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756A - Noise filter - Google Patents

Noise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756A
KR20190041756A KR1020170133393A KR20170133393A KR20190041756A KR 20190041756 A KR20190041756 A KR 20190041756A KR 1020170133393 A KR1020170133393 A KR 1020170133393A KR 20170133393 A KR20170133393 A KR 20170133393A KR 20190041756 A KR20190041756 A KR 20190041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ver
core
noise filter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0908B1 (en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908B1/en
Publication of KR2019004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9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filter for reducing a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between coils. To this end, the noise filter comprises: a core including a hollow cylindrical ferrite core and a cover surrounding the ferrite core and having a hollow unit formed therein; and a coil wound around the core. The cover includes a protrusion unit separating the wound coils.

Description

노이즈 필터{NOISE FILTER}Noise filter {NOISE FILTER}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노이즈 필터를 구성하는 코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core constituting a noise filter.

가전기기 등의 전자기기에는 전기적 노이즈가 발생되고, 전자기기에는 이러한 전기적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노이즈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Electric noise is generated in electronic appliances such as home appliances, and noise filters may be installed in electronic appliances in order to reduce such electrical noises

노이즈 필터는 전자기기에서 방출되어 전원선을 통해 빠져나가는 불필요한 전자파를 차단, 흡수 또는 대지로 바이패스(bypass) 시키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노이즈 필터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SMPS) 또는 기타 라인 전원 콘센트와 같은 전원으로부터 유도된 전자파 간섭(EMI) 및 RF(Radio Frequency)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 The noise filter may refer to a device that cuts off, absorbs, or bypasses ground unwanted electromagnetic waves that are emitted from an electronic device and escape through a power line. The noise filter can filte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and radio frequency (RF) noise derived from a power source such as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or other line power receptacle.

노이즈 필터는 코어에 두개 이상의 코일이 동일한 권선으로 감겨져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노이즈 필터는 차동 모드 신호(Differential Mode Signal)에 대해서는 발생되는 자속이 서로 상쇄되어 인덕터의 효과가 사라지고, 공통 모드 신호(Common Mode Signal)에 대해서는 자속이 같은 방향으로 강하게 발생하여 강력한 인덕턴스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필터는 공통 모드 전류를 감소시켜 노이즈의 세기를 억제할 수 있다.The noise filter may have two or more coils wound around the core with the same winding. In this case, the noise filter eliminates the effect of the inductor due to the magnetic fluxes generated by the differential mode signal cancel each other, and the magnetic flux is strongly generated in the same direction for the common mode signal, Lt; / RTI > Therefore, the noise filter can reduce the common mode current to suppress the intensity of the noise.

한편, 노이즈 필터는 코어에 코일이 감겨지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감겨진 코일과 코일 사이에 기생 커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noise filter is formed in a manner that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a parasitic capacitance may be formed between the coil and the coil.

본 발명은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최소화한 노이즈 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noise filter with minimized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는 중공 원통 형상의 페라이트 코어와, 페라이트 코어를 둘러싸며 중공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코어 및 코어에 감긴 코일을 포함하고, 커버는 감긴 코일과 코일 사이를 이격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 nois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including a hollow cylindrical ferrite core, a core surrounding the ferrite core and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coil wound around the core, wherein the cover separates the coil from the coil And may include protrusions.

커버는 코어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may include at least one partition wall that divides the core into a plurality of spaces.

커버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The cover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adjacent protrusions can be constant.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 사이에는 코일이 1회 감길 수 있다.The coil may be wound once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adjacent protruding portion.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 사이에는 코일이 복수회 감길 수 있다.The coil can be wound a plurality of turns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adjacent protrusions.

돌출부는 커버의 외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돌출부는 커버와 탈부착이 가능하며, 커버의 외면에 부착시 코일과 코일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The protrusion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cover, and when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the coil and the coil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노이즈 필터에서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노이즈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코일의 턴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in the noise filter can be minimized. Particularly, wh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is increased to improve the noise blocking effe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can be more effectively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노이즈 필터에 구획된 각 공간을 절연시키는 동시에 각 공간에서 감긴 코일과 코일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each space defined in the noise filter is insulated and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between the coil and the coil wound in each space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코일과 코일 사이를 이격시키는 돌출부를 통해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임피던스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파수에 따라 노이즈 저감 효과가 달라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edance characteristic can be changed by minimizing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through the protrusion that separates the coil and the coil, thereby minimizing the noise reduction effect depending on the frequency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에 코일을 권취시킴으로써 코일이 일정 간격으로 감기도록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ase of operation can be ensured so that the coils are wound at regular intervals by winding the coils in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by the projections.

