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255A -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noxious gas using vaporizing of cleaning ag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noxious gas using vaporizing of cleaning ag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255A
KR20190044255A KR1020170136452A KR20170136452A KR20190044255A KR 20190044255 A KR20190044255 A KR 20190044255A KR 1020170136452 A KR1020170136452 A KR 1020170136452A KR 20170136452 A KR20170136452 A KR 20170136452A KR 20190044255 A KR20190044255 A KR 20190044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leaning agent
housing
cleaning
harmfu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남호
조주연
Original Assignee
조남호
조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호, 조주연 filed Critical 조남호
Priority to KR102017013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255A/en
Publication of KR2019004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2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mful gas cleaning device which cleans bad smells or harmful gas by removing components of bad smells or harmful gas with a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a housin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ler (10) which is arranged above the level of a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1); a bubble generator (20) which generates bubbles from a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 a cleaning agent sprayer (30) which sprays the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over the filler (10); an air supply unit (40) which supplies air to the surface of the cleaning agent for the vaporization of the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a reaction unit (50) which removes components of bad smells and harmful gas by mixing bad smells or harmful gas with the vaporized cleaning water gas. By being formed to promote a reaction between vaporized cleaning agent gas and components of bad smells or harmful gas, the present invention has effects of: increasing a cleaning effect by vaporizing the cleaning water to improve a reaction efficiency for removing components of bad smells or harmful gas; and preventing existing problems of waste water treatment due to the deterioration of cleaning water since cleaning water is directly in contact with bad smells or harmful gas.

Description

세정제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THE NOXIOUS GAS USING VAPORIZING OF CLEANING AGENT}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harmful gas using a cleaning agent vaporization method,

본 발명은 유해가스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정수를 기화시켜 유해가스와의 반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세정효과를 얻음과 함께 세정수가 유해가스와 직접 접촉됨에 따라 세정수가 오염되어 폐수로 변질되어 세정효과의 저하 및 그에 따른 악취 발생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개선된 세정제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mful gas clea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leaning a harmful ga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leaning harmful gas using an improved detergent gasification system so as not to cause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an effect and a problem of odor generation.

일반적으로 산업체와 축산업계에서 배출되는 악취 또는 유해가스로 인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킴에 따라 이러한 배출가스를 세정처리하도록 하고 있다.Generally, this exhaust gas is cleaned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contaminated by odor or harmful gas emitted from industry and livestock industry.

종래 악취 또는 유해가스의 세정은 주로 습식 세정탑에서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탑 내부에 물과 약품을 혼합한 세정수로 악취 성분 또는 유해가스 성분을 제거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remove malodorous or harmful gas from a wet cleaning tower, cleaning of malodorous or noxious gas is performed by using cleaning water containing water and chemicals mixed in a cleaning tower.

이러한 세정장치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0866163호(등록일자 2008년10월24일)에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가스 유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가스 유입구 높이와 상기 가스 배출구 높이 사이에 설치되어 세정액이 공급되는 세정액 유입관 및 하우징 하단에 형성된 세정액 드레인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오염된 가스에 상기 세정액 유입관을 통하여 공급된 세정액을 뿌려 정화하여 상기 가스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습식 가스 스크러버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66163 (Oct. 24, 2008) discloses a cleaning apparatus having a housing, a gas inle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 gas outlet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cleaning liquid inlet pipe provided between the height of the gas inlet of the housing and the height of the gas outlet to supply a cleaning liquid and a cleaning liquid drain pip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Which is supplied with the cleaning liquid, is purifi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port.

상기한 종래 세정장치에서는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에 의해 포화되어 오염된 세정수가 더 이상 악취 및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없게 되거나 악취 성분과 휴해가스가 세정수와 직접 접촉됨에 따라 세정수가 빠른 시간에 변질되고 오염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leaning apparatus, the cleaning water that is saturated and contaminated by the odor component and the noxious gas component is no longer able to remove odor and harmful gas, or the odor component and the harmful gas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leaning water, It can be altered and contaminated.

그럼에도 세정탑의 세정수가 악취 또는 유해가스에 포화되는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없어서 자칫 오염된 세정수로 계속적으로 세정탑에서 세정처리를 수행하게 되면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염된 세정수로 인한 악취 및 유해가스로 인한 또 다른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게 된다.Nevertheless, since the time at which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ower is saturated with odor or noxious gas can not be accurately known, if the washing treatment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the washing tower with contaminated washing water, the washing effect can not be obtained, There may arise another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odor and harmful gas caused by the pollutants.

