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842A - Method of providing attachable protocol. protocol provid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implementing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attachable protocol. protocol provid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implement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842A
KR20190040842A KR1020170131688A KR20170131688A KR20190040842A KR 20190040842 A KR20190040842 A KR 20190040842A KR 1020170131688 A KR1020170131688 A KR 1020170131688A KR 20170131688 A KR20170131688 A KR 20170131688A KR 20190040842 A KR20190040842 A KR 20190040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unit
providing
communication
soft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1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0380B1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1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380B1/en
Publication of KR20190040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8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3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3Protocol definition or specific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combined protocol,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for realizing the protocol, and a control apparatus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a combined protocol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one or mor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es coupled to a coupling portion of a control apparatus by a protocol management por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trolled apparatuses; setting a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using first software provided by a firs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detected by a protocol managing portion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controlled apparatus based on the first software set by the communication portion.

Description

결합형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하는 프로토콜 제공장치 및 이에 결합하는 제어장치{METHOD OF PROVIDING ATTACHABLE PROTOCOL. PROTOCOL PROVID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IMPLEMENTING THEREOF}METHOD OF PROVIDING ATTACHABLE PROTOCOL,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PROTOCOL PROVID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IMPLEMENTING THEREOF}

본 발명은 결합형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프로토콜 제공장치, 그리고 전술한 프로토콜 제공장치에 결합하여 전술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ombined protocol,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combined protocol, and a control apparatus using the above-described protocol in combina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편의점, 공장, 학교, 사무실, 호텔 등 일정한 공간적 구획을 가지는 공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의 피제어기기들(Controlled device)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에어컨, 쇼케이스, 공기청정기, 에어컨, 공기조화기, 냉장고, TV 등 다양한 기기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기기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of the same or similar kinds can be arranged in a space having a certain spatial division such as a convenience store, a factory, a school, an office, and a hotel. For example, various devices such as lighting, air conditioner, showcase, air purifier,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TV and the like can be arranged. And these devices can be controlled by one or more control devices.

한편 제어장치는 피제어기기들과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제어장치는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프로토콜은 제품마다 상이할 수 있다. 이는 피제어기기들의 다양성에 따라 도출된다. Meanwhile, the control device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d devices using various protocols, and the control device can control the controlled devices based on the protocol. However, the protocol described above may be different for each product. This is derived from the diversity of the controlled devices.

따라서,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는 다양한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각 프로토콜의 설정 역시 필요하다. Therefore,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 needs to perform communication based on various protocols. You also need to configure each protocol.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피제어기기들을 중앙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에 프로토콜을 결합형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providing a protocol in a combined form to a control device so that various controlled devices can be centrally controlled.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피제어기기들의 통제를 위해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들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ing various protocols for controlling various kinds of controlled devices.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피제어기기들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프로토콜 제공장치와 결합하여 제어장치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controlled device using a protocol by combining a protocol suitable for various controlled devices with a protocol providing devic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program.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는 다수의 피제어기기에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되는 피제어기기 연결부, 연결부에 연결된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하는 패킷을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송신하며, 피제어기기들로부터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패킷을 수신하는 통신부, 제1프로토콜에 따라 통신부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제1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하는 결합부, 통신부가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부를 제1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프로토콜 관리부, 및 피제어기기 연결부, 통신부, 결합부 및 프로토콜 관리부를 제어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한다.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packet for controlling a controlled device connected to a controlled device directly or indirectly to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and a controlled device connected to a connected device based on a first protocol, A coupling unit for wired or wireless coupling with a firs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first software necessary for the communication unit to operate according to the first protocol,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 by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 connection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upling unit, and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로토콜 제공장치는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장치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제공부,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하는 결합부, 및 프로토콜 제공부와 결합부를 제어하며, 결합부에 결합된 제어장치가 소프트웨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a protocol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software necessary for a control apparatus to operate according to a protocol, a coupling unit that is wired or wirelessly coupled to the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to access the softwar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형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은 다수의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프로토콜 관리부가 제어장치의 결합부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제공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프로토콜 관리부가 감지 결과 감지된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제1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어장치의 통신부를 설정하는 단계, 통신부가 설정된 제1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피제어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combined protocol, including: sensing a protocol providing unit of a control device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Setting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device using the first software provided by the first protocol providing device detected by the management unit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controlled device based on the first software set by the communication unit .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종류의 피제어기기들을 그에 적합한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Wh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arious kinds of controlled devices based on a protocol suitable for them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종류의 피제어기기들의 통제를 위해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들을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ing various protocols to control various kinds of controlled devices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피제어기기들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프로토콜 제공장치와 결합하여 제어장치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rolled device using a protocol by combining a protocol suitable for various controlled devices with a protocol providing devic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program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피제어기기들의 동작에 적함한 프로토콜을 제어장치에 결합된 프로토콜 제공장치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Wh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a protocol applicable to the operation of various controlled devices can be operated using a protocol stored in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 coupled to the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erive the various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토콜 제공장치가 제어장치에 결합한 경우 제어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가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프로토콜 제공장치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토콜 제공장치와 제어장치 및 피제어기기가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둘 이상의 프로토콜 제공장치와 제어장치가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trol apparatus when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ntrol apparatus.
4 to 9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mbination with a protocol providing device to control a controlled devic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a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le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pdating software of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es and a control apparatus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urth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intervening "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 connected, " " coupled, " or " connected "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shown in FIG.

