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545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545A
KR20190038545A KR1020197002681A KR20197002681A KR20190038545A KR 20190038545 A KR20190038545 A KR 20190038545A KR 1020197002681 A KR1020197002681 A KR 1020197002681A KR 20197002681 A KR20197002681 A KR 20197002681A KR 20190038545 A KR20190038545 A KR 20190038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conversion
unit
scaling li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062B1 (ko
Inventor
오지 나카가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702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7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8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 H04N19/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involving scalability at the object level, e.g. video object layer [V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04N19/126Details of normalisation or weighting functions, e.g. normalisation matrices or variable uniform quan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04N19/45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performing compensation of the inverse transform mismatch, e.g.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IDCT] misma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화상 부호화에 있어서, 계수 에너지의 집중도를 높이기(저역에 변환 계수를 집중시키기) 위해, 프라이머리 변환 후의 변환 계수에 대해, 프라이머리 변환과는 상이한 세컨더리 변환을 적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복수의 변환이 적용된 후의 변환 계수는, 원래의 화상 특성에 대한 주파수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으로 변환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영역용의 스케일링 리스트(양자화 행렬)를 사용한 대역 제어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복수의 변환이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케일링 리스트를 사용한 대역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소정의 변환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변환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등)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하는 처리 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본 개시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화상 부호화에 있어서, 계수 에너지의 집중도를 높이기(저역에 변환 계수를 집중시키기) 위해, 프라이머리 변환 후의 변환 계수에 대해, 프라이머리 변환과는 상이한 세컨더리 변환을 적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Jianle Chen, Elena Alshina, Gary J. Sullivan, Jens-Rainer Ohm, JillBoyce, "Algorithm Description of Joint Exploration Test Model 3", JVET-C1001_v3, Joint Video Exploration Team(JVET) of ITU-T SG 16 WP 3 and ISO/IEC JTC 1/SC 29/WG 11 3rd Meeting : Geneva, CH, 26 May - 1 June 2016
그러나, 비특허문헌 1과 같이, 복수의 변환이 적용된 후의 변환 계수는, 원래의 화상 특성에 대한 주파수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으로 변환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영역용의 스케일링 리스트(양자화 행렬)를 사용한 대역 제어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복수의 변환이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케일링 리스트를 사용한 대역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의하면,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하는 처리 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프로세서가,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컴퓨터에,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복수의 변환이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케일링 리스트를 사용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고, 상기의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의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에 나타내어진 어느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도 1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관한 기존의 처리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Y=Clip3(coeffMin, coeffMax, X)의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부(14)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변환의 수가 1인 경우의 기존의 방법에 따른 부호화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새로운 방법에 따른 부호화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6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역처리부(63)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변환의 수가 1인 경우의 기존의 방법에 따른 복호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새로운 방법에 따른 복호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부(14-2)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부호화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역처리부(63-2)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복호화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컴퓨터의 주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텔레비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휴대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비디오 세트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비디오 프로세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비디오 프로세서의 개략적인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제1 실시 형태
2. 제2 실시 형태
3. 하드웨어 구성예
4. 응용예
5. 정리
<1. 제1 실시 형태>
[1-1. 개요]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에는, 계수 에너지의 집중도를 높이기(저역에 변환 계수를 집중시키기) 위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프라이머리 변환을 적용한 후의 변환 계수에 대해, 세컨더리 변환을 적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변환이 적용된 후의 변환 계수는, 원래의 화상 특성에 대한 주파수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으로 변환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영역용의 스케일링 리스트를 사용한 대역 제어(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영향을 준다.
도 1은, 프라이머리 변환 후의 변환 계수에 대해, 세컨더리 변환을 적용하는 경우의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관한 기존의 처리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변환(S11)이 적용된 후의 변환 계수에 대해, 세컨더리 변환(S12)이 적용된다. 계속해서, 세컨더리 변환 후의 변환 계수에 대해, 양자화 처리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S13)가 행해진다. 이상이 부호화 시의 처리이다.
계속해서, 복호 시에는, 역양자화 처리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S14)가 행해지고, 계속해서 역세컨더리 변환(S15)이 행해지고, 또한, 역프라이머리 변환(S16)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역)양자화 처리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가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어,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서는, 역양자화 처리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가 동시에 행해진다. 이하, HEVC에 있어서의 복호 시의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HEVC에서는, 처리 블록 중의 위치 (x, y)에 있어서의, 역양자화 후의 변환 계수값 d[x][y]는, 스케일링 리스트에 있어서의 위치 (x, y)에 대응하는 요소의 값인 스케일링 팩터 m[x][y]를 사용하여, 다음 식 (1)과 같이 산출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식 (1)에 있어서, TransCoeffLevel[xTbY][yTbY][cIdx][x][y]는, 처리 블록 중의 위치 (x, y)에 있어서의 양자화 레벨값(양자화 데이터)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식 (1)에 있어서, levelScale[qP%6]<<(qP/6), 및 (1<<(bdShift-1)))>>bdShift)는, 양자화 파라미터 qP를 사용한 양자화 처리에 관한 값이다. 또한, Clip3(coeffMin, coeffMax, X)는, 수치 X를 계수의 최솟값 coeffMin 이상, 계수의 최댓값 coeffMax 이하로 반올림한 값을 의미한다.
도 2는 Y=Clip3(coeffMin, coeffMax, X)의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lip3(coeffMin, coeffMax, X)의 값은, coeffMin 이상, 또한 coeffMax 이하가 된다.
식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EVC에서는, 역양자화 처리 시에, 스케일링 리스트에 관한 스케일링 팩터 m[x][y]를 곱함으로써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가 행해졌다. 또한, 마찬가지로, HEVC에서는, 양자화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가 동시에 행해졌다.
그러나,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세컨더리 변환인 회전 행렬을 적용한 후의 변환 계수는, 원래의 화상 특성에 대한 주파수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으로 변환되어 버린다. 따라서, 주파수 영역용의 스케일링 리스트를 사용하여, (역)양자화 처리 중에서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 경우, 적절한 대역 제어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상기 사정을 일 착안점으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창작하기에 이르렀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부호화 장치 또는 화상 복호 장치는,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 처리, 또는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함으로써,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라이머리 변환(S21)이 적용된 후의 변환 계수에 대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S22)가 행해진다. 계속해서,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 후의 계수에 대하여, 세컨더리 변환(S23)이 적용된 후에, 양자화 파라미터 qP를 사용한 양자화 처리(S24)가 행해진다. 이상이 부호화 시의 처리이다.
계속해서, 복호 시에는, 먼저 역양자화 처리(S25)가 행해지고, 계속해서 역세컨더리 변환(S26)이 적용된다. 또한,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S27)가 행해진 후에, 역프라이머리 변환(S28)이 적용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라이머리 변환의 직후에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함으로써, 원래의 화상 특성에 대한 주파수 영역에 존재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스케일링 리스트에 의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환의 수는, 프라이머리 변환과 세컨더리 변환의 2개로 한정되지 않고, 보다 다수(3 이상)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부호화 시 및 복호 시의 처리를, 보다 다수의 변환 처리로 일반화하면, 각각 이하의 식 (2), (3)과 같이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pct00002
또한, C는 양자화 데이터, Q는 양자화 처리, SL은 부호화 시의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 F1은 프라이머리 변환(DCT 또는 DST 등), F2는 세컨더리 변환, Fn은 n번째의 변환, *는 컨볼루션 연산, R은 잔차 화상을 의미한다. 또한, F'a는 Fa의 역변환을, SL'는 복호 시의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의미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부호화 시 및 복호 시의 처리를, 보다 다수의 변환 처리로 일반화하면, 각각 이하의 식 (4), (5)와 같이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pct00003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변환의 수가 3 이상이어도, 상기 식 (4), (5)와 같이, 프라이머리 변환의 직후에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함으로써, 스케일링 리스트에 의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역양자화 후의 변환 계수값 dn은, 다음 식 (6)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변환 계수값 dn은, n번째의 역변환용의 변환 계수값이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 (6)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역양자 처리에 있어서, 스케일링 팩터 m[x][y]가 사용되지 않고, 양자화 파라미터 qP를 사용한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호 시의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역프라이머리 변환용의 변환 계수값 d0은, 다음 식 (7)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d1[xTbY][yTbY][cIdx][x][y]는, 역세컨더리 변환 후의 계수값을 의미한다. 또한, 변환의 수가 1(프라이머리 변환만)인 경우, 식 (6), (7)에 의해 얻어지는 변환 계수값 d0[x][y]는, 식 (1)에 의해 얻어지는 변환 계수값 d[x][y]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단, 양자화 레벨값(양자화 데이터) TransCoeffLevel[xTbY][yTbY][cIdx][x][y]가 coeffMin 이상 coeffMax 이하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양자의 결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개요를 설명하였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 및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간단화를 위해, 적용되는 변환의 수가 최대라도 2인 예를 설명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환의 수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3 이상이어도 된다.
[1-2. 화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
(1) 전체적인 구성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의 일 양태인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 부호화 장치(10)는, 재배열 버퍼(11), 제어부(12), 감산부(13), 처리부(14), 가역 부호화부(16), 축적 버퍼(17), 역처리부(21), 가산부(23), 디블록 필터(24), SAO 필터(25), 프레임 메모리(26), 스위치(27), 모드 설정부(28), 인트라 예측부(30) 및 인터 예측부(40)를 구비한다.
재배열 버퍼(11)는, 부호화해야 할 영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 처리에 관한 GOP(Group of Pictures) 구조에 따라서 재배열한다. 재배열 버퍼(11)는, 재배열 후의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12), 감산부(13), 인트라 예측부(30) 및 인터 예측부(40)로 출력한다.
제어부(12)는, 각 부에 공급되는 부호화 파라미터를, 예를 들어 RDO(Rate-Distortion Optimization)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결정된 부호화 파라미터는, 각 블록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부호화 파라미터는, 처리 대상의 변환 블록에 적용되는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변환 정보는, 처리 대상의 변환 블록에 세컨더리 변환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JVET-B1001, 2.5.2 Secondary Transforms를 참조)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변환 정보는, 처리 대상의 변환 블록에 적용되는 변환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변환 정보는, 처리 대상의 변환 블록에 적용되는 변환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부호화 파라미터는,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사용되는 스케일링 리스트를 나타내는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예를 들어, JCTVC-W1005, 7.3.4 Scaling list data syntax)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부호화 파라미터는, (역)양자화에 사용되는 양자화 파라미터(qP)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2)가 결정하는 부호화 파라미터는 임의이며, 상술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파라미터는 화상에 HEVC의 CTU(Coding Tree Unit), CU(Coding Unit), TU(Transform Unit), 및 PU(Prediction Unit)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를 나타내는 블록 정보,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 및 인터 예측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감산부(13)는, 재배열 버퍼(1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와 예측 화상 데이터의 차분인 예측 오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예측 오차 데이터를 처리부(14)로 출력한다.
처리부(14)는,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정보,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 양자화 파라미터 등에 기초하여, 직교 변환 처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 및 양자화 처리를 행한다. 처리부(14)는 양자화 후의 데이터(이하, 양자화 데이터라 함)를 가역 부호화부(16) 및 역처리부(21)로 출력한다. 또한, 처리부(14)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후에 더 설명한다.
가역 부호화부(16)는, 처리부(14)로부터 입력되는 양자화 데이터를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 스트림을 생성한다. 또한, 가역 부호화부(16)는, 제어부(12)에 의해 결정된 부호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파라미터를 부호화 스트림의 헤더 영역에 삽입한다. 가역 부호화부(16)는, 생성한 부호화 스트림을 축적 버퍼(17)로 출력한다.
