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730A -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 Google Patents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730A
KR20190036730A KR1020170125983A KR20170125983A KR20190036730A KR 20190036730 A KR20190036730 A KR 20190036730A KR 1020170125983 A KR1020170125983 A KR 1020170125983A KR 20170125983 A KR20170125983 A KR 20170125983A KR 20190036730 A KR20190036730 A KR 20190036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infant
swallowing
wrist band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272B1 (ko
Inventor
이석진
Original Assignee
이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진 filed Critical 이석진
Priority to KR1020170125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2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11Holders therefor, e.g. to prevent loss or to hold in pl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2Teething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0/00Wristbands or headbands, e.g. for absorbing swea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9Decorative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손이 통과해 손목에 둘러지는 중공형상의 손목 밴드부; 상기 손목 밴드부의 둘레에서 180도 위상차로 상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면이 마주보도록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광하협의 판재 형상을 갖는 2개의 삼킴방지부재, 및 상기 2개의 삼킴방지부재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유아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삼킴방지부재를 가로질러 양단이 삼킴방지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삼킴방지부재에 의하여 유아가 돌출부재를 빨거나 씹을 경우 돌출부재가 목 뒤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Multidirectional biteable upper part opening type wrist teether}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실내 및 실외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보호자의 시야 밖에 있더라도 분실을 방지할 수 있되, 연약하고 민감한 유아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필요에 따라서는 손목에 착용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다방향으로 물림이 가능하면서도 상광하협 판재 형상의 삼킴방지부재를 사용함으로서 각각의 부재들이 유아의 목 뒤로 넘어가 구토를 유발하거나 인두점막 손상, 호흡곤란 등의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발아발육기에 관한 것이다.
유치는 생후 6-8개월경 아래 앞니부터 나기 시작해서 약 2년에 걸쳐 전체 치열이 완성된다. 출생 시에는 입안에서 치아를 볼 수 없지만 많은 치아들이 출생 전부터 턱뼈에 자리잡고 있다가 적당한 시기가 되면 차례대로 입안으로 나온다. 유아는 이러한 유치가 맹출되는 시기에 입, 입술, 혀, 잇몸 등과 같은 구강 주위의 자극으로부터 쾌감을 느끼게 되며 이같은 시기를 구강기(口腔期)라 한다. 즉, 상기 구강기에는 빨기, 씹기, 깨물기 등의 행동들이 유아에게 쾌감을 주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구강 주위에 자극을 받으면 본능적인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고 긴장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치아발육기라 함은 전술한 구강기에 유아의 씹고자 하는 본능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시각적, 촉각적, 지능적 신체발달 및 치아발육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아의 입에 물리는 놀잇감으로 이용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종래의 치아발육기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4698호(발명의 명칭: 유아용 손싸개)가 있다.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아발육기는 유아의 손을 감싸 손목에 결속되되 원활한 통풍을 위해 손바닥 부분과 손등 부분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되고, 표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치발기, 손목에 묶어 벗겨짐을 방지하는 결속끈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치아발육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유아의 손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벙어리 장갑 형태이기 때문에 유아의 손가락 빨기를 원천 차단할 수는 있으나, 자유롭게 손과 손가락을 움직이지 못해 소근육 발달을 저해시키기 때문에 유아의 두뇌발달과 신체발달에 나쁜 영향을 준다.
