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128A -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128A
KR20190035128A KR1020170123994A KR20170123994A KR20190035128A KR 20190035128 A KR20190035128 A KR 20190035128A KR 1020170123994 A KR1020170123994 A KR 1020170123994A KR 20170123994 A KR20170123994 A KR 20170123994A KR 20190035128 A KR20190035128 A KR 20190035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signal
user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281B1 (ko
Inventor
최한솔
Original Assignee
최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솔 filed Critical 최한솔
Priority to KR102017012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2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04M1/2476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for a visually impaired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는, 점자 학습을 위한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된 점자신호에 대응하는 볼을 외부로 돌출시켜 점자를 제공하는 점자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공된 점자를 입력받는 점자 입력부, 입력받은 점자와 상기 점자신호를 비교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손쉬운 점자 학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er terminal for studying brail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소지가 용이한 단말기를 통해 점자를 학습할 수 있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시각장애인의 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 시각장애인이 문자를 접하기 위해서는 통용되고 있는 점자를 학습하여야 하는데, 현재의 상황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를 학습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시각장애인들 중 일부는 공공시설이나 사설 학원과 같은 교육장소에서 점자 교육을 받고는 있으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시각장애인들은 교육장소로의 이동이 불편하여 점자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점자를 교육하는 교사가 시각장애인을 직접 방문하여 점자 교육을 하는 방문 교육 방식도 시도되고는 있으나, 여러 제약점이 있어 크게 실효를 거두고 있지는 못하다.
인터넷의 보급이 확산되었음에 기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점자 교육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기도 하지만, 시각장애인이 보호자의 도움 없이 혼자서 통상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점자 교육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어, 이 또한 사용 실적이 미미한 상태이다.
국내공개특허 제2010-0128819호(2010. 12. 08.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 및 소지가 용이한 사용자 단말기 혹은 사용자가 이미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점자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는, 점자 학습을 위한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된 점자신호에 대응하는 볼을 외부로 돌출시켜 점자를 제공하는 점자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공된 점자를 입력받는 점자 입력부, 입력받은 점자와 상기 점자신호를 비교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음성신호로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변환부는,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기설정된 복수의 학습용 추천단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출력부는 저장된 학습용 추천단어를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변환부는 출력된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문자별 점자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변환부는, 입력받은 문자의 종류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에 대한 점자표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점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조작에 의해 일 회에 3개의 타점을 동시에 입력받는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2회의 타점을 조합하여 하나의 점자를 인식하는 점자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점자 인식부는,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된 후, 기설정된 인식시간 이내로 이동이 없는 터치가 발생하면 점으로 인식하고, 점으로 인식되지 않는 다른 타점은 공백으로 인식하여 타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점자부는, 6개의 볼이 셀을 이루는 복수의 점자 셀,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성체, 및 자성체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면, 변환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점자 셀은 6개의 볼이 2×3 행렬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받은 점자와 점자신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출력부를 통해 비교결과를 출력하여 점자의 재입력을 유도하고, 점자 입력부를 통해 점자가 재입력되면, 재입력되는 점자와 점자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재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점자 학습을 위한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점자신호에 대응하는 볼을 외부로 돌출시켜 점자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공된 점자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점자와 점자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제어부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음성신호로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변환하는 단계는,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기저장된 학습용 추천단어를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변환하는 단계는, 출력된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변환하는 단계는, 입력받은 문자의 종류에 따라 기저장된 해당 문자에 대한 점자표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점자를 입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조작에 의해 일 회에 3개의 타점을 동시에 입력받는 단계, 및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2회의 타점을 조합하여 하나의 점자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인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된 후, 기설정된 인식시간 이내로 이동이 없는 터치가 발생하면 점으로 인식하고, 점으로 인식되지 않는 다른 타점은 공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받은 점자와 점자신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교결과를 출력하여 점자의 재입력을 유도하는 단계, 및 점자가 재입력되면, 재입력되는 점자와 점자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재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단어에 대한 실제 점자를 제공하고, 이를 사용자로부터 피드백 받아 학습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른 점자 학습이 가능한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실제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점자 기능이 사용자의 단말기에 탈착 가능하므로, 별도의 단말기를 구입할 필요가 없고, 휴대 및 소지가 용이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점자를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부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점자를 입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음성 입력부(120), 변환부(130), 점자부(140), 저장부(150), 점자 입력부(160), 출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와 본 사용자 단말기(100)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소정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가 점자 학습을 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점자 학습 요청신호를 입력하거나 혹은 점자 학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요청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학습을 진행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문자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문자의 종류에는 한글, 영어, 숫자, 특수문자 등이 있고, 한글에서도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문자의 종류는 위에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점자가 지원하는 범위에서 추후 더 추가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음성신호로 입력받는다. 