이러한 오염 또는 변질되어 더 이상 세정수로서의 작용을 할 수 없게 되는 세정수는 폐수로 되며, 이에 따라 세정탑 내부의 오염된 세정수는 물과 약품으로 폐수처리를 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폐수처리 비용과 인력이 발생하고, 폐수처리과정에서의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The cleansing water which can not function as a cleansing water due to such contamination or deterioration becomes wastewater. Therefore, the contaminated cleansing water in the cleansing tower must be treated with water and chemicals. This may result in wastewater treatment costs and manpower,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in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한국 등록특허 제10-0866163호(등록일자 2008년10월24일)Korean Patent No. 10-0866163 (registered date October 24, 200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세정장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에 약품을 혼합한 세정수를 송풍기로 강제 기화시킴과 함께 충진수단과 기화수단을 이용한 세정수 기체를 악취 또는 유해가스와 혼합시켜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개선된 세정제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apparatus and a cleaning method thereof, which are capable of effectively and efficiently purifying cleaning water mixed with water in a water blower by using a blowing means and a cleaning water- And to provide a harmful gas cleaning device using the detergent gasification method which is improved to efficiently remove odorous components and noxious gas components by mix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세정제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는, 하우징에 수용된 세정제로 악취 또는 유해가스의 성분들을 제거하여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세정하는 유해가스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서 세정제 수위 보다 위에서 배치되는 충진체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제에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블발생기, 상기 하우징내의 세정제를 충진체 위로 분사하는 세정제 분사기, 하우징내에 수용된 세정제 기화를 위해 세정제 표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기화된 세정수 기체에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혼합시켜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반응부를 포함하여, 기화된 세정제 기체와 악취 또는 유해가스성분들의 반응이 촉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cleaning harmful gas using the cleaning agent vapor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housing removes odorous or harmful gas components, A gas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a filling body disposed above a level of the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a bubble generator for generating bubbles in the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 detergent sprayer for spraying the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onto the filling body; And a reaction part for removing malodorous and noxious gas components by mixing malodorous or noxious gas with the vaporized clean water gas to thereby remove the malodorous and harmful gas components, Promoting the reaction of odorous or noxious gas components .

상기 충진체는 각층의 다공판의 홀들이 지그재그로 배치되게 적층된 다수의 다공판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lled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stacked such that holes of the perforated plate of each layer are staggered.

또한, 상기 버블발생기는 펌프에 의해 하우징내의 세정수 속에 침지되게 배치된 파이프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세정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세정수 버블을 발생시켜 세정수의 기화를 촉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ubble generator may be configured to supply air to the washing water through a nozzle formed in a pipe disposed so as to be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in the housing by the pump to generate a washing water bubble to promote the vaporization of the washing water.

상기 반응부에는 하우징에서 기화된 세정수 기체가 하우징 상부를 통해 공급되고,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을 통해 악취 또는 유해가스가 상기 반응부로 공급되어 세정수 기체와 악취 또는 유해가스가 접촉하여 반응하여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되어 배출된다.In the reaction part, a washing water vaporized in the housing is suppli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nd malodorous or noxious gas is supplied to the reaction part through the malodorous or noxious gas supply pipe, so that the washing water gas reacts with the malodorous or noxious gas, Components and noxious gas components are removed and discharged.

