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201A -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201A
KR20190036201A KR1020170125150A KR20170125150A KR20190036201A KR 20190036201 A KR20190036201 A KR 20190036201A KR 1020170125150 A KR1020170125150 A KR 1020170125150A KR 20170125150 A KR20170125150 A KR 20170125150A KR 20190036201 A KR20190036201 A KR 20190036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unit
wireless charging
electronic devic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780B1 (ko
Inventor
최은미
조대성
주병철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7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Calculating itineraries, i.e. routes lea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series of categorical destinations using a global route restraint, round trips, touristic tr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는 내부에 전자기기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여 전자기기를 살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STERILIZING FUNCTION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의 사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은 사용자가 거의 하루종일 소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오염 물질에 매우 쉽게 노출된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 오염 물질에 노출된 모바일을 손 또는 얼굴로 접촉하기 때문에, 모바일의 위생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모바일의 위생 관리는 사용자가 직접 모바일의 표면을 닦거나, 모바일 살균 장치를 이용하는 것뿐이다. 사용자가 직접 모바일의 표면을 닦는 것은 모바일에 묻은 세균을 없애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모바일 살균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소비하여 살균 장치가 배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유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기기가 무선 충전되는 동안 자동으로 전자기기를 살균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자기기가 충전되는 동안 전자기기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이동 수단이 주행하는 동안 전자기기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에 전자기기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여 전자기기를 살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대시보드를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된다. 무선 충전 장치의 하우징은 대시보드와 일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가 무선 충전되는 동안 자동으로 전자기기를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가 충전되는 동안 전자기기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는 이동 수단이 주행하는 동안 전자기기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상면", "하면",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는 내부에 전자기기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여 전자기기를 살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1 제어부는 무선 충전부가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동안 살균 자외선이 방출되도록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부가 전자기기의 충전을 시작하면, 광원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살균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외부로부터 무선 충전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데이터가 입력되고, 입력된 설정 데이터에 따라 충전 설정 신호 또는 살균 설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 설정 신호는 살균 시작 신호 및 살균 종료 신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살균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제1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살균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광원부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광원부는 동일한 파장대의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살균 설정 신호는 광량 설정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광량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광원 중에서 광량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개수의 광원에 전원을 공급한다.
광원부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살균 설정 신호는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광원 중에서 파장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한다.
무선 충전 장치는 입력부로부터 살균 시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살균 시작 신호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는 살균 시작 신호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살균 종료 신호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입력부로부터 충전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충전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 또는 무선 충전부로부터 전자기기의 충전 시간을 수신하는 충전 시간 수신부 및 충전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광량을 계산하여, 광량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광량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는 광량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광원 중에서 광량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개수의 광원에 전원을 공급한다.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 또는 무선 충전부로부터 전자기기의 충전 시간을 수신하는 충전 시간 수신부 및 충전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를 계산하여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살균 파장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는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광원 중에서 살균 파장 신호에 대응하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한다.
무선 충전부는 전자기기에 포함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외부의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시작 신호 및 주행 종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부는 주행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무선 충전부는 주행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무선 충전 장치는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예상 시간을 수신하는 주행 시간 수신부 및 주행 예상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광량을 계산하여, 광량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광량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는 광량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광원 중에서 광량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개수의 광원에 전원을 공급한다.
무선 충전 장치는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예상 시간을 수신하는 주행 시간 수신부 및 주행 예상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를 계산하여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살균 파장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는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광원 중에서 살균 파장 신호에 대응하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한다.
무선 충전 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전자기기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는 무선 충전부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일면 또는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일 수 있다.
이탈 방지부는 하우징의 내부면 중 전자기기와 접촉하는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전자기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는 무선 충전부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일면 또는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인 제1 이탈 방지부, 및 하우징의 내부면 중 전자기기와 접촉하는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전자기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 제2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 및 이탈 방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광원부는 무선 충전 장치가 형성된 하우징의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될 수 있다.
광원부는 무선 충전 장치가 형성된 하우징의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제1 광원부 및 무선 충전 장치가 형성된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제2 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하우징의 내부를 하우징의 외부와 차단하며, 살균 자외선을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광원부가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면 하우징의 내부를 자동으로 밀폐할 수 있다.
광원부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광원부가 미리 설정된 특정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면, 자동으로 하우징의 내부를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에 대한 정보, 살균에 대한 정보 및 전자기기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와 연동되어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전자기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방산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차는 상기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대시보드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장치의 하우징은 대시보드와 일체형일 수 있다.
자동차는 네비게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에 무선 충전 및 살균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는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에 무선 충전 및 살균을 종료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은 전자기기(10)가 배치된 무선 충전 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A1-A2)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하우징(110), 무선 충전부(120) 및 살균부(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전자기기(1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전자기기(10)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부(120) 및 전자기기(10)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130)가 배치된다. 따라서, 전자기기(10)를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시키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전자기기(10)에 무선 충전과 살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1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의 모바일(Mobile)일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면은 살균 자외선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살균 자외선을 반사하는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 장치(100)가 전자기기(10)의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부(120)는 전자기기(10)에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 무선 충전부(120)는 하우징(110)의 일면에 배치된다. 무선 충전부(120)는 전자기기(10)와 접촉된 상태이거나 근접한 상태이면 무선 충전이 수행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부(120)는 전자기기(10)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120)는 도 1과 같이 하우징(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120)는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자기기(10)에 전원을 전송하여, 전자기기(1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전자기기(10)가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되어 하우징(110)의 하면에 놓여지면, 무선 충전부(120)는 전자기기(10)에 무선 충전을 시작한다. 또한, 전자기기(10)가 무선 충전부(120)로부터 떨어지면 무선 충전이 중단된다.
