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960A - Water supply device having hidable water outlet - Google Patents

Water supply device having hidable water out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960A
KR20190033960A KR1020170122752A KR20170122752A KR20190033960A KR 20190033960 A KR20190033960 A KR 20190033960A KR 1020170122752 A KR1020170122752 A KR 1020170122752A KR 20170122752 A KR20170122752 A KR 20170122752A KR 20190033960 A KR20190033960 A KR 20190033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device
cover
intake
wat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6220B1 (en
Inventor
정휘동
김필규
유장현
남진오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220B1/en
Priority to CN201811033818.8A priority patent/CN109527992B/en
Publication of KR2019003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2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67D2001/0094Valve mountings in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enabling a water outlet to appear from the front part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ncludes a water outlet with a water outlet cork in the front side thereof. The water outlet includes: a water outlet cover having the upper part installed on a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o be able to be rotated around a rotary shaft inside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including the water outlet cork in the lower part; and an operating unit rotating the water outlet cover around the rotary shaft. Du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the water outlet cover is able to be rotated around the rotary shaft between a position,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water outlet cover appears from the front side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o that the water outlet cork is ex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a position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water outlet cover moves to the back side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o that the water outlet cork is hidden inside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Description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Water supply device having hidable water outle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water intake part,

본 발명은 정수기나 생수기와 같은 음용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용수 공급 장치의 취수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uch as a water purifier or a water h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intake structure of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전형적인 음용수 공급 장치로서 정수기나 생수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 장치는, 사용자가 취수 가능하도록 취수 코크를 포함한 취수부가 항상 노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노출된 취수부는 오염에 취약하여 위생상 문제가 있다.A typical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s a water purifier or a water heater. In such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t is general that the water intake including the water intake cock is always exposed so that the water can be taken by the user. The exposed water intake part is vulnerable to contamination, which causes hygiene problems.

이에, 특허문헌 1에서는, 장치본체의 상부에 전후방으로 전후진 가능한 이동부를 구비하고, 이 이동부에 물배출구(취수 코크)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정수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이동부 안에는 물배출구가 수용되는 살균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취수하고자 할 때 물배출구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장치본체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전진)시켜 물배출구를 노출시켜 취수가 가능하게 하고, 대기시(비취수시)에는 이동부를 장치본체의 상부에 원위치(후퇴)시켜 물배출구의 상시 노출을 방지한다. 또한, 대기시에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살균공간으로 살균수를 공급하여 상기 살균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물배출구의 내부와 외부를 살균하도록 하고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water purifier) having a moving portion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and having a water discharge port (water intake cock) in the moving portion. In this moving part, a sterilizing space is formed in which a water outlet is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water, the moving unit including the water outlet is slid forward (forward) to the front of the apparatus body to expose the water discharge port, ), The moving part is retracted (retra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pparatus main body to prevent the water outlet from being exposed at all times. Also, at the time of waiting, sterilized water is supplied to the sterilizing space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to steriliz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water outlet accommodated in the sterilizing space.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수처리장치는, 장치본체 상부 전체에 걸쳐 이동부를 형성하고, 필요시 이동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이동부가 필요 이상으로 대형화하고, 슬라이딩 구동기구도 대형화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가 전진해 있는 동안 장치본체의 뒤쪽 상부표면이 노출되어 이를 통해 오염물질이 이동부 안쪽에 배치된 물배출구나 살균공간으로 침투할 수 있다. However,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1 has a structure in which a moving portion is formed over the entir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body and, if necessary, the moving portion is moved by sliding, the moving portion is enlarged more than necessary and the sliding driving mechanism is also enlarged. Also, while the moving part is moving forward,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device body is exposed, through which contaminants can penetrate into the water outlet or sterilizing space disposed inside the moving part.

그리고, 이동부가 원위치에 있을 때에는 살균공간으로 공급된 살균수가 장치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장치본체와 이동부 사이는 완벽한 씰링을 하여야 한다. 그런데, 완벽한 씰링과 이동부의 원활한 슬라이딩은 양립하기 어렵다. 즉, 씰링을 완벽하게 하면 그만큼 이동부의 슬라이딩이 어려워지고, 적은 힘(저용량, 저전력 모터)으로 이동부를 원활하게 슬라이딩하게 하려면 완벽한 씰링을 희생해야 한다. 또한, 이동부의 잦은 진퇴에 따라 씰링이 마모되어 수명이 짧아지고 살균수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moving part is in the home position, a complete sealing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oving part is required so that the sterile water supplied to the sterilizing space does not leak out of the apparatu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hieve perfect sealing and smooth sliding of the moving part. In other words, perfect sealing will make sliding of the moving part difficult, and sacrifice perfect sealing to smoothly move the moving part with a small force (low capacity, low power motor). In addition, due to frequent movement of the moving part, the seal is worn out, shortening the life span and causing leakage of sterilized water.

