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073A - A ringer cradle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 Google Patents

A ringer cradle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073A
KR20190046073A KR1020170139198A KR20170139198A KR20190046073A KR 20190046073 A KR20190046073 A KR 20190046073A KR 1020170139198 A KR1020170139198 A KR 1020170139198A KR 20170139198 A KR20170139198 A KR 20170139198A KR 20190046073 A KR20190046073 A KR 20190046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dle
wheel
ring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부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부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부산
Priority to KR102017013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6073A/en
Publication of KR2019004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0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V stand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which comprises: a frame; a front wheel unit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formed of at least one wheel; a back wheel unit positioned at the back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formed of at least one wheel; a first handle extended upwards at the front side of the frame; a chair including a backrest unit combined with the upper part surface of the frame; armrest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unit, extended forwards from the backrest unit, and capable of turning up and down; a second handle extended upwards at the back side of the frame, and extended longer at least than the first handle; and an IV tube fixing body fixed to the frame, and including a supporting board extended upwards and at least one fixing member.

Description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A ringer cradle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A ringer cradle for improving daily life performance.

본 발명은 링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줄 꼬임 방지를 위한 튜브 고정체와, 복수개의 바퀴가 마련된 휠체어 형태의 링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링거 수액을 투여받는 환자의 거동을 보조할 수 있는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nger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nger holder in the form of a wheelchair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nd a tube fixture for preventing twisted rope, (ADL)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aily living.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환자에게 일정 시간동안 수액을 투여 시, 수액을 보관하는 수액 주머니를 마련하여, 상기 수액의 원활한 투여를 위해, 링거 거치대를 이용한다.Generally, when the patient administers the sa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the patient in the hospital, a sap bag for storing the sap is prepared, and a ringer holder is used for smooth administration of the sap.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링거 거치대는 거치봉과, 거치봉에 마련되는 수액 주머니 걸이 및 바퀴를 통해, 보행이 가능한 환자가 직접 상기 링거 거치대를 밀면서 이동시키거나, 보호자가 이동시키는 구조를 지닌다.Particularly, a generally used ringer crad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tient who is able to walk can move the ringer cradle by pushing the cradle through the cradle, the bag pocket provided in the cradle and the wheel, or the protector is moved.

덧붙여, 이러한 링거 거치대는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ADL)향상을 도모하여야 하는데, 상기 일상생활 수행능력(ADL)이란 목욕, 식사, 환복, 도보 등 기본적인 일상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로써, 영유아나, 노인, 환자 등의 노약자가 사용하는 물품에는 상술한 일상생활 수행능력(ADL)을 향상하는 요소가 필수 불가결하다.In addition, the Ringer cradle should improve the ADL of the patient. The above-mentioned ADL refers to the ability to independently perform basic daily activities such as bathing, eating, returning, and walking It is indispensable to improve the daily living ability (ADL) mentioned above in articles used by elderly people such as infants, elderly people, and patients.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링거 거치대의 경우에는 수액 주머니와 환자의 신체에 삽입되는 카테터를 연결하는 튜브에 의해, 환자의 보행중에 낙상사고를 유발하거나, 주변의 구조물에 상기 튜브가 걸림으로써, 수액 투여중인 환자에게 2차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ly used ringer cradle, a tube connecting the infusion bag and the catheter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may cause a fall accident while the patient is walking, or the tube may be caught in the surrounding structure, Causing a secondary accident to the patient.

또한, 경사로를 이동 시, 상기 링거 거치대의 이동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아, 환자나 보호자의 피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ramp is moved,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inger cradle, causing fatigue of the patient or the caregiv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 10-2016-0066154 호의 회전다리를 포함하는 링거 거치대가 출원되어 공개된 상태에 있으나, 상기 회전다리를 포함하는 링거 거치대는 유아 환자나, 노인 환자 등 거동이 쉽지 않은 환자들이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ringer holder including a rotary leg of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66154 filed i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has been filed and disclosed. However, the ringer holder including the rotary leg can not be used for an infant patient, Patients who are not easy to move, such as elderly patients, have difficulties in using th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프레임에 안장을 마련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착좌를 가능케 하여, 링거 거치대를 이동 시, 환자 또는 보호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ddle in a frame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DL), which can reduce the fatigue of the patient.

