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790A -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790A
KR20190033790A KR1020170122392A KR20170122392A KR20190033790A KR 20190033790 A KR20190033790 A KR 20190033790A KR 1020170122392 A KR1020170122392 A KR 1020170122392A KR 20170122392 A KR20170122392 A KR 20170122392A KR 20190033790 A KR20190033790 A KR 20190033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attern
transparent member
concealed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480B1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12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480B1/ko
Priority to PCT/KR2018/010071 priority patent/WO2019059554A1/ko
Publication of KR2019003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높은 가격의 투명기판을 재활용하고, 투명기판을 폐기하지 않고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를 다량으로 만들며, 은폐문양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그 부재 및 방법은 투명기판의 일측에 위치하는 점착층과, 점착층의 표면 또는 내부 중의 어느 하나 또는 표면 및 내부에 걸쳐서 존재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고, 은폐문양은 점착층 노출부에 의해 정의되는 은폐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증착법, 분사법 또는 전사법 중의 어느 하나로 제조된다.

Description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Transparent parts of display having hidden desig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rt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OFF 상태에서만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은폐문양(hidden design)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표시소자(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PD)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종 영상화면 장치에 적용된다. 한편, 상기 장치는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채용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호시트, 윈도우와 같은 다양한 투명부재가 적용된다. 보호시트는 윈도우에 부착되어 윈도우를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윈도우는 터치스크린의 전면에는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한다. 투명부재는 강화유리가 많이 사용되지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고투명 고분자 필름이 적용되기도 한다. 상기 윈도우는 디스플레이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로부터 탈부착할 수도 있다.
투명부재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ON 상태에서는 감추어지고 OFF 상태에서는 선명하게 보이게 하는 은폐문양을 새기고 있다. 상기 문양은 로고, 성명, 제품 사양 등을 문자 또는 도형으로 표현한 것으로, 특히 고객이 요청하는 정보를 말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33010호는 투명부재인 강화유리에 증착에 의해 은폐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472477호는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하여 투명부재인 강화유리에 은폐문양을 코팅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한편,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투명부재에 존재하는 은폐문양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투명부재의 투명기판에는 은폐문양이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투명기판을 폐기하고 새로운 투명기판에 은폐문양을 인쇄하여야 한다. 만일, 투명기판을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하려면, 인쇄된 은폐문양을 삭제하고 새로운 은폐문양을 인쇄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은폐문양을 삭제하는 비용, 시간 등이 소요되고, 투명기판의 투명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기판은 강화유리, 고투명 고분자 필름 등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다.
또한, 특정의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를 다량으로 제조하는 경우, 투명기판은 재활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다량의 투명기판은 최종적으로 폐기된다. 이렇게 되면, 투명기판의 낭비가 심하다. 이에 따라, 투명기판을 폐기하지 않고,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를 다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기존의 은폐문양을 새로운 은폐문양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가격의 투명기판을 재활용하고, 투명기판을 폐기하지 않고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를 다량으로 만들며, 은폐문양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는 투명기판과, 상기 투명기판의 일측에 위치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표면 또는 내부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상기 표면 및 내부에 걸쳐서 존재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은폐문양은 점착층 노출부에 의해 정의되는 은폐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투명부재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보호시트 또는 윈도우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은폐문양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 위치한다. 상기 은폐문양은 상기 점착층을 제거한 후에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은폐문양이 포함된 상기 화면부의 광투과율은 40% 내지 80%이 좋다. 상기 은폐영역은 서로 분리되어 독립된 형상을 가지거나 네트워크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은 먼저 점착층을 노출시킨다. 그후, 상기 점착층 상에 은폐문양을 정의하는 마스크를 배치한다. 상기 마스크의 투과부를 통하여, 상기 은폐문양을 상기 점착층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은폐문양은 점착층 노출부에 의해 정의되는 은폐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상기 점착층과 접촉하는 부분에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폐문양은 증착법, 분사법 또는 전사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은폐문양는 전자빔 증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투명부재를 이루는 점착층에 은폐문양을 배치함으로써, 높은 가격의 투명기판을 재활용하고, 투명기판을 폐기하지 않고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를 다량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은폐문양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의 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명부재를 이루는 점착층에 은폐문양을 배치함으로써, 높은 가격의 투명기판을 재활용하고, 투명기판을 폐기하지 않고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를 다량으로 만들며, 은폐문양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점착층에 은폐문양이 있는 투명부재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투명부재의 점착층에 은폐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투명부재는 윈도우에 부착되어 윈도우를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시트와, 터치스크린의 전면에는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는 윈도우를 말한다.
