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383A - Apparatus for re-providing tension for steel strand of ground anch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providing tension for steel strand of ground anch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383A
KR20190043383A KR1020170135381A KR20170135381A KR20190043383A KR 20190043383 A KR20190043383 A KR 20190043383A KR 1020170135381 A KR1020170135381 A KR 1020170135381A KR 20170135381 A KR20170135381 A KR 20170135381A KR 20190043383 A KR20190043383 A KR 2019004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bell
anchor head
ancho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1602B1 (en
Inventor
오용권
안수민
김용길
이홍규
안준형
박남순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지오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지오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7013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602B1/en
Publication of KR2019004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3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6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re-tensing a strand for a ground anch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re-tensing a strand for a ground anchor, capable of re-tensing a strand by fixing the strand to a ground anchor and lifting up an anchor head with an O-r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ncludes: a tension bell holding the anchor head; a hydraulic cylinder lifting the tension bell up from a structure in which the anchor head is placed; and a case placed in the structure to support the hydraulic cylinder.

Description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APPARATUS FOR RE-PROVIDING TENSION FOR STEEL STRAND OF GROUND ANCH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 anchor for a ground anchor,

본 발명은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운드 앵커를 구성하는 강연선의 저하된 인장력을 보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nd re-tensioning apparatus for a ground anch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and re-tensioning apparatus for a ground anchor which can be used to supplement a reduced tension of a strand constituting a ground anchor.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는 토목 또는 건축 공사에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고정 장치로서, 예를 들어 굴착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이나 연직면에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설치되는 흙막이벽 등의 구조물을 지반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A ground anchor is a fixing device which is used almost indispensably for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work. For example, it is used to fix a structure such as a slope wall formed by excavation or an earth retaining wall installed to prevent a ground collapse on a vertical surface .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앵커는 인장재, 예를 들어 강연선을 포함한다. 강연선은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양단이 지반 측과 흙막이벽 측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흙막이벽을 지반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킬 수 있다.In general, the ground anchor includes a tensile material, for example a stranded wire. Both ends of the stranded wire are fixed to the ground side and the earth retaining wall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earth retaining wall can be pressed and adhered to the ground side.

하지만,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 초기에 강연선에 부여된 인장력은 시공 후 장시간이 경과하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반 침하나 토사 유실 등으로 인하여 점차 저하될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해 그라운드 앵커는 제 기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strand at the initial stage of construction of the ground anchor is gradually deteriorated due to the ground incursion which occurs continuously after the elapse of a long time after the construction, and the loss of the soil, so that the ground anchor can fully exercise its fun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would not exis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040호에는 강연선을 재긴장, 즉 다시 잡아당긴 후에 고정함으로써 저하된 인장력을 보충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력 부여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040호에서 제1 케이싱 내의 압착링은 인장력헤드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밀착되도록 조립되어야 인장력헤드를 제대로 파지하고 강연선의 인장력 부여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압착링 또는 인장력헤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지만, 인장력헤드와 압착링 사이에 확실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압착링이 인장력헤드의 외주면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To solve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81040 discloses a tensile force applying device for a ground anchor that compensates for a reduced tensile force by restraining a stranded wire, that is, fixing it after pulling it back. However, in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1040, the compression ring in the first casing must be assembled so as to be sur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le force head so that the tensile force head can be properly gripped and the tensile force application work of the stranded wire can be performed smoothly.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pression ring or the tension head from being damag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mpression ring is not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head often because no reliable fix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tension head and the compression ring.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6013호(2011.05.23, 강연선 재인장 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36013 (2011.05.23, Reinforcement Device for Stranded Wir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040호(2016.08.04,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력 시험 및 부여장치)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1040 (2016.08.04, Tensile strength test and application device for ground anch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연선이 고정된 앵커헤드를 종래와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재긴장할 수 있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rand tensioning device for a ground anchor capable of gripping and retensioning an anchor head with a strand fixed thereon more stably than a conventional on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라운드 앵커에서 강연선이 고정되고 외주면에 오링 홈이 형성되는 앵커헤드를 들어올려 강연선을 재긴장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헤드를 파지하는 텐션벨; 상기 텐션벨을 상기 앵커헤드가 안착되는 구조물로부터 들어올리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구조물에 안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를 지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벨은, 중공의 원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이분할한 한 쌍의 파지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편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오링 홈에 삽입되는 반고리형 돌기가 형성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가 삽입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상기 파지부를 상기 앵커헤드 측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볼트; 상기 파지부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에 치합하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벨부; 상기 벨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텐션 바; 상기 앵커헤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웨지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웨지편은 제1 스프링을 통해 상호간에 직렬 연결되는 웨지부; 상기 복수의 웨지편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부; 및 상기 벨부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원판부를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벨부가 상기 파지부에 나사 결합되면, 상기 복수의 웨지편은 상기 파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테이퍼 영역에 의해 상호간에 근접하여 상기 앵커헤드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웨지편을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and tensioning apparatus for a ground anchor for lifting an anchor head having a strand fixed at a ground anchor and forming an O-ring groove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ground anchor, ; A hydraulic cylinder for lifting the tension bell from a structure in which the anchor head is seated; And a case which is seated on the structure and supports the hydraulic cylinder, wherein the tension bell comprises a pair of gripping pieces divi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hollow cylinder, A grip portion for forming a semicircular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grip portion; A hook portion into which the grip portion is inserted; A plurality of pressing bolts penetrating through the annular portion and screwed to press the grip portion toward the anchor head; A bell part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emale screw which mates with a male screw forme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art; A tension ba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ell portion and lifted by the hydraulic cylinder; A plurality of wedge piece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chor head, the plurality of wedge pieces being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spring; A disc por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wedge pieces are respectively slidably engaged; And a second spring which is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l portion and supports the disc portion. When the bell portion is screwed to the grip portion, the plurality of wedge pieces are guided by a tapered reg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And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are compressed to tightly adhere the wedge piece to the grounding anchor, thereby providing a tensioning device for a ground anchor.

