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721A -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 Google Patents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721A
KR20190043721A KR1020170135637A KR20170135637A KR20190043721A KR 20190043721 A KR20190043721 A KR 20190043721A KR 1020170135637 A KR1020170135637 A KR 1020170135637A KR 20170135637 A KR20170135637 A KR 20170135637A KR 20190043721 A KR20190043721 A KR 20190043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buckle
ring
presen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7331B1 (en
Inventor
이휘경
Original Assignee
이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휘경 filed Critical 이휘경
Priority to KR1020170135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331B1/en
Publication of KR2019004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7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3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rrecting a big toe, and more specifically, comprises a body portion which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s an edge worn at one end thereof, a buckle groov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body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oot; and a ring portion in which a buckle protrudes in a ring shape to be engag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buckle groove, and for wrapping and fixing the toe at the opposite end of the buckl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and treating diseases such as hallux valgus by fixing the toe; uses titanium in the body portion and is not easily damaged such as being easily stretched or broken; provides a comfortable and soft fit; and is constituted by the ring portion which surrounds and fixes the toe, and combines with the body part organically to fix the toe stably.

Description

엄지 발가락 교정구{CORRECTING APPARATUS FOR TOES}{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본 발명은 엄지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모서리 끝이 마모되어 있고, 한쪽 끝단에 버클홈이 구성되어 있으며, 발 안쪽에 밀착되어 받치는 몸체부와 고리 형상으로 상기 버클홈과 결합 및 분리되는 버클이 돌출되어 있으며, 버클 반대 끝단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로 구성되어, 발가락 휨과 같은 변형을 예방 또는 교정시키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toe toothed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ving a corner worn at its one end, a buckle groove formed at one end thereof, To-toe straightening part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deformation such as toe bending, which is composed of an annular protruding part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and an annular part for wrapping and fixing the toe to the opposite end of the buckle.

오늘날 현대인들은 패션을 고려하여 구두 또는 롱부츠를 즐겨신는 경향이 있다. 구두나 롱부츠는 신체적으로 각선미를 잡아줌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지만 볼이 좁고 일반 신발보다 무거워서 발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된다. Today, modern people tend to wear shoes or long boots considering fashion. Shoes and long boots are physically preferred by many people, but the ball is narrower and heavier than regular shoes, putting a lot of strain on the feet.

특히 굽이 높고 종아리를 쪼이는 부츠일 경우 발 앞쪽에 하중이 집중되고 발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며 발가락의 변형이 오는 ‘무지외반증’과 같은 병을 유발하게 된다.In particular, a high-heeled boots with a calf concentrate on the front of the foot, pushing the foot to cause pain, and deformity of the toe, such as the 'arthropathy of the foot' will cause illness.

무지외반증이란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 엄지발가락 쪽 안쪽 뼈가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이 신발을 신고 걸을 때 마찰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증상이 심해지면 엄지 발가락 뿐만 아니라 다른 발가락에도 영향을 미쳐 변형을 초래하며, 무지외반증으로 발가락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면 보행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발목이나 무릎 및 척추까지 영향을 주며 2차적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병이다.The numbness of the bulge is a big toe to the second toe to the tip of the big toe of the bones protruding, the protruding part of the shoes to walk when walking, causing pain caused by the symptoms of the symptoms of the big toe, but also affect other toes And if the toe does not function properly due to hallux valgus, it affects the ankle, knee and spine due to difficulty in walking. It is a disease that can cause secondary disease.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Accordingly, various techniques for preventing such diseases have been proposed.

상기 제안된 기술은 엄지발가락 교정기 및 그 생산방법(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20504호)으로 상기 기술은 교정기(1)는 발가락수용부(2)와 받침점(4)과 지지대(5)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받침점(4)을 중심으로 발가락수용부(2)와 지지대(5)가 휘어져 있어 지레의 원리에 의해 힘이 작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발가락수용부(2)는 고리형상으로 엄지발가락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발가락삽입구(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받침점(4)은 발과 접하는 쪽이 돌출되어 있어 엄지발가락 아래의 튀어나온 뼈부분을 눌러주도록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5)는 받침점(4) 아래부분으로 고정벨크로테잎(6)에 의해 발등에 고정부착되며 발등쪽으로 조여주는 힘에 의해 받침점(4)과 발가락수용부(2)에 힘이 전달되도록 형성되어,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강한 힘이 발생하여 받침점에서는 엄지발가락 아래의 튀어나온 뼈 부분을 들어가도록 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휘어진 엄지발가락은 내측으로 잡아당기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단기간에 휘어진 엄지발가락을 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oposed techniqu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straighten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20504).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ener 1 includes a toe accommodating portion 2, a fulcrum 4, And the toe accommodating portion 2 and the support table 5 are bent around the fulcrum 4 so that the force acts on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e toe accommodating portion 2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fulcrum 4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contact with the foot and to press the protruding bony part under the big toe. The support base 5 has a fulcrum (4) is fixedly attached to the instep by the fixed Velcro tape (6) at the lower part, and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point (4) and the toe accommodating part (2) by the force tightening to the instep side, There is a constant strong force In chimjeom toe and simultaneously bent outward to fit the protruding part of the bone under the big to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rrect the big toe bends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as to effectively pull inward.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두꺼운 천이나 스판 재질의 헝겊으로 사용시 늘어나는 훼손이 쉽게 발생하며, 고정벨크로테잎이 자주 벗겨지므로 고정상태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is disadvantageous in that when the cloth is made of a thick cloth or a span material, it is easily damaged when stretched and the fixed velcro tape is frequently peeled off.

