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558A -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558A
KR20190037558A KR1020170127031A KR20170127031A KR20190037558A KR 20190037558 A KR20190037558 A KR 20190037558A KR 1020170127031 A KR1020170127031 A KR 1020170127031A KR 20170127031 A KR20170127031 A KR 20170127031A KR 20190037558 A KR20190037558 A KR 20190037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quality
user terminal
management server
use facility
qualit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형서
Original Assignee
구형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형서 filed Critical 구형서
Priority to KR102017012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558A/ko
Publication of KR20190037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주차장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의 입주자나 이용자(출입자)에게 측정한 공기질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파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은,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출력하는 공기질 센서;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출력한 공기질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현장 출력장치를 제어하여 공기질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공기질 관리서버; 및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현장에 설치되고 공기질 관리서버의 제어에 의해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나 입주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측정치(공기질 데이터)가 기준치보다 높거나 공기질의 상태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소리(음성)나 점등(점멸)으로 안내 및 대피를 유도하는 현장 출력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및 방법 {Air Quality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of Multi-use Facilities}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주차장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의 입주자나 이용자(출입자)에게 측정한 공기질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파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건축물 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실내공기질은 사람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한정된 공간 속에서 인공적인 설비를 통하여 순환되는 오염된 공기에 노출되거나, 환기설비가 없는 밀폐된 공간에서 오랫동안 생활함으로써 각종 인체 유해 오염물질들을 흡입하여 각종 호흡기 관련 질환에 시달리고 있는 - 점점 더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 현대인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실내 환경문제가 국민건강의 주요 이슈로 부각되면서 주요 오염물질에 대한 실시간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경제적 수준과 과학의 발달에 따라 복잡하고 다양한 생활용품, 건축 내장재 등으로부터 다양한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등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는 거주자들로부터 빌딩 증후군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환기가 잘되지 않는 건물, 지하철, 지하시설, 실내 주차장 등의 공기가 외부의 대기보다 더욱 심각한 것으로 사례가 발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해 국가가 주체가 되어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환경법은 주로 외부환경의 오염문제에 초점을 두었으나 배출규제 중심의 법제로는 실내공기오염 문제를 규제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어, 실내공기질 관리법이 개정되고 범정부적으로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다중이용시설 공기질 관리를 의무화하고 있다.
상기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포함되는 법적 대상 시설인 주요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국립환경과학원과 한국환경 공단에서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TMS)을 운영하여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즉, 이미 TMS를 통해 실내 대기질을 외부의 기관 혹은 사무실로 보내고 있으나, 이는 관리가 되고 있는 지를 주기적으로 관리만 할 뿐 당장 현장에 있는 시민들에게는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공개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법제화(규제)는 최소한의 요구사항이므로 실제로 시민들의 편의나 알권리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인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제10-2016-0101493호(공개일자 2016년08월25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내 주차장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의 입주자나 이용자에게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파하고 그에 따라 담당 기관 또는 해당 다중이용시설의 입주자나 이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시민의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은,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출력하는 공기질 센서;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출력한 공기질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현장 출력장치를 제어하여 공기질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공기질 관리서버; 및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현장에 설치되고 공기질 관리서버의 제어에 의해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나 입주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측정치(공기질 데이터)가 기준치보다 높거나 공기질의 상태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소리(음성)나 점등(점멸)으로 안내 및 대피를 유도하는 현장 출력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질 센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입주자나 이용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공기질 센서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공기질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현장에 설치되어 ID를 표시하는 태그와,
