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993A - Polyester resin composition - Google Patents

Polyester resin com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993A
KR20190033993A KR1020170122818A KR20170122818A KR20190033993A KR 20190033993 A KR20190033993 A KR 20190033993A KR 1020170122818 A KR1020170122818 A KR 1020170122818A KR 20170122818 A KR20170122818 A KR 20170122818A KR 20190033993 A KR20190033993 A KR 20190033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ester resin
nucleating agent
resin composition
nit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2662B1 (en
Inventor
이명세
김도균
김태영
신종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662B1/en
Priority to PCT/KR2018/009819 priority patent/WO2019059544A1/en
Publication of KR2019003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662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9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82Boron-containing compounds and nitrogen
    • C08K2003/385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hich exhibits excellent relea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comprising: 60 to 80 wt % of a polyester resin including a dicarboxylic acid-derived repeating unit and a diol-derived repeating unit; and 0.01 to 2 parts by weight of a nitride-based inorganic nucleating agent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a high-density polyethylene-based organic nucleating agen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Description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POLYESTER RESIN COMPOSITION}[0001] POLYESTER RESIN COMPOSITION [0002]

본 발명은 결정화 속도가 향상되고, 우수한 이형성 및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hich exhibits improved crystallization speed and exhibits excellent relea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폴리에스터 수지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탄성 강도가 갖는 특징으로 인하여, 강화 플라스틱, 도료, 필름, 성형용 수지, 의복의 섬유 재료로도 다양하게 쓰여지고 있다. Polyester resins are widely used as textile materials for reinforced plastics, paints, films, molding resins, and garments because of their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elastic strength.

다양한 폴리에스터 수지 중에서도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는 내열도와 내변색성, 내화학성 등의 특징이 매우 우수한 고내열 플라스틱 소재로서, 유리 섬유(Glass fiber)와 같은 기계적 물성 보강용 충전재를 적용하여 LED 반사판, 커넥터, 식기용기, 제빵틀 등의 생활용품, 전기, 전자부품 및 자동차 부품용 소재로 적용이 되고 있다.Among various polyester resins, 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is a high heat resistant plastic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discoloration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is a filler for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glass fiber Has been applied to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LED reflector, connector, dish container, baking frame, electric, electronic parts and automobile parts.

그러나, 이러한 우수한 물성에도 불구하고, PCT 소재는 결정화 속도가 느려서 사출 성형시 충분히 냉각되지 못할 경우 이형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또 이형 불량 방지를 위해 충분한 냉각 시간을 부여할 경우, 전체 성형 사이클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사출성형 업체나 부품 제조업체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PCT 소재의 다양한 용도 적용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However, despite thi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the PCT material is susceptible to mold release failure if the crystallization speed is slow and it is not sufficiently cooled during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when a sufficient cooling time is provided for prevention of mold release defects, the entire molding cycle is delayed. This can hinder the application of PCT materials to a variety of applications because it can reduce the productivity of injection molding or component manufacturers.

본 발명의 목적은 결정화 속도가 향상되고, 우수한 이형성 및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hich exhibits improved crystallization speed and exhibits excellent relea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우수한 이형성 및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lded article produced using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exhibiting excellent relea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결정화 속도가 향상되고, 이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대한 거듭된 연구 끝에 이를 제조하는데 성공하고, 제조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이 다양한 분야, 특히 빠른 결정화 속도와 함께 우수한 이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요구되는 각종 전기/전자 제품 또는 자동차의 컨넥터, 스위치, 릴레이, 잭, IC 소켓, 교류부품, 프레서 센서 또는 하우징류 등에 적용가능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cceeded in manufacturing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rystallization speed, excellent relea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succeeded in producing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electric / electronic products or automobile connectors, switches, relays, jacks, IC sockets, AC parts, presser sensors or housings which require excellent relea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along with rapid crystallization speed. Completed.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형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lded article produce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ing,"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에스터"란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산(acid)과 하나 이상의 디올(diol) 화합물과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 중합체로서, "코폴리에스터"를 포함한다.As used herein, a "polyester" is a synthetic polymer prepared by polycondensation of one or more carboxylic acids with one or more diol compounds, including "copolyesters".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반복단위"란, 카보닐옥시기를 통해 결합된 디올 유래 작용기 또는 카르복실산 유래 작용기를 갖는 단위 구조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repeating unit" means a unit structure having a functional group derived from a diol or a functional group derived from a carboxylic acid bonded through a carbonyloxy group.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터 수지 및 충전재를 이용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 결정화 속도 개선 효과가 우수한 무기 핵제와, 상기 무기 핵제의 사용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 및 이형성을 보완할 수 있는 유기 핵제를 조합 사용함으로써, 결정화 속도를 증가시키고, 기계적 특성 및 이형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having an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the crystallization rate in the production of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using a polyester resin and a filler, and a combination of an organic nucleating agent capable of compensat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releasability of the resin composition upon use of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By using it, the crystallization rate can be increased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releasability can be simultaneously improv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Specifically,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유래 반복단위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하는 디올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60 내지 80중량%; 및 (ii) 충전재 2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i) 60 to 80% by weight of a polyester resin comprising a dicarboxylic acid-derived repeating uni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and a diol-derived repeating unit containing 1,4-cyclohexanedimethanol; And (ii) from 20 to 40% by weight of the filler,

(iii) 질화물계 무기 핵제 0.01 내지 2중량부, 및 유기 핵제로서 0.92g/cm3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한다.(iii) 0.01 to 2 parts by weight of a nitride-based inorganic nucleating agent,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s an organic nucleating agent of 0.92 g / cm 3 or more.

이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 폴리에스터 수지(i) Polyester resi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계 화합물과,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하는 디올계 화합물을 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터 공중합체로서, 상기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하는 디올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한다.In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ster resin is a polyester resin obtained by polymerizing a dicarboxylic acid-based compound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and a diol compound containing 1,4-cyclohexanedimethanol Polyester copolymer compris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dicarboxylic acid compound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diol compound containing 1,4-cyclohexanedimethanol.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에스터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일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olyester resin,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dicarboxylic acid-based compound may be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dicarboxylic acid or an ester thereof.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구체적으로 탄소수 8 내지 20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탄소수 4 내지 2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또는 나프탈렌 2,6-디카르복실산(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2,6-NDA) 등일 수 있다.The dicarboxylic acid may specifically be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8 to 20 carbon atoms or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4 to 20 carbon atoms. More specifically, terephthalic acid (TPA), isophthalic acid (IPA ) Or 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2,6-NDA).