축적 버퍼(17)는, 가역 부호화부(16)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스트림을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그리고, 축적 버퍼(17)는, 축적한 부호화 스트림을, 전송로의 대역에 따른 레이트로, 도시하지 않은 전송부(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주변 기기와의 접속 인터페이스 등)로 출력한다.
역처리부(21) 및 가산부(23)는 로컬 디코더를 구성한다. 로컬 디코더는, 부호화된 데이터로부터 원화상을 재구축(리컨스트럭트)하는 역할을 갖는다.
역처리부(21)는, 처리부(14)에 의해 실행된 처리의 역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역처리부(21)는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정보,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 양자화 파라미터 등에 기초하여, 역양자화 처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 및 역직교 변환 처리를 행함으로써, 예측 오차 데이터를 복원한다. 그리고, 역처리부(21)는, 복원한 예측 오차 데이터를 가산부(23)로 출력한다. 또한, 역처리부(21)에 의해 행해지는 역처리(역양자화 처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 및 역직교 변환 처리)는, 후술하는 화상 복호 장치에 있어서 행해지는 역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따라서, 당해 역처리에 대해서는, 화상 복호 장치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가산부(23)는, 역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는 복원된 예측 오차 데이터와 인트라 예측부(30) 또는 인터 예측부(40)로부터 입력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가산함으로써, 복호 화상 데이터(리컨스트럭트 화상)를 생성한다. 그리고, 가산부(23)는, 생성한 복호 화상 데이터를 디블록 필터(24) 및 프레임 메모리(26)로 출력한다.
디블록 필터(24) 및 SAO 필터(25)는, 각각, 리컨스트럭트 화상의 화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인루프 필터이다. 디블록 필터(24)는, 가산부(23)로부터 입력되는 복호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함으로써 블록 왜곡을 제거하고, 필터링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SAO 필터(25)로 출력한다. SAO 필터(25)는, 디블록 필터(24)로부터 입력되는 복호 화상 데이터에 에지 오프셋 처리 또는 밴드 오프셋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하고, 처리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6)로 출력한다.
프레임 메모리(26)는, 가산부(23)로부터 입력되는 필터링 전의 복호 화상 데이터, 및 SAO 필터(25)로부터 입력되는 인루프 필터의 적용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기억한다.
스위치(27)는,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필터링 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6)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복호 화상 데이터를 참조 화상 데이터로서 인트라 예측부(30)에 공급한다. 또한, 스위치(27)는, 인터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필터링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6)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복호 화상 데이터를 참조 화상 데이터로서 인터 예측부(40)에 공급한다.
모드 설정부(28)는, 인트라 예측부(30) 및 인터 예측부(40)로부터 입력되는 비용의 비교에 기초하여, 블록마다 예측 부호화 모드를 설정한다. 모드 설정부(28)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설정한 블록에 대해서는, 인트라 예측부(30)에 의해 생성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감산부(13)로 출력함과 함께,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를 가역 부호화부(16)로 출력한다. 또한, 모드 설정부(28)는, 인터 예측 모드를 설정한 블록에 대해서는, 인터 예측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감산부(13)로 출력함과 함께, 인터 예측에 관한 정보를 가역 부호화부(16)로 출력한다.
인트라 예측부(30)는, 원화상 데이터 및 복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HEVC의 PU(Prediction Unit)의 각각에 대하여 인트라 예측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인트라 예측부(30)는, 탐색 범위에 포함되는 예측 모드 후보의 각각에 대하여, 예측 오차 및 발생하는 부호량에 기초하는 비용을 평가한다. 다음에, 인트라 예측부(30)는, 비용이 최소가 되는 예측 모드를 최적의 예측 모드로서 선택한다. 또한, 인트라 예측부(30)는, 선택한 최적의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트라 예측부(30)는, 최적의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예측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 대응하는 비용 및 예측 화상 데이터를, 모드 설정부(28)로 출력한다.
인터 예측부(40)는, 원화상 데이터 및 복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HEVC의 PU의 각각에 대하여 인터 예측 처리(움직임 보상)를 실행한다. 인터 예측 처리(움직임 검출 및 움직임 보상)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인터 예측부(40)는, HEVC에 의해 사양화되어 있는 탐색 범위에 포함되는 예측 모드 후보의 각각에 대하여, 예측 오차 및 발생하는 부호량에 기초하는 비용을 평가한다. 다음에, 인터 예측부(40)는, 비용이 최소가 되는 예측 모드, 즉 압축률이 가장 높아지는 예측 모드를, 최적의 예측 모드로서 선택한다. 또한, 인터 예측부(40)는, 선택한 최적의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터 예측부(40)는, 인터 예측에 관한 정보, 대응하는 비용 및 예측 화상 데이터를, 모드 설정부(28)로 출력한다.
(2) 처리부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처리부(14)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처리부(14)는 프라이머리 변환부(141),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2), 처리 제어부(143), 세컨더리 변환부(144) 및 양자화부(145)를 갖는다.
프라이머리 변환부(141)는, 감산부(13)로부터 입력되는 예측 오차 데이터에 대하여, 프라이머리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프라이머리 변환부(141)에 의한 프라이머리 변환은, 예를 들어 이산 코사인 변환 또는 이산 사인 변환 등의 직행 변환 처리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머리 변환부(141)는, 감산부(13)로부터 입력되는 예측 오차 데이터를, TU마다, 공간 영역의 화상 신호로부터 주파수 영역의 변환 계수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프라이머리 변환부(141)는, 변환 계수 데이터를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2)로 출력한다.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2)는, 프라이머리 변환부(141)로부터 입력된 변환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2)는 제어부(12)가 결정한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스케일링 리스트로 변환 계수 데이터를 나눔(제산함)으로써,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해도 된다.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2)는,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 후의 계수 데이터(이하, 스케일링 리스트 계수 데이터라 함)를, 처리 제어부(143)로 출력한다.
처리 제어부(143)는,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는, 처리 대상 블록의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세컨더리 변환부(144)에 의한 변환 처리, 및 양자화부(145)에 의한 양자화 처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 제어부(143)는,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세컨더리 변환을 행할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처리 제어부(143)가 상기의 판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변환 정보에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세컨더리 변환을 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한 변환의 수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처리 제어부(143)는,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세컨더리 변환을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2)로부터 입력된 스케일링 리스트 계수 데이터를, 세컨더리 변환부(144)로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자화부(145)에는 세컨더리 변환부(144)에 의한 변환 처리 후의 변환 계수 데이터가 입력된다.
또한, 처리 제어부(143)는,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세컨더리 변환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2)로부터 입력된 스케일링 리스트 계수 데이터를, 양자화부(145)로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 세컨더리 변환부(144)에의 데이터 입력은 스킵되어, 세컨더리 변환부(144)에 의한 변환 처리는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양자화부(145)에는 스케일링 리스트 계수 데이터가 입력된다.
즉, 처리 제어부(143)는,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세컨더리 변환부(144)에 의한 변환 처리, 및 양자화부(145)에 의한 양자화 처리에의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세컨더리 변환부(144)는, 처리 제어부(143)로부터, 스케일링 리스트 계수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 프라이머리 변환과는 상이한 다른 변환(세컨더리 변환)에 관한 변환 처리(세컨더리 변환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세컨더리 변환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세컨더리 변환 처리와 같은, 주파수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여도 된다. 또한, 세컨더리 변환부(144)가 행하는 세컨더리 변환 처리는, 제어부(12)에 의해 결정되는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준비된 복수의 변환 처리 중에서 특정되어도 된다. 세컨더리 변환부(144)는, 세컨더리 변환 처리 후의 변환 계수 데이터를 양자화부(145)로 출력한다.
양자화부(145)는, 제어부(12)에 의해 결정되는 양자화 파라미터 qP에 기초하는 양자화 처리를 행한다. 양자화부(145)는, 처리 제어부(143)의 제어에 따라, 세컨더리 변환부(144)에 의한 변환 처리 후의 변환 계수 데이터, 또는 스케일링 리스트 계수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하여, 양자화 처리를 행한다. 양자화부(145)는, 양자화 처리 후의 양자화 데이터를 가역 부호화부(16) 및 역처리부(21)로 출력한다.
상술한 처리부(14)의 구성에 의하면, 프라이머리 변환부(141)에 의한 주파수 영역으로의 변환 처리 직후에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는 변환의 수, 종류에 상관없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1-3. 부호화 시의 처리의 흐름]
(1) 기존의 방법
도 6은 변환의 수가 1인 경우의 기존의 방법에 따른 부호화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변환 처리가 행해지고(S32), 계속해서 양자화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가 행해진다(S34). 계속해서,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S36).
(2) 새로운 방법
도 7은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새로운 방법에 따른 부호화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프라이머리 변환부(141)는, 감산부(13)로부터 입력되는 예측 오차 데이터에 대하여, 프라이머리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S102). 계속해서,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2)가 프라이머리 변환부(141)로부터 입력된 변환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S104). 계속해서, 처리 제어부(143)가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세컨더리 변환을 행할지 여부를 판정한다(S106).
세컨더리 변환을 행한다고 판정된 경우(S106에 있어서 "예"), 세컨더리 변환부(144)에 스케일링 리스트 계수 데이터가 출력되고, 세컨더리 변환부(144)가 세컨더리 변환을 행한다(S108). 계속해서, 양자화부(145)는 세컨더리 변환부(144)에 의한 변환 처리 후의 변환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양자화 처리를 행한다(S110).
한편, 세컨더리 변환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S106에 있어서 "아니오"), 양자화부(145)에 스케일링 리스트 계수 데이터가 출력되고, 양자화부(145)는 스케일링 리스트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양자화 처리를 행한다(S112).
마지막으로, 가역 부호화부(16)가 스텝 S110 또는 스텝 S112의 처리에 의해 얻어진 양자화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또한, 이때, 가역 부호화부(16)는 변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부호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한다.
또한, 상술한 각 처리의 처리 단위는 임의이며, 서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각 스텝의 처리는, 적절히, 다른 스텝의 처리 등과 병행하여, 또는, 처리순을 교체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각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화상 부호화 장치(10)는,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는 변환의 수, 종류에 상관없이, 주파수 영역으로의 변환 처리의 직후에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는 변환의 수, 종류에 상관없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1-4. 화상 복호 장치의 구성]
(1) 전체적인 구성
계속해서, 이상과 같이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의 일 양태인 화상 복호 장치(6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축적 버퍼(61), 가역 복호부(62), 역처리부(63), 가산부(65), 디블록 필터(66), SAO 필터(67), 재배열 버퍼(68), D/A(Digital to Analogue) 변환부(69), 프레임 메모리(70), 셀렉터(71a 및 71b), 인트라 예측부(80) 및 인터 예측부(90)를 구비한다.
축적 버퍼(61)는, 도시하지 않은 전송부(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주변 기기와의 접속 인터페이스 등)를 통해 화상 부호화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부호화 스트림을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가역 복호부(62)는, 축적 버퍼(61)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 시에 사용된 부호화 방식에 따라서 양자화 데이터를 복호한다. 또한, 가역 복호부(62)는, 부호화 스트림의 헤더 영역에 삽입되어 있는 부호화 파라미터를 복호한다. 가역 복호부(62)에 의해 복호되는 부호화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상술한 변환 정보,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 양자화 파라미터,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 인터 예측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역 복호부(62)는, 양자화 데이터, 변환 정보,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 및 양자화 파라미터를 역처리부(63)로 출력한다. 또한, 가역 복호부(62)는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를 인트라 예측부(80)로 출력한다. 또한, 가역 복호부(62)는 인터 예측에 관한 정보를 인터 예측부(90)로 출력한다.
