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38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383A
KR20190034383A KR1020170122747A KR20170122747A KR20190034383A KR 20190034383 A KR20190034383 A KR 20190034383A KR 1020170122747 A KR1020170122747 A KR 1020170122747A KR 20170122747 A KR20170122747 A KR 20170122747A KR 20190034383 A KR20190034383 A KR 20190034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display
sensing unit
window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655B1 (ko
Inventor
이춘협
윤가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655B1/ko
Priority to US16/110,770 priority patent/US10747380B2/en
Priority to CN201811093378.5A priority patent/CN109542262B/zh
Publication of KR20190034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383A/ko
Priority to US16/933,489 priority patent/US1115077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3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01L27/3258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의해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센싱부와 비센싱부로 구분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제1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1 차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표시 장치에는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통해 화면이 출력되는 윈도우의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위치를 센싱하는 터치 패널과, 터치 입력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표시 영역 하부의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의 하부에 압력 센서가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압력 센서가 측정할 수 있는 압력에 대한 정밀도가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기존의 표시 장치는 단순히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 상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이 비표시 영역의 소프트 키에 접촉하였는지 여부에 대해서만 측정할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보다 정밀하게 센싱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의해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센싱부와 비센싱부로 구분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제1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1 차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의 상기 센싱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홀과 중첩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와 중첩하고 상기 센싱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상기 제2 도전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상기 센싱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대향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도전층의 타면 상에 위치하는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도전층의 일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의 상기 센싱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홀과 중첩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은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대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2 도전층의 제2 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비센싱부에 배치되는 제5 도전층 및 제6 도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5 도전층 및 상기 제6 도전층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제1 방향을 연장된 단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연장된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장변과 인접한 장변 인접 영역 및 상기 단변과 인접한 단변 인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5 도전층 및 상기 제6 도전층은 상기 장변 인접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단변 인접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홀과 중첩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의해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제1 센싱부, 제2 센싱부로 구분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차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차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제3 도전층 및 제4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의 상기 제1 센싱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부재의 상기 제2 센싱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의 개구율과 상기 복수의 제2 홀의 개구율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홀의 제1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 홀 간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제2 홀의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2 홀 간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제2 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 홀의 폭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 홀의 폭과 다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부의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로서, 상기 표시부에 의해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고 압력 센싱부를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는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싱부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 부재로 이루어진 유전체층 및 상기 유전체층 상에 배치된 제2 도전층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비표시 영역의 소프트 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더욱 정밀하게 구분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입력을 각 소프트 키 마다 다른 정밀도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비표시 영역의 소프트 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정밀하게 구분하면서도 소프트 키들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윈도우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 센싱부를 확대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한 단위면적과 대응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도 7의 제1 센싱부에서 한 단위면적과 대응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도 7의 제2 센싱부에서 한 단위면적과 대응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는 압력 센서로서 동작하는 제1 센싱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의 (a)는 도 13의 (a) 및 도 13의 (b)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제1 센싱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4의 (b)는 도 13의 (a) 및 도 13의 (b)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제2 센싱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5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3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3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는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윈도우(100) 및 표시 패널(200)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200) 하부에 배치된 패널 하부 시트(400)및 패널 하부 시트(400)의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20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20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0)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양 장변과 양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양 장변은 표시 장치(10)의 좌측 장변(LLL) 및 표시 장치(10)의 우측 장변(RLL)을 포함할 수 있다. 양 단변은 상측 단변(TSL) 및 하측 단변(BS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장변과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곡면을 이룰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0)는 평탄부(FA) 및 평탄부(FA)와 연결되고 평탄부(FA)의 주변에 위치하는 벤딩부(BA)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FA)는 대체로 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벤딩부(BA)는 평탄부(FA)와 동일 평면 상에 놓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벤딩부(BA)는 평탄부(FA)가 위치하는 평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꺾이거나 휘어질 수 있다.