이하, 중앙에서 다수의 피제어기기들과 미리 정의된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하며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어장치(Controlling Device)라고 지시한다. 그리고 이들 제어장치와 결합하여 제어장치가 특정한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를 프로토콜 제공장치(Protocol Providing Device)라고 한다.Hereinafter, a control device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at a center based on a predefined protocol and controls the controlled devices. A device that provides a protocol so that a control device can communicate based on a specific protocol in combination with these control devices is called a protocol provision device.

본 명세서에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는 의미는 제어장치와 프로토콜 제공장치가 물리적으로 또는 통신을 이용하여 결합될 경우 프로토콜 제공장치에 내재된 프로토콜을 제어장치가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장치는 결합된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The provision of the protocol in this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control device can use the protocol inherent in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 wh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 are physically or communicatively combined. The control device can use the protocol of the coupled protocol providing device.

프로토콜은 제어장치와 피제어기기가 통신하는데 필요한 정보, 규약, 송수신할 데이터의 크기 혹은 종류, 패킷의 특성 혹은 통신에 필요한 파일과 같은 소프트웨어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프로토콜이 없는 상태에서 제어장치와 피제어기기는 통신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제어장치와 피제어기기가 통신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 제공장치가 제어장치에 결합되면 그로 인해 특정한 피제어기기와 제어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The protocol includes all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led device, the protocol, the size or type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cket, or software such as a file necessary for communication. The controlled device can not communicate. Accordingly, in this specification, it is assumed that a specific device to be controlled and a control devic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 is coupled to the control device so that th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led devic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는 의미는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TCP, UDP, 시리얼 통신)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eaning of providing a protocol herein includes providing a specific communication protocol (e.g., TCP, UDP, serial communication).

정리하면, 본 명세서에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는 의미는 제어장치가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거나 설정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장치가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하면서 피제어기기와의 통신에 필요한 설정 정보 역시 프로토콜의 일 실시예가 된다. To summarize, the provision of the protocol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providing predetermined software or provi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control device can perform communication based on a specific communication protocol.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controller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d device while performing communication based on a specific communication protocol is also an embodiment of the protoco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장치(100)는 결합부(110), 프로토콜 관리부(120), 통신부(130), 인터페이스부(140), 피제어기기 연결부(19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선택적으로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95)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The control device 100 includes a coupling unit 110, a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n interface unit 140, a controlled device connection unit 190, and a central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m.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100 optionally includes a controlled device database unit 195. [ Let's look at each component in more detail.

피제어기기 연결부(190)는 다수의 피제어기기에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된다. 피제어기기와의 제어포인트를 일 실시예로 할 수 있다. 통신부는 연결부(190)를 제어하여 피제어기기들에게 소정의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피제어기기 연결부(190)는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는 아날로그 입력(Analog Input, AI) 또는 출력(Analog Output, AO) 제어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 DI) 또는 출력(Digital Output, DO) 제어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니버셜 포인트 역시 피제어기기 연결부(190)를 구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d device connection unit 19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And the control point with the controlled machine may be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may control the connection unit 190 to transmit or receive a predetermined packet to the controlled devices. The controlled device connection unit 190 may include an analog input (AI) or an analog output (AO) control poi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analog signal. And may also include a digital input (DI) or a digital output (DO) control poi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igital signal. In addition, the universal point can also constitute the controlled device connection unit 190.

통신부(130)는 피제어기기 연결부(190)에 연결된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하는 패킷을 특정한 프로토콜, 예를 들어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송신하며, 피제어기기들로부터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가 이용하는 제1프로토콜은 결합부(110)에 결합된 프로토콜 제공장치(200)로부터 제공된다. 즉, 결합부(110)는 제1프로토콜에 따라 통신부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제1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한다. 유선 결합이란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결합이란 소정의 근거리통신(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a packet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s connected to the controlled device connection unit 190 based on a specific protocol, for example, the first protocol, and transmits a packet based on the first protocol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The first protocol us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provided from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coupled to the combining unit 110. That is, the combining unit 110 combines wired or wirelessly with a firs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that provides first software required for the communication unit to operate according to the first protocol. Wired coupling means physically coupling. Wireless coupling means combining using a predetermine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luetooth, etc.).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통신부(130)가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부(130)를 제1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설정은 프토토콜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복사하거나,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설정 정보를 변경하거나 편집하는 등의 과정을 포함한다.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sets the communication unit 130 using the first software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transmit or receive the packet based on the first protocol. The setting includes copying software for implementing the protocol, changing or edi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or configuring the softwar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40)는 제어장치(100)의 설정이나 동작 상황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외부에 배치된 태블릿, 노트북 또는 컴퓨터 등에게 설정 정보 또는 동작 상황 정보를 전송하고 태블릿,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부터 특정한 설정 정보의 입력값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구성에 따라 프로토콜 관리부(120), 통신부(130)가 하나의 칩 또는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40 transmits setting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an external tablet, a notebook computer, a computer, or the like in order to monitor the setting and operation status of the control apparatus 100, And receives input values.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one chip or module.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95)는 피제어기기들에 특화된 설정 정보, 또는 필요한 프로토콜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부(15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제어장치(1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led device database unit 195 stores setting information specific to the controlled devices, or information on necessary protocols and the like. This can be selectively configured.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enables the control unit 100 to operate.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결합부(110)를 모니터링 결합부(110)에 결합하는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200)를 감지하며, 감지된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200)가 제공하는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부(130)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도 3에 제시된다.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detects the firs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coupling the combining unit 110 to the monitoring combining unit 110 and transmits the first protocol provided by the firs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be adjusted. This is shown in FIG.

