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409A - Cup holer device for arm rest - Google Patents

Cup holer device for arm 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409A
KR20190048409A KR1020170143343A KR20170143343A KR20190048409A KR 20190048409 A KR20190048409 A KR 20190048409A KR 1020170143343 A KR1020170143343 A KR 1020170143343A KR 20170143343 A KR20170143343 A KR 20170143343A KR 20190048409 A KR20190048409 A KR 20190048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base
lower base
cup holder
upp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2151B1 (en
Inventor
윤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7014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151B1/en
Publication of KR20190048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4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 holder device for an armrest which contributes a slim design of an armrest and can be applied to a small vehicle by allowing the depth of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container to be variably adjusted. The cup holder device for an armrest comprises: an armrest (10) installed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a seat bag (12); and a case (40) which is mounted on the armrest (10), and variably adjusts the depth of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The case (40) includes an upper and a lower base (140, 240) which are separated in a vertical direction. A stopping structure for limiting a vertical moving range is arranged on the upper and the lower base (140, 240).

Description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Cup holer device for arm res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device for an armrest,

본 발명은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공간의 깊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device for an armr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device for an armrest in which the depth of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container can be variably adjusted.

일반적으로 차실내의 후방 2열 시트에 구비되는 암 레스트는 시트 백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필요시 전방을 향해 펼쳐지는 상태로 전개된다. 이 경우, 암 레스트에 구비되는 컵 홀더는 차종에 따라 각각 상이한 구조로 구성된다. Generally, the armrest provided on the two rear seats in the rear of the vehicle cabin is pivotal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and is deployed in a state of spreading forward as required. In this case, the cup holders provided in the armrests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structures according to the types of vehicles.

먼저, 중/소형 자동차에 주로 탑재되는 저가형 암 레스트의 경우에는 컵 홀더의 내부 수용공간에 대한 깊이가 일정한 구조이고, 중/대형 자동차에 주로 탑재되는 암 레스트의 경우에는 컵 홀더의 내부 수용공간이 상방향으로 오픈되는 별도의 덮개에 의해 은폐 가능한 구조이다.First, in the case of a low-priced armrest mounted mainly on a small / medium-sized automobile, the depth of the cup holder to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is constant. In the case of the armrest mainly mounted on a medium / large- And is covered with a cover which opens upward.

또한, 중/대형이나 RV 차량의 경우에는 암 레스트의 선회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출몰 가능한 형태의 이동식 컵 홀더를 장착하고 있는 실정이다.Further, in the case of a medium / large size or RV vehicle, a mobile cup holder of a form capable of protruding forward from the turning end of the armrest is mount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로 후방 2열 시트의 암 레스트에 구비되는 종래 컵 홀더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cup holder provided on the armrest of the rear two-row seat with the above structur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중/소형 자동차에 탑재되는 저가형 암 레스트의 컵 홀더는 내부의 수용공간 깊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음료 용기를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수납하기 위해서 시트 백의 두께가 일정 이상의 치수로 설정되어야 하는 데, 이 경우 시트 백의 두께가 과다하게 설정되면, 후방 2열 시트에 대해 슬림화된 암 레스트를 적용할 수 없으므로, 시트 백의 두께가 과다하게 설정됨에 따른 암 레스트의 슬림화를 크게 저해하게 된다.First, since the cup holder of the low-priced armrest mounted on the medium / small size automobile has a constant depth of the inside space, the thickness of the seat back should be set to a certain dimension or more in order to store the beverage container in a more stable posture. If the thickness of the seat back is excessively set, it is not possible to apply the slimmed-down armrest to the rear two-seat seat, and thus the slimness of the armrest due to the excessively large thickness of the seat back is greatly inhibited.

또한, 중/대형 자동차에 탑재되는 암 레스트의 경우에는 컵 홀더의 덮개가 상방향으로 오픈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 중 탑승객의 신체 부위와 충돌할 경우, 인체에 상해를 줄 뿐만 아니라 파손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rmrest mounted on a medium / large-sized vehicle, since the lid of the cup holder can be opened upward, collision with the body part of the passenger during use can not only injure the human body, .

