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334A - Washing basin easily to remove exclusion of moisture - Google Patents

Washing basin easily to remove exclusion of mois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334A
KR20190035334A KR1020170124417A KR20170124417A KR20190035334A KR 20190035334 A KR20190035334 A KR 20190035334A KR 1020170124417 A KR1020170124417 A KR 1020170124417A KR 20170124417 A KR20170124417 A KR 20170124417A KR 20190035334 A KR20190035334 A KR 20190035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upper plate
water
top plate
toile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충호
윤성수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12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5334A/en
Publication of KR2019003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3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6Wipes
    • B08B1/143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basin easy to remove moisture, which enables anyone to easily and conveniently maintain a pleasant and clean state around a washbasin because of mounting a wiper on an upper plate to sweep off moisture on the upper plate into a washing bowl. Specifically, the 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basin easy to remove moisture, which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to automatically remove moisture by using a motor or the like instead of being configured to operate the wiper mounted on the upper plate by hands, thereby being possible to clearly and safely remove moisture because of being possible to remove the moisture without touching hands on the upper plate or the washing bowl.

Description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WASHING BASIN EASILY TO REMOVE EXCLUSION OF MOISTURE}{WASHING BASIN EASILY TO REMOVE EXCLUSION OF MOISTURE}

본 발명은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 볼 주변에 형성한 상판 부분에 와이퍼를 갖추고, 이 와이퍼로 상판의 윗면 전체에 묻은 물기를 세면 볼 안으로 쓸어내릴 수 있게 구성하므로, 물기 제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청결하고 쾌적한 주변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 bow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 bowl provided with a wiper on a top plate portion formed around a washing bowl and configured to sweep the water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by the wiper, But also to create a clean and pleasant surrounding environment.

세면기는 주로 얼굴이나 손을 씻기 위한 위생 도구로, 벽에 고정하거나 바닥에 세우거나 이들을 혼합한 방식으로 시설하여 사용하고, 그 형태에서도 원형, 각형, 그리고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한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볼과 상판을 일체로 제작한 세면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Wash basin is a sanitary tool for washing face or hands. It is fixed on the wall, placed on the floor, or mixed with them. In this form, it is also made into various shapes such as round, square, and elliptical.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1 and 2 disclose a technique relating to a washstand which integrally manufactures a ball and an upper plate.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23789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23789

주방용 및 세면장용 "인조 대리석 볼(물통) 일체형 씽크대 상판의 구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에 의해 볼(물통)과 상판이 일체화 된 구조에 의해서 제품이 제조(생산)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상판과 볼(물통)의 조립에 의한 제품의 제조(생산)가 아닌, 금형에 의해 볼(물통)과 상판을 일체화 시켜, 고온 150℃ 고압으로, 120kg/㎠로 압축 성형 후, 하나의 금형에서 완전히 경화한 다음 탈형 하여 제품이 제조(생산)되는 단계, 볼(물통)의 규격과 모양의 다양화를 시켜 제조하는 단계, 금형에서 볼(물통)교체 시 완전 분해하지 않고, 기계에 장착된 상태에서 탈착, 교환 시킬 수 있는 단계 및 볼(물통)의 有 · 無의 제품을 제조(생산)할 수 있는 단계로 이루어진데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artificial marble ball (bucket) unitary sink base plate for a kitchen and a wash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ink base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a ball ≪ / RTI >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duct by integrating a ball (bucket) and an upper plate by a mold, not by manufacturing (producing) a product by assembling a currently used upper plate and a ball A step in which the product is manufactured (produced) after being completely cured in one mold after the compression molding, the step is made by diversify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ball, A step that can be carried out without being disassembled, a step of being able to be desorbed and exchanged in a state where it is mounted on a machine, and a step of producing (producing) a product with or without a ball (bucket).

