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716A -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716A
KR20190038716A KR1020170127851A KR20170127851A KR20190038716A KR 20190038716 A KR20190038716 A KR 20190038716A KR 1020170127851 A KR1020170127851 A KR 1020170127851A KR 20170127851 A KR20170127851 A KR 20170127851A KR 20190038716 A KR20190038716 A KR 20190038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mart
smart home
clou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재호
Original Assignee
(주) 코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콤 filed Critical (주) 코콤
Priority to KR1020170127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8716A/ko
Publication of KR20190038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전력 감소를 위하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스마트 홈과 개방형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에서, 상기 스마트 홈 내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력공급회사의 서버 및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대한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의 컴퓨팅 파워를 이용하여 암호를 해독하고 그에 따른 인증서 발급 기능을 수행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NETWORK OPERATION METHOD OF SAMRT HOME PLATFORM BASED ENERGY MANAGEMENT IoT AND CLOUD}
본 발명은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절감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가정용 기기의 대기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차원에서 에너지 관리 및 클라우드 기반의 홈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능동적 전력 관리를 목표로 하는 국가들은 대부분 DSM (Demand Side Management)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수용가(전기를 사용하는 한국정력의 고객)의 전력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가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있는가에 따라 DSM 이 가능여부가 결정된다.
즉, 수용가에서의 네트워크 기반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DSM 을 위하여 수용가에서 자체 비용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도 없거니와, 현재 DSM 을 위한 네트워크 체제가 표면화 되어 있는 것도 아니다.
이를 위해, 가전 기기 등 전기를 사용하는 장치 또는 장비의 전원 인입부에 설치되어 전기의 사용량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서비스적인 후속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제반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원격 검침 기능을 이용하여 수용가의 수전점에 설치된 전력량계에서 유무선 통신으로 수용가의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용가 내의 전기 사용 기기 간의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038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기전력 감소를 위해 구축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스마트 홈에서 해킹으로 인한 침입을 조기 차단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전력 감소를 위하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스마트 홈과 개방형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에서, 상기 스마트 홈 내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력공급회사의 서버 및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대한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의 컴퓨팅 파워를 이용하여 암호를 해독하고 그에 따른 인증서 발급 기능을 수행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운영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로 제어요구를 위한 기기상태를 요청하는 단계; 기기상태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요구에 따른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서버로 요구에 따른 인증서 발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발급된 인증서를 확인하여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로 요청을 허가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에서 상기 서버로 요청에 다른 기기 상태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태 파악 후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로 추가제어기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요구에 따른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인증 변화 확인 후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로 요청을 허가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에서 상기 서버로 기기 변경 또는 제어 완료 보고를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홈은, 홈 내에 존재하는 각종 기기들과 연결되어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월패드; 하기 전원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조명; 수전점을 통해 외부의 전원 공급 시설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 홈 내에서 사용하는 기기들로서 사물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월패드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IoT 기기; 상기 복수의 IoT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IoT 기기로 송수신되는 신호의 출입 통로를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 및 전원 공급을 모니터링하여 가전기기별 소비 전력을 관리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컨트롤러는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개방형 클라우드 서버는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도커 기반으로 구축된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홈 데이터 팩토리 서비스 및 홈 아바타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은 홈 클라우드 기반으로 세대별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 후 분석된 결과를 상기 월패드로 전송하고, 홈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하기 위해 상기 월패드와 미리 설정된 홈 아바타 간 메시지 프로토콜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스마트 홈 내의 상기 월패드로부터 전송된 소비전력을 포함하는 홈 데이터를 홈 데이터 팩토리 서비스의 메시지 브로커로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 브로커를 통하여 세대별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분석 서버를 통해 수집 및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세대별 분석 결과를 상기 월패드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기전력 감소를 위해 구축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스마트 홈에서 수요 관리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수용가의 기기 제어를 허용하여 제한되고 인가된 정보에 국한하여 진입을 허락함으로써 홈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스마트 홈과 클라우드 서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클라우드 서버의 서비스 운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홈 영역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고객의 휴대폰의 컴퓨팅 파워를 이용하여 암호를 해독하고 이에 따른 인증서 발급 등의 기능을 통하여 수요관리(DM) 요구 신호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에서는 통신망을 통해 각 세대와 에너지 관리를 위한 개방형 서버를 연결하여 에너지 관리를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은 스마트 홈(100) 및 개방형 클라우드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50)이 스마트 홈(100) 및 개방형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홈(100)은 월패드(110), 조명(120), 전원 컨트롤러(130), 복수의 IoT 기기(140), 홈 게이트웨이(150), 엑세스 포인트(160), 스마트 콘센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월패드(110)는 홈 내에 존재하는 각종 기기들과 연결되어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명(120), 복수의 IoT 기기(140) 및 스마트 콘센트(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월패드(110)는 별도의 설정에 따라 홈 데이터 팩토리 서비스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조명(120)은 전원 컨트롤러(13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다.
