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176A - Flying car using drone - Google Patents

Flying car using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176A
KR20190048176A KR1020170142779A KR20170142779A KR20190048176A KR 20190048176 A KR20190048176 A KR 20190048176A KR 1020170142779 A KR1020170142779 A KR 1020170142779A KR 20170142779 A KR20170142779 A KR 20170142779A KR 20190048176 A KR20190048176 A KR 20190048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special effect
dron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3020B1 (en
Inventor
차영천
Original Assignee
차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영천 filed Critical 차영천
Priority to KR102017014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020B1/en
Publication of KR20190048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0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60F5/02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convertible into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7/00Convertible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64C2201/0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ying vehicle using a drone, capable of enabling an autonomous flight and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and, also,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rresponding to a current driving situation to a user. The flying vehicle using the drone includes: the at least a drone including multiple propellers and flying using a rotary force of the propeller, wherein the at least a drone photographs an image about a surrounding situation and senses the surrounding situation using a camera and a sensor; a driving unit driving including and flying using the rotary force of the wheel, wherein the driving unit is towed by the drone and supports boarding of a user; an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in order for the user getting in the driving unit to grip the operation unit and receiving an operation value of the user; a towing unit supporting connection of the drone and the driving unit and enabling the driving unit to be towed by the drone or enabling the drone unit to be towed by the driving unit; a control unit determining a moving route by responding to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and performing the autonomous flight and the automatic navigation flight based on the moving route, wherein the control unit analogizes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at least one among a sensing value of the sensor and a user position and generates and provides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overlaying the virtual image to an output image of the camera and playing the same; and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battery and providing driving power of the driving unit and the drone by using charged power of the battery.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Flying car using drone}{Flying car us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과 비행 모두 가능하며 또한 현재 주행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 특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ight vehicle using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ight vehicle using a drone capable of both traveling and flying, and capable of providing virtual images and special effect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riving situation.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무인기를 의미한다.Generally, a drone refers to a UAV flying by induction of a radio wave.

드론은 처음에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열기구를 통해 폭탄을 떨어뜨리는 방식에서 무선조종을 통한 무인폭격기로 발전된 것으로, 현재는 정찰·감시와 대잠공격의 용도로 사용되며, 용도에 따라 표적드론(target drone), 정찰드론(reconnaissance drone), 감시드론(surveillance drone), 다목적 드론(multi-roles drone) 등으로 구분된다.The drones were originally developed for military use and developed into unmanned bombers through the use of hot air balloons. They are now used for reconnaissance, surveillance, and anti-submarine attacks. Target drone, , Reconnaissance drone, surveillance drone, and multi-roles drone.

최근에는, 드론은 군사용도 외에도 항공 촬영, 운송, 방재, 보안 등 다양한 민간 분야에 까지 활용됨에 따라 군사용인 대형 고정익 무인기로부터 의료용인 초소형 드론까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well as military use, drones are being used in a wide variety of civilian fields such as aerial photography, transportation, disaster prevention, security, and so on.

드론은 작동 방식에 따라 바퀴 드론, 고정익 드론, 그리고 틸트 로터로 구분된다.Drones are divided into wheel drones, fixed wing drones, and tilt rotors, depending on how they operate.

바퀴 드론은 회전축에 장착된 프로펠러가 돌면서 발생되는 양력에 의해 비행하는 것으로서, 프로펠러의 개수에 따라 쿼드콥터, 헥사 콥터, 옥토콥터 등으로 나뉜다. 바퀴 드론은 수직 이륙이 가능하며, 자유로운 방향전환이 가능하며, 일정한 고도를 유지한 채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가능하여 영상촬영에 용이한 이점이 있어, 개인이나 민간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 wheel drones fly by the lift generated by the propeller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and are divided into quad copter, hexacopter and octocopt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opellers. The wheel drones can be taken off vertically, can be turned freely, can be kept moving at a constant altitude, and can be easily used for image shooting, which is widely used in private and private sectors.

고정익 드론은 동체에 날개가 고정된 채 엔진이나 프로펠러의 힘으로 양력을 얻어 비행하는 것이며, 틸트 로터는 날개 양끝의 엔진과 프로펠러를 위아래로 회전시켜 수직 이률이나 고속 전진 비행이 가능한 비행체이다. 고정익 드론과 틸트 로터는 주로 상업용보다는 군사 목적으로 쓰이는 것들로서, 장시간 비행, 빠른 속도, 그리고 높은 고도로 비행할 수 있는 장점 등이 있다.The fixed-wing drones are flying with the wing fixed to the fuselage, and the engine is powered by the propeller, and the tilt rotor is a flying body capable of rotating the engine and propeller on both ends of the wing up and down to achieve vertical rate or high-speed forward flight. Fixed-wing drones and tilt rotors are primari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rather than commercial applications, such as long flight, high speed, and high altitude flying.

최근 드론을 비행 조종하는 개인의 취미활동이 증가하고 있고, 민간 분야에서 수송 및 영상 촬영을 목적으로 드론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드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바퀴 드론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hobby activity of the person handling the drones, and as the use of drones for transportation and image shooting in the private sector has increased, interest in drones has increased,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9788호에는 주변의 시선을 유도하여 이용자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광고할 수 있는 유선드론을 구비한 바이크가 게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29788 discloses a bike equipped with a wired dron that can induce a user's attention by efficiently guiding a user's product or service.

하지만, 아직까지 개인이 드론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취미활동으로는 드론의 비행을 조종하거나 드론을 이용해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hobby activities that an individual can do using drones, such as manipulating the drones' flight or shooting images using a dron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9788호 : 유선드론을 구비한 바이크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29788: A motorcycle having a wired dron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행과 비행 모두 가능하며 또한 현재 주행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 특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ight vehicle using a drone capable of providing a virtual image and a special effect corresponding to a current driving situ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통해 비행하며,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 주변 상황을 영상 촬영 및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다수의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의 회전력을 통해 주행하거나, 상기 드론에 의해 견인되며, 사용자 탑승을 지원하는 한 주행 유닛; 상기 주행 유닛에 탑승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행 유닛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을 입력받는 조작 유닛; 상기 드론과 상기 주행 유닛의 결합을 지원하여, 상기 주행 유닛이 상기 드론에 의해 견인되거나, 상기 드론이 상기 주행 유닛에 의해 견인되도록 하는 견인유닛; 상기 사용자의 조작값에 응답하여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되,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센서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하고,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 및 제공하는 제어 유닛;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의 출력 영상에 오버레이시켜 재생하는 특수 효과 재현 유닛; 및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통해 상기 드론과 상기 주행 유닛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esel engine comprising: at least one dron including a plurality of propellers, flying through a rotational force of the propeller, and photographing and sensing a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a camera and a sensor; A driv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nd running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heels, being pulled by the drones, and supporting user boarding; An operating unit coupled to the driving unit so as to be gripped by a user of the driving unit, the operating unit receiving an operation value of the user; A traction unit for supporting engagement of the driving unit with the dragon, wherein the driving unit is pulled by the dragon or the dragon is pulled by the driving unit; Determining a travel rout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and performing an autonomous travel and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based on the travel route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r location and a sensing value of the senso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for overlaying and reproducing the virtual image on an output image of the camera; And a power supply unit having a battery and supplying driving power of the drone and the driving unit through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상기 특수 효과 재현 유닛은 180도 내지 360도의 시야각을 가지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may include a semi-transparent display device having a viewing angle of 180 to 360 degrees.