(특허문헌 2) 한국등록실용 제0291063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0291063

주방용 및 세면장용 "인조 대리석 투 컬러(색상) 볼(물통) 일체형 씽크대 상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조립 구조에 의한 씽크대 상판이 아닌, 이미 성형되어 있는 볼(물통) 제품을 씽크대 상판 금형에 삽입하여, 볼(물통)과 씽크대 상판이 서로 다른 컬러(색상)으로 볼(물통)이 씽크대 상판의 중앙이 아닌, 左, 右, 어느 곳에도 위치 할 수 있는 투 컬러(색상) 일체형 씽크대 상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상판과 볼(물통)의 조립 구조에 의한 제품이 아닌 씽크대 상판금형에, 이미 성형되어 있는 볼(물통) 제품을 삽입하여, PRESS에 의해, 고온 150℃, 고압 120kg/㎠로 압축 성형 후, 하나의 금형에서 완전히 경화한 다음 탈형 하여, 볼(물통)과 씽크대 상판이 서로 다른 컬러(색상)으로, 볼(물통)이 씽크대 상판의 한 곳의 위치가 아닌, 중앙, 左, 右, 어느 곳에도 입하여, 위치 할 수 있도록 일체화 된 주방용 및 세면장용 " 인조 대리석 투 컬러(색상) 볼(물통) 일체형 씽크대 상판"의 구조에 특징이 있다.(Color) ball (water bottle) integral type sink base upper plate ", more particularly, to an artificial marble two-color sink (color bowl) (Color) integrated in which the bowl (bucket) can be placed in the left, right, or any place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sink top board by inserting the bowl (bucket) and the sink base top plate in different colors It relates to the sink top board. For this purpose, a ball (water bottle) product which has already been molded is inserted into a sink upper plate mold, not a product by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currently used upper plate and the ball (water bottle) After the ball is completely cured in one mold, it is demolded so that the ball and the sink top plate are colored in different colors and the ball is not located in one place of the sink base plate, , And a "sink base top plate with integrated artificial marble two-color (water bottle)" for kitchen and toilets that are integrated to be placed anywhere on the right and on the right.

하지만, [도 1]과 같이, 이처럼 세면을 위한 세면 볼(B)과 상판(F)이 일체로 되거나, 세면 볼 주변에 상판 부분이 돌출된 세면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W"는 수전을 나타낸다.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toilet bowl B having the toilet bowl B and the upper panel F integrally formed as described above, or the toilet bowl having the upper plate portion protruding around the toilet bowl,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figure, the unexplained reference character "W"

(1) 세안하거나 손을 씻을 때 튀는 물방울이 세면 볼과 상판에 남아 있게 된다. 특히, 세면 볼에 남은 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빠질 수 있으나, 상판 등에 남아 있는 물은 쉽게 빠지지 않는다.(1) When you wash your face or wash your hands, splashing water drops on the ball and the top plate. In particular, the water remaining on the toilet bowl may fall off over time, but the water remaining on the top plate is not easily removed.

(2) 특히, 상판에 남은 물은 세균 번식 등으로 건강을 위협할 수 있고, 그 다음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2) In particular, the water remaining on the top plate may threaten the health of bacteria by propagating bacteria, which may then give the user an unpleasant feeling.

(3) 또한, 이처럼 세면기 주변에 묻거나 남은 물기는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특히 세면기 이용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세면기 주변의 물기 등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3) In addi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periodically cleaning the burying or remaining water around the washstand, and in particular, since the washstand is not periodically use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the water around the washstand.

(4) 그리고, 세면기 주변에 묻거나 남은 물기는 세면기를 이용했던 이용자가 바로 제거하면 그 다음 세면기 이용자에게도 편리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앞에서 세면기를 이용한 다른 사람이 세면기에 남긴 물기를 제거하는 데는 불쾌감과 청결의 문제 등이 있다.(4) And, if the user who used the washstand immediately removes the water left over from the washstand, the user can secure the convenience and safety for the next washstand. However, There are problems with discomfort and cleanliness.

