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060A -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060A
KR20190039060A KR1020190039195A KR20190039195A KR20190039060A KR 20190039060 A KR20190039060 A KR 20190039060A KR 1020190039195 A KR1020190039195 A KR 1020190039195A KR 20190039195 A KR20190039195 A KR 20190039195A KR 20190039060 A KR20190039060 A KR 20190039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eed
pad
feed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509B1 (ko
Inventor
장승구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다수의 급전 패드, 상기 급전 패드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급전 패드와 이격 배치되며 하나의 도체판으로 형성되는 방사부, 및 상기 급전 패드의 타측에 배치되는 접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전 패드들은 각각 다각형의 패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ANTENNA AND ANTENNA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통신 시스템은 주로 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을 사용하여 왔지만, 향후 새로운 고속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 시스템은 802.11ad 통신의 60GHz와 같이 EHF(Extreme High Frequency) 대역을 사용할 예정에 있다.
 EHF 대역의 통신 시스템은 고속 정보 전송을 위해 UHF 대역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대역폭(Bandwidth)에 비해 10~100배 수준의 광대역폭을 사용하는데, 60GHz와 같은 EHF(Extreme High Frequency) 대역을 사용 하는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인 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 통신 시스템과 달리 높은 주파수로 인해 신호 전달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어 다수의 안테나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EHF 대역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안테나를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내에 내장되는 형태로 패키지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42740호(2016.04.20)
본 발명의 목적은 EHF 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다수의 급전 패드, 상기 급전 패드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급전 패드와 이격 배치되며 하나의 도체판으로 형성되는 방사부, 및 상기 급전 패드의 타측에 배치되는 접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전 패드들은 각각 다각형의 패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상기한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의 급전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처리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및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의 방사면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EHF 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소형의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을 측정한 그래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안테나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을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측 상부, 하측, 하부,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사시도로, 절연 부재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절연 부재(110), 급전부(130), 방사부(180), 및 접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부재(110)로는 절연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부재는 복수의 레이어로 형성된 다층 기판일 수 있으며 세라믹 기판, 인쇄 회로 기판 및 연성 기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전부(130)는 제1 급전부(130a)와 제2 급전부(130b)를 포함한다. 제1 급전부(130a)는 제1 급전 패드(131a)와 제1 급전 패턴(133a), 그리고 제1 급전 패턴(133a)과 제1 급전 패드(131a)를 연결하는 제1 비아(13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급전부(130b)는 제2 급전 패드(131b)와 제2 급전 패턴(133b), 그리고 제2 비아(132b)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 패드들(131a, 131b)은 평면 상에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패치(patch) 형태로 형성된다.
제1 급전 패드(131a)와 제2 급전 패드(131b)는 동일한 형상 및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직선 상에 배치되되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급전 패드들(131a, 131b)는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각 급전 패드들(131a, 131b)의 폭(W1)은 방사부(180) 폭(W2)의 3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급전 패드들(131a, 131b)의 길이(L1)는 방사부 길이(L2)의 4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급전 패드들(131a, 131b)이 상기한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방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각 급전 패드들(131a, 131b)은 비아(132a, 132b)를 통해 각각 급전 패턴(133a, 133b)과 연결된다.
비아(132a, 132b)는 급전 패드(131a, 131b)의 하부면에서 급전 패드(131a, 131b)와 수직을 이루는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급전 패턴(133a, 133b)과 연결된다. 따라서 비아는(132a, 132b) 일단이 급전 패드(131a, 131b)와 연결되고 타단이 급전 패턴(133a, 133b)과 연결된다.
제1 비아(132a)는 제1 급전 패드(131a)에 연결되고 제2 비아(132b)는 제2 급전 패드(131b)에 연결된다.
이때, 제1 비아(132a)와 제2 비아(132b)는 급전 패드(131a, 131b)의 중심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급전 패드(131a)에 연결되는 제1 비아(132a)는 제2 급전 패드(131b)와 최대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2 급전 패드(131b)에 연결되는 제2 비아(132b)는 제1 급전 패드(131a)와 최대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비아(132a)와 제2 비아(132b)는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급전 패드(131a)와 제2 급전 패드(131b)와 결합되는 위치라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비아(132a)와 제2 비아(132b)가 과도하게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 제1 비아(132a)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와, 제2 비아(132b)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비아(132a)와 제2 비아(132b)는 방사부(180)의 폭(W2)이나 방사부(180)의 길이(L2)의 10% 이상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아(132a)와 제2 비아(132b)는 접지부(170)를 관통하여 접지부(170)의 하부에 배치되는 급전 패턴(133a, 133b)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비아(132a, 132b)는 접지부(170)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급전 패턴(133a, 133b)은 접지부(170)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접지부(170)는 급전 패턴(133a, 133b)과 급전 패드(131a, 131b) 사이에 배치된다.