상기 반응부는 반응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나선형의 유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action part has a spiral flow path in order to secure a reaction tim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정제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는, 하우징에 수용된 세정제로 악취 또는 유해가스의 성분들을 제거하여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세정하는 유해가스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서 세정제 수위 보다 위에서 배치되는 충진체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제에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블발생기, 상기 하우징내의 세정제를 충진체 위로 분사하는 세정제 분사기, 하우징내에 수용된 세정제 기화를 위해 세정제 표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기화된 세정수 기체에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혼합시켜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반응부를 포함하여, 기화된 세정제 기체와 악취 또는 유해가스성분들의 반응이 촉진되게 하며,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과 공기 공급부의 파이프는 유로가 일체화되고, 상기 일체화된 유로에 앞쪽의 상기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과 공기 공급부의 파이프에는 각각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The apparatus for cleaning harmful gas using the detergent ga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a housing for removing malodorous or harmful gas components to clean odorous or harmful gas, A bubble generator for generating bubbles in the cleaning agent contai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 detergent sprayer for spraying the detergent in the housing onto the filling body, a detergent contained in the housing, And a reaction part for removing the odor component and the harmful gas component by mixing an odor or a noxious gas with the vaporized cleanser gas, so that the reaction of the vaporized detergent gas with the odorous or noxious gas components And the odor or noxious gas supply pipe and the air hole And a damp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respective flow paths is provided in the pipe for the odor or noxious gas supply pipe and the air supply pipe in front of the integrated flow path.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세정제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는, 하우징에 수용된 세정제로 악취 또는 유해가스의 성분들을 제거하여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세정하는 유해가스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서 세정제 수위 보다 위에서 배치되는 충진체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제에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블발생기, 상기 하우징내의 세정제를 충진체 위로 분사하는 세정제 분사기, 하우징내에 수용된 세정제 기화를 위해 세정제 표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기화된 세정수 기체에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혼합시켜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반응부를 포함하여, 기화된 세정제 기체와 악취 또는 유해가스성분들의 반응이 촉진되게 하며,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과 공기 공급부의 파이프는 유로가 일체화되고, 상기 일체화된 유로에 앞쪽의 상기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과 공기 공급부의 파이프에는 각각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반응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반응탑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The apparatus for cleaning harmful gas using the cleaning agent vapor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for removing malodorous or harmful gas components to clean odorous or harmful gas, A bubble generator for generating bubbles in the cleaning agent contai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 detergent sprayer for spraying the detergent in the housing onto the filling body, a detergent contained in the housing, And a reaction part for removing the odor component and the harmful gas component by mixing an odor or a noxious gas with the vaporized cleanser gas, so that the reaction of the vaporized detergent gas with the odorous or noxious gas components And the odor or noxious gas supply pipe and the air hole A damp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respective flow paths is provided in the pipe for the malodorous or harmful gas supply pipe and the air supply pipe in front of the integrated flow path, and the reaction par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reaction tower Is provided.

상기 각각의 반응탑에는 내부에 나선형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나선형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악취 또는 유해가스와 세정수 기체의 흐름을 체류 시간이 연장되게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each of the reaction columns is provided with a helical guide member so as to form a spiral flow path therein so as to guide the flow of malodorous or noxious gas and the rinse solution to the residence time.

또한, 상기 반응탑에는 하부에 세정수를 수용하고 펌프로 반응탑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추가로 분사하여 악취 성분이나 유해성분의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action tower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remove the odor components and the residues of the harmful components by injecting washing water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action tower, have.

본 발명에 따라, 세정수를 기화시켜 악취 또는 유해가스 성분 제거를 위한 반응 효율이 향상됨으로써 세정 효과가 향상되고, 종래 세정수와 악취 또는 유해가스가 직접 접촉하여 세정수의 변질로 인하여 폐수처리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vaporizing the washing water to improve the reaction efficiency for removing malodorous or noxious gas components, and the cleaning effect is improved, and the detergent of the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There is no proble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세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세정장치에 의한 악취 또는 유해가스의 세정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세정장치를 이용한 세정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세정장치의 다른 운전과정에 의한 세정작용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세정장치로서 세정제 기체와 반응하여 악취 성분 또는 휴해가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반응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leaning action of a malodorous or harmful gas by the cleaning device of FIG. 1;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leaning operation using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leaning operation by another operation process of the cleaning apparatus of FIG. 3;
FIG. 5 is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urther comprises a reaction unit for reacting with the cleaning agent gas to remove odor components or harmful gas componen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도 1과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세정장치는, 세정제를 하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세정제 수위 보다 위에서 세정제의 기화를 위한 체류시간을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충진체(10), 상기 세정제에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블발생기(20), 세정제의 기화를 촉진시키도록 상기 하우징내의 세정제를 충진체(10) 위로 분사하는 세정제 분사기(30) 및 하우징내에 수용된 세정제의 기화를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40) 및 상기 기화된 세정수 기체에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혼합시켜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반응부(50)를 포함한다. 1 and 2,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 for accommodating a cleaning agent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housing 2 for extending the residence time for vaporization of the cleaning agent above the level of the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A cleaner sprayer (30) for spraying a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onto the filling body (10) to promote vaporization of the cleaning agent, and a cleaning agent sprayer An air supply unit 40 for supplying air for vaporizing the detergent contained therein, and a reaction unit 50 for removing malodorous and noxious gas components by mixing malodorous or noxious gas with the vaporized clean water gas.