상기 태그를 태깅하여 ID를 읽어오거나 ID를 입력하여 공기질 관리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공기질 관리서버로부터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받는 사용자 단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그는 바코드나 QR코드 또는 숫자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태그와, NFC나 블루투스 비콘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태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공기질 관리서버에서 전송하는 공기질 데이터의 시간이 정상적인 보고주기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공기질 센서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무선 태그의 태깅시 무선 태그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무선 태그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비콘은 누름이 가능한 버튼형 비콘으로서 사용자 단말과의 설정을 통해 블루투스 비콘의 누름 동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의 공기질 데이터 수신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태그와 태깅한 시점을 기준으로 다중이용시설 내부의 인원을 계산하여 비상 발생시에 인원수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은,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된 공기질 센서에서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공기질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에서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해서 측정치(수신된 공기질 데이터)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측정치가 기준치 이내에 있는 경우 현장 출력장치를 제어하여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현장 출력장치를 제어하여 스피커나 경광등을 통해 소리(음성)나 점등(점멸)으로 안내 및 대피를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은,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된 공기질 센서에서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수치화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은,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된 공기질 센서에서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공기질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현장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하여 ID를 읽어오거나 ID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태그의 ID로 사용자가 현장에 있음을 확인하여 공기질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한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질 센서가 인식하는 범위를 벗어나거나 고장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냄새(악취), 연기, 의심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태그와의 태깅으로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앱을 통해 신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은,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된 공기질 센서에서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공기질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백그라운드 앱과 무선 태그의 일종인 버튼형 블루투스 비콘(이하 버튼형 비콘)이 페어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백그라운드 앱에서 버튼형 비콘의 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버튼형 비콘에서 방송중인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질 데이터 수신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가 버튼형 비콘을 누른 경우 버튼형 비콘이 동작하여 설정된 누름패턴에 대응되는 비콘신호를 방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비콘신호에 해당하는 등록된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하고, 등록된 서비스 즉, 공기질 관리서버가 전송하는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한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실내 주차장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의 입주자나 이용자에게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파하고 그에 따라 담당 기관 또는 해당 다중이용시설의 입주자나 이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시민의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버튼형 비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설명 및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은 공기질 관리서버(10), 사용자 단말(20), 현장 출력장치(30), 관리자 단말(40), 태그(50) 및 공기질 센서(60a,…,60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질 센서(60a,…,60n)는 실내 주차장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되고 각각 고유의 ID가 부여되며,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고유의 ID와 함께 공기질 관리서버(10)에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한다.
상기 공기질 센서(60a,…,60n)는 예를 들어 미세먼지(PM10)(단위: ug/m3)와 초미세먼지((PM10)(단위: ug/m3)는 광산란(적외선) 검출 방식으로 측정하고, 일산화탄소(CO)(단위: ppm)는 전기화학식으로 측정하며, 이산화탄소는(CO2)(단위: ppm)는 비분산적외선(NDIR) 검출 방식으로 측정하며, 휘발성유기화합물(TVOCs)(단위: ug/m3)은 금속산화물반도체(MOS) 방식으로 측정하며, 포름알데히드(HCHO)(단위: ug/m3)는 전기화학식으로 측정하며, 온도(단위: ℃)는 반도체(Band Gap) 방식으로 측정하며, 습도(%)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측정하며, 조도(단위: lux)는 포토다이오드 방식으로 측정하며, 소음(단위: dB)은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마이크로폰 방식으로 측정하며, 기타 기압(단위: mbar)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공기질 센서(60a,…,60n)는 유선뿐만 아니라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측정된 공기질 데이터를 직접 무선 전송한다.
공기질 관리서버(10)는 공기질 센서(60a,…,60n)에서 보내온 실내 공기질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시간, 일, 주, 월 단위로 통계(평균)를 내어 자료나 리포트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10)는 DB(12)를 구비하여 실내 공기질 수집 데이터와 분석 데이터, 통계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10)는 실내 공기질의 수집, 분석, 통계에 의해 획득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공간별 오염 원인을 찾아내고, 그 오염 경로를 추적하며, 측정치가 기준치보다 높거나 공기질의 상태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현장 출력장치(30)를 이용해 경광등, 소리, 음성 등으로 이를 알리거나 대피를 유도한다.
