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446A - 철근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446A
KR20190039446A KR1020170128529A KR20170128529A KR20190039446A KR 20190039446 A KR20190039446 A KR 20190039446A KR 1020170128529 A KR1020170128529 A KR 1020170128529A KR 20170128529 A KR20170128529 A KR 20170128529A KR 20190039446 A KR20190039446 A KR 20190039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ixture
reinforcing
tubular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복
Original Assignee
김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복 filed Critical 김경복
Priority to KR102017012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9446A/ko
Publication of KR20190039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삽입된 철근 외주면을 탄성복원력으로 구속하여 별도의 나사체결 없이 두 개의 철근이 연결 가능하도록 한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철근연결구는 내부에 경사돌기와 대칭구비 및 내부에 양측에 철근(F)삽입으로 철근(F)이 고정되는 탄성의 고정체(140)구비의 철근연결구 등록실용20250603과 관체내부에 구비되며, 내부 및 외부에 경사돌기구 및 대칭 및관체(120)의 양단말외경에 고정되며, 내부에 양측에 철근(F)삽입으로 철근(F)이 고정되는 탄성의 고정체(140a)구비의 철근 연결구 등록특허100662099 철근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내부에 상기 고정체(120)의 양단끝(120a,120a")이 고정되는 홈(114)구비의 관체(110): 길이를 따라 통상의 절개(121)되며, 상기 관체(110) 내부의 홈(114)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외부경사돌기(122)가 구비되며, 내부에 철근(F)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경사돌기(124) 및 상기 경사돌기(124)의 일정거리에서 통상의 대칭구비 및 가운데 부분에 상기 철근(F)의 진행이 정지되는 통상의 돌기(126)구비의 고정체(140a)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철근연결구는 또한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a)가 상호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a)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돌기 및 홈구비 또는 볼트가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a)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구멍 및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철근에 대한 구속력이 보다더 향상되며 철근연결구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철근연결구{rebar Connector}
본 발명은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삽입된 철근 외주면을 탄성복원력으로 구속하여 별도의 나사체결 없이 두 개의 철근이 연결 가능하도록 한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과 콘크리트의 각각의 장점 및 단점이 서로 보완될 수 있도록 일체시켜 구성한 것으로,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철근을 배치하여 외력에 인장응력(引長應力)에 대한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로 인하여 철근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작업이 필수적이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구성을 첨부된 도 4 및 도 6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등록특허 101121931 철근연결구의 내부위치 볼트고정의 2개의 고정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 및 사시도. 도 5 등록특허100662099 철근연결구의 내부위치 끝단외부위치 고정의 2개의 고정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 및 사시도. 도 6 등록특허100912207의 철근연결구의 외부에 볼트와 별도의 너트(18)구비 구비의 관제(10) 및 상기 관제(10) 내부위치 및 내부의 철근(f) 고정의 고정체((20) ,
등록실용20250603 철근연결구의 내부위치 및 볼트구멍구비의 한쌍의 고정체( 10)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 및 사시도.로서
도 4 관체(110) 내부위치의 고정체(140) 등록특허101121931의 관체(110) 내부위치 볼트고정의 양측 각각 외부돌기(154)와 내부돌기(156)구비의 한 쌍의 고정체(140)를 양측에 구비의 한쌍의 는 힘의 지탱이 2개로 분산되며 또한 철근(F) 삽입시 각각 움직여 위치이동이 있는 문제와 굽힘걸이(144,146,154,156)에 타물체의 걸림 및 타력에 변형 및 고정의 문제가 있다.
도 5 관체(110) 선단 및 타단외부원주에 굽힘걸이 고정의 내부위치의 고정체(140) 등록특허100662099 철근연결구는 관체(110) 내부에 2개의 한 쌍의 고정체(140,150)의 굽힘걸이(144,146,154,156)는 힘의 지탱이 2개로 분산되며 또한 철근(F) 삽입시 각각 움직여 위치이동이 있는 문제와 굽힘걸이(144,146,154,156)에 타물체의 걸림 및 타력에 변형 및 고정의 문제가 있다.
