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718A -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using visu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using visu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718A
KR20190043718A KR1020170135633A KR20170135633A KR20190043718A KR 20190043718 A KR20190043718 A KR 20190043718A KR 1020170135633 A KR1020170135633 A KR 1020170135633A KR 20170135633 A KR20170135633 A KR 20170135633A KR 20190043718 A KR20190043718 A KR 2019004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 information
power allocation
communication
spatial power
spa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0265B1 (en
Inventor
이용호
김명돈
이정남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35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265B1/en
Publication of KR2019004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7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2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in a base station is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performed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using visual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of an area where a second communication node requesting spatial power allocation is located; analyzing the visual information to recognize a perso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object in the area w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is located; analyzing influence of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perso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bject in a propagation environment to predict a role of the perso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bject; and performing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to the area w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is located according to a predicted role of the perso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bject.

Description

시각적 정보를 이용한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 및 장치{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USING VISU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visu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전력 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영상 장치 또는 센서에서 수집된 시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ly allocating power using visual information collected by a video apparatus or a sensor.

안테나 배열을 이용하는 기존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으로 training sequence 기반 방식, DoA(Direction of Arrival) 추정 기반 방식,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기반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들은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을 활용하는 데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을 통한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을 더 많이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고속 무선 전송, 다중 사용자 등과 같은 통신 환경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공간적 전력 할당 기능을 통해 최적의 성능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 활용을 최적화하거나 다른 도메인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자원의 낭비를 막는 방안이 필요하다.A training sequence based scheme, a Direction of Arrival (DoA) based scheme, and a reference signal based scheme have been proposed as conventional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s using antenna arrays. Such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s are based on utilizing time or frequency resource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gain through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 more time or frequency resources must be used, which is difficult to apply in communication environments such as high-speed wireless transmission and multi-user. In order to achieve optimum performance through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function,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utilization of time or frequency resources or to prevent waste of existing resources by using information of other domain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 주파수 자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또는 피드백 채널을 이용하지 않고, 영상 장치 또는 센서에서 수집된 시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0008]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ly allocating power using visu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video device or a sensor without using time, frequency resources, reference signals, or feedback channel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시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으로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요청한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의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한 영역의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전파 환경 내에서 상기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의 통신 성능의 영향을 분석하여, 상기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의 역할을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의 예측된 역할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에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to a first communication node using visual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analyzing the visual information to recognize a perso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object in an area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and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person, And estimating a role of the perso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object, and performing spatial power allocation to an area w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is located according to a predicted role of the perso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bject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된 가설을 이용하여 상기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의 역할을 예측한다.A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in a step of analyzing a perso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object using a hypothesis gener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Predict ro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의 역할이 통신에 직접 도움이 되는 통신 지시물인 경우, 평균 전력 레벨보다 큰 레벨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한다.The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to a first communication node in a case where the role of the person,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의 역할이 통신에 간접 도움이 되는 통신 보조물인 경우, 평균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큰 레벨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한다.A method for allocating space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allocating space power to a first communication node when a role of the person, Spatial power allocation is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의 역할이 통신에 방해가 되는 통신 장애물인 경우, 평균 전력 레벨보다 작은 레벨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한다.The method of allocating spatial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llocating spatial power at a level lower than an average power level in the case of a communication obstacle in which the role of the person,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의 전파 환경 내의 물리적인 현상에 따른 시각적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물리적 현상의 변화가 기준 값을 초과하는 영역에 평균 전력 레벨보다 큰 레벨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한다.The method of allocating spatial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a physical phenomenon in a propagation environment of an area w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is located in the step of collecting the visual information . Then,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is performed at a level higher than the average power level in the region where the change in the physical phenomen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시각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의 상하-좌우-전후의 방향, 거리, 위치, 간격, 수직, 수평, 깊이 정보를 획득한다.The method of allocating spatial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of analyzing the visual information, a direction, a distance, a position, an interval , Vertical, horizontal, and depth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고,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에서 생성된 시각적 정보들을 시간 순서로 배열하여 시각적 정보들 간의 시간 간격을 줄인다.The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of collecting the visual information,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are sequentially operated, Arrange the information in chronological order to reduce the time interval between visual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에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 주변의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 주변의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노드에 대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이 수행되는 영역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of allocating spatial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performing spatial power allocation to an area w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is located, And expanding an area in which spatial power allocation is performed for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based on visual information around the are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통시 노드가 공간적 전력 할당 요청을 공간적 전력 할당이 가능한 제2 통신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좌표, 속도, 방향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좌표, 속도, 방향 정보에 기초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allocating space power at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communication node transmit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to a second communication node capable of spatial power allocation; Speed and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and receiving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a spatial power allocation based on the coordinate, velocity,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전력 할당 요청을 상기 제2 통신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력 할당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할당 받기를 원하는 전력 할당 레벨 정보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allocating space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ransmitting the power allocation reques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Power allocation level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할당된 공간적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2 통신 노드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2 통신 노드와의 신호 송수신 성능을 관찰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 송수신 성능이 기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이면 공간적 전력 할당을 재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of allocating spatial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using allocated spatial powe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and re-requesting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if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erformance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공간적 전력 할당을 받은 영역 밖으로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이동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공간적 전력 할당 갱신 요구를 상기 제2 통신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method for allocating a spatial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moves out of an area subjected to spatial power allocation, 2 < / RTI > communication no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좌표, 속도, 방향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노드로 재전송하는 단계와, 재전송된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좌표, 속도, 방향 정보에 기초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transmitting coordinate, velocity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a spatial power allocation based on the coordinate, velocity,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에서의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은,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신한 이후,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공간적 전력 할당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좌표, 속도, 방향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노드로 재전송하는 단계와, 재전송된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좌표, 속도, 방향 정보에 기초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at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update reques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after receiving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Speed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and transmit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based on the coordinate, speed,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re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Lt; / RTI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통신 노드는, 시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노드로서,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의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와, 상기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의 전파 환경과,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을 인식하고, 통신 성능의 영향을 주는 상기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의 역할을 예측하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와, 상기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의 예측된 역할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에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A communication node for performing spatial power allo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node that performs spatial power allocation using visual information and includes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object based on the visual information, a propagation environment of an area w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is located, a perso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object, and predicts the role of the person, And a communication device that performs spatial power allocation to an area w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is located according to the predicted role of the perso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bje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상기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that performs spatial power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may be applied to one or more image devices or one or more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노드는, 복수의 영상 장치 또는 복수의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고, 시각적 정보들을 시간 순서로 배열하여 시각적 정보들 간의 시간 간격을 줄일 수 있다.A first communication node that performs spatial power allo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operates a plurality of video devices or a plurality of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arranges visual information in a time sequence, The interval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상기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는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된 가설을 이용하여 상기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의 역할을 예측한다.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that performs spatial power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edicts the roles of the perso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bject using hypotheses gener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는 아날로그 도메인 기반 패턴 재형성이 가능한 안테나 또는 스위칭 기반 안테나 배열을 포함한다.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that performs spatial power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n analog domain based pattern reshapable antenna or a switching based antenna arrangement.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 주파수 자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또는 피드백 채널을 이용하지 않고, 영상 장치 또는 센서에서 수집된 시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에게 공간적으로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an be spatially allocated to a communication device or an antenna using visu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video device or a sensor without using a time, a frequency resource, a reference signal, or a feedback channel.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적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을 통해 통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through a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 based on visual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장치 또는 센서에서 수집된 시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자연 현상에 따른 재난이 발생한 곳에 높은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igh-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can be performed in a place where a disaster occurs due to a natural phenomenon, using visu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video device or a sensor.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거나 피드백 채널 생성 없이도, 기존의 통신 규격 또는 시스템 내 존재하는 신호 품질 정보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로부터 수집한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based on the signal quality information existing in the existing communication standard or system and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without using a separate time or frequency resource or generating a feedback channel. can do.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를 배열하여 보다 많은 시각적 정보를 기반으로 전파 환경 인식 및 분석을 함으로써, 공간적 전력 할당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ain of spatial power allocation by arranging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and recognizing and analyzing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n the basis of more visual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적 정보 및 전파 환경 분석을 위한 기계 학습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전파 환경 내 다양한 공간 정보, 통신 장치, 통신 방식 또는 시나리오 등에 대한 공간적 할당 방식의 결과를 자가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 후 최적의 공간적 할당 방식을 도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machine learning function for analyzing visual information and propagation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self-learn the result of the spatial allocation method for various spatial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or scenario in the radio wave environment, An optimum spatial allocation scheme can be derived.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1차원 기반으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을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2차원 기반으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을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3차원 기반으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을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의 기계 학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통신 장치 별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 및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가 구성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공간 좌표계 정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 및 통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1개의 시각적시각적 정보 수집 및 처리 장치가 2개의 통신 장치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1개의 시각적시각적 정보 수집 및 처리 장치와 2개의 통신 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2개의 통신 장치 각각에 배치된 공간 좌표계 정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3개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와 2개의 통신 장치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가 연결되는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전파 환경의 정의 또는 정파 환경을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에 배치된 분산 안테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에서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시각적 정보수집이 사무실 환경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사무실 환경에 공간적 전력 할당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시각적 정보수집이 복도 환경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복도 환경에 공간적 전력 할당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시각적 정보수집이 도로 환경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도로 환경에 공간적 전력 할당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시각적 정보수집 및 공간적 전력 할당이 공연장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시각적 정보수집 및 공간적 전력 할당이 운동장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시각적 정보수집 및 공간적 전력 할당이 주택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를 예측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가 적용하여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를 적용하여 시각적 정보수집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에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의 전파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공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의 제1 실시 예를 도면이다.
도 37은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의 제2 실시 예를 도면이다.
도 38은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의 제3 실시 예를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공간적 전력 할당의 실패를 처리하는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공간적 전력 할당의 실패를 처리하는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공간적 전력 할당의 실패를 처리하는 제3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공간적 전력 할당의 실패를 처리하는 제4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를 추가하여 시각적 정보 획득이 가능한 공간을 확장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를 추가하여 시각적 정보 획득이 가능한 공간을 확장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ognizing an object, an object, and a physical phenomenon based on a one-dimensional basis.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ognizing an object, an object, and a physical phenomenon based on a two-dimensional basis.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ognizing an object, an object, and a physical phenomenon based on a three-dimensional basis.
7 is a flowchart showing a machine learning method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8 is a diagram showing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face between a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 apparatus.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and a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re configured for each communication device.
11 is a diagram showing a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ing unit.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at one visual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device is connected to two communication devices.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face between one visual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device and two communication devices.
15 is a diagram showing a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ement unit arranged in each of the two communication apparatuses shown in FIG.
16 is a diagram showing thre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devices and two communication devices connected to each other.
17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are connected.
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ognizing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r the propagation environment.
1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tributed antenna disposed in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20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in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1 is a diagram show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2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is applied to an office environment.
2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spatial power allocation to the office environment of FIG. 22. FIG.
2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is applied to the hallway environment.
FIG. 2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spatial power allocation in the hallway environment of FIG. 24. FIG.
2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is applied to a road environment.
Fig. 27 is a diagram showing a result of spatial power allocation to the road environment in Fig. 26; Fig.
Fig. 2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spatial power allocation are applied to a venue; Fig.
2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spatial power allocation are applied to a field of play.
3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spatial power allocation are applied to houses.
3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redicting the position of a moving object.
3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by applying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33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improving the speed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by applying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llocating power to a communication device or antenna for which spatial power allocation is desired.
Fig. 3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lement space constituting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Fig. 34. Fig.
36 is a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nitial entry of a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37 is a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nitial entry of a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38 is a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an initial entry of a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3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for handling a failure of spatial power allocation.
Figure 4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for handling the failure of spatial power allocation.
45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for handling the failure of spatial power allocation.
46 is a diagram showing a fourth embodiment for handling the failure of spatial power allocation.
47 is a diagram showing an extension of a spac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an be acquired by adding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4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expanding a spac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an be acquired by adding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1, a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and 130-6. Here,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be referred to as a " communication network ".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support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protocol,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a wideband CDMA (WCDMA),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n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 single carrier-F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210, a memory 220, and a transceiver 230 connected to the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2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250, a storage device 260, and the like.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be connected by a bus 270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The processor 210 may refer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Each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may be constituted of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220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read-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user equipment)(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 130-1, 130-2, 130-3, 130-4, 130-5, and 130-6.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may form a macro cell. Each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and the fifth base station 120-2 may form a small cell.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third terminal 130-3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terminal 130-2,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The fifth base station 120-2, the fourth terminal 130-4, the fifth terminal 130-5 and the sixth terminal 130-6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third base station 110-3 . The first terminal 130-1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sixth terminal 130-6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fifth base station 120-2.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includes a Node B, an evolved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radio base station, a radio transceiver, an access point, an access node, a roadside unit (RSU), a radio remote head (RRH), a transmission point (TP) ,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a relay node, and the lik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and 130-6 includes a terminal, an access terminal, a mobile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a station,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a node, a device, and the like.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Each may support cellular communication (e.g.,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advanced), etc. defined in 3GPP standards).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operate in different frequency bands, or may operate in the same frequency b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n ideal backhaul or a non-ideal backhaul, Or non-idle backhaul.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connected to a core network (not shown) through an idle backhaul or a non-idle backhaul.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30-1, 130-2, 130-3, 130 130-2, 130-3, 130-4, 130-5, and 130-6, and transmits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Lt; / RTI >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can support downlink transmission based on OFDMA, and uplink ) Transmission. Also,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perform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transmission (for example, MIMO, MIMO, MIMO, Coordinated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Unlicensed Band, Device to Device (D2D) ) Communication (or proximity services (ProS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and 130-6 includes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and 120-1 , 120-2, an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SU-MIMO scheme,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can transmit a signal based on the SU-MIMO scheme And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lternatively,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based on the MU-MIMO scheme,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may receive signals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by the MU-MIMO scheme.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CoMP scheme, The terminal 130-4 can receive signal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by the CoMP method.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includes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and 130-6) and a carrier aggregation scheme.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coordinates D2D communication between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may be coordinated by the coordination of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Can be perform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 및 통신 장치(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공간좌표 정렬부(1210), 정보 저장부(1220), 기계 학습부(1230), 정보 분석부(1240) 및 제어부(1250)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1300)는 통신부(1310), 안테나 제어모듈(1320) 및 안테나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1300)에 통신부(1310), 안테나 제어모듈(1320) 및 안테나부(1330)가 포함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부(1310), 안테나 제어모듈(1320) 및 안테나부(1330) 각각이 별도의 구성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1100, a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nd a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includes a spatial coordinate sorting unit 1210,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220, a machine learning unit 1230, an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and a control unit 1250.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310, an antenna control module 1320, and an antenna unit 1330. The communication unit 1310 includes the communication unit 1310,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and the antenna unit 1330. The communication unit 1310 includes the communication unit 1310,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and the antenna unit 1330, Each may be arrang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전파 환경은 형태, 재질 또는 색을 띄는 객체, 사물, 물리적인 현상(빛, 불, 연기,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파 환경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차원 기반의 전파 환경을 직사각형으로 도시하였다.The propagation environment can include objects, objects, physical phenomena (light, fire, smoke, water) that are shaped, colored or colo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dimensional-based propagation environment is shown as a rectangle to help understand the propagation environment.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영상 장치(예로서, 카메라) 또는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예로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radar), 라이더(rid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공간적 전력 할당을 요청한 통신 장치(예로서, 단말 또는 안테나)가 위치하는 곳의 시각적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시각적 정보는 영상 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와,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를 통해 수집된 시각적 센싱 정보를 포함한다.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may include a video device (e.g., a camera) or a sensor base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e.g.,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radar, a rider). This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collects visual information where the communication device (e.g., terminal or antenna) requesting spatial power allocation is located. Here, the visual informa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device and visual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예로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전파 환경 내의 객체, 사물, 물리적인 현상(빛, 불, 연기, 물) 및 물리적 현상의 양에 따른 시각적 정보를 수집한다.By way of example,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collects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objects, objects, physical phenomena (light, fire, smoke, water) and physical phenomena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여기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하나의 영상 장치 또는 하나의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하나의 영상 장치 또는 하나의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전파 환경 전체의 시각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Here,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may be composed of one imaging apparatus or one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In this case,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can collect visual information of the entire radio wave environment using one image sensor or one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다른 예로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복수의 영상 장치 또는 복수의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복수의 영상 장치 별로 전파 환경을 구분시키고, 각각의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복수의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 별로 전파 환경을 구분시키고, 각각의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mage devices or a plurality of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In this case,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can classify the propagation environment for each of a plurality of image devices, and collect visual information using each image device. Meanwhile,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100 may classify the propagation environme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and collect the visual information using the respective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또 다른 예로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1개 이상의 영상 장치 및 1개 이상의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1개 이상의 영상 장치와 1개 이상의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 별로 전파 환경을 구분시키고, 각각의 영상 장치 및 각각의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may be comprised of one or more imaging devices and one or more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In this case,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may divide the propagation environment into one or more image devices and one or more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and use the respective image devices and the respective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to acquire visual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또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센싱 지점의 확대, 축소 및 시점 변경 등과 같은 시각적 범위제어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열, 빛, 온도, 전자기파 등과 같은 정보 수집모드 제어 기능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includes a visual range control function such as enlarging, reducing, and changing a point of view. In addition,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e control function such as heat, light, temperature, electromagnetic waves, and the like.