또한,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10)는 별도로 구비된 실외의 공기질 센서(미도시)로부터 실외 공기질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내 공기질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장 출력장치(30)를 통해 현재 공기질 데이터, 실내 쾌적 지수 및 공간별 오염 수치와 같은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표시하여 입주자나 이용자(방문자)를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10)는 공기질 센서(60a,…,60n)로부터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여 정상적인 보고주기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공기질 센서(60a,…,60n)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를 관리자 단말(40)에 통보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20)은 다중이용시설의 입주자(근무자)나 이용자(방문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무선) 등의 단말로서 앱을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공기질 센서(60a,…,60n)의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은 진동이나 소리로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0)에서 수신한 공기질 센서를 다른 사용자 단말이나 공기질 관리서버(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현장에 구비된 이미지 태그(52)나 무선 태그(54)의 태깅에 의해 ID를 읽거나 입력해서 공기질 관리서버(10)에 전송하고, 공기질 관리서버(10)는 사용자가 현장에 있다는 것을 태그의 정보(ID)를 통해 확인하여 해당 다중이용시설(태그)의 공기질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에서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은 현재시간과 공기질 관리서버(10)가 전송하는 공기질 데이터의 시간을 비교하여 시간이 정상적인 보고주기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공기질 센서(60a,…,60n)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를 공기질 관리서버(10)에 보고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태그(54)의 태깅시 무선 태그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무선 태그(54)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를 공기질 관리서버(10)에 보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무선 태그(54)가 블루투스 비콘인 경우 블루투스 비콘과의 설정에 의해 공기질 데이터 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상세히 후술한다.
이때 사용자가 현장에서 태깅하고 무선태깅 정보를 받기 때문에 사용자가 반드시 그 현장에 있다는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깅의 경우에 태깅한 시점 기준으로 인원이 계산이 되고, 무선 태그(비콘)의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신호를 수신하게 되므로 신호 수신 범위 내에 있는 사람의 숫자 즉, 인원수를 확인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유독가스나 화재의 발생시에 소방관들이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인원에 대한 위치와 숫자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중이용시설의 현장에 있음을 공기질 관리서버(10)에게 알리기 위한 태그(50)는 이미지 태그(52)와 무선 태그(54)로 이루어지고 다중이용시설 곳곳에 부착되거나 구비된다.
상기 이미지 태그(52)는 바코드나 QR코드 또는 숫자 등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공기질 관리서버(10)에 현장에 있음을 알리기 위해 사용자 단말(20)로 이미지 태그를 태깅하여 ID를 읽어오거나 ID를 입력해서 공기질 관리서버(10)에 전송한다.
상기 무선 태그(54)는 NFC나 블루투스 비콘 등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공기질 관리서버(10)에 현장에 있음을 알리기 위해 사용자 단말로 무선 태그를 태깅하여 ID를 읽어 공기질 관리서버(10)에 전송한다.
현장 출력장치(30)는 다중이용시설의 현장에 설치되고 공기질 관리서버(10)의 제어에 의해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나 입주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경광등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20)의 제어에 의해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스피커, 경광등은 측정치가 기준치보다 높거나 공기질의 상태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소리(음성)나 점등(점멸) 등으로 안내 및 대피를 유도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는 내부에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하여 공기질 센서(60a,…,60n)로부터 직접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수치화해서 표시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40)은 다중이용시설의 관리자나 공기질 관리서버(10)의 관리자 또는 현장 담당자 등이 소유하는 단말로서, 관리자 단말 정보가 공기질 관리서버(10)에 등록되어 태그(50)나 공기질 센서(60a,…,60n)의 이상 발생시 공기질 관리서버(10)에서 관리자 단말(40)에 이를 통보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공기질 센서, 공기질 관리서버, 현장 출력장치 및 관리자 단말로 구성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공기질 센서(60a,…,60n)는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의 ID와 함께 공기질 관리서버(10)에 전송한다(S20).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10)는 다수의 공기질 센서(60a,…,60n)에서 전송한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되, 설정된 소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S21),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공기질 데이터를 전송한 공기질 센서(60a,…,60n)의 고장이라고 판단하여(S24) 이를 관리자 단말(40)에 통보한다(S24).
