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047A -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047A
KR20190036047A KR1020170124801A KR20170124801A KR20190036047A KR 20190036047 A KR20190036047 A KR 20190036047A KR 1020170124801 A KR1020170124801 A KR 1020170124801A KR 20170124801 A KR20170124801 A KR 20170124801A KR 20190036047 A KR20190036047 A KR 20190036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ischarge
housing
fil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진석
전재환
Original Assignee
차진석
전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진석, 전재환 filed Critical 차진석
Priority to KR102017012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047A/ko
Publication of KR2019003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24F3/1603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상하측이 개방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공간이 측방으로도 개방되도록 일측과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 후측이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고, 전측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흡입필터; 상기 흡입필터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흡입필터의 후측이 수용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필터의 전측이 수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흡입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흡입필터의 후측이 지지되는 후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에는 상기 흡입필터의 전측이 지지되는 전측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하우징에는 상기 제1몸체의 외벽, 상기 후측돌기, 상기 제2몸체의 외벽, 상기 전측돌기 및 상기 흡입필터에 둘러싸인 공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성에 의해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고, 2개의 필터를 거쳐 정화된 공기를 카테터와 연결된 마스크 또는 방독면에 연결하여 호흡이 편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걸이형 공기청정기{Necklace Type Air Purifier}
본 발명은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를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가속화된 산업화로 스모그현상, 이산화탄소의 증가, 오존층의 파괴등 대기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에 비례하여 건강 및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날씨를 확인하듯이 미세먼지 농도를 살피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이와 관련되어 2017년 3월 국립환경과학원 발표한 서울 지역 미세먼지 농도는 전년 대비 25%나 더 짙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은 미세먼지 농도가 50㎍/㎥이상일 경우 야외수업을 자제하고 학생들의 외부 활동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기도 했다.
또한, 근래에는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등산이나 운동, 동호인 모임 등 여가활동의 증가가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 웰빙 붐과 함께 건강에 대한 인식도 높아져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봄철 황사나 꽃가루, 자동차 매연 등으로 야외 대기환경이 쾌적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일반 오래된 건축물의 실내에는 곰팡이류 등의 미생물과 석면 등의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있어 천식이나 알레르기 환자가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에 사용되는 공기 청정기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이다. 시판중인 상품들은 특히 알레르기, 천식 환자에게 이로우며, 간접 흡연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담배 연기를 제거한다.
따라서 가정 및 사무실에 별도로 고가의 공기청정기가 필수 항목으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매우 큰 크기로 제작되어 휴대가 불가능하고 또한 큰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에 수반되는 부품의 크기로 인해 비용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 등록특허공보 제10-168590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의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 공기압축기(22), 물(W)이 각각 분리 수용되는 제1 내지 제3 수용부(10a)(10b)(10c)와, 제1 내지 제3 수용부(10a)(10b)(10c)의 개구를 개폐하는 제1 내지 제3 덮개(12a)(12b)(12c)와, 몸체(10)의 하면에서 제2 수용부(10b) 연결되면서 프리필터(24)를 수용하는 공기흡입구(14)와, 제3 수용부(10c)의 물(W)에 수몰되게 세워지면서 공기압축기(22)의 공기배출구(22a)와 연결되도록 하부에 디퓨져(26a)가 설치된 사이펀관(26)과, 제3 수용부(10c)의 상부에 설치되어 정화된 가습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캐뉼라(28)와, 몸체(10)에 설치되어 공기압축기(22)의 구동을 온/오프하면서 공기공급량을 조절하는 전원스위치(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목에 몸체(10) 자체를 걸 수 없어 손에 들고 있거나, 목걸이와 같은 줄이 따로 필요하며, 이러한 줄을 목걸이로 사용할 경우 몸체(10)의 무게가 줄에 쏠려 사용자의 목을 압박하거나, 몸체(10)가 흔들려 사용자의 신체에 부딪히는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8590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된 공기나 토출될 공기가 필터에 막히지 않아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 및 토출될 공기가 필터를 반드시 통과하여 보다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는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구와 카테터 사이에 회전가능한 연결관이 있어 사용이 편리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도 호흡에 불편함이 없는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상하측이 개방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공간이 측방으로도 개방되도록 일측과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 후측이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고, 전측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흡입필터; 상기 흡입필터의 후측이 수용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필터의 전측이 수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흡입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흡입필터의 후측이 지지되는 후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에는 상기 흡입필터의 전측이 지지되는 전측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하우징에는 상기 제1몸체의 외벽, 상기 후측돌기, 상기 제2몸체의 외벽, 상기 전측돌기 및 상기 흡입필터에 둘러싸인 