나아가, 특허문헌 1의 수처리장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장치 상부(이동부의 상부)에 물건을 올려놓는 경우, 이동부가 전후진시 물건이 떨어지거나 무거운 물건의 경우 이동부의 슬라이딩에 방해가 되거나 씰링의 마모를 촉진할 수 있다.Further, when a user who is unfamiliar with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1 places an object on the upper part of the apparatus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rt), when the moving part comes off in front or rear, or when heavy objects interfere with sliding of the moving part, . ≪ / RTI >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7360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02736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취수 코크의 상시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특별한 씰링이 필요없고 간단하고 소형의 구동기구로 취수 코크의 출몰이 가능한 구조의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water take-out par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otruding and withdrawing a take-out coke with a simple and small drive mechanism without any special sealing, It has its purpos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 장치는, 음용수를 취수하기 위한 취수 코크를 포함하는 취수부를 장치의 정면에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로서, 상기 취수부는, 상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 커버에 장착되고, 하단에는 상기 취수 코크가 장착되는 취수부 커버; 및 상기 취수부 커버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전방에 노출되는 위치와,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취수부 커버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water intake portion including a water intake cock for taking drinking water,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water intake cover attached to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pivot shaft provided inside the supply device and to which the water intake cock is mounted at the lower end; And a driving mechanism for turning the intake portion cover to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wherein a lower end of the intake portion cover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by driving the drive mechanism, And a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ver is retracted rearward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o that the water intake cock is concealed inside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Wherein the water supply pipe is rotatable about a pivot axis.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 코크를 수용하는 수용통을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ver is retreated to the rea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o that the water intake cock is concealed inside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

이때, 상기 수용통은 상방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취수 코크가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의 취수 코크의 하단보다 높이가 높은 측벽을 가지며,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상기 정면 커버 쪽에 위치하는 전방 측벽이 연질의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취수부 커버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상기 취수 코크의 하단이 상기 전방 측벽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통과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cylinder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ing upward, and has a sidewall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ck when the water intake cock is concealed, and at least the fro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wall is made of soft rubber or resi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ck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ater intake cover can elastically deform and pass through the front side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 장치는,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 코크에 연결된 유로를 통해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취수 코크를 세정할 수 있다.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ver is retreated to the rea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o that the water intake cock is concealed inside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he water intake cock can be cleaned by supplying the cleansing water through the connected flow path.

이때, 상기 음용수 공급 장치는 살균수 생성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살균수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세정수로서 공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ncludes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module, and sterilizing water produc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module can be supplied as the washing water.

또한, 음용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취수 코크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배관을 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he rotation shaft can also serve as a pipe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to the water intake cock.

이 경우, 상기 회동축이 T자형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T자형 배관의 하단이 상기 취수 코크로 연결되며, 상기 T자형 배관의 상단 양측은 성질이 서로 다른 음용수를 공급하는 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otary shaft may be a T-shaped pipe, the lower end of the T-shaped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intake cock, and both upper ends of the T-shaped pipe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channel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having different properties .

본 발명의 음용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구동기구는, 모터와, 일단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취수부 커버에 연결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chanism may include a motor and a link,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take cover.

또는, 상기 구동기구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취수부 커버 또는 상기 회동축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rive mechanism may include a motor, and a gear that transmits power between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nd the intake cover or the rotation shaft.

나아가,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취수부 커버를 밀거나 당기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있다.Furthermore, the drive mechanism may include a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that pushes or pulls the intake cover.

본 발명의 음용수 공급 장치는, 취수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취수를 위해 상기 취수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전방에 노출되고, 취수가 완료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intake button, and when the user pushes the water intake button for water intake,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ver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water intake is completed,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ver may be retracted rearward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o that the water intake cock is concealed inside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취수 코크의 상시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취수 코크의 오염을 방지하고 음용수 공급 장치의 위생성을 향상시킨다.First, by preventing the intake port from being exposed at all times, contamination of the intake cock is prevented and the sanitary property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s improved.

또한, 취수 코크를 포함하는 취수부만을 회동 구동하므로 간단하고 소형의 구동기구로 적은 힘으로 취수 코크의 노출과 은폐가 가능하다.Further, only the intake portion including the intake cock is pivotally driven, so that the intake cock can be exposed and concealed with a small force with a simple and compact drive mechanism.

