형상 인식부(200)는 다이나믹포커싱 모듈(331)과 스캔헤드(332)사이에 레이저 빔이 전달되는 경로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형상 인식부(200)는 빛의 간섭현상을 통해 후낭(112)의 3차원 곡형 형상의 표면을 인식하고 도면으로 나타낼 수 있다. 굴절률을 이용하는 간섭계를 통해 후낭(112)의 형상 정보를 취득하여 제어부(7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can recognize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1 to be processed.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different from the path of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laser irradiation unit 300. [ Also,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may be disposed in a path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is transmitted between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1 and the scan head 332.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recognizes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urved shap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through the interference of light and can display the shape of the surface.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can be obtained through the interferometer using the refractive index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 [

나아가, 투명한 곡형의 3차원 가공대상체는 투명하기 때문에 높이 및 표면을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굴절율을 이용한 간섭계를 통해 가공대상체 표면의 3차원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정보와 제어부(400)에 입력되어 있는 도면을 매칭하여, 3차원 가공대상체의 특정점(예를 들어, 만곡 형상의 꼭지점)을 찾을 수 있다. 이를 따라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패터닝 가공할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형상 인식부(200)를 통해, 다양한 표면 구조에 대해 유연하게 패터닝을 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transparent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is transparen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height and the surface. Therefore,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is obtained through the interferometer using the refractive index, and the obtained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drawing input to the control unit 400 to obtain a specific point (for example, The vertex of < / RTI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ition where the patterning process is performed by irradiating the laser beam. Through the shape recognizing unit 200, patterning can be flexibly performed on various surface structures.

그리고, 형상 인식부(200)는 광학 단층 촬영기(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를 포함하여 3차원 가공대상체의 형상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사용 광원으로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투명한 곡형을 갖는 3차원 가공대상체의 표면을 3차원적으로 스캐닝하여, 3차원 표면 형상의 좌표를 측정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가공대상체 표면에 레이저 패터닝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패터닝하기 위한 레이저는 나노초, 피코초, 또는 펨토초 레이저 중 하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레이저 빔의 파장은 100nm 초과 10000nm 이하, 반복률이 1Hz에서 수백 GHz를 갖는 레이저 빔일 수 있다.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may recognize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ncluding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For example, the surfac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having a transparent curved shape is scanned three-dimensionally using a laser beam as a light source for inspection, and the coordinates of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shape are measured. Based on this data, Laser patterning can be performed on the surface. Here, the laser for laser patterning may be one of nanoseconds, picoseconds, or femtosecond lasers. For example, the wavelength of the laser beam may be greater than 100 nm and less than 10000 nm, and the repetition rate may be from 1 Hz to several hundred GHz.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상 인식부(200)는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e) 또는 이광자 현미경(two-photon microscope)를 포함하여 3차원 가공대상체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공초점 현미경은 공초점 원리를 이용한 현미경으로서, 이를 포함하는 형상 인식부(200)는 레이저 빔에서 3차원 가공대상체의 초점과 맞지 않는 광은 제거하고 3차원 가공대상체의 초점과 일치하는 광만을 사용함으로써 3차원 가공대상체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인식부(200)는, 이광자 흡수 현상을 이용한 이광자 현미경을 포함하여 3차원 가공대상체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may recognize a shap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including a confocal microscope or a two-photon microscope. Here, the confocal microscope is a microscope using a confocal principle, and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including the same removes light that does not match the focus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in the laser beam and outputs only the light that coincides with the focus of the object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can be recognized. Further, the shape recognition unit 200 can recognize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ncluding the two-photon microscope using two-photon absorption phenomenon.

한편, 제어부(400)는 곡면을 가진 3차원 가공대상체의 표면에 패터닝을 하기 위해, 형상인식부에 의해 전달받은 표면정보를 입력하여, x축, y축, z축의 초점 위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x축 및 y축의 2차원 초점 위치 데이터는 스캔 헤드(332)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z축의 초점 위치 데이터는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332)이 제어함으로써 3차원 패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수정체 표면에 마이크로 단위에서 나노 단위의 패턴 폭과 패턴 깊이를 갖는 미세 패턴을 제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erform patterning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having a curved surface, the controller 400 inputs surfac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hape recognition unit and extracts focus position data of the x-, y-, and z- have. Based on this data, the two-dimensional focal position data of the x-axis and the y-axis can be controlled by the scan head 332. Further, the focus position data of the z axis can be controlled by the dynamic focusing module 332 to control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data in real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micro pattern having a pattern width and a pattern depth in units of nanometers on the surface of an artificial len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낭 패터닝 장치는 레이저 간섭계,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e), 이광자 현미경(two-photon microscope) 중 하나를 포함하여, 생체이식체, 예를 들어 투명한 곡면을 갖는 인공수정체의 3차원 표면 형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3차원 가공대상체의 표면 상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마이크로 크기에서 나노 크기의 패턴 폭과 패턴 깊이를 제작할 수 있다. 물론, 레이저 패터닝하기 위한 레이저는 나노초, 피코초, 또는 펨토초 레이저 중 하나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osterior-capsule patte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osterior-capsule-type imaging device including one of a laser interferometer, a confocal microscope, and a two-photon microscope, Dimensional surface profile inform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Based on this, a laser beam is irradiated on the surfac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to produce nano-sized pattern widths and pattern depths in a micro size. Of course, the laser for laser patterning may be one of nanoseconds, picoseconds, or femtosecond lasers.

