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076A - 사물인터넷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076A
KR20190035076A KR1020170123886A KR20170123886A KR20190035076A KR 20190035076 A KR20190035076 A KR 20190035076A KR 1020170123886 A KR1020170123886 A KR 1020170123886A KR 20170123886 A KR20170123886 A KR 20170123886A KR 20190035076 A KR20190035076 A KR 20190035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circuit
lpw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535B1 (ko
Inventor
김진엽
김한집
이선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535B1/ko
Priority to PCT/KR2018/011292 priority patent/WO2019066424A1/ko
Priority to US16/650,193 priority patent/US11102645B2/en
Priority to EP18860524.0A priority patent/EP3668204A4/en
Publication of KR2019003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04W8/265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for initial activation of new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4Access security using delegated authorisation, e.g. open authorisation [OAuth]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4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의 전자 장치는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1 무선 통신 회로,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2 통신 회로,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제3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3 무선 통신 회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제1, 제2, 및 제3 무선 통신 회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는 실행시에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LPWAN에 송신하고,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LPWAN으로부터 요청의 거절을 지시하는 응답을 수신하고, 응답의 수신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3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 정보를 외부 이동형 장치로 제공하고, 장치 등록 정보를 제공한 후에, 외부 이동형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장치를 재부팅(reboot)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REGISTRATION OF INTERNET OF THINGS DEIVCE AND THE APPRATUS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물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of-things device)의 네트워크 등록과 관련된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IoT 환경에서, 연결된 사물들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에 포함될 수 있는 전자장치들은 비교적 낮은 처리 능력과 낮은 배터리 용량을 가진다. 또한, 다양한 사물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전화기와 같은 통신 장비에 비하여 많은 수의 전자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사물 인터넷의 특성은 기계유형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소모와 다수 접속(access)과 같은 사물인터넷 및 기계유형통신의 특성에 기반한 통신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에 기반한 사물인터넷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통신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기반한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PWAN은 Cat-M(category-machine), 협대역-사물인터넷(narrowband-IoT, NB-IoT), 또는 EC-GSM(extended coverage GSM for IoT)과 같은 다양한 통신 표준에 기반한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에 기반한 사물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자장치는 먼저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에 가입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 장치는 긴 배터리 수명을 가지고, 낮은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장치는 제한된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장치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 낮은 처리량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장치는 반이중(half-duplex) 통신만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같이 복잡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단순한 물리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물리 버튼과 같은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물인터넷 장치를 네트워크에 가입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1 무선 통신 회로,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2 통신 회로,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제3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3 무선 통신 회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제1, 제2, 및 제3 무선 통신 회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는 실행시에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LPWAN에 송신하고,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LPWAN으로부터 요청의 거절을 지시하는 응답을 수신하고, 응답의 수신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3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 정보를 외부 이동형 장치로 제공하고, 장치 등록 정보를 제공한 후에, 외부 이동형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장치를 재부팅(reboot)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IoT 장치(internet of things device)는, 하우징(housing),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를 이용하는 제1 무선 통신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물리 버튼,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인디케이터,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통신 회로, 물리 버튼, 및 인디케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이동형 장치로부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을 나타내는 알림을 표시하고, 알림이 표시된 후에, 물리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IoT 장치를 LPWAN에 등록하기 위하여,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 정보를 외부 이동형 장치로 송신하고, 장치 등록 정보의 송신 후,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 이동형 장치로부터 상기 LPWAN과 관련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메시지에 적어도 기반하여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LPWN에 접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제1 무선 통신,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를 이용하는 제2 무선 통신,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는 제3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및 통신 회로 및 디스플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3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또는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등록 정보를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송신하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또는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제1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으로의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장치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하여 사물 인터넷 장치의 가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부 서버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등록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에 따른 상이한 요구사항들이 외부 서버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상태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네트워크 가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해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정보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가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가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수신을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 전자 장치(100)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BL UE(bandwidth reduced low complexity user equipment), NB IoT(narrowband internet-of-things) UE, 셀룰러 IoT UE, 이동형 IoT 장치,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제1 전자 장치(1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미도시된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housing)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모션 센서(미도시) 또는 위치 정보 획득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 통신 회로(11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및 도 1에 미도시된 다른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점선으로 도시된 구성들(예: 메모리(130), 프로세서(120), 및 통신 회로(110))은 제1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구성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10)는 다른 개체(예: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지국)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0)는 다른 