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768A - Wearable Interface Device - Google Patents

Wearable Interfa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768A
KR20190040768A KR1020170131076A KR20170131076A KR20190040768A KR 20190040768 A KR20190040768 A KR 20190040768A KR 1020170131076 A KR1020170131076 A KR 1020170131076A KR 20170131076 A KR20170131076 A KR 20170131076A KR 20190040768 A KR20190040768 A KR 20190040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housing
cradle
fun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10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3367B1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욱 filed Critical 김동욱
Priority to KR1020170131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367B1/en
Publication of KR2019004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7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interfac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wrist pain caused by mouse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comprises a ring-shaped input device worn on a finger and a cradle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input device to wirelessly charge the corresponding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comprises: a ring-shaped housing; a position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sense a position change of the corresponding housing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the finger; a function button unit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to include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touched by a thumb; a control unit generating a posi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housing and each func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buttons, respectively;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osition and function control signals generated in the control unit to a device to be controlled;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input device.

Description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Wearable Interface Device}[0001] Wearable Interface Device [

본 발명은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으로 충전되며 손가락에 착용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interfa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interface device which is wirelessly charged and can be worn on a finger to control a device to be controlled.

마우스란, 컴퓨터의 입력장치 중 하나로써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컴퓨터에 표시된 커서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버튼을 통해 명령어를 선택하거나 실행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A mouse is one of the input devices of a computer, which allows the cursor displayed on the computer to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use, and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ng or executing an instruction through the button.

이러한 마우스는, 컴퓨터의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때 마우스의 사용은 손가락을 포함한 손의 상부측은 마우스를 파지하고, 손의 하부측은 지면을 지지하여 마우스를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Such a mouse has been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computer. In this case, the use of the mouse is such that the upper side of the hand including the finger grasps the mouse and the lower side of the hand supports the ground to manipulate the mouse to be.

그러나, 종래의 마우스 사용방법과 같이, 손의 하부측을 지면에 지지하며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손목에 통증과 피로감이 발생되고, 심한 경우에는 손목 질환까지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using a mouse, when the lower side of the ha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mouse is used for a long time, pain and fatigue are generated in the wrist, and wrist disease may be caused in severe cases.

또한, 종래의 마우스나 리모콘 등의 입력수단은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하고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하면서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put means such as a mouse or a remote controller is bulky and inconvenient to carr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operate while performing another operation.

한편, 최근에는 디지털 기기의 입력수단으로 터치스크린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수단은 손가락이나 단순한 구조의 스타일러스 펜으로 스크린을 터치하여 간단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a touch screen method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put means of a digital device. Such a touch screen type input means is advantageous in that information can be easily input by touching a screen with a finger or a simple stylus pen .

그러나, 이러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수단은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는 메뉴나 목록이 제한될 수밖에 없고, 또한 스타일러스 펜으로 스크린을 터치시 스크린이 압력을 받게 되므로 스크린이 긁히고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touch screen type input means is limited in terms of menus or list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creen is pressured when the screen is touched by the stylus pen, so that the screen is scratched and damaged.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가락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각종 디지털 기기를 원격으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를 발명하였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a wearable interface device that can easily be worn on a finger to remotely manipulate various digital device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8357호(2011.10.3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18357 (October 31, 201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마우스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손목의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interfac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pain of the wrist caused by the use of a mouse by being worn on a finger.

또한, 본 발명은 각종 디지털 기기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어 디지털 기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interface device capable of easily operating a digital device easily and remotely by using a finger.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장치와 같이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할 필요가 없어 해당 디지털 기기의 긁힘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interface device that can prevent scratches or damage of a digital device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directly touch the screen of the digital device like a touch screen type input device.

아울러, 본 발명은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시 전원이 무선 충전되므로 별도의 전원을 교체할 필요가 없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interface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source because the power source is wirelessly charged when worn on a fing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는 손가락에 착용하는 링 형상의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의 하부에 위치되어 해당 입력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링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센싱하는 위치센싱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어 엄지손가락의 터치가 가능한 다수의 기능버튼이 구비된 기능버튼부; 상기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위치제어신호 및 다수의 상기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위치제어신호 및 기능제어신호를 제어 대상 기기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입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arable interface device including a ring-shaped input device worn on a finger; And a cradl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put device and wirelessly charging the input device, wherein the input device comprises: a ring-shaped housing; A position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sensing a change in position of the housing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the finger; A function butt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capable of touching a thumb;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posi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and a respective func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osition control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put device.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손가락 중 검지손가락의 첫째 마디에 착용되고, 하우징 저면의 모시리부에 보호부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be worn on the first node of the index finger of the fingers, and may include a protective member on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위치센싱부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센싱하는 광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자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ing unit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for sens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magnetic force sensor.