벤딩부(BA)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굴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벤딩부(BA)는 평탄면을 갖되, 벤딩부(BA)의 평탄면이 평탄부(FA)의 평면과 소정 각도를 갖는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벤딩부(B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좌측 장변(LLL) 및 우측 장변(RLL)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벤딩부(BA)는 표시 장치(10)의 좌측 장변(LLL) 및 우측 장변(RLL) 중 어느 하나 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표시 장치(10)의 상측 단변(TSL) 및 하측 단변(BS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벤딩부(BA)는 표시 장치(10)의 좌측 장변(LLL), 우측 장변(RLL), 상측 단변(TSL) 및 하측 단변(BSL) 모두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는 달리, 표시 장치(10)는 벤딩부 없이 평탄부만으로 이루어진 평면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내용들 중, 벤딩부에 특별히 관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벤딩된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평면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표시 장치(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200)은 표시 장치(10)와 동일하게 평탄부 및 평탄부와 연결되고 평탄부의 주변에 위치하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 및 벤딩부에 관한 설명은 표시 장치(10)에 대한 설명 부분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표시 패널(200)은 표시부(210) 및 표시부(210) 이외의 부분인 비표시부(21)를 포함한다. 표시부(2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윈도우(100)의 표시 영역(110)과 중첩한다. 상기 비표시부(21)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표시부(210)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윈도우(100)의 비표시 영역(120)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200)은 자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발광소자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무기물 기반의 초소형 발광다이오드(예컨대 Micro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200)은 액정 표시 등 다른 종류의 표시 패널일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는 터치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부재(300)는 저항막 방식, 상호정전용량 방식, 자기정전용량 방식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200)과 터치 부재(300)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과 같은 투명 결합층(53)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부재(300)는 표시 패널(20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터치 부재(300)는 리지드 패널 타입 또는 플렉시블 패널 타입이거나 필름 타입일 수 있다. 터치 부재(300)는 표시 패널(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중첩 배치되고, 터치 부재(300)의 측면과 표시 패널(200)의 측면이 정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200) 상부에는 윈도우(100)가 배치된다. 표시 패널(200) 상에 터치 부재(300)가 배치된 경우, 윈도우(100)는 터치 부재(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부재(300)와 윈도우(100)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과 같은 투명 결합층(52)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부재(300)가 생략될 경우, 표시 패널(200)과 윈도우(100)가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윈도우(100)는 기재(190)를 포함한다. 기재(190)는 표시 패널(200)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200)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기재(190)는 표시 패널(200)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양 단변에서 기재(190)는 표시 패널(2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양 장변에서도 기재(190)가 표시 패널(200)로부터 돌출될 수 있지만, 돌출 거리는 양 단변의 경우가 더 클 수 있다.
기재(190)는 표시 장치(10)와 동일하게 평탄부 및 평탄부와 연결되고 평탄부의 주변에 위치하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 및 벤딩부에 관한 설명은 표시 장치(10)에 대한 설명 부분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기재(190)는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의 광투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190)는 리지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시블 할 수도 있다.
기재(190)는 표시 패널(200) 및/또는 터치 부재(300)를 보호하는 한편, 표시 패널(200)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킨다.
윈도우(100)는 표시 영역(110) 및 표시 영역(110)의 주변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120)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110)은 표시 패널(200)의 표시부(210)와 중첩할 수 있다. 표시부(210)에서 영상의 형태로 생성되어 출력되는 광은 표시 영역(110)을 투과하여 표시 장치(10)의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영역(110)은 윈도우(100)의 중심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110)은 윈도우(100)의 중심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의 표시 영역(110)은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영역(110)이 직사각형 형태인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 등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110)은 표시 장치(10)와 동일하게 평탄부 및 평탄부와 연결되고 평탄부의 주변에 위치하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110)은 벤딩부를 포함하지 않고 평탄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평탄부 및 벤딩부에 관한 설명은 표시 장치(10)에 대한 설명 부분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비표시 영역(120)은 윈도우(1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표시 영역(110)의 주변에 배치된다. 비표시 영역(120)은 기재(190)의 일부를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120)은 표시 영역(11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120)은 표시 장치(10)의 좌측 장변(LLL) 및 표시 장치(10)의 우측 장변(RLL)을 따라 연장된 영역(이하 '장변 인접 영역'), 예컨대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된 영역 및 표시 장치(10)의 상측 단변(TSL) 및 하측 단변(BSL)을 따라 연장된 영역(이하 '단변 인접 영역'), 예컨대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120)은 표시 패널(200)을 향하는 기재(190)의 하면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153)를 포함한다. 차광 부재(153)는 윈도우(100) 하부의 구조가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광 부재(153)의 일부는 비표시 영역(120)의 상기 단변 인접 영역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비표시 영역(120)의 상기 장변 인접 영역에 위치한다.
차광 부재(153)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즉,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광 부재(153)는 블랙 매트릭스(B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는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으며,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광을 차단하는 차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120)은 센싱부(150) 및 비센싱부(160)로 구분될 수 있다.