또, 상기 디카르복실산 에스터 화합물은 탄소수 8 내지 20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탄소수 4 내지 2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터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DMI), 또는 디메틸 2,6-나프탈렌디카복실레이트(dimethyl 2,6-naphthalenedicarboxylate; 2,6-NDC) 등일 수 있다.The dicarboxylic acid ester compound may be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8 to 20 carbon atoms or an ester of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4 to 20 carbon atoms. More specifically, dimethyl terephthalate (DMT) Dimethyl isophthalate (DMI), or dimethyl 2,6-naphthalenedicarboxylate (2,6-NDC).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그 제조시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계 화합물의 종류 및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기계적 물성, 내열성, 전기절연성 및 내충격성 면에서 보다 개선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In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ster resin can be produced by controlling the kind and content of the dicarboxylic acid-based compound used in the production thereof, thereby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heat resistance, electrical insulation and impact resistance And can exhibit more improved characteristics.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는 디카르복실산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 100몰%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터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적용시 개선된 전기절연성과 함께 성형가공성을 나타내며, 또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초기 기계적 물성을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저온 성형시 우수한 결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polyester resin,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dicarboxylic acid-based compound may contain 80 mol% or more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erephthalic acid or its ester compound based on 100 mol%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dicarboxylic acid-based compound. In this case, when applied to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t exhibits improved electrical insulation and molding processability, and can maintain excellent initial mechanical properties even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exhibits excellent crystallinity at low temperature molding.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디카르복실산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중 80몰% 이상은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한 반복단위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에서의 Ar1이 1,4-페닐렌기인 반복단위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olyester resin may contain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dicarboxylic acid-based compound as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wherein at least 80 mol% of the repeating unit may be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erephthalic acid, as is to be Ar 1 is a 1,4-phenylene group in the repeating unit of formula I: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렌기이다.In the above formula (1), Ar 1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ene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디카르복실산계 화합물의 종류 및 함량 제어에 따른 기계적 물성, 내열성, 전기절연성 및 내충격성 개선 효과의 현저함을 고려할 때,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는 보다 구체적으로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터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 80 내지 100몰%; 및 이소프탈산 또는 그 에스터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 0 내지 20몰%를 포함할 수 있다.Considering the remarkable effect of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heat resistance, electrical insulation and impact resistance of the dicarboxylic acid-based compound and controlling the content thereof, in the polyester resin,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dicarboxylic acid- 80 to 100 mol%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terephthalic acid or its ester compound; And 0 to 20 mol% of recurring units derived from isophthalic acid or its ester compound.

한편,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에 있어서, 디올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olyester resin,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diol compound may include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1,4-cyclohexane dimethanol.

상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래 반복단위는 탄소수 6의 환형 구조를 포함하기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같이 분자 쇄에 비공유 전자를 갖는 페닐렌기를 포함하는 수지에 비해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며, 그 결과 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적용시, 전기절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1,4-cyclohexane dimethanol contains a cyclic structure having a carbon number of 6, it has excellent electrical insulation as compared with a resin containing a phenylene group having a non-covalent electron in a molecular chain such as a polycarbonate resin, As a result, when applied to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lyester resin, the electrical insul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상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래 반복단위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구성하는 디올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 100몰%에 대하여 5몰% 이상,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0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100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 범위로 포함될 때,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전기절연성 및 내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1,4-cyclohexane dimethanol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5 mol% or more, specifically 5 to 100 mol%, more specifically 60 mol% or more, based on 100 mol% of the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the diol compound constituting the polyester resin To 100 mol%. When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content range, electrical insulation and heat resistance can be greatly improved while maintain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또,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에 있어서 디올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는 상기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래 반복단위와 함께,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 또는 네오펜틸 글리콜 등과 같은 기타의 디올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polyester resin,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diol compound may be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1,4-cyclohexane dimethanol described above, and may be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diol compound such as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1,4-butanediol, Or neopentyl glycol, and other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 diol-based compound.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되, 이중 하기 화학식 2에서 R1이 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이고, u가 0인 반복단위를 디올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 100몰%에 대하여 5몰%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100몰%로 포함하고, 이외 디올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 이중에서도 폴리에스터 수지의 내충격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에틸렌 글리콜 유래 반복단위를 잔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lyester resin includes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wherein R 1 in the following formula (2) is cyclohexylenedimethylene and u is 0, with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diol compound %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 diol compound, and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ethylene glycol, which can further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polyester resin,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5 mol% or more, more specifically 60 to 100 mol% It can be included in the negative amount:

[화학식 2](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 에서, In Formula 2,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렌기이고,R 1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linear, branched or cyclic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이며, R 2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Y는 -O-, -NH- 또는 -S-이고,Y is -O-, -NH- or -S-,

u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u is an integer of 0 or 1.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테레프탈산과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일 수 있으며, 상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에 일부 에틸렌 글리콜이 디올계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 100몰%에 대하여 1몰% 이하의 함량으로 공중합되거나, 또는 상기 테레프탈산에 일부 이소프탈산이 디카르복실산 유래 반복단위 100몰%에 대하여 20몰% 이하의 함량으로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lyester resin may be a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repared by polycondensation of terephthalic acid and 1,4-cyclohexane dimethanol, and a part of 1,4-cyclohexane dimethanol Ethylene glycol is copolymerized in an amount of not more than 1 mol% based on 100 mol% of the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the diol compound, or the content of isophthalic acid in the terephthalic acid is not more than 20 mol% based on 100 mol%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 ≪ / RTI >

상기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결정화 속도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보다는 늦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보다는 월등히 빠르고, 사출 성형이 가능하면서도 높은 내열성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높아 잠재적 용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 액정 폴리머를 제외하고는 현존하는 폴리에스터계 수지 중에서 가장 높은 용융점을 갖는 고분자이며, 폴리아크릴레이트(PA)계 고분자 대비 수분 흡수율이 낮고, 열에 의한 내변색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이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로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할 경우, 충격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has a crystallization speed much faster than tha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lthough it is later than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has high heat resistance while being capable of injection molding, and has relatively high price competitiveness Potential application possibilities are very high. Except for the liquid crystal polymer, the polymer has the highest melting point among the existing polyester resins, has a low water absorption rate as compared with the polyacrylate (PA) polymer, and is excellent in discoloration resistance due to heat. Accordingly, when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s the polyester resin, the heat resistance and the mechanical strength can be greatly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impact strength.

또,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터 수지는 그 구성성분들의 종류와 함량, 그리고 중합 조건의 제어를 통해, 이형성, 기계적 물성, 내열성, 내충격성, 전기전연성 등의 면에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점도, 중량평균 분자량 또는 유리 전이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효과의 개선을 위해 폴리에스터 수지는 용매 o-클로로페놀(OCP)에 용해시킨 후 35℃에서 측정한 점도로부터 환산된 고유 점도가 0.50 내지 1.2dl/g일 수 있다. 상기한 범위 내의 고유 점도를 가질 때, 적절한 분자량으로 인해 기계적 물성 저하의 우려가 없고, 또 우수한 블렌딩 효율 및 성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한 효과와 더불어 폴리에스터 수지의 고유 점도 제어에 따른 이형성 및 기계적 물성의 개선 효과에 있어서의 현저함을 고려할 때 보다 구체적으로는 0.50 dl/g 이상 0.80 dl/g미만,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60 내지 0.70 dl/g일 수 있다.In order to exhibit more excellent effects in terms of releasability, mechanical properties, heat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electric conductivity and the like through control of the type and content of constituent components and polymerization conditions,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like can be controlled. Specifically,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effect, the polyester resin may have an intrinsic viscosity of 0.50 to 1.2 dl / g converted from a viscosity measured at 35 ° C after dissolving in a solvent o-chlorophenol (OCP). When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re is no fear of deterio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an appropriate molecular weight, and excellent blending efficiency and moldability can be exhibi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markable effect in improving the releasability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intrinsic viscosity control of the polyester resin, more specifically not less than 0.50 dl / g and not more than 0.80 dl / g, more specifically not more than 0.60 dl / To 0.70 dl / g.

또,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상기한 고유 점도 조건을 충족하는 동시에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100,000 g/mol이며,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200℃, 보다 구체적으로는 80 내지 120℃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평균분자량(Mw)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수치를 의미하고, 유리전이온도(Tg)는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온도이다. The polyester resin is a polyester resin which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intrinsic viscosity condition and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0,000 to 100,000 g / mol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0 to 200 ° C, more specifically 80 to 120 ° C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s a value measured in terms of standard polystyren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s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8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내 폴리에스터 함량 제어에 따른 개선 효과의 우수함을 고려할 때, 60 내지 7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polyester resin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6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60 to 70% by weight in consideration of the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the polyester content in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e.

