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640A - 스마트 생리컵 - Google Patents

스마트 생리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640A
KR20190035640A KR1020190033467A KR20190033467A KR20190035640A KR 20190035640 A KR20190035640 A KR 20190035640A KR 1020190033467 A KR1020190033467 A KR 1020190033467A KR 20190033467 A KR20190033467 A KR 20190033467A KR 20190035640 A KR20190035640 A KR 20190035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up
unit
menstrual
me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993B1 (ko
Inventor
황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룬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룬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룬랩
Priority to KR102019003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9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placed in the vagina, e.g. for catamen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스마트 생리컵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생리컵은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생리혈을 수용하는 저장부, 생리혈을 수용하는 저장부의 내벽면 상에 형성되고, 저장부에 수용된 생리혈의 수위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부 및 생리혈의 수위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생리컵{SMART MENSTRUAL CUP}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생리컵 및 스마트 생리컵을 이용한 생리혈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이 생리 시에 보다 위생적이고 쾌적한 활동을 위해 생리혈이 질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생리대, 생리컵, 및 탐폰 등과 같은 생리혈 누출 방지 도구가 사용되어 왔다.
이 중 생리대는 착용이 불편하고 생리혈이 외부로 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탐폰의 경우 간혹 독성 쇼크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생리컵은 질 내부에 삽입되어 생리혈이 외부로 새는 것을 막아 사용자의 생활에 지장을 덜 주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생리혈 누출 방지 도구와 마찬가지로 제거되기 전에는 생리량을 파악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생리혈의 색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면, 해당 여성의 건강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생리혈 누출 방지 도구를 사용하면 생리혈의 색을 파악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생리혈 누출 방지 도구를 제거하기 전에 생리량을 파악할 수 있다면, 생리혈 누출 방지 도구의 관리가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생리혈의 색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면,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KR 10-097352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리컵을 제거하기 전에도 생리량, 생리혈의 색, 또는 생리 주기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생리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리혈 누출 방지 도구를 제거하기 전에도 생리량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생리컵의 관리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생리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리혈의 색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생리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리컵에 저장된 생리혈의 양이나 무게 등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감각 신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생리컵의 관리 시기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생리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의 적어도 일 공간에 생리혈을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생리혈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한 측정 정보, 또는 상기 측정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가공 정보를 기초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생리컵을 개시한다.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측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생리혈이 상기 측정부 또는 상기 제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하는 신호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색상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상감지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생리혈의 색상 정보 자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 또는 상기 색상 정보로부터 획득된 생리혈 색상에 따른 건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무게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생리혈의 무게 정보 자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 또는 상기 생리혈의 무게가 소정의 기준 무게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생리혈이 수용되는 내면에 형성되는 센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생리혈의 수위, 양, 또는 부피가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하는 신호를 기초로, 인간의 오감 중 적어도 하나로 감지할 수 있는 감각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각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개구되어 있는 일측에서부터 제1 거리 떨어진 위치의 둘레가, 상기 저장부의 개구되어 있는 일측에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떨어진 위치의 둘레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개구되어 있는 일측에서부터 제1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의 단면의 면적이, 상기 저장부의 개구되어 있는 일측에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의 단면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스마트 생리컵을 이용한 생리혈 측정 방법으로, 상기 스마트 생리컵의 저장부에 의해, 내부에 생리혈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생리컵의 측정부에 의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생리혈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생리컵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측정부에 의한 측정 정보, 또는 상기 측정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가공 정보를 기초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생리컵을 이용한 생리혈 측정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색상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생리혈의 색상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측정한 상기 생리혈의 색상 정보 자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 또는 상기 색상 정보로부터 획득된 생리혈 색상에 따른 건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무게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생리혈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측정한 상기 생리혈의 무게 정보 자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 또는 상기 생리혈의 무게가 소정의 기준 무게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부의 내면에 형성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생리혈의 수위, 양, 또는 부피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측정한 상기 생리혈의 수위, 양, 또는 부피에 대한 정보 자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 또는 상기 생리혈의 양이 소정의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생리컵의 