개체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개체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회로(110)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10)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또는 통신 회로(110))는 LPWAN(예: NB-IoT 네트워크)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10)는 미리 정해진(pre-determined) 주파수 대역(band)을 통해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은 다른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예: LTE(long term evolu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로써 이용되거나(이하, ‘인밴드(In-Band)’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보호 대역(guard band)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전용의(dedicated) 주파수 대역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이하, ‘스탠드얼론(standalone)’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비용 절감 및 배터리 소모 절약을 위하여 통신 회로(110)는 제한된 대역폭(bandwidth)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제한된 대역폭은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대역폭보다 좁고(narrow), 예를 들어, 20 MHz, 1.4 MHz, 또는 180KHz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10)는 Cat-M(category-machine), 협대역-사물인터넷(narrowband-IoT, NB-IoT), 또는 EC-GSM(extended coverage GSM for IoT)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LPWAN)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PWAN은 NB-IoT 네트워크, Cat-M 네트워크, 또는 EC-GSM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t-M은 Cat-M1 또는 LTE-M으로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B-IoT는 Cat-M2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10)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예: WiFi)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10)는 WLAN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10)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기반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10)는 복수의 통신 회로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10)는 LPWAN을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1 무선 통신 회로, WLAN(예: WiFi)을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2 통신 회로, 및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제3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3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10)의 재부팅은 통신 회로(110)의 적어도 일부의 재부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또는 셀룰러 프로세서(cellular 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로 하여금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 프로세서(120)의 동작은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들에 따라서 수행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들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르게 설명되지 않으면, 제1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수행된 동작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housing)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만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제1 전자 장치(100)와 블루투스 네트워크 또는 BLE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의 구성이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제2 전자 장치(200)는 블루투스 네트워크 또는 BLE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단말(terminal),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및 사용자 디스플레이(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제2 전자 장치(2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2 전자 장치(200)는 도 2에 미도시된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30), 통신 회로(210), 디스플레이(240), 및 도 2에 미도시된 다른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210)는 다른 개체(예: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지국)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회로(210)는 다른 개체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개체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회로(210)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10)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200)(또는 통신 회로(210))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10)는 미리 정해진(pre-determined) 주파수 대역(band)을 통해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은 다른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예: LTE(long term evolu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로써 이용되거나(이하, ‘인밴드(in-band)’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보호 대역(guard band)을 포함하거나,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전용의(dedicated)의 주파수 대역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이하, ‘스탠드얼론(standalone)’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210)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예: WiFi)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10)는 WLAN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210)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기반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210)는 복수의 통신 회로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10)는 LPWAN을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1 무선 통신 회로, WLAN(예: WiFi)을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2 통신 회로, 및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제3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3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네트워크들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의 연결이 설명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구성요소들(components) 각각은 하나의 개체(entity)일 수도 있고, 다수의 개체의 집합(set)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제1 서버(350) 및/또는 제2 서버(36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300)는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와 유/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개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0)는 기지국(base station)(예: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5GNB(5th generation NodeB)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 이동성 관리 처리부(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게이트웨이(gateway, GW),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 및 서비스 노출 개체(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SCEF)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300)는 셀룰러 네트워크(예: LPWAN)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는 WLAN(예: WiFi 네트워크)을 통하여 제1 서버(350) 및/또는 제2 서버(36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310)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310)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BLE, 또는 NFC에 기반한 네트워크)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10)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개입 없이,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 사이에 생성될 수 있는 네트워크(예: 통신 링크)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제2 서버(360) 사이의 중계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정보(예: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제2 서버(36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요청(예: 가입 요청, 해지 요청, 또는 상태 정보 요청)을 제2 서버(36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제2 서버(360)로부터 수신된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2 전자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자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판단된 서비스 제공자에 대응하는 제2 서버(360)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서버(350)를 통한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요청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IoT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00))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IoT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IoT 장치에 연관된 정보(식별 정보 또는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WWST 클라우드(work with smart things cloud) 서버(예: 삼성 IoT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제2 서버(360)에 보안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서버(350)를 통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연관된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와 연관된 계정은 복수의 전자 장치들에 연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와 