아울러, 날씨가 더운 날에는 유아의 손에 땀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허출원 제10-2015-004469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치아발육기를 사용하여 다방향으로 물림이 가능하면서도 상광하협 판재 형상의 삼킴방지부재를 사용함으로서 각각의 부재들이 유아의 목 뒤로 넘어가 구토를 유발하거나 인두점막 손상, 호흡곤란 등의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발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손목둘레에 둘러지는 부분을 빨고 물고 씹을 수 있도록 돌려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구강 주위를 자극할 수 있는 치아발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손가락 빨기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삼킴방지부재, 돌출부재를 집중적으로 빨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치아발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아의 손이 통과해 손목에 둘러지는 중공형상의 손목 밴드부; 상기 손목 밴드부의 둘레에서 180도 위상차로 상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면이 마주보도록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광하협의 판재 형상을 갖는 2개의 삼킴방지부재, 및 상기 2개의 삼킴방지부재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유아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삼킴방지부재를 가로질러 양단이 삼킴방지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삼킴방지부재에 의하여 유아가 돌출부재를 빨거나 씹을 경우 돌출부재가 목 뒤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삼킴방지부재에는 유아의 상순과 하순이 맞닿도록 하여 입을 닫는 방법을 인지시키기 위한 입술수렴구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손목 밴드부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도록 손목 밴드부와 삼킴방지부재의 일부를 동시에 절개하는 변형유도구가 형성되되, 상기 손목 밴드부는 상기 변형유도구에 의해 확장된 후 손목에 둘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변형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에는 유아가 그립부를 파지할 때 각각의 손가락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복수의 파지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손목 밴드부는, 유아의 손목이 통과되도록 일부가 절개되는 파지링;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링은 유아의 손목이 도입되도록 탄성변형에 의해 확장되고, 손목에 둘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변형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목 밴드부는, 상기 파지링의 양단을 결속하거나 해제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치아발육기의 보관시 파지링의 축선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링의 하면이 지면에 지지되어 몸체부가 자중에 의해 편심되지 않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삼킴방지부재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해 절취되어 손목 밴드부의 확장을 유도하는 절첩유도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삼킴방지부재를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삼킴방지부재를 유아의 목 뒤로 완전히 넘어가지 못하도록 제한하되, 돌출부재를 구강에 삽입시킬 경우 상기 삼킴부재가 차단막 역할을 함으로써, 몸체부를 빨고 씹고 깨무는 행동을 할 때 각각의 부재들에 의해 구토가 유발되거나 인두점막 손상, 호흡곤란 등의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치아발육기가 손목둘레에 고정되지 않았을 시 손목 밴드부를 빨고 물고 씹을 수 있도록 돌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아발육기를 사용할 때 반드시 손목 밴드부를 유아의 손목에 채울 필요 없이 필요에 따라 치아발육기의 방향을 달리하여 자극을 줄 수 있는 형상과 돌기를 추가하여 다양하게 유아의 구강 주위를 자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입술수렴구가 형성된 삼킴방지부재를 빨 경우 유아의 상순과 하순이 맞닿은 상태로 삼킴방지부재를 빨 수 있어, 빠는 욕구를 충족하는 것은 물론 입을 다문 채 본인의 입술을 직접 자극할 수 있도록 하여 감각 기능을 향상시키고 입을 닫는 방법을 자연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손목 밴드부에 의해 몸체부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시 몸체부가 지면에 닿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몸체부가 지면에 닿아 오염되지 않으므로 치아발육기의 재사용시 부가적인 세척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치아발육기의 사용시 손목 밴드부가 유아의 손목둘레에 둘러지기 때문에 그립부를 쥐는 손의 악력이 약해 치아발육기를 놓치더라도 유아의 손목둘레를 항시 파지하고 있으므로 치아발육기를 지면에 떨어트려 오염시키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아와의 동반 외출시 치아발육기가 유아의 손목에 항시 둘러져 있기 때문에 유모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유아가 실려 보호자의 시야 밖에 있더라도 치아발육기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파지링은 경로상의 일부분이 단선되기 때문에 유아의 손목을 별다른 간섭 없이 통과시킬 수 있으며. 파지링의 탄성변형을 유도하여 유아의 손목이 상대적으로 두껍거나 성장에 따라 손목둘레가 증가하여도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고, 나아가 두꺼운 옷 위에도 착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손목둘레의 굵기에 따라 치아발육기가 단계별로 제작될 필요가 없으므로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성장하는 유아의 손목둘레에 맞추어 다수의 치아발육기들을 구비할 필요 없이 한 개의 치아발육기만 구비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아발육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유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술수렴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재의 여러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삼킴방지부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설명에 앞서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2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전부 일체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유아가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모두 곡면처리된 외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재질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유아의 