감각 신호 발생부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하는 신호를 기초로, 인간의 오감 중 적어도 하나로 감지할 수 있는 감각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생리컵을 제거하기 전에도 생리량, 생리혈의 색, 또는 생리 주기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생리컵을 제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생리혈 누출 방지 도구를 제거하기 전에도 생리량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생리컵의 관리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생리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생리혈의 색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생리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생리컵에 저장된 생리혈의 양이나 무게 등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감각 신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생리컵의 관리 시기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생리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혈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생리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의 제어부 및 기타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생리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100)은 저장부(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생리컵(100)은 통신부(350) 및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100)은 컵 형상으로 제작되어 일측(이하에서, 상측이라고 표현될 수 있다.)이 개구되고, 내부에 생리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 생리컵(100)은 상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생리혈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 생리컵(100)은 상측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생리컵(100)은 개구되어 있는 일측에서부터 제1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의 저장부(200)의 둘레가, 개구되어 있는 일측에서부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의 저장부(200)의 둘레보다 더 길 수 있다. 즉, 올바른 삽입 및 고정을 위해 스마트 생리컵(1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는 개구부와 가까운 부분에서의 둘레가 개구부와 먼 부분에서의 둘레보다 길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도 2의 축 A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생리컵(100)의 개구되어 있는 일측으로부터 제1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의 단면의 면적이, 개구되어 있는 일측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의 단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100)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측 부분에서의 둘레가 하측부분에서의 둘레보다 긴 형태를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 생리컵(100)은 구부린 상태에서 질 내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손쉽게 구부릴 수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생리컵(100)의 일부분만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분은 탄성을 가지지 않는 물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스마트 생리컵(100)의 사용자는 스마트 생리컵(100)을 질 내에 삽입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스마트 생리컵(10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생리혈이 저장부(200)에 저장되도록 하여 생리혈이 사용자의 질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마트 생리컵(100)은 저면에 사용자가 보다 수월하게 스마트 생리컵(100)을 구비하거나,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300)는 스마트 생리컵(100)의 저면으로부터 저장부(200)의 개구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손잡이부(300)는 기둥 형상이나 고리 형상 등, 손으로 잡거나 손을 이용하여 스마트 생리컵을 다루기에 용이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손잡이부(300)가 기둥 형상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35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400)에서 생성하는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350)는 스마트 생리컵(100)과 분리되어 있는 외부 전자 장치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50)는 스마트 생리컵(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로 제어부(400)에서 생성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350)는 스마트 생리컵(100)의 손잡이부(300)의 내측을 통하여 뻗어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350)는 손잡이부(300)의 내측을 통하여, 스마트 생리컵(100)의 저면까지 연장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는, 통신부(350)가 질 내부에만 위치하여 있으면 외부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와의 무선 통신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통신부(350)는 제어부(400)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기타 스마트 생리컵(1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50)는 스마트 생리컵(100)이 신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이 때에만 사용자의 단말기로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350)는 직선 또는 곡선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금속 등의 물질로 이루어진 안테나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50)는 블루투스, 적외선, 지그비, 와이파이 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스마트 생리컵(100)에 저장된 생리혈과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저장된 생리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스마트 생리컵(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제어부(400)는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동 시키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해당 전자 부품들이 배치된 하나 이상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혈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100)은 스마트 생리혈 관리 시스템(1)의 일 구성 요소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생리컵(100)에서 생성된 다양한 종류의 신호는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00)로 송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마트 생리컵(100)은 외부 전자 장치(1000)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 생리컵(100)은 스마트 생리컵(100)에 수용된 생리혈을 측정하거나 분석하여, 스마트 생리컵(100)에 수용된 생리혈의 양 또는 생리혈의 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 전자 장치(10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생리컵(100)은 생리혈의 양 또는 생리혈의 색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다양한 신체 정보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raw data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 전자 장치(10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100)은 저장부(200), 손잡이부(300), 통신부(350),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00)에는 생리혈(10)이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200)의 하단 및 제어부(400)의 주변 부분(a)에 스마트 생리컵(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00)의 하단 및 제어부(400)의 주변 부분(a)에 다양한 구성 요소가 배치될 수 있는 예시적인 형태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100)은 저장부(200) 및 제어부(400)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인 