도 6 출원과 별개의 내부돌기 구비의 고정체의 이해를 돕기위한 관체(110)외부에서 고정하는 내부위치의 고정체(140) 등록특허100912207의 철근연결구의 외부에 볼트와 별도의 너트(18)구비 구비의 관제(10) 및 상기 관제(10) 내부위치 및 내부의 철근(f) 고정의 고정체((20), 등록실용20250603 철근연결구의 내부위치 및 볼트구멍구비의 한쌍의 고정체(10)는 관체(110)외부에서 볼트고정 또는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하여
힘 지탱이 제한적인 문제와 볼트고정 또는 볼트 및 너트의 외부가압에 변위되어 고정이 불안정 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경사돌기와 대칭구비 및 내부에 양측에 철근(F)삽입으로 철근(F)이 고정되는 탄성의 고정체(140)구비의 철근연결구 등록실용20250603과 관체내부에 구비되며, 내부 및 외부에 경사돌기구 및 대칭 및관체(120)의 양단말외경에 고정되며, 내부에 양측에 철근(F)삽입으로 철근(F)이 고정되는 탄성의 고정체(140a)구비의 철근 연결구 등록특허100662099 철근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내부에 상기 고정체(120)의 양단끝(120a,120a")이 고정되는 홈(114)구비의 관체(110): 길이를 따라 통상의 절개(121)되며, 상기 관체(110) 내부의 홈(114)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외부경사돌기(122)가 구비되며, 내부에 철근(F)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경사돌기(124) 및 상기 경사돌기(124)의 일정거리에서 통상의 대칭구비 및 가운데 부분에 상기 철근(F)의 진행이 정지되는 통상의 돌기(126)구비의 고정체(140a)를 구비의 철근연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는, 나사산구비의 관체(120)내부되며, 내부에 경사돌기와 대칭구비 및 내부에 양측에 철근(F)삽입으로 철근(F)이 고정되는 탄성의 고정체(140)구비의 철근연결구 등록실용20250603과 관체내부에 구비되며, 내부 및 외부에 경사돌기구 및 대칭 및관체(120)의 양단말외경에 고정되며, 내부에 양측에 철근(F)삽입으로 철근(F)이 고정되는 탄성의 고정체(140a)구비의 철근 연결구 등록특허100662099 철근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내부에 상기 고정체(120)의 양단끝(120a,120a")이 고정되는 홈(114)구비의 관체(110): 길이를 따라 통상의 절개(121)되며, 상기 관체(110) 내부의 홈(114)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외부경사돌기(122)가 구비되며, 내부에 철근(F)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경사돌기(124) 및 상기 경사돌기(124)의 일정거리에서 통상의 대칭구비 및 가운데 부분에 상기 철근(F)의 진행이 정지되는 통상의 돌기(126)구비의 고정체(140a)를 구비할 수있다.
고정체(140a)는 관체(110) 내부의 홈(114)에 삽입 및 고정되게 길이를 따라 통상의 절개(121)되며, 외압에 축소 또는 와류축소 되게 구비할 수있다..
고정체(140a)는 관체(110) 내부의 홈(114) 끝에 양단끝(120a,120a")이 고정되는 통상의 돌기(120a,120a")를 구비할 수있다.
본발명은 또한 관체(110) 및 고정체(140a)가 상호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a)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돌기 및 홈구비 또는 볼트가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a)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구멍 및 너트를 구비할 수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체가 관제내부에 외부돌기와 끝단이 고정되어 철근의 구속력이 종래 외부돌기고정 또는 볼트너트고정 보다 극대화되며 철근연결구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일실시예에의한 철근연결구(100)의 사용 사시도.
도 2 도 1의 단면도
도 3 이해를 돕기위한 도 2의 철근연결구의 관제(110) 내부에 고정체(120)의 위치 및 고정 및 분리의 고정체(120)를 중심으로 개략적인 단면 및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등록특허 101121931 철근연결구의 내부위치 볼트고정의 2개의 고정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 및 사시도.
도 5 등록특허100662099 철근연결구의 내부위치 끝단외부위치 고정의 2개의 고정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 및 사시도.
도 6 등록특허100912207의 철근연결구의 외부에 볼트와 별도의 너트(18)구비 구비의 관제(10) 및 상기 관제(10) 내부위치 및 내부의 철근(f) 고정의 고정체((20) ,
등록실용20250603 철근연결구의 내부위치 및 볼트구멍구비의 한쌍의 고정체( 10)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 및 사시도.