전원 컨트롤러(130)는 수전점(135)을 통해 외부의 전원 공급 시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 컨트롤러(130)는 조명(120) 및 스마트 콘센트(17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 컨트롤러(130)는 월패드(1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전원 공급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원 공급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120) 및 스마트 콘센트(17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컨트롤러(130)에서는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IoT 기기(140)는 홈 내에서 사용하는 기기들로서, 사물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홈 게이트웨이(150) 또는 월패드(1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IoT 기기(140)는 월패드(11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50)는 복수의 IoT 기기(1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복수의 IoT 기기(140)로 송수신되는 신호의 출입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콘센트(170)는 전원 공급을 모니터링하여 가전기기별 소비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개방형 클라우드 서버(200)는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도커 기반으로 구축된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300)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홈 데이터 팩토리 서비스(400) 및 홈 아바타 서비스(500)를 운영할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운영 서비스를 장치 구성 요소와 같이 설명한다.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300)은 홈 클라우드 기반으로 세대별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 후 분석된 결과를 월패드(110)로 전송하고, 홈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하기 위해 월패드(110)와 홈 아바타 간 메시지 프로토콜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300)은 홈 컨테이너별 리소스 모니터링을 통해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더 참조하면,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300)은 스마트 홈(100) 내의 월패드(110)로부터 전송된 소비전력과 같은 홈 데이터를 홈 데이터 팩토리 서비스(400)의 메시지 브로커(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300)은 메시지 브로커(210)를 통하여 세대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300)은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300)은 분석 서버(230)를 통해 수집 및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세대별 분석 결과를 월패드(110)로 전송할 수 있다.
홈 데이터 팩토리 서비스(40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월패드(110)와, 개방형 클라우드 서버(200) 내의 컨테이너 사이에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할 수 있으며, 메시지 브로커(210)와 분석 서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브로커(210)는 도커 컨테이너로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홈(100)의 월패드(110) 또는 스마트폰(50)과, 아바타 컨테이너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메시지 프로토콜은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홈 데이터 팩토리 서비스(400)는 다양한 오픈소스 기술 중 표준으로 고려되는 신뢰성 있는 시스템이며, TCP 및 UDP 통신이 모두 가능하고, 시스템 요구 사항에 따른 QoS 조절이 가능하고, 게시(Publish) 및 가입(Subscribe)이 토픽(topic)이라는 식별자를 통해 이루어지며, 토픽은 계층적으로 구분되어 사용자별, 게이트웨이별, 메시지 종류별 다양한 게시/가입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MQTT를 이용한 게시/가입 기술을 중심으로 월패드(110)와 홈 클라우드 플랫폼 수집기 및 분석 노드 간의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홈 데이터 팩토리 서비스(400)의 메시지 브로커(210) 및 분석 서버(230)를 실행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월패드(110)와 아바타 컨테이너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브로커(210)를 실행하고, 세대별 평균 전력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분석 모듈에서는 분석 시작 후 분석 결과 전송을 수행하되, 세부적으로 월패드(110)로부터 전송된 전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전력을 얼마나 사용하였는지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고, 세대별 전력 평균 데이터와 해당 세대의 전력 데이터를 월패드(110)와 아바타 컨테이너로 전송할 수 있다.
