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336A -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336A
KR20190049336A KR1020180012625A KR20180012625A KR20190049336A KR 20190049336 A KR20190049336 A KR 20190049336A KR 1020180012625 A KR1020180012625 A KR 1020180012625A KR 20180012625 A KR20180012625 A KR 20180012625A KR 20190049336 A KR20190049336 A KR 20190049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tected person
voice
signal
b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기
Original Assignee
정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기 filed Critical 정문기
Publication of KR2019004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의 제어부는, 음성정보 및 디바이스 착용자의 생체신호 정보로부터, 음성이 소정 크기 이상이고,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임을 판단하여, 응급상황을 알리는 응급상황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SYSTEM FOR ALARMING EMERGENCY CASE BASED ON VIOCE AND BIOSIGNAL}
본 발명은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납치, 유괴와 같은 강력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예방대책의 필요성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강력 범죄는 시간이 흐를수록 고도화 및 지능화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예방 및 대응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강력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위험상황을 보호자에게 알리거나 사용자의 위치를 보호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응급상황을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의 (a)는 피보호자가 손목에 스마트밴드를 착용하면, 비콘기반으로 보호자와 일정 거리 이상을 이탈하였음을 보호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의 경우 피보호자가 일정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위치파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의 (b)는 상용망을 활용하는 시스템으로서, 피보호자가 손목에 착용하고 보호자의 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나, 상용망을 사용하므로 비용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의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불필요한 기기조작(예를 들어 특정 버튼을 길게 누름)이 요구되므로 피보호자가 보호자의 단말로 자신의 응급상황을 신속하게 알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피보호자의 응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존재하나,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실제 상황에서 활용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새로운 대응책의 마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보호자의 음성과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보호자의 이동단말로 신속하게 피보호자의 상황을 전송함으로써, 피보호자의 응급상황을 보호자에게 알리는,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보호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일실시예의 디바이스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확인부;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음성인식부; 피보호자의 생체신호를 인식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신호 인식부; 피보호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제스처 정보를 생성하는 제스처 인식부; 및 상기 위치정보, 상기 음성정보, 상기 생체신호 정보 및 상기 제스처 정보를 보호자의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이동단말은, 디스플레이부; 제1항의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상기 위치정보, 상기 음성정보, 상기 생체신호 정보 및 상기 제스처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음성정보 및 상기 생체신호 정보로부터, 음성이 소정 크기 이상이고, 피보호자의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임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응급상황을 알리는 응급상황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응급상황 메시지와 함께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정보로부터, 피보호자가 상기 디바이스를 신체 소정부위에 착용하는 것을 확인하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정보로부터, 피보호자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피보호자의 응급상황을 알리는 상기 응급상황 메시지를 외부 서버로 제2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응급상황 메시지와 함께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피보호자의 음성이 소정 크기 이상이고, 생체신호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이를 보호자의 이동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외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피보호자가 어떠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없이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으므로, 예측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감시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피감시자의 위해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므로, 사회 안전망 구축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응급상황을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바이스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 이동단말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피보호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 이하 '디바이스'라 함)와 보호자의 이동단말(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디바이스(1)를 착용하는 대상을 '피보호자'로 하고, 이동단말(2)을 소지하는 대상을 '보호자'로 설정하여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어 디바이스(1)를 착용하는 대상이 '피감시자'이고, 이동단말(2)을 소지하는 대상이 '감시자'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서, 디바이스(1)를 피보호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형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보호자의 신체의 어떠한 부위에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목걸이 형태로 목에 착용할 수도 있고, 또는 발목에 착용하는 밴드형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1)는 피보호자의 음성과 