살균부(130)는 전자기기(10)에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여, 전자기기(10)를 살균한다. 미도시 되었지만, 살균부(130)는 광원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광원부는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 광원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제어부가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면 광원부는 살균 자외선을 방출한다. 또한, 제어부가 광원부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면, 광원부는 살균 자외선의 방출이 중단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살균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형성된 기판일 수 있다.
광원부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는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발광 다이오드 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도전성 기판(51)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54), 활성층(55), 제2 도전형 반도체층(56)을 포함하는 화합물 반도체층들이 위치한다. 여기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54)은 N형 반도체층이며, 제2 도전형 반도체층(56)은 P형 반도체층이다. 도전성 기판(51)은 Si, GaAs, GaP, AlGaINP, Ge, SiSe, GaN, AlInGaN 또는 InGaN 등의 기판이나, Al, Zn, Ag, W, Ti, Ni, Au, Mo, Pt, Pd, Cu, Cr 또는 Fe의 단일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기판일 수 있다. 한편, 화합물 반도체층들은 III-N 계열의 화합물 반도체층들이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54)에는 러프닝(Roughening) 처리가 된 것일 수 있다. 러프닝 처리가 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층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러프닝 처리된 계면에서 반사시킬 수 있다.
화합물 반도체층들과 도전성 기판(51) 사이에 금속 반사층(53)이 개재된다. 금속 반사층(53)은 반사율이 큰 금속 물질, 예컨대 은(Ag) 또는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된다.
한편, 금속 반사층(53)과 도전성 기판(51) 사이에 접착층(52)이 개재될 수 있으며, 접착층(52)은 도전성 기판(51)과 금속 반사층(53)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도전성 기판(51)이 금속 반사층(5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도시되지 않았지만 접착층(52)과 금속 반사층(53) 사이에 확산방지층이 개재될 수 있다. 확산방지층은 접착층(52) 또는 도전성 기판(51)으로부터 금속원소들이 금속 반사층(53)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금속 반사층(53)의 반사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전성 기판(51)에 대향하여 화합물 반도체층들의 상부면에 전극 패드(57)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도전성 기판(51)과 전극 패드(57)를 통해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는 도전성 기판에 얇은 두께의 P형 반도체층이 형성됨으로써, 도전성 기판과 P형 반도체층과의 접합 계면에서 누설 전류가 형성되어 발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도 4의 발광 다이오드는 도전성 기판(51)에 N형 반도체층인 제1 도전형 반도체층(54)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누설 전류 형성 및 발광 효율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는 발광 다이오드는 도 4에 도시된 구조의 발광 다이오드 일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발광 다이오드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62), 활성층(63)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64)을 포함하는 메사(M), 제1 절연층(68), 제1 전극(69), 및 제2 절연층(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성장 기판(61) 및 제2 전극(67)을 포함할 수 있다. 성장 기판(61)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62), 활성층(63),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64)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판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파이어 기판, 실리콘 카바이드 기판, 질화갈륨 기판, 질화알루미늄 기판, 실리콘 기판 등일 수 있다. 성장 기판(61)의 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활성층(63)에서 생성된 광의 추출이 개선될 수 있다.
제2 도전형 반도체층(64)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6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활성층(63)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6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6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62)은 n형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도전형 반도체층(64)은 p형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반대일 수도 있다. 활성층(63)은 다중양자우물구조(MQM)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활성층(63)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6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사(M)를 포함할 수 있다. 메사(M)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진 메사(M)의 측면은 활성층(63)에서 생성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62)은 메사(M)를 통해 노출되는 제1 컨택 영역(R1) 및 제2 컨택 영역(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69)은 제1 컨택 영역(R1) 및 제2 컨택 영역(R2)에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62)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컨택 영역(R1)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62)의 외곽을 따라 메사(M)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컨택 영역(R2)은 메사(M)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발광 다이오드의 외곽 및 중심부에서 전류가 이동할 수 있어서, 전류가 효과적으로 분산될 있어서, 순방향 전압이 감소될 수 있다.
제2 전극(67)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64) 상에 배치되며, 제2 도전형 반도체층(64)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2 전극(67)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64) 상에 형성된 반사 금속층(65) 및 반사 금속층(66)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 장벽 금속층(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68)은 제1 전극(69)과 메사(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68)을 통해, 제1 전극(69)과 메사(M)가 절연될 수 있으며, 제1 전극(69)과 제2 전극(67)이 절연될 수 있다. 제1 절연층(68)은 제1 컨택 영역(R1) 및 제2 컨택 영역(R2)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절연층(68)은 제2 전극(67)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를 통해 제2 전극(67)은 패드 또는 범프(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2 절연층(70)은 제1 컨택 영역(R1)의 일부와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69)에 의해 노출된 제1 컨택 영역(R1)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제2 절연층(70)은 제1 전극(69)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광원부에 포함된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에 대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다이오드는 살균 자외선을 방출한다면 어떠한 종류 및 구조도 될 수 있다.