엄지발가락 교정기 및 그 생산방법(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20504호(2004.02.16))A toe-tooter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420504 (2004.02.16)) 외측으로 휜 엄지발가락 교정용 지지구(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2-0004499호(1992.03.19))A toe correction zone for the toe curved outwar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2-0004499 (1992.03.1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티타늄과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rge-toe corrective tool using titanium and silicon material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리 형상으로 엄지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rge-toe-toothed orthodontic appliance in which a big toe is wrapped and fixed in an annular shap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모서리 끝이 마모되어 있고, 한쪽 끝단에 버클홈(110)이 구성되어 있으며, 발 안쪽에 밀착되어 받치는 몸체부(100)와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achieve th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e correction device for a toe, compris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n edge worn at one end thereof with a buckle groove (110) 100) and

고리 형상으로 상기 버클홈(110)과 결합 및 분리되는 버클(210)이 돌출되어 있으며, 버클(210) 반대 끝단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200)로 구성된다.And a hook 200 protruding from the buckle 210 to be engag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buckle groove 110 in a ring shape and fixing the toe to the opposite end of the buckle 210.

상기 몸체부(100)는 복수개의 중공(120)이 구성되며, 상기 중공(120)으로 스트랩이 통과되고, 통과된 스트랩의 양 끝단에 구성된 밸크로 인해 결합된다.The body 100 includes a plurality of hollows 120 through which the strap is passed and coupled by a ball constructed at both ends of the passed strap.

상기 몸체부(100)와 고리부(200)는 고정수단(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body part 100 and the hook part 200 may be fixed by fixing means 220.

상기 고정수단(220)은 중심축으로 하여 고리부(200)가 발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때, 버클홈(110)이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구성된다.The fixing means 220 can be rotated about 15 degrees to the left and righ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oe as a center axis. At this time, the buckle groove 110 can be rotated Size.

상기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몸체부(100)와 고리부(200)에 빈 공간(300)이 구성될 수 있다.The large-toe orthodontic appliance may include an empty space 300 in the body 100 and the hook 200.

상기 몸체부(100)와 고리부(200)는 재질이 티타늄, 실리콘, 스테인리스강 및 목재 중 하나를 선택한다.The body 100 and the ring 200 may be made of one of titanium, silicon, stainless steel, and wood.

상기 고리부(200)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다.The annular portion 200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상기 고리부(200)는 발가락의 크기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버클(2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The size of the ring 2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e, and the length of the buckle 210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large-to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본 발명은 발가락을 고정하여 ‘무지외반증’과 같은 질병을 예방 및 교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1)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and correcting diseases such as 'hallux valgus' by fixing the toes.

(2) 본 발명은 티타늄과 실리콘을 사용하여 쉽게 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과 같이 쉽게 훼손되지 않고, 편안하고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2)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be stretched or broken by using titanium and silicon, and is not easily damaged and provides a comfortable and soft feeling.

(3) 본 발명은 고리 형상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로 구성되어 몸체부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안정되게 발가락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n annular ring which surrounds and fixes the toe, and can organically bond with the body part and fix the toe in a stable mann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의 실물 형태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에 형성된 빈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에 형성된 빈 공간을 나타낸 형태의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dy portion and a ring portion coupled toge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and the loop part are combined by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hotograph of a thumb-to-to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pty space formed in a body part and a r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 hollow space formed in a toe correction h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Firs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big toe correction hole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t should be based on the who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의 실물 형태의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에 형성된 빈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에 형성된 빈 공간을 나타낸 형태의 사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and a r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and the hook part are coupled by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pty space formed in the body part and the crotch par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umb toe correction par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ollow space formed in the calibration 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모서리 끝이 마모되어 있고, 한쪽 끝단에 버클홈(110)이 구성되어 있으며, 발 안쪽에 밀착되어 받치는 몸체부(100)와Referring to FIGS. 1 to 4, the large-toe toe orthosi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worn at its edge. A buckle groove 1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uckle groove 110. The body portion 100,