역처리부(63)는, 가역 복호부(62)로부터 입력되는 양자화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시에 처리부(14)(도 4, 도 5)에 의해 행해진 처리의 역처리를 실행하여, 예측 오차 데이터를 생성한다. 역처리부(63)는, 생성한 예측 오차 데이터를 가산부(65)로 출력한다. 또한, 역처리부(63)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후에 더 후술한다.
가산부(65)는, 역처리부(63)로부터 입력되는 예측 오차 데이터와, 셀렉터(71b)로부터 입력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가산함으로써, 복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가산부(65)는, 생성한 복호 화상 데이터를 디블록 필터(66) 및 프레임 메모리(70)로 출력한다.
디블록 필터(66)는, 가산부(65)로부터 입력되는 복호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함으로써 블록 왜곡을 제거하고, 필터링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SAO 필터(67)로 출력한다.
SAO 필터(67)는, 디블록 필터(66)로부터 입력되는 복호 화상 데이터에 에지 오프셋 처리 또는 밴드 오프셋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하고, 처리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재배열 버퍼(68) 및 프레임 메모리(70)로 출력한다.
재배열 버퍼(68)는, SAO 필터(67)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을 재배열함으로써, 시계열의 일련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재배열 버퍼(68)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D/A 변환부(69)로 출력한다.
D/A 변환부(69)는, 재배열 버퍼(68)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식의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D/A 변환부(69)는, 예를 들어 화상 복호 장치(60)와 접속되는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에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복호된 영상을 표시시킨다.
프레임 메모리(70)는, 가산부(65)로부터 입력되는 필터링 전의 복호 화상 데이터 및 SAO 필터(67)로부터 입력되는 필터링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기억한다.
셀렉터(71a)는, 가역 복호부(62)에 의해 취득되는 모드 정보에 따라서, 화상 내의 블록마다, 프레임 메모리(7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처를 인트라 예측부(80)와 인터 예측부(90) 사이에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셀렉터(71a)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프레임 메모리(70)로부터 공급되는 필터링 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참조 화상 데이터로서 인트라 예측부(80)로 출력한다. 또한, 셀렉터(71a)는, 인터 예측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필터링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참조 화상 데이터로서 인터 예측부(90)로 출력한다.
셀렉터(71b)는, 가역 복호부(62)에 의해 취득되는 모드 정보에 따라서, 가산부(65)에 공급해야 할 예측 화상 데이터의 출력원을 인트라 예측부(80)와 인터 예측부(90) 사이에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셀렉터(71b)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인트라 예측부(80)로부터 출력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가산부(65)에 공급한다. 또한, 셀렉터(71b)는, 인터 예측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인터 예측부(90)로부터 출력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가산부(65)에 공급한다.
인트라 예측부(80)는,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와 프레임 메모리(70)로부터의 참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트라 예측 처리를 행하여,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트라 예측부(80)는, 생성한 예측 화상 데이터를 셀렉터(71b)로 출력한다.
인터 예측부(90)는, 가역 복호부(62)로부터 입력되는 인터 예측에 관한 정보와 프레임 메모리(70)로부터의 참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터 예측 처리를 행하여,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터 예측부(90)는, 생성한 예측 화상 데이터를 셀렉터(71b)로 출력한다.
(2) 역처리부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역처리부(63)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역처리부(63)는 역양자화부(631), 처리 제어부(632), 역세컨더리 변환부(633),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 및 역프라이머리 변환부(635)를 갖는다.
역양자화부(631)는, 가역 복호부(62)로부터 입력되는 양자화 데이터를, 부호화 시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양자화 파라미터 qP로 역양자화하여, 계수 데이터를 복원한다. 예를 들어, 역양자화부(631)는, 식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역양자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역양자화부(631)는, 복원한 계수 데이터를 처리 제어부(632)로 출력한다. 또한, 역양자화부(631)에 의해 복원되는 계수 데이터는, 부호화 시에, 세컨더리 변환이 행해졌는지 여부에 따라, 세컨더리 변환 처리에 의한 변환 계수 데이터, 또는 스케일링 리스트 계수 데이터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처리 제어부(632)는, 처리 대상 블록의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역세컨더리 변환부(633)에 의한 역변환 처리, 및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에 의한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 제어부(632)는,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할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처리 제어부(632)가 상기의 판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변환 정보에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부호화 시에 세컨더리 변환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한 변환의 수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처리 제어부(632)는, 부호화 시에 세컨더리 변환이 행해졌으면,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한다고 판정하고, 부호화 시에 세컨더리 변환이 행해지지 않았으면,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정해도 된다.
처리 제어부(632)는,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역양자화부(631)로부터 입력된 계수 데이터를, 역세컨더리 변환부(633)로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에는 역세컨더리 변환부(633)에 의한 역세컨더리 변환 처리 후의 계수 데이터가 입력된다.
또한, 처리 제어부(632)는,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역양자화부(631)로부터 입력된 계수 데이터를,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로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 역세컨더리 변환부(633)에의 데이터 입력은 스킵되어, 역세컨더리 변환부(633)에 의한 역변환 처리는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에는 역양자화 후의 계수 데이터가 입력된다.
즉, 처리 제어부(632)는, 변환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판정에 따라서, 역세컨더리 변환부(633)에 의한 역변환 처리, 및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에 의한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의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역세컨더리 변환부(633)는, 처리 제어부(632)로부터, 계수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 부호화 시에 행해진 세컨더리 변환의 역변환 처리(역세컨더리 변환 처리)를 행한다. 역세컨더리 변환부(633)는, 세컨더리 변환 처리 후의 계수 데이터를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로 출력한다.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는, 가역 복호부(62)로부터 입력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는, 처리 제어부(632)의 제어에 따라서, 역세컨더리 변환부(633)에 의한 변환 처리 후의 계수 데이터 또는 역양자화부(631)에 의한 역양자화 처리 후의 계수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는 식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해도 된다.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는,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 후의 변환 계수 데이터를, 역프라이머리 변환부(635)로 출력한다.
역프라이머리 변환부(635)는, 부호화 시에 사용된 프라이머리 변환 처리의 변환 방식에 따라,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로부터 입력된 변환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역프라이머리 변환을 행함으로써, 예측 오차 데이터를 생성한다. 역프라이머리 변환부(635)는, 생성한 예측 오차 데이터를 가산부(65)로 출력한다.
상술한 역처리부(63)의 구성에 의하면,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는 변환의 수, 종류에 상관없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에 따른 복호가 가능해진다.
[1-5. 복호 시의 처리의 흐름]
(1) 기존의 방법
도 10은 변환의 수가 1인 경우의 기존의 방법에 따른 복호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0은, 복호 시의 처리의 흐름 중, 복호 처리로부터 예측 오차 데이터의 생성 처리까지의 처리에 주목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복호 처리가 행해진다(S52). 계속해서 역양자화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가 행해지고(S54), 그 후에 역변환 처리가 행해져 예측 오차 데이터가 생성된다(S56).
(2) 새로운 방법
도 11은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새로운 방법에 따른 복호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1은, 복호 시의 처리의 흐름 중, 복호 처리로부터 예측 오차 데이터의 생성 처리까지의 처리에 주목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가역 복호부(62)가 복호 처리를 행하여, 양자화 데이터와 부호화 파라미터가 취득(복호)된다(S202). 여기서, 취득되는 부호화 파라미터에는, 변환 정보,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 양자화 파라미터 qP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계속해서, 역양자화부(631)가 가역 복호부(62)로부터 입력되는 양자화 데이터를, 부호화 시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양자화 파라미터 qP로 역양자화한다(S204). 계속해서, 처리 제어부(632)가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할지 여부를 판정한다(S206).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한다고 판정된 경우(S206에 있어서 "예"), 역세컨더리 변환부(633)에 역양자화 처리 후의 계수 데이터가 출력되고, 역세컨더리 변환부(633)가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한다(S208). 계속해서,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는, 역세컨더리 변환부(633)에 의한 변환 처리 후의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S210).
한편,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S206에 있어서 "아니오"),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에 역양자화 처리 후의 계수 데이터가 출력되고,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4)는, 역양자화 처리 후의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S212).
그리고, 역프라이머리 변환부(635)가, 스텝 S210 또는 스텝 S212의 처리에 의해 얻어진 변환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역프라이머리 변환을 행하여, 예측 오차 데이터를 생성한다(S214).
또한, 상술한 각 처리의 처리 단위는 임의이며, 서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각 스텝의 처리는, 적절히, 다른 스텝의 처리 등과 병행하여, 또는, 처리순을 교체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각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화상 복호 장치(60)는,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는 변환의 수, 종류에 상관없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에 따른 복호를 행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2-1. 개요]
이상,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로서, 복수의 변환이 컨볼루션 연산에 의한 하나의 변환으로 표현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n개의 변환의 컨벌루션 Fn* ... F2*F1을 Fx라 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부호화 시 및 복호 시의 처리는, 각각 이하의 식 (8), (9)와 같이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pct00006
또한, 여기서, SLx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어부(12)에 의해 결정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conv를 사용하여, 다음 식 (10)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7
예를 들어, 변환의 수가 2이고, 스케일링 리스트 SLconv와 세컨더리 변환 F2가 각각 이하의 식 (11), (12)로 나타내어지는 경우, SLx는 예를 들어 이하의 식 (13)과 같이 스케일링 리스트 SLconv와 세컨더리 변환 F2의 내적 연산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세컨더리 변환 F2의 구체적인 계수는, 예를 들어 복수의 변환 중에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8
이상, 본 실시 형태의 개요를 설명하였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 및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간단화를 위해, 적용되는 변환의 수가 최대여도 2인 예를 설명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환의 수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3 이상이어도 된다.
[2-2. 화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와 비교하여, 처리부 및 역처리부의 기능 구성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가 구비하는 처리부(14-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가 구비하는 역처리부의 기능 구성은, 후술하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60)가 구비하는 역처리부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가 구비하는 처리부(14-2)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처리부(14-2)는, 처리 제어부(146), 변환부(147) 및 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8)를 갖는다.
처리 제어부(146)는,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는, 처리 대상 블록의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변환부(147)에 의한 변환 처리, 및 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8)에 의한 양자화 처리 및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 제어부(146)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 제어부(143)와 마찬가지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세컨더리 변환을 행할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 제어부(146)는,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부(147)에 의해 적용되는 변환 F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세컨더리 변환을 행하는 경우, 변환 F는, 프라이머리 변환 F1과 세컨더리 변환 F2의 컨볼루션 연산에 의한 변환 Fx=F2*F1이어도 된다. 한편, 세컨더리 변환을 행하지 않는 경우, 변환 F는, 프라이머리 변환 F1이어도 된다. 처리 제어부(146)는 특정한 변환 F의 정보를 변환부(147)에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 제어부(146)는,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8)에서 행해지는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사용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세컨더리 변환을 행하는 경우, 특정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은, 제어부(12)에 의해 결정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conv와 세컨더리 변환 F2를 사용하여 식 (13)과 같이 얻어지는 스케일링 리스트 SLx여도 된다. 한편, 세컨더리 변환을 행하지 않는 경우, 특정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은, 제어부(12)에서 특정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conv여도 된다. 처리 제어부(146)는, 특정한 스케일링 리스트 SL의 정보를 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8)에 제공한다.
변환부(147)는, 처리 제어부(146)로부터 제공되는 변환 F의 정보에 기초하여, 감산부(13)로부터 입력되는 예측 오차 데이터에 대하여 변환 처리를 행한다. 변환부(147)는, 변환 처리 후의 변환 계수 데이터를, 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8)로 출력한다.