생체신호, 피보호자의 위치정보 및 움직임 정보를 보호자의 이동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디바이스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디바이스(1)는, 통신부(10), 위치확인부(11), 음성인식부(12), 생체신호 인식부(13) 및 움직임 인식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는 이동단말(2)로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0)는 이동단말(2)과 상용망(예를 들어 4G 또는 5G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무선랜(Wireless Lan(WLAN))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설정에 의해 통신부(10)가 보호자의 이동단말(2)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미리 보호자가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위치확인부(11)는 예를 들어 위성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모듈로서, 디바이스(1)가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인식부(1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서, 피보호자 또는 부근의 다른 대상의 음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체신호 인식부(13)는 피보호자의 생체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생체신호 인식부(13)가 인식하는 생체신호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생체신호 인식부(13)는 광용적맥파(Photo PlethysmoGraph, PPG)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맥파를 인식할 수도 있고, 심박센서(heart monitoring sensor, HRM)모듈을 포함하여 심박수를 인식할 수도 있고,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심전도를 인식할 수도 있으며,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뇌파를 인식할 수도 있고,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근전도를 인식할 수도 있고, 안구전도(electrooculogram, EOG)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안구전도를 인식할 수도 있고, 전기피부반응(galvanic skin response, GSR)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GSR을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며, 그외 다양한 생체신호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체신호 인식부(13)는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생체신호 인식부(13)는 피보호자의 생체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움직임 인식부(14)는 피보호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6축센서일 수 있다. 6축센서는 가속도센서(accelerometer)와 각속도센서(gyroscope)가 결합된 센서로서, 피보호자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움직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바이스(1)는 피보호자의 위치정보, 음성정보, 생체신호정보 및 제스처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통신부(10)를 통해 이동단말(2)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바이스(1)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는 디바이스(1)의 몸체부(추후 설명)의 전면에 LCD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발광 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출력부를 통해, 이동단말(2)로부터 응급상황이 확인된 경우, 소정 신호를 통신부(10)를 통해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보호자의 이동단말(2)은, 디바이스(1)를 착용하는 피보호자의 위치정보, 음성정보, 생체신호 정보 및 제스처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로부터 피보호자의 현재 상태 및 이와 관련한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상황에 따라 여러 서버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동단말(2)의 제어부(추후 설명)는 119 서버(3)로 이를 알리고, 피보호자의 현재 위치를 알릴 수 있으며, 피보호자가 납치된 경우 이를 112 서버(4)로 알리고, 피보호자의 현재 상황 및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또는 이동단말(2)의 제어부는 피보호자가 집으로 향하고 있는 등,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황을 판단한 경우, 피보호자 댁내의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서버(5)로 소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각각의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이동단말(2)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이동단말(2)은 제어부(20), 통신부(21), 사용자 입력부(22), 디스플레이부(23) 및 저장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동단말의 구성이 이보다 많을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이동단말(2)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자가 소지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형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패드형 컴퓨터일 수도 있고, 랩탑형 컴퓨터일 수도 있을 것이다.
통신부(21)는 피보호자가 착용하는 디바이스(1)의 통신부(10)로부터 소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의 각종 서버(3~5)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1)는 디바이스(1)와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과, 외부 각종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모듈은 디바이스(1)와 통신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디바이스(1)의 통신부(10)와 동일한 통신방식의 통신모듈일 수 있다. 또한, 제2통신모듈은 외부의 서버(3~5)와 데이터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모듈(예를 들어, 상용망 통신모듈, 무선랜 통신모듈 등)일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22)는 사용자가 이동단말(2)의 동작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는 이동단말(2)의 제어부(20)에서 처리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는 제어부(20)가 피보호자가 응급상황인 것으로 결정한 경우, 이를 보호자가 시각적으로 열람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이동단말(2)은 디스플레이부(23)외에,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보호자가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오디오를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장부(24)는 제어부(20)가 처리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피보호자가 착용하는 디바이스(1)로부터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피보호자의 현태 상태를 확인하고, 응급상황인 것을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3)에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통신부(21)를 통해 외부 서버(3~5)로 해당 상황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제어부(2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피보호자가 디바이스(1)를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경우, 응급상황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S51). 