고리 형상으로 상기 버클홈(110)과 결합 및 분리되는 버클(210)이 돌출되어 있으며, 버클(210) 반대 끝단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200)로 구성된다.And a hook 200 protruding from the buckle 210 to be engag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buckle groove 110 in a ring shape and fixing the toe to the opposite end of the buckle 210.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복수개의 중공(120)이 구성되며, 상기 중공(120)으로 스트랩이 통과되고, 통과된 스트랩의 양 끝단에 구성된 밸크로 인해 결합된다. 상기 고리부(200)와 연결된 몸체부(100)가 발 안쪽에 밀착되어 받치는 형태에서 스트랩이 발과 결합되어 고정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the body 100 includes a plurality of hollows 120, through which the straps pass,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ends of the straps. The strap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foot in a form in which the body 100 connected to the hook 200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foot.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00)와 고리부(200)는 더욱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고정수단(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20)에 의해 결합하는 것은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body 100 and the claw 200 may be fixed by a fixing means 220 to fix the body 100 more tightly. The coupling by the fixing means 220 can be combined or separated by the user for convenience.

또한 상기 고정수단(220)은 중심축으로서 고리부(200)가 발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버클홈(110)이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은 고리부(200)가 엄지 발가락을 쉽고 유연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220 can rotate the claw 200 as a center shaft within 15 °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e. At this time, the buckle groove 110 can be rot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in a constant size. Such a configuration allows the crotch part 200 to easily and flexibly fix the big toe.

도 6 내지 7을 상기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몸체부(100)와 고리부(200)에 빈 공간(30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빈 공간(300)의 구성은 엄지 발가락 교정구를 경량화 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에서 언급한 티타늄을 사용하는 것과 유기적인 구성으로 기존의 제작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6 to 7, the empty space 300 may be formed in the body part 100 and the annular part 200 of the big toe correction part. The configuration of the empty space 300 is advantageous in that the weight of the large toe correcting tool can be reduced by using the titanium mentioned below and the organic structure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large toe correcting tool.

상기 몸체부(100)와 고리부(200)는 재질이 플라스틱, 티타늄, 스테인리스강, 지르코니아, 실리콘 및 목재 중 하나를 선택한다. 기본적으로 가볍고 강도가 높은 티타늄을 사용하여 몸체부(100) 또는 고리부(200)가 휘거나 또는 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와 같은 재질로 꼭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도 사용자가 적절한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body 100 and the ring 200 may be made of one of plastic, titanium, stainless steel, zirconia, silicon, and wood. By using titanium which is basically light and high in strength, it prevents the body part 100 or the hook part 200 from bending or stretching.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and the user can select and use appropriate materials.

특히, 상기 고리부(200)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여 엄지 발가락을 감싸면 기존의 다른 재질과는 달리 착용감이 편안하여, 사용자가 발가락 교정구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의 상기의 좌우로 15°이동하는 구성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엄지 발가락에 고리부를 쉽고 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In particular, the ring 200 may be made of a soft and soft silicon material. Using a silicone material to wrap your big toe, unlike other materials, is comfortable to wear, making it easy for the user to adjust to the toe correction. In addition, it has an advantage that it is combined with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moving left and right by 15 ° so as to be easily and comfortably fixed to the big toe.

상기 고리부(200)는 인체의 발 사이즈의 차이가 심하므로 사용자가 발가락의 크기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버클(2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Since the ring 200 has a large difference in the foot size of the human body, the user can adjust th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e, and the length of the buckle 210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효과로서, 발가락을 고정하여 ‘무지외반증’과 같은 질병을 예방 및 교정이 가능하고, 티타늄을 사용하여 몸체부가 쉽게 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과 같이 쉽게 훼손되지 않으며, 고리 형상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로 구성되어 몸체부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안정되게 발가락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갖는다.As 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correct diseases such as 'hallux valgus' by fixing the toe, and to prevent the body from being easily damaged as the body is easily stretched or broken by using titanium, And has an advantage that the toe can be fixed stably by being combined with the body part organical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몸체부 110 : 버클홈
120 : 중공 200 : 고리구
210 : 버클 220 : 고정수단
300 : 빈 공간
100: body portion 110: buckle groove
120: Hollow 200:
210: buckle 220: fastening means
300: empty space

Claims (8)