홈 아바타 서비스(500)는 세대별 홈 아바타를 생성 및 삭제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별 리소스 사용량 모니터링을 통해 세대별 데이터 폭증 시 서비스 확장을 통한 부하 분산 및 서비스 이주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DSM (Demand Side Management; 수요관리)의 궁극적 목적은 전력수요를 합리적으로 조절하여 부하율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과 전력 수급안정을 도모함과 동시에 국가적인 에너지자원 절약에도 기여하는데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문제가 심각히 대두됨에 따라 환경친화적인 에너지정책 대안으로 강조되고 있다
또한, 부하율이란 일정기간에 있어서 최대전력에 대한 평균전력의 비율을 말하며 최대전력을 감소하거나 평균전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부하율을 향상할 수 있다.
DSM의 단편적 기능 표현으로는 전력공급회사에서 수용가의 특정 전기 또는 전자 제품을 사전 허용한도 내에서 제어를 함으로써 전력 수요를 조절 관리 하는 방식을 뜻한다. 현재 미국에서는 피크 전력 시간에 수용가의 에어컨 온도를 2도 상향하는 등의 제어를 전력 공급회사가 함으로써 DSM을 통한 부하율을 조율 하고 있다.
원래 수요관리(DSM)라는 용어는 1970년대 미국에서 시작하여 점차 각 국으로 확산되었으며 그간 이론적 경제성과 높은 잠재적 기여도에도 불구하고 종전 전력회사 공급측 위주의 전력수급계획 추진에 따라 별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전원입지의 확보난 가중, 건설에 따른 막대한 투자 재원의 조달문제, 환경규제의 강화 등으로 공급설비의 확보가 어려워지고 최근 최소비용계획(least cost planning)의 일환으로 공급측 대안과 수요측 대안의 최적조합을 찾는 통합자원계획 (Integrated Resource Planning) 개념의 확산으로 수요관리 방안을 전력수급계획에서 필수적인 고려사항으로 간주하게 되어 수요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 되었다.
전력공급회사에서 수많은 수용가와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서는 수용가에 있는 무선공유기(또는 인터넷공유기)를 기반으로 인터넷 통신을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수용가의 다수 기기는 홈 영역 네트워크(Home Area Network: 이하, HA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HAN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은 도 1과 같은 무선 공유기(720)를 통해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스마트 홈 내의 복수의 기기(710)로 이루어진 HAN 환경에서 보안성의 강화를 목적으로 하며, 특히 대표적 해킹인 DDOS 등의 침입을 조기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은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의 컴퓨팅 파워를 이용하여 암호를 해독하고 이에 따른 인증서 발급 등의 기능을 통하여 수요관리(DM) 요구 신호의 보안을 강화하는 것으로, 서버(730)에서 스마트 홈 내의 기기(710)로 제어요구를 위한 기기상태를 요청하는 단계(S110), 기기상태의 요청을 수신한 스마트 홈 내의 기기(710)에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740)로 요구에 따른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S120),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740)에서 서버(730)로 요구에 따른 인증서 발급을 확인하는 단계(S130), 서버(730)에서 발급된 인증서를 확인하여 인증하는 단계(S140),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740)에서 스마트 홈 내의 기기(710)로 요청을 허가하는 단계(S150), 스마트 홈 내의 기기(710)에서 서버(730)로 요청에 다른 기기 상태를 전달하는 단계(S160), 서버(730)에서 상태 파악 후 스마트 홈 내의 기기(710)로 추가제어기능을 요청하는 단계(S170), 스마트 홈 내의 기기(710)에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740)로 요구에 따른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S180),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740)에서 인증 변화 확인 후 스마트 홈 내의 기기(710)로 요청을 허가하는 단계(S190), 스마트 홈 내의 기기(710)에서 서버(730)로 기기 변경 또는 제어 완료 보고를 응답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110에서는, 인증서 발급 후 내용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0에서는, 전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70에서는, 인증서 발급 번호를 암호화하여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대기전력 감소를 위하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스마트 홈과 개방형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에서,
    상기 스마트 홈 내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력공급회사의 서버 및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대한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의 컴퓨팅 파워를 이용하여 암호를 해독하고 그에 따른 인증서 발급 기능을 수행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운영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로 제어요구를 위한 기기상태를 요청하는 단계;
    기기상태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요구에 따른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서버로 요구에 따른 인증서 발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발급된 인증서를 확인하여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로 요청을 허가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에서 상기 서버로 요청에 다른 기기 상태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태 파악 후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로 추가제어기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요구에 따른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인증 변화 확인 후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로 요청을 허가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홈 내의 기기에서 상기 서버로 기기 변경 또는 제어 완료 보고를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홈은,