공기질 관리서버(10)는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공기질 데이터 즉, 측정치와 기준치를 비교하여(S22) 측정치가 기준치 이내에 있는 경우 현장 출력장치(30)를 제어하여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S23),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현장 출력장치(30)를 제어하여 스피커나 경광등을 통해 소리(음성)나 점등(점멸) 등으로 안내 및 대피를 유도한다(S26).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 공기질 센서, 사용자 단말, 공기질 관리서버 및 관리자 단말로 구성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공기질 센서(60a,…,60n)는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의 ID와 함께 사용자 단말(20)에 직접 전송한다(S30).
사용자 단말(20)은 다수의 공기질 센서(60a,…,60n)에서 전송한 공기질 데이터를 앱을 통해 직접 수신하고 이를 진동이나 소리를 통해 사용자게 알리는 한편 설정된 소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며(S31),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공기질 데이터를 전송한 공기질 센서의 고장이라고 판단하여(S34) 이를 ID와 함께 공기질 관리서버(10)에 보고하고(S35), 공기질 관리서버(10)는 이를 관리자 단말(40)에 통보한다(S36).
상기 S31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앱을 통해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해서 화면에 표시한다(S32).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필요한 경우 공기질 관리서버(10)나 다른 사용자 단말에 공기질 데이터를 전달한다(S33).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공기질 센서, 공기질 관리서버, 태그,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로 구성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공기질 센서(60a,…,60n)는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의 ID와 함께 공기질 관리서버(10)에 전송한다(S40).
공기질 관리서버(10)는 다수의 공기질 센서(60a,…,60n)에서 전송한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한다(S41).
한편, 다중이용시설의 입주자나 이용자가 해당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현장에 구비된 태그(50)를 사용자 단말(20)로 태깅하여 ID를 읽어오거나 ID를 직접 입력하여(S42) 공기질 관리서버(10)에 전송한다(S43).
이때, 무선 태그(54)의 태깅시 무선 태그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무선 태그(54)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를 공기질 관리서버(10)에 보고할 수도 있다.
공기질 관리서버(10)는 태그의 ID로 사용자가 현장에 있음을 확인하여 공기질 데이터를 태그 ID를 보내온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에서 이를 수신하며 진동이나 소리를 통해 사용자게 공기질 데이터 수신 사실을 알린다(S44).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은 현재시간과 공기질 관리서버(10)가 전송하는 공기질 데이터의 시간을 비교하여(S45) 시간이 정상적인 보고주기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공기질 센서(60a,…,60n)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S47) 이를 공기질 관리서버(10)에 보고하고(S48), 공기질 관리서버(10)는 이를 관리자 단말(40)에 통보한다(S49).
상기 S45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설정된 소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앱을 통해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해서 화면에 표시한다(S46).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정보 공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버튼형 비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공기질 센서, 블루투스 비콘의 무선 태그, 사용자 단말, 공기질 관리서버 및 관리자 단말로 구성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공기질 센서(60a,…,60n)는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의 ID와 함께 공기질 관리서버(10)에 전송한다(S50).
공기질 관리서버(10)는 다수의 공기질 센서(60a,…,60n)에서 전송한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한다(S51).
한편, 블루투스 비콘(54)과 사용자 단말(20) 간의 설정을 통해 블루투스 비콘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의 공기질 데이터 수신을 제어할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블루투스 비콘은 누름이 가능한 버튼형 비콘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먼저 사용자 단말(20)의 백그라운드 앱과 버튼형 비콘(54)이 페어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백그라운드 앱에서 버튼형 비콘(54)의 동작을 설정한다(S55).
다음 상기 사용자 단말(20)이 버튼형 비콘(54)에서 방송중인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질 데이터 수신서비스에 대해 설정한다(S56).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형 비콘(54)을 누른 경우 버튼형 비콘(54)이 동작하여 누름패턴에 대응되는 비콘신호를 방송한다(S57).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패턴 A는 4개의 자릿수 모두 짧은 신호 4개의 조합(­­­­)으로서 어머니에 전화하는 서비스이고, 누름패턴 S는 긴 신호, 짧은 신호, 짧은 신호, 긴 신호의 조합(―­­―)으로서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비스로 설정된 것이라 가정한다.
사용자가 버튼형 비콘(54)을 누름패턴 A로 누르면 버튼형 비콘(54) 내부의 제어부에서 누름패턴 A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비콘신호 A를 찾아 방송한다.
