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770A -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 Google Patents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770A
KR20190048770A KR1020170143974A KR20170143974A KR20190048770A KR 20190048770 A KR20190048770 A KR 20190048770A KR 1020170143974 A KR1020170143974 A KR 1020170143974A KR 20170143974 A KR20170143974 A KR 20170143974A KR 20190048770 A KR20190048770 A KR 20190048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joint
driving
connecting ro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723B1 (ko
Inventor
전도연
권혁규
김영효
박하연
Original Assignee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7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63Special speed variation means, i.e. speed redu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행성 관절염 등과 같은 관절의 문제로 인하여 관절 수술 이후 환자의 정상 관절 가동 범위를 확보하기 위한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몸체의 팔 또는 다리의 관절 위치에 설치되며 구동력이 출력되는 동력발생체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상지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구동력이 출력되는 하지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정역구동력으로 반복 회동되는 제2연결대로 이루어진 구동부재, 몸체의 상지 또는 하지의 내면 또는 외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제1연결대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몸체의 상지 또는 하지의 내, 외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제2연결대에 연결되어 원위부와 함께 회동되는 운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운동부재가 상기 구동부재에 밀착 고정되게 하는 스트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관절재활장비로 상지와 하지 모두 적용가능하며 휴대가 가능하게 하여 장소와 시간에 제약 없이 치료할 수 있고, 구동이 간단하여 가정에서도 치료가 가능하여 관절 수술 등으로 인한 치료 회복을 촉진시켜 환자의 사회로의 복귀를 촉진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REHABILITATION MACHINE DEVICE FOR KNEE JOINT}
본 발명은 수동적으로 관절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을 제공하여 관절의 가동범위(Range of motion)를 정상 범위로 늘리거나 유지시켜 주기 위한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관절은 스트레스, 퇴행, 자가 면역질환, 유전적 요인, 외상 등의 이유로 소모되는 구조물로 노화에 따른 퇴행성관절염을 유발하여 발열, 통증, 발적, 기능 장애, 부종 등의 증상을 나타나게 된다. 특히, 노인에게서 무릎과 엉덩관절에 퇴행성관절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이는 노인의 독립적인 보행과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세계 인구의 약 10~15%가 퇴행성관절염을 앓고 있으면 노년층 10명 중 8명에서 발병하고 있다. (과학과 기술, 한국과학기술단체 출처)
국내에서도 2016년 기준 370만명의 환자가 퇴행성관절염을 진료를 받았으며 진료비도 1조 2,284억원으로 1조원을 돌파하였다 (심평원 출처).
퇴행성관절염의 치료는 물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와 인공관절 전치환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로 나뉘어지는데 인공관절 전치환술과 같은 수술 이후에는 수동적 지속 관절운동(Continue passive motion:CPM)이 필수로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모든 병원에서 환자에게 CPM운동을 적용하고 있으며 CPM운동은 환자의 관절 가동 범위를 늘려주고 부종 등을 제거하여 빠른 회복을 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가 짧은 입원 기간 동안에만 CPM운동을 받고 퇴원 이후에는 CPM운동을 할 수가 없는데 이는 CPM기계가 비교적 크고 비싸기 때문이다.