이러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수집된 시각적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 전송한다.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transmits the collected visual information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to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공간 좌표계 정렬부(1210), 정보 저장부(1220), 기계 학습부(1230), 정보 분석부(1240) 및 제어부(1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may include a spatial coordinate system sorting unit 1210,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220, a machine learning unit 1230, an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and a control unit 1250.

정보 저장부(1220)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된 시각적 정보를 저장하고, 시각적 정보를 정보 분석부(1240)로 전달한다. 여기서, 정보 저장부(1220)는 시각적 정보의 분석을 위한 정보 저장 또는 기계 학습을 위한 정보 데이터 베이스 구축, 정보 갱신 기능,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20 stores the visual information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1100 and transmits the visual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Her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20 may include an information database for information storage or machine learning for analyzing visual information, an information updating function, and an interface fun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도 4는 1차원 기반으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을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2차원 기반으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을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3차원 기반으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을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ognizing an object, an object, and a physical phenomenon based on a one-dimensional basis.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ognizing an object, an object, and a physical phenomenon based on a two-dimensional basis.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ognizing an object, an object, and a physical phenomenon based on a three-dimensional basis.

도 4 내지 도 5를 결부하여 설명하면, 정보 분석부(1240)는 전파 환경을 인식하는 기능과 전파 환경을 분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4 to 5,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240 may include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radio wave environment and a function of analyzing the radio wave environment.

정보 분석부(1240)는 수신된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전파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정보 분석부(1240)는 수신된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등을 인식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240 can recognize the propagation environment based on the received visual information. That is,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240 can recognize an object, an object, a physical phenomenon, and the like based on the received visual information.

여기서, 정보 분석부(1240)는 전파 환경을 분석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원에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대칭 및, 비대칭을 인식할 수 있다.Here, when analyzing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240 can recognize symmetry and asymmetry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in one dimension, as shown in FIG.

또한, 정보 분석부(1240)는 전파 환경을 분석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에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대칭, 비대칭 및 기하학적 배치를 인식할 수 있다.In analyzing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he information analyzer 1240 can recognize symmetry, asymmetry, and geometric arrangement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in two dimensions as shown in FIG.

또한, 정보 분석부(1240)는 전파 환경을 분석 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에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대칭, 비대칭 및 대칭과 비대칭이 결합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In analyzing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240 can recognize that symmetry, asymmetry, symmetry and asymmetry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are combined in three dimensions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정보 분석부(1240)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형태, 재질 또는 색을 통한 객체, 사물 및 물리적 현상을 인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240 can recognize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based on the vis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through shapes, materials, or colors.

또한, 정보 분석부(1240)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형태, 색, 광원, 움직임 등과 같은 시각적 변화 인식을 통해서 객체, 사물 및 물리적 현상을 인식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240 can recognize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based on vis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through recognition of visual changes such as shape, color, light source, and movement.

또한, 정보 분석부(1240)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물리적인 현상(빛, 불, 연기, 물) 및 물리적 현상의 양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현상의 인식은 화재나 자연재해에 따른 빛, 불, 연기, 물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빛, 불, 연기, 물의 발생 및 그 양을 인식함으로써 화재나 자연재해의 발생한 특정 위치에 대해서 공간적 전력 할당을 높여 그 곳에 위치하는 단말에게 원활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정보 분석부(1240)는 빛, 불, 연기, 물의 양의 변화에 기초하여 재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300)는 재해가 발생한 영역에 대해 평균 전력 레벨보다 큰 레벨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240 can recognize changes in physical phenomena (light, fire, smoke, water) and physical phenomena based on the vis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Here, the recognition of physical phenomena is for recognizing light, fire, smoke and water caused by a fire or a natural disaster. It recognizes the occurrence and amount of light, fire, smoke and water,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can be increased and smooth communication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located there. By way of example,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may recognize a disaster based on changes in the amount of light, fire, smoke, and water.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may the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to a level greater than the average power level for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간적 전력 할당이 가능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 제1 통신 노드)에게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제2 통신 노드(예로서, 기지국 또는 단말)가 통신 프로토콜 내에서 광원을 이용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노드는 광원 인식 및 분석을 통해 공간적 전력 할당을 요청하는 제2 통신 노드의 위치 확인, 전력 레벨 선정 및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second communication node (e.g., a base station or a terminal) that desires spatial power allocation to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first communication node) capable of allocating spatial power can use a light source To request spatial power allocation. 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may perform positioning, power level selection, and spatial power alloc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requesting spatial power allocation through light source recognition and analysis.

또한, 정보 분석부(1240)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하-좌우-전후의 방향, 거리, 위치, 간격, 수직, 수평, 깊이 등과 같은 공간정보 획득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nalyzer 1240 can acquir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directions, distances, positions, intervals, vertical, horizontal, depth, and the like on the basis of the vis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have.

여기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시각적 정보는 영상 장치를 통해 수집된 영상 정보 및/또는 센서 기반 정보수집 장치를 통해 수집된 시각적 센싱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vis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includes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maging device and / or the visual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nsor-base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1310)는 통신(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전송 모드, 기지국, 단말, cellular/WLAN/WPAN이 적용될 수 있으며, 통신부(1310)의 통신 규격에 제약을 두지 않는다.3, the communication unit 1310 is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and can be applied to a transmission mode, a base station, a terminal, a cellular / WLAN / WPAN, .

안테나부(1330)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 배열을 포함하며, 아날로그 도메인 기반 패턴 재형성이 가능한 안테나(reconfigurable antenna) 또는 스위칭 기반 안테나 배열(antenna selection)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portion 1330 may include a single antenna or a multiple antenna arrangement and may include an analog domain based reconfigurable antenna or a switching based antenna selection.

안테나 제어부(1320)는 아날로그 도메인 또는 스위칭 기반으로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하드웨어(예로서, 제어 회로)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아날로그 도메인 기반 안테나 제어 방식과 스위칭 기반 안테나 제어 방식을 포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antenna control unit 1320 may include hardware (e.g., control circuitry) and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antenna in an analog domain or switching basis. Hereinafter, an analog domain-based antenna control scheme and a switching-based antenna control scheme will be described.

통신 장치(1300)에 안테나 제어부(1320)가 포함된 경우, 안테나부(1330)는 다음의 4가지 방식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includes the antenna control unit 1320, the antenna unit 133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in the following four ways.

1) 안테나 제어부(1320)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도메인 기반으로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1) A method in which the antenna control unit 132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nd allocates power based on the analog domain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2) 통신부(1310)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부터 제어 신호, 전파 환경 내 객체 정보(제1 정보), 시스템 및 통신 규격 기반 객체 분석을 통해 얻은 객체의 역할 정보(제2 정보), 안테나 제어 관련 타이밍 정보(제3 정보, 동기화 관련 신호 포함)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도메인 기반으로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2) The communication unit 1310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object information (first information)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role information (second information) of the object obtained through system and communication standard- Related timing information (including third information and synchronization-related signals), and allocates power based on the digital domain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the first to third information.

3) 통신부(1310)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부터 제어 신호, 전파 환경 내 객체 정보(제1 정보), 시스템 및 통신 규격 기반 객체 분석을 통해 얻은 객체의 역할 정보(제2 정보), 안테나 제어 관련 타이밍 정보(제3 정보, 동기화 관련 신호 포함)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도메인 기반으로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3) The communication unit 131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he object information (first information)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he role information (second information) of the object obtained through the system and communication standard- Related timing information (including third information and synchronization-related signals), and allocates power based on the analog domain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the first to third information.

4) 통신부(1310)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부터 제어 신호, 전파 환경 내 객체 정보(제1 정보), 시스템 및 통신 규격 기반 객체 분석을 통해 얻은 객체의 역할 정보(제2 정보), 안테나 제어 관련 타이밍 정보(제3 정보, 동기화 관련 신호 포함)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아날로그+디지털) 형태로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4) The communication unit 131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he object information (first information)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he role information (second information) of the object obtained through the system and communication standard- Related timing information (including third information and a synchronization-related signal), and allocates power in a hybrid (analog + digital) form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the first to third information.

한편, 통신 장치(1300)에 안테나 제어부(132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안테나부(1330)는 다음의 방식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ntenna control unit 1320 is no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the antenna unit 133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in the following manner.

5) 통신부(1310)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부터 제어 신호, 전파 환경 내 객체 정보(제1 정보), 시스템 및 통신 규격 기반 객체 분석을 통해 얻은 객체의 역할 정보(제2 정보), 안테나 제어 관련 타이밍 정보(제3 정보, 동기화 관련 신호 포함)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도메인 기반으로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5) The communication unit 131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he object information (first information)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he role information (second information) of the object obtained through the system and communication standard- Related timing information (including third information and synchronization-related signals), and allocates power based on the digital domain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the first to third information.

