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371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371A
KR20190043371A KR1020170135355A KR20170135355A KR20190043371A KR 20190043371 A KR20190043371 A KR 20190043371A KR 1020170135355 A KR1020170135355 A KR 1020170135355A KR 20170135355 A KR20170135355 A KR 20170135355A KR 20190043371 A KR20190043371 A KR 20190043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unit
display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503B1 (ko
Inventor
홍베드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503B1/ko
Priority to EP18869080.4A priority patent/EP3698349A4/en
Priority to PCT/KR2018/011970 priority patent/WO2019078542A1/en
Priority to US16/161,254 priority patent/US10789887B2/en
Publication of KR2019004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6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booting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과,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되는 제1 직류 전원, 및 제2 직류 전원을 마이컴 및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는,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제1 직류 전원을 방전하는 방전부를 포함하고, 마이컴은,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방전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라,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영상표시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표시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장치는,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송 영상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패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영상표시장치에, 화질이 선명한 유기발광패널을 채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발광패널은, 교류 전원에 의해 온 되는 경우, 소자 특성상, 최소 온 대기 기간이 설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여, 패널을 신속하게 온 시키는 방안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표시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에 설정된 디스플레이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과,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되는 제1 직류 전원, 및 제2 직류 전원을 마이컴 및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는,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제1 직류 전원을 방전하는 방전부를 포함하고, 마이컴은,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방전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라,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과,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되는 제1 직류 전원, 및 제2 직류 전원을 마이컴 및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는,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하강하는 전압 레벨을 출력하며, 마이컴은,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과,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되는 제1 직류 전원, 및 제2 직류 전원을 마이컴 및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는,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제1 직류 전원을 방전하는 방전부를 포함하고, 마이컴은,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방전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라,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 재개 시점의 방전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 재개 시점의 방전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 초과인 경우,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설정된 디스플레이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지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방전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에 도달한 이후,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설정된 디스플레이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제1 직류 전원의 레벨이, 제1 레벨에서 기준치까지 하강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이, 디스플레이의 최소 온 대기 기간에 대응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설정된 디스플레이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최소 온 대기 기간 동안, 유기발광패널의 각 화소에 구비되는 저장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까지 하강함으로써, 정확한 영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에 스탠바이부가 제거됨으로써, 전원 공급부의 제조 비용이 저감되게 된다.
한편, 마이컴이, 방전부에서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 재개 시점의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과,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되는 제1 직류 전원, 및 제2 직류 전원을 마이컴 및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는,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하강하는 전압 레벨을 출력하며, 마이컴은,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압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의 공급 재개 시점의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압 레벨이, 기준치 초과인 경우,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설정된 디스플레이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지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압 레벨이, 기준치에 도달한 이후, 제2 직류 전원이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설정된 디스플레이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는 전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도 8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10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13 내지 도 15c는 도 12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180)가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을 위주로 기술한다.
한편,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은, 액정표시패널 보다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이 더 길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패널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이, 대략 1초라면,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은 대략 3초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최소 온 대기 기간은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면서, 간단하고, 저가의 비용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패널(210)과, 유기발광패널(210)을 제어하는 제어부(170 또는 232)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180)는, 유기발광패널(210)에 표시할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제1 기간에, 유기발광패널(210)의 제1 영역에 제1 프레임 영상의 일부를 표시하고, 유기발광패널(210)의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제1 프레임 영상 이전인 제2 프레임 영상의 일부를 표시하며, 제1 기간 후의 제2 기간에, 유기발광패널(210)의 전 영역에, 블랙 영상(Black)를 표시함으로써, 동영상 표시시 패널(210) 응답 속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도 12의 750)과, 입력되는 교류 전원(Vac)을 변환하여, 변환되는 제1 직류 전원(V1), 및 제2 직류 전원(VDD)을 마이컴(750) 및 디스플레이(180)에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도 12의 190)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190)는,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제1 직류 전원(V1)을 방전하는 방전부(도 12의 760)를 포함하고,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라,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 재개 시점의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Vth) 이하인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 재개 시점의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Vth) 초과인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180)에 설정된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지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Vth)에 도달한 이후,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180)에 설정된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제1 직류 전원(V1)의 레벨이, 제1 레벨(V1)에서 기준치(Vth)까지 하강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이,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에 대응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디스플레이(180)에 설정된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최소 온 대기 기간 동안, 유기발광패널의 각 화소에 구비되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GND)까지 하강함으로써, 정확한 영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에 스탠바이부(725)가 제거됨으로써, 전원 공급부(190)의 제조 비용이 저감되게 된다.
