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185A -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 and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 and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185A
KR20190041185A KR1020170132354A KR20170132354A KR20190041185A KR 20190041185 A KR20190041185 A KR 20190041185A KR 1020170132354 A KR1020170132354 A KR 1020170132354A KR 20170132354 A KR20170132354 A KR 20170132354A KR 20190041185 A KR20190041185 A KR 20190041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unit
server
companion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4201B1 (en
Inventor
천기준
Original Assignee
(주)제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컴 filed Critical (주)제이컴
Priority to KR102017013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201B1/en
Publication of KR2019004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2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Zo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and a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which enable a guardian of a companion animal in a remote area to accurately identify a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at home and perform remote control. The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comprises: an animal detection unit detecting a companion animal accessing an exit; a body weight detection unit detecting a body weight of a companion animal entering an accommodation room; a camera photographing the accommodation room; a body temperature detection unit detecting a body temperature of a companion animal entering the accommodation room; a mat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weight detection unit to generate heat; a lighting unit providing lighting to the accommodation room; and a control unit transmitting the body weight information from the body weight detection unit,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and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body temperature detection unit to an external server, and controlling the mat unit based on a mat unit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server and controlling a lighting unit according to a lighting unit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server.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스마트홈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 and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and a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스마트홈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생활에 최적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and a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ho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that can provide an optimal state for the life of a companion animal and a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통상적으로, 반려동물은 사람이 정서적으로 의지하며 함께 살아가는 동물의 총칭이라고 할 수 있다.Typically, companion animals are a collective term for animals that people depend on emotionally and live together.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개, 고양이 등과 같은 각종의 반려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실내에서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As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the number of people living with various kinds of companion animals such as dogs and cats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living with companion animals is increasing indoors.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기 위해서는 반려동물이 편안하게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In order to live with a companion animal, the companion animal must provide a comfortable space for resting and sleeping.

이에, 반려동물용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종 시설물이 제공되고 있으나, 반려동물에게 안락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펫 하우스에 대한 요구가 있다.Accordingly, although various facilities are provided to provide a relaxation space for companion animals, there is a demand for a new type of pet house that can provide comfortable space for companion animals.

그리고, 반려동물 보호자는 사회생활을 하기 위해 집을 비우는 경우가 잦고, 원격지의 반려동물 보호자는 집에 홀로 남겨진 반려동물을 걱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et animal caregiver often leaves the house for social life, and the remote animal caregiver worries about the animal left alone at home.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7699호(애완동물 온열하우스)Prior Ar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7699 (Pet Heater House)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220호(애견 집)Prior Art 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9220 (Pet Dog House)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7448호(펫 통합관리 서비스 제공방법)Prior Art 3: Korean Patent No. 10-1347448 (Method of Providing Pet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원격지의 반려동물 보호자에게 댁내의 반려동물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원격 제어가능한 반려동물용 스마트홈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home for a remote companion animal that can accurately grasp the situation of a companion animal at hom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은, 출입구를 통해 수용 공간으로의 출입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으로서,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the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being able to enter and exit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an entrance,

상기 출입구측으로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동물 감지부; 상기 수용 공간으로 들어온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을 감지하는 체중 감지부; 상기 수용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수용 공간으로 들어온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체중 감지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열을 발생하는 매트부; 상기 수용 공간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체중 감지부로부터의 체중 정보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체온 감지부로부터의 체온 정보를 외부의 서버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의 매트부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매트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의 조명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nim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ompanion animal approaching the entrance; A weight sensing unit for sensing a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that has entered the accommodation space;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accommodation space; A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that has entered the accommodation space; A mat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sensing unit and generating heat; An illumination unit for providing illumination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ransmitting body weight information from the body weight sensing unit,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to an external server, and based on the mat unit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serv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illumination unit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server.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동물 감지부가 상기 반려동물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있게 되면 활성화될 수 있다.The camera may be activated when the animal detection unit detects the companion animal or when a user requests a video image.

상기 체온 감지부는, 상기 동물 감지부가 상기 반려동물을 감지하거나 상기 체중 감지부가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을 감지하게 되면 활성화될 수 있다.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may be activated when the animal sensing unit senses the companion animal or the weight sensing unit senses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상기 매트부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a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for emitting far-infrared rays.

상기 조명부 제어 신호는, 상기 체온 감지부로부터의 체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의 서버에서 생성되거나 사용자의 조명 제어 선택을 근거로 상기 외부의 서버에서 생성될 수 있다.The illumination unit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in the external server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or may be generated in the external server based on the user's illumination control selection.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의 음악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may output music from the external server through the speaker.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은, 서버; 및 출입구측으로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동물 감지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수용 공간으로 들어온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을 감지하는 체중 감지부, 상기 수용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수용 공간으로 들어온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체중 감지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열을 발생하는 매트부, 상기 수용 공간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체중 감지부로부터의 체중 정보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체온 감지부로부터의 체온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매트부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매트부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조명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을 포함하고,And, a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rver; And a body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that has entered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accommodation space, A light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sensing unit for generating heat, a mat unit for generating heat, an illuminating unit for providing illumination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image sensing unit for sensing weight information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and an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to the server and controlling the mat unit based on a mat unit control signal from the server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lighting unit control signal from the server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s;

상기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근거하는 급식 조절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내고,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매트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에게로 보내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 요청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현재의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낸다.The server sends a meal control adjustment guidance message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user terminal and send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t unit to the companion animal smart home based on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s an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and sends a current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video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반려동물에게 사료를 제공하는 급식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른 급식 조절 정보를 상기 급식기에게로 보낼 수 있다.And a feeder for feeding feed to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server can send fe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feeder according to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상기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른 운동량 조절 정보를 메시지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낼 수 있다.The server may transmit the exercise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 정보에 따라 병의 발생 여부를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낼 수 있다.The server may send a guid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informing whether or not a disease has occurred according to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상기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은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음악을 상기 반려동물용 스마트폰에게로 보내고, 상기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의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음악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The smart home for the companion animal further includes a speaker, and the server sends the music to the smartphone for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controller for the companion animal smart home outputs the music from the server through the speaker .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의 반려동물 보호자에게 반려동물의 현재의 상태를 촬영한 영상을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원격지의 반려동물 보호자는 댁내의 반려동물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image of the current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provided to the companion animal protector at the remote site, the companion animal protector at the remote site can accurately grasp the situ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premise.