연관된 계정은 제1 전자 장치(100)와 또한 연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계정은 사용자와 연관되고, 사용자와 연관된 계정에 복수의 전자 장치들(예: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이 등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하나의 계정을 통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버(360)는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의 가입 정보, 등록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관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요청(예: 가입 요청, 해지 요청, 또는 상태 정보 요청)을 제1 서버(3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제1 서버(35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고 단순한 물리 버튼(예: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단순한 물리 버튼만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상태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초기의 제1 전자 장치(100)는 LPWAN(예: 네트워크(300))에 미등록된 상태로 가정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 (310))를 통하여 제2 전자 장치(200)에 연결된 것으로 가정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동작들은 제1 전자 장치(100)의 제2 전자 장치로의 등록 과정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405에서, 제1 전자 장치(100)(예: 프로세서(120))는 통신 회로(110)를 이용하여 LPWAN(예: 네트워크(300))을 통하여 LPWAN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예: 제2 서버(360))에 연결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요청은 어태치 요청(attach request)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통신 정보(예를 들어,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록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을 이용하여 LPWAN의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기지국에 요청함으로써 어태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어태치 요청에 포함된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예: 제2 서버(360))에 개통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통신 정보에 대하여 개통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예: 미개통 또는 미등록 상태), 기지국을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에 거절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2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턴온(turn-on)된 경우 또는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연결 요청을 제2 서버(36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20)는 주기적으로 연결 요청을 제2 서버(36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절 응답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인디케이터(예: LED 유닛)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가 LPWAN에 등록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410에서, 제1 전자 장치(100)가 LPWAN에 미등록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110)를 이용하여 LPWAN(예: 네트워크(300))을 통하여 제2 서버(360)로부터 거절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절 응답은 어태치 거절(attach reject)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절 응답은 거절의 사유(claus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절의 사유는 제1 전자 장치(100) LPWAN에 미등록 상태임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거절 응답을 수신한 후, 제1 전자 장치(100)는 대기 상태에 머무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가 구체적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제2 전자 장치(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는 근거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 (310))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는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예: 블루투스, BLE, 또는 NFC)에 기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동작 415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의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페어링(pairing)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페어링을 위한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의 제공 후,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동작 425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 (310))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고유번호(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등록 정보를 플레인 텍스트(plain text, 평문)로서 제2 전자 장치(2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제조과정에서 설정된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등록정보를 제1 서버(3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식별정보에 기반한 등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록 정보는 제1 서버(350)에 의하여 암호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암호화된 등록정보를 복호화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암호화된 등록정보를 복호화할 수도 있다.
동작 430에서, 제2 전자 장치(200)(예: 프로세서(220))는 제1 서버(350)를 통하여 제2 서버(350)로 네트워크 상태 정보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 또는 WLAN을 통하여 제1 서버(350)로 네트워크 상태 정보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 요청을 제2 서버(36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보안 연결을 통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 요청을 제2 서버(36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 요청은 제1 전자 장치(100)의 등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암호화된 식별자를 포함하는 등록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2 전자 장치(100)는 암호화된 식별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 요청을 제1 서버(35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암호화된 식별자를 복호화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등록정보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서비스 제공자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제1 전자 장치의 등록정보에 포함된 국가 코드(예: mobile country code)와 네트워크 코드(예: mobile network code)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자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판단된 서비스 제공자에 기반하여 제2 서버(360)로 네트워크 상태 정보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태 정보 요청은 제1 전자 장치(100)의 등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암호화된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자가 수신된 경우, 제1 서버(350)는 식별자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식별자를 포함하는 등록 정보를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통하여 제2 서버(360)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 435에서, 제2 서버(360)는 제1 서버(350)를 통하여 제2 전자 장치(200)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제1 서버(350)로 제1 전자 장치(100)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보안 연결을 통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1 서버(35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 또는 WLAN을 통하여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네트워크 가입 상태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미등록(unregistered), 미개통(inactive), 개통(active), 진행중(pending)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미등록 또는 미개통임을 지시하는 경우,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의 LPWAN으로의 등록/개통을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10))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가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수신하기 위하여, 제1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에 가입된 상태이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고 단순한 물리 버튼(예: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제1 전자 장치(100)의 LPWAN에서의 미등록 상태 또는 미개통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의 등록/개통을 위한 정보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제1 전자 장치(100)의 개통(예를 들어, 등록)방법이 설명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네트워크 가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와 근거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10))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술되는 네트워크 가입 방법은 제1 전자 장치(100)의 제2 전자 장치(200)로의 등록 과정(예: 삼성 이지 셋업(easy setup), 삼성 커넥트 또는 등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예: 프로세서(220))는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예: 블루투스, BLE, 또는 NFC)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100)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4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검색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00))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100)와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페어링 