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301A - 반송파 집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파 집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301A
KR20190043301A KR1020170135174A KR20170135174A KR20190043301A KR 20190043301 A KR20190043301 A KR 20190043301A KR 1020170135174 A KR1020170135174 A KR 1020170135174A KR 20170135174 A KR20170135174 A KR 20170135174A KR 20190043301 A KR20190043301 A KR 20190043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impedance matching
rank
processo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971B1 (ko
Inventor
박정민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971B1/ko
Priority to US16/757,113 priority patent/US11316546B2/en
Priority to PCT/KR2018/012256 priority patent/WO2019078613A1/ko
Publication of KR2019004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8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channel rank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CA를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들에 적용된 랭크(rank)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송파 집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DATA TRANSMISSIONS USING CARRIER AGGREG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fifth-generation) 시스템에서, 다양한 방식의 전송 방식들이 논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과 MIMO(multi input multi output)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할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고 조정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CA에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는 PCC(primary carrier component) 및 적어도 하나의 SCC(secondary carrier cel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CC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 대해서만 임피던스(impedance)를 조정하는 경우, SCC의 MIMO환경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데이터를 최대로 전송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CA에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의 대역폭 및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주파수 영역에 대해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경우, 높은 처리량(throughput)과 대역폭을 보장할 수 없고,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상태에 따른 적응적인 임피던스 조정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반송파 집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CA(carrier aggregation)를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들에 적용된 랭크(rank)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CA(carrier aggregation)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들에 적용된 랭크(rank)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고,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신호와 관련된 상황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주파수 밴드에 기반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신호와 관련된 상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밴드에 기반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고,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CA(carrier aggregation)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들에 적용된 랭크(rank)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을 이용함으로써,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모듈, 전력 관리 모듈, 및 안테나 모듈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랭크(rank)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band)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원량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채널 품질을 이용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타입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설계된",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또는 "~를 할 수 있는"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최근 무선 통신 환경은 1Gbps의 속도를 갖는 16개의 다운로드 카테고리(download category)들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단일 주파수 밴드를 갖는 4
Figure pat00001
4 MIMO로는 충족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다양한 데이터 전송 기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주파수 밴드로 인한 속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자 장치는 CA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 단일 주파수 밴드 환경의 경우, 전자 장치는 단일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조정함으로써, 안테나 불균형(antenna imbalance)을 최소화하거나, TIS(total isotropic sensitivity)를 최대화할 수 있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CA를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의 경우, 단일 주파수 밴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자 장치는 송신 주파수가 포함된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안테나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안테나의 불균형을 최소화하고, TIS를 최대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4
Figure pat00002
4 MIMO 셀이 포함된 CA를 이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P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조정하지 아니하고, 4
Figure pat00003
4 MIMO 혹은 대역폭(bandwidth, BW)을 고려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한 후, 결정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조정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량(throughput)을 최대로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가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고, 임피던스 매칭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랭크(rank)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자원량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채널 품질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서비스 타입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주파수 밴드 결정 방식은 상향링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주파수 밴드 결정 방식은 연속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120), 메모리(130), 통신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밴드 결정부(210) 및 임피던스 매칭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 결정부(210)와 임피던스 매칭부(220)는 상기 프로세서(120) 외부에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성된 모듈로서 구성될 수 도 있다.
밴드 결정부(210)는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신호원과 부하 간 회로 접속 시, 전송 선로 상에서 반사손실을 최소화 또는 감소시키도록 반사계수를 조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선로 상에서 전압파의 반사계수는 서로 다른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경계에서 전압파의 진폭 비를 나타낼 수 있다. 반사계수가 낮을수록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반사계수가 0인 경우, 전송 선로 상에서 반사되는 파(wave)가 없으므로, 임피던스 매칭이 완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임피던스 매칭은 미리 정의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고, 미리 정의된 테이블을 통해, 결정된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임피던스 값 및 해당 임피던스에 대응하는 임피던스 매칭 코드(예: AIT(antenna impedance tuner)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임피던스 매칭 코드를 통신 모듈(190)으로 송신할 수 있고, 임피던스 매칭 코드에 따라 통신 모듈(190)은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테이블은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임피던스 매칭부(220)는 통신 모듈(190)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수신한 통신 모듈(190)은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30)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134)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ser), SINR(signal to interference-plus-noise ratio), SNR, 변조(modulation)방식, 대역폭, 랭크에 따른 채널 품질에 대한 임계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현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134)가 저장하는 정보는 바뀔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에 포함된 밴드 결정부(210)는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고, 임피던스 매칭부(220)는 결정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임피던스 매칭부(22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 모듈(19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수신한 통신 모듈은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2b는 도2a의 통신 모듈(190)의 상세한 구성을 예시한다.