반려동물의 체중에 근거하여 급식 조절 정보를 급식기 및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냄으로써, 해당 반려동물의 체중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By sending fe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feeder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animal's weight, it can help weight control of the companion animal.

반려동물의 체온에 근거하여 병의 발생 여부를 사용자 단말에게 보냄과 더불어 치료용 음악을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해당 반려동물의 헬스케어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게 안락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the user is informed of the occurrence of the disease and the therapeutic music is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of the smart home for the companion animal, thereby not only helping the companion's healthcare,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치된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의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이 채용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ample of a sectional view of a companion smart groove in which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installed.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employing a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치된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의 단면도의 일예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ample of a sectional view of a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in which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은 개, 고양이 등과 같은 반려동물이 출입구(1)를 통해 출입이 가능하고 수용 공간을 갖춘 형태를 취한다. 수용 공간은 반려동물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서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 내부에 형성된다.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는데, 반려동물의 출입 및 생활이 가능한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방하다.The companion smart hom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e form of a companion animal such as a dog, a cat, etc., which is accessible through the doorway 1 and has a receiving space.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 the smart home (100) for a companion animal as a space where the companion animal can rest.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may be in various forms, but it may be in any form as long as the companion animal can enter and live.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은 주로 댁내에 비치될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댁외에 비치될 수도 있다.The companion smart home 100 is usually provided at home, but may be provided outside the home if necessar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은, 동물 감지부(10), 체중 감지부(12), 카메라(14), 체온 감지부(16), 매트부(18), 스피커(20), 조명부(22), 무선 통신부(24), 및 제어부(26)를 포함한다.The smart animal 100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imal sensing unit 10, a weight sensing unit 12, a camera 14, a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16, a mat unit 18, A display unit 20, an illumination unit 22,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and a control unit 26.

동물 감지부(10)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으로 들어오려고 하는 반려동물(예컨대, 개, 고양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동물 감지부(10)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출입구(1)로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The animal detection unit 10 can detect a companion animal (e.g., a dog, a cat, etc.) that intends to enter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That is, the animal detection unit 10 can detect the companion animal approaching the entrance 1 of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예를 들어, 동물 감지부(10)는 근접센서 등과 같은 비접촉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imal sensing unit 10 may be constituted by a noncontact sensor such as a proximity sensor or the like.

동물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신호는 해당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으로 반려동물이 들어오고 있음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The signal detected by the animal detection unit 10 is used to determine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entering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동물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허브를 통해 서버(도시 생략)에게로 전송된다.The signal detected by the animal detection unit 10 is transmitted to a server (not shown) through a hub (not shown).

이를 위해, 동물 감지부(10)는 도 2에서와 같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출입구(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animal detection unit 10 may be installed above the entrance 1 of the smart animal 100 for a companion animal as shown in FIG.

체중 감지부(12)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즉, 수용 공간)로 들어온 반려동물의 체중을 감지할 수 있다.The weight sensing unit 12 may sense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that has entered the interior (i.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mart pet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예를 들어, 체중 감지부(12)는 하나 이상의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ight sensing unit 12 may include one or more load cells.

체중 감지부(12)에서 감지되는 체중 정보는 해당 반려동물의 체중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에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지속적으로 체중 감지부(12)에서 체중이 감지되면 해당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에 계속 존재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체중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반려동물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에 존재해 있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중 감지부(12)에서 감지되는 체중 정보가 수시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반려동물이 제자리에 가만히 있지 않고 계속 움직이는 것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The weigh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ight detection unit 12 can be used not only to determine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but also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inside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 If the body weight is continuously detected by the weight detection unit 12, it can be known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still present inside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If the weight is continuously detected, it can be determined how long the companion animal is present inside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In addition, when the body weigh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body weight sensing unit 12 changes from time to time, it can be known that the companion animal keeps moving without staying still.

특히, 체중 감지부(12)에서 감지되는 체중 정보는 해당 반려동물의 체중관리를 위한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In particular, the weigh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ight detecting unit 12 will be used as data for weight manag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체중 감지부(12)에서 감지되는 체중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허브를 통해 서버(도시 생략)에게로 전송된다.The weigh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ight detecting unit 12 is transmitted to a server (not shown) through a hub (not shown).

체중 감지부(12)는 도 2에서와 같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바닥면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weight sensing unit 12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anion smart groove 100 as shown in FIG.

카메라(14)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즉, 수용 공간)를 촬영할 수 있다.The camera 14 can capture the interior (i.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카메라(14)에서 촬영된 영상은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 내부의 반려동물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4)에서 촬영된 영상은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에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4)에서 촬영된 영상은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존재해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4)에서 촬영된 영상은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즉, 수용 공간)에서 가만히 있지 않고 계속 움직이고 있는 것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4)에서 촬영된 영상은 해당 반려동물이 떨고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can be used to monitor the companion animal inside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In additio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inside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can be used to determine how long the companion animal exists within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can be used to determine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not staying still in the interior (i.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but is still moving. On the other h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can be used to check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shaken.

카메라(14)에서 촬영된 영상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단말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카메라(14)에서 촬영된 영상은 도시하지 않은 허브를 통해 서버(도시 생략)에게로 전송되는데, 서버는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있게 되면 카메라(14)에서 촬영된 현재의 영상을 사용자 단말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user at the request of the user. In other word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is transmitted to a server (not shown) through a hub (not shown). The server transmits a current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to the user terminal Lt; / RTI >

카메라(14)는 도 2에서와 같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지붕 내측면에서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camera 14 may be installed so as to face down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roof of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as shown in FIG.