요청 메시지를 제1 전자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전자 장치(100)(예: 프로세서(120))는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페어링 요청 메시지의 수신 또는 사용자 입력 요청에 대응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의 제공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110)를 이용하여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정보(예: IMEI, ICCID, IMSI, 또는 고유번호(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요청(예: 도 4의 동작 430)하고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예: 도 4의 동작 435)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100)를 제1 서버(35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를 제1 서버(350) 내의 제2 전자 장치(200)에 연관된 계정에 등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의 제1 서버(350)로의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제1 서버(350)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200)는 제2 전자 장치와 연관된 계정으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0)의 인증 코드를 획득하고, 획득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제1 서버(350)로 제1 전자 장치(100)의 접속 토큰(access token)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서버(350)로부터 접속 토큰을 수신하고, 접속 토큰을 제1 전자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미등록 또는 미개통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등록 또는 개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동작 505에서, 제2 전자 장치(200)(예: 프로세서(220))는 디스플레이(240) 상에 제1 전자 장치(100)의 개통(예: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미등록 또는 미개통임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등록 또는 개통을 위한 URL 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포함된 URL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예: 삼성 커넥트)을 실행시킴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제1 전자 장치(100)가 미등록 또는 미개통임을 지시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삼성 커넥트 또는 개통 관련 어플리케이션) 또는 지정된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40) 상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동작 510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예: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정보) 또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요금제 정보의 선택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515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 또는 WLAN(예: WiFi)을 통하여 제2 서버(360)에 개통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통 요청은 제1 전자 장치(100)의 등록 정보,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 또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요금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제2 전자 장치(200) 가입된 서비스 제공자와는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일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서버(350)를 통하여 제2 서버(360)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수신된 개통 요청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100)의 개통을 처리하고 개통 결과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1 서버(35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보안 연결을 통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1 서버(35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 또는 WLAN(예: WiFi)을 통하여 제2 전자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등록, 개통, 또는 대기(pending)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2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525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함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1 전자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네트워크가 이용가능함을 지시하는 메시지(예: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제1 전자 장치(100)(예: 프로세서(12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를 재부팅(reboo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110)를 재부팅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재부팅을 지시하는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재부팅을 안내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2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부팅 후, 제1 전자 장치(100)는 LPWAN(예: 네트워크(300))으로 접속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의 재부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의 재부팅은 통신 회로(110)의 적어도 일부의 재부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LPWAN(예: 네트워크(300))을 통하여 제1 서버(350)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1 전자 장치(100)의 접속 토큰을 이용하여 제1 서버(35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의 접속 토큰은 제1 전자 장치(100)의 제2 전자 장치(200)로의 등록 과정에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접속 토큰을 이용하여 제1 서버(350) 내의 제2 전자 장치(200)와 연관된 계정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연관된 계정에 가입(sign-in) 또는 로그인(log-in)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의 제1 서버(350)로의 접속에 대한 정보는 제2 전자 장치(200)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0)의 가입/등록은 제2 전자 장치(200)와 제1 서버(35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를 이용함으로써, 제1 전자 장치(100)의 가입을 위한 개통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예: 제2 서버(360))의 상이한 요구 사항들이 제1 서버(350)에 의하여 통일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의 해지도 유사한 메커니즘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해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605에서, 제2 전자 장치(200)(예: 프로세서(22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 또는 WLAN(예: WiFi)을 통해 제1 전자 장치(100)의 해지 요청을 제2 서버(36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해지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지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삼성 커넥트 또는 등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동작 610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서버(350)를 통하여 제2 서버(360)로부터 해지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수신된 해지 요청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100)의 해지를 처리하고 해지 결과 정보를 제1 서버(35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보안 연결을 통하여 해지 결과 상태 정보를 제1 서버(35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수신된 해지 결과 정보를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 또는 WLAN(예: WiFi)을 통하여 제2 전자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연관된 계정으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제2 서버(360)로부터 해지 결과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동작 615에서, 해지 결과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의 비활성화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삼성 커넥트) 상의 제1 전자 장치(100)의 비활성화(예: 등록 해지, 삭제)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삼성 커넥트) 상의 제1 전자 장치(100)에 대응하는 플러그인의 삭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의 비활성화는 제1 전자 장치(100)의 가입 또는 해지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삭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해지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240)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615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350)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연관된 계정으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비활성화와 함께, 제1 전자 장치(100)의 비활성화에 대한 정보를 제1 서버(35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0)의 비활성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전자 장치(100)에 연관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근거리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BLE, 또는 NFC)를 통해 해지 결과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지 결과 정보가 수신되면, 제1 전자 장치(100)의 LPWAN으로의 연결이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해지 결과 정보가 수신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해지 결과 정보 수신에 대응하는 알림을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초기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해지 결과 정보가 수신되면, 초기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초기화에 대응하는 지시가 수신되거나, 인터페이스(140)에 대한 기설정된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100)의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정보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705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서버(350)를 