상기 특수 효과 재현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하에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특수 효과를 파악하고, 상기 특수 효과를 4차원적으로 재현하는 특수 효과 재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further includes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module for recognizing the special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reproducing the special effect in four dimensions.

상기 드론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하에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특수 효과를 파악하고, 상기 특수 효과를 4차원적으로 재현하는 드론용 특수 효과 재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one further includes a special effect reproduction module for a drone that grasps a special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reproduces the special effect in four dimensions.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이 수동 제어값이면, 상기 수동 제어값에 따라 상기 드론 및 상기 주행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제어하는 수동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이면,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에 상응하는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는 자동 제어부; 사용자 위치를 실시간 확인 및 추적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 및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센서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한 후,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 및 특수 효과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특수 효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drone and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manual control value if the manipulation value of the user is a manual control value; An automatic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movement route corresponding to the departure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location when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is information on a departure location and a destination from the user and performing an autonomous travel and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based on the travel route; A user location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and tracking the user location in real time; And a special effect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virtual image and special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fter inferring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 position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상기 자동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주행 유닛을 이용한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automatic control unit monitors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and performs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using the drones if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performs autonomous traveling using the driving unit otherwise And further compris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측에 설치된 다수의 프로펠러, 하부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바퀴, 카메라 및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통해 비행하거나 상기 제1 바퀴의 회전력을 통해 주행하며,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를 통해 주변 상황을 영상 촬영 및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이 결합되는 제1 바퀴축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바퀴가 결합되는 제2 바퀴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퀴의 회전력을 통해 주행하거나 상기 드론에 의해 견인되며, 사용자 탑승을 지원하는 주행 유닛; 상기 주행 유닛에 탑승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행 유닛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을 입력받는 조작 유닛; 상기 사용자의 조작값에 응답하여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되,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센서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하고,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 및 제공하는 제어 유닛;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의 출력 영상에 오버레이시켜 재생하는 특수 효과 재현 유닛; 및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통해 상기 드론과 상기 주행 유닛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pell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pellers installed on an upper side; at least one first wheel installed on a lower side; a camera and a sensor; At least one dron running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wheel and photographing and sensing a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the camera and the sensor; A first wheel axis to which the at least one dron is coupled and a second wheel axis to which at least one second wheel is coupled and is drive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wheel or towed by the dron, A supporting driving unit; An operating unit coupled to the driving unit so as to be gripped by a user of the driving unit, the operating unit receiving an operation value of the user; Determining a travel rout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and performing an autonomous travel and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based on the travel route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r location and a sensing value of the senso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for overlaying and reproducing the virtual image on an output image of the camera; And a power supply unit having a battery and supplying driving power of the drone and the driving unit through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상기 특수 효과 재현 유닛은 180도 내지 360도의 시야각을 가지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may include a semi-transparent display device having a viewing angle of 180 to 360 degrees.

상기 특수 효과 재현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하에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특수 효과를 파악하고, 상기 특수 효과를 4차원적으로 재현하는 특수 효과 재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further includes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module for recognizing the special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reproducing the special effect in four dimensions.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이 수동 제어값이면, 상기 수동 제어값에 따라 상기 드론 및 상기 주행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제어하는 수동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이면,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에 상응하는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는 자동 제어부; 사용자 위치를 실시간 확인 및 추적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 및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센서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한 후,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 및 특수 효과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특수 효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drone and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manual control value if the manipulation value of the user is a manual control value; An automatic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movement route corresponding to the departure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location when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is information on a departure location and a destination from the user and performing an autonomous travel and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based on the travel route; A user location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and tracking the user location in real time; And a special effect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virtual image and special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fter inferring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 position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상기 자동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를 이용한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드론의 제 1 바퀴와 상기 주행 유닛의 제2 바퀴를 이용한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control unit monitors the charge power of the battery and performs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using the propeller of the drone if the charge power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performing a self-running using the second wheel of the second wheel.

본 발명의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뿐 만 아니라, 주행 유닛을 이용한 주행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인 드론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현재 주행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 특수 효과를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재미를 극대화시킬 수 뿐 아니라, 비행 자동차의 활용도 또한 보다 다양화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light vehicle using the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not only a flight using a drones but also a travel using a driving unit, thereby enabling a more various and efficient dron operation. In addition, virtual images and special effect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riving situation are provided in real time, thereby maximizing the user's enjoyment, and also making the utilization of the flying vehicle more diversified.

도 1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의 조작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의 특수 효과 재현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flying vehicle using a dron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unit of a flying vehicle using a dr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lying vehicle using a dr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of a flying vehicle using a dr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flying vehicle using a dro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flight vehicle using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은 정면도, 도 2는 측면도, 도 3은 투시도이고, 도 4는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front view, FIG. 2 is a side view, FIG. 3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lying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비행 자동차(1)는 드론의 추진력에 의해 드론의 비행 방향으로 드론을 조종하는 조종자(이하 사용자라 함.)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The flying vehicle 1 is a device for moving a pilo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that manages the drones in the direction of the drones by the propulsion of the drones.