또한, 상기 기능버튼부는, 상기 기능버튼으로 선택/실행버튼, 메뉴버튼 및 추가기능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실행버튼, 메뉴버튼 및 추가기능버튼은 각각 촉각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 button unit may include a selection / execution button, a menu button, and an additional function button as the function button, and the selection / execution button, the menu button, and the additional function button may each include a tactile senso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마우스 커서를 상기 위치센싱부에서 센싱된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제어모듈; 및 상기 기능버튼부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버튼 중 상기 엄지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특정 기능버튼에 구비된 촉각센서의 센싱신호에 의해 해당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position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position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mouse cursor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position of the housing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And a function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func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button by a sensing signal of a tactile sensor included in a specific function button touched by the thumb,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provided in the function button unit, .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위치제어신호 및 기능제어신호를 각각 블루투스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position control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by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크래들로부터 충전되거나 상기 광센서를 통해 광센싱이 되는 경우 마우스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크래들로부터 충전되지 않거나 상기 광센서를 통해 광센싱이 되지 않는 경우 비마우스 모드로 작동하되,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크래들 상에서 충전을 감지하게 되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이 온(On) 되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충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미사용시 상기 크래들과 결합하여 충전 가능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also operates in a mouse mode when charged from the cradle or through the optical sensor and operates in a non-mouse mode when it is not charged from the cradle or optically sensed through the optical sensor Wherein the input device further comprises a charge identifier that is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charging is sensed on the cradle and is provided in the housing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battery is charged, So that it can be charged.

또한, 상기 입력장치 또는 상기 크래들은, 상기 입력장치를 상기 마우스 모드나 비마우스 모드로 선택하기 위한 모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or the cradle may include a mode switch for selecting the input device as the mouse mode or the non-mouse mode.

또한,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크래들은, 상기 전원공급부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크래들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장치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입력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크래들로부터 공급받은 충전 전원으로 상기 전원공급부를 충전하는 제2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and the cradle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that wirelessly charges the power supply unit, the wireless charging unit may include a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provided in the cradle and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input device; And a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and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cradle.

또한,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은,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교류를 발생시키는 발진기; 및 상기 발진기에서 발생된 교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oscillator that receives an external DC power to generate an alternating current; And a transmission coil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by an alternating current generated in the oscillator.

또한, 상기 제2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송신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수신코일; 상기 수신코일에서 발생된 유도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기에서 변환된 직류를 설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를 충전하는 전압조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reception coil for generating an induced current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coil; A rectifier for converting an induction current generated in the reception coil into a direct current; And a voltage regulator for regulating the direct current converted by the rectifier to a set voltage to charge the power supply unit.

또한, 상기 크래들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위치하는 상부면과,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져 움직이는 영역인 측면을 각각 포함하는 다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radle may be a polyhedron including a top surface on which a user's palm is located and a side surface on which a user's index finger is bent and moved.

또한,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은, 다수의 송신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코일은 병렬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될 수 있다.Also,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and the transmission coil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ransmission coils may be positioned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또한, 상기 크래들은, 사용자의 손목이 위치하는 손목보호부와,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져 상기 광센서와 수평을 이루는 센싱영역부를 각각 포함하는 평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센싱영역부에 하나의 송신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The cradle may comprise a flat body including a wrist protection part where a user's wrist is located and a sensing area where a user's index finger is bent so as to be horizontal with the optical sensor,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harged by including one transmission coil in the sensing area.

또한, 상기 제2 무선충전모듈은, 2개의 수신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코일은 병렬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광센서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include two receiving coils, and the receiving coil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and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optical sensor.

또한, 상기 크래들이 평면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광센서가 배치된 하우징의 저면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저면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radle is formed as a flat body, the input devic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bottom rear end of the housing in which the optical sensor is disposed is longer than the front end, and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face of the housing.

아울러,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가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여 작동되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generate vibration, and when the input device is operated ove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to generate vibration .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면,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마우스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손목의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in of the wrist caused by the use of the mouse by being worn on the finger.

또한, 본 발명은 각종 디지털 기기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어 디지털 기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operate various digital devices remotely by using a finger, so that the digital device can be operated easily regardless of place or time.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장치와 같이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할 필요가 없어 해당 디지털 기기의 긁힘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need to directly touch the screen of a digital device like a touch screen type input device, thereby preventing the digital device from being scratched or damaged.