도 6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1)의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는 스트랩(1A)과 본체부(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시된 일예에서, 본체부(1B)가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체부(1B)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1)의 구성요소인, 통신부(10), 위치확인부(11), 음성인식부(12), 생체신호 인식부(13) 및 움직임 인식부(14)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0)는 피보호자가 스트랩(1A)을 손목에 착용하는 경우, 움직임 인식부(14)의 제스터 정보로부터 디바이스(1)를 착용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는 생체신호 인식부(13)의 생체신호 정보가 통신부(10)를 통해 전송되기 시작하면 디바이스(1)를 착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20)는, 피보호자가 디바이스(1)를 착용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3)를 통해 보호자가 확인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는 통신부(10)를 통해 디바이스(1)로부터 위치정보, 음성정보, 생체신호 정보 및 제스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S52), 제스처 정보로부터 피보호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53).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20)는, 제스처 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피보호자의 상태와 관련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3)를 통해 보호자가 인식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가 본체부(1B)를 3회 두드리면, 움직임 인식부(14)는 해당 제스처 정보를 제어부(20)로 전송하고, 제어부(20)는 해당 제스처에 의해, 피보호자가 곧 수영을 할 것임을 보호자의 이동단말(2)의 디스플레이부(23)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스처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정보는, 피보호자와 보호자가 미리 이동단말(2)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가능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24)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저장부(24)는 다양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피보호자의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피보호자가 디바이스(1)를 착용하고 수행하는 제스처에 따라 현재 피보호자의 상태를 디스플레이부(23)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스처는, 피보호자가 의식적으로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지만, 제어부(20)가 학습을 통하여 피보호자가 특정 동작을 하는 경우, 피보호자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예를 들어, 피보호자가 디바이스(1)를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레칭을 하는 경우, 해당 제스처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20)는 피보호자가 곧 운동을 할 것으로 예상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를 디스플레이부(23)를 통해 보호자에게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이후로도, 제어부(20)는 디바이스(1)로부터 위치정보, 음성정보, 생체신호 정보 및 제스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S54), 이중, 피보호자의 음성정보(즉, 목소리)가 소정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S55), 다시 생체신호 정보를 확인하여, 생체신호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56), 피보호자의 응급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S57).
즉, 제어부(20)는, 피보호자의 목소리가 일정 크기 이상이고, 생체신호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피보호자의 응급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보통, 목소리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응급상황임을 확인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하면, 목소리가 일정 크기 이상이고, 예를 들어 맥박 또는 심박수(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응급상황을 확인하는 생체신호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가 피보호자의 정상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응급상황에 해당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목소리를 통해 응급상황을 확인하는 경우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20)가 수신하는 음성정보는 피보호자의 음성정보일 필요는 없으며, 피보호자 주위에서 음성인식부(12)가 인식할 수 있는 대상의 음성정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제어부(20)는, 피보호자의 음성정보로부터 피보호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피보호자의 현재 상황을 확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보호자의 응급상황을 전달할 외부서버를 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20)는 피보호자의 응급상황을 외부서버로 알릴 수 있다(S58).
이와 동시에, 디바이스(1)의 통신부(10)로 응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여, 디바이스(1)의 출력부가 응급상황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출력부가 LED로 구성되고, 제어부(20)로부터 응급상황에 해당하는 신호를 통신부(10)가 수신한 경우, LED가 점멸하여 응급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단말(2)로부터 응급상황에 해당하는 신호를 디바이스(1)가 수신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별도의 서버로부터 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가 '불이야'라고 외친 경우, 이에 대한 음성정보를 확인한 제어부(20)는 119 서버(3)를 선정하고, 현재 피보호자의 위치정보와, 현재 피보호자의 상황정보를 119 서버(3)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동시에, 피보호자가 현재 위험에 처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피보호자의 현재 위치를 이동단말(2)의 디스플레이부(23)를 통해 보호자가 열람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피보호자의 디바이스(1)의 출력부를 통해 응급상황에 해당함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어린이인 피보호자가 길을 잃은 경우, '엄마'와 같은 보호자의 이름을 부르거나 또는 울음을 터뜨리는 동시에 심박수 또는 맥박((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응급상황을 확인하는 생체신호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이 정상범위를 넘어설 수 있다. 