상술한 카메라(14)는 배터리 용량 문제로 인해 항상 온(ON)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으로 들어오는 것이 감지되거나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활성화되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를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물 감지부(10)가 반려동물의 접근을 감지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가 무선 통신부(24) 및 허브(도시 생략)를 통해 외부의 서버(도시 생략)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영상 요청을 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가 서버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버는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으로 들어올려고 하거나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카메라(14)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허브 및 무선 통신부(24)를 통해 제어부(26)에게로 보낸다. 제어부(26)는 해당 활성화 신호를 근거로 카메라(14)를 활성화시킨다. 물론, 상술한 설명과는 다르게, 동물 감지부(10)가 반려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면 서버의 관여없이 제어부(26)가 직접 카메라(14)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The camera 14 described above is not always ON due to a battery capacity problem but is activated only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detected as coming into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or when there is a video request of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smart groove 100 for use. That is, when the animal detection unit 10 detects the approach of the companion animal, the correspond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and the hub (not shown).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makes a video request, a correspond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ccordingly, the server determines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coming into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or that there is a video request of the user, and transmits a signal for activating the camera 14 through the hub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to the control unit 26 ). The control unit 26 activates the camera 14 based on the activation signal. Of course,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animal detection unit 10 detects the approach of the companion animal, the control unit 26 may directly activate the camera 14 without involvement of the server.

체온 감지부(16)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즉, 수용 공간)로 들어온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체온 감지부(16)는 반려동물이 감지되거나 해당 반려동물의 체중이 감지되는 경우에 활성화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이 감지되거나 해당 반려동물의 체중이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가 제어부(26)에게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제어부(26)는 체온 감지부(16)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16 can sens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that has entered the interior (i.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mart home 100 for a companion animal. Here,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6 may be activated when a companion animal is detected or a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is detected. That is, when a companion animal is detected or a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is detected,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anion anim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6, so that the controller 26 can activate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6.

예를 들어, 체온 감지부(16)는 적외선 체온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16 may include an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체온 감지부(16)에서 감지되는 체온 정보는 반려동물의 체온에 관련된 정보이므로, 감지되는 체온 정보를 근거로 해당 반려동물이 감기에 걸렸는지 아니면 기타 다른 병에 걸렸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예컨대, 강아지)의 정상 체온은 38.5 ~ 39℃인데, 39.5℃ 이상이면 열이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40℃ 이상이면 열사병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한편, 저체온일 경우에는 감기와 같은 병을 의심해 볼 수 있다.Since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16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ens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suffering from a cold or other disease. For example, the normal body temperature of a companion animal (for example, a dog) is 38.5 to 39 ° C.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39.5 ° C, it can be determined that heat is high. On the other hand, if you are hypothermic, you may suspect a cold-like illness.

체온 감지부(16)에서 감지되는 체온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허브를 통해 서버(도시 생략)에게로 전송된다.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16 is transmitted to a server (not shown) through a hub (not shown).

체온 감지부(16)는 도 2에서와 같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지붕 내측면에서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16 may be installed so as to face down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roof of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as shown in FIG.

매트부(18)는 도 2에서와 같이 체중 감지부(12)의 상면에 설치된다.The mat portion 18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sensing portion 12 as shown in FIG.

매트부(18)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으로 들어온 반려동물에게 따뜻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부(18)는 전기매트, 온열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t portion 18 can provide warm heat to the companion animal that has entered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For example, the mat portion 18 may be composed of an electric mat, a warm mat, or the like.

매트부(18)는 내부에 전선 또는 열선(도시 생략) 등이 설치된다.The mat portion 18 is provided with electric wire or heat wire (not shown) inside.

필요에 따라, 매트부(18)에 원적외선을 방출시킬 수 있는 부재를 추가함으로써,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원적외선의 방출에 의해 반려동물의 건강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원적외선을 방출시킬 수 있는 부재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리고,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원적외선을 방출시킬 수 있는 부재를 매트부(18)에 추가시킬 수 있다.If necessary, by adding a member capable of emitting far-infrared rays to the mat portion 18, far-infrared rays can be emitted. The release of far infrared rays can increase the health of companion animals. Here, the member capable of emitting the far-infrared rays is not described in detail, but if it is a person engaged in the same kind of industry, it can be understood by a well-known technology. Further, if the person is engaged in the same kind of industry, a member capable of sufficiently emitting far-infrared rays can be added to the mat unit 18 by a well-known technique.

스피커(20)는 음악(치료용 음악, 자장가 포함)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20)에서 출력되는 음악은 자연의 소리(숲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연의 소리는 생활주변의 소음을 중화시켜 주어서 반려동물의 심신의 안정에 도움을 주므로, 반려동물의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e speaker 20 can output music (including therapy music and magnetic field). The music output from the speaker 20 may include natural sounds (forest sounds). Natural sounds help to neutralize the noise around living, helping the mind and body of companion animals to stabilize, which can help relieve the stress of companion animals.

스피커(20)는 도 2에서와 같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지붕 내측면에서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speaker 20 may be installed so as to face down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roof of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as shown in FIG.

조명부(22)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즉, 수용 공간)에서 소정 밝기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22)의 조명의 밝기는 가변될 수 있다.The illumination unit 22 can provide illumination of a predetermined brightness in the interior (i.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mart animal 100 for a companion animal. Then, the brightness of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22 can be varied.

예를 들어, 조명부(22)는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llumination section 22 may include one or more LEDs.

특히, 조명부(22)는 하나 이상의 색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조명부(22)는 색깔이 변화하는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llumination portion 22 may provide illumination of one or more colors. Accordingly, the illuminating section 22 can provide illumination of changing color.

조명부(22)는 도 2에서와 같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지붕 내측면에서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22 may be installed so as to face down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roof of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as shown in FIG.

사람이 모두 외출하면서 댁내의 전기시설의 전원을 모두 오프하게 되면, 야간에는 너무 컴컴하여 댁내의 반려동물이 불안해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명부(22)를 동작시켜 소정 밝기의 조명을 제공한다.When all the people go out and all the electric facilities of the house are turned off, it is too complicated at night and the companion animal in the house may become uneasy.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llumination unit 22 is operated to provide illumination of a predetermined brightness.

무선 통신부(24)는 허브(도시 생략)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허브는 서버(도시 생략)와 연결될 것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hub (not shown). The hub will be connected to a server (not shown).