(5) 세면기 주변과 상판 등에 묻거나 남은 물기를 제거하려면 걸레나 휴지 등이 필요한 데, 때에 따라 걸레나 화장지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물기를 제거하고 싶어도 제거할 수 없을 때도 있다.(5) In order to remove moisture left on the surface of the washbasin and on the top plate, there is a need for a mop or tissue, and sometimes it is difficult to secure a mop or a toilet paper.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23789호 (공개일 : 2002.03.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23789 (published on March 29, 2002) 한국등록실용 제0291063호 (등록일 : 2002.09.23)Korean Registration Practical Usage 0291063 (Registered on September 23, 200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상판에 와이퍼를 장착하여 상판에 묻은 물기 등을 세면 볼 안으로 쓸어내릴 수 있게 구성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세면기 주변을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is point into consideration, and it is constructed so that the wiping on the top plate can be swept down into the bowl by washing the water on the top plate so that anyone can easily and conveniently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vicinity of the wash bas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특히, 본 발명은 상판에 장착한 와이퍼를 손으로 동작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상판이나 세면 볼에 손을 대지 않고 물기를 제거할 수 있어 청결하면서도 안전하게 물기 등을 제거할 수 있게 한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per mounted on the top plate can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hand, but since the wiper can be automatically removed by using a motor or the like, water can be removed without touching the top plate or the toilet bowl There is another purpose of providing a washbasin which is easy to remove the water, which is able to remove the water, etc., cleanly and safely.

본 발명에 따른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는, 물을 받는 세면 볼(110), 그리고 상기 세면 볼(110)의 가장자리에 상판(120)을 갖추되, 상기 상판(120)에는, 세면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윗면에 고인 물을 세면 볼(110) 안으로 쓸어내릴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12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ilet bowl 110 for receiving water and an upper panel 120 at the edge of the toilet bowl 110. The upper panel 120 is provided with a washstand And at least one wiper 121 is provided to sweep the water in the ball 110 into water.

특히, 상기 세면기는, 카운터 세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wash basin is characterized by being a counter washer.

또한, 상기 와이퍼(121)는, 상기 세면 볼(110) 둘레를 감싸는 상판(120)의 면적 전체를 쓸어내릴 수 있도록 상판(12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하나씩 장착하되, 각 와이퍼(121)의 작동 범위가 일부 중첩하게 하여 물기를 쓸어내리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per 121 is mounted on each corner of the top plate 120 so that the entire area of the top plate 120 surrounding the toilet bowl 110 can be wiped away. And the water is swept away by partially overlapping the operating range.

그리고, 상기 상판(120)은, 다각형이나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 가장자리에 이물을 쓸어내리는 작동 공간이 일부 겹쳐지도록 여러 개의 와이퍼(121)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plate 120 has a polygonal shape or a closed curve shape and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wipers 121 so that an operating space for sweeping off foreign matter is partially overlapped on the edge.

이때, 상기 와이퍼(121)는, 그 회전축에 각각 모터를 갖춰서 양쪽으로 요동 운동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wiper 121 is equipped with a motor on its rotary shaft and is mounted so as to oscillate on both sides.

마지막으로, 상기 모터는, 상기 세면 볼(110)에서 멀리 있는 와이퍼(121)부터 동작하게 하여 상판(120) 위에 있는 물기가 점차 세면 볼(110)을 향해 쓸어내릴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astly, the motor is operated from a wiper 121 far from the toilet bowl 110, so that the water on the top plate 120 can be swept away toward the ball 110 gradually .

본 발명에 따른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wash ba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asy to remove moistur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와이퍼로 상판 위의 물기를 제거하므로, 세면기 이용자가 상판이나 세면 볼에 손을 대지 않고도 물기를 제거할 수 있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물기 제거 작업을 할 수 있다.(1) Since the water on the top plate is removed with the wiper, the user can remove the water without touching the top plate or the toilet bowl, so that the water can be removed safely and conveniently.

(2) 상판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와이퍼를 제작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하게 디자인한 세면기에도 쉽게 와이퍼를 적용하여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2) Wipers can be manufactured and mou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hape of the top plate, so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wipes by applying wipers to various wash basins.

