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431A - 파손 방지 안경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파손 방지 안경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431A
KR20190034431A KR1020170123003A KR20170123003A KR20190034431A KR 20190034431 A KR20190034431 A KR 20190034431A KR 1020170123003 A KR1020170123003 A KR 1020170123003A KR 20170123003 A KR20170123003 A KR 20170123003A KR 20190034431 A KR20190034431 A KR 20190034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sensor
speaker
warning sou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현준
Original Assignee
백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현준 filed Critical 백현준
Priority to KR1020170123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4431A/ko
Publication of KR2019003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손 방지 안경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을 벗을대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일정거리에 접근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방출하여 보이지않아 안경이 파손되는 불상사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안경을 벗었을대 보이지않아 안경이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안경에 있어서 안경귀 부분에 제품을 장착할수 있게 범용성 있는 크기로 제작한 귀부분장착액세서리, 높낮이, 위치를 측정할수있게 자이로센서로 구성한 위치센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수 있게 적외선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한 접근감지센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수준이 되면 경고 소리가 발생할수있게 초소형크기에 둥근형태로 제작한 스피커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경을 벗을대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일정거리에 접근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방출하여 보이지않아 안경이 파손되는 불상사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안경을 벗었을대 보이지않아 안경이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손 방지 안경 액세서리{Breakage prevention glasses accessory}
본 발명은 파손 방지 안경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에 있어서,
안경귀 부분에 제품을 장착할수 있게 범용성 있는 크기로 제작한 귀부분장착액세서리, 높낮이, 위치를 측정할수있게 자이로센서로 구성한 위치센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수 있게 적외선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한 접근감지센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수준이 되면 경고 소리가 발생할수있게 초소형크기에 둥근형태로 제작한 스피커로 구성 하여서,
안경을 벗을대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일정거리에 접근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방출하여 보이지않아 안경이 파손되는 불상사를 방지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저하자들의 시력교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경은 안경렌즈 , 안경태, 안경다리, 안경귀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안경은 제품을 안경귀에 장착하여 위치센서와 접근센서를 활용하여 사람이 접근시 경고음 방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안경은 안경을 벗었을대 보이지않아 안경이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제 1020020059263 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안경이 안경을 벗었을대 보이지않아 안경이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안경귀 부분에 제품을 장착할수 있게 범용성 있는 크기로 제작한 귀부분장착액세서리, 높낮이, 위치를 측정할수있게 자이로센서로 구성한 위치센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수 있게 적외선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한 접근감지센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수준이 되면 경고 소리가 발생할수있게 초소형크기에 둥근형태로 제작한 스피커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경귀 부분에 제품을 장착할수 있게 범용성 있는 크기로 제작한 귀부분장착액세서리, 높낮이, 위치를 측정할수있게 자이로센서로 구성한 위치센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수 있게 적외선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한 접근감지센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수준이 되면 경고 소리가 발생할수있게 초소형크기에 둥근형태로 제작한 스피커로 구성 함으로써, 안경을 벗을대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일정거리에 접근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방출하여 보이지않아 안경이 파손되는 불상사를 방지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제품을 안경에 장착한 모습
도 2: 제품의 구성도
즉, 본 발명은 안경귀 부분에 제품을 장착할수 있게 범용성 있는 크기로 제작한 (101)귀부분장착액세서리, 높낮이, 위치를 측정할수있게 자이로센서로 구성한 (102)위치센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수 있게 적외선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한 (103)접근감지센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수준이 되면 경고 소리가 발생할수있게 초소형크기에 둥근형태로 제작한 (104)스피커로 구성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경에 있어서 안경귀 부분에 제품을 장착할수 있게 범용성 있는 크기로 제작한 (101)귀부분장착액세서리, 높낮이, 위치를 측정할수있게 자이로센서로 구성한 (102)위치센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수 있게 적외선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한 (103)접근감지센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수준이 되면 경고 소리가 발생할수있게 초소형크기에 둥근형태로 제작한 (104)스피커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안경을 벗었을대 보이지않아 안경이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101: 귀부분장착액세서리, 102: 위치센서, 103: 접근감지센서, 104: 스피커

Claims (1)

  1. 안경에 있어서,
    안경귀 부분에 제품을 장착할수 있게 범용성 있는 크기로 제작한 (101)귀부분장착액세서리, 높낮이, 위치를 측정할수있게 자이로센서로 구성한 (102)위치센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수 있게 적외선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한 (103)접근감지센서, 감지된 거리가 일정 수준이 되면 경고 소리가 발생할수있게 초소형크기에 둥근형태로 제작한 (104)스피커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안경 액세서리.
KR1020170123003A 2017-09-23 2017-09-23 파손 방지 안경 액세서리 KR20190034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003A KR20190034431A (ko) 2017-09-23 2017-09-23 파손 방지 안경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003A KR20190034431A (ko) 2017-09-23 2017-09-23 파손 방지 안경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431A true KR20190034431A (ko) 2019-04-02

Family

ID=6616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003A KR20190034431A (ko) 2017-09-23 2017-09-23 파손 방지 안경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44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63A (ko) 2002-06-01 2002-07-12 문강균 휴대용 터치패드 마우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63A (ko) 2002-06-01 2002-07-12 문강균 휴대용 터치패드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2045B2 (en) Electronic eyewear and display
USD754782S1 (en) Eyewear viewing device
KR102256586B1 (ko) 기록 또는 판독 모드를 판단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BRPI0614807A2 (pt) óculos de percepção de vigiláncia
CN104614876A (zh) 预防近视和矫正坐姿的装置
USD820258S1 (en) Eyewear viewing device
US20130002425A1 (en) Augmented reality excessive noise display and warning system
ITMI20121957A1 (it) Occhiali ad elevata flessibilita' di utilizzo
AU2017248071A1 (en) Glasse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system comprising such glasses and a glasses case for such glasses
JP2019027945A5 (ko)
JP2009539127A5 (ko)
KR20190034431A (ko) 파손 방지 안경 액세서리
US9426584B2 (en) Direction indicative hear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00348540A1 (en) Eyewear with wearing status detector
KR20140060125A (ko) 분리형 다기능 안경
KR102294152B1 (ko) 시야장애 재활보조 안경
KR200435376Y1 (ko) 안경테의 렌즈 고정장치
JP2015232680A (ja) レンズレス型メガネ及び視力回復器具
CN108061977B (zh) 一种易于寻找的眼镜
JP2020030390A (ja) アイウエアおよびアイウエアアクセサリ、これらに使用するレンズ
KR20200008215A (ko) 색약자 전용 안경
JP5919323B2 (ja) 瞬き検出装置及び眼鏡型電子機器
JP2019028290A5 (ko)
KR20160146442A (ko) 시력보호용 센서 안경
ITMI20101083A1 (it) Occhiali ad elevata flessibilità d utilizz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