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405A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Google Patents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3405A KR20190033405A KR1020180006437A KR20180006437A KR20190033405A KR 20190033405 A KR20190033405 A KR 20190033405A KR 1020180006437 A KR1020180006437 A KR 1020180006437A KR 20180006437 A KR20180006437 A KR 20180006437A KR 20190033405 A KR20190033405 A KR 201900334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eyepiece plate
- virtual reality
- state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4—Viewing or reading apparatus having collapsible par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및 메인 바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메인 바디의 정면 및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환되며, 스크린 부재 및 스크린 부재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상기 메인 바디의 일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상현실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모듈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핸드폰 케이스 형태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및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가상현실이란 말은 인공현실(artificial reality), 사이버 공간(cyberspace), 가상세계(virtual worlds),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 합성환경(synthetic environment), 인공환경(artificial environment),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ixed reality) 등의 용어로 혼용되기도 한다.
가상현실의 사용 목적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도 그 환경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보여주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서, 그 응용분야는 교육, 원격조작, 원격위성 표면탐사, 탐사자료분석,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 등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가상현실이 다시 주목 받고 있다. 일 예로, 삼성이 오큘러스와 공동으로 제작한 기어VR, LG의 'G3 VR', 구글의 카드보드가 대표적이며, 이들 제품은 스마트폰과 연동해 가상현실을 체험해볼 수 있고, 기존의 VR 장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며,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기능을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바로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능이 포함된 핸드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및 메인 바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메인 바디의 정면 및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환되며, 스크린 부재 및 스크린 부재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상기 메인 바디의 일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음성 통신 모듈을 부가하여 핸드폰 기능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음성 통신 모듈 없이 다른 유무선 네트워크로 외부와 연결될 수도 있고,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기능만 포함할 수도 있다.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휴대가 가능한 구조로서 일반 핸드폰이나 단말기로도 손색이 없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하기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 안드로이드, 윈도우, 리눅스, OPENELEC 등 다양한 OS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기능과 관련이 없더라도 통신, 메시징, 멀티미디어, 지도, 게임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및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서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에 맞게 수정하여 구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상현실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늘어남으로써 가상현실 유용도는 증가할 것이나,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보조장치를 휴대하는 것은 이러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스크린 부재로 메인 바디로부터 접안 플레이트를 가변 가능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여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 기능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후방 또는 후면이란 표현은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구동 시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방향을 뜻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가 있다.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스크린 부재는 부피 축소, 확대, 고정, 이동, 이격, 접이 등의 방식을 통해서 접안 플레이트를 밀착 상태 및 이격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휴대성 용이를 위해 스크린 부재는 축소, 접이 또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부재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지만, 전자적 신호를 이용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동 장치에 의해서도 작동될 수 있다.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 및 이격 상태의 접안 플레이트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카드보드와 같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좌우로 분할하고 한 쌍의 접안렌즈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가상현실 방식에 따라서 상하로 영상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접안 플레이트에 편광렌즈를 장착하는 편광안경방식 또는 접안 플레이트에서 좌우 접안 렌즈를 시간 차를 두고 개폐하는 셔터글라스 방식 등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가상현실 구현이나 입체 표시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및 렌즈 조합이 구현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는 가상현실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 메인 바디에 밀착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며, 가상현실 기능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메인 바디로부터 이격되어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접안 플레이트는 메인 바디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가변 가능한 거리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스크린 부재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안 플레이트를 밀착 상태 및 이격 상태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부재는 복수의 스크린 통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크린 통의 상호 마찰 및 고정력을 이용하여 역전된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고, 외부 광을 차단할 수가 있다. 다르게는, 스크린 부재는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밀착 상태 및 상기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거리 조절부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접안 플레이트의 이격 상태에서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스크린 부재를 스크린 통으로 구현하는 경우, 스크린 통이 단일벽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견고한 지지구조 및 경량화를 위해 이중벽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이중벽 구조를 위해서 스크린 통은 내벽 및 외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최소한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나 전자파를 해결하기 위해, 스크린 통에는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통풍구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빛이 직접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이중벽 구조의 스크린 통에서는 내벽에 제1 통풍구를 형성하고 외벽에는 제2 통풍구를 형성하되, 제1 통풍구와 제2 통풍구가 상호 겹치지 않게, 즉 어긋나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는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만 하기 때문에,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를 완전 차단하는 것 외에도 본래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일부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상현실 기능을 더욱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 이격 상태의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일반 마스크의 귀걸이 형태, 안경의 걸이부, 헬멧 마운트 또는 탄성 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환 바디는 메인 바디의 장측부 및 단측부 중 어느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환 바디가 메인 바디의 일측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 상에 밀착되고, 접안 플레이트를 이격 상태로 확장하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는 메인 바디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원래 메인 바디의 정면에 설치된 하나의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을 전문으로 구현하기 위해 추가로 설치된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 및 측면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메인 바디; 및 메인 바디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메인 바디의 정면 및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환되며, 스크린 부재 및 스크린 부재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메인 바디의 일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메인 바디의 장측면 또는 단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전환 바디는 메인 바디로부터 분리된 후, 메인 바디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전환되며 메인 바디에 재장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및 메인 바디의 정면 및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환되며, 스크린 부재 및 스크린 부재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바디는 메인 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여, 메인 바디의 정면 및 배면 간에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메인 바디의 일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환 바디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속하는 레일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바디는 메인 바디의 장측부 또는 단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및 메인 바디의 정면 및 배면에 탈부착되면서 전환되며, 스크린 부재 및 스크린 부재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메인 바디의 일 면에 밀착되도록 전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전환 바디는 탈부착 버튼, 자석 버튼, 결속 돌기-홈 구조, 흡착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메인 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의 일 면에 형성된 한 쌍의 영상 발광부; 및 영상 발광부 각각에 근접 거리로 장착된 접안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발광부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발광부는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경우 고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프로젝터인 경우 망막을 향해 특정 영상을 영사하는 기능을 할 수가 있다.
영상 발광부 및 접안 렌즈는 고정된 거리를 유지하여, 장비를 얇고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코 등의 얼굴 형상 및 굴곡에 대응할 수 있도록 영상 발광부 및 접안 렌즈를 수용하는 경통 부재를 포함하고, 경통 부재가 메인 바디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안 렌즈에 장착된 아이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아이컵은 메인 바디에 밀착되는 평면 상태 및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굴곡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이때 아이컵은 공기 출입에 의한 튜브형식 변형, 형상기억합금에 의한 변형, 전기 인가에 의한 변형 등을 이용하여 형상이 전환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에어 튜브로서 공기의 출입을 통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스크린 부재로 자동으로 공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양방향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린 부재는 디스플레이 및 스크린 부재 사이의 공간을 밀폐된 튜브 공간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확장되었다가 축소될 수도 있고, 스크린 부재가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을 밀폐된 튜브 공간으로 형성하여 확장 또는 축소될 수도 있고, 스크린 부재 중 부분적으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유로 공간을 밀폐된 튜브 공간으로 형성하여 확장 또는 축소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스크린 부재는 좌우로 분리된 쌍안경 형상으로 제공되며, 접안 플레이트도 분리된 스크린 부재에 대응하여 좌우로 독립되어 제공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조각편들을 이용하여 제공되며, 조각편들이 상호 접철되면서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부재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판넬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롤스크린을 이용하여 제공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롤스크린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롤스크린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 또는 상기 스크린 부재는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만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메인 바디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대향하는 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증강현실을 추가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고, 만입부에 대응하여 스크린 통에 홈이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스크린 통은 내벽 및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외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중벽으로 형성된 스크린 통은 내벽에 형성된 제1 통풍구 및 외벽에 형성된 제2 통풍구를 포함하되, 제1 통풍구 및 제2 통풍구는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다.
상기 스크린 부재는,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밀착 상태 및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거리 조절부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접안 플레이트의 이격 상태에서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풍구는 스크린 부재에 형성될 수 있지만, 접안 플레이트에도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기 위해, 메인 바디 또는 접안 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 밴드 및 메인 바디 또는 접안 플레이트의 중앙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수평 밴드에 일부 고정되는 중심 밴드를 포함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중심 밴드의 단부는 Y-자 형상으로 분기되어 제1 분기라인 및 제2 분기라인을 형성하며, 분기된 제1 분기라인 및 제2 분기라인의 단부는 각각 수평 밴드에 고정될 수 있다. 중심 밴드는 제1 분기라인 및 제2 분리라인을 횡방향으로 잇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밴드 및 중심 밴드는 메인 바디 또는 접안 플레이트에 내장되어 있다가,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메인 바디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를 내장하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접안 플레이트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위한 카메라, 메인 보드,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자의 안면에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가 연장된 상태에서 스크린 부재의 얼굴 측 단부에는 얼굴의 윤곽에 대응하는 만입 수용부가 형성되며, 접안 플레이트는 스크린 부재가 연장된 상태로 전환될 때 같이 이동하며, 스크린 부재가 연장된 상태에서 스크린 부재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접안 플레이트 또는 상기 스크린 부재는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만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의 후면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닫힌(closing) 상태에서는 밀착 상태에 있는 접안 플레이트를 덮고, 만개한(blooming) 상태에서는 이격 상태에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 사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복수개의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플립 커버는 사용자가 안쪽의 접안 플레이트를 이격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접안 플레이트와 함께 만개한 상태로 벌어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플립 커버를 미리 만개한 상태로 벌린 다음 접안 플레이트가 만개한 플립 커버의 안내를 받아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스크린 부재는 만개한 상태의 플립 커버 간의 틈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 및 차단막을 지지하는 지지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접안 플레이트의 코너는 일종의 레일 구조를 이용하여 지지샤프트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고, 접안 플레이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샤프트에 의해서 안내되거나 지지샤프트와 함께 이격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의 일 측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바디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의 타 측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 바디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며, 메인 바디, 제1 측면 바디, 접안 플레이트 및 제2 측면 바디는 순서대로 연결되어 닫힌 폴딩 구조(closed folding structure)를 형성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 제1 측면 바디, 접안 플레이트 및 제2 측면 바디의 내면들이 상호 밀착되어 납작한(overlaid)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 제1 측면 바디, 접안 플레이트 및 제2 측면 바디가 사각 기둥을 형성하여 입체적 형상을 유지하되,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스크린 부재는 이격 상태에서 개방된 사각 기둥의 평면과 저면을 차단하기 위한 폴딩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접이식 상자와 같이 펼쳐짐과 동시에 마주하는 개방된 면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측면 바디 및 제2 측면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피커, 보조 디스플레이 또는 키보드가 설치되어 측면 바디의 다양한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를 차단하는 광 차단막 및 광 차단막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광 차단막은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직물, 스판, 실리콘 박막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도 중공의 기둥 또는 뿔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지지구조는 광 차단막의 전체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 차단막의 내면 또는 외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광 차단막의 내부에서 긴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접안 플레이트 또는 광 차단막을 복수의 지점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발포성 재질의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스크린 부재는 스폰지, 메모리 폼 등 다양한 발포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 상태에 있는 경우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있으며, 접안 플레이트가 메인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이격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된 스크린 부재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내부가 빛 중공 형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장비에 장착되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구현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는,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거리 조절 부재, 접안 플레이트에 확장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격 상태에 있는 접안 플레이트로부터 메인 바디를 향해 확장되어 접안 플레이트의 전방에 암실 공간을 형성하는 스크린 부재, 및 접안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스크린 부재의 전면에 장착되며 암실 공간을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음성 통신 모듈을 부가하여 핸드폰 기능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음성 통신 모듈 없이 다른 유무선 네트워크로 외부와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어플케이션을 포함하여 메시징, 게임, 동영상 시청, 음악 감상, 지도, 금융 등과 관련된 기능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위와 같은 별도 기능 없이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기능만 포함할 수도 있다.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휴대가 가능한 구조로서 일반 핸드폰이나 단말기로도 손색이 없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가상현실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늘어남으로써 가상현실 유용도는 증가할 것이나,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보조장치를 휴대하는 것은 이러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거리 조절 부재로 메인 바디로부터 접안 플레이트를 가변 가능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스크린 부재가 접안 플레이트로부터 확장되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암실을 형성하고, 스크린 부재의 전방에 가상현실 디스플레이가 장착될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여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 기능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 및 이격 상태의 접안 플레이트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카드보드와 같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좌우로 분할하고 한 쌍의 접안렌즈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가상현실 방식에 따라서 상하로 영상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접안 플레이트에 편광렌즈를 장착하는 편광안경방식 또는 접안 플레이트에서 좌우 접안 렌즈를 시간 차를 두고 개폐하는 셔터글라스 방식 등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가상현실 구현이나 입체 표시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및 렌즈 조합이 구현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는 가상현실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 메인 바디에 밀착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며, 가상현실 기능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메인 바디로부터 이격되어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접안 플레이트는 메인 바디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가변 가능한 거리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거리 조절 부재는 신축이 가능한 안테나 구조, 공기 튜브, 접철식 링크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거리 조절 부재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전기 모터, 형상기억금속 등을 이용하여 자동을 작동하게 할 수도 있다.
스크린 부재는 복수의 스크린 통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크린 통의 상호 마찰 및 고정력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고, 상호 연결된 스크린 통을 이용하여 외부 광을 차단할 수가 있다. 다르게는, 스크린 부재는 메인 바디 및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스크린 부재를 스크린 통으로 구현하는 경우, 스크린 통이 단일벽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견고한 지지구조 및 경량화를 위해 이중벽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이중벽 구조를 위해서 스크린 통은 내벽 및 외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최소한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는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만 하기 때문에, 암실 공간 역시 완전 차단하는 것 외에도 본래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일부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증강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거리 조절 부재, 접안 플레이트에 확장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격 상태에 있는 접안 플레이트로부터 메인 바디를 향해 확장되어 접안 플레이트의 전방에 암실 공간을 형성하는 스크린 부재,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 및 접안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스크린 부재의 전면에 장착되며 암실 공간을 통해서 증강현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영상시청 장비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거리 조절 부재, 접안 플레이트에 확장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격 상태에 있는 접안 플레이트로부터 메인 바디를 향해 확장되어 접안 플레이트의 전방에 암실 공간을 형성하는 스크린 부재, 및 접안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스크린 부재의 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라고도 지칭되며,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면 커버, 및 배면 커버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는 배면 커버의 내면에 접철된 상태에서 배면 커버와 함께 메인 바디의 배면에 접철된 보관 상태로 보관되며, 배면 커버 및 접안 플레이트가 펼쳐진 디스플레이 상태에서는 접안 플레이트가 메인 바디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를 갖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종래의 핸드폰 또는 단말기가 갖는 기능을 이용할 수가 있다. 즉, 이런 보관 상태에서는 일반 핸드폰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배면 커버 및 접안 플레이트를 펼침으로써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형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접안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가 대향하며, 접안 플레이트의 접안 렌즈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메인 바디 및 접안 플레이트 사이로 암실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배면 커버 및 메인 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벨로우즈 방식의 아크형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배면 커버 및 메인 바디의 측면을 덮는 측면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 스크린은 보관 상태에서 배면 커버 및 메인 바디 사이에 접철되어 있다가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펼쳐지면서 메인 바디 및 접안 플레이트 사이로 암실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스크린은 접안 플레이트의 측면과도 연결될 수 있으며, 보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상태로 전환되면서 접안 플레이트 및 측면 스크린이 동시에 펼쳐질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암실 공간의 저면을 커버하는 저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저면 커버는 배면 커버에 대향하여 메인 바디 또는 접안 플레이트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펼쳐지면서 접안 플레이트 또는 메인 바디에 일측이 걸리면서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바디 사이를 지지할 수가 있다.
사용자의 눈 주변으로 외부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접안 플레이트에는 접철식 차안대(foldable blinker)가 장착될 수가 있다. 접철식 차안대는 여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보관 상태에서는 얇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디스플레이 상태에서는 의도한 형상으로 확장 또는 변형되어 외부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다.
일 예로, 접철식 차안대는 눈 주변의 상부를 차단하는 상부 플레이트, 눈 주변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면 플레이트, 및 눈 주변의 하부를 차단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는 힌지 부분에 스프링이 장착되는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접안 플레이트의 후면에 겹쳐지는 경향을 가질 수가 있다. 측면 플레이트는 펼쳐지면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를 지지하여 접철식 차안대의 입체적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보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접안 플레이트의 후면으로 접철되면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여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가 함께 접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철식 증강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면 커버, 및 배면 커버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는 배면 커버의 내면에 접철된 상태에서 배면 커버와 함께 메인 바디의 배면에 접철된 보관 상태로 보관되며, 배면 커버 및 접안 플레이트가 펼쳐진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는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증강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철식 영상시청 장비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면 커버, 및 배면 커버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는 배면 커버의 내면에 접철된 상태에서 배면 커버와 함께 메인 바디의 배면에 접철된 보관 상태로 보관되며, 배면 커버 및 접안 플레이트가 펼쳐진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는 메인 바디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메인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면 커버, 배면 커버와 메인 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벨로우즈 방식의 아크형 스크린, 및 아크형 스크린의 일측에 제공되는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는 배면 커버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배면 커버와 함께 메인 바디의 배면에 밀착된 보관 상태로 보관되며, 배면 커버 및 접안 플레이트가 펼쳐진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는 메인 바디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장비는 휴대가능하게 구성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는 정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후면에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입체적으로 변형 가능한 메인 바디, 및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접안 렌즈를 포함하며 입체적으로 변형된 메인 바디에 대응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및 유지의 기능을 갖는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는 정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후면에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입체적으로 변형 가능한 메인 바디, 및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접안 렌즈를 포함하며 입체적으로 변형된 메인 바디에 대응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유지 및 가변의 기능을 갖는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메인 바디의 일측에 접안 플레이트의 일측이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메인 바디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가 접안 플레이트의 접안 렌즈를 마주하도록 메인 바디가 굴곡되도록 입체적으로 변형되며, 메인 바디의 타측 및 접안 플레이트의 타측에 각각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바디를 더 포함한다. 휴대를 위한 휴대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 및 연결 바디는 메인 바디의 배면에 밀착되며,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입체 상태에서 굴곡된 메인 바디, 접안 플레이트 및 연결 바디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여 가상현실 장비로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를 갖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종래의 핸드폰 또는 단말기가 갖는 기능을 이용할 수가 있다. 즉, 이런 휴대 상태에서는 일반 핸드폰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기기의 양 측면을 손으로 누르거나 악력을 가해서 메인 바디, 접안 플레이트 및 연결 바디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를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접안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가 대향하며, 접안 플레이트의 접안 렌즈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중공 사각기둥 형상의 입체 상태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하다가, 다시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를 밀착시킴으로써 휴대 상태로 손쉽게 전환할 수가 있다.
사용자의 눈 주변으로 외부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접안 플레이트에는 접철식 차안대(foldable blinker)가 장착될 수가 있다. 접철식 차안대는 여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휴대 상태에서는 얇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입체 상태에서는 의도한 형상으로 확장 또는 변형되어 외부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다.
일 예로, 접철식 차안대는 눈 주변의 상부를 차단하는 상부 플레이트, 눈 주변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면 플레이트, 및 눈 주변의 하부를 차단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는 힌지 부분에 스프링이 장착되는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접안 플레이트의 후면에 겹쳐지는 경향을 가질 수가 있다. 측면 플레이트는 펼쳐지면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를 지지하여 접철식 차안대의 입체적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휴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접안 플레이트의 후면으로 접철되면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여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가 함께 접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는 정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후면에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입체적으로 변형 가능한 메인 바디, 및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접안 렌즈를 포함하며 입체적으로 변형된 메인 바디에 대응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유지 및 가변의 기능을 갖는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메인 바디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상에 후방 공간을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변형되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의 하방으로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코 수용부,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의 양 측으로 사용자의 눈꼬리 주변의 얼굴 측면을 덮는 측면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코 수용부 및 측면 수용부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곡면을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를 위한 휴대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위에 밀착되며,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입체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이격되어 후방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의 상부 및 메인 바디의 상부를 연결하는 고정길이 링크 및 접안 플레이트의 하부 및 메인 바디의 하부를 연결하는 가변길이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입체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가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메인 바디는 입체 상태의 코 수용부의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코 수용부 전방에 형성된 V-형상부, 사용자의 코 형상에 대응하여 코 수용부의 후방을 역V-자로 절곡시키기 위해 메인 바디에 부가된 성형 링크, 및 성형 링크가 일자로 배열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성형 링크의 연결부위를 선택적으로 덮는 중공형 고정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메인 바디의 절곡을 안내하기 위해 메인 바디의 절곡라인 주변으로 메인 바디에 매립된 소성 변형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굳이 본 실시예가 아니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는 정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후면에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입체적으로 변형 가능한 메인 바디, 및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접안 렌즈를 포함하며 입체적으로 변형된 메인 바디에 대응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유지 및 가변의 기능을 갖는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메인 바디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상에 후방 공간을 형성하도록 활 모양으로 오목하게 변형되며, 오목하게 변형된 메인 바디에 의해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의 양 측으로 사용자의 눈꼬리 주변의 얼굴 측면을 덮는 측면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휴대를 위한 휴대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위에 밀착되며,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입체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이격되어 후방 공간의 반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휴대 상태 및 입체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를 안내하기 위한 스크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스크린 부재는 사용자의 눈 주면 상부 및 하부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에서 메인 바디는 음성 통신 모듈을 부가하여 핸드폰 기능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음성 통신 모듈 없이 다른 유무선 네트워크로 외부와 연결될 수도 있고,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기능만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장비는 휴대가 가능한 구조로서 일반 핸드폰이나 단말기로도 손색이 없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하기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 안드로이드, 윈도우, 리눅스, OPENELEC 등 다양한 OS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기능과 관련이 없더라도 통신, 메시징, 멀티미디어, 지도, 게임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및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서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에 맞게 수정하여 구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후방 또는 후면이란 표현은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구동 시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방향을 뜻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가 있다.
메인 바디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및 이격 상태의 접안 플레이트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카드보드와 같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좌우로 분할하고 한 쌍의 접안렌즈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가상현실 방식에 따라서 상하로 영상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접안 플레이트에 편광렌즈를 장착하는 편광안경방식 또는 접안 플레이트에서 좌우 접안 렌즈를 시간 차를 두고 개폐하는 셔터글라스 방식 등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가상현실 구현이나 입체 표시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및 렌즈 조합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회로들이 구성된 단말 본체부와, 상기 단말 본체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면서 플렉서블 소재의 제 2 디스플레이부를 수용시킬 수 있는 롤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본체부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노출 면적 확대에 따라 상기 단말 본체부로부터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모듈을 휴대가 가능한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일반 휴대 장치로도 손색이 없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가상현실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늘어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가 역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일반 모니터로서의 사용 및 가상현실 모니터로서의 사용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 부재로 메인 바디로부터 접안 플레이트를 가변 가능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같은 구조로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구조를 간단하게 유지하고, 고급스런 슬라이드 이동 및 견고함을 동시에 얻을 수가 있다.
이러한 특징은, 스크린 통을 이중벽으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배가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어긋난 통풍구 형성 및 경량화 구조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더욱 증가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그에 장착된 핸드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핸드폰을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핸드폰이 밀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핸드폰이 이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그에 장착된 핸드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스크린 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저면 후방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저면 후방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스크린 부재를 확장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접안 플레이트를 안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가 만개한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5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가 만개한 상태에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5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2(b)는 도 52(a)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52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와 핸드폰이 밀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54는 도 52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이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평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58은 도 5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9는 도 5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의 보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67은 도 66의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8은 도 66의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 중 접안 플레이트에 형성된 접철식 차안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0은 도 69의 접철식 차안대가 접철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3은 도 72의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저면 커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 중 동시에 접철되는 측면스크린, 접안 플레이트 및 저면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6은 도 75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변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7은 도 75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 중 접안 플레이트에 형성된 접철식 차안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9는 도 78의 접철식 차안대가 접철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0은 도 78의 접철식 차안대의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휴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2는 도 81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입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3은 도 81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변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에서 코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에서 측면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휴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7은 도 86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입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1 내지 도 9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단말 장치에서 형태 변형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4와 도 9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6 내지 도 98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확장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9와 도 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와 함께 인출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와 지지 플레이트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3 및 도 10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VR 수단이 구성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5 내지 도 10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VR 수단의 스크린 통 내부에 구성되는 스크린 고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핸드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0(b)는 도 110(a)에 도시된 가상현실 핸드폰 케이스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1 내지 도 1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7은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s, DNN)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8은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9는 합성곱 계산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0은 서브샘플링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및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객체와 배경을 합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3은 가상현실 장비 및 이와 결합된 헬멧 형태의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뇌파 모듈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침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이 내장된 가상현실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용 신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용 골프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셀카봉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핸드폰을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핸드폰이 밀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핸드폰이 이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그에 장착된 핸드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스크린 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저면 후방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저면 후방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스크린 부재를 확장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접안 플레이트를 안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가 만개한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5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가 만개한 상태에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5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2(b)는 도 52(a)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52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와 핸드폰이 밀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54는 도 52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이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평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58은 도 5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9는 도 5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의 보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67은 도 66의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8은 도 66의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 중 접안 플레이트에 형성된 접철식 차안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0은 도 69의 접철식 차안대가 접철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3은 도 72의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저면 커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 중 동시에 접철되는 측면스크린, 접안 플레이트 및 저면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6은 도 75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변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7은 도 75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 중 접안 플레이트에 형성된 접철식 차안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9는 도 78의 접철식 차안대가 접철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0은 도 78의 접철식 차안대의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휴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2는 도 81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입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3은 도 81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변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에서 코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에서 측면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휴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7은 도 86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입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1 내지 도 9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단말 장치에서 형태 변형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4와 도 9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6 내지 도 98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확장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9와 도 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와 함께 인출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와 지지 플레이트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3 및 도 10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VR 수단이 구성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5 내지 도 10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VR 수단의 스크린 통 내부에 구성되는 스크린 고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핸드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0(b)는 도 110(a)에 도시된 가상현실 핸드폰 케이스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1 내지 도 1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7은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s, DNN)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8은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9는 합성곱 계산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0은 서브샘플링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및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객체와 배경을 합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3은 가상현실 장비 및 이와 결합된 헬멧 형태의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뇌파 모듈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침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이 내장된 가상현실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용 신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용 골프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셀카봉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현실 및 가상현실 영상은 VR(Virtual Reality) 및 VR 영상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과 가상현실 영상,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과 증강현실 영상, 혼합현실(MR, Mixed Reality)과 혼합현실 영상 및 일반 영상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현실, 가상 및 현실과 가상이 혼합된 모든 종류의 영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가상현실 장비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들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및 일반 영상 모두에 적용가능함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6을 이용하여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수용(또는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핸드폰(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수용하고, 핸드폰 의 화면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핸드폰 케이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가 일체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그에 장착된 핸드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핸드폰을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핸드폰이 밀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핸드폰이 이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100)는 핸드폰(10)과 결합, 즉 핸드폰(10)을 수용하고 있다. 핸드폰(10)에 대응하여,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100)는 케이싱(110), 접안 플레이트(120) 및 스크린 부재(130)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핸드폰(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통칭하는 의미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핸드폰(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가상현실 장비의 본체 등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핸드폰(10)은 전면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12) 및 후면에 설치되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4)를 포함하며, 전면의 메인 디스플레이(12) 또는 기타 버튼 조작 등을 통해서 핸드폰(10)은 기본적인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의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4)는 접안 플레이트(120)와 함께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4)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접안 플레이트(120)의 이동감지 등을 통해서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드폰(1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카메라 모듈(16)이 장착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16)은 외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강현실(AR)이나 혼합현실(MR)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16)은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방향도 정면, 측면, 상면, 저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촬영하기 위해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고, 180도 또는 360도 촬영을 위해 어안렌즈 형식으로도 제공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 및 증강현실 등의 응용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10)은 상술한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인 디스플레이(12),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4) 및 카메라 모듈(16) 중 적어도 하나)을 수용하는 핸드폰 몸체를 포함한다.
핸드폰 몸체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기타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핸드폰 몸체는 직육면체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케이싱(110)은 핸드폰(10)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케이싱(110)은 핸드폰(10)의 핸드폰 몸체를 고정하여 수용할 수 있다. 케이싱(110)이 핸드폰(10)의 핸드폰 몸체를 고정 및 수용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핸드폰 몸체가 케이싱(110)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싱(110)은 후방으로는 디스플레이를 개방하기 위한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는 하나의 홀 또는 2개 이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핸드폰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10)의 전면 일측에 전면 덮개(1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110)은 보호 프레임을 이용하여 핸드폰 몸체의 측면을 감싸 고정할 수 있다. 보호 프레임은 핸드폰 몸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핸드폰 몸체의 측면과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신축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보호 프레임의 복원력으로 핸드폰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 프레임은 구조적으로 핸드폰 몸체가 빠지지 않도록 적어도 일 측면의 모서리가 안쪽으로 휘어지거나 튀어나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호 프레임은 개폐식으로 구성되어, 보호 프레임의 일 모서리를 개방하고, 핸드폰 몸체를 수용한 후 개방된 모서리를 폐쇄하여, 핸드폰 몸체가 보호 프레임 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프레임은 핸드폰 몸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홈에 맞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이용하여 핸드폰 몸체를 보호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로서 제공된 것이며, 핸드폰 몸체를 보호 케이스, 즉 케이싱(110)에 고정 및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싱(110)을 포함하는 핸드폰 케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핸드폰(1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접안 플레이트(120)는 한 쌍의 접안 렌즈(122)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접안 렌즈(122)를 통해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접안 렌즈(122)는 미세한 회전 조작을 통해서 초점을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좌우 폭을 조절하여 눈 사이 거리에 대응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접안 렌즈(122) 주변으로 얼굴 형상에 대응하는 쿠션이나 빛의 차단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는 광차단 구조 등이 추가될 수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안 플레이트(120)의 적어도 일부에는 발열수단 또는 냉각수단이 포함되어, 접안 플레이트(120)가 추운 날씨에 따뜻해지거나, 더운 날씨에 차가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안 플레이트(120)에 포함된 발열수단 또는 냉각수단은 가상현실 영상과 연동되어, 접안 플레이트(120)가 가상현실 영상의 종류나 장면에 대응하여 따뜻해지거나 차가워지도록 할 수 있다.