음성 입력부(120)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힘들게 학습용 단어를 선택할 필요 없이, 학습하고자 했던 단어 혹은 잘 잊혀지는 단어를 말로 표현하는 것에 의해, 해당 단어의 점자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변환부(130)는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변환부(130)는 기저장되어 있는 점자표를 이용하여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단어를 2×3 행렬로 배치된 점자 형태의 점자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점자부(140)는 변환부(130)에 의해 변환된 점자신호를 제공받아 이 점자신호에 대응하는 볼을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자가 손 감각을 이용하여 직접 느낄 수 있도록 점자를 제공한다. 점자부(14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저장부(150)는 본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150)는 6개의 점형에 의한 2×3 행렬로 배치된 점자표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점자 학습을 진행할 때 자동 학습 모드로 학습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목적의 학습용 추천단어를 저장한다. 여기서, 학습용 추천단어는 쉬운 단계부터 어려운 단계까지 순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선별된 단어들의 그룹으로 기설정된 것일 수 있다.
점자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점자를 입력받는 것으로, 터치 패널(162)과 점자 인식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터치 패널(162)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하드웨어적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터치 패널(162)은 사용자로부터 일 회에 3개의 손가락을 동시에 이용하여 3개의 타점을 입력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점자를 입력받는다. 일 회에 3개의 타점을 동시에 입력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6개의 점형에 의해 한 글자가 완성되는 점자의 특성상 2회의 입력에 의해 한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터치 패널(162)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화면에 대고 이동 없이 기설정된 인식시간 이내로 누르는 타점에 의해 점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화면에 대고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미는 드래그(drag)에 의해 공백을 인식한다. 이러한 행위의 반복된 동작에 의해, 터치 패널(162)은 6개의 점형에 의한 점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62)은 상술한 두 가지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스처는 점과 공백의 입력을 위한 두 가지 형태의 타점 이외에 필요한 다른 행위를 위한 것들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글 입력시, 원활한 글 입력을 위해 삭제, 수정, 줄 바꾸기, 키보드 변환, 및 저장과 같은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점자를 입력할 때에도 원활한 점자 입력을 위해 삭제, 수정, 줄 바꾸기, 키보드 변환, 및 저장과 같은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런 행위들을 도와 주기 위해 사용자가 터치 패널(162)을 통해 하는 행위를 제스처라 한다. 즉, 제스처는 사용자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중 문자 입력을 제외한 다른 터치들을 통칭한다. 이러한 제스처들도 점자표 생성시 기설정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점자 인식부(164)는 터치 패널(162)을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2회의 타점을 조합하여 하나의 점자를 인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자 인식부(164)는 처음 3개의 타점이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의 순서에 따라 한 차례에 걸쳐 더 입력되는 3개의 타점 즉, 두 쌍의 타점을 조합하여 점자를 인식하고, 이후에 입력되는 타점에 대하여는 다른 점자로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점형에 의한 점형에 의한 점자표를 사용하되, 2×3 행렬로 배치된 점자표를 적용함으로써, 점자 하나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입력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2×3 행렬로 배치된 점자표는 기설정되어 사용자에게 배포된 점자표에 해당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후술하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17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혹은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출력부(17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점자와 점자신호와의 비교 결과 즉, 사용자의 점자 입력이 올바른지 혹은 올바르지 않은지의 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본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음성 입력부(120), 변환부(130), 점자부(140), 저장부(150), 점자 입력부(160), 및 출력부(17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점자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점자와 변환부(130)에 의해 변환된 점자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점자와 기변환된 점자신호를 비교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점자부(140)를 통해 학습한 점자를 제대로 인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점자부(140)를 통해 학습한 점자를 점자 입력부(160)에 입력하는 것이므로, 실제 단어에 대한 점자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르게 점자를 입력하였는지 혹은 올바르지 않게 점자을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학습의 진행을 평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음성 입력부(120), 변환부(130), 점자부(140), 저장부(150), 점자 입력부(160), 출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나, 여기서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는 점자부(140)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음성 입력부(120), 변환부(130), 저장부(150), 점자 입력부(160), 출력부(170), 및 제어부(180)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구성들은 사용자 단말기(100) 자체에 구비된 하드웨어를 제어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입력부(120)는 마이크와 연동하여 자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출력부(170)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와 연동하여 자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며, 도 1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점자부(140)를 살펴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점자부(140)는 자성체(142), 점자 셀(144), 및 통신부(146)를 포함한다.