상기 웨지부는 상기 파지부의 테이퍼 영역에 상응하게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할 수 있다.The wedge portion may have a reduced outer diameter in accordance with a tapered region of the grip portion.

상기 고리부는 상기 한 쌍의 파지편이 상호간에 밀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파지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져 다양한 직경의 상기 앵커헤드에 적용될 수 있다.The ring portion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grip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pair of gripping pie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an be applied to the anchor head of various diameters.

상기 파지편의 측면에는 간격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파지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And a gap adjusting bolt is screw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rip piec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grip pieces.

상기 고리부를 상기 파지부에 구속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ixing part for restricting the loop part to the grip part.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리부의 내주면에 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 홈; 및 상기 파지편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되는 걸림 핀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xing portion comprises: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portion such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opened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closed; And a retaining pin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iece and inserted into the retaining groove.

상기 걸림 홈은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atching groove may be formed in a translucent shape.

상기 걸림 홈은, 하단이 개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에서 상기 고리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락킹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latching groove has a guide groove whose lower end is opened and which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ocking groov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1차적으로 파지부에 의해 앵커헤드를 파지하는 한편, 2차적으로 웨지부에 의해 앵커헤드를 파지함으로써 앵커헤드를 종래와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재긴장할 수 있다. 특히, 앵커헤드의 외주면에는 평상시 앵커헤드를 보호하기 위해 앵커헤드와 앵커헤드 커버 사이의 틈새를 막는 오링이 결합되는 오링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착안하여, 오링 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파지부의 내주면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였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chor head is grasped by the grip portion primarily and the anchor head is secondarily held by the wedge portion, so that the anchor head can be gripped more reliably and retreated have. Particularly,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an O-r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 head for coupling an O-ring for blocking a gap between the anchor head and the anchor head cover in order to protect the anchor head normally, And was formed into a ring shap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도 1은 그라운드 앵커를 설치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파지편 및 제2 파지편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ound anchor is install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nd reinforcement apparatus for a ground anch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nd reinforcement apparatus for a ground anchor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p por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irst gripping piece and the second gripping piec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ell portion.
FIG. 7 and FIG. 8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strand tensioner for a ground anch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 on "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objec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Furthermore, the term " coupled " does not mean that only a physical contact is made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but the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t should be used as a concept to cover until the componen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strand tensioner for a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그라운드 앵커를 설치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ound anchor is installed.

도 1을 참조하면, 그라운드 앵커(10)는 지반(20)에 형성된 천공 홀에 삽입되어 그라우트(grout)에 의해 고정되는 앵커바디(미도시)와, 지반(20)의 노출 면을 감싸는 흙막이벽 등의 구조물(30)에 안착되는 앵커헤드(11)와,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양단이 앵커바디 및 앵커헤드(11)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강연선(13)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ground anchor 10 includes an anchor body (not shown) inserted into a perforation hole formed in the ground 20 and fixed by a grout, and an anchor body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stranded wires 13 each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anchor body 11 and the anchor head 11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anchor head 11.