살균부(130)에서 방출하는 살균 자외선은 전자기기(10)를 살균 할 수 있는 어떠한 파장대의 자외선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살균 자외선은 UVC인 200nm 내지 290nm 파장대의 자외선일 수 있다. 그러나 살균 자외선은 UVA(320nm 내지 400nm) 또는 UVB(290nm 내지 320nm)의 자외선일 수도 있다. 또는 살균 자외선은 UVA, UVB 및 UVC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파장대를 혼합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미도시하였지만,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부(120) 및 살균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산하는 방열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110) 자체가 방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살균부(130)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살균부(130)가 형성되는 위치는 살균부(130)의 상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부(130)는 전자기기(10)가 무선 충전되는 동안 전자기기(10)를 살균 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와 제어부가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지만, 광원부와 제어부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살균부(130)는 무선 충전부(120)와 연계될 수 있다. 즉, 살균부(130)는 무선 충전부(120)가 무선 충전을 시작하면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고, 무선 충전부(120)가 무선 충전을 중단하면, 살균 자외선 방출을 중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부(120)와 살균부(130)가 서로 연계되어 동작함으로써, 전자기기(10)가 무선 충전되는 동안에 자동으로 전자기기(10)를 살균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기기(10)를 위생을 관리할 수 있다.
이후,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할 때,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중복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생략된 설명은 이전 실시 예를 참고하도록 한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자동차(20)의 대시보드(3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100)의 하우징(110)은 대시보드(30)와 일체형일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미도시 되었지만, 자동차(20)의 내비게이션과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시작 신호 및 주행 종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주행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기기(10)의 충전을 시작하고, 주행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기기(10)의 충전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전자기기(10)의 충전의 시작과 종료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살균을 시작 또는 종료 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전자기기(10)와 연동되어 전자기기(10)에 내장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주행 시작 신호 및 주행 종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 장치(100)가 네비게이션 장치가 없는 자동차 또는 다른 이동 수단에 장착되어도 사용자가 주행하는 동안에 무선 충전 및 살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는 자동차(20)에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가 장착되지만, 이후 설명하는 다른 실시 예의 무선 충전 장치(100)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는 하우징(110), 무선 충전부(120), 살균부(130) 및 이탈 방지부(210)를 포함한다.
이탈 방지부(210)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전자기기(10)가 안정적인 무선 충전 및 살균을 위해서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이탈 방지부(210)는 무선 충전부(120)의 양측에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하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이다. 전자기기(10)는 이탈 방지부(21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탈 방지부(210)에 의해서, 무선 충전 장치(200)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도 전자기기(10)는 일정 범위 밖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선 충전 장치(200)가 충격을 받거나 흔들려도 안정적인 무선 충전 및 살균이 가능하다.
도 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300)는 하우징(110), 무선 충전부(120), 살균부(130) 및 이탈 방지부(310)를 포함한다.
이탈 방지부(310)는 전자기기(10)가 미끄러지지 않아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탈 방지부(310)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310)는 무선 충전부(120)가 형성된 하우징(110)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이탈 방지부(310)는 하우징(110)의 하면에 형성되며, 무선 충전부(120)의 주변에 위치한다. 전자기기(10)가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전자기기(10)는 이탈 방지부(310)에 의해서 하우징(110)의 흔들림에도 무선 충전부(120)와 접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 장치(300)는 충격 및 흔들림에도 전자기기(10)와 무선 충전부(12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무선 충전 및 살균이 가능하다.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를 통해서 전자기기(10)를 안정적으로 충전 및 살균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210, 310)를 설명하였다. 제2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인 이탈 방지부(210)를 설명하였고, 제3 실시 예에서는 전자기기(10)를 고정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이탈 방지부(310)를 설명하였다. 무선 충전 장치는 다른 실시 예로는 제2 실시 예의 이탈 방지부(210)와 제3 실시 예의 이탈 방지부(31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400)는 하우징(410), 무선 충전부(120), 살균부(130) 및 이탈 방지부(310)를 포함한다.
도 9를 참고하면, 하우징(410)의 하면이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하우징(410)의 하면이 전자기기(10)가 삽입되는 입구가 형성된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진다.
이탈 방지부(310)는 무선 충전부(120)의 주변의 하우징(410)의 하면에 형성되며, 전자기기(10)가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자기기(10)가 기울기를 갖는 하우징(410)의 하면에 배치되어도 이탈 방지부(310)에 의해서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고, 무선 충전부(12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10)의 하면이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전자기기(10)도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전자기기(10)가 무선 충전 장치(40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전자기기(10)의 화면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400)는 이탈 방지부(310)에 의해서 하우징(410)의 하면을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아도 되므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400)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외부 장치(미도시)에 적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500)의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무선 충전 장치(500)의 이탈 방지부(510) 및 이격부(52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500)는 하우징(110), 무선 충전부(120), 제1 살균부(530), 제2 살균부(540), 이탈 방지부(510) 및 이격부(520)를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510)는 무선 충전부(120)의 양측에 형성되며, 전자기기(10)를 안착할 수 있도록 하면 및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격부(520)는 이탈 방지부(510)를 하우징(11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격부(520)는 이탈 방지부(510)와 하우징(11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다. 즉, 이격부(520)의 상단은 이탈 방지부(510)와 연결되고, 하단은 하우징(110)의 하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격부(520)는 접힌 상태로 하우징(110)의 하면 또는 이탈 방지부(510)의 하면에 삽입되어 있다가, 펴지면서 이탈 방지부(510)를 이격시킨다. 이외에도 이격부(520)는 슬라이딩 방식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이탈 방지부(510)를 하우징(110)의 하면에 접촉 및 이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이탈 방지부(510)에 안착된 전자기기(10)는 이격부(520)에 의해서 무선 충전부(120)와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제1 살균부(530)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1 살균부(530)는 전자기기(10)가 무선 충전부(120)에 접촉된 상태일 때, 전자기기(10)의 전면을 살균한다. 여기서, 전자기기(10)의 전면은 전자기기(10)에서 제1 살균부(530)가 배치된 하우징(110)의 상면과 마주하는 면이다.
