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087A - Air conditioning system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087A
KR20190041087A KR1020170132093A KR20170132093A KR20190041087A KR 20190041087 A KR20190041087 A KR 20190041087A KR 1020170132093 A KR1020170132093 A KR 1020170132093A KR 20170132093 A KR20170132093 A KR 20170132093A KR 20190041087 A KR20190041087 A KR 20190041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communication
unit
air conditioner
commun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0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0389B1 (en
Inventor
고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389B1/en
Publication of KR2019004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47L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es: a first controller connected to an air conditioner with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second controller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with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data storage command to the first controller by converting the communication data storage comman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controller stores communication data with the second controller based on the converted communication data storage command. Therefore, a communication packet can be easily analyzed.

Description

공기조화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0001] Air conditioning system [0002]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간의 통신 데이터를 제1 제어기에 저장하여, 통신 패킷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storing communication data of a first controller and a second control period in a first controller to easily analyze a communication packet .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o provid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by discharging cold air to the room to adjust the room temperature and purify the room air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In the air conditioner,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efrigerant pipe, the refrigerant compressed from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i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is again supplied to the outdoor unit And flows into the compressor. Accordingly, the indoor unit discharges the cold air into the room through the heat exchange using the refrigerant.

한편, 대형 건물 등에 있어서,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거나 복수의 실외기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이른바 멀티형 공기조화기 형태로 구성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On the other hand, in a large building or the like, th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as a so-called multi-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re connected to one outdoor unit or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are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또한, 근래에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뿐만 아니라 건물 내의 설치된 전력, 조명, 방재, 공조 등의 다양한 서브 시스템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빌딩 관리 시스템(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이 구비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that can integrate and control not only a multi-type air conditioner but also various subsystems such as installed power, illumination, disaster prevention, air conditioning, etc. in the building is provided.

이러한 서브 시스템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통신망 연결로써 필드버스(field bus)가 있다, 특히, 론웍스(lonworks)는, 개방형 통신 프로토콜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뛰어나 산업 전반에 두루 사용되고 있다.There is a field bus as a network connection that can manage these subsystems as a whole. In particular, LonWorks has excellent open communication protocol and excellent economy, and is widely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그러나, 빌딩 관리 시스템(BMS)의 제어기와 공기조화기의 제어기는 제조사가 서로 다른 것이 일반적이고, 상호 통신 이슈 발생시, 엔지니어는 관련 HW(예를 들어 ft/tp-10 케이블) 및 SW(예를 들어, lonscanner)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분석이 용이하지 않고, 관리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t is common that the controller of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and the controller of the air condition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when an intercommunication issue arises, the engineer can use the related HW (for example, ft / tp- Lonscanner), so that the analysis is not easy and the management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패킷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easily analyzing communication packe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와, 공기조화기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제어기와, 제1 제어기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에 전송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1 제어기는,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기초로, 제2 제어기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t least one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 first controller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system, And a second controller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by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converts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into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o the first controller, And stores communication data with the second cont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간의 통신 데이터를 제1 제어기에 저장하므로, 통신 패킷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communication data of the first controller and the second control period in the first controller, so that the communication packet can be analyzed easily.

또한, 공기조화시스템 내의 제1 제어기는, 통신 데이터를 변환하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하며, 외부기기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통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통신 이슈 등에 대한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first controller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an analyze the communica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through the external device, without storing the communication data in the memory, so that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can be quickly performed .

또한, 공기조화시스템은, 전력, 조명, 방재 등의 서브 시스템과 상이한 통신방식의 멀티형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구조적 변경 없이 그대로 빌딩 관리 시스템(BMS)에 편입시킬 수 있어, 시스템 구성의 유연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an incorporate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system of a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subsystem such as power, illumination, and disaster prevention into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without structural modification, do.

또한, 공기조화시스템 내의 제1 제어기는, 제1 통신 방식으로, 실외기 또는 실내기에 연결되며, 각 실외기 또는 실내기는 개별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아도,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에 의한 개별 제어가 가능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first controller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or the indoor uni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outdoor unit or the indoor unit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ler or the second controlle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at a low cost.

또한, 공기조화시스템은,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의 제어 명령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종합적인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하여, 제어의 용이성 및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capable of comprehensiv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air conditioner by a control command of the first controller or the second controller,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control and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또한, 공기조화시스템 내의 제2 통신 방식은, 론토크 프로토콜 기반의 론웍스 네트워크일 수 있고, 따라서, 공기조화시스템은, 강한 내잡음성, 멀티타켓/멀티제어 제공, 시스템 신뢰도 향상, 확장성 증대 등의 이점이 있다.Fur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may be a LonWorks network based on the LonTalk protocol, and thus, the air conditioning system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strong noise abatement, providing multi-target / multi control, improving system reliability,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5는, 도 4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신호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신호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of Fig. 1. Fig.
3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second controller of Fig.
4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first controller of Fig.
5 is a drawing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flow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flow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rawing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 module " and " part "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 module " and " part " may be used interchangeably.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내기(21) 및 실외기(31)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100), 공기조화기(100)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제어기(40), 제1 제어기(41)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 제어기(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er 100 having at least one indoor unit 21 and an outdoor unit 31, an air conditioner 100 And a second controller 50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41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controller 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40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한편, 빌딩 관리 시스템(BMS)은, 제2 제어기(50)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기타 서브 시스템(200)을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may be a concept that further includes other subsystems 200 connected in a second communication manner with the second controller 50.

따라서, 이하에서 공기조화기(100) 및 제1 제어기(40) 구성을 공기조화시스템(10)과 구별하여 공조 서브 시스템 또는 공조 시스템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foll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and the first controller 40 may be referred to as an air conditioning subsystem 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separately from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0.

공기조화기(100)는, 대형의 공기조화기(100)로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내기(21 내지 26, 이하 구분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21이라 한다), 실내기(21)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외기(31 내지 32, 이하 구분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31 이라 한다), 실내기(21)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리모컨(11 내지 16, 이하 구분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11이라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indoor units 21 to 26 (hereinafter referred to as "21" when there is no necessity of division) and the indoor unit 21 as a large air conditioner 100,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 to 16 connected to each of the indoor units 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11 if there is no necessity of division), at least one outdoor unit 31 to 32 (hereinafter, . ≪ / RTI >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Also, the air conditioner 100 may be any of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but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21) 및 실외기(31)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ventilator, an air purifier, a humidifier, and a heater, and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1 and the outdoor unit 31.

실외기(31)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 (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31 includes a compressor (not shown) for receiving and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outdoor air, an accumulator for extracting the gas refrigerant from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not shown) for selecting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heating operation.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valves, oil collectors, and the like.