도 1은 노이즈 필터의 연결 모습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 노이즈 필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노이즈 필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 노이즈 필터를 구성하는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코어의 수평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으로 인한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노이즈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를 구성하는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코어의 수평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의 수용 공간에 코일이 복수회 감긴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가 삼상용 코어를 갖는 경우 수용 공간에 코일이 감긴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noise filter.
2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noise filter.
3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noise filter.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e constituting a conventional noise filter.
5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e shown in Fig.
6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impedance according to frequency due to a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is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nois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e constituting a nois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e shown in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il is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a receiving space of a nois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il is wound in a receiving space when the nois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ee-phase cor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도 1은 노이즈 필터의 연결 모습을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2는 종래 노이즈 필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3은 종래 노이즈 필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 노이즈 필터를 구성하는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코어의 수평 방향 단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onventional noise filter, FIG. 3 is a side view of the conventional noise filter,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e of the conventional noise filter, And FIG. 5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e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필터(100)는 전원(11)과, 부하(1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노이즈 필터(100)는 전원 라인과 리턴 라인 모두에서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noise filter 10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ource 11 and the load 12. The noise filter 100 may filter the noise in both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return line.

노이즈 필터(100)는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라이브(live)부와, 리턴 라인에 연결되는 내추럴(natural)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브부(100a)와 내추럴부(100b)는 각각 서로 다른 코일(130a, 130b)이 감길 수 있다.The noise filter 100 may include a live par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and a natural part connected to the return line. The live part 100a and the natural part 100b may be wound with different coils 130a and 130b, respectively.

노이즈 필터(100)는 중공부(8)가 형성된 코어(110)와, 코어(110)에 감긴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noise filter 100 may include a core 110 having a hollow portion 8 formed therein and a coil 130 wound around the core 110.

<코어><Core>

코어(110)는 중공 원통 형상의 페라이트 코어(111)와, 페라이트 코어(111)를 둘러싸며 중공부(8)가 형성된 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re 110 may include a hollow cylindrical ferrite core 111 and a cover 112 surrounding the ferrite core 111 and having a hollow portion 8 formed therein.

커버(112)는 절연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12)는 PVC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ver 112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element. For example, the cover 112 may be formed of a PVC material,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s not limited thereto.

커버(112)는 페라이트 코어(111)와 일체화될 수 있다.The cover 112 may be integrated with the ferrite core 111. [

커버(112)는 페라이트 코어(111)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제1 커버부(112a)와, 페라이트 코어(111)의 내둘레면을 둘러싸는 중공 원통 형상의 제2 커버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112 includes a first cover portion 112a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rrite core 111 and a second cover portion 112b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rrite core 111 .

중공부(8)는 제2 커버부(112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hollow portion 8 may be formed by the second cover portion 112b.

커버(112)는 제1 커버부(112a)와 제2 커버부(112b)를 연결하고, 페라이트 코어(111)의 일측면을 덮는 중공 원판 형상의 제3 커버부(112c)와, 제1 커버부(112a)와 제2 커버부(112b)를 연결하고, 페라이트 코어(111)의 타측면을 덮는 중공 원판 형상의 제4 커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112 includes a third cover portion 112c in the form of a hollow disk which connects the first cover portion 112a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112b and covers one side of the ferrite core 111, And a fourth cover portion (not shown) having a hollow disc shape that connects the first cover portion 112a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112b and covers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ferrite core 111. [

제4 커버부는 제3 커버부(112c)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The fourth cover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cover portion 112c.

커버(112)는 페라이트 코어(111)의 모든 면을 둘러싸게 형성되어 페라이트 코어(1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고, 페라이트 코어(111)는 커버(112)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The cover 112 may be formed to surround all surfaces of the ferrite core 111 to prevent the ferrite core 11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errite core 111 may be protected by the cover 112.