제2 살균부(540)는 하우징(110)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2 살균부(540)는 전자기기(10)가 무선 충전부(120)로부터 이격된 상태일 때, 전자기기(10)의 후면을 살균한다. 여기서, 전자기기(10)의 후면은 전자기기(10)에서 제2 살균부(540)가 배치된 하우징(110)의 하면과 마주하는 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500)는 이격부(520), 제1 살균부(530) 및 제2 살균부(540)에 의해서 전자기기(10)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면이 살균 자외선을 반사한다면, 제1 살균부(530) 및 제2 살균부(54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방출된 살균 자외선이 하우징(110)의 내부면에 의해 반사되어 전자기기(10)의 측면에 조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전자기기(10)가 무선 충전부(120)와 접촉하면 제1 살균부(530)가 동작하고, 전자기기(10)가 무선 충전부(120)와 이격되면, 제2 살균부(540)가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충전 장치(500)에 별도로 제1 살균부(530)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부가 있거나 미리 저장된 설정이 있다면, 제1 살균부(530)도 전자기기(10)와 무선 충전부(120)가 이격되었을 때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무선 충전 장치(500)는 전자기기(10)와 무선 충전부(120)가 이격된 상태일 때, 제1 살균부(530)와 제2 살균부(540)가 동시에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이격부(520)가 이탈 방지부(510)의 일단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이격부(520)에 의해 이탈 방지부(510)가 하우징(11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이탈 방지부(510)는 기울어진다. 그러나 이격부(520)는 이탈 방지부(510)의 양단에 모두 형성되어, 이탈 방지부(510)는 하우징(110)의 하면으로부터 평행한 상태로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탈 방지부(510)가 기울기를 갖도록 이격되는 경우,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화면을 확인하는데 용이할 것이다. 또한, 이탈 방지부(510)가 하우징(110)의 하면과 평행한 상태로 이격되는 경우, 전자기기가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이탈 방지부(51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600)의 제1 이탈 방지부(610), 제2 이탈 방지부(620) 및 이격부(64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600)는 하우징(110), 무선 충전부(120), 제1 살균부(미도시), 제2 살균부(540), 제1 이탈 방지부(610), 제2 이탈 방지부(620) 및 이격부(640)를 포함한다.
제1 이탈 방지부(610)는 가이드 형태인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의 이탈 방지부(210)이다. 또한, 제2 이탈 방지부(620)는 전자기기(10)가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제3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300)의 이탈 방지부(310)이다.
제1 이탈 방지부(610) 및 제2 이탈 방지부(620)에 전자기기(10)가 안착된다.
제1 이탈 방지부(610)와 제2 이탈 방지부(620)는 연결부(63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이탈 방지부(610)가 이격부(640)에 의해서 하우징(11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제2 이탈 방지부(620)도 하우징(11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제1 이탈 방지부(610)에 의해서 전자기기(10)가 안착되는 위치를 한정하고, 제2 이탈 방지부(620)에 의해서 전자기기(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이탈 방지부(620)는 무선 충전부(120)의 측면 둘레에 형성된다. 제2 이탈 방지부(620)가 하우징(11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무선 충전부(120)도 동시에 하우징(11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전자기기(10)가 하우징(11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도 전자기기(10)와 무선 충전부(120)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0)가 하우징(11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제2 살균부(540)로 전자기기(10)의 후면을 살균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600)는 전자기기(10)의 무선 충전과 전자기기(10)의 전면 및 후면의 살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이탈 방지부(610)와 무선 충전부(120)가 연결부(630)에 의해서 연결되며, 하우징(110)의 하면과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10)가 안정적으로 제1 이탈 방지부(610) 및 무선 충전부 상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제2 이탈 방지부(620)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7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700)의 하우징(110)에는 커버부(710)가 형성된다.
커버부(710)는 전자기기(10)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를 덮어 하우징(110)의 외부와 내부를 차단한다. 커버부(710)는 살균 자외선이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 장치(700)는 커버부(710)를 이용하여 살균부(130)에서 방출되는 살균 자외선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이탈 방지부(720)의 일부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 및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 방지부(72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전자기기(10)를 이탈 방지부(720)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 후, 이탈 방지부(720)를 하우징(110)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전자기기(10)를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720)의 일부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면, 커버부(710)는 이탈 방지부(720)에 의해서 들어올려지게 된다. 또한, 이탈 방지부(720)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커버부(710)는 하우징(110)의 입구를 덮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8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800)의 커버부(810)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된 커버부(810)를 밖으로 빼내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살균부(130)는 무선 충전부(120)가 전자기기(10)를 충전하고 있어도, 커버부(810)가 열려 있으면 살균 자외선 방출을 중단한다. 즉, 살균부(130)는 커버부(810)가 닫힌 상태에서만 살균 자외선을 방출한다.
무선 충전 장치(800)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800)는 제1 센서(820) 및 제2 센서(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820)는 커버부(810)가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830)는 커버부(810)가 하우징(110)의 하단과 접촉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800)는 커버부(810)가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제1 센서(820)가 감지하면 커버부(810)가 열린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살균부(130)는 제1 센서(820)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살균 자외선 방출을 중단한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800)는 커버부(810)가 하우징(110)의 하면과 접촉된 것을 제2 센서(830)가 감지하면, 커버부(810)가 닫힌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살균부(130)는 제2 센서(830)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살균 자외선을 방출한다.