(ii) 충전재(ii) filler

상기 충전재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이중에서도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무기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ler serves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ua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organic filler.

상기 무기충전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붕소섬유, 유리비드, 유리플레이크, 탈크, 카본블랙, 클레이, 마이카, 워러스트나이트(wollastonite), 티탄산칼슘휘스커(calcium titanate whisker), 붕산알루미늄휘스커(aluminum boric acid whisker), 산화아연휘스커(zinc oxide whisker), 또는 칼슘휘스커(calcium whisker)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inorganic filler include glass fiber, carbon fiber, boron fiber, glass bead, glass flake, talc, carbon black, clay, mica, wollastonite, calcium titanate whisker, aluminum borate whisker aluminum boric acid whisker, zinc oxide whisker, or calcium whisker.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또, 충전재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충전재 사용 및 형태제어에 따른 개선 효과의 현저함을 고려할 때, 상기한 무기충전재 중에서도 유리섬유, 워러스트나이트(wollastonite), 티탄산칼슘휘스커(calcium titanate whisker), 또는 붕산알루미늄휘스커(aluminum boric acid whisker)와 같은 침상의 무기충전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성형성의 향상시키고, 성형품의 인장 강도, 굽힘 강도, 굽힘 탄성률 등의 기계적 특성과 열변형 온도 등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The form of the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considering the remarkable improvement effect of the use of the filler and the shape control, among the above-mentioned inorganic fillers, glass fiber, wollastonite, calcium titanate whisker ) Or an aluminum boric acid whisker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oldability and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he tensile strength, the bending strength and the bending elastic modulus of the molded article and the heat distortion temperature A glass fiber can be used in view of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of the glass fiber.

또, 상기 충전재로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필라멘트(filament), 쓰레드(thread), 파이버(fiber) 또는 휘스커(whisker) 형태의 유리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섬유는 평균 길이가 0.1 내지 20mm, 0.3 내지 10mm 또는 3 내지 5mm일 수 있으며, 종횡비(aspect ratio) ([L(섬유의 평균 길이)/D(섬유의 평균 외경)])가 10 내지 2000, 또는 30 내지 1000일 수 있다. 상기한 종횡비 조건을 충족할 경우 보다 우수한 기계적 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When glass fiber is used as the filler, a glass fiber in the form of a filament, a thread, a fiber or a whisker may be used. The glass fibers may have an average length of 0.1 to 20 mm, 0.3 to 10 mm or 3 to 5 mm, and an aspect ratio ([L (average length of fibers) / D (average fiber diameter) To 2000, or from 30 to 1000. < RTI ID = When the aspect ratio condition described above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exhibit a better mechanical strength improvement effect.

상기와 같은 충전재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때, 성형가공성 저하에 대한 우려없이 우수한 기계적 특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충전재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The fill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0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hen it is contained within the above-mentioned content range, it is possible to exhibit an excellent mechanical property improving effect without worrying about lowering of moldability. More specifically, the fill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ii) 핵제(iii) Nucleating agent

일반적으로 핵제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성형 시 결정화의 핵으로 작용하여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 속도를 향상시키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사출성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도 무기 핵제의 경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결정화 속도 개선 효과는 우수하나, 수지 조성물의 취성을 증가시켜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 유기 핵제의 경우 기계적 물성 및 이형성 개선 효과는 우수하나, 결정화 속도 개선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다. In general, the nucleating agent acts as nuclei for crystallization during molding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thereby improving the crystallization speed of the resin composition and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and injection moldability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mong them,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has an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the crystallization rate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ut it has a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brittleness of the resin composition and lowering the mechanical strength. In addition, the organic nucleating agent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y and releasability improving effect, but the effect on the crystallization speed improvement is insignificant.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결정화 속도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한 질화물계 무기 핵제와, 기계적 물성 및 이형성 향상 효과가 보다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유기 핵제를 최적 함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 속도가 향상되고, 동시에 이형성 및 기계적 물성이 개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nitride-based inorganic nucleating agent having a better effect of improving the crystallization rate and an organic nucleating agen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having a better mechanical property and a releasing property improving effect are mixed and used at an optimum ratio, The speed can be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releasability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improved.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핵제로는 여러 무기 핵제 중에서도 열전도도가 높고 고온에서 안정적이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적용시 결정화 속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질화물계 무기 핵제가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the inorganic nucleus agent, a nitride-based inorganic nucleus agent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st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among various inorganic nucleating agents and having an excellent crystallization speed improving effect when applied to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an be used.

구체적으로 상기 질화물계 무기 핵제는 붕소(B), 규소(Si) 등의 비금속 원소; 알루미늄(Al)과 같은 양쪽성 원소; 또는 티타늄(Ti), 탄탈륨(Ta), 바나듐(V), 크롬(Cr), 몰리브덴(Mo), 텅스텐(W) 또는 니오브(Nb) 등과 같은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질화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질화티타늄(TiN), 질화탄탈륨(TaN, Ta2N), 질화바나듐(VN), 질화크롬(CrN, Cr2N), 질화몰리브덴(Mo2N), 질화니오브(NbN) 또는 질화텅스텐(WN, W2N)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nitride-based inorganic nucleating agent may be a non-metallic element such as boron (B) or silicon (Si); Amphoteric elements such as aluminum (Al); Or a nitride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 such as titanium (Ti), tantalum (Ta), vanadium (V), chromium (Cr), molybdenum (Mo), tungsten (W) or niobium (Nb) is boron nitride (BN), aluminum nitride (AlN), silicon nitride (Si 3 N 4), titanium nitride (TiN), tantalum nitride (TaN, Ta 2 N), nitride, vanadium (VN), chromium nitride (CrN, Cr 2 N), molybdenum nitride (Mo 2 N), niobium nitride (NbN) or tungsten nitride (WN, W 2 N).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이중에서도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 속도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질화붕소(boron nitride)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질화붕소로는 육방정 질화붕소(Hexagonal boron nitride), 입방정 질화붕소, 열분해 질화붕소(PBN:Pyrolytic Boron Nitrid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질화붕소계 무기 핵제로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IND-11™ (스피어신소재사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Among them, a boron nitride-based compound having an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the crystallization rate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having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high-density polyethylene can be used. Examples of the boron nitride include hexagonal boron nitride, cubic boron nitride, and pyrolytic boron nitride (PBN),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As the boron nitride-based inorganic nucleating agent, commercially available IND-11 (TM) (manufactured by Spear New Materials) may be used.

상기 무기 핵제는 상기한 폴리에스터 및 충전재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무기 핵제의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무기 핵제 포함에 따른 결정화 속도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2중량부를 초과하면 오히려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containing the polyester and the filler. If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is less than 0.01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rystallization rate with the presence of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is insignificant. If the content is more than 2 parts by weight,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한편, 상기 유기 핵제로는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과의 접착성이 낮고 충격보강 효과가 있는 특징으로 인해 기계적 물성 및 이형성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더 나아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품의 제조시 표면 특성 개선 효과가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organic nucleating agent, a high-density polyolefin-based resin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the organic resin is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y and releasability improvement effect due to its low adhesion with metal and impact- High-density polyethylene excellent in surface property improving effect in the production of a molded article can be used.