무선 통신부(24)는 체중 감지부(12)에서 감지되는 체중 정보를 허브를 통해 서버(도시 생략)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4)는 서버로부터의 해당 반려동물에 대한 체중관리 정보(예컨대, 급식 조절 정보 등)를 허브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may transmit the weigh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ight detecting unit 12 to a server (not shown) through a hub. Fur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can receive weight management information (e.g., food service adjustment information, etc.) for the companion animal from the server through the hub.

무선 통신부(24)는 카메라(14)에서 촬영되는 영상(즉,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 영상)을 허브를 통해 서버(도시 생략)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can transmit an image (i.e., an internal image of the companion animal smart home 100)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to a server (not shown) through a hub.

무선 통신부(24)는 체온 감지부(16)에서 감지되는 체온 정보를 허브를 통해 서버(도시 생략)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4)는 서버로부터의 매트부(18)의 전원 온/오프 신호 및/또는 매트부(18)의 온도를 가감하는 정보(온도 제어 신호)를 허브를 통해 수신하여 제어부(26)에게로 보낼 수 있다. 여기서, 매트부(18)의 전원 온/오프 신호 및/또는 매트부(18)의 온도를 가감하는 정보(온도 제어 신호)를 매트부 제어 신호로 통칭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can transmi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16 to a server (not shown) through a hub.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receives the power on / off signal of the mat unit 18 from the server and / or the information (temperature control signal)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mat unit 18 through the hub, ). Here, the power on / off signal of the mat unit 18 and / or the information for increasing / de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mat unit 18 (temperature control signal) can be referred to as a mat unit control signal.

무선 통신부(24)는 서버(도시 생략)로부터의 조명 온/오프 제어신호, 조명 밝기 제어 신호, 조명 색상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온/오프 제어신호는 사용자의 조명 온/오프 명령에 따라 서버에서 생성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조명 밝기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조명 밝기 조정에 따라 서버에서 생성된 신호를 의미할 수 있고, 조명 색상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조명 색상 조정에 따라 서버에서 생성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조명 온/오프 제어신호, 조명 밝기 제어 신호, 및 조명 색상 제어 신호를 조명부 제어신호로 통칭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명 온/오프 명령, 조명 밝기 조정, 및 조명 색상 조정을 조명 제어 선택으로 통칭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can receive an illumination on / off control signal, a light brightness control signal, an illumination color control signal, and the like from a server (not shown). Here, the illumination on / off control signal may refer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a user's illumination on / off command. The illumination brightness control signal may refer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the brightness adjustment of the user, and the illumination color control signal may refer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the user's illumination color adjustment. The illumination on / off control signal, the illumination brightness control signal, and the illumination color control signal described above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illumination control signals. Then, the user's illumination on / off command, illumination brightness adjustment, and illumination color adjustment can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illumination control selection.

제어부(26)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6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특히, 제어부(26)는 체중 감지부(12)로부터의 체중 정보가 무선 통신부(24)를 통해 허브를 매개로 서버에게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는 지속적으로 해당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반려동물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에 존재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6)는 타이머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6 may control the weight information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12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via the hub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 When the control unit 26 continuously receive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mpanion animal, it can determine how long the companion animal is present in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Therefore, the control unit 26 can be regarded as including a timer.

또한, 제어부(26)는 카메라(14)에서 촬영된 영상이 무선 통신부(24)를 통해 허브를 매개로 서버에게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6 can control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4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via the hub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

제어부(26)는 체온 감지부(16)로부터의 체온 정보가 무선 통신부(24)를 통해 허브를 매개로 서버에게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는 서버에서의 매트부 전원 온/오프 신호 및 온도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부(24)를 통해 수신하여 매트부(18)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6 can control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16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via the hub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 The control unit 26 can control the mat unit 18 by receiving the mat unit power on / off signal and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from the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

제어부(26)는 무선 통신부(24)를 통해 음악을 수신하여 스피커(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6 can receive the music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and output it through the speaker 20.

제어부(26)는 무선 통신부(24)를 통해 조명 온/오프 제어신호, 조명 밝기 제어 신호, 조명 색상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하여 조명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6 can control the illumination unit 22 by receiving the illumination on / off control signal, the illumination brightness control signal, the illumination color control signal, and the lik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필요에 따라서, 제어부(26)는 주변 조도를 근거로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주변이 너무 어두우면 조명부(22)를 자동으로 온시켜서 소정 밝기의 조명이 제공될 수 있게 하여도 된다. 그리고, 제어부(26)는 주변 조도를 근거로 조명부(22)를 자동으로 오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조도 센서(도시 생략)를 추가로 갖추어야 할 것이다. If necessary, the control unit 26 may automatically turn on the lighting unit 22 to provide illumination of a predetermined brightness, if the periphery of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is too dark based on the ambient illuminance. The control unit 26 may automatically turn off the illumination unit 22 based on the ambient illuminance. For this operation, an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상술한 도 1에서는 무선 통신부(24) 및 제어부(26)를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무선 통신부(24)가 제어부(26)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Alth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and the control unit 26 are shown as separate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FIG.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26.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이 채용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employing a smart home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0), 급식기(40), 허브(50), 서버(60), 및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앞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The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30, a food dispenser 40, a hub 50, a server 60, and a smart home 100 for companion animals. Here, since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has already been described,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사용자 단말(30)은 서버(60)에게 반려동물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can request the companion animal monitoring application to the server 60 for downloading.

사용자 단말(30)은 반려동물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됨에 따라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내부 및 외부를 모니터링(관찰)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The user terminal 30 provides a screen for monitoring (observ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as the companion animal monitoring application is activated.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의 영상 요청에 따라 서버(60)로부터 카메라(14)에서 촬영된 현재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있게 되면 사용자 단말(30)은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서버(60)에게로 보낸다. 그에 따라, 서버(60)는 카메라(14)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허브(50)를 통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에게로 보낸다.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제어부(26)가 카메라(14)를 활성화시키게 되므로, 카메라(14)는 수용 공간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무선 통신부(24) 및 허브(50)를 통해 서버(60)에게로 전달된다. 서버(60)는 수신한 영상을 해당 사용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30)은 수신된 영상을 화면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수용 공간을 확인할 수 있고 수용 공간에 반려동물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반려동물의 현재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can receive the current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from the server 60 according to the user's video request. In other words, when a user's video request is made, the user terminal 30 send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server 60. Accordingly, the server 60 sends a signal for activating the camera 14 to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via the hub 50. The control section 26 of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activates the camera 14, so that the camera 14 photographs the accommodation space. The photograph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6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and the hub 50. The server 60 transmits the received image to the user terminal 30. The user terminal 30 can display the received image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accommodation space and visually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when there is a companion animal in the accommodation space.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의 조명 온/오프 명령, 조명 밝기 조정 신호, 조명 색상 조정 신호 등을 서버(6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may transmit the user's illumination on / off command, illumination brightness adjustment signal, illumination color adjustment signal, etc. to the server 60.