이로써, 3차원 가공대상체(1)의 표면에 레이저 패터닝시, 패턴 센터링 불량, 패턴 끊김 불량, 패턴 중첩 불량, 제품 표면 흠집 불량 등을 극복할 수 있다.Thus, when laser patterning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1, it is possible to overcome pattern centering defects, pattern breakage defects, pattern overlap defects, defective product surface defects, and the lik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부(300)에 의해 후낭(112)에 패턴이 가공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이 가공된 가공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that a pattern is processed in a posterior bag 112 by a laser irradiation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ed part in which a pattern is pro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9를 참조하면, 레이저 조사부(300, 300a)는 후낭(12)에 패턴을 가공하기 위해 레이저(301, 301a)를 조사할 수 있다. 레이저 가공은 원형의 후낭(112)에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는 제1수정체(10)를 취출하고 난 후에 혼탁물을 형성하는 잔류 상피세포가 있는 지점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후낭(112)의 가장자리가 되는 경우 평면측(Z 축방향)에서는 레이저 조사부(300)가 원형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사되는 레이저는 제1수정체(10)가 취출될 시에 각막이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절개되지 않을 경우 각막(140)을 레이저가 통과하여 후낭(112)에 도달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laser irradiation units 300 and 300a may irradiate the laser 301 and the laser 301a to process the pattern in the posterior capsule 12. FIG. The laser processing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circular posterior bag 112. For example, when the edg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is the edg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the edge of the posterior capsule 112 is located on the plane side (Z-axis direction) The irradiation unit 300 can be moved in a circular shape. The irradiated laser may reach the posterior capsule 112 by passing the laser through the cornea 140 if the cornea is not incised so as to open upward when the first lens 10 is taken out.

도 10을 참조하면, 레이저(301)에 의해 가공된 패턴(W)은 후낭(112)에 형성되되, 기 결정된 선폭, 선폭 간격 및 깊이의 요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의 선폭 및 선폭의 간격은 예를 들어, 800nm가 될 수 있다. 깊이는 레이저(301)의 출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홈 또는 요부를 포함하는 요철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가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pattern W processed by the laser 301 is formed in the posterior capsule 112,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irregularities of predetermined line width, line width, and depth. The line width and line width of the irregularities may be, for example, 800 nm. The depth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laser 301, but can be process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irregularities including the grooves or recesses can be maintain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W)의 평면측 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plan view of a pattern 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패턴(W)의 형상은 원형의 후낭(112)에서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패턴(W)은 다수 개의 제1패턴(W1)이 형성될 때, 서로 제1패턴(W1) 간의 연결없이 각각의 제1패턴(W1)이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shape of the pattern W may be formed adjacent to an edge of the circular rear bag 112. The first pattern W1 may be formed independently from the first pattern W1 with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atterns W1 when the first patterns W1 are formed. .

나아가, 각각의 제1패턴(W1)이 서로를 연결시키는 제2패턴(W2)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패턴의 형상은 상기 상피세포의 증식에 의해 혼탁물이 점차 제2수정체(20)측으로 번져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피세포의 증식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Furthermore, each first pattern W1 may be connected by a second pattern W2 connecting them. The shape of such a pattern may be a structure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proliferation of epithelial cells in order to prevent the turbid substances from gradually spreading toward the second lens 20 by the proliferation of the epithelial cells.

따라서, 도 11(a) 및 도 11(b)에 개시한 패턴(W)의 구조는 제1패턴(W1) 및 제2패턴(W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패턴(W)은 상피세포의 증식방향을 결정하는 “증식로”로써 균의 차단 및 이동을 결정할 수 있다. 아래의 도 12에서 패턴(W)의 깊이 및 폭의 예시를 통해 패턴(W)을 설명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pattern W disclosed in Figs. 11 (a) and 11 (b)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pattern W1 and the second pattern W2, Of course it is. Such a pattern W can determine the blocking and migration of the bacteria as a " proliferation pathway "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proliferation of epithelial cells. 12, the pattern W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f the depth and the width of the pattern W.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형상의 패턴(W)의 요부의 깊이 및 폭을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depth and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o-convex pattern 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패턴(W)에 포함되는 요부는 폭이 83μm 내지 228 μm가 될 수 있고, 요부의 깊이는 70μm 내지 223μm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recesses included in the pattern W may have a width of from 83 to 228 m, and a depth of the recess may be 70 to 223 m.