통신부(130)의 설정이란 앞서 살펴본 피제어기기 연결부(190)를 통하여 통신부(130)가 피제어기기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적용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부(1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통신 드라이버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제1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통신부(130)의 통신용 드라이버를 셋팅할 수 있다. TCP, UDP 등의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부(1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 관리부(120)가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unit 130 means sett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d device through the controlled device connection unit 190 described above. And setting a communication driver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operate based on the applied communication protocol. That is,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may set the communication driver of the communication unit 130 based on the first software.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can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30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operate with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TCP and UDP.

또는 모든 피제어기기들과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TCP 또는 UDP 등)을 사용할 경우라 하여도 각 통신 프로토콜의 세부적인 설정을 달리할 경우, 이에 대한 상이한 설정 역시 프로토콜 제공장치(200)가 제공하는 프로토콜의 일부가 될 수 있다.Alternatively, even when using the same communication protocol (TCP or UDP, etc.) as all the controlled devices, different settings for each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otocols provided by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It can be a part.

한편, 후술할 도 12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결합부(110)를 모니터링하여 새로운 프로토콜 제공장치를 감지하여 이를 적용할 수 있다.12 to 14,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may monitor the combining unit 110 to detect a new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and apply the new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예를 들어, 결합부(110)에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 및 제2프로토콜 제공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통신부(130)가 제1프로토콜 및 제2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통신부가 제1프로토콜 및 제2프로토콜을 시간에 기반하여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폴링(Polling) 방식이라 할 수 있는데, 통신부(130)는 일정한 시간 간격(예를 들어 1초, 5초 등)으로 제1피제어기기와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하고, 다음으로 제2피제어기기와 제2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and the second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may be combined with the combining unit 110. At this time,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may set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select either the first protocol or the second protocol to transmit or receive the packet. For this,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select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based on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ntrolled device based on the first protoco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1 second, 5 seconds, etc.)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d device based on the second protocol.

선택적으로 제어장치(100)와 프로토콜 제공장치(200) 간에 보안을 확인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프로토콜 제어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토콜 제어장치(200)의 소프트웨어의 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프로토콜 제어장치(200)를 통한 해킹이나 시스템 파괴 등을 방지하기 위해 검증된 프로토콜 제어장치(200)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A process of confirming security between the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protocol provision apparatus 200 may be optionally added.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can determine the use of the software of the protocol control apparatus 200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ocol control apparatus 200. [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protocol by using the software of the verified protocol control device 200 to prevent hacking or system destruction through the protocol control device 2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프로토콜 제공장치(200)는 결합부(210), 프로토콜 제공부(22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프로토콜 제공장치는 일종의 확장 모듈로 동작할 수 있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includes a combining unit 210, a protocol providing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50 for controlling them.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 can operate as a kind of extension module.

프로토콜 제공부(220)는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소프트웨어는 소정의 설정 정보도 함께 포함된다. 결합부(210)는 제어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한다. 제어부(250)는 프로토콜 제공부(220)와 결합부(210)를 제어하며, 결합부(210)에 결합된 제어장치(100)가 소프트웨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tocol providing unit 220 provides software necessary for the control apparatus 100 to operate according to a protocol. The software also includes predetermined setting information. The coupling part 210 is coupled with the control device 1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protocol providing unit 220 and the combining unit 210 so that the control unit 100 coupled to the combining unit 210 can access the software.

또한, 프로토콜 제공부(220)는 제어장치(100)에서 편집된 설정정보를 제어장치의 식별장치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는 도 11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그리고 제어장치(100)에서 편집된 설정정보를 프로토콜 제공부(220)가 저장한 후, 저장한 설정 정보를 또다른 제어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안을 위해 프로토콜 제공부(220)는 프로토콜 제공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제어장치(100)에게 전송하고 제어장치(100)가 결합에 따른 프로토콜 사용을 결정하면,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등을 제어장치(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ocol providing unit 220 may store the edited setting information in the control device 100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control device. This is discussed in more detail in FIG. After the protocol providing unit 220 stores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edited in the control device 100, it may provide the stored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another control device. In addition, for security, the protocol providing unit 22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to the control apparatus 100, and when the control apparatus 100 determines to use the protocol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o the control device 10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토콜 제공장치가 제어장치에 결합한 경우 제어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trol apparatus when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ntrol apparatus.

제어장치(100)는 프로토콜 제공장치가 결합되는지 계속 모니터링하며 감시한다. 일 실시예로 유선 형태로 양 장치의 결합부들(110, 120)이 결합할 수 있다. 일종의 확장 모듈이 제어장치(100)에 결합부(110)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프로토콜 제공장치(200)가 확장 모듈에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형태로 제어장치(100)에 결합할 수 있다. The control apparatus 100 continuously monitors and monitors whether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is connected. In one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s 110 and 120 of both devices can be coupled in a wired form. A kind of extension module may be provided to the coupling unit 110 to the control device 100 and may be coupled to the control device 100 such that the protocol provision device 200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expansion module.