사용자 단말(3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30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terminal or a portable computer. 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mobility, and can be used a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Handheld devices such as a handheld device, an assistant, an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a W-CDMA )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he portable computer may include a notebook, a laptop, and the like.

또한, 사용자 단말(3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30 may be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note, a tablet PC, a wearable computer, or the like.

급식기(40)는 허브(50)를 통해 서버(60)와 연결된다.The feeder 40 is connected to the server 60 via the hub 50.

급식기(40)는 반려동물에게 사료 등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허브(50)를 통한 서버(60)로부터의 급식 조절 정보에 따라 반려동물에게 제공될 사료의 배출량, 배출 시기 등을 조절한다. The feeder 40 is a device for providing feed animals to the companion animal. The feeder 40 adjusts the amount of the feed to be supplied to the companion animal, the timing of discharging,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feeding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server 60 via the hub 50.

허브(50)는 댁내에 비치될 수 있다.The hub 50 may be provided at home.

허브(50)는 사용자 단말(30)과 서버(60)간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허브(50)는 서버(60)와 급식기(40)간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한다.The hub 50 performs transmission / reception of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server 60. The hub 50 also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between the server 60 and the food stepladder 40.

서버(60)는 반려동물의 헬스케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음악(치료용 음악, 자장가 포함)을 저장하고 있다. The server 60 stores one or more pieces of music (including therapeutic music and lullabies) that can help the companion's healthcare.

서버(60)는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라 급식 조절 정보를 생성하여 급식기(40)에게로 보낼 수 있고,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근거하는 급식 조절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에게로 보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버(60)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으로부터의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근거하여 급식 조절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허브(50)를 통해 급식기(40)에게로 보낼 수 있다. 이때, 급식기(40)에게로 전송된 급식 조절 정보는 서버(60)에 저장될 것이다. 또한, 서버(60)는 급식 조절 정보를 사용자(예컨대, 반려동물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시지화하여 사용자 단말(30)에게로도 보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버(60)는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라 운동량 조절 정보를 메시지화하여 사용자 단말(30)에게로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운동량 조절 정보는 해당 반려동물의 체중 조절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60 may generate feed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send the fe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feeder 40. The server 60 generates a feed control instruction message based on the companion's weight information, can send. In other words, the server 60 may generate feed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companion animal's weight information from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and send it to the feeder 40 via the hub 50. [ At this time, the feed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feeder 40 will be stored in the server 60. The server 60 may also send a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30 in order to allow the user (for example, a pet owner) to check the meal contro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erver 60 may send the exercise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 in response to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Here, the exercise amount adjust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n exercise program for weight control of the companion animal.

서버(60)는 반려동물의 체온 정보에 따라 병의 발생 여부를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에게로 보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버(60)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으로부터의 반려동물의 체온 정보에 근거하여 병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서버(60)는 이러한 사실을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시지화하여 사용자 단말(30)에게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서버(60)는 반려동물의 체온 정보에 근거하여 반려동물 스마트홈(100)의 매트부(18)를 온시키는 신호 및 매트부(18)에 대한 적정 온도를 포함하는 신호를 허브(50)를 통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에게로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매트부(18)를 온시키는 신호 및 매트부(18)에 대한 적정 온도를 포함하는 신호는 매트부(18)를 제어하는 신호의 일 예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60)는 반려동물의 체온 정보에 따라 매트부(18)의 온도를 어느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매트부(18)에 대한 적정 온도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erver 60 may generate a guidance message informing the occurrence of a disease according to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send it to the user terminal 30. In other words, the server 60 can determine whether a disease has occurred based on the companion'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If it is determined that a disease has occurred, the server 60 may send a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30 so that the parent can confirm the fact. The server 60 also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a signal for turning on the mat portion 18 of the companion animal smart groove 100 and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the mat portion 18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hub 50 To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Here, the signal for turning on the mat unit 18 and the signal including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or the mat unit 18 may be said to be an example of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t unit 18. For example, the server 60 can judge to what extent the temperature of the mat unit 18 is preferable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mat unit 18 according to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so that the signal including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or the mat unit 18 Can be generated.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30)을 조작하여 매트부(18)를 온시키는 신호 및 매트부(18)에 대한 적정 온도를 설정한 신호를 서버(60)에게로 전송하고, 서버(60)가 매트부(18)를 온시키는 신호 및 매트부(18)에 대한 적정 온도를 설정한 신호를 허브(50)를 통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에게로 보내도록 하여도 된다.Of course, if necessary, the user may transmit to the server 60 a signal for turning on the mat unit 18 by operating his own terminal 30 and a signal for setting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or the mat unit 18 , The server 60 sends a signal for turning on the mat unit 18 and a signal for setting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or the mat unit 18 to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through the hub 50 do.

서버(60)는 반려동물의 헬스케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악(치료용 음악, 자장가 포함)을 허브(50)를 통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악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서버(60)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충분히 학습된 결과를 토대로 음악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다.The server 60 can transmit music (including therapeutic music and lullaby) to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through the hub 50, which can help the companion's health care. Here, the music can be selected by the user. If necessary, the server 60 can automatically select the music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sufficiently through the deep learning algorithm.