관절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재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공개 특허 10-2012-0078921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이하 ‘선공개’ 라함)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보행력이 약화된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골절환자들이 무릎관절의 회복을 위해 타인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조작하여 재활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선공개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는 전체적으로 상광하협 폭의 구조를 갖으며 후방에 제1 연결관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상부지지대;와 전체적으로 상광하협 폭의 구조를 갖으며 전방에 상기 제1 연결관과 결합되되 상기 상부지지대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에 의해 결합된 제2 연결관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며 상기 제 1연결관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부지지대를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기어로 이루어진 구동부재;와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대 내측에 수납되며 사용자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한 가열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 및 가열부재를 리모컨으로 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선공개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은 상부지지대에 고정한 채, 종아리 부분만 하부지지대에 지지된 상태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무릎관절의 회동각도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정확하게 무릎관절운동을 수행하여 수술 후 무릎이 굳어지지 않고 정상각도로 관절이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며, 타인의 도움 없이 사용자는 눕거나 또는 앉아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스스로 운동량을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자존감을 증대시키며, 허벅지 근육발달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릎을 단순한 형태의 기기에 얹어 하던 기존의 기기보다 인체공학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다리 형태에 따라 맞추어 사용되어, 기기적인면 뿐만 아니라 기기의 구성 형태에서도 보다 훨씬 치료의 효과와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재활운동 전에 무릎 주위 근육을 충분히 이완시킨 후에 사용이 가능하여 재활 운동 시에 무릎이 받는 부담을 충분히 감소시킨 상태에서 재활운동이 가능하므로 2차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선공개의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에서는 환자의 다리에 외면을 감싸며 그 감싼 상태로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착용상태에서 피부가 답답하여 장시간 착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 있으며, 무릎관절운동을 위한 구동부재가 일 방향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인 관계로 동력전달에 부하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공개 특허 10-2012-0078921(2012. 07. 11.공개)
본 발명은 팔꿉 관절 및 무릎 관절의 수술 이후 환자는 관절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데 이때 관절에서 한 관절은 고정시키고 다른 관절에는 움직임을 유도하며 관절양측에서 관절구동력을 제공하여 정상 관절 가동범위를 확보하고자 하며, 이는 관절 주위 조직의 부종과 통증 감소에도 효과가 있어 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의 재활 훈련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피가 작아 휴대환자의 팔길이 혹은 다리길이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며 모두에 적용가능하게 고안되어 병원에 내원하지 않아도 가정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몸체의 상지 또는 하지의 관절 위치에 설치되어 정역방향으로 구동력이 출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정역구동력에 의해 반복 회동되는 제2연결대로 이루어진 구동부재; 몸체의 상지 또는 하지의 근위부(proximal)의 내, 외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제1연결대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몸체의 상지 또는 하지의 원위부(distal)의 내, 외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제2연결대에 연결되어 원위부와 함께 회동되는 운동부재; 및몸체의 상지 또는 하지의 내, 외면으로 상기 구동부재를 포함한 고정부재와 상기 운동부재가 밀착되게 하는 스트랩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정,역 회전되는 스텝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스텝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제2연결편에 연결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제1연결편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고정대와, 상기 제1연결편과 제2고정대 사이로 삽입되는 제1고정대와, 상기 제2고정대를 통해 상기 제1연결편에 삽입설치되어 