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041A -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 - Google Patents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041A
KR20190039041A KR1020190036067A KR20190036067A KR20190039041A KR 20190039041 A KR20190039041 A KR 20190039041A KR 1020190036067 A KR1020190036067 A KR 1020190036067A KR 20190036067 A KR20190036067 A KR 20190036067A KR 20190039041 A KR20190039041 A KR 20190039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aped
shaped spiral
duc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허
Original Assignee
양태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허 filed Critical 양태허
Priority to KR102019003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9041A/ko
Publication of KR2019003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the ground body or aquifers as heat storage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10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 F24T10/13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using tube assemblies suitable for insertion into boreholes in the ground, e.g. geothermal probes
    • F24T10/15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using tube assemblies suitable for insertion into boreholes in the ground, e.g. geothermal probes using bent tubes; using tubes assembled with connectors or with return hea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2010/5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F24T2010/53Methods for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78Heat exchange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U자형관을 개시한다. 여기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U자형관의 U자형 유체 관로 입구단 및/또는 출구단의 관로 단부를 직접 열차단 소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이 둘의 사이에 열차단 구조물을 설치하고, 이를 다시 열전달 소재로 구성된 열전달 원통체를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측면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 온도차를 가진 유체 입구단과 유체 출구단의 관로 단부의 사이에서 온도차를 가진 유체가 흘러 지나갈 때 온도차에 따른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PIPE MEMBER EQUIPPED WITH HEAT INSULATION CORE PIPELINE AND U-SHAPED ANNULARLY-DISTRIBUTED PIPELINE}
본 발명은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를 가진 관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층 지표 또는 저수지, 호수, 강, 바다 등의 천연 축열체, 또는 인공적으로 설치된 고상, 기상 또는 액상 물체로 구성된 축열체(500)에 설치되며, U자형 핵심부 관로 및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의 유체 입구단 및/또는 출구단의 관로 단부를 직접 열차단 소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이 둘의 사이에 열차단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를 구성하며, 이에 따라 온도차를 가진 열전달 유체가 관로를 통해 흘러 지나갈 때 동일한 측면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 입구단의 관로 단부와 출구단의 관로 단부 사이에서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를 가진 관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U자형 관로로 구성된 열교환장치의 U자형 관로 장치는, 동일한 측면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 유체 입구단의 관로 단부와 유체 출구단의 관로 단부의 사이에서 온도차를 가진 유체가 흘러 지나갈 때 서로 인접한 상태로 위치되어 온도차에 따른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U자형관의 U자형 유체 관로 입구단 및/또는 출구단의 관로 단부를 직접 열차단 소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이 둘의 사이에 열차단 구조물을 설치하고, 이를 다시 열전달 소재로 구성된 열전도성 원통체를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측면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 온도차를 가진 유체 입구단과 유체 출구단의 관로 단부의 사이에서 온도차를 가진 유체가 흘러 지나갈 때 온도차에 따른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U자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를 가진 관체에 관한 것으로, 천층 지표 또는 저수지, 호수, 강, 바다 등의 천연 축열체, 또는 인공적으로 설치된 고상, 기상 또는 액상 물체로 구성된 축열체에 설치되며, U자형 핵심부 관로 및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의 유체 입구단 및/또는 출구단의 관로 단부를 직접 열차단 소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이 둘의 사이에 열차단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를 구성되며, 이에 따라 온도차를 가진 열전달 유체가 관로를 통해 흘러 지나갈 때 동일한 측면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 입구단의 관로 단부와 출구단의 관로 단부 사이에서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를 가진 관체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U자형 관로(100)가 축열체(500)에 설치된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종래 U자형 관로(100)를 원통상 축열체(300)에 설치하며, 원통상 축열체(300)를 축열체(500)에 설치한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상 축열체(300)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다중 관로가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설치되며, 여러 개의 나선상 관로는 원통상 축열체(300)의 주위에 설치되고, 그 밑부분은 중심으로 집중되어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통해 유체 제1 출입구단(101)으로 이어지며, 다중 관로로 구성되어 핵심부에 설치된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외연에는 열차단장치(400)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상 축열체(300)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설치되며, 여러 개의 나선상 관로는 원통상 축열체(300)의 주위에 배열되고, 다중 관로로 구성되어 핵심부에 설치된 각각의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외연에는 열차단장치(400)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상 축열체(300)에는 원통상 축열체(300)의 주위에 