한편, 마이컴(750)이, 방전부(760)에서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E2)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 재개 시점의 전압 검출부(E2)에서 검출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Vth) 이하인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750)과, 입력되는 교류 전원(Vac)을 변환하여, 변환되는 제1 직류 전원(V1), 및 제2 직류 전원(VDD)을 마이컴(750) 및 디스플레이(180)에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190)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하강하는 전압 레벨을 출력하며,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로부터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로부터의 전압 레벨이 기준치(Vth) 이하인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 재개 시점의 전원 공급부(190)로부터의 전압 레벨이, 기준치(Vth) 초과인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180)에 설정된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지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로부터의 전압 레벨이, 기준치(Vth)에 도달한 이후,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180)에 설정된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다양한 동작방법에 대해서는, 도 12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니터, TV,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5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180)는, 유기발광패널(210), 제1 인터페이스부(230), 제2 인터페이스부(231), 타이밍 컨트롤러(232), 게이트 구동부(234), 데이터 구동부(236), 메모리(240), 프로세서(270), 전원 공급부(290), 전류 검출부(1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 및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하고,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 내의 제1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부(170)로부터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류 전원(V1)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전원 공급부(290), 및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제2 인터페이스부(231)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직류 전원(V2)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데이터 구동부(236)에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230)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Vd)를 변환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va1)를 출력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변환된 영상 신호(va1)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34)의 동작을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부(236)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Sda)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의 데이터 구동 신호(Sda)는, 패널(210)이 RGBW의 서브픽셀을 구비하는 경우, RGBW 서브픽셀 구동용 데이터 구동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제어 신호(Cs)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는, 타이밍 컨트롤러(232)로부터의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 신호(Sda)에 따라, 각각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유기발광패널(21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210)은 소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유기 발광층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구동부(236)는, 제2 인터페이스부(231)로부터의 제2 직류 전원(V2)에 기초하여, 유기발광패널(210)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각종 전원을,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에 공급할 수 있다.
전류 검출부(111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되는 전류는, 누적 전류 연산을 위해, 프로세서(270) 등에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각 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전류 검출부(1110)로부터,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되는 누적 전류는, 메모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가, 허용치 이상인 경우, 번인(burn in)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픽셀(Pixel)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210)은, 복수의 스캔 라인(Scan 1 ~ Scan n)과, 이에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R1,G1,B1,W1 ~ Rm,Gm,Bm,Wm)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픽셀(subpixel)이 정의된다. 도면에서는, RGBW의 서브픽셀(SR1,SG1,SB1,SW1)을 구비하는 픽셀(Pixel)을 도시한다.
도 6b은, 도 6a의 유기발광패널의 픽셀(Pixel) 내의 어느 하나의 서브픽셀(sub pixel)의 회로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서브픽셀(sub pixell) 회로(CRTm)는, 능동형으로서, 스캔 스위칭 소자(SW1),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스위칭 소자(SW2),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스캔 스위칭 소자(SW1)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Vdscan)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유기발광층(OLED)은,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RGBW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픽셀(sub pixell)은, 유기발광층(OLED)에서 모두 백색의 광을 출력하나,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색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컬러필터가 구비된다. 즉,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각각 녹색,적색,청색 컬러필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백색 서브픽셀의 경우, 백색광을 출력하므로, 별도의 컬러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스캔 스위칭 소자(SW1)와 구동 스위칭 소자(SW2)로서, p타입의 MOSFET인 경우를 예시하나, n타입의 MOSFET이거나, 그 외, JFET, IGBT, 또는 SIC 등의 스위칭 소자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픽셀(Pixel)은, 단위 표시 기간 동안, 구체적으로 단위 프레임 동안, 스캔 신호가 인가된 이후, 유기발광층(OLED)에서 계속 발광하는 홀드 타입의 소자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다가 중단되는 경우,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가 소비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다시 공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이 지켜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편,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을 고려하면서, 간단하고, 저가의 비용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7은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는 전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Ta 시점에 교류 전원이 전원 공급부(190)에 공급되는 경우, Px 기간 이후의 Tb 시점에, 디스플레이(180)의 패널(210)에 동작 전원(VDD)이 공급되어 턴온된다.
한편, Tc 시점에, 교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Td 시점에, 패널(210)에 인가되는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GND)까지 하강하게 된다.