상술한 설명 이외에도 조도 센서, 자기장 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커버부(810)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여, 살균 자외선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810)는 광원부(130)가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면, 살균 자외선이 무선 충전 장치(8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또한, 커버부(810)는 광원부(130)가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동안에는 사용자 또는 외부 힘에 의해서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9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900)는 커버부(910)가 살균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으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커버부(91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커버부(910)를 통해서 하우징(11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커버부(910)는 전자기기(10)의 화면을 확인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무선 충전 장치(900)는 전자기기(10)가 충전 및 살균 중에도 전자기기(10)의 화면을 확인하는데 용이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10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입력부(1030) 및 표시부(1020)를 포함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입력부(1030) 및 표시부(1020)는 커버부(1010)에 형성된다.
표시부(1020)는 전자기기와 연동되어 전자기기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010)가 닫힌 상태에서도 전자기기의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020)는 입력부(1030)에 입력된 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020)는 전자기기가 충전 중인지 살균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030)는 살균부 및 무선 충전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030)에 의해서 무선 충전부와 살균부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설정하거나, 무선 충전부 및 살균부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30)는 전자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1030)를 통해서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입력부(1030)는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전자기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 제어부는 입력부(1030)와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입력부(1030)를 통해서 살균부 및 무선 충전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전자기기가 충전 및 살균 중에도 입력부(1030)를 통해서 전자기기를 조작하고 표시부(1020)를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16을 통해서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구조를 위주로 설명하였다. 이후에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기능 및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무선 충전 장치(1100)는 무선 충전부(1110), 제어부(1120) 및 광원부(1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120) 및 광원부(1130)는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살균부(1130)에 포함된다.
무선 충전부(1110)는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무선 충전부(1110)는 접촉하거나 근접한 위치의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120)는 광원부(1130)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제어부(1120)는 무선 충전부(1110)가 충전 동작을 하면, 광원부(1130)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무선 충전부(1110)가 충전 동작을 중단하면, 광원부(1130)로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광원부(1130)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살균 자외선을 방출한다. 또한, 광원부(1130)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살균 자외선 방출을 중단한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100)는 무선 충전부(1110)의 동작에 따라 살균 자외선이 방출되거나 살균 자외선의 방출이 중단된다. 즉, 무선 충전 장치(1100)는 전자기기가 무선 충전되면 자동으로 전자기기의 살균을 수행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무선 충전 장치(1200)는 무선 충전부(1110), 타이머(1210), 제어부(1120) 및 광원부(1130)를 포함한다.
타이머(1210)는 무선 충전부(1110)가 충전 동작을 시작하면, 제어부(1120)로 살균 시작 신호를 제어부(1120)로 전송한다.
제어부(1120)는 타이머(1210)로부터 살균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광원부(1130)로 전원 공급을 시작한다.
또한, 타이머(1210)에는 살균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머(1210)는 살균 시작 신호를 제어부(1120)로 전송한 후, 미리 설정된 살균 시간이 경과하면, 살균 종료 신호를 제어부(1120)로 전송한다.
제어부(1120)는 타이머(1210)로부터 살균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광원부(1130)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무선 충전 장치(1300)는 입력부(1310), 제1 제어부(1320), 제2 제어부(1330), 무선 충전부(1110) 및 광원부(1130)를 포함한다.
입력부(1310)는 외부로부터 무선 충전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데이터가 입력되는 구성부이다. 입력부(1310)를 통해서, 무선 충전 장치(1300)가 무선 충전 및 살균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10)를 통해서, 무선 충전 장치(1300)가 무선 충전과 살균이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입력부(1310)는 무선 충전에 대한 설정 데이터가 입력되면, 충전 설정 신호를 생성하고, 살균에 대한 설정 데이터가 입력되면, 살균 설정 신호를 생성한다.
충전 설정 신호는 충전 시작 신호 및 충전 종료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살균 설정 신호는 살균 시작 신호 및 살균 종료 신호를 포함한다.
입력부(1310)는 살균 설정 신호는 제1 제어부(1320)로 전송하고, 충전 설정 신호는 제2 제어부(1330)로 전송한다.
제1 제어부(1320)는 살균 설정 신호에 따라 광원부(113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320)는 살균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광원부(1130)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제1 제어부(1320)는 살균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광원부(1130)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제2 제어부(1330)는 충전 설정 신호에 따라 무선 충전부(11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330)는 충전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충전부(111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무선 충전부(1110)는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제2 제어부(1330)는 충전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충전부(1110)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이때, 무선 충전부(1110)는 전자기기와 접촉한 상태에서도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무선 충전 장치(1300)는 입력부(1310)를 통해서 무선 충전과 살균을 사용자가 설정한 대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무선 충전 장치(1400)는 입력부(1310), 타이머(1410), 제1 제어부(1320), 제2 제어부(1330), 무선 충전부(1110) 및 광원부(1130)를 포함한다.
입력부(1310)는 외부로부터 무선 충전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입력부(1310)는 무선 충전에 대한 설정 데이터가 입력되면, 충전 설정 신호를 생성하고, 살균에 대한 설정 데이터가 입력되면, 살균 설정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입력부(1310)는 살균 설정 신호는 타이머(1410)로 전송하고, 충전 설정 신호는 제2 제어부(1330)로 전송한다.
타이머(1410)는 입력부(1310)로부터 살균 설정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머(1410)는 살균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제어부(1320)로 살균 시작 신호를 전송한다. 제1 제어부(1320)는 살균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광원부(1130)로 전원 공급을 시작한다.