스크린 부재(130)는 핸드폰(10) 또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10)의 후면에 장착되며, 그 자체로 상호 포개어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통(140)은 핸드폰(10) 또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이 외에 타원형, 다각형 또는 눈 형상에 맞게 8-자 외형을 갖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 부재(130)에서 스크린 통(140)은 금속 안테나와 같이 어느 정도 마찰을 갖고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임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통(140)은 4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핸드폰(10)은 후면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14) 또는 별도로 제공되는 다른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다양한 기능을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터치 또는 음성입력 등을 통한 번호입력, 문서 작성, 주소록 확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등을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동영상 시청, 음악 청취 등을 추가로 구현할 수가 있다. 핸드폰(10)에 가상현실 디스플레이(14) 하나만 설치하는 경우, 위와 같은 다양한 기능은 가상현실 디스플레이(14)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으며, 스크린 부재(130)를 일시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핸드폰(10) 또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10)에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디스플레이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와 서로 분리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거나 서로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14)에 대향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추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용 중인 가상현실 디스플레이(14)와 동일한 내용 또는 그와 연관된 내용을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하는 착용자는 다른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과 정보 교류 또는 다양한 교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크린 부재(130)를 구성하는 스크린 통(140)은 이중벽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중벽을 형성하는 스크린 통(140)은 내벽(142) 및 외벽(144)을 포함하며, 내벽(142)과 외벽(144)과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서 이격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스크린 통(140)은 이중벽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단일벽 구조에 비해 동일 두께에 비해 현저히 경량화된 무게를 유지하며, 견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크린 통(140)에는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탄성 돌기(147)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스크린 통(140)이 연장된 이격 상태에서 탄성 돌기(147)는 다른 스크린 통(140)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스크린 통(140)이 상호 겹쳐지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 통(140)이 상호 겹쳐진 밀착 상태에서는 탄성 돌기(147)는 다른 스크린 통(140)에 형성된 돌기 수용홈(149)에 걸림으로써, 역시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스크린 통(140)이 상호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돌기(147)가 스크린 통(140)의 내벽(142)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지만, 반대로 외벽 또는 내/외벽 모두에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신축 방향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 돌기(147)가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 외에도, 판스프링과 같이 자체 탄성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린 부재(130)의 스크린 통(140)은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이중벽으로 형성되는 경우, 단순히 경량화를 구현하는 것 외에도 다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부재(130)에 통풍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제1 통풍구(146) 및 제2 통풍구(148)를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중벽 구조의 스크린 통(140)에서는 내벽(142)에 제1 통풍구(146)를 형성하고 외벽(144)에는 제2 통풍구(148)를 형성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풍구(146)와 제2 통풍구(148)가 상호 겹치지 않게, 즉 어긋나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통(140)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내용으로 설명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접안 플레이트(120)에도 혹은 접안 플레이트(120)에만 통풍구가 형성될 수가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부재(130)는 핸드폰(10) 또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10)과 접안 플레이트(120) 사이에 개재되며, 접안 플레이트(1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동안 외부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통(140)의 사이즈가 후방으로 점차 늘어나며, 전후 방향으로 늘었다가 줄어들 수 있지만, 반대로 스크린 통의 사이즈가 점차 줄어들도록 할 수도 있고, 스크린 통의 사이즈가 늘어나다가 줄어들게 하던지 그 반대로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 통(140)은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4면에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개방되더라도 몰입도를 심각하게 방해하지 않는 차원에서 핸드폰(10) 또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10)과 접안 플레이트(120) 사이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10), 접안 플레이트(120), 및 스크린 부재(130)를 포함하며, 추가로 후면 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커버(150)는 접안 플레이트(120)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동안 핸드폰(10),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10) 또는 접안 플레이트(120)의 저면으로 늘어져 사용될 수 있다.
후면 커버(150)를 핸드폰(10) 또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10)에 형성하는 경우, 접안 플레이트(120)를 보호하는 것 외에 가상현실의 컨텐츠와 연동하여 특정 냄새를 발생하는 냄새 발생부 또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 발생부(170)를 추가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가상현실 기능을 더욱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 이격 상태의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60)는 일반 마스크의 귀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평소에는 접안 플레이트(120)의 양측에 준비되었다가, 사용자의 편의를 통해 후방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핸드폰(10) 또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부재(160)는 안경 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탄성 밴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200)는 메인 바디(210), 제1 접안 플레이트(220), 제2 접안 플레이트(221), 제1 스크린 부재(230), 그리고 제2 스크린 부재(231)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210)는 후면에 설치되는 제1 가상현실 디스플레이(212)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214)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212, 114) 또는 기타 버튼 조작 등을 통해서 기본적인 작동,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바디(210)에서 제1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212, 214)는 후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220, 221)는 각각 접안 렌즈(222)를 포함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212, 214)에 표시된 영상을 확대하여 볼 수가 있다. 접안 렌즈(222)는 미세한 회전 조작을 통해서 초점을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스크린 부재(230, 231)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초점을 조절하거나 좌우 폭과 같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미세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접안 렌즈(222) 주변으로 얼굴 형상에 대응하는 쿠션이나 빛의 차단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는 광차단 구조 등이 추가될 수가 있다.
제1 및 제2 스크린 부재(230, 231)는 메인 바디(210)의 후면에 장착되며, 그 자체로 상호 포개어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2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통(240)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이 외에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가 있다.
제1 및 제2 스크린 부재(230, 231)에서 스크린 통(240)은 금속 안테나와 같이 어느 정도 마찰을 갖고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임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통(240)은 4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10)는 핸드폰을 수용하고, 수용된 핸드폰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212, 214)는 통공 또는 투시가능한 부재로 구성되어, 핸드폰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212, 214)는 메인 바디(210)가 핸드폰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획득한 가상현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및 그에 장착된 핸드폰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300)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310), 접안 플레이트(320) 및 스크린 부재(330)를 포함한다.
핸드폰(10)은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2) 및 후면에 설치되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4)를 포함하며, 전면의 메인 디스플레이(12) 또는 기타 버튼 조작 등을 통해서 핸드폰(10)은 기본적인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등을 수행할 수 있고, 후면의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14)는 접안 플레이트(120)와 함께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폰(10)은 케이싱(310) 내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없지만, 다르게는 후술할 바와 같이 케이싱(310)을 내부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으로 구현한 경우라면, 역전 가능하게 방향을 전환시킬 수도 있다.
접안 플레이트(320)는 한 쌍의 접안 렌즈(322)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접안 렌즈(322)를 통해서 역전된 디스플레이(312)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접안 렌즈(322)는 미세한 회전 조작을 통해서 초점을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좌우 폭을 조절하여 눈 사이 거리에 대응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접안 렌즈(322) 주변으로 얼굴 형상에 대응하는 쿠션이나 빛의 차단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는 광차단 구조 등이 추가될 수가 있다.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330)는 거리 조절부(331) 및 광차단 스크린(340)을 포함하며, 거리 조절부(331)는 중앙 일측에서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332) 및 제2 링크(334)를 포함하며, 제1 링크(332)의 타단은 케이싱(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링크(334)의 타단은 접안 플레이트(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332) 및 제2 링크(334)을 포함하는 4개의 조합이 케이싱(310)의 4개 모서리에서 접안 플레이트(320)를 연결하며, 제1 링크(332) 및 제2 링크(334)는 일자(一字)으로 펼쳐지거나 V-자 형상으로 꺾이면서 접안 플레이트(320)를 이격 상태 및 밀착 상태 간에 이동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링크(332)는 길이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링크(332)는 상호 중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로드(336, 337)를 포함하며, 로드(336, 337)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에는 미세 조절 나사(338)가 장착되어 로드(336, 337) 간의 중첩된 길이를 조절 및 고정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장공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걸림턱을 이동시키면서 로드 간의 중첩 길이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중첩된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미세한 거리 조정이 가능하며, 4개의 링크 조합을 독립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접안 디스플레이의 각도, 디스플레이의 가로축에 대한 틀어짐도 조절이 가능하다.
다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광차단 스크린(340)은 케이싱(310)과 접안 플레이트(320) 사이에 개재되며, 접안 플레이트(3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동안 외부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차단 스크린(340)은 벨로우즈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케이싱(310) 및 접안 플레이트(320)에 고정되어 실질적으로 완벽한 암실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광차단 스크린(340)은 벨로우즈가 아닌 신축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될 수가 있다. 어느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가 이격 상태에 이르러서야 다른 타측에 고정되게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광차단 스크린(340)은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4면에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개방되더라도 몰입도를 심각하게 방해하지 않는 차원에서 케이싱(310)과 접안 플레이트(320) 사이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현실 기능을 더욱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 이격 상태의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360)는 케이싱(310)에서 일반 마스크의 귀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평소에는 케이싱(310)의 후면 양측에 준비되었다가, 사용자의 편의를 통해 후방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고정 부재(360)는 안경 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탄성 밴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부재(360)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머리 뒤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고정 부재(360)는 사용자의 머리 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머리 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험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가상현실 화면에 사용자의 머리 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점의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하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110), 및 케이싱(1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환 바디(1180)를 포함한다. 전환 바디(1180)는 케이싱(1110)의 일측에서 회전 하면서 정면 및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환되며, 스크린 부재(1130) 및 스크린 부재(1130)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따른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하는 핸드폰(10) 및 핸드폰(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환 바디(1180)를 포함한다. 전환 바디(1180)는 핸드폰(10)의 일측에서 회전 하면서 정면 및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환되며, 스크린 부재(1130) 및 스크린 부재(1130)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바디(1180)는 다축 힌지 또는 단축 힌지를 이용하여 케이싱(1110)의 배면 및 정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환 바디(1180)가 케이싱(1110)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케이싱(1110)에 수용된 핸드폰(10)의 디스플레이(12)는 멀티미디어를 위한 영상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케이싱(1110) 또는 전환 바디(1180)에 통신 모듈이 장착된 경우에는 통신 기기로서도 기능을 할 수가 있다.
그러다가 전환 바디(1180)가 케이싱(1110)의 정면 상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도 15와 같이, 접안 플레이트(1120)가 이격 상태로 확장될 수 있고, 스크린 부재(1130)도 주름관, 벨로우즈 등의 형태로 확장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스크린 통을 이용하여 압축 또는 신장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크린 부재(1130)는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때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링크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고, 이 외에도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로서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안테나 렉, 솔레노이드, 코일 스프링, 형상기업합금 등 다양한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는 스크린 부재(113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될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1130)가 케이싱(1110)의 정면에 밀착된 상태(즉, 케이싱(1110)에 수용된 핸드폰(10)의 정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1120) 및 스크린 부재(1130)는 이격 상태로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접안 플레이트(11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2)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환 바디(1180)가 케이싱(1110)의 장측부에서 회전하지만, 전환 바디(1180)는 케이싱(1110)의 반대쪽 장측부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장측부가 아닌 단측부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하는 핸드폰(10)의 측면에 부착 또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1214) 및 가이드 레일(12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환 바디(128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레일(1214)은 핸드폰(10)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싱(미도시)의 일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핸드폰(10)은 측면에 가이드 레일(1214)을 결합된 일체로서 구비할 수도 있다.
전환 바디(1280)는 가이드 레일(1214)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탈착 또는 장착이 가능하며, 가이드 레일(1214) 역시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어 정면 및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전환 바디(1280)는 스크린 부재(1230) 및 스크린 부재(1230)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바디(1280)는 가이드 레일(1214)에서 전후 방향을 달리하여 핸드폰(10)의 배면 및 정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환 바디(1280)가 핸드폰(10)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핸드폰(10)의 디스플레이(12)는 멀티미디어를 위한 영상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핸드폰(10) 또는 전환 바디(1280)에 통신 모듈이 장착된 경우에는 통신 기기로서도 기능을 할 수가 있다.
그러다가 전환 바디(1280)가 핸드폰(10)의 정면 상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도 19와 같이, 접안 플레이트(1220)가 이격 상태로 확장될 수 있고, 스크린 부재(1230)도 복수의 스크린 통을 이용하여 확장될 수가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크린 부재(1230)는 자체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로서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안테나 렉, 솔레노이드, 코일 스프링, 형상기업합금 등 다양한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는 스크린 부재(123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될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1230)가 디스플레이(12)가 형성된 핸드폰(10)의 정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1220) 및 스크린 부재(1230)는 이격 상태로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접안 플레이트(12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2)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환 바디(1280)가 핸드폰(10)의 장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214)을 따라 탈부착되지만, 전환 바디(1280)는 장측면이 아닌 단측면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단측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탈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하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310) 및 케이싱(1310)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환 바디(13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환 바디(1380)는 스크린 부재(1330) 및 스크린 부재(1330)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따른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하는 핸드폰(10) 및 핸드폰(10)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환 바디(13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환 바디(1380)는 스크린 부재(1330) 및 스크린 부재(1330)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310)과 전환 바디(1380)는 레일 바디(1385)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 바디(1385)는 케이싱(1310)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환 바디(1380)에는 레일(1382)을 통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결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환 바디(1380)는 케이싱(13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며, 메인 바디(1380)의 정면 및 배면 간에 전환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바디(1380)는 레일 바디(1385)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레일 바디(1385)와 함께 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이동을 통해서 전후 방향을 달리하여 케이싱(1310) 및 케이싱(1310)에 수용된 핸드폰(10)의 배면 및 정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환 바디(1380)가 케이싱(1310) 및 케이싱(1310)에 수용된 핸드폰(10)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케이싱(1310)에 수용된 핸드폰(10)의 디스플레이(12)는 멀티미디어를 위한 영상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케이싱(1310) 또는 전환 바디(1380)에 통신 모듈이 장착된 경우에는 통신 기기로서도 기능을 할 수가 있다.
그러다가 전환 바디(1380)가 케이싱(1310) 및 케이싱(1310)에 수용된 핸드폰(10)의 정면 상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도 22와 같이, 접안 플레이트(1320)가 이격 상태로 확장될 수 있고, 스크린 부재(1330)도 복수의 스크린 통을 이용하여 확장될 수가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크린 부재(1330)는 자체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로서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안테나 렉, 솔레노이드, 코일 스프링, 형상기업합금 등 다양한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는 스크린 부재(133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될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1330)가 케이싱(1310) 및 케이싱(1310)에 수용된 핸드폰(10)의 정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1320) 및 스크린 부재(1330)는 이격 상태로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접안 플레이트(13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2)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환 바디(1380)가 메인 바디(1310)의 장측부에 장착된 레일 바디(1385)에 의해서 위치를 전환하지만, 전환 바디(1380)는 장측부가 아닌 단측부에 레일 바디나 기타 구조를 형성하고, 단측부에서 위치를 전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5는 도 2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하는 핸드폰(10)을 수용하는 케이싱(1410) 및 케이싱(1410)의 정면 및 배면에 탈부착되면서 전환되는 전환 바디(14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환 바디(1480)는 스크린 부재(1430) 및 스크린 부재(1430)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410)과 전환 바디(1480)는 탈부착 버튼(1482, 1484)을 이용하여 상호 결속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정면 및 배면에 동일한 결속 관계를 형성하여, 정면 및 배면을 전환하여도 동일하게 장착될 수가 있다. 탈부착 버튼(1482, 1484) 외에도 케이싱(1410)과 전환 바디(1480)는 자석 버튼, 결속 돌기-홈 구조, 흡착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속될 수가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바디(1480)는 탈부착 버튼(1482, 1484)을 이용하여 전후 방향을 달리하여 케이싱(1410)의 배면 및 정면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전환 바디(1480)가 케이싱(1410)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핸드폰(10)의 디스플레이(12)는 멀티미디어를 위한 영상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케이싱(1410) 또는 전환 바디(1480)에 통신 모듈이 장착된 경우에는 통신 기기로서도 기능을 할 수가 있다.
그러다가 전환 바디(1480)가 케이싱(1410)의 정면 상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도 25와 같이, 접안 플레이트(1420)가 이격 상태로 확장될 수 있고, 스크린 부재(1430)도 복수의 스크린 통을 이용하여 확장될 수가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크린 부재(1430)는 자체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로서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안테나 렉, 솔레노이드, 코일 스프링, 형상기업합금 등 다양한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는 스크린 부재(143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될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1430)가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케이싱(1410)의 정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1420) 및 스크린 부재(1430)는 이격 상태로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접안 플레이트(14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1510), 메인 바디(1510)의 일 면에 형성된 한 쌍의 영상 발광부(1514), 및 영상 발광부(1514) 각각에 근접 거리로 장착된 접안 렌즈(1522)를 포함한다.
도 26 및 도 27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15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15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영상 발광부(1514)는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발광부(1514)는 디스플레이로서 고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접안 렌즈(1522)를 통해 확대된 영상을 제공할 수가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발광부는 프로젝터로서 접안 렌즈를 통해 망막으로 특정 영상을 영사하는 기능을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발광부(1514) 및 접안 렌즈(1522)는 고정된 거리를 유지하여, 근접 거리로서 이전 실시예와 같이 밀착 상태와 이격 상태로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의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얇고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접안 렌즈에 장착된 아이컵(15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컵(1524)은 접안 렌즈(1522) 주변으로 불필요한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눈 주변의 얼굴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아이컵(1524)은 변형이 가능한 구조로서, 메인 바디(1510)에 밀착되는 평면 상태 및 얼굴의 눈 주변 형상에 대응하는 굴곡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이 때 아이컵(1524)은 공기 출입에 의한 튜브형식 변형, 형상기억합금에 의한 변형, 전기 인가에 의한 변형 등을 이용하여 형상이 전환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8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16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16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1610), 메인 바디(1610)의 일 면에 형성된 한 쌍의 영상 발광부(1614), 영상 발광부(1614) 각각에 근접 거리로 장착된 접안 렌즈(1622), 및 영상 발광부(1614)와 접안 렌즈(1622)를 수용하는 경통 부재(1616)를 포함한다.
영상 발광부(1614)는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발광부(1614)는 디스플레이로서 고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접안 렌즈(1622)를 통해 확대된 영상을 제공할 수가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발광부는 프로젝터로서 접안 렌즈를 통해 망막으로 특정 영상을 영사하는 기능을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발광부(1614) 및 접안 렌즈(1622)는 고정된 거리를 유지하여, 근접 거리로서 이전 실시예와 같이 밀착 상태와 이격 상태로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의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얇고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통 부재(1616)는 영상 발광부(1614)와 접안 렌즈(1622)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좌우가 분리될 수가 있다. 좌우로 상호 분리됨에 따라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가 코 등의 얼굴 형상 및 굴곡에 대응할 수 있으며, 경통 부재(1616)와 함께 접안 렌즈(1622)가 메인 바디(1610)에 밀착되어 있다가 메인 바디(1610)로부터 인출될 수가 있다.
또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접안 렌즈에 장착된 아이컵(16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컵(1624)은 접안 렌즈(1622) 주변으로 불필요한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눈 주변의 얼굴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아이컵(1624)은 변형이 가능한 구조로서, 메인 바디(1610)에 밀착되는 평면 상태 및 얼굴의 눈 주변 형상에 대응하는 굴곡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이때 아이컵(1624)은 공기 출입에 의한 튜브형식 변형, 형상기억합금에 의한 변형, 전기 인가에 의한 변형 등을 이용하여 형상이 전환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9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17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17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1710), 메인 바디(17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1720) 및 메인 바디(1710)와 접안 플레이트(1720) 사이에 개재되는 스크린 부재(1730)를 포함한다. 스크린 부재(1730)는 메인 바디(17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17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17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스크린 부재(1730)는 에어 튜브로서 공기의 출입을 통해 접안 플레이트(1720)가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17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1710)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스크린 부재(1730)로 공기를 불어 넣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튜브의 노즐을 통해 입 또는 별도의 수동 펌프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부재(1730)로 자동으로 공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양방향 펌프(17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부재(1730)는 디스플레이 및 스크린 부재 사이의 공간을 밀폐된 튜브 공간(1732)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확장되었다가 축소될 수도 있으며, 펌프(1734)를 이용하여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은 물론, 공기를 배출하여 스크린 부재(1730)가 장비의 디스플레이에 밀착되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실질적인 진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0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18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18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1810), 메인 바디(18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1820) 및 메인 바디(1810)와 접안 플레이트(1820) 사이에 개재되는 스크린 부재(1830)를 포함한다. 스크린 부재(1830)는 메인 바디(18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18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18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스크린 부재(1830)는 에어 튜브로서 공기의 출입을 통해 접안 플레이트(1820)가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18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1810)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스크린 부재(1830)로 공기를 불어 넣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튜브의 노즐을 통해 입 또는 별도의 수동 펌프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부재(1830)로 자동으로 공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양방향 펌프(18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부재(1830)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며, 그 내부 공간을 밀폐된 튜브 공간(1832)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확장되었다가 축소될 수도 있으며, 펌프(1834)를 이용하여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은 물론, 공기를 배출하여 스크린 부재(1830)가 장비의 디스플레이에 밀착되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실질적인 진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1910), 메인 바디(19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1920) 및 메인 바디(1910)와 접안 플레이트(1920) 사이에 개재되는 스크린 부재(1930)를 포함한다. 스크린 부재(1930)는 메인 바디(19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19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19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1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19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19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스크린 부재(1930)는 에어 튜브로서 공기의 출입을 통해 접안 플레이트(1920)가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19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1910)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스크린 부재(1930)로 공기를 불어 넣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튜브의 노즐을 통해 입 또는 별도의 수동 펌프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부재(1930)로 자동으로 공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양방향 펌프(19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부재(1930)는 공기 프레임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유로 공간을 밀폐된 튜브 공간(1932)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확장되었다가 축소될 수도 있으며, 펌프(1934)를 이용하여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은 물론, 공기를 배출하여 스크린 부재(1930)가 장비의 디스플레이에 밀착되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실질적인 진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2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1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2110), 메인 바디(21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접안 플레이트(2120, 2121), 및 메인 바디(2110)와 접안 플레이트(2120, 2121)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한 쌍의 스크린 부재(2130, 21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부재(2130, 2131)는 좌우로 분리되어 제공되며, 접안 플레이트(2120)도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펌프가 동일한 경우 동시에 확대 및 축소될 수 있지만, 펌프가 좌우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경우 좌우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같은 펌프를 사용하더라도 중간의 밸브를 이용하여 좌우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 쪽을 우선 설명하면, 스크린 부재(2130)는 메인 바디(21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21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212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스크린 부재(2130)는 에어 튜브로서 공기의 출입을 통해 접안 플레이트(2120)가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물론 반대쪽도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2120, 2121)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2110)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스크린 부재(2130, 2131)가 디스플레이 및 스크린 부재 사이의 공간을 밀폐된 튜브 공간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확장되었다가 축소될 수 있지만, 도 30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스크린 부재를 이중벽 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도 3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스크린 부재에 공기 프레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스크린 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5는 도 3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2214)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2210), 메인 바디(22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2220), 및 메인 바디(2210)와 접안 플레이트(2220)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22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22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2220)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2230)를 포함한다.
도 33 내지 도 35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2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스크린 부재(2230)는 접이선(2234)을 매개로 연결된 조각편들(2232)을 이용하여 제공되며, 조각편들(2232)이 상호 접철되면서 접안 플레이트(2220)가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22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2210)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2214)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부재(2230)는 합성수지 판넬, 금속 박막, 고무 등을 이용한 복합 소재 또는 종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일종의 상자 접는 방식처럼 스크린 부재(2230)가 납작하게 밀착되었다가 이격 상태를 위해 확장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부재(2230)가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판재가 반으로 간단히 접히고 좌우 판재의 상하단 경계가 반으로 접히면서 접철되도록 조각편들(2232)이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스크린 부재(2230)는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접철 및 확장될 수 있으며, 조각편들의 조합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가 있다. 일 예로, 좌우 판재가 반으로 간단히 접히고 상하 판재의 상하단 경계가 반으로 접히면서 접철되도록 조각편들이 연결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2310), 메인 바디(23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2320), 및 메인 바디(2310)와 접안 플레이트(2320)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23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23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2320)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2339)를 포함한다.
도 36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3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36에 도시된 스크린 부재(2339)는 메인 바디(23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부재(2339)는 롤스크린(2332, 2334)을 이용하여 제공되며, 접안 플레이트(23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2310)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롤스크린(2332, 2334)은 2개씩 쌍을 이루며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롤스크린(2332, 2334)은 접안 플레이트(2320)가 이격 상태로 이동하면서, 감겨진 스크린을 뒤로 배출할 수 있으며, 접안 플레이트(2320)를 밀착 상태로 복귀하면 자동으로 감기면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크린 부재(2330)는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때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링크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고,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로서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안테나 렉, 솔레노이드, 코일 스프링, 형상기업합금 등 다양한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는 스크린 부재(233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될 수가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2410), 메인 바디(24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2420), 및 메인 바디(2410)와 접안 플레이트(2420)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24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24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2420)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2439)를 포함한다.
도 37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4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37에 도시된 스크린 부재(2439)는 메인 바디(24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4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부재(2439)는 롤스크린(2432, 2434)을 이용하여 제공되며, 접안 플레이트(24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2410)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롤스크린(2432, 2434)은 2개씩 쌍을 이루며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롤스크린(2432, 2434)은 접안 플레이트(2420)가 이격 상태로 이동하면서, 감겨진 스크린을 뒤로 배출할 수 있으며, 접안 플레이트(2420)를 밀착 상태로 복귀하면 자동으로 감기면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크린 부재(2430)는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때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링크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고,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로서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안테나 렉, 솔레노이드, 코일 스프링, 형상기업합금 등 다양한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는 스크린 부재(243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세로 방향 롤스크린(2434)의 경계가 가로 방향 롤스크린(2432)의 경계를 넘어서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롤스크린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제공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롤스크린은 메인 바디로부터 인출되지만, 반대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안 플레이트로부터 인출되도록 장착할 수 있으며, 롤스크린이 메인 바디 및 접안 플레이트 양쪽에서 함께 인출되어 중간 지점에서 서로 만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롤스크린이 분리되지 않고, 폐곡면을 형성하는 스크린을 원형 또는 사각형 코어로 하나로 감아서 보관하였다가 동시에 인출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저면 후방 사시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2510), 메인 바디(25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2520), 및 메인 바디(2510)와 접안 플레이트(2520)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25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25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2520)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2530)를 포함한다.
도 38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5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36에 도시된 스크린 부재(2530)는 메인 바디(25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5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 중 코를 수용하기 위한 만입부(2536) 접안 플레이트(2520) 또는 스크린 부재(2530)에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접안 플레이트(25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코의 걸림 없이 접안 플레이트(2520)를 얼굴에 밀착시킬 수가 있고, 메인 바디(25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참고로, 만입부(2536)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이전 실시예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도 14 내지 도 25에 설명된 전환 바디를 이용한 구성도 만입부 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또한, 접안 플레이트에도 접안 렌즈 주변으로 통풍구(2538)가 형성될 수 있으며, 통풍구(2538)는 스크린 부재에 형성되는 것과 유사한 기능을 할 수가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저면 후방 사시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핸드폰(2511)은 스크린 부재(253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핸드폰(2511)은 핸드폰(2511)을 수용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 프레임(2514)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가상현실 장비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핸드폰(2511)은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기능이 없는 단말기 또는 핸드폰,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보호케이스 프레임(2514)의 내면에는 디스플레이(2512)에 대응하는 관통홀(2516)이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소에 디스플레이(2512)가 케이스 바깥쪽을 향하도록 장착하고 있다가,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핸드폰(2511)의 디스플레이(2512)가 안쪽을 향하도록 전환시켜 보호케이스 프레임(2514)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1은 도 40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2610), 메인 바디(26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2620), 메인 바디(2610)와 접안 플레이트(2620) 사이에 개재되는 스크린 부재(2630), 및 메인 바디(2610)와 접안 플레이트(2620)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도 40 및 도 41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6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스크린 부재(2630)는 메인 바디(26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6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스크린 부재(2630)는 메인 바디(26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26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26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재질, 구조 및 작동원리의 스크린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메인 바디 또는 접안 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 밴드(2660) 및 메인 바디 또는 접안 플레이트의 중앙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수평 밴드(2660)에 일부 고정되는 중심 밴드(26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밴드(2660)는 접안 플레이트(2620)와 연결되어 연장되고, 좌우 분리되어 사용자의 귀에 결속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인 바디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고, 하나의 띠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뒤통수에서 서로 결속될 수도 있다.
역시 중심 밴드(2670) 역시 메인 바디(2610)의 중앙 상단에 연결되어 있지만, 접안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심 밴드(2670)는 Y-자 형상으로 분기되어 제1 분기라인(2672) 및 제2 분기라인(2674)을 형성하며, 분기된 제1 분기라인(2672) 및 제2 분기라인(2674)의 단부에는 결속구(2676)가 형성되어 각각 수평 밴드(266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중심 밴드(2670)에는 제1 분기라인(2672) 및 제2 분기라인(2674)을 횡방향으로 잇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텐션라인(2678)을 포함할 수 있다. 텐션라인(2678)은 제1 분기라인(2672) 및 제2 분기라인(2674)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중심 밴드(2670)가 머리의 뒤통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머리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중심 밴드(2670) 및 수평 밴드(2660)는 메인 바디(2610) 또는 접안 플레이트(2620)에 별도로 연결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가,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고 인출되도록 내장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2710), 메인 바디(27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메인 바디(27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2726)를 내장하는 접안 플레이트(2720), 및 메인 바디(2710)와 접안 플레이트(2720)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27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27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2720)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2730)를 포함한다. 상기 접안 플레이트(27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27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2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7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42에 도시된 스크린 부재(2730)는 메인 바디(27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7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듯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배터리, 카메라 등의 부속은 메인 바디(2710)에 장착될 수 있는데, 메인 바디(2710)는 가장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많은 하중을 부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2726)와 같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속을 접안 플레이트(2720)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부속도 접안 플레이트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바디(2710)에는 디스플레이 및 관련 부속만 위치시켜 경량화할 수 있으며, 기능적으로 꼭 필요하지만 하중에 부담이 되는 부속은 접안 플레이트에 장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접안 플레이트(2720)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위한 카메라(2728), 메인 보드,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자의 안면에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부재(2730)는 메인 바디(27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27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27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재질, 구조 및 작동원리의 스크린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스크린 부재를 확장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4는 도 43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접안 플레이트를 안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3 및 도 4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2810), 메인 바디(28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2820), 및 메인 바디(2810)와 접안 플레이트(2820)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바디(2810)에 대해 접안 플레이트(2820)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2820)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2830)를 포함한다.
도 43 및 도 44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8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43 및 도 44에 도시된 스크린 부재(2830)는 메인 바디(28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8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부재(2830)가 연장된 상태에서 스크린 부재(2830)의 얼굴 측 단부에는 얼굴의 윤곽에 대응하는 만입 수용부(2836)가 형성되며, 접안 플레이트(2820)는 스크린 부재(2830)가 연장된 상태로 전환될 때 같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안 플레이트(2820)는 스크린 부재(2830)가 연장된 상태에서 스크린 부재(2830)의 내부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고, 접안 플레이트(2820)가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적절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경우, 즉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28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참고로, 접안 플레이트(28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접안 플레이트(2820)와 스크린 부재(2830)의 단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어는 스크린 부재(2830)가 도 43와 같이 연장된 후 접안 플레이트(2820)가 소정의 거리 이상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안 플레이트(2820) 또는 스크린 부재(2830)는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만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린 부재(2830)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부재(2830)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이용하여 구현되었지만, 이 외에도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재질, 구조 및 작동원리의 스크린 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환 바디를 이용하여 메인 바디에 대해서 정면 또는 배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
또한, 스크린 부재(2830)를 형성하는 복수의 스크린 통 중 만입 수용부를 형성하는 스크린 통은 고무 또는 연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어, 분리되어도 상호 연결을 유지하게 할 수 있고, 얼굴과 맞닿는 부분에서 얼굴에 상처가 생기거나 차가운 냉기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6은 도 45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가 만개한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7은 도 45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가 만개한 상태에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5 내지 도 47을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2910), 메인 바디(2910)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메인 바디(29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2920), 및 메인 바디(2910)의 후면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립 커버(2932, 2934)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2930)를 포함한다.
