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403A -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403A
KR20190043403A KR1020170135418A KR20170135418A KR20190043403A KR 20190043403 A KR20190043403 A KR 20190043403A KR 1020170135418 A KR1020170135418 A KR 1020170135418A KR 20170135418 A KR20170135418 A KR 20170135418A KR 20190043403 A KR20190043403 A KR 20190043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formation
optical cod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applicat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텍에코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텍에코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텍에코뷰
Priority to KR1020170135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3403A/ko
Publication of KR20190043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및 포스 시스템과 데이터 연동이 가능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주문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1) 매장 주문이 가능한 메뉴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메뉴 정보에 기초한 주문 정보가 모바일 단말에 입력된 경우,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광학 코드가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3) 상기 표시된 광학 코드를 매장의 포스 시스템에서 스캐닝한 경우, 상기 포스 시스템에 주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Method for providing of order information using optical cod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매장에서 주문 가능한 메뉴 정보가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확인 및 입력 가능하도록 하고, 입력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광학 코드가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며, 표시된 광학 코드를 매장의 포스 시스템에서 스캐닝하여 주문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이나 커피점과 같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고객이 주문을 하는 경우, 앞서 대기하는 다른 고객으로 인한 긴 대기 시간의 문제와, 매장 관리자에 대한 메뉴 주문 과정에서 구두 주문의 부정확함으로 인한 주문 오류의 문제와, 주문된 메뉴를 재확인하는 과정에서의 불편함 등이 수반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메뉴를 주문하는 메뉴 주문 기술에 대해 다수 공지된 바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93955호(2015년08월19일 공개)는, 메뉴 주문 관리 서버로부터 메뉴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메뉴 주문 애플리케이션을 고객 단말기 및 매장 단말기에 설치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 및 매장 단말기를 통해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메뉴 주문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고객 단말기에서 입력한 주문 처리를 메뉴 주문관리 서버를 통해 온라인 처리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온라인 주문 처리를 위한 부수적인 입력 과정이 수반되었다.
즉, 고객 단말기에서 입력한 주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메뉴 주문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메뉴 주문 관리 서버에서 매장 단말기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을 취하므로, 메뉴 주문 관리 서버에서 고객 단말기 또는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로그인 처리가 필요하고 로그인 처리를 위해 개인 정보 입력이 포함되는 회원 등록 과정이 필요하였다.
다른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41102호(2016년04월18일 공개)는, 커피 주문에 관한 예약을 스마트폰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커피 주문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도 커피 주문 처리를 커피주문서버를 통해 온라인으로 처리하므로, 온라인 주문 처리를 위한 부수적인 입력 과정이 수반되었다.
즉, 고객 단말기에서 입력한 커피 주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커피주문서버로 전송하고 커피주문서버에서 커피점단말기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을 취하므로, 커피주문서버에서 고객 단말기 또는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회원정보 인증이 필요하고 회원정보 인증 처리를 위해 회원개인 정보 입력이 포함되는 회원 등록 과정이 필요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들의 경우, 매장에서 직접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방식이므로 일반적인 오프라인 방식으로도 매장 결제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고객이 모바일 단말을 통해 서버에 온라인 회원 등록이나 인증 처리를 반드시 하도록 하는 불편함을 수반하였다.