구강내로 들어가는 만큼 위생 처리된 탄력성 있는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부재들은 서로 각기 다른 경도를 가지는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는 간결한 일체형 구조로 인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단일재로 이루어져 위생관리가 향상되며 유아의 손에서의 이탈반경을 최소화시켜 이물질이 치아발육기에 묻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등이 혼합된 복합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유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술수렴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재의 여러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특징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는 유아의 손이 통과해 손목에 둘러지는 중공형상의 손목 밴드부(200); 상기 손목 밴드부(200)의 둘레에서 180도 위상차로 상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면이 마주보도록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광하협의 판재 형상을 갖는 2개의 삼킴방지부재(110), 및 상기 2개의 삼킴방지부재(1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재(12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 및 유아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삼킴방지부재(110)를 가로질러 양단이 삼킴방지부재(110)에 각각 고정되는 그립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삼킴방지부재(110)에 의하여 유아가 돌출부재(120)를 빨거나 씹을 경우 치아발육기의 일부라도 유아의 목 뒤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00)는 유아의 구강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몸체부(100)를 빨고 씹고 깨무는 등의 행동을 통해 유아는 구강 내 간지러움을 해소하고 다양한 자극에 노출됨으로써 쾌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몸체부(100)는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이 위치하는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이 부여된다. 즉, 한 쌍의 몸체부(100) 사이에 위치한 그립부(300)를 파지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유아의 엄지손가락이 몸체부(1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을 집중적으로 빠는 유아의 습관 발달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는 판상의 삼킴방지부재(110) 및 유아가 빨거나 씹을 수 있도록 상기 삼킴방지부재(110)의 외측으로 부착되는 돌출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삼킴방지부재(110)와 돌출부재(120)의 그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유아가 돌출부재(120)를 빨거나 씹을 경우 돌출부재(120)가 목 뒤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제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삼킴방지부재(110)는 1mm 내지 10mm의 두께를 가지는 얇은 판상의 부재로서, 주로 유아의 입술에 가해지는 자극을 담당한다. 또한, 삼킴방지부재(110)의 형상은 유아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채로운 패턴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편의를 위해 삼킴방지부재(110)를 판상의 부재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곡율을 가지는 판재 및 이에 준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술한 삼킴방지부재(110)의 두께 또한 유아의 개월 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삼킴방지부재(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가 빨거나 씹을 때 목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로 갈수록 전, 후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삼킴방지부재(111)의 전, 후 폭은 대략 30mm 내지 7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mm 내지 60mm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아가 입을 최대로 벌릴 경우 입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삼킴방지부재(111)를 구강에 완전히 삽입시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치아발육기의 하부부분은 손목 밴드부(200)로 구성되어 있어서 유아의 입의 크기를 고려할 때, 손목 밴드부(200)가 유아의 입에 들어가서 유아의 목 뒤를 자극할 정도가 깊이 삽입되지 않으나, 삼킴방지부재(110)의 상부는 통상적인 치아발육기와 달리 그 상부가 완전히 개방된 형태이므로 삼킴방지부재(110)의 전, 후 폭이 얇게 되면 유아의 입에 치아발육기의 상부가 들어가서 유아의 목뒤를 자극하여 구토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치아발육기의 상부를 없애되 이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유아의 목 뒤를 자극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삼킴방지부재(110)의 전후 폭을 넓게 하여서 유아의 입에 치아발육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삼킴방지부재(110)는 상광하협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삼킴방지부재(110)의 폭(W1, W2, W3)이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하여 삼킴방지부재(110)가 유아의 입에 물렸을 시 과삽입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한다. 한편, 도 10은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현되는 삼킴방지부재(11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킴방지부재(110)는 설계변경을 통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한편,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도록 삼킴방지부재(110)의 표면에는 다채로운 형상의 음각, 양각, 관통된 홀 및 이를 활용한 패턴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돌출부재(120)는 유아의 빨고 씹고 깨무는 등의 행동이 집중적으로 유도되도록 삼킴방지부재(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아발육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들을 모두 빨고 씹고 깨물 수 있으나, 돌출부재(120)를 집중적으로 빨고 씹고 깨물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출부재(120) 일 실시예로, 첨부되는 도면에는 막대 형상에 복수의 제2 자극돌기(121)들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음을 밝힌다.
