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943A -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943A
KR20190047943A KR1020170142352A KR20170142352A KR20190047943A KR 20190047943 A KR20190047943 A KR 20190047943A KR 1020170142352 A KR1020170142352 A KR 1020170142352A KR 20170142352 A KR20170142352 A KR 20170142352A KR 20190047943 A KR20190047943 A KR 20190047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utrient solution
pipe
ginse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708B1 (ko
Inventor
나의엽
Original Assignee
나의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의엽 filed Critical 나의엽
Priority to KR102017014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7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적층된 복수의 담수경 수조에 양액이 각각 개별적으로 순환 공급되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적층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 지지 플레이트 상에 각각 안착되며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는 복수 개의 담수경 수조; 및 복수 개의 담수경 수조에 양액을 순환 공급하는 양액 순환 공급 수단을 포함하되, 양액 순환 공급 수단에 의해 복수 개의 담수경 수조에 각각 개별적으로 양액이 순환 공급된다.

Description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for ginseng}
본 발명은 인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적층된 복수의 담수경 수조에 양액이 각각 개별적으로 순환 공급되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삼(人蔘, Panax ginseng C.A. Meyer)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한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보기약(補氣藥)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동의보감과 중국의 많은 고대 의학서에 수록되어 있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폐기능을 돕고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준다. 인삼의 약리작용은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합성 촉진, 항상성 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인삼은 최근 소비자의 건강증진 욕구의 증가로 그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동아시아는 물론 세계 각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인삼은 수확하기까지 4~6년의 재배기간이 소요되는 다년생 작물로서 타 작물에 비하여 토지 생산성이 매우 낮고, 재배기간 동안 한 장소에서 자라기 때문에 다른 작물에 비하여 토양 특성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입고병과 역병의 병해를 많이 입게 되는데, 이들 병해를 예방하기 위해 화학 농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 소비자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적 농산물의 소비가 늘어나고, 인삼의 경우도 친환경적인 농법의 재배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삼의 생육기간을 단축하고 농약 사용량을 줄이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수경재배 인삼은 청정 농산물로서 가공하지 않고 쌈 채소 등으로 뿌리뿐만 아니라 잎이나 줄기까지 이용하는 추세이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9254호는 부직포, 왕겨 등을 포함하는 토양을 갖는 베드에 묘삼을 정식하고 양육수를 묘삼의 뿌리에 분무하는 인삼 수경 재배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양육수 공급만으로 인삼을 재배하는 진정한 수경 재배라 볼 수 없으며, 양육수의 공급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시설비가 많이 들고 좁은 부지에 소규모로 설치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담수 양육수와 간접 태양광을 이용하여 잔류 농약이 없는 인삼을 재배할 수 있는 인삼 수경 재배 시스템이 제시되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647호).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는 양육수를 최상층의 수조로부터 하측의 수조들까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직렬 순환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 경우, 수조 내의 양육수 공급 제어가 쉬운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각 수조에 존재하는 양육수의 수질 차이를 피할 수 없다. 즉, 최상층 수조의 수질이 가장 좋고 최하층 수조의 수질이 가장 나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수조 하단에 있는 물이 정체되어 녹조가 쉽게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런 환경에서는 작물의 생장이 느려지고 병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적층 설치되는 복수의 담수경 수조마다 개별적으로 양액이 공급되고 수거되는 병렬 순환 구조의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액이 담수경 수조로 균일하게 낮은 압력으로 유입됨에 따라, 담수경 수조 내에서 양액이 계속하여 저속으로 흐르게 되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의 생장에 필요한 광의 밝기 조절이 가능한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 적층된 담수경 수조 사이에 커튼을 개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인삼의 생장에 요구되는 적정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는 담수경 수조; 및 상기 담수경 수조에 양액을 순환 공급하는 양액 순환 공급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양액 순환 공급 수단은, 양액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와, 상기 저장 탱크와 상기 담수경 수조를 연결하며 상기 저장 탱크의 양액을 상기 담수경 수조로 공급하는 공급 라인과, 상기 담수경 수조와 상기 저장 탱크를 연결하며 상기 담수경 수조에서 배출되는 양액을 상기 저장 탱크로 안내하는 배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공급 라인은, 일단이 상기 저장 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의 높이보다 더 높게 연장되는 제1 공급배관과, 상기 제1 공급배관의 타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공급배관과, 상기 제2 공급배관의 끝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3 공급배관과, 상기 제3 공급배관으로부터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의 일측면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4 