구획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생리컵(100)은 생리혈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기판(420), 배터리부(430), 제2 기판(440), 및 연결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110)는 저장부(200)에 수용된 생리혈이 제어부(400) 또는 기타 스마트 생리컵(100)의 영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구획부(110)는 스마트 생리컵(100)의 다른 부분과 서로 다른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구획부(110)는 스마트 생리컵(100)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재질로 구현되고, 단순히 그 위치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측정부(410)는 제어부(4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410)는 제어부(400)의 가장 상단에 배치되는 제1 기판(4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420)의 저면은 배터리부(430)의 일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측정부(410)는 제어부(400)에 포함되도록 제어부(400)의 내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생리컵(100)은 제어부(400) 전체, 또는 측정부(410)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인 구성 요소 배치 공간(250)을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측정부(410)가 제어부(400)보다 작은 크기로 구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고, 측정부(410)는 제어부(400)와 비슷한 크기 또는 제어부(400)보다 큰 크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하나의 측정부(410)가 제어부(400) 상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고, 제어부(400) 상에는 둘 이상의 측정부(410)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둘 이상의 측정부(410)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측정부(410)와 다른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측정부(410)는 저장부(200)에 수용된 생리혈의 무게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측정부(410)는 저장부(200)에 수용된 생리혈의 색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부(430)는 제어부(400), 측정부(410), 및/또는 통신부(35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부(430)는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부(430)의 일면은 양극 또는 음극 단자로, 타면은 일면과 다른 극성의 단자로 제작될 수 있다. 배터리부(430)는 납작한 원기둥 형태로 제작되는 배터리일 수 있다. 이 때, 배터리부(430)의 일면은 제1 기판(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배터리부(430)의 타면은 제2 기판(4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440)은 통신부(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440)은 제1 기판(420)과 연결부(45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450)는 전도체로 제작될 수 있다. 연결부(450)는 필름형 전도체, 또는 전선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측정부(410) 및 통신부(350)는 배터리부(43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정부(410)는 무게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410)는, 구획부(110)의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무게(또는 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를 참조하면, 저장부(200)에 생리혈이 수용되어 갈수록, 구획부(110)는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생리혈의 무게를 지탱하게 되고, 그 결과 구획부(110)가 구성 요소 배치 공간(25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획부(110)가 구성 요소 배치 공간(25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측정부(410)를 누르는 힘이 발생할 수 있다. 측정부(410)에 포함되는 무게감지 센서는 측정부(410)를 누르는 힘을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측정부(410)를 통하여 측정된 무게를 기초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측정부(410)를 통하여 측정된 무게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수치, 색상, 기하학적 도형, 소리, 진동 정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00)에서 생성된 신호는 통신부(350)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이 때, 외부의 전자 장치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측정부(410)를 통하여 측정된 무게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의 전자 장치는 해당 수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스마트 생리컵(100)의 사용자는 해당 수치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스마트 생리컵(100)에 수용된 생리혈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어부(400)는 측정부(410)를 통하여 측정된 무게가 기준 무게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의 전자 장치는 해당 알림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청각, 시각, 또는 촉각적인 자극을 스마트 생리컵(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현재 스마트 생리컵(100)에 수용된 생리혈의 무게가 기준 무게를 초과하였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생리혈의 무게로 인해 구획부(110)가 구성 요소 배치 공간(250) 방향으로 이동할 때, 측정부(410)의 넓이가 구획부(110)의 넓이보다 좁을 경우, 정확한 무게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리컵의 구획부(110)의 저면에 측정부(410) 자체, 또는 측정부(410)에 포함되는 무게감지 센서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돌출부(111)가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부(410) 자체, 또는 측정부(410)의 넓이가 구획부(110)의 넓이보다 작을 경우, 구획부(110)의 이동 정도에 따른 무게의 변화를 올바르게 감지하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생리컵(100)은 측정부(410) 자체, 또는 측정부(410)에 포함되는 무게감지 센서보다 크기가 작은 돌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기판(440) 및/또는 배터리부(430)는 스마트 생리컵(100)에 고정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획부(110)가 생리혈(10)의 무게로 인하여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만약 제2 기판(440) 및/또는 배터리부(330)가 스마트 생리컵(10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측정부(410) 또한 제2 기판(440) 및/또는 배터리부(330)와 함께 이동하게 될 수 있고, 그 결과 측정부(410)를 통하여 측정하려는 생리혈의 특성을 올바르게 측정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판(440) 및/또는 배터리부(430)는 저면 또는 그 일부가 스마트 생리컵(100)에 고정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정부(410)는 색상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410)는, 저장부(200)에 수용되는 생리혈의 색상을, 구획부(110)를 투과하는 빛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생리컵(100) 전체 또는 일부의 재질은 빛을 투과하기 용이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구획부(110) 전체 또는 일부의 재질은 빛을 투과하기 용이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생리컵(100) 및/또는 구획부(110)의 적어도 일부는 완전히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거나, 소정 수준 이상의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색상감지 센서는 빨강, 초록, 파랑을 감지할 수 있는 RGB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색상감지 센서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빛 또는 색상을 구별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400)는 측정부(410)를 통하여 측정된 색상을 기초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측정부(410)를 통하여 측정된 색상 자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0)는 측정부(410)를 통하여 측정된 색상에 따라 스마트 생리컵(100)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한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에서 생성된 신호를 통신부(350)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이 때, 외부의 전자 장치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측정부(410)를 통하여 측정된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의 전자 장치는 해당 색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스마트 생리컵(100)의 사용자는 해당 색상을 확인함으로써 현재 스마트 생리컵(100)에 수용된 생리혈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색상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410)는 구획부(110)에 고정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획부(110)에 가해지는 생리혈의 압력으로 인하여 구획부(110)가 이동될 수 있다. 