또한, 타이머(1410)는 미리 설정된 살균 시간이 경과하면, 살균 종료 신호를 생성해 제1 제어부(1320)로 전송한다. 제1 제어부(1320)는 살균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광원부(1130)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여기서, 타이머(1410)의 살균 시간은 입력부(1310)를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타이머(1410)는 입력부(1310)로부터 살균 종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타이머(1410)는 미리 설정된 살균 시간이 경과하지 않아도 입력부(1310)로부터 수신한 살균 종료 신호를 광원부(113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무선 충전 장치(1400)는 타이머(1410)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살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400)는 사용자가 원할 때 입력부(1310)를 통해서 살균 또는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타이머(1410)를 통해서 살균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자세히 설명하고 있지 않지만, 무선 충전 동작 역시 타이머(1410)를 통해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400)는 전자기기가 완전히 충전되면 자동으로 충전이 종료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무선 충전 장치(1500)는 입력부(1310), 타이머(1410), 제1 제어부(1320), 제2 제어부(1330), 무선 충전부(1110) 및 광원부(15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부(1510)는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10)는 충전 설정 신호를 생성해 제2 제어부(1330)로 전송한다.
또한, 입력부(1310)는 살균 설정 신호를 생성해 제1 제어부(1320) 및 타이머(14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살균 설정 신호는 살균 시작 신호, 광량 설정 신호 및 살균 종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살균 설정 신호는 살균 시간 설정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살균 시간 설정 신호는 입력부(1310)를 통해서 설정된 살균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이다. 또한, 광량 설정 신호는 광원부(1510)를 통해서 방출되는 살균 자외선의 광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310)는 살균 시작 신호를 타이머(1410)로 전송하고, 광량 설정 신호를 입력부(1310)로 전송할 수 있다.
타이머(1410)는 수신한 살균 시작 신호를 제1 제어부(1320)로 전송한다. 또한, 타이머(1410)는 미리 설정되거나 입력부(1310)를 통해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살균 종료 신호를 제2 제어부(1330)로 전송한다.
제1 제어부(1320)는 입력부(1310)로부터 광량 설정 신호를 수신하고, 타이머(1410)로부터 살균 시작 신호를 수신한다. 제1 제어부(1320)는 살균 시작 신호를 수신하여, 광원부(1510)로 전원 공급을 시작한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살균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는 모두 동일한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20)는 광량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광량의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의 일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체에 공급할 수 있다. 광량 설정 신호가 최소 광량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신호라면, 제1 제어부(1320)는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 중 하나의 광원부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광량 설정 신호가 최대 광량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신호라면, 제1 제어부(1320)는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 전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살균 설정 신호는 살균 시작 신호, 살균 파장 설정 신호 및 살균 종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살균 파장 설정 신호는 광원부(1510)를 통해서 방출되는 살균 자외선의 파장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이다.
제1 제어부(1320)는 타이머(1410)를 통해서 살균 시작 신호를 수신하고, 입력부(1310)를 통해서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320)는 살균 파장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충전 장치(1500)는 입력부(1310)를 통해서 살균 자외선의 광량 및 파장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 장치(1500)는 살균 자외선의 광량 및 파장대를 선택하여 전자 장치가 일정 수준의 살균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타이머(1410)는 미리 설정되거나 입력부(1310)를 통해 설정된 살균 시간이 경과된 후 살균 종료 신호를 생성해 제1 제어부(13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타이머(1410)는 입력부(1310)로 살균 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살균 종료 신호를 제1 제어부(13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무선 충전 장치(1600)는 충전 시간 수신부(1610), 광량 설정부(1620), 제어부(1630), 광원부(1510) 및 무선 충전부(1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부(1510)는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살균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는 모두 동일한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한다.
무선 충전부(1110)는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기기를 충전시킨다.
충전 시간 수신부(1610)는 전자기기로부터 충전 시간을 수신한다. 충전 시간은 전자기기가 충전되는 속도를 통해 계산된다. 또는 충전 시간 수신부(1610)는 전자기기 또는 무선 충전부(1110)로부터 충전 속도를 수신하여 충전 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다. 충전 시간 수신부(1610)는 충전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광량 설정부(1620)로 전송한다.
광량 설정부(1620)는 충전 시간을 수신하여 살균 자외선의 광량을 계산한다. 광량 설정부(1620)는 충전 시간 동안 전자기기가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광량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살균력은 99% 이상의 살균력일 수 있다.
충전 시간이 길다면, 낮은 광량의 살균 자외선을 전자기기에 조사하여도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다. 또는 충전 시간이 짧다면, 무선 충전 장치(1600)는 전자기기에 높은 광량의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여,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광량 설정부(1620)는 계산된 살균 자외선의 광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량 설정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광량 설정부(1620)는 광량 설정 신호를 제어부(1630)로 전송한다.
제어부(1630)는 수신한 광량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광량의 살균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무선 충전 장치(1700)는 충전 시간 수신부(1610), 살균 파장 설정부(1710), 제어부(1630), 광원부(1510) 및 무선 충전부(1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부(1510)는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살균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한다.
충전 시간 수신부(1610)는 전자기기로부터 충전 시간을 수신하거나, 충전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충전 시간 수신부(1610)는 충전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살균 파장 설정부(1710)로 전송한다.
살균 파장 설정부(1710)는 충전 시간을 수신하여 광원부(1510)가 방출할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를 계산한다. 살균 파장 설정부(1710)는 충전 시간 동안 전자기기가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충전 시간이 길다면, 장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으로도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할 수 있다. 또는 충전 시간이 짧다면 단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살균 파장 설정부(1710)는 계산된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살균 파장 설정부(1710)는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제어부(1630)로 전송한다.
제어부(1630)는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 중에서 살균 파장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700)는 전자기기의 충전 시간에 따라 방출되는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가 달라진다. 이때, 단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은 장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보다 인체에 해롭다.
따라서, 살균 파장 설정부(1710)는 계산된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가 단 파장대인 경우, 커버부로 닫힘 신호를 전송한다. 커버부는 닫힘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충전 장치(1700)의 외부로 살균 자외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닫힌다.
