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866A - 공정 시스템 부생가스 배관의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정 시스템 부생가스 배관의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866A
KR20190048866A KR1020170144128A KR20170144128A KR20190048866A KR 20190048866 A KR20190048866 A KR 20190048866A KR 1020170144128 A KR1020170144128 A KR 1020170144128A KR 20170144128 A KR20170144128 A KR 20170144128A KR 20190048866 A KR20190048866 A KR 20190048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ensor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water level
ga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675B1 (ko
Inventor
김병주
채호진
Original Assignee
(주)에어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릭스 filed Critical (주)에어릭스
Priority to KR102017014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6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제철소 등에 설치되어 부생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감시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은 수위센서 단말과, 가스센서 단말과,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와, 현장알람 단말과,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수위센서 단말은 수봉변에 설치되어 센싱된 수봉변의 수위 정보를 가스센서 단말에 전송하고, 가스센서 단말은 수봉변 주위에 적어도 둘 이상 설치되어 누출가스를 설정된 주기로 감지하고 가스누출 감지 시 주변에 위험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며, 현장알람 단말은 가스누출 시 위험신호를 부저와 LED 알람등으로 표시하고,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는 감시지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가스센서 단말에서 수신된 가스센싱 정보와 수위센싱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하고, 관리서버는 수신된 가스센싱 정보와 수위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수봉변 별로 가스누출 여부 및 수봉변 수봉 여부를 표시하고 모니터링하며 가스센싱 정보로부터 누출된 수봉변과 누출 구간을 추정한다.

Description

공정 시스템 부생가스 배관의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GAS LEAKAGE}
제안된 발명은 제철소 등에서 부생가스 배관의 가스누출을 감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가스의 누출을 감시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COG(Coke Oven Gas) 등과 같은 부생가스는 발전용과 조업용으로 사용되므로 가스 배관을 통해 각종 공장과 설비로 이동된다. 이때의 가스 배관은 대형 배관으로 기계식 밸브의 설치가 어려워 물의 수두압으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수봉변을 설치하여 필요 시 부생가스의 흐름을 차단한다.
수봉변은 가스 배관의 특정 구간을 브이(V)자 모양으로 변형한 곡관부에 물을 가스 압력의 대략 1.5 배 내지 1.8배 정도의 수두압을 갖도록 채워 가스의 흐름을 차단한다.
수봉변 수봉 시 가스의 흐름이 차단되어 가스 압력이 올라가게 되고 그로 인해 가스누출의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수봉변 주위로 가스누출을 감지하고 누출 감시 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들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제안된 발명은 수봉변이 수봉되어 부생가스 흐름이 차단되는 때와 수봉 해제되어 부생가스 흐름이 차단되지 않는 때를 구분하여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가스센서가 감지 주기를 달리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안된 발명은 수봉변 주변의 작업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작업자 존재 시 집중적으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정밀하고 보호하는 방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안된 발명은 누출된 가스의 성분을 분석하여 부생가스 종류를 식별하고 누출된 배관 구간을 추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은 수위센서 단말과, 가스센서 단말과,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와,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수위센서 단말은 부생가스 배관의 수봉변에 설치되며, 수위센서부와, 제1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수위센서부는 수봉변 수위를 감지하고, 제1 무선통신부는 수위센싱 정보를 가스센서 단말에 전송한다.
가스센서 단말은 부생가스 배관의 수봉변 주위에 적어도 둘 이상 설치되며, 가스센서부와, 제1 무선통신부와, 제2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가스센서부는 수봉변 주위의 누출가스를 설정된 제1 주기로 감지하고, 제1 무선통신부는 수위센서 단말과 통신하고, 제2 무선통신부는 가스센싱 정보와 수신된 수위센싱 정보를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로 전송한다.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는 감시지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제2 무선통신부와 유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제2 무선통신부는 가스센서 단말과 제2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연결되고, 유선통신부는 제2 무선통신부로 수신된 가스센싱 정보와 수위센싱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한다.