그리고, 패턴의 단면형상은 기 결정된 형상일 수 있고, RIDGE, GROOVE, DEPTH에 따라 변경가능하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attern may be a predetermined shape,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RIDGE, GROOVE, DEPTH.

또한,패턴의 평면측 형상은 원형, 빗살형, 원호 및 나노표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nar side of the pattern may be a shap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ircle, a comb, an arc, and a nano-surfa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 : 취출기
10 : 제1수정체
20 : 제2수정체
100 : 안구
110 : 수정체
111 : 삽입부
112 : 후낭
120 : 유리체
130 : 진대
140 : 각막
150 : 홍체
160 : 모양체
170 : 동공
200 : 형상인식부
201 : 인식파
210 : 인식부
220 : 보정부
300 : 레이저 조사부
301 : 레이저
310 : 레이저 발생부
320 : 빔 익스펜더
330 : 빔 조절부
331 : 다이나믹 포커스 모듈
332 : 스캔 헤드
350 : 집광부
400 : 제어부
W : 패턴
W1 : 제1패턴
W2 : 제2패턴
1: take out machine
10: First lens
20: Second lens
100: eyeball
110: lens
111:
112: posterior capsule
120: vitreous body
130: Shimada
140: cornea
150: iris
160: ciliary body
170: pupil
200:
201: Recognition wave
210:
220:
300: laser irradiation unit
301: Laser
310: laser generator
320: beam expander
330: beam regulator
331: Dynamic Focus Module
332: scan head
350: Collector
400:
W: pattern
W1: 1st pattern
W2: Second pattern

Claims (16)