공급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출 라인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의 타측면 하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배출배관과, 상기 제1 배출배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 내 양액의 수위와 동일한 높이까지 상향 연장되는 제2 배출배관과, 상기 제2 배출배관의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3 배출배관과, 상기 제3 배출배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저장 탱크까지 연장되는 제4 배출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양액 순환 공급 수단은, 상기 담수경 수조 내에 저장되는 양액의 수위 조절을 위해 상기 저장 탱크와 상기 담수경 수조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수위조절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위조절 라인은,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 보조배관과, 상기 제1 보조배관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를 각각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제2 보조배관과, 하단이 상기 제2 보조배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2 보조배관에 대하여 각각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3 보조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위조절 라인은 제3 보조배관의 끝단에 결합되되, 제3 보조배관의 회전에 의해 그 높이가 변화하는 제4 보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보조배관의 높이는 상기 배출라인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에 의하면, 상하 이격하여 적층 설치된 복수 개의 담수경 수조에 각각 개별적으로 양액이 순환 공급되는 병렬 순환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복수 개의 담수경 수조 내 양액의 수질을 각각 균일하게 유지하여 인삼 재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에 의하면, 담수경 수조의 일측면 상부를 통해 양액이 균일하게 낮은 압력으로 유입되고 타측면 하부를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어 담수경 수조 내에서 양액의 흐름이 저속으로 발생하며, 이로 인해 양액의 순환을 유도함과 동시에 인삼의 생장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에 의하면, 고정 설치된 LED 모듈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에 의하면, 담수경 수조의 상부에 설치된 미스트 노즐에 의해, 인삼의 생장 과정에서 요구되는 적정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노즐과 LED 모듈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급 라인과 배출 라인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커튼이 설치된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담수경 재배 대상의 일 예로서 인삼을 들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삼 외에 담수경 재배 가능한 모든 인삼 품종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담수경 재배 장치의 적용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는,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200), 수직 프레임(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300), 지지 플레이트(300) 상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담수경 수조(400), 및 담수경 수조(400)에 양액을 순환 공급하는 양액 순환 공급 수단(500)을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담수경 수조(400)에는 공급 라인(520)과 배출 라인(530)이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양액의 순환이 상호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층의 담수경 수조(400)와 하층의 담수경 수조(400)는 상호 별도의 공급 라인(520)을 통해 양액을 각각 공급받으며, 또한 상호 별도의 배출 라인(530)을 통해 양액을 각각 배출하게 된다.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200)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수직 프레임(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300)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수평하게 설치된다. 즉,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300)는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200)에 의해 구획 형성된 공간을 상하 복수 개의 층으로 분할한다. 이때, 상하 인접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00) 사이의 간격은 후술하는 담수경 수조(400) 및 LED 모듈(310)을 배치할 수 있고, 담수경 수조(400) 내의 인삼의 성장에 장애가 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커버 플레이트(210)가 설치되어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300) 상에 담수경 수조(400)가 안착된다. 담수경 수조(400)는 내부에 양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담수경 수조(400)의 내부에는 생장하는 인삼들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미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양액은 담수경 수조(400) 내에서 성장하는 인삼이 필요로 하는 배양액을 의미하며, 기본적으로 물과 인삼 생장에 도움이 되는 양액이 혼합된 액체를 의미한다. 양액은 외부로부터 담수경 수조(400)의 내부로 공급되는데, 담수경 수조(400)의 일측으로 공급된 양액은 담수경 수조(400)의 타측으로 천천히 유동하여 배출되고, 배출된 양액은 후술하는 양액 순환 공급 수단(500)에 의해 다시 담수경 수조(400)로 공급된다. 즉, 담수경 수조(400)의 내부에는 양액의 순환 흐름이 지속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양액의 수질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담수경 수조(400)의 내부에는 재배하고자 하는 인삼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미도시, 정식판)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거치대는 복수 개의 인삼들을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인삼들이 양액에 떠있는 상태로 뿌리 부분이 양액에 침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담수경 수조(400) 내에 장착되거나 양액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거치대(미도시)는 담수경 수조(4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담수경 수조(400)에 결합될 수 있다. 거치대는 인삼들을 안정적으로 거치 및 지지하는 동시에 인삼의 뿌리 부분만이 담수경 수조(400)의 양액에 침지될 수 있도록 담수경 수조(400)의 상부에 결합된다.
