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989A -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 - Google Patents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989A
KR20190047989A KR1020170142426A KR20170142426A KR20190047989A KR 20190047989 A KR20190047989 A KR 20190047989A KR 1020170142426 A KR1020170142426 A KR 1020170142426A KR 20170142426 A KR20170142426 A KR 20170142426A KR 20190047989 A KR20190047989 A KR 20190047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ring
elastic plate
fixing
bag filter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대
Original Assignee
이봉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대 filed Critical 이봉대
Priority to KR102017014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7989A/ko
Publication of KR2019004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의 백필터(F)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스냅링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백필터(F)의 상부나 하부 둘레를 고정하고, 일정한 크기로 프레스 절단하여 형성하는 탄성판(10); 탄성판(10)의 양측 끝단에 구비하고, 끝단을 서로 결합하여 원형으로 고정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의 리벳공정으로 제작되는 스냅링이 하루 8시간의 작업시간동안 평균 1,000개를 생산하는 것에 반해, 수용부와 끼움부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의 사용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하루 8시간 동안 리벳을 사용한 결합보다 평균 28배를 생산할 수 있어 시간대비 생산량 증대, 리벳과 같은 부재료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수용부와 끼움부를 사용한 결합으로 원형의 스냅링을 제조하여 원활한 물량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경쟁업체와의 가격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Dust collector Snap ring for fixing the bag filter}
본 발명은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리벳공정으로 제작되는 스냅링이 하루 8시간의 작업시간동안 평균 1,000개를 생산하는 것에 반해, 수용부와 끼움부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의 사용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하루 8시간 동안 리벳을 사용한 결합보다 평균 28배를 생산할 수 있어 시간대비 생산량 증대, 리벳과 같은 부재료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수용부와 끼움부를 사용한 결합으로 원형의 스냅링을 제조하여 원활한 물량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경쟁업체와의 가격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산업현장에서 먼지 등 각종의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기는 통상적으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분진 등을 하우징의 필터 지지반에 장착된 필터백에서 걸림하고, 청정된 공기는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에 필터백에 걸린 분진은 작동타이머에 의해 구동되는 콤프레셔의 압축공기를 분사노즐관으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벤츄리를 통하여 필터백에 역발사하여 필터백을 순간적으로 팽창시키고 진동시킴으로써 필터백의 외표면상에 집진된 분진을 털어주어 하부의 분진배출기를 통하여 포집된 분진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집진방식에 사용되는 종래의 필터백은 일단이 폐쇄되고, 개방된 타단에 연질형의 고무시일을 두고 제봉하여서 구성된 필터백을 필터지지반의 천공된 구멍에 삽설하는 필터백 지지용 케이지에 삽입하여 여과지의 고무시일이 필터지지반 구멍에 완착 되도록 하고, 케이지와 벤추리는 지지플레이트와 체결구로서 집진기의 필터지지반에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은 필터백은 여과지의 고무시일 외경과 지지반의 구멍이 맞게 천공되어야 하므로 제작이 까다롭고, 또한 필터백은 단순히 케이지에 끼워서 지지반에 고무시일 로서만 결착됨으로써 압축공기가 필터백 내에 발사될 때 발생하는 여과지의 팽창감과 진동으로 여과지가 지지반에서 쉽게 이탈 및 분리되는 폐단이 종종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필터백의 출입부 상에 구비하여 여과지의 팽창이나 진동에도 버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53600호에 따르면 "부직포 펠트 재질로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부를 형성하고 있는 공기정화기의 원통형 필터백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20)의 끝단의 내측에 유선형상의 걸림턱(30)이 형성된 체결부(35)가 원통형 필터백(100)에 리벳(45)으로 체결되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에어 