본 발명에 있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ASTM D1505에 따라 측정된 밀도가 0.92 g/cm3 이상인 폴리에틸렌을 의미한다. 이중에서도 밀도 제어에 따른 개선 효과의 우수함을 고려할 때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구체적으로 밀도가 0.92 내지 1.0 g/㎤, 보다 구체적으로는 0.95 내지 1.0 g/㎤,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96 내지 0.98 g/㎤의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한 밀도 범위를 충족할 때 보다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이형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2 g/cm3 미만일 경우, 결정화 온도가 저하되고, 결정화 속도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high density polyethylene, the measured density according to ASTM D1505 0.92 g / cm 3 ≪ / RTI > Density polyethylene has a density of 0.92 to 1.0 g / cm 3, more specifically 0.95 to 1.0 g / cm 3, still more specifically 0.96 to 0.98 g / cm 3, Of polyethylene. When the above-mentioned density range is satisfie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releasability improving effects can be exhibited. If the density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is 0.92 g / cm < 3 > ,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rystallization rate can not be obtained.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는 통상의 중합 반응을 이용하여 상기한 조건을 충족하도록 직접 제조한 것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Yuzex 7200™ (SK종합화학사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As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a product prepared by directly using a conventional polymerization reaction to meet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may be use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such as Yuzex 7200 (manufactured by SK General Chemicals) may be used.

상기 유기 핵제는 상기한 폴리에스터 및 충전재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유기 핵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 및 이형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결정화 상승 효과가 미미하고, 폴리에스터 수지, 특히 PCT 수지와 상 분리가 발생하여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외관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The organic nucleat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including the polyester and the filler. If the content of the polyolefin-based organic nucleating ag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echanical strength and releasability is insignificant. If the amount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 crystallization synergistic effect is insignificant, and the polyester resin, especially the PCT res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omposition deteriorate and appearance defects occur.

보다 구체적으로,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핵제와 유기 핵제는 상기한 각각의 함량 범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서, 1:2 내지 1:20의 중량비,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1:1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중량비로 사용될 경우, 이종의 핵제 조합 사용에 따른 결정화 속도 향상 및 기계적 물성과 이형성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and the organic nucleating agent a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 2 to 1:20, more specifically,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 5 to 1:10. When used in the above-mentioned weight ratio, the crystallization speed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releasability improving effect can be improved by the use of different kinds of nucleating agent combination.

(iv) 기타 첨가제(iv) Other additives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과 함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보완 또는 강화시키기 위하여 충격보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mpact modifier in order to complement or enhanc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보강제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인성을 부여하여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충격보강제로는 불포화니트릴-디엔계 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디엔계 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상기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과의 우수한 혼화성 및 수지 조성물에 대한 인장 강도 개선 효과의 우수함을 고려할 때, 상기 충격보강제로는 보다 구체적으로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고압 하에서 중합한 랜덤 삼원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충격보강제로는 듀폰사의 Elvaloy™ PTW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mpact modifier may impart toughness to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to improve the tensile strength. Examples of such impact modifiers include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alkyl methacrylat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alkyl methacrylate-silicone / alkyl acrylate graft copolymer, Or an ethylene-alkyl 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In view of the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the impact modifier is more preferably an ethylene-alkyl 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 More specifically, random terpolymers obtained by polymerizing ethylene, acrylic ester and glycidyl methacrylate under high pressure can be used. Commercially available impact reinforcements include Elvaloy (TM) PTW from DuPont.

상기한 충격보강제가 더 포함될 경우,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및 충전재를 포함하는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impact modifier is further included, i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by weight or less, more specifically 0.1 to 1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including the polyester resin and the filler have.

또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충격보강제 외에도 산화방지제, 안료, 활제, 내가수 분해제, 가소제, 착색 방지제, 무광택제, 탈취제, 난연제, 내후성첨가제, 대전방지제, 이형제, 이온 교환제, 또는 광흡수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impact modifier,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contain an antioxidant, a pigment, a lubricant, an antioxidant, a plasticizer, a coloring inhibitor, a matting agent, a deodorant, a flame retardant, a weathering additive, an antistatic agent, An additive such as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static agent,

상기 산화방지제는 고분자 수지의 황변을 억제하여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의 외관을 양호하게 하며, 산화 또는 열분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장애 아민계 광안정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1분자 중에 페놀계의 산화 방지기와 인계의 산화 방지기를 함께 갖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복합형 산화 방지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The antioxidant suppresses the yellowing of the polymer resin,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the molded article, and inhibiting oxidation or pyrolysis. Examples of the antioxidant include a phenol-based antioxidant, a phosphorus-based antioxidant, a sulfur-based antioxidant, a hindered amine-based light stabilizer, and the like, and a compound containing a monomer having a phenolic antioxidant and a phosphorus- Type antioxidant may be used.

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내열성의 저하 없이 열 또는 산화에 의한 성형체의 착색이나 물성저하 방지에 우수한 페놀계의 제1 산화방지제와 인계 제2산화방지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페놀계의 제1 산화방지제와 인계 제2산화방지제가 2:1 내지 1:2, 혹은 1:1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oxidant may be a phenol-based first antioxidant and a second phenol-based antioxidant which are excellent in the prevention of coloring and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a molded article due to heat or oxidation, A mixture of a phenol-based first antioxidant and a phosphorus-based second antioxidant in a weight ratio of 2: 1 to 1: 2, or 1: 1 to 1: 2, may be used .

상기 페놀계 제1산화방지제로는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1,3,5-Trimethyl-2,4,6-tris(3,5-di-tert-butyl-4-hydroxybenzyl)benzene), 1,6-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도]헥산(1,6-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mido]hexane), 1,6-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도]프로판(1,6-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mido]propane),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시나메이트)]메탄(tetrakis[methylene(3,5-di-tert-butyl-4-hydroxyhydrocinnamate)]methan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페놀계 산화방지제로는 ADEKA 사의 AO-60™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henolic antioxidant include 1,3,5-trimethyl-2,4,6-tris (3,5-di-tert-butyl-4-hydroxybenzyl) Bis [3- (3,5-di-tert-butyl-4-hydroxy-benzyl) Phenyl] propionamido] hexane), 1,6-bis [3- (3,5-di (tert-butyldimethylsilyloxy) butyl-4-hydroxyphenyl) propionamido] propane), tetrakis [methylene ((1,1- Methyl-3,5-di-tert-butyl-4-hydroxyhydrocinnamate)] methane)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may be used. Commercially available phenolic antioxidants include AO-60 (TM) from ADEKA.

또, 상기 인계 제2산화방지제로는 구체적으로 인산,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포노 아세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Bis(2,6-di-tert-butyl-4-methylphenyl)pentaerythritol-di-phosphite), 비스 (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Bis(2,4-di-tert-butylphenyl)pentraerythritol-di-phosphit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인계 산화방지제로는 Doverphos사의 S9228™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hosphorus-based second antioxidant include phosphoric acid, trimethyl phosphate, triethyl phosphate, triphenyl phosphate, triethylphosphonoacetate, bis (2,6-di-tert- butyl-4-methylphen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bis (2,6-di-tert-butyl-4-methylphenyl) pentaerythritol-di-phosphite, bis (2,4- (2,4-di-tert-butylphenyl) pentraerythritol-di-phosphite,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Commercially available phosphorus antioxidants include Doverphos S9228 (TM) and the like.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내 산화방지제 함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특히, 내열도 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산화방지제가 더 포함될 경우,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및 충전재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기계적 물성의 저하에 대한 우려없이 산화방지제 투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의 외관 특성 개선 및 산화 또는 열분해 방지 효과를 고려할 때 보다 구체적으로 0.01 내지 5중량부, 혹은 0.1 내지 1중량부, 혹은 0.1 내지 0.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antioxidant in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s too high, the mechanical properties, particularly the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of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may be lowered. Therefore, when the antioxidant is further contained, I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not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In considera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the molded article due to the addition of the antioxidant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oxidation or pyrolysis without worrying about deterio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To 5 parts by weight, or 0.1 to 1 part by weight, or 0.1 to 0.5 part by weight.