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8)는, 처리 제어부(146)로부터 제공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의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 처리 및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 또한, 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8)는, 양자화 파라미터 qP와 스케일링 리스트 SL을 사용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와 양자화 처리를 동시에 행해도 되고, 순차적으로 행해도 된다. 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8)는, 양자화 처리 후의 양자화 데이터를 가역 부호화부(16) 및 역처리부(21)로 출력한다.
상술한 처리부(14-2)의 구성에 의하면,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는 변환의 수, 종류에 상관없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컨볼루션 연산에 의해 복수의 변환이 하나의 변환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처리량이 삭감될 수 있다.
[2-3. 부호화 시의 처리의 흐름]
도 13은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부호화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처리 제어부(146)는,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세컨더리 변환을 행할지 여부를 판정한다(S302). 세컨더리 변환을 행한다고 판정된 경우(S302에 있어서 "예"), 변환부(147)는 프라이머리 변환과 세컨더리 변환의 컨볼루션 연산에 의한 변환 처리를 행한다(S304). 계속해서, 처리 제어부(146)에 의해 스케일링 리스트 SLx가 산출되고(S306), 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8)가, 산출된 스케일링 리스트 SLx를 사용하여 양자화 처리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S308).
한편, 세컨더리 변환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S302에 있어서 "아니오"), 변환부(147)는 프라이머리 변환을 행하고(S310), 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148)는, 제어부(12)에 의해 결정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conv를 사용하여 양자화 처리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S312).
마지막으로, 가역 부호화부(16)가 스텝 S308 또는 스텝 S312의 처리에 의해 얻어진 양자화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또한, 이때, 가역 부호화부(16)는, 변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부호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한다.
또한, 상술한 각 처리의 처리 단위는 임의이며, 서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각 스텝의 처리는, 적절히, 다른 스텝의 처리 등과 병행하여, 또는, 처리순을 교체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각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화상 부호화 장치(10)는,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는 변환의 수, 종류에 상관없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컨볼루션 연산에 의해 복수의 변환이 하나의 변환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처리량이 삭감될 수 있다.
[2-4. 화상 복호 장치의 구성]
계속해서, 이상과 같이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60)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60)와 비교하여, 역처리부의 기능 구성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60)가 구비하는 역처리부(63-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60)가 구비하는 역처리부(63-2)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역처리부(63-2)는, 처리 제어부(636), 역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7), 및 역변환부(638)를 갖는다.
처리 제어부(636)는, 처리 대상 블록의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역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7)에 의한 양자화 처리 및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와, 역변환부(638)에 의한 역변환 처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 제어부(636)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 제어부(632)와 마찬가지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할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 제어부(636)는,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역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7)에서 행해지는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사용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하는 경우, 특정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은, 식 (13)과 같이, 가역 복호부(62)에 의해 복호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conv와 세컨더리 변환 F2의 내적 연산에 의해 얻어지는 스케일링 리스트 SLx여도 된다. 한편,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하지 않는 경우, 특정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은, 가역 복호부(62)에 의해 복호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conv여도 된다. 처리 제어부(636)는, 특정한 스케일링 리스트 SL의 정보를 역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7)에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 제어부(636)는,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역변환부(638)에 의해 적용되는 역변환 F'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하는 경우, 역변환 F'는, 프라이머리 변환 F1과 세컨더리 변환 F2의 컨볼루션 연산에 의한 변환 Fx=F2*F1의 역변환 F'x여도 된다. 한편,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하지 않는 경우, 역변환 F는, 프라이머리 변환 F1의 역변환인 역프라이머리 변환 F'1이어도 된다. 처리 제어부(146)는, 특정한 역변환 F'의 정보를 역변환부(638)에 제공한다.
역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7)는, 처리 제어부(636)로부터 제공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의 정보에 기초하여, 역양자화 처리 및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 또한, 역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7)는, 양자화 파라미터 qP와 스케일링 리스트 SL을 사용하여, 역양자화 처리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동시에 행해도 되고, 순차적으로 행해도 된다. 역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7)는, 역양자화 처리 후의 변환 계수 데이터를 역변환부(638)로 출력한다.
역변환부(638)는, 처리 제어부(636)로부터 제공되는 역변환 F'의 정보에 기초하여, 역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7)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역변환 처리를 행함으로써 예측 오차 데이터를 생성한다. 역변환부(638)는, 생성한 예측 오차 데이터를 가산부(65)로 출력한다.
상술한 역처리부(63-2)의 구성에 의하면,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는 변환의 수, 종류에 상관없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에 따른 복호가 가능해진다. 또한, 컨볼루션 연산에 의해 복수의 변환이 하나의 변환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처리량이 삭감될 수 있다.
[2-5. 복호 시의 처리의 흐름]
도 15는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복호 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5는, 복호 시의 처리의 흐름 중, 복호 처리로부터 예측 오차 데이터의 생성 처리까지의 처리에 주목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가역 복호부(62)가 복호 처리를 행하여, 양자화 데이터와 부호화 파라미터가 취득(복호)된다(S402). 여기서, 취득되는 부호화 파라미터에는, 변환 정보,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 양자화 파라미터 qP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계속해서, 처리 제어부(636)는,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의 블록에 대하여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할지 여부를 판정한다(S404).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한다고 판정된 경우(S404에 있어서 "예"), 처리 제어부(636)에 의해 스케일링 리스트 SLx가 산출된다(S406). 계속해서, 역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7)가, 산출된 스케일링 리스트 SLx를 사용하여 역양자화 처리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S408). 계속해서, 역변환부(638)가 프라이머리 변환과 세컨더리 변환의 컨볼루션 연산에 의한 변환 처리의 역변환 처리를 행하여 예측 오차 데이터를 생성한다(S412).
한편, 역세컨더리 변환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S404에 있어서 "아니오"), 역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637)가, 스텝 S402에서 복호된 스케일링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스케일링 리스트 SLconv를 사용하여 역양자화 처리와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행한다(S414)
계속해서, 역변환부(638)가, 역프라이머리 변환 처리를 행하여 예측 오차 데이터를 생성한다(S416).
또한, 상술한 각 처리의 처리 단위는 임의이며, 서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각 스텝의 처리는, 적절히, 다른 스텝의 처리 등과 병행하여, 또는, 처리순을 교체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각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화상 복호 장치(60)는,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는 변환의 수, 종류에 상관없이,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에 따른 복호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컨볼루션 연산에 의해 복수의 변환이 하나의 변환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처리량이 삭감될 수 있다.
<3. 하드웨어 구성예>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여기서 컴퓨터에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나,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도 16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컴퓨터(8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801), ROM(Read Only Memory)(802), RAM(Random Access Memory)(803)은, 버스(804)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8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810)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10)에는, 입력부(811), 출력부(812), 기억부(813), 통신부(814) 및 드라이브(815)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811)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터치 패널, 입력 단자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812)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출력 단자 등을 포함한다. 기억부(813)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RAM 디스크,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814)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드라이브(815)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82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에서는, CPU(801)가, 예를 들어 기억부(81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810) 및 버스(804)를 통해, RAM(8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RAM(803)에는 또한, CPU(80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컴퓨터(CPU(8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미디어(821)에 기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821)를 드라이브(815)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810)를 통해, 기억부(813)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 등의,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그 경우, 프로그램은, 통신부(814)에서 수신하고, 기억부(813)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이 프로그램은, ROM(802)이나 기억부(813)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도 있다.
<4. 응용예>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 및 화상 복호 장치(60)는, 위성 방송, 케이블 TV 등의 유선 방송, 인터넷 상에서의 배신 및 셀룰러 통신에 의한 단말기에의 배신 등에 있어서의 송신기 혹은 수신기,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의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장치, 또는, 이들 기억 매체로부터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에 응용될 수 있다.
(1) 제1 응용예 : 텔레비전 수상기
도 17은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용한 텔레비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텔레비전 장치(900)는, 안테나(901), 튜너(902), 디멀티플렉서(903), 디코더(904), 영상 신호 처리부(905), 표시부(906), 음성 신호 처리부(907), 스피커(908), 외부 인터페이스(I/F)(909), 제어부(910), 유저 인터페이스(I/F)(911) 및 버스(912)를 구비한다.
튜너(902)는, 안테나(90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신호를 복조한다. 그리고, 튜너(902)는, 복조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서(903)로 출력한다. 즉, 튜너(902)는, 화상이 부호화되어 있는 부호화 스트림을 수신하는, 텔레비전 장치(900)에 있어서의 전송부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디멀티플렉서(903)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시청 대상의 프로그램의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분리하고, 분리한 각 스트림을 디코더(904)로 출력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903)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보조적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제어부(910)에 공급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903)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스크램블을 행해도 된다.
디코더(904)는, 디멀티플렉서(9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복호한다. 그리고, 디코더(904)는, 복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신호 처리부(905)로 출력한다. 또한, 디코더(904)는, 복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 처리부(907)로 출력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디코더(904)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부(906)에 영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부(906)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설정에 따라서, 예를 들어 노이즈 제거 등의 추가적인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예를 들어 메뉴, 버튼 또는 커서 등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출력 화상에 중첩해도 된다.
표시부(906)는, 영상 신호 처리부(905)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표시 디바이스(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영상면 상에 영상 또는 화상을 표시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907)는, 디코더(904)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D/A 변환 및 증폭 등의 재생 처리를 행하여, 스피커(908)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킨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907)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등의 추가적인 처리를 행해도 된다.
외부 인터페이스(909)는, 텔레비전 장치(900)와 외부 기기 또는 네트워크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09)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스트림 또는 음성 스트림이, 디코더(904)에 의해 복호되어도 된다. 즉, 외부 인터페이스(909)도 또한, 화상이 부호화되어 있는 부호화 스트림을 수신하는, 텔레비전 장치(900)에 있어서의 전송부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제어부(910)는 CPU 등의 프로세서, 및 RAM 및 ROM 등의 메모리를 갖는다. 메모리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프로그램 데이터, EPG 데이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취득되는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에 의해 기억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장치(900)의 기동 시에 CPU에 의해 읽어들여져, 실행된다.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부(91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텔레비전 장치(9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911)는 제어부(910)와 접속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911)는, 예를 들어 유저가 텔레비전 장치(90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 및 스위치, 그리고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부 등을 갖는다. 유저 인터페이스부(911)는, 이들 구성 요소를 통해 유저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조작 신호를 제어부(910)로 출력한다.
버스(912)는, 튜너(902), 디멀티플렉서(903), 디코더(904), 영상 신호 처리부(905), 음성 신호 처리부(907), 외부 인터페이스(909) 및 제어부(910)를 서로 접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 장치(900)에 있어서, 디코더(904)가, 상술한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된다. 즉, 디코더(904)가, 부호화 데이터를,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복호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텔레비전 장치(900)는,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에 따른 복호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 장치(900)에 있어서, 영상 신호 처리부(905)가, 예를 들어 디코더(904)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외부 인터페이스(909)를 통해 텔레비전 장치(900)의 외부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그 영상 신호 처리부(905)가, 상술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된다. 즉, 영상 신호 처리부(905)가, 디코더(904)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텔레비전 장치(900)는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2) 제2 응용예 : 휴대 전화기
도 18은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920)는, 안테나(921), 통신부(922), 음성 코덱(923), 스피커(924), 마이크로폰(925), 카메라부(926), 화상 처리부(927), 다중 분리부(928), 기록 재생부(929), 표시부(930), 제어부(931), 조작부(932) 및 버스(933)를 구비한다.
안테나(921)는 통신부(922)에 접속된다. 스피커(924) 및 마이크로폰(925)은 음성 코덱(923)에 접속된다. 조작부(932)는 제어부(931)에 접속된다. 버스(933)는 통신부(922), 음성 코덱(923), 카메라부(926), 화상 처리부(927), 다중 분리부(928), 기록 재생부(929), 표시부(930) 및 제어부(931)를 서로 접속한다.