관리서버는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와 유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가스센싱 정보와 수위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수봉변 별로 가스누출 여부 및 수봉변 수봉 여부를 표시하고 모니터링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은 현장 알람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가스센서 단말은 알람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장 알람단말은 가스센서 단말과 일대일로 결착되고, 부저(Buzzer)와, LED 알람등과, 가스센서 단말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알람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알람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센서 단말의 알람요청부는 가스누출 감지 시 알람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가스센서 단말은 모드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모드변경부는 수위센서 단말이 수봉변 수봉 시 전송하는 웨이크-업(Wake-up) 신호에 따라 가스누출 감지 주기를 제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주기로 변경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수위센서 단말은 수봉변 주변에 작업자가 존재하는 경우 웨이크-업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가스센서 단말의 모드변경부가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가스 감지 주기를 제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관리서버는 수신된 가스센싱 정보로부터 누출된 부생가스 종류를 식별하여 부생가스가 누출된 구간을 추정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은 수봉변 수봉 시에만 집중적으로 누출가스를 감지할 수 있어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발명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은 수봉변 주변에 작업자 존재 시에만 집중적으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정밀하고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발명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은 누출된 가스의 성분을 분석하여 부생가스 종류를 식별하고 누출된 배관 구간을 추정할 수 있어 누출구간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수봉변 주변에 설치되는 센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수봉변 수봉 여부에 따른 가스누출 측정주기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에서 작업자 인지 여부에 따른 가스누출 측정주기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부생가스 종류에 따른 주요성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블럭도의 각 블럭은 어느 경우에 있어서 물리적인 부품을 표현할 수 있으나 또다른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물리적인 부품의 기능의 일부 혹은 복수의 물리적인 부품에 걸친 기능의 논리적인 표현일 수 있다. 때로는 블럭 혹은 그 일부의 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집합(set)일 수 있다. 이러한 블럭들은 전부 혹은 일부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은 수위센서 단말(100)과, 가스센서 단말(200)과, 현장알람 단말(300)과,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와, 관리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위센서 단말(100)은 수위센서부(110)와, 제1 무선통신부(120)와, CPU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부(110)는 수봉변의 수위를 감지하고, 수위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가스센서 단말(200)로 전송한다. 또한, 수봉변 수봉 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센서 단말(200)은 가스센서부(210)와, 제1 무선통신부(220)와, 제2 무선통신부(230)와, 모드변경부(240)와, 알람요청부(250)와, 위험신호 발신부(260)와, 흡입팬(270)과, 흡입구(280)와, CPU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센서부(210)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가스누출을 감지하고, 가스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220)는 수위센서 단말(100)로부터 수위정보를 수신하고, 가스센서 단말의 제2 무선통신부(230)를 통해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로 수신된 수위정보와 측정된 가스센싱 정보를 전송하고, 모드변경부(240)는 수위센서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가스센서부(210)의 측정주기를 변경하고, 알람요청부(250)는 가스누출을 감지한 경우 결착된 현장알람 단말(300)로 알람발생을 요청하고, 위험신호 발신부(260)는 가스누출 알람을 브로드캐스팅한다. 가스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가스는 흡입구(280)를 통해 유입되며 흡입팬(270)이 회전하며 가스를 흡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현장알람 단말(300)은 부저(Buzzer, 310)와, LED 알람등(320)과, 알람수신부(330)와, CPU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부저(310)는 알람음을 발생시키고 LED 알람등(320)은 시각적으로 위험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등을 점멸한다. 알람수신부(330)는 가스센서 단말(200)로부터 알람요청을 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는 제2 무선통신부(410)와, 유선통신부(420)와,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의 제2 무선통신부(410)는 가스센서 단말(200)로부터 수위센싱 정보와 가스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유선통신부(420)는 수신된 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서버(500)는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수봉변 별로 가스누출이 발생했는 지와 수봉변의 수봉 여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모니터링한다.
일 양상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은 수위센서 단말(100)과, 가스센서 단말(200)과,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와, 관리서버(500)를 포함한다.