또한, 최근 다수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 등을 고려할 때, 고객은 1회성 주문이나 단발성 주문을 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개인 정보를 서버에 입력하거나 회원 등록을 하고 싶어하지 않는데, 상기 종래기술들의 경우 개인정보 입력을 통한 회원 등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서 고객에게 개인 정보 유출 및 오용에 대한 불안감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93955호(2015년08월19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41102호(2016년04월18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매장에서 주문 가능한 메뉴 정보가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확인 및 입력 가능하도록 하고, 입력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광학 코드가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며, 표시된 광학 코드를 매장의 포스 시스템에서 스캐닝하여 주문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및 포스 시스템과 데이터 연동이 가능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주문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1) 매장 주문이 가능한 메뉴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메뉴 정보에 기초한 주문 정보가 모바일 단말에 입력된 경우,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광학 코드가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3) 상기 표시된 광학 코드를 매장의 포스 시스템에서 스캐닝한 경우, 상기 포스 시스템에 주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1) 단계는, 11)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의 웹페이지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로부터 메뉴 정보 요청을 받는 단계; 및 12) 요청된 메뉴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 단계는, 21)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된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주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22)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광학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23) 상기 생성된 광학 코드가 웹페이지를 통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11)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메뉴 정보를 요청하고자 하는 매장 선택 정보를 더욱 받으며, 상기 12)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매장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1) 단계는, 101)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모바일 단말이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주문 정보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메뉴 정보 제공 기능, 주문 정보 입력 기능, 광학 코드 생성 기능 및 광학 코드 표시 기능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임-;를 포함하며, 상기 2) 단계는, 201)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에 주문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202)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광학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203) 상기 생성된 광학 코드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광학 코드 표시 기능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201) 단계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메뉴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매장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매장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3) 단계는, 31)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스 시스템이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주문 정보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광학 코드 인식 기능, 주문 정보 인식 기능 및 주문 정보 표시 기능을 상기 포스 시스템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임-; 32)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포스 시스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광학 코드를 스캐닝하여 광학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33)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인식된 광학 코드에 기초하여 주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34) 상기 인식된 주문 정보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주문 정보 표시 기능을 통해 포스 시스템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포스 시스템이 설치된 매장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 입력 기능을 더욱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입력된 메뉴 정보를 전송받아 매장 정보와 매칭하여 기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매장에서 주문 가능한 메뉴 정보가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확인 및 입력 가능하도록 하고, 입력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광학 코드를 포스 시스템에서 스캐닝하는 것만으로 주문 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포스 시스템 앞에서 긴 시간을 소요하면서 주문 선택을 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주문 과정에서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고객과 매장 직원 간의 주문 정보 확인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뉴 정보 입력이나 광학 코드 생성을 위해 서버에 회원 등록이나 인증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므로, 고객에게 개인 정보 입력에 따른 불편함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개인 정보 유출 및 오용에 대한 불안감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연동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기능 모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의 기능 모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스 시스템의 기능 모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의 상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의 또다른 상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기능 모듈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의 기능 모듈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연동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기능 모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의 기능 모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스 시스템의 기능 모듈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음식점이나 카페와 같은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는 고객이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300) 및 매장 직원이 고객 주문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포스 시스템(400)과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상호 연동한다.