앵커헤드(11)의 외주면에는 고리 형상의 오링 홈(12)이 형성될 수 있고, 오링 홈(12)에는 앵커헤드(11)와 앵커헤드 커버(15) 사이의 틈새를 막는 오링(17)이 결합될 수 있다.An annular O-ring groove 12 can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 head 11 and an O-ring 17 for blocking a gap between the anchor head 11 and the anchor head cover 15 is formed in the O- Can be combin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nd reinforcement apparatus for a ground anch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40)는 텐션벨(1000), 유압실린더(2000) 및 케이스(30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trand reinforcement apparatus 40 for a ground anch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nsion bell 1000, a hydraulic cylinder 2000, and a case 3000.

텐션벨(1000)은 앵커헤드(1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앵커헤드(11)를 파지할 수 있다.The tension bell 1000 can be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chor head 11 to grip the anchor head 11.

유압실린더(2000)는 케이스(3000)의 상면에 안착되어 텐션벨(1000)을 구조물(30)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다.The hydraulic cylinder 2000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3000 to lift the tension bell 1000 from the structure 30.

케이스(3000)는 구조물(30)에 안착되는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3000)의 상면에는 유압실린더(2000)가 안착될 수 있으며, 케이스(3000)의 내부 공간에는 텐션벨(1000)의 주요 구성품 중 전부 또는 대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설명이 없으면 상하 구분은 지반(20) 또는 구조물(3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즉 법선 방향을 따라 설정된 것으로 본다.The case 3000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ed lower surface to be seated on the structure 30 and a hydraulic cylinder 200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3000, All or most of the major components of the tension bell 100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the upper and lower divisions are regarded as being set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ground 20 or the structure 30, that is, along the normal direction.

도 3은 도 2의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nd reinforcement apparatus for a ground anchor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텐션벨(1000)은 파지부(100), 고리부(200), 고정부(300), 가압볼트(400), 벨부(500), 텐션 바(600), 웨지부(700), 원판부(800) 및 제2 스프링(900)을 포함할 수 있다.3, the tension bell 1000 includes a grip portion 100, a ring portion 200, a fixing portion 300, a pressing bolt 400, a bell portion 500, a tension bar 600, a wedge portion 700, a disc portion 800, and a second spring 900.

도 4는 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1 파지편 및 제2 파지편을 나타낸 정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p portion, and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irst gripping piece and the second gripping piec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파지부(100)는 한 쌍의 파지편(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grip portion 100 may include a pair of gripping pieces 110 and 120. As shown in FIG.

한 쌍의 파지편(110, 120)은 상하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이분할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각의 파지편(110, 120)은 상면, 하면 및 일 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gripping pieces 110 and 12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hollow cylinder that is opened up and down i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each of the gripping pieces 110 and 120 may be formed as a hollow semi-cylindrical shape having open top, bottom, and one side.

제1 파지편(110)의 내주면에는 반고리형 돌기(111)와 테이퍼 영역(113)이 형성될 수 있다. 반고리형 돌기(111)는 제1 파지편(1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1 파지편(110)이 앵커헤드(11)의 외주면에 밀착되면 앵커헤드(11)의 오링 홈(12)에 삽입될 수 있다. 테이퍼 영역(113)은 제1 파지편(110)의 내경이 아래로 갈수록 감소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반고리형 돌기(1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A semicircular protrusion 111 and a tapered region 113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ripping piece 110. When the first gripping piece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chor head 11, the anti-circular protrusion 111 is formed t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gripping piece 110, ). The tapered area 113 may be an area where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gripping piece 110 decreases toward the bottom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nti-circular protrusion 111.

제1 파지편(110)의 상단 외주면에는 벨부(500)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115)가 형성될 수 있다.A male screw 115 that is screwed to the bell part 500 may be forme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rip part 110.

