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544A -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 - Google Patents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544A
KR20190048544A KR1020170143598A KR20170143598A KR20190048544A KR 20190048544 A KR20190048544 A KR 20190048544A KR 1020170143598 A KR1020170143598 A KR 1020170143598A KR 20170143598 A KR20170143598 A KR 20170143598A KR 20190048544 A KR20190048544 A KR 20190048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wood
vertical
fram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제
유환성
이계철
최광진
Original Assignee
군장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장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장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544A/ko
Publication of KR20190048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HBENDING WOOD OR SIMILAR MATERIAL; COOPERAGE; MAKING WHEELS FROM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H1/00Bending wood stock, e.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7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using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 목형틀을 통해 목재판을 만곡지게 휨으로써 목재판이 뒤틀리는 불량을 사전에 예방하고, 너트들의 조임만을 통해 간단하게 커비보드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Curvy board manufacturing method and curvy board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부 목형틀을 통해 목재판을 만곡지게 휨으로써 목재판이 뒤틀리는 불량을 사전에 예방하고, 너트들의 조임만을 통해 간단하게 커비보드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비보드(Curvy board)는 아이들이나 장애인 또는 성인들이 운동이나 놀이를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긴 판이 활과 같이 만곡형으로 휘어진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커비보드는 특히 장애인들이나 아이들에게 모험심, 자신감, 평형능력, 모의 재구성 능력 등을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비보드를 가지고 운동을 하거나 놀이를 할 경우에는, 커비보드의 만곡부를 바닥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양 발로 커비보드의 단부를 밟은 상태에서 커비보드를 시소처럼 움직이는 동작을 할 수 있고, 또한 커비보드의 양 단부를 바닥에 밀착시켜 만곡부을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만곡부에 등이나 배를 밀착시키는 운동 등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커비보드의 제조방법을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커비보드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커비보드를 제조할 경우에는, 먼저, 전후 방향으로 긴 목재판을 준비한 후, 상기 긴 목재판의 전,후방 단부를 작업자가 잡아 당겨 휜 상태에서, 목재판의 전,후방 단부를 수동 윈치가 중간에 구비된 단일의 인장줄로 연결한다. 즉, 상기 인장줄을 연결할 경우에는, 상기 인장줄의 전,후방에 전,후방 클램프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인장줄의 전,후방 클램프를 목재판의 전,후방 단부에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단일의 인장줄을 연결하는 것이다.
다음 시간이 경과되면서 인장줄의 수동 윈취를 이용하여 인장줄의 전후 길이를 줄임으로써 목재판을 활 형상으로 휘어지게 한 다음, 인장줄을 해체하는 과정을 통해 커비보드의 제조를 완료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커비보드를 제조할 경우에는, 최초에 목재판을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휘어 트림에 따라 목재판이 최초부터 뒤틀린 상태로 휘어짐으로써 커비보드의 제조시 많은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비보드 제조방법은 커버보드를 최초에 휜 상태에서 커버보드의 전,후방 단부를 단일의 인장줄을 이용하여 휨에 따라, 목재판을 만곡되게 휘는 과정에서 목재판의 양측부가 뒤틀리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버보드 제조방법은 작업자가 최초에 목재판의 전,후방 단부를 잡아 당겨 목재판을 수동으로 휨에 따라, 커비보드의 제조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85-0001505호의 "다목적 어린이용 놀이구"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 목형틀의 압축을 통해 목재판을 만곡지게 휨으로써 목재판이 뒤틀리는 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너트들의 조임만을 통해 간단하게 목재판을 압축시켜 휠 수 있도록 하는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은 전,후방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목재판을 준비하는 목재판 준비 단계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전,후방 중간이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하부 만곡부가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하부 전,후방 수평판이 구비되고 양측에는 다수의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부 목형틀을 준비하는 하부 목형틀 준비 단계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전,후방 중간이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만곡부가 삽입되는 상부 만곡홈이 형성되고, 하면의 전,후방에는 상부 전,후방 수평면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하부 목형틀의 수직 관통홀들과 상응되는 위치로 다수의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부 목형틀을 준비하는 상부 목형틀 준비 단계와; 상기 하부 목형틀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 관통홀에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의 수직 볼트를 관통시켜 상부로 돌출시킨 다음, 하부 목형틀을 하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목재판의 전,후방 중간을 상기 하부 만곡부의 상부에 올려놓는 목재판 안착 단계와; 상기 상부 목형틀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 관통홀들에 하부 목형틀의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수직볼트의 