상기 충진체(10)는 도 1에서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층의 다공판(11)의 홀(12)들이 지그재그로 배치되게 적층된 다수의 다공판(11)들을 포함한다. The filling body 10 includes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11 stacked so that the holes 12 of the perforated plate 11 of each layer are staggered as shown in a sectional view in FIG.

또한, 상기 버블발생기(20)는 펌프(21)에 의해 하우징(1)내의 세정수 속에 침지되게 배치된 파이프(22)에 형성된 노즐(23)을 통해 세정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세정수 버블을 발생시키며, 이로써, 세정수의 기화를 촉진시킨다.The bubble generator 20 supplies air to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nozzle 23 formed in the pipe 22 arranged so as to be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in the housing 1 by the pump 21, Thereby promoting the vaporization of the washing water.

상기 세정제 분사기(30)는 펌프(31)에 의해 하우징(1)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수를 하우징(1) 내에서 상부에 배치된 파이프(32)의 분사노즐(33)을 통해 충진체 위에서 분사하며, 분사된 세정수는 상기 충진체(10)의 각 층의 다공판(11)의 지그재그로 배치된 홀(12)을 통해 하우징 하부로 낙하되는 시간이 지연되고 그 과정에서 세정수가 기화될 시간을 갖게 된다.The detergent sprayer 30 injects the wash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 by the pump 31 onto the filling body through the spray nozzle 33 of the pipe 32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 And the sprayed cleansing water is delayed in time to fall down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through the holes 12 arranged in zigzags of the perforated plates 11 of the respective layers of the filling body 10, .

아울러, 상기 공기공급부(40)는 펌프(41)로 충진체(10)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파이프(43)를 통해 공기를 하우징 내부의 세정수 위 공간으로 공급하며, 이로써 세정수 표면에서의 세정수의 기화를 촉진시킨다. The air supply unit 40 supplies the air to the upper space of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housing through the pipe 43 arranged to extend downwardly through the filling body 10 with the pump 41, Thereby promoting the vaporization of the washing water on the surface.

상기한 충진체(10), 세정수 버블발생기(20), 세정제 분사기(30) 및 공기공급부(40)들의 작용으로 모두 하우징(1)에 수용된 세정수의 기화가 촉진된다. The vaporization of the wash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 is promoted by the actions of the filling body 10, the washing water bubble generator 20, the detergent injector 30 and the air supplying part 40.

상기 기화된 세정수 기체는 하우징(1) 상부에 연통된 반응부(50)로 이동하고,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53)을 통해 악취 또는 유해가스가 상기 반응부(50)로 공급되어 세정수 기체와 악취 또는 유해가스가 접촉하여 반응을 통해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되어 배출된다. 상기 반응부(50)는 반응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나선형의 유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aporized cleanser gas moves to the reaction part 50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 and malodorous or noxious gas is supplied to the reaction part 50 through the malodorous or harmful gas supply pipe 53, The odorous or harmful gas is contacted with the gas, and the odor component and the harmful gas component are removed through the rea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ction part 50 has a spiral flow path in order to secure a reaction time.

도 3과 4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53)과 공기 공급부(40)의 파이프(43)의 유로를 일체화시키고, 상기 일체화된 유로에 앞쪽의 상기 공급관(53)과 공기 공급부(40)의 파이프(43)에는 각각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55)(45)를 설치한 점에서 도 1의 제 1 실시예의 세정장치와 차이가 있다. 3 and 4 show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of the odor or noxious gas supply pipe 53 and the pipe 43 of the air supply unit 40 are integrated and the pipe of the supply pipe 53 and the air supply pipe 40 43 are different from the clean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in that dampers 55, 45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channels are provided,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관(53)을 통해 공급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세정수를 기화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공기 공급부(40)의 파이프(43)로 공급되게 하여 공기와 함께 악취 및 유해가스가 하우징(1)에 수용된 세정수로 공급되어 세정수의 기화를 보다 더 촉진시키면서 기화된 세정수 기체와 악취 및 유해가스가 접촉반응하면서 하우징(1)의 상부로 이동하여 반응부(50)로 이동하게 되어 세정수 기체와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의 반응 시간이 보다 더 길게 연장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악취 및 유해가스 성분들의 제거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malodorous and noxious ga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53 is supplied to the pipe 43 of the air supply unit 40 supplied for vaporizing the cleaning water, so that odor and noxious gas together with the air are supplied to the housing 1 The cleaned water vapor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 and moved to the reaction part 50 while the vaporized clean water gas reacts with the malodorous and noxious ga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water, The reaction time of the malodorous body, the malodorous component and the noxious gas component can be extended longer, so that the removal of odorous and noxious gas components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응부(50)가 적어도 하나의 반응탑, 도시된 실시에에서는 반응탑(55,56)들이 2단으로 연속으로 설치된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의 세정장치와 차이가 있다.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shown.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n that the reaction unit 50 is provided in at least one reaction tow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eaction towers 55 and 56 are continuously provided in two stages .