도 45 내지 도 47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9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45 내지 도 47에 도시된 스크린 부재(2930)는 메인 바디(29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9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4개의 플립 커버(2932, 2934)가 메인 바디(2910)의 4개 모서리에 각각 장착되며, 플립 커버(2932, 2934)는 닫힌(closing) 상태에서는 밀착 상태에 있는 접안 플레이트(2920)를 덮고, 만개한(blooming) 상태에서는 이격 상태에 있는 접안 플레이트(2920) 및 메인 바디(2910) 사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29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29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닫힌 상태에서는 플립 커버(2932, 2934)가 접안 플레이트(2920)를 덮어 기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2932, 2934)는 미리 만개한 상태로 벌린 다음 접안 플레이트(2920)가 만개한 플립 커버(2932, 2934)의 안내를 받아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다른 경우로서 사용자가 안쪽으로 숨겨진 접안 플레이트(2920)를 이격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플립 커버(2932, 2934)가 접안 플레이트(2920)와 함께 만개한 상태로 벌어지게 할 수도 있다.
도 46을 보면, 스크린 부재(2930)는 가로 방향의 제1 플립 커버(2932) 및 제1 플립 커버(2932)와 동일 면에 제공되는 제2 플립 커버(2934)를 포함하며, 가로 방향의 제1 플립 커버(2932)가 열리면서 제2 플립 커버(2934)도 만개하는 상태로 펼쳐질 수가 있다.
또한, 만개한 상태의 제1 플립 커버(2932) 및 제2 플립 커버(2934) 간의 틈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2936)이 더 제공될 수 있으며, 탄성 재질의 차단막(2936)을 지지하기 위해 메인 바디(2910)의 코너에는 지지샤프트(2938)가 더 제공될 수가 있다. 지지샤프트(2938)는 플립 커버(2932, 2934)가 닫힌 상태에서 그 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접안 플레이트(2920)의 코너는 일종의 레일 구조를 이용하여 지지샤프트(2938)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고, 접안 플레이트(2920)는 지지샤프트(2938)에 의해서 안내되거나 지지샤프트(2938)와 함께 이격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8의 (a)를 참조하면, 스크린 부재는 가로 방향의 제1 플립 커버(2932') 및 그 위를 덮는 제2 플립 커버(29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플립 커버(2932)가 열리면서 그 위의 제2 플립 커버(2934')를 밀어 올리면서 만개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제2 플립 커버(2934')를 먼저 들어 올리면서 제1 플립 커버(2932')가 따라 올라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안 플레이트(2920)를 이격 상태로, 즉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제1 플립 커버(2932')가 먼저 열리고, 그에 따라 제2 플립 커버(2934')가 동시에 열리면서 만개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8의 (b)를 참조하면, 스크린 부재는 가로 방향의 제1 플립 커버(2932") 및 그 위를 덮는 제2 플립 커버(2934")를 포함하되, 접안 플레이트(2920)가 일부 노출되도록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노출된 접안 플레이트(2920)를 이격 상태로, 즉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제1 플립 커버(2932") 및 제2 플립 커버(2934")가 만개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50은 도 49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9 및 도 50을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3110), 메인 바디(3110)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메인 바디(31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3120), 및 메인 바디(3110)와 접안 플레이트(3120)의 일 측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바디(3132)와 메인 바디(3110)와 접안 플레이트(3120)의 타 측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 바디(3133)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를 포함한다.
도 49 및 도 50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31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49 및 도 50에 도시된 제1 측면 바디(3132) 및 제2 측면 바디(3133)는 메인 바디(29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3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메인 바디(3110), 제1 측면 바디(3132), 접안 플레이트(3120) 및 제2 측면 바디(3133)는 순서대로 연결되어 닫힌 폴딩 구조(closed folding structure)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9와 같이, 접안 플레이트(3120)가 밀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3110), 제1 측면 바디(3132), 접안 플레이트(3120) 및 제2 측면 바디(3133)은 그 내면들이 상호 밀착된 납작한(overlaid)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메인 바디(3110)와 제1 측면 바디(3132)가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고, 접안 플레이트(3120) 및 제2 측면 바디(3133)가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시적으로 제2 측면 바디(3133)와 메인 바디(3110)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전환될 수도 있다.
제1 측면 바디(3132) 또는 제2 측면 바디(3133)는 스크린 부재로서 측면 구조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바디에 스피커, 보조 디스플레이 또는 키보드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피커 또는 보조 디스플레이, 키보드가 필요한 경우 필요한 측면 바디가 전면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0과 같이, 접안 플레이트(31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3110), 제1 측면 바디(3132), 접안 플레이트(3120) 및 제2 측면 바디(3133)가 대략 사각 기둥을 형성하여 입체적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바디(3110)의 내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향하도록 접안 플레이트(3120)가 대향하여 배치되며, 메인 바디(3110)의 가상현실용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메인 바디(3110)의 전면에는 다른 디스플레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등이 더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부재는 이격 상태에서 개방된 사각 기둥의 평면과 저면을 차단하기 위한 폴딩 덮개(313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폴딩 덮개(3134)는 밀착 상태에서 메인 바디(3110)와 접안 플레이트(3120) 사이에서 접철된 상태로 있다가, 이격 상태에서 접이식 상자와 같이 펼쳐짐과 동시에 마주하는 개방된 면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51의 (a)를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3210), 메인 바디(3210)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메인 바디(32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3220), 및 메인 바디(3210)와 접안 플레이트(3220) 사이를 차단하는 광 차단막(3232) 및 광 차단막(323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구조(3234)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3230)를 포함한다. 접안 플레이트(32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32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1의 (a)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32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51의 (a)에 도시된 스크린 부재(3230)는 메인 바디(32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3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광 차단막(3232)은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직물, 스판, 실리콘 박막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도 중공의 기둥 또는 뿔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 지지구조(3234)는 광 차단막의 전체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광 차단막(3232)의 내면 또는 외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광 차단막(3232)의 내면을 따라 재봉되어 광 차단막(3232)과 함께 압축되었다가, 접안 플레이트(3220)가 메인 바디(3210)로부터 해제되면서 같이 기둥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 차단막(3232)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쌍안경 형상과 같이 좌우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51의 (b)를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3310), 메인 바디(3310)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메인 바디(33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3320), 및 메인 바디(3310)와 접안 플레이트(3320)사이를 차단하는 광 차단막(3332) 및 광 차단막(333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구조(3334)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3330)를 포함한다. 접안 플레이트(33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33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1의 (b)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33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51의 (b)에 도시된 스크린 부재(3330)는 메인 바디(33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3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광 차단막(3332)은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직물, 스판, 실리콘 박막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도 중공의 기둥 또는 뿔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 지지구조(3334)는 광 차단막(3332)의 내부에서 긴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스프링들은 접안 플레이트(3320)을 네 코너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스프링 지지부재(3334)는 광 차단막(3332)과 함께 압축되었다가, 접안 플레이트(3320)가 메인 바디(3310)로부터 해제되면서 같이 기둥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로서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안테나 렉, 솔레노이드, 코일 스프링, 형상기업합금 등 다양한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 장치 또는 거리 조절부는 스크린 부재(333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 차단막(3332)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쌍안경 형상과 같이 좌우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51의 (c)를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3410), 메인 바디(3410)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메인 바디(3410)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3420), 및 메인 바디(3410)와 접안 플레이트(3420) 사이에 개재되는 발포성 재질의 스크린 부재(3430)를 포함한다. 접안 플레이트(34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34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1의 (c)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34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51의 (c)에 도시된 스크린 부재(3430)는 메인 바디(34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34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스크린 부재(3430)는 스폰지, 메모리 폼 등 다양한 발포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접안 플레이트(3420)가 밀착 상태에 있는 경우 접안 플레이트(3420) 및 메인 바디(341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있다가, 접안 플레이트(3420)가 메인 바디(3410)로부터 분리되어 이격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된 스크린 부재(3430)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내부가 빛 중공 형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
스크린 부재(3430)가 발포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경량화된 스크린 부재(3430)를 이용할 수 있으며, 통풍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습기가 서리거나 내부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 차단막(3332)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쌍안경 형상과 같이 좌우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5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2(b)는 도 52(a)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3은 도 52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와 핸드폰이 밀착 상태에 있는 단면도이고, 도 54는 도 52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이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2 내지 도 5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3500)는 핸드폰(3510), 메인 프레임(3515), 내부 프레임(3516), 접안 플레이트(3520) 및 스크린 부재(3530)를 포함한다.
핸드폰(3510)은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3512)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3512) 또는 기타 버튼 조작 등을 통해서 기본적인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핸드폰(3510)은 내부 프레임(3516)에 수용되고, 메인 프레임(3515)은 내부 프레임(3516)을 역전 가능하게 수용한다.
이전 실시예와 달리, 핸드폰(3510)이 후면의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전면의 메인 디스플레이(3512)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핸드폰(3510)을 수용하는 내부 프레임(3516)이 메인 프레임(3515) 내에서 역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핸드폰(3510)을 수용하는 내부 프레임(3516)은 메인 프레임(3515) 내에서 180도 또는 360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핸드폰(3510)을 수용하는 내부 프레임(3516)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3512)가 전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되거나 후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될 수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프레임(3516)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채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폰(3510) 또한 내부 프레임(3516)의 각도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채로 고정되고, 핸드폰(3510)이 핸드폰(35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3512)를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하기 용이한 각도로 거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3512)의 방향은 핸드폰(3510) 또는 핸드폰(3510)을 수용하는 내부 프레임(3516)의 회전 상태를 통해 감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핸드폰(3510) 또는 핸드폰(3510)을 수용하는 내부 프레임(3516)의 방향 또는 접안 플레이트(3520)의 이동감지 등을 통해서 가상 현실 기능이 자동으로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접안 플레이트(3520)는 한 쌍의 접안 렌즈(3522)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접안 렌즈(3522)를 통해서 역전된 디스플레이(3512)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3530)는 메인 프레임(3515)의 후면에 장착되며, 그 자체로 상호 포개어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35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통(3540)은 핸드폰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이 외에 타원형 또는 눈 형상에 맞게 8-자 외형을 갖는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3530)에서 스크린 통(3540)은 금속 안테나와 같이 어느 정도 마찰을 갖고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임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통(3540)은 4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스크린 통(3540)으로 스크린 부재(3530)을 형성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 프레임(3515) 내에서 메인 바디(3510)가 회전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를 이용하되, 스크린 부재로는 스크린 통을 이용한 경우 외에 앞서 설명된 벨로우즈 방식(도 12), 슬라이드 끼움 방식(도 18), 버튼 고정 방식(도 23), 에어튜브 방식(도 29), 접이식 스크린 방식(도 33), 롤 스크린 방식(도 36), 접이식 플립커버 방식(도 47), 스크린 탄성 방식(도 51) 등에서도 메인 바디가 역전되는 구조 또는 프레임 내에서 회전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가 있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측면도이고, 도 56은 도 55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평면도이다.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핸드폰(3610) 및 핸드폰(3610)을 수용하는 케이싱(3615)을 포함하는 메인 바디, 접안 플레이트(3620) 및 스크린 부재(3630)를 포함한다. 스크린 부재(3630)는 케이싱(3615)과 연결된다.
핸드폰(3610)은 후면에 설치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증강현실 등을 위해 핸드폰(3610)의 전면에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가 있고,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와 함께 연동하거나 장비를 다른 목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보조 장치로 보조 디스플레이 등이 더 장착될 수가 있다. 여기서 다른 목적이라 하면, 장비를 전화 통화나 인터넷 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 메일이나 메시지 장비, 지도나 네비게이션 장비, 게임 기기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가 있다.
접안 플레이트(3620)는 한 쌍의 접안 렌즈(3622)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접안 렌즈(3622)를 통해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와 다르게,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부재(3630)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지 않고, 연장이 된 상태에서도 자체적으로 지탱이 가능한 광차단 스크린(364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차단 스크린(3640)은 지지부재 없이도 그 자체 강성만으로도 거리 조절부 없이 자체적으로 지탱이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지만, 자중에 의한 처짐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광차단 스크린(3640)은 스크린 내부에 형성된 지지부재(36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632)는 스크린의 내면, 외면 또는 내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스크린(3640)과 일체를 이루며 확장된 스크린 부재(3630)의 연장된 형상을 지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차단 스크린(3640)은 벨로우즈 형상으로 제공되며, 벨로우즈 형상의 광차단 스크린(3640)의 4지점에 소성 변형이 가능한 힌지 기능의 지지부재(3632)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재(3632)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이 가능하나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연장된 상태에서 광차단 스크린(3640) 및 메인 바디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소성 변형을 하는 지지부재(3632)는 광차단 스크린(3640)에서 4개의 지점에 형성되지만, 그보다 더 많거나 적게 형성될 수도 있고, 벨로우즈 형상의 광차단 스크린(3640) 역시 골과 마루의 깊이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최종 연장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가 있다. 일 예로, 지지부재(3632)는 0.1mm 이하의 두께로도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로 보이지 않고 광차단 스크린(3640) 내부에 내설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차단 스크린은 지지부재 없이도 그 자체 강성만으로도 거리 조절부 없이 자체적으로 지탱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가 있다. 이 경우, 압축된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3620)가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메인 바디 및 접안 플레이트(3620) 사이에 고정 버튼과 같이 결속구를 이용하여 밀착 상태에서 메인 바디와 접안 플레이트(3620)가 서로 벌어지지 않고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7 내지 도 65를 이용하여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사시도이며, 도 58은 도 5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9는 도 57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확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7 내지 도 5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4100)는 메인 바디(4110), 접안 플레이트(4120), 거리 조절 부재(4130), 스크린 부재(4140)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150)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4110)는 정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4112)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4112) 또는 기타 버튼 조작 등을 통해서 기본적인 작동,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7 내지 도 59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41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57 내지 도 59에 도시된 거리 조절 부재(4130)는 메인 바디(41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4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4100)는 음성 통신 모듈을 부가하여 핸드폰 기능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음성 통신 모듈 없이 다른 유무선 네트워크로 외부와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어플케이션을 포함하여 메시징, 게임, 동영상 시청, 음악 감상, 지도, 금융 등과 관련된 기능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바디(4110)의 디스플레이(4112)는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상태에서도 별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용 중인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150)와 동일한 내용 또는 그와 연관된 내용을 구현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하는 착용자는 디스플레이(4112)를 통해서 다른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과 정보 교류 또는 다양한 교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바디(4110)의 전면에는 카메라 모듈(4116)이 장착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4116)은 외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강현실(AR)이나 혼합현실(MR)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4116)은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방향도 정면이 아닌 측면이나 상면, 저면, 후면을 동시에 촬영하기 위해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고, 180도 또는 360도 촬영을 위해 어안렌즈 형식으로도 제공될 수가 있으며, 메인 바디(4110)가 아닌 접안 플레이트(4120)에도 장착될 수가 있다.
접안 플레이트(4120)는 한 쌍의 접안 렌즈(4122)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접안 렌즈(4122)를 통해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150)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접안 렌즈(4122)는 미세한 회전 조작을 통해서 초점을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좌우 폭을 조절하여 눈 사이 거리에 대응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접안 플레이트(4120)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15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유지 및 가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접안 렌즈(4122) 주변으로 얼굴 형상에 대응하는 쿠션이나 빛의 차단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는 광차단 구조 등이 추가될 수가 있다.
거리 조절 부재(4130)는 안테나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메인 바디(4110)와 접안 플레이트(4120)를 4개 지점에서 연결할 수 있다. 거리 조절 부재(4130)에 의해서 접안 플레이트(4120)는 스크린 부재(4140)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150)와 함께 메인 바디(4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 조절 부재로서 신축이 가능한 안테나 구조를 이용하지만, 이 외에도 공기 튜브, 스프링, 접철식 링크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조절 부재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전기 모터, 형상기억금속 등을 이용하여 자동을 작동하게 할 수도 있다.
스크린 부재(4140)는 접안 플레이트(4120)의 정면에 장착되며, 그 자체로 상호 포개어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414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부재(4140)는 접안 렌즈(4122) 각각에 대응하여 좌우로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며, 마치 쌍안경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암실 공간(DR)과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150)를 좌우로 별도로 제공한다.
쌍안경 구조의 스크린 통(4141)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이 외에도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 부재(4140)에서 스크린 통(4141)은 금속 안테나와 같이 어느 정도 마찰을 갖고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임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통(4141)은 스크린 부재(4140) 내부로 암실 공간을 형성하여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0을 참조하면, 스크린 부재(4140)를 구성하는 스크린 통(4141)은 이중벽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중벽을 형성하는 스크린 통(4141)은 내벽(4142) 및 외벽(4144)을 포함하며, 내벽(4142)과 외벽(4144)과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서 이격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스크린 통(4141)은 이중벽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단일벽 구조에 비해 동일 두께에 비해 현저히 경량화된 무게를 유지하며, 견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1을 참조하면, 스크린 통(4141)에는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탄성 돌기(4147)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스크린 통(4141)이 연장된 이격 상태에서 탄성 돌기(4147)는 다른 스크린 통(4141)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스크린 통(4141)이 상호 겹쳐지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 통(4141)이 상호 겹쳐진 밀착 상태에서는 탄성 돌기(4147)는 다른 스크린 통(4141)에 형성된 돌기 수용홈(4149)에 걸림으로써, 역시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스크린 통(4141)이 상호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돌기(4147)가 스크린 통(4141)의 내벽(4142)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지만, 반대로 외벽 또는 내/외벽 모두에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신축 방향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 돌기(4147)가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 외에도, 판스프링과 같이 자체 탄성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62를 참조하면, 도 6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린 부재(4140)의 스크린 통(4141)은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이중벽으로 형성되는 경우, 단순히 경량화를 구현하는 것 외에도 다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부재(4140)에 통풍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제1 통풍구(4146) 및 제2 통풍구(4148)를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중벽 구조의 스크린 통(4141)에서는 내벽(4142)에 제1 통풍구(4146)를 형성하고 외벽(4144)에는 제2 통풍구(4148)를 형성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풍구(4146)와 제2 통풍구(4148)가 상호 겹치지 않게, 즉 어긋나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통(4141)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내용으로 설명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접안 플레이트(4120)에도 혹은 접안 플레이트(4120)에만 통풍구가 형성될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4140)는 메인 바디(4110)와 접안 플레이트(4120) 사이에 개재되며, 접안 플레이트(4120)가 이격 상태에 있을 때 전방을 향해, 즉 메인 바디(4110)를 향해 확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통(4141)의 사이즈가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전후 방향으로 늘었다가 줄어들 수 있지만, 반대로 스크린 통의 사이즈가 점차 늘어나도록 할 수도 있고, 스크린 통의 사이즈가 늘어나다가 줄어들게 하던지 그 반대로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 통(4141)은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4면에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개방되더라도 몰입도를 심각하게 방해하지 않는 차원에서 메인 바디(4110)와 접안 플레이트(4120) 사이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3을 참조하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4110), 접안 플레이트(4120), 거리 조절 부재(4130), 스크린 부재(4140),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150)를 포함하며, 가상현실 기능을 더욱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 이격 상태의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4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3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41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63에 도시된 거리 조절 부재(4130)는 메인 바디(41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4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고정 부재(4160)는 마스크의 귀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평소에는 접안 플레이트(4120)의 양측에 준비되었다가, 사용자의 편의를 통해 후방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메인 바디(41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부재는 그 외에도 안경 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탄성 밴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6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4200)는 메인 바디(4210), 접안 플레이트(4220), 거리 조절 부재(4230), 스크린 부재(4240)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250)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4210)는 정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4212)를 포함하며, 접안 플레이트(4220)는 한 쌍의 접안 렌즈(4222)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접안 렌즈(4222)를 통해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250)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도 64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42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64에 도시된 거리 조절 부재(4230)는 메인 바디(42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4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다만, 하나의 스크린 부재(4240)가 접안 플레이트(4220)의 정면에 장착되며, 그 자체로 타원형의 단면을 포함하며, 하나의 암실 공간(DR)을 내부에 형성한다. 스크린 부재(4240)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42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린 통(4241)은 금속 안테나와 같이 어느 정도 마찰을 갖고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임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통(4241)은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거리 조절 부재(4230)는 중앙 일측에서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4232) 및 제2 링크(4234)를 포함하며, 제1 링크(4232)의 타단은 메인 바디(4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링크(4234)의 타단은 접안 플레이트(42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4232) 및 제2 링크(4234)를 포함하는 4개의 조합이 메인 바디(4210)의 4개 모서리에서 접안 플레이트(4220)를 연결하며, 제1 링크(4232) 및 제2 링크(4234)는 일자(一字)로 펼쳐지거나 V-자 형상으로 꺾이면서 접안 플레이트(4220)를 이격 상태 및 밀착 상태 간에 이동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4300)는 메인 바디(4310), 접안 플레이트(4320), 거리 조절 부재(4330), 스크린 부재(4340)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350)를 포함한다. 접안 플레이트(4320)는 한 쌍의 접안 렌즈(4322)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접안 렌즈(4322)를 통해서 스크린 부재(4340)의 암실 공간(DR) 끝에 형성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350)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4310)에는 디스플레이가 포함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65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43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65에 도시된 거리 조절 부재(4330)는 메인 바디(43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4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크린 부재(4340)가 광차단 스크린의 형태로 접안 플레이트(4320)의 정면에 장착되며, 광차단 스크린은 벨로우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로우즈 형태의 광차단 스크린은 그 자체만으로 변형되면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350)와 접안 플레이트(4320)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4350)가 장착된 스크린 부재(4340)의 단부에 메인 바디(4310)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자석이나 물리적인 고정버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른다면, 광차단 스크린은 벨로우즈가 아닌 신축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될 수가 있다. 물론, 그 내부에 별도의 지지구조 또는 작동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스크린 부재(4340)는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4면에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개방되더라도 몰입도를 심각하게 방해하지 않는 차원에서 암실 공간(DR)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거리 조절 부재(4330)는 중앙 일측에서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4332) 및 제2 링크(4334)를 포함하며, 제1 링크(4332) 및 제2 링크(4334)를 포함하는 4개의 조합이 메인 바디(4310)의 4개 모서리에서 접안 플레이트(43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링크(4332) 및 제2 링크(4334)는 일자(一字)로 펼쳐지거나 V-자 형상으로 꺾이면서 접안 플레이트(4320)를 이격 상태 및 밀착 상태 간에 이동시킬 수가 있다.
다만,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4332)는 길이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링크(4332)는 상호 중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로드(4336, 4337)를 포함하며, 이들 로드(4336, 4337)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에는 미세 조절 나사(4338)가 장착되어 로드(4336, 4337) 간의 중첩된 길이를 조절 및 고정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장공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걸림턱을 이동시키면서 로드 간의 중첩 길이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중첩된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미세한 거리 조정이 가능하며, 4개의 링크 조합을 독립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접안 디스플레이의 각도, 디스플레이의 가로축에 대한 틀어짐도 조절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스크린 부재는 복수의 스크린 통 또는 벨로우즈 형상의 스크린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먼저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1216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에어 튜브, 접철식 스크린, 롤 스크린, 스프링에 지지되는 암막, 메모리 폼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접안 플레이트에는 코 수용부를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스크린 부재는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조각편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조각편들이 상호 접철되면서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스크린 부재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그 단부에 형성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부재는 합성수지 판넬, 금속 박막, 고무 등을 이용한 복합 소재 또는 종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일종의 상자 접는 방식처럼 스크린 부재가 납작하게 밀착되었다가 이격 상태에 있는 접안 플레이트로부터 확장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66 내지 도 74를 이용하여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 예에 대하여서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장비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 라고 지칭하나, 이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된다.
도 6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의 보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67은 도 66의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8은 도 66의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6 내지 도 6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5100)는 메인 바디(5110), 접안 플레이트(5120) 및 배면 커버(5150)를 포함한다.
도 66 내지 도 68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51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63에 도시된 배면 커버(5150)는 메인 바디(51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5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메인 바디(5110)는 전면에 장착된 메인 디스플레이(5112) 및 후면에 배치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5114)를 포함하며, 접안 플레이트(5120)는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접안 렌즈(5122)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5110)와 접안 플레이트(5120)는 배면 커버(515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배면 커버(5150)의 일단이 메인 바디(5110)의 배면 일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배면 커버(5150)는 메인 바디(5110)의 배면에 겹쳐지거나 수직하게 펼쳐질 수가 있다. 또한, 배면 커버(5150)의 타단에는 접안 플레이트(51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접안 플레이트(5120)는 보관 상태에서는 배면 커버(5150)의 내면에 포개어져 있다가, 배면 커버(5150)가 펼쳐진 상태에서 아래로 펼쳐지면서 메인 바디(5110)의 배면 또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5114)와 평행하게 펼쳐질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배면 커버(5150) 및 접안 플레이트(5120)가 메인 바디(5110)의 배면에 포개어진 상태를 보관 상태라 할 수 있으며, 배면 커버(5150) 및 접안 플레이트(5120)가 메인 바디(5110)의 배면으로부터 펼쳐져서 입체적인 구조를 형성한 상태를 디스플레이 상태라 할 수 있다.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커버(5150)가 메인 바디(5110)의 배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펼쳐지며, 배면 커버(5150)의 내면에 접철된 접안 플레이트(5120)가 수평하게 펼쳐진 배면 커버(5150)의 아래로 다시 펼쳐질 수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메인 바디(5110) 및 접안 플레이트(5120) 사이로 암실 공간(DR)을 형성하기 위해, 배면 커버(5150) 및 메인 바디(5110) 사이에 개재되는 벨로우즈 방식의 아크형 스크린(5130)이 장착될 수가 있다. 또한, 아크형 스크린(5130)이 펼쳐진 다음, 접안 플레이트(5120) 및 배면 커버(5150) 사이에도 보조 스크린(5135)이 더 제공되어 암실 공간(DR)이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가 있다. 아크형 스크린은 벨로우즈 외에도 신축소재 또는 기타 재질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5110)는 메인 디스플레이(5112)를 포함하지만, 메인 디스플레이 없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5114)만 포함할 수 있고, 메인 바디(5110)가 역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5114)만 이용하여도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 및 용도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그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종래의 핸드폰 또는 단말기가 갖는 기능을 이용할 수가 있다. 즉, 이런 보관 상태에서는 일반 핸드폰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배면 커버 및 접안 플레이트를 펼침으로써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형시킬 수가 있다.
일 예로, 메인 바디(5110)의 메인 디스플레이(5112)는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상태에서도 별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용 중인 가상현실 디스플레이(5114)와 동일한 내용 또는 그와 연관된 내용을 구현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하는 착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5112)를 통해서 다른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과 정보 교류 또는 다양한 교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5110)에는 카메라 모듈(5116)이 장착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5116)은 외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강현실(AR)이나 혼합현실(MR)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5116)은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방향도 정면이 아닌 측면이나 상면, 저면, 후면을 동시에 촬영하기 위해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고, 180도 또는 360도 촬영을 위해 어안렌즈 형식으로도 제공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5116) 및 증강현실 등의 응용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사용자는 접안 렌즈(5122)를 통해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5114)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접안 렌즈(5122)는 미세한 회전 조작을 통해서 초점을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좌우 폭을 조절하여 눈 사이 거리에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접안 렌즈(5122) 주변으로 얼굴 형상에 대응하는 쿠션이나 빛의 차단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는 광차단 구조 등이 추가될 수가 있다. 일 예로, 공기의 입출력이 가능한 에어쿠션이 광차단 구조로 추가될 수 있다.
메인 바디(5110), 배면 커버(5150), 및 접안 플레이트(5120)가 대략 ㄷ-자 형상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고, 그 저면을 아크형 스크린(5130)이 덮음으로써, 그 내부에 암실 공간(DR)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바디(5110)의 배면에 형성된 접안 렌즈(5122)를 마주하고, 사용자는 접안 렌즈(5122)를 통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5114)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6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 중 접안 플레이트에 형성된 접철식 차안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70은 도 69의 접철식 차안대가 접철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9 및 도 70을 참조하면,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 접안 플레이트(5120) 및 배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사용자의 눈 주변으로 외부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접안 플레이트(5120)에 접철식 차안대(5140)가 더 장착될 수가 있다. 접철식 차안대(5140)는 펼쳐진 상태에서 눈 주변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고, 겹쳐진 상태에서 슬림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여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9 및 도 70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51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69 및 도 70에 도시된 배면 커버(5150)는 메인 바디(51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5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 차안대(5140)는 눈 주변의 상부를 차단하는 상부 플레이트(5142), 눈 주변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면 플레이트(5146), 및 눈 주변의 하부를 차단하는 하부 플레이트(5144)를 포함하며, 상부 플레이트(5142) 및 하부 플레이트(5144)는 힌지 부분에 토션 스프링(5148)이 장착되어 탄성적으로 접안 플레이트(5120)의 후면에 겹쳐지도록 하는 경향을 가질 수가 있다.
측면 플레이트(5146)는 펼쳐지면서 상부 플레이트(5142) 및 하부 플레이트(5144)를 들어올릴 수 있으며,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돌기 및 홈의 구조를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5142) 및 하부 플레이트(5144)를 지지하여 접철식 차안대(5140)의 입체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5120)의 후면에 겹쳐진 보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측면 플레이트(5146)는 상부 플레이트(5142) 및 하부 플레이트(5144)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여 상부 플레이트(5142) 및 하부 플레이트(5144)가 함께 접철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5142) 및 하부 플레이트(5144)의 양 단으로 측면 플레이트(5146)의 벌어짐을 제한하기 위한 단턱(514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단턱(5143)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5142) 및 하부 플레이트(5144)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 측면 플레이트(5146)의 단면에는 돌기 또는 홈 구조가 형성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접철식 차안대에 관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의 가상현실 장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7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5110), 접안 플레이트(5120-1), 아크형 스크린(5130) 및 배면 커버(5150)를 포함하며, 동일 번호로 특정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 및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71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51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71에 도시된 배면 커버(5150)는 메인 바디(51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5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다만, 이전 실시예와 달리, 접안 플레이트(5120-1)는 배면 커버(515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지 않고, 아크형 스크린(5130)에 직접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 접안 플레이트(5120-1)는 실리콘 등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 재질이나 기타 재질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보관 상태에서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5130) 내부로 만입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상태에서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513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접안 렌즈(5122)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평행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안 플레이트(5120-1)는 측면 및 저면이 막힌 상태로 제공되어 도 67의 보조 스크린(5135)의 기능도 같이 제공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탄성 변형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접안 플레이트의 입체 구조 중 측면 또는 저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로도 제공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7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3은 도 72의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에서 저면 커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2를 참조하면,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5200)는 메인 바디(5210), 접안 플레이트(5220), 측면 스크린(5230), 배면 커버(5250) 및 저면 커버(5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2 및 도 73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52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72 및 도 73에 도시된 배면 커버(5250)는 메인 바디(52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또한, 도 73(a)에 따른 실시 예의 경우, 저면 커버(5260) 또한 메인 바디(52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5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메인 바디(5210)는 전면에 장착된 메인 디스플레이 및 후면에 배치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접안 플레이트(5220)는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접안 렌즈(5222)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5210)와 접안 플레이트(5220)는 배면 커버(525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배면 커버(5250)의 일단이 메인 바디(5210)의 배면 일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배면 커버(5250)는 메인 바디(5210)의 배면에 겹쳐지거나 수직하게 펼쳐질 수가 있다. 또한, 배면 커버(5250)의 타단에는 접안 플레이트(52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접안 플레이트(5220)는 보관 상태에서는 배면 커버(5250)의 내면에 포개어져 있다가, 배면 커버(5250)가 펼쳐진 상태에서 아래로 펼쳐지면서 메인 바디(5210)의 배면 또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5214)와 평행하게 펼쳐질 수가 있다.