부생가스는 제철소의 생산공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로 각 공정에 따라 코크스로 가스(Coke Oven Gas, COG), 고로 가스(Blast Furnace Gas, BFG), 전로 가스(Linze Donawitz Gas, LDG), 파이넥스 가스(Finex Off Gas, FOG) 등으로 분류된다.
제철소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 부생가스를 재활용하고 있다. 즉, 각 공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부생가스를 대기 중으로 뿜어내지 않고 활용하는 것이다. 부생가스를 모아 각종 가열공정과 발전소의 원료로 사용한다.
제철소 등과 같은 현장에는 부생가스가 이동하는 대형의 배관이 부생가스 종류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으며, 부생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각 부생가스 배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봉변이 설치되어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수위센서 단말(100)은 부생가스 배관의 각각의 수봉변에 설치되며, 수위센서부(110)와, 제1 무선통신부(120)와, CPU와, 배터리를 포함한다.
수위센서부(110)는 수봉변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는 수봉변의 배출관로 내에 차오르는 물에 의한 부력으로 떠오르는 부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의하면, 길이가 서로 다른 전극봉을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수위센서부(11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로직이나 게이트 어레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수위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120)는 후술할 가스감지 센서와 제1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통신하여 측정된 수위센싱 정보를 전송한다.
수위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12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로직이나 게이트 어레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무선통신을 위한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발명의 양상에 따라서, 제1 무선통신 프로토콜은 ZigBee, Z-Wave,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센서들의 네트워크에 많이 사용되는 대역폭이 크지 않으면서 저전력을 요구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작업자들의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는 BLE를 제1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실시 예들에서는 제1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BLE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위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120)는 BLE의 브로드캐스팅 모드를 이용하여 특정 디바이스를 지정하지 않고 주변의 모든 디바이스에게 신호를 보낸다. 주변에 디바이스가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다른 디바이스가 신호를 듣는 상태에 있는 지 여부와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설정된 일정한 주기로 신호를 보낸다. 이때의 전송 주기는 설치 환경 및 시스템 운용 상태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가스센서 단말(200)은 부생가스 배관의 각각의 수봉변 주위에 설치되며, 가스센서부(210)와, 제1 무선통신부(220)와, 제2 무선통신부(230)와, CPU와, 배터리를 포함한다. 가스센서 단말(200)은 각 수봉변마다 적어도 둘 이상 설치된다. 가스누출의 센싱 효율과 바람의 방향을 고려하면 수봉변 주위로 네 개 내지 여섯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센서부(210)는 가스센서 단말(200)이 설치된 수봉변 주위로 부생가스 누출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누출가스를 설정된 제1 주기로 감지한다. 가스센서부(210)는 가스센서를 포함하며, 발명의 양상에 따라서는 가스센서는 반도체 가스센서 또는 NDIR(Non-Dispersive Infrared, 비분산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저전력을 고려하여 반도체 가스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가스센서는 세라믹 반도체 표면에 가스 접촉 시 발생하는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감지할 수 있는 가스의 종류가 유독가스와 가연성 가스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센서제작이 용이하고 검출회로의 구성이 간단하다는 특징이 있다.
가스센서부(210)는 누출가스를 감지하지 않을 때는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슬립모드 상태에 있다 설정된 제1 주기마다 깨어나 가스누출 여부를 감지한다. 제1 주기는 수봉변이 수봉되지 않았을 때 가스 감지 주기로 설치환경과 배터리 용량 등을 고려하여 초기 설치 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기가 5분으로 설정되면 가스센서부(210)는 5분마다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누출가스를 감지하고 다시 슬립모드 상태가 된다.