실외기(31)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21)로 냉매를 공급한다.The outdoor unit (31) operates the compresso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to compress or heat-exchange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setting to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21).

실외기(31)는 리모컨(11) 또는 실내기(21)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21)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31)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 된다.The outdoor unit 31 is driven by the request of the remote controller 11 or the indoor unit 21 and the number of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31 and the number of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The number of operating parts of the motor is variable.

이때, 실외기(31)는 복수의 실외기(31)가, 각각 연결된 실내기(21)로 각각 냉매를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나, 실외기(31) 및 실내기(21)의 연결구조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31)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21)로 냉매를 공급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outdoor unit (31) is explained on the basis that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31) supply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s (21)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21) The outdoor units 3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1.

실내기(21)는 복수의 실외기(3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21)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 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The indoor unit (21)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31), and receives refrigerant and discharges cold air to the room. The indoor unit 21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an indoor unit fan (not shown),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in which the supplied refrigerant expands, and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한편, 실외기(31)는 실내기(21) 동작 상태 정보 및 실외기(31)와 연결된 실내기 그룹의 그룹주소 데이터가 저장되는 실외기 데이터저장부(미도시)와 제1 제어기(40)에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동작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실외기 통신 모듈(미도시)과,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실내기(21)를 제어하는 실외기 마이컴(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31 is connected to an outdoor unit data storage unit (not shown) storing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1 and group address data of the indoor unit group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31, And an outdoor unit microcomput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indoor unit 21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s of the first controller 40 or the second controller 50.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

실외기 마이컴(미도시)은,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할당된 실내기 그룹 주소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그룹주소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내기 그룹에 해당되는 실내기(21)로부터 수신된 그룹주소 데이터를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outdoor unit microcomputer (not shown) receives indoor unit group address data allocated from the first controller 40 or the second controller 50, the outdoor unit microcomputer stores the received group address data, To the first controller (40) or the second controller (50).

실외기 마이컴(미도시)은,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실외기(31)와 연결된 실내기 그룹의 동작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실내기 그룹으로 동작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수신된 실내기 그룹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제1 제어기(4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signal requesting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group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31 from the first controller 40 or the second controller 50, the outdoor unit microcomputer (not shown) requests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indoor unit group And to transmit the receive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group to the first controller 40 in response to the request.

한편, 실내기(21)는 실내기(21)를 제어하는 실내기 마이컴(미도시)을 구비하고, 실내기 마이컴(미도시)은 실외기(31)를 통해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할당된 실내기 그룹의 그룹주소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그룹주소 데이터에 따라 실내기(21)의 그룹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21 includes an indoor unit microcomput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indoor unit 21. The indoor unit microcompute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40 or the second controller 50 through the outdoor unit 31, The group address of the indoor unit 21 can be set according to the received group address data.

또한, 실내기(21)는 실내기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하고, 실내기(21)는 실외기(31)의 요청에 따라 실내기(21)의 동작 상태 정보를 실내기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실외기(31)에 전송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21 includes an indoor unit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the indoor unit 21 transmits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1 to the indoor unit 21 through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t the request of the outdoor unit 31, To the outdoor unit (31).

복수의 리모컨(11)은 실내기(21)에 각각 연결되어, 실내기(21)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21)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11)은 실내기(2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21)에 하나의 리모컨(11)이 연결되어 하나의 리모컨 입력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21)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21 so as to input control commands of the users to the indoor units 21 and to receive and display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s 21. [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ler 11 communicates wired or wirelessly according to the connection form with the indoor unit 21. In some cases, one remote controller 11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1, The setting of the display unit 21 can be changed.

또한, 리모컨(11)은 내부에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11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therein.

제1 제어기(40)는, 공기조화기(100)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기(40)는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에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21)에 대한 운전 설정, 잠금 설정, 스케쥴 제어, 그룹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100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thereof.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ler 40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1 and / or the outdoor unit 31, and can perform operation setting, lock setting, schedule control, group control, etc. on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1. [

또한, 제1 제어기(40)는, 각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기(21)의 개별 운전 및 정지가 가능하고, 각 실내기(21)의 운전상태 및 이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제1 제어기(40)가 컴퓨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 환경에서 제어하여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controller 40 can individually operate and stop the indoor units 21 installed in the respective rooms and can grasp the operation states and abnormalities of the respective indoor units 21. The first controller 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s 21,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and monitor by controlling it in the Internet or a local network environment.

예를 들어, 제1 제어기(40)는,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제어 명령을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에 전송할 수 있다.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troller 40 may include input means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and may convert the control command into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to the indoor unit 21 and / or the outdoor unit 31. The indoor unit (21) and / or the outdoor unit (31) can control each unit based on the control signal.

또한, 제1 제어기(40)는,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 받고,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 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first controller 40 can receive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1 and / or the outdoor unit 31 and display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이를 위해, 제1 제어기(40)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 및 제어 데이터 또는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controller 40 may include input means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control data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한편,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기(50)의 제어 명령을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기(40)는,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하는 게이트웨이로써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troller 40 may convert the control command of the second controller 50 into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air conditioner 100.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ler 40 can operate as a gateway for converting protocols.

예를 들어, 제1 제어기(40)가 게이트웨이로써 동작하는 경우, 제1 제어기(40)는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와 RS 485 등의 전용선 통신 방식이나, LAN(Local Area Network) 등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는, 론웍스(Lonworks), 백넷(BACnet)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 내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roller 40 operates as a gateway, the first controller 40 may communicate with the indoor unit 21 and / or the outdoor unit 31 via a dedicated lin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RS 485, )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first controller 40 can convert the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Lonworks or BACnet into a communication protocol in the indoor unit 21 and / or the outdoor unit 31 or vice versa.

특히,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기(50)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2 제어기(50)와의 통신 데이터를, 제1 제어기(40) 내의 저장 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controller 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ler 50 in a second communication manner, and can store the communication data with the second controller 50 in the storage means in the first controller 40. [

예를 들어,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수신 받을 수 있고, 제1 제어기(4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기초로, 제2 제어기(50)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troller 40 may receive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from the second controller 50, and the first controller 40 may control the second controller 50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은, 제1 제어기(40)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외부기기(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외부기기(60)는, 통신 데이터를 다운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device 60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40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The communication data can be download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이에 따라, 공기조화시스템(10)은, 현장 엔지니어가 통신 이슈 발생시, 관련 HW(예를 들어, ft/tp-10 케이블) 및 SW(예를 들어, lon scanner)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외부기기(60)를 통해, 통신 패킷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0 may be configured so that even if the field engineer does not have an associated HW (e.g., ft / tp-10 cable) and SW (lon scann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munication packet can be easily analyzed through the device 60. [

또한, 관련 SW는, 인증키를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은 간단한 외부기기 연결만으로 통신 패킷을 분석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related SW generally requires an authentication key,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a communication packet only by connecting a simple external device, thereby reducing the cost.