측면 스크린(5230)은 배면 커버(5250) 및 메인 바디(521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측면 스크린(5230)은 슬림한 보관 상태에서 배면 커버(5250) 및 메인 바디(5210) 사이에 접철되어 있다가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펼쳐지면서 메인 바디(5210) 및 접안 플레이트(5220) 사이로 암실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측면 스크린(5230)은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조각편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조각편들이 상호 접철되면서 메인 바디(5210) 또는 배면 커버(5250)가 상호 밀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2에서 측면 스크린(5230)이 메인 바디(5210) 및 배면 커버(5250) 사이로 접히면서, 측면 스크린(5230) 중 A로 표시된 부분이 배면 커버(5250)의 하단 중앙부에 모이게 되고, 접안 플레이트(5220)가 메인 바디(5210)와 배면 커버(5250) 사이로 접히면서, 접안 플레이트(5220) 중 B로 표시된 부분이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메인 바디(5210)와 배면 커버(5250)가 연결된 부분의 중앙부, 즉 C부분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서, 보관 상태로 전환될 수가 있다.
여기서, 측면 스크린(5230)은 접안 플레이트(5220)의 측면과도 연결될 수 있으며, 보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상태로 전환되면서 접안 플레이트(5220) 및 측면 스크린(5230)이 동시에 펼쳐질 수가 있다. 이 경우, 접안 플레이트(5220)도 부분적으로 접이선을 매개로 접철될 수 있으며, 접안 렌즈(5222) 주변으로 반원형의 슬릿이 형성될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암실 공간(DR)의 저면을 커버하는 저면 커버(52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커버(5260)는 배면 커버(5250)에 대향하여 메인 바디(521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펼쳐지면서 접안 플레이트(5220)에 일측이 걸리면서 접안 플레이트(5220) 및 메인 바디(5210)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암실 공간(5DR)의 저면을 차단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5220)의 중앙 하부에는 코 수용부(52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코 수용부(5224)에 대응하여 저면 커버(5260)에서도 홈이 형성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면 커버(5260)가 메인 바디(5210)의 하단 모서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지만, 도 7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커버(5260)는 배면 커버(5250)에 대향하여 접안 플레이트(5220)의 하단 모서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펼쳐지면서 메인 바디(5210)에 일측이 걸리면서 접안 플레이트(5220) 및 메인 바디(5210)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암실 공간(DR)의 저면을 차단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접안 플레이트(5220)가 메인 바디(5210) 및 배면 커버(5250) 사이에서 접철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접철되지 않고 평면 상태로 배면 커버(5250)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7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 중 동시에 접철되는 측면스크린, 접안 플레이트 및 저면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4를 참조하면, 접철식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5210), 접안 플레이트(5220), 측면 스크린(5230), 배면 커버(5250) 및 저면 커버(526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 번호로 특정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 및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74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5210)는 핸드폰 및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도 74에 도시된 배면 커버(5250) 및 저면 커버(5260-1)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바디(5210)에 포함된 케이싱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5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다만, 저면 커버(5260-1)도 측면 스크린(5230)의 저면 모서리에 연결되며, 접안 플레이트(5220)와 유사하게, 슬림한 보관 상태에서 배면 커버(5250) 및 메인 바디(5210) 사이에 접철되어 있다가,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펼쳐지면서 배면 커버(5250), 측면 스크린(5230) 및 접안 플레이트(5220)와 함께 암실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저면 커버(5260-1)도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조각편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조각편들이 상호 접철되면서 메인 바디(5210) 또는 배면 커버(5250)가 상호 밀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배면 커버(5250)를 펼치면서, 저면 커버(5260-1)는 접안 플레이트(5220) 및 측면 스크린(5230)과 함께 동시에 펼쳐질 수가 있으며, 이전 실시예와는 다르게 별도로 펼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5 내지 도 88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6은 도 75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변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7은 도 75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5 내지 도 7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6100)는 메인 바디(6110), 접안 플레이트(6120) 및 연결 바디(6130)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6110)는 전면에 장착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112) 및 후면에 배치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114)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112)와 함께 입체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접안 플레이트(6120)는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접안 렌즈(6122)를 포함하며 입체적으로 변형된 메인 바디(6110)에 대응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114)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메인 바디(6110) 에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은 외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강현실(AR)이나 혼합현실(MR)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은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방향도 정면이 아닌 측면이나 상면, 저면, 후면을 동시에 촬영하기 위해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고, 180도 또는 360도 촬영을 위해 어안렌즈 형식으로도 제공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 및 증강현실 등의 응용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도 75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접안 렌즈(6122)를 통해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114)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가 있다. 접안 렌즈(6122)는 미세한 회전 조작을 통해서 초점을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좌우 폭을 조절하여 눈 사이 거리에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접안 렌즈(6122) 주변으로 얼굴 형상에 대응하는 쿠션이나 빛의 차단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는 광차단 구조 등이 추가될 수가 있다.
연결 바디(6130)는 메인 바디(6110) 및 접안 플레이트(6120)에 양 측이 연결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메인 바디(6110)의 일측에 접안 플레이트(6120)의 일측이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메인 바디(6110)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114)가 접안 플레이트(6120)의 접안 렌즈(6122)를 마주하도록 메인 바디(6110)가 굴곡되도록 입체적으로 변형되면서, 접안 플레이트(6120) 및 연결 바디(6130)는 메인 바디(6110)와 함께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바디(6110), 접안 플레이트(6120) 및 연결 바디(6130)가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메인 바디(6110)의 후면에 형성된 접안 렌즈(6122)를 마주하고, 사용자는 접안 렌즈(6122)를 통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114)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도 7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를 위한 휴대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6120) 및 연결 바디(6130)는 메인 바디(6110)의 배면에 밀착되며,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가 기기의 양 측면을 손으로 누르거나 악력을 가해서 메인 바디(6110), 접안 플레이트(6120) 및 연결 바디(6130)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장비를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가 있다.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6100)를 갖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6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112)를 포함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의 핸드폰 또는 단말기가 갖는 기능을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기기를 변형시켜 입체 상태의 기기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112)는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 상태에서도 별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용 중인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114)와 동일한 내용 또는 그와 연관된 내용을 구현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하는 착용자는 다른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과 정보 교류 또는 다양한 교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7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 중 접안 플레이트에 형성된 접철식 차안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9는 도 78의 접철식 차안대가 접철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0은 도 78의 접철식 차안대의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8 내지 도 80을 참조하면,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 접안 플레이트(6120) 및 연결 바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사용자의 눈 주변으로 외부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접안 플레이트(6120)에 접철식 차안대(6140)가 더 장착될 수가 있다. 접철식 차안대(6140)는 펼쳐진 상태에서 눈 주변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고, 겹쳐진 상태에서 슬림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여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 차안대(6140)는 눈 주변의 상부를 차단하는 상부 플레이트(6142), 눈 주변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면 플레이트(6146), 및 눈 주변의 하부를 차단하는 하부 플레이트(6144)를 포함하며, 상부 플레이트(6142) 및 하부 플레이트(6144)는 힌지 부분에 토션 스프링(6148)이 장착되어 탄성적으로 접안 플레이트(6120)의 후면에 겹쳐지도록 하는 경향을 가질 수가 있다.
측면 플레이트(6146)는 펼쳐지면서 상부 플레이트(6142) 및 하부 플레이트(6144)를 들어 올릴 수 있으며,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돌기 및 홈(6145)의 구조를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6142) 및 하부 플레이트(6144)를 지지하여 접철식 차안대(6140)의 입체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6120)의 후면에 겹쳐진 휴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측면 플레이트(6146)는 상부 플레이트(6142) 및 하부 플레이트(6144)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여 상부 플레이트(6142) 및 하부 플레이트(6144)가 함께 접철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6142) 및 하부 플레이트(6144)의 양 단으로 측면 플레이트(6146)의 벌어짐을 제한하기 위한 단턱(614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단턱(6143)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6142) 및 하부 플레이트(6144)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 측면 플레이트(6146)의 단면에는 돌기 또는 홈(6145) 구조가 형성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접철식 차안대에 관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의 가상현실 장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8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휴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2는 도 81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입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3은 도 81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변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1 내지 도 83을 참조하면,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6200)는 메인 바디(6210) 및 접안 플레이트(6220)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6210)는 정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212) 및 후면에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212)와 함께 입체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접안 플레이트(6220)는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접안 렌즈(6222)를 포함하며, 입체적으로 변형된 메인 바디(6210)에 대응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유지 및 가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메인 바디(62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212)와 함께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체 상태에서 메인 바디(6210)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 상에 후방 공간(RS)을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변형되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의 하방으로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코 수용부(6250),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의 양 측으로 사용자의 얼굴 측면을 덮는 측면 수용부(6260)를 형성할 수 있다. 코 수용부(6250) 및 측면 수용부(6260)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곡면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에 대응하여 메인 바디(621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212)가 함께 변형될 수 있다.
휴대를 위한 휴대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6220)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 위에 밀착되며,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입체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6220)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로부터 이격되어 후방 공간(RS)의 끝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접안 플레이트(6220)의 상부 및 메인 바디(6210)의 상부를 연결하는 고정길이 링크(6242) 및 접안 플레이트(6220)의 하부 및 메인 바디(6210)의 하부를 연결하는 가변길이 링크(6244)가 이용될 수 있다. 고정길이 링크(624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다. 또한, 가변길이 링크(6244)는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변형될 수 있으며, 안테나와 같이 원통형 실린더가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가변길이 링크(6244)의 하단은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 및 코 수용부(6250) 사이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6246)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입체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6220)는 고정길이 링크(6242) 및 가변길이 링크(6244)의 안내를 받아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상태에서 휴대 상태로 메인 바디(6210)를 펴기 위해, 평판 도구(6270)가 더 제공될 수 있으며, 평판 도구(6270)는 메인 바디(6210)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메인 바디(6210)를 가로 또는 세로로 통과할 수 있고, 그 결과 휴대 상태에서 메인 바디(6210)가 평탄하게 되도록 형상을 바로 잡아 줄 수가 있다. 평판 도구(6270)는 메인 바디(6210)의 측면 일부에 장착될 수 있고,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내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의 가상현실 장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8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에서 코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에서 측면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4를 참조하면, 메인 바디(6210)는 입체 상태의 코 수용부(6250)의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코 수용부(6250)의 전방에 형성된 V-형상부(6252)를 포함할 수 있다. V-형상부(6252)는 기본적으로 코 수용부(6250)가 볼록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메인 바디(6210)의 일부에 대해 압력을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제약이 없는 경우 사이각을 좁히려는 성향을 가진 V-형상부(6252)에 의해서 코 수용부(6250)는 볼록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V-형상부(6252)에 인접하게 메인 바디(6210)의 엣지로 사용자의 코 형상에 대응하여 코 수용부(6250)의 후방을 역V-자로 절곡시키기 위한 성형 링크(6254) 및 성형 링크(6254)가 일자로 배열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성형 링크(6254)의 연결부위를 선택적으로 덮는 중공형 고정대(6256)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 링크(6254)는 역V-자 형상 또는 일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V-형상부(6252)의 압력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코 형상에 대응하도록 역V-자로 절곡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공형 고정대(6256)는 외부로 노출된 버튼(6258)에 의해서 메인 바디(6210)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는데, 중공형 고정대(6256)가 성형 링크(6254)의 연결 부위를 덮는 경우, 일자로 배치된 성형 링크(6254)가 메인 바디(6210) 내에서 일자로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중공형 고정대(6256)가 성형 링크(6254)의 연결 부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성형 링크(6254)는 V-형상부(6252)에 의해서 역V-자로 절곡되며, 입체 상태에 대응하여 코 수용부(625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5를 참조하면, 메인 바디(6210)의 절곡을 안내하기 위해 메인 바디(6210)의 절곡라인(F) 주변으로 메인 바디(6210)에 매립된 소성 변형편들(626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성 변형편들(6262)은 사각 외에도 육각, 팔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성 변형이 가능한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소성 변형편들(6262)은 영역적으로 절곡라인(F) 주변에만 형성될 수 있지만, 메인 바디(6210)의 자유 변형을 위해 메인 바디(6210)의 내부, 구체적으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의 위치에 대응하여 메인 바디(6210)에는 메인 보드, 배터리, 안테나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부분의 자유로운 변형을 위해 대부분의 내장부품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214)가 형성된 영역 내부 또는 그 주변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의 가상현실 장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도 8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휴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7은 도 86의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의 입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6 및 도 87을 참조하면,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6300)는 메인 바디(6310), 접안 플레이트(6320) 및 스크린 부재(6330)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6310)는 정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312) 및 후면에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314)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312)와 함께 입체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접안 플레이트(6320)는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접안 렌즈(6322)를 포함하며, 입체적으로 변형된 메인 바디(6310)에 대응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314)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유지 및 가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메인 바디(6310)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314) 상에 후방 공간(RS)을 형성하도록 활 모양으로 오목하게 변형되며, 오목하게 변형된 메인 바디(6310)에 의해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314)의 양 측으로 사용자의 눈꼬리 주변의 얼굴 측면을 덮는 측면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휴대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6320)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314) 위에 밀착되며, 가상현실 기능을 위한 입체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6320)는 스크린 부재(6330)의 안내를 받아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314)로부터 이격되어 후방 공간(RS)에 위치할 수 있다.
휴대 상태 및 입체 상태 간에 접안 플레이트(6320)를 안내하기 위한 스크린 부재(6330)를 더 포함하며, 스크린 부재(6330)는 사용자의 눈 주변 상부 및 하부를 차단할 수 있다. 스크린 부재(6330)는 메인 바디(6310)의 후면에 장착되며, 그 자체로 상호 포개어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편(63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편(6340)은 상부 및 하부를 차단하기 위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314)의 상부 및 하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측면은 추후 메인 바디(6310)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스크린 편(6340)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314)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 형상 또는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크린 부재(6330)에서 스크린 편(6340)은 금속 안테나와 같이 어느 정도 마찰을 갖고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임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편(6340)은 메인 바디(6310)와 함께 외부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크린 부재(6330)를 구성하는 스크린 편(6340)은 이중벽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중벽을 형성하는 스크린 편은 내벽 및 외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중벽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단일벽 구조에 비해 동일 두께에 비해 현저히 경량화된 무게를 유지하며, 견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8의 (a)를 보면, 스크린 부재(6330')는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조각편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조각편들이 상호 접철되면서 접안 플레이트(6320)가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접안 플레이트(6320)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바디(6310)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314)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부재(6330')는 합성수지 판넬, 금속 박막, 고무 등을 이용한 복합 소재 또는 종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일종의 상자 접는 방식처럼 스크린 부재(6330')가 납작하게 밀착되었다가 이격 상태를 위해 확장될 수가 있다.
여기서도, 스크린 부재(6330')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6314)의 상에 정의되는 후방 공간의 상부 및 하부만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4면을 모두 차단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도 88의 (b)를 보면, 메인 바디(6310)의 후면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63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립 커버가 메인 바디(6310)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의 상하에 각각 장착되며, 플립 커버는 닫힌(closing) 상태에서는 밀착 상태에 있는 접안 플레이트(6320)를 덮고, 만개한(blooming) 상태에서는 이격 상태에 있는 접안 플레이트(6320)의 상하부를 차단하여 후방 공간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보통의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른 실시예에 맞게 변형할 수가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스크린 부재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먼저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1216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 에어 튜브, 접철식 스크린, 롤 스크린, 스프링에 지지되는 암막, 메모리 폼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수동 액츄에이터 및 자동 액츄에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전 실시예들에서는 메인 바디가 전환 바디 또는 스크린 부재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메인 바디는 메인 바디를 수용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 프레임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전환 바디 또는 스크린 부재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작동 원리 및 메커니즘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포함하는 보호 케이스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는 필요에 따라 플립 덮개, 범퍼, 이어폰 잭 덮개 등 종래의 보호 케이스가 갖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실시 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확장이 가능한 단말 장치에 대하여 도 89 내지 도 1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9의 단말 장치(7100)는 핸드폰, 스마트폰, PMP, PDA,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휴대용 장치뿐만 아니라, 모니터, TV, 키오스크 등 거치형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9에 따르면, 플렉서블 단말 장치(7100)는 디스플레이부(7110), 감지부(7120), 제어부(71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다만 도 89를 설명하기에 앞서 디스플레이부(7110)의 세부 구성 및 그에 대한 벤딩 감지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0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7110)는 기판(7111), 구동부(7112), 디스플레이 패널(7113) 및 보호층(7114)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단말 장치는 기존의 평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단말 장치는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판(711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7111)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7112)는 디스플레이 패널(7113)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7112)는 디스플레이 패널(711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7112)는 디스플레이 패널(7113)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7113)은 복수의 화소 셀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체 및 그 유기 발광체의 양면을 덮는 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7112)는 디스플레이 패널(7113)의 각 화소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130)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7113)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없이 LCD 디스플레이 패널(711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많은 야외 환경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보호층(7114)은 디스플레이 패널(711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보호층(7114)에는 ZrO, CeO2, Th O2 등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층(7114)은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7113)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한편, 도 90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부(7110)는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한편,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110)가 투명한 재질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벤딩이 가능하면서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단말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기판(71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현되고, 구동부(7112)가 투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7113)이 투명 유기 발광층 및 투명전극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또한,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나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1 내지 도 9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단말 장치에서 형태 변형, 즉,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렉서블 단말 장치(710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벤딩되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벤딩에는 일반 벤딩, 폴딩, 롤링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일반 벤딩(normal bending)이란 플렉서블 단말 장치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구부러진 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폴딩 및 롤링과 차이가 있다.
폴딩(Folding)은 플렉서블 단말 장치가 접혀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폴딩 및 일반 벤딩은 벤딩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가령, 일정한 곡률 반경 이상으로 벤딩이 이루어지면 폴딩된 상태로 정의하고, 그 곡률 반경 미만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반 벤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롤링(Rolling)은 플렉서블 단말 장치가 말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롤링 역시 곡률 반경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가령, 일정 곡률 반경 이상의 벤딩이 일정 영역 이상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하고, 일정 곡률 반경 이상의 벤딩이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서 감지되는 상태를 폴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이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 변형 예들에 대한 정의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단말 장치의 종류나 크기, 무게, 특징 등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가령, 플렉서블 단말 장치(7100)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폴딩은 벤딩과 동시에 장치 표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반면, 롤링은 벤딩으로 인하여 플렉서블 단말 장치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명세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벤딩 및 그 밖의 벤딩 형태를 총괄하여 벤딩이라 칭한다. 플렉서블 단말 장치(7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7120)는 디스플레이부(7110) 앞면이나 뒷면과 같은 하나의 표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bend sensor)나 또는 양면 모두에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130)는 감지부(7120)의 벤드 센서에서 센싱되는 값을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벤드 센서란, 그 자체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는 센서를 의미한다. 벤드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로 구현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항이 크게 변하는 금속 또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그 저항치 변화에 따라 측정 대상물의 표면의 변형을 감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같은 재료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면 저항치가 증가하고, 길이가 줄어들면 저항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면 벤딩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지부(7120)는 벤드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벤드 센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벤드 센서의 저항 값을 감지하고, 그 저항 값의 크기에 따라 해당 벤드 센서의 위치에서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91에서는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7110)의 앞면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7110)의 뒷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양면 모두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벤드 센서의 형태, 개수 및 배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91에서는 복수 개의 바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 형태를 이룬 예를 도시하였다. 도 91에 따르면, 벤드 센서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7021-1 내지 7021-5)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7022-1 내지 7022-5)를 포함한다. 각 벤드 센서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91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씩 벤드 센서(7021-1 내지 7021-5, 7022-1 내지 7022-5)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단말 장치의 크기 등에 따라 벤드 센서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벤드 센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플렉서블 단말 장치의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해서이므로, 일부분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거나, 일부분에 대해서만 벤딩을 감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만 벤드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각 벤드 센서(7021-1 내지 7021-5, 7022-1 내지 7022-5)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는 전기 저항식 센서 또는, 광섬유의 변형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광섬유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드 센서가 전기 저항식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92와 같이 플렉서블 단말 장치(710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그 중심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경우, 벤딩에 의한 장력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밴드 센서들(7021-1 내지 7021-5)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각 벤드 센서(7021-1 내지 7021-5)의 저항값이 달라지게 된다. 감지부(7120)는 각 벤드 센서(7021-1 내지 7021-5)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92에서는 중심 영역이 디스플레이표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아래 방향(이하에서는,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윗 방향(이하에서는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된 경우에도 가로 방향의 벤드 센서(7021-1 내지 7021-5)의 출력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3과 같이 플렉서블 단말 장치(7100)의 형태가 상하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그 중심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윗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경우, 장력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7022-1 내지 7022-5)에 가해지게 된다. 감지부(7120)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7022-1 내지 7022-5)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의 형태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도 93에서는 Z+ 방향의 벤딩을 도시하였으나, Z-방향의 벤딩도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7022-1 내지 7022-5)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인 경우, 장력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에 모두에 가해지므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도 감지할 수 있다.
도 94와 도 9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4와 도 9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 장치(7100)는 제 1 디스플레이부(7131)가 구성되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회로들이 구성된 단말 본체부(7101)와, 전술한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7132)가 수용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연장 또는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롤 저장부(71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화면의 물리적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역시 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롤 저장부(7102)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가 내부로 감기거나 풀려서 화면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롤 저장부(7102)의 양측에는 단말 본체부(7101)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간격 부재(7201)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7131)와 한 몸체를 형성하면서 이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상기 롤 저장부(7102)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굽힘 및 접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말 장치(7100)의 디스플레이는 일부는 단말 본체부(7101)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굽힙 또는 접힘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제 2 디스플레이부(7132)가 상기 롤 저장부(710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는 작동 대기 모드 상태로서 화면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가 점차 상기 롤 저장부(7102)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7131)와 연장되는 면적이 커질수록 화면 확대 기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는 롤 저장부(7102)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작동 대기 상태가 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로 영상 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저장부(7102)가 이동하여 상기 단말 본체부(7101)와 점차 멀어지게 되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가 상기 롤 저장부(7102)로부터 인출되어 점차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7131)에서 표시되는 영상 또는 화면이 점차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 면적을 이용하여 일시적 또는 순차적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가 대기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7131)를 통하여 영상 또는 화면이 표시되므로, 이때는 스마트폰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노출 면적이 점차 확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까지 화면 표시가 가능하므로 태블릿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 모드에서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개수가 15개라면, 태블릿 모드에서는 30개 또는 그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거나 동일한 개수더라도 애플리케이션이 더욱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롤 수용부(7102)의 이동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노출 면적 증대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부(7131)에서 표시되던 영상 및 화면이 제 2 디스플레이부까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화면 확대에 따라 화면 분할 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부(7131)와 제 2 디스플레이부(7132)를 각각 별개의 화면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부(7131)에서는 표시되고 있던 영상이나 화면이 그대로 표시되고,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에는 가상 키보드와 같이 보조적인 도구 등의 표시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롤 저장부(7102)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롤 저장부(710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영상 또는 화면의 노출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데, 상기 단말 본체부(7101)에서는 상기 롤 저장부(7102)가 이동하는 것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벤딩을 감지하거나, 상기 롤 저장부(7102)에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감지하거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거나, 음성명령, 성문 분석 또는 상기 롤 저장부(7102)의 진동이나 악력을 측정하여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7131)와 연장되면서 벤딩이 가능할 수 있는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구조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가 권취되도록 하여 수용할 수 있는 롤 저장부(7102)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도 96 내지 도 98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확장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6 내지 도 98을 참조하면, 단말 본체부(7101) 내부에는 밖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부재들(7210,7220,7230,7240)이 구성되며,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들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롤 저장부(7102)를 이동시켜 주는 기능과 함께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에 발생될 수 있는 벤딩을 줄여 평평하게 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세히, 상기 단말 본체부(7101)의 상측부위에서 제 1 상측 슬라이딩 부재(7230)와 제 2 상측 슬라이딩 부재(7240)가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본체부(7101)의 하측부위에서는 제 1 하측 슬라이딩 부재(7210)와 제 2 하측 슬라이딩 부재(7220)가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들(7210,7220,7230,7240)은 단말 본체부(7101)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밖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들의 각 부위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 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면에는 2개의 홀이 각각 형성되고, 측면에는 3개의 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들은 스마트폰에 해당하는 상기 단말 본체부(7101)의 전면에 형성된 카메라, 스피커, 홈버튼 등의 구조물이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홀이 형성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고, 모양이나 수량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각각의 슬라이딩 부재들의 좌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의 홀(7211,7221,7231,7241)이 구성되는데, 단말 본체부(7101) 내부의 좌측까지 삽입되는 슬라이딩 부재는 스마트폰 부품들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전자부품의 수용 공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상측 슬라이딩 부재(7230)와 제 1 하측 슬라이딩 부재(7210) 사이의 공간과, 제 2 상측 슬라이딩 부재(7240)와 제 2 하측 슬라이딩 부재(7220) 사이의 공간에는 화면 확대가 이루어지는 플렉서블의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휨을 억제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가 배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9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의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와 슬라이딩 부재들 사이에는 소정의 단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차 발생시에는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들뜸 현상 내지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후면(배면)에는 슬라이딩 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무와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단차 방지 부재(7202)가 구성될 수도 있다. 단차 방지 부재를 구성하는 방식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99와 도 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와 함께 인출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와 지지 플레이트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롤 저장부(7102)를 사용자가 당기게 되면, 롤 저장부(7102)로부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인출과 동시에 간격 부재(7201)가 연결되어 있는 제 2 상측 슬라이딩 부재(7240)와 제 2 하측 슬라이딩 부재(7220)가 함께 당겨지면서, 슬라이딩 부재들이 순차적으로 단말 본체부(7101)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각각의 슬라이딩 부재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지지 플레이트들(7250,7260) 역시 상기 단말 본체부(7101)로부터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하여 플렉서블의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후면 지지가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지지 플레이트(7250)는 제 1 상측 슬라이딩 부재(7230)와 제 1 하측 슬라이딩 부재(7210)와 연결되어 있고, 제 2 지지 플레이트(7260)는 제 2 상측 슬라이딩 부재(7240)와 제 2 하측 슬라이딩 부재(7220)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은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7131)의 후면에 배치된 상태였다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들의 인출과 함께 밖으로 인출된다. 앞서 설명한 단차 방지 부재(7202)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고려하여 그 단차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들은 대응되는 반대면에 복수로 구성되어 이중벽 구조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0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지지 플레이트와 슬라이딩 부재에 의하여 플렉서블의 제 2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도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그 바(7270,7271,7272,7273,7280)들의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하면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그 바들로부터 회전되어 간격이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확장 여부 및 확장 정도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지그 바(7270)와, 제 2 지그 바(7280) 두개로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이 경우, 제 1 지그 바와 제 2 지그 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힌지(7290)가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제 1 지그 바(7270)와 제 2 지그 바(7280) 각각에 힌지가 구성되어, 제 1 지그 바(7270)와 제 2 지그 바(728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동작에 의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 1 지그 바와 제 2 지그 바의 중간 길이쯤에 각각 힌지를 구성하여 제 1 지그 바와 제 2 지그 바가 분리된 상태에서 V자 형태 등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회전 막대의 개수 및 그 형상은 더욱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지그 바들 대신에, 복수의 지지 막대들과, 상기 지지 막대들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 막대들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힌지부가 구성되는 경우가 도 116에 도시된다. 즉, 도 1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막대(7281) 사이에 힌지부(7282)가 구성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노출 면적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 막대와 힌지부가 단말 본체부(7101) 내부 또는 롤 저장부(7102)로 삽입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스프링, 벨로우즈, 공기팽창식 튜브, 형상합금철망, 롤 형태의 금속판 등의 구성 결합이 가능하다.
도 103 및 도 10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VR 수단이 구성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3 및 도 1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본체부(7101) 전면과 함께 후면에 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해당 후면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VR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VR 수단(730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VR 수단(7300)은 단말 본체부(7101) 후면에 후면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경우에 해당 후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두 눈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가상 현실, 혼합 현실 또는 증강 현실 등의 다양한 시청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VR 수단(7300)은 복수개의 스크린 통(7311,7312)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 통들 각각은 단일벽으로 구성되거나 이중벽 또는 그 이상의 복수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크린 통들은 상기 단말 본체부(7101)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의 스크린 통들은 점차 그 사이즈가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접거나 펼쳐서 VR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VR 수단(7300)은 접안 플레이트(7303)를 포함하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7303)에는 사용자의 양쪽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 1 렌즈(7301)와 제 2 렌즈(7302)가 구성된다.
사용자의 얼굴이 닿는 부위인 외곽 부재(7401)는 접안 플레이트가 단말 본체부(7101)로부터 스크린 통들을 이격시키기 위한 걸림 턱 역할을 하며, 소정의 각도로 회전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접안 플레이트는 스크린 통들을 이격 후 일정한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통들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면서, 사용자가 VR 시청 중에 스크린 통이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크린 고정 수단(7400)이 더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 고정 수단(7400)에 대해서는 도 105 내지 도 109를 참조하여 본다.
