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106A -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106A
KR20190041106A KR1020170132150A KR20170132150A KR20190041106A KR 20190041106 A KR20190041106 A KR 20190041106A KR 1020170132150 A KR1020170132150 A KR 1020170132150A KR 20170132150 A KR20170132150 A KR 20170132150A KR 20190041106 A KR20190041106 A KR 20190041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smetic material
gel
lid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913B1 (ko
Inventor
윤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3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9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2040/225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lid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겔상화장료가 수용되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에 결합되는 내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뚜껑의 내측에는 고형화장료가 수용된다.

Description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Compact container having a solid type cosmetic and gel type cosmetic}
본 발명은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겔상화장료가 수용되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에 결합되는 내용기뚜껑으로 구성되되, 상기 용기뚜껑의 내측에는 고형화장료가 수용되고, 상기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팔레트가 형성되어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며, 상기 팔레트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색조화장품은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기초화장품과 달리 안료가 포함되어 피부의 톤을 조정해주어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화장품이다.
상기 색조화장품은 피부색을 균일하게 하고 결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손톱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구분되며, 베이스 메이크업에는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포인트 메이크업에는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은 화장료의 형태에 따라 고형 파우더, 액상 파운데이션, 겔상 파운데이션으로 구분되며, 고형 파우더의 경우 커버력은 높지만 수정 화장 시 뭉치는 단점이 있고, 액상 파운데이션의 경우 밀착감은 좋으나 지속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당한 지속력을 가지며 또한 피부에 도포시 밀착감이 좋은 겔상 파운데이션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졌다.
상기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7628호로 개시하였는데, 이는 콤팩트 용기 내부에 함침부재(1)를 내장하고 상기 함침부재에 겔상 파운데이션을 함침시켜 퍼프를 이용하여 함침부재에 함침된 겔상 파운데이션을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근래 들어 여성들은 겔상 파운데이션만 사용하지 않고 겔상 파운데이션에 고형 파우더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를 위한 두 가지의 화장료를 동시에 수용하며 사용 가능한 용기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4181호를 개시하였는데, 이는 내용기에는 제1함침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내용기를 덮는 내용기뚜껑에는 제2함침부재를 수용하는 콤팩트용기로써, 용기를 개방한 후 내용기와 내용기뚜껑에 수용된 두가지의 화장료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내용기뚜껑에 함침된 제2함침부재만을 사용하고자 할때에도 용기뚜껑과 내용기뚜껑을 모두 개방해야 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이 있고, 사용하지 않는 제1함침부재도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용기에 함침된 제1함침부재와 내용기뚜껑에 함침된 제2함침부재를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팔레트를 구비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겔상화장료가 수용되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에 결합되는 내용기뚜껑으로 구성되되, 상기 용기뚜껑의 내측에는 고형화장료가 수용되고, 상기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팔레트가 형성되어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며, 상기 팔레트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 내측에 형성된 팔레트의 바닥면에는 일정하게 반복되는 패턴으로 엠보싱 처리하거나, 또는 도트로 엠보싱 처리하여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자료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도록 한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겔상화장료가 수용되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에 결합되는 내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뚜껑의 내측에는 고형화장료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에는 고형화장료와 인접하여 팔레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의 팔레트 바닥면에는 일정하게 반복되는 패턴으로 엠보싱 처리되거나, 또는 도트로 엠보싱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의 내측에는 테두리벽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벽 안쪽에 분리벽이 형성되어 고형화장료와 팔레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과 내용기뚜껑을 개방하면 상기 내용기에 수용된 겔상화장료와 용기뚜껑에 수용된 고형화장료가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기에는 함침부재가 더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기뚜껑의 내측에는 거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겔상화장료가 수용되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에 결합되는 내용기뚜껑으로 구성되되, 상기 용기뚜껑의 내측에는 고형화장료가 수용되고, 상기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팔레트가 형성되어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며, 상기 팔레트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 내측에 형성된 팔레트의 바닥면에는 일정하게 반복되는 패턴으로 엠보싱 처리하거나, 또는 도트로 엠보싱 처리하여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자료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용기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내용기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내용기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내용기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용기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내용기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내용기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에 결합되는 용기뚜껑(20)과, 상기 용기본체(10)에 장착되며, 내부에 겔상화장료가 수용되는 내용기(30)와, 상기 내용기(30)에 결합되는 내용기뚜껑(6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뚜껑(20)의 내측에는 고형화장료(22)가 수용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일측면에 잠금턱(12)을 구비한 누름버튼(11)과 상기 누름버튼(11)의 마주보는 쪽에 힌지가 형성되어 용기뚜껑(20)과 힌지 결합되며, 내주연에는 힌지블라켓장착홈(13)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버튼(11)은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누름버튼(11)의 상부에 연장 형성된 잠금턱(12)이 용이하게 후퇴되어 용기뚜껑(20)의 잠금돌기(21)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블라켓장착홈(13)에는 내용기(30)의 힌지블라켓(36)이 삽입 장착된다.