자성체(142)는 자성에 의해 점자부(140)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몸체에 해당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142)는 두께가 매우 얇고 납작한 직사각형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그 두께감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형성된다.
점자 셀(144)은 자성체(142)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사용자 단말기(100)는 2×3 행렬로 배치된 점자표에 기반하여 점자를 인식하는 것임에 따라, 점자 셀도 2×3 행렬로 배치된 점자표에 기반하여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볼이 2×3 행렬로 배치된 점자 셀이 4개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점자 셀을 구성하는 볼은 평상시에는 돌출되어 있지 않으나, 점자를 표현할 때 타점에 해당하는 볼이 외부로 돌출되어 점자를 표현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외부로 돌출된 볼을 손가락의 감각을 이용하여 감지함으로써 점자를 학습할 수 있다.
통신부(146)는 제어부(180)와 점자부(140)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점자 셀(144)이 점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점자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점자부(140)는 두께가 얇은 직사각형 형태로 자성에 의해 금속에 부착될 수 있는 형태이므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장착하여 점자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3a에는 손목 밴드형으로 제작된 점자 입력기(200)와 손목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300)을 연동하여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음성 입력부(120), 변환부(130), 저장부(150), 점자 입력부(160), 출력부(170), 및 제어부(180)의 기능은 점자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에 구현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300)에 내장될 수 있고, 점자부(140)의 기능은 점자 입력기(200)에서 구현된다.
도 3b에는 통상의 스마트폰(400)의 후면에 점자부(140)가 부착된 예를 도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점자부(140)는 그 몸체가 자성체(142)로 이루어짐에 따라, 금속 물질에 쉽게 착탈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이 편리한 위치에 점자부(14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자부(14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마트폰(400)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제거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점자를 입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점자 입력부(160) 및 점자부(140)는 2×3 행렬로 배치된 점자표에 기반하여 동작한다. 이러한 입력 방식을 3점 입력방식이라 칭한다. 3점 입력방식에 의한 입력 방식을 도 4a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①부터 ⑥까지의 점형이 2행 3열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한번에 세 손가락을 이용하여 3개의 터치 및 드래그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 손가락을 이용한 두번의 동작에 의해 6개의 점형을 모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 손가락을 이용하여 A에 해당하는 점형을 먼저 입력하고, 연속적으로 B에 해당하는 점형을 입력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점자 입력부(160)에는 6개의 점형이 입력된다.
통상적으로, 한국어의 경우 64개의 점형 중 하나도 점을 찍지 않은 빈칸을 단어 사이를 띄워쓰기로 사용하고, 그 외에 63개의 점형을 초성(첫소리) 자음 13자, 종성(받침) 자음 14자, 모음 21자, 약자 27자, 약어 7개, 숫자, 및 문장 부호 등에 배정하여 사용하도록 정한 점자표를 사용한다. 이러한 점자표는 3×2 행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낱자 혹은 글자를 입력하는데 최소 3번의 동작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점형을 입력함에 있어 두 번의 동작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입력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3점 입력 방식을 사용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타점의 일부를 예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일반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를 "√"로 표기하고, 드래그를 입력하는 경우를 "→"로 표기한다.
1번의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3개를 터치 패널(162)에 대고 모두 일반 터치를 입력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에 의해, 점자 인식부(164)는 3개의 점을 인식한다.
2번의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3개 중 앞의 두 손가락을 터치 패널(162)에 대고 일반 터치를 입력한 경우(√√)에 해당한다. 여기서, 점자 인식부(164)는 입력되지 않은 하나의 터치에 대하여는 공백으로 인식한다.
3번의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3개 중 앞의 한 손가락을 터치 패널(162)에 대고 일반 터치를 입력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도, 점자 인식부(164)는 입력되지 않은 두 개의 터치에 대하여는 공백으로 인식한다.
4번의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3개 중 중간 및 뒤의 손가락을 터치 패널(162)에 대고 일반 터치를 입력한 경우(√√)에 해당한다. 여기서, 점자 인식부(164)는 입력되지 않은 하나의 터치에 대하여 공백으로 인식한다.