서버(6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의 반려동물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요청에 따라 반려동물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The server 60 may download the companion animal monitor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companion animal monitoring applic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30. [

서버(60)는 카메라(14)에서 촬영되는 영상(즉,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반려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사용자 단말(30)로부터의 영상 요청에 따라 카메라(14)에서 촬영된 현재의 영상을 사용자 단말(30)에게로 보낼 수 있다.The server 60 receiv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that is, the image photographed inside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and when the access of the companion animal is detected or the video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30 The current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can be sent to the user terminal 30. [

서버(60)는 사용자의 조명 제어 선택에 근거한 조명부 제어 신호(조명 온/오프 제어 신호, 조명 밝기 제어 신호, 조명 색상 제어 신호)를 허브(50)를 통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에게로 보낼 수 있다.The server 60 sends a lighting unit control signal (illumination on / off control signal, illumination brightness control signal, illumination color control signal) based on the user's lighting control selection to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via the hub 50 can send.

상술한 도 3에서, 서버(60)와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은 허브(50)를 매개로 상호 통신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허브(50)를 채용하지 않고 서버(60)와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이 직접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3, the server 60 and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hub 50. However, the server 60 and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hub 50 without using the hub 50. [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상술한 도 3에서, 서버(60)와 급식기(40)는 허브(50)를 매개로 상호 통신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허브(50)를 채용하지 않고 서버(60)와 급식기(40)가 직접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3, the server 60 and the feeder 4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hub 50. However, the server 60 and the feeder 4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employing the hub 50. [ 40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으로 들어오게 되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수용 공간내의 매트부(18)에 자리를 잡을 것이다. When the companion animal enters the smart home 100, it will be placed on the mat portion 18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이때, 매트부(18)의 하부에는 체중 감지부(1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체중 감지부(12)는 해당 반려동물의 체중을 감지한다. 체중 감지부(12)에서 감지되는 체중 정보는 무선 통신부(24) 및 허브(50)를 통해 서버(60)에게로 전송된다.At this time, since the weight sensing unit 12 is provided below the mat unit 18, the weight sensing unit 12 senses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The weigh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ight detecting unit 12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6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and the hub 50. [

이와 같이 반려동물이 감지되거나 해당 반려동물의 체중이 감지되면 체온 감지부(16)가 활성화되어 해당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게 된다. 체온 감지부(16)에서 감지되는 체온 정보는 무선 통신부(24) 및 허브(50)를 통해 서버(60)에게로 전송된다.When the companion animal is detected or the body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is detected,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6 is activated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16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6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and the hub 50. [

그에 따라, 서버(60)는 해당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를 근거로 체중 조절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체중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서버(60)는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근거하는 급식 조절 정보를 생성하여 허브(50)를 통해 급식기(40)에게로 보낸다. 급식기(40)는 급식 조절 정보에 따라 사료 배출량 및 사료 배출 시기 등을 조절할 것이다. 그리고, 서버(60)는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근거하는 급식 조절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에게로 보낸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반려동물의 체중 조절을 위해 어떠한 내용의 급식 조절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erver 60 determines whether weight control is necessary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weight control is necessary, the server 60 generates and sends the food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feeder 40 through the hub 50. The feeder (40) will adjust the feed discharge rate and feed discharge timing according to the feed control information. Then, the server 60 generates a feeding regulation guidance message based on the companion's body weight information and sends it to the user terminal 30. Accordingly, the user can know what kind of feeding control is being performed for the weight control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서버(60)는 체온 감지부(16)에서 감지되는 체온 정보를 근거로 병이 발생하였는지 또는 해당 반려동물의 몸상태가 안 좋은 것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예컨대, 강아지)의 정상 체온은 38.5 ~ 39℃인데, 39.5℃ 이상이면 열이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40℃ 이상이면 열사병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한편, 저체온일 경우에는 감기와 같은 병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만약, 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서버(60)는 이러한 사실을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시지화하여 사용자 단말(30)에게로 보낼 수 있다. 만약, 반려동물의 체온이 낮을 경우(즉, 저체온일 경우)에는 서버(60)는 허브(50)를 통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에게로 매트부(18)를 작동시키는 신호 및 매트부(18)의 온도를 적정 온도까지 높이도록 하는 신호를 보낸다. 그에 따라,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제어부(26)의 제어에 따라 매트부(18)가 온(ON)되고 내부의 열선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리하여 반려동물의 체온을 높혀주게 된다. 그리고 나서, 반려동물의 체온이 정상 체온으로 되면 서버(60)는 허브(50)를 통해 매트부(18)를 오프(OFF)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보낸다. 그에 따라,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제어부(26)의 제어에 따라 매트부(18)는 오프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반려동물의 체온이 정상 체온으로 되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제어부(26)가 매트부(18)를 오프시킨 후에 무선 통신부(24) 및 허브(50)를 통해 서버(60)에게로 매트부(18)를 오프시켰음을 알려주어도 무방하다. 추가적으로, 서버(60)는 반려동물의 헬스케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악(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선정한 음악)을 허브(50)를 통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스피커(2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60 determines whether a disease has occurred or a body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s bad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6. For example, the normal body temperature of a companion animal (for example, a dog) is 38.5 to 39 ° C.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39.5 ° C, it can be determined that heat is high. On the other hand, if you are hypothermic, you may suspect a cold-like illnes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isease has occurred, the server 60 may send a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30 so that the parent can confirm the fact. If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ow (that is, when the body temperature is low), the server 60 transmits a signal to the smart pet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hub 50 to operate the mat portion 18, (18) to a proper temperature. Accordingly, the mat unit 18 is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6 of the smart animal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of the interior of the mat unit 18 is raised. Thus, the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is raised. Then,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reaches a normal body temperature, the server 60 sends a signal to turn off the mat unit 18 through the hub 50. Thereby, the mat unit 18 is turned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6 of the smart animal 100 for companion animals. Of course, if necessary, the control unit 26 of the smart animal 100 for a companion animal turns off the mat unit 18, and the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and the hub 50, It may be notified to the server 60 that the mat unit 18 has been turned off. In addition, the server 60 may send music (e.g., music selected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selected through a deep learning algorithm) to the companion animal's smart home 100 to the speaker 20 of FIG.