여기서, '상호 연동한다'는 의미는 본 실시예와 같이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페이지 형태로 실시간 주문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의 연동이 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모바일 단말(300)로 주문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제공하는 방식의 연동이 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다운로드 방식의 경우, 모바일 단말에 프로그램 설치 후 주문 정보 제공 서비스의 이용 상태에서는 통신 연결 없이 모바일 단말(300) 내에서 로컬 방식으로만 서비스 기능 실행이 이뤄질 수도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매장 정보 또는 메뉴 정보 업데이트 등의 경우에 통신 연결 상태로 연동이 이뤄질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주문 정보 시스템(100)은 통상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서버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주문 정보 시스템(100)은 통상의 시스템 운영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 모듈(101), 매장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기 위한 매장 정보 관리 모듈(102), 각 매장 별로 판매되는 상품 메뉴와 각 메뉴별 옵션 사항을 등록 및 관리하기 위한 메뉴 정보 관리 모듈(103), 미리 설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각 상품 메뉴 및 그 옵션 사항을 식별할 수 있는 광학 코드를 생성 및 표시 관리하기 위한 광학 코드 관리 모듈(104), 모바일 단말(300)의 웹 접속 시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하는 웹페이지 및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연동 모듈(1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예로, 광학 코드 관리 모듈(104)은 미리 설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기반하여 다양한 형태의 광학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연동 모듈(105)은 상기 생성된 광학 코드를 웹페이지의 이미지 정보 형태로 시스템에 웹 접속한 모바일 단말(300)에 전송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코드 생성 규칙은, '매장', '메뉴', '메뉴 옵션' 단위로 미리 정의된 데이터 필드값에 따라 QR 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은 형태의 광학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ID가 101 번인 매장(예, 강남역 스타벅스 매장)에서 주문을 하고자 하는 고객이 등록 ID가 2006번인 메뉴(예, 아메리카노)를 선택하여 메뉴 주문 옵션을 301(예, 샷 추가)로 선택하는 경우, 전체 결합 데이터 필드 기준으로 1012006301로 생성된 코드 데이터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광학 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매장 식별 데이터는 매장 운영 회사(예, 스타벅스)와 지역(예, 강남역)을 구분하여 식별하도록 데이터 자리수가 구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주문 정보 시스템(100)은 또한, 매장 정보를 기록 관리하기 위한 매장 DB(110), 각 매장 별로 판매되는 상품 메뉴와 각 메뉴별 옵션 사항을 기록 관리하기 위한 메뉴 DB(120)를 포함한다. 매장 DB(110)와 메뉴 DB(120)는 주문 정보 시스템(100)에 접속한 서비스 제공자(예, 스타벅스 또는 스타벅스 강남역점)가 회원 등록하여 해당 정보를 미리 입력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모바일 단말(300)은 와이파이 또는 LTE 등의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인터넷 웹 접속이나 앱(APP) 접속이 가능한 통상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300)은 통상의 단말 운영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 모듈(301), 주문 정보 시스템(100)에 웹 접속하여 웹페이지 및 컨텐츠를 요청하거나 요청된 웹 페이지 등을 제공받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외에 일반적인 통신 및 APP 관리 모듈(미도시)이 포함되며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일예로, 상기 포스 시스템(400)은 주문 입력 및 결제 처리가 가능한 통상의 POS(point of sales) 장치가 될 수 있으며,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인터넷 웹 접속이나 앱(APP) 접속이 가능한 통상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포스 시스템(400)은 모바일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광학 코드를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코드 스캐너(405)를 구비한다. 일예로 이러한 코드 스캐너(405)는 공지의 바코드 스캐너, QR 코드 스캐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포스 시스템(400)은 통상의 시스템 운영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 모듈(401), 코드 스캐너(405)를 통해 스캐닝한 광학 코드의 데이터를 인식 처리하기 위한 코드 정보 처리 모듈(402), 상기 인식된 광학 코드에 기초하여 주문 정보를 인식 처리하기 위한 주문 정보 처리 모듈(403), 인식된 주문 정보가 포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주문 정보 표시 모듈(4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문 정보 처리 모듈(403)은 상술한 코드 생성 규칙을 역으로 판단하여 광학 코드에 포함된 주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일예로, 코드 스캐너(405)를 통해 스캐닝한 광학 코드의 데이터가 1012006301이라고 코드 정보 처리 모듈(402)이 인식하면, 주문 정보 처리 모듈(403)은 이를 코드 생성 규칙에 기반하여 해석하여 등록 ID가 101 번인 매장에서 등록 ID가 2006번인 메뉴가 선택되었고 메뉴 주문 옵션이 301이라고 인식하며, 이러한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주문 정보 표시 모듈(404)은 강남역 스타벅스 매장에서 아메리카노가 샷 추가 옵션으로 주문 선택되었다고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포스 시스템(400)의 상기 각 모듈은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다운로드 제공받아 시스템에 설치한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각 모듈의 기능 제공을 위해 포스 시스템(400)에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이러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별도 단말이 포스 시스템에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300) 및/또는 포스 시스템(400)의 주요 기능별 모듈은 CPU 및 메모리를 구비한 통상의 컴퓨팅 수단에 각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학 코드는 광학적 이미지 형태로 구현 가능한 공지의 코드라면 특정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다수의 점이나 선, 도형 등이 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숫자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 복합 데이터, 바이너리 데이터 등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이미지 생성 규칙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면 된다.
일예로, 공지의 QR코드 또는 바코드와 유사한 형태로 광학적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으며, 고객인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와 매장 관리자인 포스 시스템의 사용자 상호 간에 주문 정보로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뉴 정보(예, 음식 종류, 커피 종류), 메뉴별 세부 옵션 정보(예, 음식이 피자인 경우 토핑 재료 선택 정보, 커피의 경우 추가 샷이나 크림, 설탕 등의 포함 여부 정보), 매장 식별 정보(예, 프랜차이즈 브랜드 구분 정보, 매장 지역 정보) 등이 코드 데이터의 형태로 포함되고 인식될 수 있다. QR코드 또는 바코드의 코드 생성 규칙은 다수의 공지 기술을 통해 알려진 바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의 상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의 또다른 상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300)은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인터넷 웹 접속 방식으로 주문 정보 시스템(100)에 접속한다.
S1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매장 주문이 가능한 메뉴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제공한다. S1 단계는 더욱 상세하게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S11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의 웹페이지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로부터 메뉴 정보 요청을 받는다.
S12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요청된 메뉴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 제공한다.
상기 메뉴 정보 요청이나 메뉴 정보 제공은 통상의 웹 브라우저의 입력/표시 메뉴창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S11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메뉴 정보를 요청하고자 하는 매장 선택 정보를 더욱 받는다.
상기 S12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특히, 상기 선택된 매장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제공한다.
S2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메뉴 정보에 기초한 주문 정보가 모바일 단말에 입력된 경우,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광학 코드가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한다. S2 단계는 더욱 상세하게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S21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된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주문 정보를 전송받는다.