<구획벽><Block wall>

커버(112)는 코어(110)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10)가 단상용 코어이면 구획벽(120)은 라이브부(100a)와 내추럴부(100b)로 구획할 수 있다. 구획벽(120)는 작업시 라이브부(100a)와 내추럴부(100b)를 이격시키고,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절연할 수 있다.The cover 112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120 dividing the core 110 into a plurality of spac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if the core 110 is a single-phase core, the partition wall 120 can be divided into a live part 100a and a natural part 100b. The partition wall 120 can separate the live part 100a and the natural part 100b from each other and isolate it from impact or vibration.

또는, 커버(112)는 복수개의 구획벽(421, 422, 도 10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110)가 삼상용 코어이면 복수개의 구획벽은 R상 코일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공간과, S상 코일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공간과, T상 코일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3 공간과, 중선선(N) 코일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4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ver 1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421 and 422 (see FIG. 10). For example, if the core 110 is a three-phase core,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may include a first space in which a portion of the R-phase coil is accommodated, a second space in which a portion of the S-phase coil is accommodated, And a fourth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middle wire (N) coil is accommodated.

구획벽(120)은 구획된 각 공간을 이격시킬 수 있고, 코일(130)은 각 공간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 있다. 구획벽(120)은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각 공간을 절연시킬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120 can separate each partitioned space, and the coils 130 can be dispersed in each space. The partition wall 120 can insulate each space from impact or vibration.

<코일><Coil>

코일(130)은 코어(110)에 권취될 수 있다. 특히, 코일(130)은 커버(112)의 외면을 따라 커버(112)에 권취될 수 있다.The coil 130 may be wound on the core 110. [ In particular, the coil 130 can be wound on the cover 112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112.

코일(130)은 구획벽(120)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에 분산되어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130)은 제1 코일(130a)과 제2 코일(130b)을 포함하고, 제1 코일(130a)은 라이브부(100a)에 권취되고, 제2 코일(130b)은 내추럴부(100b)에 권취될 수 있다.The coils 130 can be dispersed and wound in a plurality of spaces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s 120. [ For example, the coil 130 includes a first coil 130a and a second coil 130b. The first coil 130a is wound on the live part 100a. The second coil 130b is wound on the live part 100a. Can be wound on the portion 100b.

이와 같이, 코일(130)이 감긴 코어(110)는 인덕턴스 성분을 통해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코어(110)의 인덕턴스 용량은 코어(110)에 감긴 코일(130)의 턴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130)의 턴수가 증가함에 따라 코어(110)의 인덕턴스 용량은 증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re 110 wound with the coil 130 can reduce noise through the inductance component. The inductance capacity of the core 110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130 wound on the core 110. Specifically, as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130 increases, the inductance capacity of the core 110 may increase.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Lt;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

한편, 코일(130)의 턴수가 증가하면 코어(110)에 감긴 코일과 코일간의 간격은 가까워질 수 있다. 즉, 코일(130)의 턴수가 증가함에 따라 (i-1)번째 감긴 코일(131)과 i번째 감긴 코일(132) 사이의 거리(d1) 및 i번째 감긴 코일(132)과 (i+1)번째 감긴 코일(133) 사이의 거리(d2)는 가까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어(110)에 감긴 코일과 코일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코일과 코일 사이에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이 발생하고, 이는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를 변화시킨다.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130 increases, the gap between the coil wound on the core 110 and the coil can be reduced. That is, as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130 increases, the distance d1 between the i-th winding coil 131 and the i-th winding coil 132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i-th winding coil 132 and the ) -Th winding coil 133 can be made closer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il wound on the core 110 and the coil becomes close to each other, a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can be generated. That is, a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is generated between the coil and the coil, which changes the impeda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도 6은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으로 인한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impedance according to frequency due to a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제1 그래프(601)는 코일(130)이 L회 감긴 경우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나타내고, 제2 그래프(602)는 코일(130)이 M회 감긴 경우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나타내고, 제3 그래프(603)는 코일(130)이 N회 감긴 경우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L 보다 M이 작고, M 보다 N이 작을 수 있다. 즉, 코일(130)의 턴수가 증가할수록 고주파에서 임피던스가 낮아지는 것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6 shows a change in impedance according to a frequency when the coil 130 is wound L times and a second graph 602 shows a change in impedance when the coil 130 is wound M times And the third graph 603 shows the change in impeda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when the coil 130 is wound N times. At this time, M may be smaller than L and N may be smaller than M. That is, as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130 increases, the impedance decreases at a high frequency.