또한, 중/대형이나 RV 차량에서 외부로 출몰 가능한 형태로 적용되는 이동식 컵 홀더의 경우에는 링크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원가의 상승과 함께 고급 차량에 한정하여 장착될 수밖에 없는 단점을 초래하게 되고, 무엇보다도 외부를 향해 출몰된 컵 홀더를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암 레스트를 원래의 위치로 격납시킬 경우에는 컵 홀더가 파손 위험에 노출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ovable cup holder which is applied in a form capable of entering / exiting from the middle / large size or RV vehic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link structure is complicated, When the armrest is housed in the original position without housing the cup holder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the cup holder is exposed to the risk of breakage, which causes a fatal problem.

따라서 암 레스트를 포함한 후방 2열 시트에 대한 디자인의 슬림화에 맞춰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저가형으로서 소형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컵 홀더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type of cup holder that can be applied to a small-sized vehicle at low cost and at a low manufacturing cost in accordance with the slim design of the rear two-row seat including the armrest.

등록특허 제10-0330885호Patent No. 10-0330885 공개특허 제10-2006-0014762호Published Patent No. 10-2006-001476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공간의 깊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암 레스트 디자인의 슬림화에 기여함과 동시에 소형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한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device for an armrest that can adjust the depth of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containe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limming of the armrest design, .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 백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 레스트, 및 상기 암 레스트에 장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의 깊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하방향으로 분할되는 어퍼 베이스와 로어 베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퍼 베이스와 상기 로어 베이스에는 상하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reclining apparatus comprising an armrest rotatably installed on a seat back, and a case mounted on the armrest and having a variable depth in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are preferably formed of an upper base and a lower base which are di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are each provided with a latching structure for limiting a range of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걸림 구조물은 상기 어퍼 베이스의 상측부위와 하측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상단 걸림턱과 하단 걸림턱, 및 상기 로어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 걸림턱과 상기 하단 걸림턱에 대해 각각 접촉하여 상하방향 이동범위를 제한받는 후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ing structure may include upper and lower latching jaw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base, and a pair of latching protrusions provided on the lower base to contact the upper latching jaw and the lower latching jaw, And a hook which is restricted in the vertical movement rang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어퍼 베이스는 상기 로어 베이스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base includes a guide rib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ower bas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암 레스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트 패드, 및 상기 서포트 패드와 상기 로어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서포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서포트 패드와 발포 성형시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로어 베이스와 나사 체결로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d mov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armrest, and a support plat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d and the lower base, wherein the support plate is coupled with the support pad during the foam molding And the support plate is coupled to the lower base by screw tightening.

본 발명은 상기 어퍼 베이스와 상기 로어 베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음료 용기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러버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ubber holder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and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상기 어퍼 베이스의 상단 내주면에 설치되는 베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ezel provided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a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는 차실내의 후방 2열 시트에 설치되는 암 레스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컵 홀더에 있어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에 대한 깊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암 레스트를 포함한 시트 백의 디자인을 슬림화할 수 있고, 중/대형 차량에 비해 시트 백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소형 차량의 후방 2열 시트에도 적용 가능하게 된다.The cup holder device of the armre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rmrest provided in a rear two-row seat of a car interior, and can adjust the depth of the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cup holder Therefore, the design of the seat back including the armrest can be made slim, and it is applicable to the rear two-row seat of the small-sized vehicl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seat back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at of the middle /

또한, 본 발명은 시트 백으로부터 암 레스트를 전방으로 전개하는 조작 과정에서 컵 홀더의 내부 수용공간에 대한 깊이를 연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한층 더 용이하게 해 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facilitates the ease of use by allowing the depth of the cup holder to be interlocked with the depth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up holder during the operation of deploying the armrest forward from the seat bac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암 레스트가 후방 2열 시트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 홀더 장치의 주요 부위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컵 홀더 장치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컵 홀더 장치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에 대한 사용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어퍼 베이스에 대한 로어 베이스의 하향 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mres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housed in a rear two-row seat.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p holder device for an arm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ly the main parts of the cup holder device shown in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structure of the cup holder device shown i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p holder device shown in Fig. 4 from the bottom. Fig.
FIG. 6 is a schematic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use process of the cup holder device of the armre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ower base relative to the upper bas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암 레스트(10)는 후방 2열 시트의 시트 백(12)에 대해 수납된다. 이 경우, 상기 암 레스트(10)는 하단부위가 상기 시트 백(12)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필요시 전방을 향해 선회되어 전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1, an armrest 10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housed with respect to a seat back 12 of a rear two-row seat. 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armrest 10 is pivotably coupled to the seat back 12, and is configured to be pivoted forward when necessary.