한편,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수용 공간으로 들어오거나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있게 되면 카메라(14)가 작동하여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내의 상황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무선 통신부(24) 및 허브(50)를 통해 서버(60)에게로 전송된다. 서버(60)는 카메라(14)에서 촬영된 현재의 영상을 사용자 단말(30)에게로 보낸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 내부의 반려동물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enters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or when the user requests the video, the camera 14 operates to photograph the situation in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 The photograph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6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 and the hub 50. The server 60 sends the current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 to the user terminal 30. Accordingly, the user can monitor the companion animal in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모니터링중에, 조명을 온시켜야 할 상황이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30)에서 조명 온(ON)을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신호가 서버(60)에게로 전달되고, 서버(60)는 조명 온 신호를 허브(50)를 통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에게로 보낸다.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에서는 제어부(26)의 제어에 따라 조명부(22)가 활성화되어 소정 밝기의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명 밝기 조절 또는 조명 색상 조절이 있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가 서버(60)에게로 전달되고, 서버(60)는 조명 밝기 제어 신호 또는 조명 색상 제어 신호를 허브(50)를 통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에게로 보낸다. 그에 따라, 조명부(22)의 조명 밝기 또는 조명 색상이 가변될 것이다.During monitoring, if the lighting is to be turned on, the user can select illumination ON at his / her terminal 30. Accordingly, a correspond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60, and the server 60 sends an illumination on signal to the companion smart home 100 via the hub 50. [ In the smart home 100 for a companion animal, the lighting unit 22 is 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6 to provide illumination of a predetermined brightness. In addition, when a user's illumination brightness adjustment or illumination color adjustment is provided, a correspond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60, and the server 60 transmits the illumination brightness control signal or the illumination color control signal through the hub 50 To the smart home 100 for animals. Accordingly, the illumination brightness or illumination color of the illumination section 22 will be variable.

한편, 모니터링중에, 사용자가 소정의 음악을 선택하고 나서 음악 출력을 명령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가 서버(60)에게로 전달되고, 서버(60)는 선택된 음악 정보 및 이를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허브(50)를 통해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에게로 보낸다. 그에 따라, 반려동물용 스마트홈(100)의 스피커(20)를 통해 해당 음악이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monitoring,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usic and then commands music output, a correspond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60, and the server 60 transmits the selected music information and a signal for outputting the selected music information to the hub 60. [ (50) to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music is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20 of the smart home 100 for the companion animal.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While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invention only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동물 감지부 12 : 체중 감지부
14 : 카메라 16 : 체온 감지부
18 : 매트부 20 : 스피커
22 : 조명부 24 : 무선 통신부
26 : 제어부 30 : 사용자 단말
40 : 급식기 50 : 허브
60 : 서버 100 : 반려동물용 스마트홈
10: Animal sensing part 12: Weight sensing part
14: camera 16: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18: Matte part 20: Speaker
22: illumination unit 24: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6: control unit 30:
40: Feeder 50: Hub
60: Server 100: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s

Claims (15)

출입구를 통해 수용 공간으로의 출입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으로서,
상기 출입구측으로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동물 감지부;
상기 수용 공간으로 들어온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을 감지하는 체중 감지부;
상기 수용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수용 공간으로 들어온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체중 감지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열을 발생하는 매트부;
상기 수용 공간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체중 감지부로부터의 체중 정보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체온 감지부로부터의 체온 정보를 외부의 서버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의 매트부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매트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의 조명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
As a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s that can enter and leave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an entrance,
An anim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ompanion animal approaching the entrance;
A weight sensing unit for sensing a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that has entered the accommodation space;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accommodation space;
A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that has entered the accommodation space;
A mat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sensing unit and generating heat;
An illumination unit for providing illumination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d transmits the body weight information from the body weight sensing unit,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to an external server, and controls the mat unit based on a mat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serv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illumination unit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ser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동물 감지부가 상기 반려동물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있게 되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comprises:
Wherein the animal detection unit is activated when it detects the companion animal or when a user requests a video im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온 감지부는,
상기 동물 감지부가 상기 반려동물을 감지하거나 상기 체중 감지부가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을 감지하게 되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Wherein the smart home is activated when the animal sensing unit senses the companion animal or the weight sensing unit senses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member for emitting far-infrared ray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 제어 신호는,
상기 체온 감지부로부터의 체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의 서버에서 생성되거나 사용자의 조명 제어 선택을 근거로 상기 외부의 서버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llumination unit control signal includes:
Wherein the smart home is created in the external server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or is generated in the external server based on the user's lighting control sel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의 음악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peaker,
And the controller outputs the music from the external server through the speaker.
서버; 및
출입구측으로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동물 감지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수용 공간으로 들어온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을 감지하는 체중 감지부, 상기 수용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수용 공간으로 들어온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체중 감지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열을 발생하는 매트부, 상기 수용 공간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체중 감지부로부터의 체중 정보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체온 감지부로부터의 체온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매트부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매트부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조명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근거하는 급식 조절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내고,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매트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에게로 보내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 요청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현재의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server; And
A body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which has entered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accommodation space, A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 body temperature, a mat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weight sensing unit for generating heat, an illumination unit for providing illumination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image sensing unit for sensing weight information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to the server and controlling the mat unit based on a mat unit control signal from the server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lighting unit control signal from the server An animal smart home;
The server sends a meal control adjustment guidance message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user terminal and send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t unit to the companion animal smart home based on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and sending a current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video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에게 사료를 제공하는 급식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른 급식 조절 정보를 상기 급식기에게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A feeder for feeding the companion animal to the feeder,
Wherein the server sends feed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body weigh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feed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른 운동량 조절 정보를 메시지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server comprises:
And the exercise amount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s sent as a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 정보에 따라 병의 발생 여부를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server comprises:
And sends a guidanc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informing whether or not a disease has occurred according to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은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음악을 상기 반려동물용 스마트폰에게로 보내고, 상기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의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음악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companion smart home further comprises a speaker,
Wherein the server sends music to the smartphone for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controller for the companion smartphone outputs the music from the server through the speak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동물 감지부가 상기 반려동물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영상 요청이 있게 되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camera comprises:
Wherein the animal detection unit is activated when it detects the companion animal or when a user requests a video imag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체온 감지부는,
상기 동물 감지부가 상기 반려동물을 감지하거나 상기 체중 감지부가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을 감지하게 되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body-
Wherein the animal monitoring unit is activated when the animal sensing unit senses the companion animal or the weight sensing unit senses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ma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member for emitting far-infrared ray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 제어 신호는,
상기 체온 감지부로부터의 체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에서 생성되거나 사용자의 조명 제어 선택을 근거로 상기 서버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illumination unit control signal includes:
Wherein the server is generated in the server based on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or is generated in the server based on a user's lighting control selection.
KR1020170132354A 2017-10-12 2017-10-12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 KR1019742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354A KR101974201B1 (en) 2017-10-12 2017-10-12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354A KR101974201B1 (en) 2017-10-12 2017-10-12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185A true KR20190041185A (en) 2019-04-22
KR101974201B1 KR101974201B1 (en) 2019-04-30