(3) 세면 볼을 이용하기 전에 미리 상판 위의 물기를 제거한 다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방이나 파우치 등을 상판 위에 올려놓고 세면기나 거울을 사용할 수 있어 세면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3) You can use the washbasin conveniently because you can use a washbasin or a mirror after putting a bag or pouch on the top plate so you can use it after removing the water on the top plate before using the toilet bowl.

(4) 특히, 와이퍼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므로, 간단한 스위치 조작 등을 통해 누구든지 쉽게 상판 위의 물기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상태에서 세면기를 사용할 수 있다.(4) Especially, since the wiper is configured to operate automatically by using a motor, anyone can easily remove the water on the top plate by a simple switch operation to use the washer in a safe and comfortable state.

(5) 먼저 사용한 사람이 세면기에 물기를 남기더라도 그 다음 세면기 이용자가 상판에 손을 대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물기를 제거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세면기를 사용할 수 있다.(5) Even if the person who used first leaves a water on the washbasin, the washbasin can be used safely and conveniently by removing the water easily and conveniently without touching the top plate.

(6) 상판 위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걸레나 화장지 등을 세면기 주변에 비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특히, 화장지는 용변에 사용하는 화장지로 세면기를 닦는 경우가 많아 화장지 소비가 늘어날 수 있으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6)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mop or toilet paper around the wash basin in order to remove the water on the top plate. In particular, toilet paper is often wiped with a toilet paper used for toilet use, and consumption of toilet paper may increase, but this problem can be solved.

[도 1]은 종래 세면 볼과 그 가장자리에서 상판이 일체로 돌출하여 형성한 세면기의 한 가지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와이퍼를 장착한 세면기를 보여주는 평면도로, (a)는 와이퍼 작동 전 상태를, (b)는 양쪽의 와이퍼가 작동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각 모서리에 와이퍼를 장착한 세면기에서 가장자리에 장착한 와이퍼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oilet bowl and a toilet bowl integrally protruding from an edge thereof.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washstand equipped with a wi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shows a state before the wiper is operated, and Fig. 2 (b) shows a state in which both wipers are operate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wiper mounted on an edge of a wash basin equipped with wipers at each co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1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물을 받아서 세안이나 손을 씻는 세면 볼(110), 그리고 이 세면 볼(11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형성한 상판(120)을 포함한다.The 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asy to remove moisture, comprises a washing bowl 110 for washing and washing hands by taking water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an upper plate 120 formed to extend.

특히, 상판(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121)를 갖춰서 상판(120) 위의 물기 등을 세면 볼(110) 안으로 쓸어내릴 수 있게 구성하므로, 세면기(100) 주변을 깨끗하고 쾌적한 주변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Particularly, since the upper plate 12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per 121 to sweep the water or the like on the upper plate 120 into the ball 110, it is possible to clean the surroundings of the washstand 100 in a clean and pleasant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이때, 상기 와이퍼(121)는 상판(120)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그 장착 위치와 개수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장착하므로, 상판(120) 전체를 골고루 쓸어내려서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wiper 121 adjusts the mounting positions and the number of the wipers 121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shape of the upper plate 120, the entire upper plate 120 can be swept down to remove moisture.

또한, 상기 와이퍼(121)는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을 통해 동작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세면기 이용자가 손을 대지 않고도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통해 상판(120) 위의 물기를 안전하고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wiper 12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operate through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cleanly remove the water on the upper plate 120 through a simple switch operation without touching the user will be.

그리고, 상기 모터는 세면 볼(110)에서 멀리 있는 와이퍼(121)부터 동작하게 제어하므로, 상판(120)이 넓거나 긴 경우 멀리 있는 물기를 세면 볼(110) 쪽으로 모아서 쓸어내릴 수 있게 한 것이다.Since the motor is controlled to operate from the wiper 121 located far from the toilet bowl 110, when the top plate 120 is wide or long, the distant water can be collected and swept down toward the bowl 110.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세면 볼(Bowl)(1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물을 받아 세면기 이용자가 얼굴이나 손을 씻을 수 있게 하는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세면 볼(110)은 하나의 독립된 용기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후술할 상판(120)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a bowl 110 is a container which is made in a container shape, and which receives water to wash a face or a hand by a user of the washstand. The toilet bowl 11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ingle independent containe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top plate 120 to be described later.