필터백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을 사용함으로 원통형 필터백의 내측에 일단의 유선형의 걸림턱만으로 케이지에 장착될 뿐 만 아니라 상기 원통형 필터백의 측면 이음부를 바늘질공정을 삭제함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원통형 필터백의 측면 이음부를 바늘질공정을 삭제함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필터백에 설치하는 체결부의 제조공정이 리벳을 사용한 체결방법으로 이음부를 바느질공정을 생략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체결부의 리벳을 사용한 제조방법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이상 필터백과의 결합으로 인한 생산비 절감효과가 대폭 향상된다고 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할 수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53600호 "공기정화기의 필터백"(2001.10.29)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리벳공정으로 제작되는 스냅링이 하루 8시간의 작업시간동안 평균 1,000개를 생산하는 것에 반해, 수용부와 끼움부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의 사용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하루 8시간 동안 리벳을 사용한 결합보다 평균 28배를 생산할 수 있어 시간대비 생산량 증대, 리벳과 같은 부재료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수용부와 끼움부를 사용한 결합으로 원형의 스냅링을 제조하여 원활한 물량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경쟁업체와의 가격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집진기의 백필터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스냅링에 있어서: 백필터의 상부나 하부 둘레를 고정하고, 일정한 크기로 프레스 절단하여 형성하는 탄성판; 탄성판의 양측 끝단에 구비하고, 끝단을 서로 결합하여 원형으로 고정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은 탄성판의 일측으로는 통공된 수용부와, 타측으로는 수용부에 결합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끼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부의 밑변은 끼움부의 걸림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하고, 나머지 빗변은 끼움부의 윗변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끼움부는 수용부 상에서 이탈을 방지하여 결실한 고정력이 발휘하도록 걸림턱의 연장선상에 이탈방지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리벳공정으로 제작되는 스냅링이 하루 8시간의 작업시간동안 평균 1,000개를 생산하는 것에 반해, 수용부와 끼움부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의 사용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하루 8시간 동안 리벳을 사용한 결합보다 평균 28배를 생산할 수 있어 시간대비 생산량 증대, 리벳과 같은 부재료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수용부와 끼움부를 사용한 결합으로 원형의 스냅링을 제조하여 원활한 물량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경쟁업체와의 가격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의 초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결합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의 조립된 상태를 정면과 후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집진기의 백필터(F)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스냅링에 관련되며, 탄성판(10), 결합수단이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판(10)은 백필터(F)의 상부나 하부 둘레를 고정하고, 일정한 크기로 프레스 절단하여 형성한다. 집진기의 백필터(F)를 고정하고자 상부와 하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장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탄성판(10)을 구비한다. 탄성판(10)은 단어 그대로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이나 비금속판으로 형성한 것을 일컫는데, 일단에 해당하는 가로길이가 백필터(F)의 원주 둘레를 감싸도록 장방향으로 원주만큼의 직선길이가 필요하고, 타단에 해당하는 세로길이는 백필터(F)의 전체크기나 원주에 비례(평균 15mm ~ 20mm, 크기에 따라 폭길이 변동가능)해서 일정한 폭길이로 형성한다. 탄성판(10)의 두께는 장방향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대향하여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접하도록 원형띠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모두 적용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은 탄성판(10)의 양측 끝단에 구비하고, 끝단을 서로 결합하여 원형으로 고정한다. 상술한 탄성판(10)의 양측 끝단을 일정한 탄성으로 구부려서 끝단이 서로 접하면서 하나의 원형띠로 형성하도록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사용한다. 