센싱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는 소프트 키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부(150)는 비표시 영역(120)의 상기 단변 인접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센싱부(150)는 비표시 영역(120)의 상기 단변 인접 영역에서 기재(19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부(150)는 차광 부재(153) 및 차광 부재(153)를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제1 도전층(152) 및 제2 도전층(154)을 포함하며, 제1 절연층(151) 및 제2 절연층(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152)은 기재(190)와 차광 부재(153)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도전층(154)은 차광 부재(153)를 사이에 두고 제1 도전층(152)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1 도전층(152) 및 제2 도전층(154)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재질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도성 물질은 투명 도전층인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도성 물질은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래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성 물질이 금속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도전층(152)과 제2 도전층(154) 중 어느 하나는 메탈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도전층(152) 및 제2 도전층(154)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센싱부(150)에서 차광 부재(153)에는 복수의 제1 홀이 형성된다. 제1 홀(150H)은 광원(220)에서 출사된 광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홀은 센싱부(150)에서의 터치 압력 검출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
제1 절연층(151)은 제1 도전층(152)과 기재(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151)은 무기 물질 또는 평탄화 특성이 우수하며, 감광성을 갖는 유기 물질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절연층(151)은 기재(190)의 하면을 평탄화하는 기능 또는 기재(190)와 제1 도전층(152)을 서로 결합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2 절연층(155)은 제2 도전층(15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절연층(155)과 차광 부재(153) 사이에는 제2 도전층(154)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55)은 제1 절연층(151)과 유사하게 무기 물질 또는 평탄화 특성이 우수하며, 감광성(photosensitivity)을 갖는 유기 물질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절연층(155)은 제2 도전층(154)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센싱부(150)는 기재(190)의 비표시 영역(120)에서 기재(190)의 하면에 제1 절연층(151), 제1 도전층(152), 차광 부재(153) 제2 도전층(154), 제2 절연층(155)이 차례대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 도전층(152), 제2 도전층(154) 및 차광 부재(153)는 압력 센서가 될 수 있다. 제1 도전층(152)은 상기 압력 센서의 제1 전극으로 기능하며, 제2 도전층(154)은 상기 압력 센서의 제2 전극으로 기능하고, 차광 부재(153)는 상기 압력 센서의 탄성을 갖는 유전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압력 센서로서의 동작은 추후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센싱부(150)에서 표시 장치(10)에는 소프트 키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표시 장치(10)는 센싱부(150)의 하부에 센싱부(150)와 중첩 배치된 광원(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220)은 상기 소프트 키를 표시하기 위해 센싱부(15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220)은 센싱부(150)와 중첩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20)은 브라켓(60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어 센싱부(150)와 중첩할 수 있으며,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센싱부(150)와 이격될 수 있다. 또는 광원(220)은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50)의 하부에 배치되어 센싱부(150)와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원(220)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다. 광원(220)에서 방출된 광은 부분적으로 비표시 영역(120)을 투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싱부(150)에는 소프트 키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원(22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센싱부(150)와 이격된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며, 보다 구체적 내용은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비센싱부(160)는 비표시 영역(120)의 센싱부(150) 이외의 부분으로서, 일 실시예에서 비센싱부(160)는 비표시 영역(120)의 상기 장변 인접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비센싱부(16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재(190) 및 기재(190)의 하부에 배치된 차광 부재(153)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는 패널 하부 시트(400)가 배치된다. 패널 하부 시트(400)는 최상부에 탑 결합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탑 결합층(미도시)을 통해 표시 패널(2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400)는 표시 패널(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중첩 배치되고, 패널 하부 시트(400)의 측면과 표시 패널(200)의 측면이 정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패널 하부 시트(400)는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패턴 시인 방지 기능, 접지 기능, 완충 기능, 강도 보강 기능 및/또는 디지타이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400)는 상술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은 층, 막, 필름, 시트, 플레이트, 패널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4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400)가 복수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경우, 각 기능층들은 중첩하여 적층될 수 있다. 기능층은 다른 기능층의 바로 위에 적층되거나 결합층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400)의 하부에는 브라켓(600)이 배치된다. 브라켓(600)은 윈도우(100), 터치 부재(300), 표시 패널(200), 패널 하부 시트(400)를 수납한다. 브라켓(600)은 바닥면과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600)의 바닥면은 패널 하부 시트(400)의 하면과 대향하고, 브라켓(600)의 측벽은 윈도우(100), 터치 부재(300), 표시 패널(200), 패널 하부 시트(400)의 측면에 대향한다. 패널 하부 시트(400)는 최하부에 바텀 결합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바텀 결합 부재(미도시)를 통해 브라켓(600)의 바닥면에 부착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브라켓(600)의 바닥면 테두리에는 방수 테이프가 배치될 수 있다. 장변에 인접하여 배치된 방수 테이프는 패널 하부 시트(400)의 하면에 부착되고, 단변에 인접하여 배치된 방수 테이프는 윈도우(1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표시 패널(200), 터치 부재(300), 윈도우(100), 패널 하부 시트(400) 및 브라켓(600)은 모두 평탄부(FA) 및 벤딩부(BA)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윈도우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 센싱부를 확대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한 단위면적과 대응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도 7의 제1 센싱부에서 한 단위면적과 대응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0의 (b)는 도 7의 제2 센싱부에서 한 단위면적과 대응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윈도우(100)는 중앙부에 위치한 표시 영역(110) 및 표시 영역(110)의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120)을 포함하며, 비표시 영역(120)은 복수의 센싱부(150, 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센싱부(150, 140) 중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에서 상술한 센싱부를 제1 센싱부(150), 제1 센싱부(150)와 제1 방향(x)을 따라 인접한 센싱부를 제2 센싱부(140)라 지칭한다.