5번의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3개 중 뒤의 손가락만을 터치 패널(162)에 대고 일반 터치를 입력한 경우(√)에 해당한다. 여기서, 점자 인식부(164)는 입력되지 않은 앞의 두 터치에 대하여 공백으로 인식한다.
6번의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3개를 터치 패널(162)에 대고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를 한 것(↓↓↓)으로, 이는 3개의 타점이 모두 공백인 경우에 해당한다. 여기서, 점자 인식부(164)는 한 줄을 전체 공백으로 인식한다.
7번의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3개 중 중간을 제외한 두 손가락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한 것(↓ ↓)으로, 이는 첫번째와 세번째의 타점을 공백으로 인식하고, 가운데 타점을 점으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키에 해당한다.
8번의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3개 중 중간 손가락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한 것( ↓ )으로, 이는 첫번째와 세번째의 타점을 점으로 인식하고, 가운데 타점을 공백으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키에 해당한다.
도 4b에서 예시한 3점 입력 방식에 의한 점자는 기설정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점자표에 언급된 모든 글자들이 3점 입력방식에 의해 표현되어 새로운 점자표를 형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됨을 전제로 한다. 도 4b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점자표에 의한 3점 입력방식의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점자를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원을 켠다. 이때, 도 3a와 같은 점자 입력기(20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300 혹은 400)과 점자 입력기 모두의 전원을 켜야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를 입력한다(S501). 예를 들면, 한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영어, 숫자, 특수문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학습 모드를 선택한다(S503). 즉,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수동 학습 모드와 자동으로 단어가 제공되는 자동 학습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사용자가 수동 학습 모드를 선택한 경우(S503-Y), 사용자는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마이크에 입력하고, 음성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는다(S505).
변환부(13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점자표에 기반하여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한다(S507).
만약, S503 단계에서, 사용자가 자동 학습 모드를 선택한 경우(S503-N), 제어부(180)는 저장부(150)에 사용자가 기입력한 문자의 종류에 대응하는 학습용 추천단어를 저장부(150)에서 추출하고, 이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17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출력부(170)는 학습용 추천단어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509).
출력부(170)에 의해 출력된 음성신호는 다시 음성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고, 변환부(130)에서는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한다(S511).
변환부(130)에 의해 음성신호가 점자신호로 변환되면, 점자부(140)는 점자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볼을 돌출시켜 점자를 제공한다(S513).
사용자는 점자부(140)를 통해 제공된 점자를 손가락의 감각을 이용하여 학습하고, 학습한 점자를 터치 패널(162)에 입력하고, 점자 인식부(164)에서는 점자를 인식한다(S515).
이후,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점자와 변환부(130)에 의해 기변환되었던 점자신호를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517). 여기서, 점자와 점자신호가 일치하는 경우(S517-Y)는 사용자가 학습을 올바르게 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점자와 점자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S517-N)는 사용자가 학습을 올바르게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다시 한번 점자를 입력하도록 유도한다(S519).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으로 사용자는 점자를 학습하게 되며,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학습을 완료하고자 하는 경우(S521-Y) 본 과정은 종료되고, 학습을 계속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505 단계부터 다시 반복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실제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점자로 제공하고, 이를 다시 입력받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에 의해, 사용자가 점자를 쉽게 학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 음성 입력부 130 : 변환부
140 : 점자부 150 : 저장부
160 : 점자 입력부 170 : 출력부
180 : 제어부

Claims (16)

  1. 점자 학습을 위한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점자신호에 대응하는 볼을 외부로 돌출시켜 점자를 제공하는 점자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공된 점자를 입력받는 점자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점자와 상기 점자신호를 비교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음성신호로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상기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복수의 학습용 추천단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저장된 학습용 추천단어를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출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별 점자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입력받은 문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에 대한 점자표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조작에 의해 일 회에 3개의 타점을 동시에 입력받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2회의 타점을 조합하여 하나의 점자를 인식하는 점자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인식부는,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된 후, 기설정된 인식시간 이내로 이동이 없는 터치가 발생하면 점으로 인식하고, 상기 점으로 인식되지 않는 다른 타점은 공백으로 인식하여 상기 타점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부는,