통하여 제2 서버(36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알림 정보를 제1 서버(35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360)는 보안 연결을 통하여 알림 정보를 제1 서버(35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50)는 수신된 알림 정보를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 또는 WLAN(예: WiFi)을 통하여 제2 전자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 정보는 경고 정보(예: 데이터 사용량에 연관된 경고) 또는 제1 전자 장치의 비활성화에 대한 정보(예: 요금제 만료(tariff expir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수신된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2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알림이 제2 전자 장치(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근거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10))를 통해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의 해지 또는 개통 철회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의 네트워크 가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805에서, 제1 전자 장치(100)(예: 프로세서(120))는 LPWAN(예: 네트워크(300))을 통하여 LPWAN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LPWAN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PWAN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은 어태치 요청(attach request)에 대응할 수 있다. 동작 805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된 동작 405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동작 810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LPWAN으로부터 요청의 거절을 지시하는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PWAN은 협대역 사물인터넷 (NB-IoT) 네트워크, Cat-M 네트워크, 또는 EC-GSM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은 어태치 거절(attach reject)에 대응할 수 있다. 동작 810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된 동작 410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동작 815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버튼(예: 물리 버튼)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815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된 동작 415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BLE를 통하여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등록 정보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고유번호(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등록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의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동작 820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된 동작 425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동작 825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미등록(unregistered), 미개통(inactive), 개통(active), 진행중(pending),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25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된 동작 430 및 동작 435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를 재부팅(reboo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제1 전자 장치(100)를 재부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의 재부팅은 통신 회로(110)의 적어도 일부의 재부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재부팅을 수행시 통신 회로(110)의 RF회로만 재부팅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905에서, 제2 전자 장치(200)(예: 프로세서(22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근거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예: IMEI, ICCID, IMSI, 또는 고유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록 정보는 암호화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는 LPWAN(예: NB-IoT 네트워크, Cat-M 네트워크, 또는 EC-GSM 네트워크) 사용자 기기일 수 있다. 동작 905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된 동작 425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동작 910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 또는 WLAN(예: WiFi)을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서버(350))에 제1 외부 전자 장치를 등록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록 정보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 요청을 통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동작 915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 또는 WLAN(예: WiFi)을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제1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미개통(inactive) 상태를 지시하는 지시자,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개통을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10 및 동작 915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된 동작 430 및 동작 435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셀룰러 네트워크(예: LPWAN)로의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920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동작 505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가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의 동작 920에서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2 전자 장치(200)(예: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예: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정보)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00))의 요금제 정보의 선택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동작 1005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 또는 WLAN(예: WiFi)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등록 정보 및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일부 기반한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개통 요청을 서비스 제공자 서버(예: 제2 서버(360))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005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상술된 동작 515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동작 1010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 또는 WLAN(예: WiFi)을 통해 개통 요청에 대응하는 제2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개통 요청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예: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개통, 등록, 또는 대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010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상술된 동작 520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동작 1015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근거리 네트워크(예: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2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015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상술된 동작 525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수신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를 통하여 노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및 인디케이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푸쉬(push) 입력 또는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1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의 클릭, 더블 클릭, 터치, 및 지정된 시간 이상의 홀드(hol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150)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150)는 빛의 출력(예: 점멸) 및/또는 출력 색상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00)와의 페어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1100)을 수신하기 위하여, 인디케이터(150)를 통하여 알림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1100)의 수신을 위하여, 제2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40)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대한 사용자 입력(1100)을 요청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예: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입력(1100)을 요청하는 문자 또는 그래픽(예: 도 1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2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1100)은 제1 전자 장치(100)의 제2 전자 장치(200)와의 페어링 과정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1100)은 페어링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1100)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등록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도 1, 2, 3, 4, 5, 6, 7, 8, 9, 10, 및 11을 참조하여 사물인터넷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통신회로(110) 내부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구성요소),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2 통신 회로(예: 통신회로(110) 내부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구성요소),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제3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3 