도 10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본체부(7101)의 형태나 구성은 도 103에 도시된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종류의 가상현실 장비 및 컴퓨팅 장치가 도 103에 도시된 스크린 구조와 결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도 103에 도시된 스크린 구조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케이스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종류의 가상현실 장비 및 컴퓨팅 장치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본체부(7101)에서 일 측면으로 스크린이 인출될 수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지만, 별도로 스크린이 인출되는 구조가 없는 본체부(7101) 또한 도 103의 스크린 구조와 결합될 수 있고, 스크린이 본체부(7101) 양측으로 인출되는 구조 또한 도 103의 스크린 구조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7101)는 양면 디스플레이를 갖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를 앞뒤로 역전가능한 구조의 본체부(7101) 또한 도 103과 관련된 실시 예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도 103뿐 아니라 본 명세서에 도시되는 모든 종류의 가상현실 장비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도시된 모든 종류의 스크린이나 케이스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모든 종류의 가상현실 장비나 컴퓨팅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3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크린 통이 절첩된 상태에서 접안 플레이트(7303)를 잡아당기면, 스크린 통들 또한 함께 슬라이딩되어 펼쳐지게 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스크린 통들이 따로 잡아당겨짐으로써 슬라이딩되어 펼쳐지고, 접안 플레이트(7303)는 별도로 잡아당겨 뽑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5 내지 도 10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VR 수단의 스크린 통 내부에 구성되는 스크린 고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5와 도 10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VR 수단의 스크린 통 내부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스크린 통의 접힘이나 위치 고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고정 수단(74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 고정 수단(7400)은 앞서 설명한 스크린 통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절첩 부재(7410)들로 구성되고, 절첩 부재(7410)들 각각은 단일벽 또는 이중벽으로 구성되며, 절첩 부재(7410)들 내부에는 고정 돌기(7440)가 구성된 돌기 수용관(7420)이 배치된다. 상기 고정 돌기(7440)는 일측은 굴곡된 형상의 라운드면을 갖고, 타측은 수직하게 편평한 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선택부(7430)의 말단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절첩 부재(7410)들에는 상기 고정 돌기(7440)의 일부가 돌출될 수 있는 크기의 고정 홀(741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절첩 부재(7410)들은 스크린 통의 절첩과 함께 그 절첩이 함께 이루어지는데, 절첩 부재(7410) 내부에 배치되는 돌기 수용관(7420)에는 고정 돌기(7440)와, 고정 돌기(7440)가 돌출될 수 있는 크기의 홀과, 상기 고정 돌기(7440)를 밀어내는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구성된다.
만약, 도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돌기 수용관(7420)을 외부에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 돌기(7440)가 상기 절첩 부재(7410) 내부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각각 고정 돌기(7440)와 절첩 부재들(741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사용자가 스크린 통의 길이를 원하는대로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다시 사용자가 돌기 수용관(7420)을 회전시켜, 고정 돌기(7440)가 상기 고정 홀(7411)밖으로 돌출되도록 위치시킨 경우, 즉, 도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었을 때는, 스크린 고정 수단(7400)의 길이가 변경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결국 스크린 통을 늘려서 연장되도록 하거나 줄여서 축소되도록 하는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VR 시청시에 스크린 통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 수용관(74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는 도 107 내지 도 109에 도시된다.
절첩 부재(7410)의 최단부에는 고정 선택부(7430)가 구성되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 선택부(74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 선택부(7430) 내부에는 내벽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는 형상으로 한 쌍의 걸림 턱(7431)이 구성되며, 최소 한 개 이상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턱(7431)은 상기 고정 선택부(7430) 내부에서 일부면에 대해서만 형성된다.
또한, 돌기 수용관(7420)의 단부(7421) 일부는 상기 고정 선택부(743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구성되고, 돌기 수용관(7420)의 단부(7421)에는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7422)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상기 고정 선택부(7430)를 당기는 경우, 즉, 도 107에 도시된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돌기 수용관(7420) 단부(7421)의 걸림 돌기(7422)가 고정 선택부(7430) 내부의 걸림 턱(7431)과 접촉 내지는 걸림 상태가 되고, 이때 사용자가 상기 고정 선택부(74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 선택부(7430)의 회전과 함께 돌기 수용관(7420)이 회전됨으로써 고정 돌기(7440)가 고정 홀(7411)을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고정 홀(7411)을 통과한 상태로 있었던 고정 돌기(7440)를 절첩 부재(7410) 내부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이때는 사용자가 스크린 통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고정 선택부(7430)를 돌기 수용관(7420)측으로 밀게 되면, 도 1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수용관(7420) 단부의 걸림 돌기(7422)가 걸림 턱(7431)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 즉, 걸림 돌기(7422)와 걸림 턱(7431)이 상호 제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고정 선택부(743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돌기 수용관(7420)은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고정 선택부(7430)를 밀어두거나 당긴 상태로 두느냐에 따라 고정 선택부(7430)의 회전과 함께 돌기 수용관(742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 수용관(7420)의 회전을 통하여 결국 복수의 절첩 부재(7410)들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가 VR 수단을 사용하지 않아 접힘 상태로 두고자 하는 경우에 스크린 통들이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고, 또한, 사용자가 VR 수단을 사용하기 위해 안면을 접안 플레이트(7303) 및 렌즈들에 가까이 위치시킨 경우에도 스크린 통들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도 1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핸드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0(a)는 도 103에 도시된 VR 수단의 다른 일 실시예이다. 따라서, 도 110(a)과 관련하여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03의 VR 수단과 관련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110(a)의 가상현실 핸드폰 케이스에도 적용된다.
도 110(a)를 참조하면, VR 수단(7300)은 핸드폰(10)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가상현실 핸드폰 케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VR 수단(7300)은 핸드폰(10)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케이싱(7103)을 포함한다.
도 110(b)는 도 110(a)에 도시된 가상현실 핸드폰 케이스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0(b)를 참조하면, VR 수단(7300)은 핸드폰(10)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케이싱(7103)을 포함한다. VR 수단(7300)은 복수개의 스크린 통(7311,7312,7313)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스크린 통(7311,7312,7313) 중 한쪽 끝 스크린 통(7313)은 케이싱(7103)과 연결된다.
스크린 고정 수단(7400)은 VR 수단(7300)의 스크린 통 내부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스크린 통의 접힘이나 위치 고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린 고정 수단(7400)의 고정 선택부(7430)는 스크린 통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고정 선택부(7430)를 이용하여 도 105 내지 도 109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스크린 고정 수단(74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1 내지 도 1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1 내지 도 113을 먼저 참조하면, 단말 본체부(7101)의 좌측과 우측 각각으로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출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 본체부(7101)의 우측으로는 제 1 하측 슬라이딩 부재(7210), 제 2 하측 슬라이딩 부재(7220), 제 1 상측 슬라이딩 부재(7230) 및 제 2 상측 슬라이딩 부재(7240)가 슬라이딩 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단말 본체부(7101)의 좌측에도 이러한 하측 슬라이딩 부재(7310, 7320)와, 상측 슬라이딩 부재(7330,7340)이 슬라이딩 출입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각각의 슬라이딩 부재들은 도 97에 도시된 슬라이딩 부재들의 좌우 길이보다는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측의 슬라이딩 부재들(7240,7340)은 내측의 슬라이딩 부재들(7230,7330)에 비해 더 길이가 작아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말 본체부(7101)의 전면에 구성되는 제 1 디스플레이부(7131)는 좌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우측 제 2 디스플레이부(7132a)와, 좌측 제 2 디스플레이부(7132b)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좌우측의 슬라이딩 부재에는 연장되는 우측 및 좌측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완만하게 굴곡되어 단말 본체부(7101)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 롤러부(7133)와 제 2 롤러부(7134)가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 본체부(7101) 내부로 슬라이딩 출입할 수 있다.
한편, 단말 본체부(7101) 내부에는 제 1 디스플레이부(7131)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좌측 제 2 디스플레이부와, 우측 제 2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를 고정시키면서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연장되어 화면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동작을 이용하여 화면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회전 수단(7151,7152)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 수단에는 제 2 디스플레이부들의 단부 일부가 결합되고 내부 스프링 등에 의한 탄성에 의하여 감김 또는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디스플레이부들의 급격한 절곡이나 굽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완만한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그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보스(7161,7162)가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 디스플레이부의 단부를 단말 본체부(7101) 내에 고정 또는 플렉서블인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점차 밖으로 빠져나가 화면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부가 단말 본체부(7101) 내부로 들어오는 경우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동작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회전 수단은 더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회전 수단(7151)이 단말 본체부(7101) 내부에 구성되어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일측 단부가 회전 수단(7151)과 떨어져 단말 본체부 외부로 이동하면서 화면 확대가 이루어지거나 내부로 이동하면서 도 114의 형태로 화면 축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회전 수단(7151,7152)이 소정 간격두고 배치되어 제 2 디스플레이부(7132)의 양측 단부가 단말 본체부 외부로 이동되면서 화면 확대가 이루어지거나 내부로 상호 겹치는 모양새로 이동되면서 화면 축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전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는 가상현실 전용 또는 일반 디스플레이를 겸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도 용도 및 구조에 따라 하나 또는 2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전 실시예들에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바디에 음성 통신 모듈을 부가하여 핸드폰 기능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음성 통신 모듈 없이 다른 유무선 네트워크로 외부와 연결될 수도 있고,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기능만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기능과 관련이 없더라도 통신, 메시징, 멀티미디어, 지도, 게임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및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일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서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에 맞게 수정하여 구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서술되는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 컴퓨팅 장치와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가 일체로서 결합된 장치,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의 케이스에 구비되어, 컴퓨팅 장치를 수용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케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등 다양한 형태의 장치 및 이러한 장치들의 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가상현실 장비의 활용방법들은, 컴퓨팅 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컴퓨팅 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가상현실 장비와 연결되는 서버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작들 각각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가상현실 장비, 모바일 단말, 모바일 단말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서버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컴퓨팅 장치 및 그 주변기기와, 그 조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 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각각 재조합되고 재배치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 또는 도면에 의하여 그 결합이 명시된 내용 외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 구성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면, 그 결합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소정의 신호를 주거나 받을 수 있는 상태 또한 서로 “연결” 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현실 및 가상현실 영상은 VR(Virtual Reality) 및 VR 영상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과 가상현실 영상,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과 증강현실 영상, 혼합현실(MR, Mixed Reality)과 혼합현실 영상 및 일반 영상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현실, 가상 및 현실과 가상이 혼합된 모든 종류의 영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가상현실 장비 또는 가상현실 장비와 연결되는 서버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학습 및 동작하며, 각각의 실시 예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학습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이고, 개시되는 실시 예에 적용되거나 적용가능한 학습방법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학습(딥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딥 러닝은 여러 비선형 변환기법의 조합을 통해 높은 수준의 추상화(abstractions, 다량의 데이터나 복잡한 자료들 속에서 핵심적인 내용 또는 기능을 요약하는 작업)를 시도하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딥 러닝은 큰 틀에서 사람의 사고방식을 컴퓨터에게 가르치는 기계학습의 한 분야로 볼 수 있다.
어떠한 데이터가 있을 때 이를 컴퓨터가 알아 들을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영상의 경우는 픽셀정보를 열벡터로 표현하는 등)로 표현(representation)하고 이를 학습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어떻게 하면 더 좋은 표현기법을 만들고 또 어떻게 이것들을 학습할 모델을 만들지에 대한)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다양한 딥 러닝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딥 러닝 기법들로는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s, DNN),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 순환 신경망(Reccurent Neural Network, RNN) 및 심층 신뢰 신경망(Deep Belief Networks, DBN)을 예로 들 수 있다.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s, DNN)은 입력 계층(input layer)과 출력 계층(output layer) 사이에 복수개의 은닉 계층(hidden layer)들로 이뤄진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이다.
도 117은 심층 신경망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7에서 각 원은 하나의 퍼셉트론(perceptron)을 나타낸다. 퍼셉트론은 여러 개의 입력 값(input)과 하나의 프로세서(prosessor), 하나의 출력 값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여러 개의 입력 값에 각각 가중치를 곱한 후, 가중치가 곱해진 입력 값들을 모두 합한다. 그 다음 프로세서는 합해진 값을 활성화함수에 대입하여 하나의 출력 값을 출력한다. 만약 활성화함수의 출력 값으로 특정한 값이 나오기를 원하는 경우, 각 입력 값에 곱해지는 가중치를 수정하고, 수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출력 값을 다시 계산할 수 있다. 도 117에서 각각의 퍼셉트론은 서로 다른 활성화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퍼셉트론은 이전 계층에서 전달된 출력들을 입력으로 받아들인 다음, 활성화 함수를 이용해서 출력을 구한다. 구해진 출력은 다음 계층의 입력으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최종적으로 몇 개의 출력 값을 얻을 수 있다.
딥 러닝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다시 돌아가면,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은 최소한의 전처리(preprocess)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다계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s)의 한 종류이다. 합성곱 신경망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합성곱 계층(convolutional layer)과 그 위에 올려진 일반적인 인공신경망 계층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중치와 통합 계층(pooling layer)들을 추가로 활용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합성곱 신경망은 2차원 구조의 입력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합성곱 신경망은 표준 역전달을 통해 훈련될 수 있다. 합성곱 신경망은 다른 피드포워드 인공신경망 기법들보다 쉽게 훈련되는 편이고 적은 수의 매개변수를 사용한다는 이점이 있다.
합성곱 신경망은 입력 영상에 대하여 합성곱과 서브샘플링을 번갈아 수행함으로써 입력 영상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한다. 도 118은 합성곱 신경망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8을 참조하면, 합성곱 신경망은 여러 개의 합성곱 계층(Convolution layer), 여러 개의 서브샘플링 계층(Subsampling layer, Lacal pooling layer, Max-Pooling layer), 완전 연결 층(Fully Connected layer)을 포함한다. 합성곱 계층은 입력 영상(Input Image)에 대해 합성곱을 수행하는 계층이다. 그리고 서브샘플링 계층은 입력 영상에 대해 지역적으로 최대값을 추출하여 2차원 영상으로 매핑하는 계층으로, 국소적인 영역을 더 크게 하고, 서브샘플링을 수행한다.
합성곱 계층에서는 커널의 크기(kernel size), 사용할 커널의 개수(즉, 생성할 맵의 개수), 및 합성곱 연산 시에 적용할 가중치 테이블 등의 정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의 크기가 32×32이고, 커널의 크기가 5×5이고, 사용할 커널의 개수가 20개인 경우를 예로 들자. 이 경우, 32×32 크기의 입력 영상에 5×5 크기의 커널을 적용하면, 입력 영상의 위, 아래, 왼쪽, 오른쪽에서 각각 2개의 픽셀(pixel)에는 커널을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도 119에 도시되어 있는 합성곱 계산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입력 영상의 위에 커널을 배치한 후 합성곱을 수행하면, 그 결과 값인 '-8'은 커널에 포함된 입력 영상의 픽셀들 중에서 커널의 중심요소(center element)에 대응하는 픽셀의 값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32×32 크기의 입력 영상에 5×5 크기의 커널을 적용하여 합성곱을 수행하면 28×28 크기의 맵(map)이 생성된다. 앞서, 사용할 커널의 개수가 총 20개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므로, 첫 번째 합성곱 계층(도 7의 'C1-layer' 참조)에서는 총 20개의 28×28 크기의 맵이 생성된다.
서브샘플링 계층에서는 서브샘플링할 커널의 크기에 대한 정보, 커널 영역 내의 값들 중 최대값을 선택할 것인지 최소값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도 120은 서브샘플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0을 참조하면, 서브샘플링할 커널의 크기가 2×2이고, 커널 영역에 포함된 값들 중 최대값을 선택하도록 설정된 것을 알 수 있다. 8×8 크기의 입력 영상에 2×2 크기의 커널을 적용하면, 4×4 크기의 출력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즉, 입력 영상에 비하여 크기가 1/2로 축소된 출력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딥 러닝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다시 돌아가면, 순환 신경망(Reccurent Neural Network, RNN)은 인공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말한다. 순환 신경망은 앞먹임 신경망과 달리, 임의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신경망 내부의 메모리를 활용할 수 있다.
심층 신뢰 신경망(Deep Belief Networks, DBN)이란 기계학습에서 사용되는 그래프 생성 모형(generative graphical model)으로, 딥 러닝에서는 잠재변수(latent variable)의 다중계층으로 이루어진 심층 신경망을 의미한다. 계층 간에는 연결이 있지만 계층 내의 유닛 간에는 연결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심층 신뢰 신경망은 생성 모형이라는 특성상 선행학습에 사용될 수 있고, 선행학습을 통해 초기 가중치를 학습한 후 역전파 혹은 다른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의 미조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훈련용 데이터가 적을 때 굉장히 유용한데, 이는 훈련용 데이터가 적을수록 가중치의 초기값이 결과적인 모델에 끼치는 영향이 세지기 때문이다. 선행학습된 가중치 초기값은 임의로 설정된 가중치 초기값에 비해 최적의 가중치에 가깝게 되고 이는 미조정 단계의 성능과 속도향상을 가능케 한다.
상술한 인공지능 및 그 학습방법에 관한 내용은 예시를 위하여 서술된 것이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서 이용되는 인공지능 및 그 학습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동일한 과제해결을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인공지능 기술 및 그 학습방법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 방법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실시 예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할 수 있다. 뇌파는 그 주파수에 따라 크게 델타파, 쎄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로 구분된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뇌파검사(Electroencephalogram, EEG)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EEG 장비는 대상체(사용자)의 뇌 활동에 따른 전기활동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뇌 활동에 따른 전기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뇌파를 수집하고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에 뇌파에 대응하는 자극을 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뇌자극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TMS(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경두개 자기자극술)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TMS는 신경계에 대한 비침습적인 치료방법으로, 약물치료나 침습치료 없이 신경계 질환을 치료하고,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MS는 자장변화를 이용하여 대상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뇌)에 전기적 자극을 가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측정 및 뇌자극의 정확도 및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뇌 MRI 영상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또는 장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RI 장비는 뇌의 구조 및 뇌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그 순서를 결정하기 어렵다. 하지만, 뇌파를 활용하면 그 순서에 대한 정보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MRI 시스템은 특정 세기의 자기장에서 발생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에 대한 MR(Magnetic Resonance) 신호의 세기를 명암 대비로 표현하여 대상체의 단층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대상체를 강력한 자기장 속에 눕힌 후 특정의 원자핵(예컨대, 수소 원자핵 등)만을 공명시키는 RF 신호를 대상체에 순간적으로 조사했다가 중단하면 상기 특정의 원자핵에서 MR 신호가 방출되는데, MRI 시스템은 이 MR 신호를 수신하여 MR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MR 신호는 대상체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를 의미한다. MR 신호의 크기는 대상체에 포함된 소정의 원자(예컨대, 수소 등)의 농도, 이완시간 T1, 이완시간 T2 및 혈류 등의 흐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MRI 시스템은 다른 이미징 장치들과는 다른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미지의 획득이 감지 하드웨어(detecting hardware)의 방향에 의존하는 CT와 같은 이미징 장치들과 달리, MRI 시스템은 임의의 지점으로 지향된 2D 이미지 또는 3D 볼륨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MRI 시스템은, CT, X-ray, PET 및 SPECT와 달리, 대상체 및 검사자에게 방사선을 노출시키지 않으며, 높은 연부 조직(soft tissue) 대조도를 갖는 이미지의 획득이 가능하여, 비정상적인 조직의 명확한 묘사가 중요한 신경(neurological) 이미지, 혈관 내부(intravascular) 이미지, 근 골격(musculoskeletal) 이미지 및 종양(oncologic) 이미지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MRI 시스템은 갠트리(gantry), 신호 송수신부, 모니터링부, 시스템 제어부 및 오퍼레이팅부를 포함한다.
갠트리는 주 자석, 경사 코일, RF 코일 등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갠트리 내 보어(bore)에는 정자기장 및 경사자장이 형성되며, 대상체를 향하여 RF 신호가 조사된다.
주 자석, 경사 코일 및 RF 코일은 갠트리의 소정의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소정의 방향은 동축 원통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의 수평축을 따라 원통 내부로 삽입 가능한 테이블(table)상에 대상체가 위치될 수 있다.
주 자석은 대상체에 포함된 원자핵들의 자기 쌍극자 모멘트(magnetic dipole moment)의 방향을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자기장 또는 정자장(static magnetic field)을 생성한다. 주 자석에 의하여 생성된 자장이 강하고 균일할수록 대상체에 대한 비교적 정밀하고 정확한 MR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경사 코일(Gradient coil)은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경사자장을 발생시키는 X, Y, Z 코일을 포함한다. 경사 코일은 대상체의 부위 별로 공명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유도하여 대상체의 각 부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RF 코일은 환자에게 RF 신호를 조사하고, 환자로부터 방출되는 M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F 코일은, 세차 운동을 하는 환자 내에 존재하는 원자핵을 향하여, 세차운동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RF 신호를 전송한 후 RF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환자 내에 존재하는 원자핵에서 로부터 방출되는 M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MRI 시스템의 구성은 예시를 위하여 제시된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자기공명 영상을 얻기 위하여 이용되는 시스템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뇌파 및 MRI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기 위한 헬멧 형태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헬멧 형태의 장비와 결합된 고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3은 가상현실 장비 및 이와 결합된 헬멧 형태의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3을 참조하면, 사용자(10000)가 가상현실 장비(10100) 및 헬멧(10200)을 착용하고 있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3의 헬멧(10200)에 대하여 앞과 뒤 방향이 표시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어떠한 사항도 이러한 표기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3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장비(10100)는 헬멧(10200)과 일체로서 구성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23을 참조하면, 헬멧(10200)은 사용자(10000)의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뇌파 모듈(10220)을 포함한다. 뇌파 모듈(10220)은 사용자(10000)의 뇌파를 측정하는 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나 뇌파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뇌파 모듈(10220)은 헬멧(10200)의 내부 곳곳에 구비되어, 사용자(10000)의 뇌파를 측정하는 데 이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뇌파 모듈(10220)은 사용자(10000)의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나 전류 또는 자기장 발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헬멧(10200)은 소형화된 MRI 장비(10210)를 포함할 수 있다.
MRI 장비(10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갠트리(gantry), 신호 송수신부, 모니터링부, 시스템 제어부 및 오퍼레이팅부를 포함한다. MRI 장비(1021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이 헬멧 크기로 소형화된 것이다.
MRI 장비(10210)에 포함되는 갠트리는 주 자석, 경사 코일, RF 코일 등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갠트리 내 보어(bore)에는 정자기장 및 경사자장이 형성되며, 대상체를 향하여 RF 신호가 조사된다. 주 자석, 경사 코일 및 RF 코일은 갠트리의 소정의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소정의 방향은 동축 원통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MRI 시스템에는 원통의 수평축을 따라 원통 내부로 삽입 가능한 테이블(table)이 포함되고, 대상체는 테이블 위에 위치된다. 하지만 도 12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MRI 장비(10210)는 헬멧에 구비되는 바 사용자(10000)의 머리에 헬멧이 장착되고, 헬멧은 사용자(10000)의 머리에 대한 MRI 영상을 획득하는 데 이용된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 및 상술한 뇌파 측정 및 뇌자극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현실 장비가 수행하는 각각의 동작들은 가상현실 장비에 저장되거나, 가상현실 장비에서 접근가능한 인공지능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현실 장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이하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 측정 및 뇌자극을 위한 장비(예를 들어, 헬멧 형태의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촬영을 원하는 방향과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촬영을 수행한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에 더하여 사용자의 초점, 눈동자의 위치 및 움직임, 눈 주변 근육의 움직임 및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더 정확한 방향 및 시점에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머릿 속 특정 시점을 영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로부터 사용자의 과거 추억이나, 필요한 기억들을 떠올릴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파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기존에 저장된 이미지 및 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평소 사용자의 뇌파 패턴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및 뇌파 패턴에 대한 매칭정보를 활용하여, 획득되는 사용자의 뇌파 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특정 이미지 또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였을 때, 사용자가 알고 있는 정보이거나, 본 적 있는 이미지인 경우 기존 기억을 떠올림에 따라 발생하는 뇌파의 패턴이 존재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이러한 뇌파의 패턴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특정 이미지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또는 이미지)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거짓말 탐지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범인에게 피해자의 사진을 보여주거나, 사건현장에 대한 이미지나 정보를 제공한 후, 사용자의 기억에 대응하는 뇌파패턴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거짓말을 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이미지, 사용자의 생각, 사용자의 행동 및 사용자의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뇌파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것 만으로 사용자의 생각을 읽거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에 있어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실제 경험하거나 행동한 것이 아니고, 과거의 기억이나 TV등의 외부 자극에 의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필터링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노이즈를 예방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람의 뇌파는 매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며, 건강상태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이러한 차이점을 고려하여, 소정의 오차범위를 보정하여 정확한 뇌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억에 대응하는 뇌파와 다소 상이한 뇌파가 획득되어도, 사용자의 상태변화를 고려하여 소정의 범위 내의 뇌파는 동일한 뇌파로 처리할 수 있다.
엄밀히 말해, 미시세계로 들어가면, 인간은 어제의 인간과 오늘의 인간은 다른 인간이고, 객체이다. 그러므로, 뇌파의 발신, 패턴도 매일 조금씩 바뀐다고 할 수 있다. 어떤 행위를 한다고 할 때, 뇌파의 고유 패턴이 있고, 이를 연속성에서 일정 수준 이상 일치시 동일한 사람임을 인정하며, 매 이용시마다,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의 패턴을 저장, 변화된 뇌파의 패턴 체계를 원래 체계에 맞도록 자동 보정하여, 뇌파의 명령 체계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 및 그에 수반되는 뇌파측정 장비는, 동물의 뇌파를 측정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동물에 장착된 뇌파 신호를 포착, 분석하여, 동물의 상태, 예를 들어 배고픔, 분노, 외로움, 즐거움, 심심함, 이성에 대한 호감, 긍정, 거부, 불쾌함, 더러움, 깨끗함, 졸림, 휴식, 운동욕구, 호기심, 관심없음, 교감욕구 등을 인간의 언어로 통역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다양한 설정 및 동물의 종에 따른 실험을 수행하고, 종별로 상이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특정 표준치를 구축하여 종에 관계없이 뇌파측정을 통해 동물의 상태나 언어를 통역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다양한 행동에 기반한 히스토리와, 각각의 히스토리에 대응하는 뇌파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뇌파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기존 기록을 토대로, 사용자가 그동안 원해왔던 것(예를 들어, 검색기록, 통화기록, 구매이력 등)을 뇌파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뇌파패턴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뇌파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이미지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생일선물이나 여행지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희망사항을 해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평소 고민의 고유 패턴과 현재 사용자의 뇌파패턴을 비교, 사용자의 고민을 알아내고, 고민의 해결을 도울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자살이나 범죄행위 등 특정 행위와의 뇌파패턴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잘못된 행위를 하는 것을 사전에 막아낼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 사용자가 게임을 하는 중 느끼는 호감, 짜증, 욕설, 스트레스, 피로도, 게임시간, 게임욕구, 중독성 등을 분석, 게임예방의 기술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게임 플레이를 종료 또는 정지하거나, 게임시간의 조절 및 배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수면 중 뇌파를 분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수면 중 뇌파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숙면도, 피로도, 잠 부족, 꿈 꾸는 시간 등 수면시간에 대한 정보를 정성분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잠들고 깨어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그 사이 수면시간의 생체리듬과 수면의 질 등을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별 건강상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침대 등 침구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뇌파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면 중에 자연스럽게 뇌파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수면습관, 수면의 질 및 그에 따른 피로도 등을 분석하고, 필요한 조언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가상공간 또는 이미지 파일 등에서 색을 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색을 입히거나,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가상공간 내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주변 사람들의 머리색을 바꿀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공간 내에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상을 구현해낼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안마의자 등 마사지 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부위별 선택안마, 반복 마사지 기능, 시간배정, 강약조절, 냉온찜질, 조임 등의 조절, 흔들기, 원적외선 고주파 방출 및 조절 등 다양한 형태로 마사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내 IoT 환경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실내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추위를 느끼면 에어컨을 끄고, 더위를 느끼면 보일러를 끄고, 사용자가 에어컨 또는 보일러를 바라보며 꺼지거나 켜졌으면 좋겠다는 신호를 보내면, 가상현실 장비가 뇌파를 감지하여 에어컨 또는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자신 또는 타인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이에,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보이고 싶지 않거나, 거짓말을 하고 싶어하는 경우, 실제 사용자의 생각과 다른 위장된 생각, 또는 위장된 생각에 대응하는 뇌파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에 더하여, 뇌와 다소 이격된 부분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액세서리가 사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액세서리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액세서리는 예를 들어 헤어밴드나 귀걸이, 시계, 목걸이, 팔찌 기타 장신구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성문이나 뇌파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사(또는 진의)를 감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성문이나 뇌파에 기초하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송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또는 사용자의 눈빛이나 동작 등 기타 행동과 뇌파를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가 특정 타인에게 송금하고자 하는 의지(예를 들어, 상대방에 대한 정보, 송금액, 계좌정보, 은행정보 등)를 파악하고, 뇌파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하면 해당 타인에 대하여 송금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물건을 구매하고, 금액을 지불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공간에서는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원하는 물건을 선택하고, 구매 및 지불까지 수행할 수 있다. 현실에서는, 사용자의 뇌파 및 행동을 통한 대상 결정 및 인증을 통하여, 포스 장치 등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화폐 지갑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위치하는 가상현실 지갑을 관리,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체 종합정보(예를 들어, 동작, 홍채, 손금, 정맥패턴, 지문 및 얼굴 생김새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뇌파 등)에 기초한 인식 및 인증을 수행한 후 작동될 수 있다.
사람은 시간이 지날수록 성장 또는 노화에 의하여 신체의 상태가 달라지고, 매일매일의 건강상태 등에 따라서도 신체의 상태가 달라진다. 따라서, 동일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어제의 사람과 오늘의 사람, 오늘의 사람과 내일의 사람은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뇌파패턴 또한 지속적으로, 또는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뇌파는 뇌에 포함된 뉴런 간의 신호전달과, 그에 따라 구현되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나타나는 전기신호이다. 따라서, 동일한 사람이 동일한 동작을 하더라도, 뇌파의 패턴은 매번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뇌파 패턴이 항상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할 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뇌파패턴과 비교하되, 완전히 동일한 뇌파패턴을 찾는 것이 아니고, 어느정도 오차를 감안하여 뇌파패턴을 비교하도록 한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맥박과 호흡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뇌파와, 맥박 및 호흡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감정과 각각의 감정에 대응하는 반대감정을 판단한다.
나아가,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성문 및 근육의 미세한 움직임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또는 현실에서 사용자의 얼굴 표정, 근육 움직임, 몸짓, 눈꺼풀, 눈 주변 근육 맥박, 체온, 숨소리, 성문, 음성의 생물학적, 바이오 현상과, 뇌파를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사용자의 기분을 분석하고,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고, 상대방에게 사람의 감정을 퍼센트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대방의 감정을 읽을 수도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장비는 상대방의 사용자에 대한 관심도를 판단할 수 있고, 서로 호감이 있는지 여부를 미리 알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머리가 좋은지, 나쁜지, 부지런한지, 게으른지 등 사용자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증폭하기 위한 뇌파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뇌파 증폭기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가상현실 장비는 더 정확한 뇌파의 측정을 위하여 두개골 내부에, 뇌와 가까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뇌파감지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나 탈것을 조종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공간 및 현실공간에서 각종외부 기기나 탈것을 조종할 수 있다.
사람마다 뇌파 패턴은 상이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가 누적되면 딥 러닝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고, 경우에 따른 패턴의 유사성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사람이라도 같은 이미지를 볼 때 유사한 패턴의 뇌파가 적어도 일부 발생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장비는 학습을 통해 이러한 특징을 도출, 개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없어도 어느 정도 수준의 뇌파 인식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2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뇌파 모듈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4를 참조하면, 가상현실 장비(11000)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되는 접안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뇌파 모듈(11100)이 구비된다. 뇌파 모듈은 사용자의 뇌파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나 뇌파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뇌파 모듈(11100)은 사용자의 뇌파를 증폭할 수 있는 뇌파 증폭기와, 뇌파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제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뇌파 모듈(11200)은 가상현실 장비(11000)의 밴드 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다. 뇌파 모듈(11200)은 가상현실 장비(11000)의 밴드 부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얼굴 또는 두상과 접촉하거나 가까이 배치되고, 사용자의 뇌로부터 뇌파를 감지,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11000)의 플레이트 일측 끝 부분에 손잡이(11400)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손잡이(11400)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장비(11000)의 외벽을 슬라이딩하여 펼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11000)의 접안 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11300)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11300)은 카메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이나 눈 주변 근육의 움직임 등을 인식하는 데 사용된다.