도 7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의 기계 학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a machine learning method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8 is a diagram showing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기계 학습부(1230)는 전파 환경의 인식 및 분석에 사용된 가설을 생성하기 위한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 결과를 정보 분석부(124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분석부(1240)는 생성된 가설을 바탕으로 인식 및 역할을 예측할 수 있다.7 and 8,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performs learning to generate a hypothesis used for recognition and analysis of a radio wave environment, 1240). Then,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can predict recognition and role based on the generated hypothesis.

전파 환경에 구성되어 있는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이 어떠한 역할로써 통신 성능에 영향을 주는 지를 구별하기 위해서 객체, 사물 및 물리적 현상의 역할을 정의할 수 있다.The role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can be defined to distinguish between what role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in a radio environment affect communication performance.

정보 분석부(1240)에서 수행되는 전파 환경의 분석에 따라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을 인식하여,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예측된 역할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이 수행된다. 일 예로 통신에 직접 도움이 되는 객체(통신 지시물), 통신에 방해가 되는 객체(통신 장애물), 통신에 간접 도움이 되는 객체(통신 보조물) 등과 같이 다양한 역할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예측된 객체의 역할 별로 공간적 전력 할당이 수행될 수 있으며, 통신 장치(1300)에서 공간적 전력 할당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서 예측된 객체의 역할 별로 공간적 전력 할당이 수행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ropagation environment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spatial power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dicted role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is performed by recognizing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For example, various roles can be defined, such as an object (communication instruction) that directly helps communication, an object that obstruct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obstacle), and an indirect assistance object (communication aid). Here,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may be performed for each role of the predicted object, and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spatial power allocation may be performed for each role of the predicted object i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

정보 분석부(1240)에서 수행되는 정보 분석 기능은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기반으로 설계 또는 구성이 가능하며, 도 7에서 기계 학습 및 정보 분석의 흐름도를 도시하였다.The information analysis function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can be designed or configured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FIG. 7 shows a flowchart of the machine learning and information analysi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학습부(1230)에서 훈련된 데이터를 통해 학습된 가설을 기반으로, 정보 분석부(1240)는 입력 데이터에 해당하는 출력 데이터를 예측한다.As shown in FIG. 7, the information analyzer 1240 predicts out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data, based on hypotheses learned through the data trained in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구체적으로, 기계 학습부(1230)는 훈련 데이터가 입력되면(S10),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을 학습할 수 있다(S20). 그리고, 기계 학습부(1230)는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에 대한 학습 결과(가설)를 정보 분석부(1240)에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When the training data is input (S10), the role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can be learned through the learning algorithm (S20).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provides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with learning results (hypotheses) about the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이어서, 정보 분석부(1240)는 정보 저장부(1220)로부터의 입력 데이터 즉,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의 시각적 정보 및 통신 장치(1300)로부터의 정보를 학습 결과(가설)에 대입시킨다(S30).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then substitutes the input data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20, that is, the visual information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1100 and th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into the learning result (hypothesis) (S30).

이어서, 정보 분석부(1240)는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등의 역할 결정 또는 예측 결과(가설)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S40).Then,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generates a role determination or a prediction result (hypothesis) of an object, an object, and a physical phenomenon, and outputs it as output data (S40).

여기서, 기계 학습부(1230)는 air와 같은 빈 공간을 특정 객체로 인식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동일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이 달라질 수 있음으로, 기계 학습부(1230)는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을 정의 및 갱신할 수 있다. 기계 학습부(1230)는 통신 장치(1300)의 동작 주파수, 대역폭, 안테나 규격 및 성능, 통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시스템 및 통신 규격을 반영하여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을 학습할 수 있다.Here,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can perform learning by recognizing an empty space such as air as a specific object. Since the roles of the same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may vary with time,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can define and update the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can learn the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by reflecting systems and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antenna specifications and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기계 학습부(1230)는 시스템, 통신 규격, 통신 환경, 통신 상태 등에 따른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을 위한 역할 정의 및 역할 정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can perform role definition and role definition update for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according to a system, a communication standard, a communication environment, a communication state, and the like.

또한, 기계 학습부(1230)는 신호 품질 향상, 전력 효율 증가, 통신 영역 조정, 음영 지역 감소, 커버리지 확장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 성능 개선을 위해서 학습 목적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can set the learning objective for various communication performance enhancements such as improvement of signal quality, increase of power efficiency, adjustment of communication area, reduction of shaded area, and expansion of coverage.

또한, 기계 학습부(1230)는 전파 환경 내 존재하는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등의 역할을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can learn the roles of objects, objects, physical phenomena, etc. existing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또한, 기계 학습부(1230)는 역할 학습을 통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등의 역할 결정 또는 예측 결과(가설)를 생성하고, 이를 정보 분석부(12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 학습부(1230)는 지도 학습 (supervised learning) 방식, 비지도 학습 (unsupervised learning) 방식, 준지도 학습 (semi-supervised learning) 방식, 강화 학습 (reinforcement learning)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등의 역할 결정 또는 예측 결과(가설)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may generate a role determination or a prediction result (hypothesis) of an object, an object, a physical phenomenon, etc. through role learning and provide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may use the supervised learning method, the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the semi-supervised learning method, or the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 The role determination of the object, the physical phenomenon, or the prediction result (hypothesis).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서 4가지의 실시 예를 적용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인식 및 역할을 예측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can perform machine learning by applying four embodiments, and can predict the recognition and role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실시 예 1)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훈련 데이터의 학습을 통해 얻은 가설 만을 이용하여,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실제 전파 환경의 시각적 정보 및 통신 장치(1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등의 인식 및 역할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통신 장치(1300)로부터 신호 품질, 통신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통신 장치(1300)로부터 신호 품질, 통신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Embodiment 1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uses visual information of an actual propagation environment receiv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using only hypotheses obtained through learning of training data The object, the object, the physical phenomenon, etc. can be predicted and the role can be predicted. At this time,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can receive the signal quality and the communic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can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s well as the signal quality and communic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

실시 예2)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제1 실시 예를 포함함과 아울러,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실제 전파 환경의 시각적 정보 및 통신 장치(1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훈련 데이터로 사용하여 학습 알고리즘 또는 가설을 갱신할 수 있다.Embodiment 2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includes the first embodiment and also receives visual information of the actual propagation environment receiv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You can use it as data to update the learning algorithm or hypothesis.

실시 예3)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훈련 데이터의 학습 없이,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실제 전파 환경의 시각적 정보 및 통신 장치(1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만을 훈련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습된 가설을 생성한다. 그리고,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상기 가설에 기초하여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인식 및 역할을 예측할 수 있다.Embodiment 3)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uses visual data of the actual propagation environment received from the visual data collecting apparatus 1100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using the training data without learning the training data Generate learned hypotheses. The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can predict the recognition and the role of the object, the object, and the physical phenomenon based on the hypothesis.

실시 예4) 훈련 데이터의 학습을 통해 얻은 가설에 기초하여 시각적 정보 없이 통신 장치(1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인식 및 역할을 예측할 수 있다.Embodiment 4) Based on hypotheses obtained through learning of training data, recognition and role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can be predicted using onl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without visual informa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저장부(1220)에서 2개의 데이터(TD1, TD2)가 훈련 데이터로서 기계 학습부(1230)에 전달된다. 기계 학습에 적용되는 훈련 데이터는 제1 데이터(TD1)와 제2 데이터(TD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데이터(TD1)는 시각적 정보, 시스템 및 통신 규격 등과 같은 정보, 신호 품질, 통신 상태 정보, 통신 장치의 공간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데이터(TD2)는 전파 환경 내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등의 인식 및 역할(예측 값이 아닌 정확한 값, 단순 학습 결과가 아닌 궁극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고자 하는 값)을 포함한다.8, two pieces of data TD1 and TD2 are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20 to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as training data. The training data to be applied to the machine learning may be composed of the first data TD1 and the second data TD2. The first data TD1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visual inform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tandard, signal quality, communication status information, and spac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second data (TD2) includes recognition and role (an accurate value rather than a predicted value, a value to be obtained through such a process ultimately, not a simple learning result) of an object, a thing, a physical phenomenon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

여기서, 기계 학습부(1230)는 지도 학습 방식을 적용 시 제1 데이터(TD1) 및 제2 데이터(TD2)를 모두 훈련 데이터를 사용한다. 또한, 기계 학습부(1230)는 비지도 학습 방식을 적용 시 제1 데이터(TD1)를 훈련 데이터로 사용한다. 또한, 기계 학습부(1230)는 지도 학습 방식과 비지도 학습 방식을 함께 수행하는 준지도 학습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계 학습부(1230)는 학습 결과에 따른 평가를 수행하여 평가 결과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는 강화 학습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uses training data for both the first data (TD1) and the second data (TD2) when applying the map learning method. 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uses the first data (TD1) as training data when applying the non-background learning method. 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can perform a rough learning method that performs both a map learning method and a non-map learning method. 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may perform an enhancement learning method for performing an evaluation according to a learning result and applying a weight to the evaluation result.

기계 학습부(1230)에서 생성된 가설에 기초하여 정보 분석부(1240)에서 생성된 인식 결과 및 역할 예측 값(예측 데이터)은 다른 장치의 입력, 외부 장치 전달, 데이터 베이스 구축, 전파 환경의 분석을 위해 정보 저장부(1220)에 저장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result and the role prediction value (prediction data)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240 based on the hypothesis generated by the machine learning unit 1230 are input to other devices, external device delivery, database construction, analysis of the propagation environment And may be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20 for the user.

정보 저장부(1220)에서 제어부(1250)으로 전달되는 신호(S1)는 시각적 범위 제어, 정보 수집 모드 제어 등과 같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의 동작 모드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The signal S1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20 to the controller 1250 includes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 such as visual range control and information collection mode control.

공간 좌표계 정렬부(1210)는 시각적 정보의 공간 좌표와 통신부(1310)의 공간 좌표를 상호 변환하거나,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좌표계 정렬부(1210)는 시각적 정보의 공간 좌표와 안테나부(1330)에 배치된 안테나의 공간 좌표를 상호 변환하거나,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좌표계 정렬부(1210)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 배치될 수도 있고, 통신 장치(1300)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ing unit 1210 can convert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visual information and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communication unit 1310 or perform the alignment. In addition,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ing unit 1210 may convert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visual information and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antenna disposed in the antenna unit 1330 or perform the alignment.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ement unit 1210 may be disposed i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or i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

도 9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face between a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 apparatus.

도 9를 참조하면,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전파 환경 내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등과 관련한 인식 정보를 통신 장치(1300)로 전송한다. 또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전파 환경 내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 정보를 통신 장치(1300)로 전송한다. 또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전파 환경 내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등의 역할에 따른 안테나의 공간 전력 할당을 하기 위한 제1 신호(제어 신호)를 통신 장치(1300)로 전송한다. 또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안테나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위한 타이밍 신호를 통신 장치(130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9,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ransmits recognition information related to objects, objects, physical phenomena, and the like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Also,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ransmits role information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In additio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ransmits a first signal (contro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of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role of objects, objects, physical phenomena, etc.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ransmits a timing signal for spatial power allocation of the antenna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서 통신 장치(1300)로 전송되는 인식 정보는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등의 인식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각도, 위치, 거리, 간격, 움직임, 이동 방향, 속도 등과 같은 공간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정보의 도메인은 복잡도 및 장치 구성에 따라서 전역(global) 또는 지역(local)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300)에 입력되는 인식 정보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로부터 획득된 시각적 정보 또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정보 분석 기능을 통해 생성된 인식 정보를 포함한다.The recogn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includes not only information on recognition of an object, an object, a physical phenomenon, etc., but also information such as an angle, a position, a distance, Relat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omain of the spatial information may have a global or local form depending on the complexity and the device configuration.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includes the visu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1100 or the recogni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information analysis fun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정보 분석 기능의 기계 학습을 이용하여 얻은 전파 환경 내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을 예측한 결과로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 정보가 생성된다.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서 생성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 정보는 통신 장치(1300)로 전송된다.Role information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is generated as a result of predicting the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btained by using the machine learning of the information analysis fun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Role information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generated i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여기서, 전파 환경 또는 통신 상태에 따라 예측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이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기계 학습에 의해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이 갱신될 수 있다.Here, the role of the object, the object, and the physical phenomenon predicted according to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r the communication state may change with time, and the role of the object, the object, and the physical phenomenon may be updated by the machine learning.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아날로그 도메인 기반 안테나 제어 관련 정보를 안테나 제어 모듈(1320)로 전송한다. 이때,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안테나 제어 모듈(1320)로 전송한다.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ransmits analog domain-based antenna control related information to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At this time,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ransmits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to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서 안테나 제어 모듈(1320)로 전송되는 제1 신호는 안테나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위한 제어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제1 신호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정보 분석을 통해 생성된 실제 전파 환경 내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에 기초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위한 제어 신호이다.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o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is a control signal for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of the antenna. Specifically, the first signal is a control signal for spatial power allocation based on the role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in the actual propagation environment generated through information analysis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서 안테나 제어 모듈(1320)로 전송되는 제2 신호는 상기 제1 신호(제어 신호)의 타이밍 신호이다. 안테나 제어 모듈(1320)은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으로 안테나부(1330)에 배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o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is a timing signal of the first signal (control signal).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can control one or a plurality of antennas disposed in the antenna unit 1330 synchronously or asynchronously based on the timing signals.