비행 자동차(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통해 비행하며,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 주변 상황을 영상 촬영 및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10), 주행 유닛(50)에 탑승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주행 유닛(50)에 결합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 값을 입력받는 조작 유닛(20), 드론(10)과 주행 유닛(50)의 결합을 지원하여, 주행 유닛(50)이 드론(10)에 의해 견인되거나, 드론(10)이 주행 유닛(50)에 의해 견인되도록 하는 견인유닛(40), 다수의 바퀴를 구비하고 바퀴의 회전력을 통해 주행하거나, 드론(10)에 의해 견인되며, 사용자 탑승을 지원하는 한 주행 유닛(50), 사용자의 조작값에 응답하여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되, 사용자 위치 및 센서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하고,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 및 제공하는 제어 유닛(60), 가상 이미지를 카메라의 출력 영상에 오버레이시켜 재생하는 특수 효과 재현 유닛(70), 배터리를 구비하고,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통해 드론(10)과 주행 유닛(50)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80)를 포함한다. The flying vehicle 1 includes at least one propeller, at least one dron 10 that photographs and senses a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a camera and a sensor, a navigation unit 50, The operation unit 20 is coupled to the driving unit 50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driving unit 50. The operation unit 20 receives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and supports the combination of the driving unit 50 and the drones 10, A traction unit 40 that is pulled by the drone 10 or causes the drone 10 to be pulled by the driving unit 50, a plurality of wheels that are drive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heels, A navigation unit 50 for supporting user boarding, a navigation unit 50 for determining a navigation route in response to an operation value of the user, performing autonomous navigation and automatic navigation based on the navigation rout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values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70 for overlaying the virtual image on the output image of the camera to reproduce the virtual image, and a battery. The control unit 60 generates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nd a power supply unit 80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drone 10 and the driving unit 50 through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일반적인 드론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은 일반적인 드론에 조작 유닛(20)이 견인유닛(40)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다수의 프로펠러(11), 드론(10)의 주변 상황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12), 드론(10)의 주변 상황(예를 들어, 온도, 풍속, 자기, 광량, 고도 등)을 센싱하는 센서(13), 드론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제어 유닛(60)의 제어 하에 다수의 프로펠러(11)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등을 제어하는 드론 제어부(14)를 구비한다. The general drones are flying objects that do not burn but fly by induction of radio waves. A dr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 10 connected to a general drones by a control unit 20 through a traction unit 4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ropellers 11 and a camera 10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of the dron 10 A sensor 13 for sensing the surroundings of the dron 10 (for example, temperature, wind speed, magnetism, light quantity, altitude, etc.) And a drone control unit 14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rotational direction, etc.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1 under control.

본 발명의 드론은 주행 장치 및 사용자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페이로드 100KG 이상급이고, 종축형 8축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2개 내지 16개의 프로펠러가 달린 비행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드론의 프로펠러의 크기, 개수 그리고 회전수에 따라 양력 및 추력 등을 구비하여 드론의 개수를 달리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당연하다.The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preferably have a payload of 100 Kg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traveling device and the user, and be 8 or more in the longitudinal axis. Al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1 to 3, but a flying object having two to sixteen propellers may be applied. The propeller of the dron may be provided with lift and thrust according to the size, Of course, be set differently.

본 발명은 드론(10)의 하부측에 다수의 후크(15)를 형성하고, 견인 유닛(40)의 상부측에 상기 후크(15)와의 결합을 지원하는 후크 체결 수단(41)을 형성하고, 이들을 통해 드론(10)이 비행 자동차에 장착 또는 탈착될 수도 있도록 한다. 참고로, 드론은 비행 역학 원리상 전진 및 후진, 좌우 이동시 해당되는 방향의 프로펠러 회전수를 가감시킴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비행한다. 이로 인해 동체가 기울어지므로 사람이 탑승할 경우 정상 조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후크 방식으로 드론(10)과 견인 유닛(40)에 결합되도록 하여, 드론의 동체 기울기와 상관없이 견인 유닛(40) 및 주행 유닛(5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드론의 동체 기울기와 상관없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비행 자동차를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oks 15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one 10 and a hook fastening means 4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ulling unit 40 to support the hook 15, So that the drone 10 can be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flight vehicle. For reference, the drones fly in the desired direction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when advancing, reversing, or moving left and right on the principle of flight mechanics. As a result, the fuselage tilt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teer the fuselage when a person is aboard.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the drone 10 and the traction unit 40 in a hook manner, so that the traction unit 40 and the driving unit 50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regardless of the slope of the body of the drones. In other words, the user always maintains the horizontal state irrespective of the inclination of the fuselage of the drones, so that the flight vehicle can be stably adjusted.

조작 유닛(20)은 사용자에 파지되며, 드론의 방향, 고도 및 속도 등의 비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신호,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 수행을 위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부분이다.The operation unit 20 is gripped by the user and includes an operation signal for adjusting the flight state such as the direction, altitude and speed of the dron, and a sourc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for autonomous navigation and automatic navigation flight execution Section.

조작 유닛(20)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각각 파지 가능하게 각각 형성된 좌측 및 우측핸들부(21,22)와, 좌측핸들부(21)와 우측핸들부(22) 사이에 형성되고 견인유닛(40)과 연결되는 센터부(23)와, 좌측핸들부(21)와 센터부(23) 사이에 설치되는 상승하강조작부(24)와, 상승하강조작부(24)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드론(10)의 좌우회전을 조종하는 좌우회전조작부(25)와, 센터부(23)와 우측핸들부(22) 사이에 설치되어 드론(10)의 전진 및 후진을 조종하는 전후진조작부(26)와, 전후진조작부(26)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드론(10)의 좌우 이동을 조종하는 좌우이동조작부(27)를 구비한다. 조작 유닛(20)의 조작신호는 사용자가 상승하강조작부(24), 좌우회전조작부(25), 전후진조작부(26), 좌우이동조작부(27)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말한다.The operating unit 20 includes left and right handle portions 21 and 22 each formed by a user so as to be grasped by both hands respectively and a handle portion 22 formed between the left handle portion 21 and the right handle portion 22, A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part 24 provided between the left handle part 21 and the center part 23 and a lifting and lowering part 24 provided adjacent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part 24, A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portion 26 provided between the center portion 23 and the right handle portion 22 to manipulat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ron 10, And a left and right moving operation portion 27 provided adjacent to the operating portion 26 to control the lateral movement of the dron 10. [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20 refers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operation unit 24, the left / right rotation operation unit 25, the forward / backward operation unit 26, and the left / right movement operation unit 27.

도시된 예와 다르게, 상승하강조작부와 좌우회전조작부는 우측핸들부(22)와 센터부(23) 사이에 위치되고, 전후진조작부와 좌우이동조작부는 좌측핸들부(21)와 센터부(23) 사이에 위치되게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ng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operating portion are located between the right hand portion 22 and the center portion 23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operating portion are located between the left handle portion 21 and the center portion 23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유닛(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왼손과 오른손으로 좌측핸들부(21)와 우측핸들부(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를 이용하여 각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어, 드론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시에도 사용자가 각 조작부의 조작이 가능하다.5, the operation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user grasps the left handle portion 21 and the right handle portion 22 with the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respective operating portions while being pulled by the drone and moving.

상승하강조작부(24)는 드론(10)의 비행 고도를 단계적으로 조절가능하며 일정고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노브 다이얼(Knob Dial) 형태로 형성된다. 상승하강조작부(24)는 사용자에 멀어지는 회전방향이 고도를 높이는 방향이고 사용자 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이 고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scending / descending manipulation unit 24 is formed in the form of a knob dial tha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flight altitude of the drones 10 in a stepwise manner and rotated to maintain a constant altitude. It is preferable that the ascending / descending operation section 24 is se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direction away from the user increases the altitude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side rotates decreases the altitude.