아울러, 본 발명은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시 전원이 무선 충전되므로 별도의 전원을 교체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unnecessary to replace a separate power source because the power source is charged by a finger when worn on a fing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1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센싱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버튼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2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부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무선충전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무선충전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부의 설치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3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irst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sition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unction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on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installation view of a wireless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thir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mong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에 착용하는 링 형상의 입력장치(100) 및 입력장치의 하부에 위치되어 입력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크래들(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ng-shaped input device 100 to be worn on a finger, and a cradle 200 that is located under the input device and wirelessly charges the input device.

본원발명은 크래들(200) 상에서 입력장치(100)를 착용한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지는 것을 감지하여 해당 입력장치(100)를 마우스로 사용하고, 해당 크래틀(200)을 통해 입력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매커니즘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at the index finger wearing the input device 100 is bent on the cradle 200 and uses the input device 100 as a mouse and wirelessly charges the input device through the corresponding cradle 200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1구성도이다.2 is a first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입력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위치센싱부(120), 기능버튼부(130), 제어부(140), 무선통신부(150) 및 전원공급부(160)를 각각 포함하는데, 이러한 입력장치(100)는 크래들(200) 상에서 충전을 감지하게 되면서 자동으로 전원이 온(On) 될 수 있다.2, the input device 100 includes a housing 110, a position sensing unit 120, a function button unit 130, a controller 14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and a power supply unit 160, The input device 100 can be automatically turned on while detecting charging on the cradle 200. [

상기 하우징(110)은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하우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섯 손가락 중 검지손가락의 첫째 마디(본원발명에 기재된 첫째 마디는 손톱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손가락 마디를 의미함)에 착용되어 검지손가락의 구부러짐에 의해 크래들(200)의 하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housing 110 has a ring shape so that it can be worn on a finger. The housing has a first node of the index finger of the five fingers (the first nod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closest to the fingernail And the finger can be moved downward of the cradle 200 by bending of the index fing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이다.3 is a bottom view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하우징(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모시리부에 보호부재(111)를 각각 포함함으로써, 하우징(110)과 크래들(200)의 접촉시, 해당 보호부재(111)가 크래들(200)과 먼저 접촉함으로써 하우징(110)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3, when the housing 110 and the cradle 20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otective member 1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radle 200 when the housing 110 and the cradle 20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housing 110 may be protected by contacting the housing 200 first.

상기 위치센싱부(120)는 하우징에 설치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ing unit 120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to sense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센싱부의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sition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위치센싱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손가락의 구부러짐에 의해 하우징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해당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각각 센싱하는 광센서(121), 자이로센서(122), 가속도센서(123) 및 자력센서(12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osition sensing unit 120 includes an optical sensor 121, a gyro sensor 122, and a controller 130. The optical sensor 121 senses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whe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is changed due to bending of the index finger, An acceleration sensor 123, and a magnetic force sensor 124, respectively.

상기 광센서(121), 자이로센서(122), 가속도센서(123) 및 자력센서(124)는 각각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센싱하여 해당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센싱신호를 발생시켜 후술하는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The optical sensor 121, the gyro sensor 122, the acceleration sensor 123 and the magnetic force sensor 124 sense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Lt; / RTI >

상기 기능버튼부(130)는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어 엄지손가락의 터치가 가능한 다수의 기능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The function button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capable of touching the thumb.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버튼부(130)는 하우징의 양측면에 다수의 기능버튼을 각각 대응되게 구비함으로써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사용자가 각각 자신의 엄지손가락으로 해당 기능버튼을 용이하게 터치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unction button unit 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so that the right and left-handed users can easily touch the corresponding function buttons with their thumb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버튼부의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unction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능버튼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버튼으로 선택/실행버튼(131), 메뉴버튼(132) 및 추가기능버튼(133)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선택/실행버튼(131), 메뉴버튼(132) 및 추가기능버튼(133)은 각각 촉각센서(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엄지손가락의 터치시 해당 촉각센서가 센싱신호를 발생시켜 후술하는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5, the function button unit 130 includes a select / execute button 131, a menu button 132, and an additional function button 133 as the function buttons. The select / The touch panel 131, the menu button 132 and the additional function button 133 each include a tactile sensor (not shown), so that the corresponding tactile sensor generates a sensing signal when the thumb is touched and transmits the sens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140 have.

