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11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112A
KR20190038112A KR1020170128170A KR20170128170A KR20190038112A KR 20190038112 A KR20190038112 A KR 20190038112A KR 1020170128170 A KR1020170128170 A KR 1020170128170A KR 20170128170 A KR20170128170 A KR 20170128170A KR 20190038112 A KR20190038112 A KR 20190038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coreset
aggregation leve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창
박수영
윤수하
신승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8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8112A/ko
Priority to US16/647,292 priority patent/US11425694B2/en
Priority to PCT/KR2018/011530 priority patent/WO2019066557A1/ko
Publication of KR20190038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112A/ko
Priority to US17/871,304 priority patent/US11785601B2/en
Priority to KR1020220131760A priority patent/KR20220146374A/ko
Priority to US18/482,355 priority patent/US2024004057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5Transmission of coding parameters to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 및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정보 또는 상기 RRC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을 포함하는 디코딩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5G 시스템에서는 프레임 구조가 변경되었으며, 이에 따라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자원의 세트가 새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디코딩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 및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정보 또는 상기 RRC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을 포함하는 디코딩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을 포함하는 디코딩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시스템 정보 및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 또는 상기 RRC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을 포함하는 디코딩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시스템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을 포함하는 디코딩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별로 설정해야 하는 정보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도 1은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earch space 및 aggregation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주기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 별로 AL 정보를 결정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디코딩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단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디코딩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셀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디코딩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셀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디코딩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자원에 설정된 CORESET을 통해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현재, 5G 시스템에서는 슬롯 기반 스케줄링 (slot-based scheduling)에서 CORESET(s) 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CORESET이란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자원 세트 (control resource set: CORESET)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어 자원 세트, CORESET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5G 시스템 (NR)에서도 LTE와 마찬가지로 PDCCH의 decoding을 위한 단말의 blind decoding 동작을 고려한다. 현재 LTE 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이 존재할 수 있는 주파수 도메인 (frequency domain)자원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 (system bandwidth (BW))에 의해 고정되어 있었고, 시간 도메인 (time domain) 자원 영역은 물리적 제어 형식 지시자 채널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을 통해 심볼의 개수를 알아낼 수 있다. 해당 PDCCH region은 공통 탐색 영역 (common search space)와 단말 특정 탐색 영역 (UE-specific search space)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LTE 시스템에서는 1, 2, 4, 8의 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을 지원하였다. 다만,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LTE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았던 추가적인 블라인드 디코딩 (Blind decoding)을 위한 16, 32 등의 aggregation level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상태이고, 이를 위한 최적의 자원 디자인 및 signaling이 필요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5G 통신 시스템은 이외의 aggregation level (예를 들어, 64)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aggregation level을 고려하는 경우, aggregation level 뿐만 아니라 Common search space, UE-specific search space의 구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자원과 연계가 필요할 수 있다. 이는 모든 UE에게 추가적으로 고려되는 16, 32의 aggregation level을 무조건 decoding 하도록 하는 것은 부하 (burden)가 되고, 최대 블라인드 디코딩 (maximum blind decoding) 회수 (예를 들어, 44번)를 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하는 제약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디자인을 완성하기 위함이다. 특히 1개의 요소 반송파 (1 component carrier: CC)또는 1개의 대역폭 부분 (1 bandwidth part: BWP) 내에 슬롯-레벨 CORESET (slot-level CORESET)과 심볼-레벨 CORESET (symbol-level CORESET)이 함께 하나의 슬롯 (slot)에 할당이 되면, 단말의 blind decoding 횟수가 증가할 수밖에 없고, 빔포밍 (beam forming)이 지원되는 다수의 PDCCH (multiple PDCCH)가 추가로 고려되면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가 더욱 증가하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도 1은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이용하여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CORESET 및 PDCCH 후보군들 (PDCCH candidates)의 설계 및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CORESET 구조는 도 1과 같이 설정(configure)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ORESET은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자원의 세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통의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공통 제어 자원 세트 (Common CORESET)와 단말 특정의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단말 특정 제어 자원 세트 (UE-specific CORESET)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Common CORESET와 UE-specific CORESET은 하나의 CORESET에 포함될 수 있고, 별도의 자원으로 분리되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Common CORESET와 UE-specific CORESET을 각각 제1 CORESET (제1 제어 자원 세트) 및 제2 CORESET (제2 제어 자원 세트)라 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a)와 같이 하나의 PDCCH candidates (115)가 하나의 CORESET (11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ORESET (110)은 Common CORESET 또는 UE-specific CORESET일 수 있으며, common search space 또는 UE-specific search spa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1 (b)와 같이 하나의 CORESET (120)이 복수의 PDCCH candidates (121,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CORESET (120) 내에 common search space 및 UE-specific search space가 모두 포함되거나, 하나의 CORESET (120) 내에 복수의common search space 또는 복수의 UE-specific search space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도 1 (c)와 같이 복수 개의 CORESET (130, 140)이 별도의 자원으로 분리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CORESET (130)은 common search space (135)를 포함하는 common CORESET으로 설정되고, 또 다른 CORESET (140)은 UE-specific search space (145)를 포함하는 UE-specific CORESET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ORESET이 설정될 때 CORESET을 모니터링 (monitoring) 하는 단말을 위해 그 주기가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Common CORESET과 UE-specific CORESET의 구체적인 특성은 하기와 같다.