S22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광학 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광학 코드는 시스템에 미리 설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의해 생성된다.
S23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광학 코드가 웹페이지를 통해 모바일 단말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광학 코드의 표시는 웹 브라우저의 표시 창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이렇게,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광학 코드를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특정 매장에서 주문을 하고자 하는 고객은 자신의 순서가 오기 전에 미리 자신이 원하는 주문을 여유 있게 또한 정확하게 미리 선택할 수 있다.
S3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표시된 광학 코드를 매장의 포스 시스템에서 스캐닝한 경우, 상기 포스 시스템에 주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S3 단계는 더욱 상세하게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S31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스 시스템이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광학 코드 인식 기능, 주문 정보 인식 기능 및 주문 정보 표시 기능을 상기 포스 시스템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S32 단계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포스 시스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광학 코드를 스캐닝하여 광학 코드를 인식한다.
S33 단계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인식된 광학 코드에 기초하여 주문 정보를 인식한다.
S34 단계에서, 상기 인식된 주문 정보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주문 정보 표시 기능을 통해 포스 시스템에 표시되도록 한다. 해당 매장의 주문 담당 직원은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광학 코드를 통해 주문 정보를 제시한 고객에게 인식된 주문 내역을 구두 또는 시각적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포스 시스템이 설치된 매장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 입력 기능을 더욱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메뉴 정보 입력 기능을 통해, 해당 매장의 관리자는 메뉴 또는 옵션의 변경 시에 주문 정보 시스템에 기록된 해당 매장의 메뉴 또는 옵션 정보를 업데이트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입력된 메뉴 정보를 전송받아 매장 정보와 매칭하여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형태로 웹 브라우저를 통해 광학 코드를 표시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에 주문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이미 설치된 웹 브라우저만을 이용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기능 모듈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의 기능 모듈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300)은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주문 정보 시스템(100)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단말에 설치한 앱(APP)을 통해 주문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웹페이지를 통해 직접 광학 코드를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 이외에는 도 2의 실시예와 대부분의 기능 모듈 및 DB 구성이 유사하며, 다만 모바일 단말(300)이 앱(APP)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앱 관리 모듈(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예로, 상기 모바일 단말(300)은 와이파이 또는 LTE 등의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인터넷 접속하여 앱(APP) 다운로드 및 설치, 사용이 가능한 통상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300)은 통상의 단말 운영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 모듈(301), 단말 사용자에게 메뉴 정보를 표시창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메뉴 정보 처리 모듈(302), 단말 사용자가 주문 정보를 입력창을 통해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주문 정보 처리 모듈(303), 주문 정보에 따른 광학 코드를 생성하는 광학 코드 처리 모듈(304), 생성된 광학 코드를 단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광학 코드 표시 모듈(305)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단말 사용자가 위치하는 매장을 개별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매장 정보를 선택 입력받기 위한 매장 정보 처리 모듈(306)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300)의 상기 각 모듈은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다운로드 제공받아 단말에 설치한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매장 정보, 메뉴 정보, 옵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관리하며, 필요시 업데이트 관리를 실행한다. 매장 정보, 메뉴 정보, 옵션 정보의 저장 관리는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최초 설치 시에 함께 이뤄질 수도 있으나, 주문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점에 별도로 이뤄질 수도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광학 코드의 생성 및 이미지 표시가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서 실행되어, 모바일 단말(300)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광학 코드의 결과 이미지를 전송받아 웹페이지 방식으로 표시하는데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300)의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광학 코드 처리 모듈(304) 및 광학 코드 표시 모듈(305)이 단말에서 자체 실행되어 광학 코드를 이미지로 직접 생성하여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포스 시스템(400)은 주문 입력 및 결제 처리가 가능한 통상의 POS(point of sales) 장치가 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광학 코드를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코드 스캐너(405)를 구비한다. 이외의 포스 시스템(400)의 기능들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공통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S1 단계는 더욱 상세하게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S101 단계에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모바일 단말이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메뉴 정보 제공 기능, 주문 정보 입력 기능, 광학 코드 생성 기능 및 광학 코드 표시 기능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일예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시스템에 웹 접속을 한 모바일 단말이 웹페이지 다운로드 메뉴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도록 할 수도 있고, 다른예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앱 스토어에 접속한 사용자가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앱 스토어 시스템(도면 미도시)에 업로드한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S2 단계는 더욱 상세하게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S201 단계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에 주문 정보가 입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S201 단계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메뉴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매장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매장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각 매장별로 제공하는 메뉴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관리한다.