본 발명의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저면 전방에 위치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전륜부와, 상기 프레임의 저면 후방에 위치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후륜부와,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서부터 전방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핸들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등받이부가 형성된 의자와, 상기 등받이부의 후면에 결속되면서,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하로 회동 가능한 팔걸이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되, 적어도 상기 제 1 핸들보다연장되는 길이가 긴 제 2 핸들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링거 튜브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anger stand for improving the AD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a front wheel part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including at least one wheel, at least one wheel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 first handle extend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frame to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frame; a chair formed with a backrest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a rear wheel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A second handle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of the frame and extending upward at least from the first handle and a second handle fixed to the frame and extending upwardly, , A ringer tube fixture including at least one fixing member And a gong.

또한, 상기 링거 튜브 고정체는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는 제 1 고정 부재와 상기 팔걸이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inger tube fixing body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and a second fixing member fixed to one side of the armature.

그리고, 상기 후륜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과 연결되되, 후륜부에 마찰력을 부가하는 제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wheel further comprises a footrest fixed to the rear of the frame so as to be rotatable, and a braking unit connected to the footrest and applying a frictional force to the rear wheel.

아울러, 상기 의자의 저면에서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되, 외주면에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 바와,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타공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height adjustment bar extending through the frame from the bottom of the chair to form a plurality of pore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provided on the frame and inserted into the pore .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핸들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modul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andle.

본 발명의 일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는, 전륜부와 후륜부가 마련된 프레임에 의자를 마련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링거 튜브 고정체를 구비하여, 링거 튜브의 꼬임 및 걸림에 의한 환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제동 수단을 구비하여 경사로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2차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nger stand for improving the daily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r stand is provided with a chair in a frame provided with a front wheel part and a rear wheel part to reduce the fatigue of a patient who is inconveni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atient from being injured by twisting and jamming and to provide a braking means so that it can be used safely in a ramp to prevent secondary injury of the patient.

도 1 은 본 발명의 일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의자 및 팔걸이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의자와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링거 거치대에 구비되는 제동 수단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nger rest for improving the daily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hair and the arm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in detail a coupling structure of a chair and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braking means provided in the rang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particularly describe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인 도 1 과 같이, 상기 링거 거치대는 프레임(10), 전륜부(20), 후륜부(30), 제 1 핸들(40), 의자(50), 팔걸이(51), 제 2 핸들(60) 및 2링거 튜브 고정체(70)를 포함한다.1,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nger rest for improving the daily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er rest includes a frame 10, a front wheel 20, a rear wheel 30, a first handle 40, (50), an armrest (51), a second handle (60) and a two-ringer tube fixture (70).

먼저, 프레임(10)은 일단이 전방을 향해 일정각도 이격되도록 양방향 연장되며, 타단이 후방을 향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Y 자 형태를 지닌다.First, the frame 10 is bi-directionally extend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other end has a Y-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ward the rear.

다음으로, 전륜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저면 전방에 위치하되, 양방향 연장되는 상기 프레임(10)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전륜부(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바퀴(21)가 포함된다.Next, the front wheel 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10, which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0 and extends in both directions. The front wheel 2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wheel 21).

특히, 상기 제 1 바퀴(21)를 프레임(10)의 일단에 연결 시, 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감소하기 위해, 서스펜션을 마련할 수도 있다.Particularly, when the first wheel 2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rame 10, a suspension may be provided to reduce an impact that may occur during movement.

또한, 상기 제 1 바퀴(21)를 프레임(10)과 결합 시, 회동 가능하도록 결속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when the first wheel 21 is coupled with the frame 10, the first wheel 21 can be rotated so as to improve mobility.