Family

ID=6628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354A KR101974201B1 (en) 2017-10-12 2017-10-12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201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999A (en) 2019-05-15 2020-11-25 김성훈 Method of providing pet care service and management system
KR20210001199A (en) 2019-06-27 2021-01-06 김성훈 Method of providing pet care service with big data
KR20210033228A (en) * 2019-09-18 2021-03-26 김지민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reof
KR20210092380A (en) * 2020-01-16 2021-07-26 김수현 System for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KR20210135789A (en) * 2020-05-06 2021-11-16 김정엽 Deodorization and Air purifi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
KR102360606B1 (en) * 2021-05-11 2022-02-10 주식회사 누리온 Smart pet house
KR20220073878A (en) * 2020-11-26 2022-06-03 이승리 Smart pet house
KR20220116860A (en) * 2021-02-16 2022-08-23 조도운 Smart cushion for companion animals
CN115885883A (en) * 2022-12-06 2023-04-04 西南大学 Intelligent heat preservation lamp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livestock bree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3334A (en) * 2020-05-20 2020-08-18 芜湖市润山生态农业有限责任公司 Intelligent pig house of breeding
KR102188099B1 (en) * 2020-06-29 2020-12-07 주식회사 아큐랩 Growing-up management system for pets
KR20230010973A (en) 2021-07-13 2023-01-20 (주)디로펫 System that detects the sound of pet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670A (en) * 2004-08-04 2006-02-16 Daikin Ind Ltd Pet health-controlling system
KR20120053441A (en) * 2010-11-17 2012-05-25 김덕원 Digital house for pet
KR200469220Y1 (en) 2012-07-31 2013-10-02 최주연 pet dog house
KR20130107699A (en) 2012-03-23 2013-10-02 승언 김 Pet warm house
KR101347448B1 (en) 2012-02-02 2014-01-03 김상준 Servic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pet
US20170097169A1 (en) * 2015-10-01 2017-04-06 Plug and Play Robotics, LLC Smart pet-crate with interactive features
KR20170058571A (en) * 2015-11-19 2017-05-29 한국광기술원 Case for pet with active sterilizing function and cure func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670A (en) * 2004-08-04 2006-02-16 Daikin Ind Ltd Pet health-controlling system
KR20120053441A (en) * 2010-11-17 2012-05-25 김덕원 Digital house for pet
KR101347448B1 (en) 2012-02-02 2014-01-03 김상준 Servic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pet
KR20130107699A (en) 2012-03-23 2013-10-02 승언 김 Pet warm house
KR200469220Y1 (en) 2012-07-31 2013-10-02 최주연 pet dog house
US20170097169A1 (en) * 2015-10-01 2017-04-06 Plug and Play Robotics, LLC Smart pet-crate with interactive features
KR20170058571A (en) * 2015-11-19 2017-05-29 한국광기술원 Case for pet with active sterilizing function and cure func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999A (en) 2019-05-15 2020-11-25 김성훈 Method of providing pet care service and management system
KR20210001199A (en) 2019-06-27 2021-01-06 김성훈 Method of providing pet care service with big data
KR20210033228A (en) * 2019-09-18 2021-03-26 김지민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reof
KR20210092380A (en) * 2020-01-16 2021-07-26 김수현 System for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KR20210135789A (en) * 2020-05-06 2021-11-16 김정엽 Deodorization and Air purifi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
KR20220073878A (en) * 2020-11-26 2022-06-03 이승리 Smart pet house
KR20220116860A (en) * 2021-02-16 2022-08-23 조도운 Smart cushion for companion animals
KR102360606B1 (en) * 2021-05-11 2022-02-10 주식회사 누리온 Smart pet house
CN115885883A (en) * 2022-12-06 2023-04-04 西南大学 Intelligent heat preservation lamp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livestock breeding
CN115885883B (en) * 2022-12-06 2024-04-05 西南大学 Intelligent heat preservation lamp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livestock bree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201B1 (en)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201B1 (en)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
US11818627B2 (en) Gesture-based load control via wearable devices
US9854641B2 (en) Smart home-care lighting system
KR101876003B1 (en) Case for pet with active sterilizing function and cure function
KR101654609B1 (en) Remote Smart Monitoring System for Handicapped, Disabled and Elderly Living Alone and Method thereof
US20190147721A1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ignal initiation, transmission, notification/annunciation, and level of performance
CN107439056B (en) Illumination control device
KR20210014376A (en) Smart pet house
KR200478906Y1 (en) Auto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system thereof
KR20140069306A (en) Occupancy driven patient room environmental control
JP2017504323A (en) Temperature determination for a pair of thermometers
AU2017215684B2 (en) Intelligent bed
JP2016527649A (en) Flexible temperature sensor including compatible electronics
US10257914B2 (en) Light exposure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light-emitting apparatus
WO2011082208A2 (en) Animal containment and monitoring systems
CN114245710A (en) Correction collar using geographical positioning technology
WO2016203702A1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3431870A1 (en) Lighting device for smart residence lighting
JP2019071251A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nd tenant management system
KR102397078B1 (en) Silver Care Systems using a Companion Robot
KR20210099468A (en)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including pet ta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60143980A (en) Smart soil bed/stone bed
JP7226315B2 (en) Care support system and information notification control method
KR201600375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ghting control
Malinowski et al. Smart dog walk monitor and reminder with color-coded status indic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