S202 단계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광학 코드를 생성한다.
S203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광학 코드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광학 코드 표시 기능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광학 코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미리 설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의해 생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광학 코드 생성을 위한 코드 생성 규칙을 제공받아 프로그램의 기능으로서 관리한다.
이렇게,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광학 코드를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특정 매장에서 주문을 하고자 하는 고객은 자신의 순서가 오기 전에 미리 자신이 원하는 주문을 여유 있게 또한 정확하게 미리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형태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광학 코드를 표시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주문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점에 모바일 단말이 반드시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이루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USB 드라이브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100: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
300: 모바일 단말
400: 포스(POS) 시스템

Claims (9)

  1. 모바일 단말 및 포스 시스템과 데이터 연동이 가능한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주문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1) 매장 주문이 가능한 메뉴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메뉴 정보에 기초한 주문 정보가 모바일 단말에 입력된 경우,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광학 코드가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3) 상기 표시된 광학 코드를 매장의 포스 시스템에서 스캐닝한 경우, 상기 포스 시스템에 주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11)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의 웹페이지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로부터 메뉴 정보 요청을 받는 단계; 및
    12) 요청된 메뉴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 단계는,
    21)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된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주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22)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광학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23) 상기 생성된 광학 코드가 웹페이지를 통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1)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메뉴 정보를 요청하고자 하는 매장 선택 정보를 더욱 받으며,
    상기 12)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매장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101)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모바일 단말이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주문 정보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메뉴 정보 제공 기능, 주문 정보 입력 기능, 광학 코드 생성 기능 및 광학 코드 표시 기능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임-;를 포함하며,
    상기 2) 단계는,
    201)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에 주문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202)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광학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203) 상기 생성된 광학 코드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광학 코드 표시 기능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01) 단계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메뉴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매장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매장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31)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스 시스템이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주문 정보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광학 코드 인식 기능, 주문 정보 인식 기능 및 주문 정보 표시 기능을 상기 포스 시스템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임-;
    32)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포스 시스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광학 코드를 스캐닝하여 광학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33)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인식된 광학 코드에 기초하여 주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34) 상기 인식된 주문 정보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주문 정보 표시 기능을 통해 포스 시스템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포스 시스템이 설치된 매장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 입력 기능을 더욱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입력된 메뉴 정보를 전송받아 매장 정보와 매칭하여 기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의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1항의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135418A 2017-10-18 2017-10-18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90043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18A KR20190043403A (ko) 2017-10-18 2017-10-18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18A KR20190043403A (ko) 2017-10-18 2017-10-18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03A true KR20190043403A (ko) 2019-04-26

Family

ID=6628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418A KR20190043403A (ko) 2017-10-18 2017-10-18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340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955A (ko) 2014-02-10 2015-08-19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메뉴 주문 시스템
KR20160041102A (ko) 2014-10-06 2016-04-18 오승민 스마트폰을 이용한 커피 주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955A (ko) 2014-02-10 2015-08-19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메뉴 주문 시스템
KR20160041102A (ko) 2014-10-06 2016-04-18 오승민 스마트폰을 이용한 커피 주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06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bill payment functionality in mobile commerce
US20220253887A1 (en) Merchandise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US11250414B2 (en) Cloud based system for engaging shoppers at or near physical stores
US10346836B2 (en) Payment system and method including enabling electronic receipts
US20200219152A1 (en) Systems for Integrating Online Reviews with Point of Sale (POS) OR EPOS (Electronic Point of Sale) System
US20150088642A1 (en) Intelligent shopping cart service
US201201584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Store Purchases Using Mobile Devices
US20140074655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online one-tap account addition and checkout
US20160055538A1 (en) Wireless beacons for reporting of applications in the foreground of a user device interface
US11397927B2 (en) Electronic receipt system, electronic receipt management server, and program therefor
US104549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vity contextual services local online experience
KR101745600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700395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print media coupons to virtual coupons and redeeming same
US20140201088A1 (en) Consumer-Centric Product Tracking System
JP2015232834A (ja)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374567B2 (ja) 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電子レシートの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249998A1 (en) Electronic receipt system, electronic receipt manag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8014004A (ja) 販売促進支援装置
KR101631609B1 (ko)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JP6224777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A2874708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offers to mobile wallets
JP2016095587A (ja) 携帯端末装置、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43403A (ko) 광학 코드를 이용한 주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392821A1 (en) Server device and service method
EP30610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vity contextual services local online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