또, 상기 안료로는 카본 블랙,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화아연, 황산아연, 황산바륨, 리토폰(lithopone, BaSO4·ZnS), 연백(white lead, 2PbCO3·Pb(OH)2), 탄산칼슘, 알루미나, 보론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안료가 더 포함될 경우,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및 충전재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0.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pigments include carbon black, titanium oxide, zinc oxide, zinc sulfide, zinc sulfate, barium sulfate, lithopone (BaSO 4 .ZnS), white lead (2PbCO 3 揃 Pb Calcium, alumina, boron nitride and the like,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When the pigment is further included, 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parts by weight or less, more specifically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including the polyester resin and the filler.

또, 상기 활제는 충전재 또는 안료 등이 수지 조성물 내에 안정적으로 분산되고, 수지 조성물의 용이한 이형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활제로는 금속 스테아레이트계 활제, 아마이드계 활제, 파라핀계 활제, 또는 에스터계 활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N,N'-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활제가 더 포함될 경우,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및 충전재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ubricant can be used for stably dispersing a filler, a pigment or the like in the resin composition and for easily releasing the resin composition. Examples of such activator include metal stearate lubricants, amide lubricants, paraffin lubricants, and ester lubricants,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More specifically, N, N'-ethylene bis (stearamide) and the like can be used. When the above-mentioned lubricant is further included, 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including the polyester resin and the filler, and more specifically 0.1 to 5% by weigh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폴리에스터 수지, 충전재 그리고 핵제와의 우수한 혼화성과 함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의 안정적인 발현, 그리고 이형성 개선 효과를 고려할 때, 상기한 기타 첨가제 중에서도 충격보강제 및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제1산화방지제와 인계 제2산화방지제를 2:1 내지 1:2, 혹은 1:1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격보강제 및 산화방지제의 종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More specifically,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above-mentioned polyester resin, filler and nucleating agent, stable expression of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effect of improving releasability, The antioxidant may further include a phenolic antioxidant and a phosphorus-based antioxidant in a ratio of 2: 1 to 1: 2, or 1: 1 to 1: 2 By weight. At this time, the types of the impact modifier and the antioxidant are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구성성분과 함께 함량의 최적화에 따른 개선효과의 현저함을 고려할 때,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로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60 내지 80중량%, 및 상기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2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론계 무기 핵제로서 질화붕소 0.01 내지 2중량부 및 유기 핵제로서 0.92 내지 1.0g/cm3, 보다 구체적으로는 0.95 내지 0.98g/cm3 고밀도 폴리에틸렌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기 핵제에 대한 유기 핵제의 중량비(=유기 핵제/무기 핵제)가 5 내지 10이고, 상기 충격보강제 및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제1산화방지제와 인계 제2산화방지제를 2:1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60 to 80% by weight of a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s the polyester resin, and as boron nitride and 0.01 to 2 parts by weight of an organic nucleating agent mixture as the boron-based inorganic nucleat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glass fiber containing 20 to 40% by weight in terms of the filling material than 0.92 to 1.0g / cm 3, particularly 0.95 to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0.98 g / cm 3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organic nucleating agent to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 organic nucleating agent / inorganic nucleating agent) is 5 to 10 and further comprises the impact modifying agent and the antioxidizing agent The antioxidant may include a phenol-based antioxidant and a phosphorus-based antioxidant in a weight ratio of 2: 1 to 1: 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로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60 내지 70중량%, 상기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20 내지 30중량%, 그리고 충격보강제,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충전재 및 충격 보강제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보론계 무기 핵제 0.01 내지 2.0중량부 및 유기 핵제로서 0.92 내지 1.0g/cm3, 보다 구체적으로는 0.95 내지 0.98g/cm3 고밀도 폴리에틸렌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기 핵제에 대한 유기 핵제의 중량비(=유기 핵제/무기 핵제)가 5 내지 10이고, 또, 페놀계 제1산화방지제와 인계 제2산화방지제를 2:1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60 to 70% by weight of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s the polyester resin, 20 to 30% by weight of glass fiber as the filler, Specifically 0.1 to 10% by weight of an ethylene-alkyl 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where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comprising the polyester resin, the filler and the impact modifier is 0.01 to 5 parts by weight, 2.0 parts by weight of an organic nucleating agent of 0.92 to 1.0g / cm 3, more specifically from 0.95 to 0.98g / cm 3 comprising a high density polyethylene, 0.1 to 5 parts by weight, the weight ratio of the organic nucleating agent for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 organic nucleating agent /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of 5 to 10 and a phenol-based first antioxidant and a phosphorus-based second antioxidant in a weight ratio of 2: 1 to 1: 2, As shown in Fig.

상기한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성분들을 기재된 최적 함량으로 블렌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각 성분들의 블렌딩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블렌딩 장치가 이용될 수도 있다.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mposition can be produced by blending the above components with the optimum content described. At this time, blending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nd a blending device may be used if necessary.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터 수지, 충전재, 핵제 그리고 선택적으로 1종 이상의 기타 첨가제를 혼합기, 믹서기 또는 텀블러 등에 상기한 함량 조건으로 각각 넣은 후, 이축압출기를 통해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형성용 수지들은 충분히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putting a polyester resin, a filler, a nucleating agent and optionally one or more other additives in a mixing device, a mixer, or a tumbler under the above-mentioned content conditions, and then mixing the mixture through a twin-screw extruder have. At this time, the resins for forming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may preferably be used in a sufficiently dried stat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결정화 속도 개선 효과를 갖는 무기 핵제와, 기계적 강도 및 이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핵제를 최적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결정화 속도와 기계적 강도 및 이형성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다.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having an excellent crystallization rate improving effect and an organic nucleating agent capable of improving mechanical strength and releasability in an optimal amount to improve crystallization speed,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결정화 온도가 25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255 ℃ 이상이며, 사출 공정시 냉각시간이 20초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15초 이하이다. 또,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D638에 의해 측정한 인장강도가 1000 ㎏/㎠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1100㎏/㎠ 이상이고, 굴곡강도가 140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1600㎏/㎠ 이상이며,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충격강도가 90 J/m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J/m 이상으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Specifically,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s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250 DEG C or higher, more specifically 255 DEG C or higher, and a cooling time of 20 seconds or less, more specifically 15 seconds or less in the injection step.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preferably has a tensile strength of 1000 kg / cm 2 or more, more specifically 1100 kg / cm 2 or more as measured by D638, a flexural strength of 1400 kg / cm 2 or more, more specifically 1600 kg / And an impact strength of not less than 90 J / m, more specifically not less than 95 J / m 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nd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이에 따라 빠른 결정화 속도와 함께 우수한 이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요구되는 각종 전기/전자 제품 또는 자동차의 컨넥터, 스위치, 릴레이, 잭, IC 소켓, 교류부품, 프레서 센서 또는 하우징류 등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can be useful for manufacturing various electric / electronic products or automobile connectors, switches, relays, jacks, IC sockets, AC parts, presser sensors, or housings that require a high crystallization speed and good relea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have.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성형 방법, 예를 들어 사출, 압출, 압출 블로우, 사출 블로우 또는 프로파일 압출 등의 성형공정 및 이를 이용한 열성형 공정과 같은 후가공 등의 방법을 통하여 성형함으로써, 펠렛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s molded by various molding methods such as injection molding, extrusion molding, extrusion blow molding, extrusion blow molding or profile molding, and post-processing such as thermoforming using the same, Or a film or the lik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lded article produced using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may be provided.