그리고, 후륜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타단을 관통하는 후륜축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바퀴(32)가 포함되며, 링거 거치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 2 바퀴(32)는 제 1 바퀴(21)의 직경보다 큰 직경 및 넓은 폭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The rear wheel 30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wheel 32 fixed to a rear wheel shaft passing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frame 10. The second wheel 32 Can have a larger diameter and a larger width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wheel 21. [

다음으로, 제 1 핸들(40)은 본 발명의 링거 거치대를 사용하는 환자의 편의성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에 연결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10)의 저면에서부터 전방 상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절곡부(41)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되, 후술할 의자(50)와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Next, the first handle 40 is provided for convenience of the patient using the ring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andle 40 is connected to the frame 10, more specifically, And is provided so as to be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chai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제 1 핸들(40)의 높낮이를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다양한 환자의 신장에 알맞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handle 40 may be deformable so as to be suitable for various patient stretches.

덧붙여, 발판(42)은 상기 제 1 핸들(40)이 상기 프레임(10)의 저면에서부터 연장 형성 시, 상기 절곡부(41)와 상기 제 1 핸들(40)과 상기 프레임(10)이 결속되는 위치 사이에 마련되어 환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first handle 40 is exten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0, the bending portion 41, the first handle 40, and the frame 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Location to provide comfort to the patient.

다음으로, 등받이부가 형성된 의자(50)는 환자의 착좌를 위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환자의 착좌가 간편하도록 등받이부 후면에서 상기 의자(50)를 중심으로 하되, 의자(50)의 좌우측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팔걸이(51)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속된다.Next, the chair 50 with the backrest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 for seating the patient, and is centered on the chair 50 at the back of the backrest portion for easy seating of the patient, And an armrest 51 extending forwardly along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rmrest 51 are vertically coupled.

다음으로, 제 2 핸들(60)은 보호자가 본 발명의 링거 거치대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의자(50)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되, 적어도 상기 제 1 핸들(40)보다는 연장되는 길이가 길도록 마련된다.Next, the second handle 60 is provided for moving the lingering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rotector. The second handle 60 is extended from the rear of the frame 10 to the top, At least the length extending from the first handle (40) is long.

특히, 상기 제 2 핸들(60)은 상기 프레임(10)과 결속되는 접점을 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보호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handle 60 is vertically rotatable about a contact point which is engaged with the frame 10,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protector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링거 튜브 고정체(70)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되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로 연장되는 길이가 적어도 상기 의자(50)의 최대 높이보다 높은 지지대(71)와, 링거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고정 부재(72)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고정 부재(73)가 포함된다.Next, the Ringer tube fixture 70 is fixed to the frame and extends upward, and has a support base 71 having a height that is at least higher than the maximum height of the chair 50, At least one first fixing member 72 and at least one second fixing member 73 are provided.

특히, 상기 제 1 고정 부재(72) 및 제 2 고정 부재(73)를 통해 상기 링거 튜브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고정 부재(72)는 상기 지지대(71)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며, 제 2 고정 부재(73)는 상기 팔걸이(51)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링거 튜브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fixing member 72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73 can prevent the ringer tube from being twisted, and the first fixing member 72 can be mounted on the support base 71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73 can be provided on the armrest 51 to prevent the ringer tube from being twisted.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80)이 상기 제 1 핸들(40)의 전방에 위치하되, 회동가능 하도록 상기 제 1 핸들(40)과 결합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0) 뿐만 아니라, 각종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케이스를 결속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The display module 8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handle 40 and is coupled to the first handle 40 so as to be rotatable. In addition to the display module 80,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housing cas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housing.

그리고, 의료용 가스용기 결속부재(90)는, 산소통과 같은 의료용 가스용기를 결속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의자(50)와 상기 제 2 핸들(60)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결속될 수 있다.The medical gas container bundling member 90 is provided for binding a medical gas container such as an oxygen cylinder and is disposed between the chair 50 and the second handle 60, As shown in FIG.