도 2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암 레스트(10)는 전방측 자유단부에 음료 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컵 홀더(2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컵 홀더(20)는 내부의 수용공간 깊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2 to 3, the armrest 10 is provided with a cup holder 20 capable of storing a beverage container at a front free end thereof. The cup holder 20 includes a cup- So that the depth can be variably controlled.

이를 위해, 상기 암 레스트(10)는 전방측 자유단부에 상기 컵 홀더(2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4)를 구비하고, 후방측 자유단부에 상기 시트 백(12)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지점을 설정한다.To this end, the armrest 1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4 for receiving the cup holder 20 at its free end on the front side, and has an opening 14 at the rear free end for hinge connection with the seat back 12 Set the hinge point.

또한, 상기 암 레스트(10)는 저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트 패드(3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서포트 패드(30)는 상기 암 레스트(10)의 전방측 자유단부의 하측에서 단차진 형태의 단차부위(16)로 조립되는 구조로 장착된다.The support pad 3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free end of the armrest 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And is assembled into a stepped portion 16 of a dimple shape.

상기 컵 홀더(20)는 상기 암 레스트(10)의 전방측 자유단부에 장착되어 음료 용기를 수납하는 내부 수용공간의 깊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케이스(40), 상기 암 레스트(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40)를 고정 장착하는 와이어 프레임(50), 및 상기 케이스(4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 패드(30)를 하부에 결합하는 서포트 플레이트(60)를 구비한다.The cup holder 20 includes a case 40 mounted to the front free end of the armrest 10 for variably controlling the depth of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support plate 6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se 40 and coupling the support pad 30 to the lower portion.

상기 서포트 패드(30)는 일측 자유단부에 오목한 형태의 파지홈(32)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시트 백(12)으로부터 상기 암 레스트(10)를 전개할 때 사용자의 파지를 도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pad 30 is formed at one free end with a concave grasping groove 32 to assist the user in holding the armrest 10 when the armrest 10 is deployed from the seat back 12 .

상기 케이스(40)는 상하방향으로 분할되어 상호 결합되는 어퍼 베이스(140)와 로어 베이스(2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퍼 베이스(140)와 상기 로어 베이스(240)에는 상하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 구조물이 구비된다. The case 40 includes an upper base 140 and a lower base 240 which are vertically divided and coupled to each other. The upper base 140 and the lower base 240 are configured to limit a vertical movement range A latching structure is provided.

이 경우, 상기 걸림 구조물은 상기 어퍼 베이스(140)의 상측부위와 하측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상단 걸림턱(142)과 하단 걸림턱(144), 및 상기 로어 베이스(240)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 걸림턱(142)과 상기 하단 걸림턱(144)에 대해 각각 접촉하여 상하방향 이동범위를 제한받는 후크(242)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latching structure includes an upper latching jaw 142 and a lower latching jaw 144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base 140, and a lower latching jaw 144 provided on the lower base 240, And a hook 24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jaw 142 and the lower end stop 144 and is restricted in the vertical movement range.

먼저, 상기 상단 걸림턱(142)은 상기 어퍼 베이스(140)의 상측 전 둘레부위 외주면에 걸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 걸림턱(144)은 하측 외주면에서 간헐적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의 리브 구조물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상단 걸림턱(142)과 상기 하단 걸림턱(144)에 대한 형상적 구조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로서 구현 가능한 것이고, 상기 후크(242)에 대한 상하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구조물이라면 어느 형태라도 무방할 것이다.The upper stopping jaw 14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tep formed downward 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ront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base 140. The lower end stopping jaw 144 intermittently externally As shown in FIG. Here, the configuration for the upper latching jaw 142 and the lower latching jaw 144 can be implemented as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If the structure is capable of limiting the vertical movement range of the hook 242 Any form would be acceptable.