상기 투명부재는 투명기판 및 접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합층은 접착력에 따라 접착층 및 점착층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커서 피착체로부터 탈부착이 불가능하면 접착층이고, 상기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피착체로부터 탈부착을 할 수 있으면 점착층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접착층의 피착체는 투명기판이고, 점착층의 피착체는 이형필름이다. 상기 투명부재에는 접착층 및 점착층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점착층만 가질 수 있다. 상기 투명기판은 강화유리가 많이 사용되지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고투명의 고분자 필름이 제안되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터치스크린이 게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기기, 정보처리 단말기 및 텔레비전 등을 모든 영상처리 기기를 말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같은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있고, 상기 정보처리 단말기는 ATM, 키오스크 등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평탄 또는 휘어진 것도 포함하고, 플렉시블(flexible)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스크린에 고정될 수도 있고, 탈부착될 수도 있다. 탈부착되는 윈도우는 국내등록특허 제10-1574923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의 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에 의하면, 제1 투명부재(100)는 투명기판(10), 점착층(20) 및 은폐문양(30)을 포함하고, 필요한 경우 이형필름(40)이 부착된다. 투명기판(10)은 투명한 재질이면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기판은 강화유리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기판은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U(PolyUrethane), TAC(Tri-Acrtyl-Cellulos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투명기판(10)은 강화유리와 플라스틱 기판이 다층으로 형성된 적층구조일 수 있다.
투명기판(10) 상에는 지문방지, 반사방지, 청색광(blue light) 차단, 전자파 차단, 프라이버시(privacy), 항균성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소계 코팅액이 습식 코팅되거나, 진공증착으로 건식 코팅하여 지문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지문방지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기판(10)의 코팅층은 지문방지 또는 지문방지와 항균처리 또는 고경도와 함께 지문방지 또는 지문방지와 항균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코팅층은 투명기판(10)이 다양한 기능을 발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투명기판(10)은 두께가 대략 10㎛~150㎛인 슬림(slim) 강화유리를 채용할 수 있다. 점착층(2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탈부착되도록 하며,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또는 그들의 복합수지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은폐문양(3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 위치한다. 은폐문양(30)은 로고, 성명, 제품 사양 등을 문자 또는 도형으로 표현한 것으로, 특히 고객이 요청하는 정보를 말한다. 은폐문양(3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가 OFF되면 나타나고, ON되면 은폐된다. 은폐문양(30)이 존재하는 부분은 광투과율이 저하된다. 투명기판(10)이 강화유리라면, 강화유리의 광투과율은 90~92% 정도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은폐문양(30) 부분의 광투과율은 40%~80%가 적절하다. 만일, 광투과율이 80%보다 크거나 40%보다 작으면 상기 은폐성을 구현하기 어렵다. 상기 광투과율은 투명기판(10)의 재질과 무관하게 본 발명의 은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정된 최적의 값이다. 광투과율 및 광반사율이 각각 50%인 경우를 하프 미러(half mirror)라고 하며, 본 발명의 은폐문양(30)은 하프 미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폐문양(30)의 제조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전자빔 증착과 같은 증착방식이 바람직하나, 분사방식 등과 같은 다른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은폐문양(30)의 재질은 예를 들어, 금(A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주석(Sn) 및 이들의 합금일 수 있고, 카본, 황산바륨(BaSO4), 이산화티타늄(TiO2), 탄산칼슘(CaCO3), 산화아연(Zn2O), 황화아연(ZnS), 인산아연(Zn3(PO4)2), 산화안티몬(Sb2Ox), 탄산납(PbSO3), 산화마그네슘(MgO),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카올린(kaolin), 탈크(talc), 제올라이트(zeolite) 및 이들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의 은폐물질일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제2 투명부재(200)는 제1 투명부재(100)에 접착층(11) 및 비산방지필름(12)이 추가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접착층(11) 및 비산방지필름(12)을 제외하고는 제1 투명부재(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접착층(11)의 재질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인 열경화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가교제가 혼합된 점착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비산방지필름(12)은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 형태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MethAcrylate), PU(PolyUrethane), TPU(Thermal PU(PolyUretha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TAC(Tri-Acrtyl-Cellulos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및 제2 투명부재(100, 200)에서 은폐문양(30)은 점착층(20) 상에 위치한다. 