Common CORESET: common search space를 포함하는 주파수 및 시간 자원 영역 (frequency/time resource region)을 의미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UE-specific search space를 포함할 수 있다. Common CORESET의 설정 주기 또는 단말의 Common CORESET 모니터링 주기는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를 통해 설정되거나 default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UE-specific CORESET: UE-specific search space를 포함하는 주파수 및 시간 자원 영역 (frequency/time resource region)을 의미한다. UE-specific CORESET은 한 slot 내에서 복수로 설정될 수 있고, 주기는 Common CORESET의 주기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lot 기반의 CORESET 이외에도 심볼 레벨 (symbol level)의 CORESET도 하나 또는 복수로 설정이 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Common CORESET의 search space 또는 UE-specific CORESET의 search space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aggregation level에 기반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할 수 있으며, 블라인드 디코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earch space 및 aggregation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LTE 시스템에서는 4개의 자원 요소 (resource element: RE)를 하나의 자원 요소 그룹 (resource element group: REG)로 구성하고, 9 개의 REG를 하나의 제어 채널 요소 (control channel element: CCE)로 구성하여, CCE 단위로 제어 자원을 전송하였다.
한편,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12 개의 RE가 하나의 물리적 자원 블록 (physical resource block: PRB)를 구성 (1 PRB = 12 RE)할 수 있으며, 하나의 PRB는 하나의 REG (1 REG = 1 PRB)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CCE는 6개의 REG로 구성될 수 있다 (1 CCE = 6 REG). 또한, 이 중 1/4 density가 DMRS로 맵핑되어 기지국은 12 개의 RE 중 9개의 RE만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되는 MCS는 기본적으로 QPSK를 고려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연속적인 CCE의 집합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은 하나 또는 연속적인 CCE의 집합에서 제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CCE의 수, 또는 단말이 제어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CCE의 단위를 aggregation level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RE를 CCE로 정렬하고, aggregation level에 따라 제어 정보를 블라인드 디코딩 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단말은 aggregation 1, 2, 4, 8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ggregation level이 1 (210)인 경우, 단말은 CCE 인덱스 0번부터 인덱스를 하나씩 증가시키며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aggregation level이 2 (220)인 경우, 단말은 두 개의 CCE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즉, 단말은 CCE 인덱스 0과 1을 묶어 디코딩을 시도하고, CCE 인덱스 2와 3을 묶어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디코딩을 시도하는 CCE를 search space라 한다.
이 때, Common search space에서는 단말이 제어 정보를 디코딩 하기 위해 aggregation level (AL) 값이 default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default의 의미는 별도의 지시 (indication) 또는 설정 (configuration)없이 단말이 특정 횟수를 가정하여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common search space에서는 AL = 4, 8이 default의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AL = 4, 8인 search space를 가정하여 제어 정보를 디코딩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ommon search space에서의 AL 값은 기지국이 단말에 별도로 설정해줄 수도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UE-specific search space에서는 단말이 제어 정보를 디코딩 하기 위해 aggregation level (AL) 값이 default 형태로 지원 될 수도 있고,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다. AL 값이 default로 지원되지 않는 경우에 AL 값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E-specific search space에서 고려되는 aggregation level (AL)은 1, 2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값은 이미 LTE에서 지원했던 값이지만, 5G 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이 CCE의 구조가 상이하여 그 물리적인 bits의 크기 (size)가 달라져서 정확히 동일한 자원이라고 할 수는 없다. 다른 실시 예에서, UE-specific search space에서 고려되는 aggregation level (AL)은 16, 3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단말이 셀 경계 (cell edge)에서 decoding 성능을 높이거나 URLLC에서 고 신뢰성 (Ultra-reliability)을 고려하여 디자인 될 수 있다.
한편, DCI format에는 자원 관련 정보, MCS 정보 , CGB 및 HARQ 관련 정보 (RV, NDI, HARQ 프로세스 번호 등), 전력 제어 정보 (power control), 멀티 안테나 관련 정보, SRS 관련 정보, RNTI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CI정보를 해당 PDCCH자원에 맵핑하기 적절한 size(길이) 가 필요할 수 있다. Size는 상기에서 설명한 AL에 정확히 맵핑이 될 수도 있고,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정확히 맵핑이 되지 않거나, 채널 상황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를 반복 (repetition)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은 S310 단계에서 디코딩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관련 정보는 A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AL 정보는 CORESET 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AL 정보는 셀 별로 설정될 수 있다. AL 정보가 셀 별로 결정되는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한다.