상판(12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세면 볼(110)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넓게 펼쳐진 형태가 되도록 형성한 판을 말한다. 특히, 상기 상판(120)은 세면 볼(110)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하여 용기 형태로 제작한 세면 볼(110) 둘레에 물기 등이 이 세면 볼(110) 안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구성하기도 한다.The upper plate 120 is a plate formed to be spread outwardly from the upper edge of the toilet bowl 110 as shown in FIGS. 2 and 3. Particularly, the upper plate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ilet bowl 110, or may be formed so that water or the like may flow into the toilet bowl 110 around the toilet bowl 110, It is also sai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120)은 세면기(100)를 카운터 세면기를 이용함에 따라 세면 볼(110)과 일체로 제작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카운터 세면기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상판 중앙에 세면 볼(110)을 형성한 것으로, 세면 볼(110) 주변에 가방이나 파우치 등을 올려놓을 수 있게 제작한 세면기를 말한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op plate 120 is formed by integrating the wash bowl 100 with the wash bowl 110 by using a counter washer. Herein, the counterwasher is formed by forming a toilet bowl 110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which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is a washbowl made to put a bag, a pouch, or the like around the toilet bowl 110.

특히, 상기 상판(12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윗면에 남은 물기 등을 세면 볼(110) 안으로 쓸어내릴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121)를 갖춘다. 와이퍼(121)는 한쪽을 상판(120)에 고정하여 상판(120)이 이루는 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이 상판(120)과 마주하는 면에는 고무나 천과 같이 물기를 쓸어내릴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블레이드를 장착한다. 이때, 블레이드는 교환할 수 있게 탈장착 방식으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퍼(121)는 자동차의 유리를 닦을 때 사용하는 와이퍼 기구를 응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Particularly, 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upper plate 12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per 121 for sweeping water remaining on the upper surface into the ball 110. One side of the wiper 121 is fixed to the upper plate 120 so as to be rotatable along the plane formed by the upper plate 120. The wiper 121 can sweep water such as rubber or cloth on the side facing the upper plate 120 Mount the blade made of the same material.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mount the blades in a removable manner so as to be exchangeable. Further, the wiper 121 may be constructed by applying a wiper mechanism used for wiping the glass of an automobile to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러한 와이퍼(12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판(12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물기를 세면 볼(110) 안으로 쓸어내릴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판(120)의 크기와 모양 등을 고려하여 와이퍼(121)의 길이와 개수 그리고 장착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처럼 작동하는 와이퍼(121)는 이웃한 와이퍼 사이의 작동 공간이 일부 겹치게 구성함으로써, 상판(120) 위에 남은 물기 등을 남기지 않고 깨끗하게 쓸어내릴 수 있게 한다.It is preferable that such a wiper 121 be mounted so as to be swept into the ball 110 by sweep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0, as shown in FIGS. 2 and 3. In view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upper plate 120, the wiper 121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its length, number, and mounting position, so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will be. In addition, the wiper 121, which operates as described above, can partially sweep the working space between the neighboring wiper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leanly wipe off the remaining moisture on the top plate 120.

상기 와이퍼(121)의 배치 예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상판(120)의 경우, 상판(120)의 모서리 두 곳에 각각 하나씩 설치하여 세면 볼(110)을 향해 이물을 쓸어내릴 수 있게 장착하고, 한쪽 가장자리에는 그 길이 중간 부분에 두 개의 와이퍼(121)를 장착하여 세면 볼(110)을 향해 물기를 쓸어내릴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in the case of the upper plate 120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wiper 121 is installed at two corners of the upper plate 120 to form the toilet bowl 110, And two wipers 121 are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length at one edge to sweep the water toward the toilet bowl 110.

