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896A -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896A
KR20190034896A KR1020170123475A KR20170123475A KR20190034896A KR 20190034896 A KR20190034896 A KR 20190034896A KR 1020170123475 A KR1020170123475 A KR 1020170123475A KR 20170123475 A KR20170123475 A KR 20170123475A KR 20190034896 A KR20190034896 A KR 20190034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user terminal
web manual
web
multimedi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4896A/ko
Publication of KR2019003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 창작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 매뉴얼 제공 서버와 연동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에 웹 매뉴얼을 제공하는 방법은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블루투스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선택된 특정 기능에 대한 숙련도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URL 정보를 상기 블루투스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연결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 페이지를 상기 웹 매뉴얼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b manual based on user}
본 발명은 웹 매뉴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차량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등록된 사용자 프로파일 또는 기능 별 사용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동적으로 숙련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동적으로 해당 웹 매뉴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 수단에서 벗어나 엔터테인먼트, 정보 교환의 수단으로서 진화하고 있다.
차량의 고급화 및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재 출시되는 차량의 헤드 유닛은 단순한 FM/AM, CD 등의 오디오 제어 기능, 공조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블루투스, 웹 브라우징, 채팅, TV 시청, 네비게이션, 게임,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이를 위해, 차량 제조 회사들은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 헤드 유닛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기능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복잡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차량 제조 회사들은 차량 헤드 유닛인 AVNT(Audio Video Navigation Telematics) 시스템에 대한 웹 매뉴얼을 책자 형태로 고객에게 제공하거나, 전자 매뉴얼-예를 들면, PDF 파일-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AVNT 시스템에 대한 기존 메뉴얼들은 특정 기능을 참조할 때, 안내 책자에 복잡하게 설명된 기능 등을 찾아 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별 해당 매뉴얼에 대한 숙련도와 관계없이 단일 형태의 매뉴얼을 제공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AVNT 시스템에 대한 기존 매뉴얼들은 해당 시스템의 업데이트가 발생 시 이를 실시간 반영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새롭게 제작된 매뉴얼 책자 도는 전자매뉴얼을 매번 업데이트마다 제공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기반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별 해당 기능에 대한 숙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웹 매뉴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 기반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 창작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 매뉴얼 제공 서버와 연동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에 웹 매뉴얼을 제공하는 방법은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블루투스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선택된 특정 기능에 대한 숙련도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URL 정보를 상기 블루투스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연결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 페이지를 상기 웹 매뉴얼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웹 매뉴얼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기능 별 사용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기능 별 사용 통계에 기반하여 해당 기능에 대한 숙련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통계는 해당 기능에 대한 사용 빈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빈도와 소정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숙련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숙련도는 상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소정 설정 메뉴를 통해 기능 별로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 상기 숙련도는 상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소정 설정 메뉴를 통해 모든 기능이 일괄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 창작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 매뉴얼 제공 서버와 연동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에 웹 매뉴얼을 제공하는 방법은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블루투스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선택된 특정 기능에 대한 숙련도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하는 QR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QR 코드 정보를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연결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 페이지를 상기 웹 매뉴얼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부와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선택된 특정 기능에 대한 숙련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연결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 페이지를 웹 매뉴얼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기능 별 사용 통계를 수집하는 숙련도 통계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된 기능 별 사용 통계에 기반하여 해당 기능에 대한 숙련도가 식별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AVNT 웹 매뉴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웹 매뉴얼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차량 고객의 웹 매뉴얼에 대한 사용자 접근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VNT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맞춤형 실시간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매뉴얼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매뉴얼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을 위한 웹 매뉴얼의 사용자 프로파일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별 숙련도에 따른 웹 매뉴얼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로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와치(smart watch),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 등에서 사용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앱”이라 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용 소프트웨어와 “앱” 또는 "어플"을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 텔레매틱스 서버(20), 웹 매뉴얼 제공 서버(30), 사용자 단말(40), 근거리무선통신망(50) 및 이동통신망(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오디오/이미지/비디오 