통신 장치(1300)는 공간 정보, 상태 정보, 전체 전파 환경 또는 특정 전파 환경 모니터링 요청 등과 같은 정보를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 전달한다. 통신 장치(1300)의 공간 정보는 통신 장치의 각도, 위치, 거리, 간격, 움직임, 이동 방향, 속도 등과 같은 공간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주변의 시각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spatial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 entire propagation environment, or a specific radio wave environment monitoring request to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may includ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n angle, a position, a distance, an interval, a movement, a moving direction, a speed, etc.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may further include surrounding visual information.

통신 장치(1300)의 상태 정보는 기존에 알려진 방식에 의한 신호 품질 정보(error rate, SNR, SINR, EVM, RSSI 등) 및 순수 데이터를 제외하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모든 상태, 제어 및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품질 정보의 예로서 LTE 표준 규격 경우 channel quality(CQI), precoder matrix indicator(PMI), rank indicator(RI)가 적용될 수 있다.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includes all status, control, and request information used for communication except for the signal quality information (error rate, SNR, SINR, EVM, RSSI, etc.) . As an example of signal quality information, channel quality (CQI), precoder matrix indicator (PMI) and rank indicator (RI) may be applied in case of LTE standard.

통신 장치(1300)의 전파 환경 모니터링 요청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의 제어, 시각적 정보수집, 정보 분석 과정 또는 이와 관련된 갱신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pagation environment monitoring reques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may include control of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analysis process, or an update request related thereto.

통신 장치(1300)는 다음의 3가지 방식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in the following three ways.

1) 통신 장치(1300)는 안테나 제어 모듈(1320)을 이용한 아날로그 도메인 기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1)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may perform analog domain-based spatial power allocation using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2) 통신 장치(1300)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도메인 기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2)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may perform digital domain-based spatial power allocation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3) 통신 장치(1300)는 안테나 제어 모듈(1320) 및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아날로그+디지털) 방식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3)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may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in a hybrid (analog + digital) manner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and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위에서 설명한 3가지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 중에서, 1) 아날로그 도메인 기반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은, 아날로그 도메인을 기반으로 안테나 제어를 통해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테나 제어 모듈(1320)에 별도의 외부 인터페이스가 배치된 경우,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시각적 정보 분석 결과를 통신부(1310)를 거치지 않고 안테나 제어 모듈(1320)로 전송할 수 있다. 안테나 제어 모듈(1320)에 수신된 시각적 정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도 있다.Among the three types of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s described above, 1) an analog domain-based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 means that spatial power allocation is performed through antenna control based on an analog domain. When a separate external interface is arranged in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can transmit the visual information analysis result to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without go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1310. [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may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of the antenna based on the received visual information analysis result.

위에서 설명한 3가지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 중에서, 2) 디지털 도메인 기반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은, 디지털 도메인 기반 신호 처리를 통해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시각적 정보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디지털 적응형 빔포밍 방식에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Of the three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s described above, 2) a digital domain-based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 means performing spatial power allocation through digital domain-based signal processing.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digital adaptive beamforming scheme considering the result of visual information analysis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로서, 통신 장치(1300)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장치(1300)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통신 장치(1300)가 기존에 보유한 정보를 통합하고,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도 있다.By way of example, communication device 1300 may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may integr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nd information previously held by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and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based on the integrated information You may.

위에서 설명한 3가지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 중에서, 3) 하이브리드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1) 아날로그 도메인 기반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과 2) 디지털 도메인 기반 공간적 전력 할당 방식을 결합한 것을 의미한다. 통신 장치(1300)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Among the three types of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s described above, 3) hybrid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 is a combination of the 1) analog domain-based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 and 2) digital domain-based spatial power allocation scheme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may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in a hybrid manner.

통신 장치(1300)에서 수행되는 공간적 전력 할당의 대상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서 인식 및 분석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이다. 이때,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 역할에 기초하여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 별로 차등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Objects of spatial power allocation perform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are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that are recognized and analyzed by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based on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여기서, 하나의 객체, 사물 또는 현상일지라도 목적에 따라 여러 개의 세부 객체로 구분되어 인식될 수 있고, 통신 장치(1300)는 여러 개의 세부 객체에 대해서 차등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300)는 서로 다른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이 동일한 역할일지라도 경우에 따라 차등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300)는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 뿐만 아니라 각도, 위치, 거리, 간격, 움직임, 이동 방향, 속도 등과 같은 공간 정보를 고려하여 차등적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300)는 하나의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내 여러 역할이 있을 경우, 각 역할에 따라 차등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Here, even one object, an object, or a phenomenon can be recognized as a plurality of detailed objects according to purposes,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differentially for several detailed objects.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differently depending on cases where different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have the same rol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may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differentially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the role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but also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ngle, position, distance, interval, motion, .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has various roles in one object, object, and physical phenomeno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role.

도 10은 통신 장치 별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 및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가 구성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and a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re configured for each communication device.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300) 별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 및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 및 하나의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를 복수의 통신 장치가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 및 복수의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가 하나의 통신 장치(1200)를 공유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and a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may be configured for each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n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and on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may be shared by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In addition,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100 and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1200 may share one communication apparatus 1200.

도 10에서 전파 환경은 2차원 형태의 직사각형으로 도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고, 해당 전파 환경 내에 객체 3개만 존재한다고 가정하였다.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전파 환경의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여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 전달한다.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기계 학습을 기반으로 전파 환경 내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을 인식한다. 그리고,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시스템, 통신 규격, 상태 등에 따라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다양한 역할을 정의한다. 또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기계 학습 결과, 추가적인 시각적 정보 및 통신 장치(1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파 환경 내 객체 3개의 역할을 기정의 된 역할 중에 하나로 예측할 수 있다.In FIG. 10, it is assumed that the propagation environment can be represented by a two-dimensional rectangle, and it is assumed that only three objects exist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collects visual information of the propagation environment and transmits the collected visual information to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recognizes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based on machine learning.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defines various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according to system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he like.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can also predict three roles of objects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as one of the predetermined roles based on machine learning results,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통신 장치(1300)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예측된 결과에 기초하여 안테나를 통해 각 역할에 맞는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each role via the antenna based on the predicted result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

예로서, 통신 장치(1300)는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로서 통신 지시물, 통신 장애물, 통신 보조물이 정의되어 있고, 전력 할당 레벨이 3단계라고 가정하면, 통신 지시물의 경우 가장 높은 레벨(예로서, 제1 레벨)에 해당하는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300)는 통신 보조물의 경우 중간 레벨(예로서, 제2 레벨)에 해당하는 전력 할당하고, 통신 장애물의 경우 가장 낮은 레벨(예로서, 제3 레벨)에 해당하는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defines a communication instruction, a communication obstacle, and a communication aid as a role of an object, an object, and a physical phenomenon and assumes a power allocation level of three levels, For example, a first level) can be allocated. The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allocates power corresponding to an intermediate level (for example, second level)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aid and allocates power corresponding to the lowest level (for example, the third level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obstacle) can do.

여기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기계 학습을 통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 정의 및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에 따른 통신 장치(1300)의 공간적 전력 할당 레벨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또는 설정이 가능하다. 통신 장치(1300)의 전력 할당 레벨을 설계 또는 설정에 있어서, 빔포밍 또는 널링(nulling)을 반영할 수 있다.Here,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level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according to the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nd the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can be varied Design or configuration is possible. In designing or setting the power allocation level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beamforming or nulling may be reflected.

도 11은 공간 좌표계 정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a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ing unit.

도 11을 참조하면,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와 통신 장치(1300)의 안테나 간에 공간 좌표가 맞지 않을 경우,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 배치된 공간 좌표계 정렬부(1210)와 통신 장치(1300)에 배치된 공간 좌표계 정렬부(13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공간 좌표계를 정렬시킬 수 있다.11, when the spatial coordinates do not match between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and the antenna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ement part 121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can be aligned using at least one of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ements 1340 arranged in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1300. [

일 예로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 배치된 공간 좌표계 정렬부(1210)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에서 수집된 공간 좌표를 통신 장치(1300)의 안테나의 공간 좌표와 일치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즉, 공간 좌표계 정렬부(1210)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의 각 객체의 공간 좌표를 통신 장치(1300)의 안테나 공간 좌표에 맞게 정렬할 수 있다. 역으로, 공간 좌표계 정렬부(1210)는 통신 장치(1300)의 안테나 공간 좌표를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의 각 객체의 공간 좌표로 정렬시킬 수 있다.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ing unit 1210 arranged i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rranges the spatial coordinates collected by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so as to coincide with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antenna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 That is,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ing unit 1210 can arrange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objects of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according to the antenna spatial coordinates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Conversely,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ing unit 1210 may align the antenna spatial coordinate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with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respective objects of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한편, 통신 장치(1300)에 배치된 공간 좌표계 정렬부(1340)도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에서 수집된 공간 좌표를 통신 장치(1300)의 안테나의 공간 좌표와 일치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역으로, 공간 좌표계 정렬부(1340)는 통신 장치(1300)의 안테나의 공간 좌표를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의 각 객체의 공간 좌표로 정렬시킬 수 있다.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ing unit 1340 arranged i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may also align the spatial coordinates collected by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so as to coincide with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antenna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Conversely,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ement unit 1340 may align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antenna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with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objects of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도 12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 및 통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도 12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300) 별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 및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가 구성되어 공간적 전력 할당이 수행되는 동작을 시간 순으로 도시하였다. 전파 환경은 2차원 형태의 직사각형으로 도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 등을 위한 역할 정의는 통신 지시물(원형 도형), 통신 보조물(세모 도형), 통신 장애물(십자 도형) 3종류가 있다고 가정하였다.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에 따른 전력 할당도 상(파란색), 중(녹색), 하(빨간색)와 같이 3단계가 있다고 가정하였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획득된 시각적 정보를 통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인식 결과가 다양할 수 있으나, 도시화를 돕기 위해 격자구조 기반의 인식 결과가 도출된다고 가정하였다. 도 12에서 구분된 하나의 영역이 하나의 인식 대상에 해당될 수 있고, 시간에 따라 역할의 정의 개수나 종류가 변할 수 있으나 변하지 않는 구간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기계 학습을 통해 얻은 역할 예측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을 바로 수행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기계 학습을 통한 인식 및 역할 예측을 위하여 시각적 정보뿐만 아니라 통신 장치(1300)로 수신된 다양한 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and a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re configured for each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to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in a time sequence. It is assumed that the propagation environment can be represented by a two-dimensional rectangle. Role definitions for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are defined as communication indicators (circular shapes), communication aids (triangular shapes), communication obstacles Type.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hree levels of power allocation according to the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such as blue, middle (green), and bottom (red). As shown in FIGS. 4 to 6, it is assumed that recognition results based on a grid structure are derived to help urbanization, although recognition result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may vary due to visual information acquired over time. 12, one domain can be classified into one recognition object, and the number and type of role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ime, but they are shown based on a section that does not change. In addition, spatial power allocation according to role prediction obtained through machine learning is shown to be performed immediately. Here, not only visual information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be used for recognition and role predic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파 환경의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시각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 전송한다.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수신된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을 통해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2에서 총 인식된 개수는 제1 구간에서는 20개, 제2 구간에서는 19개, 제3 구간에서는 18개, 제4 구간에서는 18개이다.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제1 내지 제4 구간에서 인식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에 대해 기 정의된 역할 정의에 기초한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의 결과를 통해 제1 내지 제4 구간에 대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0)는 제1 내지 제4 구간에서의 예측된 결과에 의해 각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에 대해서 기 설정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1300)는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에 따른 전력 할당을 상(파란색), 중(녹색), 하(빨간색)와 같이 3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 장치(1300)는 통신 지시물(원형 도형)에 대해서는 상(파란색)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고, 통신 보조물(세모 도형)에 대해서는 중(녹색)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고, 통신 장애물(십자 도형)에 대해서는 하(빨간색)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100 collects visual information of the propagation environment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and transmits the collected visual information to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performs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received visual information, and recognizes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through machine learning. The total number recognized in FIG. 12 is 20 in the first section, 19 in the second section, 18 in the third section, and 18 in the fourth sectio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performs a machine learning based on a predefined role definition of an object, an object, and a physical phenomenon recognized in the first to fourth sections, Can predict the role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predetermined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each object, object, and physical phenomenon according to the predicted results in the first to fourth sections. Here,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power allocation according to the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in three phases such as blue, middle, and red. That is,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performs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the communication instruction (circular figure) in the upper part (blue), performs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medium (green) for the communication aid (triangular figure) Spatial power allocation can be performed under (red) for obstacles (cross-shaped).