공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후측이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토출필터; 상기 토출필터의 후측이 수용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토출필터의 전측이 수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출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 하우징의 제1몸체에는 상기 흡입필터의 후측이 지지되는 후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 하우징의 제2몸체에는 상기 흡입필터의 전측이 지지되는 전측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 하우징의 제1몸체에는 상기 토출필터의 후측이 지지되는 후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 하우징의 제2몸체에는 상기 토출필터의 전측이 지지되는 전측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하우징에는 상기 제1몸체의 외벽, 상기 후측돌기, 상기 제2몸체의 외벽, 상기 전측돌기 및 상기 흡입필터에 둘러싸인 공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 하우징에는 상기 제1몸체의 외벽, 상기 후측돌기, 상기 제2몸체의 외벽, 상기 전측돌기 및 상기 토출필터에 둘러싸인 공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필터의 전면은 상기 흡입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흡입 하우징의 공기 수용공간과 접촉되고, 상기 흡입필터의 후면은 상기 후측돌기에 가려 상기 흡입 하우징의 공기 수용공간과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토출필터의 후면은 상기 에어펌프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토출 하우징의 공기 수용공간과 접촉되고, 상기 토출필터의 전면은 상기 전측돌기에 가려 상기 토출 하우징의 공기 수용공간과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상기 흡입필터의 전측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전측돌기에 지지되고, 상기 흡입필터의 후측이 상기 후측돌기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토출필터의 전측이 상기 전측돌기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토출필터의 후측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후측돌기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상기 토출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굽어진 부분이 형성된 연결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카테터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덮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목에 걸고 사용할 수 있어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일측에 전원부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에어펌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목에 걸고 사용할 때 밸런스가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필터가 흡입구와 토출구 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필터가 이물질에 막히지 않아 공기가 원활하게 필터를 통과하므로 공기청정기의 효율이 증대 및 고장의 가능성이 낮다.
또한,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내장된 배터리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므로 휴대가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휴대중에도 충전이 가능하고, 버튼으로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는 등 방전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동일한 부품인 흡입 하우징과 토출 하우징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본체 내에서 공간 점유가 작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흡입 하우징 및 토출 하우징이 밀폐케이스이므로 본 발명은 공기 정화 능력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연결관과 연결된 카테터를 회전시키면서 보다 편하게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카테터를 통해 마스크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거나,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 카테터의 출구를 입이나 코에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흡에 불편함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 중 전원부와 에어펌프의 연결 또는 분해를 나타낸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중 필터가 삽입된 하우징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중 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중 연결관의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는, 상하측이 개방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S1)과, 상기 공간(S1)이 측방으로도 개방되도록 일측과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S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전원부(110), 상기 전원부(110)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며 입구(161)와 출구(163)가 형성된 에어펌프(160), 상기 에어펌프(160)와 연결되는 흡입구(242) 및 토출구(342), 후측이 상기 에어펌프(160)와 연결되고, 전측이 상기 흡입구(242)와 연결되는 흡입필터(170), 후측이 상기 에어펌프(160)와 연결되고, 전측이 상기 토출구(342)와 연결되는 토출필터(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사용자의 목에 걸리도록 반원 형상으로 된 연결부(102)와, 연결부(102)의 양측에 연결되고 연결부(102)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전원부(110), 에어펌프(160), 흡입구(242), 토출구(342), 흡입필터(170), 토출필터(180) 등이 내부에 설치되는 수용부(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용부(104)는 연결부(102)의 일측에 연결되며 전원부(110)가 설치되는 제1수용부(106)와, 연결부(102)의 타측에 연결되며 에어펌프(160), 흡입 하우징(200), 토출 하우징(300), 흡입필터(170), 토출필터(180) 등이 설치되는 제2수용부(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수용부(106)와 제2수용부(108)는 연결부(102)의 일타측 폭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00)의 내부에는 연결부(102)와 수용부(104)에 둘러싸여 상하측이 개방된 공간(S1)이 형성되며, 제1수용부(106)와 제2수용부(108)에 의해 형성된 개방부(S2)에 의해 공간(S1)이 측방으로도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목을 개방부(S2)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통과시켜 본체(100)의 공간(S1) 안으로 집어 넣어 연결부(102)를 목에 건 채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목에 걸고 사용할 수 있어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170,180)가 흡입구(242)와 토출구(342) 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이 좋다.
한편, 전원부(110)는 배터리(112), 배터리(112)에 연결된 메인 PCB(120), 메인 PCB(120)에 연결된 터치키(Touch key) PCB(114), 터치키 PCB(114)에 연결된 스위치 부재(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장된 배터리(112)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를 작동시키므로 휴대가 편리하다.