또한, 디코딩 관련 정보에는 CORESET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CORESET 설정 정보는 Common CORESET의 위치 정보, Common CORESET의 주기 정보, UE-specific CORESET의 위치 정보, 또는 UE-specific CORESET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CORESET에 대한 위치 또는 주기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단말은 CORESET 관련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일부 CORESET에 대한 위치 또는 주기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나머지 CORESET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mmon CORESET의 위치 정보 및 주기 정보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단말은 UE-specific CORESET에 대한 위치 정보와 주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코딩 관련 정보에 포함된 AL 정보와 CORESET 설정 정보는 별개의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MIB 또는 동기 신호를 통해 Common CORESET 설정 정보 및 Common CORESET에 대한 AL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RRC 정보를 통해 UE-specific CORESET 설정 정보와 AL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Common CRESET 설정 정보와 AL 정보가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RRC 정보를 통해 UE-specific CORESET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정보를 통해 AL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AL 정보와 CORESET 설정 정보는 미리 결정되거나 상기 MIB 또는 동기 신호, 시스템 정보, RRC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S320 단계에서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수신된 디코딩 관련 정보에 따라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구체적으로 도 4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S410 단계 내지 S450 단계를 통해 도 3의 디코딩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단말은 S410 단계에서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은 주 동기 신호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물리적 방송 채널 (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부 동기 신호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PBCH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은 SS/PBCH 블록이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420 단계에서 동기화 및 마스터 정보 블록 (master block information: MIB)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상기 MIB 또는 동기 신호를 통해 common CORESET의 위치 정보, 주기 정보, A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정보는 default 값으로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430 단계에서 common CORESET를 통해 공통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common CORESET 내의 search space를 탐색하여 공통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MIB 또는 동기 신호를 통해 확인된 AL 정보 또는 default AL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440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common CORESET를 통해 수신된 공통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mmon CORESET를 통해 수신된 공통 제어 정보에는 시스템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RNTI 정보 (SI-RNTI) 및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단말을 이를 이용해 시스템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 때, 시스템 정보는 최소 시스템 정보 (minimum SI) 중 MIB를 제외한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 (remaining minimum SI: RMSI) 와 그 외 시스템 정보 (other SI: OS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정보에는 CORESET에 대한 설정 정보 또는 AL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정보는 RRC 설정 정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으며, 시스템 정보에는 상기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단말은 S450 단계에서 RRC 연결을 수립 (establish)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RRC 연결 수립 과정에서 수신한 RRC 설정 정보를 통해 CORESET에 대한 설정 정보 또는 A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RRC 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디코딩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460 단계에서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Common CORESET의 UE-specific search space 또는 UE-specific CORESET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획득된 AL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AL 정보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수신되거나 또는 RRC 연결을 수립할 때 수신된 정보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지국은 셀 별로 AL 정보, CORESET 관련 정보 등의 디코딩 관련 정보를 결정하고, 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 관련 정보는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정보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코딩 관련 정보의 일부는 default 값으로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MIB 또는 동기 신호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은 셀 별로 상기 획득된 디코딩 관련 정보를 이용해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주기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CORESET 주기 정보를 CORESET의 모니터링 주기 정보 또는 모니터링 주기 정보 등의 용어로 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ommon CORESET의 주기 정보는 default 값으로 설정되어 있거나, 혹은 MIB 또는 동기 신호를 통해 단말에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주기 정보에 따라 CORESET을 모니터링하여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UE-specific CORESET의 주기 정보는 RMSI/OSI 정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higher layer signaling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ORESET이 slot 내에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된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추가적인 CORESET (예를들어 UE-specific CORESET)이 존재하거나 멀티 빔 (multiple beam) 시나리오에서 고려하는 multiple CORESET 시나리오에서는 CORESET 별로 모니터링 주기가 동일할 수도 있고, CORESET 별로 다른 길이의 주기가 설정 (configuration) 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CORESET의 설계 및 구성에 따라 CORESET 마다 주기를 설정 할 수도 있다. 또한, CORESET은 하나 또는 한 set 형태의 PDCCH candidates 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CORRSET 별로 다른 주기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CORESET 1의 주기 (510)는 CORESET 2의 주기 (520)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으며, CORESET 1의 지속 시간 (515)는 CORESET 2의 지속 시간 (525)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CORESET 별로 다른 설정 정보가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CORESET 별로 서로 다른 AL 정보가 단말에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CORESET 별로 AL 값이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ommon CORESET에서 AL 값이 default로 4, 8로 정해져 있는 경우, 다른 CORESET에서의 AL 값은 1, 2, 16, 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Common CORESET에서 AL 값이 default로 1, 2, 4, 8로 정해져 있는 경우, 다른 CORESET에서의 AL 값은 16, 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일부의 값이 중복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CORESET 세트에 대해 동일한 AL 정보가 단말에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셀 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있으며, 셀이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셀 커버리지에 따라 셀 별로 디코딩 관련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 별로 AL 정보를 결정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a)를 참고하면, A1 CORESET은 common search space (CSS)와 일부 또는 전체 UE-specific search space (US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cell 1은 A1 (610)에서 Common CORESET 구조를 가지며 CSS와 USS를 하나의 CORESET 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AL의 조합은 아래의 표 1처럼 구성될 수 있다. 제안하는 AL의 조합은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고 있는 경우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확장 될 수 있다. 즉, Common CORESET과 UE-specific CORESET의 AL은 하기 표 1처럼 A type과 B type으로 맵핑 될 수 있다. 다만 하기의 표는 AL의 조합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표 1에 개시된 조합 이외에도 사용 가능한 AL 값들을 이용해 다양한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일 실시 예를 들어, Cell 1에서 A1 (610)은 common CORESET에서 모든 aggregation level을 지원하는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AL 16 또는 32는 셀 마다 지원하는 서비스 (eMBB, UR, URLLC, mMTC 등)에 따라서 지원될 수도 있고,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셀 반경에 따라서 NR cell 의 link budget이 좋지 않은 경우 추가적인 AL 16 또는 32를 지원할 수 있다.