또한, 다른 예로서, 상판(120)이 길이가 긴 형태로 제작한 경우, 상판(120)의 각 모서리와 길이가 긴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121)를 장착한다. 이때, 가장자리에 장착하는 와이퍼(121)의 개수는 가장자리의 길이와 와이퍼의 작동 범위를 고려하여 이웃한 두 개의 와이퍼(121)가 그리는 작동 범위의 일부가 겹치도록 장착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upper plate 120 is manufactured in a long shape, at least one wiper 121 is attached to each edge of the upper plate 120 and the long edge.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wipers 121 mounted on the edge is set such that a part of the operating range drawn by two neighboring wipers 121 overlap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edge and the operating range of the wiper.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퍼(121)에는 모터를 장착하여 자동으로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모터는 하나를 이용하여 와이어와 링크 등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와이퍼를 동시에 동작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각 와이퍼에 각각 하나씩 모터를 장착하여 개별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per 12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utomatically remove water by mounting a motor. At this time, the moto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 plurality of wipers at the same time using wires and links, or may be configured to individually drive motors by mounting each motor to each wiper.

또한, 상기 와이퍼(121)는 자동차 유리에 장착한 두 개의 와이퍼가 함께 동작하는 것과 같은 구성을 적용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와이퍼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per 121 may be structured such that two wipers mounted on an automobile glass are operated together to operate a plurality of wipers at the same time.

마지막으로, 상기 모터는 여러 개의 와이퍼(121)를 동작하게 할 때, 상판(120) 위에서 멀리 있는 와이퍼(121)부터 동작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길이가 긴 상판(120)의 경우 세면 볼(110)에서 멀리 있는 물기를 세면 볼(110)까지 와이퍼(121)가 차례로 쓸어내면서 세면 볼(110) 안으로 쓸어내릴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Lastly,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controls to operate from the wiper 121, which is far from the upper plate 120, when the plurality of wipers 121 are operated. This is to allow the wipers 121 to sweep out into the toilet bowl 110 by sequentially wiping the water away from the toilet bowl 110 in the case of the long upper plate 120.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30"은 수전을 나타낸다.In the figure, a reference numeral 130 denotes a fauce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판에 와이퍼를 장착하므로, 상판 위에 물기가 남아 있더라도 와이퍼로 쉽고 편리하게 세면 볼 안으로 쓸어내릴 수 있게 되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세면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per is mounted on the top plate, even if moisture remains on the top plate, the wiper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swept back into the toilet bowl, so that the washstand can be used in a saf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100 : 세면기
110 : 세면 볼
120 : 상판
121 : 와이퍼
100: Wash basin
110: toilet bowl
120: top plate
121: Wiper

Claims (6)