또는 무선 형태로 양 장치의 결합부들(110, 120)이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결합할 수 있다. 결합에 대한 감지는 제어장치(100)의 프로토콜 관리부(120)가 수행할 수 있다. 결합이 감지되면(S12)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결합부(110)에 결합된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프로토콜 정보를 확인한다(S13). 확인된 프로토콜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토콜 제공장치는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부(13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설정 정보 등을 확인하고 이를 편집하여 저장한다(S14). 편집 및 저장이란 해당 프로토콜을 통신부(130)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초기값을 설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제어장치(100)가 프로토콜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다른 실시예로 한다. Or the coupling portions 110 and 120 of both devices can perform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combine in a wireless form. The detection of the coupling can be performed by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of the control apparatus 100. [ If the connection is detected (S12), the protocol managing unit 120 checks the protocol information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coupled to the combining unit 110 (S13). Using the confirmed protocol information,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checks the softwar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operate based on the protocol, and edits and stores the software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S14). The editing and storing is performed by setting an initial value necessary for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use the protocol.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100 sets the se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applying the protocol to another embodiment.

그 결과 통신 프로토콜이 프로토콜 관리부에 추가되며(S15), 프로토콜 관리부는 추가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부(130)의 통신 드라이버를 활성화시키고 재셋팅할 수 있다(S16). 이후 새로이 셋팅된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부(130)는 통신을 수행한다(S17). 통신부(130)가 통신을 수행하는 것과 독립적으로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지속적으로 추가적인 프로토콜 제공장치가 결합되는지를 감시한다(S18). 그 결과 새로운 프로토콜 제공장치가 결합된 경우, 이의 정보를 확인하는 S13 과정을 진행한다. 반면, 새로운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결합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통신부(130)는 통신을 지속한다(S17). As a result,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added to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S15), and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can activate and reset the communication driver of the communication unit 130 based on the added communication protocol (S16). Then, the communication unit 130 performs communication based on the newly set protocol (S17). Independently of the communication unit 130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continuously monitors whether an additional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is connected (S18). As a result, if a new protocol provision apparatus is combin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 to confirm th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combination of the new protocol provision device is not detected, the communication unit 130 continues the communication (S17).

도 3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 is summarized as follows.

제어장치에 적용할 통신 타겟 제품의 프로토콜이 저장되어있는 모듈, 즉 프로토콜 제공장치를 선택하여 관리자가 제어장치의 확장 모듈과 같은 결합부에 전술한 프로토콜 제공장치를 결합시킨다. 부착 또는 모듈에 슬롯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USB 메모리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장치(100)는 새로 결합된 프로토콜 제공장치(20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입력된 프로토콜을 확인하고 편집 및 저장한다. 그 결과 프로토콜이 자동으로 제어장치(100)에 입력되며, 이를 이용하여 통신부(130)의 통신 드라이버를 셋팅한다. 통신부(130)는 입력된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추가적으로 새로운 프로토콜 제공 장치가 결합될 경우 둘 이상의 프로토콜을 충돌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충돌없이 사용하는 일 실시예로 폴링(Polling) 방식의 통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프로토콜 및 제2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는 제어장치(100)는 제1프로토콜을 제1시간적 구간동안 사용한 뒤 제2프로토콜을 제2시간적 구간동안 사용하는 방식으로 번갈아 다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 module in which a protocol of a communication target product to be applied to the control device is stored, that is, a protocol providing device, is selected, and an administrator combines the above-mentioned protocol providing device into a coupling section such as an extension module of the control device. Or in a slot-like manner to a module or in a combination of a USB memory. As a result, the control apparatus 100 confirms, edits, and stores the protocol automatically input by using the newly combined protocol provision apparatus 200. As a result, the protocol is automatically input to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communication driver of 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set using the protocol. The communication unit 130 performs communication based on the inputted protocol, and additionally, when a new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is combined, two or more protocols can be used without collision. In an embodiment using without collision, it means polling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100, which can use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may alternately use a first protocol for a first temporal interval and a second protocol for a second temporal interval, So tha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일 실시예로 제어장치(100)가 모드버스(Modbus) 메모리 입력 방식에 기반하여 제품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경우, 모드버스 입력 방식을 지원하는 프로코톨이 미리 저장된 프로토콜 제공장치를 제어장치(100)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는 사용자의 데이터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고 사용자의 입력 오류를 방지하며, 쉬운 프로토콜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device 100 adds or changes a product based on a Modbus memory input method,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 storing the protocol that supports the MODBUS input metho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100 By combining,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perform a separate input. This shortens the user's data entry time, prevents user input errors, and enables easy protocol construction.

예를 들어, 종래에는 사용자가 통신을 하려는 제품의 메모리 맵(Memory map)을 직접 입력하고, 각 메모리맵의 통신 사이즈 및 주소, 이름, 데이터 형태 등을 입력하여 제어장치 내에 저장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정보들을 모두 프로토콜화 하여 하나의 프로토콜 제공장치에 저장하고, 이를 제어장치와 결합할 경우, 제어장치는 감지된 프로토콜 제공장치 내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품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conventionally, a user directly inputs a memory map of a product to be communicated, stores the communication size, address, name, data type, etc. of each memory map in the control device. However, when all of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is made into a protocol and stored in a single protocol providing device and combined with the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product using the protocol stored in the detected protocol providing device.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가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프로토콜 제공장치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두 개의 피제어기기(1, 2)가 동일한 제조사인 A사가 제조하여 동일한 A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나머지 하나의 피제어기기(3)는 다른 제조사인 B사가 제조하여 B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구성이다. 4 to 9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mbination with a protocol providing device to control a controlled device. The two controlled devices 1 and 2 are manufactured by the company A which is the same manufacturer and use the same protocol A and the other controlled device 3 is manufactured by another company B and uses the protocol B .