또한, 회동되는 취수부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 커버 사이에 특별한 씰링이 필요없어 취수부의 출몰에 따른 씰링의 마모 문제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pecial sealing between the swiveled water intake portion and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here is no problem of wearing of the sealing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water intake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 장치(정수기)의 대기시(비취수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정수기의 내부 구성과 유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의 취수부가 설치되는 정면 커버를 정수기 안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정수기의 비취수시에 취수 코크가 정수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의 취수시에 취수 코크가 정수기 전방에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의 취수부의 출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정수기의 취수부의 출몰 동작을 위한 다른 다양한 구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 standby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and a flow path of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over provided with the water intake portion of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as seen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intake cock is located inside the purifier body at the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is open.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intake cock is expose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er when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is taken in. FIG.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Fig. 6. Fig.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truding and retreating operation of the water intake part of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various other driving mechanisms for the protruding and retreating operation of the water intake portion of the water purifier.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amples.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elem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elem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음용수 공급 장치로서 정수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생수기 등 다른 음용수 공급 장치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water purifier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other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s such as a water heater.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이른바 직수형 정수기로서, 상수도 등의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원수를 받아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고,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하지 않고 곧바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형태의 정수기이다. 즉, 사용자가 취수 버튼을 누르면 비로소 정수를 생성하여 바로 공급한다. 다만, 본 발명이 직수형 정수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탱크를 가지는 비직수형 정수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s a so-called water purifier, which receives raw water from a raw water supply source such as a water supply, filters it through a filter to generate purified water, and supplies it to the user without storing it in a separate storage tank It is a water purifier.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intake button, the user generates an integer and immediately supplies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direct water purifier, but may be applied to a non-woven water purifier having a storage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대기시(비취수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내부 구성과 유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purifier is in a waiting state (non-condensing state),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and a flow path.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구성부품들을 내장하는 커버로서, 정면 커버(11), 측면 및 상면 커버(12), 배면 커버(도시생략)를 가진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커버를 포함한 전체적인 정수기의 외관은 일예에 지나지 않고, 커버의 구분과 형태는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water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ont cover 11, side and top covers 12, and a rear cover (not shown). However, the appearance of the entire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cover shown in Fig. 1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division and the form of the cover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정면 커버(11)의 상부에는 취수 코크(51, 도 2 및 도 4 등 참조)를 포함한 취수부(50, 도 3 등 참조)가 설치되는데, 도 1에 도시된 상태(대기시)에서는 취수 코크(51)가 노출되지 않고 취수부(50)를 구성하는 취수부 커버(52)만이 정수기의 정면에 노출되어 있다. 정면 커버(11)에서 취수부(50) 아래에는 취수 버튼(15)이 노출되어 있는데, 대개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로 이 취수 버튼(15)을 누르는 동안 정수의 생성 및 취수 동작이 개시되어 지속된다. 또한, 정면 커버(11)의 전방 아래쪽에는 물받이(13)가 배치된다.A water intake portion 50 (see Fig. 3, etc.) including a water intake cock 51 (see Figs. 2 and 4, etc.)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cover 11. In the state Only the water intake cover 52 constituting the water intake portion 50 is exposed on the front face of the water purifier without the waterproof cover 51 exposed. The water intake button 15 is exposed under the water intake portion 50 in the front cover 11. Generally, while the user presses the water intake button 15 with a container such as a cup, do. Further, a water receiver 13 is disposed in front of and below the front cover 11.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정면 커버(11)에는 정수, 냉수, 온수 등의 성질이 서로 다른 물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나, 정수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 등과 같은 요소들이 배치, 표시되는 조작 패널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조작 패널은 취수부 커버(52) 표면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정면 커버(11)의 배면, 즉 안쪽에는 조작 패널에 대응되는 회로기판(60, 도 3 등 참조)이 장착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front cover 11 is provided with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water having different properties such as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and a lamp f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the water purifier, Panel is installed.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panel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intake cover 52. To this end, a circuit board 60 (see Fig. 3, etc.)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nel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 that is, inside thereof.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수기(100)는, 필터 유닛(20), 냉수 생성 모듈(30), 온수 생성 모듈(32) 및 살균수 생성 모듈(34)을 구비할 수 있다.2, the water purifi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lter unit 20, a cold water generating module 30, a hot water generating module 32, and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module 34.

필터 유닛(20)은 원수 공급원(S)으로부터 원수를 받아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전형적으로 전처리 필터(11), 본처리 필터(12) 및 후처리 필터(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필터(11)로는 침전 필터 및/또는 선카본 필터, 또는 침전 필터와 선카본 필터가 통합 일체화된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처리 필터(12)로는 UF 중공사막 필터나 역삼투압 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역삼투압 필터의 경우 여과 속도와 용량이 작아 소형의 직수형 정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후처리 필터(13)로는 후카본 필터나 살균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20 is a filter for receiving raw water from a raw water supply source S to generate purified water. The filter unit 20 may typically include a pretreatment filter 11, a present treatment filter 12 and a post-treatment filter 13. As the pretreatment filter 11, a precipitate filter and / or a line carbon filter or a filter in which a precipitate filter and a line carbon filter are integrally integrated can be used. The UF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or the reverse osmosis filter may be used as the treatment filter 12, but in the case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the filtration speed and the capacity are small, so that it may not be suitable for the small direct water type purifier. As the post-treatment filter 13, a post-carbon filter or a sterilizing filter can be used.

한편, 필터 유닛(20)을 구성하는 필터들의 개수, 종류 및 배치는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사항과 직접 관련되지 않고 필터의 상세한 구성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number, type, and arrangement of the filters constituting the filter unit 20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ombin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lters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냉수 생성 모듈(30)은 필터 유닛(20)에 의해 생성된 정수를 냉각하여 공급하기 위한 모듈로서, 이중관 타입의 냉각기, 빙축열조 방식의 냉각기, 전열소자를 사용한 냉각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cold water generating module 30 is a module for cooling and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20, and can be a double tube type cooler, an ice cooling heat type cooler, a cooler using a heating element, or the like.

온수 생성 모듈(32)은 필터 유닛(20)에 의해 생성된 정수를 가열하여 공급하기 위한 모듈로서, 순간 가열에 적합한 히터를 내장한 소형 탱크 형태의 가열기를 사용할 수 있다.The hot water generating module 32 is a module for heating and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20, and a heater in the form of a small tank containing a heater suitable for instantaneous heating can be used.

한편, 냉수 생성 모듈(30)과 온수 생성 모듈(32)은 실시형태에 따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타입의 냉각기 또는 가열기를 사용하면 되고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 관련되지 않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cold water generating module 30 and the hot water generating module 32 may not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d various known types of coolers or heaters may be used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is omitted.