조임 및 풀음으로 상기 제1고정대의 길이가 조절되게 하는 조절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운동부재는, 상기 운동부재에 설치되는 제1운동대와, 상기 제1운동대에서 위치 조절되는 제2운동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운동대와 상기 제1운동대의 결합이 일정간격으로 선택 조립되는 길이조절체로 형성되어 원위부의 내면으로 설치되는 내측대와, 원위부의 외면으로 설치되는 외측대로 이루어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운동부재는 상지 또는 하지의 내 외면으로 설치되는 상기 내측대와 외측대의 제1운동대외면으로 상기 운동부재의 착용위치가 고정되게 하는 스트랩이 더 구비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운동부재로 정,역방향의 구동력이 출력되게 하는 스텝모터와, 상지 또는 하지의 관절에 진동을 출력시키는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스텝모터,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스마트폰에 다운되는 앱에 의해 구동되게 하는 실시간 치료피드백 시스템이 더 구비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는 하나의 장비로 상지, 하지 등의 관절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작은 크기로 병원에서의 공간적 효율성과 실용성이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이 간단하여 가정에서도 치료가 가능하여 관절 수술 등으로 인한 치료 회복을 촉진시켜 환자의 사회로의 복귀를 촉진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퇴행성 관절염 등과 같은 관절의 문제로 인하여 관절 수술 이후 환자의 정상 관절 가동 범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장비로 상지와 하지 모두 적용가능하며 휴대가 가능하게 하여 장소와 시간에 제약 없이 치료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에 대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 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의 구동상태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에 대한 정면를 나타내며 길이방향으로 조절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팔꿉 관절 및 무릎 관절의 수술 이후 환자는 스스로의 관절 움직임에 제한을 받게 되는데 환자가 스스로 관절을 움직일 수 없을 때 관절을 중심으로 근위부(proximal)측은 고정시키고, 원위부(distal)측은 움직임을 유도하여서 관절 운동이 되게 하여 정상 관절 가동범위를 확보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환자 몸체의 상지 팔꿉 관절 및 하지의 무릎 관절 위치 내, 외면에 관절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구동부재(1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100)는 관절운동에 요구되는 구동력 발생과, 구동력이 상지 또는 하지의 원위부(distal)측으로 전달되게 하는 하우징(1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은 관절위치에서 환자의 상지 또는 하지의 상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제1연결대(160)가 구비되고, 관절위치에서 환자의 상지 또는 하지의 하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제2연결대(17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대(160)는 하우징(110)에 고정된 상태이거나, 하우징(110)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된 구성을 이루고, 상기 제2연결대(17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출력장치의 출력위치에 설치되되, 출력장치의 정, 역구동에 의해 제2연결대(170)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연결대(160)에는 몸체의 상지 또는 하지의 근위부(proximal)측 내, 외면에 부목되게 하는 고정부재(200)가 연결되고, 제2연결대(170)에는 몸체의 상지, 또는 하지의 원위부측 내, 외면으로 부목되게 하는 운동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200)와 상기 운동부재(300)가 관절 상부측의 내,외면과, 관절 하부측의 내,외면에 부목형태로 고정 밀착되되도록 하는 스트랩부재(4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는 팔 또는 다리의 내, 외측 양면 즉, 관절을 중심으로 팔 또는 다리의 근위부(proximal)와 원위부(distal)의 내, 외측면에 접촉되는 고정부재(200)와 운동부재(300)의 외면을 스트렙부재(400)로 조여지게 하는 구성이므로 관절 주위 조직의 부종과 통증 감소에도 효과가 있어 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의 재활 훈련은 물론 병원에 내원하지 않아도 가정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의 본 발명이 적용된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에 대한 정면을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A A선 단면이고, 도 4는 도 2의 B B선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상기 운동부재(300)로 정, 역방향의 구동력이 출력되는 스텝모터(120)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0)과 스텝모터(120) 사이에는 떨림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바이브레이터(1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스텝모터(12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과, 상기 바이브레이터(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제2연결대(170)측으로 출력되어 상지 또는 하지의 관절부분과 원위부측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는 상기 