등을 재생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메뉴, 길 안내를 위한 네비게이션 메뉴, TV 시청을 위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메뉴, 공조기 제어 메뉴, 통화 메뉴, 텔레매틱스 서비스 메뉴 등을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망(50)은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이동통신망(140)을 통해 텔레매틱스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로,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텔레매틱스 서버(20)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교통 안전 정보, 생활 정보, 날씨 정보 등의 다양한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해당 사용자 단말(40)의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포함된 웹 메뉴얼에 대한 URL 정보를 근거리무선통신망(50)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4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수신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웹 매뉴얼이 포함된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40)의 프로파일은 해당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숙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40)의 프로파일은 사용자 단말(40) 별 특정 기능에 대한 사용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결정되는 숙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숙련도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과 블루투스 페어링되었던 사용자 단말(40)에 대해 수집된 기능 별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해당 사용자 단말에 의해 소정 기준 회수 이상 특정 기능 매뉴얼이 탐색된 경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해당 기능 매뉴얼에 대한 숙련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해당 사용자 단말에 의해 소정 기준 회수 미만으로 특정 기능 매뉴얼이 탐색된 경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해당 기능 매뉴얼에 대한 숙련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숙련도의 구분은 적용되는 기준치의 개수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숙련도는 숙련자/초급자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숙련도는 상급자/중급자/초급자로 구분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숙련도 판단 대상인 사용자 단말(40)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에 구비된 소정 시스템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등록한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이 기능 별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기능 매뉴얼에 대한 숙련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사용자가 소정 시스템 설정 메뉴를 통해 자신의 특정 기능 메뉴얼에 대한 숙련도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을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과 블루투스 연결한 후 자신의 전화 번호 등록 시 기능 매뉴얼 별 숙련도를 함께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해당 사용자의 숙련도에 기반하여 초보자용 웹 매뉴얼 또는 숙련자용 매뉴얼을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초보자용 웹 매뉴얼은 상세한 메뉴 구조를 포함하고, 숙련자용 매뉴얼은 단순화된 메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해당 사용자의 특정 기능 매뉴얼 별 숙련도에 기반하여 그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을 제공할 수도 있다.
특정 사용자의 기능 매뉴얼 별 숙련도 정보는 후술할 도면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특정 사용자 단말에 대한 숙련도가 결정되면, 결정된 숙련도에 대응되는 QR 코드를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QR 코드를 인식하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인식된 QR 코드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을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UI 버튼 또는 기능 메뉴가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조작되면-일 예로, 길게 누르기(long press)-, 현재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에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블루투스 연결된 사용자 단말일 수 있음-의 숙련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숙련도에 상응하여 웹 매뉴얼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URL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현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20)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과 이동통신망(60)을 통해 연동하여 다양한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서버(20)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프로파일은 해당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숙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텔레매틱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 별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에 탑재된 기능 별 사용 통계를 수집하고, 수집된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해당 기능에 대한 숙련도를 결정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20)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의 숙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텔레매틱스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숙련도 정보에 상응하는 웹 매뉴얼 정보를 웹 매뉴얼 제공 서버(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웹 매뉴얼 제공 서버(30)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의 기능 별 숙련도에 기반하여 웹 매뉴얼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정보, 해당 사용자의 숙련도 또는 해당 사용자의 특정 기능 별 숙련도에 관한 정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이 장착된 차량에 대응되는 제조사명, 차종, 위치 정보 또는 국가 정보, 언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소정 웹 매뉴얼 제공 요청 메시지를 웹 매뉴얼 제공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웹 매뉴얼 제공 서버(30)는 웹 매뉴얼 제공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을 위한 웹 매뉴얼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200)는 통신부(210), 숙련도 통계 수집부(220), 출력부(230), A/V(Audio/Video) 입력부(240), 메모리부(250), 입력 키 모듈(260), 외부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 이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와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 또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이동 통신 모듈(211),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5)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217), 차량 내 통신 모듈(2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211)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각종 제어 메시지뿐만 아니라 음성 및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모듈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망, LTE-Advanced 통신망, 지상파 DMB 통신망, WAVE(Wireless Access for Mobile Environment) 통신망 등에 접속 가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5)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 수신 모듈(217)은 측위 위성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획득하기 위한 모듈이다.