제2 제어기(50)는, 제1 제어기(40)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각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기(21)의 개별 운전 및 정지가 가능하고, 각 실내기(21) 및 실외기(31)의 동작 상태 및 이상을 파악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4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so that the indoor units 21 installed in the respective rooms can be individually operated and stopped and the indoor units 21 and the outdoor units 31) can be grasped.

예를 들어, 제2 제어기(50)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제1 제어기(40)에 전송하고, 제1 제어기(40)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ler 5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to the first controller 40, and the first controller 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convert it into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air conditioner 100.

이때, 제2 제어기(50)는, 실내기(21)를 냉방 모드, 제습 모드, 공기청정 모드, 난방 모드 등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control the indoor unit 21 to operate in a cooling mode, a dehumidifying mode, an air cleaning mode, a heating mode, and the like.

또한, 제2 제어기(50)는, 제1 제어기(40)가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수신한 동작 상태 정로를 수신 받아 표시 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receive the operating state route received by the first controller 40 from the air conditioner 100,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means.

이때, 제2 제어기(50)는, 실시간으로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의 실시간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receive real-time data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1 and / or the outdoor unit 31 in real time and display the received data.

특히,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receive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Also,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convert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in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controller 40. [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제어기(50)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toring time, and the first controller 50 may store the communication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toring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은, 제1 제어기(40)와 제2 제어기(50) 사이의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제어기(50)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공기조화기(100)를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not shown) between the first controller 40 and the second controller 50, It is possible to control and monitor the air conditioner 100 by connecting to a web server.

이때, 사용자 인증방법은, 제1 제어기(40)의 네트워크 접근시 입력한 고유ID 및 패스워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기저장된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user authentication method can determine whether the unique ID and the password data inputted at the time of network access of the first controller 40 are identical to the ID and password of the pre-stored user, It does not.

한편, 빌딩 관리 시스템(BMS) 내의 기타 서브 시스템(200)은, 전력 시스템, 조명 시스템, 이동 시스템, 보안 시스템, 방재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other subsystems 200 within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may include power systems, lighting systems, mobile systems, security systems, disaster prevention systems, and the like.

전력 시스템은, 빌딩 내 전력 분배기, 전력 검침기 등과 같은 전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조명 시스템은, 빌딩 내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power system controls the operation of a power device such as an in-building power distributor, a power meter, etc., and the lighting system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in the building.

또한, 이동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건물 내에서의 이동장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고, 보안 시스템은, 외부 침입에 대한 침입감지 장치, 경보장치, 감시카메라 등과 같은 보안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방재 시스템은, 가스누설 감지기, 화재 감지기 등의 방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mobile system also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within the building, such as elevators and escalators, and the security system controls the operation of security devices, such as intrusion detection devices, alarm devices, surveillance cameras, etc., ,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controls the operation of a disaster prevention device such as a gas leak detector and a fire detector.

그 밖에, 빌딩 제어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서브 시스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subsystems may be further included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building control.

이때, 제2 제어기(50)는, 복수의 서브 시스템에 대하여, 개별 서브 시스템 단위로 제어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시스템을 소정 그룹으로 구분하여 그룹단위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ler 5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subsystems on an individual subsystem-by-subsystem basis, or may divide at least one subsystem into a predetermined group and control the operation on a group-by-group basis.

제2 제어기(50)는, 복수의 서브 시스템을 개별 동작함은 물론,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기(50)가 소비 전력을 제한하는 경우, 제2 제어기(50)는, 전력 시스템 및 공조 시스템에 대하여 그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50 can control not only the plurality of subsystems separately but also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second controller 50 limits power consumption,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control its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power system and the air conditioning system.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of Fig. 1.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00)는, 크게 실내기(21)와 실외기(31)로 구분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conditioner 100 is roughly divided into an indoor unit 21 and an outdoor unit 31.

실내기(21)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한다.The indoor unit 21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108 disposed inside the room and performing a cooling / heating function, an indoor fan 109a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08 for promoting heat radiation of the refrigerant, And an indoor air blower 109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109b for rotating the fan 109a.

실내측 열교환기(108)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At least one indoor heat exchanger 108 may be installed. At least one of an inverter compressor and a constant speed compressor may be used as the compressor 102. [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실내를 냉방 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 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the air conditioner 100 may be constituted by a cooling unit that cools the room, or a heat pump that cools or heats the room.

실외기(31)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 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한다.The outdoor unit 31 includes a compressor 102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compressor 102b for driving the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104 serving to dissipate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 outdoor fan 105 which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r 104 and includes an outdoor fan 105a for accelerating the heat radiation of the refrigerant and an electric motor 105b for rotating the outdoor fan 105a and an outdoor fan 105 for expand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An accumulator 103 for temporarily storing the gasified refrigerant to remove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and then supplying a refrigerant of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compressor, and the like do.

한편, 도 2에서는 실내기(21)와 실외기(31)를 각각 1개씩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한 개의 실내기와 복수개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2 shows only one indoor unit 21 and one outdoor unit 31. However, the driving apparatus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n outdoor unit 31,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n air conditioner, an air conditioner having one indoor unit and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도 3은, 도 1의 제2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3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second controller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의 제2 제어기(50)는, 입력부(310), 저장부(320), 프로세서(330), 통신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50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310, a storage unit 320, a processor 330, a communication unit 340, .

입력부(31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버튼 또는 터치입력수단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버튼과 터치입력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310 includes at least one button or touch input means, and may include both a button and a touch input means as the case may be.

입력부(310)는 구비되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프로세서(330)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put unit 310 may transmit a user command to the processor 33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특히, 입력부(310)는, 서브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프로세서(330)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해당 서브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put unit 310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bsystem, and the processor 33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to the subsystem.

또한, 입력부(31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통신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입력부(310)는, 통신 데이터 저장 중지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Also, the input unit 310 may receive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and the communication new data storing comm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toring time. Alternatively, the input unit 310 may receive a communication data storage stop comma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기(50)는,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출력부(미도시)는, 숫자, 문자, 특수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소정의 표시 수단, 소정의 효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not shown), and the output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predetermined display for outputting numbers, characters, special characters, A speaker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and the like.