상기 선택/실행버튼(131)은 일반 마우스에서 좌측 클릭 버튼과 대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선택/실행버튼(131)이 한번 터치되는 경우 특정 명령어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두번 연속 터치되는 경우 해당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The select / execute button 131 can correspond to a left click button of a general mouse. For example, when the select / execute button 131 is touched once, a specific command word can be selected. Also, .

상기 메뉴버튼(132)은 일반 마우스에서 우측 클릭 버튼과 대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메뉴버튼(132)이 한번 터치되는 경우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해당 팝업창의 메뉴를 디스플레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enu button 132 is touched once, the pop-up window is activated and the menu of the pop-up window can be displayed.

상기 추가기능버튼(133)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additional function button 133 may be set by a user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상기 제어부(140)는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위치제어신호 및 다수의 상기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generate a posi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and respective function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제어모듈(141) 및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제어모듈(142)을 포함한다.6,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a position control module 141 for generating a position control signal and a function control module 142 for generating a function control signal.

상기 위치제어모듈(141)은 제어 대상 기기(미도시)의 마우스 커서를 상기 위치센싱부에서 센싱된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osition control module 141 may generate a position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mouse cursor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not shown)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housing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구체적으로, 위치제어모듈(141)은 위치센싱부(120)에 포함된 광센서(121), 자이로센서(122), 가속도센서(123) 또는 자력센서(124)에서 각각 발생된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센싱신호와 각각 대응되는 실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특정한 위치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후술하는 무선통신부(150)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제어 대상 기기가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sition control module 141 analyzes the sensing signals generated by the optical sensor 121, the gyro sensor 122, the acceleration sensor 123 or the magnetic sensor 124 included in the position sensing unit 120 Generates a specific posi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actual mouse cursor corresponding to the sensed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osition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ontrol target device moves the mouse cursor .

상기 기능제어모듈(142)은 기능버튼부(130)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버튼 중 엄지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특정 기능버튼에 구비된 촉각센서의 센싱신호에 의해 해당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function control module 142 receives a func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button by a sensing signal of a tactile sensor included in a specific function button touched by a thumb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provided in the function button unit 130, Lt; / RTI >

구체적으로, 기능제어모듈(142)은 엄지손가락의 터치시 기능버튼부(130)에 포함된 선택/실행버튼(131), 메뉴버튼(132) 또는 추가기능버튼(133)에 각각 구비된 촉각센서에서 발생된 센싱신호와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후술하는 무선통신부(150)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제어 대상 기기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unction control module 142 includes a tactil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select / execute button 131, the menu button 132, or the additional function button 133 included in the function button unit 130 when the thumb is touch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function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ontrol target device can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

상기 무선통신부(150)는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위치제어신호 및 기능제어신호를 제어 대상 기기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may wirelessly transmit the position control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구체적으로, 무선통신부(150)는 제어 대상 기기와 블루투스 무선 통신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위치제어신호 및 기능제어신호를 각각 블루투스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 대상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by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position control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signal can be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by the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상기 입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입력장치에 내장되어 상기 크래들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supply power to the input device, and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battery that is embedded in the input device and can be charged by the cradle.

한편, 상기 입력장치(100)는 크래들(200)로부터 충전되거나, 광센서(121)를 통해 광센싱되는 경우, 마우스 모드로 작동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대상 기기의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켜 제어 대상 기기 상의 특정 명령어를 선택 및 실행시킬 수 있다.When the input device 100 is charged from the cradle 200 or optically sensed through the optical sensor 121, the input device 100 operates in the mouse mode to move the mouse cursor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as described above, You can select and execute specific commands on the machine.

또한, 입력장치(100)는 크래들(200)로부터 충전되지 않거나, 광센서(121)를 통해 광센싱되지 않는 경우 비(非)마우스 모드로 작동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입력장치는 비마우스 모드로 리모컨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각각 작동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100 may operate in a non-mouse mode if it is not charged from the cradle 200 or is not optically sensed through the optical sensor 121, To operate the remote control mode or the game mode, respectively, to control the control target devic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2구성도이다.7 is a secon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입력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입력장치를 상기한 마우스 모드나, 비마우스 모드로 선택하기 위한 모드스위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inpu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ode switch 170 for directly selecting the input device to the mouse mode or the non-mouse mode.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해당 입력장치를 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킬 경우, 입력장치(100)에 구비된 모드스위치(170)를 마우스 모드로 스위치 온(On) 하고, 해당 입력장치를 비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킬 경우, 해당 모드스위치(170)를 비마우스 모드로 스위치 온(On) 함으로써 해당 입력장치를 마우스 모드 또는 비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input device in the mouse mode, the user switches on the mode switch 170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100 to the mouse mode and operates the input device in the non-mouse mode , The corresponding input device can be operated in the mouse mode or the non-mouse mode by switching on the mode switch 170 to the non-mouse mode.