볼트축을 관통 돌출시켜 상기 하부 목형틀의 상부에 상부 목형틀을 배치시키는 상부 목형틀 설치 단계와; 상기 상부 목형틀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 볼트들의 볼트축에 다수의 너트를 체결하고, 너트들을 시간이 경과될 때 마다 반복 하강시켜 상부 목형틀을 하강시키는 압축 과정을 통해 목재판을 만곡지게 휘는 목재판 휨 단계와; 상기 목재판 휨 단계를 진행한 후 시간이 경과되면, 너트를 수직 볼트들에서 해체하고, 상부 목형틀을 해체 한 다음, 휘어진 목재판인 커비보드를 분리하는 커비보드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의 상기 목재판 준비 단계에서는 목재판의 전,후방 양측에 조립홀을 더 형성하고, 상기 커비보드 분리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각각의 상기 조립홀에 커버보드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손잡이봉과 커비보드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 반구형 돌출부가 포함되는 안전부재를 조립하는 안전부재 조립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의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조립홀에 관통되는 볼트축이 인서트 된 고무재나 합성수지재의 회전방지 반구형 돌출부와, 상기 조립홀에 관통되는 볼트축에 체결되는 너트가 인서트 된 고무재나 합성수지재의 돌출 손잡이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의 상기 각각의 수직 관통홀의 하부에는 상기 수직볼트를 구성하는 육각머리가 헛돌지 않게 삽입되는 육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는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하부 목형틀의 압축을 통해 목재판을 만곡지게 휨으로써 목재판이 뒤틀리는 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목재판인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너트들의 조임만을 통해 간단하게 목재판을 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비보드의 대량 생산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목재판 준비 단계(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하부 목형틀 준비 단계(200)와 상부 목형틀 준비 단계(3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c는 목재판 안착 단계(400)와 상부 목형틀 설치 단계(500)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2d 내지 도 2f는 목재판 휨 단계(600)를 나타낸 측 단면도들이며,
도 2g는 커비보드 분리단계(700)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부재 조립 단계(800)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부재 조립 단계(800)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보드의 제조방법은, 먼저, 전,후방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목재판(1)을 준비하는 목재판 준비 단계(100)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목재판 준비 단계(100)에서는 한 겹으로 구성된 목재판(1)을 준비할 수 있고, 다수 겹으로 접착되어 구성된 접합목재를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판 준비 단계(100)에서는 목재판(1)의 전,후방 중앙에 손잡이홀(11)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홀은 원형 또는 좌우로 긴 장방향으로 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원형의 손잡이홀(11)을 도시하였다.
다음,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전,후방 중간이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하부 만곡부(21)가 형성되며 전,후방에는 하부 전,후방 수평판(22a)(22b)이 구비되고 양측에는 다수의 수직 관통홀(H)이 형성되는 하부 목형틀(2)을 준비하는 하부 목형틀 준비 단계(200)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관통홀(H)들은 목재판(1)을 활처럼 벤딩시킬 수 있도록, 하부 만곡부(21)의 제일 상부의 양측과, 하부 전,후방 수평판(22a)(22b)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수직 관통홀(H)의 하부에는 수직볼트(B)를 구성하는 육각머리(B2)가 헛돌지 않게 삽입되는 육각홈(G)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 목형틀(2)은 목재로 구성될 수 있고, FRP등의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금속재로도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전,후방 중간이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만곡부(21)가 삽입되는 상부 만곡홈(31)이 형성되고 하면의 전,후방에는 상부 전,후방 수평면(32a)(32b)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하부 목형틀(2)의 수직 관통홀(H)들과 상응되는 위치로 다수의 수직 관통홀(H)이 형성되는 상부 목형틀(3)을 준비하는 상부 목형틀 준비 단계(300)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목형틀(3)은 목재로 구성될 수 있고, FRP등의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직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금속재로도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부 목형틀(2)과 동일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하부 목형틀(2)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 관통홀(H)에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의 수직 볼트(B)를 관통시켜 상부로 돌출시킨 다음, 하부 목형틀(2)을 하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목재판(1)의 전,후방 중간을 상기 하부 만곡부(21)의 상부에 올려놓는 목재판 안착 단계(400)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볼트(B)를 하부 목형틀(2)의 수직 관통홀(H)에 관통시킬 경우에는 수직 관통홀(H)의 하부에 형성된 육각홈(G)의 수직 볼트(B)의 육각머리(B2)를 삽입함으로써 수직 볼트(B)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목재판(1) 안착 단계(400)에서는 목재판(1)이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목재판(1)을 전후 방향으로 길게 안착 시키면서, 전,후 중간의 양측 단부를 하부 만곡부(21)의 양측에 돌출된 수직 볼트(B)를 구성하는 볼트축(B1)의 축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상부 목형틀(3)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 관통홀(H)들에 하부 목형틀(2)의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수직 볼트(B)의 볼트축(B1)을 관통 돌출시켜 상기 하부 목형틀(2)의 상부에 상부 목형틀(3)을 배치시키는 상부 목형틀 설치 단계(500)를 진행한다.