일 예로,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는 GPS 수신 모듈(217)에 의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교통 정보, 관광 정보, 날씨 정보, 지도 정보, 일정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획득 또는 추출하고, 획득 또는 추출된 정보를 화면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차량 내 통신 모듈(218)은 차량 내 장착되는 각종 제어기들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내 통신 모듈(218)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기능, LIN 통신 기능, 차량 이더넷 통신 기능, Flexlay 통신 기능, K-Line 통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숙련도 통계 수집부(220)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 별 숙련도 판단에 필요한 기능 별 사용 통계를 수집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여 수집된 기능 별 통계 정보는 메모리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수집된 기능 별 사용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기능 별 숙련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숙련도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을 웹 매뉴얼 제공 서버(30)로부터 획득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231), 음향 출력 모듈(233) 및 알람부(23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31)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3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3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 바디 중 디스플레이 모듈(23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3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31)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3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23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23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3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 모듈(23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233)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3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233)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의 일측에 구비된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알람 모듈(235)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또한, 알람 모듈(235)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231)이나 음향 출력 모듈(23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2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241)와 마이크(2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4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23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25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4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43)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 통신 모듈(211)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반면, 음성 인식 모드의 경우, 수신된 음성 신호가 내부 구비된 센싱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으며, 센싱부는 탑재된 음성 인식 수단을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를 제어부(28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80)는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2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250)는 제어부(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주소록, 수신된 알림 메시지, 일정 정보, 알람 설정 정보, 정지영상, 동영상, 응용 프로그램, 숙련도 통계 정보 등을 포함함-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25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키 모듈(260)은 사용자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 키 모듈(260)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부(270)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2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소정의 포트를 통하여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통상적으로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네비게이션, 오디오/이미지/비디오 재생,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포함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 위젯의 설치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80)는 해당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숙련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숙련도에 대응되는 QR 코드를 디스플레이 모듈(23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의해 QR 코드가 인식되면, 제어부(280)는 인식된 QR 코드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을 웹 매뉴얼 제공 서버(30)로부터 획득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하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모듈은 상술한 통신부(210), 숙련도 통계 수집부(220), 출력부(230), A/V 입력부(240), 메모리부(250), 입력 키 모듈(260), 외부 인터페이스부(270) 및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2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250)에 저장되고, 제어부(2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매뉴얼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웹 매뉴얼 제공 서버(30)는 통신부(310), 숙련도 식별부(320), 웹 매뉴얼 갱신부(330), 웹 매뉴얼 구성부(340), 초보자용 웹 매뉴얼 데이터베이스(350), 숙련자용 웹 매뉴얼 데이터베이스(360), 제어부(3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0)은 웹 매뉴얼 제공 서버(30)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 사이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여기서, 데이터는 웹 매뉴얼을 포함함-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통신 모듈(310)은 이동통신망(30) 및/또는 인터넷망(미도시)을 통해 텔레매틱스 서버(2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웹 매뉴얼 제공 서버(30)는 특정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텔레매틱스 서버(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프로파일은 텔레매틱스 서버(20)에서 수집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
숙련도 식별부(320)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10) 또는 텔레매틱스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의 웹 매뉴얼에 대한 숙련도 또는 해당 사용자의 웹 매뉴얼에 포함된 기능 별 숙련도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숙련도 식별부(320)는 사용자 단말의 접속 URL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웹 매뉴얼의 타입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이 제1 URL로 접속한 경우, 제1 URL에 대응되는 초보자용 웹 매뉴얼 페이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단말이 제2 URL로 접속한 경우, 제2 URL에 대응되는 숙련자용 웹 매뉴얼 페이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웹 매뉴얼 갱신부(330)는 웹 매뉴얼에 대한 버전 갱신 시 갱신된 버전으로 웹 매뉴얼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된 매뉴얼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웹 매뉴얼 구성부(340)는 숙련도 식별부(320)의 숙련도 식별 결과에 따라 초보자용 웹 매뉴얼 데이터베이스(350) 및 숙련자용 웹 매뉴얼 데이터베이스(360)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을 위한 웹 매뉴얼을 구성할 수 있다.