또한, 전후진조작부(26)도 각각 드론(10)의 속도가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일정 속도유지가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한 노브 다이얼(Knob Dial) 형태로 형성된다. 전후진조작부(26)가 사용자에 멀어지는 회전방향이 드론의 전진 방향이며 사용자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이 드론의 후진 방향이다.Further, the forward / backward operation portion 26 is also formed as a knob dial which is rotatable so that the speed of the drone 10 can be adjusted stepwise and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spe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ward / backward operation portion 26 moves away from the user is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drone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rotates is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drones.

좌우회전조작부(25)와 좌우이동조작부(2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 인가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스틱레버 형태로 형성되며, 외력이 해제시 중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토션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2, the left-right rotation operation unit 25 and the left-right movement operation unit 27 are formed in the form of a stick lever which can move left and righ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compression spring is installed.

좌우회전조작부(25)가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면 드론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면 드론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When the left / right rotation operating part 25 is moved to the left sid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 user, the dron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when the right side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the dron is rotated clockwise.

좌우이동조작부(27)가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면 드론은 비행 중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면 드론은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When the left / right movement operating portion 27 is moved to the left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the dron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during flight,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user, the dron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더하여, 조작 유닛(20)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제어 패널(29)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출발지에서에서 목적지로의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unit 20 has a control panel 29 such as a touch screen, through which information on the origin and destination can be input, and autonomous navigation and automatic navigation flight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can be requested .

또한, 조작 유닛(20)은 센터부(23)의 양측 단부에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좌측핸들부와 우측핸들부의 전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좌측핸들부와 우측핸들부를 각각 파지한 사용자의 손 조작을 통해 주행 유닛의 바퀴 회전을 억제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20 is extended from both side ends of the center portion 23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extends forward of the left handle portion and the right handle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hand holding the left handle portion and the right handle portion, And a brake member capable of restraining rotation of the wheels of the traveling unit through an operation.

또한, 조작 유닛(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어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표시하는 속도계(34)와, 드론의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나타나는 회전계(3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제어부와 연결되어 드론이 이동을 멈추고 그 자리에서 호버링(hovering)되게 하는 긴급정지버튼(33)이 마련될 수 있다.5, the operation unit 20 includes a speed meter 34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and a rotation meter 35 indica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 of the drone And an emergency stop button 33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and allowing the dron to stop moving and hovering on the spot can be provided.

센터부(23)는 후술되는 전원 공급부(53)와 연결되어 견인유닛(40)을 통해 드론(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조작 유닛(20)을 온(On)/오프(Off)시키는 전원스위치(39)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조작 유닛(20)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신호를 복수 개 마련되는 드론에 각각 보낼 수 있도록 조작신호를 분배하는 신호분배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The center unit 23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53 to supply power to the drones 10 through the traction unit 40 and to a power source for turning on / A signal distributor (not shown) for distributing operation signals so as to send the operation signal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20 to a plurality of drones provided with the switches 39 may be mounted.

본 발명의 조작 유닛(20)은 보조파지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보조파지부(30)는 센터부(23)의 하방에서 좌측핸들부(21)와 우측핸들부(22)가 상호 이격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보조파지본체(31)와, 보조파지본체(31)의 양측 단부에서 조작 유닛의 하면에 대해 돌출된 회전축(36)의 하부의 외주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회전축(36)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결합부(32)를 구비한다. 보조파지부(30)는 회전축(36)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어 회전축(36)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견인유닛(40)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clude the auxiliary grip portion 30 and the auxiliary grip portion 3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23 with the left handle portion 21 and the right handle portion 22,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shaft 36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at both side ends of the auxiliary grasping main body 31. The auxiliary grasping main body 31 is formed by extending in the mutually spaced directions, And a fixed engaging portion 32 formed a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36. [ The auxiliary gripper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36 so that the rotary shaft 36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rotate the drawing unit 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조작 유닛(2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GPS모듈 등의 주행 및 비행에 필요한 각종 센서가 내장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속도와 방향, 방위, 고도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 유닛(60)에 제공함으로써, 제어 유닛(60)이 이를 고려한 드론 및 주행 유닛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operation unit 20 includes various sensors necessary for traveling and flying,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GPS module. Through thi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moving speed, direction,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60 so that the control unit 60 can perform the drones and the driving unit control operation considering this.

주행 유닛(50)은 사용자 탑승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자를 지지하는 운반본체(51)와, 운반본체(51)에 결합 설치되어, 지면에 대한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다수의 바퀴(52), 바퀴 회전을 억제시켜 바퀴 제동을 수행하는 브레이크(53), 및 제어 유닛(60)의 제어 하에 바퀴(52)의 회전 속도 및 방향, 브레이크(53)의 제동력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54)를 구비한다. The driving unit 50 is a means for supporting user boarding. The driving unit 50 includes a carrying body 51 for supporting the user, a plurality of wheels 52, which are coupled to the carrying body 51 and perform rotational mo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 brake 53 for suppressing wheel rotation to perform wheel braking and a running control unit 54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and direction of the wheel 52 and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5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Respectively.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주행 유닛(50)은 각 바퀴(52)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다. 다수의 바퀴(52)는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기체반동토크를 서로 상쇄시켜 주행 유닛(50)이 평행을 유지하며 외력에 대해서도 본체에서 지면방향으로 균등한 부양력이 발생되도록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드론에 가해지는 페이로드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주행유닛(50)이 구동모터가 없이 단지 바퀴와 브레이크, 조향장치만으로 구성되어 주행유닛의 무게를 최소화할수 있다. 이 경우 드론의 견인만으로 주행유닛의 전후진, 좌우회전이동이 가능하다.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riving unit 5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wheels 52, and a driving motor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shaft. The plurality of wheels 52 are rotated in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to cancel out the gas braking torques so that the traveling unit 50 maintains parallelism and is applied to generate an equal lift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desirable. However, in order to alleviate the payload load applied to the drones, the driving unit 50 can be constituted by only wheels, brakes, and steering devices without a driving motor, thereby minimizing the weight of the driving uni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ove the traveling unit forward and backward and horizontally by pulling only the drones.

바퀴(52)는 조작 유닛(20)의 전원스위치(28)를 통해서 구동이 제어될 수도 있으며, 주행 유닛(50)은 바퀴(52) 구동을 위한 별도의 스위치(미도시)가 운반본체(51)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wheels 52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via the power switch 28 of the operation unit 20 and the driving unit 5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witch (not shown) for driving the wheels 52, ).