출력부(미도시)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표시 수단에 출력하거나,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소정의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not shown) outputs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to the display unit, or outputs a predetermine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user command, and outputs an operation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100 Can be displayed.

저장부(320)는, 제2 제어기(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 데이터, 제1 제어기(40)와의 통신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second controller 50, setting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10, communication data with the first controller 40, and the like.

한편, 통신 데이터는, 제1 제어기(40)와의 통신 상태에 대한 정보, 송수신제어 되는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제어기(40)와 송수신하는 모든 데이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first controller 40, information on a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100,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ll the data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the first controller 40 may correspond to this.

또한, 저장부(320)는,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변수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information on a variable table for protocol conversion.

예를 들어, 저장부(320)는, 제2 통신 방식을 제1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수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 방식은 RS-485 통신 방식이고, 제2 통신 방식은, 론 토크(Lon talk) 프로토콜 기반의 론웍스(lonworks) 통신 방식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information on a variable table for converting the second communication scheme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scheme. 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n RS-485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 lonworks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a Lon talk protocol.

프로세서(330)는, 제2 제어기(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입력부(310) 및 출력부(미도시)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cond controller 50. The processor 330 can control input / output of data through the input unit 310 and the output unit (not shown).

프로세서(330)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통신부(340)를 통해 해당 서브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1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sub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40. [

프로세서(330)는, 복수의 서브 시스템 각각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 상호 연동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each of a plurality of subsystems, as well as to each other.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도어 잠금 신호에 연동하여,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정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도어 잠금 신호 및 정지 신호를 통신부(340)를 통해 보안 시스템 및 공조 시스템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330 can generate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in conjunction with the door lock signal, and transmits the door lock signal and the stop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3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40 Security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respectively.

이에 따라, 공기조화시스템(10)은, 전력, 조명, 방재 등의 서브 시스템들과 상이한 통신방식의 공기조화기(100)를, 구조적 변경 없이 그대로 빌딩 관리 시스템(BMS)에 편입시킬 수 있어, 시스템 구성의 유연성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0 can incorporate the air conditioner 100 having a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subsystems such as power, illumination, and disaster prevention into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without structural modification, Provides flexibility in system configuration.

특히, 프로세서(33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론웍스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통신부(340)를 통해,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processor 330 can convert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into the LonWorks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 the converted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to the first controller 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40.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를 론웍스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변수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ata storage comm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torage time. The processor 330 may convert the information on the storage time into a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LonWorks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 the converted information.

이때, 제1 제어기(40)는, 상기 변수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한다.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ler 40 stores the communication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또한, 프로세서(330)는, 통신 데이터 저장 중지명령을, 론웍스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변수로 변환하고, 상기 변수를, 통신부(340)를 통해,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330 may convert the communication data storage stop command into a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LonWorks communication method, and may transmit the variable to the first controller 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40.

이때, 제1 제어기(40)는, 상기 변수를 기초로, 통신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한다.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ler 40 stops storing the communication data based on the variable.

통신부(340)는, 전력 장치(350), 보안 장치(360), 조명 장치(370) 및 공기조화기(100)와 통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3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340)는, 론웍스 통신 모듈(341)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40 can communicate with the power device 350, the security device 360, the lighting device 370, and the air conditioner 100.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34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More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unit 340 may include a LonWorks communication module 341.

한편, 도 3의 전력 장치(350), 보안 장치(360) 및 조명 장치(370)는, 각각, 전력 시스템, 보안 시스템, 조명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빌딩 제어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서브 시스템이 더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device 350, the security device 360, and the lighting device 370 of Fig. 3 may be, respectively, a power system, a security system, and a lighting system. In addition, various subsystems may be further includ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building control and the like.

도 4는, 도 1의 제1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4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first controller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의 제1 제어기(40)는, 게이트웨이부(410), 원격제어부(420), 입력부(430), 출력부(440), 제1 통신부(450), 제2 통신부(460) 및 제3 통신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teway unit 410, a remote control unit 420, an input unit 430, an output unit 440 , A first communication unit 45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460,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470. [

먼저,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기(50), 공기조화기(100) 및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통신부(450, 460, 470)를 구비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controller 40 may include first to third communication units 450, 460, and 470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ntroller 50, the air conditioner 100, and an external device.

제2 통신부(460)는, 공기조화기(100)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기(40)와 공기조화기(100)는 CAC(Commercial Air-conditioner Control) 네트워크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 제2 통신부(460)는 RS 485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6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100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Meanwhile, the first controller 40 and the air conditioner 100 are generally composed of a commercial air-conditioner control (CAC) network. For this purpos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60 includes an RS 485 communication module .

제1 통신부(450)는, 제2 제어기(50)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통신 방식은 백넷(BAC net)과 같은 개방형 필드버스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론웍스(lonworks)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통신부(450)는, 론웍스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4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ler 50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n open field bus network such as BAC net, and more preferably a lonworks communication method may be used. To this e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450 may include a LonWorks communication module.

제3 통신부(470)는, 외부기기(60)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통신 방식은 외부기기(60)의 구조 및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방식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통신부(470)는, TCP/IP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7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60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may be various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device 60, and may preferably be a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 / IP) method. To this en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70 may include a TCP / IP communication module.

게이트웨이부(410)는, 서로 다른 방식을 가지는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부(410)는 통신 방식을 변환하는 변환부(411)와, 통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4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gateway unit 410 can convert protocols having different schemes. To this end, the gateway unit 410 may include a conversion unit 411 for converting a communication method and a first memory 412 for storing communication data.

제1 메모리(412)는, 제2 제어기(50)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데이터는 파일 형태로 변환되지 않고, 원격제어부(420)로 전송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5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irst memory 412 may store communication data with the second controller 50. [ The communication data is not converted into a file form, but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4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1 메모리(412)는, 통신 방식을 변환하기 위한 변수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모리(412)는, 론 네트워크 변수를 변환하기 위한 SNVTs(Standard Network Variable Types)이 저장될 수 있다.In the first memory 412, a variable table for converting a communication method can be stored. For example, in the first memory 412, Standard Network Variable Types (SNVTs) for converting the Ron network variable may be stored.

변환부(411)는, 제2 제어기(50) 또는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고, 네트워크 변수를 출력하여, 제2 제어기(50) 또는 공기조화기(100)로 출력할 수 있다.The converting unit 411 matches the signal inputted from the second controller 50 or the air conditioner 100 with the variable table and outputs the network variable to the second controller 50 or the air conditioner 100 ).