그 이후, Te 시점에, 교류 전원이 전원 공급부(190)에 다시 공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패널(210)에 공급되는 전압이 상승하여, Tf 시점에, 스플레이(180)의 패널(210)에 동작 전원(VDD)이 공급되어 턴온된다.
이때, Td 시점부터 Tf 시점까지의 기간, 또는 Tc 시점부터 Tf 시점까지의 기간은, 패널 보호 등을 위해, 최소 온 대기 기간과 동일하거나,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최소 온 대기 기간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8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고, 도 9a 내지 도 9b는 도 8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8의 영상표시장치(100x)는, 전원 공급부(190), 마이컴(750), 릴레이(755), 타이밍 컨트롤러(232), 패널(210)을 구비할 수 있다.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접속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며,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Vac)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ac/sc 컨버터(710),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제1 dc/dc 컨버터(715), 제2 dc/dc 컨버터(720), 전원 오프시, 스탠바이 전원을 공급하는 스탠바이부(72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릴레이(755)가 동작하며, 동작 신호(RL)가 마이컴(750)에 입력될 수 있다.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동작 전원(V1)을 입력받아, 동작하며,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전원 공급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전원 제어 신호(VDD_CL)에 응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232)로 동작 전원(VDD)을 출력하며,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패널(210)로 동작 전원(VDD)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영상표시장치(100x)는, 도 9a 및 도 9b의 파형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패널(21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은, Py라 할 수 있다.
먼저, 도 9a는,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다가, T1a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서 탈거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다가,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인, T3a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다시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9a의 (a)와 같은, 전원 공급부(190)에 입력되는 교류 전원 파형(Vac1)이 예시될 수 있다. 즉, T1a 시점에, 오프(off)되고,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인, T3a 시점에, 다시 온(on)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스탠바이부(725)는 카운터(726)를 구비하며, 도 8의 마이컴(750)은 카운터를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 내의 스탠바이부(725)는, 마이컴(750)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도록, 소정 기간 동안, 스탠바이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간은, 패널(21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의 마이컴(750)은, 도 9a의 (c)와 같이, T1a 시점에,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전원 공급부(190) 내의 스탠바이부(725)에서 출력되는 스탠바이부(725) 전원에 의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마이컴(750)은, 도 9a의 (c)와 같이, 대략, T1a 시점 부터, 최소 온 대기 기간(Py)인, T2a 시점까지 온 상태를 유지하고, T2a 시점부터 T3a 까지 오프(off) 되었다가, T3a 시점부터 다시 온 될 수 있다.
한편, 마이컴(750)은,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T1a 시점부터,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하지 않으며,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인, T3a 시점에,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a의 (b)와 같이, 전원 공급부(190)의 제2 dc/dc 컨버터(720)는, T1a 시점부터 T3a 시점 까지, 동작 전원(VDD)을 출력하지 않으며, T3a 시점 이후부터 동작 전원(VDD)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 9a의 (b)의 동작 전원 파형(VDD1)에 따라, 패널(210)이 턴 온될 수 있다. 즉, VD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온되고, GN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오프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재개되더라도, 패널(21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에, 동작 전원(VDD)이 공급되므로, 안정적으로 패널(210)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9b는,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다가, T1b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서 탈거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다가,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전인, T2b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다시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9b의 (a)와 같은, 전원 공급부(190)에 입력되는 교류 전원 파형(Vac2)이 예시될 수 있다. 