상기 각각의 반응탑(55,56)들에는 내부에 나선형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나선형 가이드부재(57)가 설치되어 악취 또는 유해가스와 세정수 기체의 체류 시간이 연장되게 하며, 또한 상기 반응탑(55,56)들중 적어도 하나의 반응탑(55)에는 하부에 세정수를 수용하고 펌프(58)로 반응탑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노즐(59)을 통해 세정수를 추가로 분사하여 악취 성분이나 유해성분의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악취 또는 유해가스의 세정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 helical guide member 57 is provided in each of the reaction tanks 55 and 56 so as to form a spiral flow passage therein so that the residence time of the malodorous or noxious gas and the washing water gas is extended, The washing water is further injected into the reaction tower 55 through at least one of the nozzles 59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action tower 55, So that odor components or residues of harmful components can be removed, thereby improving the cleaning effect of the malodorous or harmful gas.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돈사와 같은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가스나,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에서 악취 성분이나 유해가스 성분들의 제거를 세정수를 기화시켜 얻은 세정수 기체와 접촉하도록 하여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과 세정수의 화학적 반응이 보다 신속하게 수행되게 하여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한다.The removal of odorous or harmful gas components from odor gas generated from a housing such as a pig house where a lot of odors are generated or a harmful gas generated from an industrial sit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washing water gas obtained by vaporizing the washing water, The 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gaseous component and the washing water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so that the odor component and the harmful gas component can be efficiently removed.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는 축사나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악취 가스 또는 휴해가스의 악취 또는 유해성분들을 제거하여 세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removing odor or harmful components of odor gas or harmful gas generated in a housing or an industrial field.

1 : 하우징 10 : 충진체
11 : 다공판 12 : 홀
20 : 버블발생기 21 : 펌프
22 : 파이프 23 : 노즐
30 : 세정제 분사기 31 : 펌프
32 : 파이프 33 : 분사노즐
40 : 공기공급부 41 : 펌프
43 : 파이프 50 : 반응부
53 : 공급관 55,56 : 반응탑
57 : 나선형 가이드부재 58 : 펌프
59 : 노즐
1: housing 10:
11: Perforated plate 12: Hole
20: bubble generator 21: pump
22: pipe 23: nozzle
30: Cleaning agent sprayer 31: Pump
32: pipe 33: injection nozzle
40: air supply unit 41: pump
43: pipe 50: reaction part
53: supply pipe 55,56: reaction tower
57: helical guide member 58: pump
59: Nozzle

Claims (9)