유아가 돌출부재(120)를 입에 넣어 빨고 씹고 깨물 경우 침 등의 분비물이 지속적으로 분비된다. 이때, 분비되는 분비물이 삼킴방지부재(110)에 의해 차단되어 유아의 손으로 직접 흐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부모는 분비물에 노출된 유아의 손을 지속적으로 닦아줄 필요 없이 삼킴방지부재(110)에 잔류한 분비물만 가볍게 닦아주면 되므로 손쉽게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삼킴방지부재(110)는 유아가 돌출부재(120)를 빨고 씹고 깨무는 행동을 할 때 돌출부재(120)가 목 뒤로 완전히 넘어가 구토를 유발하거나 인두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 작용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재(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도 7a에 도시), 칫솔 형태(도 7b에 도시), 공갈 젖꼭지 형태(도 7c에 도시), 원기둥 형태(도 7d에 도시), 잇몸에 대응되는 아치 형태(도 7e에 도시) 및 반 구 형태(도 7f에 도시) 등의 다채로운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몸체부(100)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만큼 돌출부재(120) 또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한 쌍의 돌출부재(120)가 각각 다른 종류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 결과, 삼킴방지부재(110)는 돌출부재(120)가 목 뒤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스톱퍼 작용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삼킴방지부재(110)에는 유아의 상순과 하순이 맞닿도록 하여 입을 닫는 방법을 인지시키기 위한 입술수렴구(111)가 관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술수렴구(111)는 유아가 삼킴방지부재(110)를 빨 경우 유아의 상순과 하순이 맞닿은 상태로 삼킴방지부재(110)를 빨 수 있도록 하여 빠는 욕구를 충족하는 것은 물론 입을 다문 채 본인의 입술을 직접 자극할 수 있도록 하여 감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입술수렴구(111)는 선택사항이며, 입술수렴구(111)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 삼킴방지부재(110)의 입술수렴구(111)가 위치한 자리에는 복수의 돌기(미도시)들이 돌설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도 3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킴방지부재(110)의 둘레에는 삼킴방지부재(110)의 폭보다 더 두꺼운 보강살(112)이 둘러질 수 있다. 상기 보강살(112)을 통해 몸체부(100)의 형태 유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음과 더불어 손목 밴드부(200)와 삼킴방지부재(110)의 안정성을 부여하여, 유아가 물고 씹을 때 파손을 방지한다. 즉, 치아발육기의 일부분이 파손되어 유아가 이를 삼키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살(112)는 삼킴방지부재(110)를 포함하여 손목 밴드부(200)까지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의 기본적인 사용상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밴드부(200)를 손목에 착용한 후 몸체부(100) 사이에 손을 개재시킨 뒤 그립부(300)를 파지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밴드부(200)를 손목에 착용하지 않은 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유아는 그립부(300)를 파지한 채 손목 밴드부(200)를 빨고 물고 씹을 수 있되 구강 주위의 자극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손목 밴드부(200)의 외주면을 따라 제1 자극수단(미도시)이 돌설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극수단은 음각, 양각, 관통된 홀 및 이들을 활용한 패턴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치아발육기를 사용할 때 반드시 손목 밴드부(200)를 유아의 손목에 채울 필요 없이 필요에 따라 치아발육기의 방향을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어 여러 방법으로 파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는 손목 밴드부(200)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도록 손목 밴드부(200)와 삼킴방지부재(110)의 일부를 동시에 절개하는 변형유도구(400)가 형성되되, 상기 손목 밴드부(200)는 상기 변형유도구(400)에 의해 확장된 후 손목에 둘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변형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즉, 손목 밴드부(200)를 유아의 손목에 착용하고자 할 때 손목 밴드부(200)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전술한 변형유도구(400)에 의해 손목 밴드부(200)가 확장될 수 있고 손목 밴드부(200)의 하방으로 유아의 손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변형유도구(400)는 손목 밴드부(200)와 삼킴방지부재(110)를 상, 하 방향으로 동시에 절개하되 변형유도구(400)의 상단부분에는 전, 후 방향으로 확장된 연장구(41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변형유도구(400)와 연장구(410)에 의하여 손목 밴드부(200)를 확장시킬 때 보다 용이하게 탄성변형이 유도되며, 연장구(410)에 의해 손목 밴드부(200)를 반복적으로 확장시키더라도 삼킴방지부재(110)가 피로누적에 의해 절단되거나 파단에 의한 형태변형이 방지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는 삼킴방지부재(110)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해 절취된 절첩유도구(50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절첩유도구(500)는 