도 2b를 참고하면, 통신 모듈(190)은 RF 모뎀(230), 제1 RF 프런트엔드(front end)(240-1), 제2 RF 프런트엔드(240-2), 제1 임피던스 매칭 회로(250-1) 및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250-2)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RF 프런트엔드 및 임피던스 매칭 회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도 2b가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250-2)는 스위치(252), 제1 전자 소자(254-1), 제2 전자 소자(254-2), 제3 전자 소자(254-3) 및 제4 전자 소자(254-4)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 회로에서 스위치 및 전자 소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도 2b가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임피던스 매칭 회로(250-1)는 제1 RF 프런트엔드(240-1)와 안테나를 연결하는 선로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250-2)는 제2 RF 프런트엔드(240-2)와 안테나를 연결하는 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250-2)가 포함하는 제1 전자 소자(254-1), 제2 전자 소자(254-2), 제3 전자 소자(254-3) 및 제4 전자 소자(254-4)는 인덕터, 커패시터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190)은 임피던스 매칭부(220)로부터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250-2)는 제1 전자 소자(254-1), 제2 전자 소자(254-2), 제3 전자 소자(254-3) 및 제4 전자 소자(254-4) 중 어느 하나를 안테나와 연결하기 위해, 스위치(25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250-2)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임피던스 매칭 회로(250-1) 및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250-2)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무선 통신 모듈(192), 전력 관리 모듈(188), 및 안테나 모듈(197)에 대한 블럭도(260)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MST 통신 모듈(270) 또는 NFC 통신 모듈(280)을 포함하고, 전력 관리 모듈(188)은 무선 충전 모듈(2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안테나 모듈(197)은 MST 통신 모듈(270)과 연결된 MST 안테나(297-1), NFC 통신 모듈(280)과 연결된 NFC 안테나(297-3), 및 무선 충전 모듈(290)과 연결된 무선 충전 안테나(297-5)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는 생략 또는 간략히 기재된다.
MST 통신 모듈(270)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신호(예: 제어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MST 안테나(297-1)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자기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자기 신호를 외부의 전자 장치(101)(예: POS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MST 통신 모듈(270)은 MST 안테나(297-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고(미도시), 이 스위칭 모듈을 제어하여 MST 안테나(297-1)에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MST 안테나(297-1)를 통해 송출되어, 예를 들면, 무선 근거리 통신(198)을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1)에 전달되는 자기 신호(예: 자기장)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방향이 변경된 상태로 전달된 자기 신호는 마그네틱 카드가 전자 장치(101)의 카드 리더기에 읽히면서(swiped) 발생하는 자기장과 유사한 형태 및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 에서 상기 자기 신호의 형태로 수신된 결제 관련 정보 및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네트 워크(199)를 통해 결제 서버(예: 서버(108))로 송신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280)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신호(예: 제어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신호를 NFC 안테나(297-3)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NFC 통신 모듈(280)은, NFC 안테나(297-3)을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1)로부터 송출된 신호(예: 제어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90)은 무선 충전 안테나(297-5)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1)(예: 휴대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외부의 전자 장치(101)(예: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90)은, 예를 들면,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ST 안테나(297-1), NFC 안테나(2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297-5) 중 일부 안테나들은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ST 안테나(297-1)의 방사부는 NFC 안테나(2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297-5)의 방사부로 사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MST 안테나(297-1), NFC 안테나(2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297-5)가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공유하는 경우, 안테나 모듈(197)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MST 통신 모듈(270) 또는 NFC 통신 모듈(280)) 또는 전력 관리 모듈(예: 무선 충전 모듈(290))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들(297-1, 297-3, 또는 297-3)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예: open)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무선 충전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NFC 통신 모듈(280) 또는 무선 충전 모듈(290)은 상기 스위칭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NFC 안테나(297-3) 및 무선 충전 안테나(297-5)에 의해 공유된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일시적으로 NFC 안테나(297-3)와 분리하고 무선 충전 안테나(297-5)와만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270), NFC 통신 모듈(280), 또는 무선 충전 모듈(290)의 적어도 일부 기능은 외부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270) 또는 NFC 