종래에는 은폐문양(30)이 투명기판(10)의 어느 하나의 면에 인쇄되었다. 종래의 경우, 투명기판(10)을 재활용할 수 없어서,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 특히, 투명기판(10)이 강화유리인 경우에는 점착층(20)에 비해 가격 측면에서 매우 비싸다. 하지만, 은폐문양(30)이 점착층(20)에 존재하면, 점착층(20)을 제거하면 은폐문양(30)도 제거되므로, 높은 가격의 투명기판(10)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기판(10)을 폐기하지 않으므로, 은폐문양(30)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투명부재(100, 200)를 다량으로 만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은폐문양(3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교체할 수 있다. 교체방법중의 하나는 은폐문양(30)이 있는 점착층(20)의 해당부위 또는 점착층(20) 전체를 제거하는 것이다. 점착층(20)의 해당부위 또는 점착층(20) 전체는 칼날로 긁거나 연마도구로 연마하는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제거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점착층(20)의 은폐문양(30)을 제거한 후, 점착층(20)의 다시 도포하고, 새로운 은폐문양(30)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제1 및 제2 투명부재(100, 200)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 및 제2 투명부재(100, 200)에 다양한 은폐문양(3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더불어 투명기판(10)을 재활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제2 투명부재(200)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점착층(20)에 은폐문양(30)이 인쇄된 비산방지필름(12)을 사전에 준비한다. 그후, 제2 투명부재(200)의 접착층(11), 비산방지필름(12) 및 점착층(20)을 떼어내고, 준비된 점착층(20)에 은폐문양(30)이 인쇄된 비산방지필름(12)을 투명기판(10)에 부착한다. 이렇게 되면, 제2 투명부재(200)에 다양한 은폐문양(3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투명기판(10)을 재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투명부재는 제2 투명부재(200)를 참조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표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제1 투명부재(100)는 접착층(11) 및 비산방지필름(12)이 제외된 것 이외에는, 상기 부착과정이 그대로 적용된다.
도 3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윈도우(50)의 표면에는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기능성 코팅층(51)이 존재한다. 기능성 코팅층(51)은 내지문 코팅 또는 항균코팅, 스크래치 방지코팅과 같은 층들이 있다. 기능성 코팅층(51)은 차폐, 반사방지, 청색광(blue light) 차단, 전자파 차단, 프라이버시(privacy)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기능성 코팅층(51)은 예를 들어, 불소계 코팅액이 습식 또는 건식으로 코팅하여 지문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지문방지층이 필수적으로 존재한다. 그런데, 상기 지문방지층은 점착층(20)과의 접착력이 약화시킨다. 접착력이 약화되면, 제2 투명부재(200)는 윈도우(50)에 제대로 부착되지 않는다.
한편, 은폐문양(30)은 은폐물질이 은폐문양(30)의 전체에 코팅되지 않고, 점착층 노출부(20a)를 제공하는 은폐영역(31)을 형성한다. 은폐영역(31)은 앞에서 제시한 은폐물질로 이루어진다. 점착층 노출부(20a)는 이형필름(40)이 제거된 제2 투명부재(200)를 기능성 코팅층(51)에 부착되도록 한다. 즉, 은폐문양(30)은 점착층 노출부(20a)에 의해 윈도우(50)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점착층 노출부(20a)가 제2 투명부재(200)를 기능성 코팅층(51)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만일, 점착층 노출부(20a)가 없다면, 은폐문양(30)은 접착력이 없기 때문에 기능성 코팅층(51)에 부착되지 않는다. 기능성 코팅층(51)에 부착되지 않으면, 그 부분은 기포가 발생한다.
은폐영역(31)은 상기 코팅의 코팅량에 따라, 크기 및 두께가 조절된다. 만일, 코팅량이 크면 은폐영역(31)의 크기 및 두께가 증가하고, 코팅량이 작으면 은폐영역(31)의 크기 및 두께가 감소한다. 은폐영역(31)은 은폐문양(30)의 광투과율이 40%~80%이 되도록 조절된다. 은폐영역(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독립된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네트워크(network)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은폐문양(30)에서 은폐영역(31)이 차지하는 분율은 윈도우(50)의 형상, 기능성 코팅층(51)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다. 곡면 윈도우(50)의 경우, 점착층 노출부(20a)가 차지하는 분율이 큰 것이 유리하다.