    6개의 볼이 셀을 이루는 복수의 점자 셀;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변환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셀은 상기 6개의 볼이 2×3 행렬로 배치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점자와 상기 점자신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비교결과를 출력하여 상기 점자의 재입력을 유도하고, 상기 점자 입력부를 통해 점자가 재입력되면, 상기 재입력되는 점자와 상기 점자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재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10. 점자 학습을 위한 음성신호를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점자신호에 대응하는 볼을 외부로 돌출시켜 점자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공된 점자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점자와 상기 점자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음성신호로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상기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기저장된 학습용 추천단어를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문자의 종류에 따라 기저장된 해당 문자에 대한 점자표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점자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조작에 의해 일 회에 3개의 타점을 동시에 입력받는 단계; 및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2회의 타점을 조합하여 하나의 점자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된 후, 기설정된 인식시간 이내로 이동이 없는 터치가 발생하면 점으로 인식하고, 상기 점으로 인식되지 않는 다른 타점은 공백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점자와 상기 점자신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비교결과를 출력하여 상기 점자의 재입력을 유도하는 단계; 및
    점자가 재입력되면, 상기 재입력되는 점자와 상기 점자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재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170123994A 2017-09-26 2017-09-26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999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94A KR101999281B1 (ko) 2017-09-26 2017-09-26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94A KR101999281B1 (ko) 2017-09-26 2017-09-26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28A true KR20190035128A (ko) 2019-04-03
KR101999281B1 KR101999281B1 (ko) 2019-10-01

Family

ID=6616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994A KR101999281B1 (ko) 2017-09-26 2017-09-26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7792A (zh) * 2021-02-01 2021-05-07 广州大学 盲文学习装置及工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8031A (ja) * 2002-07-05 2004-02-05 Amedia:Kk 点字入出力プログラム及び該点字入出力プログラムを用いた点字学習システム
KR20100128819A (ko) 2009-05-29 2010-12-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학습용 훈련 장치
KR101087640B1 (ko) * 2009-08-05 2011-11-30 한국과학기술원 촉감 제시장치를 이용한 점자 교육 상호작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3212B1 (ko) * 2011-03-31 2012-03-20 (주) 에스엔아이솔라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20160074072A (ko) * 2014-12-18 2016-06-2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농아학교를 위한 실시간 교육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8031A (ja) * 2002-07-05 2004-02-05 Amedia:Kk 点字入出力プログラム及び該点字入出力プログラムを用いた点字学習システム
KR20100128819A (ko) 2009-05-29 2010-12-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학습용 훈련 장치
KR101087640B1 (ko) * 2009-08-05 2011-11-30 한국과학기술원 촉감 제시장치를 이용한 점자 교육 상호작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3212B1 (ko) * 2011-03-31 2012-03-20 (주) 에스엔아이솔라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20160074072A (ko) * 2014-12-18 2016-06-2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농아학교를 위한 실시간 교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281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5882B2 (en) Dynamic calibrating of a touch-screen-implemented virtual braille keyboard
US201101716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ictographic languages
Alnfiai et al. SingleTapBraille: Developing a text entry method based on braille patterns using a single tap
JP7051061B2 (ja) 端末の学習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それに従う応用プログラム
Mattheiss et al. EdgeBraille: Braille-based text input for touch devices
Buzzi et al. Haptic reference cues to support the exploration of touchscreen mobile devices by blind users
KR101414169B1 (ko) 시각장애인용 키보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인식시스템
Belkacem et al. Textile: Eyes-free text input on smart glasses using touch enabled textile on the forearm
KR20190035128A (ko) 점자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35087B1 (ko)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KR20110014372A (ko) 촉감 제시장치를 이용한 점자 교육 상호작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7484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장치
Ushida et al. IPPITSU: A one-stroke text entry method for touch panels using Braille system
KR102187871B1 (ko)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점자 교육 지원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50134850A (ko) 닿소리 키패드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898194B1 (ko) 점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821125B1 (ko)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80107830A (ko) 점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장치
KR102361607B1 (ko) 한글 깨치기 단말기
JP6227133B2 (ja) 記号イメージ検索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記号イメージ検索用サーバ
KR102261668B1 (ko)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점자 그래픽 교육 지원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Marques BRAILLESHAPES: efficient text input on smartwatches for blind people
Cavazos Quero et al. H-Slate: A Hybrid Braille Slate Soft Keyboard for Touchscreen Devices
KR20220115660A (ko) 전맹 및 저시력 시각장애인 및 정상인을 위한 통합 교육 및 직업보조 원격 시스템
KR20160051353A (ko) 글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