도 13은 1개의 시작적 정보 수집 및 처리 장치가 2개의 통신 장치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3개의 시작적 정보 수집 및 처리 장치와 2개의 통신 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2개의 통신 장치 각각에 배치된 공간 좌표계 정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at one initiating information gathering and processing device is connected to two communication devices. 14 shows an interface between three initiating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devices and two communication devices. 15 is a diagram showing a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ement unit arranged in each of the two communication apparatuses shown in FIG.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를 통합하여 하나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0)로 도시하였다. 하나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0)를 2개의 통신 장치(1700, 1800)이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전파 환경은 전체 전파 환경 또는 단위 전파 환경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0)는 공간 좌표계 정렬부(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1700)는 제1 통신부(1710), 제1 안테나 제어 모듈(1720), 제1안테나부(1730) 및 제1 공간 좌표계 정렬부(17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장치(1800)은 제2 통신부(1810), 제2 안테나 제어 모듈(1820), 제2 안테나부(1830) 및 제2 공간 좌표계 정렬부(18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to 15,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and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shown in FIG. 10 are integrated into on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1600. FIG. On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1600 can be shared by two communication apparatuses 1700 and 1800. At this time, the propagation environment can be composed of the whole propagation environment or the unit propagation environment. On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apparatus 1600 may include a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ement unit 1610.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700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unit 1710, a first antenna control module 1720, a first antenna unit 1730, and a first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ement unit 1740.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800 may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810, a second antenna control module 1820, a second antenna unit 1830, and a second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ement unit 1840.

도 13에서는 해당 단위 전파 환경에는 3개의 객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였다.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0)가 인식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이 제1 통신 장치(1700)와 제2 통신 장치(1800)에서 동일한 역할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0)가 인식한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이 제1 통신 장치(1700)와 제2 통신 장치(188)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0)는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 예측을 위한 2개의 기계 학습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0)에 배치된 제1 기계 학습부는 제1 통신 장치(1700)와 대응되고, 제2 기계 학습부는 제2 통신 장치(1800)와 대응될 수 있다.13,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hree objects in the unit propagation environment.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recognized by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device 1600 may have the same role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7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8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recognized by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1600 may have different roles in the first communication apparatus 17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apparatus 188. Accordingly, the visual information gathering and processing apparatus 1600 may include two machine learning units (not shown) for predicting the roles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That is, the first machine learning unit disposed in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1600 may correspond to the first communication apparatus 1700, and the second machine learning unit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apparatus 1800. [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 좌표계 정렬부(1740)는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0)에서 수집된 제1 공간 좌표를 제1 통신 장치(1700)의 안테나의 공간 좌표와 일치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즉, 제1 공간 좌표계 정렬부(1740)는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0)의 각 객체의 공간 좌표를 제1 통신 장치(1700)의 안테나 공간 좌표에 맞게 정렬할 수 있다.15, the first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ing unit 1740 arranges the first spatial coordinates collected by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1600 so as to match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antenna of the first communication apparatus 1700 . That is, the first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ing unit 1740 can arrange the spatial coordinates of each object of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1600 according to the antenna spatial coordinates of the first communication apparatus 1700.

또한, 제2 공간 좌표계 정렬부(1840)는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0)에서 수집된 제2 공간 좌표를 제2 통신 장치(1800)의 안테나의 공간 좌표와 일치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즉, 제2 공간 좌표계 정렬부(1840)는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0)의 각 객체의 공간 좌표를 제2 통신 장치(1800)의 안테나 공간 좌표에 맞게 정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ement unit 1840 may align the second spatial coordinates collected by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apparatus 1600 with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antenna of the second communication apparatus 1800. [ That is, the second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ing unit 1840 can align the spatial coordinates of each object of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1600 with the antenna spatial coordinates of the second communication apparatus 1800.

도 16은 3개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와 2개의 통신 장치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6 is a diagram showing thre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devices and two communication devices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6을 참조하면, 3개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1, 1602, 1603)와 2개 통신 장치(1700, 1880)가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전체 전파 환경 또는 단위 전파 환경 내 하나 이상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 예로서, 3개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1, 1602, 1603)를 구성함으로써 전파 환경의 분석 영역 및 공간적 전력 할당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1700) 및 제2 통신 장치(1800)은 제1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1)뿐만 아니라 제2 및 제3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1602, 1603)로부터 시각적 정보를 수신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re is shown an example in which thre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devices 1601, 1602, and 1603 and two communication devices 1700 and 1880 are configured. By configuring one or more visual information gathering and processing devices, e.g., three visual information gathering and processing devices (1601, 1602, 1603) in the entire propagation environment or unit propagation environment, the gain of the analysis area and spatial power allocation Can be improve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7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800 receive visu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visual information gathering and processing apparatuses 1602 and 1603 as well as the first visual information gathering and processing apparatus 1601 To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도 17은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가 연결되는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7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are connected.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의 다양한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나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와 하나의 통신 장치가 대응되도록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와 복수의 통신 장치가 각각 1:1로 대응되도록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와 하나의 통신 장치가 대응되도록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와 복수의 통신 장치가 대응되도록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및 처리 장치와 복수의 통신 장치가 상호 공유하도록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17,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The spatial power allocating apparatus can be configured such that on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and one communication apparatus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ddition,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can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es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correspond one by one. In addition,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can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es and one communication apparatus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can be configured such that on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ddition,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can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es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share each other.

도 18은 전파 환경의 정의 또는 정파 환경을 인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ognizing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r the propagation environment.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은 하나 이상의 차원 및 대칭, 비대칭, 기하학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정의할 수 있다.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정의된 영역의 집합에 기초하여 전파 환경을 분석하고, 각 영역의 역할을 결정 또는 예측할 수 있다.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각 영역에 대한 예측 결과를 통신 장치(1300)로 전송하고, 통신 장치(1300)는 수신된 각 영역에 대한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a region can be defined in one or more dimensions and various forms such as symmetry, asymmetry, geometry, and the like.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can analyze the propagation environment based on the defined set of regions, and determine or predict the role of each regio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ransmits the prediction result for each area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based on the prediction result for each received area.

도 19는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에 배치된 분산 안테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tributed antenna disposed in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도 19를 참조하면, M개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1~110M)와, 하나 이상의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와 하나의 통신 장치(1300)로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를 구성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0)의 안테나부(1330)로서 N개의 안테나 서브 배열로 구성된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0에서 광학 장치, 라우터, 중앙처리유닛 등과 같이 분산 안테나 시스템과 관련된 기능 및 장치는 도시를 생략하였다.Referring to FIG. 19,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can be configured with M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101 to 110M, one or mor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1200, and on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composed of N antenna sub-arrays may be applied as the antenna unit 1330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 In Fig. 20, functions and devices related to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such as an optical device, a router,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like are not shown.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서브 배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안테나 서브 배열의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로서, N개의 안테나 서브가 모두 동일한 안테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N개의 안테나 서브가 모두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N개의 안테나 서브 중에서 일부는 동일하고, 나머지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is composed of one or more antenna sub-arrays, and the shape of each antenna sub-array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N antenna sub may all be composed of the same antenna, and the N antenna sub may be all different. Also, some of the N antenna subs may be the same, and the remaind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M개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1~110M)와 N개의 안테나 서브 배열 간의 조합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대표적인 M개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1~110M)와 N개의 안테나 서브 배열의 조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mbination of the M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101 to 110M and the N antenna sub-arrays may exist in various ways. Hereinafter, the combination of the representative M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101 to 110M and the N antenna sub- I will explain.

하나 이상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 또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 또는 안테나 제어 모듈(1320)이 필요할 수 있다. 도 19에서는 한 개의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와 한 개의 안테나 제어 모듈(1320)만 간략하게 도시하였다.One or mor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1200 or antenna control module 1320 may be needed for one or mor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1100 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In FIG. 19, only on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nd on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are shown.

도 19에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와 통신 장치(1300)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는 굵은 선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통신 장치(1300) 내부의 통신부(1310)에서 안테나 제어 모듈(1320)로 전송되는 신호는 굵은 선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각 안테나 서브 별로 독립적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나타내기 위해 통신부(1310) 및 안테나 제어 모듈(1320)에서 각 안테나 서브 배열로 전달되는 신호를 상이한 선으로 표시하였다.In FIG. 19,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are indicated by bold line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310 i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to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are indicated by bold lines. In addition,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can be independently performed for each antenna sub, and signals transmitted to the antenna sub-arrays in the communication unit 1310 and the antenna control module 1320 are represented by different lines to represent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하나 이상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1~110M)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 안테나 서브 배열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조건하에서 통신 장치(1300)의 공간적 전력 할당이 수행될 수 있다.The spatial power al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be performed for one or more of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1101 to 110M,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and the antenna sub-array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첫째, 각각의 안테나 서브 배열의 전파 환경은 하나 이상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1~110M)를 통해 인식 및 분석될 수 있다.First,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each antenna sub-array can be recognized and analyzed through one or mor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1101 to 110M.

둘째, 각각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110M)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서브 배열의 전파 환경을 인식 및 분석 수행할 수 있다.Second, ea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 110M can recognize and analyze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one or more antenna sub-arrays.

셋째, 전체 안테나 서브 배열 중 전파 환경 인식 및 분석을 수행하거나 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서브 배열 존재할 수 있다.Third, there may be one or more antenna sub-arrays that do not perform propagation environment recognition and analysis among the entire antenna sub-arrays.

시각적 정보 처리장치(1200) 및 통신 장치(1300)의 공간 좌표계 정렬 기능은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간 좌표계 정렬부(1210, 1740, 1840)의 기능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lignment functions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rangements 1210, 1740, and 184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5, .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에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 적용되어도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내부 구성들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는 단일 안테나를 적용한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에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 적용되어도 하나 이상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110M)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는 단일 안테나를 적용한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에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 적용되어도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와 통신 장치(1300)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는 단일 안테나를 적용한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안테나 서브 배열 별로 공간적 전력 할당이 다를 수 있음으로, 통신부(1310)에서 안테나부(1330)의 각 안테나 서브 배열로 전달되는 신호는 각 안테나 서브 별로 다를 수 있다.Even if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is applied to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the types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internal configurations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may be the same as those applied to a single antenna. Also, even though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is applied to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the types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at least on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to 110M and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case of applying a single antenna . Even when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is applied to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the types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00 may be the same as those in the case of applying a single antenna. Here, since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antenna sub-array, signals transmitted to each antenna sub-array of the antenna unit 1330 in the communication unit 1310 may be different for each antenna sub.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서 수행되는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역할 정의 및 통신 장치(1300)에서 수행되는 공간적 전력 할당의 레벨은 기계 학습의 결과로 예측 또는 갱신될 수 있다. 예로서, 임의의 객체가 전력 레벨을 할당 받았을 지라도 전파 환경, 시스템 또는 통신 규격 등에 의해 시간에 따라 전력 레벨이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정보 분석 기능을 통해 전력 할당 대상에 대한 전력 할당 레벨을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The role definition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performed i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and the level of spatial power allocation perform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be predicted or updated as a result of machine learning. By way of example, although any object is assigned a power level, the power level may change over time depending o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system, or communication specification. Therefore, the power allocation level for the power allocation object can be periodically updated through the information analysis fun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

통신 장치(1300)는 저, 중, 고와 같이 3단계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0)는 통신에 직접 도움이 되는 객체(통신 지시물)에 대해서 고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300)는 통신에 간접 도움이 되는 객체(통신 보조물)에 대해서 중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300)는 통신에 방해가 되는 객체(통신 장애물)에 대해서 저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in three steps as low, medium, and high.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a high 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an object (communication indication) directly contributing to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medium 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objects (communication aids) that indirectly help in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low-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an object (communication obstacle) that interferes with communication.

여기서, 저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은 기존의 전력 할당 또는 평균 전력 레벨보다 작게 전력을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은 기존의 전력 할당 또는 평균 전력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중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은 기존의 전력 할당 또는 평균 전력 레벨보다 크게 전력을 할당하는 것을 의미할 수다. 또한, 고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은 기존의 전력 할당 또는 평균 전력 레벨보다 크게 전력을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a low level of spatial power allocation means allocating power lower than an existing power allocation or average power level. Further, the medium 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means maintaining the existing power allocation or average power level. As another example, a medium 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may mean allocating power that is greater than an existing power allocation or average power level. Also, a high level of spatial power allocation implies allocating power that is greater than an existing power allocation or average power level.

도 20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에서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0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in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를 통해 전파 환경에 대해 시각적 정보를 수집한 다양한 예를 나타내었다.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를 통해 총 12개의 정지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각 정지 영상 사이의 시간 구간 동안에 시각적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였다. 12개의 정지 영상 중에서, 시간 t=k7에서는 두 사람 모두 통신 장치를 신체 밖으로 꺼내어 놓고 사용 중인 상황이고, 시간 t=k8에서는 오른쪽의 사람이 사용하던 통신 장치를 신체 안으로 넣고 사용 중이며, 시간 t=k9에서는 왼쪽의 사람이 통신 장치의 사용을 중단한 상황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에 생성된 시각적 정보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 전송되어 전파 환경 내의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인식 및 역할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various examples of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 total of 12 still images were acquired through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100, and it was assumed that there was no visual change dur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each still image. Of the 12 still images, at the time t = k7, both of them are taking the communication device out of the body and using it. At the time t = k8, the communication device used by the person on the right is put into the body and using it. , It is possible to obtain visual information on a situation in which the left person stops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visual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so that recognition of an object, a physical phenomenon, and role prediction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can be performed.