메인 PCB(120)는 배터리(112)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충전잭 커넥터(121)와, 배터리(112)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112)의 전선이 연결되는 배터리 커넥터(123), 에어펌프(160)의 전선이 연결되는 에어펌프 커넥터(125), 터치키 PCB(114)와 연결되는 터치키 커넥핀(1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터치키 PCB(114)는 터치패드가 형성된 판과, 판의 타측에 연결되어 터치키 커넥핀(127)이 삽입되는 구멍을 갖는 삽입부와, 판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위치 부재(116)가 삽입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위치 부재(116)는 터치키 PCB(114)에 삽입되는 부분과,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의 외측에 돌출되어 배터리(112)의 전원차단 및 작동을 겸용으로 하는 버튼(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의 버튼(118)은 push 형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휴대중에도 충전이 가능하고, 버튼(118)으로 배터리(112)의 전원을 차단하는 등 방전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0)의 일측에 배터리(112), 메인 PCB(120) 등의 전원부(110)가 설치되고, 본체(100)의 타측에는 에어펌프(1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목에 걸고 사용할 때 밸런스가 좋다.
======== 흡입 하우징(200) 및 토출 하우징(300)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필터(170)의 후측이 수용되는 제1몸체(210)와, 상기 제1몸체(2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필터(170)의 전측이 수용되는 제2몸체(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흡입 하우징(200), 상기 토출필터(180)의 후측이 수용되는 제1몸체(310)와, 상기 제1몸체(3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토출필터(180)의 전측이 수용되는 제2몸체(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출 하우징(3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흡입 하우징(200)과 토출 하우징(300)은 동일한 형상의 부품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동일한 부품인 흡입 하우징(200)과 토출 하우징(30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본체(100) 내에서 공간 점유가 작은 효과가 있다. 즉 흡입 하우징(200)의 제1몸체(210)가 토출 하우징(300)의 제2몸체(320)와 같은 형상이고, 흡입 하우징(200)의 제2몸체(220)가 토출 하우징(300)의 제1몸체(310)와 같은 형상이다.
흡입 하우징(200)과 토출 하우징(300)은 외벽이 측면과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원통이다. 보다 자세하게 흡입 하우징(200)과 토출 하우징(300)의 외벽은 흡입필터(170),토출필터(180)의 측면을 이격된 채 둘러싸는 측면과, 측면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되어 흡입필터(170),토출필터(180)의 전면 또는 후면과 각각 마주보는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 하우징(200)의 전면과 후면에는 후술될 공기 수용공간(230)과 연통되는 전측 연장부(240)와 또는 후측 연장부(250)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토출 하우징(300)의 전면과 후면에는 후술될 공기 수용공간(330)과 연통되는 후측 연장부(350)와 또는 전측 연장부(340)가 각각 형성된다.
흡입 하우징(200) 및 토출 하우징(300)의 전측 연장부(240,340)와 후측 연장부(250,350)는 전후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관 형상이다.
또한, 전측 연장부(240,340)와 후측 연장부(250,350)는 흡입 하우징(200) 및 토출 하우징(300)의 공기 수용공간(230,330)과 연통된다. 따라서 흡입 하우징(200)과 토출 하우징(300)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 형상이다.
한편,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 연장부(240)는 본 발명의 흡입구(242)를 형성하며, 흡입 하우징(200)의 후측 연장부(250)는 흡입 하우징(200)의 출구(254)를 형성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출 하우징(300)의 전측 연장부(340)는 본 발명의 토출구(342)를 형성하며,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 연장부(350)는 토출 하우징(300)의 입구(354)를 형성한다.
흡입 하우징(200)의 제1몸체(210) 및 토출 하우징(300)의 제2몸체(320)의 전후길이는 흡입 하우징(200)의 제2몸체(220) 및 토출 하우징(200)의 제1몸체(310)의 전후길이보다 짧다.