다음, 상기 상부 목형틀 설치 단계(500)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상부 목형틀(3)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 볼트(B)들의 볼트축(B1)에 다수의 너트(N)를 체결하고, 너트(N)들을 시간이 경과될 때 마다 반복 하강시켜 상부 목형틀(3)을 하강시키는 압축 과정을 통해 목재판(1)을 만곡지게 휘는 목재판 휨 단계(600)를 진행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목재판 휨 단계(600)를 진행한 후 시간이 경과되면, 너트(N)를 수직 볼트(B)들에서 해체하고, 상부 목형틀(3)을 해체 한 다음, 휘어진 목재판(1)인 커비보드를 분리하는 커비보드 분리단계(700)를 통해 커비보드를 제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부 목형틀(2)의 압축을 통해 목재판(1)을 만곡지게 휨으로써 목재판(1)이 뒤틀리는 불량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목재판(1)인 재료의 손실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N)들의 조임만을 통해 간단하게 목재판(1)을 압축하여 휠 수 있게 함에 따라 커비보드의 대량 생산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커비보드의 판매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상기 목재판 준비 단계(100)에서는 목재판(1)의 전,후방 양측에 조립홀(13)을 더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비보드 분리단계(700)를 진행한 후에는 각각의 조립홀(13)에 커버보드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손잡이봉(42)과 커비보드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 반구형 돌출부(41)가 포함되는 안전부재(4)를 조립하는 안전부재 조립 단계(800)를 더 진행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안전부재(4)는 상기 조립홀에 관통되는 볼트축(411)이 인서트 된 고무재나 합성수지재의 회전방지 반구형 돌출부(41)와, 상기 조립홀(12)에 관통되는 볼트축(411)에 체결되는 너트(421)가 인서트 된 고무재나 합성수지재의 돌출 손잡이봉(4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돌출 손잡이봉(42)은 장애자나 아이들이 커비보드의 외측을 지면에 밀착시켜 놀 경우에 손으로 잡거가 발로 밟으면서 놀 수 있게 함으로써, 장애이나 아이들에 좀 더 안전성이 확보된 커비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 반구형 돌출부(41)는 장애자나 아이들이 커비보드의 외측을 지면에 밀착시켜 놀 경우에, 커비보드가 뒤집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방지 반구형 돌출부(41)들을 통해 보다 안전성이 확보된 커비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는 상술한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간이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목재판(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비보드의 전,후방의 중앙에는 손으로 커비보드를 수취할 수 있도록 원형홀이나 장방형홀로 형성된 손잡이홀(11)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보드의 전,후방 양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손잡이봉(42)과 커비보드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 반구형 돌출부(41)가 포함되는 안전부재(4)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목재판
11 : 손잡이홀, 12 : 조립홀
2 : 하부 목형틀
21 : 하부 만곡부, 22a : 하부 전방 수평판,
22b : 하부 후방 수평판
3 : 상부 목형틀
31 : 상부 만곡홈, 32a : 상부 전방 수평면
32b : 상부 후방 수평면
4 : 안전부재
41 : 회전방지 반구형 돌출부, 411 : 볼트축
42 : 돌출 손잡이봉, 421 : 너트
H : 수직 관통홀
G : 육각홈
B : 수직 볼트
B1 : 볼트축, B2 : 육각머리부
N : 너트

Claims (5)

  1. 전,후방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목재판을 준비하는 목재판 준비 단계(100)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전,후방 중간이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하부 만곡부가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하부 전,후방 수평판이 구비되고 양측에는 다수의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부 목형틀을 준비하는 하부 목형틀 준비 단계(200)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전,후방 중간이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만곡부가 삽입되는 상부 만곡홈이 형성되고, 하면의 전,후방에는 상부 전,후방 수평면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하부 목형틀의 수직 관통홀들과 상응되는 위치로 다수의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부 목형틀을 준비하는 상부 목형틀 준비 단계(300)와;