초보자용 웹 매뉴얼 데이터베이스(350)는 해당 차량의 제조사명, 차종, 위치 등에 대응되는 각종 기능 별 초보자를 위한 상세 웹 매뉴얼 정보가 유지될 수 있다.
숙련자용 웹 매뉴얼 데이터베이스(360)는 해당 차량의 제조사명, 차종, 위치 등에 대응되는 각종 기능 별 숙련자를 위한 빠른 검색 매뉴얼(Quick Manual) 정보가 유지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웹 매뉴얼 제공 서버(30)의 전체적인 동작 및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사용자 단말 별 AVNT 기능 사용 통계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특정 기능 별 웹 매뉴얼 숙련도를 판단하여 소정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410).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블루투스 연결된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의 숙련도를 식별할 수 있다(S420).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선택된 기능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숙련도가 초보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S430).
확인 결과, 초보자이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선택된 기능을 위한 초보자용 웹 매뉴얼에 대응되는 제1 URL 정보를 블루투스 연결된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440).
상기한 430 단계의 확인 결과, 숙련자이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선택된 기능을 위한 숙련자용 웹 매뉴얼에 대응되는 제2 URL 정보를 블루투스 연결된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450).
블루투스 연결된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웹 매뉴얼 페이지를 웹 매뉴얼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사용자 단말 별 AVNT 기능 사용 통계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특정 기능 별 웹 매뉴얼 숙련도를 판단하여 소정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510).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블루투스 연결된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의 숙련도를 식별할 수 있다(S520).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선택된 기능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숙련도가 초보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S530).
확인 결과, 초보자이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선택된 기능을 위한 초보자용 웹 매뉴얼에 대응되는 제1 QR 코드 정보를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S540).
상기한 530 단계의 확인 결과, 숙련자이면,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은 선택된 기능을 위한 숙련자용 웹 매뉴얼에 대응되는 제2 QR 코드 정보를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S550).
블루투스 연결된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가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 일측에 표시된 QR 코드를 인식하면, 블루투스 연결된 기기는 인식된 QR 코드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 페이지를 웹 매뉴얼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을 위한 사용자 별 웹 매뉴얼의 사용자 프로파일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기능 분류 항목 별 해당 사용자의 숙련도는 사용자의 숙련도 설정 또는 해당 기능 분류 항목에 대한 사용 빈도 통계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도 6의 실시 예에는 기능 분류가 대/중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보다 세분화된 기능 분류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소정 설정 메뉴를 통해 세부 기능 별 숙련도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소정 설정 메뉴를 통해 모든 기능에 대해 일괄적인 숙련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면 번호 620은 제2 사용자의 웹 매뉴얼 프로파일에 포함된 모든 기능이 초보자로 설정된 예를 보여 준다. 반면, 도면 번호 630은 제3 사용자의 웹 매뉴얼 프로파일의 모든 기능이 숙련자로 설정된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별 숙련도에 따른 웹 매뉴얼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흐름도이다.