더하여, 본 발명의 주행 유닛(50)은 도 1 내지 도 3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7의 (a)에서와 같이 구현 형태가 다양화될 수 있음은 물론 당연할 것이다. 또한, 도 7의 (b)와 같이,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판상의 미끄럼판(54)이 주행 유닛(50)(특히, 운반 본체(51)의 하부측에 추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수륙양용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미끄럼판(54)이 수상에서 운반본체의 부양을 돕고, 육상에서는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행 자동차가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driving uni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s of Figs. 1 to 3, and may be, for example, various embodiments as shown in Fig. 7 (a). 7 (b), a plate-like sliding plate 54 having a predetermined buoyancy is additionally coupled to the traveling unit 50 (particularly, the lower side of the transportation body 51) The slip plate 54 assists the lifting of the carrying body in the water phase and enables sliding on the land so that the flying vehicle can be used in a wider variety of environments.

제어 유닛(60)은 사용자의 조작 값이 수동 제어값이면, 상기 수동 제어값에 따라 상기 드론 및 상기 주행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제어하는 수동 제어부(61), 사용자의 조작 값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이면,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에 상응하는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는 자동 제어부(62), 사용자 위치를 실시간 확인 및 추적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63),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센서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한 후,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 및 특수 효과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특수 효과 제어부(64)를 구비한다.The control unit (60) includes a manual control unit (6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rone and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manual control value, if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is a manual control value, An automatic control unit 62 for calculating a travel route corresponding to the departure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and performing an autonomous travel and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on the basis of the travel route if the information is about the destination, A special effect controller 64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virtual image and special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fter inferring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confirmation unit 63, .

이때, 본 발명의 자동 제어부(62)는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주행 유닛을 이용한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드론의 동작을 지원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할 경우에만, 드론(10)이 비행 자동차(1)를 들어 공중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automatic control unit 62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and performs automatic navigation flight using the drones if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That is, only when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is sufficient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drone, the drone 10 can lift the airplane 1 in the air.

물론, 사용자가 드론을 이용한 비행을 또는 주행 유닛을 이용한 주행을 직접 요청하는 경우, 이를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장치 구동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비행 중 주행이 요청되면, 드론을 이용한 비행 모드에서 드론을 이용한 주행모드 또는 주행 유닛을 이용한 주행 모드로 즉각 변환하고, 주행 중 비행이 요청되면, 드론을 이용한 주행모드 또는 주행 유닛을 이용한 주행 모드에서 드론을 이용한 비행 모드로 즉각 변환되도록 한다. 다만, 주행 중 비행이 요청되었으나, 배터치 충전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량 부족을 통보하고 현재의 주행 모드를 유지하도록 한다. Of course, when the user directly requests the flight using the drone or the driving unit, the user may preferentially reflect the travel to determine the device driving method. That is, when the running in flight is requested, the vehicle is immediately converted from the driving mode using the drone to the driving mode using the drone or the driving mode using the driving unit in the flight mode using the drone. Mode to the flight mode using the drone. However, if the flight is requested while traveling, but the charge amount of the touched touch is not sufficient, notify the insufficient battery charge amount and maintain the current traveling mode.

더하여, 본 발명의 수동 제어부(61) 및 자동 제어부(62)는 드론(10)의 방향 제어는 주행 유닛(50)의 방향 제어와 함께 동작하거나, 드론 정속 모드 중에 주행 유닛(50)만의 회전을 통해 방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드론(10)의 호버링 및 주행 유닛(50)의 브레이크 동작을 통해, 비행 자동차의 정지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anual control unit 61 and the automatic control unit 6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dron 10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direction control of the driving unit 50, So that the direction control can be made possible. Also, through the hovering of the drone 10 and the braking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50, the flight vehicle can be stopped.

특수 효과 재현 유닛(70)은 도 7에서와 같이 180도 내지 360도의 시야각을 가지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71)를 구비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고글, 안경, 및 헬멧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71)는 사용자에게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및 혼합 현실(MR, Mixed reality)을 체험할 수 있도록, 제어 유닛(60)의 특수 효과 제어부(64)에 제공하는 가상 이미지만을 출력하거나, 드론(10)의 카메라(12)의 출력 영상에 가상 이미지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가상 이미지는 텍스트, 2차원 영상, 3차원 영상, 홀로그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7,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70 may be embodied as an HMD (head mounted display), a goggle, a glasses, a helmet, or the like having a translucent display device 71 having a viewing angle of 180 to 360 degrees. The translucent display device 71 is provided with a special effect of the control unit 60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a virtual reality (VR), an augmented reality (AR), and a mixed reality (MR) Only the virtual image to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64 is output or the virtual image is overlaid on the output image of the camera 12 of the drones 10 and output. At this time, the virtual image may be any one of text, two-dimensional image, three-dimensional image, and hologram.

또한 특수 효과 재현 유닛(70)은 제어 유닛(60)에서 제공하는 특수 효과 정보에 응답하여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특수 효과를 4차원적으로 재현하는 특수 효과 재현 모듈(72)을 추가로 구비하고, 이를 통해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음향, 조명, 진동, 냄새, 물, 눈, 안개, 연기, 불꽃놀이, 비누거품, 색종이 등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비행 자동차가 특정 지역을 통과하면, 해당 지역에 가상현실이나 미션, 특수효과가 자동 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재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특수 효과 재현 모듈(70)은 스피커, 조명장치, 진동장치, 발향 장치, 물 분사 장치, 불꽃 발사 장치, 버블 건, 색종이 분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70 further includes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module 72 that reproduces the special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four-dimensionally in response to the special effec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60, This allows you to generate sound, lighting, vibration, smell, water, snow, fog, smoke, fireworks, soap bubbles, and confetti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lying car passes through a specific area, a virtual reality, a mission, and a special effect can be automatically rendered in the corresponding area, thereby providing new fun to the user. Such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module 7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peaker, a lighting device, a vibration device, a smell diffusion device, a water jetting device, a flame throwing device, a bubble gun and a confetti jetting device.