삼킴방지부재(110)의 다양한 곳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 5에서와 같이, 상, 하 방향에서 대략 중간 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각도가 부여되고, 삼킴방지부재(110)의 전, 후측 변에 한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절첩유도구(500)의 형상, 개수 위치 등은 자유롭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밴드부(200)가 확장될 때 변형유도구(400), 연장구(410), 절첩유도구(5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손목 밴드부(200), 삼킴방지부재(110)가 유아의 피부와 반대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유아의 피부를 눌러 자극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손목에서 치아발육기를 제거하는 동작시 유아의 피부에 외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손목 밴드부(200)는 유아의 손목에 둘러지는 부분으로 원, 타원, 다각형 등의 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그립부(300)는 유아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 원, 다각형 등의 횡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구현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따라 소정의 곡률이 부여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그립부(300)에는 유아가 그립부(300)를 파지할 때 각각의 손가락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복수의 파지돌기(31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파지돌기(310)는 유아가 그립부(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아의 손가락 사이 공간을 파지돌기(310)로 메워줌으로써 손의 악력이 다소 미약하더라도 그립부(300)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한편,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립부(300)의 외주면을 따라 널링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밴드부(2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도 8을 참고하여 손목 밴드부(2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목 밴드부(200)는 유아의 손목이 통과되도록 일부가 절개되는 파지링(210) 및 상기 파지링(210)의 양단을 결속하거나 해제하는 체결수단(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파지링(210)의 형상은 원, 타원, 다각형 등 유아의 손목에 둘러질 수 있는 다채로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파지링(210)은 유아의 손목이 도입되도록 탄성변형에 의해 확장되고, 손목에 둘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변형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이 있으며, 치아발육기의 보관시 파지링(210)의 축선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링(210)의 하면이 지면에 지지되어 몸체부(100)가 자중에 의해 편심되지 않고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그리고, 손목 밴드부(200)는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의 손목이 상대적으로 두껍거나 성장에 따른 손목둘레의 증가에 대응하여 탄성변형 되므로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꺼운 옷 위에도 무리 없이 착용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파지링(210)은 상, 하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경로상의 일부분이 단선되기 때문에 유아의 손목을 별다른 간섭 없이 통과시킬 수 있다. 파지링(210)을 변형시켜 유아의 손목을 통과시키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파지링(210)의 양단이 원위치로 복원된다. 즉, 파지링(210)의 자체만으로도 소정의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손목둘레가 두꺼운 유아에게 파지링(210)을 적용할 경우 두꺼운 손목둘레에 대응하여 파지링(210)이 확장되고 파지링(210)의 탄성복원에 의한 고정력이 제공되므로 치아발육기가 유아의 신체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대적으로 손목둘레가 얇은 유아일 경우 파지링(210)의 양단이 후술되는 체결수단(220)에 의해 결속되므로 치아발육기가 유아의 신체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손목둘레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손목둘레가 점차 증가하는 성장기의 유아에게도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를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아발육기는 손목둘레의 굵기에 따라 단계별로 제작될 필요가 없으므로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성장하는 유아의 손목둘레에 맞추어 다수의 치아발육기들을 구비할 필요 없이 한 개의 치아발육기만 구비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파지링(210)의 양단에는 제1 플렌지(211)와 제2 플렌지(21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렌지(211)와 제2 플렌지(212)는 파지링(210)의 양단이 전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형상으로 파지링(210)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구현된다.