점착층 노출부(20a)를 이용하여 은폐문양(30)이 있는 점착층(20)이 부착되는 대상은 앞에서 설명한 기능성 코팅층(51)뿐 아니라, 터치스크린(도시되지 않음)일 수도 있다. 즉, 점착층 노출부(20a)는 기포가 없이 은폐문양(30)을 터치스크린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574923호에 개시된 탈부착층에 은폐문양(30)이 존재하면, 점착층 노출부(20a)는 접착감소층에 기포없이 부착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투명부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들이다. 이때, 이때, 상기 투명부재는 제2 투명부재(200)를 참조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표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제1 투명부재(100)는 접착층(11) 및 비산방지필름(12)을 제외하고 상기 과정이 그대로 적용된다.
도 4에 의하면, 제2 투명부재(2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이형필름(40)을 제거하여, 점착층(20)을 노출시킨다. 그후, 점착층(20) 상에 은폐문양(30)을 정의하는 마스크(M)를 배치한다. 마스크(M)는 점착층(20)에 이격되는 것이 좋으며, 회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점착층(20)과 가깝게 한다. 경우에 따라, 마스크(M)는 점착층(2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스크(M)에서 점착층(20)에 접촉하는 부분은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M)는 투과부(60)를 포함하며, 투과부(60)는 로고, 성명, 제품 사양 등을 문자, 도형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표현한다. 다시 말해, 은폐물질을 투과부(60)로 투과시키면, 점착층(20)에는 상기 문자, 도형 또는 그들의 조합이 인쇄된다.
도 5에 의하면, 코팅에 의해 은폐문양(30)을 점착층(20)에 형성한다. 상기 코팅은 증착법, 분사법 또는 전사법 중의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증착법은 물리적인 방법 또는 화학적인 방법을 모두 활용할 수 있고, 물리적인 방법인 전자빔 증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빔 증착은 진공증착 방법 중의 하나로써, 열증착이라고도 하며 보통 10-4Pa 이하의 진공 중에서 박막으로 하는 물질을 증발시켜 그 증기를 점착층(20)에 부착시킨다. 상기 증착법에 의해 은폐문양(30)을 형성하면, 은폐문양(30)은 점착층(20)의 표면에 코팅된다.
상기 분사법은 은폐물질을 분말 형태로 활용하고, 상온분사법, 저온분사법, 에어졸 분사법 등이 있다. 상기 상온분사법은 상온에서 상기 은폐물질 분말에 압력을 가하여 토출구를 통하여 점착층(20)에 분사하여 은폐문양(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은폐물질 분말은 진공과립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온분사법은 대략 상온보다 60℃ 정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압축가스의 유동에 의해 상기 은폐물질 분말을 토출구를 통하여 점착층(20)에 분사하여 은폐문양(30)을 형성한다. 상기 에어졸 분사법은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등과 같은 휘발성 용매에 상기 은폐물질 분말을 혼합하여 에어졸 형태로 만든 후, 상기 에어졸을 점착층(20)에 분사하여 은폐문양(3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전사법은 열전사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사 방식은 열용융 방식 또는 승화 방식 중의 어느 하나를 활용한다. 상기 열전사 방식은 가열 헤드로 열전사 시트를 가열 또는 압착하여 전사물질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것이다. 상기 열용융 방식은 열용융성을 가진 상기 전사물질을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를 마스크(M)과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열전사 시트의 배면에서 가열 헤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열전사 시트를 가열한다. 이때, 가열 헤드 등에 의해 가해진 열에너지 양에 비례하여 융해된 상기 전사물질이 점착층(20)으로 전이되어, 점착층(20)의 표면에 은폐문양(30)이 형성된다.