상기 성형품은 그 적용 용도에 따라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다양한 성형 방법, 예를 들어 사출, 압출, 압출 블로우, 사출 블로우 및 프로파일 압출 등의 성형공정 및 이를 이용한 열성형 공정과 같은 후가공 등의 방법을 통하여 성형 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The molded article may be subjected to various molding methods such as injection molding, extrusion molding, extrusion blow molding, injection blow molding and profile extrusion molding, and post-processing such as thermoforming using the molding method .

또, 상기 성형품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크기는 그 적용 용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그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시트, 용기 또는 펠렛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pecific shape and size of the molded article may var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examples thereof may be, for example, a shape such as a sheet, a container, or a pellet.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결정화 속도가 향상되고, 우수한 이형성 및 기계적 물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빠른 결정화 속도와 함께 우수한 이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요구되는 각종 전기/전자 제품 또는 자동차의 컨넥터, 스위치, 릴레이, 잭, IC 소켓, 교류부품, 프레서 센서 또는 하우징류 등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improved crystallization speed and exhibits excellent relea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Accordingly, it can be useful for manufacturing various electric / electronic products or automobile connectors, switches, relays, jacks, IC sockets, AC parts, presser sensors, or housings that require a high crystallization speed and good relea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have.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제조>&Lt; Production of polyester resin composition >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 사용한 각 화합물은하기와 같다:Each compound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s as follows:

폴리에스터 수지(A): 테레프탈산(TPA) 및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를 축합중합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고유점도 0.65 dl/g) Polyester resin (A):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intrinsic viscosity 0.65 dl / g) obtain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terephthalic acid (TPA) and 1,4-cyclohexanedimethanol (CHDM)

폴리에스터 수지(B): 에틸렌글리콜(EG) 및 테레프탈산(TPA)을 축합중합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고유점도 0.8 dl/g) Polyester resin (B):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ntrinsic viscosity of 0.8 dl / g) obtain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ethylene glycol (EG) and terephthalic acid (TPA)

충전재: 유리섬유(T-187H™, NEG사제) Filler: glass fiber (T-187H ™, manufactured by NEG)

무기 핵제 (A): 질화붕소(IND-11™, 스피어신소재사제)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A): boron nitride (IND-11 ™, manufactured by Spear New Materials)

무기 핵제 (B): 몬탄산의 나트륨염(Licomont NaV101, Clariant사제)(B): Sodium salt of montanic acid (Licomont NaV101, manufactured by Clariant)

유기 핵제 (A):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Yuzex 7200™, SK종합화학사제) (ASTM D1505에 따라 측정된 밀도 0.968g/cm3) Organic nucleating agent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Yuzex 7200 ™, manufactured by SK General Chemicals) (density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505: 0.968 g / cm 3 )

유기 핵제 (B):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ASTM D1505에 따라 측정된 밀도 0.915g/cm3)Organic nucleating agent (B):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density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505 0.915g / cm 3)

제1 산화안정제: 페놀계 산화안정제 (AO-60™, ADEKA사제)First Oxidation Stabilizer: Phenolic Oxidation Stabilizer (AO-60 ™, manufactured by ADEKA)

제2 산화안정제: 인계 산화안정제 (S9228™, Doverphos사제)Second Oxidation Stabilizer: Phosphorus Oxidation Stabilizer (S9228 (TM), Doverphos)

충격보강제: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E/nBA/GMA) 공중합체 (Elvaloy™ PTW, 듀폰사제)(E / nBA / GMA) copolymer (Elvaloy (TM) PTW, manufactured by Du Pont) was used as the impact modifier: ethylene / n-butyl acrylate / glycidyl methacrylate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제조>&Lt; Production of polyester resin composition >

실시예1Example 1

폴리에스터 수지(A)로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T) 67 중량%,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30 중량%, 및 충격보강제 3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페놀계 제1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인계 제2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무기 핵제 (A) 0.1 중량부, 및 유기 핵제 (A) 1.0 중량부를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제조하였다.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67% by weight of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s a polyester resin (A), 30% by weight of glass fiber as a filler and 3%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Φ: 40 mm, L / D = 44), 0.2 part by weight of a stabilizer, 0.2 part by weight of a phosphorus-based second oxidative stabilizer, 0.1 part by weight of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A) and 1.0 part by weight of an organic nucleating agent To prepare pellets of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실시예 2Example 2

폴리에스터 수지(A)로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T) 69 중량%,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30 중량%, 및 충격보강제 1.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페놀계 제1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인계 제2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무기 핵제 (A) 0.1 중량부, 유기 핵제 (A) 2.0 중량부를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제조하였다.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69% by weight of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s a polyester resin (A), 30% by weight of glass fiber as a filler and 1.0%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0.2 parts by weight of a stabilizer, 0.2 part by weight of a phosphorus-based second oxidative stabilizer, 0.1 part by weight of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A) and 2.0 parts by weight of an organic nucleating agent (A) were uniformly kneaded using a twin screw extruder (Φ: 40 mm, L / D = 44) And kneaded and extruded to prepare pellets of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폴리에스터 수지(A)로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T) 67 중량%,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30 중량% 및 충격보강제 3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페놀계 제1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인계 제2 산화안정제 0.2 중량부를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제조하였다.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containing 67% by weight of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s a polyester resin (A), 30% by weight of glass fibers as a filler and 3%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0.2 part by weight of the stabilizer and 0.2 part by weight of the phosphorus-based second oxidative stabilizer were uniformly kneaded and extruded using a twin-screw kneading extruder (Φ: 40 mm, L / D = 44) to prepare a pellet of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폴리에스터 수지(A)로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T) 67 중량%,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30 중량% 및 충격보강제 3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페놀계 제1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인계 제2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및 유기 핵제 (A) 2.0 중량부를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제조하였다.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containing 67% by weight of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s a polyester resin (A), 30% by weight of glass fiber as a filler and 3%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 0.2 part by weight of the phosphorus-based second oxidative stabilizer, and 2.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nucleating agent (A) were homogeneously kneaded and extruded using a twin screw extruder (Φ: 40 mm, L / D = 44) .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폴리에스터 수지(A)로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67 중량%,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30 중량% 및 충격보강제 3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페놀계 제1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인계 제2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및 무기 핵제 (A) 0.5 중량부를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제조하였다.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containing 67% by weight of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s a polyester resin (A), 30% by weight of glass fibers as a filler and 3%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0.2 part by weight of a stabilizer, 0.2 part by weight of a phosphorus-based second oxidative stabilizer and 0.5 part by weight of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A) were uniformly kneaded and extruded using a twin screw extruder (?: 40 mm, L / D = 44) Pellets were prepared.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폴리에스터 수지(A)로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57 중량%, 폴리에스터 수지(B)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0 중량%, 충진재로서 유리섬유 30 중량%, 및 충격보강제 3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페놀계 제1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인계 제2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무기 핵제 (A) 0.1 중량부 및 유기 핵제 (A) 1.0 중량부를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제조하였다., 10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s a polyester resin (B), 30 weight% of glass fiber as a filler, and 50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A) (A) and 0.1 part by weight of an organic nucleating agent (A) we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containing 100 parts by weight of a phenol based antioxidant, And uniformly kneaded and extruded using a kneading extruder (?: 40 mm, L / D = 44) to prepare a pellet of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비교예 5 Comparative Example 5