예를 들어, 변환부(411)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수신한 제1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수는 제어 신호로써, 공기조화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verting unit 411 can output a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based on the first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second controller 50. [ Further, the variable may be transmitted to the air conditioner 100 as a control signal.

다른 예로, 변환부(411)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수신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기초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 대응되는 변수를 출력하고, 상기 변수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verting unit 411 outputs a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on the basis of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received from the second controller 50, and based on the variable, Data can be stored.

또 다른 예로, 변환부(411)는,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를 기초로, 동작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수는 동작 상태 데이터로써, 제2 제어기(50)에 전송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verting unit 411 can output a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ir conditioner 100. [ Further, the variabl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troller 50 as operation state data.

한편, 제2 통신 방식이 론웍스 통신 방식인 경우, 변환부(411)는,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한 뉴런칩(Neuron chip)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the LonWorks communication method, the converting unit 411 may include a neuron chip for converting a communication protocol.

원격제어부(420)는, 제어 신호를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하고, 제2 제어기(50)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부(420)는, 통신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파일 형태로 변환하는 제어부(421)와, 상기 통신 파일을 저장하는 제2 메모리(422)를 구비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unit 420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air conditioner 100 and store communication data with the second controller 50. [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unit 420 may include a control unit 421 for converting communication data in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file format, and a second memory 422 for storing the communication file.

제어부(421)는 제1 제어기(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21)를 메인 제어부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421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ler 40. [ Therefore, the control section 421 may be referred to as a main control section.

제어부(421)는, 입력부(430)가 수신한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460)를 제어하여 제어 신호를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21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by the input unit 430. [ Fur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60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air conditioner 100. [

또한, 제어부(421)는, 게이트웨이부(410)에서 변환된 제1 제어 명령을 제어 신호로써 공기조화기(100)에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21 can output the first control command converted by the gateway unit 410 to the air conditioner 100 as a control signal.

제어부(421)는, 출력부(440)를 제어하여, 각 기기와의 연결 상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 등을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21 can control the output unit 440 to output the connection state with each device,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100, and the like.

특히, 제어부(421)는, 게이트웨이부(410)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받아, 소정의 통신 파일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파일 형태는, XML(Extensible Markup Laguage) 또는 XSL(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파일 형태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421 can receive the communication data from the gateway unit 410 and convert it in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file format.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file format may be a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or an XSL (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file format.

제2 메모리(422)는, 제어부(421)에서 변환된 통신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422)에 저장된 통신 파일은, 제2 통신부(470)를 통해, 외부기기(60)로 출력될 수 있다.The second memory 422 can store the converted communication file in the control unit 421. [ The communication file stored in the second memory 422 can be output to the external device 60 via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70. [

제2 메모리(422)는,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21)는, 소정 주기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2 통신부(460)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메모리(422)는, 주기적으로 저장된 동작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second memory 422 may store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ir conditioner 10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21 may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60 to receive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econd memory 422 ma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updated.

한편, 게이트웨이부(410) 및 원격제어부(4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은, 구성요소들이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형성된다는 것 만을 의미하지 않고, 서로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기(40)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the gateway unit 41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42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fact that they are integrally formed may mean that they are structurally coupled to each other, not only that the components are not mutually separable. Thereb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troller 40 is simplified.

입력부(430)는, 버튼, 스위치 또는 터치 입력 수단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430 may include at least one button, a switch, or a touch input unit to receive a user command.

한편, 입력부(4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입력부(430)는 표시 수단의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unit 43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input unit 430 can input data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특히, 입력부(430)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put unit 430 may receive a second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

출력부(440)는, 문자, 숫자, 심볼 이미지의 출력이 가능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여, 공기조화기(100), 제2 제어기(50) 및 외부기기(60)와의 연결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440)는,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440 may include display means capable of outputting characters, numbers, and symbol images, and may output a connection state with the air conditioner 100, the second controller 50, and the external device 60 . The output unit 440 may also output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ir conditioner 100. [

출력부(440)는, 점등되거나 점멸되어 동작 상태, 각 기기와의 연결 상태 또는 경고를 출력하는 램프, 소정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440 may further include a lamp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effect sound or a warning sound or a lamp for outputting a warning or an operating state, a connection state with each device, or a warning lamp.

도 5는, 도 4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5 is a drawing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FIG.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제어 신호, 동작 상태 정보 및 통신 데이터의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옵션 MCU(530)는 도 4의 변환부(411)에 대응되고, 메인 MCU(550)는, 도 4의 제어부(421)에 대응되는 구성이다.More specifically,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flow of control signal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ata. On the other hand, the option MCU 530 corresponds to the conversion unit 411 in FIG. 4, and the main MCU 550 corresponds to the control unit 421 in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기(50)와 론웍스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제어기(40)의 제1 통신부(450)는, 론웍스 통신 모듈(51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controller 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ler 50 through a LonWorks communication method. To this e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450 of the first controller 40 may include a LonWorks communication module 510.

제2 제어기(50)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명령을,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50 can transmit the first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to the first controller 40. [

옵션 MCU(530)는, 제1 제어 명령을 제1 메모리(412)에 저장된 변수 테이블(520)과 매칭하여,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The option MCU 530 can output the first network variable by matching the first control command with the variable table 520 stored in the first memory 412. [

옵션 MCU(530)는,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원격제어부(420)의 메인 MCU(550)에 전송할 수 있다.The option MCU 530 may transmit the first network variable to the main MCU 550 of the remote control unit 420. [

한편, 옵션 MCU(530)와 메인 MCU(550)는, 캔(CAN)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옵션 MCU(530)와 메인 MCU(550)는, 캔(CAN) 통신 모듈(541, 542)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The option MCU 530 and the main MCU 55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a CAN communication method. For this purpose, the option MCU 530 and the main MCU 55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a CAN communication module 541, and 542, respectively.

메인 MCU(550)는,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제2 메모리(422) 내의 컨트롤 DB(58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MCU(550)는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제2 통신부(460)의 RS 485 통신 모듈(590)을 통해, 공기조화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네트워크 변수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로써 공기조화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The main MCU 550 may store the first network variable in the control DB 580 in the second memory 422. [ The main MCU 550 may also transmit the first network variable to the air conditioner 100 via the RS 485 communication module 59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60. [ At this time, the first network variable may be transmitted to the air conditioner 100 a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한편, 제1 제어기(40)는, 제1 제어기(40) 내의 입력부(430)를 통해 제2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may receive the second control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430 in the first controller 40 and the first controller 40 may receive the second control command based on the second control command, To the air conditioner (100).