쇼케이스를 일 실시예로 하는 피제어기기(1) 및 냉동창고를 일 실시예로 하는 피제어기기(2)는 동일한 A사 제품이다. 도 4는 A사 제품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프로토콜이 저장된 프로토콜 제공장치(200a)를 제어장치(100)에 부착 또는 근접하게 두어 결합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The controlled device 1 having a showcase as an embodiment and the controlled device 2 having a refrigeration warehouse as one embodiment are products of the same company. FIG. 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a stored with the protocol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product A is attached or closely attached to the control apparatus 100. FIG.

프로토콜 제공장치(200a)가 제어장치(100)에 결합하면, 도 5와 같이 프로토콜 제공장치(200a)에 저장된 메모리 맵과 통신 정보가 제어장치(100)로 복사된다. 복사되는 것은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세부적인 정보가 될 수 있으며, 혹은 프로토콜 그 자체가 될 수 있다. When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a is coupled to the control apparatus 100, the memory map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a are copied to the control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Copied can be detailed information that makes up the protocol, or it can be the protocol itself.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가 인터페이스부(140)를 이용하여 외부의 컴퓨터에서 프로토콜 제공장치(200a)가 제공하는 메모리맵과 통신 정보를 확인하고 편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터페이스부(140)는 제어장치(100)에 결합한 프토토콜 제공장치(200a)의 프로토콜의 일부 혹은 전부의 내용을 편집 가능하게 컴퓨터나 노트북(90)으로 제공한다. 제공 방식은 블루투스 혹은 별도의 통신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노트북(90)의 화면에는 91과 같이 매모리 맵의 내용과 통신에 필요한 설정 정보 등이 출력된다. 이는 프로토콜 제공장치(200a)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and edits a memory map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a in an external computer using the interface unit 140 . The interface unit 140 provides a part or all of the protocol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a coupled to the control apparatus 100 to the computer or the notebook 90 in an editable manner. The providing method can be implemented by Bluetooth or separate communication. In one embodiment, the contents of the map map and se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communication are output to the screen of the notebook 90, This i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a.

도 7은 도 6의 과정에서 일부가 편집되거나 혹은 원래의 프로토콜 그대로를 이용하여 쇼케이스인 피제어기기(1)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부(130)를 구성하는 통신 드라이버를 변경하거나 이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준다. 7 shows a process of changing or activating a communication driver 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unit 130 so that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d device 1 that is a showcase can be performed using part of the process in the process of FIG. 6 or by using the original protocol Show.

도 8은 도 6의 과정에서 일부가 편집되거나 혹은 원래의 프로토콜 그대로를 이용하여 냉동창고인 피제어기기(2)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부(130)를 구성하는 통신 드라이버를 변경하거나 이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준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or activating a communication driver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unit 130 so tha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controlled device 2, which is partly edited or the original protocol is used in the process of FIG. Lt; / RTI >

동일한 제조사에서 생산한 제품이므로 프로코톨의 일부는 동일하지만 세부적인 설정값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는 각각의 피제어기기(1, 2)와의 통신에 적합하게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Since the product is manufactured by the same manufacturer, some of the procol is the same, but the detailed set values may be different. Therefore, the control device can adjust the set value appropriately for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controlled devices 1, 2.

통신 드라이버는 통신부(130)를 구성하는 하위 구성요소로, 통신부(130)는 특정한 통신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피제어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결합된 프로토콜 제공장치(200a)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 A를 복사 및 편집하여 두 개의 피제어기기(1, 2)와 제어장치(100)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The communication driver is a sub component of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controlled devices using a specific communication driver. 7 and 8 illustrate a process of copying and editing a protocol A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the combined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a and allowing the two controlled devices 1 and 2 and the controlling apparatus 1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Lt; / RTI >

도 9는 새로운 프로토콜 제공장치(200b)가 제어장치에 결합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장치(100)에 앞서 결합된 프로토콜 제공장치(200a) 외에 B사의 피제어기기(3)와의 통신에 필요한 프로토콜 B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제공장치(200b)가 결합된 형태이다. 앞서 도 4 내지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어장치(100)는 프로토콜 제공장치(200b)가 제공하는 메모리맵과 통신 정보를 확인하고 편집하며, 통신부(130)를 구성하는 통신 드라이버를 변경하거나 이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준다. 9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new protocol provision apparatus 200b is coupled to a control apparatus.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b which provides a protocol B necessary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d device 3 of company B in addition to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a coupled to the control apparatus 100 is combined. 4 to 8, the control apparatus 100 checks and edits the memory map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b, changes the communication driver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unit 130, Show the process.

그 결과 제어장치(100)는 3개의 피제어기기(1, 2, 3)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다. 제어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순서(1 -> 2 -> 3)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ntrol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three controlled devices 1, 2, and 3. The control apparatus 100 can perform communication by sequentially changing the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a preset sequence (1 -> 2 -> 3).

도 4 내지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피제어기기들에 대해 상이한 모드버스 메모리 맵을 적용함에 있어서 프로토콜 제공장치를 다양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새로운 피제어기기가 추가되거나 제어장치를 신규로 설치할 경우에 사용자는 프로토콜 제어장치를 결합하는 것으로 메모리 맵을 설정할 수 있다. 4 to 9, it is possible to variously combin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es in applying a different Modbus memory map to various controlled devices. As a result, when a new controlled device is added or a control device is newly installed, the user can set the memory map by combining the protocol control device.