또한, 상기 입력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부(160)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는 충전식별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harge identifier (not shown)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o allow the us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battery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160 is charged. have.

구체적으로, 충전식별자(미도시)는 LED(light-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충전식별자가 예를 들어 적색 점멸, 적색 점등 또는 청색 점등을 하는 경우, 각각 비정상적인 충전 상태, 정상적인 충전 상태 또는 충전 완료 상태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arge identifier (not shown) may be a light-emitting diode (LED). When the charge identifier is for example red flashing, red lighting, or blue lighting, A state of charge or a state of completion of charge, respectively.

아울러, 입력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미사용시에 별도의 착탈부재(미도시)를 통해 크래들(200)과 결합함으로써 크래들 상에 안착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input device 100 can be charg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cradle by engaging with the cradle 200 through a separate detachable member (not shown) when not in us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1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크래들(200)은 입력장치의 하부에 위치되어 입력장치를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해당 입력장치의 활동영역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크래들(200)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즉,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면체나 평면체로 이루어지는 크래들(200) 상에서 입력장치(100)를 검지손가락에 착용한 상태에서 키보드의 타이핑이 가능할 수 있다.The cradle 200 is located below the input device and wirelessly charges the input device to provide an active area of the input device. As shown in FIG. 12A, The user may wear the input device 100 on the index finger on the cradle 200 formed of a polyhedron or a flat sieve, as shown in FIG. 12 (b) Typing of the keyboard may be possible in one state.

구체적으로, 크래들(200)은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손바닥이 위치하는 상부면(220)과,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져 움직이는 영역인 측면(230)을 각각 포함하는데, 해당 경우, 상부면(22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의 손바닥이 안착되는 홈 형상의 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radle 200 is formed of a polyhedron, the cradle 200 includes a top surface 220 on which the user's palm is located and a side surface 230 on which the index finger of the user is bent, (Not shown) in which the palm of the user is seated, although not shown.

또한, 크래들(200)은 평면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손목이 위치하는 손목보호부(240)와,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져 상기 광센서(121)와 수평을 이루는 센싱영역부(25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cradle 200 includes a wrist protector 240 on which a user's wrist is positioned and a sensing area 250 on which a user's index finger is bent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optical sensor 121 Respectively.

해당 경우, 입력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센서(121)가 배치된 하우징(110)의 저면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구조(즉, 저면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해당 구조의 경우, 사용자가 광센서(121)를 센싱영역부(250)와 수평이 되도록 하기 위해, 검지손가락을 입력장치(100)의 저면이 평행한 구조의 경우보다 더 구부리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엄지손가락으로 입력장치(100)의 기능버튼을 더 쉽게 터치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the input device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in which the optical sensor 121 is disposed is longer than the front end (i.e.,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in order for the user to make the optical sensor 121 to be horizontal to the sensing area 250, the index finger may be position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a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face of the input device 100 is parallel So that the function button of the input device 100 can be more easily touched with the thumb as a result.

한편, 이러한 다면체형 또는 평편체형 크래들(200)은 각각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입력장치(100)와 동일하게, 해당 입력장치를 마우스 모드 또는 비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는 모드스위치(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each of the polyhedral or flat type cradles 200 includes a mode switch (not shown) that can operate the input device in a mouse mode or a non-mouse mode, (210).

따라서, 사용자는 크래들(200)에 구비된 모드스위치(210)를 마우스 모드로 스위치 온(On) 하여 해당 입력장치를 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키거나, 해당 모드스위치(210)를 비마우스 모드로 스위치 온(On) 하여 해당 입력장치를 비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switch the mode switch 210 provided on the cradle 200 to the mouse mode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input device in the mouse mode, or switch the corresponding mode switch 210 to the non- (On), the corresponding input device can be operated in the non-mouse mode.

상기 입력장치(100) 및 상기 크래들(200)은 각각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충전부(300)를 포함한다.The input device 100 and the cradle 200 each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300 that wirelessly charges the power supply unit 16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부의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충전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200)에 구비되는 제1 무선충전모듈(310) 및 입력장치(100)에 구비되는 제2 무선충전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8, the wireless charging unit 300 includes a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310 provided in the cradle 200 and a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320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100, . ≪ / RTI >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무선충전모듈의 구성도이다.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3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크래들(200)에 구비되어 입력장치(100)로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1 무선충전모듈(3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기(311) 및 송신코일(3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310 may be provided in the cradle 200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to the input device 100. Specifically, And may include an oscillator 311 and a transmitting coil 312, as shown.