도 22 및 도 23의 실시 예의 무선 충전 장치(1600, 1700)는 전자기기가 충전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살균 자외선의 광량 또는 파장대를 선택한다. 이와 같은 무선 충전 장치(1600, 1700)는 충전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전자기기가 충분히 살균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무선 충전 장치(1800)는 주행 시간 수신부(1810), 광량 설정부(1620), 제어부(1630), 광원부(1510) 및 무선 충전부(1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부(1510)는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살균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는 모두 동일한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한다.
주행 시간 수신부(1810)는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주행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800)는 자동차 또는 다른 이동 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주행 시간 수신부(1810)는 무선 충전 장치(1800)가 장착된 이동 수단의 주행 시간을 이동 수단에 장착된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주행 시간 수신부(1810)는 전자기기의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주행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1800)는 이동 수단의 네비게이션 또는 전자기기와 서로 통신이 연결된 상태이다.
주행 시간 수신부(1810)는 주행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광량 설정부(1620)로 전송한다.
광량 설정부(1620)는 주행 시간을 수신하여 살균 자외선의 광량을 계산한다. 즉, 광량 설정부(1620)는 주행 시간 동안 전자기기가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광량을 계산한다.
광량 설정부(1620)는 계산된 살균 자외선의 광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량 설정 신호를 생성한다. 광량 설정부(1620)는 광량 설정 신호를 제어부(1630)로 전송한다.
제어부(1630)는 수신한 광량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광량의 살균 자외선이 방출되도록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무선 충전 장치(1800)는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시작 신호 및 주행 종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800)는 수신한 주행 시작 신호 및 주행 종료 신호 따라 무선 충전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5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5를 참고하면, 무선 충전 장치(1900)는 주행 시간 수신부(1810), 살균 파장 설정부(1710), 제어부(1630), 광원부(1510) 및 무선 충전부(1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부(1510)는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살균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한다.
주행 시간 수신부(1810)는 이동 수단 또는 전자기기의 프로그램인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주행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주행 시간 수신부(1810)는 주행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광량 설정부(1620)로 전송한다.
살균 파장 설정부(1710)는 주행 시간을 수신하여 전자기기의 살균을 위한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를 계산한다. 즉, 살균 파장 설정부(1710)는 주행 시간 동안 전자기기가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를 계산한다.
살균 파장 설정부(1710)는 계산된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생성한다. 살균 파장 설정부(1710)는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제어부(1630)로 전송한다.
제어부(1630)는 제1 광원부(1520) 내지 제n 광원부(1530) 중에서 살균 파장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24 및 도 25의 실시 예의 무선 충전 장치(1800, 1900)는 사용자의 주행 시간을 계산하여 살균 자외선의 광량 또는 파장대를 선택한다. 이와 같은 무선 충전 장치(1900)는 사용자의 주행 시간에 맞춰 전자기기가 충분히 살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가 충전될 때 자동으로 살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가 충전을 위해 배치된 장소에서 살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시간 또는 사용자의 주행 시간에 맞춰 자동으로 충전 및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살균을 위해 행동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전자기기가 살균되므로, 전자기기의 용이한 위생 관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 및 특징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10: 전자기기
20: 자동차
30: 대시보드
51: 도전성 기판
52: 접착층
53, 65: 금속 반사층
54, 62: 제1 도전형 반도체
55, 63: 활성층
56, 64: 제2 도전형 반도체
57: 전극 패드
61: 성장 기판
66: 장벽 금속층
67: 제2 전극
68: 제1 절연층
69: 제1 전극
70: 제2 절연층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1900: 무선 충전 장치
110, 310: 하우징
120, 1110: 무선 충전부
130: 살균부
210, 310, 510: 이탈 방지부
520: 이격부
530: 제1 살균부
540: 제2 살균부
610: 제1 이탈 방지부
620: 제2 이탈 방지부
630: 연결부
640: 이격부
710, 810, 910, 1010: 커버부
720: 이탈 방지부
820: 제1 센서
830: 제2 센서
1020: 표시부
1030: 입력부
1120, 1630: 제어부
1130, 1510: 광원부
1210, 1410: 타이머
1310: 입력부
1320: 제1 제어부
1330: 제2 제어부
1520: 제1 광원부
1530: 제n 광원부
1610: 충전 시간 수신부
1620: 광량 설정부
1710: 살균 파장 설정부
1810: 주행 시간 수신부

Claims (37)

  1. 내부에 전자기기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살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무선 충전부가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동안 살균 자외선이 방출되도록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무선 충전부가 상기 전자기기의 충전을 시작하면, 상기 광원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살균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무선 충전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설정 데이터에 따라 충전 설정 신호 또는 살균 설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설정 신호는 살균 시작 신호 및 살균 종료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살균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살균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원부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동일한 파장대의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설정 신호는 광량 설정 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광량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광원 중에서 상기 광량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개수의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설정 신호는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광원 중에서 상기 파장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설정 신호는 살균 시작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살균 시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살균 시작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송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살균 종료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충전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충전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동일한 파장대의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또는 상기 무선 충전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충전 시간을 수신하는 충전 시간 수신부; 및
    상기 충전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광량을 계산하여, 광량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광량 설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광량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광원 중에서 상기 광량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개수의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또는 상기 무선 충전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충전 시간을 수신하는 충전 시간 수신부; 및
    상기 충전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를 계산하여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살균 파장 설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광원 중에서 상기 살균 파장 신호에 대응하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16. 청구항 2에 있어서,
    무선 충전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포함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외부의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시작 신호 및 주행 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충전부는 주행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고, 주행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예상 시간을 수신하는 주행 시간 수신부; 및
    상기 주행 예상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광량을 계산하여, 광량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광량 설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광량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광원 중에서 상기 광량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개수의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예상 시간을 수신하는 주행 시간 수신부; 및