휴대 전화기(920)는, 음성 통화 모드, 데이터 통신 모드, 촬영 모드 및 텔레비전 전화 모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동작 모드에서, 음성 신호의 송수신, 전자 메일 또는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 화상의 촬상, 및 데이터의 기록 등의 동작을 행한다.
음성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로폰(925)에 의해 생성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음성 코덱(923)에 공급된다. 음성 코덱(923)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A/D 변환하여 압축한다. 그리고, 음성 코덱(923)은 압축 후의 음성 데이터를 통신부(922)로 출력한다. 통신부(922)는,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생성한 송신 신호를, 안테나(921)를 통해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922)는, 안테나(92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증폭 및 주파수 변환하여, 수신 신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수신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코덱(923)으로 출력한다. 음성 코덱(923)은, 음성 데이터를 신장 및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음성 코덱(923)은, 생성한 음성 신호를 스피커(924)에 공급하여 음성을 출력시킨다.
또한,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예를 들어 제어부(931)는, 조작부(932)를 통해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전자 메일을 구성하는 문자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931)는 문자를 표시부(930)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931)는, 조작부(932)를 통한 유저로부터의 송신 지시에 따라서 전자 메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자 메일 데이터를 통신부(922)로 출력한다. 통신부(922)는 전자 메일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생성한 송신 신호를, 안테나(921)를 통해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922)는, 안테나(92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증폭 및 주파수 변환하여, 수신 신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수신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여 전자 메일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한 전자 메일 데이터를 제어부(931)로 출력한다. 제어부(931)는, 표시부(930)에 전자 메일의 내용을 표시시킴과 함께, 전자 메일 데이터를 기록 재생부(929)에 공급하여, 그 기억 매체에 기입시킨다.
기록 재생부(929)는 판독 기입 가능한 임의의 기억 매체를 갖는다. 예를 들어, 기억 매체는,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내장형의 기억 매체여도 되고, 하드 디스크,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외부 장착형의 기억 매체여도 된다.
또한, 촬영 모드에서, 예를 들어 카메라부(926)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927)로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927)는, 카메라부(926)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 스트림을 기록 재생부(929)에 공급하여, 그 기억 매체에 기입시킨다.
또한, 화상 표시 모드에서, 기록 재생부(929)는,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부호화 스트림을 판독하여 화상 처리부(927)로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927)는, 기록 재생부(929)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하고,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930)에 공급하여, 그 화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텔레비전 전화 모드에서, 예를 들어 다중 분리부(928)는, 화상 처리부(927)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 스트림과, 음성 코덱(923)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스트림을 다중화하고, 다중화한 스트림을 통신부(922)로 출력한다. 통신부(922)는, 스트림을 부호화 및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생성한 송신 신호를, 안테나(921)를 통해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922)는, 안테나(92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증폭 및 주파수 변환하여, 수신 신호를 취득한다. 이들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에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수신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여 스트림을 복원하고, 복원한 스트림을 다중 분리부(928)로 출력한다. 다중 분리부(928)는, 입력되는 스트림으로부터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분리하고, 영상 스트림을 화상 처리부(927), 음성 스트림을 음성 코덱(923)으로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927)는, 영상 스트림을 복호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상 데이터는, 표시부(930)에 공급되어, 표시부(930)에 의해 일련의 화상이 표시된다. 음성 코덱(923)은, 음성 스트림을 신장 및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음성 코덱(923)은, 생성한 음성 신호를 스피커(924)에 공급하여 음성을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기(9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화상 처리부(927)가, 상술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된다. 즉, 화상 처리부(927)가, 화상 데이터를,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휴대 전화기(920)는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기(9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화상 처리부(927)가, 상술한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된다. 즉, 화상 처리부(927)가, 부호화 데이터를,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복호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휴대 전화기(920)는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에 따른 복호가 가능해진다.
(3) 제3 응용예 : 기록 재생 장치
도 19는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용한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기록 재생 장치(940)는, 예를 들어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940)는, 예를 들어 다른 장치로부터 취득되는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해도 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940)는, 예를 들어 유저의 지시에 따라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모니터 및 스피커 상에서 재생한다. 이때, 기록 재생 장치(940)는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복호한다.
기록 재생 장치(940)는, 튜너(941), 외부 인터페이스(942), 인코더(943), HDD(Hard Disk Drive)(944), 디스크 드라이브(945), 셀렉터(946), 디코더(947), OSD(On-Screen Display)(948), 제어부(949) 및 유저 인터페이스(950)를 구비한다.
튜너(941)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신호를 복조한다. 그리고, 튜너(941)는, 복조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셀렉터(946)로 출력한다. 즉, 튜너(941)는 기록 재생 장치(940)에 있어서의 전송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외부 인터페이스(942)는, 기록 재생 장치(940)와 외부 기기 또는 네트워크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인터페이스(942)는, 예를 들어 IEEE1394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또는 플래시 메모리 인터페이스 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42)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인코더(943)에 입력된다. 즉, 외부 인터페이스(942)는 기록 재생 장치(940)에 있어서의 전송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인코더(943)는, 외부 인터페이스(94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그리고, 인코더(943)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셀렉터(946)로 출력한다.
HDD(944)는, 영상 및 음성 등의 콘텐츠 데이터가 압축된 부호화 비트 스트림, 각종 프로그램 및 그 밖의 데이터를 내부의 하드 디스크에 기록한다. 또한, HDD(944)는, 영상 및 음성의 재생 시에, 이들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로부터 판독한다.
디스크 드라이브(945)는, 장착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의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을 행한다. 디스크 드라이브(945)에 장착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DVD 디스크(DVD-Video, DVD-RAM, DVD-R, DVD-RW, DVD+R, DVD+RW 등) 또는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등이어도 된다.
셀렉터(946)는, 영상 및 음성의 기록 시에는, 튜너(941) 또는 인코더(943)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선택하고, 선택한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HDD(944)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945)로 출력한다. 또한, 셀렉터(946)는, 영상 및 음성의 재생 시에는, HDD(944)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945)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디코더(947)로 출력한다.
디코더(947)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복호하여,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디코더(947)는,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OSD(948)로 출력한다. 또한, 디코더(904)는, 생성한 음성 데이터를 외부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OSD(948)는, 디코더(947)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OSD(948)는, 표시하는 영상에, 예를 들어 메뉴, 버튼 또는 커서 등의 GUI의 화상을 중첩해도 된다.
제어부(949)는, CPU 등의 프로세서, 및 RAM 및 ROM 등의 메모리를 갖는다. 메모리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에 의해 기억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기록 재생 장치(940)의 기동 시에 CPU에 의해 읽어들여져, 실행된다.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95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9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유저 인터페이스(950)는 제어부(949)와 접속된다. 유저 인터페이스(950)는, 예를 들어 유저가 기록 재생 장치(94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 및 스위치, 그리고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부 등을 갖는다. 유저 인터페이스(950)는, 이들 구성 요소를 통해 유저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조작 신호를 제어부(949)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 장치(940)에 있어서, 인코더(943)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디코더(947)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을 갖는다. 그것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940)가 복수의 (역)변환을 적용하여 부호화 또는 복호할 때에,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4) 제4 응용예 : 촬상 장치
도 20은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용한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촬상 장치(960)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고,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촬상 장치(960)는, 광학 블록(961), 촬상부(962), 신호 처리부(963), 화상 처리부(964), 표시부(965), 외부 인터페이스(966), 메모리(967), 미디어 드라이브(968), OSD(969), 제어부(970), 유저 인터페이스(971) 및 버스(972)를 구비한다.
광학 블록(961)은 촬상부(962)에 접속된다. 촬상부(962)는 신호 처리부(963)에 접속된다. 표시부(965)는 화상 처리부(964)에 접속된다. 유저 인터페이스(971)는 제어부(970)에 접속된다. 버스(972)는 화상 처리부(964), 외부 인터페이스(966), 메모리(967), 미디어 드라이브(968), OSD(969) 및 제어부(970)를 서로 접속한다.
광학 블록(961)은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 기구 등을 갖는다. 광학 블록(961)은,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부(962)의 촬상면에 결상시킨다. 촬상부(962)는, CCD 또는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갖고, 촬상면에 결상한 광학상을 광전 변환에 의해 전기 신호로서의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촬상부(962)는 화상 신호를 신호 처리부(963)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963)는, 촬상부(96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니 보정, 감마 보정, 색 보정 등의 다양한 카메라 신호 처리를 행한다. 신호 처리부(963)는 카메라 신호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964)로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964)는, 신호 처리부(96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964)는, 생성한 부호화 데이터를 외부 인터페이스(966) 또는 미디어 드라이브(968)로 출력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964)는, 외부 인터페이스(966) 또는 미디어 드라이브(968)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964)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965)로 출력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964)는, 신호 처리부(96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965)로 출력하여 화상을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화상 처리부(964)는, OSD(969)로부터 취득되는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부(965)로 출력하는 화상에 중첩해도 된다.
OSD(969)는, 예를 들어 메뉴, 버튼 또는 커서 등의 GUI의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화상 처리부(964)로 출력한다.
외부 인터페이스(966)는, 예를 들어 USB 입출력 단자로서 구성된다. 외부 인터페이스(966)는, 예를 들어 화상의 인쇄 시에, 촬상 장치(960)와 프린터를 접속한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966)에는, 필요에 따라서 드라이브가 접속된다. 드라이브에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가 장착되어, 리무버블 미디어로부터 판독되는 프로그램이, 촬상 장치(960)에 인스톨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966)는, LAN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즉, 외부 인터페이스(966)는, 촬상 장치(960)에 있어서의 전송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미디어 드라이브(968)에 장착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판독 기입 가능한 임의의 리무버블 미디어여도 된다. 또한, 미디어 드라이브(968)에 기록 매체가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예를 들어 내장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비가반성의 기억부가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부(970)는, CPU 등의 프로세서, 및 RAM 및 ROM 등의 메모리를 갖는다. 메모리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에 의해 기억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촬상 장치(960)의 기동 시에 CPU에 의해 읽어들여져, 실행된다.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97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촬상 장치(9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유저 인터페이스(971)는 제어부(970)와 접속된다. 유저 인터페이스(971)는, 예를 들어 유저가 촬상 장치(96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 및 스위치 등을 갖는다. 유저 인터페이스(971)는, 이들 구성 요소를 통해 유저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조작 신호를 제어부(97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장치(960)에 있어서, 화상 처리부(964)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 및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을 갖는다. 그것에 의해, 촬상 장치(960)가 복수의 (역)변환을 적용하여 부호화 또는 복호할 때에,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5) 제5 응용예 : 비디오 세트
또한, 본 기술은, 임의의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에 탑재하는 모든 구성, 예를 들어 시스템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으로서의 프로세서, 복수의 프로세서 등을 사용하는 모듈, 복수의 모듈 등을 사용하는 유닛, 유닛에 그 밖의 기능을 더 부가한 세트 등(즉, 장치의 일부 구성)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기술을 적용한 비디오 세트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근년, 전자 기기의 다기능화가 진행되고 있고, 그 개발이나 제조에 있어서, 그 일부의 구성을 판매나 제공 등으로서 실시하는 경우, 1기능을 갖는 구성으로서 실시를 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기능을 갖는 복수의 구성을 조합하여, 복수의 기능을 갖는 1세트로서 실시를 행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게 되었다.