비콘신호 A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에서는 비콘신호 A에 해당하는 등록된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하고, 등록된 서비스 즉, 저장된 어머니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건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에는 어머니의 전화번호가 기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버튼형 비콘(54)을 누름패턴 S로 누르면 버튼형 비콘(54) 내부의 제어부에서 이를 인식하여 누름패턴 S에 대응되는 비콘신호 S를 방송한다.
비콘신호 S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에서는 비콘신호 S에 해당하는 등록된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하고, 등록된 서비스 즉, 공기질 관리서버(10)가 전송하는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한다(S52).
이때 사용자 단말(20)은 진동이나 소리를 통해 사용자게 공기질 데이터 수신 사실을 알린다.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은 현재시간과 공기질 관리서버(10)가 전송하는 공기질 데이터의 시간을 비교하여(S53) 시간이 정상적인 보고주기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공기질 센서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S58) 이를 공기질 관리서버(10)에 보고하고(S59), 공기질 관리서버(10)는 이를 관리자 단말(40)에 통보한다(S60).
상기 S53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설정된 소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앱을 통해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해서 화면에 표시한다(S54).
도 5에서 설명한 버튼형 비콘의 기능 이외에 비콘 신호의 혼재를 막기 위해 평시에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버튼을 누를 때만 비콘 신호를 송신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가 현장에 있다는 것을 부모나 등록번호에 전달하거나, 버튼을 누름으로써 실내 공기질의 나쁨이나 위험을 스마트폰과 연계해서 외부에 긴급하게 전달하거나 신고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공기질 센서가 인식하는 범위를 벗어나거나 혹은 고장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냄새(악취), 연기, 혹은 의심상황 등의 정보를 사용자 앱에서 신고할 수도 있다.
이때 현장의 위치 확인은 태그를 이용하여 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냄새의 종류를 나열하여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냄새의 종류나 현장의 상황을 공기질 관리서버(10)나 소방서(119) 또는 관리자 단말(40)에 앱을 통해 신고할 수도 있다.
도 6의 누름패턴 A처럼 버튼 비콘(54)을 눌러 전화를 걸게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에 번호가 기저장되는 것이 맞지만, 위와 같이 고장이나 위험상황 전파 등의 신고의 목적이라면 비콘신호 메시지 내에 전화번호나 원격지의 IP주소나 URL을 담을 수 있으므로 비콘 메시지를 활용하면 된다.
즉, 버튼 비콘(54)이 사용자 정의 비콘이고 사용자 단말(20)의 앱이 사용자 정의 앱이어서 개인화된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20)에 정보(전화번호)를 저장하면 되고, 공용화된 서비스는 비콘신호의 메시지에 전화번호나 URL이나 정보를 담으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공기질 관리서버 20: 사용자 단말
30: 현장 출력장치 40: 관리자 단말
50: 태그 52: 이미지 태그
54: 무선 태그 60a,…,60n: 공기질 센서

Claims (12)

  1.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출력하는 공기질 센서;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출력한 공기질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현장 출력장치를 제어하여 공기질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공기질 관리서버; 및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현장에 설치되고 공기질 관리서버의 제어에 의해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나 입주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측정치(공기질 데이터)가 기준치보다 높거나 공기질의 상태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소리(음성)나 점등(점멸)으로 안내 및 대피를 유도하는 현장 출력장치;
    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센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입주자나 이용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공기질 센서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공기질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현장에 설치되어 ID를 표시하는 태그와,
    상기 태그를 태깅하여 ID를 읽어오거나 ID를 입력하여 공기질 관리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공기질 관리서버로부터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받는 사용자 단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바코드나 QR코드 또는 숫자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태그와, NFC나 블루투스 비콘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태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공기질 관리서버에서 전송하는 공기질 데이터의 시간이 정상적인 보고주기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공기질 센서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무선 태그의 태깅시 무선 태그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무선 태그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비콘은 누름이 가능한 버튼형 비콘으로서 사용자 단말과의 설정을 통해 블루투스 비콘의 누름 동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의 공기질 데이터 수신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태그와 태깅한 시점을 기준으로 다중이용시설 내부의 인원을 계산하여 비상 발생시에 인원수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8.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된 공기질 센서에서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공기질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에서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해서 측정치(수신된 공기질 데이터)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측정치가 기준치 이내에 있는 경우 현장 출력장치를 제어하여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현장 출력장치를 제어하여 스피커나 경광등을 통해 소리(음성)나 점등(점멸)으로 안내 및 대피를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방법.