한편, 흡입 하우징(200) 및 토출 하우징(300)의 제1몸체(210,310)와 제2몸체(220,320)의 접촉면에는 패킹(260,360)이 설치된다. 패킹(260,360)은 흡입 하우징(200)의 제2몸체(220)와 토출 하우징(200)의 제1몸체(310)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공기 수용공간(230,330) 내부의 공기가 흡입 하우징(200) 및 토출 하우징(30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1몸체(210,310)와 제2몸체(220,320)가 결합되기 위한 수단으로, 본 실시 예에서 흡입 하우징(200)의 제1몸체(210)에는 암나사, 제2몸체(220)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토출 하우징(200)의 제1몸체(310)에는 수나사, 제2몸체(320)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한편, 흡입 하우징(200)의 제1몸체(210)는 전측에 외벽을 따라 전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결합부(214)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214)는 외주면이 제1몸체(210)의 외주면보다 외측에 위치되고, 내주면은 제1몸체(210)의 내주면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즉 흡입 하우징(200)에는 제1몸체(210)와 제1결합부(214)에 의해 턱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214)의 내주면에는 제2몸체(220)의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출 하우징(300)의 제2몸체(320)는 후측에 외벽을 따라 후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결합부(324)를 포함한다. 제2결합부(324)는 외주면이 제2몸체(320)의 외주면보다 외측에 위치되고, 내주면은 제2몸체(320)의 내주면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즉 토출 하우징(300)에는 제2몸체(320)와 제2결합부(324)에 의해 턱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결합부(324)의 내주면에는 제1몸체(310)의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반대로, 흡입 하우징(200)의 제2몸체(220)는 후측에 외벽을 따라 후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결합부(224)를 포함한다. 제2결합부(224)는 외주면이 제2몸체(220)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위치된다. 즉 제2몸체(220)와 제2결합부(224)에 의해 턱이 형성된다. 또한 흡입 하우징(200)에는 제2결합부(224)의 외주면에는 제1몸체(210)의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출 하우징(200)의 제1몸체(310)는 후측에 외벽을 따라 전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결합부(314)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314)는 외주면이 제1몸체(310)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위치된다. 즉 토출 하우징(300)에는 제1몸체(310)와 제1결합부(314)에 의해 턱이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부(314)의 외주면에는 제2몸체(320)의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또한, 흡입 하우징(200)의 제2몸체(220)는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결합부(214)와 접촉되는 부분의 외주면이 제1결합부(214)의 외주면과 나란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출 하우징(200)의 제1몸체(310)는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결합부(324)와 접촉되는 부분의 외주면이 제2결합부(324)의 외주면과 나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흡입 하우징(200)은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가 서로 결합되면 제1결합부(214)의 전면과 제2몸체(220)의 후면 일부가 면접촉되고, 상기 접촉면을 기준으로 내측에 패킹(260)이 위치되며, 패킹(260)의 후측에는 암나사, 수나사가 결합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출 하우징(300)은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가 서로 결합되면 제1결합부(314)의 전면과 제2몸체(320)의 후면의 일부가 면접촉되고, 상기 접촉면을 기준으로 내측에 패킹(360)이 위치되며, 패킹(360)의 전측에 암나사, 수나사가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 하우징(200) 및 토출 하우징(300)의 공기 수용공간(230,33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즉 흡입 하우징(200) 및 토출 하우징(300)은 밀폐케이스이므로 본 발명은 공기 정화 능력이 좋다.
========== 전후측 돌기(212,222,312,322)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 하우징(200)의 제1몸체(210)에는 상기 흡입필터(170)의 후측이 지지되는 후측돌기(21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 하우징(200)의 제2몸체(220)에는 상기 흡입필터(170)의 전측이 지지되는 전측돌기(222)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하우징(200)에는 상기 제1몸체(210)의 외벽, 상기 후측돌기(212), 상기 제2몸체(220)의 외벽, 상기 전측돌기(222) 및 상기 흡입필터(170)에 둘러싸인 공기 수용공간(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출 하우징(300)의 제1몸체(310)에는 상기 토출필터(180)의 후측이 지지되는 후측돌기(3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320)에는 상기 토출필터(180)의 전측이 지지되는 전측돌기(322)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 하우징(300)에는 상기 제1몸체(310)의 외벽, 상기 후측돌기(312), 상기 제2몸체(320)의 외벽, 상기 전측돌기(322) 및 상기 흡입필터(180)에 둘러싸인 공기 수용공간(330)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필터(170)의 전면은 상기 흡입구(24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흡입 하우징(200)의 공기 수용공간(230)과 접촉되고, 상기 흡입필터(170)의 후면은 상기 후측돌기(312)에 가려 상기 흡입 하우징(200)의 공기 수용공간(230)과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토출필터(180)의 후면은 상기 에어펌프(16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토출 하우징(300)의 공기 수용공간(330)과 접촉되고, 상기 토출필터(180)의 전면은 상기 전측돌기(322)에 가려 상기 토출 하우징(300)의 공기 수용공간(330)과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필터(170)의 전측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전측돌기(222)에 지지되고, 상기 흡입필터(170)의 후측이 상기 후측돌기(312)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토출필터(180)의 전측이 상기 전측돌기(322)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토출필터(180)의 후측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후측돌기(31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돌기(222)에 둘러싸여 형성된 관통공은 공기 수용공간(230)과 연통된다. 따라서 흡입필터(170)의 전면은 공기 수용공간(230)과 접촉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돌기(312)에 둘러싸여 형성된 관통공은 공기 수용공간(330)과 연통된다. 따라서 토출필터(180)의 후면은 공기 수용공간(330)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돌기(222)에 둘러싸여 형성된 관통공은 흡입구(242)와 연통되고,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돌기(312)에 둘러싸여 형성된 관통공은 에어펌프(160)의 출구(163)와 연통된다.