스텝모터(120)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130)의 구동제어를 스마트폰으로 다운되는 앱에서 연동되게 하는 실시간 치료피드백 시스템구동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실시간 치료피드백 시스템구동부(140)는 입력된 회로기능에 의해 구동기능의 선택과, 선택된 기능의 운동 및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일 예로 스텝모터(120)의 구동제어, 스텝모터(120)에 의한 굴절각도, 구동시간, 설정된 굴절각도의 단계적 변화, 굴절운동속도 등과 같은 구동환경을 제어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스텝모터(120) 및 실시간 치료피드백시스템구동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의 전원을 제어하는 온/오프스위치(113)와, 상기 실시간 치료피드백시스템구동부(140) 선택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LCD창(150)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100)에 연결되는 고정부재(200)는, 환자의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연결대(160)의 대향위치에 설치되는 고정편(210)과, 상기 제1연결대(160)사이에 설치되어 팔 또는 다리의 내, 외면에 접촉되는 제1고정대(220)와, 상기 고정편(210)을 통해 상기 제1고정대(220) 및 제1연결대(160)에 조임 및 풀음되어 상기 제1고정대(220)의 길이가 조절되게 하는 상지조절체(2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00)에 사용되는 상지조절체(230)는 나비머리를 가진 나사축(231)이며, 상기 나사축(231)이 삽입되는 통공(212)(223)이 상기 고정편(210)과, 고정부재(200)의 제1고정대(220)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대(160)에는 상기 나사축(231)이 체결되는 나사공(16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축(231)은 고정편(210)과 구동부재(100)의 제1고정대(220)의 통공(212)(223)을 관통하여 제1연결대(160)의 나사공(16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제1연결대(160)에 고정부재(200))가 상지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100)와 연결되는 운동부재(300)는, 환자의 상지 및 하지의 하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2연결대(170)의 대향위치에 설치되는 고정편 (310)과, 상기 제2연결대(170)와 고정편(310) 사이에 설치되어 상지 및 하지의 원위부에 접촉되는 제1운동대(320)와, 상기 고정편(310)을 통해 상기 제1운동대(320) 및 제2연결대(170)에 조임 및 풀림되어 상기 제1운동대(320)의 길이가 조절되게 하는 하지조절체(34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재(100)와 고정편(310)과 운동부재(300)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하지조절체(340)는 나비머리를 가진 나사축(341)이며, 상기 나사축(341)이 삽입되는 통공(312)(321)이 상기 고정편(310)과, 운동부재(300)의 제1운동대(320)에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대(170)에는 상기 나사축(341)이 체결되는 나사공(17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축(341)은 상기 고정편(31)과 운동부재(300)의 제1운동대(320)의 통공(312)(321)을 관통하여 제2연결대(170)의 나사공(17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제2연결대(170)에 운동부재(300)가 연결되어 그 길이가 연장된다.
이처럼 환자의 팔꿉 또는 무릎의 관절을 기준하여 팔 또는 다리 근위부 내 ,외면으로 고정부재(200), 팔 또는 다리 원위부 내, 외면으로 운동부재(300)가 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재(400)의 스트랩10)으로 고정부재(200)를 포함한 제1연결대(160) 및 운동부재(300)를 포함한 제2연결대(170)의 외면을 감아 조인다.
상기 스트랩(400)의 스트랩(410)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케이블타이(cable ties)라는 타이 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 타이는 조임은 가능하나 임의적으로 풀 수 없으므로, 조임 후 임의적으로 조임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스트랩(410)이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스트랩(410)으로 상기 제1연결대(160)와 제1고정대(220) 및 제2연결대(170)와 제1운동대(320)가 환자의 상지(팔)와 하지(다리)의 내, 외면에 밀착되게 함에 있어 조임상태를 안정되게 하게 위하여 고정편(210)(310)을 포함한 제1, 제2연결대(160)(170)에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랩(410)용 고정홈(180)이 형성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팔꿉 또는 무릎관절을 수술한 환자의 회복을 위하여 구동부재(100)를 중심으로 상측에 고정부재(200), 하측에 운동부재(300)가 구비된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를 수술 관절부위의 근위부와 원위부 내, 외면에 설치하여 복수 개의 스트랩(410)을 고정편(210)(310) 위치와 제1고정대(220) 및 제1운동대(320)에 감아서 조임하면 상기 스트랩(410)의 조임 고정으로 인해 구동부재(100)의 하우징(110)이 관절의 내, 외면 위치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고, 이와 함께 상지 내, 외면에 고정부재(200)의 제1고정대(210)가 접촉되는 상태가 되며, 하지의 내, 외면에는 운동부재(300)의 제1운동대(320)가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접촉상태에서 환자 또는 환자주변인이 구동부재(100)의 하우징(110)에 구비된 온/오프스위치(113)를 ‘온’ 상태로 하면 하우징(110)에 구비된 LCD창(150)에는 실시간 치료피드백 시스템구동부(140)의 현재 상태가 표시된다.