    홈 내에 존재하는 각종 기기들과 연결되어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월패드;
    하기 전원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조명;
    수전점을 통해 외부의 전원 공급 시설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
    홈 내에서 사용하는 기기들로서 사물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월패드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IoT 기기;
    상기 복수의 IoT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IoT 기기로 송수신되는 신호의 출입 통로를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 및
    전원 공급을 모니터링하여 가전기기별 소비 전력을 관리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포함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컨트롤러는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측정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클라우드 서버는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도커 기반으로 구축된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홈 데이터 팩토리 서비스 및 홈 아바타 서비스를 운영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은 홈 클라우드 기반으로 세대별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 후 분석된 결과를 상기 월패드로 전송하고, 홈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하기 위해 상기 월패드와 미리 설정된 홈 아바타 간 메시지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KR1020170127851A 2017-09-29 2017-09-29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KR20190038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51A KR20190038716A (ko) 2017-09-29 2017-09-29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51A KR20190038716A (ko) 2017-09-29 2017-09-29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716A true KR20190038716A (ko) 2019-04-09

Family

ID=6616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851A KR20190038716A (ko) 2017-09-29 2017-09-29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87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388A (ko) 2001-05-17 2003-03-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무선 마스터-슬레이브 분산된 통신 네트워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388A (ko) 2001-05-17 2003-03-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무선 마스터-슬레이브 분산된 통신 네트워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32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ppliance operation
Namboodiri et al. Toward a secure wireless-based home area network for metering in smart grids
Viswanath et al. System design of the internet of things for residential smart grid
AU2011312680B2 (en) Utility device management
CN105471974B (zh) 实现远程控制的智能设备、终端设备及方法
Aravinthan et al. Wireless AMI application and security for controlled home area networks
CN110730247B (zh) 一种基于电力线载波的通信控制系统
KR20150061246A (ko) 빌딩 데이터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CA3039624C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ppliance operation
CN110224822A (zh) 一种密钥协商方法及系统
CN109617867A (zh) 一种用于家居设备控制的智能网关系统
JP2016535884A (ja) ネットワークエンドポイント内の通信の保護
CN108476224A (zh) 数据传输装置的认证
Chang et al. Design of an 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system for a smart meter gateway in AMI
KR20190038716A (ko)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방법
Kyusakov et al. Emerging energy management standards and technologies—Challenges and application prospects
CN103425101A (zh) 一种智能化物联网控制系统及其方法
KR20200067089A (ko) 디바이스 부트스트래핑
US107985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ppliance operation
Finogeev et al. Methods and tools for secure sensor data transmission and data mining in energy SCADA system
KR101744858B1 (ko) 보안키 관리장치 및 그 방법
Iskhakov et al. Analysis of vulnerabilities in low-power wide-area networks by example of the LoRaWAN
Henneke et al. Communications for AnyPLACE: A smart metering platform with management and control functionalities
KR20190038713A (ko) 에너지 관리 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홈 플랫폼의 해킹 방지 방법
KR20180082697A (ko) 효율적인 수요관리를 위한 보안성이 강화된 홈 영역 네트워크 운영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