살균수 생성 모듈(34)은 후술하는 취수 코크(51)를 살균, 소독하기 위한 살균수를 생성하는 모듈로서, 전술한 살균 필터와는 다른 구성요소이다. 즉, 살균 필터는 전형적으로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정수를 살균하고 살균한 정수는 음용수로서 음용하게 되는 반면, 살균수 생성 모듈(34)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는 정수기의 유로 배관과 취수 코크 등을 살균 소독하는 용도로 이용하고, 살균수 자체는 음용하지 않고 배수하게 된다.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module 34 is a module for generating a sterilizing water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the water intake cock 51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a component different from the sterilizing filter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terilizing filter is typically used to sterilize the purified water by using an ultraviolet lamp and sterilize the purified water as drinking water while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module 34 is used as the sterilizing filter, It is used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nd the sterilized water itself is drained without drinking.

이를 위해, 살균수 생성 모듈(34)로서는 전형적으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로서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생성하는 전해기를 사용할 수 있다.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한 전해기는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 관련되지 않고 정수기에 사용하는 전해기의 상세한 구성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필터 유닛(20)의 모든 필터를 통과한 정수는 고형 성분이나 이온 성분이 적어 전기분해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으므로, 전해기를 채용한 살균수 생성 모듈(34)로는 일부의 필터(11)만을 통과한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an electrolyzer typically used to electrolyze water to produce an aqueous hypochlorous acid solution as sterilized water may be used as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module 34. The electrolyzer for generating the sterilizing water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lectrolyzer used in the water purifier is well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since the electrolytic solution does not flow smoothly due to a small amount of solid component or ion component in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all the filters of the filter unit 20, only a part of the filter 11 passes through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module 34 employing the electrolyzer It is preferable to supply one wat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필터(11) 및 살균수 생성 모듈(34)을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는 유로(41)를 통해 궁극적으로 취수 코크(51)로 공급되고, 필터 유닛(20)을 통과하여 생성된 정수와, 냉수 생성 모듈(30) 또는 온수 생성 모듈(32)을 통과하여 생성된 냉수 또는 온수도 각각의 유로(42,43,44)를 통해 궁극적으로 취수 코크(51)로 공급된다. 따라서, 정수기(100)는 이러한 물의 흐름에 따라 필요한 유로 배관()을 배치하고, 필요에 따라 유로 배관을 개폐조작하기 위한 밸브들(47)을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도시생략)나, 펌프(도시생략)를 구비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유로 배치 및 밸브(47)는 예에 지나지 않고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2, the sterilizing water produced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11 and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module 34 is supplied to the water intake coke 51 through the flow path 41, 20 and the cold water or hot water generated by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ng module 30 or the hot water generating module 32 are ultimately supplied to the intake cock 51 ). Accordingly, the water purifier 100 has the valves 47 for arranging the required flow pipe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and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ipe according to need, and if necessary, A valve (not shown), and a pump (not shown).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flow path arrangement and valve 47 shown in Fig. 2 are merely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s.

이어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가지는 취수부(50)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water intake portion 50 having the characteristic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Fig.

먼저, 취수부 커버(52)는 도 1에서는 그 표면만이 정면 커버(1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만,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후방 즉, 정면 커버(11) 안쪽으로 연장되어(52a 참조)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7 참조)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취수부 커버(52)의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52a)에 대응하여 정면 커버(11)에는 취수부 커버(52)가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1, only the front surface of the intake cover 5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11. However, referring to FIGS. 3, 4, 6 and 7, the rear cover, that is, the front cover 11 (See FIG. 7) and a substantially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see FIG. 7). An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intake cover 52 penetrates is formed in the front cover 11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portion 52a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intake cover 52. [

취수부 커버(52)의 상단(52b)은 정면 커버(11) 안쪽 상부에 마련된 회동축(5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취수부 커버(52)는 회동축(54)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그 상단(52b)은 정수기(100)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52c)이 정수기(100) 정면으로, 즉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후퇴할 수 있게 된다.The upper end 52b of the intake portion cover 52 is rotatably mounted around the pivot shaft 54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inside the front cover 11. [ The upper end 52b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 and the lower end 52c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100, So that it can be retracted rearward.

한편, 취수부 커버(52)의 하단(52c)에는 취수 코크(51)가 장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취수 코크(51)는 취수부 커버(52)의 하단 위치에 따라 정수기(100) 외부로 노출되거나(도 6 및 도 7 참조), 정수기(100) 내부에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water intake cock 51 is moun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52c of the water intake cover 52. Therefore, the water intake cock 51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00 (refer to FIGS. 6 and 7) according to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water intake cover 52, or can be placed in a concealed position inside the water purifier 100 .