즉, 본 명세서에 제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제품의 프로토콜이 저장되어있는 탈 부착 형태의 프로토콜 제공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로 입력하지 않고도 플러그&플레이(Plug&Play) 형태의 프로토콜 추가가 가능하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add a plug & play type protocol without a user inputting it through a disassembly type protocol providing device in which a protocol of a specific product is stored as shown in this specific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토콜 제공장치와 제어장치 및 피제어기기가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a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le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토콜 제공장치(200)가 제어장치(100)에 결합한다(S21). 이에 대응하여, 제어장치(100)의 프로토콜 관리부(120)가 제어장치(100)의 결합부(110)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제공장치(200)를 감지한다(S22). 이때,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선택적으로 프로토콜 제공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소프트웨어의 이용을 결정할 수 있다(S23). 이는 보안을 위해, 또는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토콜 제공장치를 선별할 수 있다. 즉, 안전성이 확보된 프로토콜 제공장치(200)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해 프로토콜 제공장치(200)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결합된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소프트웨어 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프로토콜 제공장치(200)를 검증할 수 있다.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is coupled to the control apparatus 100 (S21). In response to this,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of the control apparatus 100 detects one or more protocol provision apparatuses 200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110 of the control apparatus 100 (S22). At this time,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may selectively use the software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S23). It can select protocol provisioning devices for security or to prevent hacking. That i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the use of the software of the combined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can be determined in order to use the software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secured. Of course,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can also verify the protocol provision apparatus 200 in various other ways.

또한, 프로토콜 제공장치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제어장치(100)와 이전에 결합했던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보안성을 체크하는 과정과 이전에 결합한 적이 없었던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보안성을 체크하는 과정을 달리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security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previously combined with the control apparatus 100 during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process of checking the security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combined .

일 실시예로, 제어장치(100)는 이전에 결합했던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식별 정보(하나 또는 다수)를 별도로 저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새로이 결합하는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식별 정보가 앞서 저장하였던 식별 정보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동일한 프로토콜 제공장치와 결합한 적이 있는 경우,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보안을 검증하는 과정은 라이트 시큐리티(Light Security)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apparatus 100 can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e or a plurality of)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that has previously been combined is stored separately. Then, the control apparatus 100 confirm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to be newly combined, and compares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 has been combined with the same protocol providing device,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security of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 may proceed with a light security process.

라이트 시큐리티 과정의 일 실시예로 프로토콜 제공장치 내에 사용할 프로토콜의 정보가 이전 결합 시점 이후 변경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보안성 검증을 수행하지 않는다. 반면 프로토콜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새로운 프로토콜 제공장치와 동일한 헤비 시큐리티(Heavy Security) 과정으로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보안을 검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light security process, if the information of the protocol to be used in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has not been changed since the previous joining time, separate security verification is not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the protocol information is changed, the security of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 can be verified by the same heavy security process as that of the new protocol providing device.

이후, 프로토콜 관리부(120)가 감지 결과 감지된 프로토콜 제공장치(200)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어장치의 통신부(130)를 설정한다(S24). 일 실시예로,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통신부(130)의 통신용 드라이버를 셋팅할 수 있다. 설정 후 통신부(130)가 설정된 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피제어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S26). 그 결과 피제어기기(1)와 제어장치(100)는 통신이 가능하다.  Thereafter,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sets the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control device using the software provided by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which is sens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S24). In one embodiment,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may set the communication driver of the communication unit 130 based on the software. After setting, the communication unit 13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controlled devices based on the set software (S26). As a result, the controlled device 1 and the control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 과정에서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편집한 설정 정보를 다시 프로토콜 제공장치(200)에 저장할 수 있다(S27). 만약 동일한 종류의 피제어기기(1)와 제어장치(100)와의 결합이 빈번할 경우, 하나의 제어장치(100)에서 편집한 설정 정보를 다른 제어장치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편집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는 것은 전술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In this process,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may store the edited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again (S27). If the same type of controlled device 1 and the control device 100 are frequently connected,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edited by one control device 100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control devices. Storing edited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es updating the above-described softwar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pdating software of a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프로토콜 제공장치(200)와 제어장치(100)가 결합한 경우, 프로토콜 제공장치(200)에 저장된 제1프로토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설정 정보 포함)의 일부가 201인 것을 보여준다.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통신부(130)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통신부(130)의 통신용 드라이버에 20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설정 값을 셋팅할 수 있다. 11 shows that a part of software (including setting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first protocol stored in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is 201 when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and the control apparatus 100 are combined.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can set the communication unit 130 based on the software. That is, the setting value can be set to the communication driver of the communication unit 130 as shown in 201. [

201과 같은 설정 정보를 제어장치(100)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편집할 수 있다(201a -> 202a). 그리고 편집된 설정 정보는 다시 제어장치(100)가 프로토콜 제공장치(200)에게 저장할 수 있다. 이는 프로토콜 제공장치(200)를 또다른 제어장치(100)에 결합시키거나, 혹은 제어장치(100)를 교체할 경우,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하기 위해 편집한 설정 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201 can be edit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control device 100 (201a - > 202a). The edited sett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by the control apparatus 100 again. This is for allowing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ntrol apparatus 100 or to use the edited setting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based on the protocol when the control apparatus 100 is replaced .

특히, 편의점의 경우, 동일한 종류의 피제어기기와 제어장치와의 통신 수행이 가능하다. 특정 제조사의 특정 제품을 피제어기기로, 그리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역시 특정 제조사의 특정 제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들 피제어기기와 제어장치 사이에서 프로토콜에 기반한 원할한 통신 설정을 위해 설정 정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이 발생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convenience st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led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of the same type. A specific product of a particular manufacturer may be a controlled device, and a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it may also be a specific product of a particular manufacturer. In this case, setting information or a change of the software including the setting information may occur between the controlled devices and the control device for setting a proper communication based on the protocol.