제1 파지편(110)의 하단 외주면에서는 복수의 안전 핀(117)이 돌출될 수 있다. 안전 핀(117)은 고리부(200)의 임의 낙하를 저지하여 고리부(200)가 구조물(30)과 충돌함으로써 구조물(3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afety pins 117 may protrude from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gripping piece 110. The safety pin 117 prevents any drop of the loop 200 and prevents the loop 200 from damaging the structure 30 by colliding with the structure 30. [

제1 파지편(110)의 측면에는 간격조절볼트(119)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간격조절볼트(119)는 돌출 길이가 조절되어 제1 파지편(110)과 제2 파지편(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파지부(100)는 다양한 직경의 앵커헤드(11)를 파지할 수 있다.A gap adjusting bolt 119 may be screw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gripping piece 110. The gap adjusting bolt 119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ipping piece 110 and the second gripping piece 120 by adjusting the protrusion length. As a result, the gripper 100 can grip the anchor head 11 of various diameters.

제2 파지편(120)은 제1 파지편(12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파지편(120)에도 반고리형 돌기(121), 테이퍼 영역(123), 수나사(125) 및 안전 핀(127)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파지편(120)의 측면에도 간격조절볼트(129)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gripping piece 12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gripping piece 120. That is, the second gripping piece 120 may also have the anti-circular protrusion 121, the tapered area 123, the male screw 125, and the safety pin 127, The adjustment bolt 129 can be screwed.

고리부(200)는 한 쌍의 파지편(110, 120)이 상호간에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ok 200 can prevent the pair of gripping pieces 110 and 120 from spreading to each other.

고리부(200)는 상하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리부(200)의 내측에는 파지부(100)가 삽입될 수 있다.The hook part 200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at is opened up and down, and the grip part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ok part 200.

고리부(200)는 한 쌍의 파지편(110, 120)이 상호간에 밀착된 상태에서의 파지부(1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고리부(200)는 파지부(100)가 다양한 직경의 앵커헤드(11)를 파지하기 위해 간격조절볼트(119, 129)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벌어지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The hook portion 200 may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grip portion 100 in a state where the pair of grip pieces 110 and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annular portion 200 can allow the grip portion 100 to spread within a certain range by the gap adjusting bolts 119 and 129 to grasp the anchor head 11 of various diameters.

고정부(300)는 고리부(200)의 상하 이동을 구속하여 고리부(2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가 임의 변경되어 한 쌍의 파지편(110, 120)이 상호간에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300 restrains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hook 20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ook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rbitrarily changed so that the pair of the gripping pieces 110 and 120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toward each other have.

고정부(300)는 걸림 홈(310) 및 걸림 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300 may include a locking groove 310 and a locking pin 320.

걸림 홈(310)은 고리부(20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홈(311) 및 락킹 홈(313)을 포함하여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311)은 하단이 개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락킹 홈(313)은 가이드 홈(311)의 상단에서 고리부(20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latching groove 3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ok 200 and may include a guide groove 311 and a locking groove 313 to form a translucent shape.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311 may be opened and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cking groove 313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nnulus 200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311.

걸림 핀(320)은 제1 파지편(110) 또는 제2 파지편(1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The engaging pin 320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ripping piece 110 or the second gripping piece 120.

걸림 핀(320)은 고리부(200)를 파지부(100)의 상측에서 하향 이동시키면 가이드 홈(311)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고, 걸림 핀(320)이 가이드 홈(311)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리부(200)를 회전시키면 락킹 홈(313)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고리부(2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The hooking pin 320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11 and moved when the hook 200 is mov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gripper 100. When the hooking pin 320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311 The hook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13 and moved.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hook 200 in the up-and-down direction can be fixed.

가압볼트(400)는 고리부(200)를 관통하도록 고리부(2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pressing bolt 400 may be screwed to the hook 200 to penetrate the hook 200.

가압볼트(400)의 단부는 고리부(20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파지부(100), 구체적으로 제1 파지편(110) 또는 제2 파지편(120)을 앵커헤드(1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파지부(100)를 보다 견고하게 앵커헤드(11)에 밀착시킬 수 있다.The end of the pressing bolt 400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ok 200 and presses the grip portion 100, specifically, the first gripping piece 110 or the second gripping piece 120 toward the anchor head 11 The grip portion 1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nchor head 11 more firmly.

가압볼트(400)는 고리부(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걸림 홈(310)의 반대쪽에 배치됨으로써 걸림 핀(320)이 걸림 홈(3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도 방지할 수도 있다.The pressing bolt 400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cking groove 31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ring 200 to prevent the locking pin 32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locking groove 310.

도 6은 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ell portion.