제1 센싱부(150) 및 제2 센싱부(140)는 상호 독립적으로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싱부(150)는 광원(220)에서 방출된 광이 부분적으로 투과하여 제1 소프트 키(150K)를 표시하는 제1 소프트 키 영역(150KA) 및 광원(220)에서 방출된 광을 차광하는 제1 주변 영역(150NA)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센싱부(140)는 광원(220)에서 방출된 광이 부분적으로 투과하여 제1 소프트 키(150K)와 다른 제2 소프트 키(140K)를 표시하는 제2 소프트 키 영역(140K) 및 광원(220)에서 방출된 광을 차광하는 제2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센싱부(15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센싱부(150)의 차광 부재(153)의 제1 소프트 키 영역(150KA)과 중첩하는 영역에는 복수의 제1 홀(150H)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홀(150H)은 한 그룹을 이루어 표시 장치(10)의 외부에서 비표시 영역(120)을 통해 시인되는 제1 소프트 키(150K)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광원(220)에서 제공된 광은 복수의 제1 홀(150H)을 투과하여 제1 소프트 키 영역(150KA)에 제1 소프트 키(150K)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복수의 제1 홀(150H)로 이루어진 그룹이 제1 소프트 키(150K)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소프트 키(150K)의 형상을 갖는 별도의 인쇄층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센싱부(150)에는 제1 소프트 키(150K)의 형상을 갖는 별도의 인쇄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제1 홀(150H)은 광투과 경로, 예컨대 광원(220)에서 방출된 광이 이동하는 경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홀(150H)의 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홀(150H)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이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평면 시점에서 바라볼 때, 각 홀은 길이가 150HL이고, 각 홀 사이의 거리가 150HD인 정사각형이 될 수 있다. 각 홀 사이의 거리(150HD)는 일정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홀(150H)은 일정한 거리(150HD)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다. 각 홀의 길이(150HL)는 모든 홀에서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홀(150H)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면적(150AA)에 포함된 복수의 제1 홀(150H)의 개수가 13개인 경우, 단위 면적(150AA)에 포함된 복수의 제1 홀(150H)의 총 단면적은 13 * (150HL)^2 이 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홀(150H)의 총 단면적이 증가하는 경우, 제1 소프트 키 영역(150K)에서 단위 면적(150AA) 당 개구율이 증가하며, 복수의 제1 홀(150H)의 총 단면적이 감소하는 경우, 제1 소프트 키 영역(150K)에서 단위 면적(150AA) 당 개구율은 감소한다.
복수의 제1 홀(150H)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을 따라 측정한 복수의 제1 홀(150H)은 간의 이격 거리는 제1 거리(150HD)일 수 있다.
일 방향(예시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을 따라 측정한 제1 홀(150H)의 폭은 제1 폭(150HL)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부재(153-C)의 단위 면적(150AA-C)에 포함된 복수의 제1 홀(150H-C)의 평면 형상은 원이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평면 시점에서 바라볼 때, 각 홀의 단면은 지름의 길이가 150HD-C이고, 단면이 원인 각 홀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150HD-C인 원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면적(150AA-C)에 포함된 복수의 제1 홀의 개수가 13개인 경우, 단위 면적(150AA-C)에 포함된 복수의 제1 홀의 총 단면적은 13 * {(150HL-C)/2}^2 * π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홀(150H)의 평면 형상 및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제2 센싱부(140)의 차광 부재(153)의 제2 소프트 키 영역(140KA)과 중첩하는 영역에는 복수의 제2 홀(140H)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2 홀(140H)은 한 그룹을 이루어 제2 소프트 키(140K)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홀(140H)의 평면 형상 및 단면 형상은 제1 홀(150H)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다를수도 있다. 복수의 제2 홀(140H)의 평면 형상 및 단면 형상에 대한 예시는 제1 홀(150H)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의 제2 홀(140H)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을 따라 측정한 복수의 제2 홀(140H)은 간의 이격 거리는 제2 거리(140HD)일 수 있다.