따라서, 코일과 코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에 의하여 노이즈 저감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최소화한 노이즈 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noise reduction effect can be changed by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generated between the coil and the coil.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ise filter with minimized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돌출부를 포함하는 코어>&Lt; Core including protrusions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코어와, 코어에 감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A nois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re including a protrusion and a coil wound around the cor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노이즈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를 구성하는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코어의 수평 방향 단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is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of a nois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 10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core shown in Fig. 9. Fig.

노이즈 필터(200)는 중공부(8)가 형성되며, 돌출부(240)를 포함하는 코어(210)와, 코어(210)에 감긴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noise filter 200 may include a core 210 having a hollow portion 8 and a protrusion 240 and a coil 130 wound around the core 210.

코어(210)는 중공 원통 형상의 페라이트 코어(211)와, 페라이트 코어(211)를 둘러싸며 중공부(8)가 형성된 커버(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re 210 may include a hollow cylindrical ferrite core 211 and a cover 212 surrounding the ferrite core 211 and having a hollow portion 8 formed therein.

커버(212)는 절연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212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element.

커버(212)는 페라이트 코어(211)와 일체화될 수 있다.The cover 212 may be integrated with the ferrite core 211.

커버(212)는 페라이트 코어(211)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제1 커버부(212a)와, 페라이트 코어(211)의 내둘레면을 둘러싸는 제2 커버부(212b), 제1 커버부(212a)와 제2 커버부(212b)를 연결하며 페라이트 코어(211)의 일측면을 덮는 제3 커버부(212c)와, 제1 커버부(212a)와 제2 커버부(212b)를 연결하며 페라이트 코어(211)의 타측면을 덮는 제4 커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212 includes a first cover portion 212a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rrite core 211, a second cover portion 212b surround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rrite core 211, A third cover portion 212c connecting the first cover portion 212a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212b and covering one side of the ferrite core 211 and a second cover portion 212c connecting the first cover portion 212a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212b And a fourth cover part (not shown) covering the other side of the ferrite core 211. [

또한, 커버(2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212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240.

<돌출부><Protrusions>

커버(212)는 코어(210)에 감긴 코일과 코일 사이를 이격시키는 돌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212 may include a protrusion 240 that separates a coil wound around the core 210 and a coi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212)는 구획벽(220)에 의해 구분된 각 공간에 하나의 돌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ver 212 may include one protrusion 240 in each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220.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212)는 구획벽(220)에 의해 구분된 각 공간에 복수개의 돌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며 돌출부(240)의 개수에는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ver 2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40 in each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220. However, this is for illustrative convenience only and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protrusions 240.

돌출부(240)는 절연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40)는 PP, AB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The protrusion 24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element. For example, the protrusion 240 may be formed of PP, ABS or the like,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돌출부(240)는 커버(212)의 외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40)는 커버(212)의 외면에서 페라이트 코어(211)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즉, 돌출부(240)는 제1 커버부(212a)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커버부(212b)에서는 중공부(8)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3 커버부(212c)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4 커버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240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212. Specifically, the protrusion 240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212 so as to face the ferrite core 211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240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212a, protrudes toward the hollow portion 8 in the second cover portion 212b, and protrudes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third cover portion 212c And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fourth cover portion.

커버(212)는 복수의 돌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2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40.

돌출부(240)는 인접한 돌출부와 이격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즉, 돌출부(240)와 인접한 돌출부 사이의 거리(d3)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획벽(220)에 의해 구분된 각 공간에서 돌출부(240)간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130)이 코어(210)에 일정한 간격으로 권취되도록 작업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The protrusion 240 may have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adjacent protrusion. That is, the distance d3 between the protrusions 240 and adjacent protrusions may be the s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tances between the projections 240 in each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220 may be the same. Accordingly, it is easy to work the coils 130 to be wound on the core 210 at regular intervals.

또한, 구획벽(220)에 의해 구분된 각 공간에 돌출부(240)는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240 may be formed in each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220 to be symmetrical.

돌출부(240)와 인접한 돌출부(240) 사이에는 수용 공간(24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240)와, 제1 커버부(212a) 및 인접한 돌출부(240)는 수용 공간(240a)을 형성할 수 있다. A receiving space 240a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240 and the adjacent protruding portion 240. 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240, the first cover portion 212a, and the adjacent protruding portion 240 can form the receiving space 240a.