본 발명은, 제1 제어기(40)와 공기조화기(100)가 RS 485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하므로, 전송에 대한 제어속도가 향상되고, 제어의 신뢰성이 증대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ontroller 40 and the air conditioner 100 communicate through the RS 485 communication method, the control speed for transmission is improv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control is increased.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기(21) 및 실외기(31)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는, RS 485 통신 모듈(590)을 통해,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er 100 can transmit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1 and the outdoor unit 31 to the first controller 40. The first controller 40 may receive operational status information via the RS 485 communication module 590.

메인 MCU(55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제2 메모리(422) 내의 제1 모니터 DB(5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MCU(55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캔(CAN) 통신 방식을 통해 옵션 MCU(530)에 전송할 수 있다.The main MCU 550 may store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 the first monitor DB 570 in the second memory 422. [ In addition, the main MCU 550 can transmit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option MCU 530 via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옵션 MCU(530)는, 동작 상태 정보를 변수 테이블(520)과 매칭하여 제2 네트워크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The option MCU 530 may output the second network variable by matching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with the variable table 520. [

옵션 MCU(530)는, 제2 네트워크 변수를 론웍스 통신 모듈(510)을 통해, 제2 제어기(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네트워크 변수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로써 제2 제어기(50)에 전송될 수 있다.The option MCU 530 may transmit the second network variable to the second controller 50 via the LonWorks communication module 510. [ At this time, the second network variabl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troller 50 as the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론웍스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50 can receive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Further, the second controller 50 may convert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into the LonWorks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 the LonWorks communication method to the first controller 40.

본 발명은, 제1 제어기(40)와 제2 제어기(50)가 론웍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므로, 강한 내잡음성, 확장성 증대, 시스템의 신뢰도 향상 등의 이점이 있다.Since the first controller 40 and the second controller 5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LonWorks communication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has advantages such as strong noise abatement, increased scalability, and improved reliability of the system.

한편,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은, 통신 데이터 저장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의 저장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320) 내의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여, 제1 변수(nvi)를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time. The second controller 50 may output the first variable nvi by matching the information on the storage time of the communication data with the variable table in the storage unit 320. [

제1 제어기(40)는 론웍스 통신 모듈(510)을 통해, 제1 변수(nvi)를 수신 받을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may receive the first variable nvi through the LonWorks communication module 510. [

제1 제어기(40), 특히, 옵션 MCU(530)는, 제1 변수에 대응하여, 제2 변수(nvo)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변수(nvo)는, 제1 제어기(40)의 모니터링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and in particular the option MCU 530, may set the second variable nvo in response to the first variable. At this time, the second variable nvo may be information on the monitoring of the first controller 40.

제1 제어기(40)는, 제2 변수(nvo)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는, 통신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외부기기(60)로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may store the communication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second variable nvo. Also, the first controller 40 can convert the communication data in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file format and output it to the external device 60. [

보다 상세하게는, 옵션 MCU(530)는, 제2 변수(nvo)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옵션 MCU(530) 내의 메모리(도 4의 제1 메모리(412))에 저장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option MCU 530 can store the communication data in the memory (the first memory 412 in FIG. 4) in the option MCU 530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second variable nvo have.

또한, 통신 데이터 파일을 캔(CAN) 통신 방식을 통해 메인 MCU(55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MCU(550)는 통신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ata file can be transmitted to the main MCU 550 via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The main MCU 550 can convert the communication data in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file.

메인 MCU(550)는, 소정의 통신 파일을 제2 메모리(422) 내의 제2 모니터 DB(560)에 저장할 수 있다.The main MCU 550 can stor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file in the second monitor DB 560 in the second memory 422. [

한편,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중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중지 명령을 론웍스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troller 50 may receive the communication data storage stop command. Further,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convert the communication data stop command into the LonWorks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controller 40.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중지 명령을 저장부(320) 내의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여, 제3 변수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제어기(50)는, 제2 제어기(50) 내의 통신부(340)를 통해, 제3 변수를 제1 제어기(40)로 전송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ntroller 50 may convert the communication data storage stop command into a third variable by matching the variable table in the storage unit 320.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transmit the third variable to the first controller 40 via the communication unit 340 in the second controller 50. [

제1 제어기(40)는, 론웍스 통신 모듈(510)을 통해, 제3 변수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옵션 MCU(530)는, 캔(CAN) 통신 방식을 통해, 제3 변수를 메인 MCU(550)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can receive the third variable through the LonWorks communication module 510. [ The option MCU 530 can transmit the third variable to the main MCU 550 via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메인 MCU(550)는, 제3 변수를 기초로, 통신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할 수 있다.The main MCU 550 can stop storing the communication data based on the third variable.

한편, 외부기기(60)는, TCP/IP 통신 방식을 통해 제1 제어기(4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외부기기(60)는, 제2 모니터 DB(560)의 통신 파일을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external device 6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40 through the TCP / IP communication method. Particularly, the external device 60 can receive the communication file of the second monitor DB 560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S610).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receive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and convert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in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S610).

한편,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은, 통신 데이터 저장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의 저장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320) 내의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여, 제1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time. The second controller 50 may output the first variable by matching the information on the storage time of the communication data with the variable table in the storage unit 320. [

또한, 제2 통신 방식은 백넷(BAC net)과 같은 개방형 필드버스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론토크(lontalk) 프로토콜 기반의 론웍스(lonworks) 네트워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n open field bus network such as BAC net, and more preferably it may be a lonworks network based on the lontalk protocol.

제2 제어기(50)는,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제1 제어기(40)로 전송할 수 있다(S630). 제1 제어기(40)는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수신 받을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50 may transmit the converted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to the first controller 40 (S630). The first controller 40 may receive the converted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제1 제어기(40)는, 변환된 데이터 저장 명령을 기초로, 제2 제어기(50)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can store communication data with the second controller 50 based on the converted data storage command.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제어기(40)는, 제1 변수에 대응하여, 제2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는, 제2 변수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ler 40 can set the second vari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variable. Further, the first controller 40 can store the communication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second variable.

한편, 제2 제어기(50)는, 데이터 저장 중지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3 변수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기(40)는, 제3 변수를 기초로, 통신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ontroller 50 may convert the data storage stop command into a third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 the third variable to the first controller 40.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ler 40 can stop storing the communication data based on the third variable.

외부기기(60)는, 제1 제어기(40)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40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and can receive the communication data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신호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7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signal flows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제2 제어기(50)의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 따른 신호 흐름을 예시하고, 도 8은, 제2 제어기(50)의 제어 명령에 따른 신호 흐름을 예시한다.More specifically, FIG. 7 illustrates a signal flow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data save command of the second controller 50, and FIG. 8 illustrates a signal flow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second controller 50.