급전 패턴(133a, 133b)은 신호처리 소자(미도시)와 연결되어 신호처리 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급전 패드(131a, 131b)로 전달한다.
제1 급전 패턴(133a)과 제2 급전 패턴(133b)은 서로 접촉하지 않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신호처리 소자와 연결된다.
제1 급전부(130a)와 제2 급전부(130b)는 단일 편파의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다중 급전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급전부(130a)와 제2 급전부(130b)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대칭을 이루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방사부(180)는 급전 패드들(131a, 131b)의 일측(예컨대, 상부)에 배치된다.
방사부(180)는 급전 패드들(131a, 131b)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하나의 도체판으로 이루어진다. 방사부(180)는 급전 패드들(131a, 131b)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급전 패드들(131a, 131b) 전체를 완전히 덮는 크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부(180)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부(180)는 종래에 비해 방사 면적이 증가되므로 안테나의 고이득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급전 패드들(131a, 131b)은 방사부(180)와 대면하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급전 패드들(131a, 131b)은 전체가 방사부(180)와 겹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급전 패드들(131a, 131b)의 위치 자유도는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 조절의 자유도로 이어져, 안테나 자체의 효율을 증가시켜 고이득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접지부(170)는 급전 패드들(131a, 131b)의 타측(예컨대, 하부)에 배치되며, 급전부(130)나 방사부(18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지부(170)는 급전 패드들(131a, 131b)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비아(132a, 132b)가 배치되는 빈 공간을 구비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제1 안테나(Ant1)는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와 같이 급전 패드(131a, 131b) 전체가 방사부(180)와 대면하는 범위 내에 배치된 안테나이고, 제2 안테나(Ant2)는 급전 패드(131a, 131b) 중 적어도 일부가 방사부(180)의 외측으로 벗어나도록 배치된 안테나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같이 급전 패드(131a, 131b) 전체가 방사부(180)와 대면하는 범위 내에 배치된 제1 안테나(Ant1)는 제2 안테나(Ant2)에 비해 안테나 이득이 대략 1dB 높게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반사 손실은 2dB 이상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급전 패드(131a, 131b) 전체가 방사부(180)와 대면하는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경우 안테나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급전부(130)의 급전 패드(131a, 131b) 전체가 방사부(180)와 대면하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방사부(180)가 면 형태의 패치(Patch)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급전부(130)는 방사부(180)와 접촉하지 않도록 방사부(180)와 이격 배치되며 커플링(Coupling)을 통해, 방사부(180)에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종래의 다이폴 안테나에 비해 방사 면적(Aperture)이 증가되며, 이를 통해 방사되는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켜 고이득 안테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종래의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방사부가 급전부에서 연장되므로 방사부가 선형 또는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방사부의 길이는 해당 주파수의 반파장 길이로 형성된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방사부(180)가 급전부(130)와 이격 배치되어 방사부(180)에 직접 급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커플링(Coupliing) 급전 구조로 구성되며, 이에 급전 구조 길이와 방사부(180) 길이의 조합에 의해 방사 주파수가 결정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급전 패드(131a, 131b)는 방사에 직접 관여하지 않으므로 그 크기가 주파수나 파장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급전 패드(131a, 131b)는 종래 다이폴 안테나의 방사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방사부(180)의 크기는 급전 패드(131a, 131b)의 크기를 기반으로 규정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방사부(180)는 종래 다이폴 안테나의 방사부 길이의 70% 이하로 형성할 수 있어 안테나의 방사면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급전 구조의 위치나 면적의 조정으로 임피던스를 정합한다. 예를 들어, 급전 패드(131a, 131b)의 길이와 폭을 조정하여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할 수 있으며, 급전 패드(131a, 131b)와 연결되는 비아(132a, 132b)의 위치 변화를 통해, 각 급전부(130)로 전달되는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다중 급전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급전부(130)에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처리 소자(미도시)는 제1 급전부(130a)와 제2 급전부(130b)에 각각 연결되며, 제1 급전부(130a)와 제2 급전부(130b)에 동시에 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안테나 입력 신호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방사 이득아 증가된다.