도면에서 복수의 수직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300) 및 담수경 수조(400)는 복수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 플레이트(300) 및 담수경 수조(400)는 하나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담수경 수조(400) 내의 인삼은 생장을 위한 광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담수경 수조(400)의 상측에는 인삼을 향해 광을 조사하기 위한 LED 모듈(310)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작물의 생장을 위해서는 대략 30μmol/m2s ~ 150μmol/m2s의 광량, 특히 인삼의 경우에는 50μmol/m2s의 광량을 필요로 하며, 인삼의 생장에 따라 조사 광량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인삼이 출아 후에 지속적으로 자라서 광 조사 수단에 가까워지게 되면, 인삼이 받는 광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광량을 적절히 줄여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광량의 조절을 위해, 광 조사 수단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생장하는 작물과 적정 거리를 유지하게끔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광 조사 수단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면, 광 조사 수단의 구성 및 유지 보수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 조사 수단인 LED 모듈(310)을 고정 설치하되, LED 모듈(310)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인삼의 생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LED 모듈(310)은 담수경 수조(400)의 상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예컨대,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된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300) 저면에 LED 모듈(310)을 설치함으로써, LED 모듈(310)이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300) 하측의 담수경 수조(400)에 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장 최하층의 지지 플레이트(300)의 하부에는 담수경 수조(400)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LED 모듈(310)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가장 최상층의 담수경 수조(400)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LED 모듈(310)은 커버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수단은 LED 모듈(310)의 밝기 조절을 위한 디머(DIMMER)(320)와, 디머(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삼의 생장에 맞춰 LED 모듈(310)이 조사하는 광의 밝기를 단계별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각각의 담수경 수조(400)의 수질을 일정 수준으로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담수경 수조(400) 내의 양액이 양액 순환 공급 수단(500)에 의해 개별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양액 순환 공급 수단(50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담수경 수조(400) 내의 양액을 직렬 구조로 순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담수경 수조(400) 내의 양액을 각각 개별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병렬 구조를 채택하여 개별 순환시킨다. 따라서, 각각의 담수경 수조(400) 내 양액의 수질을 일정 수준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인삼들의 생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양액 순환 공급 수단(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담수경 수조(400)에 개별적으로 양액을 공급하고, 각각의 담수경 수조(400)로부터 개별적으로 양액을 수거하여 다시 각각의 담수경 수조(400)에 대해 개별적으로 양액을 순환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양액 순환 공급 수단(500)은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300) 중, 최하측 지지 플레이트(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양액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510), 저장 탱크(510)와 복수 개의 담수경 수조(400)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하며 저장 탱크(510)의 양액을 담수경 수조(400)로 공급하는 복수 개의 공급 라인(520), 복수 개의 공급 라인(520)에 각각 설치되는 펌프(540), 복수 개의 담수경 수조(400)와 저장 탱크(510)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하며 담수경 수조(400)에서 배출되는 양액을 저장 탱크(510)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배출 라인(530)을 포함하며, 각각의 공급 라인(520)과 배출 라인(530)에는 유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밸브(550)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급 라인(520)의 밸브(550)와 배출 라인(530)의 밸브(550)를 조정하여 담수경 수조(400)로 주입되는 양액의 양과 배출되는 양액의 양 및 담수경 수조(400) 내의 양액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공급 라인(520)은 담수경 수조(400)의 개수만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저장 탱크(510)와 담수경 수조(400)를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배출 라인(530) 역시 담수경 수조(400)의 개수만큼 복수 개가 형성되어 담수경 수조(400)와 저장 탱크(510)를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결과적으로, 저장 탱크(510)의 양액은 펌프(540)에 의해 각각의 공급 라인(520)을 따라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로 공급되고, 담수경 수조(400)의 내부를 흘러서 각각의 배출 라인(530)을 따라 저장 탱크(510)로 배출되며, 다시 공급 라인(520)을 따라 담수경 수조(400)로 공급되는 형태로 순환된다. 이때, 각각의 공급 라인(520)과 배출 라인(530)의 길이와 높이에 따라 펌프(54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이 차이가 나는데, 공급 라인(520) 또는 배출 라인(530)에 각각 설치된 밸브(550)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담수경 수조(400)에 같은 양의 양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담수경 수조(400) 내 인삼들의 생장 환경을 고려하여, 담수경 수조(400) 내에서 흐르는 양액의 속도는 가능한 빠르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담수경 수조(400) 내에서 양액은 인삼의 생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담수경 수조(4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천천히 흐르는 것이 좋다. 따라서, 각각의 공급 라인(520)에 설치되는 펌프(540)는 양액이 공급 라인(520) 내에서 정체되지 않고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일측으로 주입될 정도의 압력만으로 양액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담수경 수조(400)의 일측으로 공급된 양액은 각각의 펌프(540)에 의한 주입 압력과 저장 탱크(510)에 대한 담수경 수조(400)의 높이 차에 의해 담수경 수조(400)의 타측으로 천천히 이동하여 배출 라인(530)을 통해 저장 탱크(510)로 수거된다.