상기 용기뚜껑(20)은 용기본체(10)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용기본체(10)와 힌지 결합되며, 용기본체(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기뚜껑(20)의 일측에는 잠금돌기(21)를 형성하되, 상기 잠금돌기(21)는 용기본체(10)의 잠금턱(12)과 대응되도록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뚜껑(20)의 내측에는 고형화장료(22)가 수용되며, 상기 고형화장료(22)의 일측에는 인접하여 팔레트(23)가 형성된다.
상기 팔레트(23)의 바닥면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하게 반복되는 패턴으로 엠보싱 처리되어 고형화장료(22)와 내용기(30)에 수용된 겔상화장료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팔레트(23)의 바닥면을 도트로 엠보싱 처리하여 고형화장료(22)와 겔상화장료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고형화장료(22)와 팔레트(23)의 테두리에는 테두리벽(24)이 돌출 형성되어 고형화장료(22)와 팔레트(23)를 용기뚜껑(20) 내측에서 구획시킨다.
상기 고형화장료(22)와 팔레트(23) 사이에는 분리벽(25)이 형성되어 고형화장료(22)와 팔레트(23)를 분리시켜 준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에는 내용기(30)가 장착되며, 상기 내용기(30)는 바닥면(31)과 3중 측면벽으로 형성되되, 상기 3중 측면벽은 바닥면(3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32)과 상기 내벽(32)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중간벽(33)과 상기 중간벽(33)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외벽(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벽(32)과 중간벽(33) 사이에는 고정구(50)가 끼움 결합되어 내용기(30)에 장착되는 함침부재(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중간벽(33)과 외벽(34) 사이에는 밀폐홈(35)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홈(35)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기뚜껑(60)의 밀폐돌륜(61)이 끼워지되, 외벽(34)의 내경은 밀폐돌륜(6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밀폐돌륜(61)이 끼워질 때 타이트하게 끼워져 밀폐력을 증대시킨다.
상기 외벽(34)의 외주면에는 힌지블라켓(36)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블라켓(36)에는 내용기뚜껑(60)에 형성된 힌지블럭(64)이 힌지 결합된다.
상기 내용기(30)에는 겔상화장료가 직접 내장되거나, 상기 겔상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40)가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함침부재(40)는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eral Rubber), NRSBR(Natera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라텍스, 실리콘, PVA(PolyVinyl Alcohol),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용기(30)에는 고정구(50)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구(50)는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연장편(51)과 상기 수평연장편(51)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연장편(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연장편(51)은 내용기(30)의 내벽(32) 상단에 안착되어 함침부재(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연장편(52)은 내용기(30)의 내벽(32)과 중간벽(33)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구(50)가 내용기(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용기(30)의 상부에는 내용기뚜껑(60)이 결합된다.
상기 내용기뚜껑(60)은 하단에 밀폐돌륜(61)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밀폐돌륜(61)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기(30)의 외벽(34) 내측에 강제 끼움 결합되어 내용기(30)의 기밀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용기뚜껑(60)의 내측에는 거울(62)이 형성되며, 상기 거울(62)은 내용기뚜껑(60)을 개방한 후, 내용기(30)에 수용된 겔상화장료 또는 용기뚜껑(20)의 내측에 수용된 고형화장료(22)를 사용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내용기뚜껑(60)을 개방하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기(30)에 수용된 겔상화장료와 용기뚜껑(20)에 수용된 고형화장료(22)가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형화장료(22)의 일측에 형성된 팔레트(23)에 겔상화장료와 고형화장료(22)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내용기뚜껑(60)의 일측면에는 용이한 개폐를 위해 개폐손잡이(63)가 형성된다.
상기 내용기뚜껑(60)은 일측에 힌지블럭(64)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블럭(64)은 내용기(30)의 힌지블라켓(36)에 끼워져서 힌지핀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내용기뚜껑(60)의 상면에는 퍼프수용공간(65)이 형성되며, 상기 퍼프수용공간(65)에는 퍼프(P)가 보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용기본체(10)에 용기뚜껑(20)을 결합하되, 상기 용기뚜껑(20)의 내측에는 고형화장료(22)가 수용되며, 상기 고형화장료(22)에 인접하여 팔레트(23)가 형성된다.
이후, 내용기(30)에 내용기뚜껑(60)을 결합하되, 상기 내용기뚜껑(60)의 내측에는 거울(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용기(30)에 겔상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40)를 내장한 다음, 상기 내용기(30)에 고정구(50)를 결합한다.
이후, 상기 내용기(30)를 용기본체(10)에 결합한 다음 내용기뚜껑(60)의 퍼프수용공간(64)에 퍼프(P)를 장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뚜껑(20)을 개방한다.
이후, 퍼프(P)를 파지한 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기뚜껑(60)을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용기뚜껑(20)과 내용기뚜껑(60)을 개방하면 도 8 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뚜껑(20)의 내측에 수용된 고형화장료(22)와 내용기(30)에 수용된 겔상화장료 및 내용기뚜껑(60)의 내측에 형성된 거울(62)이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고형화장료(22)의 일측에 형성된 팔레트(23)도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고형화장료(22), 팔레트(23), 겔상화장료 및 거울(62)이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고형화장료(22)와 겔상화장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팔레트(23)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서 거울(62)을 보면서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화장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용기본체 20:용기뚜껑
30:내용기 40:함침부재
50:고정구 60:내용기뚜껑