도 21은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1 is a diagram show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도 21을 참조하면, 도 20의 시각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로 전송되어 전파 환경 내의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인식 및 역할 예측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300)에서 공간적 전력 할당이 수행되는 예를 나타냈다.Referring to FIG. 21, spatial power allocation in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based on the visual information in FIG. 20 and the recognition and role prediction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ransmitted to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Examples are shown.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과 같이 주파수 자원 사용하지 않고,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이 이루질 수 있다. 특히, 시각적 정보를 통해 산불,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를 관찰 및 분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 재해가 발생한 지점에 대해서 공간적 전력 할당을 크게 함으로써 자연 재해에 대한 알림 기능과 함께, 통신 커버리지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재난 발생 시, 적합한 재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1, spatial power allocation can be performed based on visual information without using frequency resources as in the prior art. In particular, visual information can be used to observe and analyze natural disasters such as forest fires and floods.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tial coverage of the natural disasters, . This will enable disaster communication services to be provided in the event of a disaster.

도 22는 시각적 정보수집이 사무실 환경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is applied to an office environment.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사무실 환경에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냈었다.22, an example in which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ffice environment has been described.

사무실 천장 중앙에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배치된 환경(도 22의 좌측 참조)에서, 전파 환경에 대한 인식 동작을 수행하여 사람의 행동 패턴 인식을 통한 통신 장치의 사용 여부, 통신 장치의 위치 및 이동 여부에 대한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도 22의 우측 참조).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기계 학습을 통해서 복수의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에 대해서 인식이 가능하며, 사무실 내부 환경에 적합하게 사람과 통신 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of the office (see left side in FIG. 22), the recognition operation for the propagation environment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apparatus is used through human behavior pattern recognition, And recognition of whether or not to move (see the right side of FIG. 22). A plurality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nd persons and communication apparatuses can be recognized appropriately for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office.

도 23은 도 22의 사무실 환경에 공간적 전력 할당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spatial power allocation to the office environment of FIG. 22. FIG.

도 23을 참조하면, 사무실 천장 중앙에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배치된 환경에서 사무실 내부의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시각적 정보를 분석하여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의 움직임을 포착 및 추적할 수 있다. 도 23에서는 사무실 내부에서 사람의 움직임을 포착 및 추적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23,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an office ceiling, visual information of the inside of the office is collected, and the collected visual information is analyzed to capture and track the movement of objects, can do. FIG. 23 shows an example of performing spatial power allocation by capturing and tracking human movements within an office.

도 24는 시각적 정보수집이 복도 환경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복도 환경에 공간적 전력 할당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is applied to the hallway environment. FIG. 2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spatial power allocation in the hallway environment of FIG. 24. FIG.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건물 내부의 복도 끝에 배치된 환경에서, 두 사람이 통신 장치를 사용하면서 걸어가는 상황을 가정하였다(도 24의 좌측 참조).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기계 학습 기능을 통해 사람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람의 신체 밖으로 통신 장치를 노출하여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기계 학습 기능을 통해 사람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통신 장치가 사람의 신체 밖으로 노출되지 않더라도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도 24의 우측 참조).Referring to FIGS. 24 and 25, it is assumed that a space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at the end of a corridor inside a building, where two people walk while using a communication apparatus 24).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by analyzing the behavior pattern of a person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fun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and exposing the communication apparatus to the outside of the person's body. It is also possible to analyze the behavior pattern of a person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fun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o predict that the communication apparatus will be used even i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is not exposed outside the human body (see the right side of FIG. 24).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예측 결과에 따라 복수의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에 대해서 역할을 인식 및 예측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통신 장치(13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0)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이 위치한 지점에 대해서 고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can recognize and predict a role for a plurality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according to a prediction result, and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a high-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to the point where the person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is loc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at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

도 26은 시각적 정보수집이 도로 환경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도로 환경에 공간적 전력 할당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is applied to a road environment. Fig. 27 is a diagram showing a result of spatial power allocation to the road environment in Fig. 26; Fig.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교차로의 중앙에 배치된 환경에서, 교차로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들 및 통신 장치를 인식 및 분석할 수 있다.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기계 학습 기능을 통해 사람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람들 각각의 이동 및 통신 장치의 사용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즉,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인식된 복수의 사람들 중에서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과 통신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을 구분할 수 있다.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예측 결과에 따라 복수의 객체, 사물, 물리적 현상에 대해서 역할을 예측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통신 장치(13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0)는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이 위치한 지점에 대해서 고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6 and 27,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an intersection, peop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es located around the intersection can be recognized and analyzed.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behavior pattern of a person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fun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to predict the movement of each person and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is,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can distinguish between a person who uses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 person who does not use the communication device among a plurality of recognized persons.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can predict the role of a plurality of objects, objects, and physical phenomena according to a prediction result, and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a high-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to the point where the person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is loc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at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

도 28은 시각적 정보수집 및 공간적 전력 할당이 공연장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시각적 정보수집 및 공간적 전력 할당이 운동장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시각적 정보수집 및 공간적 전력 할당이 주택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spatial power allocation are applied to a venue; Fig. 2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spatial power allocation are applied to a field of play. 3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spatial power allocation are applied to houses.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공연장, 운동장, 주택에 배치되어 공간적 전력 할당이 수행될 수 있는 예를 도시하였다.28 to 30, there is shown an example in which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 performance site, a playground, and a house to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공연장에 적용되는 경우,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기계 학습 기능을 통해 통신 장치의 사용을 원하는 사람들(관람자)과 통신 장치의 사용을 원하지 않거나, 또는 요구 사항이 낮은 사람들(연주자)를 구분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0)는 통신 장치의 사용을 원하는 사람들(관람자)이 위치한 곳에 대해서 고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고, 통신 장치의 사용을 원하지 않거나, 또는 요구 사항이 늦은 사람들(연주자)이 위치한 곳에 대해서 저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heater,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es (spectators) and people (spectators) who desire to use the communication apparatus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fun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You can distinguish people who are unwanted, or who have low requirements (performers).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performs a high-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where the people (spectators) who desire to use the communication device are located, and places it at a place where people (performers) who do not want to use the communication device, A low 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운동장에 적용되는 경우,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기계 학습 기능을 통해 통신 장치의 사용을 원하는 사람들(관람자)과 통신 장치의 사용을 원하지 않거나, 또는 요구 사항이 낮은 사람들(선수 및 심판)를 구분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0)는 통신 장치의 사용을 원하는 사람들(관람자)이 위치한 곳에 대해서 고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고, 통신 장치의 사용을 원하지 않거나, 또는 요구 사항이 낮은 사람들(선수 및 심판)이 위치한 곳에 대해서 저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ield of playgrou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ople (spectators) who want to use the communication apparatus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fun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You can distinguish between people who do not want to use them or people who have low requirements (players and referees).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performs a high 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where the people (spectators) who desire to use the communication device are located, and the people (players and judges) who do not want to use the communication device or who have low requirements A low-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can be performed for the location where it is loc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주택에 적용되는 경우,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의 기계 학습 기능을 통해 통신 장치 및 사람의 위치 및 행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0)는 통신 장치 및 사람이 위치한 곳에 대해서 고 레벨의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람의 이동 패턴 결과를 이용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함으로써 커버리지 확장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ouse, the location and behavior pattern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person can be analyzed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fun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high-level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place where a person is located, and can obtain a coverage expansion effect by performing spatial power allocation using a result of a movement pattern of a person.

도 31은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를 예측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redicting the position of a moving object.

도 31을 참조하면, 기존의 전력 할당 방식은 물체가 빠르게 이동할 경우, 별도로 물체의 좌표를 전달 받거나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를 검출해야 함으로, 절차가 복잡하고 주파수 자원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는 별도로 물체의 좌표를 전달 받거나 피드백 정보 없이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주변에 배치된 환경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1, in the conventional power allocation scheme, when an object moves fast, the coordinates of an object are separately received, or the position of a moving object is detected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so that the procedure is complicated and frequency resources must be used have.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position of an object that receives coordinates of an object separately or moves without feedback information. An examp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a moving object in an environment where the spatial power allocating apparatus 1000 is disposed aroun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를 통해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고,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를 통해 시각적 정보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 및 이동하려고 하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도로에서는 차량의 이동 방향이 정해져 있음으로, 물체의 위치 및 이동하려고 하는 위치 검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100 collects visual information and interpolates the visual information through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0 to detect the position of a moving object and the position where the moving object is to be moved. Particularly, sinc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on the roa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position of the object and the position to be moved.

도 32는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가 적용하여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를 적용하여 시각적 정보수집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by applying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33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improving the speed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by applying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때, 좌회전 또는 우회전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러한 가능성은 시각적 정보들 간의 간격을 세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차량의 향후 위치의 예측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2 and 33, there is a possibility of turning left or right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an intersection, and this possibility can be achieved by precisely predicting the future position of the vehicle by finel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visual information have.

예로서,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A)로서 교차로에 배치된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는데, 1대의 카메라로 시각적 정보를 수집할 때보다 복수의 카메라로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면 시각적 정보들 간의 간격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카메라가 초당 30 프레임(30Hz)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가정하면, 10대의 카메라로 시각적 정보를 생성 시 10대 카메라의 시각적 정보 수집을 시간 순서로 수행하면 초당 300 프레임(300Hz)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1대의 카메라로 시각적 정보를 생성할 때보다 10대의 카메라로 시각적 정보를 생성하면 시각적 정보의 간격을 10배로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a camera disposed at an intersection may be used as the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100A. However, when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with a plurality of cameras rather than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with a single camera, . Assuming that the camera generates images at 30 frames per second (30 Hz), when visual information is generated by 10 cameras, if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10 cameras is collected in time order, the image of 300 frames per second . In other words, when visual information is generated with 10 cameras than when one camera generates visual information, the interval of visual information can be reduced to 10 times.

이와 같이,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A)를 적용하여 시각적 정보의 간격을 줄이고,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는 이러한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때,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즉,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1200)가 차량의 향후 위치의 예측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통신 장치(1300)는 차량의 향후 위치의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pplying the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100A to reduce the intervals of visual informatio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can precisely determine the left or right turn when the vehicle passes the intersection based on such visual information Can be predicted. That is,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0 can precisely predict the future position of the vehicle. Thereafter, the communication device 13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based on the prediction result of the future position of the vehicle.

도 34는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에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의 전파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공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llocating power to a communication device or antenna for which spatial power allocation is desired. Fig. 3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lement space constituting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Fig. 34. Fig.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도 34에 도시된 전파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공간을 도 35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였고,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는 지면(ground)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공간적 전력 할당이 가능한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의 위치를 분석하여 각각의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에 대해서 공간적 전력할당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는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 각각에 대해서 전파 환경 내에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4 and 35, the element space constituting the propagation environment shown in FIG. 34 is specifically shown in FIG. 35, and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can be dispos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has analyzed the posi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or an antenna capable of allocating spatial power and performed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each communication apparatus or antenna. 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may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with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for each of the communication devices or antennas 2000 desiring spatial power allocation.

이하,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에게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36 to 38, various embodiments of an initial entry of a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to a communication apparatus or antenna 2000 in which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desires spatial power allocation will be described.

도 36은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의 제1 실시 예를 도면이다.36 is a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nitial entry of a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도 36을 참조하면,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에서 공간적 전력 할당 요청 메시지를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로 전송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이 수행될 수 있다(S101). 여기서, 공간적 전력 할당 요청 메시지에는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가 할당 받기를 원하는 전력 할당 레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는 할당 받기를 원하는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적 전력 할당 요청 메시지를 전력 할당 장치(1000)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6, an initial entry of a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message to a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in a communication apparatus or antenna 2000 desiring spatial power allocation (S101) . Here,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power allocation level information that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r the antenna 2000 desires to receive. That is,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r antenna 2000 desiring to allocate the spatial power transmits a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level information that it desires to be allocated to the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so that the initial entry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

도 37은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의 제2 실시 예를 도면이다.37 is a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nitial entry of a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도 37을 참조하면,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는 공간적 전력 할당을 희망하는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가 존재하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공간적 전력 할당 희망 요청 메시지를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로 전송할 수 있다(S111).Referring to FIG. 37,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communication apparatus or an antenna 2000 that desires spatial power allocation exists,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transmits a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request message Device or the antenna 2000 (S111).

이어서,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가 공간적 전력 할당을 희망하는 경우, 수신된 공간적 전력 할당 희망 요청 메시지에 대한 답신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 요청 메시지를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로 전송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이 수행될 수 있다(S112). 여기서, 공간적 전력 할당 요청 메시지에는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가 할당 받기를 원하는 전력 할당 레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는 할당 받기를 원하는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적 전력 할당 요청 메시지를 전력 할당 장치(1000)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이 수행될 수 있다.Then, whe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r antenna 2000 desires spatial power allocation, a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message, (S112). ≪ / RTI > Here,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power allocation level information that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r the antenna 2000 desires to receive. That is,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r antenna 2000 desiring to allocate the spatial power transmits a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level information that it desires to be allocated to the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so that the initial entry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

도 38은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의 제3 실시 예를 도면이다.38 is a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an initial entry of a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도 38을 참조하면,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는 공간적 전력 할당의 시작을 알리는 공간적 전력 할당 시작 메시지를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로 전송할 수 있다(S121).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에서 공간적 전력 할당 시작 메시지가 발생된 이후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8,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may transmit a spatial power allocation start message indicating the start of spatial power allocation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r the antenna 2000 (S121). An initial entry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after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start message is generated in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

이하, 도 39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Various embodiments of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9 to 42. FIG.