셀 특정 설정 (Cell-specific configuration)을 지원함에 있어 AL 16 또는 32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추가 실시 예가 아래와 같이 존재할 수 있다.
도 6 (b)와 도 6 (c)는 common CORESET, UE-specific CORESET 별도 자원으로 설정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를 들어, 도 6 (b)를 참고하면, Cell2에서 A2 (620) 은 common CORESET에서 일부 aggregation level을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A2 (620)에서 AL 값은 4, 8 만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default 로 설정되거나 MIB 또는 동기 신호를 통해 단말에 설정될 수 있으며, 범용적인 DCI size를 고려하는 CSS에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AL 1, 2, 16 또는 32를 UE-specific CORESET 자원 (B1, 625)에서 decoding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A2와 B1이 모두 UE-specific CORESET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A2에서 AL 값이 4, 8만을 지원하도록 RMSI/OSI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설정될 수 있으며, 나머지 AL 1, 2, 16 또는 32를 다른 UE-specific CORESET 자원에서 디코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common CORESET의 AL 값은 default로 결정되어 UE-specific CORESET의 AL 값과 중복될 수 있다.
만일 combination 2에서와 같이 AL 4, 8을 A2 (e.g. CSS) (620)에서 수행하게 되면, B1 (e.g. USS) (625)에서는 AL 1, 2, 16 또는 32를 지원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은 각 Search space가 다른 AL 값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런 조합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고 상기 표 1은 이에 대한 일 예를 표기하고 있다.
다른 실시 예를 들어, 도 6 (c)를 참고하면, Cell3 (630)에서 A3은 common CORESET에서 일부 aggregation level을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A2에서 AL 1, 2, 4, 8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default로 설정되거나 MIB 또는 동기 신호를 통해 단말에 설정될 수 있으며, 범용적인 DCI size를 고려하는 CSS에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A2가 UE-specific CORESET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A2에서 지원되는 AL 값은 RMSI/OSI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설정될 수 있다.
만일 combination 2에서와 같이 AL 1, 2, 4, 8을 A3 (e.g. CSS) (630)에서 수행하게 되면, B2 (e.g. USS) (631)에서는 AL 16을 B3 (633)에서는 32를 지원할 수 있다. 이처럼 각 Search space가 다른 AL 값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런 조합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고 상기 표 1은 이에 대한 일 예를 표기하고 있다.
만일 AL 1, 2, 4, 8을 A3 (e.g. CSS)에서 수행하게 되면, B2 (e.g. USS)에서는 AL 16, 32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B3는 일부 또는 전부의 AL이 overlap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combination 4에서는 B3의 AL 16, 32가 B2의 AL과 전부 겹치도록 (overlap) 설명하고 있으나, 일부만 겹치는 경우 또는 추가적으로 A1 (CSS)의 AL 값과 겹치는 경우 (overlap)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beamforming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TRP가 PDCCH를 송신하고, 단말은 multiple CORESET을 수신하여 디코딩 할 수 있다. 이때, B3의 AL은 B2의 AL의 일부 또는 전부 (US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CSS의 AL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AL 1,2, 16 또는 32는 셀 마다 지원하는 서비스 (eMBB, UR, URLLC, mMTC 등)에 따라서 지원될 수도 있고,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셀 반경에 따라서 NR cell 의 link budget이 좋지 않은 경우 추가적인 AL 1, 2, 16 또는 32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B2 B3이 제안되는 이유는 1 slot 내에 maximum decoding 횟수가 LTE기준의 44번 미만으로 동작하도록 합의되었기 때문에 단말의 불필요하게 수행되는 decoding을 줄이고자함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셀 별로 CORESET을 구분하여 AL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UE specific 도 가능함).