폴리에스터 수지(A)로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T) 67 중량%,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30 중량% 및 충격보강제 3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페놀계 제1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인계 제2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무기 핵제 (A) 0.1 중량부 및 유기 핵제 (A) 6.0 중량부를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제조하였다.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containing 67% by weight of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s a polyester resin (A), 30% by weight of glass fibers as a filler and 3%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0.2 parts by weight of a stabilizer, 0.2 part by weight of a phosphorus-based second oxidizing stabilizer, 0.1 part by weight of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A) and 6.0 parts by weight of an organic nucleating agent (A) were uniformly kneaded using a twin screw extruder (Φ: 40 mm, L / D = 44) And kneaded and extruded to prepare pellets of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폴리에스터 수지(A)로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T) 67 중량%,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30 중량%, 및 충격보강제 3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페놀계 제1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인계 제2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무기 핵제 (B) 0.1 중량부, 및 유기 핵제 (A) 1.0 중량부를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제조하였다.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67% by weight of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s a polyester resin (A), 30% by weight of glass fiber as a filler and 3%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Φ: 40 mm, L / D = 44), 0.2 part by weight of a stabilizer, 0.2 part by weight of a phosphorus-based second oxidative stabilizer, 0.1 part by weight of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B) and 1.0 part by weight of an organic nucleating agent To prepare pellets of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폴리에스터 수지(A)로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T) 67 중량%,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30 중량%, 및 충격보강제 3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페놀계 제1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인계 제2 산화안정제 0.2 중량부, 무기 핵제 (A) 0.1 중량부, 및 유기 핵제 (B) 1.0 중량부를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제조하였다.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67% by weight of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s a polyester resin (A), 30% by weight of glass fiber as a filler and 3%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Φ: 40 mm, L / D = 44), 0.2 part by weight of a stabilizer, 0.2 part by weight of a phosphorus-based second oxidative stabilizer, 0.1 part by weight of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A) and 1.0 part by weight of an organic nucleating agent To prepare pellets of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실험예 :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물성 측정><Experimental Example: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of Polyester Resin Composition>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펠렛을 각각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 285 ℃에서 동일하게 사출한 후, 사출된 시험편을 23±2 ℃, 50±5%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상태 조절을 하고,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pellet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were injection-molded at an injection temperature of 285 ° C using an injection machine, and then the injection-molded specimens were subjected to a test under the conditions of 23 ± 2 ° C. and 50 ± 5% relative humidity ,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each were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1)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ASTM D 638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고,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Roell Z010)를 이용하여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1)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A test specimen was prepared in accordance with ASTM D 638, and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were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Roell Z010).

2) 충격강도: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고, 아이조드 충격기(impact tester, Yasuda)를 사용하여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2) Impact strength: A test specimen was prepared in accordance with ASTM D256, and the impact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n impact tester (Yasuda).

3) 내열도: ASTM D648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고, 열변형온도를 측정기(HDT tester, Toyoseiki)를 사용하여 내열도를 측정하였다.3) Heat resistance: A test specimen was prepared in accordance with ASTM D648, and heat resistance was measured using a heat distortion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HDT tester, Toyoseiki).

4) 결정화 온도: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장치명: DSC 8000, 제조사: PerkinElmer)를 이용하여 중합체의 결정화 온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중합체를 310℃까지 가열한 후 5분 동안 유지하고, 30℃까지 온도를 내린 후 다시 온도를 증가시켰다. 이때 온도의 상승속도와 하강속도는 각각 10℃/min으로 조절하였다. 결정화 온도는 온도를 감소시키면서 나타나는 곡선으로부터 발열 피크의 최대 지점을 결정화 온도로 하였다.4)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polymer was measured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DSC 8000, manufacturer: PerkinElmer). Specifically, the polymer was heated to 310 DEG C, held for 5 minutes, cooled to 30 DEG C, and then increased in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rising rate and the falling rate were adjusted to 10 ° C / min, respectively.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defined as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t the maximum point of the exothermic peak from the curve appearing while decreasing the temperature.

5) 냉각시간(사출공정):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시편 제조시 ASTM 인장 시편 금형에 사출된 조성물이 고화되어 금형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되는 최단 시간(사출 냉각 시간)을 측정하였다.5) Cooling Time (Injection Process): The shortest time (injection cooling time) during which the composition injected into the ASTM tensile specimen mold solidified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specimen using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as stably separated from the mold was measured.

구분division 단위unit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1One 22 33 44 55 66 77 인장
강도
Seal
burglar
3.2mm3.2mm kg/cm2 kg / cm 2 12901290 12001200 12301230 12601260 11601160 12801280 12001200 12101210 12501250
굴곡
강도
curve
burglar
6.4mm6.4mm kg/cm2 kg / cm 2 18301830 17701770 16301630 17901790 16801680 16601660 16701670 17101710 17701770
충격
강도
Shock
burglar
3.2mm3.2mm J/mJ / m 110110 9090 100100 120120 8585 115115 132132 9595 105105
내열도Heat resistance 1.8MPa1.8 MPa 253253 250250 250250 246246 257257 230230 222222 247247 249249 TcTc 결정화온도Crystallization temperature 257257 258258 250250 247247 254254 -- 251251 247247 254254 냉각
시간
Cooling
time
사출공정Injection process second 1111 1212 2525 1818 1515 3838 1717 1818 2929

실험결과, 무기 핵제와 유기 핵제를 혼합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핵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동등 수준의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면서도 결정화 온도 및 결정화 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 유기 핵제 만을 단독 사용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기계적 강도 특성 면에서는 효과가 다소 감소하였으나, 결정화 온도 및 결정화 속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무기 핵제만을 단독 사용한 비교예 3과 비교했을 때, 결정화 온도 및 속도는 거의 동등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기계적 특성 면에서는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무기 핵제와 유기 핵제의 혼합 사용에 의해 결정화 속도를 증가시키고, 동시에 기계적 특성과 이형성을 발란스 좋게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of Examples 1 and 2, in which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and an organic nucleating agent were mixed, exhibited substantially the same mechanical properties as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no nucleating agent was used,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only the organic nucleating agent was used alone, the effect was somewhat reduced in terms of mechanical strength, but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crystallization rate were great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3 using only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speed showed almost the same level of results, but they were more excellent in terms of mechanical properties.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mixing ratio of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and the organic nucleating agent can increase the crystallization speed and simultaneously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releasability.

또, PET와 같은 이종의 폴리에스터 수지를 혼합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 PCT 함량 조건을 충족하지 못함에 따라 이형성이 크게 저하되었으며, 또 함께 사용된 PET로 인해 내열도의 저하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lso, in Comparative Example 4 using a mixture of different kinds of polyester resins such as PET, the moldability was largely lowered as the PCT content condition was not satis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t resistance was lowered due to the PET used together .

또, 비교예 5와 같이 HDPE가 과량으로 사용된 경우, 결정화 속도의 향상 효과는 미미하고 내열도가 크게 저하되었으며, 또 외관에 심한 플로우마크(흐름 자국)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when HDPE was used in an excessive amount as in Comparative Example 5,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rystallization rate was insignificant, the heat resistance was greatly lowered, and a flow mark (flow mark) was generated in appearance.

또, 질화물계 무기 핵제 대신에 종래의 몬탄산 금속염의 무기 핵제를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유기 핵제와 조합 사용한 비교예 6,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유기 핵제 대신에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유기 핵제를 조합 사용한 비교예 7의 경우, 실시예 1 및 2와 비교하여 결정화 온도가 저하되고, 냉각 시간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질화물계 무기 핵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유기 핵제의 조합 사용을 통해 보다 우수한 결정화 속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omparative Example 6 in which an inorganic nucleating agent of a conventional montmethane metal salt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a high density polyethylene type organic nucleating agent and Comparative Example 7 in which a low density polyethylene type organic nucleating agent was used in place of a high density polyethylene type organic nucleating agent was used in place of the nitride type inorganic nucleating agent ,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lowered and the cooling time was grea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Examples 1 and 2. From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a better crystallization rate improving effect can be obtained by using a combination of a nitride-based inorganic nucleating agent and a high-density polyethylene-based organic nucleating agent.