수용 공간(240a)에 코일(130)은 적어도 1회 이상 감길 수 있다. The coil 130 may be wound at least once in the accommodation space 240a.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돌출부(240)는 커버(212)의 외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240)는 커버(212)와 일체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24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212. That is, the protrusion 240 can be integrated with the cover 212.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돌출부(240)는 커버(212)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trusion 24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ver 212. [

돌출부(240)가 커버(212)에 탈착되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30)이 감길 수 있다. When the protrusion 240 is detached from the cover 212, the coil 130 may be wound as shown in FIGS.

돌출부(240)가 커버(212)에 부착되면 코일(130)은 제1 내지 제4 커버부를 둘러싸며 감길 수 있다. 즉, 돌출부(240)가 커버(212)의 외면에 부착되면 제1 수용 공간(240a-1)에 (i-1)번째 코일(131)이 감기고, 제2 수용 공간(240a-2)에 i번째 코일(132)이 감기고, 제3 수용 공간(240a-3)에 (i+1)번째 코일(133)이 감길 수 있다. 이 때, 돌출부(240)에 의해 (i-1)번째 코일(131)과 i번째 코일(132)이 이격되고, i번째 코일(132)과 (i+1)번째 코일(133)이 이격될 수 있다.When the protrusion 240 is attached to the cover 212, the coil 130 surrounds and winds around the first to fourth cover parts. That is, when the protrusion 24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212, the (i-1) th coil 131 is wound o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40a-1, Th coil 132 may be wound and the (i + 1) -th coil 133 may be wound around the third accommodating space 240a-3. The (i-1) th coil 131 and the i-th coil 1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protrusion 240 and the i-th coil 132 and the (i + 1) .

이와 같이, 돌출부(240)는 코어(210)에 감긴 코일과 코일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어 코일(130)의 턴수를 증가시키면서 기생 커패시턴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240 can separate the coil and the coil wound around the core 210,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130 and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parasitic capacitance.

또한, 돌출부(240)가 커버(212)에 탈부착이 가능한 경우 돌출부(240)의 개수, 돌출부(240)간의 거리(d3)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130)의 턴수, 주파수 등에 따라 돌출부(240)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돌출부(240)간의 이격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trusion 24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ver 212,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240 and the distance d3 between the protrusions 240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24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urns, frequency, etc. of the coil 13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s 240 can be changed.

한편, 도 7 내지 도 8에서 각 수용 공간(240a)에 코일(130)이 1회씩 감기는 경우를 예시로 들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수용 공간(240a) 마다 코일(130)은 1회씩 감기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수용 공간(240a)에 코일(130)은 복수회 감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7 to 8 illustrate a case where the coil 130 is wound once in each of the receiving spaces 240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That is, the coil 130 may be wound once for each receiving space 240a, or the coil 130 may be wound several times for each receiving space 240a.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의 수용 공간에 코일이 복수회 감긴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il is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a receiving space of a nois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300)는 복수개의 돌출부(340)를 갖는 코어(310)와, 코어(310)에 감긴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noise filter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re 310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340 and a coil 130 wound around the core 310.

코일(130)은 코어(310) 중 돌출부(340)와 인접한 돌출부(340)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340a)에 복수회 감길 수 있다. 이 때, 각 수용 공간(340a)에 감기는 코일의 턴수는 동일할 수 있다.The coil 130 may be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the receiving space 340a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340 of the core 310 and the protrusions 340 adjacent thereto. At this time, the numbers of turns of the coils wound in the respective accommodating spaces 340a may be the sam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가 삼상용 코어를 갖는 경우 수용 공간에 코일이 감긴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il is wound in a receiving space when the nois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ee-phase co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400)는 코어(410), 코어(410)에 감긴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고, 코어(410)는 페라이트 코어(미도시), 커버 및 복수개의 구획벽(421, 42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복수개의 돌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ise filt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re 410 and a coil 130 wound around the core 410. The core 410 may include a ferrite core (not shown) And may include partition walls 421 and 422. The cov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440.

복수개의 구획벽(421, 422)은 코어(410)를 S상 공간, R상 공간, T상 공간 및 중선선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 공간을 절연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421 and 422 can divide the core 410 into the S phase space, the R phase space, the T phase space, and the medium line space, and can insulate the respective spaces.