담수경 수조(400) 내로 유입되는 양액은 낮은 압력으로 주입되지만, 공간적으로 균일하게 유입된 후 천천히 이동하여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각각의 공급 라인(520)에 설치된 펌프(540)는 낮은 압력으로 저장 탱크(510) 내의 양액을 공급할 필요가 있고, 각각의 개별 공급 라인(520)과 배출 라인(530)은 최적의 배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개별 공급 라인(520)과 배출 라인(530)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에 각각 단순히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형태를 가지고 특정 위치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급 라인과 배출 라인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급 라인(520)은, 일단이 상기 저장 탱크(5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연장되는 제1 공급배관(521)과, 제1 공급배관(521)의 타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공급배관(522)과, 제2 공급배관(522)의 끝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3 공급배관(523)과, 제3 공급배관(523)으로부터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일측면 상부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4 공급배관(524)을 포함한다.
이때, 제3 공급배관(523)과 제4 공급배관(524) 사이에는 공급 분기배관(5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 분기배관(525)은 제3 공급배관(523)의 끝단에서 제3 공급배관(523)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예컨대, 담수경 수조(4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공급 분기배관(5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제4 공급배관(524)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1 공급배관(521)은 일단이 저장 탱크(510)에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제1 공급배관(521)의 일측에는 양액의 공급을 위한 펌프(540)가 설치된다. 이때, 제1 공급배관(521)의 타단은 수직하게 연장되는데,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은 지점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이 제1 공급배관(521)의 타단이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높이보다 더 높이 연장되는 이유는, 양액이 복수 개의 제4 공급배관(524)을 통해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 내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공급배관(522)은 제1 공급배관(521)을 통해 공급되는 양액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3 공급배관(523)으로 안내한다. 이때, 양액은 제3 공급배관(523)을 통해 아래쪽으로 압력이 더해져서 이동하며, 이에 따라 공급 분기배관(525)의 끝단까지 일정한 압력으로 양액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저장 탱크(510)로부터 펌프(540)에 의해 제1 공급배관(521)으로 공급된 양액이 제2 공급배관(522)과 제3 공급배관(523) 및 공급 분기배관(525)을 거쳐, 복수 개의 제4 공급배관(524)을 통해 각각 동일한 압력으로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에 균일하게 주입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복수 개의 제4 공급배관(524)을 통해 동일한 압력으로 균일하게 양액이 주입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제4 공급배관(524)들이 연결되는 공급 분기배관(525) 내의 모든 영역으로 양액이 일정한 압력으로 균일하게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3 공급배관(523)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양액을 전달받아 위치 에너지에 의해 더해지는 압력으로 양액을 공급 분기배관(525)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제1 공급배관(521)의 타단이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4 공급배관(524)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일측면에 연결되는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담수경 수조(400)의 일측면 상부에 연결된다. 이 경우, 담수경 수조(400)의 일측면 상부에서 유입된 양액이 담수경 수조(400)의 하부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며, 양액의 순환력 및 흐름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출 라인(530)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타측면 하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배출배관(531)과, 제1 배출배관(531)의 끝단으로부터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 내 양액의 수위와 동일한 높이까지 상향 연장되는 제2 배출배관(532)과, 제2 배출배관(532)의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3 배출배관(533)과, 제3 배출배관(533)의 끝단으로부터 저장 탱크(510)까지 연장되는 제4 배출배관(534)을 포함한다.
이때, 제1 배출배관(531)과 제2 배출배관(532) 사이에는 배출 수집배관(5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 수집배관(535)은 제1 배출배관(531)의 끝단에서 제1 배출배관(53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예컨대, 담수경 수조(4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배출배관(531)은 배출 수집배관(5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출배관(531)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타측면 하부에 연결된다. 이는 제4 공급배관(524)을 통해 담수경 수조(400)의 일측면 상부로 유입된 양액이 담수경 수조(400)의 타측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담수경 수조(400) 내에서 양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복수 개의 제1 배출배관(531)을 통해 배출되는 양액이 바로 저장 탱크(510)로 유입되게끔 하면,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 내로 유입되는 양액의 양과 배출되는 양액의 양을 동일하게 하기가 어렵고, 양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1 배출배관(531)에서 배출되는 양액은 배출 수집배관(535)으로 수집된 후, 상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2 배출배관(532)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후 배출된다. 이때, 제2 배출배관(532)의 끝단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 내에 수용된 양액의 수위와 동일한 높이까지 연장된다.