이와 같이 셀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또는 커버리지 성능을 고려하여 셀 별로 CORESET에 따른 적절한 AL을 설정하고, CORESET 별로 모니터링 주기를 구분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단말의 디코딩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셀 별로 결정된 정보를 단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개별적으로 전송하거나, 방송 정보를 이용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셀 별로 결정된 디코딩 관련 정보 (Cell-specific configuration)을 이용하여 AL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브로드 캐스트 (broadcast) 또는 멀티 캐스트 (multicast) 되는 signal (채널)을 이용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 (initial) 과정에서 단말은 default AL (e.g. 4 또는 8)이 설정되거나 MIB 또는 동기 신호를 통해 AL 값이 설정된 Common CORESET에서 공통 제어 정보의 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이를 기반으로 RMSI 또는 OSI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RMSI 또는 OSI 정보에 UE-specific CORESET 또는 Common CORESET의 UE-specific search space 에 대한 AL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은 이후에 존재하는 PDCCH decoding 시에 해당 셀에서 지원하는 max AL 정보를 기반으로 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1. Common CORESET 내부에 UE-specific search space가 모두 포함된 경우
일 실시 예에서 cell 1에 access/attach 하기 위한 단말은 해당 CORESET (A1)에 있어서 RRC connected 이전에는 default 값으로 설정된 AL (e.g. 1, 2, 4,8) 값을 이용하여 공통 제어 정보의 디코딩 수행하거나 최대 AL 값 (maximum AL) (e.g. 8)까지 공통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Common CORESET의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최대 AL 값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MIB 또는 동기 신호를 통해). 또는, 기지국은 Common CORESET의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특정 AL 값 또는 AL 값의 집합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AL 값의 조합에 대한 매핑 정보가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지국은 AL 값의 조합에 대한 인덱스 값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AL 값을 전송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전반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AL 값 또는 AL 값의 조합이 table의 형태로 결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지국은 상기 table에서 해당 AL 값의 조합에 대한 인덱스 값을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기지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최대 AL 값을 단말에 알려주거나, 사용할 AL 값의 개수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사용할 AL 값의 개수를 알려주는 경우, 단말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사용할 AL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은 가장 작은 값부터 사용할 AL 값을 결정하도록 정해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RRC connected 이후 단말은 동일한 CORESET에서 AL 값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ommon CORESET의 UE-search pace에 대한 AL 값 (예를 들어, 16 또는 32)는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인 전송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단말은 CORESET A1의 위치를 동기 신호 블록 (SSB) 정보 또는 이와 연계된 정보, 미리 정해진 위치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2. Common CORESET 내부에 UE-specific search space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다른 실시 예에서, cell 2에 access/attach/camp on하기 위한 단말은 해당 CORESET (A2)에 있어서 RRC connected 이전에는 default 값으로 설정된 AL 값을 이용하여 공통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수행하거나 또는 maximum AL까지 공통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CORESET (A2)에 대한 AL 값을 수신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단말은 공통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RMSI 정보를 기반으로 CORESET (B1)에서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RMSI 정보 또는 OSI 정보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AL 값을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은 이를 이용해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각 CORESET A2의 위치를 동기 신호 블록 (SSB) 정보 또는 이와 연계된 정보, 또는 단말의 가정(spec)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단말은 B2의 위치를 RRC 수립 단계에서 설정된 정보 또는 group common PDCCH 수신을 통해 알 수도 있다 (L1 signaling). 즉, RRC 수립 단계에서 기지국은 B1의 위치와 함께 AL을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으며, (UE-specific configuration of AL for CORESET) B1의 위치만 RRC 수립단계에서 설정해주고 AL과 CORESET의 지원 또는 맵핑 관계는 RMSI 정보에 포함시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추가로 group common PDCCH도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3. Common CORESET 내부에 UE-specific search space가 일부 포함된 경우
다른 실시 예에서 , cell 3에 access/attach/camp on하기 위한 단말은 해당 CORESET (A3)에 있어서 RRC connected 이전에는 default AL 값을 이용하여 공통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수행하거나 또는 maximum AL까지 공통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CORESET (A2)에 대한 AL 값을 수신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단말은 공통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RMSI 정보를 기반으로 CORESET (B2)에서 제어 정보의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B3는 중복되는 AL을 지원하여 beamforming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TRP가 PDCCH를 통해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단말은 multiple CORESET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 할 수 있다. 이때, B3의 AL 값은 B2의 AL 값의 일부 또는 전부(US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CSS의 AL 값을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symbol level의 CORESET의 디코딩 만으로도 어느 정도의 slot 내의 특정 서비스를 유지 및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각 CORESET A3의 위치를 SSB 정보 또는 이와 연계된 정보, 또는 단말의 가정(spec)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단말은 B2/B3의 위치를 RRC 수립 단계에서 설정된 정보 또는 group common PDCCH 수신을 통해 알 수도 있다. (L1 signaling).