또한, 상기 후크(242)는 상기 로어 베이스(240)의 상단 부위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의 구조물로서 전 둘레부위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후크(242)의 형성위치는 상기 상단 걸림턱(142)과 상기 하단 걸림턱(144) 사이의 상하방향 대응부위에 마련됨은 물론이다.The hook 242 is a structure that is bent and protruded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base 240. The hook 242 is intermittently formed at an appropriate interval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In this ca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hook 242 is formed at a vertically correspond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latching jaw 142 and the lower latching jaw 144.

한편, 상기 어퍼 베이스(140)는 상기 로어 베이스(240)의 상하방향 이동을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해 부재의 외주면에서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146)를 구비한다.The upper base 14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ribs 146 protruding outwar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mber so as to accurately guide the movement of the lower base 240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어퍼 베이스(140)에는 상기 와이어 프레임(50)에 의한 결합 지지를 받기 위해 전 둘레부위에 걸쳐 복수의 수량으로 이격 배치되는 록킹 홀더(148), 및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음료 용기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음료 용기의 유동을 억제하는 탄성 돌기(149)가 구비된다.The upper base 140 is provided with a locking holder 148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base 140 by a predetermined amount in order to receive the support by the wire frame 50, And an elastic protrusion 149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everage container and restricts the flow of the beverage container.

또한, 상기 어퍼 베이스(140)는 상단부에 상기 컵 홀더(20)의 상측 외관부위를 라운드 처리하기 위해 중공 형상의 베젤(70)을 장착하는 바, 상기 베젤(70)과 상기 어퍼 베이스(140) 사이의 결합은 상기 베젤(7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72)와 상기 어퍼 베이스(140)의 상단부위에 부재를 관통하는 체결구멍(141)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bezel 70 and the upper base 140 are mounted on the upper base 140 in order to 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20 at the upper end. A protrusion 72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zel 70 and a fastening hole 141 penetrating the upper end of the upper base 140.

상기 와이어 프레임(50)은 상기 암 레스트(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백(12)에 대한 상기 암 레스트(10)의 힌지지점을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암 레스트(10)에 대해 상기 컵 홀더(20)를 고정 장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 프레임(50)은 상기 암 레스트(10)의 개구부(14)에 대해 상기 케이스(40)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와이어 프레임(50)은 상기 록킹 홀더(148)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암 레스트(10)의 개구부(14)에 대해 상기 어퍼 베이스(14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The wire frame 50 is installed inside the armrest 10 to set a hinge point of the armrest 10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12 and at the same time, And the holder 20 is fixedly mounted. To this end, the wire frame 50 is configured to firmly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40 with respect to the opening 14 of the armrest 10. That is, the wire frame 50 can firmly fix the upper base 140 to the opening 14 of the armrest 10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holder 148.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60)는 상기 서포트 패드(30)와 상기 로어 베이스(24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 패드(30)와는 서포트 패드(30)의 발포 성형시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로어 베이스(240)와는 나사 체결로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60)와 상기 로어 베이스(240)의 대응되는 부위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오목한 형태의 볼팅 좌면(62, 244)이 각각 형성된다.The support plate 60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ad 30 and the lower base 240. The support plate 6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upport pad 30 when the support pad 30 is foam molded, (240) are screwed together. For this purpose, concave bolting seating surfaces 62 and 244 are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 60 and the lower base 240, respectively.

상기 베젤(70)은 상기 어퍼 베이스(14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컵 홀더(20)의 상측 외관부위를 라운드 처리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bezel 70 is a member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base 140, and 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20 to improve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은 러버 홀더(80)를 부가적으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러버 홀더(80)는 유연 소재로 이루어는 것으로, 상기 어퍼 베이스(140)와 상기 로어 베이스(240)의 내부 공간에서 음료 용기의 외주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comprises a rubber holder (80). In this case, the rubber holder 8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installed to directly conta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ase 140 and the lower base 240.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컵 홀더(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동작되어 수납 위치에서 전개되어 사용 위치로의 전이가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cup hold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equentially operated so that the cup holder 20 is expanded from the storage position to the use position.