이를 다르게 설명하면, 특정한 길이로 연장된 제2 배출배관(532)을 설치하면, 제2 배출배관(532)의 끝단이 연장되는 높이만큼 담수경 수조(400) 내에 수용된 양액의 수위가 결정된다.
제2 배출배관(532)의 끝단이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상부 높이까지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 내 양액의 수위는 제2 배출배관(532)의 끝단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배출배관(532)으로 유입된 양액은 제3 배출배관(533)을 거쳐 높이 차에 의한 하강 압력에 의해 제4 배출배관(534)을 통해 저장 탱크(510)로 수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개별 공급 라인(520)과 배출 라인(530)의 연결 및 배치 구조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에 대한 연결 위치를 통해, 양액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 내로 균일하게 유입되어 천천히 이동하면서 순환되며, 담수경 수조(400)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인삼의 생장에는 적정 습도 유지가 요청된다. 인삼은 발아기 및 출아기에 약 70% ~ 80%의 높은 습도가 요구되고, 출아 이후에는 약 55% ~ 60%의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습도 조절을 위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경 수조(400)의 상측에 LED 모듈(310)과 함께, 또는 LED 모듈(310)과 별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스트 노즐(340)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모듈(310)의 중앙에 미스트 노즐(34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모듈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씩 미스트 노즐(34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미스트 노즐(340)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분이 분사되게끔 함으로써 담수경 수조(400)에서 재배되는 인삼 주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에 인삼 생장 공간을 가리도록 커튼(350, 도 6 참조)을 설치하고, 이 커튼(35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커튼(350)은 전술한 미스트 노즐(340)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미스트 노즐(340)없이 커튼(350)만을 사용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커튼(350)없이 전술한 미스트 노즐(340)만을 사용하여 습도를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커튼이 설치된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삼들이 노출되는 부분(인삼 생장 공간)을 커튼(350)으로 커버한다. 커튼(350)은 예컨대 비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300)와 그 하부에 배치되는 담수경 수조(400)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최상측에 배치되는 담수경 수조(400)의 경우에는, 습도 조절을 위해 커버 플레이트(210)와 최상측의 담수경 수조(400) 사이에 커튼(35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튼(350)은 인삼 생장 공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일반적인 가정용 커튼과 비슷하게 옆으로 걷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인삼 생장 공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커튼(350)의 상단이 지지 플레이트(300) 또는 커버 플레이트(210)에 고정되고 하단이 아래쪽으로 늘어지게끔 구성하여, 커튼(350)의 하단을 필요한 만큼 말아서 풀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일명, '발 구조')함으로써, 인삼 생장 공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다만, 일반 커튼과 비슷하게 옆으로 걷을 수 있는 구조는 담수경 수조(400)의 좌우 위치에 따라 습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옆으로 개폐하는 커튼(350) 구조보다는 인삼의 좌우 위치에 따른 습도의 노출 정도가 균일할 수 있는 발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삼의 생장에는 양액이 당연히 요청되고, 이 양액의 온도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인삼의 생장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탱크(510)에 연결되는 히터 또는 쿨러로 이루어지는 양액온도 조절수단(6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저장 탱크(510) 내의 양액은 펌프(620)에 의해 제5 공급배관(610)을 따라 양액온도 조절수단(600)으로 공급되며, 사전에 설정된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제5 배출배관(630)을 통해 다시 저장 탱크(510)로 반환된다. 이에 따라, 저장 탱크(510) 내의 양액은 인삼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수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인삼의 생장에는 양액의 용존 산소량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는 담수경 수조(400)의 용존 산소량을 높이기 위해 산소발생기를 사용한다. 공기 중에는 질소와 산소가 약 4:1의 비율로 존재하고, 수온이 20℃일 때 질소는 160mg/L(순도 100% 질소 사용시), 산소는 31mg/L(순도 100% 산소 사용시)가 물에 녹을 수 있는 포화농도이다. 공기를 물에 넣어주면 녹을 수 있는 공간의 대부분을 질소가 차지하기 때문에, 산소의 포화농도는 약 9ppm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산소를 물에 많이 녹이는 방법으로 공기 중에서 질소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산소의 농도를 90% 이상으로 높여서 물에 넣어주면 용존 산소의 농도가 20ppm 이상으로 증가된다. 산소가 20ppm 이상으로 유지되면 인삼의 생육이 빨라질 뿐 아니라(약 30% 증가), 인삼에 병이 발생하는 것도 감소된다.