가스센서부(21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로직이나 게이트 어레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가스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220)는 수위센서 단말(100)과 제1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발명의 양상에 따라서, 제1 무선통신 프로토콜은 ZigBee, Z-Wave,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센서들의 네트워크에 많이 사용되는 대역폭이 크지 않으면서 저전력을 요구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수위센서 단말(100)과 마찬가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는 BLE를 제1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220)는 수위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120)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주기적으로 스캐닝(Scanning)하여 수위센서 단말(100)이 보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수위센서 단말(100)과 가스센서 단말(200)은 BLE로 연결을 설정하지 않고 브로드캐스트 모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BLE 연결을 수립한 후 정보를 교환하고 연결을 끊는 커넥션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가스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22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로직이나 게이트 어레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무선통신을 위한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가스센서 단말의 제2 무선통신부(230)는 제2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가스센서부(210)에서 감지한 가스센싱 정보와 수위센서 단말(100)에서 수신한 수위센싱 정보를 후술할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로 전송한다.
제2 무선통신 프로토콜은 저전력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로 소량의 데이터를 상시 전원 없이 배터리만으로 전달하는 사물이 연결된 망인 소물인터넷(Internet of small Things, IosT) 망에 적합한 저전력, 저비용 전송기술인 LTE-M, NB-IoT 등의 3GPP 표준 프로토콜이나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SIGFOX, LoR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므로 통신사 종속적이지 않고 자체 망을 구성할 수 있는 LoRa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LoRa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스센서 단말(200)은 LoRa 네트워크에서 엔드노드에 해당하게 된다.
가스센서 단말의 제2 무선통신부(23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로직이나 게이트 어레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무선통신을 위한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는 제2 무선통신부(410)와, 유선통신부(420)와, CPU를 포함한다.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의 제2 무선통신 프로토콜은 저전력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로 소량의 데이터를 상시 전원 없이 배터리만으로 전달하는 사물이 연결된 망인 소물인터넷망에 적합한 저전력, 저비용 전송기술인 LTE-M, NB-IoT 등의 3GPP 표준 프로토콜이나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SIGFOX, LoR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므로 통신사 종속적이지 않고 자체 망을 구성할 수 있는 LoRa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LoRa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는 LoRa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에 해당하게 되며, 엔드노드인 가스센서 단말(200)과 네트워크 서버에 해당하는 후술할 관리서버(500) 간에 양방향 데이터를 전달한다.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는 설치 현장의 규모에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LoRa AP인 경우에는 15 킬로미터 이상의 거리를 지원하므로 대부분의 설치 현장은 하나의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로 운용이 가능하다.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의 제2 무선통신부(410)는 가스센서 단말(200)과 제2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연결되어 가스센서 단말(200)이 전송하는 가스센싱 정보와 수위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의 제2 무선통신부(41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로직이나 게이트 어레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무선통신을 위한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유선통신부(420)는 이더넷 망으로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의 제2 무선통신부(410)로 수신된 정보를 후술할 관리서버(500)로 전달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관리서버(500)는 유선통신 즉, 이더넷으로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와 연결되어 가스센싱 정보와 수위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유선통신부(42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로직이나 게이트 어레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유선통신을 위한 유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관리서버(500)는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수봉변 별로 가스누출이 발생했는 지와 수봉변의 수봉 여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모니터링한다.
관리서버(500)는 통상의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의 서버가 사용되나,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LoRa가 사용된 경우, 네트워크 서버와 응용 서버의 역할을 수행한다.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의하면, 관리서버(500)는 부생가스 배관과 수봉변을 설치 현장에 맞게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수봉변 별로 가스누출 및 수봉변 수봉 여부를 표시하여 운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수봉변 주변에 설치되는 센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수봉변은 전체 부생가스 배관 중에 특정 수봉변에 해당한다. 도 2의 수봉변은 수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수봉변에 수위센서 단말(100)이 설치되어 있고 수봉변 주위로 4개의 가스센서 단말(200-1 ~ 200-4)이 설치된 실시 예이다. 수위센서 단말(100)은 주기적으로 수봉변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를 BLE Advertise 패킷을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팅한다. 수봉변 주위의 4개의 가스센서 단말(200-1 ~ 200-4)은 각각 수위센서 단말(100)에서 브로드캐스팅한 신호를 수신하여 수위센싱 정보를 획득한다.