이러한 변경을 다시 프로토콜 제공장치에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장소에 배치되거나 혹은 기기의 교체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동일한 피제어기기-제어장치 사이의 프로토콜 설정이 별도의 편집 작업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피제어기기에 대응하여 프로토콜의 설정 정보를 편집하고, 편집한 설정 정보를 프로토콜 제공장치(200)에 저장하여 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uch a change can be updated again to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 which allows the protocol setting between the same controlled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to occur in another place or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device to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editing operation. That is,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edits protocol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d device and stores the edited setting information in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 so that the protocol setting information can be reused.

도 11은 또한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설정 정보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해 특정한 주소 정보, 통신할 경우의 패킷의 포맷, 그리고 연결부를 통해 읽기(R)인지 쓰기(W)인지에 대한 설정 정보, 송수신시 시작하는 비트의 정보, 파싱 크기(Parse Size), 연결부가 아날로그/디지털 혹은 입력/출력인지를 보여주는 AI/AO/DI/DO 등이 프로토콜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설정 정보가 될 수 있다.11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software or setting information constituting a protocol. (R) or write (W) through a connection, information of a bit to be start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 reception, a parse size (Parse Size), and AI / AO / DI / DO that shows whether the connection is analog / digital or input / output can b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software necessary to implement the protocol.

따라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는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피제어기기와 통신부(130)가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설정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피제어기기 연결부(190)의 특성(AI/AO/DI/DO) 역시 포함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oftware providing the protocol includes the controlled device to which the protocol is applied and the se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transmit the packet. The characteristics (AI / AO / DI / DO) of the controlled device connection unit 190 may also be includ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둘 이상의 프로토콜 제공장치와 제어장치가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es and a control apparatus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나의 제어장치(100)가 다수의 프로토콜 제공장치(200a~200n)와 결합된 상태이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다수의 피제어기기(1a, 1b, ..., 8, 9)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장치(100)의 프로토콜 관리부(120)는 결합부(110)를 모니터링하여 결합부(110)에 결합하는 다수의 상이한 프로토콜 제공장치들을 감지하여 도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들이 제공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통신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각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통신할 피제어기기에 맞추어 통신부를 설정할 수 있다. One control device 100 is coupled with a plurality of protocol provision devices 200a to 200n. Further, the control device 100 controls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1a, 1b, ..., 8, 9. Here,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120 of the control apparatus 100 monitors a plurality of differen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es coupled to the combining unit 110 by monitoring the combining unit 110, and uses the protocols provided by them as shown in FIG. 10 The communication unit can be set.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can be set according to the controlled device to communicate based on each protocol.

그리고 프토토콜 관리부(120)는 통신부가 다수의 프로토콜(예를 들어 제1프로토콜 및 제2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부(130)가 제1프로토콜 및 제2프로토콜을 시간에 기반하여 하나씩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13 및 도 14에서 살펴본다. Then, the protocol managing unit 12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transmit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can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for example,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The protocols can be controlled to be selected one by one based on time. 13 and 14 in more detail.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200a)의 제1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1피제어기기(1a)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장치(1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통신부(130)는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200a)에 저장된 제1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제1피제어기기(1a)와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패킷의 송수신이 완료한 후, 혹은 제1피제어기기(1a)가 통신할 수 있는 시간 구간이 종료하면 다른 피제어기기와 또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장치(100)가 통신할 수 있다. 도 14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apparatus 100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first controlled device 1a using a first protocol of a firs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or receive a packet with the first controlled device 1a based on the first software stored in the firs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a. Aft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packet is completed, or when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the first controlled device 1a can communicate ends, the control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another controlled device using another protocol.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도 14는 제2프로토콜 제공장치(200b)의 제2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2피제어기기(8)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장치(100)를 보여준다. 통신부(130)는 제2프로토콜 제공장치(200b)에 저장된 제2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제2피제어기기(8)와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패킷의 송수신이 완료한 후, 혹은 제1피제어기기(8)가 통신할 수 있는 시간 구간이 종료하면 다른 피제어기기와 또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장치(100)가 통신할 수 있다.14 shows a control apparatus 100 that communicates with a second controlled device 8 using a second protocol of the second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200b.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or receive a packet with the second controlled device 8 based on the second software stored in the second protocol providing device 200b. Afte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packet is completed, or when the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first controlled device 8 can communicate ends, the control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another controlled device using another protocol.

도 12 내지 도 1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장치(100)에 다수의 프로토콜 제공장치가 결합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100)는 이들을 선별적으로 통신부(130)에 적용하여 피제어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12 to 14, in order to control controlled devices using various protocols, a plurality of protocol providing devices may be coupled to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control device 100 selectively connects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s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130)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d devices.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that all the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realiz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storage medium including a semiconductor recording element. Also, a computer program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module that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an external devi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they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2, ..9 : 피제어기기 100: 제어장치
120: 프로토콜 관리부 130: 통신부
150: 중앙제어부 200: 프로토콜 제공장치
220: 프로토콜 제공부
1, 2, ... 9: controlled device 100: control device
120: protocol management unit 130:
150: central control unit 200: protocol provision device
220: protocol provided

Claims (15)