산소를 담수경 수조(400)의 물에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 용해기를 이용하여 산소를 물에 녹여 수조에 공급하면, 입수구 쪽의 용존 산소의 농도는 높지만, 수조의 유속이 느리기 때문에 출수구 쪽의 용존 산소의 농도는 입수구 쪽에 비해 상당히 낮아진다. 예컨대, 입수구 쪽의 용존 산소량이 25ppm인 경우, 출수구 쪽의 용존 산소량은 15ppm에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는, 산소 발생기(미도시)에서 만든 순도 90% 이상의 산소를 분산기(미도시)를 사용하여 수조에 직접 공급함으로써, 수조 내의 용존 산소량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산기를 사용하는 경우, 용해기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약 1/10), 수조의 용존 산소량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인삼은 담수경 수조(400) 내의 양액이 천천히 순환되고 유속이 너무 빠르지 않게 이동할 때 잘 자란다. 일 예로서, 실제 담수경 수조(400)는 4m(길이)×0.9m(폭)×0.3m(높이)의 규격을 채택 사용하고, 개별 펌프가 6 ~ 8 L/min으로 담수경 수조(400)에 양액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때, 담수경 수조(400) 내에서 인삼이 잘 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수조 규격에서 양액의 총량은 1,080L이기 때문에, 개별 펌프(540)가 6L/min으로 양액을 공급할 때 양액이 채워지는 시간(이동 시간)은 180min이고, 개별 펌프(540)가 8L/min으로 양액을 공급할 때 양액이 채워지는 시간(이동 시간)은 135min이다. 담수경 수조(400)의 길이가 4m(400cm)이기 때문에, 담수경 수조(400) 내에서의 유속은 400/180(cm/min) ~ 400/135(cm/min) 사이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조 내 양액의 유속은 약 2.2(cm/min) ~ 3(cm/min) 사이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담수경 수조(400) 내의 양액은 복수의 제4 공급배관(524)을 통해 주입되고, 복수의 제1 배출배관(531)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복수의 제4 공급배관(524)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일측면 상부에 각각 연결되고, 복수의 제1 배출배관(531)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타측면 하부에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담수경 수조(400) 내의 양액은 일측면 상부에서 타측면 하부로 이동하면서 순환되는데, 제1 배출배관(531)을 통해 양액이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제1 배출배관(531)의 내경은 제4 공급배관(524)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4 공급배관(524)은 내경이 15mm인 것을 사용하고, 제1 배출배관(531)은 내경이 20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제3 공급배관(521~523)과 공급 분기배관(525)의 내경은 30mm인 것을 사용하고, 제2~제4 배출배관(532~534) 및 배출 수집배관(535)의 내경은 40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배출 라인(530)이 공급 라인(520)에 비해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담수경 수조(400)에서 양액이 원활하게 빠져나오게끔 할 수 있다.
한편, 담수경 수조(400)를 청소하거나 양액을 완전히 배출하기 위해, 담수경 수조(400)의 하부면에는 배수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담수경 수조(400) 내의 양액을 완전히 빼고 청소하기 위해서는 배수구를 개방하여 양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면 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그 구성이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담수경 수조(400) 내에 수위 감지를 위한 수위계(410)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a)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a)는 복수 개의 담수경 수조(400) 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위계(410)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수위계(410)는 전극식 3극 홀더를 이용하여 수위의 상·하한선을 설정하고 이를 공급 라인(520)의 펌프(540)에 연결하여, 수위가 상한에 도달하면 펌프(540)에 연결된 전원을 차단하여 담수경 수조(400)에 더 이상 양액이 공급되지 않게 하고, 수위가 하한에 도달하면 펌프(540)에 전원이 연결되어 양액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담수경 수조(4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b)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그 구성이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제4 공급배관(524)이 담수경 수조(400)의 하부로 각각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b)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4 공급배관(524)이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된다.