종래의 결합수단으로는 양측 끝단을 서로 접한 상태로 접합부위가 겹치게 수용홈을 구비하고, 수용홈 상에 리벳을 삽입한 상태로 상단과 하단을 가압하거나 망치로 두들겨서 접합부를 결합,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리벳을 사용한 결합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1인당 하루 작업시간을 8시간으로 책정하여 계산하면 1,000개 정도의 스냅링을 제작한다. 한달 기준 25일을 작업한다고 가정하면, 25일에 25,000개가 최대 제작량에 해당한다. 종래의 리벳작업에 따르면, 스냅링에 필요한 재료비 즉, 하나의 스냅링을 구성하는데 탄성판 1개, 결합수단인 리벳은 최소 2개 이상을 사용해야 된다. 스냅링 하나에 리벳이 2개 이상 사용해야 하니 한달 25일 기준 스냅링을 25,000개 제작한다면 탄성판은 25,000개 소모되고, 리벳은 2배인 50,000개가 소모되어 재료비용이 발생하고, 리벳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임금비용까지 고려하면 순수익이 비용과 비교한 결과 현저하게 낮게 책정된다고 할 수 있다. 자동화 대량생산을 하는 경우에 비용에 대한 수익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는 있으나, 원형의 스냅링으로 제작하는 작업은 자동화 대량생산을 하기에는 기계장치 생산 및 구매비용이 훨씬 많이 발생하여 스냅링 판매단가 기준으로 자동화 대량생산 공정을 도입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선택이라 할 수 있다. 단, 탄성판(10) 자체를 생산하는 데는 자동화 대량생산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이득이고, 원형의 스냅링으로 제작하는 단계의 작업은 본 발명에서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원터치 방식의 결합방법을 사용하여 제작시간 및 생산량을 대폭 끌어올릴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은 탄성판(10)의 일측으로는 통공된 수용부(21)와, 타측으로는 수용부(21)에 결합하도록 걸림턱(25)이 형성된 끼움부(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수단은 탄성판(10)의 양측 끝단을 서로 결합하여 고정하는데, 그 중 끝단의 일측으로는 결합시 수용역할을 하는 통공된 수용부(21)를 구비하고, 수용부(21)와 대향하는 끝단의 타측으로는 수용부(21) 상에 수용하면서 결합하도록 탄성판(10)과의 접합부위가 일부 절단되어 폭길이가 줄어드는 걸림턱(25)이 형성된 끼움부(23)를 구비한다. 결합수단의 구성인 수용부(21), 걸림턱(25)이 형성된 끼움부(23)는 탄성판(10)의 양측 끝단에 각각 대향하도록 구비하는 것으로, 이들 구성의 크기는 탄성판(10)의 크기 즉, 가로-세로의 길이를 기준으로 작게 형성한다. 도면상에 도시된 결합수단의 수용부(21)는 밑변과 빗변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상의 통공으로 되어 있고, 끼움부(23)는 탄성판(10)과의 경계부를 기준으로 좌우 가장자리를 절단하면서 경계부의 폭길이가 작아지게 걸림턱(25)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수용부(21) 상에 끼움부(23)가 수용하여 끼워지면 끼움부(23)의 걸림턱(25)이 수용부(21)의 테두리에 걸려서 원형띠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탄성판(10)을 제작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하나의 판재 상에 동일한 크기의 탄성판(10)을 프레스 절단하여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탄성판(10)의 형상만 프레스로 절단하여 결합수단의 형상을 후가공하여 제작하거나, 판재 상에 탄성판(10)과 결합수단의 모든 형상을 한번에 프레스로 절단하여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 중 비용, 시간 대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택일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부(21)의 밑변은 끼움부(23)의 걸림턱(25)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하고, 나머지 빗변은 끼움부(23)의 윗변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부(21) 상에 끼움부(23)가 삽입, 고정하도록 수용부(21)의 밑변은 끼움부(23)의 하단 걸림턱(25)과 폭길이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하고, 수용부(21)의 나머지 빗변은 끼움부(23)의 윗변과 폭길이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하여 수용부(21) 상으로 끼움부(23)가 삽입하면서 탄성판(10)의 탄성으로 걸림턱(25)이 수용부(21) 밑변의 모서리에 끼워지는 것으로 원형띠의 스냅링으로 완성한다.
결합수단을 사용한 스냅링으로 결합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일자로 늘어진 탄성판(10)의 양측 끝단에 각각 구비하는 결합수단인 수용부(21)와 끼움부(23)가 서로 접하도록 탄성판(10)을 원형으로 둥글게 구부린다. 탄성판(10)의 일측 끝단에 구비하는 수용부(21) 상으로 타측 끝단에 구비하는 끼움부(23)를 삽입하는데, 이때 수용부(21)의 빗변과 끼움부(23)의 윗변이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판(10)을 일정한 기울기로 꺽으면서 끼움부(23)가 수용부(21)의 통공에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결합작업을 수행한다. 수용부(21)에 끼움부(23)가 완전히 삽입, 수용되면 끼움부(2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25)이 수용부(21)의 밑변과 겹치도록 탄성판(10)의 탄성력을 역으로 이용하여 삽입하도록 꺽였던 탄성판(10)이 원상태로 회귀하는 것으로 수용부(21)와 끼움부(23)가 결합한 상태로 원형의 스냅링을 형성하여 집진기의 백필터(F)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는데 사용한다.