물을 받는 세면 볼(110), 그리고 상기 세면 볼(110)의 가장자리에 상판(120)을 갖추되,
상기 상판(120)에는,
세면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윗면에 고인 물을 세면 볼(110) 안으로 쓸어내릴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12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
A toilet bowl 110 for receiving water, and a top plate 120 at the edge of the toilet bowl 110,
In the upper plate 120,
Characterized in that the toilet has at least one wiper (121) for sweeping the ball into the ball (110) by washing the water on the upper surface while the toilet is mounted.
제1 항에서,
상기 세면기는,
카운터 세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sh basin,
It is easy to remove the washbasin which is counter countertop.
제1 항에서,
상기 와이퍼(121)는,
상기 세면 볼(110) 둘레를 감싸는 상판(120)의 면적 전체를 쓸어내릴 수 있도록 상판(12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하나씩 장착하되, 각 와이퍼(121)의 작동 범위가 일부 중첩하게 하여 물기를 쓸어내리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iper (121)
One wiper 121 is mounted on each corner of the top plate 120 so that the entire area of the top plate 120 surrounding the toilet bowl 110 can be wiped off. It is easy to remove the washbas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wiped down.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상판(120)은,
다각형이나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 가장자리에 이물을 쓸어내리는 작동 공간이 일부 겹쳐지도록 여러 개의 와이퍼(121)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pper plate (120)
And has a polygonal or closed curve shape,
And a plurality of wipers (121) are mounted on the edge so that the working space for sweeping the foreign object is partially overlapped.
제4 항에서,
상기 와이퍼(121)는,
그 회전축에 각각 모터를 갖춰서 양쪽으로 요동 운동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iper (121)
And a motor is mounted on the rotary shaft, and the rotary motor is swingable on both sides.
제4 항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세면 볼(110)에서 멀리 있는 와이퍼(121)부터 동작하게 하여 상판(120) 위에 있는 물기가 점차 세면 볼(110)을 향해 쓸어내릴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기 제거가 쉬운 세면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tor includes:
Wherein the wiper is operated from a wiper (121) far from the toilet bowl (110) so that the water on the upper plate (120) is gradually wiped off toward the bowl (110).
KR1020170124417A 2017-09-26 2017-09-26 Washing basin easily to remove exclusion of moisture KR201900353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417A KR20190035334A (en) 2017-09-26 2017-09-26 Washing basin easily to remove exclusion of mois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417A KR20190035334A (en) 2017-09-26 2017-09-26 Washing basin easily to remove exclusion of mois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334A true KR20190035334A (en) 2019-04-03

Family

ID=6616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417A KR20190035334A (en) 2017-09-26 2017-09-26 Washing basin easily to remove exclusion of mois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533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6106A (en) * 2019-06-18 2019-09-06 谭守琴 A kind of scullery basin that ponding can be removed automatical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063B1 (en) 1997-12-31 2001-06-01 이계안 velosity response type power steering system
KR20020023789A (en) 2001-12-18 2002-03-29 (주) 와이 디 티 THE structure and manufacture method of artificiality marble bowl the whole body form sink upper plate for kitchen and bathroom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063B1 (en) 1997-12-31 2001-06-01 이계안 velosity response type power steering system
KR20020023789A (en) 2001-12-18 2002-03-29 (주) 와이 디 티 THE structure and manufacture method of artificiality marble bowl the whole body form sink upper plate for kitchen and bathroom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6106A (en) * 2019-06-18 2019-09-06 谭守琴 A kind of scullery basin that ponding can be removed automatical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4319A1 (en) Tub with separate compartment with integrated water discharge system
KR20190035334A (en) Washing basin easily to remove exclusion of moisture
KR200384276Y1 (en) A clean device equipped at the lid of a toilet bowl
KR20170000505U (en) Sponge combined with soap
KR20150084088A (en) Water bottle washer
KR20140076810A (en) Washing Station for toilet seat
CN110258740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sanitary equipment
JP2005046824A (en) Two-tank type automatic ultrasonic washing machine
CN219315924U (en) Spliced self-cleaning closestool adopting steam for cleaning and cleaning system thereof
EP2640237B1 (en) A washing unit
CN213774269U (en) Glass brick for cleaning human body and building decoration face brick
CN215583876U (en) A detachable convenient waterlogging caused by excessive rainfall intermediate layer for electric rice cooker
JP7321670B2 (en) toilet seat and urinal device
JP3007437U (en) Water counter
JP2004060172A (en) Drain unit
KR200356791Y1 (en) Sanitary chamber pot
JP2002177049A (en) Multipurpose rechargeable electric washer capable of replacement of brush, sponge and the like according to use
JPH1199081A (en) Washing place counter in bathroom
CN117100145A (en) Intelligent closestool with seat ring self-cleaning function and cleaning system thereof
JP3122176U (en) Automatic backwash machine
KR100465225B1 (en) Portable hair cleaner
KR200192327Y1 (en) Hygiene a chamber pot
KR200196553Y1 (en) Toilet bowl cover combined with wash board
JPH0242763Y2 (en)
CN116043974A (en) Spliced self-cleaning closestool adopting steam for cleaning and clea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