가스센서 단말(200)은 설정된 제1 주기로 누출가스를 감지하고 감지된 가스센싱 정보와 수위센서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수위센싱 정보를 LoRa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LoRa AP인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로 전달한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수봉변 수봉 여부에 따른 가스누출 측정주기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수봉변 #1과 수봉변 #2는 수봉변의 수봉 여부에 따라 가스누출 측정주기가 다르게 설정된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가스센서 단말(200)은 모드변경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드변경부(240)는 수위센서 단말(100)이 수봉변 수봉 시 전송하는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에 따라 수봉변 주위의 가스누출 감지 주기를 기존의 제1 주기에서 제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주기로 변경한다. 수봉변이 수봉되면 가스 누출의 위험이 커지게 되어 안전을 위하여 기존의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주기가 5분으로 설정되어 가스센서 단말(200)의 가스센서부(210)가 슬립모드 상태에서 5분마다 깨어나 누출 가스를 센싱하다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5초로 설정된 제2 주기로 가스센싱 주기를 변경하여 가스센서 단말의 가스센서부(210)가 슬립모드 상태에서 5초마다 깨어나 누출 가스를 센싱한다.
모드변경부(24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로직이나 게이트 어레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봉변 #1은 수봉되어 수위센서 단말(100)이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가스센서 단말(200-1 ~ 200-4)들이 그 신호를 수신하고 가스누출 감지 주기를 제2 주기로 변경하여 집중적으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상태이고 수봉변 #2는 수봉되지 않은 상태로 여전히 가스누출 감지 주기를 제1 주기로 하여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상태에 있다. 수봉변 #1과 수봉변 #2 주변에 설치된 가스센서 단말(200-1 ~ 200-8)들은 수위센싱 정보와 가스센싱 정보를 제2 무선통신 프로토콜인 LoRa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LoRa AP인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400)로 전송한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에서 작업자 존재 인지 여부에 따른 가스누출 측정주기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수봉변 #1과 수봉변 #2는 수봉변 주변의 작업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가스누출 측정주기가 다르게 설정된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수위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120)는 작업자가 소지한 제1 무선통신 비콘을 인식할 수 있다. 수위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120)는 비콘이 인식되면 수봉변 주변의 작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존재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무선통신 프로토콜은 BLE이고 작업자가 소지한 BLE 비콘이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위센서 단말(100)이 감지하여 비콘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수위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120)는 수봉변 주변에 작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웨이크-업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가스센서 단말(200)로 전송하고, 이 메시지를 수신한 가스센서 단말의 모드변경부(240)는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수봉변 수봉여부와 관계없이 현재 설정된 가스 감지 주기에서 제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주기로 변경한다.
부생가스는 유독가스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안정상의 이유로 수봉변이 수봉되지 않아 가스누출의 위험성이 비교적 크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수봉변 주변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가스센서 단말(200)의 가스누출 측정 주기를 짧게 설정하여 가스누출 상황 발생 시 빠르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부생가스 종류에 따른 주요성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5에 도시된 표에 따르면, BFG는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를 주로 포함하고 특히
Figure pat00004
의 포함 비율이 가장 큰 특징이 있고, COG는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를 주로 포함하고 특히
Figure pat00007
의 포함비율이 큰 특징이 있고, LDG는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를 주로 포함하고 특히
Figure pat00011
의 포함 비율이 가장 큰 특징이 있고, FOG는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를 주로 포함하고 특히
Figure pat00016