하우징(1)에 수용된 세정제로 악취 또는 유해가스의 성분들을 제거하여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세정하는 유해가스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내에서 세정제 수위 보다 위에서 배치되는 충진체(10)와,
상기 하우징(1)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제에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블발생기(20),
상기 하우징내의 세정제를 충진체(10) 위로 분사하는 세정제 분사기(30),
하우징내에 수용된 세정제 기화를 위해 세정제 표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40) 및
상기 기화된 세정수 기체에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혼합시켜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반응부(50)를 포함하여, 기화된 세정제 기체와 악취 또는 유해가스성분들의 반응이 촉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
A harmful gas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a malodorous or harmful gas by removing odorous or harmful gas components with a cleaning agent contained in the housing (1)
A filling body (10) arranged above the level of the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1)
A bubble generator 20 for generating bubbles in the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
A cleaning agent sprayer 30 for spraying the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onto the filling body 10,
An air supply unit 40 for supplying air to the surface of the cleaning agent for vaporizing the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a reaction part (50) for mixing malodorous or noxious gas to the vaporized cleanser gas to remove odorous components and noxious gas components, thereby promoting the reaction of the vaporized cleaning agent gas and odorous or noxious gas compon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mful gas cleaning apparatus employs a vaporiz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체(10)는 각층의 다공판(11)의 홀(12)들이 지그재그로 배치되게 적층된 다수의 다공판(11)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ling body (10) comprises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11) stacked so that the holes (12) of the perforated plates (11) of each layer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버블발생기(20)는 펌프(21)에 의해 하우징(1)내의 세정수 속에 침지되게 배치된 파이프(22)에 형성된 노즐(23)을 통해 세정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세정수 버블을 발생시켜 세정수의 기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bble generator 20 supplies air to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nozzle 23 formed in the pipe 22 arranged so as to be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in the housing 1 by the pump 21, Thereby promoting the vaporization of the washing w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50)에는 상기 하우징(1)에서 기화된 세정수 기체가 하우징(1) 상부를 통해 공급되고,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53)을 통해 악취 또는 유해가스가 상기 반응부(50)로 공급되어 세정수 기체와 악취 또는 유해가스가 반응하여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water vaporized in the housing 1 is supplied to the reaction part 50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 and odor or noxious gas is supplied to the reaction part 50 through the malodorous or harmful gas supply pipe 53, Wherein the cleaning water gas reacts with the malodorous or noxious gas to remove the malodorous component and the harmful gas component and discharge the harmful gas componen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50)는 반응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나선형의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action part (50) has a spiral flow path for securing a reaction time.
하우징(1)에 수용된 세정제로 악취 또는 유해가스의 성분들을 제거하여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세정하는 유해가스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내에서 세정제 수위 보다 위에서 배치되는 충진체(10)와,
상기 하우징(1)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제에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블발생기(20),
상기 하우징내의 세정제를 충진체(10) 위로 분사하는 세정제 분사기(30),
하우징내에 수용된 세정제 기화를 위해 세정제 표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40) 및
상기 기화된 세정수 기체에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혼합시켜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반응부(50)를 포함하여, 기화된 세정제 기체와 악취 또는 유해가스성분들의 반응이 촉진되게 하며,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53)과 공기 공급부(40)의 파이프(43)는 유로가 일체화되고, 상기 일체화된 유로에 앞쪽의 상기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53)과 공기 공급부(40)의 파이프(43)에는 각각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55)(4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
A harmful gas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a malodorous or harmful gas by removing odorous or harmful gas components with a cleaning agent contained in the housing (1)
A filling body (10) arranged above the level of the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1)
A bubble generator 20 for generating bubbles in the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
A cleaning agent sprayer 30 for spraying the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onto the filling body 10,
An air supply unit 40 for supplying air to the surface of the cleaning agent for vaporizing the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a reaction part (50) for mixing malodorous or noxious gas to the vaporized cleanser gas to remove odorous components and noxious gas components, thereby promoting reaction of the vaporized cleaning gas with malodorous or noxious gas components,
The odor or noxious gas supply pipe 53 and the pipe 43 of the air supply unit 4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the odor or noxious gas supply pipe 53 and the pipe of the air supply unit 40 43) are provided with dampers (55, 45)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respective flow paths.
하우징(1)에 수용된 세정제로 악취 또는 유해가스의 성분들을 제거하여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세정하는 유해가스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내에서 세정제 수위 보다 위에서 배치되는 충진체(10)와,
상기 하우징(1)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제에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블발생기(20),
상기 하우징내의 세정제를 충진체(10) 위로 분사하는 세정제 분사기(30),
하우징내에 수용된 세정제 기화를 위해 세정제 표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40) 및
상기 기화된 세정수 기체에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혼합시켜 악취 성분과 유해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반응부(50)를 포함하여, 기화된 세정제 기체와 악취 또는 유해가스성분들의 반응이 촉진되게 하며,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53)과 공기 공급부(40)의 파이프(43)는 유로가 일체화되고, 상기 일체화된 유로에 앞쪽의 상기 악취 또는 유해가스 공급관(53)과 공기 공급부(40)의 파이프(43)에는 각각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55)(45)가 설치되고,
상기 반응부(5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반응탑(55,5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
A harmful gas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a malodorous or harmful gas by removing odorous or harmful gas components with a cleaning agent contained in the housing (1)
A filling body (10) arranged above the level of the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1)
A bubble generator 20 for generating bubbles in the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
A cleaning agent sprayer 30 for spraying the cleaning agent in the housing onto the filling body 10,
An air supply unit 40 for supplying air to the surface of the cleaning agent for vaporizing the clean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a reaction part (50) for mixing malodorous or noxious gas to the vaporized cleanser gas to remove odorous components and noxious gas components, thereby promoting reaction of the vaporized cleaning gas with malodorous or noxious gas components,
The odor or noxious gas supply pipe 53 and the pipe 43 of the air supply unit 4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the odor or noxious gas supply pipe 53 and the pipe of the air supply unit 40 43 are provided with dampers 55, 45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respective flow paths,
Wherein at least one reaction tower (55, 56) is installed in the reaction part (5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반응탑(55,56)에는 내부에 나선형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나선형 가이드부재(57)가 설치되어 악취 또는 유해가스와 세정수 기체의 흐름을 체류 시간이 연장되게 가이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helical guide member 57 is installed in each of the reaction columns 55 and 56 so as to form a spiral flow passage therein so that the flow of the odorous or noxious gas and the washing water gas is guided so as to prolong the residence time A harmful gas cleaning device using a vaporization metho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탑(55,56)에는 하부에 세정수를 수용하고 펌프(58)로 반응탑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노즐(59)을 통해 세정수를 추가로 분사하여 악취 성분이나 유해성분의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방식을 이용한 유해가스 세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reaction columns 55 and 56, cleansing water is additionally injected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59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action colum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action column by a pump 58, And removing the residue of the harmful gas using the vaporization method.