즉, RRC 수립 단계에서 기지국은 B2, B3의 위치와 함께 AL을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으며, (UE-specific configuration of AL for CORESET) B2, B3의 위치만 RRC 수립단계에서 설정해주고 AL과 CORESET의 지원 또는 맵핑 관계는 RMSI 정보에 포함시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추가로 group common PDCCH도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주기는 CORESET 별로 설정될 수 있다. 모니터링 주기의 설정 방법은 Common CORESET, UE-specific CORESET 의 구조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들어, Common CORESET와 UE-specific CORESET이 하나의 CORESET내에 포함되면 모니터링 주기는 동일한 주기 (p1)로 설정될 수 있다. 만일 Common CORESET과 UE-specific CORESET이 별도의 자원에 설정되면, 모니터링 주기는 각각 다른 주기 p1, p2로 설정 될 수 있다. 이때 p1과 p2의 값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정 방법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모니터링 주기는 각 PDCCH의 candidate(s) 마다 설정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들어, AL의 값마다 별도로 모니터링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설정될 수 있는 주기의 예와 실제 셀에서 적용된 PDCCH의 candidate의 AL별로 구분한 경우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표 2는 AL 별로 구분된 모니터링 주기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표 2에 개시된 AL 값과 모니터링 주기의 조합 이외에도 다양하게 AL 값과 모니터링 주기를 조합하여 AL 값 별로 모니터링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지국은 표 2에서 설명하는 방법 이외의 방법을 이용해 모니터링 주기를 단말에 설정할 수도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 따르면, aggregation level이 8로 설정된 경우 모니터링 주기는 1, 2 또는 3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aggregation level의 값과 모니터링 주기에 대한 관계가 미리 매핑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단말은 aggregation level 값을 이용해 모니터링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표 2와 같이 다수의 모니터링 주기가 매핑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중 어떤 값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모니터링 주기는 SSB정보 및 이와 연계된 정보, 단말의 가정(spec)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RRC 수립 단계에서 설정된 정보 또는 group common PDCCH 수신을 통해 알 수도 있다 (L1 signaling). 다른 실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주기는 RMSI/OSI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PDCCH의 candidate AL 별로 설정 방법은 common CORESET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주기를 설정하는 방법이 상기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기지국은 CORESET 별로 AL 값과는 별도로 모니터링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모니터링 주기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기지국은 CORESET 별로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가능한 모니터링 주기가 슬롯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기지국은 이 중 어느 하나의 모니터링 주기를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설정할 수 있는 모니터링 주기가 정해져 있지 않고 기지국을 설정하고자 하는 모니터링 주기의 길이를 슬롯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비트 정보 등을 이용해 단말에 알릴 수도 있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은 모니터링 주기를 설정하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모니터링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셀에 접속하는 단말 별로 설정해야 하는 CORESET 의 Aggregation level을 셀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또는 커버리지 성능을 고려하여 셀 별로 설정함으로써 설정 overhead를 줄일 수 있다. 또한, CORESET 의 자원 할당에 따라 적합한 AL을 배치(설정)하여 단말의 PDCCH 디코딩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모니터링 주기를 CORESET 별 또는 AL 별로 구분하도록 하여 디코딩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디코딩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S710 단계에서 SS/PBCH 블록을 송신하고, S711 단계에서 제1 CORESET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1 CORESET은 common CORESET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CORESET을 전송하는 과정은 제1 CORESET을 통해 공통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미리 정해진 default AL 값에 기반하여 공통 제어 정보를 전송하거나, 제1 CORESET에 대한 AL을 결정하고 이를 이용해 공통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공통 제어 정보에는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기지국은 S712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RMSI 정보와 OSI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기지국은 S713 단계에서 RRC 연결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관련 정보에는 제2 CORESET 설정 정보 및 AL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CORESET 설정 정보는 제2 CORESET의 위치 및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AL 정보는 셀 별로 결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AL 정보는 단말 별로 설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CORESET과 제2 CORESET이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반드시 구분되도록 한정하지는 않는다.
셀 별 또는 단말 별로 결정된 AL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제2 CORESET (또는 제1 CORESET의 UE-specific search space)에서 AL 정보를 이용해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단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디코딩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를 참고하면, 단말은 S720 단계에서 SS/PBCH 블록을 수신하고, S721 단계에서 등기화 및 MIB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722 단계에서 제1 CORESET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4의 S410 내지 S430 단계와 동일하다. 이 때, 제1 CORESET은 common CORESET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CORESET을 수신하는 과정은 제1 CORESET을 통해 공통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미리 정해진 default AL 값에 기반하여 공통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1 CORESET에 대한 AL을 SS/PBCH 블록을 통해 수신하고 이를 이용해 공통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통 제어 정보에는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단말은 S723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RMSI 정보와 OSI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도 4의 S440 단계와 동일하다.