상기 발진기(311)는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교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발진기(311)는 크래들(200)에 구비된 USB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교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oscillator 311 receives external power through a USB connec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cradle 200 to generate an alternating current (AC) .

상기 송신코일(312)은 발진기에서 발생된 교류의 이동에 의해 송신코일 주변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transmission coil 312 can generate a magnetic field around the transmission coil by the movement of the AC generated by the oscillator.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부의 설치도이다.11 is an installation view of a wireless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310)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크래들(200)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310 may be provided in a cradle 200 having a polyhedron as shown in FIG. 12 (a).

해당 경우, 제1 무선충전모듈(3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송신코일(312)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송신코일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며 다면체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됨으로써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312 as shown in FIG. 11, wherein each of the transmission coils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one A magnetic field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체로 이루어지는 크래들(200)에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cradle 200 formed as a flat body, as shown in FIG. 12 (b).

해당 경우, 제1 무선충전모듈(310)은 센싱영역부(250)에 하나의 송신코일(312)만이 위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only one transmission coil 312 is positioned in the sensing area 250 of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310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무선충전모듈의 구성도이다.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 무선충전모듈(320)은 크래들로부터 공급받은 충전 전원으로 전원공급부(160)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2 무선충전모듈(3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코일(321), 정류기(322) 및 전압조정기(3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320 may charge the battery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unit 160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cradle. Specifically, Likewise, it may include a receive coil 321, a rectifier 322 and a voltage regulator 323.

상기 수신코일(321)은 송신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receiving coil 321 can generate an induced current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coil.

여기서, 상기 제2 무선충전모듈은 1개 또는 2개의 수신코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수신코일이 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수신코일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며 광센서(12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include one or two receiving coils. When the receiving coils are two, the receiving coils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o that an induced current can be generated.

상기 정류기(322)는 수신코일에서 발생된 유도전류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The rectifier 322 can convert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receiving coil to DC.

상기 전압조정기(323)는 정류기에서 변환된 직류를 입력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설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전원공급부로 공급함으로써 해당 전원공급부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 voltage regulator 323 regulates the direct current converted from the rectifier to a set voltage for operating the input device 100, and supplies the regulated voltage to the power supply unit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power supply unit.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3구성도이다.13 is a thir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입력장치(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3, the inpu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generator 180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o generate vibratio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에서는 제어부(14)가 입력장치(100)의 작동시간을 체크하여 해당 작동시간이 기설정된 작동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진동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부(140)는 진동제어신호를 통해 진동발생부(180)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진동발생부(180)가 진동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14 checks the operation time of the input device 100 and the operation time passes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the control unit 140 may generate the vibration control signal. It is possible to cause the vibration generator 180 to generate vibration by controlling the vibration generator 180 through the vibration control signal.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 입력장치의 사용을 중단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maintain his / her health by stopping the use of the input device through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input device 100. [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는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마우스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손목의 통증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어 디지털 기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장치와 같이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할 필요가 없어 해당 디지털 기기의 긁힘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시 전원이 무선 충전되므로 별도의 전원을 교체할 필요가 없습니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worn on a finger to prevent pain of the wrist caused by the use of the mouse. Further,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can be easily remotely operated using a finger, It is not necessary to directly touch the screen of the digital device like a touch screen type input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gital device from being scratched or damaged. In addition, Since the power is wirelessly charged,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power source separate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입력장치 110:하우징
111:보호부재 120:위치센싱부
121:광센서 122:자이로센서
123:가속도센서 124:자력센서
130:기능버튼부 131:선택/실행버튼
132:메뉴버튼 133:추가기능버튼
140:제어부 141:위치제어모듈
142:기능제어모듈 150:무선통신부
160:전원공급부 170:모드스위치
180:진동발생부 200:크래들
210:모드스위치 220:상부면
230:측면 240:손목보호부
250:센싱영역부 300:무선충전부
310:제1 무선충전모듈 311:발진기
312:송신코일 320:제2 무선충전모듈
321:수신코일 322:정류기
323:전압조정기
100: input device 110: Housing
111: Protection member 120: Position sensing unit
121: Light sensor 122: Gyro sensor
123: Accelerometer 124: magnetic force sensor
130: Function button section 131: Select / Execute button
132: Menu button 133: Add-on button
140: 141: Position control module
142: Function control module 150:
160: Power supply 170: Mode switch
180: 200: Cradle
210: Mode switch 220: upper surface
230: side 240: wrist protection
250: sensing area 300:
310: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311: Oscillator
312: transmission coil 320: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321: Receive coil 322: Rectifier
323: Voltage regulator