만약 구획부(110)와 측정부(410)가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구획부(110)와 측정부(410) 간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정부(410)에 포함되는 색생감지 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는 색상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410)는 구획부(110)에 고정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측정부(410)가 형성되는 제1 기판(420)의 일단 또는 그 일부가 구획부(110)에 고정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생리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생리컵(100)은 스마트 생리컵(100)의 저장부(200)의 내면에 배치되는 측정 센서(S)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측정 센서(S)는 접촉 감지 센서, 수분 감지 센서, 빛 감지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일 수 있다. 측정 센서(S)는 측정 센서(S)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 또는 그 근처까지 생리혈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이 후, 측정 센서(S)는 측정 결과를 제어부(4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400)는 저장부(200)에 수용된 생리혈의 양 또는 수위가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0)는 측정된 생리혈의 수위 및 기 입력된 생리컵의 용기의 내적으로부터, 수용된 생리혈의 부피를 계산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스마트 생리컵(100)의 저장부(200)의 내면에 배치되는 측정 센서(S)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생리컵(100)은 저장부(200)에 배치되는 제1 측정 센서(S1), 제2 측정 센서(S2), 및 제3 측정 센서(S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각각의 측정 센서(S)들로부터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정 센서(S1)에서만 생리혈의 존재가 확인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약한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1 측정 센서(S1) 및 제2 측정 센서(S2)에서 생리혈의 존재가 확인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강한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3 측정 센서(S3)를 포함하는 모든 측정 센서(S)에서 생리혈의 존재가 확인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위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생리컵(100)은 저장부(200)의 내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측정 센서(S)들을 이용하여 저장부(200)에 수용된 생리혈의 양 또는 수위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수위 및 기 입력된 생리컵의 용기의 내적으로부터, 수용된 생리혈의 부피를 계산할 수도 있다.
또는, 측정 센서(S)는 정전용량 센서 등과 같은 전기적 특성을 특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측정 센서(S)는 도전체로 구성되어 스마트 생리컵(10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복수 개 배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복수의 측정 센서(S)들로부터 측정되는 전기적 특성(예를 들어, 유전율)을 이용하여 생리혈의 부피를 측정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리컵의 제어부 및 기타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생리컵(100)은 인간의 오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는 감각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각 신호 발생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각 신호는 미세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신호일 수도 있고, 미세한 온도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신호일 수도 있고, 미세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신호일 수도 있으며, 이 외에 인간의 오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는 현상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400)는 측정부(410)를 통하여 측정한 결과에 따라, 감각 신호 발생부(500)에서 감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감각 신호 발생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감각 신호 발생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410)를 통한 측정 결과 소정의 기준 이상 생리혈이 스마트 생리컵(100)에 수용된 경우, 제어부(400)는 측정부(410)의 측정 결과를 토대로 감각 신호 발생부(500)에서 감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감각 신호 발생부(500)는 제어부(4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감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감각 신호 발생부(500)는 스마트 생리컵(100)의 사용자는 인지할 수 있으나, 주변의 다른 사람들은 감지할 수 없는 미세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스마트 생리컵(100)의 사용자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스마트 생리컵(100)에 수용된 생리혈의 양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생리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생리컵(100)은 다양한 위치에 중 적어도 한 곳에 감각 신호 발생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생리컵(100)은 손잡이부(300)의 내면에 길게 배열되는 제1 감각 신호 발생부(50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스마트 생리컵(100)은 제어부(400) 내에 포함되는 제2 감각 신호 발생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스마트 생리컵(100)은 저장부(200) 외부 또는 내부에 포함되는 제3 감각 신호 발생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생리컵(100)은 상기한 다양한 위치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하나 이상의 감각 신호 발생부(500)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스마트 생리컵(100)은 통신부(350) 및 감각 신호 발생부(500)를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스마트 생리컵(100)은 저장부(200), 손잡이부(300), 통신부(350), 제어부(400), 및/또는 감각 신호 발생부(500)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스마트 생리컵
110: 구획부
111: 돌출부
200: 저장부
250: 구성 요소 배치 공간
300: 손잡이부
350: 통신부
400: 제어부
410: 측정부
420: 제1 기판
430: 배터리부
440: 제2 기판
450: 연결부
500: 감각 신호 발생부

Claims (5)

  1. 스마트 생리컵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생리혈을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생리혈을 수용하는 저장부의 내벽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생리혈의 수위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부; 및
    상기 생리혈의 수위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생리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생리혈의 수위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생리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의 각각은, 상기 생리혈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상기 생리혈의 수위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생리컵.