의 포함 비율이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부생가스 종류 별로 주로 포함된 주요성분과 포함비율이 가장 큰 성분이 확연히 구분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일부 성분에 대해서만 측정 하더라도 부생가스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만 측정한 뒤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두 성분이 주로 검출되고 그 중
Figure pat00022
의 검출량이 많으면 BFG이고
Figure pat00023
의 검출량이 많으면 LDG로 분류하고,
Figure pat00024
하나의 성분만 주로 검출되면 COG로 분류하고,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세 성분 모두 비교적 고르게 검출되면 FOG로 분류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관리서버(500)는 가스센서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가스센싱 정보로부터 누출된 부생가스 종류를 식별하여 부생가스가 누출된 구간을 추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센서 단말(200)은 도 5에 나타난 주요성분 중 일부 성분에 대해서만 검출하고 그 성분의 포함 특성으로부터 누출된 부생가스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시스템이 설치된 현장이 여러 종류의 부생가스 배관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식별된 부생가스 종류로 누출된 배관을 결정할 수 있고, 수봉된 수봉변과 가스센싱 정보를 전송한 가스센스 단말을 파악하여 누출된 배관 구간을 추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가스센서 단말(200)은 흡입구(280)와 흡입팬(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280)는 가스누출을 감지할 주변 공기가 흡입되는 관모양의 통로로 가스센서 단말(200)이 야외 현장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천 시 가스 흡입구(280)를 통해 빗물이 가스센서 단말(200)로 유입될 수 있어 흡입구(280)의 방향을 지면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형성하여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흡입팬(270)은 흡입구(280)를 통해 주변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도록 설치된다. 흡입팬(270)은 가스센서 단말(200) 내부에 설치되는 점과 저전력을 고려하여 초소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은 현장알람 단말(3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가스센서 단말(200)은 알람요청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장알람 단말(300)은 가스센서 단말(200)과 일대일로 결착되어 설치된다. 즉, 수봉변 주위로 가스센서 단말(200-1 ~ 200-4)이 4대 설치되면 현장알람 단말(300-1 ~ 300-4)도 각 가스센서 단말(200)과 일대일로 결착되어 4대가 설치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현장알람 단말(300)은 부저(310)와, LED 알람등(320)과, 알람수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저(310)는 가스누출로 인한 위험상황 발생 시 소리를 발생시켜 주변의 작업자에 위험을 알린다.
LED 알람등(320)은 가스누출로 인한 위험상황 발생 시 LED등을 점멸시켜 부저(310)와 함께 주변의 작업자에 위험을 알린다.
알람수신부(330)는 가스센서 단말(200)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알람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센서 단말의 알람요청부(250)로부터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GPIO High 신호를 수신하면 알람 발생하고, GPIO Low 신호를 수신하면 알람을 해제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된 케이블은 시리얼 통신을 위한 케이블이고 RS232 등과 같은 시리얼 통신으로 미리 약속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알람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알람수신부(33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로직이나 게이트 어레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가스센서 단말의 알람요청부(250)는 가스센서부(210)에서 가스누출을 감지하면 알람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알람 발생 시 GPIO High 신호를 발생시키고 알람 해제 시 GPIO Low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RS232 등과 같은 시리얼 통신으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알람요청부(25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로직이나 게이트 어레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가스센서 단말(200)은 위험신호 발신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험신호 발신부(260)는 가스센서부(210)에서 가스누출 감지 시 가스센서부의 제1 무선통신부(220)를 통해 위험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220)는 제1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BLE를 사용하고, 위험신호 발신부(260)는 주변의 디바이스들에 가스누출 상황을 가스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220)를 통해 BLE의 브로드캐스트 모드를 활용하여 주변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지 않고 Advertise 패킷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때, 주변 작업자의 스마트 폰 등에서 이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하고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해 위험신호를 작업자에 알릴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위험신호는 작업자에게 대피하라는 대피신호일 수 있다.