한편, 방사부가 급전부에서 직접 연장되는 종래(예컨대, 종래의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방사부가 다이폴(Dipole)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2개의 급전 패드가 매우 작은 거리로 이격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방사부(180)가 급전부(130)와 연결되지 않고 급전부(130)와 이격 배치되므로, 급전 패드(131a, 131b)는 방사부(180)와 대면하는 영역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급전 위치의 자유도가 높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도 2와 마찬가지로 절연 부재를 생략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4개의 급전부(130)를 구비한다. 따라서 급전 패드(131a, 131b, 131c, 131d)도 4개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6개, 또는 8개의 급전부를 포함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4개의 급전 패드(131a, 131b, 131c, 131d)는 사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비아들(132)은 서로 마주보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안테나도 급전 패드들(131a, 131b, 131c, 131d)은 모두 방사부(180)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2개의 급전 패드들(131a, 131b)은 일직선 상에서 이격 배치되며, 나머지 2개의 급전 패드들(131c, 131d)도 일직선 상에서 이격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이중 편파(dual polarization)의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각 편파(수직 편파, 수평 편파)당 2개의 급전부(130)가 각각 배치되므로, 다중 급전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안테나의 사시도로, 절연 부재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방사부(180)와 접지부(170) 사이에 메타 그라운드부(190)와 더미 패턴(150)이 배치된다.
메타 그라운드(Meta ground)부(190)는 급전 패드(131)와 접지부(170) 사이에 배치된다. 메타 그라운드부(190)는 급전 패드(131)나 접지부(170)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급전부(130)나 접지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메타 그라운드부(190)는 접지부(170)보다 급전 패드(13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메타 그라운드부(190)가 접지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메타 그라운드부(190)는 접지부(170)로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접지부(170)와 급전 패드(131)가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신호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메타 그라운드부(190)는 접지부(170)나 급전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더미 형태의 도전성 패드로 형성되며, 메쉬(Mesh) 형태 또는 격자 형태로 다수의 도전성 조각들이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급전 패드(131)와 접지부(17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할수록 방사부(180)의 크기는 축소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메타 그라운드부(190)가 유사 접지부로 동작하므로, 급전 패드(131)와 접지부(170) 사이의 간격이 크더라도 방사부(180)의 크기를 유지시켜 고이득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더미 패턴(150)은 메타 그라운드부(190)와 유사하게 더미 형태의 도전성 패드로 형성된다.
더미 패턴(150)은 급전 패드(131)가 배치된 평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며, 급전 패드(131)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미 패턴(150)은 급전 패드(131)가 형성된 평면이 아닌 기판 내의 다른 평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평면이 아닌, 여러 평면에 더미 패턴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미 패턴(150)은 전체 영역이 방사부(180)와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메타 그라운드부(190)는 전체 영역이 방사부(180)와 대면하도록 배치되거나, 일부만 방사부(180)와 대면하고 적어도 일부가 방사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더미 패턴(150)은 사방을 향해 배치된 4개의 급전 패드(131)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메타 그라운드부(190)는 8개의 도전성 패드가 더미 패턴들(150)과 급전 패드들(131)의 하부에서 더미 패턴들(150) 또는 급전 패드들(131)과 대면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타 그라운드부(190)는 전체적으로 중심부가 비어있는 사각의 링(ring) 형상으로 도전성 패드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Gain)을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제3 안테나(Ant3)는 도 6에 도시된 안테나이고, 제4 안테나(Ant4)는 메타 그라운드부(190)와 방사부(180)를 포함하지 않는 안테나를 의미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안테나(Ant 3)는 제4 안테나(Ant 4)에 비해 전체적으로 안테나 이득이 2~3dB 높게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효율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안테나는 메타 그라운드부(190)와 더미 패턴(150)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이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안테나의 절연 부재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60GHz 대역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파이(WIFI)용 안테나 모듈로, 회로 기판(102)의 일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안테나들(100, 101)과, 안테나들(100, 101)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처리 소자(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신호처리 소자는 회로 기판(102)의 타면에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안테나(100, 101)는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로 동작한다.
다수의 안테나들(100, 101)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에 도시된 안테나(100)가 이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된 안테나나 도 7에 도시된 안테나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안테나들 중 일부가 아닌 전체를 본 발명의 안테나(100)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9에서 본 실시예의 안테나(100)가 아닌, 다른 안테나들(101)은 종래의 안테나로, 본 발명과 같이 다중 급전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 각 편파당 단일 급전부를 갖는 안테나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필요에 따라 종래의 안테나와도 결합되어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안테나(101)는 방사부 주변에 더미 금속판(101a)이 배치된다. 이러한 더미 금속판(101a)은 방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안테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안테나
110: 기판
130: 급전부
150: 더미 패턴
170: 접지부
180: 방사부
190: 메타 그라운드부

Claims (16)

  1. 다수의 급전 패드;
    상기 급전 패드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급전 패드와 이격 배치되며, 하나의 도체판으로 형성되는 방사부; 및
    상기 급전 패드의 타측에 배치되는 접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급전 패드들은 각각 다각형의 패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급전 패드는,
    전체 영역이 상기 방사부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급전 패드는,
    일직선 상에 이격 배치되는 제1 급전 패드와 제2 급전 패드를 포함하는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급전 패드에 결합되는 제1 비아 및 상기 제2 급전 패드에 결합되는 제2 비아를 포함하는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아 및 상기 제2 비아는,
    상기 접지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비아 및 상기 제2 비아의 타단은 상기 접지부와 이격 배치되는 급전 패턴에 연결되는 안테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패드는,
    길이와 폭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패드의 길이는 상기 방사부 길이의 40%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급전 패드의 폭은 상기 방사부 폭의 30% 이하로 형성되는 안테나.