취수부(50)는 취수부 커버(52)를 회동축(54)을 중심으로 회동 구동하여 결과적으로 취수 코크(51)를 출몰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기구는, 모터(55)와 링크(56)로 이루어진다. 모터(55)는 정교한 회전제어가 가능한 스텝 모터나 서보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56)는 그 일단이 모터(55)의 회전축(55a)에 연결되고 타단이 취수부 커버(52)의 일단에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링크(56)는 크랭크축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취수부 커버(52)의 일단이 커넥팅 로드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모터(55)의 회전운동을 취수부 커버(52)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 다만, 크랭크 기구에서 커넥팅 로드의 역할을 하는 취수부 커버(52)의 일단은, 통상적인 크랭크 핀과는 달리 크랭크 축인 링크(56)가 일정 범위에서 유동가능한 장공(53)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원활한 운동의 변환이 가능하다.The intake portion 50 includes a drive mechanism for rotating the intake portion cover 52 about the rotation shaft 54 and consequently projecting and withdrawing the water intake cock 51.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mechanism is composed of a motor 55 and a link 56. The motor 55 is preferably a step motor or a servomotor capable of precise rotation control. One end of the link 56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55a of the motor 5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take portion cover 52.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the link 56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rankshaft, and one end of the intake portion cover 52 serves as the connecting rod, so tha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55 is transmitted to the intake portion cover 52, As shown in FIG. However, one end of the intake cover 52 serving as a connecting rod in the crank mechanism takes the form of a long hole 53 in which the link 56, which is a crank shaft, can flow in a certain range, unlike a typical crank pin, It is possible to convert smooth motion in a narrow space.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동기구의 동작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chanism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의 (a)는 취수부 커버(52)가 닫힌 상태, 즉 도 1 및 도 4의 상태로서, 모터(55)의 회전축(55a)에 대해, 링크(56)의 타단, 즉 취수부 커버(52)의 일단에 형성된 장공(53)에 위치하는 링크 부분은 도면에서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장공(53) 내부에서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8A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take cover 52 is closed, that is, the state shown in Figs. 1 and 4, the other end of the link 56, that is, The link portion located in the long hole 53 formed at one end of the elongated hole 52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and also located in the lower end inside the elongated hole 53. [

이 상태에서 취수부 커버(52)를 열기 위해 모터(55)의 회전축(55a)을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56)의 타단이 장공(53)의 내부에서 장공(53)의 상단쪽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취수부 커버(52)를 왼쪽으로 밀게 된다.8 (b), when the rotary shaft 55a of the motor 55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figure to open the intake cover 52 in this state, the other end of the link 56 The water intake cover 52 is pushed to the left while simultaneously moving toward the upper end of the slot 53 in the long hole 53. [

이 상태에서 모터(55)의 회전축(55a)을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56)의 타단이 취수부 커버(52)를 왼쪽으로 더욱 밀면서 장공(53)의 내부에서 장공(53)의 하단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장공(53)의 하단에 도달하면 취수부 커버(52)는 열린 상태가 된다.When the rotation shaft 55a of the motor 55 is further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8 (c), the other end of the link 56 moves to the left And moves to the lower end of the slot 53 from the inside of the slot 53. When reaching the lower end of the slot 53, the outlet cover 52 is opened.

열려있는 취수부 커버(52)를 닫기 위해서는, 위와는 반대로, 모터(55)의 회전축(55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In order to close the open intake cover 52, the rotating shaft 55a of the motor 55 may be rotated clockwise, as opposed to the above.

한편, 이러한 구동기구는 본 실시예와 같은 크랭크 기구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구동기구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5)와, 모터의 회전축(55a)에 마련된 기어(61a)와, 취수부 커버(52)의 일단에 마련된 기어(61b)를 구비하는 기어 기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회동축(54)을, 직접 또는 기어를 개재하여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구동기구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부 커버(52)를 밀거나 당기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62)로 구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drive mechanism is not limited to the crank mechanism as in this embodiment. 9 (a), the drive mechanism includes a motor 55, a gear 61a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55a of the motor, and a gear (not shown) provided on one end of the intake portion cover 52 61b, respectively. 9 (b), the drive mechanism may be implemented by a method of rotating the rotary shaft 54 directly or via a gear by a motor (not shown). Further, the driving mechanism may be realized by a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62 which pushes or pulls the intake cover 52, as shown in Fig. 9 (c).

이와 같은 취수부(50) 구조와 구동기구에 의해, 취수시에는 취수부 커버(52)의 하단을 정수기(100)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취수 코크(51)를 노출시키고, 대기시에는 취수부 커버(52)의 하단을 정수기(100)의 후방으로 후퇴시켜 취수 코크(51)를 은폐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취수를 위해 취수 버튼(15, 도 1 참조)을 누르면, 취수 코크(51)가 노출되는 위치로 취수부 커버(52)를 회동하고, 취수가 완료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다시 취수 코크(51)가 은폐되는 위치로 취수부 커버(52)를 회동함으로써, 취수 코크(51)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ver 52 is projected forward of the water purifier 100 to expose the water intake cock 51 when the water intake part 50 is structured and driven by such a structure of the water intake part 50 and the drive mechanism, The lower end of the take-out cock 52 can be retracted to the rear of the water purifier 100 to conceal the take-out cock 51. Particularly, 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intake button 15 (see Fig. 1) for water intake, the water intake cover 52 is rota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water intake cock 51 is exposed, and when the water intake is completed and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water intake cock 51 by rotating the water intake cover 52 to the position where the water intake cock 51 is concealed agai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간소한 구성과 간단한 동작(적은 힘과 에너지)으로 취수 코크(51)의 출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취수부 커버(52)와 정면 커버(11)의 개구부 사이에는 특별한 씰링이 필요없다. 따라서, 취수 코크(51)의 출몰 동작과 관련하여 씰링이 마모되는 문제도 없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water intake cock 51 appear and disappear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a simple operation (low force and energy).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 special sealing is required between the intake cover 52 and the opening of the front cover 11.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sealing is worn with respect to the protruding and retreating operation of the water intake cock 51.