다음으로, 체결수단(220)은 파지링(210)의 양단을 결속하는 작용을 담당하며 그 일례로 파지링(210)의 일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플렌지(21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221) 및 파지링(210)의 타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플렌지(211)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221)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편(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체결홈(221)과 체결편(222)이 상호 결속되면 손목 밴드부(200)가 유아의 손목에 체워진 채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손목 밴드부(200)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220)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 벨크로 체결, 버클 체결방식 등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따라서, 손목 밴드부(200)가 유아의 손목둘레를 항시 파지하고 있으므로 유아가 치아발육기를 사용하다 잠이 들거나 파지하고 있던 그립부(300)를 놓쳤을 경우에도 항시 유아의 신체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유아가 잠에서 깨거나 놀라 울음을 터트리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몸체부
110: 삼킴방지부재
111: 입술수렴구
112: 보강살
120: 돌출부재
200: 손목 밴드부
300: 그립부
310: 파지돌기
400: 변형유도구
410: 연장구

Claims (6)

  1. 유아의 손이 통과해 손목에 둘러지는 중공형상의 손목 밴드부;
    상기 손목 밴드부의 둘레에서 180도 위상차로 상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면이 마주보도록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광하협의 판재 형상을 갖는 2개의 삼킴방지부재, 및 상기 2개의 삼킴방지부재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유아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삼킴방지부재를 가로질러 양단이 삼킴방지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삼킴방지부재에 의하여 유아가 돌출부재를 빨거나 씹을 경우 돌출부재가 목 뒤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킴방지부재에는 유아의 상순과 하순이 맞닿도록 하여 입을 닫는 방법을 인지시키기 위한 입술수렴구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목 밴드부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도록 손목 밴드부와 삼킴방지부재의 일부를 동시에 절개하는 변형유도구가 형성되되, 상기 손목 밴드부는 상기 변형유도구에 의해 확장된 후 손목에 둘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변형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목 밴드부는,
    유아의 손목이 통과되도록 일부가 절개되는 파지링;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링은 유아의 손목이 도입되도록 탄성변형에 의해 확장되고, 손목에 둘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변형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손목 밴드부는,
    상기 파지링의 양단을 결속하거나 해제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치아발육기의 보관시 파지링의 축선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링의 하면이 지면에 지지되어 몸체부가 자중에 의해 편심되지 않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삼킴방지부재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해 절취되어 손목 밴드부의 확장을 유도하는 절첩유도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KR1020170125983A 2017-09-28 2017-09-28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KR101976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983A KR101976272B1 (ko) 2017-09-28 2017-09-28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983A KR101976272B1 (ko) 2017-09-28 2017-09-28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730A true KR20190036730A (ko) 2019-04-05
KR101976272B1 KR101976272B1 (ko) 2019-09-10

Family

ID=6610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983A KR101976272B1 (ko) 2017-09-28 2017-09-28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4394A (ko) * 2019-10-11 2022-03-03 주식회사 아가프라 휴대용 손목 치발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45Y1 (ko) * 2014-08-09 2014-10-22 박현식 영아 손싸개 대용 다기능 실리콘 공
KR20150044698A (ko) 2013-10-17 2015-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184186A1 (en) * 2014-12-31 2016-06-30 MyNhi Montini Double ended infant soothing device
KR200483214Y1 (ko) * 2015-12-30 2017-04-14 정승채 치아발육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698A (ko) 2013-10-17 2015-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474945Y1 (ko) * 2014-08-09 2014-10-22 박현식 영아 손싸개 대용 다기능 실리콘 공
US20160184186A1 (en) * 2014-12-31 2016-06-30 MyNhi Montini Double ended infant soothing device
KR200483214Y1 (ko) * 2015-12-30 2017-04-14 정승채 치아발육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마마스템 치발기 구매후기(2016. 11. 4.)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jinhee820/22085319838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4394A (ko) * 2019-10-11 2022-03-03 주식회사 아가프라 휴대용 손목 치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272B1 (ko) 201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8486B2 (en) Two-stage teething mitten
US5711759A (en) Oral hygiene device
US5385573A (en) Infant teether and hand puppet combination
US5334218A (en) Teething pacifier with semi-circular teething member
US11793729B2 (en) Teether with wristband
US20070288056A1 (en) Mitten teether/pacifier
US11051604B2 (en) Infant toothbrush
US20090035048A1 (en) Finger toothbrush
US20180263858A1 (en) Teething Glove and Mitt
US7900636B1 (en) Finger sucking deterrent devise and method of use of same
KR20190036730A (ko)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US20140000646A1 (en) Tooth flossing device
US11446213B2 (en) Teething growth device having wrist band
KR101717346B1 (ko) 유아용 손싸개
KR101786033B1 (ko) 핑거토이를 포함하는 영유아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장치
WO2013155593A1 (en) Tooth flossing device
CN110198698B (zh) 具有腕带的固齿器
US20100136874A1 (en) Toothbrush and amusement device
KR20160046084A (ko)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기
US20110245870A1 (en) Teether Rings
JP2014083350A (ja) 歯ブラシ
KR101656580B1 (ko)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기
US10335350B1 (en) Pacifier which helps wean toddlers off pacifiers
JP2005253872A (ja) 指歯ブラシおよび指歯ブラシセット
US20130319456A1 (en) Tooth flo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