  8. 제2항에 있어서
    방사 주파수는 급전 구조 길이와 방사부 길이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고, 임피던스 정합은 급전 구조의 위치나 면적의 조정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패드는 4개가 사방을 향해 배치되어 이중 편파의 송수신에 이용되는 안테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패드와 상기 접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급전 패드나 상기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메타 그라운드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그라운드부는,
    8개의 도전성 패드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의 링 형상으로 배치되는 안테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패드가 배치된 평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은,
    4개의 도전성 패드로 형성되며, 사방을 향해 배치된 4개의 상기 급전 패드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안테나.
  14. 제1항에 기재된 안테나; 및
    급전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처리 소자;
    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다수개가 배치되어 어레이 안테나로 동작하는 안테나 모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60GHz 대역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파이(WIFI)용 안테나인 안테나 모듈.
KR1020190039195A 2016-10-28 2019-04-03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KR102276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189 2016-10-28
KR20160142189 2016-10-28
KR1020170122323A KR101973440B1 (ko) 2016-10-28 2017-09-22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23A Division KR101973440B1 (ko) 2016-10-28 2017-09-22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060A true KR20190039060A (ko) 2019-04-10
KR102276509B1 KR102276509B1 (ko) 2021-07-13

Family

ID=622009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23A KR101973440B1 (ko) 2016-10-28 2017-09-22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KR1020190039195A KR102276509B1 (ko) 2016-10-28 2019-04-03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23A KR101973440B1 (ko) 2016-10-28 2017-09-22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9734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167A1 (en) * 2019-11-18 2021-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46570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센서뷰 밀리미터파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854B1 (ko) * 2018-11-22 2023-07-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플링 급전을 이용한 어레이 패치 안테나 모듈
KR102179522B1 (ko) * 2019-08-22 2020-11-17 울산과학기술원 듀얼 모드를 갖는 메타표면 안테나
WO2022250294A1 (ko) * 2021-05-25 2022-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층형 패치 안테나, 안테나 어레이, 및 안테나 패키지
KR102297437B1 (ko) * 2021-05-31 2021-09-07 한화시스템(주) 광대역 재밍신호 송신안테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938A (ko)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메타머티리얼을 이용한 다층 구조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KR101164618B1 (ko) * 2012-02-14 2012-07-1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KR20160042740A (ko) 2014-10-10 2016-04-2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안테나 패키지 및 통신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938A (ko)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메타머티리얼을 이용한 다층 구조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KR101164618B1 (ko) * 2012-02-14 2012-07-1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KR20160042740A (ko) 2014-10-10 2016-04-2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안테나 패키지 및 통신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167A1 (en) * 2019-11-18 2021-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705619B2 (en) 2019-11-18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46570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센서뷰 밀리미터파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440B1 (ko) 2019-09-02
KR102276509B1 (ko) 2021-07-13
KR20180046866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64877B (zh) 天线
US11581661B2 (en) Dual polarized antenna and dual polarized antenna assembly comprising same
KR101973440B1 (ko)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US10854994B2 (en) Broadband phased array antenna system with hybrid radiating elements
CN107925168B (zh) 无线电子设备
US11545761B2 (en) Dual-band cross-polarized 5G mm-wave phased array antenna
US10374671B2 (en) Complex antenna
US11258171B2 (en) Antenna
EP2058902A1 (en) Dual polarization wave antenna
US11476591B2 (en) Multi-port multi-beam antenna system on printed circuit board with low correlation for MIMO applications and method therefor
CN107078393B (zh) 无线电子设备
US11355867B2 (en) Polarized wave shared array antenn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358880B2 (ja) 偏波共用アレイ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EP3343700B1 (en) Antenna radiation unit and antenna
KR102266625B1 (ko) 차량용 무지향성 안테나 장치
KR102048355B1 (ko) 다대역 원형편파 특성을 갖는 모노폴 안테나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JP4516514B2 (ja) 無指向性アンテナ
KR102039398B1 (ko)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통합 안테나
TWI807700B (zh) 信號輻射裝置及天線結構
KR102056225B1 (ko) 원형편파 특성을 갖는 다이폴 안테나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KR200140856Y1 (ko) 전방향성 다중 안테나
JP2022148624A (ja) アンテナ装置
CN116073112A (zh) 天线和基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