더하여, 이와 같은 특수 효과 재현 모듈(72)은 특수 효과 재현 유닛(70) 대신에 드론(10)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 요청 또는 시스템 구현 환경에 따라 특수 효과 재현 유닛(70) 중 드론(10) 어느 하나에 특수 효과 재현 모듈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module 72 may be installed in the drone 10 instead of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70. That is,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module can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drones 10 of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70 according to a user request or a system implementation environmen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1)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flying vehicle 1 using the dron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만약, 사용자가 주행 유닛(50)에 올라서서 조작 유닛(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28)를 켜서 비행 자동차(1)와 드론(10)을 구동시킨후 조작유닛의 상승하강조작부(24)를 통해 드론(10)을 주행유닛에 부가된 견인유닛의 높이까지 고도를 조종하며 호버링시킨다. 이후 조작 유닛(20)의 상승하강조작부(24), 전후진 조작부(26), 좌우회전조작부(25), 좌우이동조작부(27)의 조작을 통해 드론에 달린 후크형 고리가 비행자동차(1)상단의 견인유닛(40) 기둥 끝 양단에 돌출된 둥근 모양의 돌출부에 끼워 들어가 고정될수 있도록 드론(10)을 이동시킨다. If the user turns on the power switch 28 while the user is standing on the driving unit 50 and grips the operating unit 20 to drive the flying car 1 and the dron 10, 24 to the height of the towing unit attached to the driving unit. The hook type ring attached to the drones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portion 24,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portion 26,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peration portion 25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peration portion 27 of the operation unit 20, The drill 10 is mov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round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column end of the upper draw unit 40. [

제어 유닛(60)은 배터리 충전량을 체크하여 드론(10)을 통해 비행 자동차(1)를 비행시킬지 드론(10) 또는 주행 유닛(50)을 통해 주행시킬지 결정한다.The control unit 60 checks the charged amount of the battery and determines whether to drive the flight vehicle 1 through the drone 10 or the driving unit 50 via the drones 10. [

배터리 충전량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제어 유닛(60)은 사용자가 조작 유닛(20)의 상승하강조작부(24)의 조작을 통해 드론(10) 및 바퀴(52)의 회전 속도를 점차 증가시키게 되면 드론(10) 및 주행 유닛(50)이 지면 위로 서서히 부양하게 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가 되면 사용자는 일정고도를 유지한 채 조작 유닛(20)의 전후진조작부(26)의 조작을 통해 드론(10)의 추력을 증가시켜 주행 유닛(50)이 앞으로 정속 전진 비행하게 되고 전방에 장애물이 나타나게 되면 좌우회전조작부(25)를 조작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장애물을 회피하게 된다. If the battery charge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the control unit 60 gradually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one 10 and the wheel 52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ising and lowering operation portion 24 of the operation unit 20 The drones 10 and the traveling unit 50 float slowly over the ground. When the user reaches a desired height, the user increases the thrust of the drones 10 by operating the forward / backward operation unit 26 of the operation unit 20 while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altitude, And when an obstacle appears in the front, the left and right turning operation unit 25 is operated to move to the left or right to avoid an obstacle.

이처럼, 사용자는 상승하강조작부(24)를 통해 드론(10)의 고도를 조종하며, 전후진 조작부(26), 좌우회전조작부(25), 좌우이동조작부(27)의 조작을 통해 드론(10)을 이동시킨다. 드론(10)의 위치가 이동되면서, 견인유닛(40)에 의해 드론(10)과 연결된 조작 유닛(20)과 주행 유닛(50)이 드론(10)의 이동방향으로 견인된다.Thus, the user controls the height of the dron 10 via the ascending / descending manipulation portion 24 and controls the height of the dron 10 by manipulating the forward / backward manipulation portion 26, the left / right rotation manipulation portion 25, . The operating unit 20 and the traveling unit 50 connected to the drones 10 by the towing unit 40 are pull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es 10 while the position of the drones 10 is moved.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1)는 드론(10)을 조종하는 사용자를 드론(10)의 비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므로 이동수단 및 레져활동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드론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flying vehicle 1 using the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user who manages the dron 10 in the flight direction of the dron 10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moving means and leisure activities, There is an advantage.

특히, 드론을 이용한 비행자동차(1)가 드론(10)을 이용한 주행 모드나, 주행유닛(50)을 통한 주행모드시 호수나 강, 바다를 만나게 될 경우 주행모드로 수면에 진입한 후 드론이 비행자동차(1)를 견인하면서 주행유닛(50) 하부면에 결합된 미끄럼판(54)을 통해 수면에 부양하면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므로 드론을 이용한 비행자동차(1)가 수륙양용으로 병행 이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flying vehicle 1 using the drone enters the running mode using the drones 10 or the running mode through the driving unit 50, It is possible to slide while moving on the water surface through the slip plate 54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raveling unit 50 while towing the flight vehicle 1 so that the flight vehicle 1 using the dron can be used in parallel for amphibious use .

더불어 빙상이나 설원 위에서도 드론을 이용한 주행모드를 통해 통상의 자동차 구동바퀴가 미끄러지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a normal car driving wheel slips through a driving mode using a drones even on an ice sheet or a snowy field.

반면, 배터리 충전량이 기 설정값 보다 작으면, 제어 유닛(60)은 사용자가 조작 유닛(20)의 전후진조작부(26)의 조작을 통해 바퀴(52)의 회전 속도만을 점차 증가시킨다. 그러면, 주행 유닛(50)은 전후진조작부(26)의 조작량에 비례하여 전진하고, 사용자는 필요시 좌우회전조작부(25)를 추가 조작하여 이동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charge amount is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the control unit 60 gradually increases onl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52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forward / backward operation portion 26 of the operation unit 20. [ Then, the driving unit 50 advances in proportion to the operation amount of the forward / backward operation portion 26, and the user can further manipulate the left / right rotation operation portion 25 to adjust the movement direction to the left or right if necessary.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이하와 같이 동작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 증강 현실, 및 혼합 현실 중 하나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Then, the user operates the virtual reality, the augmented reality, and the mixed reality in the following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 이를 위해 제어 유닛(60)의 특수 효과 제어부(64)는 사용자 위치 및 센싱값의 조합에 상응하는 상황 정보, 상황 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 및 특수 효과 정보를 사전에 획득 및 저장하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However, the special effect control unit 64 of the control unit 60 acquires and stores the virtual image and the special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user position and the sensing value in advance Let's assume.

제어 유닛(60)은 비행 자동차(1)의 구동이 활성화되면, 사용자 위치 및 센서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60 allows the current situation to be infer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 position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when the driving of the airplane 1 is activated.

그리고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 및 특수 효과 정보를 생성하고, 도 8에서와 같이, 가상 이미지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71)를 통해 카메라 촬영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재생되도록 한다. Then, the virtual image and the special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re generated, and the virtual image is overlaid on the camera photographed image through the translucent display device 71 as shown in FIG.

그리고 특수 효과 정보는 특수 효과 재현 모듈(72)을 통해 4차원적으로 재현되도록 한다. 즉,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음향, 조명, 진동, 냄새, 물, 눈, 안개, 연기, 불꽃놀이, 비누거품, 색종이 등을 직접 발생하여, 사용자가 비행 자동차(1)가 의도하는 가상의 상황에 실제로 처한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The special effect information is reproduced four-dimensionally through the special effect reproduction module 72. That is, it is possible to directly generate sounds, lights, vibrations, smells, water, snow, fog, smoke, fireworks, soap bubbles, confetti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situation, Make sure you feel like you are actually in a situation.