한편, 대기시(취수 코크가 은폐 위치에 있을 때)에는 취수 코크(51)에 연결된 유로를 통해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취수 코크(51)를 세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로는 음용수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전술한 살균수 생성 모듈(34)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살균수 생성 모듈(34)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로 취수 코크(51)를 세정, 살균하는 경우에는 살균수에 이어 음용수를 취수 코크(51)로 공급하여 헹굴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waiting (when the water intake cock is in the concealed position), the water intake cock 51 can be cleaned by supplying the cleansing water through the channel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cock 51. As the washing water, the drinking water may be used as it is, or sterilized water produced by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module 34 may be used. However, when the water intake cock 51 is cleaned and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module 34,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drinking water to the water intake cock 51 and rinse the sterilized water.

어느 경우든 세정수(살균수, 헹굼수)는 배수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은폐 위치에 있는 취수 코크(51)의 아래에는 세정수를 배수할 수 있는 배수통(57)이 마련되거나, 적어도 취수 코크(51)의 은폐 위치에 정렬되어 배수 유로(57b)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In either case, it is necessary to drain the washing water (sterilized water, rinse water). To this end, a drainage tank 57 capable of draining washing water is provided below the water intake cock 51 at the concealed posi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drain passage 57b is provided in alignment with the concealed position of the intake cock 51.

나아가, 정수기(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 코크(51)가 은폐 위치에 있을 때, 취수 코크(51)를 수용하는 수용통(5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수용통(58)은 특히 취수 코크(51)의 내부만이 아니라 취수 코크(51)의 선단부 주변의 바깥 부분까지 세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취수 코크(51)가 수용통(58)에 수용된 상태에서 취수 코크(51)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가 수용통(58)을 가득 채우면 취수 코크(51)의 선단부는 세정수에 잠기게 되고, 결과적으로 세정수에 잠기는 취수 코크(51)의 선단부 주변의 바깥 부분까지 세정이 가능하게 된다.3 to 5, the water purifier 100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cylinder 58 for receiving the water intake cock 51 when the water intake cock 51 is in the concealed position . The receiving cylinder 58 is provided not only to the inside of the intake coke 51 but also to the outside portion around the leading end of the intake coke 51. That is, when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taking-in coke 51 in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taking-in coke 51 is stored in the receiving cylinder 58 fills the receiving cylinder 58, the leading end of the water taking coke 51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lean the outer portion around the front end of the water intake cock 51 that is submerged in the washing water.

이를 위해, 수용통(58)은 상방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그 측벽은 취수 코크(51)가 은폐 위치에 있을 때 취수 코크(51)의 최하단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취수부 커버(52)의 회동에 따라 취수 코크(51)가 회동할 때 수용통(58)의 측벽 중 정면 커버(11) 쪽에 위치하는 전방 측벽(58a)에 취수 코크(51)의 하단이 걸리게 되어, 취수 코크(51) 및 취수부 커버(52)의 회동이 불가능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receiving cylinder 58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its upper opening, and its side wall has to be formed high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intake cock 51 when the intake cock 51 is in the concealed position. In this case, when the water intake cock 51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water intake cover 52, the front side wall 58a located on the side of the front cover 11 among the side walls of the receiving cylinder 58 The bottom end is caught, and rotation of the water intake cock 51 and the water intake cover 52 may be impossibl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통(58)의 측벽 중 적어도 전방 측벽(58a)을 연질의 고무나 수지로 형성하여, 취수부 커버(52)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취수 코크(51)의 하단이 전방 측벽(58a)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통과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취수 코크(51)의 하단이 전방 측벽(58a)을 밀고 넘어갈 수 있게 구성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t least the front side wall 58a of the side wall of the receiving cylinder 58 is made of soft rubber or resin and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ck 51, which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intake side cover 52, So that the front side wall 58a is allowed to pass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ck 51 is configured to push and move the front side wall 58a.

또한, 전방 측벽(58a)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적어도 취수 코크(51)의 하단이 통과하는 높이만큼 절개하거나(도 5의 화살표 a 참조), 나아가 전방 측벽(58a)의 두께를 다른 측벽보다 얇게 하여 전방 측벽(58a)의 탄성변형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5).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front side wall 58a is made thinner than that of the other side walls 58a (see Fig. 5) by cutting at leas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wall 58a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intake coke 51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ront side wall 58a can be made easier.

한편, 수용통(58)의 하부 일측에는 세정수, 특히 살균수 및 헹굼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58b)가 형성되어 있어 취수 코크(51)를 세정한 세정수를 배수통(57)으로 배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drain port 58b for draining washing water, in particular sterilized water and rinse water,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cylinder 58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having been taken out of the water intake cock 51 to the drain cylinder 57 can do.

다만, 이 경우 배수구(58b)의 직경이 너무 크면, 수용통(58)이 세정수로 채워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구(58b)의 크기는, 취수 코크(51)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 유량이 배수구(58b)를 통해 세정수가 배수되는 유량 이상이 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는, 배수구(58b)의 직경을 크게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취수 코크(51)의 하단이 세정수에 잠기도록 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is case, if the diameter of the drain port 58b is too large, the receiving cylinder 58 may not be filled with the washing wa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the size of the drain port 58b such that the supply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intake cock 51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flow rate at which the washing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drain port 58b. Alternatively, even if the diameter of the drain port 58b is increased,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ck 51 may be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in the following manner.