통신 모듈(280)의 지정된 기능(예: 결제 기능)들은 신뢰된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신뢰된 실행 환경(TEE)은,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기능(예: 금융 거래, 또는 개인 정보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30)의 적어도 일부 지정된 영역이 할당되고, 이 지정된 영역에 대한 접근은, 예를 들면, 접근 주체 또는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구분하여 제한적으로 허용되는 실행 환경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예: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동작 301에서, 프로세서(120)는 주파수 밴드를 결정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전파)와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상황 정보는 랭크(rank)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랭크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랭크(rank)는 랭크는 MIMO를 이용한 채널 환경에서, 임계치 이하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가지는 독립적인 채널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
Figure pat00004
4 MIMO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는 랭크가 4일 수 있고, 2
Figure pat00005
2 MIMO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는 랭크가 2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4
Figure pat00006
4 MIMO를 지원하는 제1 주파수 밴드 및 2
Figure pat00007
2 MIMO를 지원하는 제2 주파수 밴드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주파수 밴드를 랭크가 최대인 주파수 밴드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자원량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원량은 랭크와 대역폭의 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원량은 기지국과 전자 장치 간의 전파환경에서 기인된 랭크(rank), 계층(layer), 코드워드(codeword) 및 MCS(modulation coding scheme)를 고려함으로써, 랭크와 대역폭의 곱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BS(transport block size)는 랭크와 자원량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채널 품질(예: SNR(signal to nois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등)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타입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타입은 음성 호(voice over LTE), 실시간 스트리밍, 웹브라우징, 파일 전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주파수 밴드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정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성능은 데이터 전송량의 극대화 도는 사용자 체감 품질의 향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프로세서(120)는 임피던스 매칭된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MIMO 환경에서,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진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진 안테나들을 통해, 결정된 밴드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안테나에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랭크(rank)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band)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은 도 3의 동작 301에서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에 관련된다.
도 4를 참고하면, 동작 401에서, 프로세서(120)는 랭크가 최대인 주파수 밴드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랭크는 MIMO를 이용한 채널 환경에서, 임계치 이하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가지는 독립적인 채널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
Figure pat00008
4 MIMO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는 랭크가 4일 수 있고, 2
Figure pat00009
2 MIMO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는 랭크가 2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4
Figure pat00010
4 MIMO를 지원하는 제1 주파수 밴드 및 2
Figure pat00011
2 MIMO를 지원하는 제2 주파수 밴드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주파수 밴드를 랭크가 최대인 주파수 밴드로 식별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주파수 밴드가 2개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반송파 컴포넌트(carrier component, CC)를 지원하는 4CA환경에서, 제1 주파수 밴드가 4
Figure pat00012
4 MIMO를 지원하고, 제2 주파수 밴드가 4
Figure pat00013
4 MIMO를 지원하고, 제3 주파수 밴드가 4
Figure pat00014
2 MIMO를 지원하고, 제4 주파수 밴드가 2
Figure pat00015
2 MIMO를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밴드와 CC는 기술적으로 동등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랭크가 최대인 주파수 밴드는 제1 주파수 밴드 및 제2 주파수 밴드일 수 있다. 식별된 주파수 밴드가 2개 이상이 아닌 경우, 동작 405에서,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주파수 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식별된 주파수 밴드가 2개 이상인 경우, 동작 407에서,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주파수 밴드들 중 대역폭이 가장 넓은 주파수 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통해, 프로세서(120)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주파수 밴드를, 랭크를 이용해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원량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은 도 3의 동작 301에서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에 관련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동작 501에서, 프로세서(120)는 주파수 밴드 별 자원량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자원량은 주파수 밴드의 랭크와 대역폭의 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4