가상현실 장비를 착용한 사용자가 가상의 목표물의 방향을 설정할 때, 눈동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안구 주변 눈 근육, 구체적으로 위 및 아래 눈꺼풀의 근육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 깜박임, 안구의 움직임에 따른 눈꺼풀과 눈 주변의 근육의 움직임 등을 인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이나 시선이 이동하는 방향을 분석하여 가상현실 영상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 각도와 거리, 그리고 뇌파 인식을 통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대상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 및 눈 주변 신체부위의 움직임과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력저하(예를 들어, 눈이 잘 안 보여서 눈을 자주 찡그리는 등)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빛에 따른 동공이나 홍채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안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 판단의 오류 또는 사용자가 잠시 다른 생각을 하는 등 잘못된 뇌파 판단에 따른 오작동을 막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취소가능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중에 잘못된 상상이나 잡녑으로 인하여 잘못된 제어가 수행될 우려가 있는 경우, 가상현실장비는 이를 판단하여 버튼이나 음성입력 등의 방식으로 해당 명령을 정말로 실행할지 여부, 또는 명령을 취소하거나, 명령의 수행을 중단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를 이용하여 잘못된 명령을 수정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명령과 주변 상황, 현재 진행상황 등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뇌파에 따른 명령이 잘못된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별도의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사용자가 원하는 가상 공간으로 이동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미리 판단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를 분석함에 있어 잡음(노이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축적함에 있어 사용자의 뇌파가 주변의 차소리와 같은 잡음에 대한 반응에 따른 노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뇌파 중에서도 주변 자극에 따른 반응에 대응하는 뇌파를 제거하고, 평소 사용자의 뇌파패턴에 대응하는, 즉 사용자의 뇌파패턴인 것으로 판단되는 뇌파패턴만을 추출하여, 추출되는 뇌파패턴에 기초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사람의 뇌파패턴은 모두 미세하기 상이하므로, 가상현실 장비는 이에 따른 차이점을 학습화, 지도화, 세분화 및 코드화하고, 각 사용자에 따른 최적의 코드 패턴을 학습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별로 최적화된 코드 패턴은 가상현실 장비에 저장될 뿐 아니라, 외부 서버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다른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에 다운로드되어 제공될 수 있고, 어디에서나 사용자에게 맞도록 개인화된 뇌파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뇌파자료를 저장 및 분석하고, 이를 표준 명령 체계로 변환하여 전달시킬 수 있는, USB 형태의 저장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USB 장치가 외부 기기에 삽입되면, 외부 기기는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된 뇌파분석 및 기타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로부터 공간과 표적 등을 관할하는 뇌파를 분석하여, 상품 구매, 표적의 위치 체크에 활용할 수 있다.
뇌파는 각각이 담당하는 영역에 따라 상이하게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채만을 관할하는 뇌파가 있을 수 있고, 이미지만을 관할하는 뇌파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현실 장비는 이를 구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산, 물, 바다, 배 등 특정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고, 별도로, 소리나, 문자, 촉감, 미각, 빛, 어둠, 후각 등, 크기, 면적, 거리, 가로세로 각도, 공간, 무게, 등, 기억, 각 부분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험을 통해서 또는 분석결과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장비는 하나의 뇌파로 모든 것을 얻어내는 것이 아니고, 각각의 세분화된 내용들에 대하여, 각각 세분화된 뇌파를 분석하여, 하나하나 서로 다른 데이터로 적용하고, 학습하여, 각 분야에서 더 우선적으로 적용할 뇌파 및 그에 따른 모델을 이용하거나, 각각의 뇌파정보에 대한 가중치(퍼센트)를 더 높게 부여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뇌파를 세분화하여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또는 현실 속의 화면과 사용자의 뇌파패턴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치화하여, 추후 명령을 획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색채, 면적, 움직임 등의 각각의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뇌파와 비교하여 각각의 내용을 분석할 수 있는 근거로 삼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라가 있다고 하자. 이 경우 공간을 측정하는 뇌파를 먼저 추출하여 대상체가 캔인지, 또는 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색채를 이용하여 콜라인 것을 판단할 수 있고, 상표를 분석하고, 면적이나 크기 등 각각의 요소를 별도로 분리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세부적인 내용일수록 나중에 판단하고, 우선 중요한 분류들부터 판단하여, 적은 판단과정으로도 대상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예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에게 산을 보여주고 뇌파를 측정하고, 바다를 보여주고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산과 바다를 합성하여서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풍경 속의 나무를 위치이동하거나, 동서남북으로 이동하는 등 다양한 변화에 따른 뇌파패턴의 측정을 통해 뇌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후 새로운 정보를 적용할 때, 이를 바탕으로 보다 오차를 줄이고 정확하게 뇌파에 따른 명령을 인식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근심, 걱정, 분노, 우울증, 스트레스, 놀람, 불안정, 긴장 등의 뇌파를 측정하여, 음악, 영상, 등으로 치유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무기력, 졸림, 긴장, 기억력 감퇴 등, 학습 능력에 관여되는 뇌파를 측정함에 있어, 학습에 방해되는 뇌파를 측정시, 집중과 각성을 위하여 최적화된 음악, 영상 등으로 미세하게 뇌파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운동, 독서 및 기타 조언 등 사용자의 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통증을 느낄 때 행복, 안정, 평화, 안락, 황홀, 오르가즘 등 다양한 감각을 뇌파로 자극하거나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음성,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스트레스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자극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피부 온도, 피부 저항, 뇌파 패턴 등 사용자의 신체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상현실 장비는 신체 곳곳에 장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액세서리 형태의 뇌파분석기들을 이용하여, 특정 질병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뇌파가 측정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질병가능성을 판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태가 위급한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주치의나 119, 또는 주변 지인들에게 사용자의 상태를 전파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람마다 상이한 뇌파패턴을 특정 자극의 영상과, 그에 따른 반응과 대응시켜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동일한 영상에 대하여 특정 뇌파패턴을 보이는 경우, 예를 들어 게임을 켜고 로그인하거나 특정 명령을 수행하는 등의 경우 반복적인 동작 없이도 자동으로 뇌파패턴에 기초하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로운 동작을 반복하지 않아도 되게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또한, 처음 접하는 유사 영상에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뇌파패턴을 획득하고 이로부터 행동 부분과 패턴 부분을 분리하여, 각 패턴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새로운 화면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행동을 가상현실 장비가 스스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처음 보는 게임이라도 가입 및 로그인이 가능하고, 즉시 사용자 매칭을 통한 게임 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뇌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뇌 활성화 센서 또는 밴드를 더 포함하고, 뇌를 활성화할 수 있는 센서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머리밴드 등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뇌 곳곳을 자극할 수 있다.
사용자는 뇌 활성화에 따라 거짓말, 관심, 무관심, 집중, 피곤, 행복, 분노, 흥분 등 각종 정보를 발하게 되고, 가상현실 장비는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주기적인 뇌 활성화 및 관찰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질병 진단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좋지 않으면 이에 저항하기 위한 스트레스성 표현이 뇌를 통하여 발산될 수 있고, 가상현실 장비는 이를 분석하고 측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소리, 빛, 후각, 미각 등 주위 환경이나, 분노, 흥분,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 감정 환경을 배제하고,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뇌파 패턴만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파패턴에 대응하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뇌파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외부 또는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장비는 음성과 관련된 뇌파를 제외한 나머지 뇌파들을 제외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 간 텔레파시가 가능하도록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상대방의 표정과 성문, 실시 예에 따라 뇌파를 이용하여 상대방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또는 가상 공간에서, 특정 도형이나 선 등 이미지 형태 각각에 대응하여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 및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특정 명령을 실행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바라보며 누르는 생각을 하면, 해당 뇌파에 대응하여 버튼을 누른 것으로 처리할 수 있고, 가상의 팔레트나 공간에 사용자가 그림을 그리는 생각을 하면, 뇌파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그려질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외우거나, 어떠한 내용을 기억하거나, 공간감각, 수리분석 등 특정한 종류의 두뇌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분석하고, 해당 두뇌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얻는 만족도 등을 뇌파에 기초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악, 미술, 운동신경 등 예체능 감각을 또한 분석하고, 성취도 및 그에 따른 만족도를 뇌파에 기초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진로(적성)를 안내하거나, 사용자에게 부족한 부분을 찾아내어 코치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특정한 자극에 반응하는 고유의 뇌파 패턴을 분석 및 복제함으로써, 사용자의 뇌를 복제할 수 있다. 복제된 뇌에는 각각의 자극에 대한 반응예가 모두 저장되어 있으므로, 복제된 뇌는 사용자의 뇌와 같이 행동할 수 있다. 이에 가상현실 장비는 인공지능 복제 두뇌를 완성할 수 있다. 인공지능 복제 두뇌를 이용하면, 자연인에 가가운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로봇이나 인간의 골격을 이용하면, 인공지능 로봇이나 인조인간을 만들어낼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에 의한 명령 이행 작업 중,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몸의 가려움이나 외부 자극(소음 등)에 의한 노이즈로 판단되는 뇌파가 감지되는 경우, 특별한 위험이 감지되지 않는 이상, 이는 사용자의 의사에 반한다고 판단, 이를 즉시 반영하여 따르지 않고, 사용자의 기존 의사대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공간에서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고, 뇌파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느리게 또는 빠르게 하거나, 걷고, 뛰고, 비행하는 등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 공간에서 마음먹은대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밴드를 이용하여 머리에 장착된다. 도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밴드는 뇌파를 스캔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공간에 가상의 보관함을 마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종류의 가상 객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함에는 잘 외워지지 않는 단어가 저장되거나, 가상화폐 지갑을 포함하는 금고, 장바구니, 가상 공간 내의 물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특정한 가상의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야구, 축구, 등, 당구, 볼링, 배드민턴 등의 스포츠를 생각하면, 사용자는 가상 공간 내에서 해당 경기장으로 입장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각각의 종목에 따른 사용자의 고유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에 대응하는 가상의 장소로 사용자를 이동시킨다.
게임이나 운동을 할 때, 그에 수반되는 각종 행위에 대하여, 가상현실 장비는 상술한 방식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뇌파 데이터를 축정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뇌파를 이용한 명령체계를 만들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에 따라 사용자를 게임이나, 농구, 스키, 격투기, 무예, 스케이트, 골프, 당구, 볼링, 배드민턴, 스쿼시, 탁구, 테니스, 사격, 승마, 육상, 체조, 낚시, 등산, 래프팅, 번지점프, 모터사이클, 사냥, 게임, 스쿠버, 스포츠카 운전, 윈드서핑, 스노클링, 패러글라이딩, 행글라이딩, 수영, 다이빙, 요트, 보트, 경마, 카누 등의 가상의 운동공간에 입장시키거나, 운동, 학습, 음악, SNS, 쇼핑, 날씨, 뉴스, 금융, 영상, 여행, 예술, 의료, 육아 등 입장하고자 하는 가상공간 또는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이미지만 떠올리면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공간에서 전원버튼 등의 입력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여, 가상공간 내에서 이에 대응하는 장비를 온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뇌파 상태를 상시 감지하고,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를 떠올리면 즉시 가상현실 장비가 켜지고, 켜짐과 동시에 사용자를 특정 가상 공간에 입장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로부터 과거 일 시점에 대한 기억을 획득하면, 사용자를 기억에 대응하는 과거의 가상 공간으로 입장시킬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를 측정하여, 연결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IoT 기능을 포함한다. 가상현실 장비 또는 IoT 장비는 사용자의 노이즈에 해당하는 뇌파 신호에 대해서는 명령수행 또는 전송을 거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위치(예를 들어, 집)에 구비된 IoT 장비들 또는 가상현실 장비는, 특정 사용자의 고유 뇌파에 기초하여서만 제어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상시 감시하되, 사용자가 비정상적 행동을 하거나, 평소에는 바로 떠올릴 수 있는 것들을 오랫동안 못 떠올리는 등 이상상황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치매여부를 의심 및 진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이 피로해지거나, 안구건조 또는 사물이 이중으로 겹쳐 보이는 등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뇌파를 이용하여 이러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시력 등 시각 영역에 해당하는 뇌파의 패턴을 위주로 하여 센서 감지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눈 부분에 대응하는 뇌파가 나오는 부위의 뇌파센서에 우선순위를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 패턴을 이용하여 전자기기 등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별로 고유화된 뇌파 패턴을 이용하여 생체 인증을 수행하거나, 뇌파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밀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하나 이상의 뇌파 센서를 이용하되, 사용자의 각 부위별 측정값의 기준을 서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뇌파 센서는 사용자의 부위별로 측정되는 심층적인 뇌파 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분석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뇌파 센서를 부착한 전자기기는, 모자 핸드폰, 귀걸이 및 결합체, 안경, 이어폰, 보청기, 머리핀, 기타 머리 악세사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휴대폰 및 케이스와 연동, 뇌파로 휴대폰 및 케이스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외부기기와 정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의류와도 결합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난 등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가장 가까운 지인이나 관청에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지인의 사용자 단말이 꺼져 있는 경우, 전원이 들어오면 최우선으로 본 정보가 알려지도록 알림을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자기공명 패턴을 획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획득되는 자기공명 패턴에 기초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에서 사용자는 특정 영상을 바라볼 수 있고, 이때 뇌파로 특정 영상부분이나 메뉴 등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가상현실 장비는 그에 기초하여 수월하게 명령을 입력받고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에서 보이는 스위치나 버튼 등을 확대하여, 제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영상 속 패턴이나 문자판, 숫자판 등을 보고 특정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로부터 나만의 이미지(예를 들어, 피라미드, 사과, 자동차, 애인 등)를 상상하는 패턴의 뇌파를 획득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인 물리 비밀번호 버튼과 결합되어, 비밀번호를 물리적으로 누르는 것과 함께 뇌파를 이용한 인증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수면 중 베개 등으로부터 뇌파가 감지되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악몽을 꾸거나 기타 안정되지 않는 불안정한 뇌파 패턴이 검출되면, 불을 켜거나, 소리, 진동 등의 기능으로 잠을 깨울 수도 있으며, 아름다운 음악, 평온한 음악이나 유머, 가족, 애인 등의 음성을 넣는 등 꿈을 변경시킬 수 있는 모든 요소들을 투입, 좋은 꿈을 꾸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성을 들려줌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행복한 꿈을 꾸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이를 다르게 적용하여 외국어나 기타 과목과 관련된 음성을 들려줌으로써, 뇌기능 활성화를 도와줄 수도 있다. 또한, 스포츠와 관련된 꿈을 꾸도록 유도하여, 소정의 훈련 효과를 얻거나 수면중 치료, 학습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부위별 뇌지도를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분야의 적성검사와 문제를 부여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축적하여 사용자의 뇌지도를 완성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재능이나 적성을 판단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뇌파분석 모듈과 MRI 등이 함께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영상, 소리, 촉각에 대한 반응속도, 운동반응속도, 신체 부위별 반응속도, 과제해결속도 등 다양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획득되는 정보들을 취합하여 뇌지도를 작성하고, 평균적인 사람의 뇌지도와 비교하여, 특정 영역이 부족하면 해당 부분을 더 노력하도록 하거나, 관련된 직업은 포기하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영역에 대한 머리가 좋아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기기를 이용시 디자인을 강화하는 컨셉으로 모든 정보를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에게 영상, 방송, 잡지, 전시회, 예술, 뉴스 기사의 제공 등에서, 디자인 분야를 확대하여 제공하며, 영상, 뉴스, 잡지 등을 제공할 때, 그 중 디자인의 비율을 높여서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식당, 여행지,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디자인에 집중하여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추구하는 디자인 분야에서 새로운 디자인이 나오면 그 이미지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디자인 과제를 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교육이나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그 해결 과정에서 다양한 디자인적 해결책을 제시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이로써 사용자의 디자인 관련 뇌기능을 활성화하고, 그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스포츠 분야 또는 학습 컨설팅에 이러한 기술을 활용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뇌파 분석을 통해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별 맞춤정보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분야에 대해 포커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분야는 게임은 물론이고, 수학, 영어, 외국어, 바둑, 음악, 체스, 요리, 이성교제, 연예, 오락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이성과 데이트를 원하는 것을 뇌파 또는 인공지능의 분석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이상형에 대응하는 인물들을 사용자와 매칭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이성이 상대방을 찾고 있는 경우, 각각의 가상현실 장비는 서로를 자동 탐색하고, 신호를 송수신하여 매칭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매칭 기준은 인종, 국적, 만남의 시간, 나이, 재산, 학력, 신체 치수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상현실 장비는 서로 다른 사용자 간에 취미가 같거나, 특정 주제에 따른 토론에 사용자가 뇌파를 이용하여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가상의 개인공간을 구축하고,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고, 방문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상의 개인공간은 원룸이나 집과 같이 활용되어, 타인이 입장하기 위해서는 노크 등 신호를 보내야 할 수도 있고, 블로그나 미니홈피, 가상의 갤러리 등 전시실로서 활용될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상대방의 표정, 성문, 뇌파 등을 분석하여, 상대방이 자신을 좋아하는지, 존경하거나 무시하는지, 소중히 여기는지 등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성 간 데이트 뿐 아니라 친구, 사업 파트너 간에도 이용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각을 텍스트로 변환 또는 타이핑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나 타인의 신체를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정보나 다이어트의 필요성, 다이어트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평균적인 몸무게를 초과하는 사용자들의 특징을 분석 및 제공하여, 사용자의 생활습관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특정한 음식이 먹고 싶다고 생각할 때, 이와 관련된 정보 및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음식뿐 아니라, 사용자의 생각을 읽어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종류의 제품에 대한 구매추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신발, 화장품, 자동차, 여행, 학습, 운동, 금융, 의료 등을 포괄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영역을 포괄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특정 행동을 하기 전에 검출되는 뇌파의 신호 패턴을 학습하여,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전 이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컴퓨터 버튼을 누르기도 전에 컴퓨터를 켤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행동예측 뿐 아니라, 주변의 사물들과 앞뒤 맥락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예측되는 행동에 대응하는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가상현실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고, 상하좌우를 조절하거나 책 페이지를 넘기고, 줌업 또는 줌인 등 다양한 영상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손바닥, 주먹, 손가락, 양손 등을 가상현실 화면에 동시에 띄울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라 목표나 목적을 인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의 특정 목적물을 가리키거나 잡으려고 하는 경우, 가상공간 내의 목적물 또한 사용자 방향으로 다가오도록 하여, 사용자가 목적물을 손으로 더 빠르게 가리키거나 잡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손뿐 아니라, 동공의 움직임을 포함하여 인체의 모든 부위와, 뇌파 등 다양한 입력방법에 있어 제한을 두지 않는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손을 인식함에 있어서, 사람이 많은 공간에서 다른 사람들의 손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과 다른 사람들의 손을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분리하여 인지하고, 다른 사람의 손에 의하여 제어가 수행되지 않도록 이를 분류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화면을 다른 사람이 훔쳐볼 때, 그 시선을 감지하여 이를 화면에 색으로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의 시선에 의하여 제어되지 않도록 구분된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꿈이나 상상 등 사용자가 원하는 희망적인 모습을 생각할 때 나오는 뇌파 패턴을 기억하고, 같은 뇌파를 두뇌로 다시 되돌려 보냄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꿈을 꾸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무선 기기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일상에서 측정되는 뇌파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그 패턴을 분석하여, 개인의 행동 양식과 그에 따른 뇌파 지도를 획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다른 기기 등에 접속할 때에도 이를 참고하여 명령을 내릴 수 있고, 획득된 뇌파 지도를 다른 기기에서도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기기의 종류는 안경, 귀고리, 가발, 머리끈, 헤어밴드, (헤어)액세서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연동되는 기기로는, 핸드폰, 팔찌, 시계, 반지, 목걸이, 의류, 신발, 혁대, 가방, 각종 악세사리, 배지, 장갑, 양말, 인조손톱, 지갑, 콘택트렌즈, 베개, 넥타이, 스카프, 넥타이, 핀, 부토니에, 밴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뇌파 증폭기는 신체 곳곳에 다양하게 탈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예시 외에도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기기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가 증폭된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집중하고 있는 대상이 아닌 다른 신호들을 제거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기억과 관련된 뇌파들을 분석하여, 예전에 촬영된 일상의 화면, 영상과 결합, 실제 기억에 대응하는 화면을 구성하고 보여줄 수 있다. 또한, 과거의 사진 등 시드가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 후, 사용자의 기억이 되살아나는 것을 감지, 그 내용을 분석하여 영상화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가 상황 또는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기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학습하고, 이후 뇌파가 조금씩 달라지더라도 이에 기초하여 뇌파 패턴 간 유사성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에 대응하는 명령 인식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전체 명령 체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에는 다양한 추가 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에는 스피커, 현미경, 음주탐지기 및 공기 오염도 측정장치 모듈 등 다양한 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로봇(지상, 수중 및 공중을 이동하는 로봇을 모두 포함함), RC카 및 드론 등을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로봇, RC카 및 드론을 포함하는 외부 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시청하고, 외부 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획득하고,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 외에도 가능한 모든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드론을 조종하며, 드론에 구비된 추가 파츠를 이용하여 또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에는 농약살포를 위한 추가 파츠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드론을 조종하며 드론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농약을 살포할 위치를 결정하고, 농약 살포 명령을 드론에 전송하여 농약을 살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가 사용자로부터 조종을 위한 명령을 획득하는 방법은 다양하나,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 및 손가락의 모양을 인식하여 외부 장치 조종을 위한 명령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거나, 가상현실 장비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공 움직임을 인식하거나,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손가락 인식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의 손톱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손톱 모양 및 색상 특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톱 위치를 인식하고,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손톱을 인식, 각각의 위치 및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가 사용자의 손톱 위치를 인식하면, 이후 사용자의 손톱의 움직임을 추적(트레이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을 뒤집거나 손가락을 접어 손톱이 안 보이는 경우에도, 이전의 위치 및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톱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손톱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최초에 사용자에게 양 손 또는 한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톱을 보여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현실 장비를 착용하고, 눈 앞에 양 손을 펼쳐 뒷면이 촬영되도록 한다. 이 때,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손 및 손톱 모양의 특징을 획득하고, 또한 손톱 위치에 대한 추적을 시작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손 모양을 하고 있어도 사용자의 각 손톱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손가락, 손 또는 손톱 외에도 다양한 대상의 위치 및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반지, 손목시계, 또는 주먹 등 특정 대상을 인식,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명령을 획득하는 데 활용되는 물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영상 내에서 사용자가 지정하는 물건의 위치 및 움직임을 추적,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신체 및 사용자가 착용한 물건들 중 추적이 용이한 특징을 갖는 객체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객체의 위치 및 움직임을 추적,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선택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특정 객체를 이용하여 입력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을 획득하는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영상 및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의 운전, 조립, 제작 등 실습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톱인식을 이용하는 경우 적은 부하로 사용자의 손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실습경험을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드론과 연동되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 드론이 가상현실 장비와 통신하여, 가상현실 장비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위를 계속해서 따라다니며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1인칭뿐 아니라 3인칭 시점에서 자신의 위치, 움직임 및 일상 등을 기록하고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드론의 위치나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3인칭 시점의 거리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인칭 시점에서 자신의 머리 위에서 자신을 바라보면서 이동하면, 자신이 3인칭 시점을 갖는 게임 내 주인공이 된 감각으로 스스로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서바이벌 게임이나 증강현실, 혼합현실 게임 등과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운동선수의 경우 자신의 모습을 3인칭 시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실시간으로 자신의 움직임이나 자세를 관찰하고 교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촬영되는 영상의 시점과 다른 시점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정면으로 보이는 영상을 더 높은 각도에서 바라본 것과 같은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가상현실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영상의 디지털화 및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영상의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드론은 탁구공 정도 크기의 소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술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드론의 크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드론은 추락으로 인한 파손이나 사용자의 부상을 막기 위한 보호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케이스는 드론을 수용할 수 있고,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그물망으로 구성된 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1을 참조하면 드론(8100)과 드론(8100)을 수용하는 보호케이스(8110)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제공된 것이고, 드론(8100)과 보호케이스(8110)의 모양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드론(8100) 또는 드론(8100)을 수용하는 보호케이스(81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드론(8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다른 위치에 있는 드론과 연동하여, 연동된 드론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가상현실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해외의 관광지에 위치한 드론과 연동하고, 드론은 가상현실 장비의 이동속도 및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관광지의 영상을 가상현실 장비에 전송한다. 가상현실 장비는 수신된 관광지의 영상을 가상현실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관광지에서 가상현실 장비와 연동될 수 있는 드론을 대여하는 드론 대여업자가 필요할 수 있다. 드론 대여업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드론 대여요청을 수신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드론을 대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은 자동항법 기능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드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장애물이나 다른 드론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피하거나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은 소정의 안전거리 내에는 다른 물체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비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는 생활편의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집이나 방의 일 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더럽거나 청소가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로봇 청소기와 통신하여 로봇 청소기가 더럽거나 청소가 필요한 부분을 자동으로 청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확인하거나 가상현실 장비에서 촬영되거나, 육안으로 확인되는 로봇 청소기에 대하여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깨끗한 상태의 집 영상과, 촬영되는 집 영상을 비교하여 더러워진 부분을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되는 집이나 방 영상에 기초하여, 이전에 촬영된 집 영상 또는 로봇청소기에 저장된 집의 지도에 기초하여 이전에 없던 장애물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새로운 장애물의 위치, 크기 및 모양을 로봇 청소기에 전송하여, 로봇 청소기가 이를 피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지정하거나, 가상의 장애물 또는 제한공간을 설정하여 로봇 청소기가 특정 위치를 피해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의 소리를 감지하고, 작은 드론이나 로봇을 제어하여 해충을 잡도록 할 수 있다. 드론은 전기충격 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공격할 수 있으며,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가상현실 장비에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드론에 탑승하여 해충을 추적 및 공격하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작은 드론이나 로봇이 해충을 죽이거나, 포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드론이나 로봇에는 그물망과 같은 장치가 더 구비되어, 해충을 포획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해충의 위치를 판단하고, 자동으로 작은 드론이나 로봇을 제어하여 해충을 공격하거나 포획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은 드론이나 로봇이 스스로 해충의 위치를 판단하고, 자동으로 해충을 공격하거나 포획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고, 사용자를 상대적으로 공기 오염도가 낮은 청정지역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감지되는 공기의 성분 또는 오염물질의 위치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공기오염 외에도 공기중 오존농도, 현재 빛의 상태(예를 들어, 자외선 농도 등)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가상현실 영상을 통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공기청정기와 통신하여, 주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에는 동력장치가 구비되어, 가상현실 장비는 오염된 공기가 있는 곳으로 공기청정기를 이동시키고,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발암물질이나 아토피 발생물질 등등 공기 중에 포함되는 위험인자를 감지하여, 환풍기, 공기청정기, 에어컨, 가습기 또는 제습기 등을 제어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사용자를 청정지역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집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IoT 시스템과 연동되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집을 관찰하고, 가상현실 화면 속에서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화면 속에 보이는 에어컨의 제어 패널을 조작하면, 실제로 집에 있는 에어컨이 제어될 수 있다. 집에 설치된 카메라는 사용자의 동공이나 머리 움직임에 따라 이동 또는 회전하여,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가상현실 속의 집을 관찰하거나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집에 기 설정되지 않은 움직이는 객체가 촬영되거나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가상현실 장비가 정보를 수신하고, 집 안의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IoT 시스템과 연동되어, 각 가전제품의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각 가전제품의 소비전력을 가상현실 영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각 가전제품의 실시간 소비전력, 누적 소비전력, 실시간 전기요금 및 누적 전기요금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집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집 내부 온도를 감지하고, 화재위험이 있는 경우 현재 상황을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황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집에 설치되거나 가상현실 장비에 구비된 가스 센서를 이용하여, 가스를 감지하고, 감지된 가스의 위치나 모양을 가상현실 장비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의 비밀번호 입력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비밀번호 도어락과 연동되어, 비밀번호 도어락의 키패드 위에 숫자배치가 무작위로 재배열된 가상의 키패드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가상현실 장비는 입력된 비밀번호를 도어락에 전송하고, 도어락은 수신된 비밀번호가 맞으면 잠금을 해제한다. 또는, 가상현실 장비는 무작위로 재배열된 키패드의 각 숫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도어락에 전송하고, 도어락은 재배열된 키패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누르는 비밀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인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누르는 모습을 엿보거나, 카메라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다고 하여도, 사용자가 보고 있는 가상의 키패드 배열을 알 수 없으므로, 보안이 유지된다.
또한, 실제 도어락의 키패드와 무관하게 숫자뿐 아니라 다양한 기호나 문자가 포함된 가상의 키패드를 표시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뿐 아니라 사용자의 손 동작이나 제스쳐를 이용하여 더욱 다양한 패턴의 비밀번호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를 누르는 손의 모양을 제한할 수도 있고, 비밀번호를 누른 후 특정 손 제스쳐를 취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특정하고, 특정된 부분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스쳐는 동그라미를 그리는 동작이나, 손으로 특정 객체를 선택하는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촬영되는 영상에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 측면을 바라보며 “나무” 라고 말하는 것이 인식된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되는 영상에서 나무에 대응하는 객체를 선택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침대 또는 이불을 포함하는 침구와 연동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수면패턴이나 잠자리의 형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숙면도, 피로도, 수면시간, 바이오리듬 또는 체중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숙면을 유도하기 위한 온도, 바람 및 냄새를 제어하거나 음악을 재생하여, 쾌적한 잠자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상술한 환경조절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두뇌를 맑게 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 환경을 조절하여 수면 중이거나 학습 중인 사용자의 두뇌를 맑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IoT 시스템 또는 IoT 장비와 연동되어, 에어컨, 선풍기 및 티비 등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잠자리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 또는 가상현실 장비와 연동된 침구는 진동이나 소리를 이용한 알람기능, 라디오 기능, 수면에 좋은 음파를 발생시키는 기능, 온도조절 기능, 바람을 일으키는 기능 및 냄새를 발생시키는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 또는 가상현실 장비와 연동된 침구는 방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여, 침구의 습도, 눅눅함 또는 진드기 등을 감지하여, 침구의 세탁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람마다 체형과 체질이 다르고, 시간대나 건강상태에 따라 체온이 상이하므로, 가상현실 장비는 이불 속 온도를 측정하여 사람의 체질과 신체상태, 건강상태를 판단, 판단 결과에 따른 최적의 수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나이나 질병, 기타 체질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수면환경을 조성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에 장착된 카메라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을 따라갈 수 있고,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 화면에서 어느 부분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도, 사진은 사용자의 초점이 중앙이 되도록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상의 공간 및 실제와 결합된 합성공간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가 가상의 전자제품의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을 수행하면, 이에 대응하는 실제 전자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입술 모양을 읽어(순독) 문자로 변환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어투나 습관 등에 기초하여 개인화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침대 시스템과 관련된 실시 예에서, 침대뿐 아니라 배게, 매트리스 및 커버 등 다양한 침구에 센서 및 분석모듈들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침구에는 배터리 및 온열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이불, 베개, 매트리스 등 침대 및 침구에 포함된 먼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진드기, 벌레, 기생충 등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 또는 침대 시스템은 이에 기초하여 침대를 살균소독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수면 중 사람의 목소리, 체온, 맥박, 수면상태 등을 설정된 제 3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이상신호가 있을 시, 119 및 설정자에게 자동으로 위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시간대별로 상태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침대에서 손을 특정 방향으로 가리키는 것을 인식하고, 해당 위치의 전자기기를 작동시키거나, 제어하거나 끌 수 있다.