한편,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돌기(222)와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돌기(312)는 동일한 형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돌기(222)는 제2몸체(220)의 외벽과 전면에,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돌기(312)는 제1몸체(310)의 외벽과 후면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자면,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돌기(222)와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돌기(312)는 각각 흡입 하우징(200)의 제2몸체(220)와 토출 하우징(300)의 제1몸체(310)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고, 복수개의 돌기(222,312)들 사이에 공기 수용공간(230,330)과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필터(170.180)의 공기 정화 작용이 원활하게 발생된다.
도 3a를 기준으로,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돌기(222)와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돌기(312)에는 흡입 하우징(200) 또는 토출 하우징(300)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흡입필터(170)의 전면이나 토출필터(180)의 후면이 접촉되는 지지부(226,316)가 형성된다. 즉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돌기(222)와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돌기(312)에는 계단처럼 턱이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지지부(226,316)는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돌기(222)의 하측과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돌기(312)의 하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 하우징(200)의 전면은 지지부(226)와 연결되고, 토출 하우징(300)의 후면은 지지부(316)와 연결된다.
이러한 지지부(226,316)의 측면에 둘러싸여 형성된 관통공은 흡입 하우징(200)의 입구인 흡입구(242)나 토출 하우징(300)의 출구인 토출구(342)와 연통되고, 또한 공기 수용공간(230,330)과도 연통된다.
도 3b의 좌측 도면과 같이,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돌기(222)와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돌기(312)는 중심축의 방사상으로 총 4개가 형성되며, 4개가 서로 동일 간격만큼 이격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 하우징(200)을 기준으로 흡입필터(170)의 측면은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돌기(222)에 접촉되고, 흡입필터(170)의 전면은 흡입 하우징(200)의 지지부(226)에 접촉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출 하우징(300)을 기준으로 토출필터(180)의 측면은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돌기(312)에 접촉되고, 토출필터(180)의 후면은 토출 하우징(300)의 지지부(316)에 접촉된다.
또한, 도 3b의 도면과 같이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돌기(222)는 외벽과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 단면이 직사각형과 유사하며, 서로 마주보는 전측돌기(222)간에 간격은 흡입 하우징(200)의 전측 연장부(240)에 둘러싸여 형성된 입구, 즉 흡입구(242)의 직경보다 크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돌기(312)는 외벽과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 단면이 직사각형과 유사하며, 서로 마주보는 후측돌기(312)간에 간격은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 연장부(350)에 둘러싸여 형성된 입구(354)의 직경보다 크다.
한편, 흡입 하우징(200)의 후측돌기(212)와 토출 하우징(300)의 전측돌기(322)는 동일한 형상이다.
흡입 하우징(200)의 후측돌기(212)는 제1몸체(210)의 후면에 연결되고, 토출 하우징(300)의 전측돌기(322)는 제2몸체(320)의 전면에 연결된다.
흡입 하우징(200)의 후측돌기(212)에 둘러싸여 형성된 관통공은 후측 연장부(250)의 출구(254)와 연통되고, 토출 하우징(300)의 전측돌기(322)에 둘러싸여 형성된 관통공은 토출구(342)와 연통된다.
도 3b의 도면과 같이 흡입 하우징(200)의 후측돌기(212)는 단면이 원형이며, 후측돌기(212)의 내경은 흡입 하우징(200)의 후측 연장부(250)에 둘러싸여 형성된 출구(254)의 직경보다 크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출 하우징(300)의 전측돌기(322)는 단면이 원형이며, 전측돌기(322)의 내경은 토출 하우징(300)의 전측 연장부(340)에 둘러싸여 형성된 토출구(342)의 직경보다 크다.