일 방향(예시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을 따라 측정한 제2 홀(140H)의 폭은 제2 폭(140HL)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센싱부(150)의 개구율과 제2 센싱부(140)의 개구율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거리(150HD) 및 제1 폭(150HL)은 제1 센싱부(150)의 개구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제2 거리(140HD) 및 제2 폭(140HL)은 제2 센싱부(140)의 개구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싱부(150)의 개구율과 제2 센싱부(140)의 개구율을 다르게 형성하기 위해, 제1 거리(150HD)와 제2 거리(140HD) 및/또는 제1 폭(150HL)과 제2 폭(140HL)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 거리(150HD)와 제2 거리(140HD)는 서로 다르고, 제1 폭(150HL)과 제2 폭(140HL)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거리(150HD)와 제2 거리(140HD)는 서로 동일하고, 제1 폭(150HL)과 제2 폭(140HL)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제1 거리(150HD)와 제2 거리(140HD)는 서로 다르고, 제1 폭(150HL)과 제2 폭(140HL)도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거리(150HD)와 제2 거리(140HD)간의 대소관계, 제1 폭(150HL)과 제2 폭(140HL) 간의 대소관계를 변경하여 설계함으로써 제1 센싱부(150)와 제2 센싱부(140) 간의 개구율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부(150)와 제2 센싱부(140) 간의 개구율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제1 센싱부(150)와 제2 센싱부(140)의 터치 압력 검출 민감도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센싱부(150)에 대한 설명은 제1 센싱부(150) 또는 제2 센싱부(140)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는 압력 센서로서 동작하는 제1 센싱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의 (a)는 도 13의 (a) 및 도 13의 (b)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제1 센싱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의 (b)는 도 13의 (a) 및 도 13의 (b)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제2 센싱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센싱부(150)는 단위 면적(150AA)과 중첩되는 기재(190), 제1 절연층(151), 제1 도전층(152), 차광 부재(153), 제2 도전층(154), 제2 절연층(155)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광 부재(153)의 제1 센싱부(150)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제1 홀(150H)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전층(154)에는 제1 홀(150H)과 중첩 하는 개구(154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절연층(155)에는 제1 홀(150H)과 중첩하는 개구(155A)가 형성될 수 있다.
광원(220)에서 제1 센싱부(150)로 광이 제공되면, 제공된 광의 일부는 차광 부재(153)에서 차광되지만, 광의 나머지 일부는 제2 절연층(155)의 개구 (155A), 제2 도전층(154)의 개구(154A) 및 제1 홀(150H)을 통과하고, 광투명 재질의 제1 도전층(152), 제1 절연층(151) 및 기재(190)를 경유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싱부(150)의 소프트 키를 표시 할 수 있다.
제2 센싱부(140)는 기재(190), 제3 절연층(141), 제3 도전층(142), 차광 부재(153), 제4 도전층(144), 제4 절연층(145)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싱부(140)의 제3 도전층(142)은 제1 도전층(152)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4 도전층(144)은 제2 도전층(154)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싱부(140)의 제3 절연층(141)은 제1 센싱부(150)의 제1 절연층(15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센싱부(140)의 제4 절연층(145)은 제1 센싱부(150)의 제2 절연층(15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광 부재(153)의 제2 센싱부(140)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제2 홀(140H)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도전층(144)에는 제2 홀(140H)과 중첩하는 개구(144A)가 형성되고, 제4 절연층(145)에는 제2 홀(140H)과 중첩하는 개구(145A)가 형성될 수 있다.
광원(220)에서 제2 센싱부(140)로 광이 제공되면, 제공된 광의 일부는 차광 부재(153)에서 차광되지만, 광의 나머지 일부는 제4 절연층(145)의 개구(145A), 제4 도전층(144)의 개구(144A) 및 제2 홀(140H)을 통과하고, 광투명 재질의 제3 도전층(142), 제3 절연층(141) 및 기재(190)를 경유하여 기재(19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센싱부(140)의 소프트 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2 절연층(155)에 복수의 개구(155A), 제2 도전층(154)에 복수의 개구(154A)가 형성된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달리 제2 절연층(155)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제2 도전층(154) 또한 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센싱부(150)는 복수의 제1 홀(150H)이 형성되는 차광 부재(153)와,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 제2 절연층(155) 및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 제2 