상술한 결합수단의 사용으로 종래의 리벳을 사용한 결합방법에 따른 제작시간 및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수용부(21) 상에 끼움부(23)를 삽입, 수용하면서 걸림턱(25)이 수용부(21)에 걸리기만 하면 원형의 스냅링이 제작되므로 평균적으로 하나의 스냅링을 제작하는데 1초가 소요되며, 1분에 최대 60개, 1시간에 3,600개, 하루 8시간 기준 28,800개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리벳을 사용한 하루 작업량인 1,000개 대비 28배의 생산량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동일한 시간에 더 많은 양의 스냅링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경쟁업체와의 가격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는 것이 당연시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끼움부(23)는 수용부(21) 상에서 이탈을 방지하여 결실한 고정력이 발휘하도록 걸림턱(25)의 연장선상에 이탈방지홈(2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수단의 결합력을 좀 더 높이기 위해서 걸림턱(25)의 좌우 연장선상에 일정한 크기의 이탈방지홈(27)을 각각 더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걸림턱(25)은 그 기준을 끼움부(23)의 하단으로 좁아지게 기울지도록 절단하여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데, 절단된 걸림턱(25)의 양 모서리를 내측으로 일주 연장하여 이탈방지홈(27)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수용부(21)의 밑변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동일선상에서 겹치면서 탄성판(10)의 탄성력에 따라 결실한 고정력을 발휘하여 일정한 강도의 힘을 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합수단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의 리벳공정으로 제작되는 스냅링이 하루 8시간의 작업시간동안 평균 1,000개를 생산하는 것에 반해, 수용부와 끼움부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의 사용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하루 8시간 동안 리벳을 사용한 결합보다 평균 28배를 생산할 수 있어 시간대비 생산량 증대, 리벳과 같은 부재료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수용부와 끼움부를 사용한 결합으로 원형의 스냅링을 제조하여 원활한 물량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경쟁업체와의 가격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F: 백필터 10: 탄성판
21: 수용부 23: 끼움부
25: 걸림턱 27: 이탈방지홈

Claims (4)

  1. 집진기의 백필터(F)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스냅링에 있어서:
    백필터(F)의 상부나 하부 둘레를 고정하고, 일정한 크기로 프레스 절단하여 형성하는 탄성판(10); 및
    상기 탄성판(10)의 양측 끝단에 구비하고, 끝단을 서로 결합하여 원형으로 고정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탄성판(10)의 일측으로는 통공된 수용부(21)와, 타측으로는 수용부(21)에 결합하도록 걸림턱(25)이 형성된 끼움부(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의 밑변은 끼움부(23)의 걸림턱(25)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하고, 나머지 빗변은 끼움부(23)의 윗변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23)는 수용부(21) 상에서 이탈을 방지하여 결실한 고정력이 발휘하도록 걸림턱(25)의 연장선상에 이탈방지홈(2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
KR1020170142426A 2017-10-30 2017-10-30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 KR20190047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26A KR20190047989A (ko) 2017-10-30 2017-10-30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26A KR20190047989A (ko) 2017-10-30 2017-10-30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989A true KR20190047989A (ko) 2019-05-09

Family

ID=6654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426A KR20190047989A (ko) 2017-10-30 2017-10-30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79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600B1 (ko) 1996-04-11 2000-04-15 나가이 아츠오 스테핑 모터식 계기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600B1 (ko) 1996-04-11 2000-04-15 나가이 아츠오 스테핑 모터식 계기의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4197A (en) Filter for air circulator
US6059852A (en) Plastic injection molded furnace filter
KR20130109654A (ko) 밴드 결합이 용이한 마스크
CN101966411A (zh) 空气滤网积尘的自动除尘系统
JP3078842B2 (ja) フィルター装置
JP2006305508A (ja) エアフィルタ取付装置及びエアフィルタ
CN1980723A (zh) 袋式空气过滤装置及用于该装置的滤材、滤材框架
KR20190047989A (ko) 집진기 백필터 고정용 스냅링
KR20180003822A (ko) 집진기용 필터 카트리지 기구
US6389832B1 (en) Grille for room air-conditioner
CN110274303B (zh) 室内机、空调器及室内机的拆卸方法
KR20170115163A (ko) 에어필터장치
JP2010185617A (ja) 排気口フィルタの圧着具および排気口フィルタの取付方法
JP7338910B1 (ja) エアフィルタ
CN215802593U (zh) 一种厨房用便于拆装清理的吊顶
CN216924543U (zh) 一种进出风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210511835U (zh) 一种油烟机过滤网的拆装结构及油烟机
CN212457018U (zh) 一种吸油烟机箱体结构
CN109855279B (zh) 便于拆装的过滤网固定装置以及空调
CN216814517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15597562U (zh) 空调室外机的出风栅组件及空调
CN209800935U (zh) 一种管件连接用卡扣及管件连接组件
CN215777517U (zh) 空气炸锅
CN211961930U (zh) 一种清洁机器人滤芯快速拆装装置及清洁机器人
CN215571160U (zh) 一种过滤网及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