KR1020170136452A 2017-10-20 2017-10-20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noxious gas using vaporizing of cleaning agent KR201900442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452A KR20190044255A (en) 2017-10-20 2017-10-20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noxious gas using vaporizing of cleaning ag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452A KR20190044255A (en) 2017-10-20 2017-10-20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noxious gas using vaporizing of cleaning ag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255A true KR20190044255A (en) 2019-04-30

Family

ID=6628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452A KR20190044255A (en) 2017-10-20 2017-10-20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noxious gas using vaporizing of cleaning ag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25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315B1 (en) * 2022-05-04 2022-08-04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Deodoriz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163B1 (en) 2007-05-03 2008-10-30 주식회사 피코 Wet gas scrubber with rotating supplier of cleaning liqui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163B1 (en) 2007-05-03 2008-10-30 주식회사 피코 Wet gas scrubber with rotating supplier of cleaning liqu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315B1 (en) * 2022-05-04 2022-08-04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Deodoriz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071B1 (en) Deodorization apparatus of foul smell gas
KR101203420B1 (en) Dual washing and deodoring tower having acid and alkali baths
KR101653368B1 (en) Deodorizing device
KR101720749B1 (en) The device for deodorizing polluted air
KR102032801B1 (en) 3-Stage Chemical Wet Scrubber
KR101232603B1 (en) Removing bubbles of cleaning unit using alkali and cleaning again by multi-stage deodorizing device
KR101396227B1 (en) A deodorization device
KR20180005439A (en) 3-Stage Chemical Wet Scrubber
KR101798427B1 (en) Rapid mixing and equal division mixing chemical solution cleaning and deodorizing device
KR101414128B1 (en) Contaminated gas cleaning apparatus using micro bubbles
KR102202651B1 (en) Deodorizing system using medicine fluid and single tower for acidic and alkaline gas
KR101237725B1 (en) Medicine injection apparatus for drug saving and efficient operation in deodorizing device using medicinal fluid
KR101591849B1 (en) Washer type deodorizing apparatus
KR102076856B1 (en) Micro Bubble Generator and Cleaning device for Chemical Material Using Micro Bubble
KR100717430B1 (en) A high efficiency multi-water sprinkle type dust collector
KR101997185B1 (en) Liquid Cleaning Deodorant Device Using Catalyst Oxidation Water
KR101867443B1 (en) A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mixture type deodorizing device using the cleaning solution
KR102308434B1 (en) Deodorizing apparatus
KR101893358B1 (en) Simultaneous cleaning and deodorizing tower with 2-component simultaneous cleaning and deodorizing function
KR102429315B1 (en) Deodorizing apparatus
KR102001359B1 (en) Treatment apparatus for offensive gas
KR101823139B1 (en) Tunnel type ozone water odor remving facilities
KR1014459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odorizing Gas
KR102077324B1 (en) Malicious odor gas deodorization system
KR20190044255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noxious gas using vaporizing of cleaning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