도전층(154)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부(150)는 복수의 제1 홀(150H)이 형성되는 차광 부재(153)와,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 제2 절연층(155) 및 개구(154A)가 형성되는 제2 도전층(15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부(150)는 복수의 제1 홀(150H)이 형성되는 차광 부재(153)와, 개구(154A)가 형성되는 제2 절연층(155) 및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 제2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2에서는 제4 절연층(145)에 복수의 개구(145A), 제4 도전층(144)에 복수의 개구(144A)가 형성된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도면에 예시된 바와 달리 제4 절연층(145)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제4 도전층(144) 또한 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싱부(150)의 기재(190)의 제1 면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 (900)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센싱부(150)가 제1 도전층(152)을 제1 전극으로 하고 제2 도전층(154)을 제2 전극으로 하며, 차광 부재(153)가 상기 제1 센싱부(150)의 탄성을 갖는 유전체로서 기능하는 압력 센서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여기서, 압력의 센싱은 터치 부재(300)의 터치 제어부에서 수행한다. 터치 제어부는 자기 정전용량 방식(self capacitance)으로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는 제1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2 전극을 GND로 설정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는 전송선로(Tx)를 통해 제1 전극에 인가되어 수신선로(Rx)를 통해 수신되는 구동 신호의 변화를 감지(자기 정전용량 방식, self capacitance)하여 사용자 터치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였을 때, 제1 도전층(152) 및 제2 도전층(154)에 압력이 전달되면서 제1 도전층(152)과 제2 도전층(154)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 제1 도전층(152)과 제2 도전층(154)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제1 도전층(152)과 제2 도전층(154) 사이의 정전용량의 증가량을 터치 제어부가 검출할 수 있고, 터치 제어부는 정전용량의 증가량에 기반하여 압력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51), 제1 도전층(152), 차광 부재(153), 제2 도전층(154) 및 제2 절연층(155)으로 구성된 제1 센싱부(150)의 하나의 제1 홀(150H)과 다른 제1 홀(150H) 사이의 거리는 150HD로 설계되고, 각 제1 홀(150H)의 길이는 150HL로 설계될 수 있다. 이 때, 제1 센싱부(150)에는 힘 F가 단위 면적 내에서 각각 F1, F2, F3, F4, F5, F6로 분산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센싱부(150)에 가해진 힘 F에 의해 제1 센싱부(150) 내의 차광 부재(153)는 변형(예컨대,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3 절연층(141), 제3 도전층(142), 차광 부재(153), 제4 도전층(144) 및 제4 절연층(145)으로 구성된 제2 센싱부(140)의 하나의 제2 홀(140H)과 다른 제2 홀(140H) 사이의 거리는 140HD로 설계되고, 각 제2 홀(140H, 140H)의 길이는 140HL로 설계될 수 있다. 이 때, 제2 센싱부(140)에는 힘 F가 각각 F1', F2', F3', F4'로 분산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싱부(140)에 가해진 힘 F에 의해 제2 센싱부(140) 내의 차광 부재(153)는 변형(예컨대, 수축)될 수 있다.
제1 홀(150H)과 제2 홀(140H)의 폭 또는 평면상에서의 면적이 동일하다고 가정시, 제1 센싱부(150)내 제1 홀(150H)의 개수는 제2 센싱부(140) 내 제2 홀(140H)의 개수보다 많다. 즉, 제1 센싱부(150)의 개구율은 제2 센싱부(140)의 개구율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센싱부(150) 및 제2 센싱부(140)에 동일한 힘(F)이 가해지면, 제1 센싱부(150)에서 차광 부재(153)의 변화량은 제2 센싱부(140)에서 차광 부재(153)의 변화량보다 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센싱부(150)의 센싱 민감도는 제2 센싱부(140)의 센싱 민감도보다 클 수 있다.
즉, 압력 센서의 유전체층 기능을 수행하는 차광 부재(153)의 개구율을 제1 센싱부(150)와 제2 센싱부(140)별로 달리 하는 경우, 제1 센싱부(150)의 센싱 민감도와 제2 센싱부(140)의 센싱 민감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5는 도 5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비표시 영역(120-L)을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120-L)은 장변 인접 영역 및/또는 단변 인접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120-L)은 비센싱부(160-L)를 포함한다. 비센싱부(160-L)는 장변 인접 영역에 배치된다.
비센싱부(160-L)는 차광 부재(153)만 형성된 일 실시예와 달리, 비표시 영역(120-L)의 기재(190)의 하부 면에 배치되는 제5 절연층(181-L), 제5 절연층(181-L)과 기재(190)가 대향하는 제5 절연층(181-L)의 제1 면의 반대면인 제5 절연층(181-L)의 제2 면에 배치되는 제5 도전층(182-L), 제5 도전층(182-L)과 제5 절연층(181-L)이 대향하는 제5 도전층(182-L)의 제1 면의 반대면인 제5 도전층(182-L)의 제2 면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153-L), 차광 부재(153-L)와 제5 도전층(182-L)이 대향하는 차광 부재(153-L)의 제1 면의 반대면인 차광 부재(153-L)의 제2 면에 배치되는 제6 도전층(184-L), 제6 도전층(184-L)과 차광 부재(153-L)가 대향하는 제6 도전층(184-L)의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6 도전층(184-L)의 제2 면에 배치되는 제6 절연층(185-L)이 배치된다.