즉, T1b 시점에, 오프(off)되고,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전인, T2b 시점에, 다시 온(on)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 내의 스탠바이부(725)는, 마이컴(750)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도록, 소정 기간 동안, 스탠바이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간은, 패널(21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의 마이컴(750)은, 도 9b의 (c)와 같이, T1b 시점에,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전원 공급부(190) 내의 스탠바이부(725)에서 출력되는 스탠바이부(725) 전원에 의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국, 도 8의 마이컴(750)은, 도 9b의 (c)와 같이, 대략, T1b 시점의 교류 전원 공급 중단에도 불구하고, 스탠바이부(725) 전원에 의해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T2b 시점에 교류 전원이 다시 공급되는 경우,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마이컴(750)은,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T1b 시점부터,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하지 않으며, T2b 시점에 교류 전원이 다시 공급되더라도, 최소 온 대기 기간(Py)이 도과하지 않았으므로, T2b 시점에서 T3b 시점 구간 동안,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마이컴(750)은, T1b 시점부터, 최소 온 대기 기간(Py)이 경과한, T3b 시점에서야 비로서,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b의 (b)와 같이, 전원 공급부(190)의 제2 dc/dc 컨버터(720)는, T1b 시점부터 T3b 시점 까지, 동작 전원(VDD)을 출력하지 않으며, T3b 시점 이전부터 동작 전원(VDD)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 9b의 (b)의 동작 전원 파형(VDD2)에 따라, 패널(210)이 턴 온될 수 있다. 즉, VD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온되고, GN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오프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패널(21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전에, 다시 재개되더라도, 패널(21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이 지나야 비로서, 동작 전원(VDD)이 공급되므로, 안정적으로 패널(210)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의 영상표시장치(100x)에 의하면, 전원 공급부(190)가 별도의 스탠바이부(725)를 구비하여야 하며, 최소 온 대기 기간(Py)에 대한 카운트를 수행하는 카운터(728)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스탠바이부(725), 카운터(728) 등을 사용하면, 별도의 제조 비용 등이 추가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스탠바이부(725), 카운터(728) 등을 구비하지 않고, 동작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원 공급부(190) 또는 마이컴(750)은, 카운터(726)를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원 공급부(190)는 스탠바이부(725)를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고,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10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0의 영상표시장치(100y)는, 도 8의 영상표시장치(100x)와 유사하게, 전원 공급부(190), 마이컴(750), 릴레이(755), 타이밍 컨트롤러(232), 패널(210)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도 8과 달리, 전원 공급부(190) 내에, 스탠바이부(725)가 구비되지 않으며, 마이컴(750) 내에 카운터(726)가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 마이컴(750), 릴레이(755), 타이밍 컨트롤러(232), 패널(210)에 대한 설명은, 도 8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한편, 스탠바이부(725)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마이컴(750)은 바로 오프되게 된다.
한편, 도 10의 영상표시장치(100y)는, 도 11a 및 도 11b의 파형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패널(21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은, Py라 할 수 있다.
먼저, 도 11a는,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다가,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인, T1c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서 탈거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다가, T2c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다시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1a의 (a)와 같은, 전원 공급부(190)에 입력되는 교류 전원 파형(Vac3)이 예시될 수 있다. 즉, T1c 시점에, 오프(off)되고,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인, T3c 시점에, 다시 온(on)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의 마이컴(750)은, 도 11a의 (c)와 같이, T1c 시점에, 오프되고, T2c 시점에 온 되게 된다.
한편, 마이컴(750)이 카운터(726)를 구비하므로, 마이컴(750)은, 교류 전원(Vac)이 다시 공급되는 T2c 시점 부터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인, T3c 시점에,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마이컴(750)은, 도 11a의 (b)와 같이, T1c 시점부터 T3c 시점까지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하지 않다가, T3c 시점부터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a의 (b)와 같이, 전원 공급부(190)의 제2 dc/dc 컨버터(720)는, T1c 시점부터 T3c 시점 까지, 동작 전원(VDD)을 출력하지 않으며, T3c 시점 이후부터 동작 전원(VDD)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 11a의 (b)의 동작 전원 파형(VDD3)에 따라, 패널(210)이 턴 온될 수 있다. 즉, VD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온되고, GN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오프되게 된다.
다음, 도 11b는,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다가, T1d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서 탈거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다가,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전인, T2d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다시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1b의 (a)와 같은, 전원 공급부(190)에 입력되는 교류 전원 파형(Vac4)이 예시될 수 있다. 즉, T1d 시점에, 오프(off)되고,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전인, T2d 시점에, 다시 온(on)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의 마이컴(750)은, 도 11b의 (d)와 같이, T1d 시점에, 오프되고, T2d 시점에 온 되게 된다.