가까운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도록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가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설치되고, 그 원통상 축열체(300)의 중심에 가까운 곳에는 관로 직경이 비교적 큰 관로로 구성된 공동관로(200)가 설치되며, 다중 관로의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밑부분은 공동관로(200)의 밑부분으로 이어져 서로 관통함과 아울러 공동관로(200)의 외연에는 열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를 가진 관체에 관한 것으로, 천층 지표 또는 저수지, 호수, 강, 바다 등의 천연 축열체, 또는 인공적으로 설치된 고상, 기상 또는 액상 물체로 구성된 축열체(500)에 설치되며, U자형 핵심부 관로 및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의 유체 입구단 및/또는 출구단의 관로 단부를 직접 열차단 소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이 둘의 사이에 열차단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를 구성되며, 이에 따라 온도차를 가진 열전달 유체가 관로를 통해 흘러 지나갈 때 동일한 측면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 입구단의 관로 단부와 출구단의 관로 단부 사이에서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를 가진 관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를 가진 관체에 있어서, 각각의 U자형 관로(100)는 이하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전달 유체(111)를 통과시키며, 그 유체는,
1) 액상의 유체;
2) 기상의 유체;
3) 액상에서 기상으로 전환된 유체; 또는
4) 기상에서 액상으로 전환된 유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U자형 관로로 구성된 열교환장치의 U자형 관로 장치는, 동일한 측면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 유체 입구단의 관로 단부와 유체 출구단의 관로 단부의 사이에서 온도차를 가진 유체가 흘러 지나갈 때, 이 둘의 사이에서는 온도차에 따른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한다. 그 일 예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U자형 관로(100)가 축열체(500)에 설치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U자형 관로(100)의 유체 제1 출입구단(101)의 관로 단부와 동일한 측면에서 유체 제2 출입구단(102)과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 관로 단부를 흘러 지나가는 열전달 유체(111)가 온도차를 가질 경우, 이 둘의 사이에서는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자가 손실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도 2는 종래 U자형 관로(100)를 원통상 축열체(300)에 설치하며, 원통상 축열체(300)를 축열체(500)에 설치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는 천층 지표 또는 저수지, 호수, 강, 바다 등의 천연 축열체, 또는 인공적으로 설치된 고상, 기상 또는 액상 물체로 구성된 축열체(500) 내부의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를 가진 관체에 설치되고, U자형관의 유체 제1 출입구단(101)과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열전달 유체(111)가 온도차를 가질 경우, 서로 인접한 상태로 동일한 측면에 설치된 상기 유체 제1 출입구단(101)에 가까운 관로 단부와 상기 유체 제2 출입구단(102)에 가까운 관로 단부의 사이에서는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천층 지표 또는 저수지, 호수, 강, 바다 등의 천연 축열체, 또는 인공적으로 설치된 고상, 기상 또는 액상 물체로 구성된 축열체(500)에 설치되며, U자형 핵심부 관로 및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의 유체 입구단 및/또는 출구단의 관로 단부를 직접 열차단 소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이 둘의 사이에 열차단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를 구성하며, 이에 따라 온도차를 가진 열전달 유체가 관로를 통해 흘러 지나갈 때 동일한 측면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 입구단의 관로 단부와 출구단의 관로 단부 사이에서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를 가진 관체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상 축열체(300)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다중 관로가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설치되며, 여러 개의 나선상 관로는 원통상 축열체(300)의 주위에 설치되고, 그 밑부분은 중심으로 집중되어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통해 유체 제1 출입구단(101)을 관통하며, 다중 관로로 구성되어 핵심부에 설치된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외연에는 열차단장치(400)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요 구성은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체 및 열차단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체는 열전달 유체(111)를 통과시키기 위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또는 여러 세트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고상 물체 또는 겔상 물체로 구성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 중의 하나로 구성된 것으로서, 다중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은 나선상으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 주위에서 테두리에 가까운 곳에 환상으로 설치되고, 여기서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1 출입구단(101)은 나선상 관로 구조물의 중심 상단에 설치되며,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와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밑부분은 서로 관통하며, 각 관로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은 각 관로의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를 통해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에서 나선상 상태로 위쪽을 향해 올라간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열차단장치(400)는 열차단 효과를 지닌 고체, 또는 유연체, 또는 발포체, 또는 밀봉된 겔체, 또는 기체, 또는 액체, 또는 진공 상태로 된 구조물로 구성된 열차단 구조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은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에 설치되고,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에는 위쪽으로 상기 유체 제1 출입구단(101)을 관통하기 위한 집중 설치된 다중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가 설치되고,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는 직접 열차단 소재로 제작되거나, 열차단 소재로 감싸 설치되거나, 또는 각 관로가 집중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주위에 피복된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설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열차단장치(400)는 집중 설치된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와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의 사이에서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대폭 감소시킨다.