먼저, 상기 서포트 패드(30)의 파지홈(32)을 외부로 당기게 되면, 상기 서포트 패드(30)는 상기 암 레스트(10)의 단차부위(16)로부터 전방을 향해 이격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서포트 패드(30)와 결합된 상태의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60)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60)와 나사 체결된 상기 로어 베이스(240)는 상기 어퍼 베이스(140)로부터 하향 이동하게 된다.First, when the holding groove 32 of the support pad 30 is pulled out, the support pad 30 is spaced forward from the stepped portion 16 of the armrest 10. The support plate 60 coupled with the support pad 30 moves forward as well, so that the lower base 240, which is screwed with the support plate 60, As shown in FIG.

즉, 상기 어퍼 베이스(140)에 대한 상기 로어 베이스(240)의 하향 이동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데, 이때 상기 후크(242)는 상기 가이드 리브(146)를 따라 하향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하단 걸림턱(144)과의 접촉에 의해 하향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40)는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의 수용공간 깊이를 최대로 확장한 상태로 전이된 것이다.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ower base 240 relative to the upper base 140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7. At this time, the hook 242 is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rib 146 The downward movement is stopped by the contact with the lower end stop 144. At this time, the case 40 is transferred in a state of maximally expanding the depth of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이 상태에서, 상기 컵 홀더(20)는 내부의 수용공간 깊이를 최대로 확장할 수 있으므로, 음료 용기는 상기 어퍼 베이스(140)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 돌기(149)에 의해 외주면의 전 둘레부위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컵 홀더(20)는 보다 안정적으로 음료 용기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cup holder 20 can maximally extend the depth of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the elastic protrusions 149 provided on the upper base 140, So that the cup holder 20 can receive the beverage container more stably.

반대로, 상기 컵 홀더(20)를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전이할 때에는 상기 서포트 패드(30)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면서 상기 시트 백(12)에 대해 상기 암 레스트(10)를 선회시키게 되면, 상기 로어 베이스(240)의 후크(242)는 상기 가이드 리브(146)를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케이스(40)의 수용공간 깊이는 원래의 상태로 축소되면서 상기 암 레스트(10)는 상기 시트 백(12)에 대해 최초의 정상적인 수납 위치로 옮겨지게 된다.In contrast, when the cup holder 20 is shifted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when the support pad 30 is pushed upward and the armrest 10 is turned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12, The hook 242 of the lower base 240 is moved upward along the guide rib 146 so that the receiving space depth of the case 40 is reduced to the original state, The bag 12 is moved to the first normal storage posi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above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암 레스트 12-시트 백
20-컵 홀더 30-서포트 패드
32-파지홈 40-케이스
50-와이어 프레임 60-서포트 플레이트
70-베젤 80-러버 홀더
140-어퍼 베이스 142-상단 걸림턱
144-하단 걸림턱 146-가이드 리브
240-로어 베이스 242-후크
10-Armrest 12-Seatback
20-cup holder 30-support pad
32-Finger groove 40-case
50-wire frame 60-support plate
70-bezel 80-rubber holder
140-Upper Base 142-Top Jaw
144-lower jaw 146-guide rib
240-lower base 242-hook

Claims (6)