무선 통신 회로(예: 통신회로(110) 내부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구성요소),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예: 인터페이스(140)), 프로세서(예: 프로세서 (120)), 및 메모리(예: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제1, 제2, 및 제3 무선 통신 회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는 실행시에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LPWAN에 송신하고,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LPWAN으로부터 요청의 거절을 지시하는 응답을 수신하고, 응답의 수신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3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 정보를 외부 이동형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로 제공하고, 장치 등록 정보를 제공한 후에, 외부 이동형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장치를 재부팅(reboot)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button)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장치 등록 정보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고유번호(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미등록(unregistered), 미개통(inactive), 개통(active), 진행중(pending),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00))의 등록을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전자 장치의 등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LPWAN은 LTE-M(long term evolution-machine type communication), 협대역 사물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 IoT) 네트워크, 및 EC-GSM(extended coverage-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for IoT)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재부팅은 적어도 제1 무선 통신 회로, 제2 무선 통신 회로, 및 제3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의 재부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IoT 장치(internet of things device)(예: 제1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housing),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를 이용하는 제1 무선 통신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예: 통신회로(110)),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물리 버튼(예: 인터페이스(140)),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인디케이터(예: 인디케이터(150)),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통신 회로, 물리 버튼, 및 인디케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이동형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을 나타내는 알림을 표시하고, 알림이 표시된 후에, 물리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IoT 장치를 LPWAN에 등록하기 위하여,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 정보를 외부 이동형 장치로 송신하고, 장치 등록 정보의 송신 후,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 이동형 장치로부터 상기 LPWAN과 관련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메시지에 적어도 기반하여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LPWN에 접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이용하는 제3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을 통하여 LPWAN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LPWAN에 송신하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을 통하여 LPWAN으로부터 요청의 거절을 지시하는 응답을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거절을 지시하는 응답은 전자 장치가 LPWAN에 미등록된 상태임을 지시하는 사유(claus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2 메시지가 수신되면, 통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재부팅(reboot)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메시지는 LPWAN에서의 IoT 장치의 등록 정보 또는 개통(activation)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장치 등록 정보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고유번호(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는,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제1 무선 통신,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를 이용하는 제2 무선 통신,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는 제3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예: 통신 회로(220)),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240)), 및 통신 회로 및 디스플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2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3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또는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등록 정보를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서버(350))에 송신하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또는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제1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으로의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미개통(inactive) 상태를 지시하는 지시자,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개통을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외부 전자 장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예: 제2 서버(360))와 보안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또는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등록 정보 및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기반한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개통 요청을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송신하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또는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개통 요청에 대응하는 제2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3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2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또는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해지 요청을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송신하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해지 결과 정보를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3 무선 통신을 통하여 해지 결과 정보를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고유번호(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LPWAN은 LTE-M(long term evolution-machine type communication), 협대역 사물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 IoT) 네트워크, 및 EC-GSM(extended coverage-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for IoT)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는 제1 전자 장치(100) 또는 제2 전자 장치(200)의 일 예시가 설명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200) 내의 전자 장치(1201)(예: 제1 전자 장치(100) 또는 제2 전자 장치(200))의 블럭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200)에서 전자 장치(1201)는 제 1 네트워크(1298)(예: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310))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2)(예: 제2 전자 장치(200) 또는 제1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299)(예: 원거리 무선 통신)(예: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예: 제1 서버(350)또는 제2 서버(36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서버(12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프로세서(1220)(예: 프로세서(120) 또는 프로세서(220)), 메모리(1230)(예: 메모리(110) 또는 메모리(210)), 입력 장치(1250), 음향 출력 장치(1255), 표시 장치(1260), 오디오 모듈(1270), 센서 모듈(1276), 인터페이스(1277)(예: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햅틱 모듈(1279), 카메라 모듈(1280), 전력 관리 모듈(1288), 배터리(1289), 통신 모듈(1290)(예: 통신 회로(110) 또는 통신 회로(210)), 가입자 식별 모듈(1296), 및 안테나 모듈(12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2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260) 또는 카메라 모듈(12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2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2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276) 또는 통신 모듈(12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2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2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0)는 메인 프로세서(12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23)는 메인 프로세서(12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21)와 함께, 전자 장치(12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260), 센서 모듈(1276), 또는 통신 모듈(12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280) 또는 통신 모듈(12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20) 또는 센서모듈(12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휘발성 메모리(12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2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240)은 메모리(12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242), 미들 웨어(1244) 또는 