도 6을 참조하면, 벨부(500)는 하면이 개방된 벨(bel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bell part 500 may be formed in a bell shape having a bottom open.

벨부(500)의 내주면에는 파지부(100)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5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암나사(510)는 수나사(115, 125)에 치합할 수 있다.A female screw 5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l part 500 to be screwed to the grip part 100. That is, the female screw 510 can be engaged with the male screws 115 and 125.

텐션 바(600)는 벨부(5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향 연장될 수 있고, 상단에 유압실린더(2000)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너트(61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텐션 바(600)의 상단은 유압실린더(2000)와 케이스(3000)를 관통하여 유압실린더(2000)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tension bar 6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ell unit 500 and extend upward. A nut 610 lifted by the hydraulic cylinder 2000 may be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bar 600.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bar 600 may extend to the upper s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2000 through the hydraulic cylinder 2000 and the case 3000.

웨지부(700)는 복수의 웨지편(710, 720, 730) 및 복수의 제1 스프링(740, 750, 7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dge portion 7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edge pieces 710, 720, 730 and a plurality of first springs 740, 750, 760.

복수의 웨지편(710, 720, 730)은 복수의 제1 스프링(740, 750, 760)을 통해 상호간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edge pieces 710, 720, and 7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springs 740, 750, and 760.

웨지편(710, 720, 730)은 앵커헤드(11)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앵커헤드(11)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내주면을 구비할 수 있고, 파지부(10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파지편(110, 120)의 테이퍼 영역(113, 123)에 상응하는 형상의 외주면을 구비할 수 있다. 그 결과, 웨지편(710, 720, 730)의 두께는 아래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웨지부(700)의 외경도 아래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The wedge pieces 710, 720 and 730 may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 head 11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 head 11, The tapered regions 113 and 123 of the gripping pieces 110 and 120 may hav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apered regions 113 and 123.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wedge pieces 710, 720, and 730 can be reduced as they are lowered,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wedge portion 700 can be reduced as the wedge pieces 700 are lower.

웨지편(710, 720, 730)은 원판부(80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웨지편(710, 720, 730)의 상면에는 슬라이딩볼트(770)가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슬라이딩볼트(770)는 원판부(8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홀(8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홀(810)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wedge pieces 710, 720, and 73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disc 800. A sliding bolt 770 can be screw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dge pieces 710, 720 and 730 and the sliding bolt 770 can be inserted into a guide hole 810). The guide hole 810 may be formed in a long hole shape.

원판부(800)는 원형 고리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c portion 800 may be formed of a circular annular plate.