도 21에 도시된 비디오 세트(1300)는, 이와 같은 다기능화된 구성이며, 화상의 부호화나 복호(어느 한쪽이어도 되고, 양쪽이어도 됨)에 관한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에, 그 기능에 관련되는 그 밖의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를 조합한 것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세트(1300)는, 비디오 모듈(1311), 외부 메모리(1312), 파워 매니지먼트 모듈(1313) 및 프론트엔드 모듈(1314) 등의 모듈군과, 커넥티비티(1321), 카메라(1322) 및 센서(1323) 등의 관련되는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를 갖는다.
모듈은, 서로 관련되는 몇 가지의 부품적 기능을 통합하여, 통합된 기능을 가진 부품으로 한 것이다. 구체적인 물리적 구성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어 각각 기능을 갖는 복수의 프로세서, 저항이나 콘덴서 등의 전자 회로 소자, 그 밖의 디바이스 등을 배선 기판 등에 배치하여 일체화한 것이 생각된다. 또한, 모듈에 다른 모듈이나 프로세서 등을 조합하여 새로운 모듈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도 21의 예의 경우, 비디오 모듈(1311)은, 화상 처리에 관한 기능을 갖는 구성을 조합한 것이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비디오 프로세서, 브로드밴드 모뎀(1333) 및 RF 모듈(1334)을 갖는다.
프로세서는, 소정의 기능을 갖는 구성을 SoC(System On a Chip)에 의해 반도체 칩에 집적한 것이며, 예를 들어 시스템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이라 칭해지는 것도 있다. 이 소정의 기능을 갖는 구성은, 논리 회로(하드웨어 구성)여도 되고, CPU, ROM, RAM 등과, 그것들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 구성)이어도 되고, 그 양쪽을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가, 논리 회로와 CPU, ROM, RAM 등을 갖고, 기능의 일부를 논리 회로(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현하고, 그 밖의 기능을 CPU에 있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도 21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31)는, 화상 처리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이다.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31)에 있어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연산 처리를 행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 등, 비디오 모듈(1311) 내외의 구성을 필요에 따라서 제어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화상의 부호화·복호(그 한쪽 또는 양쪽)에 관한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이다.
브로드밴드 모뎀(1333)은, 인터넷이나 공중전화 회선망 등의 광대역의 회선을 통해 행해지는 유선 혹은 무선(또는 그 양쪽)의 광대역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데이터(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변조하거나 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광대역 통신에 의해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한다. 브로드밴드 모뎀(1333)은,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가 처리하는 화상 데이터, 화상 데이터가 부호화된 스트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 데이터 등, 임의의 정보를 처리한다.
RF 모듈(1334)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 변복조, 증폭, 필터 처리 등을 행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RF 모듈(1334)은 브로드밴드 모뎀(1333)에 의해 생성된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 등을 행하여 RF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RF 모듈(1334)은, 프론트엔드 모듈(1314)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 등을 행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 점선(1341)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31)와 비디오 프로세서(1332)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외부 메모리(1312)는, 비디오 모듈(1311)의 외부에 설치된, 비디오 모듈(1311)에 의해 이용되는 기억 디바이스를 갖는 모듈이다. 이 외부 메모리(1312)의 기억 디바이스는, 어떠한 물리 구성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지만, 일반적으로 프레임 단위의 화상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의 저장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예를 들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비교적 저렴하며 대용량의 반도체 메모리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워 매니지먼트 모듈(1313)은, 비디오 모듈(1311)(비디오 모듈(1311) 내의 각 구성)로의 전력 공급을 관리하고, 제어한다.
프론트엔드 모듈(1314)은, RF 모듈(1334)에 대하여 프론트엔드 기능(안테나측의 송수신단의 회로)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엔드 모듈(1314)은, 예를 들어 안테나부(1351), 필터(1352) 및 증폭부(1353)를 갖는다.
안테나부(1351)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및 그 주변의 구성을 갖는다. 안테나부(1351)는, 증폭부(135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고, 수신한 무선 신호를 전기 신호(RF 신호)로서 필터(1352)에 공급한다. 필터(1352)는, 안테나부(1351)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대하여 필터 처리 등을 행하고, 처리 후의 RF 신호를 RF 모듈(1334)에 공급한다. 증폭부(1353)는 RF 모듈(1334)로부터 공급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부(1351)에 공급한다.
커넥티비티(1321)는 외부와의 접속에 관한 기능을 갖는 모듈이다. 커넥티비티(1321)의 물리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는 브로드밴드 모뎀(1333)이 대응하는 통신 규격 이외의 통신 기능을 갖는 구성이나, 외부 입출력 단자 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가, Bluetooth(등록 상표), IEEE 802.11(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등록 상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무선 통신 규격에 준거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듈이나, 그 규격에 준거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등을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가, USB(Universal Serial Bus), HDMI(등록 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의 유선 통신 규격에 준거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듈이나, 그 규격에 준거한 단자를 갖게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가, 아날로그 입출력 단자 등의 그 밖의 데이터(신호) 전송 기능 등을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커넥티비티(1321)가, 데이터(신호)의 전송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가,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는 드라이브(리무버블 미디어의 드라이브뿐만 아니라,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등도 포함함)를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커넥티비티(1321)가, 화상이나 음성의 출력 디바이스(모니터나 스피커 등)를 갖도록 해도 된다.
카메라(1322)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얻는 기능을 갖는 모듈이다. 카메라(1322)의 촬상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공급되어 부호화된다.
센서(1323)는, 예를 들어 음성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조도 센서, 적외선 센서, 이미지 센서, 회전 센서, 각도 센서, 각속도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경사 센서, 자기 식별 센서, 충격 센서, 온도 센서 등, 임의의 센서 기능을 갖는 모듈이다. 센서(1323)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31)에 공급되어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이용된다.
이상에 있어서 모듈로서 설명한 구성을 프로세서로서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반대로 프로세서로서 설명한 구성을 모듈로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비디오 세트(1300)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세트(1300)는 본 기술을 적용한 세트로서 실시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의 구성예)
도 22는 본 기술을 적용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도 21)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의 예의 경우,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입력을 받아 이들을 소정의 방식으로 부호화하는 기능과,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재생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비디오 입력 처리부(1401),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 비디오 출력 처리부(1404), 프레임 메모리(1405), 및 메모리 제어부(1406)를 갖는다. 또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 비디오 ES(Elementary Stream) 버퍼(1408A 및 1408B), 및, 오디오 ES 버퍼(1409A 및 1409B)를 갖는다. 또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오디오 인코더(1410), 오디오 디코더(1411), 다중화부(MUX(Multiplexer))(1412), 역다중화부(DMUX(Demultiplexer))(1413), 및 스트림 버퍼(1414)를 갖는다.
비디오 입력 처리부(1401)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도 21) 등으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취득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포맷 변환이나 화상의 확대 축소 처리 등을 행한다.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비디오 출력 처리부(1404)를 통해 출력하는 곳에서의 포맷에 따라서 화상의 확대 축소 처리를 행하거나,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와 마찬가지의 포맷 변환이나 화상의 확대 축소 처리 등을 행하거나 한다. 비디오 출력 처리부(1404)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포맷 변환이나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등을 행하고, 재생된 비디오 신호로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출력한다.
프레임 메모리(1405)는, 비디오 입력 처리부(1401),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 비디오 출력 처리부(1404), 및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의해 공용되는 화상 데이터용의 메모리이다. 프레임 메모리(1405)는, 예를 들어 DRAM 등의 반도체 메모리로서 실현된다.
메모리 제어부(1406)는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으로부터의 동기 신호를 받아, 액세스 관리 테이블(1406A)에 기입된 프레임 메모리(1405)에의 액세스 스케줄에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1405)에 대한 기입·판독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액세스 관리 테이블(1406A)은,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 등에서 실행되는 처리에 따라서, 메모리 제어부(1406)에 의해 갱신된다.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은, 화상 데이터의 인코드 처리, 및, 화상 데이터가 부호화된 데이터인 비디오 스트림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은, 프레임 메모리(1405)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비디오 스트림으로서 비디오 ES 버퍼(1408A)에 순차적으로 기입한다. 또한, 예를 들어 비디오 ES 버퍼(1408B)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복호하고, 화상 데이터로서 프레임 메모리(1405)에 순차적으로 기입한다.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은, 이들 부호화나 복호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1405)를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한다. 또한,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은, 예를 들어 매크로 블록마다의 처리를 개시하는 타이밍에, 메모리 제어부(1406)에 대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한다.
비디오 ES 버퍼(1408A)는,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다중화부(MUX)(1412)에 공급한다. 비디오 ES 버퍼(1408B)는, 역다중화부(DMUX)(1413)로부터 공급된 비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공급한다.
오디오 ES 버퍼(1409A)는, 오디오 인코더(14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다중화부(MUX)(1412)에 공급한다. 오디오 ES 버퍼(1409B)는, 역다중화부(DMUX)(1413)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오디오 디코더(1411)에 공급한다.
오디오 인코더(1410)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예를 들어 디지털 변환하고, 예를 들어 MPEG 오디오 방식이나 AC3(AudioCode number 3)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으로 부호화한다. 오디오 인코더(1410)는, 오디오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인 오디오 스트림을 오디오 ES 버퍼(1409A)에 순차적으로 기입한다. 오디오 디코더(1411)는, 오디오 ES 버퍼(1409B)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하고, 예를 들어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등을 행하여, 재생된 오디오 신호로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공급한다.
다중화부(MUX)(1412)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한다. 이 다중화의 방법(즉, 다중화에 의해 생성되는 비트 스트림의 포맷)은 임의이다. 또한, 이 다중화 시에, 다중화부(MUX)(1412)는, 소정의 헤더 정보 등을 비트 스트림에 부가할 수도 있다. 즉, 다중화부(MUX)(1412)는, 다중화에 의해 스트림의 포맷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화부(MUX)(1412)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전송용의 포맷의 비트 스트림인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또한, 예를 들어 다중화부(MUX)(1412)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기록용의 파일 포맷의 데이터(파일 데이터)로 변환한다.
역다중화부(DMUX)(1413)는, 다중화부(MUX)(1412)에 의한 다중화에 대응하는 방법에 의해,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비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즉, 역다중화부(DMUX)(1413)는, 스트림 버퍼(1414)로부터 판독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추출한다(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분리한다). 즉, 역다중화부(DMUX)(1413)는, 역다중화에 의해 스트림의 포맷을 변환(다중화부(MUX)(1412)에 의한 변환의 역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DMUX)(1413)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으로부터 공급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스트림 버퍼(1414)를 통해 취득하고, 역다중화함으로써,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DMUX)(1413)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에 의해 각종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파일 데이터를, 스트림 버퍼(1414)를 통해 취득하고, 역다중화함으로써,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할 수 있다.
스트림 버퍼(1414)는 비트 스트림을 버퍼링한다. 예를 들어, 스트림 버퍼(1414)는, 다중화부(MUX)(1412)로부터 공급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버퍼링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요구 등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에 공급한다.
또한, 예를 들어 스트림 버퍼(1414)는 다중화부(MUX)(1412)로부터 공급된 파일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요구 등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공급하여,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다.
또한, 스트림 버퍼(1414)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을 통해 취득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버퍼링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요구 등에 기초하여, 역다중화부(DMUX)(1413)에 공급한다.
또한, 스트림 버퍼(1414)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있어서 각종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파일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요구 등에 기초하여, 역다중화부(DMUX)(1413)에 공급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동작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으로부터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입력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입력 처리부(1401)에 있어서 4:2:2 Y/Cb/Cr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프레임 메모리(1405)에 순차적으로 기입된다. 이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 또는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에 판독되어, 4:2:0 Y/Cb/Cr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으로의 포맷 변환 및 확대 축소 처리가 행해지고, 다시 프레임 메모리(1405)에 기입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의해 부호화되고, 비디오 스트림으로서 비디오 ES 버퍼(1408A)에 기입된다.