위험신호 발신부(26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로직이나 게이트 어레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가스센서 단말(200)은 메쉬(mesh)형태로 다른 가스센서 단말(200)과 제1 무선통신 또는 제2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양상에 따르면, 하나의 가스센서 단말(200)에서 가스누출을 감지하면 메쉬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가스센서 단말(200)에 직접 가스누출 감지 신호를 전달하고 이 감지신호를 수신한 다른 가스센서 단말(200)도 동시에 결착된 현장알람 단말(300)에 알람요청 신호를 발생시키고 가스센서 단말의 제1 무선통신부(220)를 통해 위험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발명의 양상에 따라, 가스센서 단말(200)간 메쉬 네트워크는 제1 무선통신인 BLE 메쉬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양상으로 제2 무선통신인 LoRa 메쉬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가스센서 단말(200)이 메쉬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 위험상황 발생 시 동시에 빠르게 주변의 작업자들에게 위험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의 수위센서 단말(100)과 가스센서 단말(200)과 현장알람 단말(300)은 독립배터리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수위센서 단말(100)과 가스센서 단말(200)과 현장알람 단말(300)은 야외에 설치되는 특성상 전원을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곤란하여 독립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은 저전력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가스센서 단말(200)이 기본적으로 슬립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센서 단말(200)이 수위센서 단말(100)과 현장알람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집하여 자신의 배터리 잔량 정보와 함께 관리서버(50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500)는 이를 표시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100 : 수위센서 단말
110 : 수위센서부 120 : 제1 무선통신부
200 : 가스센서 단말
210 : 가스센서부 220 : 제1 무선통신부
230 : 제2 무선통신부 240 : 모드변경부
250 : 알람요청부 260 : 위험신호 발신부
270 : 흡입팬 280 : 흡입구
300 : 현장알람 단말
310 : 부저 320 : LED 알람등
330 : 알람수신부
400 :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
410 : 제2 무선통신부 420 : 유선통신부
500 : 관리서버

Claims (1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생가스 배관이 설치되고 부생가스 배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봉변이 설치되어 있는 작업 현장의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을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부생가스 배관의 각각의 수봉변에 설치되며, 수봉변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부와, 수위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수위센서 단말;
    각각의 수봉변 주위에 설치되며, 수봉변 주위의 누출가스를 설정된 제1 주기로 감지하는 가스센서부와, 수위센서 단말과 통신하는 제1 무선통신부와, 가스센싱 정보와 수신된 수위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제2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스센서 단말;
    가스센서 단말과 제2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연결되는 제2 무선통신부와, 제2 무선통신부로 수신된 정보를 전달하는 유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 및
    제2 무선통신 액세스포인트와 유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가스센싱 정보와 수위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수봉변 별로 가스누출 여부 및 수봉변 수봉 여부를 표시하고 모니터링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센서 단말은 수위센서 단말이 수봉변 수봉 시 전송하는 웨이크-업(Wake-up) 신호에 따라 가스누출 감지 주기를 제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주기로 변경하는 모드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위센서 단말은 작업자가 소지한 제1 무선통신 비콘을 인식하여 수봉변 주변의 작업자 존재여부를 식별하는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수위센서 단말은 수봉변 주변에 작업자가 존재하는 경우 웨이크-업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가스센서 단말의 모드변경부가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가스 감지 주기를 제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주기로 변경하는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관리서버는 수신된 가스센싱 정보로부터 누출된 부생가스 종류를 식별하여 부생가스가 누출된 구간을 추정하는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센서 단말은 지면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흡입구와 주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더 포함하는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가스센서 단말과 일대일로 결착되고, 부저(Buzzer)와, LED 알람등과, 가스센서 단말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알람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알람수신부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현장알람 단말을 더 포함하고,