이러한 흡입 하우징(200)의 후측돌기(212)에 둘러싸여 형성된 관통공에 흡입필터(170)가 삽입되면 흡입 하우징(200)의 공기 수용공간(230)과 흡입 하우징(200)의 출구(254) 사이는 흡입필터(170)로 막혀 틈새가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출 하우징(300)의 전측돌기(322)에 둘러싸여 형성된 관통공에 토출필터(180)가 삽입되면 토출 하우징(300)의 공기 수용공간(330)과 토출구(342) 사이는 토출필터(180)로 막혀 틈새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물질이 섞인 외부 공기가 반드시 흡입필터(170)를 거치게 되므로 이물질이 공기와 분리되고,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가 다시 토출필터(180)를 거쳐 토출된다. 즉 본 발명은 흡입된 외부 공기가 필터(170,180)를 두 번 거치게 되므로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시킬 수 있다.
한편, 에어펌프(160)와 흡입 하우징(200)은 연결관(420)을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에어펌프(160)의 입구(161)와 흡입 하우징(200)의 후측 연장부(250)가 같은 연결관(420)에 삽입되어 에어펌프(160)와 흡입 하우징(200)이 연통된다.
에어펌프(160)와 토출 하우징(300)은 또 다른 연결관(430)을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에어펌프(160)의 출구(163)와 토출 하우징(300)의 후측 연장부(350)가 같은 연결관(430)에 삽입되어 에어펌프(160)와 토출 하우징(300)이 연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구(242) - 흡입 하우징(200)의 공기 수용공간(230) 흡입 하우징(200)의 출구(254) - 연결관(420) - 에어펌프(160) 입구(161) 및 출구(163) - 연결관(430) - 토출 하우징(300)의 입구(354) - 토출 하우징(300)의 공기 수용공간(330) - 토출구(342)는 순서대로 연통되어 있어 외부의 공기가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에 흡입되었다가 다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 연결관(130) ===========
또한, 본 발명은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를 상기 토출구(34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굽어진 부분(131)이 형성된 연결관(1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관(130)은 토출구(342)와 연결되는 튜브(133), 튜브(133)가 삽입되는 슬리브(135), 슬리브(135)가 삽입되어 걸리는 칼라(Collar)(137), 칼라(137)가 후면에 걸리면서 삽입되는 제1바디(143), 칼라(137)에 걸리도록 칼라(137)의 전측에 위치면서 제1바디(143) 내에 삽입되는 백링(Back Ring) (139), 백링(139)의 전측에 위치되도록 제1바디(143) 내에 삽입된 패킹(141), 내주면이 제1바디(143)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제1바디(143)의 전측이 삽입된 제2바디(147), 제1바디(143)와 제2바디(147)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오링(145), 제2바디(147)의 외주면 중 중앙부에 설치되는 쓰레드 오링(149)(Thread O-ring)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튜브(133), 슬리브(135), 칼라(137), 백링(139), 패킹(141), 제1바디(143), 오링(145), 제2바디(147), 쓰레드 오링(149)은 모두 일타측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1바디(143)는 수지(Resin) 재질이며, 중앙부(131)가 90도로 굽어진 부분이다. 도 4를 기준으로 제1바디(143)는 중앙부(131)를 기준으로 후측에 튜브(133)가 삽입되고, 중앙부(131)를 기준으로 타측은 제2바디(147)에 삽입된다.
또한, 제1바디(143)에는 내경이 좁아지는 부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패킹(141)은 백링(139)과 중앙부(131)에 내경이 좁아지는 부분 사이에 걸려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제1바디(143)에는 튜브(133)의 전측만이 삽입되도록 튜브(133)의 전면이 접촉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바디(143) 내측에는 턱이 두 군데 생긴다.
한편, 제1바디(143)에 삽입된 튜브(133)는 전면이 패킹(141)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제1바디(143)에 삽입된다. 이때 튜브(133)의 외주면은 패킹(141), 백링(139), 칼라(137)에 압박되므로 제1바디(143)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다.
한편, 쓰레드 오링(149)에는 후술될 카테터(150)가 접촉된다.
한편, 제2바디(147)는 금속 재질이다. 제2바디(147)의 전측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바디(147)가 카테터(150)에 삽입되면 수나사산은 카테터(150) 내주면과 접촉된다.
연결관(130)은 튜브(133) 및 슬리브(135) 외의 구성들(137,139,141,143,145,147,149)이 튜브(133) 및 슬리브(135)와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관(130)과 연결된 카테터(150)를 회전시키면서 보다 편하게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연결관(130)이 토출구(342)와 연통되도록 연결관(130)의 튜브(133)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관(미도시)의 전측이 삽입되며, 관(미도시)의 후측은 토출 하우징(300)의 전측 연장부(340)의 외주면에 설치된 연결 튜브(미도시)에 삽입된다.