또한, 커넥티비티(1321) 등으로부터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인코더(1410)에 의해 부호화되고, 오디오 스트림으로서, 오디오 ES 버퍼(1409A)에 기입된다.
비디오 ES 버퍼(1408A)의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ES 버퍼(1409A)의 오디오 스트림은, 다중화부(MUX)(1412)에 판독되어 다중화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파일 데이터 등으로 변환된다. 다중화부(MUX)(1412)에 의해 생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스트림 버퍼(1414)에 버퍼된 후,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출력된다. 또한, 다중화부(MUX)(1412)에 의해 생성된 파일 데이터는, 스트림 버퍼(1414)에 버퍼된 후,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출력되어,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입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스트림 버퍼(1414)에 버퍼된 후, 역다중화부(DMUX)(1413)에 의해 역다중화된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있어서 각종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입력된 파일 데이터는, 스트림 버퍼(1414)에 버퍼된 후, 역다중화부(DMUX)(1413)에 의해 역다중화된다. 즉,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입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파일 데이터는, 역다중화부(DMUX)(1413)에 의해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ES 버퍼(1409B)를 통해 오디오 디코더(1411)에 공급되어, 복호되어 오디오 신호가 재생된다. 또한,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ES 버퍼(1408B)에 기입된 후,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의해 순차적으로 판독되어 복호되어 프레임 메모리(1405)에 기입된다. 복호된 화상 데이터는,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에 의해 확대 축소 처리되어, 프레임 메모리(1405)에 기입된다. 그리고, 복호된 화상 데이터는, 비디오 출력 처리부(1404)에 판독되어, 4:2:2 Y/Cb/Cr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으로 포맷 변환되고, 또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비디오 신호가 재생 출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관한 본 기술을 적용하면 된다. 즉, 예를 들어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이, 상술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 혹은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 또는 그 양쪽을 갖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있어서, 본 기술(즉,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 혹은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 또는 그 양쪽)은, 논리 회로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내장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그것들의 양쪽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비디오 프로세서의 다른 구성예)
도 23은 본 기술을 적용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개략적인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의 예의 경우,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비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부호화·복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제어부(151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및 내부 메모리(1515)를 갖는다. 또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코덱 엔진(1516), 메모리 인터페이스(1517),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19) 및 비디오 인터페이스(1520)를 갖는다.
제어부(1511)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및 코덱 엔진(1516) 등, 비디오 프로세서(1332) 내의 각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11)는, 예를 들어 메인 CPU(1531), 서브 CPU(1532), 및 시스템 컨트롤러(1533)를 갖는다. 메인 CPU(1531)는, 비디오 프로세서(1332) 내의 각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실행한다. 메인 CPU(1531)는, 그 프로그램 등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각 처리부에 공급한다(즉, 각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서브 CPU(1532)는, 메인 CPU(1531)의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서브 CPU(1532)는, 메인 CPU(153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의 자식 프로세스나 서브루틴 등을 실행한다. 시스템 컨트롤러(1533)는, 메인 CPU(1531) 및 서브 CPU(1532)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등, 메인 CPU(1531) 및 서브 CPU(1532)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는, 제어부(1511)의 제어 하에서,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는, 디지털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재생된 비디오 신호로서 또는 디지털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 상태 그대로, 커넥티비티(1321)의 모니터 장치 등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엔진(1513)은, 제어부(1511)의 제어 하에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그 화상을 표시시키는 모니터 장치 등의 하드웨어 스펙에 맞추도록, 포맷 변환, 사이즈 변환, 색 영역 변환 등의 각종 변환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 엔진(1514)은, 제어부(1511)의 제어 하에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어 화질 개선을 위한 필터 처리 등,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내부 메모리(1515)는,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및 코덱 엔진(1516)에 의해 공용되는,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내부에 설치된 메모리이다. 내부 메모리(1515)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및 코덱 엔진(1516) 사이에서 행해지는 데이터의 수수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1515)는,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또는 코덱 엔진(1516)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서(예를 들어, 요구에 따라서), 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또는 코덱 엔진(1516)에 공급한다. 이 내부 메모리(1515)는, 어떠한 기억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지만, 일반적으로 블록 단위의 화상 데이터나 파라미터 등과 같은 소용량의 데이터의 저장에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비교적(예를 들어 외부 메모리(1312)와 비교하여) 소용량이지만 응답 속도가 고속인 반도체 메모리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덱 엔진(1516)은,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나 복호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이 코덱 엔진(1516)이 대응하는 부호화·복호의 방식은 임의이며, 그 수는 하나여도 되고, 복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코덱 엔진(1516)은, 복수의 부호화·복호 방식의 코덱 기능을 구비하고, 그 중에서 선택된 것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 또는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23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코덱 엔진(1516)은, 코덱에 관한 처리의 기능 블록으로서, 예를 들어 MPEG-2 Video(1541), AVC/H.264(1542), HEVC/H.265(1543), HEVC/H.265(Scalable)(1544), HEVC/H.265(Multi-view)(1545), 및 MPEG-DASH(1551)를 갖는다.
MPEG-2 Video(1541)는, 화상 데이터를 MPEG-2 방식으로 부호화하거나 복호하거나 하는 기능 블록이다. AVC/H.264(1542)는, 화상 데이터를 AVC 방식으로 부호화하거나 복호하거나 하는 기능 블록이다. HEVC/H.265(1543)는, 화상 데이터를 HEVC 방식으로 부호화하거나 복호하거나 하는 기능 블록이다. HEVC/H.265(Scalable)(1544)는, 화상 데이터를 HEVC 방식으로 스케일러블 부호화하거나 스케일러블 복호하거나 하는 기능 블록이다. HEVC/H.265(Multi-view)(1545)는, 화상 데이터를 HEVC 방식으로 다시점 부호화하거나 다시점 복호하거나 하는 기능 블록이다.
MPEG-DASH(1551)는, 화상 데이터를 MPEG-DASH(MPEG-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기능 블록이다. MPEG-DASH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여 비디오의 스트리밍을 행하는 기술이며, 미리 준비된 해상도 등이 서로 다른 복수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적절한 것을 세그먼트 단위로 선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MPEG-DASH(1551)는, 규격에 준거하는 스트림의 생성이나 그 스트림의 전송 제어 등을 행하고,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복호에 대해서는, 상술한 MPEG-2Video(1541) 내지 HEVC/H.265(Multi-view)(1545)를 이용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517)는 외부 메모리(1312)용의 인터페이스이다. 화상 처리 엔진(1514)이나 코덱 엔진(1516)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17)를 통해 외부 메모리(1312)에 공급된다. 또한, 외부 메모리(1312)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17)를 통해 비디오 프로세서(1332)(화상 처리 엔진(1514) 또는 코덱 엔진(1516))에 공급된다.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는,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 화상 데이터, 비디오 신호 등, 화상에 관한 각종 데이터의 다중화나 역다중화를 행한다. 이 다중화·역다중화의 방법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다중화 시에,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는, 복수의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헤더 정보 등을 그 데이터에 부가할 수도 있다. 또한, 역다중화 시에,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는, 하나의 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할 뿐만 아니라, 분할한 각 데이터에 소정의 헤더 정보 등을 부가할 수도 있다. 즉,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는, 다중화·역다중화에 의해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는, 비트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전송용의 포맷의 비트 스트림인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나, 기록용의 파일 포맷의 데이터(파일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물론, 역다중화에 의해 그 역변환도 가능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19)는, 예를 들어 브로드밴드 모뎀(1333)이나 커넥티비티(1321) 등용의 인터페이스이다. 비디오 인터페이스(1520)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카메라(1322) 등용의 인터페이스이다.
다음에, 이와 같은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동작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면, 그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19)를 통해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에 공급되어 역다중화되고, 코덱 엔진(1516)에 의해 복호된다. 코덱 엔진(1516)의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엔진(1514)에 의해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되고, 디스플레이 엔진(1513)에 의해 소정의 변환이 행해지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를 통해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공급되어, 그 화상이 모니터에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코덱 엔진(1516)의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코덱 엔진(1516)에 의해 재부호화되고,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에 의해 다중화되어 파일 데이터로 변환되고, 비디오 인터페이스(1520)를 통해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출력되어,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의 파일 데이터는, 비디오 인터페이스(1520)를 통해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에 공급되어 역다중화되고, 코덱 엔진(1516)에 의해 복호된다. 코덱 엔진(1516)의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 엔진(1514)에 의해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되고, 디스플레이 엔진(1513)에 의해 소정의 변환이 행해지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를 통해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공급되어, 그 화상이 모니터에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코덱 엔진(1516)의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코덱 엔진(1516)에 의해 재부호화되고,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에 의해 다중화되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19)를 통해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에 공급되어 도시하지 않은 다른 장치에 전송된다.
또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 내의 각 처리부의 사이에서의 화상 데이터나 그 밖의 데이터의 수수는, 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1515)나 외부 메모리(1312)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또한, 파워 매니지먼트 모듈(1313)은, 예를 들어 제어부(1511)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코덱 엔진(1516)에,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관한 본 기술을 적용하면 된다. 즉, 예를 들어 코덱 엔진(1516)이, 상술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 혹은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 또는 그 양쪽을 갖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코덱 엔진(1516)에 있어서, 본 기술(즉,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은, 논리 회로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내장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그것들의 양쪽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으로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구성을 2가지 예시하였지만,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구성은 임의이며, 상술한 2가지 예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되지만, 복수의 반도체 칩으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반도체를 적층하는 3차원 적층 LSI로 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LSI에 의해 실현되도록 해도 된다.
(장치에의 적용예)
비디오 세트(1300)는,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각종 장치에 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세트(1300)는, 텔레비전 장치(900)(도 17), 휴대 전화기(920)(도 18), 기록 재생 장치(940)(도 19), 촬상 장치(960)(도 20) 등에 내장할 수 있다. 비디오 세트(1300)를 내장함으로써, 그 장치는,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비디오 세트(1300)의 각 구성의 일부라도, 비디오 프로세서(1332)를 포함하는 것이면, 본 기술을 적용한 구성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만을 본 기술을 적용한 비디오 프로세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점선(134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프로세서나 비디오 모듈(1311) 등을, 본 기술을 적용한 프로세서나 모듈 등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비디오 모듈(1311), 외부 메모리(1312), 파워 매니지먼트 모듈(1313) 및 프론트엔드 모듈(1314)을 조합하여, 본 기술을 적용한 비디오 유닛(1361)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어느 구성의 경우라도,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비디오 프로세서(1332)를 포함하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비디오 세트(1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각종 장치에 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 점선(134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프로세서, 비디오 모듈(1311), 또는, 비디오 유닛(1361)을, 텔레비전 장치(900)(도 17), 휴대 전화기(920)(도 18), 기록 재생 장치(940)(도 19), 촬상 장치(960)(도 20) 등에 내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기술을 적용한 어느 것의 구성을 내장함으로써, 그 장치는, 비디오 세트(1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 응용예 : 네트워크 시스템>
또한, 본 기술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기술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에 도시된 네트워크 시스템(1600)은, 기기끼리가,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동화상)에 관한 정보를 수수하는 시스템이다. 이 네트워크 시스템(1600)의 클라우드 서비스(1601)는, 자신에게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컴퓨터(1611), AV(Audio Visual) 기기(1612),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기(1613),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1614) 등의 단말기에 대하여, 화상(동화상)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1601)는, 소위 동화상 배신(온 디맨드나 라이브 배신)과 같은, 화상(동화상)의 콘텐츠의 공급 서비스를 단말기에 제공한다. 또한,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1601)는, 단말기로부터 화상(동화상)의 콘텐츠를 수취하여 보관하는 백업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1601)는, 단말기끼리의 화상(동화상)의 콘텐츠의 수수를 중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비스(1601)의 물리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1601)는, 동화상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서버, 동화상을 단말기에 배신하는 서버, 동화상을 단말기로부터 취득하는 서버, 유저(단말기)나 과금을 관리하는 서버 등의 각종 서버나, 인터넷이나 LAN 등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갖도록 해도 된다.