도 7에서,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의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변수로 변환할 수 있다(S701).In Fig. 7,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convert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in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lso, the second controller 50 may convert the information on the storage time of the communication data into a first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S701).

제2 제어기(50)는, 제1 변수를,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 포함하여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S703).The second controller 50 may transmit the first variable to the first controller 40 in the converted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S703).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 및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 포함된 제1 변수를 수신 받을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gateway unit 410 may receive the first variabl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and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1 변수에 대응하여 제2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S705).The first controller 40, in particular, the gateway unit 410 may set a second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riable (S705).

예를 들어, 제2 제어기(50)가, 제1 변수(nvi)를 10으로 설정한 경우, 게이트웨이부(410)는 제1 변수(nvi)에 대응하여, 제2 변수(nvo)를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controller 50 sets the first variable nvi to 10, the gateway unit 410 sets the second variable nvo to 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riable nvi Can be set.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2 변수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707). 소정 시간은, 바람직하게 분 단위일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gateway unit 410, may store the communication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second variable (S707). The predetermined time may preferably be in minutes.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2 변수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제2 변수가 0에 도달한 경우, 저장을 중지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and in particular the gateway unit 410, may step down the second variable and stop storing if the second variable reaches zero.

예를 들어, 제2 변수(nvo)가 10인 경우, 게이트웨이부(410)는, 제2 변수(nvo)를 매분마다 1씩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변수가 0에 도달한 경우, 통신 데이터 저장을 중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variable nvo is 10, the gateway unit 410 may reduce the second variable nvo by 1 every minute. Further, when the second variable reaches 0, the communication data storage can be stopped.

한편,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의 저장 중지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3 변수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S709).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troller 50 may convert the storage stop command of the communication data into a third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controller 40 (S709).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3 변수의 수신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S711).The first controller 40, in particular, the gateway unit 410 may calculate whether to receive the third variable (S711).

제1 제어기(40)가 제3 변수를 수신 받지 못한 경우, 게이트웨이부(410)는, 통신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If the first controller 40 does not receive the third parameter, the gateway unit 410 may continuously store the communication data.

제1 제어기(40)가 제3 변수를 수신한 경우,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3 변수를 기초로, 통신 데이터의 저장을 강제로 중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ler 40 receives the third variable, the first controller 40, in particular, the gateway unit 410, can forcibly stop storing the communication data based on the third variable.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통신 데이터를 캔(CAN) 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제어부(420)에 전송할 수 있다(S713).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부(410) 및 원격제어부(420)는 캔(CAN) 통신 모듈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gateway unit 410, may transmit the communication data to the remote control unit 420 via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S713). For this, the gateway unit 41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420 may each include a CAN communication module.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통신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S715). 이때, 소정의 파일 형태는, XML(Extensible Markup Laguage) 또는 XSL(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파일 형태일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remote control unit 420, can convert the communication data in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file (S715).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file format may be a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file or an XSL (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file format.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통신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S717).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remote control unit 420, may store the communication file (S717).

외부기기(60)는, 제1 제어기(40)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외부기기(60)의 요청에 의해, 통신 파일을 외부기기(60)에 전송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6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40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remote control unit 420, can transmit the communication file to the external device 60 at the request of the external device 60. [

외부기기(60)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통신 파일을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721).The external device 60 has a display, receives the communication fil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S721).

도 8에서, 제2 제어기(50)는,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801). 제2 제어기(50)는, 제1 제어 명령을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S803).In Fig. 8,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receive the first control command (S801). The second controller 50 may transmit the first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controller 40 (S803).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1 제어 명령을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S805).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gateway unit 410, may convert the first control command into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S805).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1 제어 명령을 제1 메모리(412)에 저장된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여,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gateway unit 410, can output the first network variable by matching the first control command with the variable table stored in the first memory 412.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캔(CAN)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부(4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제1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and in particular the gateway unit 410, may transmit the first network variable to the remote control 420 via CAN communication. The first controller 40, in particular the remote control 420, may convert the first network variable into a first control signal.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제1 제어 신호를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S807).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remote control unit 420, may transmit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air conditioner 100 (S807).

한편, 제1 제어기(40)는 입력부(430)를 구비할 수 있고, 입력부(430)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제2 제어 명령을 제2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may include an input unit 430 and the input unit 430 may receive a second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remote controller 420 may convert the second control command into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transmit the second control command to the air conditioner 100.

제1 제어기(40)가 제1 제어 명령과 제2 제어 명령을 일정 시간 내에 순차 또는 동시에 입력 받는 경우,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제2 제어 명령을 무시하고, 제1 제어 명령만을 제1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정 시간은, 공기조화기(100)의 제어에 있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은 시간일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ler 40 receives the first control command and the second control comman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remote controller 420, ignores the second control command, Only one control command can be converted into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air conditioner 100.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a very small time such that the user does not feel inconveniences in the control of the air conditioner 100.

한편, 본 발명은, 실외기(31) 또는 실내기(21)가 개별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아도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에 의한 개별 제어가 가능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meantime, since the first controller (40) or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individually control the outdoor unit (31) or the indoor unit (21)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의 제어 명령에 의한, 공기조화기(100)의 종합적인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하여, 제어의 용이성 및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mprehensiv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air conditioner 100 by a control command of the first controller 40 or the second controller 50,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control and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기초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809).Meanwhile, the air conditioner 100 can receive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second control signal. Furth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second control signal (S809).

공기조화기(100)는, 제1 제어기(40)의 요청 또는 주기적으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S811).The air conditioner 100 may transmit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to the first controller 40 at the request of the first controller 40 or periodically (S811).

동작 상태 정보는, 실내기(21)의 운전 모드, 실내 공간의 실내 온도, 실내기(21)의 설정 온도, 실내기(21)의 송풍량, 실외기(31) 및 실내기(21)의 연결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indoor unit 21,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the set temperature of the indoor unit 21, the blowing amount of the indoor unit 21, the connection state of the outdoor unit 31 and the indoor unit 21 .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부(420)는 캔(CAN) 통신을 통해 동작 상태 정보를 게이트웨이부(410)에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remote controller 420, can receive operational state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Also, the remote control unit 420 can transmit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gateway unit 410 via CAN communication.

제1 제어기(4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동작 상태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813).The first controller 40 can convert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to the operation state data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S813).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제1 메모리(412)에 저장된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여, 제2 네트워크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ler 40, particularly the gateway unit 410, can output the second network variable by matching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with the variable table stored in the first memory 412.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변환된 동작 상태 정보를 제2제2 제어기(50)에 전송할 수 있다(S815).The first controller 40, in particular, the gateway unit 410 may transmit the converte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second controller 50 (S815).