다수의 피제어기기에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되는 피제어기기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하는 패킷을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송신하며, 상기 피제어기기들로부터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패킷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통신부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제1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부를 상기 제1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프로토콜 관리부; 및
상기 피제어기기 연결부, 상기 통신부, 상기 결합부 및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A controlled device connection part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packet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based on a first protocol and receiving a packet based on the first protocol from the controlled devices;
A first protoco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first software necessary for the communication unit to operate according to the first protocol;
A protocol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set the communication unit using the first software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can transmit or receive a packet based on the first protocol; And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 connection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upling unit, and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to control the controlle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결합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는 상기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제1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부의 설정을 조정하는,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monitors the combining unit to detect the firs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coupled to the combining unit and adjusts 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the first protocol provided by the detected firs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 A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결합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2프로토콜 제공장치를 감지하며,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프로토콜 및 상기 제2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프로토콜 및 상기 제2프로토콜을 시간에 기반하여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monitors the connection unit and detects a second protocol provision apparatus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select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based on time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can select either the first protocol or the second protocol to transmit or receive the packet L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제1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부의 통신용 드라이버를 셋팅하는,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sets a communication driver of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the first softwa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프트웨어는 상기 제1프로토콜이 적용되는 제1피제어기기와 상기 통신부가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oftware includes a first controlled device to which the first protocol is applied and se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p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프로토콜 제어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토콜 제어장치의 상기 제1소프트웨어의 이용을 결정하는,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determines use of the first software of the protocol control apparatus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ocol control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피제어기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프로토콜의 설정 정보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한 설정 정보를 상기 프로토콜 제공장치에 저장하는,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edits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protoco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d device and stores the edited setting information in the protocol providing device.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장치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제공부;
상기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프로토콜 제공부와 상기 결합부를 제어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제어장치가 상기 소프트웨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제공장치.
A protocol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software necessary for a control apparatus to operate according to a protocol;
A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control device by wire or radio; And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rotocol providing unit and the combining unit and controls the control unit coupled to the combining unit to access the softwa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제공부는
상기 제어장치에서 편집된 설정정보를 상기 제어장치의 식별장치와 함께 저장하는, 프로토콜 제공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tocol providing unit
And stores the edited setting information in the control device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control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제공부는 상기 프로토콜 제공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어장치에게 전송하는, 프로토콜 제공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protocol providing unit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to the control apparatus.
다수의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프로토콜 관리부가 상기 제어장치의 결합부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제공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가 상기 감지 결과 감지된 제1프로토콜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제1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장치의 통신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설정된 제1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피제어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합형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
Detecting a protocol management unit of a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at least one protocol providing device coupled to a coupling unit of the control device;
Setting a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first software provided by the first protocol providing apparatus, the protocol managing unit detect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controlled device based on the set first softwa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결합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2프로토콜 제공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프로토콜 및 상기 제2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프로토콜 및 상기 제2프로토콜을 시간에 기반하여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합형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monitors the coupling unit and detects a second protocol provision device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And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select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based on time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can select either the first protocol or the second protocol to transmit or receive the packe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 RTI ID = 0.0 > of: < / RTI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제1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부의 통신용 드라이버를 셋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합형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further comprises setting a communication driver of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the first softwa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프로토콜 제어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토콜 제어장치의 상기 제1소프트웨어의 이용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합형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further comprises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ocol control apparatus to determine use of the first software of the protocol control apparatu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피제어기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프로토콜의 설정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한 설정 정보를 상기 프로토콜 제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합형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tocol management unit editing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rotocol in response to the controlled device; And
And storing the edited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the protocol provision device.

KR1020170131688A 2017-10-11 2017-10-11 Method of providing attachable protocol. protocol provid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implementing thereof KR1021303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688A KR102130380B1 (en) 2017-10-11 2017-10-11 Method of providing attachable protocol. protocol provid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implement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688A KR102130380B1 (en) 2017-10-11 2017-10-11 Method of providing attachable protocol. protocol provid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implement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842A true KR20190040842A (en) 2019-04-19
KR102130380B1 KR102130380B1 (en) 2020-07-06

Family

ID=6628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688A KR102130380B1 (en) 2017-10-11 2017-10-11 Method of providing attachable protocol. protocol provid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implement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38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240A (en) * 2005-01-26 2006-07-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network devices
KR100618656B1 (en) * 2000-12-26 2006-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dynamic software downloading
KR20100130467A (en) * 2009-06-03 2010-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user-centric identity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656B1 (en) * 2000-12-26 2006-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dynamic software downloading
KR20060086240A (en) * 2005-01-26 2006-07-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network devices
KR20100130467A (en) * 2009-06-03 2010-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user-centric identity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380B1 (en)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7636B1 (en) Backup and restore of network configuration data using a remote controller device
EP26895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network
US10614705B2 (en) Detector system
US9152370B2 (en) ID setting system, ID setting method and display unit using the same
KR100491339B1 (en) Controlled device, controller, information control center, initialization-allowing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medium
JP58792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reprogramming of memory in a communication system
EP33861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configuration of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US202303605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configuration of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JP2009044609A (en)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US948565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547272A (en) Wireless application deployment,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tools
CA25379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202004096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a hearing device and an appliance
KR20140015281A (en) Display integrated control systems and display integrated input device
EP3123665A1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P3069333B1 (en) Mobile user interface for security panel
KR20190040842A (en) Method of providing attachable protocol. protocol provid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implementing thereof
US2009019930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figur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6833044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EP2996301B1 (en) Multi-protocol product line integration system
KR100762140B1 (en) The multi-air-conditioner control equipment and method
CN105359198B (en) System and method for fast configuration of universal control devices
KR20210001677A (en) Voice search applied remote control and how to support it
EP3432478B1 (en) Reader/wri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079537B2 (en) Karaoke system, remote control terminal, karaok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