    상기 주행 예상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살균력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 자외선의 파장대를 계산하여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살균 파장 설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살균 파장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광원 중에서 상기 살균 파장 신호에 대응하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전자기기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무선 충전부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면 또는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 중 상기 전자기기와 접촉하는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기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무선 충전부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면 또는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인 제1 이탈 방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 중 상기 전자기기와 접촉하는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기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 제2 이탈 방지부:
    를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24.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25.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 및 상기 이탈 방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제1 광원부; 및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제2 광원부;
    을 더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차단하며, 상기 살균 자외선을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광원부가 상기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자동으로 밀폐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광원부가 미리 설정된 특정 파장대의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면,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차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31.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3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에 대한 정보, 상기 살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3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연동되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전자기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3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및 상기 살균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방산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35. 청구항 1 내지 3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대시보드;
    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하우징은 상기 대시보드와 일체형인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자동자.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네비게이션을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전자기기에 무선 충전 및 살균을 수행하고,
    상기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주행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전자기기에 무선 충전 및 살균을 종료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KR1020170125150A 2017-09-27 2017-09-27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561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150A KR102561780B1 (ko) 2017-09-27 2017-09-27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150A KR102561780B1 (ko) 2017-09-27 2017-09-27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201A true KR20190036201A (ko) 2019-04-04
KR102561780B1 KR102561780B1 (ko) 2023-08-02

Family

ID=6610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150A KR102561780B1 (ko) 2017-09-27 2017-09-27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7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599B1 (ko) * 2020-05-19 2020-09-22 전현수 휴대폰 무선충전 살균기
KR20210070660A (ko) * 2019-12-05 2021-06-15 주식회사 인켈 무선 충전중 후면을 살균하는 무선 충전기
KR20210002132U (ko) * 2020-03-11 2021-09-27 브이맥스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충전기
KR20220031495A (ko) * 2020-09-04 2022-03-11 전병두 배송차량용 uvc 살균시스템
KR20220055528A (ko) 2020-10-26 2022-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에 장착된 마스크 살균 장치
US20220305154A1 (en) * 2021-03-29 2022-09-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ceptacle for recharging and sanitizing mobile electronic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028A (ko) * 2009-12-22 2011-06-29 엠텍비젼 주식회사 살균 장치 및 살균 처리 방법
KR20130124026A (ko) * 2012-05-04 2013-11-13 전자부품연구원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 살균 장치 및 방법
KR101535018B1 (ko) * 2014-04-25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충전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60050867A (ko) * 2014-10-31 2016-05-1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컵
KR20160109798A (ko) *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대창 사용자 인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028A (ko) * 2009-12-22 2011-06-29 엠텍비젼 주식회사 살균 장치 및 살균 처리 방법
KR20130124026A (ko) * 2012-05-04 2013-11-13 전자부품연구원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 살균 장치 및 방법
KR101535018B1 (ko) * 2014-04-25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충전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60050867A (ko) * 2014-10-31 2016-05-1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컵
KR20160109798A (ko) *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대창 사용자 인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660A (ko) * 2019-12-05 2021-06-15 주식회사 인켈 무선 충전중 후면을 살균하는 무선 충전기
KR20210002132U (ko) * 2020-03-11 2021-09-27 브이맥스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충전기
KR102158599B1 (ko) * 2020-05-19 2020-09-22 전현수 휴대폰 무선충전 살균기
KR20220031495A (ko) * 2020-09-04 2022-03-11 전병두 배송차량용 uvc 살균시스템
KR20220055528A (ko) 2020-10-26 2022-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에 장착된 마스크 살균 장치
US20220305154A1 (en) * 2021-03-29 2022-09-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ceptacle for recharging and sanitizing mobile electronics
US11964064B2 (en) * 2021-03-29 2024-04-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ceptacle for recharging and sanitizing mobile electron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780B1 (ko)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6201A (ko)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10363327B2 (en) Luminaire with white light LEDs and UV LEDs for lighting and disinfection
KR20150017544A (ko) 자동차용 살균 장치
US20210023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ed high intensity narrow spectrum and non-high intensity narrow spectrum lighting for surface disinfection in variably occupied environments
US9192191B2 (en) Ultraviolet disinfecting device for food and beverage dispensers
EP3929484A1 (en) Led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having same
EP2858131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11753315B2 (en) Portable water bottle having a UV light sterilization module
US9950085B2 (en) Ultraviolet disinfecting device for food and beverage dispensers
US9548286B2 (en) Solid state lights with thermal control elements
TW200947767A (en) GaN-base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element assembly, light-emitt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GaN-base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method of driving GaN-base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KR20230069989A (ko) 불활화 방법 및 불활화 시스템
KR20160031754A (ko)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US20160029686A1 (en) Ultraviolet disinfecting device for food and beverage dispensers
CN111900153A (zh) 具有杀菌光的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TWI343659B (ko)
US10941049B2 (en) Water purifier
KR101606631B1 (ko) Led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안구건조증 치료기
JP5507890B2 (ja) 排水口用蓋体
US20150330064A1 (en) Water dispenser decontamination device
EP3660386A1 (en) Light source module
EP3490012B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220152232A1 (en) Germicidal Light Dosage Dispensing System
KR100540121B1 (ko) 살균기능이 있는 전기면도기
KR20160088708A (ko) 살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