담수경 수조(400)의 입수구 쪽과 출수구 쪽, 즉 담수경 수조(400)의 양단은 양액이 정체하기 가장 쉬운 부분이며, 이처럼 양액이 수조 내에서 정체하게 되면 녹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양액의 정체에 의한 녹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제4 공급배관(524)과 복수 개의 제1 배출배관(531)이 담수경 수조(40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며, 이에 따라 담수경 수조(400)의 양단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양액의 흐름이 형성되어, 양액의 원활한 흐름에 의해 녹조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수위계(410)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c)는 전술한 제3 실시예와 그 구성이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배출 라인(530)이 연결되는 담수경 수조(400)의 타측에 수위조절 라인(700)이 더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c)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100c)는 담수경 수조(400) 내에 수위 감지를 위해 설치되는 수위계(410)와, 오버 플로우(over-flow)되는 양액을 저장 탱크(510)로 배출하기 위한 수위조절 라인(7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위조절 라인(700)은 저장 탱크(510)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 보조배관(710)과, 제1 보조배관(710)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400)를 각각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 보조배관(720)과, 하단이 제2 보조배관(72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단이 제2 보조배관(720)에 대하여 각각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3 보조배관(730)을 포함하며, 제3 보조배관(730)의 끝단에서 소정 길이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4 보조배관(7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배관(710)은 저장 탱크(510)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제2 보조배관(720)은 제1 보조배관(7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분기되며, 담수경 수조(400)를 관통하여 담수경 수조(4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복수 개의 제2 보조배관(720)이 하나의 제1 보조배관(710)과 연통하도록 도시되었으나, 복수 개의 제2 보조배관(720)에 각각 별도로 하나씩 제1 보조배관(710)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보조배관(730)은 제2 보조배관(720)에 대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며, 제2 보조배관(720)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보조배관(730)의 끝단에 수평하게 결합된 제4 보조배관(740)은 담수경 수조(400) 내에서 제3 보조배관(730)의 회전에 따라 그 높이가 변화하게 되며, 설정되는 오버 플로우 수위에 맞춰 제4 보조배관(7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배하는 인삼의 뿌리 성장에 맞춰 담수경 수조(400)의 수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인삼 뿌리를 꽂은 거치대(미도시, 정식판)를 수조 위에 걸쳐놓는 경우, 인삼 뿌리 전체가 물에 닿아서 뿌리가 갈라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삼 뿌리의 1/2 ~ 2/3 정도가 물에 잠기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1년근 인삼의 재배시에는 뿌리 길이가 짧기 때문에 담수경 수조(400)에 수용되는 양액의 수위를 높게 설정하고, 다년근으로 갈수록 길어지는 뿌리 길이에 맞춰 양액의 수위를 낮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4 보조배관(740)의 최소 높이는 제3 배출배관(533)의 높이보다 약간 높은 것이 바람직한데, 제4 보조배관(740)의 높이가 제3 배출배관(533)보다 낮은 경우, 수위조절 라인(700)에서 사이펀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4 보조배관(740)의 높이가 제3 배출배관(533)보다 낮은 경우 양액의 수위가 원하는 높이에 이르기도 전에 수위조절 라인(700)으로 양액이 배출되어 담수경 수조(400)에 원하는 수위만큼 양액을 담을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 라인(520)의 밸브(550)와 배출 라인(530)의 밸브(550)를 조정하여 담수경 수조(400)로 주입되는 양액의 양과 배출되는 양액의 양 및 담수경 수조(4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양액의 주입량이 배출량보다 조금 많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담수경 수조(400)의 수위가 제4 보조배관(740)의 높이에 다다르면, 오버 플로우된 양액이 수위조절 라인(700)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담수경 수조(400)로 공급되는 양액의 양이 배출량에 비해 너무 많으면, 수위가 제4 보조배관(740)의 높이를 넘어서 미리 설정된 수위계(410)의 상한선에 다다르게 된다. 이때, 공급 라인(520)의 펌프(54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더 이상의 양액 공급이 중지되며, 수위가 제4 보조배관(740)의 높이보다 낮게 떨어지면 이를 수위계(410)가 감지하여 공급 라인(520)의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고 양액을 담수경 수조(400)로 다시 공급하게 된다. 물론, 별도의 수위계(410)없이, 수위조절 라인(700)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a,100b :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200 : 수직 프레임 210 : 커버 플레이트
300 : 지지 플레이트 310 : LED 모듈
340 : 미스트 노즐 350 : 커튼
400 : 담수경 수조 410 : 수위계
500 : 양액 순환 공급 수단 510 : 저장 탱크
520 : 공급 라인 530 : 배출 라인
600 : 양액온도 조절수단 700 : 수위조절 라인

Claims (6)

  1.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는 담수경 수조; 및
    상기 담수경 수조에 양액을 순환 공급하는 양액 순환 공급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양액 순환 공급 수단은,
    양액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와, 상기 저장 탱크와 상기 담수경 수조를 연결하며 상기 저장 탱크의 양액을 상기 담수경 수조로 공급하는 공급 라인과, 상기 담수경 수조와 상기 저장 탱크를 연결하며 상기 담수경 수조에서 배출되는 양액을 상기 저장 탱크로 안내하는 배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 라인은,