한편, 마이컴(750)이 카운터(726)를 구비하므로, 마이컴(750)은, 교류 전원(Vac)이 다시 공급되는 T2d 시점 부터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인, T3d 시점에,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마이컴(750)은, 도 11b의 (b)와 같이, T1d 시점부터 T3d 시점까지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하지 않다가, T3d 시점부터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b의 (b)와 같이, 전원 공급부(190)의 제2 dc/dc 컨버터(720)는, T1d 시점부터 T3d 시점 까지, 동작 전원(VDD)을 출력하지 않으며, T3d 시점 이후부터 동작 전원(VDD)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 11b의 (b)의 동작 전원 파형(VDD4)에 따라, 패널(210)이 턴 온될 수 있다. 즉, VD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온되고, GN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오프되게 된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재개시, 교류 전원(Vac)의 공급 이후, 최소 온 대기 기간(Py) 동안, 동작 전원(VDD)이 공급되지 않아, 패널(210)의 턴 온 동작이 상당히 늦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소 온 대기 기간(Py)이 대략 3초인 경우, 교류 전원 공급 이후, 대략 3초 동안, 패널(210)이 턴 온되지 않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결국, 도 10의 영상표시장치(100y)에 의하면, 전원 공급부(190)가 별도의 스탠바이부(725)를 구비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마이컴(750) 등에, 카운터(726)를 구비하더라도, 교류 전원 공급 이후, 대략 3초 동안, 패널(210)이 턴 온되지 않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탠바이부(725)를 구비하지 않으며, 별도의 카운터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교류 전원 재개시,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 특히 패널(210)을 신속하게 턴 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고, 도 13 내지 도 15c는 도 12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2의 영상표시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90), 마이컴(750), 릴레이(755), 타이밍 컨트롤러(232), 패널(210)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릴레이(755)가 동작하며, 동작 신호(RL)가 마이컴(750)에 입력될 수 있다. 즉, 릴레이의 턴 온 동작에 의해, 마이컴(750)이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접속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며,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Vac)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ac/sc 컨버터(710),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1 직류 전원(V1)으로 변환하는 제1 dc/dc 컨버터(715),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2 직류 전원(V2)으로 변환하는 제2 dc/dc 컨버터(720),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제1 직류 전원(V1)을 방전하는 방전부(760)를 구비할 수 있다.
방전부(760)는, 도 13과 같이, 스위칭 소자(S1)를 구비하는 스위칭부(930)와, 커패시터 소자(C1)를 구비하는 전력 저장부(9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스위칭부(930) 내에, 스위칭 소자(S1)에 병렬 접속되는 저항 소자(R1), 전력 저장부(920) 내에, 커패시터 소자(C1)에 병렬 접속되는 저항 소자(R2) 등을 더 예시한다.
한편, 방전부(760) 내의 스위칭 소자(S1)의 동작은, 마이컴(750)의 동작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소자(S1)의 턴 온에 의해, 제1 전류 패쓰(Ipath1)를 통해, 전원 공급부(190)로부터의 제1 직류 전원(V1)이, 커패시터 소자(C1)에 저장되며, 마이컴(750)에 제1 직류 전원(V1)이, 공급되게 된다.
한편, 스위칭 소자(S1)의 턴 오프에 의해, 제2 전류 패쓰(Ipath2)를 통해, 커패시터 소자(C1)에 저장된 전압이 방전되며, 커패시터 소자(C1)로부터의 방전 전압이, 마이컴(750)으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도 14는 방전부(760) 내의 스위칭 소자(S1)의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 레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Tm 시점까지, 스위칭 소자(S1)가 온 되고, Tm 시점 이후 부터, 스위칭 소자(S1)가 턴 오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레벨은, Tm 시점까지, V1을 유지하며, Tm 시점 이후 부터, 커패시터 소자(C1)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전되므로, 도면과 같이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한편, 순차 하강시의 시정수는, RC 값에 의해 좌우되며, 대략,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 저항 소자(R2)의 저항값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RC 시정수를 이용한다.
V1 전압에서 기준치(Vth)까지 하강하는 기간(Pz)이, 상술한, 최소 온 대기 기간(Py)에 대응하도록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류 전원 재개시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을 확보하면서, 신속하게, 패널이 턴 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제1 직류 전원의 레벨이, 제1 레벨(V1)에서 기준치(Vth)까지 하강하는 시점까지의 기간(Pz)은,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라,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제척으로,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 재개 시점의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Vth) 이하인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경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 재개 시점의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Vth) 초과인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설정된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을 지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이컴(750)은,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Vth)에 도달한 이후,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설정된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디스플레이(180)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은, 복수의 픽셀(pixel)을 구비하며, 픽셀(pixel)은, 유기발광층(OLED), 유기발광층(OLED)에 접속되며, 제2 직류 전원(VDD)을 이용하여, 스위칭을 수행하는 구동 스위칭 소자(S1)와, 구동 스위칭 소자(S1)에 접속되는 저장 커패시터(Cst)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최소 온 대기 기간(Py) 동안, 유기발광패널(210)의 각 화소에 구비되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GND)까지 하강함으로써, 정확한 영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에 스탠바이부(725)가 제거됨으로써, 전원 공급부(190)의 제조 비용이 저감되게 된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 또는 마이컴(750)은, 카운터(726)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제조 비용이 저감되게 된다.