Figure pat00016
4 MIMO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의 대역폭이 10MHz인 경우, 주파수 밴드의 자원량은 40이다.
동작 503에서, 프로세서(120)는 자원량에 따른 주파수 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CC를 지원하는 4CA환경에서, 2
Figure pat00017
2 MIMO를 지원하는 제1 주파수 밴드의 대역폭이 10MHz이고, 2
Figure pat00018
2 MIMO를 지원하는 제2 주파수 밴드의 대역폭이 10Mz이고, 4
Figure pat00019
4 MIMO를 지원하는 제3 주파수 밴드의 대역폭이 20MHz이고, 4
Figure pat00020
2 MIMO를 지원하는 제4 주파수 밴드의 대역폭이 20MHz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3 주파수 밴드를 자원량이 최대인 주파수 밴드로 식별하고, 제3 주파수 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자원량이 동일한 복수의 주파수 밴드들이 존재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 밴드들 중 하나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조건은 주파수 밴드들의 ID(identifier) 및 Pcell의 주파수 밴드 존재 여부 등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대 잡음 비(signal to noise ration, SNR)를 이용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은 도 3의 동작 301에서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에 관련된다. 이하 설명에서, SNR이 채널 품질의 일 예로 설명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후술하는 동작들은 주파수 밴드들의 랭크 별로 자원량이 이론적으로 동일함을 전제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
Figure pat00021
4 MIMO를 지원하는 제1 주파수 밴드의 대역폭이 10MHz이고, 2
Figure pat00022
2 MIMO를 지원하는 제2 주파수 밴드의 대역폭이 20MHz인 경우, 제1 주파수 밴드 및 제2 주파수 밴드의 자원량은 모두 40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동작 601에서, 프로세서(120)는 밴드 별 SNR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
Figure pat00023
4 MIMO를 지원하는 제1 주파수 밴드 및 2
Figure pat00024
2 MIMO를 지원하는 제2 주파수 밴드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SNR을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측정하는 대상은 SNR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603에서, 프로세서(120)는 SNR에 따라 최대 이득을 갖는 랭크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SNR에 따른 각 4
Figure pat00025
4 MIMO 및 2
Figure pat00026
2 MIMO의 이득은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27
<표 1>을 참고하면, 4
Figure pat00028
4 MIMO 및 2
Figure pat00029
2 MIMO의 이득 및 2
Figure pat00030
2 MIMO와 비교한 4
Figure pat00031
4 MIMO의 득실은 SNR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SNR이 22인 경우, 4
Figure pat00032
4 MIMO의 이득은 2
Figure pat00033
2 MIMO의 이득 보다 낮을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2
Figure pat00034
2 MIMO를 최대 이득을 갖는 랭크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SNR이 28인 경우, 4
Figure pat00035
4 MIMO의 이득은 2
Figure pat00036
2 MIMO의 이득 보다 높을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4
Figure pat00037
4 MIMO를 최대 이득을 갖는 랭크로 식별할 수 있다. <표 1>과 같은 데이터를 갖는 실시예에서, SNR 값 27은 임계치 또는 임계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SNR이 27보다 작은 경우, 2
Figure pat00038
2 MIMO가 최대 이득을 갖는 랭크이고, SNR이 27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4
Figure pat00039
4 MIMO가 최대 이득을 갖는 랭크일 수 있다. <표 1>과 같이, SNR에 따른 랭크 별 이득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전자장치(101)의 메모리(130)에 포함되는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랭크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
Figure pat00040
4 MIMO가 최대 이득을 갖는 랭크로 식별되는 경우, 4
Figure pat00041
4 MIMO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통해, 프로세서(120)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주파수 밴드를, SNR을 이용해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타입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은 도 3의 동작 301에서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에 관련된다.
도 7을 참고하면, 동작 701에서, 프로세서(120)는 대역 별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주파수 대역 별로 제공되는 서비스들(예: 음성 호, 실시간 스트리밍, 웹브라우징 및 파일 전달)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우선순위에 따른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우선순위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호 서비스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음성 호가 가장 높은 서비스 우선순위를 가지므로, 송신 성능 및 수신 성능 모두가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랭크 또는 자원량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서비스 우선 순위를 갖는 음성 호가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를 임피던스 매칭의 기준이 되는 주파수 밴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통해, 프로세서(120)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주파수 밴드를, 서비스 타입을 이용해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은 도 3의 동작 301에서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및 동작 303에서 결정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 위한 동작에 관련된다.