제5 도전층(182-L) 및 제6 도전층(184-L)은 센싱부(150)의 제1 도전층(152), 제2 도전층(154)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5 도전층(182-L) 및 제5 도전층(184-L)은 비표시 영역(120)의 장변 인접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1 도전층(152), 제2 도전층(154)은 비표시 영역(120)의 단변 인접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5 도전층(182-L) 및 제6 도전층(184-L)은 센싱부(150)의 제1 도전층(152), 제2 도전층(154)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110), 기재(190), 투명 결합층(52, 53), 터치 부재(300), 표시 패널(200), 패널 하부 시트(400) 및 브라켓(600)에 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6은 도 3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3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표시 영역(1200)에 위치한 제1 센싱부(1500)는 차광 부재(153A, 153B)는 제1 도전층(152)이 제1 절연층(151)과 대향하는 제1 면의 반대 면인 도전층(152)의 제2 면에 배치되는 제1 차광 부재(153A) 및, 제2 차광 부재(153A)와 제1 도전층(154)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차광 부재(153B)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차광 부재(153A)와 제2 차광 부재(153B)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차광 부재(153A)와 제2 차광 부재(153B)는 서로 다른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차광 부재(153A)가 제1 색을 띄는 제1 유색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차광 부재(153B)는 제2 색을 띄는 제2 유색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차광 부재(153A)가 제1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차광 부재(153B)는 상기 제1 차광 물질과는 다른 제2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차광 부재(153A) 및 제2 차광 부재(153B) 모두에 복수의 제1 홀(1500H)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차광 부재(153A, 153B)가 이중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19는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차광 부재(153)는 복수의 제1 홀(150H)을 포함한다. 제2 도전층(154)은 복수의 제1 홀(150H)과 중첩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154A)를 포함하고, 제2 절연층(155)은 제2 도전층(154)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154A)와 중첩하는 다른 개구(155A)를 포함한다.
차광 부재(153)와 제1 절연층(151)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도전층(1152)에는 복수의 제1 홀(150H)과 중첩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개구(1152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광원(220)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일 실시예와 같이 제1 도전층(1152)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았을 때에 비해, 개구(1152A)가 형성될 때에 제1 센싱부(1150, 11500)를 더욱 많이 통과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21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차광 부재(153)는 복수의 제1 홀(150H)을 포함한다. 제2 도전층(154)은 복수의 제1 홀(150H)과 중첩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154A)를 포함하고, 제2 절연층(155)은 제2 도전층(154)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154A)와 중첩하는 다른 개구(155A)를 포함한다.
제1 도전층(152)에는 복수의 제1 홀(150H)과 중첩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개구(152A)가 형성되고, 제1 도전층(152)과 기재(19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151)에 하나 이상의 개구(152A)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구(15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220)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일 실시예와 같이 제1 절연층(151)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았을 때에 비해, 개구(151A)가 형성될 때에 제1 센싱부(2150, 21500)를 더욱 많이 통과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23는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1의 관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싱부(3150, 31500)에는 제1 절연층(151)이 형성되지 않고, 제1 도전층(152)이 기재(190)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광원(220)으로부터 기재(190)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155A, 154A, 152A)를 통과하여 제1 절연층(151)을 거치지 않고 바로 기재(190)를 통과할 수 있어, 소프트 키에 대한 시인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TSL: 상측 단변
BSL: 하측 단변
LLL: 좌측 장변
RLL: 우측 장변
FA: 평탄부
BA: 벤딩부
10: 표시 장치
100: 윈도우
110: 표시 영역
120: 비표시 영역
140: 제2 센싱부
141: 제3 절연층
142: 제3 도전층
144: 제4 도전층
145: 제4 절연층
150: 제1 센싱부
151: 제1 절연층
152: 제1 도전층
153: 차광 부재
154: 제2 도전층
155: 제2 절연층
181: 제5 절연층
182: 제5 도전층
184: 제6 도전층
185: 제6 절연층
190: 기재
52, 53: 투명 결합층
200: 표시 패널
210: 표시부
21: 비표시부
220: 광원
300: 터치 부재
400: 패널 하부 시트
600: 브라켓

Claims (20)

  1.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의해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센싱부와 비센싱부로 구분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제1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1 차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의 상기 센싱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홀과 중첩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와 중첩하고 상기 센싱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상기 제2 도전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 부재 중 상기 센싱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대향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도전층의 타면 상에 위치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도전층의 일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 중 상기 센싱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홀과 중첩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대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2 도전층의 제2 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홀과 중첩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비센싱부에 배치되는 제5 도전층 및 제6 도전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5 도전층 및 상기 제6 도전층과 이격된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제1 방향을 연장된 단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연장된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장변과 인접한 장변 인접 영역 및 상기 단변과 인접한 단변 인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5 도전층 및 상기 제6 도전층은 상기 장변 인접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단변 인접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6.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의해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제1 센싱부, 제2 센싱부로 구분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차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차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제3 도전층 및 제4 도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 중 상기 제1 센싱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부재 중 상기 제2 센싱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의 개구율과 상기 복수의 제2 홀의 개구율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홀 중 제1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 홀 간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제2 홀 중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2 홀 간의 간격과 다른 표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제2 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 홀의 폭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 홀의 폭과 다른 표시 장치.