도 3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9를 참조하면, 공간적 전력 할당의 초기 진입이 이루어진 이후,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통신 장치 또는 안테나(2000, 이하'단말(2000)'이라 함)는 자신이 위치하는 곳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 이하 '기지국(1000)'이라 함)으로 전송할 수 있다(S201). 여기서, GPS 정보에는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의 좌표, 속도 및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9, after an initial entry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 communication device or antenna 2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minal 2000') desiring spatial power allocation is located in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 Information to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pparatus 1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se station 1000') (S201). Here, the GP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coordinates, speed, and direc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이어서, 기지국(1000)은 전파 환경 내 공간 구분 방식(예로서, polar 또는 hexagon)을 선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S202).Next, the base station 1000 may select or change a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e.g., polar or hexagon)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S202).

이어서, 기지국(1000)은 단말(2000)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0)의 전파 환경 내 특정 공간 영역을 예측할 수 있다(S203).Then, the base station 1000 can predict a specific space area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the terminal 2000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0 (S203).

이어서, 기지국(1000)은 예측된 공간 영역에 대해서 단말(2000)을 위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를 통해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의 시각적 정보를 생성하고, 예측된 공간 영역 및 단말(2000)이 위치한 주위의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0)을 위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S204). 여기서, 기지국(1000)은 시각적 정보에서 단말(2000)이 인식된 경우에 한해서 시각적 정보를 이용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000 may the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the terminal 2000 for the predicted spatial region. As another example,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100 generates visual information of the place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and based on the predicted space area and surrounding visu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0, (S204). ≪ / RTI > Here, the base station 10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using visual information only when the terminal 2000 is recognized in the visual information.

이어서, 기지국(1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의 성공 응답 및 예측된 공간 영역의 정보를 단말(2000)로 전송한다(S205).Then, the base station 1000 transmits a successful response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predicted space region to the terminal 2000 (S205).

이어서, 기지국(1000) 및 단말(2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에 따른 통신 성능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S206).Then, the base station 1000 and the terminal 2000 can continuously observ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S206).

도 4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0을 참조하면, 공간적 전력 할당의 초기 진입이 이루어진 이후, 기지국(1000)은 자신이 위치하는 곳의 GPS 정보 및 전파 환경 내 공간 구분 방식을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S211). 여기서, GPS 정보에는 기지국(1000)이 위치한 곳의 좌표, 속도 및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0, after the initial entry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the base station 1000 can transmit the GPS information and the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in the radio environment where the base station 1000 is located to the terminal 2000 (S211). Here, the GP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coordinates, speed, and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1000.

이어서, 단말(2000)은 기지국에서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0)이 위치하는 곳의 전파 환경 내 특정 공간 영역을 예측할 수 있다(S212).Then, the terminal 2000 can predict a specific space area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S212).

이어서, 단말(2000)은 예측한 공간 영역의 정보를 기지국(1000)으로 전송한다(S213).Subsequently, the terminal 2000 transmits the predicted spatial region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1000 (S213).

이어서, 기지국(1000)은 수신된 공간 영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된 공간 영역에 대해서 단말(2000)을 위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1000)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를 통해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의 시각적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기지국(1000)은 예측된 공간 영역 정보 및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의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0)을 위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S214). 여기서, 기지국(1000)은 시각적 정보에서 단말(2000)이 인식된 경우에 한해서 시각적 정보를 이용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000 may the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the terminal 2000 for the predicted spatial reg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patial region. As another example, the base station 1000 generates visual information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through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 Then, the base station 10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the terminal 2000 based on the predicted spatial area information and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S214). Here, the base station 10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using visual information only when the terminal 2000 is recognized in the visual information.

이어서, 기지국(1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의 성공 응답 및 예측된 공간 영역의 정보를 단말(2000)로 전송한다(S215).Then, the base station 1000 transmits a successful response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predicted space region to the terminal 2000 (S215).

이어서, 기지국(1000) 및 단말(2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에 따른 통신 성능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S216).Then, the base station 1000 and the terminal 2000 can continuously observ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S216).

도 4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1을 참조하면, 단말(2000)의 높은 이동성으로 인해서 이전의 전파 환경 내 공간 구분 방식이 부적합하거나, 또는 단말(2000)이 최초 예측된 공간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이전의 공간적 전력 할당이 부적절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S231). 이러한 경우, 기지국(1000)이 단말(2000)에게 다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41, there is a case where the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in the previous propagation environment is inadequate due to the high mobility of the terminal 2000, or the terminal 2000 moves out of the predicted spatial region and the previous spatial power allocation is inappropriate (S231).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000 can perform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gain to the terminal 2000. [

먼저,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단말(2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 갱신 요청 및 자신이 위치하는 곳의 GPS 정보를 기지국(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32).First, the terminal 2000 desiring spatial power allocation may transmit a spatial power allocation update request and GPS information of its location to the base station 1000 (S232).

이어서, 기지국(1000)은 전파 환경 내 공간 구분 방식(예로서, polar 또는 hexagon)을 선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S233).Then, the base station 1000 may select or change a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e.g., polar or hexagon)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S233).

이어서, 기지국(1000)은 단말(2000)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0)의 전파 환경 내 특정 공간 영역을 예측할 수 있다(S234).Then, the base station 1000 can predict a specific space area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the terminal 2000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0 (S234).

이어서, 기지국(1000)은 예측된 공간 영역에 대해서 단말(2000)을 위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를 통해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의 시각적 정보를 생성하고, 예측된 공간 영역 및 단말(2000)이 위치한 주위의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0)을 위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S235). 여기서, 기지국(1000)은 시각적 정보에서 단말(2000)이 인식된 경우에 한해서 시각적 정보를 이용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000 may the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the terminal 2000 for the predicted spatial region. As another example,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100 generates visual information of the place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and based on the predicted space area and surrounding visu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0, (S235). ≪ / RTI > Here, the base station 10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using visual information only when the terminal 2000 is recognized in the visual information.

이어서, 기지국(1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의 성공 응답 및 예측된 공간 영역의 정보를 단말(2000)로 전송한다(S236).Then, the base station 1000 transmits a successful response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predicted space region to the terminal 2000 (S236).

이어서, 기지국(1000) 및 단말(2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에 따른 통신 성능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S237).Then, the base station 1000 and the terminal 2000 can continuously observ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S237).

도 4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예로서, 기지국(1000) 또는 단말(2000))의 높은 이동성으로 인해서 기존의 공간 구분 방식이 갱신되거나 시각적 정보 수집 장치 재구성으로 인하여 이전의 공간적 전력 할당이 부적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S241). 이러한 경우, 기지국(1000)이 단말(2000)에게 다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2, since the existing space division scheme is updated due to high mobility of the communication node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1000 or the terminal 2000) or the previous spatial power allocation is inappropriate due to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reconfiguration (S241).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000 can perform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gain to the terminal 2000. [

이어서, 기지국(1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 갱신 요청과, 자신이 위치하는 곳의 GPS 정보 및 전파 환경 내 공간 구분 방식을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S242).Then, the base station 1000 can transmit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update request, the GPS information where it is located, and the space classification method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o the terminal 2000 (S242).

이어서, 단말(2000)은 기지국에서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0)이 위치하는 곳의 전파 환경 내 특정 공간 영역을 예측할 수 있다(S243).Then, the terminal 2000 can predict a specific space area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S243).

이어서, 단말(2000)은 예측한 공간 영역의 정보를 기지국(1000)으로 전송한다(S244).Subsequently, the terminal 2000 transmits the predicted spatial region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1000 (S244).

이어서, 기지국(1000)은 수신된 공간 영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된 공간 영역에 대해서 단말(2000)을 위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1000)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를 통해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의 시각적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기지국(1000)은 예측된 공간 영역 정보 및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의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0)을 위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S245). 여기서, 기지국(1000)은 시각적 정보에서 단말(2000)이 인식된 경우에 한해서 시각적 정보를 이용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000 may the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the terminal 2000 for the predicted spatial reg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patial region. As another example, the base station 1000 generates visual information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through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0. [ The base station 1000 may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the terminal 2000 based on the predicted spatial domain information and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S245). Here, the base station 1000 can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using visual information only when the terminal 2000 is recognized in the visual information.

이어서, 기지국(1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의 성공 응답 및 예측된 공간 영역의 정보를 단말(2000)로 전송한다(S246).Then, the base station 1000 transmits a successful response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predicted space region to the terminal 2000 (S246).

이어서, 기지국(1000) 및 단말(2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에 따른 통신 성능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S247).Then, the base station 1000 and the terminal 2000 can continuously observ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S247).

이하, 도 43 내지 도 46을 참조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이 실패한 경우에, 공간적 전력 할당의 실패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of failing to allocate space power in the case where spatial power allocation fai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43은 공간적 전력 할당의 실패를 처리하는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3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for handling a failure of spatial power allocation.

단말(2000)은 GPS 정보를 기지국(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301). 여기서, GPS 정보에는 단말(2000)이 위The terminal 2000 can transmit GPS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1000 (S301). Here, the GP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2000

치한 곳의 좌표, 속도 및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Information about the coordinates, the speed and the direction of the point of interest can be included.

이어서, 기지국(1000)은 전파 환경 내 공간 구분 방식(예로서, polar 또는 hexagon)을 선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S302).Next, the base station 1000 may select or change a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e.g., polar or hexagon)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S302).

이어서, 기지국(1000)은 단말(2000)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0)의 전파 환경 내 특정 공간 영역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이 기지국(1000)이 공간적 전력 할당을 지원하는 공간 영역을 벗어난 경우 기지국(1000)이 단말(2000)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공간 영역을 예측할 수 없다. 즉, 기지국(1000)에서 특정 공간 영역의 예측이 실패할 수 있다(S303).Then, the base station 1000 can perform prediction of a specific spatial region with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the terminal 2000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0. [ Here, i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2000 is out of the spatial area supporting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the base station 1000 can not predict a specific space area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0. [ That is, the base station 1000 may fail to predict a specific spatial area (S303).

이어서, 기지국(1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 실패 응답을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S304). 이때, 기지국(1000)으로부터 공간적 전력 할당 실패 응답을 수신한 단말(2000)은 기지국(1000)과 도 39 또는 도 41의 절차를 수행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재시도 할 수 있다.Then, the base station 1000 may transmit a spatial power allocation failure response to the terminal 2000 (S304). At this time, the terminal 2000 receiving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failure response from the base station 1000 can retry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by performing the procedure shown in FIG. 39 or 41 with the base station 1000.

도 44는 공간적 전력 할당의 실패를 처리하는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4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for handling the failure of spatial power allocation.

도 44를 참조하면, 기지국(1000)은 GPS 정보 및 기지국(1000)의 전파 환경 내 공간 구분 방식을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S311). 여기서, GPS 정보에는 기지국(1000)이 위치한 곳의 좌표, 속도 및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4, the base station 1000 may transmit the GPS information and the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the base station 1000 to the terminal 2000 (S311). Here, the GP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coordinates, speed, and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1000.

이어서, 단말(2000)은 기지국(1000)에서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1000)의 전파 환경 내 특정 공간 영역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이 기지국(1000)이 공간적 전력 할당을 지원하는 공간 영역을 벗어난 경우 단말(2000)이 기지국(1000)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공간 영역을 예측할 수 없다. 즉, 단말(2000)에서 특정 공간 영역의 예측이 실패할 수 있다(S312).The terminal 2000 can then perform prediction of a specific spatial region with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the base station 1000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at the base station 1000. [ Here, when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outside the space area where the base station 1000 supports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the terminal 2000 can not predict a specific space area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1000. That is, prediction of a specific spatial region in the terminal 2000 may fail (S312).

이어서, 단말(2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 실패 응답을 기지국(1000)으로 전송할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2000)은 기지국(1000)의 GPS 정보 및 공간 구분 방식의 재 요청을 기지국(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313). 이때, 단말(2000)으로부터 공간적 전력 할당 실패 응답을 수신한 기지국(1000)은 단말(2000)과 도 40 또는 도 42의 절차를 수행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재시도 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0)이 기지국(1000)의 GPS 정보 및 공간 구분 방식의 재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도 도 40 또는 도 42의 절차를 수행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재시도 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terminal 2000 transmits a spatial power allocation failure response to the base station 1000. As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2000 may transmit a re-request of the GPS information and the space division scheme of the base station 1000 to the base station 1000 (S313).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1000 receiving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failure response from the terminal 2000 can retry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by performing the procedure shown in FIG. 40 or FIG. 42 with the terminal 2000. FIG. Also, when the terminal 2000 receives the GPS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1000 and the re-request of the space division method,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can be retried by performing the procedure of FIG. 40 or FIG.

도 45는 공간적 전력 할당의 실패를 처리하는 제3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5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for handling the failure of spatial power allocation.

도 45를 참조하면, 기지국(1000)에서 단말(2000)에게 공간적 전력 할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지국(1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 성공 응답 및 예측된 공간 영역 정보를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S321).45, when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is normally performed from the base station 1000 to the terminal 2000, the base station 1000 may transmit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success response and the predicted spatial domai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0 S321).