한편, 마이컴(750)은, 제1 직류 전원(V1)을 입력받는 제1 단자(TE1)와, 방전부(760)를 거쳐, 제1 직류 전원(V1)을 입력받는 제2 단자(TE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컴(750)은, 제1 dc/dc 컨버터(715)에서 출력되는 제1 직류 전원(V1)을, 방전부(760)를 거치지 않고 제1 단자(TE1)를 통해 바로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마이컴(750)은, 제1 단자(TE1)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라, 교류 전원이 전원 공급부(190)에 입력되는지 중단되었는 지를 바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벨(V1)이 제1 단자(TE1)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마이컴(750)은, 교류 전원이 전원 공급부(190)에 공급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그라운드 전압(GND)이 제1 단자(TE1)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마이컴(750)은, 교류 전원이 전원 공급부(190)에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컴(750)은, 제1 단자(TE1)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제1 전압 검출부(E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제1 전압 검출부(E1)가, 마이컴(750)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마이컴(750)은, 제2 단자(TE2)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라, 교류 전원 공급 중단 이후, 최소 온 대기 기간(Py)이 경과하였는 지를 바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류 전원 공급 중단 이후, 제1 단자(TE1)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치(Vth) 보다 높은 경우, 마이컴(750)은, 최소 온 대기 기간(Py)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단자(TE1)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치(Vth)인 경우, 마이컴(750)은, 최소 온 대기 기간(Py)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컴(750)은, 제2 단자(TE2)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제2 전압 검출부(E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제2 전압 검출부(E2)가, 마이컴(750)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마이컴(750)은, 제1 단자(TE1)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하강하는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제1 단자(TE1)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하이 레벨이며, 제2 단자(TE2)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기준치(Vth) 이하인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마이컴(750)은, 제1 단자(E1), 제1 전압 검출부(E1)를 구비하지 않고, 제2 단자(E2), 제2 전압 검출부(E2)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어, 단자(TE2)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하이 레벨인 제1 레벨(V1)에서 하강하는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다시 공급되며, 단자(TE2)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기준치(Vth) 이하인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 재개 시점의 전압 검출부(E2)에서 검출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Vth) 이하인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 재개 시점의 전압 검출부(E2)에서 검출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Vth) 이하인 경우, 제2 직류 전원(VDD)이 디스플레이(1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1 직류 전원(V1)을 입력받아, 동작하며,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전원 공급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전원 제어 신호(VDD_CL)에 응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232)로 제2 직류 전원(VDD)을 출력하며,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패널(210)로 제2 직류 전원(VDD)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5a 및 도 15b의 파형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패널(210)의 최소 온 대기 기간은, Py라 할 수 있다.
먼저, 도 15a는,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다가, Taa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서 탈거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다가,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인, Tba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다시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5a의 (a)와 같은, 전원 공급부(190)에 입력되는 교류 전원 파형(Vaca)이 예시될 수 있다. 즉, Taa 시점에, 오프(off)되고,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인, Tba 시점에, 다시 온(on)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 내의 방전부(760)는, Taa 시점부터 방전을 수행한다. 즉, 스위칭 소자(S1)이 턴 오프되고, 커패시터 소자(C1)에 저장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a의 (c)와 같이,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a)의 레벨이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한편,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a)의 레벨이 순차적으로 하강하다가, 기준치(Vth)에 도달하는 시점은, Tca 로 예시된다.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도 15a의 (d)와 같이,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a)에 의해, Tca 시점까지, 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Tca 시점부터, 다시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Tba시점까지 오프되며, Tba 시점부터 다시 온 될 수 있다.
한편, 마이컴(750)은,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a)의 레벨이 순차적으로 하강하다가, 기준치(Vth)에 도달한 이후, 다시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재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을 만족하므로, Tba시점에,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전원 공급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마이컴(750)은,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Taa 시점부터,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하지 않으며,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인, Tba 시점에,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다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a의 (b)와 같이, 전원 공급부(190)의 제2 dc/dc 컨버터(720)는, Taa 시점부터 Tba 시점 까지, 제2 직류 전원(VDD)을 출력하지 않으며, Tba 시점 이후부터 제2 직류 전원(VDD)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 15a의 (b)의 동작 전원 파형(VDDa)에 따라, 패널(210)이 턴 온될 수 있다. 즉, VD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온되고, GN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오프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재개되더라도, 패널(21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에, 제2 직류 전원(VDD)이 공급되므로,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패널(210)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5b는,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다가, Tab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서 탈거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다가,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전인, Tbb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다시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5b의 (a)와 같은, 전원 공급부(190)에 입력되는 교류 전원 파형(Vacb)이 예시될 수 있다. 즉, Tab 시점에, 오프(off)되고,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전인, Tbb 시점에, 다시 온(on)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 내의 방전부(760)는, Tab 시점부터 방전을 수행한다. 즉, 스위칭 소자(S1)이 턴 오프되고, 커패시터 소자(C1)에 저장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b의 (c)와 같이,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b)의 레벨이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한편,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b)의 레벨이 순차적으로 하강하다가, 기준치(Vth)에 도달하는 시점은, Tbb 시점 이후인 Tdb 로 예시된다.