상기의 설명에서는 주행 유닛(50)에 사용자가 탑승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주행 유닛(50)에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 당연하다. 또한 조작 유닛(50)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정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한 경우, 조작 유닛(50)이 제어 유닛(60)이 구비된 비행 자동차를 원격 무선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 유닛(50)은 제어 유닛(60)은 무선 방식으로 연결 및 통신하는 형태로 구현되도록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user is boarding the driving unit 50 is described,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user may not be carried to the driving unit 50 if necessary. Further, the operation unit 50 is implemented in a detachable form so that the user can adjust it from the outside. In such a case, the operation unit 5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control unit 60 is implemented in a form of wireless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so that the operation unit 50 can remotely control the airplane equipped with the control unit 60 do.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flying vehicle using a dro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비행 자동차(1')는 상부측에 설치된 다수의 프로펠러(110), 하부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바퀴(120), 카메라(130) 및 센서(140)를 구비하고, 프로펠러(110)의 회전력을 통해 비행하거나 제1 바퀴(120)의 회전력을 통해 주행하며, 카메라(130) 및 센서(140)를 통해 주변 상황을 영상 촬영 및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100), 적어도 하나의 드론(100)이 결합되는 제1 바퀴축(210)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바퀴(230)가 결합되는 제2 바퀴축(220)을 구비하고, 제2 바퀴(230)의 회전력을 통해 주행하거나 드론(100)에 의해 견인되며, 사용자 탑승을 지원하는 주행 유닛(200), 주행 유닛(200)에 탑승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주행 유닛(200)에 결합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 값을 입력받는 조작 유닛(20), 사용자의 조작값에 응답하여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되, 사용자 위치 및 센서(140)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하고,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 및 제공하는 제어 유닛(300), 가상 이미지를 카메라(130)의 출력 영상에 오버레이시켜 재생하는 특수 효과 재현 유닛(70), 배터리를 구비하고,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통해 드론(100)과 주행 유닛(200)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80)를 포함한다. 9 and 10 includes a plurality of propellers 11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t least one first wheel 120 installed at the lower side, a camera 130, and a sensor 140 And at least one drones (not shown) for photographing and sens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the camera 130 and the sensor 140. The at least one drones A first wheel shaft 210 to which at least one dron 100 is coupled and a second wheel shaft 220 to which at least one second wheel 230 is coupled, A driving unit 200 for supporting the user on board the vehicle and a driving unit 200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200 to be held by the driving unit 200, An operation unit 20 that receives an operation value of the user,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movement rout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r position and a sensing value of the sensor 140, and generates and provides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 special effects reproducing unit 70 for overlaying a virtual image on an output image of the camera 130 and reproducing the virtual image, and a battery. The battery charger 100 drives the dron 100 and the driving unit 200 And a power supply unit 80 for supplying power.

즉, 본 발명의 비행 자동차(1')는 앞서 설명된 비행 자동차(1)의 드론 및 주행 유닛의 구조가 일부 변경된 형태로 구현됨을 알 수 있다.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of the flying vehic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of the structure of the flying vehicle 1 described above.

그리고 제어 유닛(4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60)과 유사하게 수동 제어부(61), 자동 제어부(310), 사용자 위치 확인부(63), 및 특수 효과 제어부(64)를 포함하되, 자동 제어부(420)의 일부 기능이 다음과 같이 변경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manual control unit 61, an automatic control unit 310, a user position confirmation unit 63, and a special effect control unit 64 similar to the control unit 6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But some functions of the automatic control unit 420 are changed as follows.

도 9의 자동 제어부(310)는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를 이용한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드론의 제 1 바퀴와 상기 주행 유닛의 제2 바퀴를 이용한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한다. The automatic control unit 310 of FIG. 9 monitors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and performs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using the propeller of the dron if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second wheel of the traveling unit.