========== 카테터(150) 및 마스크(159) ==========
또한, 본 발명은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는 상기 연결관(130)에 연결되는 카테터(150), 상기 카테터(150)에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카테터(15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덮개(15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카테터(150)는 연결관(130)과 연통되는 입구(151), 입구(151)에서 연장된 연장부, 연장부에 설치되는 분할관, 분할관에 설치되어 분할관끼리 거리가 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 분할관의 단부에 연결된 출구(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덮개(159)는 마스크(159)로 도시하였다.
마스크(159)의 공간 내측에 카테터(150)의 출구(153)가 위치되도록 카테터(150)를 마스크(159)에 관통하여 삽입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설치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테터(150)를 통해 마스크(159)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거나, 마스크(159)를 쓴 상태에서 카테터(150)의 출구(153)를 입이나 코에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흡에 불편함이 없다.
=======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의 연결 구조 및 작동 =======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들의 연결 및 설치 구조는 아래와 같다.
본체(100)의 제1수용부(106)에 전원부(110)가 설치되고, 충전잭 커넥터(121)와 스위치 부재(116)의 버튼(118)은 제1수용부(106)의 외측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의 외부공간에 위치된다.
전원부(110)의 메인 PCB(120)는 에어펌프(160)와 전선으로 연결되며, 에어펌프(160)의 전측에 돌출 형성된 입구(161)와 출구(163)는 각각 흡입 하우징(200)과 토출 하우징(300)에 연결된다.
제2수용부(108)에 수용된 흡입 하우징(200)의 입구 단부, 즉 흡입구(242)는 제2수용부(108)의 단부와 나란하거나 단부보다 돌출된 것이 외부공기를 쉽게 흡입할 수 있을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토출 하우징(300)에 연결된 연결관(130)은 일부가 회전되야 하므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의 외부 공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은 아래의 순서로 작동된다.
우선, 목걸이형 공기청정기(1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버튼(118)이 눌리면 배터리(112)의 전력이 메인 PCB(120)에 공급되고, 메인 PCB(120)에 의해 에어펌프(160)가 작동되어 흡입구(242)를 통해 외부공기가 공기청정기(10) 내로 흡입된다.
이후, 흡입된 외부공기는 흡입구(242), 흡입 하우징(200)의 공기 수용공간(230), 흡입필터(170)를 거쳐 1차로 정화된 공기가 된다. 이때 외부공기와 함께 흡입된 이물질이 있다면, 이물질은 흡입필터(170)를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 수용공간(230)에 수용된다. 따라서 흡입필터(170)가 이물질에 막히지 않아 공기가 원활하게 흡입필터(170)를 통과하므로 공기청정기(10)의 효율이 증대 및 고장의 가능성이 낮다.
이후, 1차 정화 공기는 흡입 하우징(200)의 출구(254)를 통과하여 연결관(420)을 거쳐 에어펌프(160)로 흡입되었다가 토출되어 또 다른 연결관(430)을 통해 토출 하우징(300)의 입구(354)로 이동한 뒤, 토출필터(180)를 거쳐 2차로 정화된 공기가 된다. 만약 1차로 정화된 공기에 흡입필터(170)로 걸러지지 못 한 이물질이 있다면, 이물질은 토출필터(180)를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 수용공간(330)에 수용된다. 따라서 토출필터(180)가 이물질에 막히지 않아 공기가 원활하게 토출필터(180)를 통과하므로 공기청정기(10)의 효율이 증대된다.
이후, 2차 정화 공기는 토출 하우징(300)의 공기 수용공간(330), 토출 하우징(300)의 출구인 토출구(342), 연결관(130), 카테터(150)를 거쳐 외부공간으로 토출되어 사용자가 마스크(159)를 쓴 채로 2차 정화 공기를 들이마실 수 있게 된다.