즉, 배수통(57)의 배수 유로(52b)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마련하고, 배수통(57) 내에 수위 센서(59)를 마련하여 배수통(57)의 수위(결국, 배수구(58b)에 의해 배수통과 연통되는 수용통(58)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위에 따라 배수 유로(57b)의 개폐를 제어하면 된다. 이 경우, 수용통(58)을 생략하고 배수통(57)이 수용통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A water level sensor 59 is provided in the drain tank 57 to provide a water level of the drain tank 57 (eventually, the drainage port 58b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ain passage 57b may b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level. In this case, the receiving cylinder 58 may be omitted and the drain cylinder 57 may serve as the receiving cylinder.

한편, 회동축(54)은 취수 코크(51)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배관을 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부 커버(52)의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축(54)은 T자형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이 T자형 배관의 하단이 취수 코크(51)로 연결되며, T자형 배관의 상단 양측이 온수, 정수 또는 냉수와 같이 성질이 서로 다른 음용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유로(44,4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구성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vot shaft 54 can also serve as a pipe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to the water intake cock 51. 3, the rotating shaft 54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take cover 52 is rotatably mounted is formed of a T-shaped pipe, and the lower end of the T-shaped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cock 51, And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T-shaped pipe may be connected to drinking water having different properties such as hot water,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or the flow paths 44 and 45 for supplying sterilizing water,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정수기(음용수 공급 장치)
11: 정면 커버
12: 측면 및 상면 커버
13: 물받이
15: 취수 버튼
20: 필터 유닛
21: 전처리 필터
22: 본처리 필터
23: 후처리 필터
30: 냉수 생성 모듈
32: 온수 생성 모듈
34: 살균수 생성 모듈
41,42,43,44,45: 유로 배관
47: 밸브
50: 취수부
51: 취수 코크
52: 취수부 커버
52a: 취수부 커버 연장부
52b: 취수부 커버 상단
52c: 취수부 커버 하단
53: 장공
54: 회동축
55: 모터
55a: 모터 회전축
56: 링크
57: 배수통
57b: 배수 유로
58: 수용통
58a: 전방 측벽
58b: 배수구
59: 수위 센서
60: 회로기판
61a: 기어
61b: 기어
62: 공압(또는 유압) 실린더
100: Water purifier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11: Front cover
12: side and top cover
13: Water table
15: Water intake button
20: Filter unit
21: Pretreatment filter
22: This treatment filter
23: Post-processing filter
30: cold water generating module
32: Hot water generating module
34: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module
41, 42, 43, 44, 45:
47: Valve
50:
51: intake coke
52: intake cover
52a: Water intake cover extension
52b: top of intake cover
52c: bottom part of intake cover
53: Long hole
54:
55: Motor
55a: motor rotating shaft
56: Link
57: Drainpipe
57b: drainage channel
58: receptacle
58a:
58b: drain
59: Water level sensor
60: circuit board
61a: gear
61b: gear
62: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Claims (11)

음용수를 취수하기 위한 취수 코크를 포함하는 취수부를 장치의 정면에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는,
상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 커버에 장착되고, 하단에는 상기 취수 코크가 장착되는 취수부 커버; 및
상기 취수부 커버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전방에 노출되는 위치와,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취수부 커버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water intake portion including a water intake cock for taking drinking wat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evice,
Wherein the water-
A water intake cover to which the upper end is mounted on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a rotation axis provided inside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the water intake cock is mounted on the lower end thereof; And
And a drive mechanism for rotating the intake portion cover around the rotation axis,
A position at which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ver is protrud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o expose the water intake cock in front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by driving the drive mechanism and a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portion cover is located at the rear Wherein the water intake cover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between a position where the water intake cock is retract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the water intake cock is concealed inside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 코크를 수용하는 수용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n accommodating cylinder for accommodating the intake coke when the lower end of the intake portion cover is retracted to the rea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o that the intake cock is concealed inside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통은 상방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취수 코크가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의 취수 코크의 하단보다 높이가 높은 측벽을 가지며,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상기 정면 커버 쪽에 위치하는 전방 측벽이 연질의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취수부 커버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상기 취수 코크의 하단이 상기 전방 측벽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통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ceiving cylinder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ing upward and has a side wall higher than a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ck when the water intake cock is in a concealed position,
Wherein at least a front side wall located on the side of the front cover is made of soft rubber or resin,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ck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ater intake cover is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front side wall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water intake cov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 코크에 연결된 유로를 통해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취수 코크를 세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n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ver is retreated to the rea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o that the water intake cock is located inside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h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channel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cock, Wherein the cock is cleanab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 장치는 살균수 생성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살균수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세정수로서 공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ncludes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module,
And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module is supplied as the washing wat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이 상기 취수 코크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배관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pivot shaft also serves as a pipe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to the water intake coc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이 T자형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T자형 배관의 하단이 상기 취수 코크로 연결되며, 상기 T자형 배관의 상단 양측은 성질이 서로 다른 음용수를 공급하는 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wer end of the T-shaped pipe is connected to the intake cock, and both upper ends of the T-shaped pipe are connected to a flow path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having different properties, respectively Drinking water suppl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가, 모터와, 일단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취수부 커버에 연결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riving mechanism includes a motor and a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take cov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취수부 커버 또는 상기 회동축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riving mechanism includes a motor and a gear for transmitting power between a rotary shaft of the motor and the intake cover or the rotary shaf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가, 상기 취수부 커버를 밀거나 당기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riving mechanism includes a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for pushing or pulling the water intake cov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 장치는 취수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취수를 위해 상기 취수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전방에 노출되고,
취수가 완료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s a water intake button,
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intake button for water intake,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ver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the water intake cock is exposed in front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Wherein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water intake is completed, the lower end of the water intake cover retreats to the rea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o that the water intake cock is concealed inside the front cover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KR1020170122752A 2017-09-22 2017-09-22 Water supply device having hidable water outlet KR1019862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52A KR101986220B1 (en) 2017-09-22 2017-09-22 Water supply device having hidable water outlet
CN201811033818.8A CN109527992B (en) 2017-09-22 2018-09-05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with hidden water taking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52A KR101986220B1 (en) 2017-09-22 2017-09-22 Water supply device having hidable water out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60A true KR20190033960A (en) 2019-04-01
KR101986220B1 KR101986220B1 (en) 2019-06-05