이를 확인한 제어부(20)는 보호자의 이동단말(2)에 피보호자의 위치와 함께 피보호자가 길을 잃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119 서버(3) 또는 112 서버(4)를 선정하여 피보호자의 현재 위치와 피보호자의 상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디바이스(1)를 착용한 대상자가 피감시자인 경우, 음성정보로부터 타인의 목소리가 소정 크기 이상이고, 피감시자의 생체신호 정보로부터 소정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20)는 112 서버(4)에 피감시자가 감시가 요구됨을 알리는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디바이스(1)를 착용한 대상자가 동물인 경우를 생각할 수도 있다. 동물의 경우 디바이스(1)는 동물의 피부에 부착되는 방식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경우, 동물의 음성이 소정 크기 이상이고, 동물의 생체신호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20)는 관리서버(도시되지 않음)에 동물에 대한 확인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보호자의 음성이 소정 크기 이상이고, 생체신호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이를 보호자의 이동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외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피보호자가 어떠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없이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으므로, 예측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감시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피감시자의 위해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므로, 사회 안전망 구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이동단말
3, 4, 5: 외부서버 10: 통신부
11: 위치확인부 12: 음성인식부
13: 생체신호 인식부 14: 움직임 인식부
20: 제어부 21: 통신부
22: 사용자 입력부 23: 디스플레이부
24: 저장부

Claims (7)

  1. 피보호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확인부;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음성인식부;
    피보호자의 생체신호를 인식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신호 인식부;
    피보호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제스처 정보를 생성하는 제스처 인식부; 및
    상기 위치정보, 상기 음성정보, 상기 생체신호 정보 및 상기 제스처 정보를 보호자의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디스플레이부;
    제1항의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상기 위치정보, 상기 음성정보, 상기 생체신호 정보 및 상기 제스처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음성정보 및 상기 생체신호 정보로부터, 음성이 소정 크기 이상이고, 피보호자의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임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응급상황을 알리는 응급상황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응급상황 메시지와 함께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이동단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정보로부터, 피보호자가 상기 디바이스를 신체 소정부위에 착용하는 것을 확인하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이동단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정보로부터, 피보호자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이동단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보호자의 응급상황을 알리는 상기 응급상황 메시지를 외부 서버로 제2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이동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응급상황 메시지와 함께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단말.
KR1020180012625A 2017-10-30 2018-02-01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 KR20190049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2323 2017-10-30
KR1020170142323 2017-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336A true KR20190049336A (ko) 2019-05-09

Family

ID=6654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625A KR20190049336A (ko) 2017-10-30 2018-02-01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93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671B2 (en) Wearable devices for sensing and communicating data associated with a user
KR102185224B1 (ko) 작업자와 작업환경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US7502498B2 (en)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JP5438725B2 (ja) リアルタイム生理学的監視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647268B2 (en)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US20150320359A1 (en) Wearable mini-siz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JP2008503268A5 (ko)
KR101584090B1 (ko) 미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US20150077245A1 (en) Detecting and responding to sentinel events
Zubiete et al. Review of wireless sensors networks in health applications
US20100315228A1 (en) Wearable data hub for first responders
WO2006111948A2 (en) A system for automatic structured analysis of body activities
US8823512B2 (en) Sensor with remote communications capability
CN108937886A (zh) 一种医院患者安全管理方法及系统
CN110179442A (zh) 患病者实时监护系统
KR20160122470A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1161509A (zh) 脑电波触发的非接触式报警装置及其报警检测方法
KR20090123041A (ko) 헬멧 형 유비쿼터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KR101754576B1 (ko) 탈착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신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9336A (ko) 음성 및 생체신호 기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
CN112136162A (zh) 用于将紧急情况消息传达给护理提供者的腕戴式医学警报设备
KR101364638B1 (ko) 화생방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 검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847476B1 (ko) Csf 플랫폼 연계를 통한 작업자 중심의 증강현실용 생체신호기반 스마트 작업헬멧
CN220651402U (zh) 一种预防意外伤害的多功能可穿戴设备
CN114190926B (zh) 基于可穿戴设备的运动状态监测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