  20.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부의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로서, 상기 표시부에 의해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고 압력 센싱부를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는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싱부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 부재로 이루어진 유전체층 및 상기 유전체층 상에 배치된 제2 도전층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122747A 2017-09-22 2017-09-22 표시 장치 KR10243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47A KR102436655B1 (ko) 2017-09-22 2017-09-22 표시 장치
US16/110,770 US10747380B2 (en) 2017-09-22 2018-08-23 Display device having a non-display area with a sensing portion and a non-sensing portion
CN201811093378.5A CN109542262B (zh) 2017-09-22 2018-09-19 包括具有感测部分和非感测部分的非显示区域的显示设备
US16/933,489 US11150772B2 (en) 2017-09-22 2020-07-20 Display device having a non-display area with a sensing portion and a non-sensing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47A KR102436655B1 (ko) 2017-09-22 2017-09-22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383A true KR20190034383A (ko) 2019-04-02
KR102436655B1 KR102436655B1 (ko) 2022-08-26

Family

ID=6580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47A KR102436655B1 (ko) 2017-09-22 2017-09-2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747380B2 (ko)
KR (1) KR102436655B1 (ko)
CN (1) CN1095422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655B1 (ko) * 2017-09-22 2022-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782458B (zh) * 2017-11-14 2020-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2457704B1 (ko) * 2018-04-16 2022-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7937B1 (ko) * 2018-11-27 2024-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FI3832992T3 (fi) 2019-12-05 2023-01-31 Kannettava viestintälaite, jossa on näyttö
KR20210117373A (ko) * 2020-03-18 2021-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795235B (zh) * 2022-03-14 2023-03-01 達運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TWI804232B (zh) * 2022-03-14 2023-06-01 達運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284A (ko) * 2003-07-15 2005-01-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4485U (ko) * 2008-10-23 2010-05-03 (주) 태양기전 터치 윈도우
KR101048974B1 (ko) * 2010-04-01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48931B1 (ko) * 2010-04-01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40035789A (ko) * 2012-09-14 2014-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40125567A (ko) * 2013-04-19 2014-10-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077162A (ko) * 2013-12-27 2015-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시스템을 구비한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6393B2 (en)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DE102006024796B4 (de) 2006-03-17 2009-11-26 Konvekta Ag Klimaanlage
TWI406551B (zh) * 2007-11-06 2013-08-21 Lg Electronics Inc 行動式終端機
JP4670970B2 (ja) * 2009-01-28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
KR101451925B1 (ko) * 2011-09-07 2014-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13089019A1 (ja) * 2011-12-12 2013-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基板および表示装置
TWI470495B (zh) * 2012-07-20 2015-01-21 Unidisplay Inc 觸控基板、顯示面板以及圖案化遮光層
US9582122B2 (en) * 2012-11-12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KR102410265B1 (ko) * 2015-07-13 2022-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03228B1 (ko) 2015-12-15 2022-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792525B1 (ko) 2017-03-17 2017-11-02 주식회사 하이딥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KR102436655B1 (ko) * 2017-09-22 2022-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284A (ko) * 2003-07-15 2005-01-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4485U (ko) * 2008-10-23 2010-05-03 (주) 태양기전 터치 윈도우
KR101048974B1 (ko) * 2010-04-01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48931B1 (ko) * 2010-04-01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40035789A (ko) * 2012-09-14 2014-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40125567A (ko) * 2013-04-19 2014-10-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077162A (ko) * 2013-12-27 2015-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시스템을 구비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42262B (zh) 2023-03-14
US20190095005A1 (en) 2019-03-28
US20200348779A1 (en) 2020-11-05
KR102436655B1 (ko) 2022-08-26
US11150772B2 (en) 2021-10-19
CN109542262A (zh) 2019-03-29
US10747380B2 (en)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655B1 (ko) 표시 장치
KR102373330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162445B2 (en) Electrode sheet for pressure detection and pressure detecting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868473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US10725575B2 (en) Temperature-compensated electrode sheet capable of detecting pressure and touch input device
EP3125023B1 (en) Smartphone
KR102239861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467449B2 (ja) タッチ入力装置
KR102245680B1 (ko) 디스플레이 노이즈 보상이 적용된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
US9429988B2 (en) Touch screen panel
KR102535004B1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00026391A1 (en) Touch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208913B (zh) 包括具有非均匀宽度的线的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KR20210041550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104850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91725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