Family

ID=6584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52A KR101986220B1 (en) 2017-09-22 2017-09-22 Water supply device having hidable water outle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6220B1 (en)
CN (1) CN109527992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837A (en) * 2019-05-07 2020-11-17 (주)원봉 Water purifier having storage water tap
KR20220146894A (en) 2021-04-26 2022-11-02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non exposed extraction memb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301A (en) * 2011-10-06 2013-04-16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Water purifier having storable water tap
KR20170027360A (en) 2015-09-01 2017-03-10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outlet sterilizing structur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027361A (en) * 2015-09-01 2017-03-10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outlet sterilizing structur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063449A (en) * 2017-02-17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4876B1 (en) * 2001-03-06 2004-11-09 Vortech Latinoamerica Versatile, modular, multi-stage water purification system
IL209881A0 (en) * 2004-04-02 2011-02-28 Strauss Water Ltd Water dispenser and filter cartridge for use therein
US7670485B2 (en) * 2005-11-30 2010-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 treatment assembly
CN201185851Y (en) * 2008-04-05 2009-01-28 日本罗伯-博亚有限公司 Drinking machine
CN102592363A (en) * 2011-01-07 2012-07-18 李维效 Multi-functional beverage dispenser
EP2896332B1 (en) * 2014-01-15 2016-08-17 De'Longhi Appliances S.r.l. Device associable with a steam dispensing nozzle of a coffee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a milk-based beverage
CN203970119U (en) * 2014-07-18 2014-12-03 东联(上海)创意设计发展有限公司 A kind of park direct drinking fountain
WO2016014584A1 (en) * 2014-07-21 2016-01-28 Abbott Laboratories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modular water filtration and sterilization unit
CN204091734U (en) * 2014-09-25 2015-01-14 江左 A kind of water dispenser with multiple sterilizing function
US10773975B2 (en) * 2015-09-01 2020-09-15 Coway Co., Ltd. Sterilization structure of water outlet and water treatment device containing same
CN106565039B (en) * 2015-10-08 2021-02-12 福库好希士株式会社 Water treatment system, sterilization method for water treatment system, and sterilization cup
KR101770481B1 (en) *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CN105581656B (en) * 2015-12-19 2018-07-24 覃鸿飞 A kind of cleaning device of direct drinking fountain water outlet
DE102016100724A1 (en) * 2016-01-18 2017-07-20 Miele & Cie. Kg Vending machine with automatic cleaning device
CN105902170A (en) * 2016-07-01 2016-08-31 杭州杰富睿科技有限公司 Direct water dispens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301A (en) * 2011-10-06 2013-04-16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Water purifier having storable water tap
KR20170027360A (en) 2015-09-01 2017-03-10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outlet sterilizing structur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027361A (en) * 2015-09-01 2017-03-10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outlet sterilizing structur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063449A (en) * 2017-02-17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837A (en) * 2019-05-07 2020-11-17 (주)원봉 Water purifier having storage water tap
KR20220146894A (en) 2021-04-26 2022-11-02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non exposed extraction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27992A (en) 2019-03-29
KR101986220B1 (en) 2019-06-05
CN109527992B (en)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1676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101986220B1 (en) Water supply device having hidable water outlet
KR20150133823A (en) Water server
KR20150126406A (en) Water dispenser
CN106277443A (en) A kind of full automatic water purifier
CN105858945B (en) Disinfection system
KR20150125713A (en) Water dispenser
US10954660B2 (en) Sanitary washing apparatus
CN211324671U (en) Closestool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070103282A (en) Cock
JP4298318B2 (en) Water discharge device
CN216494869U (en) Water tank assembly of multifunctional water dispenser and multifunctional water dispenser
JP2006131251A (en) Beverage feeder
CN113677918A (en) Tap and water purification unit using same
JP2006089112A (en)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KR20070022841A (en) Clean water apparatus using MRET active water
JP2007260518A (en) Water softener
CN206128221U (en) Electronic toilet
KR20190137681A (en) Sanitary washing device
CN114747958B (en) Food processor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liquid discharge
JP4281386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CN219429758U (en) Flowing water sterilizing device
CN213387905U (en) Water purifier
JP3890440B2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CN215721004U (en) Drain valve for food proces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