그 구조는 이하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조물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서,
1)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로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를 구성함과 아울러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서로 인접한 상태로 축방향의 중심으로 집중 설치하고,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주위에는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설치하거나, 또는 직접 열차단 소재로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제작함으로써 구성되는 관로 구조물 어셈블리;
2) 열전달 소재로 구성되며, 원형 또는 원뿔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별 모양 등 각종 기하학적 형상이 단면된 원통상 축열체(300)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에 피복됨과 아울러 각 관로가 서로 인접한 상태로 집중되어 축방향의 중심으로 설치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주위에는 상기 열차단장치(400)가 설치됨으로써 구성되는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로 피복된 원통상 구조물(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사시도 참조 바람), 또는 각 세트가 서로 인접한 상태로 집중되어 축방향의 중심으로 설치된 각각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주위에는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설치하거나, 또는 직접 열차단 소재로 각각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제작함으로써 구성되는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로 피복된 원통상 구조물(도 5 참조 바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상 축열체(300)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설치되며, 여러 개의 나선상 관로는 원통상 축열체(300)의 주위에 배열되고, 다중 관로로 구성되어 핵심부에 설치된 각각의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외연에는 열차단장치(400)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및
3)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로 직접 제작된 것으로서, 내부에 관로가 구비된 구조물 형태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가 구비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를 포함함과 아울러 각 관로가 상기 유체 제1 출입구단(101)을 통과하는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축방향의 중심으로 서로 인접한 상태로 집중 설치하고,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주위에는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설치함으로써 구성되는 내부에 관로가 구비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을 구조체로 하는 원통상 구조물;
을 포함하는 구조물 형태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상 축열체(300)에는 원통상 축열체(300)의 주위에 가까운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도록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가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설치되고, 그 원통상 축열체(300)의 중심에 가까운 곳에는 관로 직경이 비교적 큰 관로로 구성된 공동관로(200)가 설치되며, 다중 관로의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밑부분은 공동관로(200)의 밑부분으로 이어져 서로 관통함과 아울러 공동관로(200)의 외연에는 열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요 구성은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체와 열차단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체는 상기 열전달 유체(111)를 통과시키기 위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체, 또는 여러 세트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고상 물체 또는 겔상 물체에 설치되어 구성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 중의 하나로 구성된 것으로서, 다중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은 나선상 상태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 주위에 환상으로 설치되고, 각 관로는 상대적인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을 통과하기 위한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를 구비하며,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밑부분은 상기 공동관로(200)를 관통하고, 상기 공동관로(200)는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중심에 설치되며, 그 상단은 유체의 공용 제1 출입구단(1101)을 관통한다.
상기 열차단장치(400)는 열차단 효과를 지닌 고체, 또는 유연체, 또는 발포체, 또는 밀봉된 겔체, 또는 기체, 또는 액체, 또는 진공 상태로 된 구조물로 구성된 열차단 구조로서,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은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에 설치되고, 상기 공동관로(200)는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의 축방향 중심에 설치되며, 그 상단은 상기 유체의 공용 제1 출입구단(1101)을 관통하고,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상기 공동관로(200)의 관로 단부는 열차단 소재로 직접 제작되거나, 또는 열차단 소재로 감싸 설치되거나, 또는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와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상기 공동관로(200)의 관로 단부의 사이에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열차단장치(400)는 상기 공동관로(200)와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의 사이에서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대폭 감소시킨다.