그리고, 단말은 S724 단계에서 RRC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제2 CORESET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AL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AL 정보는 제2 CORESET에서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CORESET의 common search space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CORESET 설정 정보는 제2 CORESET의 위치 및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AL 정보는 셀 별로 결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AL 정보는 단말 별로 설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셀 별 또는 단말 별로 결정된 AL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따라서, 단말은 RRC 설정 정보를 통해 AL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725 단계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상기 AL 정보 및 CORESET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제2 CORESET (또는 제1 CORESET의 UE-specific search space)에서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서 설명한 과정의 수행 순서 및 세부 동작의 포함 여부를 다르게 하여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면의 일부 구성 요소만을 포함하여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셀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디코딩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S810 단계에서 SS/PBCH 블록을 송신하고, S811 단계에서 제1 CORESET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기지국은 S812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시스템 정보에는 AL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셀 별로 AL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단말에 AL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AL 정보는 제2 CORESET에서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CORESET의 common search space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AL 정보는 RMSI 정보 또는 OSI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L 정보는 셀 별로 결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AL 정보는 단말 별로 대해 설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셀 별 또는 단말 별로 결정된 AL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S813 단계에서 RRC 연결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관련 정보에는 제2 CORESET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CORESET 설정 정보는 제2 CORESET의 위치 및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CORESET 설정 정보가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제2 CORESET (또는 제1 CORESET의 UE-specific search space)에서 상기 AL 정보를 이용해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셀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디코딩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를 참고하면, 단말은 S820 단계에서 SS/PBCH 블록을 수신하고, S821 단계에서 등기화 및 MIB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822 단계에서 제1 CORESET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단말은 S823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AL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AL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824 단계에서 RRC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제2 CORESET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CORESET 설정 정보는 제2 CORESET의 위치 및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S825 단계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AL 정보 및 CORESET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제2 CORESET (또는 제1 CORESET의 UE-specific search space)에서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서 설명한 과정의 수행 순서 및 세부 동작의 포함 여부를 다르게 하여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면의 일부 구성 요소만을 포함하여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RRC 연결을 수립한 뒤에 AL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자원에 설정된 CORESET을 통해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단말은 S910 단계에서 SS/PBCH 블록을 수신하고, S920 단계에서 등기화 및 MIB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930 단계에서 제1 CORESET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단말은 S940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723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RMSI 정보와 OSI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단말은 S950 단계에서 RRC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제2 CORESET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CORESET 설정 정보는 제2 CORESET의 위치 및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CORESET 정보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은 S960 단계에서 AL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AL 정보는 제2 CORESET에서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CORESET의 common search space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를 이용해 AL 정보를 브로드 캐스팅하거나, RRC 연결 수립 단계에서 RRC 설정 정보를 이용해 AL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설정 정보를 통해 수신된 AL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AL 정보는 셀 별 또는 단말 별로 결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단말은 S970 단계에서 제2 CORESET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CORESET을 수신하는 과정은, 제2 CORESET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에서 확인된 제2 CORESET 설정 정보와 AL 정보를 이용하여 제2 CORESET에서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한편, 한편, 도 7a 및 도 7b에서 설명한 과정의 수행 순서 및 세부 동작의 포함 여부를 다르게 하여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면의 일부 구성 요소만을 포함하여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AL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시스템 정보를 통해 AL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RRC 연결 수립 이전에 AL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내용은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부 구성 요소들을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 (1010), 제어부 (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는 인스트럭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매체는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으며, 상기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는 경우 그 형태에 제약이 없다.
송수신부 (1010)는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010)는 단말에 동기 신호 블록,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 (102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10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020)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관련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지국은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상기 송수신부 (10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0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 (1030), 제어부 (10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는 인스트럭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매체는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으며, 상기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는 경우 그 형태에 제약이 없다.