또한, 의료용 가스 제어모듈(91)이 상기 의료용 가스용기에서 배출되는 의료용 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71)에 결속되어 환자 또는 보호자가 간편하게 상기 의료용 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medical gas control module 91 is coupled to the support 71 to adjust the amount of the medical gas discharged from the medical gas container, so that the patient or the caregiver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the medical gas discharg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의자 및 팔걸이를 도시한 사시도인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자 및 팔걸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알아보도록 한다.Next, a chair and an arm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which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and an arm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50)는 등받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 되되, 환자의 착좌가 간편하도록 등받이부 후면에서 상기 의자(50)를 중심으로 하면서, 좌우측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팔걸이(51)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속된다.2, the chai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backrest portion and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 and the chair 50 is provided at the back of the backrest portion, And an armrest 51 extending forwardly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rmrest 51 is tiltably coupled vertically.

특히, 상기 팔걸이(51)가 회동 시, 좌우측의 팔걸이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팔걸이에 구비된 링거 튜브를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73)의 이동을 최소화시켜 상기 링거 튜브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armrest 51 is pivoted, the right and left armrests can be independently pivot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econd fixing member 73 for fixing the lingerer tube provided in the armrest can be minimized, State can be maintained.

덧붙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기 위해, 상기 의자(40)의 외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소재를 부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impact may be ad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hair 40 in order to alleviate the user's fatigue.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의자와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Nex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chair and the frame in det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의자(50)의 높이조절을 위해, 상기 의자(50)의 저면에서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프레임(10)을 관통하되, 외주면에 복수개의 타공(53)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 바(52)와, 상기 프레임(10)에 마련되되, 상기 타공(53)에 삽입되는 높이 고정 부재(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height adjustment bar (not shown) extending through the bottom of the chair 50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and passing through the frame 10 and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53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hair 50 And a height fixing member 11 provided on the frame 10 and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53.

또한, 상기 높이 고정 부재(11)는 핀 형상으로 마련되며,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높이 고정 부재(11)를 높이 조절 바(52)에 대해 보다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height fixing member 11 is provided in a pin shape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so that the height fixing member 11 can be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ing bar 52 more smoothly have.

덧붙여, 상기 높이 조절 바(52)의 소재는 금속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량화를 위해 고분자 소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a metal material may be used for the height adjusting bar 52, and a polymer material may be used for weight reduc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링거 거치대에 구비되는 제동 수단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인 도 4 를 참조하여 제동 수단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braking mea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aking means provided in the ring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먼저, 제동 수단은 후륜부(30)에 구비되는 것으로, 프레임의 후방에 회동가능하도록 일측이 고정되는 제동판(32)과, 제 2 바퀴(31)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동기어(33) 및 상기 제동판(32)과 결합되되, 제동판(32)의 움직임과 연동되는 제동바(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raking means is provided in the rear wheel portion 30 and includes a braking plate 32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rear of the frame so as to be rotatable, a braking gear 33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wheel 31, And a brake bar (34) coupled to the brake plate (32) and interlocked with movement of the brake plate (32).

그리고, 보호자가 상기 제동판(32)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제동바(34)의 일측이 상기 제동기어(33)와 맞물리게 되면서 상기 제 2 바퀴(31)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protecto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brake plate 32, one side of the brake bar 34 engages with the brake gear 33,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wheel 31 can be interrupted.

또한, 필요에 따라 하나의 상기 제 2 바퀴(31)의 내측에 제동기어(33)를 마련하거나, 보다 높은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바퀴(31)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제동기어(33)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동바(34)의 형태는 제동판(32)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동기어(33)를 향할 수 있도록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braking gear 33 on the inside of one of the second wheels 31 or to provide a braking force to the inside of the at least one second wheel 31, And the braking bar 34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oward the braking gear 33 with respect to the braking plate 32 as a reference.

10 : 프레임
11 : 높이 고정 부재
20 : 전륜부
21 : 제 1 바퀴
30 : 후륜부
31 : 제 2 바퀴
32 : 제동판
33 : 제동기어
34 : 제동바
40 : 제 1 핸들
41 : 절곡부
42 : 발판
50 : 의자
51 : 팔걸이
52 : 높이 조절 바
53 : 타공
60 : 제 2 핸들
70 : 링거 튜브 고정체
71 : 지지대
72 : 제 1 고정부재
73 : 제 2 고정부재
80 : 디스플레이 모듈
90 : 의료용 가스용기 결속부재
91 : 의료용 가스 제어모듈
10: frame
11: height fixing member
20: front wheel
21: First wheel
30: rear wheel
31: 2nd wheel
32:
33: Braking gear
34: Brake bar
40: first handle
41:
42: Scaffolding
50: Chair
51: Armrests
52: height adjustment bar
53: Perforation
60: second handle
70: Ringer tube fixture
71: Support
72: first fixing member
73: second fixing member
80: Display module
90: medical gas container binding member
91: Medical gas control module