제2 스프링(900)은 양단이 벨부(500)의 내주면과 원판부(800)에 각각 결합되어 원판부(800)를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spring 90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l part 500 and the disc 800 to support the disc 800.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7 and FIG. 8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strand tensioner for a ground anch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앵커헤드(11)에서 앵커헤드 커버(15)와 오링(17)이 분리된 상태에서, 한 쌍의 파지편(110, 120)을 앵커헤드(11)의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리부(200)를 결합한 후에 가압볼트(400)를 조이고, 벨부(500)를 파지부(100)에 나사 결합하고, 벨부(500)에 텐션 바(600)를 결합하면, 텐션벨(100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압실린더(2000)와 케이스(3000)를 설치하고 너트(610)를 조이면 강연선 재긴장 장치(4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강연선 재긴장 장치(40)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유압실린더(2000)에 유압을 공급하여 너트(610)를 들어올릴 수 있고, 그로 인해 텐션벨(1000)에 의해 파지된 앵커헤드(11)도 구조물(30)로부터 들어올려져서 강연선(13)이 재긴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앵커헤드(11)와 구조물(30)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말발굽 형상의 플레이트부재(미도시)를 삽입하게 되면, 강연선 재긴장 장치(40)를 제거한 후에도 강연선(13)은 재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7 and 8, the anchor head cover 15 and the O-ring 17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anchor head 11, and a pair of the grip pieces 110 and 120 are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chor head 11 When the clamp 200 is tightened and then the clamp bolt 400 is clamped and the clamp 500 is screwed to the grip 100 and the tension bar 600 is coupled to the clamp 500, The assembly of the tension bell 1000 can be completed. Next, when the hydraulic cylinder 2000 and the case 3000 are installed and the nut 610 is tightened, the installation of the strand tensioner 40 can be completed. The nut 610 can be lifted by supply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2000 so that the anchor head 11 gripped by the tension bell 1000 can be lifted, So that the stranded wire 13 can be re-tensioned. Finally, when a horseshoe-shaped plate member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gap formed between the anchor head 11 and the structure 30, the strand 13 is re-tensioned even after removing the strand reinforcement 40 Lt; / RTI >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그라운드 앵커 11: 앵커헤드
12: 오링 홈 13: 강연선
15: 앵커헤드 커버 17: 오링
20: 지반 30: 구조물
40: 강연선 재긴장 장치 100: 파지부
110: 제1 파지편 111: 반고리형 돌기
113: 테이퍼 영역 115: 수나사
117: 안전 핀 119: 간격조절볼트
120: 제2 파지편 121: 반고리형 돌기
123: 테이퍼 영역 125: 수나사
127: 안전 핀 129: 간격조절볼트
200: 고리부 300: 고정부
310: 걸림 홈 311: 가이드 홈
313: 락킹 홈 320: 걸림 핀
400: 가압볼트 500: 벨부
510: 암나사 600: 텐션 바
610: 너트 700: 웨지부
710, 720, 730: 웨지편 740, 750, 760: 제1 스프링
770: 슬라이딩볼트 800: 원판부
810: 가이드 홀 900: 제2 스프링
1000: 텐션벨 2000: 유압실린더
3000: 케이스
10: ground anchor 11: anchor head
12: O-ring groove 13: Stranded wire
15: Anchor head cover 17: O-ring
20: Soil 30: Structure
40: Re-tensioning device of stranded wire 100:
110: first gripping piece 111: semi-circular protrusion
113: tapered area 115: male thread
117: Safety pin 119: Spacing bolt
120: second gripping piece 121: semi-circular protrusion
123: tapered area 125: male thread
127: Safety pin 129: Spacing bolt
200: ring part 300: fixed part
310: latching groove 311: guide groove
313: Locking groove 320:
400: pressure bolt 500:
510: female thread 600: tension bar
610: Nut 700: Wedge part
710, 720, 730: Wedge pieces 740, 750, 760: First spring
770: Sliding bolt 800:
810: Guide hole 900: Second spring
1000: Tension Bell 2000: Hydraulic cylinder
3000: Case

Claims (8)

그라운드 앵커에서 강연선이 고정되고 외주면에 오링 홈이 형성되는 앵커헤드를 들어올려 강연선을 재긴장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헤드를 파지하는 텐션벨;
상기 텐션벨을 상기 앵커헤드가 안착되는 구조물로부터 들어올리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구조물에 안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를 지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벨은,
중공의 원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이분할한 한 쌍의 파지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편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오링 홈에 삽입되는 반고리형 돌기가 형성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가 삽입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상기 파지부를 상기 앵커헤드 측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볼트;
상기 파지부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에 치합하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벨부;
상기 벨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텐션 바;
상기 앵커헤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웨지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웨지편은 제1 스프링을 통해 상호간에 직렬 연결되는 웨지부;
상기 복수의 웨지편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부; 및
상기 벨부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원판부를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벨부가 상기 파지부에 나사 결합되면, 상기 복수의 웨지편은 상기 파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테이퍼 영역에 의해 상호간에 근접하여 상기 앵커헤드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웨지편을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
A strand re-tensioning apparatus for a ground anchor, in which a strand is fixed at a ground anchor and an anchor head having an O-ring groove formed at its outer circumference is lifted to re-tense the strand,
A tension bell for holding the anchor head;
A hydraulic cylinder for lifting the tension bell from a structure in which the anchor head is seated; And
And a case which is seated on the structure and supports the hydraulic cylinder,
The tension bell
A gripping portion formed of a pair of gripping pieces in which a hollow cylinder i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piece is formed with a semicircular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A hook portion into which the grip portion is inserted;
A plurality of pressing bolts penetrating through the annular portion and screwed to press the grip portion toward the anchor head;
A bell part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emale screw which mates with a male screw forme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art;
A tension ba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ell portion and lifted by the hydraulic cylinder;
A plurality of wedge piece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chor head, the plurality of wedge pieces being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spring;
A disc por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wedge pieces are respectively slidably engaged; And
And a second spring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l portion to support the disc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wedge piece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tapered reg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pper portion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chor head when the bell portion is screwed to the gripper portion, And the spring is compressed to tightly adhere the wedge piece to the ground anch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는 상기 파지부의 테이퍼 영역에 상응하게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dge portion has a reduced outer diameter in accordance with a tapered region of the grip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한 쌍의 파지편이 상호간에 밀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파지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져 다양한 직경의 상기 앵커헤드에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op portion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grip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gripping pie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op portion can be applied to the anchor head of various diamet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의 측면에는 간격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파지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spacing adjusting bolt is screwed on a side surface of the grip piece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grip pie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를 상기 파지부에 구속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x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loop portion to the grip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리부의 내주면에 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 홈; 및
상기 파지편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되는 걸림 핀을 포함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ing unit includes:
A latching groove having a lower end open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 and an upper end closed; And
And an engaging pin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iece and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in a translucent sha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하단이 개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에서 상기 고리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락킹 홈을 포함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ngaging groove
A guide groove whose lower end is opened and which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locking groov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nnular portion.
KR1020170135381A 2017-10-18 2017-10-18 Apparatus for re-providing tension for steel strand of ground anchor KR1020216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381A KR102021602B1 (en) 2017-10-18 2017-10-18 Apparatus for re-providing tension for steel strand of ground anch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381A KR102021602B1 (en) 2017-10-18 2017-10-18 Apparatus for re-providing tension for steel strand of ground anch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383A true KR20190043383A (en) 2019-04-26
KR102021602B1 KR102021602B1 (en) 2019-09-16