상기 LCD창(150)을 통하여 실시간 치료피드백 시스템구동부(140)의 구동시간, 굴절각도, 굴절운동 강, 약 상태 등의 구동기능을 직접 선택하거나, 스마트폰의 앱을 통하여 선택하여 설정한 다음 ‘구동시작’을 선택하며 설정된 모션으로 스텝모터(120)가 구동되어, 스텝모터(120)의 구동력을 받는 제2연결대(170)와 운동부재(300)의 제1운동대(320)가 설정된 굴절각도 범위 내에서 굴절 왕복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서 스트랩(410)으로 함께 고정된 하지도 굴절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텝모터(120)에 의해 운동부재(300)의 제2연결대(170)가 설정되는 굴절각도 범위 내에서 운동할 때,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제1연결대(160)는 고정부재(200)와 함께 스트랩(410)으로 상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동부재(300)의 굴절운동상태는 스마트폰에 설정된 앱에서 조절이 가능하므로 환자 자신은 물론 환자주변인이 콘트롤 할 수 있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관절의 재활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운동부재(300)의 굴절운동과 함께 스텝모터(120)와 하우징(110) 사이에 장착된 바이브레이터(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접촉된 관절의 내, 외면을 연속적으로 두드리는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이때의 지속적인 두드림은 관절부위의 통증을 완화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10)에 구비된 LCD창(170)을 통해 밧데리의 잔량상태, 동작시간 등이 파악되므로 사용 환경에 따라 환자의 재활정도에 적절하게 조작함이 가능하다.
환자의 신장 길이에 따라서는 상지조절체(230)와 하지조절체(340)를 고정편(210)(310)과 제1연결대(160) 및 제2연결대(170)에서 풀러내고 고정편(210)(310)과 제1연결대(160) 및 제2연결대(170) 사이에 위치한 제1고정대(220) 또는 제1운동대(320)의 길이를 신체의 길이에 맞게 조절한 다음 상지조절체(230)와 하지조절체(340)를 조이면 사용자의 신체에 맞는 길이로 조절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는 하나의 장비로 관절에 적용이 가능하며 작은 크기로 병원에서의 공간적 효율성 실용성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구동이 간단하여 가정에서도 치료가 가능하여 관절 수술 등으로 인한 치료 회복을 촉진시켜 환자의 사회로의 복귀를 촉진 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구동부재 110 : 하우징 120 : 스텝모터
130 : 바이브레이터 140 : 실시간 치료피드백 시스템구동부
150 : LCD창 160 : 제1연결대 170 : 제2연결대
200 : 고정부재 210 : 고정편 230 : 상지조절체
300 : 운동부재 310 : 고정편 320 : 제1운동대
340 : 하지조절체 400 : 스트랩부재 410 : 스트랩

Claims (6)

  1. 몸체의 상지 또는 하지의 관절 내, 외면 위치에 설치되며 구동력이 출력되는 동력발생체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구동력이 출력되는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정역구동력으로 반복 회동되는 제2연결대로 이루어진 구동부재;
    몸체의 상지 또는 하지의 내, 외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제1연결대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몸체의 상지 또는 하지의 내, 외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제2연결대에 연결되어 원위부와 함께 회동되는 운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운동부재가 상지 또는 하지에 밀착 고정되게 하는 스트랩부재; 를 포함하는,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제1연결대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고정편과,
    상기 제1연결대와 상기 고정편 사이에 설치되어 상지의 내, 외면에 접촉되는 제1고정대와,
    상기 고정편을 통해 상기 제1고정대 및 제1연결대에 조임 및 풀림작동이 이루어져 상기 제1고정대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지조절체;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재는,
    상기 제2연결대의 대향한 위치에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과 상기 제2연결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연결대와 함께 일정각도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되는 제1운동대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을 통해 상기 제1운동대 및 제2연결대에 조임 및 풀림 작동이 이루어져 상기 제1운동대의 길이가 조절되는 하지조절체;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4. 제 2항과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및 운동부재의 고정편에는
    상기 스트랩부재의 스트랩이 감겨 조임되는 고정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운동부재로 정, 역방향의 구동력이 출력되게 하는 스텝모터와, 상기 하우징과 스텝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이 출력되는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스텝모터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스마트폰에 다운되는 앱에 의해 구동되게 하는 실시간 치료피드백 시스템구동부와,