어플리케이션(12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250)는, 전자 장치(12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2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2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2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260)는 전자 장치(12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2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2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270)은, 입력 장치(12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255), 또는 전자 장치(12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276)은 전자 장치(12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2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2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278)는 전자 장치(1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2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2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2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288)은 전자 장치(12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289)는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90)은 전자 장치(1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90)은 프로세서(12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290)은 무선 통신 모듈(12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2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2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BLE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2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2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2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2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2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2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290)(예: 무선 통신 모듈(12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299)에 연결된 서버(12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2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2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202, 1204) 각각은 전자 장치(12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2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2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236) 또는 외장 메모리(12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1 무선 통신 회로;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2 통신 회로;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제3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3 무선 통신 회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3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LPWAN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LPWAN으로부터 상기 요청의 거절을 지시하는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의 수신 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3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 정보를 외부 이동형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장치 등록 정보를 제공한 후에, 상기 외부 이동형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재부팅(reboot)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button)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등록 정보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고유번호(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미등록(unregistered), 미개통(inactive), 개통(active), 진행중(pending), 상기 전자 장치의 등록을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등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PWAN은 LTE-M(long term evolution-machine type communication), 협대역 사물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 IoT) 네트워크, 및 EC-GSM(extended coverage-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for IoT)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재부팅은 적어도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3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의 재부팅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IoT 장치(internet of things device)에 있어서,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를 이용하는 제1 무선 통신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물리 버튼;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인디케이터;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 회로, 상기 물리 버튼, 및 상기 인디케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이동형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을 나타내는 알림을 표시하고,
    상기 알림이 표시된 후에, 상기 물리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IoT 장치를 상기 LPWAN에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장치 등록(device registration) 정보를 상기 외부 이동형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장치 등록 정보의 송신 후,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외부 이동형 장치로부터 상기 LPWAN과 관련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제2 메시지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LPWN에 접속하도록 설정된, IoT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이용하는 제3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더 설정된, IoT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LPWAN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LPWAN에 송신하고, 및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LPWAN으로부터 상기 요청의 거절을 지시하는 응답을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거절을 지시하는 응답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LPWAN에 미등록된 상태임을 지시하는 사유(clause) 정보를 포함하는, IoT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IoT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재부팅(reboot)하도록 설정된, IoT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LPWAN에서의 상기 IoT 장치의 등록 정보 또는 개통(activation)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등록 정보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고유번호(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장치.
  14. 전자 장치에 있어서,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제1 무선 통신,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를 이용하는 제2 무선 통신,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는 제3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3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등록 정보를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제1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으로의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미개통(inactive) 상태를 지시하는 지시자,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개통을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보안 연결된,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등록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기반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개통 요청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개통 요청에 대응하는 제2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및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3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해지 요청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해지 결과 정보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및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3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해지 결과 정보를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고유번호(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LPWAN은 LTE-M(long term evolution-machine type communication), 협대역 사물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 IoT) 네트워크, 및 EC-GSM(extended coverage-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for IoT)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123886A 2017-09-26 2017-09-26 사물인터넷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KR10242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886A KR102429535B1 (ko) 2017-09-26 2017-09-26 사물인터넷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18/011292 WO2019066424A1 (ko) 2017-09-26 2018-09-21 사물인터넷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US16/650,193 US11102645B2 (en) 2017-09-26 2018-09-21 Network registration method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device therefor