시트 백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 레스트; 및
상기 암 레스트에 장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의 깊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하방향으로 분할되는 어퍼 베이스와 로어 베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퍼 베이스와 상기 로어 베이스에는 상하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
An arm rest pivot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And
And a case mounted on the armrest and variably controlling the depth of the accommodating space therein,
Wherein the case is formed of an upper base and a lower base which are di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are provided with an engagement structure for limiting a range of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 구조물은
상기 어퍼 베이스의 상측부위와 하측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상단 걸림턱과 하단 걸림턱; 및
상기 로어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 걸림턱과 상기 하단 걸림턱에 대해 각각 접촉하는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tching structure
A top engaging jaw and a bottom engaging jaw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ase, respectively; And
And a hook which is provided on the lower base and makes contact with the upper latching jaw and the lower latching jaw,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베이스는 상기 로어 베이스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base includes a guide rib for guiding movement of the lower base in a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 레스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트 패드, 및 상기 서포트 패드와 상기 로어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서포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서포트 패드와 발포 성형시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로어 베이스와 나사 체결로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pad mov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armrest, and a support plat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d and the lower base,
Wherein the support plate is coupled to the support pad during foam molding, and the support plate is coupled to the lower base by screw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베이스와 상기 로어 베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러버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ubber holder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베이스의 상단 내주면에 설치되는 베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ezel provided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ase.
KR1020170143343A 2017-10-31 2017-10-31 Cup holer device for arm rest KR102392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43A KR102392151B1 (en) 2017-10-31 2017-10-31 Cup holer device for arm 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43A KR102392151B1 (en) 2017-10-31 2017-10-31 Cup holer device for arm r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409A true KR20190048409A (en) 2019-05-09
KR102392151B1 KR102392151B1 (en) 2022-04-29

Family

ID=6654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343A KR102392151B1 (en) 2017-10-31 2017-10-31 Cup holer device for arm 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15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82U (en)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Cup Holders for Automotive Console Leads
KR100330885B1 (en) 1999-10-28 2002-04-03 류정열 A seatback cup holder of a car
KR20060014762A (en) 2004-08-12 2006-02-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holding cup installed inside of arm rest
KR101397329B1 (en) * 2012-11-20 2014-05-19 현대다이모스(주) Cup holder apparatus for depth adjusting function
KR20150039281A (en) * 2013-10-02 2015-04-10 한일이화 주식회사 Cup holder for vehicle
JP2016508918A (en) * 2013-02-21 2016-03-24 シャンハイ ヤンフェン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シーテ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anghai Yanfeng Johnson Controls Seating Co., Ltd. Cup holder with adjustable depth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82U (en)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Cup Holders for Automotive Console Leads
KR100330885B1 (en) 1999-10-28 2002-04-03 류정열 A seatback cup holder of a car
KR20060014762A (en) 2004-08-12 2006-02-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holding cup installed inside of arm rest
KR101397329B1 (en) * 2012-11-20 2014-05-19 현대다이모스(주) Cup holder apparatus for depth adjusting function
JP2016508918A (en) * 2013-02-21 2016-03-24 シャンハイ ヤンフェン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シーテ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anghai Yanfeng Johnson Controls Seating Co., Ltd. Cup holder with adjustable depth
KR20150039281A (en) * 2013-10-02 2015-04-10 한일이화 주식회사 Cup hold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151B1 (en)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4312B2 (en) Center console assembly
US9272651B1 (en) Storage assembly with cup holder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7194087B2 (en) Phone holder assembly
US20060186155A1 (en) Multi-functional fastener system
MX2015000354A (en) Sliding door for a storage bin in a vehicle center floor console.
JP2015510853A (en)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US9283876B2 (en) Head restraint with storage
US8573552B2 (en) Cup holder assembly having a pair of lids and a single release button
US9630563B2 (en)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US10029619B2 (en)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US9917454B2 (en) Instrument panel storage system incorporating a removable storage bin
KR20190048409A (en) Cup holer device for arm rest
US10131263B2 (en) Folding console for motor vehicle seat
KR100738305B1 (en) Lid opening and shutting device of console box for automobile
JPH0976827A (en) Package tray for vehicle
KR20180051058A (en) Covering shelf rest for vehicle
JP3049378B2 (en) Vehicle storage device
KR0143110B1 (en) Cup holder device
JP7356405B2 (en) table unit
JP4247381B2 (en) Pocket device for interior parts for automobiles
CN219619009U (en) Seat storage box and vehicle
JPS6023224Y2 (en) Article loading mechanism in vehicle seats
GB2471357A (en) Device for laterally positioning an object such as a cup in a receptacle
KR101595732B1 (en) Double holding cup holder for tables of car
JP2005238893A (en) Small article storage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