제2 제어기(50)는, 변환된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5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소정의 표시 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S817).The second controller 50 can receive the converte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urther, the second controller 50 can display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n the predetermined display means (S817).

도 9는, 본 발명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drawing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는, 도 9a는 외부기기(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9b는 외부기기(60)의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일예이며, 도 9c는, 외부기기(60)에 표시되는 통신 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More specifically, FIG. 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60, FIG. 9B is an example of a displayed interface of the external device 60 And Fig. 9C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ommunication data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60.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a에서, 외부기기(60)는 제1 제어기(40)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9A, the external device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40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and receives communication data and displays the communication data on the display.

외부기기(60)는, 제1 제어기(40)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로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제1 제어기(40)에 저장된 통신 데이터를 전송 받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기라면 그 대상에 구애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60)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일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60 is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ntroller 40 and is provided with a display so as to be capable of receiving and monitoring the communication data stored in the first controller 40 Do not.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60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제3 통신 방식은 외부기기(60)의 구조 및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방식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기기(60)는, TCP/IP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may be various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device 60, and may preferably be a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 / IP) method.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60 may include a TCP / IP communication module.

예를 들어, 외부기기(60)는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에 유, 무선으로 연결되며, TCP/IP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60 is connected to an Ethernet network by wire or wireless, and can communicate using TCP / IP.

외부기기(60)는, 제1 제어기(40)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6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communication data from the first controller 40 on the display.

예를 들어, 도 9b에서, 외부기기(60)는, 통신 데이터 수신을 위한 오브젝트(610)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오브젝트(610)를 선택하여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9B, the external device 60 can display an object 610 for communication data reception on the display. The user can select the object 610 and receive communication data.

외부기기(60)는, 통신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엑셀 또는 정의된 텍스트 등의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60 can store the communication data in the form of an outputable file, and can store it in the form of a file such as Excel or defined text, for example.

도 9c에서, 통신 파일은, 시간 정보, 파일 타입 정보, 제어 목적 노드 정보, 데이터 패킷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파일을 제1 제어기(40)를 통해 직접 다운 받을 수 있으므로, 통신 이슈 등에 대한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9C, the communication file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file type information, control target node information, data packet information,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communication file can be downloaded directly through the first controller 40,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communication issues and the like.

한편, 도 9b 및 도 9c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통신 파일 형태의 일예일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9B and 9C are merely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UI) and a communication file forma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water and alternatives.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Likewise, 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at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to obtain the desired result, or that all depicted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processor.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공기조화시스템
21: 실내기
31: 실외기
40: 제1 제어기
50: 제2 제어기
100: 공기조화기
410: 게이트웨이부
420: 원격제어부
450: 제1 통신부
460: 제2 통신부
470: 제3 통신부
10: Air conditioning system
21: indoor unit
31: outdoor unit
40: first controller
50: second controller
100: air conditioner
410:
420:
450: first communication section
460:
470: Third communication section

Claims (10)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상기 공기조화기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제어기;
상기 제1 제어기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송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기초로, 상기 제2 제어기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An air conditioner having at least one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 first controller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second controller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converting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in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to the first controller,
Wherein the first controller comprises:
And stores the communication data with the second controller based on the converted communication data storing comm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통신 데이터의 저장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변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변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제어기의 모니터링에 대한 정보인 제2 변수를 설정하고, 상기 제2 변수를 기초로, 소정 시간동안, 상기 통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troller comprises:
Converts the information on the storage time of the communication data into a first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s the first variable to the first controller,
Wherein the first controller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a second variable that is information on monitoring of the first controller in correspondence to the first variable and stores the communication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second variabl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통신 데이터의 저장 중지 명령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3 변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3 변수를 기초로, 상기 통신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controller comprises:
Converts the storage stop command of the communication data into a third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s the third variable to the first controller,
Wherein the first controller comprises:
And stops storing the communication data based on the third para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외부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and receiving the communication data and displaying the communication data on a displa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
상기 제2 제어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 및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3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controller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air conditioner;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ntroller; And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통신 방식을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통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를 구비하는 게이트웨이부; 및
상기 통신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파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통신 파일을 저장하는 제2 메모리를 구비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ler comprises:
A gateway unit including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communication method, and a first memory for storing the communication data; And
And a remote control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communication data in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file, and a second memory for storing the communication f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troller comprises:
A first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ler,
The first controller
Converts the first control command into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air condition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controller comprises:
An input unit to which a second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input; And
And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n operation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동작 상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ler comprises:
Converts the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to operating state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s the operating state data to the second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론토크 프로토콜 기반의 론웍스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a LonWorks network based on a LonTalk protocol.
KR1020170132093A 2017-10-12 2017-10-12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400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093A KR102400389B1 (en) 2017-10-12 2017-10-12 Air conditio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093A KR102400389B1 (en) 2017-10-12 2017-10-12 Air conditio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087A true KR20190041087A (en) 2019-04-22
KR102400389B1 KR102400389B1 (en) 2022-05-19

Family

ID=6628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093A KR102400389B1 (en) 2017-10-12 2017-10-12 Air conditio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38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891A (en) * 2011-01-03 2012-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air conditioner
KR20140136768A (en) * 2013-05-21 2014-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20170027164A (en) * 2015-09-01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891A (en) * 2011-01-03 2012-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air conditioner
KR20140136768A (en) * 2013-05-21 2014-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20170027164A (en) * 2015-09-01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389B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433B2 (en) Multi-air conditioner central control system
US10508822B1 (en) Home automation system providing remote room temperature control
US20030216837A1 (en) Artificial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7532950B2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ype air conditioners
EP1804007B1 (en) Air conditione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90107307A1 (en) System for Management of an HVAC System
WO2014115317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949362B1 (en)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815263B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air conditioner
KR20150029196A (en)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KR102164805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102140067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JP2006052928A (en) Air-conditioning management system
KR102400389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205162B1 (en)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EP3845980B1 (en) Wall mountable universal backplane
US11567467B2 (en) Method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modular building control system
US10635067B2 (en) Intelligent building automation apparatus of autonomous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35022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JPH10311590A (en) Ventilation air-conditioning device
Zhou et al. Experimental study of energy saving potential in mixing and displacement ventilation with wireless sensor networks
WO2022208767A1 (en) Air-conditioning system
JP2004218933A (en) Air conditioner system and air conditioner
US20230358424A1 (en) Operation of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during thermostat failure
US20240053047A1 (en) Distributed zon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