EP18860524.0A EP3668204A4 (en) 2017-09-26 2018-09-21 NETWORK REGISTRATION PROCESS OF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ASSOCIATE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886A KR102429535B1 (ko) 2017-09-26 2017-09-26 사물인터넷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76A true KR20190035076A (ko) 2019-04-03
KR102429535B1 KR102429535B1 (ko) 2022-08-05

Family

ID=6590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886A KR102429535B1 (ko) 2017-09-26 2017-09-26 사물인터넷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02645B2 (ko)
EP (1) EP3668204A4 (ko)
KR (1) KR102429535B1 (ko)
WO (1) WO201906642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30B1 (ko) * 2019-11-20 2021-03-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무선 공유기 네트워크 설정 방법, loT 장치 및 시스템
KR102267492B1 (ko) * 2020-02-14 2021-06-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팜 이미지 획득을 위한 무선 공유기 네트워크 설정 방법, IoT 카메라 및 IoT 시스템
KR102269269B1 (ko) * 2020-02-14 2021-06-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팜에서의 저전력 무선 센서를 이용한 온실 온도 측정 방법, 카메라용 허브 및 IoT 시스템
KR20220052819A (ko) * 2020-10-21 2022-04-28 쿠팡 주식회사 단말 개통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KR102425688B1 (ko) * 2021-03-26 2022-07-28 (주)에이아이큐브 중계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통신 방법
WO2024071642A1 (ko) * 2022-09-29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623B1 (ko) * 2018-08-08 2022-1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eSIM 관리 방법
US10548084B1 (en) 2019-03-29 2020-01-28 Schlage Lock Company Llc Technologies for associating an offline Wi-Fi system with a wireless access point
KR20220152683A (ko) * 2021-05-10 2022-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3965904B (zh) * 2021-10-28 2023-08-04 武汉慧联无限科技有限公司 设备注册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1825004B1 (en) * 2023-01-04 2023-11-21 Mattel, Inc. Communication device for childr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186A (ko) * 2007-10-11 2009-04-15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접속 중계 방법
KR20150124741A (ko) * 2014-04-29 2015-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8881A (ja) * 2006-09-20 2008-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及びこれを用いた緊急通報システム
JP5383736B2 (ja) * 2011-03-31 2014-01-08 ヤフー株式会社 携帯端末、閲覧情報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160453A1 (en) 2015-04-14 2018-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random access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03984B1 (ko) * 2015-06-22 2021-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기기의 가입 방법 및 장치
US10959244B2 (en) 2015-07-22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in narrow band system
KR102424359B1 (ko) 2015-07-22 2022-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시스템에서 IoT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EP3327973B1 (en) 2015-07-22 2019-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machine type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25392B2 (en) * 2015-08-05 2019-09-24 Facebook, Inc. Managing a device cloud
US10498764B2 (en) * 2015-12-08 2019-12-03 Jpu.Io Ltd Network routing and security within a mobile radio network
WO2017111517A1 (en) 2015-12-22 2017-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narrow bandwidth communic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75937B1 (ko) * 2016-01-22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ES2898301T3 (es) 2016-03-14 2022-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operación de sincronización en redes celulares del internet de las cosas
US10616808B2 (en) * 2016-07-19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Exchanging network server registration credentials over a D2D network
KR101737806B1 (ko) 2016-08-03 2017-05-19 이재운 스마트 페이저
EP3607729A1 (en) * 2017-04-05 2020-02-12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Wireless reset mechanism for machine-to-machin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186A (ko) * 2007-10-11 2009-04-15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접속 중계 방법
KR20150124741A (ko) * 2014-04-29 2015-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33.899 v1.3.0*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30B1 (ko) * 2019-11-20 2021-03-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무선 공유기 네트워크 설정 방법, loT 장치 및 시스템
KR102267492B1 (ko) * 2020-02-14 2021-06-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팜 이미지 획득을 위한 무선 공유기 네트워크 설정 방법, IoT 카메라 및 IoT 시스템
KR102269269B1 (ko) * 2020-02-14 2021-06-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팜에서의 저전력 무선 센서를 이용한 온실 온도 측정 방법, 카메라용 허브 및 IoT 시스템
KR20220052819A (ko) * 2020-10-21 2022-04-28 쿠팡 주식회사 단말 개통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US11678194B2 (en) 2020-10-21 2023-06-13 Coupang Cor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terminal activation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102425688B1 (ko) * 2021-03-26 2022-07-28 (주)에이아이큐브 중계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통신 방법
WO2024071642A1 (ko) * 2022-09-29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8204A1 (en) 2020-06-17
KR102429535B1 (ko) 2022-08-05
US20200221293A1 (en) 2020-07-09
US11102645B2 (en) 2021-08-24
WO2019066424A1 (ko) 2019-04-04
EP3668204A4 (en) 202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535B1 (ko) 사물인터넷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EP3797508B1 (en)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s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201501347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electronic devices
KR10248267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1032862B2 (e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multiple devices
US11903062B2 (en)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requiring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570611B2 (en)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eSIM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102500347B1 (ko) Wi-Fi 통신 및 모바일 핫스팟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150065410A (ko) 전자 장치의 억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718292B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embedde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and method for same
KR20200054708A (ko) Ieee 802.11 표준에 정의된 tdls 세션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
KR20200031900A (ko) Pdu 세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90083214A (ko)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527868B1 (ko) Nan 프로토콜에 기반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56913B1 (ko)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2019025386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user in emergency
KR102406268B1 (ko)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10068933A (ko) 메시지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4319255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network management oper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24515008A (ja)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に組み込み型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のプロファイルをインストールする方法
EP375838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sharing through rich communication suite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20017328A (ko) 전자 장치의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33404A (ko)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60022115A (ko) 통신 환경에 기반한 메시지 송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240009300A (ko) 긴급 호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