복수개의 구획벽(421, 422)에 의해 구분된 각 공간은 복수개의 돌출부(440)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440)는 인접한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감긴 코일(130)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줄일 수 있다.Each space defined by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421 and 4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440 and the protrusions 440 may be formed by separating the coils 130 wound around the adjacent protrusions, The composition can be reduc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30: 코일
200: 노이즈 필터 210: 코어
211: 페라이트 코어 212: 커버
220: 구획벽 240: 돌출부
240a: 수용 공간
130: Coil
200: Noise filter 210: Core
211: ferrite core 212: cover
220: partition wall 240: protrusion
240a: accommodation space

Claims (7)

중공 원통 형상의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페라이트 코어를 둘러싸며 중공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감긴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감긴 코일과 코일 사이를 이격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노이즈 필터.
A core including a hollow cylindrical ferrite core and a cover surrounding the ferrite core and having a hollow portion; And
And a coil wound around the core,
The cover
And a protrusion for separating the coil from the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코어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을 포함하는 노이즈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And at least on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core into a plurality of spa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일정한 노이즈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adjacent protrusions is consta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코일이 1회 감기는 노이즈 필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coil is wound once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adjacent protrud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코일이 복수회 감기는 노이즈 필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coil is wound a plurality of turns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adjacent protru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의 외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노이즈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And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와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커버의 외면에 부착시 상기 코일과 코일 사이를 이격시키는 노이즈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Wherein the cover and the cover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when the cover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the coil and the coi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KR1020170133393A 2017-10-13 2017-10-13 Noise filter KR1019809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393A KR101980908B1 (en) 2017-10-13 2017-10-13 Noise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393A KR101980908B1 (en) 2017-10-13 2017-10-13 Noise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756A true KR20190041756A (en) 2019-04-23
KR101980908B1 KR101980908B1 (en) 2019-05-22

Family

ID=6628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393A KR101980908B1 (en) 2017-10-13 2017-10-13 Noise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9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501B1 (en) 2020-11-06 2023-05-26 주식회사 지에스피엠 BLDC Motor Improved High Frequency Noi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995A (en) * 2004-03-24 2005-10-06 Densei Lambda Kk Bobbin structure
KR100951785B1 (en) * 2009-06-17 2010-04-08 주식회사 티엔씨 Coupling structure for separator of coil product
KR20110109514A (en) * 2010-03-31 2011-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ear train arrange structure of 7 shift steps double clutch transmission
JP2015187591A (en) * 2014-03-12 2015-10-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Toroidal coil device and current measuring device us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995A (en) * 2004-03-24 2005-10-06 Densei Lambda Kk Bobbin structure
KR100951785B1 (en) * 2009-06-17 2010-04-08 주식회사 티엔씨 Coupling structure for separator of coil product
KR20110109514A (en) * 2010-03-31 2011-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ear train arrange structure of 7 shift steps double clutch transmission
JP2015187591A (en) * 2014-03-12 2015-10-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Toroidal coil device and current measuring devic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908B1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3662B2 (en) Converter line filter for connecting the converter to the three-phase power system
NO338301B1 (en) Transformer with electric shielding
US5150046A (en) Noise-shielded transformer
US2904762A (en) Shielded transformer
US10192676B2 (en) Noise filter, multistage-connection LC filter, and medical instrument
KR101980908B1 (en) Noise filter
JP5088898B2 (en) Inductance element
KR101198031B1 (en) Electromagnetic field shielding transformer which has the separation type of multiple magnetic field
JP6189084B2 (en) Noise filter
JP2008078844A (en) Noise filter
US4652846A (en) Small transformer with shield
US2183355A (en) Transformer construction
JP2009267223A (en) Inductance element
JP4987506B2 (en) Inductance element and noise filter using the same
KR101201291B1 (en) Transformer with backward double winding coil transformer for protceting electro-static shield, surge and eletromagnetic noise
CN111834081A (en) Common mode and differential mode integrated inductor
JP6210464B2 (en) electric circuit
KR100344724B1 (en) Noise prevent means of cable
JP6594360B2 (en) Filter device
CN110636234B (en) Audio-visual power processor and audio-visual playing system
KR101229409B1 (en) R.f filter for shield room
JPH06295834A (en) Line filter
JP6489859B2 (en) Filter device
Kuisma et al. Air-cored common mode filter with integrated capacitors
KR102317867B1 (en)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