먼저, 철근연결구는 등록특허101121931, 100662099, 등록특허100912207,
등록실용20250603, 등록실용20250603외에도 키프리스에 수십건이 공개공시되어 있어 상기 및 출원의 관제 및 고정체를 별도의 출원이 설명함이 부족 및 이해의 난해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사서, 심사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된? 등록들로서 단어적 관체 및 돌기는 동일하다, 참조될수 있고 인정되어야 한다.
또한 출원은 철근연결구는 등록특허101121931의 원주외부 돌기(152) 및 원주 내부 돌기(154)는 동일 또는 동일 할 수 있다. 등록특허101121931의 고정체(150)는 일측 고정 돌기로 양측을 고정 할수 없는 구성으로 따라서, 관체(120) 중앙을 경계로 양측에 고정체(150)를 별도의 각각(A) 반대방향(B)으로 삽입(C)구비한다는 것점 다르다, 즉 출원은 관체(120)에 고정 및 내부양측에 철근(F)이 고정되는 1개의 고정체(150)) 를 구비하는 것에 차이의 쟁점의 장점이 있다.
이하 제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철근연결구(100)를 설명한다.
도 1 본 발명일실시예에의한 철근연결구(100)의 사용 사시도, 도 2 도 1의 단면도, 도 3 이해를 돕기위한 도 2의 철근연결구의 관제(110) 내부에 고정체(120)의 위치 및 고정 및 분리의 고정체(120)를 중심으로 개략적인 단면 및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도 3의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연결구(100)는 나사산구비의 관체(120)내부되며, 내부에 경사돌기와 대칭구비 및 내부에 양측에 철근(F)삽입으로 철근(F)이 고정되는 탄성의 고정체(140)구비의 철근연결구 등록실용20250603과 관체내부에 구비되며, 내부 및 외부에 경사돌기구 및 대칭 및관체(120)의 양단말외경에 고정되며, 내부에 양측에 철근(F)삽입으로 철근(F)이 고정되는 탄성의 고정체(140a)구비의 철근 연결구 등록특허100662099 철근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내부에 상기 고정체(120)의 양단끝(120a,120a")이 고정되는 홈(114)구비의 관체(110)):상기 관체(110) 내부의 홈(114) 및 상기 홈(114) 끝에 위치 및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외부경사돌기(122) 및 끝단이 외향경사 통상의 돌기(120a,120a")가 구비되며, 내부에 철근(F)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경사돌기(24) 및 상기 경사돌기(24)의 일정거리에서 통상의 대칭구비 및 가운데 부분에 상기 철근(F)의 진행이 정지되는 통상의 돌기(126)구비의 고정체(140a)를 구비할 수 있다.
본발명 고정체(120)는 관체(110) 내부의 홈(114)에 삽입 및 고정되게 길이를 따라 통상의 절개(121)되며, 외압에 축소 또는 와류축소 되게 구비할 수있다..
본발명 고정체(120)는 관체(110) 내부의 홈(114) 끝에 양단끝(120a,120a")이 고정되는 통상의 돌기(120a,120a")를 구비할 수있다.
본발명은 또한 관체(110) 및 고정체(140a)가 상호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돌기 및 홈구비 또는 볼트가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구멍 및 너트를 구비할 수있다.
본발명 고정체(140a)는 관체(110) 통상의 양측에 철근(F)을 삽입하면 이때 상기 관체(110)내부의 홈(144)에 위치한 고정체(120)의 내부돌기(124)가 통상의 변위하며 상기 철근(F)을 통상의 고정한다 이때 관체(110)내부의 고정체(120)의 외부돌기(122)가 통상의 변위하며 상기 관체(110)내부의 홈(144)에 더욱더 밀착되며 또한 관체(110) 내부의 홈(114) 끝에 보다더 넓게 고정되게 고정체(120)의 경사의 양단끝(120a,120a") 구비할 수있다.
본발명은 또한 관체(110) 및 고정체(140a)가 상호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돌기 및 홈구비 또는 볼트가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구멍 및 너트를 구비할 수있다.
본발명은 또한 관체(110) 및 고정체(140a)가 상호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돌기 및 홈구비 또는 볼트가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구멍 및 너트를 구비일때 상기 관체(110) 통상의 양측에 철근(F)을 삽입하면 이때 상기 관체(110)내부의 홈(144)에 위치한 고정체(120)의 내부돌기(124)가 통상의 변위하며 상기 철근(F)을 통상의 고정한다 이때 관체(110)내부의 고정체(120)의 외부돌기(122)가 통상의 변위하며 상기 관체(110)내부의 홈(144)에 더욱더 밀착되며 또한 관체(110) 내부의 홈(114) 끝에 보다더 넓게 고정되게 고정체(120)의 경사의 양단끝(120a,120a") 구비할 수있다.