특정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숙련도는 해당 기능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기능에 대한 숙련자로서의 판단 기준이 해당 기능을 최소 10회 이상 사용한 것으로 정의된 경우, 도면 번호 710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의 목적지 설정에 대한 숙련도는 사용 빈도가 3회이므로 초보자로 결정될 수 있다. 반면, 음성 인식으로 전화 걸기의 숙련도는 사용 빈도가 11회이므로 숙련자로 결정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기능에 대한 숙련자로서의 판단 기준이 모두 동일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기능 별 판단 기준이 상이하게 정의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일 예로, 내비게이션의 세부 기능들에 대한 숙련자로의 판단 기준이 사용 빈도가 10회 이상이고, 음성 인식의 세부 기능들에 대한 숙련자로의 판단 기준은 사용 빈도가 15회 이상인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목적지 설정 기능을 선택한 경우, 웹 매뉴얼 제공 서버는 초보자용 웹 매뉴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초보자용 웹 매뉴얼 페이지를 구성한 후 해당 사용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음성 인식으로 전화 걸기 기능을 선택한 경우, 웹 매뉴얼 제공 서버는 숙련자용 웹 매뉴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숙련자용 웹 매뉴얼 페이지를 구성한 후 해당 사용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차량 내부에 창작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 매뉴얼 제공 서버와 연동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에 웹 매뉴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블루투스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선택된 특정 기능에 대한 숙련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URL 정보를 상기 블루투스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연결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 페이지를 상기 웹 매뉴얼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매뉴얼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기능 별 사용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기능 별 사용 통계에 기반하여 해당 기능에 대한 숙련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웹 매뉴얼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통계는 해당 기능에 대한 사용 빈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빈도와 소정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숙련도가 결정되는, 웹 매뉴얼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련도는 상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소정 설정 메뉴를 통해 기능 별로 입력되는, 웹 매뉴얼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련도는 상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소정 설정 메뉴를 통해 모든 기능이 일괄적으로 입력되는, 웹 매뉴얼 제공 방법.
  6. 차량 내부에 창작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 매뉴얼 제공 서버와 연동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에 웹 매뉴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블루투스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선택된 특정 기능에 대한 숙련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하는 QR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QR 코드 정보를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연결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 페이지를 상기 웹 매뉴얼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매뉴얼 제공 방법.
  7.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부; 및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선택된 특정 기능에 대한 숙련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연결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숙련도에 대응되는 웹 매뉴얼 페이지를 웹 매뉴얼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기능 별 사용 통계를 수집하는 숙련도 통계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된 기능 별 사용 통계에 기반하여 해당 기능에 대한 숙련도가 식별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통계는 해당 기능에 대한 사용 빈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빈도와 소정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숙련도가 결정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숙련도는 상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소정 설정 메뉴를 통해 기능 별로 입력되어 메모리에 유지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숙련도는 상기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에 구비된 소정 설정 메뉴를 통해 모든 기능이 일괄적으로 입력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단말.
KR1020170123475A 2017-09-25 2017-09-25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34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75A KR20190034896A (ko) 2017-09-25 2017-09-25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75A KR20190034896A (ko) 2017-09-25 2017-09-25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896A true KR20190034896A (ko) 2019-04-03

Family

ID=6616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475A KR20190034896A (ko) 2017-09-25 2017-09-25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48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074A (ko) 2020-08-25 2022-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차량 오디오/비디오 기능 설명제공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074A (ko) 2020-08-25 2022-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차량 오디오/비디오 기능 설명제공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4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going call in vehicle equipped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US8717198B2 (en) Communication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bile units in a vehicle
US10269246B2 (en) Vehicle locator and guide
US201601500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Vehicle Bluetooth Pairing
US20120242473A1 (en) Image processing for image dislay apparatus mounted to vehicle
EP3160151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10390932A (zh) 基于人脸识别的语音处理方法及其设备
CN103814546A (zh) 移动终端、被安装到车辆上的图像显示装置及其数据处理方法
CN103765913A (zh) 移动终端、安装在车辆上的图像显示设备及使用其的数据处理方法
CN104253636A (zh) 移动电子设备协同系统、信息提供装置、移动电子设备及移动电子设备用程序
WO2016183825A1 (zh) 一种定位声音发出位置的方法和终端设备
CN105451202A (zh) 短信处理方法及装置
CN108920572B (zh) 公交信息处理方法和移动终端
US10397736B2 (en) Mobile terminal
CN113314120B (zh) 处理方法、处理设备及存储介质
US20190052745A1 (en) Method For Presenting An Interface Of A Remote Controller In A Mobile Device
US11433768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5726008B2 (ja) 接続機器一覧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20190034896A (ko) 사용자 기반 웹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9299359B (zh) 一种路况查询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0481693Y1 (ko) 클라우드 음성 녹취 시스템
CN115985309A (zh) 语音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286263B (zh) 网络连接方法、网络连接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2002297474A (ja) 電子掲示板システム、遠隔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46215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거주 시설 공실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