  9.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된 공기질 센서에서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주기적으로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수치화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방법.
  10.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된 공기질 센서에서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공기질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현장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하여 ID를 읽어오거나 ID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기질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태그의 ID로 사용자가 현장에 있음을 확인하여 공기질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한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센서가 인식하는 범위를 벗어나거나 고장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냄새(악취), 연기, 의심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태그와의 태깅으로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앱을 통해 신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방법.
  12.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된 공기질 센서에서 실내공기질 관련법에 나열된 항목의 공기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공기질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백그라운드 앱과 무선 태그의 일종인 버튼형 블루투스 비콘(이하 버튼형 비콘)이 페어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백그라운드 앱에서 버튼형 비콘의 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버튼형 비콘에서 방송중인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질 데이터 수신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가 버튼형 비콘을 누른 경우 버튼형 비콘이 동작하여 설정된 누름패턴에 대응되는 비콘신호를 방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비콘신호에 해당하는 등록된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하고, 등록된 서비스 즉, 공기질 관리서버가 전송하는 공기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한 공기질 데이터를 수치화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방법.
KR1020170127031A 2017-09-29 2017-09-29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7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31A KR20190037558A (ko) 2017-09-29 2017-09-29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31A KR20190037558A (ko) 2017-09-29 2017-09-29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58A true KR20190037558A (ko) 2019-04-08

Family

ID=6616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031A KR20190037558A (ko) 2017-09-29 2017-09-29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75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585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미리코 IoT 기반의 생활안전 관리 시스템
WO2021166393A1 (ja) * 2020-02-19 2021-08-26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アラート通知システム及びアラート通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493A (ko) 2015-02-17 2016-08-25 김중구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493A (ko) 2015-02-17 2016-08-25 김중구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585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미리코 IoT 기반의 생활안전 관리 시스템
WO2021166393A1 (ja) * 2020-02-19 2021-08-26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アラート通知システム及びアラート通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8719B2 (en) Portable personal monito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8533612B2 (en) User interface for emergency alert system
US201901242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ound during an in-building emergency
US9927535B2 (en) Radon detection and mitigation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KR102000057B1 (ko) 기후 재난 정보를 반영한 재난 경보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 경보 단말기
JP2017527051A (ja) 空気質測定装置と無線端末機とを連動した空気質報知装置及びその空気質報知方法
US2015007773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 environment
KR101608386B1 (ko) 실시간 교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US20080197999A1 (en) Automated computerized alarm system
KR101815482B1 (ko) 실내 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170105875A1 (en) General purpose device to assist the hard of hearing
KR20190037558A (ko)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정보 공유시스템 및 방법
CN101095180A (zh) 无线操作系统以及操作无线系统的方法
KR20200077099A (ko) 상가 화재를 감지 제어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지능형 휴대 단말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1937091B1 (ko) 미세먼지 알림 방송시스템
KR100981625B1 (ko) 유비쿼터스형 설비관제 시스템
KR20110108038A (ko) 현장 설정 관리가 가능한 p형 수신기를 이용한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JP2006012018A (ja) 防犯システム
KR20140011898A (ko) 디지털 통합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56957A (ko) 스마트폰 연동 화재 수신기 시스템
Chaiwongven et al. An analyze movement path of employees in fire drill by indoor location system using Bluetooth
KR102668513B1 (ko) 화재경보 및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36819B1 (ko) 스피커의 소음감지를 통한 호출시스템
KR102140932B1 (ko) Ai를 이용하는 방송제어 및 최적 대피로를 구현하는 재난 방송시스템
JP2023081025A (ja) 施設内環境の遠隔集中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