이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비행 자동차(1)는 비행 및 주행 기능을 가지며, 주행 유닛(200)의 바퀴축에 직접 결합되는 드론(100)을 구비하도록 하고, 이를 고려하여 제어 유닛(400)이 드론의 프로펠러를 이용한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상기 드론의 제 1 바퀴와 상기 주행 유닛의 제2 바퀴를 이용한 자율 주행을 수행할 것인지 결정하도록 한다. 9 has a flight and running function and is provided with a dron 100 directly coupled to a wheel axis of the driving unit 200.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determined whether to perform the autopilot flight using the propeller of the drones or to perform autonomous driving using the first wheel of the drone and the second wheel of the driving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다수의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통해 비행하며,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 주변 상황을 영상 촬영 및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다수의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의 회전력을 통해 주행하거나, 상기 드론에 의해 견인되며, 사용자 탑승을 지원하는 한 주행 유닛;
상기 주행 유닛에 탑승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행 유닛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을 입력받는 조작 유닛;
상기 드론과 상기 주행 유닛의 결합을 지원하여, 상기 주행 유닛이 상기 드론에 의해 견인되거나, 상기 드론이 상기 주행 유닛에 의해 견인되도록 하는 견인유닛;
상기 사용자의 조작값에 응답하여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되,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센서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하고,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 및 제공하는 제어 유닛;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의 출력 영상에 오버레이시켜 재생하는 특수 효과 재현 유닛; 및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통해 상기 드론과 상기 주행 유닛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At least one dron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propellers, flying through a rotational force of the propeller, and photographing and sensing a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a camera and a sensor;
A driv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nd running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heels, being pulled by the drones, and supporting user boarding;
An operating unit coupled to the driving unit so as to be gripped by a user of the driving unit, the operating unit receiving an operation value of the user;
A traction unit for supporting engagement of the driving unit with the dragon, wherein the driving unit is pulled by the dragon or the dragon is pulled by the driving unit;
Determining a travel rout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and performing an autonomous travel and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based on the travel route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r location and a sensing value of the senso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for overlaying and reproducing the virtual image on an output image of the camera; And
And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with a battery and providing power for driving the drone and the driving unit through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효과 재현 유닛은
180도 내지 360도의 시야각을 가지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And a translucent display device having a viewing angle of 180 to 360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효과 재현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하에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특수 효과를 파악하고, 상기 특수 효과를 4차원적으로 재현하는 특수 효과 재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module for recognizing the special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reproducing the special effect in four dimens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하에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특수 효과를 파악하고, 상기 특수 효과를 4차원적으로 재현하는 드론용 특수 효과 재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rones
Further comprising a drones special effect reproducing module for recognizing a special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reproducing the special effect four-dimensional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이 수동 제어값이면, 상기 수동 제어값에 따라 상기 드론 및 상기 주행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제어하는 수동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이면,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에 상응하는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는 자동 제어부;
사용자 위치를 실시간 확인 및 추적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 및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센서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한 후,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 및 특수 효과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특수 효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manu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drone and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manual control value if the manipulation value of the user is a manual control value;
An automatic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movement route corresponding to the departure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location when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is information on a departure location and a destination from the user and performing an autonomous travel and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based on the travel route;
A user location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and tracking the user location in real time; And
A special effect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virtual image and special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fter inferring a current situ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r position and a sensing value of the sensor, Used flying ca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주행 유닛을 이용한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automatic control unit
Monitoring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and performing autonomous navigation using the drones if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performing autonomous traveling using the driving unit otherwise Features a flying car using a drones.
상부측에 설치된 다수의 프로펠러, 하부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바퀴, 카메라 및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통해 비행하거나 상기 제1 바퀴의 회전력을 통해 주행하며,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를 통해 주변 상황을 영상 촬영 및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이 결합되는 제1 바퀴축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바퀴가 결합되는 제2 바퀴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퀴의 회전력을 통해 주행하거나 상기 드론에 의해 견인되며, 사용자 탑승을 지원하는 주행 유닛;
상기 주행 유닛에 탑승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행 유닛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을 입력받는 조작 유닛;
상기 사용자의 조작값에 응답하여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되,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센서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하고,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 및 제공하는 제어 유닛;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의 출력 영상에 오버레이시켜 재생하는 특수 효과 재현 유닛; 및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통해 상기 드론과 상기 주행 유닛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A plurality of propeller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t least one first wheel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 camera, and a sensor, wherein the propeller travels through a rotational force of the propeller or travels through a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wheel, At least one dron for imaging and sensing a surrounding situation;
A first wheel axis to which the at least one dron is coupled and a second wheel axis to which at least one second wheel is coupled and is drive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wheel or towed by the dron, A supporting driving unit;
An operating unit coupled to the driving unit so as to be gripped by a user of the driving unit, the operating unit receiving an operation value of the user;
Determining a travel rout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and performing an autonomous travel and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based on the travel route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r location and a sensing value of the senso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for overlaying and reproducing the virtual image on an output image of the camera; And
And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with a battery and providing power for driving the drone and the driving unit through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효과 재현 유닛은
180도 내지 360도의 시야각을 가지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And a translucent display device having a viewing angle of 180 to 360 degre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효과 재현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하에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특수 효과를 파악하고, 상기 특수 효과를 4차원적으로 재현하는 특수 효과 재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pecial effect reproduc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special effect reproducing module for recognizing the special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reproducing the special effect in four dimensio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이 수동 제어값이면, 상기 수동 제어값에 따라 상기 드론 및 상기 주행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제어하는 수동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값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이면,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에 상응하는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는 자동 제어부;
사용자 위치를 실시간 확인 및 추적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 및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센서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을 유추한 후,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가상 이미지 및 특수 효과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특수 효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A manu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drone and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manual control value if the manipulation value of the user is a manual control value;
An automatic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movement route corresponding to the departure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location when the operation value of the user is information on a departure location and a destination from the user and performing an autonomous travel and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based on the travel route;
A user location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and tracking the user location in real time; And
A special effect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virtual image and special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fter inferring a current situ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r position and a sensing value of the sensor, Used flying ca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를 이용한 자동항법 비행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드론의 제 1 바퀴와 상기 주행 유닛의 제2 바퀴를 이용한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automatic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ler monitors the charge power of the battery and performs an automatic navigation flight using the propeller of the drone if the charge power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a function of performing an autonomous running using the drones.
KR1020170142779A 2017-10-30 2017-10-30 Flying car using drone KR1020030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79A KR102003020B1 (en) 2017-10-30 2017-10-30 Flying car using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79A KR102003020B1 (en) 2017-10-30 2017-10-30 Flying car using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176A true KR20190048176A (en) 2019-05-09
KR102003020B1 KR102003020B1 (en) 2019-07-24

Family

ID=6654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779A KR102003020B1 (en) 2017-10-30 2017-10-30 Flying car using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02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559B1 (en) * 2020-05-15 2021-01-21 김대정 Photographing device for wetland animal observation
KR102335859B1 (en) 2020-08-13 2021-1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ustomized wireless remote controller
KR20220132848A (en) * 2021-03-24 2022-10-04 서광석 Posting device using drone
WO2024024991A1 (en) * 2022-07-25 2024-02-01 정규영 Remotely drone-controlled, battery-loaded surfboar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066B1 (en) 2020-05-15 2021-03-29 양연철 Air vehicle function of dro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788A (en) 2016-06-13 2016-11-09 장민하 Bike equipped with wired drone
KR20160137764A (en) * 2015-05-21 2016-12-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ersonal air vehicle for road-driving an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KR20170101758A (en) * 2016-02-26 2017-09-06 자동차부품연구원 Augmented Reality Head Up Display Navig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764A (en) * 2015-05-21 2016-12-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ersonal air vehicle for road-driving an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KR20170101758A (en) * 2016-02-26 2017-09-06 자동차부품연구원 Augmented Reality Head Up Display Navigation
KR20160129788A (en) 2016-06-13 2016-11-09 장민하 Bike equipped with wired dro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559B1 (en) * 2020-05-15 2021-01-21 김대정 Photographing device for wetland animal observation
KR102335859B1 (en) 2020-08-13 2021-1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ustomized wireless remote controller
KR20220132848A (en) * 2021-03-24 2022-10-04 서광석 Posting device using drone
WO2024024991A1 (en) * 2022-07-25 2024-02-01 정규영 Remotely drone-controlled, battery-loaded surf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020B1 (en)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020B1 (en) Flying car using drone
US114075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AV docking
US11204611B2 (en) Assisted takeoff
US20120089275A1 (en) Simulation transmitter for remote operated vehicles
KR101796555B1 (en) Tracting vehicle using drone
JP6228679B2 (en) Gimbal and gimbal simulation system
JP5837032B2 (en) Aircraft that can travel on the ground
JP2005125976A (en) Vertical taking off/landing flying device
JP6570199B2 (en) Virtual pilot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120298437A1 (en) Motorized apparatus and moment imparting device
KR102354364B1 (en) Flight vehicle control training device that can be detachable from the robot arm
JP6370346B2 (en) Rotating airfoil and its remote control system
Audronis Designing Purpose-built Drones for Ardupilot Pixhawk 2.1: Build Drones with Ardupilot
WO2023080172A1 (en) Manned flying object control system, terminal, and program
JP7289152B2 (en) flight control system
JP3189247U (en) Simulated playground equipment
JP2021181938A (en) Vehicle guide system
US20220380032A1 (en) Aerial vehicle
JPWO2018158833A1 (en) Traveling body
JP2018197735A (en) Drone attitude sensing device
JPWO2020031511A1 (en) Flying object control device, flying object and program
TWM465954U (en) Device with following displacement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