상기 승화 방식은 승화성 염료가 도포되어 있는 열전사 시트를 마스크(M)과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트의 배면에서 가열 헤드 등을 이용하여 열전사 시트를 가열한다. 승화성 염료 및 재료는 열에 의해 승화되는 물질로 공지의 재료를 활용할 수 있다. 이때, 가열 헤드 등에 의해 가해진 열에너지 양에 비례하여 상기 승화성 염료가 포함된 전사물질이 점착층(20)으로 전이되어, 점착층(20)의 표면에 색상을 가진 은폐문양(30)이 형성된다. 상기 승화 방식은 잘 알려진 직접 인쇄방식과 재전사 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사법에 의해 은폐문양(30)을 형성하면, 은폐문양(3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점착층(20)내에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분사법은 은폐물질 분말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상기 압력에 의해 은폐물질 분말이 점착층(20)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그런데, 증착법 및 전사법은 점착층(20) 내부로 침투하기는 어려워서, 점착층(20)의 표면에 은폐문양(30)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은폐문양(30)은 점착층(20)의 표면에 존재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가 점착층(20)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은폐문양(30)이 점착층(20)의 표면에 있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마스크(M)을 제거하여, 점착층(20) 및 은폐문양(30)을 노출시킨다. 선택적으로, 은폐문양(30)을 포함하는 점착층(20)을 이형필름(40)으로 덮어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투명부재(100, 200)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하려면, 이형필름(40)을 떼어내고 작업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투명기판 11; 접착층
12; 비산방지필름 20; 점착층
20a; 점착층 노출부 30; 은폐문양
31; 은폐영역 40; 이형필름
50; 윈도우 51; 기능성 코팅층
60; 투과부 M; 마스크

Claims (10)

  1.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측에 위치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표면 또는 내부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상기 표면 및 내부에 걸쳐서 존재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고,
    상기 은폐문양은 점착층 노출부에 의해 정의되는 은폐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보호시트 또는 윈도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문양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문양은 상기 점착층을 제거한 후에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문양이 포함된 상기 화면부의 광투과율은 4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영역은 서로 분리되어 독립된 형상을 가지거나 네트워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7. 점착층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점착층 상에 은폐문양을 정의하는 마스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의 투과부를 통하여, 상기 은폐문양을 상기 점착층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은폐문양은 점착층 노출부에 의해 정의되는 은폐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상기 점착층과 접촉하는 부분에 이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문양은 증착법, 분사법 또는 전사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문양는 전자빔 증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KR1020170122392A 2017-09-22 2017-09-22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30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92A KR102030480B1 (ko) 2017-09-22 2017-09-22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8/010071 WO2019059554A1 (ko) 2017-09-22 2018-08-30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92A KR102030480B1 (ko) 2017-09-22 2017-09-22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90A true KR20190033790A (ko) 2019-04-01
KR102030480B1 KR102030480B1 (ko) 2019-10-10

Family

ID=6581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92A KR102030480B1 (ko) 2017-09-22 2017-09-22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0480B1 (ko)
WO (1) WO201905955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49A (ko) * 2015-06-24 2017-01-03 최미영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541A (ko) * 2004-09-21 2006-03-24 김인철 잉크젯 인쇄기에 의해 표면에 인쇄문양이 형성되게 한가구용 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가구용 패널
JP4618268B2 (ja) * 2006-11-11 2011-01-26 潤 川田 人体付着用装飾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48578A (ko) * 2006-11-29 2008-06-03 김현회 광고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보호필터 제조방법 및 그보호필터
JP5850632B2 (ja) * 2011-04-06 2016-02-03 日栄化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と粘着シート構造体
KR101512185B1 (ko) * 2014-08-19 2015-04-16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49A (ko) * 2015-06-24 2017-01-03 최미영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554A1 (ko) 2019-03-28
KR102030480B1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92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탈부착 방법
EP3521982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fine bump for adjus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TWI460461B (zh) Display device with decorative film and protective panels
KR102146150B1 (ko) 탈부착 패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JP6975491B2 (ja) 微細突起文様を有する接着減少層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60120436A (ko) 탈부착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7088A (ko) 탈부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1406A (ko) 일체형 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KR101282081B1 (ko) 모바일기기용 커버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US20210132659A1 (en) Transparent member having fine uneven portions and applied to portable device
KR101798759B1 (ko) 곡면부를 가진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보호시트 모듈, 이를 이용한 보호시트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보호시트
JP7100912B2 (ja) 偏光フィルムを含む着脱可能な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90033790A (ko) 은폐문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EP3293568A1 (en) Display device having detachabl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73420A (ko) 보호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곡면 휴대기기
KR102437333B1 (ko)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KR102144652B1 (ko) 탈부착 패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7103A (ko)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2029B1 (ko) 화면 디자인과 연동된 베젤 디자인을 가진 탈부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62739A (ko) 인쇄단차를 줄이기 위한 증착층을 포함하는 시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3097A (ko) 은폐 문양을 포함하는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보호시트
KR20180103428A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