그 구조는 이하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조물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서,
1)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로 다중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을 구성함과 아울러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밑부분은 상기 공동관로(200)를 공동으로 통과하며, 상기 공동관로(200)는 위쪽 방향으로 상기 유체의 공용 제1 출입구단(1101)을 통과함과 아울러 상기 공동관로(200)에는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설치하거나, 또는 열차단 소재로 직접 상기 공동관로(200)를 제작함으로써 구성되는 관로 구조물 어셈블리;
2) 열전달 소재로 구성되며, 원형 또는 원뿔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별 모양 등 각종 기하학적 형상이 단면된 원통상 축열체(300)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에 피복됨과 아울러 밑부분과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에 피복된 각 관로의 밑부분은 서로 관통하며, 그 상단은 상기 유체의 공용 제1 출입구단(1101)의 상기 공동관로(200) 및 상기 공동관로(200)에 설치된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통과함으로써 구성되는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으로 피복된 원통상 구조물; 및
3)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로 직접 제작된 것으로서, 내부에 관로가 구비된 구조물 형태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가 구비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로 구성된 다중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를 구비함과 아울러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밑부분은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중심에 설치된 상기 공동관로(200) 및 설치된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공동으로 관통함으로써 구성되는 내부에 관로가 구비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를 구조체로 하는 원통상 구조물;
을 포함하는 구조물 형태로 구성된다.
100 : U자형 관로 101 : 유체 제1 출입구단
102 : 유체 제2 출입구단 111 : 열전달 유체
200 : 공동관로 300 : 원통상 축열체
400 : 열차단장치 500 : 축열체
700 :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
800 :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
900 :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
1101 : 유체의 공용 제1 출입구단

Claims (2)

  1. 천층 지표 또는 저수지, 호수, 강, 바다 등의 천연 축열체, 또는 인공적으로 설치된 고상, 기상 또는 액상 물체로 구성된 축열체(500)에 설치되며, U자형 핵심부 관로 및 환상으로 배열된 관로의 유체 입구단 및/또는 출구단의 관로 단부를 직접 열차단 소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이 둘의 사이에 열차단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를 구성되며, 이에 따라 온도차를 가진 열전달 유체가 관로를 통해 흘러 지나갈 때 동일한 측면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 입구단의 관로 단부와 출구단의 관로 단부 사이에서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원통상 축열체(300)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설치되며,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의 주위에 나선형으로 설치되고, 그 밑부분은 중심으로 집중되어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통해 유체 제1 출입구단(101)을 관통하며, 핵심부에 집중된 다중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외연에는 열차단장치(400)가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체 및 열차단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체는 열전달 유체(111)를 통과시키기 위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또는 여러 세트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고상 물체 또는 겔상 물체로 구성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에 설치된 것으로서, 다중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은 나선상으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 주위에서 테두리에 가까운 곳에 환상으로 설치되고, 여기서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1 출입구단(101)은 나선상 관로 구조물의 중심 상단에 설치되며,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통해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밑부분과 이어지며, 각 관로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은 각 관로의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를 통해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에서 나선상 상태로 위쪽을 향해 올라간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열차단장치(400)는 열차단 효과를 지닌 고체, 또는 유연체, 또는 발포체, 또는 밀봉된 겔체, 또는 기체, 또는 액체, 또는 진공 상태로 된 구조물로 구성된 열차단 구조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은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에 설치되고,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에는 위쪽으로 상기 유체 제1 출입구단(101)을 관통하기 위하여 다중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가 집중되고,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는 직접 열차단 소재로 제작되거나, 열차단 소재로 감싸 설치되거나, 또는 다중 관로로 구성된 집중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주위에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설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열차단장치(400)는 집중된 다중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와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의 사이에서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대폭 감소시키며,
    그 구조는 이하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조물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1)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로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로를 구성함과 아울러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서로 인접한 상태로 축방향의 중심으로 집중 설치하고,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주위에는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설치하거나, 또는 직접 열차단 소재로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제작함으로써 구성되는 관로 구조물 어셈블리;
    2) 열전달 소재로 구성되며, 원형 또는 원뿔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별 모양 등 각종 기하학적 형상이 단면된 원통상 축열체(300)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에 피복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한 상태로 집중되어 축방향의 중심으로 설치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주위에는 피복된 상기 열차단장치(400)가 설치됨으로써 구성되는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로 피복된 원통상 구조물, 또는 서로 인접한 상태로 집중되어 축방향의 중심으로 설치된 각각의 다중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주위에는 각각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설치하거나, 또는 직접 열차단 소재로 각각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제작함으로써 구성되는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로 피복된 원통상 구조물; 및