컴퓨터(1611)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서버, 워크스테이션 등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AV 기기(1612)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 하드디스크 레코더, 게임 기기, 카메라 등과 같은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기(1613)는, 예를 들어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단말기,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형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IoT 디바이스(1614)는, 예를 들어 기계, 가전, 가구, 그 밖의 물건, IC 태그, 카드형 디바이스 등, 화상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임의의 물체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단말기는, 모두 통신 기능을 갖고, 클라우드 서비스(1601)에 접속하여(세션을 확립하여), 클라우드 서비스(1601)와 정보의 수수를 행할(즉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와 통신을 행할 수도 있다. 단말기간의 통신은, 클라우드 서비스(1601)를 통해 행하도록 해도 되고, 클라우드 서비스(1601)를 통하지 않고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1600)에 본 기술을 적용하고, 단말기간이나, 단말기와 클라우드 서비스(1601) 사이에서 화상(동화상)의 데이터가 수수될 때에, 그 화상 데이터를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복호하도록 해도 된다. 즉, 단말기(컴퓨터(1611) 내지 IoT 디바이스(1614))나 클라우드 서비스(1601)가, 각각, 상술한 화상 부호화 장치(10)나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복수의 (역)변환을 적용하여 부호화하거나 또는 복호할 때에,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의한 대역 제어가 가능해진다.
<5.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변환이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케일링 리스트를 사용한 대역 제어가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본 기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부호화측으로부터 복호측으로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허가(또는 금지)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술한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허가(또는 금지)하는 블록 사이즈의 상한 혹은 하한, 또는 그 양쪽을 지정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본 기술은, 프라이머리 변환, 세컨더리 변환 및 부호화(복호, 역세컨더리 변환 및 역프라이머리 변환)를 행하는 임의의 화상 부호화·복호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변환(역변환), 양자화(역양자화), 부호화(복호), 예측 등의 사양은 임의이며,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변환(역변환)에 있어서, (역)프라이머리 변환 및 (역)세컨더리 변환 이외의 (역)변환(즉 3 이상의 (역)변환)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부호화(복호)는, 가역의 방식이어도 되고, 비가역의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양자화(역양자화)나 예측 등은 생략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필터 처리 등의 상술하지 않은 처리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는 않다. 즉,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기의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의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하는 처리 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의 역변환에 관한 역변환 처리를 또한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3)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역변환 처리에의 입력을 제어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4)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와 예측 화상 데이터의 차분인 예측 오차 데이터에 대한 변환과는 상이한 다른 변환의 역변환에 관한 역변환 처리를 행할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5)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판정에 따라서,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의 입력을 제어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6)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역변환 처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당해 역변환 처리 후의 계수 데이터가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의 입력 데이터가 되도록,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의 입력을 제어하는, 상기 (5)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7)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역변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 역양자화의 계수 데이터가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의 입력 데이터가 되도록,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의 입력을 제어하는,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8)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판정에 따라서,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사용되는 스케일링 리스트를 특정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9)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역변환 처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소정의 스케일링 리스트와, 상기 다른 변환의 내적 연산에 의해,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사용되는 스케일링 리스트를 특정하는, 상기 (8)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10)
상기 역변환 처리는, 컨볼루션 연산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11)
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처리 대상 블록에 소정의 변환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12)
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13)
프로세서가, 처리 대상의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4)
컴퓨터에,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0 : 화상 부호화 장치
12 : 제어부
13 : 감산부
14 : 처리부
16 : 가역 부호화부
17 : 축적 버퍼
21 : 역처리부
23 : 가산부
30 : 인트라 예측부
40 : 인터 예측부
60 : 화상 복호 장치
61 : 축적 버퍼
62 : 가역 복호부
63 : 역처리부
65 : 가산부
70 : 프레임 메모리
80 : 인트라 예측부
90 : 인터 예측부
141 : 프라이머리 변환부
142 :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
143 : 처리 제어부
144 : 세컨더리 변환부
145 : 양자화부
146 : 처리 제어부
147 : 변환부
148 : 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
631 : 역양자화부
632 : 처리 제어부
633 : 역세컨더리 변환부
634 :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
635 : 역프라이머리 변환부
636 : 처리 제어부
637 : 역양자화·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부
638 : 역변환부

Claims (14)

  1.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하는 처리 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의 역변환에 관한 역변환 처리를 또한 제어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역변환 처리에의 입력을 제어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와 예측 화상 데이터의 차분인 예측 오차 데이터에 대한 변환과는 상이한 다른 변환의 역변환에 관한 역변환 처리를 행할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판정에 따라서,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의 입력을 제어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역변환 처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당해 역변환 처리 후의 계수 데이터가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의 입력 데이터가 되도록,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의 입력을 제어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역변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 역양자화의 계수 데이터가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의 입력 데이터가 되도록,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의 입력을 제어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판정에 따라서,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사용되는 스케일링 리스트를 특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제어부는, 상기 역변환 처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소정의 스케일링 리스트와, 상기 다른 변환의 내적 연산에 의해, 상기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에 사용되는 스케일링 리스트를 특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 처리는, 컨볼루션 연산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처리 대상 블록에 소정의 변환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13. 프로세서가, 처리 대상의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4. 컴퓨터에,
    처리 대상 블록에 적용된 변환에 관한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리스트 처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197002681A 2016-08-24 2017-07-07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24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4982A KR102498725B1 (ko) 2016-08-24 2017-07-07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부호화 방법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3718 2016-08-24
JP2016163718 2016-08-24
PCT/JP2017/025021 WO2018037737A1 (ja) 2016-08-24 2017-07-07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982A Division KR102498725B1 (ko) 2016-08-24 2017-07-07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부호화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545A true KR20190038545A (ko) 2019-04-08
KR102424062B1 KR102424062B1 (ko) 2022-07-22

Family

ID=612458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982A KR102498725B1 (ko) 2016-08-24 2017-07-07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부호화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0197002681A KR102424062B1 (ko) 2016-08-24 2017-07-07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982A KR102498725B1 (ko) 2016-08-24 2017-07-07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부호화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722698B2 (ko)
EP (1) EP3506634A4 (ko)
JP (2) JP6962325B2 (ko)
KR (2) KR102498725B1 (ko)
CN (2) CN109644269B (ko)
WO (1) WO2018037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0732B (zh) * 2018-11-20 2023-04-07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反量化反变换方法及装置
WO2020216296A1 (en) 2019-04-23 2020-10-29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Clipping operation in secondary transform based video processing
WO2020228671A1 (en) 2019-05-10 2020-11-19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Multiple secondary transform matrices for video processing
JP2020202417A (ja) * 2019-06-06 2020-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及び画像符号化装置
EP3967032A4 (en) 2019-06-07 2022-07-27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CONDITIONAL SIGNALING OF A REDUCED SECONDARY TRANSFORM FOR VIDEO BIANARY FLOWS
CN114097223A (zh) * 2019-06-25 2022-02-25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解码器、编码器和包括对帧内子分区进行编码的方法
CN114208190B (zh) 2019-08-03 2023-12-1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编解码中缩减二次变换的矩阵的选择
CN114223208B (zh) 2019-08-17 2023-12-29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为视频中的缩减二次变换的边信息的上下文建模
CN114270817B (zh) * 2019-08-20 2024-07-0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位置的系数缩放
CN117319645A (zh) * 2019-08-23 2023-12-29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用于处理视频数据的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395727B2 (ja) 2019-10-23 2023-12-11 北京字節跳動網絡技術有限公司 ビデオ・データを処理する方法、装置及び記憶方法
KR20220080107A (ko) 2019-10-23 2022-06-14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참조 픽처 리샘플링을 위한 시그널링
CN115066899A (zh) * 2019-12-02 2022-09-16 抖音视界有限公司 编解码视频的可分二次变换处理
JP7458489B2 (ja) * 2020-01-10 2024-03-2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変換に基づく画像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BR112022013561A2 (pt) * 2020-01-10 2022-09-06 Lg Electronics Inc Método de codificação de imagem baseado em transformada e dispositivo para o mesmo
CN116805971B (zh) * 2023-04-11 2024-07-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图像编解码方法、装置、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8927A (ja) * 2011-05-09 2012-12-0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40027932A (ko) * 2011-06-27 2014-03-07 브리티쉬브로드캐스팅코퍼레이션 변환을 이용하는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5204A1 (en) 2002-12-27 2004-07-01 Yoshihisa Yamada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and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JP4447197B2 (ja) 2002-01-07 2010-04-07 三菱電機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装置
EP2136566A4 (en) 2007-04-16 2012-07-18 Toshiba Kk METHOD AND DEVICE FOR IMAGE ENCODING AND IMAGE DECODING
KR20120046725A (ko) 2009-08-06 2012-05-10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호화 방법, 복호 방법, 부호화 장치 및 복호 장치
WO2011083573A1 (ja) * 2010-01-07 2011-07-14 株式会社 東芝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復号化装置
WO2011108240A1 (ja) 2010-03-01 2011-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復号方法
JP2013038769A (ja) 2011-07-12 2013-02-21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に於ける振動特性の調整方法
CN102883249A (zh) 2011-07-12 2013-01-16 并木精密宝石株式会社 多功能型振动促动器中的振动特性的调节方法
JP2013038768A (ja) 2011-07-13 2013-02-21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RU2719340C2 (ru) * 2011-10-18 2020-04-17 Кт Корпорейшен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видеосигнала
KR101627085B1 (ko) * 2012-01-20 2016-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자화 행렬의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
CN104662901B (zh) * 2012-09-28 2018-06-22 索尼公司 图像处理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8927A (ja) * 2011-05-09 2012-12-0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40027932A (ko) * 2011-06-27 2014-03-07 브리티쉬브로드캐스팅코퍼레이션 변환을 이용하는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anle Chen, Elena Alshina, Gary J. Sullivan, Jens-Rainer Ohm, JillBoyce, "Algorithm Description of Joint Exploration Test Model 3", JVET-C1001_v3, Joint Video Exploration Team(JVET) of ITU-T SG 16 WP 3 and ISO/IEC JTC 1/SC 29/WG 11 3rd Meeting : Geneva, CH, 26 May - 1 June 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062B1 (ko) 2022-07-22
JP6962325B2 (ja) 2021-11-05
KR20220104311A (ko) 2022-07-26
JP7211467B2 (ja) 2023-01-24
KR102498725B1 (ko) 2023-02-13
EP3506634A4 (en) 2019-08-07
CN114449289A (zh) 2022-05-06
JPWO2018037737A1 (ja) 2019-06-20
EP3506634A1 (en) 2019-07-03
CN109644269A (zh) 2019-04-16
US20210297702A1 (en) 2021-09-23
CN109644269B (zh) 2022-02-11
JP2022028657A (ja) 2022-02-16
US11722698B2 (en) 2023-08-08
WO2018037737A1 (ja) 2018-03-01
US20230353786A1 (en)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1467B2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627309B2 (en) Image encoding device and method, and image decoding device and method
US1092473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0779009B2 (en) Image decoding device and method
JP6287035B2 (ja) 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
JP671135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10298927B2 (en) Image decoding device and method
JP6646883B2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5053116A1 (ja) 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並びに、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
US2019020820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9039449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6477930B2 (ja)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
WO2016199574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