Claims (8)

  1.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 겔상화장료가 수용되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에 결합되는 내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뚜껑의 내측에는 고형화장료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에는 고형화장료와 인접하여 팔레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의 팔레트 바닥면에는 일정하게 반복되는 패턴으로 엠보싱 처리되거나, 또는 도트로 엠보싱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의 내측에는 테두리벽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벽 안쪽에 분리벽이 형성되어 고형화장료와 팔레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과 내용기뚜껑을 개방하면 상기 내용기에 수용된 겔상화장료와 용기뚜껑에 수용된 고형화장료가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에는 함침부재가 더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뚜껑의 내측에는 거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KR1020170132150A 2017-10-12 2017-10-12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KR10198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150A KR101984913B1 (ko) 2017-10-12 2017-10-12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150A KR101984913B1 (ko) 2017-10-12 2017-10-12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106A true KR20190041106A (ko) 2019-04-22
KR101984913B1 KR101984913B1 (ko) 2019-09-03

Family

ID=6628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150A KR101984913B1 (ko) 2017-10-12 2017-10-12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9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41B1 (ko) * 2011-09-01 2013-01-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30097024A (ko) * 2012-02-23 2013-09-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70008341A (ko) * 2015-07-13 2017-01-24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화장료가 수용되는 콤팩트 용기
KR20170101613A (ko) * 2016-02-29 2017-09-06 (주)바이오스마트 이중 화장품 케이스
KR101782905B1 (ko) * 2016-12-05 2017-09-28 임준국 이종화장품과 화장도구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41B1 (ko) * 2011-09-01 2013-01-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30097024A (ko) * 2012-02-23 2013-09-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70008341A (ko) * 2015-07-13 2017-01-24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화장료가 수용되는 콤팩트 용기
KR20170101613A (ko) * 2016-02-29 2017-09-06 (주)바이오스마트 이중 화장품 케이스
KR101782905B1 (ko) * 2016-12-05 2017-09-28 임준국 이종화장품과 화장도구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913B1 (ko)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7447B1 (en) Compact container for receiving two kinds of cosmetics
KR101734181B1 (ko) 두 가지 화장료가 수용되는 콤팩트 용기
KR101584512B1 (ko) 밀폐링을 갖는 리필용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US10172434B2 (en) Compact container having rotating contents container
KR101881361B1 (ko) 구조가 단순하고 화장료 충전 공정이 개선된 콤팩트 용기
KR20190010756A (ko) 내용기의 회전 체결구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160062244A (ko) 뚜껑에 개폐버튼이 구비된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20190030618A (ko) 화장품용 콤팩트 용기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711186B1 (ko) 펌프의 측면에 수평으로 내용물저장용기가 결합된 콤팩트용기
KR101796899B1 (ko) 화장품 용기
KR101886143B1 (ko) 오염 방지 콤팩트 용기
US20200397121A1 (en) Cosmetic container with improved sealing ability
KR101765685B1 (ko) 화장료의 휘발을 방지하는 콤팩트 용기
KR20180128677A (ko) 밀폐링과 탄성연결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화장품 용기
KR101896282B1 (ko) 화장도구에 의해 용기뚜껑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KR20160123518A (ko) 내용기의 이중밀폐구조를 구비한 콤팩트용기
KR101697966B1 (ko)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90041106A (ko) 고형화장료와 겔상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KR101787340B1 (ko) 열과 자외선이 이중으로 차단되는 콤팩트 용기
KR102090222B1 (ko) 이종 화장료가 함께 내장된 콤팩트 용기
KR200482837Y1 (ko) 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용기
KR101918476B1 (ko) 겔상화장료와 고형화장료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KR20170005705A (ko) 알루미늄실링부재가 부착된 콤팩트 용기
KR101663059B1 (ko)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 충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