도 8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101)가 CA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CA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동작 813에서, 프로세서(120)는 P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CA를 이용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동작 803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가 음성 호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동작 803은 음성 호에 한정되지 않으며,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다양한 서비스 타입을 확인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음성 호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동작 813에서, 프로세서(120)는 P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음성 호를 이용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동작 805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프로세서(120)는 S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가 P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가 2
Figure pat00042
2 MIMO이고, S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가 4
Figure pat00043
4 MIMO인 경우, S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가 P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보다 높을 수 있다. S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가 P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보다 높지 않은 경우, 동작 813에서, 프로세서(120)는 P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S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가 P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보다 높거나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동작 807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프로세서(120)는 SNR이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
Figure pat00044
4 MIMO를 지원하는 제1 주파수 밴드 및 2
Figure pat00045
2 MIMO를 지원하는 제2 주파수 밴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SNR의 임계치는 27일 수 있다. SNR이 27보다 작은 경우, 2
Figure pat00046
2 MIMO가 최대 이득을 갖는 랭크이고, SNR이 27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4
Figure pat00047
4 MIMO가 최대 이득을 갖는 랭크일 수 있다. SNR이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동작 813에서, 프로세서(120)는 P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SNR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동작 809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09에서, 프로세서(120)는 S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cell의 주파수 밴드에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동작 813에서, 프로세서(120)는 P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ell의 주파수 밴드가 4
Figure pat00048
4 MIMO를 지원하고, Scell의 주파수 밴드가 4
Figure pat00049
4 MIMO를 지원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P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S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동작 811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11에서, 프로세서(120)는 S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ell의 주파수 밴드가 2
Figure pat00050
2 MIMO 를 지원하고, 적어도 하나의 Scell의 주파수 밴드가 4
Figure pat00051
4 MIMO를 지원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Scell의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예: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동작 901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신호와 관련된 상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황 정보는, 채널 품질, 기지국과 전자 장치(101) 간의 전파 환경, 랭크, 계층, 코드워드, MCS 및 자원량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프로세서(120)는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랭크(rank)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자원량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채널 품질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타입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주파수 밴드 결정 방식은 상향링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주파수 밴드 결정 방식은 연속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프로세서(120)는 주파수 밴드에 기반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주파수 밴드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정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성능은 데이터 전송량의 극대화 도는 사용자 체감 품질의 향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907에서, 프로세서(120)는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MIMO 환경에서,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결정된 밴드에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안테나에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랭크(rank), 자원량, 신호 대 잡음 비(signal to noise ratio, SNR) 및 서비스 타입을 고려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안테나에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4)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CA(carrier aggregation)를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들에 적용된 랭크(rank)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은,
    최대의 랭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밴드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기준 밴드로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은,
    최대의 랭크를 갖는 주파수 밴드들 중 대역폭이 가장 넓은 주파수 밴드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기준 밴드로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은,
    주파수 밴드 별 자원량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자원량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기준 밴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원량은 주파수 밴드의 대역폭과 랭크의 곱에 비례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주파수 밴드들 각각에서의 채널 품질 및 랭크에 기반하여 최대 이득을 제공하는 주파수 밴드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식별된 주파수 밴드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기준 밴드로서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주파수 밴드들 각각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서비스들 간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기준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음성 호에 대하여 가장 높게 정의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은,
    CA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CA를 이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음성 호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음성 호를 이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Scell(second 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와 Pcell(primary 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를 비교하는 동작과,
    상기 S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가 상기 P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보다 높은 경우,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동작과,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Scell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고, 상기 채널 품질이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 Pcell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CA(carrier aggregation)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들에 적용된 랭크(rank)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고,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최대의 랭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밴드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기준 밴드로서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최대의 랭크를 갖는 주파수 밴드들 중 대역폭이 가장 넓은 주파수 밴드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기준 밴드로서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주파수 밴드 별 자원량을 확인하고,
    상기 자원량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기준 밴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자원량은 주파수 밴드의 대역폭과 랭크의 곱에 비례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주파수 밴드들 각각에서의 채널 품질 및 랭크에 기반하여 최대 이득을 제공하는 주파수 밴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주파수 밴드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기준 밴드로서 선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주파수 밴드들 각각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들 간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기준 밴드를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음성 호에 대하여 가장 높게 정의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CA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CA를 이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음성 호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음성 호를 이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Scell(second 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와 Pcell(primary 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를 비교하고,
    상기 S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가 상기 Pcell의 주파수 밴드의 랭크보다 높은 경우,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Scell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고, 상기 채널 품질이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 Pcell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9.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신호와 관련된 상황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밴드에 기반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채널 품질, 기지국과 전자 장치 간의 전파 환경, 랭크(rank). 계층(layer), 코드워드(codeword),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및 자원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신호와 관련된 상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밴드에 기반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고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채널 품질, 기지국과 전자 장치 간의 전파 환경, 랭크(rank). 계층(layer), 코드워드(codeword),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및 자원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3.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CA(carrier aggregation)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들에 적용된 랭크(rank)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주파수 밴드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기록 매체.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의 기준이 되는 주파수 밴드는, 최대의 랭크를 가지는 주파수 밴드, 최대의 자원량을 제공하는 주파수 밴드, 최대의 이득을 제공하는 주파수 밴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파수 밴드 중 어느 하나인 기록 매체.