마이컴(750)은, Tbb 시점에,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재개되더라도,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b)의 레벨이 기준치(Vth) 보다 크므로,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전원 공급부(190)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도 15b의 (d)와 같이,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b)에 의해, Tdb 시점까지, 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Tdb 시부터, Tcb 시점까지 잠시 오프되었다가, Tcb 시점부터, 다시 온 될 수 있다.
또는, 마이컴(750)은,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b)이 계속 기준치(Vth) 이상이므로, 도 15b의 (d)와 달리, 계속 온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마이컴(750)은,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a)의 레벨이 순차적으로 하강하다가, 기준치(Vth)에 도달한 시점 이후인 Tcb 시점에,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전원 공급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마이컴(750)은,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a)의 레벨이 순차적으로 하강하다가, 기준치(Vth)에 도달한 시점인 Tdb 시점에,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전원 공급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마이컴(750)은,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Tab 시점부터,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하지 않으며,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에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다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b의 (b)와 같이, 전원 공급부(190)의 제2 dc/dc 컨버터(720)는, Tab 시점부터 Tcb 시점 까지, 제2 직류 전원(VDD)을 출력하지 않으며, Tcb 시점 이후부터 제2 직류 전원(VDD)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 15b의 (b)의 동작 전원 파형(VDDa)에 따라, 패널(210)이 턴 온될 수 있다. 즉, VD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온되고, GN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오프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재개되더라도, 패널(21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에, 제2 직류 전원(VDD)이 공급되므로,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패널(210)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5c는,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다가, Tac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서 탈거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다가,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전인, Tbc 시점에,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에 다시 접속되어,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5c의 (a)와 같은, 전원 공급부(190)에 입력되는 교류 전원 파형(Vacc)이 예시될 수 있다. 즉, Tac 시점에, 오프(off)되고,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전인, Tbc 시점에, 다시 온(on)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 내의 방전부(760)는, Tac 시점부터 방전을 수행한다. 즉, 스위칭 소자(S1)이 턴 오프되고, 커패시터 소자(C1)에 저장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c의 (c)와 같이,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c)의 레벨이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한편,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c)의 레벨이 순차적으로 하강하다가, 기준치(Vth)에 도달하는 시점은, Tbc 시점 이후인 Tcc 로 예시된다.
마이컴(750)은, Tbc 시점에,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재개되더라도,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c)의 레벨이 기준치(Vth) 보다 크므로,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전원 공급부(190)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일시적으로 오프될 수 있다. 즉, 도 15c의 (d)와 같이, Tac 시점에 오프되고, Tcc 시점에 온될 수 있다.