    상기 실시간 치료피드백 시스템구동부를 포함하여 스텝모터 및 바이브레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상기 실시간 치료피드백 시스템구동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실시간 치료피드백 시스템구동부 구동상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LCD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KR1020170143974A 2017-10-31 2017-10-31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KR102054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74A KR102054723B1 (ko) 2017-10-31 2017-10-31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74A KR102054723B1 (ko) 2017-10-31 2017-10-31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70A true KR20190048770A (ko) 2019-05-09
KR102054723B1 KR102054723B1 (ko) 2019-12-11

Family

ID=6654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74A KR102054723B1 (ko) 2017-10-31 2017-10-31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7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73142Y (zh) * 2005-09-16 2007-02-28 长宇机械实业有限公司 关节限位装置
JP2008536527A (ja) * 2005-01-24 2008-09-11 キネティキュア リミテッド 関節に振動をかける器具及び方法
KR20120078921A (ko) 2011-01-03 2012-07-11 최주희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KR20120103951A (ko) * 2011-03-11 2012-09-20 (주)헥사시스템즈 휴대용 무릎 관절 재활 운동 기구
KR20170061236A (ko) * 2015-11-25 2017-06-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절운동치료기 원격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6527A (ja) * 2005-01-24 2008-09-11 キネティキュア リミテッド 関節に振動をかける器具及び方法
CN2873142Y (zh) * 2005-09-16 2007-02-28 长宇机械实业有限公司 关节限位装置
KR20120078921A (ko) 2011-01-03 2012-07-11 최주희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KR20120103951A (ko) * 2011-03-11 2012-09-20 (주)헥사시스템즈 휴대용 무릎 관절 재활 운동 기구
KR20170061236A (ko) * 2015-11-25 2017-06-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절운동치료기 원격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723B1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1347B2 (en) Combination pro/supination and flexion therapeutic mobilization device
CA2441261C (en) Portable intelligent stretching device
US5399147A (en)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for a braced limb
KR101248237B1 (ko)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CA2402814C (en) Control device for the therapeutic mobilization of joints
US8142379B2 (en) Orthopedic arm and shoulder brace
KR100580971B1 (ko) 복합관절 운동용 재활운동기구
US20180256433A1 (en) Knee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KR20100115287A (ko)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KR20120103951A (ko) 휴대용 무릎 관절 재활 운동 기구
KR101596477B1 (ko) 신체의 균형을 복원하는 하체 및 척추 관절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97967B1 (ko) 하지 보조 보행기
KR101203367B1 (ko)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CN115025454B (zh) 肢体关节一体式静态渐进性牵伸训练器
KR20190048770A (ko) 다관절 수동 관절 운동기
CN107496136B (zh) 下颚运动功能障碍治疗器
CN110974627A (zh) 一种膝关节牵引康复机器人
CN106859826B (zh) 一种仿生推拿治疗膝关节疼痛的仪器
US9186292B2 (en) Human joint rehabilitation apparatus
US11701288B2 (en) Pivoting lower limb therapy device
CN211382516U (zh) 一种膝关节牵引康复机器人
CN112641597B (zh) 弹力致动型下肢助力机器人
CN116763624A (zh) 一种基于五部七穴的膝关节治疗装置
KR100380816B1 (ko) 신체교정용 자중 견인침대
JP2004008508A (ja) 連続他動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