    3)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로 직접 제작된 것으로서, 내부에 관로가 구비된 구조물 형태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가 구비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로 구성된 다중 나선상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를 포함함과 아울러 각 관로가 상기 유체 제1 출입구단(101)을 통과하는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를 축방향의 중심으로 서로 인접한 상태로 집중 설치하고,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중심 관로 단부(700)의 주위에는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설치함으로써 구성되는 내부에 관로가 구비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을 구조체로 하는 원통상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에는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의 주위에 가까운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도록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설치되고,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의 중심에 관로 직경이 큰 관로로 구성된 공동관로(200)가 설치되며, 다중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밑부분은 상기 공동관로(200)의 밑부분으로 이어지고, 상기 공동관로(200)의 외연에는 열차단장치(400)가 설치된다. 상기 구조물은 내부에 관로가 구비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을 구조체로 하는 원통상 구조물을 포함하며: 이것은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로 직접 제작된 것으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와 U자형 나선상 관로(800)의 제2 유체 출인구단(102)의 관로 단부(900)가 구비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로 구성된 다중 관로 U자형 나선상 관로(800), 및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중심에 설치되고 각 관로의 U자형 나선상 관로(800)의 밑부분과 연통하는 공동 관로(200), 및 그 위에 설치된 열차단장치(400)를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관로가 구비된 구조물 상태로 구성됨으써, 내부에 관로가 구비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를 구조체로 이용하는 원통상 구조물을 구성한다.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는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체 및 열차단장치(400)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체는 열전달 유체(111)를 통과시키고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로로 구성된 U자형 나선상 관체, 또는 여러 세트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이 고상 물체 또는 겔상 물체로 구성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에 설치된 것으로서, 다중 관로로 구성된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은 나선상 상태로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 주위에 환상으로 설치되고, 각 관로는 상응하는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을 통과하기 위한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를 구비하며,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밑부분은 상기 공동관로(200)를 관통하고, 상기 공동관로(200)는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중심에 설치되며, 그 상단은 유체의 공용 제1 출입구단(1101)을 관통하며,
    상기 열차단장치(400)는 열차단 효과를 지닌 고체, 또는 유연체, 또는 발포체, 또는 밀봉된 겔체, 또는 기체, 또는 액체, 또는 진공 상태로 된 구조물로 구성된 열차단 구조로서,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은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에 설치되고, 상기 공동관로(200)는 상기 원통상 축열체(300)의 축방향 중심에 설치되며, 그 상단은 상기 유체의 공용 제1 출입구단(1101)을 관통하고,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상기 공동관로(200)의 관로 단부는 열차단 소재로 직접 제작되거나, 또는 열차단 소재로 감싸 설치되거나, 또는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와 U자형 나선상 관로의 상기 공동관로(200)의 관로 단부의 사이에 상기 열차단장치(40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열차단장치(400)는 상기 공동관로(200)와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 및 각 관로의 상기 U자형 나선상 관로 구조물(800)의 유체 제2 출입구단(102)의 관로 단부(900)의 사이에서 열전달로 인해 온도차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대폭 감소시키는,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
KR1020190036067A 2019-03-28 2019-03-28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 KR20190039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067A KR20190039041A (ko) 2019-03-28 2019-03-28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067A KR20190039041A (ko) 2019-03-28 2019-03-28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978A Division KR20130112534A (ko) 2012-04-04 2012-04-04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041A true KR20190039041A (ko) 2019-04-10

Family

ID=6616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067A KR20190039041A (ko) 2019-03-28 2019-03-28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90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6226B (zh) 具核心隔熱管路、輔助導熱結構及u型環佈管路之管體
JP6074147B2 (ja) U型管路の断熱システム
US10612864B2 (en) Thermal conductive cylinder installed with U-type core piping and loop piping
US4452233A (en) Solar energy collector
JP2011094952A5 (ko)
US20110272054A1 (en) Pipe member equipped with heat insulation core pipeline and u-shaped annularly-distributed pipeline
EP2713131B1 (en) Tri-piece thermal energy body heat exchanger having multi-layer pipeline and transferring heat to exterior through outer periphery of pipeline
US20170167804A1 (en) Concentric vertical pipe heat exchanger for drain water heat recovery
KR20190039041A (ko)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
CN102444760B (zh) 管道接头组件
JP3165342U (ja) 熱伝導シリンダー
KR20130112534A (ko) 열차단용 핵심부 관로 및 u자형의 환상으로 배설된 관로를 가진 관체
JP3189233U (ja) コア断熱管路、補助伝熱構造、及び環状分布のu型管路を有する管体
TWI618908B (zh) 內設u型核心管及環佈管之導溫柱體
AU2010236085A1 (en) Thermal conductive cylinder installed with u-type core piping and loop pi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