또한, 침대에 음성녹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고, 침대는 향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음성녹음 기능은 사용자가 말을 할 때에만 수행될 수 있고, 수면 중 사용자의 코골이나 호흡을 분석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침대에는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고, 수면에 좋은 파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침대는 여러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코골이, 호흡, 뒤척임, 입냄새, 피부 및 노화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침대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병원 등과 공유할 수 있다. 침대에는 수면 중 이용가능한 산소발생기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2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침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5를 참조하면, 침대(12000)가 도시되어 있다. 침대(12000)는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라, 사용자의 뇌파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수면패턴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수면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침대와 관련하여 서술된 모든 실시 예는 도 125에 도시된 침대(120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5를 참조하면, 침대(12000)에는 슬라이딩 가림막(12100)이 구비된다.
슬라이딩 가림막(12100)은 상황에 따라 절첩되거나 슬라이딩되어 침대(12000)를 감쌀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가림막(12100)은 암막 기능을 가지며, 낮에도 어두운 공간에서 수면을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가림막(12100)은 방음 기능을 가지며, 상황에 따라 침대(12000)의 소리나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외부의 소음이 침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가림막(12100)은 모기장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슬라이딩 가림막(12100)은 이외에도 보온, 보냉 등의 효과를 가지며, 평소에는 접혀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 슬라이딩되어 침대(12000)를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가림막(12100)의 일부 구조는 도 1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가능한 슬라이딩 구조(12110)로 구성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방안의 탁한 공기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창문을 여닫을 수 있다. 또한, 알람을 제공할 때 창문, 티비, 조명 등이 연동되어 함께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무드등이나 형광등이 가상현실 장비와 연동되어 제어될 수 있으며, 음성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 있고, 사용자가 술을 먹는 경우 자동으로 살짝 어두운 조명으로 변경되거나, 학습중에는 책상 주변의 빛을 밝게 하고, 티비를 시청하는 경우 약간 어둡게 하는 등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다.
가상현실 장비는 냉장고의 센서와 연동되어, 음식의 출입, 냄새, 개봉여부, 부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냉장고 내부의 식품 종류별로 그 주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 속에 칩을 부착하고, 가상현실 장비와 연결하여, 사용자가 악몽을 꿀 때에는 조명을 켜거나 각 종교 악령 퇴치정보, 음성, 노래 등을 들려주어 잠을 깨울 수 있다. 뇌 속에 부착된 칩 외에도, 머리에 부착되는 패드 등 다양한 종류의 뇌자극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무선 이어폰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수면중 무선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 수면중 학습, 뇌파분석을 통한 좋은 꿈을 꾸도록 유도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전원이 꺼져 있는 상황에서도, 사용자에게 중요한 재난, 뉴스, 소식, 알림 등이 수신되는 경우, 자동으로 부팅되어 관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동물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아지가 VR 장비를 쓰고 다른 강아지들과 놀거나 산책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의 모양과 위치는 강아지의 눈 위치에 따라 조정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강아지 얼굴 형상을 따라 모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강아지의 목줄이 가상현실 장비 밴드로 활용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평형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경치가 기울어진 정도를 그래프, 예를 들어 그래프 색으로 정량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프를 10등분하여 가상현실 장비가 기울어진 정도를 각각의 분할된 그래프의 색상을 변화시켜 표현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다양한 주변기기를 활용하여, 가상현실 화면 속에서, 사용자가 게임을 이용중인 경우 광선을 맞으면 전기충격을 줄 수 있고, 목걸이, 반지, 팔찌, 장갑, 조끼, 벨트, 의류, 등 다양한 형태의 컨트롤러/주변장치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면과 연동되어,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가상으로 접촉하면, 촉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 장갑이나 전신 수트와 같은 주변기기가 활용될 수 있다. 전신 수트는 로봇이나 인조피부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의 일 측면에는 종교적 표식이 마련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되는 측면에 야광이나 LED, 표식, 홍보마크 등을 넣어, 밤에도 기계가 잘 보이도록 하고,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서로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기기 간에 전력을 교환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접안부나, 귀에 가까운 부분에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롤러 형태로 이어폰 줄이 말려서 가상현실 장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내장 이어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이 내장된 가상현실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6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장비(13000)의 측면 이중벽에 이어폰 수납부(13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어폰(13300)은 이어폰 수납부(13100)로부터 인출되며, 이어폰 줄(13200)은 가상현실 장비(13000)의 이중벽 내부에 구비된 롤러에 말려 있다가, 사용자가 이어폰(13300)을 잡아당기면 이어폰(13300)과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이어폰(13300)의 끝 부분에는 현미경이나 내시경 카메라가 부착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곳곳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피부질환이나 사용자의 머리 뒤나 목 질환, 귀 속 질환 등을 촬영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가상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또는 가상공간 내에서 당구를 칠 때, 당구공을 칠 부위와 세기, 각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당구공이 움직일 수 있는 길을 표시해줄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로 친 공의 움직임을 기록하고, 제공된 정보와 비교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공간의 영상과 가상의 당구 시스템을 결합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시점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이 되어, 입체적으로 충돌체험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현실 공간에서 가상의 공으로 다양한 스포츠를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터치감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신체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장갑 형태의 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추가 장치 없이도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손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가상공간 내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또는 가상의 스포츠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선을 지상, 공중(버드 뷰)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포지션의 선수의 위치, 심판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선으로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실제 경기 영상의 경우, 각각의 선수와 심판은 이를 위한 카메라를 착용하고 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 또는 선수들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성적, 결과를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선수들의 움직임을 슬로우모션으로 제공하거나, 선수 특유의 행동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나 선수의 루틴(속어로 쿠세)을 분석하여, 공략방법을 제공하거나 개선방안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각 선수들의 소속 팀, 개인정보 및 성적 등을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고, 경기 영상을 분석하여 각 선수들의 신체능력을 정량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다양한 가상의 스포츠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구의 경우 장갑 등 주변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테니스의 경우, 센서가 부착된 테니스 채가 가상의 테니스 채와 연동될 수 있어, 공이 채에 맞는 위치, 사용자의 스피드, 팔의 각도, 공격 목표, 정확성, 체력 및 점프력 등에 기초하여 가상으로 테니스를 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골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 속도 및 거리 등을 판단하여 구현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와 유사하거나 적절한 수준의 인공지능과 사용자가 골프를 치는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의 골프 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비거리, 운동시간, 실력, 자세교정 등의 측정 및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소정의 런닝머신이나, 제자리에서 움직일 수 있는 바닥의 주변기기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제자리에서 걷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실제로 필드를 투어하는 느낌이 들도록 하는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에서, 사용자의 시선이동 또는 공이 날아가는 방향에 기초하여 방향전환이 가능하고, 이로써 제자리에서 필드를 걸어다니는 체험을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진동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 등을 마사지할 수 있고, 가상공간의 충격을 반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졸음을 깨울 수도 있다. 또한, 이로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 주름을 예방하고, 두피 마사지 등을 통해 머리를 맑게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의 전자제품들과 연동되어, 가상 공간에서 전자제품이 구동하는 내용이 실제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현실 공간의 컴퓨터 화면이 그대로 가상 공간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의 가상공간 내 제어에 의하여 실제 공간의 컴퓨터가 제어될 수 있다. 제어 결과는 실제 공간과 마찬가지로 가상 공간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가상현실 공간에서 모래밭이나 자갈밭, 비탈 등을 걸을 때, 실제로 그와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이나 발판 형태의 주변기기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실제로 자갈밭을 걷고 있을 때, 그 느낌을 다른 사람에게도 전달해줄 수 있고, 기록해둔 후 나중에 다시 체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용 신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7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체험용 신발(14000)은 바닥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풍선 형태의 구체(14100)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가상현실 체험용 신발(14000)은 가상현실 장비와 연동되어, 각각의 구체(1410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주변 환경의 경사가 변하는 것처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체험용 신발(14000) 앞쪽의 구체들에 공기를 주입하면 오르막길과 같은 경사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체험용 신발(14000)의 바닥은 작은 쇠침들(14200)이 빽빽하게 차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쇠침들(14200)은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고, 가상현실 장비와 연동되어, 가상현실 장비에서 표시되는 가상현실 영상의 바닥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영상의 바닥이 요철이 심하면(예를 들어, 자갈밭, 콘크리트 바닥 등) 이에 대응하여 쇠침들(14200)이 가상현실 체험용 신발(14000)의 바닥에 대응하는 크기의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현실 장비에 표시되는 환경을 맨발로 걷는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다.
도 12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용 골프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8을 참조하면, 골프채(15000)는 가상현실 장비와 연동되어, 가상의 골프 게임을 수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골프채(15000)의 헤드(15100)에는 골프공(15200)이 내장될 수 있다 골프공(15200)은 실제 골프 경기에서 사용되는 골프공과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골프공(15200)은 구형이 아닌 원통형이나 육면체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15100)에는 전자석(15300)이 내장될 수 있으며, 골프공(15200)에도 전자석이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석(15300)과 골프공(1520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 같은 극을 갖도록 구성되어, 서로 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접촉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골프채(15000)를 휘두르는 것이 인식되는 경우, 골프채(15000)는 전자석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전자석(15300)과 골프공(15200)이 마주보는 방향이 다른 극을 갖도록 하여, 헤드(15100) 내에서 전자석(15300) 또는 그 측면과 골프공(15200)이 골프채(15000)의 회전에 의하여 충돌,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듯한 감각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골프채(15000)와 연동되어, 골프채(15000)의 회전 속도 및 방향, 그리고 헤드(15100)에 내장된 골프공(15200)이 받는 충격 등을 고려하여, 가상의 골프 게임에서 골프공의 방향과 비거리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15200) 내부에는 타격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포함될 수 있으며, 골프공(15200)은 타격 순간의 타격부위, 강도, 회전 등을 분석하여 가상현실 장비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28에 도시된 실시 예는 골프 외에도 테니스채 등 다양한 스포츠용 도구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 장비는 별도의 도구 없이도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가상의 스포츠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골프채(15000)를 잡은 사용자의 손의 맥박, 긴장도 및 악력 등을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거나, 사용자에게 플레이와 관련된 조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골프 게임 또는 실제 골프 경기에 참여하여 관전하는 사용자의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에게 골프공들의 위치를 판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골프공의 속도, 비거리, 궤적이나 회전도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실제로 골프장에서 골프를 치는 경우에도, 가상현실 장비는 골프장의 이미지를 다른 골프장으로 바꾸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골프장의 광고판들을 사용자에게 맞도록 큐레이션된 가상의 광고판으로 바꾸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에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장애물이나 함정을 골프장에 표시할 수 있고, 장애물들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골프공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점수가 변경되도록 하는 등의 게이미피케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의 농구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공과 골대가 있어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게임을 할 수 있다. 가상의 농구게임에는 사용자의 상대팀으로서 인공지능 캐릭터가 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플레이를 방해하거나, 사용자와 한 팀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공을 던지거나, 받거나, 기타 공격, 수비를 하는 동작을 인식,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가상의 공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반응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전진, 후진, 점프, 좌우이동, 속도, 움직임, 이동거리,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등을 측정하여, 화면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스포츠 경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AR합성을 통한 가상의 장애물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공간에서 스포츠 경기를 할 때, 특정 위치에 함정이 있어 공이 불규칙하게 바운드되거나, 사용자의 진로를 방해할 수 있다. 이는 서로 실력 차이가 나는 사용자 간 경기에서 핸디캡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게이미피케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포츠 경기 중계시, 상술한 바와 같이 선수나 심판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점에서의 중계가 가능하고, 가상현실 장비는 좋아하는 선수의 위치를 판단하기 쉽도록 색을 입히는 등 표시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와 함께 헬멧 형태의 기기가 함께 활용되고, 사용자는 공터에서 가상현실 장비 및 헬멧 형태의 기기를 착용하고 실제 움직임에 기초한 가상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장애물 근처에서 위험신호를 줄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공간에서 인공지능 캐릭터들과 축구를 할 수 있다.
가상의 축구 경기에서는 눈보라 등 날씨를 변경할 수 있고, 바닥을 진흙탕으로 하거나, 장애물을 추가하거나, 위험한 동물이 돌아다니도록 하는 등 다양한 게임요소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심판이나 선수에게 카메라 외에 마이크도 부착될 수 있어, 선수의 숨소리나 목소리, 현장음 등을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센서가 부착된 낚시대 와 연동되어 가상의 낚시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에서 물고기가 잡히면 가상의 낚싯대뿐 아니라 실제 낚싯대에도 이와 관련된 감각이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로 낚시를 하여 물고기를 잡는 것과 같은 촉감과 손맛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와 연동되는 낚싯대에는 소정의 무게추가 내장되고, 고기가 잡히면 사용자로부터 먼 쪽으로 무게추가 이동하여, 낚싯대 끝이 무거워지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별도의 낚싯대 장비 없이도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가상의 낚시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센서가 부착된 활과 연동되어, 활의 줄, 압력, 휘는 압력, 발사시 촉감 등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에서 활이 발사되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이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센서가 부착된 칼 형태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칼싸움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칼 모양 컨트롤러의 무게와 이동속도, 칼의 길이 등이 가상에 반영되며,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이 진동이나 소리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이나 온풍기, 히터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뇌파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특정한 향기를 바람에 실어보낼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선풍기 또한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바람 세기나, 회전여부, 고정여부, 높낮이, 회전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고, 자동으로 꺼지거나 켜질 수 있다. 일 예로, 선풍기가 과열되면 자동으로 선풍기를 끌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몸에 전열장치가 장착되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뇌파로 적정온도를 맞출 수 있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부분별로 전원을 넣거나 부위별로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공기청정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또는 내부의 미세먼지 측정정보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공기청정기를 끄거나 켤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향기를 내보낼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오디오 장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라디오 채널이나 노래를 재생할 수 있고, 볼륨, 전원, 재생제어 등을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마찬가지로 티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뇌파 등 다양한 입력방식에 기초하여 채널을 돌리거나 볼륨을 조절하고, 화질이나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장르나 채널을 추천하거나 큐레이션하여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잠이 들면 자동으로 이를 인식하여 티비를 끌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냉장고와 연동되고, 냉장고는 보관중인 식품의 유형별로 적정 보관온도를 제공하고, 실제 보관온도와 상이한 경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매하여 보관중인 제품에 대한 정보와, 식품의 유통기한, 부패상황 등을 알려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냉장고와 연동되어, 식품의 종류와 양에 따라 보관시간이나 온도 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전자레인지와 연동되어, 식품의 종류와 양에 따라 작동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진공청소기와 연동되고, 집이나 청소기 필터의 깨끗함의 정도를 레벨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집이 얼마나 깨끗하게 청소되었는지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진공청소기의 먼지통을 비우도록 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로봇청소기와 연동되어, 로봇청소기의 소리가 시끄러운 경우 음악으로 이를 상쇄하거나, 로봇청소기의 소음을 재조합, 믹싱하여 음악을 만들 수 있다.
상기한 진공청소기는 청소 중 크기가 큰 오물이 흡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관 크기가 조절되거나, 관 내부에 망이 구비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세탁기와도 연동되어, 세탁기 멈춤, 상태알림, 세탁 남은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카메라나 센서를 이용하여 물의 헹굼상태를 판단, 오염도에 따라 세탁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색소에서 물이 빠지거나 다른 옷이 오염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멈추고 표시한 후, 세탁기의 물을 다 빼고 일단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에게 세제의 많고 적음, 또는 적정량을 알려줄 수 있고, 자동으로 세탁기를 제어하여 세제를 투입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전기주전자, 가습기, 제습기, 전기밥솥, 가스레인지, 전기요금 측정기 등과 연동되고, 제어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자동으로 이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이나 뇌파 인식을 이용하여 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9를 참조하면, 가상현실 장비(1600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16200, 16220)을 포함한다.
각각의 카메라 모듈(16200, 16220)은 각각의 레일(16100, 16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6200, 16220) 각각에는 베어링 등 회전가능한 부품이 구비되어, 카메라 모듈(16200, 16220)에 내장된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16000)는 기울기 센서, 수평 센서, 자이로 센서 등 가상현실 장비(16000)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 장비(16000)가 왼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카메라 모듈(16200)은 아래로, 카메라 모듈(16220)은 위로 이동하여, 두 카메라 모듈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6200, 16220)은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각각의 카메라 모듈(16200, 16220)이 가상현실 장비(160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장비(16000)는 흔들림이나 움직임이 있어도, 안정적으로 촬영을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초고속 카메라를 탑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쟁터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 또는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총알의 궤적과, 총알이 날아온 방향을 분석하고, 총알의 발사원점을 판단하여 알려주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카메라 시스템, 즉 가상현실 장비는 전투모(방탄헬멧)에도 결합될 수 있다.
도 13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셀카봉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0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장비(17000)는 안테나 형태로 인출가능한 셀카봉(17100)을 포함할 수 있다. 셀카봉(17100)의 끝에는 카메라(1720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가상현실 장비(17000)를 들고 셀카봉(17100)을 길게 뽑아, 카메라(17200)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확보한 후 셀카를 찍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7200)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셀카봉(17100)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보기 어려운 좁은 곳에 삽입, 내시경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17200)는 플래쉬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입 안이나 목구멍 등 직접 보기 어려운 부분들을 촬영하여 가상현실 장비(170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7200)는 셀카봉(17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메라(17200)를 멀리 두고 가상현실 장비(17000)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카메라(17200)를 제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전기 콘센트 등과 연동되어, 기기의 과전류를 알려주고, 위험시 인공지능이 알아서 차단하거나 끄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혈관이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 이로 인해 혈관의 건강에 대한 안전, 위험, 주의 또는 스트레스 및 긴장 흥분 분노 고통 근심 평온 등 상태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가족이 사용중인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료를 장기간 축적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장기간의 심리적 상태를 체크하고,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IoT환경과 연동된 가상 공간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전자제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장나거나 문제가 있는 전자제품의 색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각각의 전자제품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전원이 연결된 전자제품과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전자제품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에는 사용자에게 냄새나 바람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모듈은 가상현실 장비의 후면커버 또는 그 외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전자담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공간에서 담배를 표현할 수 있으며, 실사와 같이 가상의 라이터와 불로 담배에 불을 붙일 수 있고, 빨간색, 흙색, 오렌지색, 블루, 화이트 등 다양한 색으로 연기를 표현할 수 있고, 무지개 등 합성된 색상의 연기도 연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와 같은 속도로 담배가 타도록 하여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에 표시되는 가상 영상은 전자담배 기기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실제로도 담배를 피우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전자담배의 맛이나 향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동공의 크기, 눈꺼풀의 움직임, 모양 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력보호를 위하여, 특히 청소년이나 어린이의 경우, 강제로 종료되어 휴식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 내부에 사용자의 눈 부분을 촬영하거나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공과 눈꺼풀을 촬영할 수 있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움직임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는 가상현실 장비의 밴드, 귀쪽, 관자놀이쪽, 측면, 뒷면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방을 관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군대 작전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가 접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상현실 장비를 펼치면 자동으로 가상현실 장비가 켜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가상현실 장비를 접으면 자동으로 가상현실 장비가 꺼질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와 연동되는 총기 형태의 컨트롤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의 모양은 권총, 장총, 망원렌즈가 부착된 저격총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상현실 속에서 사용자는 표적맞추기, 서바이벌 등의 게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제 총과 가상현실 영상이 합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 총기의 목표물에 대한 각도와 흔들림, 사용자의 총격 순간 충격 등 진동, 시간 등에 따라서 가상 속 또는 AR형태의 실제 환경에서 표적의 명중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대방이나 사용자의 부상상태 등을 어드바이스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알이 어디로 날아가는지, 적중가능성, 상대방이 맞았는지, 죽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 공간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표적의 이동속도를 판단하고, 실제 목표물을 맞추기 위한 총알의 포물선, 실제 궤적과 연동 계산하여, 제2의 탄착점 목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총의 특성과 연동하여 이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적의 머리, 심장 등 조준시 사용자의 뇌파 신호를 이용하여 목표물 선택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거리를 계산하고, 발사각도나 탄착점 등을 지정해줄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와 연계된 웨어러블 장치와 의류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가상의 탄환에 맞은 부위에서 통증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목표물은 사람, 동물을 포함하며, 생물이 아닌 이동체 및 고정체 등을 모두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사용자의 다양한 자세와, 게임 속 또는 가상공간 속 다양한 무기들을 실제와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공간에서 사용자가 어깨에 로켓 발사기를 메고 있다가, 앉는 자세를 취하면 어깨의 로켓 발사기가 자동으로 발사자세로 이동하여 어깨에 얹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제로 발사자세를 취하면, 가상공간의 무기 또한 자동으로 발사자세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공간 속 사람이나 전차 등 다양한 대상체들의 움직임, 진동, 충격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물을 자동으로 조준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가상공간이 아닌 실제에서도, 사용자가 지정하는 목표물을 맞추기 위한 총의 각도 등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8100)은 가상현실 케이스(18000)에 고정되어, 가상현실 장비로서 동작할 수 있다.
가상현실 케이스(18000)는 사용자 단말(18100)을 수용하는 수용부(18020)과, 사용자 단말(18100)을 수용부(180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8040)를 포함한다.
고정부(18040)는 벨로우즈, 나사 회전, 스프링, U자형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의 고정수단 또는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8100)의 크기에 따라 수용부(18020)의 크기를 조절하며, 사용자 단말(18100)을 수용부(18020)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8040)에는 스프링(18044) 및 스프링 수용부(18042)가 포함될 수 있으나, 그 형태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상현실 장비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안쪽은 단일벽으로 구성되고, 플레이트의 뒤쪽은 이중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안플레이트나 위쪽과 같이 지지가 불필요한 부분은 단일벽으로 구성되고, 이를 둘러싼 플레이트는 견고한 지지가 필요하므로 이중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후면 플레이트에 내장되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데 있어, 사람마다 상이한 목소리나 발음의 특징을 학습하여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투리를 사용하는 사람이나, 특정 단어를 잘못 알고 있거나 습관적으로 잘못 발음하는 사람의 경우에도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에 각 사용자의 언어습관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획득하여, 사용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히 판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장비는 친한 친구나 가족 간에 은어가 존재하는 것처럼, 사용자의 언어습관을 학습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 장비를 배려하지 않고 편하게 일상 언어로 명령을 내리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하는 말의 의미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특징을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음성이나 영상을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 주변의 음성을 녹음하거나, 주변의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획득된 음성이나 영상을 분류하여, 사용자의 일상을 기록하는 데 이용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두뇌가 하루 중 중요한 사건을 단편적으로 기억하고, 불필요하거나 스쳐지나가는 기억을 잊는 것처럼, 사용자가 오래 머무른 공간이나 오래 대화한 대상의 음성, 또는 오랫동안 바라본 대상 등 획득된 정보들 중 특정 기준에 의하여 유의미한 것으로 판단되는 정보를 분류하고, 상대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정보에 비해 오래 보관하거나,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정보는 바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GPS와 같은 위치측정 수단을 구비하여, 하루 또는 특정 기간동안 사용자의 동선과, 각각의 위치에 따른 중요한 기록을 저장하는 라이프로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또 다른 기준에 기초하여 정보를 정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주 만나는 사람(위치 또는 음성특징, 영상특징 등에 기초하여 판단가능함) 의 경우 일상적인 대화가 대부분일 것이므로 저장하는 정보의 비율을 낮추고, 가끔 만나거나 처음 만나는 사람의 경우 비즈니스 미팅 등 중요한 정보를 교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저장하는 정보의 비율을 높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현실 장비가 정보를 분류 및 저장, 삭제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상술한 분류방법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등록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류가능한 사용자의 유형은 가족, 친구, 회사동료 및 거래처 사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상현실 장비는 별도 설정이 없어도 분류된 유형별로 서로 다른 멜로디의 전화 착신음이나 문자 수신음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전화 착신음이나 문자 수신음의 멜로디를 듣고 연락한 사람의 유형을 판단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실마리에 기초하여 기록된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기억은 파편적인 경우가 많으므로, 사람이 기억하는 정보를 조금씩 제공하면, 가상현실 장비는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 사용자의 기억력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다른 가상현실 장비와 통신하여 거래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다른 가상현실 장비와의 근거리 또는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가상화폐나 카드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고, 가상화폐를 주고받거나 카드결제를 수행하는 등 거래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가상화폐는 전자화폐나 포인트 등 거래의 수단으로서 소정의 약속된 가치를 나타낼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거래기능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이나 택시비를 지불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고, 매장에 구비된 포스(POS) 장치에 대한 결제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결제내역을 저장하고, 저장된 결제내역에 기초하여 가계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에게 소비패턴에 대한 조언이나, 금전관리 및 재테크와 관련된 조언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지불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녀가 부모의 심부름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 자녀의 가상현실 장비를 통하여 부모의 가상현실 장비가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의 가상현실 장비가 자녀의 가상현실 장비로 돈이나 카드정보를 전송하여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매장의 결제정보가 자녀의 가상현실 장비를 통하여 부모의 가상현실 장비로 전송되고, 부모의 가상현실 장비는 수신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인공위성이나 기타 관측장비와 연동되어, 물고기(또는 물고기를 포함하는 어군) 또는 사냥감(동물)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를 가상현실 장비에 표시함으로써 항해중, 사냥중, 조업중 또는 낚시중에 사용자에게 물고기나 사냥감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인식되는 객체의 형태나 움직임의 패턴에 기초하여 인식된 객체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물고기 또는 물고기를 포함하는 어군에 포함된 어종을 판단할 수 있고, 사냥감(동물)의 종류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법정 전염병 발명시, 관계기관의 정보를 획득하여 주변 감염자들의 위치, 감염자와의 거리, 지역에 따른 감염자의 밀집도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전염병의 종류에 따른 병원의 위치와, 각 병원의 포화상태를 확인하고, 지도를 이용하여 표시하거나 상황을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브리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위험한 무기를 소유한 사람이나, 무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와 함께 그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외부 시스템과 연동되어 테러정보를 획득하고, 주변의 위험한 무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정부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가상현실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의 위험한 무기를 스캔하고, 스캔 결과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나이트 비전(night vision) 기능이 가능한 모듈을 또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비하고, 가상현실 장비에 나이트 비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적외선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하여, 적외선 영상을 가상현실 장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적외선 카메라 모듈 또는 기타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소정의 온도 이상인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알림을 제공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곳의 온도를 판단, 화재 발생시 눈으로 보이지 않는 곳의 화재상태를 판단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한 곳에서 대피하는 사람이나, 구조중인 소방관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를 착용하면,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불의 위치를 판단, 피하거나 소화할 수 있고, 문이나 복도 너머의 온도를 알 수 있어, 백드래프트 등 위험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이 어둡거나 연기가 자욱한 경우에도, 기 저장된 영상 또는 적외선 영상 등을 이용하여 가상현실로 주변 모습이나 길을 보여주고, 사용자를 특정 위치나 탈출구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적외선 영상이나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고, 착용자나 착용자의 시야 내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감정변화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사람의 감정변화는 기쁨, 분노, 평온, 무관심, 호기심 및 희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상현실 장비는 적외선뿐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서 획득된 영상분석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표정을 인식하고, 인식된 표정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의 감정상태 및 감정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가 식당의 간판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해당 식당의 시스템과 연동되어 식당의 빈자리 수나 위치를 확인하고, 메뉴판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식당을 예약하거나, 미리 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식당의 시스템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도착시간에 맞게 음식을 조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찾는 매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매장의 위치를 획득하여, 가상현실 영상에 사용자가 찾는 매장이 크게 보이거나, 밝게 빛나거나, 다른 매장의 영상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찾는 매장만이 보이는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 및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노래방을 검색하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거리에서 노래방만이 보이거나, 강조되어 보이도록 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 노래방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특정 매장을 검색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찾는 매장의 종류, 가격대 등 필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매장의 리스트를 획득 및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매장의 내부구조를 가상현실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매장을 예약하거나, 사용자를 선택된 매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의 가상현실 장비 이용자들이 어떠한 매장에 몇 명씩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식당의 내부구조뿐 아니라, 각 테이블에 하나 이상의 메뉴가 조리되어 놓여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되는, 조리된 메뉴를 선택하여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조리된 모습을 이용하여 요리를 선택할 수 있고, 이름을 모르는 음식도 영상을 이용하여 주문할 수 있으며, 외국인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음식을 선택 및 주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다양한 객체의 내부를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모델하우스, 차량, 비행기, 주택 및 가전제품 등 내부구조가 존재하는 다양한 객체에 대하여,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그 내부구조를 획득하여 가상현실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술한 객체의 외부가 촬영되는 경우, 또는 가상현실 장비의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선택된 객체의 내부구조를 획득하고, 획득된 내부구조를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근거리 또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소형 칩과 통신할 수 있다. 소형 칩은 물건 등에 부착되고, 가상현실 장비는 소형 칩과 통신하여 칩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소형 칩의 위치를 가상현실 장비에 시각화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소형 칩이 부착된 가방이 장롱 안에 있는 경우에도, 가상현실 장비에는 장롱 문 너머에 소형 칩이 반짝이는 영상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장롱 안에 가방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각각의 소형 칩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칩의 ID와, 각 칩이 부착된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특정 물건을 찾고자 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칩의 위치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벽이나 문을 투시하여 찾는 물건을 보는 것과 같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물품을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기 설정된 가격대 내에서 자동으로 구매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가 물품을 검색 및 선택하고, 결제하는 과정은 전부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전체 과정 내에서 적어도 한 번의 확인이나 검토를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요청(제스쳐, 음성입력 및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를 이용한 입력에 따른 요청을 포함)에 따라 호텔 등 숙박업소나 식당을 자동으로 예약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취향,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요청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숙박업소나 식당을 예약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매장뿐 아니라 화장실, 쓰레기통 등 위치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든 객체에 대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및 안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한국어를 잘 모르는 외국인이나, 전자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 및 어린이 등을 위하여, 실제 영상과 길안내 영상을 합성한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길이나 화살표를 따라감으로써,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쇼핑 중, 기 저장된 사용자의 취향과, 미리 입력된 컨설팅 정보 및 사용자의 정보(신체정보 등)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쇼핑에 조언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컨설턴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쇼핑시 의상, 가방, 신발, 액세서리 등을 구입할 때, 미리 입력된 뷰티 컨설턴트 정보와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쇼핑에 대한 인공지능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뷰티 컨설턴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보유한 생활용품의 재고와,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생활용품의 소비주기를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생활용품을 자동으로 주문하거나, 사용자에게 구매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특정 제품의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가상매장이나 웹 사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비행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촬영 장비와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비행기 내부에 설치된 영상촬영 장비와 연동되어, 비행기의 내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의한 승객에 한해 비행기에 탑승한 승객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비행기 외부에 설치된 영상촬영 장비와 연동되어, 비행기 바깥의 풍경을 감상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행기에 탑승한 승객이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비행기 외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영상촬영 장비의 위치에 따라, 가상현실 장비는 다양한 시점에서의 비행기 외부 영상을 획득 및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조종사의 시점, 날개, 비행기 상부, 하부, 또는 비행기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거나 비행기를 추적중인 영상촬영 장비를 이용한 3인칭 시점 등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된 외부 영상과, 비행기의 항공여정 영상을 조합하여 실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한 항공여정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지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제스쳐나 선택 입력에 따라 지도의 특정 위치를 확대하거나, 선택된 위치로 가상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선택된 위치의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지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길찾기 시뮬레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길찾기 시뮬레이션 영상은 빨리감기한 영상처럼 빠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특정 목적지를 선택하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이동하는 방법을 시뮬레이션한 영상이 빠르게 재생되어, 사용자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객체의 실제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예를 들어, 빌딩의 실제 높이 등), 실제 크기와 영상에 보이는 크기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거리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하나 이상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크기, 높이, 면적 또는 대상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대상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사용자가 제스쳐 또는 음성으로 선택한 대상체의 크기, 높이, 면적 또는 대상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가 산출할 수 있는 수치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상현실 장비는 다양한 측정 및 측량작업 또는 그 추정값의 산출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지점까지의 이동시간을 산출하고, 이동을 위한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되는 영상에 식품(예를 들어,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또는 촬영되는 영상에서 식품이 사용자의 제스쳐 또는 음성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식품에 대응하는 레시피, 조리법 및 원산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식품이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인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선택된 식품의 국산 또는 수입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되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한다. 가상현실 장비가 표시하는 정보의 종류는, 가상현실 장비가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식품을 촬영하더라도, 설정에 따라 해당 식품의 레시피가 표시될 수도 있고, 해당 식품의 역사가 표시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가상현실 장비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유적지나 건축물이 포함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선택된 객체에 대응하는 역사를 공부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가 책이나 거리에서 특정 글씨를 촬영하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된 글씨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에서 “불국사” 라는 글씨가 촬영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불국사의 역사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되는 영상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빗, 펜, 붓, 드라이버 및 기타 공구나 연장 등을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를 가상현실 화면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공구나 연장 등을 사용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는 가상현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구를 이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가이드를 표시하거나, 이용방법, 주의사항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가이드는 공구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로나 공구를 대야 하는 위치,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노래를 할 때,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의 가사와, 사용자의 음정에 따른 악보나 음표를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부르는 음악의 음정 및 박자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부르는 음정 및 박자와 획득된 음악의 음정 및 박자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부르는 음정 및 박자에서 틀린 부분을 교정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된 다른 사용자의 머리가 가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머리카락의 움직임이나, 두피의 움직임, 머리카락의 형태와 색상 등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의 머리가 가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람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얼굴의 관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사람의 손을 촬영하여, 촬영된 손의 손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소비를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최저가 또는 적정가격으로 판매하는 물건을 자동으로 구매하거나,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이전에 구매이력이 있는 특정 물건이나 음식을 구매하려고 하는 경우, 이전에 사용자가 해당 물건이나 음식을 구매하였을 때의 만족도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조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에 맞는 가구나 인테리어를 추천할 수 있고, 가구를 놓는 방향에 있어 풍수지리에 기초한 추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집 안을 촬영하면, 가상현실 장비는 집 안 곳곳에 배치할 수 있는 가구, 전자제품 및 소품을 추천하고, 추천된 제품을 놓기 좋은 위치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추천 정보에 따른 시뮬레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선택하거나 바라보면, 해당 제품을 사용자의 집에 배치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기성품 또는 주문제작 제품의 디자인을 변경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디자인 정보를 매장에 전송하는 주문제작 시스템에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영상에 자동차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직접 차를 디자인하거나, 사용자가 기 설정된 디자인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디자인에 대한 정보를 매장에 전송함으로써 주문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에게 세일이나 행사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책, 영화 및 공연 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획득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정보(예를 들어, 책 출간, 영화 개봉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공연장, 영화관 및 야구장 등의 각 좌석의 시야를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연장 및 좌석번호를 입력하면, 가상현실 장비는 해당 좌석에서 보이는 모습을 가상현실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상대방의 표정, 제스쳐, 근육의 미세한 움직임 등 몸의 움직임과, 목소리의 떨림을 인식하여, 상대방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수신되는 음성에 포함된 동물의 소리를 인식하고, 인식된 소리에 대응하는 동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손글씨를 촬영 및 인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인식된 손글씨를 분석하여, 글씨를 쓴 사람의 성격이나 지적 능력에 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분석에 사용되는 정보로는 전문가에 의하여 입력된 가이드 정보와, 학습을 통하여 누적된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착용자가 다른 상대방과 대화하는 중에 상대방의 언어습관 및 어휘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대방의 성격이나 지적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쇼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매장에 이동가능한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가상으로 매장에 입장하는 경우,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는 사용자의 가상현실 공간 내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며,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가상현실 장비에 제공하고, 마이크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점원이 의사소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점원도 가상현실 장비를 착용한 경우, 사용자와 점원이 가상현실 공간 내에서 서로의 모습을 보고, 의사소통할 수 있다.