안구로부터 제1수정체가 취출되고,
제2수정체가 삽입되는 상기 제1수정체가 제거된 공간 측으로 후낭에 대하여 형상인식부가 3차원 형상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3차원 형상을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후낭의 상기 3차원 형상을 레이저 조사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3차원 형상에 따라 레이저 조사부가 레이저를 조사하여, 후낭에 기 결정된 패턴을 형성하는, 후낭 패터닝 방법.
The first lens is taken out from the eyeball,
The shap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shape recogni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posterior capsule as a space side from which the first lens is inserted,
Transmits the recognized three-dimensional shape to the control unit,
Dimensional shape of the posterior capsule to the laser irradiation unit from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laser irradiating part irradiates the laser with the laser beam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in the posterior caps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레이저에 의해 가공되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요철이 하나 이상 포함되는, 후낭 패터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ttern may be,
Wherein at least one unevenness processed by the laser and formed independently is includ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레이저에 의해 가공되고,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요철이 포함되는, 후낭 패터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ttern may be,
And a plurality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that are processed by the las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후낭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형성되는, 후낭 패터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tern is formed to be centered from an edge of the posterior caps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인식부는,
상기 후낭의 XY 평면 상인 2차원의 왜곡 및 상기 XY 평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인 Z 방향의 왜곡을 포함한 3차원의 왜곡을 보정한 상기 3차원 형상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후낭 패터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pe recognition unit
Dimensional shape including the two-dimensional distortion in the XY plane of the posterior capsule and the three-dimensional distortion including the distortion in the Z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XY plan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부;
상기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상기 레이저가 통과되는 빔 익스펜더; 및
상기 빔 조절부를 통과한 상기 레이저가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Z 방향의 위치값에 대응되는 곳에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 및 상기 Z 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의 평면인 XY 평면의 위치값에 대응되는 곳에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스캔 헤드를 포함하는 빔 조절부;를 포함하는 후낭 패터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ser irradiation unit
A laser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laser;
A beam expander through which the laser generated from the laser generating unit passes; And
A dynamic focusing module that receives the laser beam passed through the beam adjusting unit and positions the laser irradiating unit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value in the Z direc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And a beam adjuster including a scan head for positioning the laser irradiator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valu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빔 조절부는 레이저가 외측으로 조사되는 측에 위치되는 집광부를 더 포함하는, 후낭 패터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beam adjusting section further comprises a light collecting section located on a side where a laser is radiated out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조사는,
나노초, 피코초 및 펨토초 중 하나의 단위로 조사되어 상기 기 결정된 패턴을 형성하는, 후낭 패터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rradiation of the laser is carried out,
Nanosecond, picosecond, and femtosecond to form the predetermined pattern.
안구에서 혼탁물이 증식된 제1수정체가 취출되어 노출되는 후낭의 표면의 형상을 인식하는 형상인식부; 및
상기 형상인식부가 인식한 상기 형상의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후낭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기 결정된 패턴을 가공하는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은,
상기 제1수정체를 대체하여 위치되는 상기 제2수정체에 상기 혼탁물이 증식되지 않도록 가공되되, 상기 후낭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후낭 패터닝 장치.
A shap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shape of a surface of a posterior capsule from which an opaque first fluid is extracted and exposed; And
And a laser irradiating unit for irradiating the posterior capsule with a predetermined pattern by being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shape recognized by the shape recognizing unit,
The pattern may be,
Wherein the second lens is disposed in place of the first lens so that the opacity is not propagated to the second lens and is formed adjacent to an edge of the rear bag.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레이저에 의해 가공되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요철이 하나 이상 포함되는, 후낭 패터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pattern may be,
Wherein at least one unevenness processed by the laser and formed independently is includ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레이저에 의해 가공되고,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요철이 포함되는, 후낭 패터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pattern may be,
And a plurality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that are processed by the las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후낭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형성되는, 후낭 패터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attern is formed from the edge of the posterior to the cent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형상인식부는,
상기 후낭의 XY 평면 상인 2차원의 왜곡 및 상기 XY 평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인 Z 방향의 왜곡을 포함한 3차원의 왜곡을 보정한 상기 3차원 형상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후낭 패터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shape recognition unit
Dimensional shape including the two-dimensional distortion in the XY plane of the posterior capsule and the three-dimensional distortion including the distortion in the Z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XY plane to the control uni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부;
상기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상기 레이저가 통과되는 빔 익스펜더; 및
상기 빔 조절부를 통과한 상기 레이저가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Z 방향의 위치값에 대응되는 곳에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다이나믹 포커싱 모듈, 및 상기 Z 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의 평면인 XY 평면의 위치값에 대응되는 곳에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스캔 헤드를 포함하는 빔 조절부;를 포함하는, 후낭 패터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laser irradiation unit
A laser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laser;
A beam expander through which the laser generated from the laser generating unit passes; And
A dynamic focusing module that receives the laser beam passed through the beam adjusting unit and positions the laser irradiating unit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value in the Z direc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And a beam adjuster including a scan head for causing the laser irradiator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valu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빔 조절부는 레이저가 외측으로 조사되는 측에 위치되는 집광부를 더 포함하는, 후낭 패터닝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beam adjusting section further comprises a light collecting section located on a side where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조사는,
나노초, 피코초 및 펨토초 중 하나의 단위로 조사되어 상기 기 결정된 패턴을 형성하는, 후낭 패터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irradiation of the laser is carried out,
Nanoseconds, picoseconds, and femtoseconds to form the predetermined pattern.
KR1020170145480A 2017-11-02 2017-11-02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KR201900501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80A KR20190050187A (en) 2017-11-02 2017-11-02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80A KR20190050187A (en) 2017-11-02 2017-11-02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187A true KR20190050187A (en) 2019-05-10

Family

ID=6658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480A KR20190050187A (en) 2017-11-02 2017-11-02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018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271A (en) 2020-09-04 2022-03-1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un light electric generator for detecting malfunction pan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807A (en) 2014-10-06 2016-04-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Intraocular lens with fine patter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807A (en) 2014-10-06 2016-04-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Intraocular lens with fine patt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271A (en) 2020-09-04 2022-03-1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un light electric generator for detecting malfunction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017B1 (en) Laser patterning apparatus for 3-dimensional object and method
US10292867B2 (en) Ophthalmological laser system
US11446180B2 (en) Laser fiducials for axis alignment in cataract surgery
US107584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eye tissue and intraocular lenses
US201800852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eye tissue and intraocular lenses
EP2804571B1 (en) Adjusting laser energy in accordace with optical density
KR101801028B1 (en) Laser patterning apparatus for 3-dimensional object
KR101862364B1 (en) Crosslinking control
KR101753710B1 (en) System, interface devices, use of the interface devices and method for eye surgery
JP65806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rneal topography, blink detection, and laser eye surgery system
JP65805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laser keratotomy for corneal transplantation
CN108366876B (en) System for modifying eye tissue and intraocular lens
CN109152659A (en) Ophthalmological surgery method
CN107072816B (en) Ophthalmic surgical method
KR2019005018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KR20190050188A (en) Intraocular including substabce inducing cell and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50724A (en) Intraocular including substabce inducing cell and manufactur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