  4. 제1항에 있어서,
    햅틱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감각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생리혈의 수위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감각 신호 발생부로 하여금 상기 햅틱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스마트 생리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리혈의 수위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결정된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생리혈의 수위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감각 신호 발생부가 상기 햅틱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스마트 생리컵.
KR1020190033467A 2019-03-25 2019-03-25 스마트 생리컵 KR102069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467A KR102069993B1 (ko) 2019-03-25 2019-03-25 스마트 생리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467A KR102069993B1 (ko) 2019-03-25 2019-03-25 스마트 생리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516A Division KR101970707B1 (ko) 2015-07-13 2016-07-13 스마트 생리컵 및 스마트 생리컵을 이용한 생리혈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640A true KR20190035640A (ko) 2019-04-03
KR102069993B1 KR102069993B1 (ko) 2020-01-23

Family

ID=6616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467A KR102069993B1 (ko) 2019-03-25 2019-03-25 스마트 생리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9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396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하이지노 IoT 기반 스마트 생리컵 케이스
KR20210067657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지니컵 생리컵의 비접촉식 생리혈량 측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8640B1 (en) * 1997-10-03 2002-02-19 Nir Navot Tampon detection system
KR100973524B1 (ko) 2009-07-27 2010-08-02 (주)그린실리콘 삽입형 생리 컵
US7806882B1 (en) * 2007-02-09 2010-10-05 Larkin Kevin B Tampon saturation monitoring system
CN105287086A (zh) * 2015-11-26 2016-02-03 广州天沅硅胶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月经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8640B1 (en) * 1997-10-03 2002-02-19 Nir Navot Tampon detection system
US7806882B1 (en) * 2007-02-09 2010-10-05 Larkin Kevin B Tampon saturation monitoring system
KR100973524B1 (ko) 2009-07-27 2010-08-02 (주)그린실리콘 삽입형 생리 컵
CN105287086A (zh) * 2015-11-26 2016-02-03 广州天沅硅胶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月经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396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하이지노 IoT 기반 스마트 생리컵 케이스
KR20210067657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지니컵 생리컵의 비접촉식 생리혈량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993B1 (ko)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707B1 (ko) 스마트 생리컵 및 스마트 생리컵을 이용한 생리혈 측정 방법
JP6496524B2 (ja) 失禁を監視するシステム
KR20190035640A (ko) 스마트 생리컵
CN111212603A (zh) 用于测量肌肉收缩和/或肌肉放松的设备及相关方法
KR101877495B1 (ko) 스마트 생리컵 및 스마트 생리컵을 이용한 생리혈 측정 방법
JP6339480B2 (ja) 失禁を監視する方法
BR102018070737B1 (pt) Produto de higiene pessoal com um elemento digita
CN103315747B (zh) 一种测量系统
CN111990986B (zh) 一种颅内压监测方法和装置
EP3445229B1 (en) Measurement device for detecting and measuring pain
US20220283230A1 (en) Battery capacity indicator
KR20210015029A (ko) 생리혈 분석기를 탑재한 여성용품 소독기
KR20190119420A (ko) 이중 구조의 스마트 생리컵
KR20150032410A (ko) 임피던스가 향상된 전극을 이용한 생체 상황 인지 방법 및 장치
US11583453B2 (en) Personal hygiene device for detecting a fluid
KR101901737B1 (ko) 패턴부가 구비된 생리컵
KR20220060100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생리컵 인식 및 제어 방법
WO2017010800A1 (ko) 스마트 생리컵 및 스마트 생리컵을 이용한 생리혈 측정 방법
WO2020013364A1 (ko) 스마트 생리컵 및 스마트 생리컵을 이용한 생리혈 측정 방법
CN204557396U (zh) 一种人体生理参数检测鼠标
CN219183368U (zh) 吞咽障碍患者用多功能勺及充电存储盒
KR20160038109A (ko) 일회용 피부상태 측정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피부상태 측정장치
KR20160107839A (ko) 저전력 생체신호 측정기 및 측정 신호 증폭율 제어 방법
CN204618582U (zh) 一种多功能智能保健护理用品
KR20190119554A (ko) 이중 구조의 스마트 생리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