Family

ID=6628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381A KR102021602B1 (en) 2017-10-18 2017-10-18 Apparatus for re-providing tension for steel strand of ground anch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6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1639A (en) * 2020-11-26 2021-02-26 华侨大学 Intelligent anchor device-based anchor rod axial force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235B1 (en) * 2023-06-23 2024-03-26 주식회사 터널테크 Ground anchor re-tensioning apparatus and re-tensioning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13B1 (en) 2009-02-19 2011-05-23 김용만 Apparatus for drawing wire of ground anchor
KR200481040Y1 (en) 2016-03-07 2016-08-04 김홍기 Testing and granting apparatus of tensile force for ground anchor
KR101757713B1 (en) * 2016-11-09 2017-07-13 지오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ultipurpose restrain apparatus improved in wedge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13B1 (en) 2009-02-19 2011-05-23 김용만 Apparatus for drawing wire of ground anchor
KR200481040Y1 (en) 2016-03-07 2016-08-04 김홍기 Testing and granting apparatus of tensile force for ground anchor
KR101757713B1 (en) * 2016-11-09 2017-07-13 지오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ultipurpose restrain apparatus improved in wedge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1639A (en) * 2020-11-26 2021-02-26 华侨大学 Intelligent anchor device-based anchor rod axial force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602B1 (en)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7753B1 (en) Cable clamp
US9580281B2 (en) Tubing clamp assembly
US4787592A (en) Device for hanging building member
KR20190043383A (en) Apparatus for re-providing tension for steel strand of ground anchor
JP2006337058A (en) Load measuring method for existing anchor and re-tensing method for existing anchor
KR100684387B1 (en) Ten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arth anchor
US201801489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ning of a Cable to a Tubular Body
KR102007935B1 (en) Apparatus for re-tensioning anchor
KR1019555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tressing of Ground Anchor
KR20180009190A (en) Device for re-prestressing of anchor
KR101036013B1 (en) Apparatus for drawing wire of ground anchor
US9850980B2 (en) Cable puller for portable mast
KR102033261B1 (en) Restrain apparatus improved in wedge install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794480B1 (en) Testing apparatus of tensile force for ground anchor
US8567016B2 (en) Splice tube with wedge retaining caps
KR101765536B1 (en) Removal apparatus of tension material for ground anchor
KR102100387B1 (en) Method for re-tensioning anchor
KR102125243B1 (en) Method for re-tentioning the installed anchor and the visual confirmation device installing
JPH11256827A (en) Re-tensioning method of anchor and re-tensioning jig
KR100447967B1 (en) dismantling equipment of tension member for anchor method
AU736561B2 (en) Cable tensioning device
KR102411094B1 (en) Lif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U752771B2 (en) Cable tensioning device
KR200344958Y1 (en) Tension member removable anchoring apparatus with wedge spring and wedge-cone spring
KR102214174B1 (en) Anchor head unit for re-tensioning of strand wire and re-tensioning method of strand wir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