========================================
한편, 본 실시 예와 달리 구성들의 배치나 본체(100)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도면에서 덮개(159)는 마스크(159)로 도시되었으나, 방독면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100 : 본체
102 : 연결부 104 : 수용부
106 : 제1수용부 108 : 제2수용부
110 : 전원부 112 : 배터리
114 : 터치키 PCB 116 : 스위치 부재
118 : 버튼 120 : 메인 PCB
130 : 연결관 150 : 카테터
159 : 덮개(마스크) 160 : 에어펌프
170 : 흡입필터 180 : 토출필터
200 : 흡입 하우징 210 : 제1몸체
212 : 후측돌기 220 : 제2몸체
222 : 전측돌기 226 : 지지부
230 : 공기 수용공간 240 : 전측 연장부
242 : 흡입구 250 : 후측 연장부
300 : 토출 하우징 310 : 제1몸체
312 : 후측돌기 320 : 제2몸체
322 : 전측돌기 326 : 지지부
330 : 공기 수용공간 340 : 전측 연장부
350 : 후측 연장부 354 : 후측 연장부

Claims (5)

  1. 상하측이 개방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공간이 측방으로도 개방되도록 일측과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
    후측이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고, 전측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흡입필터;
    상기 흡입필터의 후측이 수용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필터의 전측이 수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흡입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흡입필터의 후측이 지지되는 후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에는 상기 흡입필터의 전측이 지지되는 전측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하우징에는 상기 제1몸체의 외벽, 상기 후측돌기, 상기 제2몸체의 외벽, 상기 전측돌기 및 상기 흡입필터에 둘러싸인 공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후측이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토출필터;
    상기 토출필터의 후측이 수용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토출필터의 전측이 수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출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 하우징의 제1몸체에는 상기 흡입필터의 후측이 지지되는 후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 하우징의 제2몸체에는 상기 흡입필터의 전측이 지지되는 전측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 하우징의 제1몸체에는 상기 토출필터의 후측이 지지되는 후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 하우징의 제2몸체에는 상기 토출필터의 전측이 지지되는 전측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하우징에는 상기 제1몸체의 외벽, 상기 후측돌기, 상기 제2몸체의 외벽, 상기 전측돌기 및 상기 흡입필터에 둘러싸인 공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 하우징에는 상기 제1몸체의 외벽, 상기 후측돌기, 상기 제2몸체의 외벽, 상기 전측돌기 및 상기 토출필터에 둘러싸인 공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필터의 전면은 상기 흡입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흡입 하우징의 공기 수용공간과 접촉되고, 상기 흡입필터의 후면은 상기 후측돌기에 가려 상기 흡입 하우징의 공기 수용공간과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토출필터의 후면은 상기 에어펌프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토출 하우징의 공기 수용공간과 접촉되고, 상기 토출필터의 전면은 상기 전측돌기에 가려 상기 토출 하우징의 공기 수용공간과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필터의 전측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전측돌기에 지지되고, 상기 흡입필터의 후측이 상기 후측돌기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토출필터의 전측이 상기 전측돌기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토출필터의 후측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후측돌기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굽어진 부분이 형성된 연결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카테터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덮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KR1020170124801A 2017-09-27 2017-09-27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KR20190036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801A KR20190036047A (ko) 2017-09-27 2017-09-27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801A KR20190036047A (ko) 2017-09-27 2017-09-27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047A true KR20190036047A (ko) 2019-04-04

Family

ID=6610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801A KR20190036047A (ko) 2017-09-27 2017-09-27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60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25B1 (ko) 2019-06-26 2019-10-24 주식회사 루터스시스템 휴대성을 위해 목에 착용하는 일회용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901B1 (ko) 2016-07-15 2016-12-13 최연옥 휴대용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901B1 (ko) 2016-07-15 2016-12-13 최연옥 휴대용 공기정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25B1 (ko) 2019-06-26 2019-10-24 주식회사 루터스시스템 휴대성을 위해 목에 착용하는 일회용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9729B2 (en) Portable air purifier
KR101944498B1 (ko) 고기능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
EP1902741A2 (en) Respirators for delivering clean air to an individual user
KR102173429B1 (ko)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BRPI0517361B1 (pt) dispositivo de proteção respiratória pessoal
US7451764B2 (en) Nasal mask
JP2006289093A (ja) 多機能性マスク
KR20180002283A (ko) 웨어러블 공기 정화 겸 가습장치
JP2011110112A (ja) ポータブル空気浄化器
AU2003220432A1 (en) Pouch for the blower unit of a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CN2730167Y (zh) 多功能安全防护服
KR20190036047A (ko)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US6805123B2 (en) Compact multipurpose dustproof mask
KR20210043228A (ko)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20200094293A (ko) 휴대용 공기청정기
CN205683422U (zh) 一种脖挂式空气净化系统
KR20170001675A (ko) 공기정화기능을 하는 마스크
CN111713775A (zh) 一种单循环防雾霾电动口罩
KR20190007580A (ko) 공기 청정 장치
CN105641820A (zh) 一种便携式主动进气空气净化套件
CN220632791U (zh) 一种救援呼吸器用辅助供气装置
KR101973711B1 (ko) 공기청정기 유닛
CN206198938U (zh) 矿用动力型除尘设备
TWM581479U (zh) 整合濾氣面罩的空氣清淨機
JP2007160027A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