    상기 하부 목형틀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 관통홀에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의 수직 볼트를 관통시켜 상부로 돌출시킨 다음, 하부 목형틀을 하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목재판의 전,후방 중간을 상기 하부 만곡부의 상부에 올려놓는 목재판 안착 단계(400)와;
    상기 상부 목형틀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 관통홀들에 하부 목형틀의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수직볼트의 볼트축을 관통 돌출시켜 상기 하부 목형틀의 상부에 상부 목형틀을 배치시키는 상부 목형틀 설치 단계(500)와;
    상기 상부 목형틀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 볼트들의 볼트축에 다수의 너트를 체결하고, 너트들을 시간이 경과될 때 마다 반복 하강시켜 상부 목형틀을 하강시키는 압축 과정을 통해 목재판을 만곡지게 휘는 목재판 휨 단계(600)와;
    상기 목재판 휨 단계(600)를 진행한 후 시간이 경과되면, 너트를 수직 볼트들에서 해체하고, 상부 목형틀을 해체 한 다음, 휘어진 목재판인 커비보드를 분리하는 커비보드 분리단계(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비보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판 준비 단계(100)에서는 목재판(1)의 전,후방 양측에 조립홀(13)을 더 형성하고,
    상기 커비보드 분리단계(700)를 진행한 후에는 각각의 상기 조립홀에 커버보드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손잡이봉과 커비보드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 반구형 돌출부가 포함되는 안전부재를 조립하는 안전부재 조립 단계(800);
    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비보드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조립홀에 관통되는 볼트축이 인서트 된 고무재나 합성수지재의 회전방지 반구형 돌출부와,
    상기 조립홀에 관통되는 볼트축에 체결되는 너트가 인서트 된 고무재나 합성수지재의 돌출 손잡이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비보드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 관통홀의 하부에는
    상기 수직볼트를 구성하는 육각머리가 헛돌지 않게 삽입되는 육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비보드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보드.
KR1020170143598A 2017-10-31 2017-10-31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 KR20190048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598A KR20190048544A (ko) 2017-10-31 2017-10-31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598A KR20190048544A (ko) 2017-10-31 2017-10-31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544A true KR20190048544A (ko) 2019-05-09

Family

ID=6654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598A KR20190048544A (ko) 2017-10-31 2017-10-31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85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505A (ko) 1983-07-18 1985-03-30 제임스 에취. 아거 용융알카리금속염과 조절된 온도팽창에 의한 산소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505A (ko) 1983-07-18 1985-03-30 제임스 에취. 아거 용융알카리금속염과 조절된 온도팽창에 의한 산소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738B2 (en) Trampoline swing
KR101162570B1 (ko) 정글짐 연결 구조
JP3127245U (ja) フラフープ
KR20190048544A (ko) 커비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커비보드
CN106847234A (zh) 一种原声吉他
KR100972125B1 (ko) 암벽등반용 사출패널.
CN105545023B (zh) 游泳池池底垫层
CN211705737U (zh) 一种便于安装的游乐园儿童蹦床
CN204908686U (zh) 一种柔软床垫板体组合床
TW201321049A (zh) 籃球框
US11938381B2 (en) Trampoline scooters
CN2504372Y (zh) 一种门框加强型结构
CN204908674U (zh) 一种板式柔软组合床
CN218529753U (zh) 一种新型旋转游乐设备
CN209033710U (zh) 拆装式儿童玩具木马
CN219431180U (zh) 一种水转印图案工艺玻璃钢立柱
CN206249874U (zh) 一种红木三角钢琴
CN211483722U (zh) 一种软包床
US20230264060A1 (en) Trampoline scooters
CN2427123Y (zh) 拆装式竹节形椅
CN104983221A (zh) 一种柔软床垫板体组合床
CN211376009U (zh) 一种运输米柜木牛模型
KR200435637Y1 (ko) 방의 출입문의 사각문틀에 환봉형 축이 수평으로 고정되는그네
TWM553208U (zh) 多功能健身器材
CN212453414U (zh) 一种装配式骨架设计结构及其叠片球面装饰造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