    가스센서 단말은 가스누출 감지 시 알람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센서 단말은 가스누출 감지 시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위험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위험신호 발신부를 더 포함하는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가스센서 단말은 메쉬(mesh)형태로 다른 가스센서 단말과 제1 무선통신 또는 제2 무선통신으로 연결되고, 하나의 가스센서 단말이 가스누출 감지 시 다른 가스센서 단말도 동시에 결착된 현장알람 단말에 알람요청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위험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수위센서 단말과 가스센서 단말과 현장알람 단말은 독립배터리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부생가스 배관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KR1020170144128A 2017-10-31 2017-10-31 공정 시스템 부생가스 배관의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KR102048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128A KR102048675B1 (ko) 2017-10-31 2017-10-31 공정 시스템 부생가스 배관의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128A KR102048675B1 (ko) 2017-10-31 2017-10-31 공정 시스템 부생가스 배관의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866A true KR20190048866A (ko) 2019-05-09
KR102048675B1 KR102048675B1 (ko) 2019-11-26

Family

ID=6654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128A KR102048675B1 (ko) 2017-10-31 2017-10-31 공정 시스템 부생가스 배관의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6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43B1 (ko) * 2019-09-18 2020-05-26 박효경 안전사고 방지용 스마트 기울임 경광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1696331A (zh) * 2020-06-03 2020-09-22 广州福勒自动控制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值守无人机消防预警与控制系统
CN111929268A (zh) * 2020-08-15 2020-11-13 新疆新业能源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反应釜气体泄露监测装置及定位方法
US10930137B2 (en) 2019-05-28 2021-02-23 Realtek Semiconductor Corp. Event alarm device and event alarm system
KR20210063974A (ko) * 2019-11-25 2021-06-02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합형 가스 절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688B1 (ko) * 2020-08-27 2022-03-31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KR102369993B1 (ko) * 2020-12-08 2022-03-03 (주)에코센스 퍼징 후 오프가스를 측정하는 오프 가스 측정장치
KR102690352B1 (ko) 2024-01-12 2024-07-30 송기정 가스라인 눈관리 커버 및 이를 구비한 가스라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947A (ko) * 2009-05-27 2010-12-07 지멘스신화주식회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제어장치
KR20110061191A (ko) * 2009-12-01 2011-06-09 한국가스안전공사 지하 도시가스 시설 관리 시스템
KR20170064920A (ko) *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배관의 수봉변 감지 장치
KR20170090973A (ko) * 2016-01-29 2017-08-08 구형서 비콘 송신기를 활용한 위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947A (ko) * 2009-05-27 2010-12-07 지멘스신화주식회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제어장치
KR20110061191A (ko) * 2009-12-01 2011-06-09 한국가스안전공사 지하 도시가스 시설 관리 시스템
KR20170064920A (ko) *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배관의 수봉변 감지 장치
KR20170090973A (ko) * 2016-01-29 2017-08-08 구형서 비콘 송신기를 활용한 위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0137B2 (en) 2019-05-28 2021-02-23 Realtek Semiconductor Corp. Event alarm device and event alarm system
KR102081543B1 (ko) * 2019-09-18 2020-05-26 박효경 안전사고 방지용 스마트 기울임 경광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63974A (ko) * 2019-11-25 2021-06-02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합형 가스 절체기
CN111696331A (zh) * 2020-06-03 2020-09-22 广州福勒自动控制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值守无人机消防预警与控制系统
CN111929268A (zh) * 2020-08-15 2020-11-13 新疆新业能源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反应釜气体泄露监测装置及定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675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8866A (ko) 공정 시스템 부생가스 배관의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US20220083032A1 (en) Smart factory monitoring system
CN106846739A (zh) 基于ZigBee和微处理器的远程仓库监控报警装置
KR101179996B1 (ko) 유해 가스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8185A (ko) 지하전력구 케이블 접속함 표면온도의 무선센서를 이용한감시시스템
CN204680142U (zh) 一种实用型火灾探测报警控制装置
KR101096557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제어장치
CN102393743A (zh) 嵌入式多功能智能小车
CN203746208U (zh) 一种带有定位功能的气体检测报警系统
CN109758706A (zh) 一种消防监控系统
CN203823879U (zh) 供热系统监控装置
CN109520679B (zh) 一种管廊气体泄漏检测及预测系统
CN110363953A (zh) 一种低功耗无线烟雾报警装置
JP2009169734A (ja) 現場計測システム
CN209961749U (zh) 基于ZigBee的室内有害气体监测系统
KR20130085174A (ko) 유해가스 송신 장치
CN107560798A (zh) 一种检测sf6泄漏的方法及系统
CN106226464A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电子鼻气体检测系统
CN103617702A (zh) 一种基于ZigBee的气体检测报警系统
CN213458389U (zh) 燃气压力报警系统
CN103680073A (zh) 一种无线环境气体监测报警系统
CN209168389U (zh) 一种传感器信号无线传输仪
JP2018142836A (ja) 電力監視処理システム
CN206773904U (zh) 一种基于无线物联网通信的通用探测器底座
CN102114287A (zh) 呼吸机及其氧浓度检测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