Claims (5)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저면 전방에 위치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전륜부;
상기 프레임의 저면 후방에 위치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후륜부;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핸들;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등받이부가 형성된 의자;
상기 등받이부의 후면에 결속되면서,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하로 회동 가능한 팔걸이;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되, 적어도 상기 제 1 핸들보다연장되는 길이가 긴 제 2 핸들;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링거 튜브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
frame;
A front wheel portion positioned at a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composed of at least one wheel;
A rear wheel portion located at the rea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composed of at least one wheel;
A first handle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frame;
A chair having a back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 armrest which is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portion and extend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portion and is vertically rotatable;
A second handl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rear of the frame and extending longer than at least the first handle; And
A ringer tube fixture fixed to the frame, the ringer tube fixture including a support rod extending upwardly, and at least one fixation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거 튜브 고정체,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는 제 1 고정 부재와 상기 팔걸이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nger tube fixture,
And a second fixing member fixed to one side of the armrest, wherein the first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upport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is fixed to one side of the armre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동판과, 상기 제동판과 연결되되, 후륜부에 마찰력을 부가하는 제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Further comprising a braking member fixed to the rear of the frame so as to be rotatable, and braking means connected to the braking plate for applying a frictional force to the rear wheel portion.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저면에서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되, 외주면에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 바와,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타공에 삽입되는 높이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ight adjusting bar extending through the fram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ir to form a plurality of hole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height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frame and inserted into the hole, Ringer 's stand to improve AD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링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modul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andle. ≪ Desc / Clms Page number 19 >
KR1020170139198A 2017-10-25 2017-10-25 A ringer cradle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KR201900460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198A KR20190046073A (en) 2017-10-25 2017-10-25 A ringer cradle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198A KR20190046073A (en) 2017-10-25 2017-10-25 A ringer cradle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73A true KR20190046073A (en) 2019-05-07

Family

ID=6665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198A KR20190046073A (en) 2017-10-25 2017-10-25 A ringer cradle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607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241A (en) 2020-05-18 2021-11-25 오수경 Ringer pole fixing device for baby carri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241A (en) 2020-05-18 2021-11-25 오수경 Ringer pole fixing device for baby carri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4547A1 (en) Walker with lift-assisting seat assembly
JP2008036392A (en) Nursing care assisting device
KR102402692B1 (en) Multifunctional walking car
KR200477365Y1 (en) Wheelchair for Medical Purpose
KR20180104432A (en) Wheelchair accessible to the patient on the bed
KR101419672B1 (en) Multiple purpose chair
KR20190046073A (en) A ringer cradle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CN211244429U (en) Multifunctional movable walking seat
JP4498980B2 (en) Portable toilet
JP7352227B2 (en) transfer equipment
US9775754B1 (en) Convertible wheelchair
CN207532496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medical wheelchair for old patient suffering from cardiovascular disease
CN208838292U (en) A kind of mental patient's profession protection chair
CN201316449Y (en) Children vein puncture platform
CN210019988U (en) Folding wheelchair for intensive care patients
JP2004113255A (en) Chair
JPH1128220A (en) Upper body support device
EP2603187B1 (en) Trolley for transporting individuals of limited capacity in sedentary position on chair
EP0501411A1 (en) Seating means
JP2008237583A (en) Wheelchair for assistance and footrest assembly used therefor
US7008016B1 (en) Range of motion exercise chair
CN211244426U (en) Supporting tool for getting-off bed of infant patient after abdominal operation
KR200480945Y1 (en) Movable Linger Hanger Stand
CN109549770A (en) A kind of patients in psychiatric department special nursing protecting chair
JP2020509909A (en) Reclining assistanc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