송수신부 (1030)는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030)는 단말에 동기 신호 블록,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04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104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040)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은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상기 송수신부 (10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04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 및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정보 또는 상기 RRC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을 포함하는 디코딩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레벨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제2 제어 자원 세트와 동일한 셀에 포함된 제1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해 결정된 집합 레벨과 중복되지 않도록 셀 별로 결정되며,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공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레벨은 상기 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또는 상기 셀의 커버리지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코딩 단계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서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위치 정보 또는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는 상기 RRC 설정 정보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집합 레벨은 상기 RRC 설정 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을 포함하는 디코딩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레벨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제2 제어 자원 세트와 동일한 셀에 포함된 제1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해 결정된 집합 레벨과 중복되지 않도록 셀 별로 결정되며,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공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레벨은 상기 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또는 상기 셀의 커버리지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서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위치 정보 또는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RRC 설정 정보를 통해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는 전송하고, 상기 RRC 설정 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집합 레벨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시스템 정보 및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 또는 상기 RRC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을 포함하는 디코딩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레벨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제2 제어 자원 세트와 동일한 셀에 포함된 제1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해 결정된 집합 레벨과 중복되지 않도록 셀 별로 결정되며,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공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레벨은 상기 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또는 상기 셀의 커버리지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서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위치 정보 또는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는 상기 RRC 설정 정보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집합 레벨은 상기 RRC 설정 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시스템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을 포함하는 디코딩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레벨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제2 제어 자원 세트와 동일한 셀에 포함된 제1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해 결정된 집합 레벨과 중복되지 않도록 셀 별로 결정되며,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공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레벨은 상기 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또는 상기 셀의 커버리지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서 상기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는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위치 정보 또는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RRC 설정 정보를 통해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설정 정보는 전송하고, 상기 RRC 설정 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집합 레벨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70128170A 2017-09-29 2017-09-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20190038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70A KR20190038112A (ko) 2017-09-29 2017-09-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16/647,292 US11425694B2 (en) 2017-09-29 2018-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8/011530 WO2019066557A1 (ko) 2017-09-29 2018-09-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17/871,304 US11785601B2 (en) 2017-09-29 2022-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220131760A KR20220146374A (ko) 2017-09-29 2022-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18/482,355 US20240040570A1 (en) 2017-09-29 2023-10-06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70A KR20190038112A (ko) 2017-09-29 2017-09-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760A Division KR20220146374A (ko) 2017-09-29 2022-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112A true KR20190038112A (ko) 2019-04-08

Family

ID=659021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170A KR20190038112A (ko) 2017-09-29 2017-09-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20220131760A KR20220146374A (ko) 2017-09-29 2022-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760A KR20220146374A (ko) 2017-09-29 2022-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425694B2 (ko)
KR (2) KR20190038112A (ko)
WO (1) WO2019066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112A (ko) * 2017-09-29 201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11979233B2 (en) * 2019-02-08 2024-05-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11695527B2 (en) 2019-11-05 2023-07-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reset search area optim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2657B1 (en) 2003-06-13 2009-01-2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Balanced cells with fabrication mismatches that produce a unique number generator
KR20130050024A (ko)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dcch 매핑 및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191997B2 (ja) * 2012-03-06 2017-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736829B2 (en) * 2013-10-14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management in an unlicensed or shared spectrum
EP3139684B1 (en) * 2014-04-28 2020-08-19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2073166B (zh) * 2015-01-28 2023-10-1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Wtru及其实施的方法
CN107432008B (zh) * 2015-04-10 2021-01-08 诺基亚技术有限公司 Epdcch搜索空间确定
US11496872B2 (en) * 2015-11-06 2022-11-08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spaces and grants in eMTC
WO2017160100A2 (ko) 2016-03-16 201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60120B2 (en) * 2016-05-11 2020-05-19 Lg Electronics Inc. Downlink signal recep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and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US10880167B2 (en) * 2017-03-10 2020-12-29 Qualcomm Incorporated High reliability low latency configu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N109429554B (zh) * 2017-06-16 2022-04-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确定调度信令盲检次数的方法、装置、用户设备和基站
US10637622B2 (en) * 2017-06-27 2020-04-28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reference signals for multiple search spaces within a control resource set
KR20190038112A (ko) * 2017-09-29 201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21439A1 (en) 2020-07-09
US20220361163A1 (en) 2022-11-10
KR20220146374A (ko) 2022-11-01
US11785601B2 (en) 2023-10-10
US11425694B2 (en) 2022-08-23
US20240040570A1 (en) 2024-02-01
WO2019066557A1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52666B (zh) 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和基站及其执行的方法
ES2870475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realizar monitorización de enlace de radio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US8548483B2 (en) Feedback mapping for D2D control signals
US115642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402310B2 (ja) 動的スペクラム共有を伴う非コヒーレント共同送信のためのレートマッチング
US10645722B2 (e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broadband service
KR201900374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109548A1 (en) Methods to support inter-enodeb comp
JP2015518305A (ja) 拡張型物理ダウンリンク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サーチスペースの設定方法
KR2022014637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202303008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ci state activation and codepoint to tci state mapping
CN111819811B (zh) Nb-iot tdd网络中发信号通知频率偏移的方法和装置
US10805039B2 (en) Rate matching behavior for bundled CORESETs
KR201601189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016953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8012536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자원영역 설정 및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N117241279A (zh) 波束配置方法、移动台和基站
US202203302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etitive transmission of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s
EP4014528A1 (en) Long term evolution-m resource reservation using bitmap
KR2018004997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1670592A (zh) 用户设备请求的下行链路导频
RU2767780C1 (ru) Выбор ресурсов физического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pucch) до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на уровне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ресурсами (rrc)
KR2018003556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 간섭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53174A (ko) Mu-mimo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