한편, 실시예 1과 2를 비교했을 때 충격보강제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실시예 2와 비교하여 결정화 온도 및 속도 면에서는 동등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충격 보강제의 증량으로 인해 인장 강도를 비롯한 기계적 특성이 보다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Examples 1 and 2,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Example 1 further including an impact modifier showed the same level of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speed as in Example 2, but the impact modifier The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tensile strength were improved by the increased amount.

Claims (13)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유래 반복단위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하는 디올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60 내지 80중량%; 및
충전재 2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질화물계 무기 핵제 0.01 내지 2중량부, 및 0.92 g/cm3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유기 핵제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60 to 80% by weight of a polyester resin comprising a dicarboxylic acid-derived repeating uni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and a diol-derived repeating unit containing 1,4-cyclohexanedimethanol; An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comprising 20 to 40% by weight of filler,
0.01 to 2 parts by weight of a nitride-based inorganic nucleating agent, and 0.92 g / cm 3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based organic nucleating ag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핵제와 유기 핵제는 1:2 내지 1:2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and the organic nucleating agent are contained in a weight ratio of 1: 2 to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핵제는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티타늄, 질화탄탈륨, 질화바나듐, 질화크롬, 질화몰리브덴, 질화니오브 및 질화텅스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oron nitride, aluminum nitride, silicon nitride, titanium nitride, tantalum nitride, vanadium nitride, chromium nitride, molybdenum nitride, niobium nitride, and tungsten nitrid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핵제는 질화붕소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comprises boron nitr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핵제는 0.95 내지 1.0 g/cm3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ganic nucleating agent is a high-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density of 0.95 to 1.0 g / cm &lt; 3 & g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ester resin is a 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고유 점도가 0.50 내지 1.2dl/g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ester resin has an intrinsic viscosity of 0.50 to 1.2 dl / 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침상의 무기충전재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ler comprises an acicular filler.
제1항에 있어서,
충격 보강제, 산화안정제, 내가수분해제, 가소제, 착색 안료, 활제, 광안정제, 트랜스에스터화반응 억제제, 커플링제, 사슬 연장제, 자외선 안정제, 착색 방지제, 무광택제, 탈취제, 난연제, 내후성첨가제, 대전방지제, 이형제, 이온 교환제, 및 광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lorant, a lubricant, a light stabilizer, a transesterification inhibitor, a coupling agent, a chain extender, a UV stabilizer, a coloring inhibitor, a matting agent, a deodorant, a flame retardant, a weathering additive, Wherein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ntistatic agent, a releasing agent, an ion exchanger, and a light absorb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 공중합체,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말레산무수물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비닐계 공중합체, 할로겐이 치환된 비닐계 공중합체, 방향족비닐-방향족 말레이미드-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방향족비닐-불포화니트릴-방향족 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방향족비닐-α-메틸 방향족비닐 공중합체 및 방향족비닐-불포화니트릴-α-메틸 방향족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mpact modifier may be an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 copolymer, an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glycidyl (meth) acrylate copolymer, an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maleic anhydride copolymer, an ethylene-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Meth) acrylate-grafted vinyl copolymer, a halogen-substituted vinyl copolymer, an aromatic vinyl-aromatic maleimide-maleic anhydride copolymer, an aromatic vinyl-unsaturated nitrile-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romatic maleimide copolymer, an aromatic vinyl-α-methyl aromatic vinyl copolymer and an aromatic vinyl-unsaturated nitrile-α-methyl aromatic vinyl copolymer .
제1항에 있어서,
충격보강제 및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제1산화방지제와 인계 제2산화방지제를 2:1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mpact modifier, and an antioxidant,
Wherein the antioxidant comprises a phenol-based antioxidant and a phosphorus-based antioxidant in a weight ratio of 2: 1 to 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로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60 내지 80중량%, 및 상기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2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무기 핵제로서 질화붕소 0.01 내지 2중량부, 및 유기 핵제로서 0.92 내지 1.0 g/㎤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기 핵제와 유기 핵제의 중량비가 1:5 내지 1:10이고,
충격 보강제 및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제1산화방지제와 인계 제2산화방지제를 2:1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o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comprising 60 to 80% by weight of a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s the polyester resin and 20 to 40% by weight of glass fibers as the filler,
0.01 to 2 parts by weight of boron nitride as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as an organic nucleating agent of 0.92 to 1.0 g / cm 3,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inorganic nucleating agent to the organic nucleating agent is 1: 5 to 1:10 ,
An impact modifier, and an antioxidant,
Wherein the antioxidant comprises a phenol-based antioxidant and a phosphorus-based antioxidant in a weight ratio of 2: 1 to 1: 2.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A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KR1020170122818A 2017-09-22 2017-09-22 Polyester resin composition KR1023626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818A KR102362662B1 (en) 2017-09-22 2017-09-22 Polyester resin composition
PCT/KR2018/009819 WO2019059544A1 (en) 2017-09-22 2018-08-24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818A KR102362662B1 (en) 2017-09-22 2017-09-22 Polyester resin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93A true KR20190033993A (en) 2019-04-01
KR102362662B1 KR102362662B1 (en) 2022-02-11

Family

ID=6580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818A KR102362662B1 (en) 2017-09-22 2017-09-22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2662B1 (en)
WO (1) WO201905954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77B1 (en) * 2022-01-03 2022-07-07 신영철 Automotive electronics plastic composition and automotive electronics plastic manufactured therefro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6149A (en) * 2012-06-29 2015-04-07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Resin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5267B2 (en) * 2002-12-17 2006-03-21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JP2007100014A (en) * 2005-10-07 2007-04-19 Fujifilm Corp Resin composition and component for electronic device
EP3133112B1 (en) * 2015-03-09 2022-01-19 LANXESS Deutschland GmbH Thermoplastic moulding matters
NL2015264B1 (en) * 2015-08-04 2017-02-21 Furanix Technologies Bv Masterbatch polyester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6149A (en) * 2012-06-29 2015-04-07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Resin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77B1 (en) * 2022-01-03 2022-07-07 신영철 Automotive electronics plastic composition and automotive electronics plastic manufactur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544A1 (en) 2019-03-28
KR102362662B1 (en)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422B1 (en) Reinforced polyester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JP2016505088A (en) Polymer resin composition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or heat resistance
KR101690829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light stability
JP6192200B2 (en) Heat and light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
KR102169415B1 (en)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KR20140070453A (en) Polyest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heat and light aging
KR100846861B1 (en) Composition Of Polyester resin
KR102362662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KR101486567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KR20180129438A (en) Polyester 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KR20170003868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TWI731011B (en) Polymeric resin composition for metal adhesive, metal-resin composites and electrical and product using the same
KR102362663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KR101786185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CN110776725B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formed using the same
KR101829959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JP2021024876A (en) Flame-retardant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for electric insulation parts
KR20180067291A (en)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of the same
KR20100118799A (en) Wholly aromatic liquid crystalline polyester resin compound with enhanced releasing proper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82373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KR102251212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formed thereform
JP2021066787A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KR100964988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JP2021024878A (en) Flame-retardant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KR20130078773A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