    일단이 상기 저장 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의 높이보다 더 높게 연장되는 제1 공급배관과, 상기 제1 공급배관의 타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공급배관과, 상기 제2 공급배관의 끝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3 공급배관과, 상기 제3 공급배관으로부터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의 일측면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4 공급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 라인은,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의 타측면 하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배출배관과, 상기 제1 배출배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 내 양액의 수위와 동일한 높이까지 상향 연장되는 제2 배출배관과, 상기 제2 배출배관의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3 배출배관과, 상기 제3 배출배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저장 탱크까지 연장되는 제4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액 순환 공급 수단은, 상기 담수경 수조 내에 저장되는 양액의 수위 조절을 위해 상기 저장 탱크와 상기 담수경 수조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수위조절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 라인은,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 보조배관과, 상기 제1 보조배관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대응하는 담수경 수조를 각각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제2 보조배관과, 하단이 상기 제2 보조배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2 보조배관에 대하여 각각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3 보조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 라인은 제3 보조배관의 끝단에 결합되되, 제3 보조배관의 회전에 의해 그 높이가 변화하는 제4 보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보조배관의 높이는 상기 배출라인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KR1020170142352A 2017-10-30 2017-10-30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KR102051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352A KR102051708B1 (ko) 2017-10-30 2017-10-30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352A KR102051708B1 (ko) 2017-10-30 2017-10-30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943A true KR20190047943A (ko) 2019-05-09
KR102051708B1 KR102051708B1 (ko) 2019-12-03

Family

ID=6654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352A KR102051708B1 (ko) 2017-10-30 2017-10-30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7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514B1 (ko) 2019-06-18 2019-10-21 김종환 이온화 물을 이용한 담수경 재배 시스템
CN111771708A (zh) * 2020-07-14 2020-10-16 深圳市航天食品分析测试中心有限公司 一种室内石斛无土栽培装置及其方法
KR20210085536A (ko) * 2019-12-30 2021-07-08 윤빛나 새싹 인삼 재배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499B1 (ko) 2022-12-07 2024-04-15 김분순 수경 재배식 인삼 배양장치 및 수경 재배용 기능성 배양액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399A (ko) * 2014-11-04 2016-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난 재배장치
JP2017093378A (ja) * 2015-11-26 2017-06-01 昭和電工アルミ販売株式会社 植物栽培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399A (ko) * 2014-11-04 2016-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난 재배장치
JP2017093378A (ja) * 2015-11-26 2017-06-01 昭和電工アルミ販売株式会社 植物栽培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514B1 (ko) 2019-06-18 2019-10-21 김종환 이온화 물을 이용한 담수경 재배 시스템
KR20210085536A (ko) * 2019-12-30 2021-07-08 윤빛나 새싹 인삼 재배 시스템 및 방법
CN111771708A (zh) * 2020-07-14 2020-10-16 深圳市航天食品分析测试中心有限公司 一种室内石斛无土栽培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708B1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7943A (ko) 인삼 담수경 재배 장치
KR101350394B1 (ko) 수로가 형성된 재배플레이트를 가지는 수경재배장치
CN103039339A (zh) 一种植物水培生产装置
KR20160101455A (ko) 다목적 수경 재배기
CN111133918A (zh) 一种全自动灌排一体化立体栽培装置
CN111034611A (zh) 一种基于水循环的虹吸增氧潮汐晾根的立体种植架
KR101740571B1 (ko) 씨감자 생산용 순환식 담액수경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US20200275623A1 (en) Hydroponic system and method
CN212367989U (zh) 一种园林用植物培养设备
CN211832055U (zh) 一种全自动灌排一体化立体栽培装置
CN210726303U (zh) 一种潮汐式无土栽培设施及栽培系统
KR101402744B1 (ko) 무벤치 저면매트를 이용한 원예작물 수경 재배 장치 및 그 방법
JPS58502131A (ja) 水栽倍の方法及び装置
RU194725U1 (ru) Многояру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101435906B1 (ko) 박막수경과 담액 수경기능을 갖는 수경 재배장치
CN102150607B (zh) 一种林木切枝水培装置
CN111903390A (zh) 一种园林用植物培养设备
KR101794176B1 (ko) 작물 담수경 재배 장치
JP2008011789A (ja) 山葵の栽培方法及び栽培装置
CN110050682A (zh) 一种潮汐式无土栽培设施及栽培系统
RU278407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RU2756962C1 (ru) Аквап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772711C1 (ru) Модульная аэ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KR20190007621A (ko) 개량형 수경 재배기
KR102409987B1 (ko) 물고추냉이 근경 생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