Claims (17)

손가락에 착용하는 링 형상의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의 하부에 위치되어 해당 입력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링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센싱하는 위치센싱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어 엄지손가락의 터치가 가능한 다수의 기능버튼이 구비된 기능버튼부;
상기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위치제어신호 및 다수의 상기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위치제어신호 및 기능제어신호를 제어 대상 기기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입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A ring-shaped input device worn on a finger; And
And a cradle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put device and wirelessly charging the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includes:
A ring-shaped housing;
A position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sensing a change in position of the housing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the finger;
A function butt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capable of touching a thumb;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posi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and a respective func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osition control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pu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손가락 중 검지손가락의 첫째 마디에 착용되고,
하우징 저면의 모시리부에 보호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The finger is worn at the first node of the index finger of the finger,
Wherein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comprises a protection member on a shoulder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싱부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각각 센싱하는 광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자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sition sensing unit includes: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magnetic force sensor for sensing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respectivel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버튼부는,
상기 기능버튼으로 선택/실행버튼, 메뉴버튼 및 추가기능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실행버튼, 메뉴버튼 및 추가기능버튼은 각각 촉각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unction button unit,
The function button includes a selection / execution button, a menu button, and an additional function button,
Wherein the select / execute button, the menu button, and the additional function button each include a tactile senso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마우스 커서를 상기 위치센싱부에서 센싱된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제어모듈; 및
상기 기능버튼부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버튼 중 상기 엄지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특정 기능버튼에 구비된 촉각센서의 센싱신호에 의해 해당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osition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position control signal for moving a mouse cursor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position of the housing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And
And a function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func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button by a sensing signal of a tactile sensor included in a specific function button touched by the thumb,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provided in the function button unit And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위치제어신호 및 기능제어신호를 각각 블루투스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ntrol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by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respectivel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크래들로부터 충전되거나 상기 광센서를 통해 광센싱이 되는 경우 마우스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크래들로부터 충전되지 않거나 상기 광센서를 통해 광센싱이 되지 않는 경우 비마우스 모드로 작동하되,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크래들 상에서 충전을 감지하게 되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이 온(On) 되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충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미사용시 상기 크래들과 결합하여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put device includes:
Operates in a mouse mode when charged from the cradle or optically sensed through the optical sensor,
Operating in a non-mouse mode if it is not charged from the cradle or is not optically sensing through the optical sensor,
The input device includes:
When the charging is detected on the cradle, the power is automatically turned on,
Further comprising a charge identifier provided in the housing to confirm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Wherein the battery pack is coupled with the cradle when the battery pack is not us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 또는 상기 크래들은,
상기 입력장치를 상기 마우스 모드나 비마우스 모드로 선택하기 위한 모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put device or the cradle,
And a mode switch for selecting the input device as the mouse mode or the non-mouse mod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크래들은,
상기 전원공급부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크래들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장치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입력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크래들로부터 공급받은 충전 전원으로 상기 전원공급부를 충전하는 제2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nput device and the cradle,
And a wireless charging unit that wirelessly charges the power supply unit,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provided in the cradle to supply charging power to the input device; And
And a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for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cradl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은,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교류를 발생시키는 발진기; 및
상기 발진기에서 발생된 교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comprises:
An oscillator for receiving an external DC power source to generate an alternating current; And
And a transmission coil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by AC generated by the oscillato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송신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수신코일;
상기 수신코일에서 발생된 유도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기에서 변환된 직류를 설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를 충전하는 전압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comprises:
A receiving coil for generating an induced current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coil;
A rectifier for converting an induction current generated in the reception coil into a direct current; And
And a voltage regulator for regulating the direct current converted by the rectifier to a set voltage to charge the power supply uni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위치하는 상부면과,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져 움직이는 영역인 측면을 각각 포함하는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radle,
Wherein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comprises a polyhedron including a top surface on which a palm of a user is positioned and a side surface on which a user's index finger is bent and move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은,
다수의 송신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코일은 병렬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comprises:
Comprising a plurality of transmit coils,
Wherein the transmitting coi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ransmitting coils are positioned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사용자의 손목이 위치하는 손목보호부와,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져 상기 광센서와 수평을 이루는 센싱영역부를 각각 포함하는 평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센싱영역부에 하나의 송신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radle,
A wrist protection part in which a user's wrist is located and a sensing area in which a user's index finger is bent so as to be horizontal with the optical sensor,
Wherein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comprises:
And the power supply unit can be charged by including one transmission coil in the sensing area.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충전모듈은,
2개의 수신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코일은 병렬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광센서의 양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Wherein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comprises:
Comprising two receive coils,
Wherein the receiving coi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and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optical sensor.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이 평면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광센서가 배치된 하우징의 저면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저면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cradle is formed as a flat body,
The input device includes:
Wherein the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n which the optical sensor is disposed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ront end, and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rear end of the housing.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가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여 작동되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put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housing to generate vibration,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vibration generator to generate vibration when the input device is oper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KR1020170131076A 2017-10-11 2017-10-11 Wearable Interface Device KR102053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076A KR102053367B1 (en) 2017-10-11 2017-10-11 Wearable Interfac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076A KR102053367B1 (en) 2017-10-11 2017-10-11 Wearable Interfac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768A true KR20190040768A (en) 2019-04-19
KR102053367B1 KR102053367B1 (en) 2019-12-09