엄지 발가락 교정구에 있어서,
상기 교정구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모서리 끝이 마모되어 있고, 한쪽 끝단에 버클홈이 구성되어 있으며, 발 안쪽에 밀착되어 받치는 몸체부와
고리 형상으로 상기 버클홈과 결합 및 분리되는 버클이 돌출되어 있으며, 버클 반대 끝단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In the big toe correction area,
The calibration section
The end of the edge is worn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buckle groove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body portion
And an annular protruding portion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buckle groove in a ring shape, and a ring portion for wrapping and fixing the toe at the opposite end of the buck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복수개의 중공이 구성되며, 상기 중공으로 스트랩이 통과되고, 통과된 스트랩의 양 끝단에 구성된 밸크로 인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엄지 발가락 교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lows, and the strap is hollowed and coupled by a ball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ssed stra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고리부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and the hook part can be fixed by fixing mean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중심축으로 하여 고리부가 발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때, 버클홈이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ing means has a central axis and the hook can be pivoted within 15 degrees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e and the buckle groove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size so as to be pivotable within 15 degrees to the left and right. Calibration sphe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몸체부와 고리부에 빈 공간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rge toe correcting part has an empty space in the body part and the ring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고리부는 재질이 티타늄, 실리콘, 스테인리스강 및 목재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and the ring portion are made of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tanium, silicon, stainless steel, and wo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nular portion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발가락의 크기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버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op is adjustable in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e and the length of the buckle is adjustable.
KR1020170135637A 2017-10-19 2017-10-19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20473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637A KR102047331B1 (en) 2017-10-19 2017-10-19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637A KR102047331B1 (en) 2017-10-19 2017-10-19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21A true KR20190043721A (en) 2019-04-29
KR102047331B1 KR102047331B1 (en) 2019-11-21

Family

ID=6628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637A KR102047331B1 (en) 2017-10-19 2017-10-19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33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499B1 (en) 1987-12-28 1992-06-08 오바라 가부시끼가이샤 Tool changer for welding robot
JPH07241307A (en) * 1994-03-02 1995-09-19 Michiyo Yoshinaga Foot reforming tool structure
JP2000116696A (en) * 1998-10-12 2000-04-25 Emiko Murayama Hallux valgus correction device
KR100420504B1 (en) 2001-08-18 2004-03-09 김명순 The correction apparatus of the big toe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5237962A (en) * 2004-02-24 2005-09-08 Bauerfeind Ag Orthosis for correcting position of body joint
JP2008178436A (en) * 2007-01-23 2008-08-07 Honan Corporation:Kk Hallux valgus corr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499B1 (en) 1987-12-28 1992-06-08 오바라 가부시끼가이샤 Tool changer for welding robot
JPH07241307A (en) * 1994-03-02 1995-09-19 Michiyo Yoshinaga Foot reforming tool structure
JP2000116696A (en) * 1998-10-12 2000-04-25 Emiko Murayama Hallux valgus correction device
KR100420504B1 (en) 2001-08-18 2004-03-09 김명순 The correction apparatus of the big toe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5237962A (en) * 2004-02-24 2005-09-08 Bauerfeind Ag Orthosis for correcting position of body joint
JP2008178436A (en) * 2007-01-23 2008-08-07 Honan Corporation:Kk Hallux valgus corr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331B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223B1 (en) Orthopedic device for the mechanical treatment of hallux valgus
US4505269A (en) Ankle splint
CN106535832B (en) Ankle foot orthosis
US20100106065A1 (en) Orthotic Assembly for Selectively off-Loading a Weight-Bearing Joint
US20240139012A1 (en) Ankle foot orthosi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0150297386A1 (en) Orthotic method and device for newborn babies
EP2723279B1 (en) Foot support device
KR20090065734A (en) A ankle fixing auxiliary
US8083703B2 (en) Clubfoot orthotics
US20160100973A1 (en) Flexible Wearable Foot Sling
JP7386316B2 (en) Compression clothing for lower body shape and gait correction for bent leg deformities
KR100388136B1 (en) Biomechanical Ankle foot Orthoses
EP2648660B1 (en) Sock assembly for correcting toe deformation
KR20190043721A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US20230301811A1 (en) Calcaneal inversion-inducing orthotic sleeve and method of wearing for treating the ankle
JPS6348255Y2 (en)
KR200489697Y1 (en) stretch band for feet
KR102462175B1 (en) stretching equipment for toe
KR200378623Y1 (en) hallux valgus reformer
RU204588U1 (en) FRONT FOOT BRACE
JP6622763B2 (en) Supporter
KR20240075482A (en) Device for revise leg
TWM638760U (en) Hallux valgus correction shoe
CA3148700A1 (en) Ankle foot orthos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W202235059A (en) Foot drop orthotic device comprising a shank support member, a shank extended portion, a sole support portion, a sole extended portion, a pivot support portion, and an adjusting strap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