또는, 마이컴(750)은,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c)이 계속 기준치(Vth) 이상이므로, 도 15c의 (d)와 달리, 계속 온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마이컴(750)은, 방전부(760)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V1a)의 레벨이 순차적으로 하강하다가, 기준치(Vth)에 도달한 시점 이후인 Tcc 시점에,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전원 공급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마이컴(750)은,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지 않는 Tac 시점부터,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출력하지 않으며,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인 Tcc 시점에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다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c의 (c)와 같이, 전원 공급부(190)의 제2 dc/dc 컨버터(720)는, Tac 시점부터 Tcc시점 까지, 제2 직류 전원(VDD)을 출력하지 않으며, Tcc 시점 이후부터 제2 직류 전원(VDD)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 15c의 (c)의 동작 전원 파형(VDDa)에 따라, 패널(210)이 턴 온될 수 있다. 즉, VD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온되고, GND 공급시에, 패널(210)이 턴 오프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재개되더라도, 패널(210)의 최소 온 대기 기간(Py) 이후에, 제2 직류 전원(VDD)이 공급되므로,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패널(210)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되는 제1 직류 전원, 및 제2 직류 전원을 상기 마이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방전하는 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상기 방전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라,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 재개 시점의 상기 방전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 재개 시점의 상기 방전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 초과인 경우,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방전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상기 기준치에 도달한 이후,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스위칭부;
    커패시터 소자를 구비하는 전력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상기 제1 직류 전원이, 상기 커패시터 소자에 저장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턴 오프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 소자에 저장된 전압이 방전되며, 상기 커패시터 소자로부터의 방전 전압을, 상기 마이컴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직류 전원의 레벨이 하강하는 방전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직류 전원의 레벨이, 제1 레벨에서 기준치까지 하강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최소 온 대기 기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최소 온 대기 기간 동안,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각 화소에 구비되는 저장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까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패널은,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며,
    상기 픽셀은,
    유기발광층;
    상기 유기발광층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스위칭을 수행하는 구동 스위칭 소자;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에 접속되는 저장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최소 온 대기 기간 동안, 상기 저장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까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방전부에서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 재개 시점의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에서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 재개 시점의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입력받는 제1 단자;
    상기 방전부를 거쳐,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입력받는 제2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하이 레벨이며, 상기 제2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제1 전압 검출부;
    상기 제2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제2 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상기 방전부를 거쳐,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입력받는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하이 레벨인 제1 레벨에서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다시 공급되며, 상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파워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턴 온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의 턴 온 동작에 의해, 상기 마이컴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입력되는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dc/dc 컨버터;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제2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dc/dc 컨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 또는 상기 마이컴은, 카운터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스탠바이부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되는 제1 직류 전원, 및 제2 직류 전원을 상기 마이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하강하는 전압 레벨을 출력하며,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압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 재개 시점의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압 레벨이, 기준치 초과인 경우,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치에 도달한 이후,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70135355A 2017-10-18 2017-10-18 영상표시장치 KR102431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355A KR102431503B1 (ko) 2017-10-18 2017-10-18 영상표시장치
EP18869080.4A EP3698349A4 (en) 2017-10-18 2018-10-11 IMAGE DISPLAY DEVICE
PCT/KR2018/011970 WO2019078542A1 (en) 2017-10-18 2018-10-11 IMAGE DISPLAY APPARATUS
US16/161,254 US10789887B2 (en) 2017-10-18 2018-10-16 Imag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355A KR102431503B1 (ko) 2017-10-18 2017-10-18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371A true KR20190043371A (ko) 2019-04-26
KR102431503B1 KR102431503B1 (ko) 2022-08-10

Family

ID=6609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355A KR102431503B1 (ko) 2017-10-18 2017-10-18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89887B2 (ko)
EP (1) EP3698349A4 (ko)
KR (1) KR102431503B1 (ko)
WO (1) WO20190785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060A1 (ko) * 2019-10-25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407A (ko) * 2018-09-12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00837B2 (en) * 2018-09-25 2021-12-14 Hisense Visual Technology Co., Ltd. O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LED display device
KR102646067B1 (ko) 2019-07-17 202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2447A1 (en) * 2012-09-03 2014-03-0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Timing control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7985B2 (en) * 2003-10-31 2008-09-23 Au Optronics Corp.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671208B1 (ko) * 2005-08-19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334969B (zh) * 2007-06-28 2010-06-09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栅极驱动电路与电源控制电路
JP2014010231A (ja) * 2012-06-28 2014-01-20 Lapis Semiconductor Co Ltd ソースドライバ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009892B1 (ko) * 2012-11-06 2019-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60018241A (ko) * 2014-08-08 201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KR102168790B1 (ko) * 2014-09-15 2020-10-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전원 공급부
KR102295200B1 (ko) * 2015-01-16 2021-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102251178B1 (ko) * 2015-05-28 2021-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438532B2 (en) * 2015-12-25 2019-10-08 Tianma Japan,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with branch source wirin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2447A1 (en) * 2012-09-03 2014-03-0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Timing control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060A1 (ko) * 2019-10-25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11830426B2 (en) 2019-10-25 2023-11-28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8349A4 (en) 2021-06-23
US10789887B2 (en) 2020-09-29
US20190114969A1 (en) 2019-04-18
WO2019078542A1 (en) 2019-04-25
KR102431503B1 (ko) 2022-08-10
EP3698349A1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677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78988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151935B2 (en) Image display device
US1085413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072011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US1145116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97799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642615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162094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080379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366403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5011630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5703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588780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59138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1830426B2 (en)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