Family

ID=6628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076A KR102053367B1 (en) 2017-10-11 2017-10-11 Wearable Interfac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36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9101A (en) * 2019-04-24 2019-07-30 洪浛檩 A kind of wearable calculating equipment and a kind of man-machine interaction method
KR102207510B1 (en) * 2020-04-30 2021-01-27 (주)콕스스페이스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host device using motion signals and mouse signals
KR102397236B1 (en) * 2021-09-12 2022-05-13 (주)콕스스페이스 Method for creating user defined gesture profile based on user's repetitive motions and recognizing ges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359A (en)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쏠리테크 Ring wireless input device and joystick
KR20110118357A (en) 2010-04-23 2011-10-31 주식회사 소냐테크 Portable mouse
KR20130050371A (en) * 2010-08-27 2013-05-15 인텔 코오퍼레이션 Remote control device
KR20150047309A (en) *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ice and peripherals control method f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359A (en)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쏠리테크 Ring wireless input device and joystick
KR20110118357A (en) 2010-04-23 2011-10-31 주식회사 소냐테크 Portable mouse
KR20130050371A (en) * 2010-08-27 2013-05-15 인텔 코오퍼레이션 Remote control device
KR20150047309A (en) *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ice and peripherals control method for us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9101A (en) * 2019-04-24 2019-07-30 洪浛檩 A kind of wearable calculating equipment and a kind of man-machine interaction method
CN110069101B (en) * 2019-04-24 2024-04-02 洪浛檩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man-machine interaction method
KR102207510B1 (en) * 2020-04-30 2021-01-27 (주)콕스스페이스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host device using motion signals and mouse signals
WO2022035027A1 (en) * 2020-04-30 2022-02-17 주식회사 콕스스페이스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host device by using motion signal and mouse signal
US11797112B1 (en) 2020-04-30 2023-10-24 Cox Space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host device by using motion signal and mouse signal
KR102397236B1 (en) * 2021-09-12 2022-05-13 (주)콕스스페이스 Method for creating user defined gesture profile based on user's repetitive motions and recognizing ges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367B1 (en)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8992B1 (en) Ring human-machine interface
JP59696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gesture-based dialogue
US20230409124A1 (en) Wearable device enabling multi-finger gestures
US20150077347A1 (en) Ergonomically optimized remote controller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042438B2 (en) Hand manipulated data apparatus for computers and video games
US10191281B2 (en) Head-mounted display for visually recognizing input
US8681101B1 (en) Finger mounted input device
US8605036B1 (en) Finger control and data entry device
JP2010528397A (en) Fingertip mouse and base
US20090212979A1 (en) Glove-based input device
KR102053367B1 (en) Wearable Interface Device
JP2014509768A (en) Cursor control and input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thumb
WO2016003365A1 (en) A wearable input device
KR201300533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 human interface devide
KR101656391B1 (en) Ring type wireless controller apparatus
JPWO20081111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perat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499348B1 (en) Wrist band type control device
JP2005309695A (en) Cordless pointing device system and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KR101625066B1 (en) Wearable mouse
JP2012083866A (en) Finger attachment type processor with tactile sense reproduction function
CN109460152A (en) Gesture operated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CN111651034A (en) Intelligent glasse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chip of intelligent glasses
US20060176268A1 (en) Device for inputting control signals to a peripheral unit and a combination including such a device
KR102137364B1 (en) Motion recognition presenter apparatus for dynamic presentation
KR101985620B1 (en) Presenter apparatus with function of hand gesture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