본 발명 철근고정체(10)는 종래 등록특허101121931의 관체(110) 끝원주외부의 2개의 한 쌍의 고정체(140)의 굽힘걸어(144,146)에 타물체의 걸림 및 타력에 굽힘걸어(144,146) 변형의 고정불안정의 문제해소의 본 발명 철근고정체(10)의 관체(110)의 내부의 홈(114)에 1개의 고정체(120)가 위치 및 끝단전체가 고정되어 등록특허101121931 관체 끝원주 외부에 굽혀걸어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체 보다더 고정할 수 있다. 는 차이점의 장점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본발명 철근고정체는 등록특허101121931 철근고정체 보다더 고정되며, 철근의 구속력이 보다더 극대화되며 철근연결구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선행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20250603,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100662099,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10112193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100662099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100912207

Claims (2)

  1. 내부에 경사돌기와 대칭구비 및 내부에 양측에 철근(F)삽입으로 철근(F)이 고정되는 탄성의 고정체(140)구비의 철근연결구 등록실용20250603과 관체내부에 구비되며, 내부 및 외부에 경사돌기구 및 대칭 및관체(120)의 양단말외경에 고정되며, 내부에 양측에 철근(F)삽입으로 철근(F)이 고정되는 탄성의 고정체(140a)구비의 철근 연결구 등록특허100662099 철근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내부에 상기 고정체(120)의 양단끝(120a,120a")이 고정되는 홈(114)구비의 관체(110):
    길이를 따라 통상의 절개(121)되며, 상기 관체(110) 내부의 홈(114)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외부경사돌기(122)가 구비되며, 내부에 철근(F)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경사돌기(124) 및 상기 경사돌기(124)의 일정거리에서 통상의 대칭구비 및 가운데 부분에 상기 철근(F)의 진행이 정지되는 통상의 돌기(126)구비의 고정체(140a)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a)가 상호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a)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돌기 및 홈구비 또는 볼트가 고정되는 상기 관체(110) 및 상기 고정체(140a)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구멍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KR1020170128529A 2017-10-03 2017-10-03 철근연결구 KR20190039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529A KR20190039446A (ko) 2017-10-03 2017-10-03 철근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529A KR20190039446A (ko) 2017-10-03 2017-10-03 철근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446A true KR20190039446A (ko) 2019-04-12

Family

ID=6616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529A KR20190039446A (ko) 2017-10-03 2017-10-03 철근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94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8956A (zh) * 2019-06-28 2019-09-20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装配式钢-混构件的竖向主筋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8956A (zh) * 2019-06-28 2019-09-20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装配式钢-混构件的竖向主筋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258956B (zh) * 2019-06-28 2021-03-30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装配式钢-混构件的竖向主筋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3443A1 (ko) 다양한 형태의 리브를 가진 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고강도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US20200157819A1 (en) Non-slip reinforcing bar coupler
KR102324815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JP2007192272A (ja) 鉄筋係止具
KR20160041968A (ko) 앵커 볼트
KR20180047130A (ko) 철근 이음 장치
KR101708477B1 (ko) 철근연결구
KR20190039446A (ko) 철근연결구
BRPI0722318A2 (pt) Estrutura tubular com pelo menos dois tubos e uma conexão de tubo plugável, e, tenda ou andaime
EP3258033A1 (en) Anchor for a vertical formwork and vertical formwork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101574515B1 (ko) 직선 또는 각도가 주어진 철근용 유니버셜 토크쉐어 커플러
KR10230169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커넥터
JP404452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補強器具
KR20190042779A (ko) 철근연결구
EP3385468A1 (en) Threaded anchor for a vertical formwork and vertical formwork
KR101830335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용 보조띠철근
KR101708471B1 (ko) 철근연결구
KR20190031075A (ko) 볼충진 이음방식 철근커플러
KR102064558B1 (ko) 철근 결합 구조를 개선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200257716Y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102240119B1 (ko) 철근 연결 장치
JP2016164338A (ja) 鉄筋連結装置
KR200286102Y1 (ko) 철근 연결장치
JP6227081B2 (ja) 筋交い金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