이어서, 기지국(1000)과 단말(2000)은 통신 성능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통신 성능이 기 설정한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지는지 판단한다(S322).Then, the base station 1000 and the terminal 2000 continuously monitor communication performance to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falls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322).

이어서, 기지국(1000)은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의 시각적 정보에서 단말(2000)이 사라지는 경우, 시각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0)의 인식이 실패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이 실패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S323). 예로서, 단말(2000)을 소유한 사람이 도로를 걷다가 건물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 단말(2000)이 위치했던 도로의 카메라에서 생성된 시각적 정보에서 단말(2000)이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1000)은 단말(2000)게 지속적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해줄 수 없음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이 실패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2000 disappears from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the base station 1000 can recognize that the terminal 2000 fails to recognize the terminal 2000 based on the visual information, (S323). For example, if a person who owns the terminal 2000 goes inside the building while walking on the road, the terminal 2000 disappears from the visu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amera on the road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In this case, since the base station 1000 can not continuously allocate the spatial power to the terminal 2000, the base station 1000 can treat the allocation of the spatial power as failed.

이어서, 기지국(1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 실패 응답을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1000)으로부터 전력 할당 실패 응답을 수신한 단말(2000)은 기지국(1000)과 도 39 또는 도 31 절차를 수행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재시도 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base station 1000 may transmit a spatial power allocation failure response to the terminal 2000. At this time, the terminal 2000 receiving the power allocation failure response from the base station 1000 may retry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by performing the procedure of FIG. 39 or 31 with the base station 1000.

도 46은 공간적 전력 할당의 실패를 처리하는 제4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6 is a diagram showing a fourth embodiment for handling the failure of spatial power allocation.

도 46을 참조하면, 기지국(1000)에서 단말(2000)에게 공간적 전력 할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지국(1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 성공 응답 및 예측된 공간 영역 정보를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S331).46, when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is normally performed from the base station 1000 to the terminal 2000, the base station 1000 may transmit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success response and the predicted spatial domai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0 S331).

이어서, 기지국(1000) 및 단말(2000)은 통신 성능을 지속적으로 관찰한다(S332).Then, the base station 1000 and the terminal 2000 continuously observ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S332).

이어서, 기지국(1000)이 시각적 정보에서 단말(2000)을 찾을 수 없거나, 또는 기지국(1000)이 공간적 전력 할당을 지원하는 공간 영역을 단말(2000)이 벗어난 경우, 기지국(1000)과 단말(2000) 간의 통신 성능이 기 설정한 기준치 미안으로 떨어질 수 있다(S333).If the base station 1000 can not find the terminal 2000 in the visual information or if the terminal 2000 is out of the space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1000 supports spatial power allocation, (S333).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an be reduced to a preset reference value.

이어서, 기지국(1000)과 단말(2000) 간의 통신 성능이 기 설정한 기준치 미안으로 떨어지면 단말(2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단말(2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 실패 응답을 기지국(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2000)은 자신의 GPS 정보 및 공간 구분 방식 재 요청을 기지국(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334). 이때, 단말(2000)으로부터 전력 할당 실패 응답을 수신한 기지국(1000)은 단말(2000)과 도 40 또는 도 42의 절차를 수행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을 재시도 할 수 있다.Then, if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1000 and the terminal 2000 drops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terminal 2000 can not receive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2000 may transmit a spatial power allocation failure response to the base station 1000. As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2000 may transmit its GPS information and the space division method re-request to the base station 1000 (S334).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1000 receiving the power allocation failure response from the terminal 2000 can retry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by performing the procedure of FIG. 40 or FIG.

도 47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를 추가하여 시각적 정보 획득이 가능한 공간을 확장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를 추가하여 시각적 정보 획득이 가능한 공간을 확장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47 및 도 48의 절차는 도 16 및 도 19와 같이,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를 포함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1000)가 구동되었을 때, 시각적 정보 획득이 가능한 공간을 확장하여 공간적 전력 할당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47 is a diagram showing an extension of a spac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an be acquired by adding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48 and 48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expanding a spac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can be acquired by adding a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The procedures in Figs. 47 and 48 are similar to Figs. 16 and 19, When the spatial power allocating apparatus 1000 is driven, including the spatial power allocating unit 1100, a spatial power allocation is performed by extending a space where visua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면, 제1 통신 노드(예로서, 기지국(1000))의 주변에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C~1100F)를 추가로 배치하고, 추가로 배치된 복수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1100C~1100F)를 통해서 시각적 정보 획득이 가능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제2 통신 노드(예로서, 단말(2000))이 이동 하더라도 공간적 전력 할당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47 and 48, a plurality of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100C to 1100F are additionally arranged around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1000), and a plurality of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pace where visua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ollecting apparatuses 1100C to 1100F.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moothly allocate the spatial power even i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for example, the terminal 2000) which desires spatial power allocation moves.

구체적으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단말(2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401). 여기서, 공간적 전력 할당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2000)이 할당 받기를 원하는 전력 할당 레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공간적 전력 할당을 원하는 단말(2000)은 할당 받기를 원하는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적 전력 할당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1000)으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공간적 전력 할당 동작의 초기 진입이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rminal 2000 desiring spatial power allocation may transmit a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1000 (S401).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power allocation level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2000 desires to receive. That is, the terminal 2000 desiring to allocate the spatial power transmits a spatial power alloc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level information to be allocated to the base station 1000, thereby allowing the initial entry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operation to be performed.

이어서, 단말(2000)은 자신의 GPS 정보를 기지국(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402). 여기서, GPS 정보에는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의 좌표, 속도 및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terminal 2000 can transmit its GPS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1000 (S402). Here, the GP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coordinates, speed, and direc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이어서, 기지국(1000)은 전파 환경 내 공간 구분 방식(polar 또는 hexagon)을 선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S403).Then, the base station 1000 may select or change a space division method (polar or hexagon) in the radio wave environment (S403).

이어서, 기지국(1000)은 단말(2000)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전파 환경 내 특정 공간 영역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S404).Then, the base station 1000 can perform prediction of a specific spatial region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0 (S404).

이어서, 기지국(1000)은 단말(2000)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0)이 위치한 곳의 시각적 정보에서 단말(2000)의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2000)이 빠르게 이동하거나,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하는 경우 시각적 정보에서 단말(2000)의 인식이 실패하게 된다(405).Then, the base station 1000 can recognize the terminal 2000 from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0. At this time, if the terminal 2000 moves quickly or moves outdoors, the recognition of the terminal 2000 fails in the visual information (405).

이어서, 기지국(1000)은 단말(2000)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된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들(1100A) 중에서 예측된 공간 영역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D)에게 단말(2000)의 시각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406). The base station 1000 transmits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D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space area among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1100A located in the predicted space area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0 2000) (S406).

이어서, 단말(2000)이 위치하는 곳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D)가 단말(2000)의 시각적 정보를 기지국(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407).Then,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D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can transmit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0 to the base station 1000 (S407).

이어서, 기지국(1000)은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D)로부터 수신된 시각적 정보의 공간 좌표를 기지국(1000) 의 공간 좌표로 변환 또는 정렬시킬 수 있다(S408).Then, the base station 1000 may convert or align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vis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D into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 1000 (S408).

이어서, 기지국(1000)은 정렬된 공간 좌표에 대해서 단말(2000)을 위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S409). Then, the base station 1000 may perform spatial power allocation for the terminal 2000 for the aligned spatial coordinates (S409).

이어서, 기지국(1000)은 공간적 전력 할당 성공 응답 및 예측된 공간 영역 정보를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S410).Then, the base station 1000 may transmit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success response and the predicted spatial domai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0 (S410).

이어서, 단말(2000) 및 기지국(1000)은 통신 성능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S411).Subsequently, the terminal 2000 and the base station 1000 can continuously observ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S411).

이어서, 기지국(1000)은 단말(2000)이 위치하는 주변에 배치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들(C, F)에게 추가로 시각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412).Next, the base station 1000 may request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from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C and F disposed around the terminal 2000 (S412).

이어서, 단말(2000)이 위치하는 주변에 배치된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들(C, F)는 시각적 정보를 기지국(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413).Next,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C and F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2000 can transmit the visual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1000 (S413).

이와 같이, 기지국(1000)은 단말(2000)이 위치하는 곳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뿐만 아니라, 주변의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들로부터 시각적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단말(2000)에게 공간적 전력 할당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즉, 단말(2000)이 빠르게 이동하거나, 특정 지점에서 진행 방향을 변경하더라도, 추가된 시각적 정보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단말(20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어 공간적 전력 할당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1000 can expand the space in which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is performed to the terminal 2000 by receiving the visual information from the surrounding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as well as the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where the terminal 2000 is located . That is, even if the terminal 2000 moves quickly or changes the traveling direction at a specific point,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track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2000 through the added visual information, thereby expanding the area of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 readable media include hardware devices that ar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1000: 공간적 전력 할당 장치 1100: 시각적 정보수집 장치
1200: 시각적 정보처리 장치 1210: 공간좌표 정렬부
1220: 정보 저장부 1230: 기계 학습부
1240: 정보 분석부 1250: 제어부
1300: 통신 장치 1310: 통신부
1320: 안테나 제어모듈 1330: 안테나부
1000: Spatial power allocation device 1100: Visu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200: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10: Space Coordinate Arranging Unit
1220: Information storage unit 1230: Machine learning unit
1240: Information analysis unit 1250:
1300: Communication device 1310: Communication part
1320: Antenna control module 1330: Antenna part

Claims (1)

시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으로서,
공간적 전력 할당을 요청한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의 시각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시각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의 사람, 통신 기기 및 사물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파 환경 내에서 상기 사람, 상기 통신 기기 및 상기 사물의 통신 성능의 영향을 분석하여, 상기 사람, 상기 통신 기기 및 상기 사물의 역할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사람, 상기 통신 기기 및 상기 사물의 예측된 역할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노드가 위치한 영역에 공간적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적 전력 할당 방법.
A method of spatial power allocation performed at a first communication node using visual information,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of an area w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requesting the spatial power allocation is located;
Analyzing the visual information to recognize a perso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object in an area w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is located;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perso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bject i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to predict the role of the perso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bject; And
Performing spatial power allocation on an area w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is located according to a predicted role of the perso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bject;
Spatial power allocation method.
KR1020170135633A 2017-10-19 2017-10-19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using visu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4602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633A KR102460265B1 (en) 2017-10-19 2017-10-19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using visu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633A KR102460265B1 (en) 2017-10-19 2017-10-19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using visu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18A true KR20190043718A (en) 2019-04-29
KR102460265B1 KR102460265B1 (en) 2022-10-28

Family

ID=6628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633A KR102460265B1 (en) 2017-10-19 2017-10-19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using visu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2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6353A (en) * 2021-07-26 2021-08-20 北京电信易通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Power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for downlink NOMA video us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965A (en) * 2013-12-09 2015-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sensor data stream
KR20160133716A (en) * 2015-05-13 201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ositioning environment analysis apparatus, positioning performance projection method and system of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70001662A (en) *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케이티 Base station apparatus,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system
KR20170064098A (en) * 2015-11-30 2017-06-09 이영신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location of shooting based on ma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965A (en) * 2013-12-09 2015-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sensor data stream
KR20160133716A (en) * 2015-05-13 201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ositioning environment analysis apparatus, positioning performance projection method and system of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70001662A (en) *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케이티 Base station apparatus,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system
KR20170064098A (en) * 2015-11-30 2017-06-09 이영신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location of shooting based on ma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6353A (en) * 2021-07-26 2021-08-20 北京电信易通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Power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for downlink NOMA video users
CN113286353B (en) * 2021-07-26 2021-10-29 北京电信易通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Power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for downlink NOMA video u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265B1 (en)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zaffari et al. A tutorial on UAVs for wireless networks: Applications, challenges, and open problems
Sharma et al.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technologies for UAVs: A survey
Arafat et al. A survey on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networks
Erdelj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s and multi-UAV systems for natural disaster management
Sánchez-García et al. A distributed PSO-based exploration algorithm for a UAV network assisting a disaster scenario
US20220166525A1 (en) Network management of aerial devices
Angjo et al. Handover management of drones in future mobile networks: 6G technologies
CN111226130A (en) Motion detection based on beamforming dynamic information
Senel et al. Self-deployment of mobile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s for maximized coverage and guaranteed connectivity
US11467604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 plurality of robots
CN108574954A (en) Electronic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21505850A (en) Motion detection method in mesh network
Li Deployment of drone base stations for cellular communication without apriori user distribution information
CN112929866A (en) Unmanned aerial vehicle deployment method for self-adaptively optimizing urban disaster area network coverage
US9854451B2 (en) Methods of optimizing tilt angle of an antenna
KR20220008399A (en) intelligent robot device
Singh et al. Placement of mmWave base stations for serving urban drone corridors
Amodu et al. THz-enabled UAV communications: Motivations, results, applications, challenges, and future considerations
Gesbert et al. UAV-aided RF mapping for sensing and connectivity in wireless networks
CN102970748A (en) Wireless personnel area location method
KR102460265B1 (en) Method for allocating spatial power using visu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20230336382A1 (en)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Wang et al.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technologies for intelligent drone cruisers
US117846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3D aerial wireless transmission
US202203610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able cellula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