KR1020170135174A 2017-10-18 2017-10-18 반송파 집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56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174A KR102356971B1 (ko) 2017-10-18 2017-10-18 반송파 집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6/757,113 US11316546B2 (en) 2017-10-18 2018-10-17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ing carrier aggreg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PCT/KR2018/012256 WO2019078613A1 (ko) 2017-10-18 2018-10-17 반송파 집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174A KR102356971B1 (ko) 2017-10-18 2017-10-18 반송파 집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301A true KR20190043301A (ko) 2019-04-26
KR102356971B1 KR102356971B1 (ko) 2022-01-28

Family

ID=6617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174A KR102356971B1 (ko) 2017-10-18 2017-10-18 반송파 집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16546B2 (ko)
KR (1) KR102356971B1 (ko)
WO (1) WO20190786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0232B1 (en) * 2020-09-29 2022-12-27 T-Mobile Innovations Llc SPR as a criterion to determine the frequencies that would be allocated for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intra-band carrier aggregation, or dynamic spectrum sharing
US11901983B1 (en) * 2021-03-17 2024-02-13 T-Mobile Innovations Llc Selectively assigning uplink transmission lay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835A (ko) * 2009-03-10 2011-12-2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송신 방법
KR20150043165A (ko) * 2013-10-14 2015-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무선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70048434A (ko) * 2014-08-29 2017-05-08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반송파 집성을 위한 도미노 회로 및 관련 아키텍처들 및 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92B1 (ko) 2007-10-10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의 동작 모드 선택 장치 및 방법
US8948704B2 (en) 2008-10-22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Scope of channel quality reporting region in a multi-carrier system
CN102349313B (zh) 2009-04-06 2014-05-28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多用户mimo通信系统的改进型反馈策略
KR20120007171A (ko) 2010-07-14 2012-01-20 박경진 수신감도 향상을 위한 이동통신용 안테나 매칭회로
KR101682384B1 (ko) * 2010-10-13 2016-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송신 성능 최적화 방법 및 장치
EP2547022A1 (en) 2011-07-13 2013-01-16 Intel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Dresden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GB2502604B (en) 2012-05-31 2014-04-30 Broadcom Corp Determination of receiver path delay
JP5597228B2 (ja) * 2012-07-11 2014-10-01 株式会社Nttドコモ フロントエンド回路、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
WO2015092946A1 (ja) 2013-12-16 2015-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9554359B2 (en) * 2014-02-07 2017-01-24 Apple Inc. Dynamic antenna tuner setting for carrier aggregation scenarios
US9693238B2 (en) * 2014-04-21 2017-06-27 Apple Inc. Dynamic antenna tuning for multi-band multi-carrier wireless systems
US9337539B1 (en) * 2014-12-05 2016-05-10 Amazon Technologies, Inc. Combined antenna element with multiple matched feeds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 aggregation
KR20170024342A (ko) 2015-08-25 2017-03-07 (주)와이솔 트리플렉서
US20170272108A1 (en) * 2016-03-21 2017-09-21 Qualcomm Incorporated Modem adaptive antenna tuning (maat)
US10666300B2 (en) * 2016-09-09 2020-05-26 Skyworks Solutions, Inc. Switchable impedance phase shifter for switched multiplexing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835A (ko) * 2009-03-10 2011-12-2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송신 방법
KR20150043165A (ko) * 2013-10-14 2015-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무선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70048434A (ko) * 2014-08-29 2017-05-08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반송파 집성을 위한 도미노 회로 및 관련 아키텍처들 및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8613A1 (ko) 2019-04-25
US20200244292A1 (en) 2020-07-30
US11316546B2 (en) 2022-04-26
KR102356971B1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8563B2 (e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930619B2 (en) Method for selecting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29686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립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CN108353265B (zh) 使用近场通信的无线通信方法以及电子设备
KR1025456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392548B2 (en) Method of controlling for transmission power and device therefor
EP325863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998622B2 (e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141016A (ko)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056904B2 (en) Electronic device for charging batter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038547B2 (en) Method for improving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01488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ice signal
US11114762B2 (en) Method of outputting a signal using an antenna disposed adjacent to a conductive member of a connector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70063107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btaining bio signals
KR10244257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US20150326261A1 (en) Method of supporting multi-frequency band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7009191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제어 방법
KR20150122476A (ko) 제스처 센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108617A (ko)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무선 통신 제공 방법
US11316546B2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ing carrier aggreg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U2015219606B2 (en) Method of providing preview image regarding display setting for device
KR20200138925A (ko)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29763B1 (ko) 통신 전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9010913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변조 방식 판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