또한, 점원은 사용자가 구매한 물건을 즉시 배송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은 택배를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드론을 이용하여 즉시 수행될 수도 있다.
구매한 제품이 배송되는 경우, 제품에는 소형 칩이 부착되어, 가상현실 장비가 제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제품의 도착시간을 산출하고, 제품을 받을 위치나 보관을 요청할 곳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음성 또는 기타 입력방법으로 원하는 매장의 카테고리를 입력하면, 가상현실 장비는 대응하는 가상매장을 표시한다. 가상매장은 실제로 존재하는 매장의 가상매장일 수도 있고, 온라인 쇼핑몰의 가상매장일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입력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가상매장을 표시하되, 복수의 가상매장 중 가격, 평점 및 기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상매장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거나, 선택된 가상매장을 바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띄우거나,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인터넷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연락처에 자동으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상매장에서 특정 제품을 바라보는 경우, 제품에 대한 정보가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품에 대한 정보는, 제품의 이상여부나 해당 제품과 관련된 이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달걀을 바라보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살충제 계란이나 조류독감 등 달걀을 구매하는 데 고려 또는 주의하여야 하는 정보를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불량품이 나온 이력이 있거나 자주 나오는 제품의 경우, 제품의 케이스나 포장을 촬영하여 스캔하면, 가상현실 장비는 제품의 불량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영상은 다른 사용자가 가지고 있거나 착용한 제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제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영상은 다른 사용자가 가지고 있거나 착용한 제품의 가격, 브랜드, 진품여부 및 구매처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상매장에서 음식을 구입 또는 주문하거나, 특정 식품을 바라보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해당 식품의 성분을 획득하고, 사용자의 체질, 건강 및 질병에 대한 정보와, 다이어트 여부 및 알러지 등 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식품을 사용자가 섭취해도 좋은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당일 섭취한 총 칼로리와, 특정 식품의 칼로리를 합산하는 경우 일일 권장 칼로리를 초과한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상술된 실시 예는, 가상현실 장비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서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 제품을 비추는 경우, 모바일 단말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매장의 위치와, 가상현실 장비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배달주문을 하는 것인지, 또는 실제 매장에서 식사를 하려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매장에 주문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구매한 제품 및 매장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고, 자동으로 할인쿠폰이나 적립쿠폰을 관리하여,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재구매하거나 매장을 재방문하는 경우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성문, 홍채 및 기타 개인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가 실제 매장이나 가상매장 방문 시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의 하에 또는 자동으로 해당 매장에 회원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점원은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매장에 가상의 구조물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무것도 없는 벽에 가상의 액자를 추가하면,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가상현실 장비에는 액자가 추가된 벽이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의 구조물은 인테리어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집에 가상의 구조물을 추가하고,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가상의 구조물이 추가된 집의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로는 아무것도 없는 벽에 가상의 그림, 벽지, 무늬, 액자, 글씨 및 가구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여,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가상의 객체가 추가된 벽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추가된 가상의 객체는 소정의 권한을 부여받거나 비밀번호 등 보안을 해제한 가상현실 장비에만 표시되도록 하여, 비밀정보를 공유하는 데 이용되거나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캡쳐하거나, 가상현실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복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캡쳐된 영상이나, 복사된 객체를 다른 공간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른 매장이나 다른 사람의 집, 또는 가상의 공간을 표시하는 가상현실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복사하거나,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캡쳐하여, 자신의 집에 인테리어 소품으로서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통역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목소리에 대한 성문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목소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목소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역된 언어를 사용자의 목소리로 재생할 수 있다.
반대로, 가상현실 장비는 다른 사람의 목소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소리를 다른 사람의 목소리로 변조하여 재생하거나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서로 다른 가상현실 장비 착용자들 간에 서로 문자메시지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업중에 학생들은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교사가 모르게 비밀대화나 쪽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나아가, 가상현실 장비는 다른 가상현실 장비 사용자에게 실제 가상현실 장비 착용자의 상태와 다른 착용자의 모습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를 착용한 학생이 수면중이라도, 다른 가상현실 장비를 착용한 교사는 학생이 수업을 듣고 있는 것 같은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영상에서 특정 객체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영상에서 특정 사람이나 물건이 보이지 않도록 제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특정 노래나, 특정 사람의 음성 등 일부 음정을 제거하고, 제거된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되는 사람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와 다른 사람이 착용자의 옆에 앉아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제1 착용자의 얼굴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거나, 기 촬영된 제1 착용자의 얼굴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가상현실 장비를 착용한 제2 착용자가 보는 제1 착용자의 얼굴에서 가상현실 장비를 제거하고, 제거된 위치에 제1 착용자의 얼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된 제1 착용자의 얼굴 영상을 다른 가상현실 장비나 서버에 전송하여, 다른 가상현실 장비의 가상현실 화면에서 제1 착용자의 가상현실 장비를 착용한 얼굴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된 제1 착용자의 얼굴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자신의 얼굴이나 다른 사람의 얼굴을 다른 얼굴이나, 보정된 얼굴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되는 영상에 포함된 다른 사람의 얼굴을 더 예쁘게 보정하여 표시하거나, 다른 사람의 얼굴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자신의 얼굴을 더 예쁘게 보정하고, 보정된 정보를 서버나 다른 가상현실 장비에 전송하여, 다른 가상현실 장비 사용자는 보정된 자신의 얼굴을 보도록 할 수 있다.
얼굴을 보정하는 방법에는, 성형외과 의사가 사용하는 성형방법에 기초한 성형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성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신의 얼굴의 적어도 일부를 가상으로 성형해보고, 가상현실 영상 내에서 성형 결과를 3인칭 시점으로 관찰하거나, 가상의 거울을 이용하여 관찰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한 성형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화장한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의 화장하지 않은 이미지를 생성하여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목이나 귀의 피부 색과 주름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화장하지 않은 피부상태를 판단하고, 색조화장을 제거하여 화장하지 않은 얼굴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에 탑재된 인공지능이 캐릭터화되고, 캐릭터화된 인공지능 비서가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인공지능의 캐릭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화 캐릭터나 연예인이 인공지능의 캐릭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냄새발생기를 구비하여 가상현실 영상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냄새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향수 냄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냄새는 커피향이나 담배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액상 니코틴을 포함하는 전자담배 액상을 분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담배를 피우도록 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냄새발생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냄새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하여, 카메라 앵글에 포함되지 않는 사용자의 나머지 몸의 모양과 위치, 상태를 자동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한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바닥면에 아래쪽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 장비를 착용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최초 사용시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신체를 스캔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상현실 장비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체를 비추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신체를 스캔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키와 체형을 획득한다.
가상현실 장비는 획득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정보와, 가상현실 장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카메라 앵글에 포함되지 않는 사용자의 나머지 몸의 모양과 위치, 상태를 자동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로 촬영되지 않은 사용자의 몸 전체의 모습을 3인칭 시점의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추정된 사용자의 몸 상태에 기초하여, 더욱 다양한 가상 체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격투게임을 하는 경우, 카메라 앵글에 표시되지 않은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상호작용을 계산하고, 게임에 반영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로 촬영되지 않은 사용자의 몸 전체의 모습을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자의 몸 전체의 모습에 기초하여, 웨이트 트레이닝, 요가 및 기타 스포츠 등에 있어 사용자의 자세를 지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영상에 특정 자세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된 자세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상현실 장비는 서로 가상현실 영상을 공유하여 함께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중에 교사가 학생들에게 특정 영상을 보여주고자 할 때,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영상을 공유함으로써 다같이 동일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수업 중 교사의 수업내용을 녹음하고, 이를 텍스트로 재구성하여 저장 및 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교사의 목소리, 발음 및 기타 언어습관에 기초하여 학습을 수행하여, 각 교사의 발화내용을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녹음된 교사의 수업내용을 분석하여, 이후 사용자의 질의에 대응하는 답변을 녹음 및 분석된 교사의 수업내용으로부터 검색 및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국어 수업 중에 학생이 교사의 말을 알아듣지 못해도, 추후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질의하면 가상현실 장비는 녹음된 교사의 말과, 녹음된 교사의 말을 해석한 정보를 학생에게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학생의 등하교시간, 학습 집중도, 활동량, 칼로리 소모, 친구들과의 대화 총량, 대화내용, 대화시간, 친구관계, 친밀도, 사회성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정량적 또는 정성적인 측면에서 수집 및 분석하고, 그에 대응하는 리포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눈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눈 피로도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눈 움직임, 실핏줄, 충혈도 등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눈 피로도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 피로도에 따라 화면을 흑백으로 바꾸거나, 화면을 깜빡이는 등 이상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는,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 피로도에 따라 눈에 피로가 적게 가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이 소정의 시간 이상 감겨있는 경우 수면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화면을 자동으로 끌 수 있다. 또한, 보행중이던 사용자의 눈이 소정의 시간 이상 감겨 있는 경우 응급상황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119에 신고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맥박이나 호흡 등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응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119에 신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람의 손톱, 발톱, 피부색, 눈동자, 숨소리, 맥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질병이나 건강상태를 유추하고, 알맞은 조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입냄새를 감지하여 몸속의 염증이나 기타 질환, 그리고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가 사용자의 입냄새를 소정의 기간 이상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측정한 경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노화, 양치여부, 양치횟수, 양치빈도 등 다양한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흡연 또는 음주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쓰러졌거나 위급상황일 때, 119 신고와 별도로, 빛이나 소리로 주변 사람들에게 응급환자 발생사실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이 감기는 것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잠을 깨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전중에 눈이 감기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빛,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깨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움직임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눈이 감기는 것 또는 사용자의 눈이 깜빡이는 패턴을 인지하여 사용자가 잠이 드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를 깨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자동차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졸거나 잠이 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주행을 수행하거나,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자동주행을 이용하여 차량을 갓길로 이동시킨 후 정차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수면 중에 기 설정된 시간에 상술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깨우는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졸리거나 피곤할 때의 눈꺼풀의 움직임, 안구의 움직임 및 동공의 움직임 등을 학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눈꺼풀, 안구 및 동공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피곤한지 여부, 또는 사용자가 졸거나 잠이 들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등 졸음운전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광학 또는 디지털 줌이 가능한 현미경 모듈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비하고, 가상현실 장비에 현미경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에 현미경 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충치, 비듬, 탈모상태, 피부질환, 농산물의 잔류농약, 방사능, 환경검사 및 성분분석 등 일반적인 사람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것들을 보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자동차의 전장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자동차는 전장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장비와 통신하고, 가상현실 장비 및 그 사용자가 눈에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도 가상현실 장비의 위치를 판단하고, 전면 유리창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가상현실 장비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 사고발생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자동차의 전장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면 유리창에 가상현실 장비의 위치를 특정 색으로 빛나는 사람 형태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해당 위치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사고발생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커넥티드카에 활용되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와 커넥티드카가 서로 통신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위치확인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와 통신, 택시를 가상현실 장비의 위치로 호출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도로 시스템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도보 또는 운전중인 경우 전방 도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도로에 대한 정보는 공사여부 및 우회도로에 대한 정보, 사고정보, 결빙이나 낙석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형 칩은 아동의 신발이나 옷, 신체 등에 장착되어 아동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특정 소형 칩과 가상현실 장비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 멀어지게 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고, 만보기 또는 사용자의 이동거리, 운동량 등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피부병(아토피, 전염병, 기타 피부병 등)과 노폐물(때) 등 사용자의 피부 질병과 위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할 때, 현실의 장애물에 가까워지는 경우 가상현실 영상의 색상변화나 음성을 통해 위험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장애물이 존재하는 방향의 화면 색상을 빨간색으로 변경시키거나 깜빡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방향으로 더 가까워지는 경우, 가상현실 영상에서 해당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가상현실 영상 표시를 중지하고, 실제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장애물을 피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착용자의 머리 뒤쪽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착용자의 머리 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감지한다. 가상현실 장비는 위험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착용자의 머리 뒤쪽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뒤에서 차가 오고 있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착용자의 머리 뒤쪽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가상현실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점의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시력보호를 위하여, 사용자가 화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20cm) 이상 떨어지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 중, 사람, 동물, 드론, 차량, 오토바이, 자동차 등이 접근 시 사용자에게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감지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소리, 거리 표시, 객체에 대응하는 캐릭터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의 전동 차량 및 커넥티드 카, 다른 가상현실 장비 또는 기타 사용자 단말 등과 연동되어 주변의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에서 이상신호 또는 이상상황이 발생시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이나 사각지대에서 전기차 등이 접근시, 사용자가 이를 알아채지 못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이에 대응하는 음성이나 진동 등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위험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단추나 혁대 등 의류에 부착되는 센서와 연결되어, 등 뒤의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를 따라다니는 드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변을 감시할 수 있고, 커넥티드카와 통신함으로써 위험상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자동차가 후방 또는 사각지대에서 접근하여도 위험상황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넓은 도로나 인도에서는 근처에 차량이 있어도 치일 염려가 없으므로,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의 도로 넓이를 계산 또는 획득하고,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예를 들어, 인도)를 확인한 후,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알림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 장비는
드론이나 오토바이, 자전거 등이 접근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생리주기를 파악하고, 사람마다 상이한 통계나 체질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임신이나 몸상태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의 화면 속에서 사용자에 대하여 다양한 최면 방법을 이용하여 최면을 걸고, 최면의 몰입도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상황에 따라 최면에 빠져있는 사용자를 깨울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생각과 판단, 그에 따른 행동의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그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기억을 공유하는 복제인간(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이용 중 위험한 상황(예를 들어, 화재, 도둑, 지진, 전쟁, 재난 등)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한 상황에 대해 설명해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영상의 적어도 일부에 소정 비율로 외부 상황에 대해 설명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일정 수준 이하의 위험상황에 대해서는 알림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나 평소 행동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어느 정도까지의 위험상황을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수명의 기대치를 측정하고,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정기검진 내역, 운동, 식습관, 과로, 음주, 연애 등 생활패턴과, 사용자의 맥박, 노화, 주변 사람들과의 네트워크 및 대화 등 다양한 인자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기대수명을 산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적외선 등 센서와 연결되어, 침입자나 해로운 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외부 스피커를 통하여 고양이 소리, 호랑이 소리, 사람 목소리 및 기타 경고음성을 이용한 경보가 가능하도록 하여, 각종 소리를 이용하는 경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외부 카메라와 더 연결되어, 침입자의 사진을 촬영하고, 스피커를 통하여 사진을 촬영하였으니, 더 이상 접근하지 말라는 경고 등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다수의 이동식 소형카메라와 연동되고, 각각을 블랙박스로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이동식 소형카메라는 순찰중인 경비원 등에 장착되거나, 경비원이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외국 뉴스, 영화 등에 대한 자막을 제공하되, 원문, 한글로 적은 발음 및 한국어 해석을 3단계로 제공할 수 있다. 한글로 적은 발음은, 원어민을 발음을 사용자가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한글로 적은 것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발음은 원문이나 번역문보다 작게 중앙에 제시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표시되는 자막에서 사용자가 특정 부분을 선택하면, 해당 부분이 문법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고, 왜 사용되었는지, 구체적인 뜻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같은 기능을 사람 간의 대화에서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이 상기한 바와 같이 원문, 발음 및 해석을 포함하는 3단계 자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원어민의 발음을 따라 말하는 음성을 획득하고, 사용자의 발음과 원어민의 발음 사이의 차이점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잘못 발음된 글자나 발음기호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골프, 야구, 축구, 권투, 펜싱, 배드민턴 등 다양한 스포츠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슬라이드, 합성 객체, 비교영상으로 각도, 위치, 방향, 스피드 등에 기초하여 판단 및 분석하고, 교과서적으로 합성된 객체의 움직임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비교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조언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공간에서 사용자가 특정 영상을 캡쳐하거나 촬영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음성을 이용하거나, 눈을 깜박이는 등 신체적인 지시와, 뇌파를 이용한 지시를 함께 이용하여 가상공간의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영상은 사용자의 뇌파와 제스쳐에 의하여 캡쳐, 재생, 녹화, 되돌림 등 다양한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이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터치하고자 하는 단추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터치하고자 하는 단추의 주변을 빛나게 하는 등 다르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조작대상을 편리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소정의 시간 이상 바라보아야 해당 위치를 대상 객체로 선정하거나, 사용자의 뇌파를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위치를 대상 객체로 선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가상공간 내의 잡아당기기, 던지기, 버리기, 문열기, 밀기, 쇼핑할 때 책자 넘기기, 잡아채기 동작 및 가상의 공간에서 거미줄을 쏘는 동작 등 다양한 종류의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같은 동작에서도 서로 다른 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의 아바타에 향수를 뿌릴 수 있고, 사용자에 접근하는 다른 객체들은 이러한 향을 맡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폰트에 크기, 서체, 색깔뿐 아니라 향기를 부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또는 서체에 속하는, 또는 글의 내용에 대응하는 냄새가 글씨에서 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웨어러블 신발, 장갑, 조끼 등 기타 의류 형태의 주변기기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환경의 바람, 온도, 냄새와 연동되고, 그에 따른 환경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게임 중 타격을 받거나, 칼에 찔리거나, 베이거나, 타인과 악수하거나, 포옹하는 등 사용자의 행동과 그에 따른 자극을 사용자가 실제로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상현실 게임에서 칼에 찔리는 경우 칼에 찔리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사용자가 착용한 주변기기를 이용하여 상처가 나지 않을 정도의 가벼운 타격을 가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에는 특정 냄새나 자극을 사용자에게 가할 수 있는 모듈이 포함되어, 사용자가 가상의 게임에서 독에 노출되는 경우, 캡사이신, 최루탄 또는 캡사이신 등으로 관련된 느낌을 체험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가상의 게임에서 전기 공격을 받는 경우 약한 전기충격을 가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공간에 표시되는 온도, 습도, 바람 및 냄새 등을 사용자가 실제로 느끼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느끼는 감각을 다른 가상현실 장비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호텔, 식당, 주택, 유적지 등 다양한 공간의 이미지나 실제 공간에 포함되는 부정적 이미지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러운 벽지나 떨어진 타일 등, 보기 좋지 않은 것들을 보정하고, 공간의 전체적인 크기를 키우거나, 실내가 더 밝아보일 수 있도록 하는 등, 공간이 더 나아 보일 수 있도록 이미지를 보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가상현실 장비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음성이나 뇌파로 전달하는 명령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반대로, 가상현실 장비는 다른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대해 수행한 보정을 제거하고, 원본 이미지(또는, 실제 영상)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을 팔고자 하는 판매자는 건물이 더 나아 보이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보정하고, 이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는 보정내용을 제거하고 실제 건물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3차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를 스캔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매물로 나온 주택들을 3차원 지도에서 확인하고, 각각의 주택에 대응하는 가상공간으로 들어가 주택의 내부를 살펴볼 수 있다. 사용자는 3차원 지도의 특정 부분을 선택하거나, 음성 또는 뇌파로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여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대상은 주택으로 한정되지 않고,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기 설정된 명칭(예를 들어, 우리집, 회사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장소로 사용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음악, 공연, 스포츠 경기장 등의 현장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TV 사운드는 현장음과 다소 거리가 있고, 해설자들의 음성 등이 결합되므로 현장음이 제대로 전달되기 어렵다. 따라서 가상현실 장비는 현장음을 별도로 획득하거나, TV 사운드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TV 드라마에서 사용자가 특정 배역을 대체하고, 드라마 속에 들어가 실제로 자신이 주인공이 되는 체험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마의 각 배우들은 소형 카메라를 장착한 채 촬영을 진행하고,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각 배우의 시선에서 드라마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드라마 촬영 현장이 360도 영상으로 촬영되어, 사용자는 일반 영상에서는 보이지 않는 드라마 속의 여러 장면들을 감상하고, 체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드라마를 포함하는 방송 제작시, 복수의 카메라로 제작되고,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들에 기초하여 방송을 다양한 각도에서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TV 등 영상에 나온 옷을 선택하면, 동일한 종류의 옷을 염색, 재단, 박음질 및 가공하여 동일한 옷을 생산하도록 주문할 수 있고, 본인이나 가족들 및 기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각각에 대하여 알맞은 사이즈로 주문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방송에 등장하는 각종 소품과 음식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3D 프린팅 등으로 재현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방송에 등장하는 장소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해당 장소에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는 경우 해당 장소에 가상으로 방문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더라도 가상현실 장비는 방송 영상에 기초하여 해당 장소에 대응하는 가상공간을 생성하고, 사용자는 생성된 가상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연계된 시스템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별도의 연계된 시스템 없이도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가상현실 속 인물이나 물품, 공간 등을 재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현실 장비에 의하여 재구성되고 합성된 공간을 체험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영화에 나타나는 주인공의 이미지를 가상공간으로 데려올 수 있고, 영화 속의 공간도 가상공간 내에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상공간 매장에 있어서, 판매되는 각 제품별 안내 동영상을 가상공간 매장의 벽에 설치하여, 가상공간 내에서 매장을 방문하는 사용자들에게 각각의 상품에 대한 설명을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가상공간을 이용하여 가상의 교회를 제공할 수 있다. 교회와 관련된 설명은 예시를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설명들은 모든 종류의 가상공간에 대한 서비스에서도 동일하게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교회에서 목사가 설교를 할 때, 각 신자들이 호응하는 정도를 센서를 통하여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도들의 눈동자, 뇌파, 음성 등 모든 종류의 생체반응을 이용하고 수집하여, 개개인의 집중도를 체크하고, 각 신도의 설교에 대한 몰입도를 정량화하여 수치로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음악(예를 들어, 찬송가)의 틀린 부분을 체크하고, 틀린 부분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색과 텍스트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보에서 사용자가 잘못 부른 부분을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음 높이, 음 길이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해당부분에 대응하는 레퍼런스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각 신도의 기도시간, 예배시간, 전도활동, 봉사활동 등을 체크하여, 교회 내에서의 레벨을 산정할 수 있다. 즉, 각 신도의 교회활동을 수치화하여, 소정의 레벨이나 급수 형태로 산정하여 제공하고, 외부에 공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손가락, 손톱 등 다양한 신체부위 및 수단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장비에 표시되는 화면의 축소, 확대, 부분확대, 앞뒤 검색(예를 들어, 수단에 따라 그 정도를 달리하여 약 0.001초 단위 장면도 앞뒤로 검색이 가능하다)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에 표시되는 화면은 설교나 예배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설교나 예배 내용을 녹화하고, 자신만의 커스텀 버전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목사의 설교 중 성경의 특정 부분이 언급되는 경우, 해당 부분의 성경내용을 영상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설정을 통해, 기 설정된 특정 시간에 자신의 계좌나 가상화폐 계좌 등으로부터 소정의 금액이 교회에 헌금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목사의 설교 중 목사 대신 천사나 예수님, 기타 신의 형상이 목사 대신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설교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목사의 목소리 또한 신의 목소리와 같은 다른 목소리로 변경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성경책 내용을 분석하여, 성경책을 글이 아닌, 영상과 인물 등을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교회에 입장할 때, 서로 다른 테마별 건축양식과 인테리어를 적용하여, 각 사용자가 원하거나 상상하는 모습의 교회에 입장하도록 가상 교회를 꾸밀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가상 교회의 배경만이 달라지는 것이고, 교회에 방문한 사람들의 모습은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가상 교회에 입장할 시간이 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교회에서 알림을 전송하면, 가상현실 장비의 디스플레이에 십자가 마크가 표시되거나, 스피커를 통해 찬송가가 제공되는 등 다양한 종류의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와 함께 입장한 신도의 수를 셀 수 있으며, 나이, 성비 등을 알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지인이 있는 곳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가상 교회 내에서 지인의 옆에 자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 원래 지인의 옆 자리에 앉아있던 사람의 가상현실 장비에는, 여전히 지인이 옆에 있는 것으로 보이나, 사용자의 가상현실 장비에서는, 사용자가 지인과 옆 자리 사람 사이에 앉아있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지인의 가상현실 장비에서는, 사용자와 대화할 때는 사용자가,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는 다른 사람이 옆자리에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설교 중 목사가 천국이나 지옥의 이미지를 보여주고자 하면, 신도들의 가상현실 장비에 천국이나 지옥의 가상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신도들 중 전도하는 사람의 숫자, 헌금액, 출석시간 등에 기초하여 분류하고, 또한 장로, 집사, 권사, 미성년 등의 속성에 따라 전체 신도들을 다양한 색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술한 레벨과 함께 판단하여 각 신도들을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등급의 신도들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어, 소정의 계급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교회에서 금지하는 잘못을 저지른 사람은 벌칙을 받을 수 있도록, 또 다르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상현실 장비는 교회 안의 사람들을 스포츠나 음악 등 취향과 출신지역, 사는 지역 등으로 분류하여 검색할 수 있다. 이는 자동으로 검색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필터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상 교회 내부의 넓이, 천정의 높이, 내벽의 재질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 가상 교회 내부의 특성에 기초하여 음성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이 넓으면 울리는 소리가 나도록 할 수 있다.
가상 교회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 속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들 간 거리가 멀다면, 실제 거리가 먼 것과 같이 서로의 목소리가 작게 들리거나 멀리 들리도록 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들 간 거리가 가깝다먼 목소리가 크고 또렷하게 들리도록 조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 속에서 사용자가 확성기나 마이크를 잡고 말을 하면, 사용자의 목소리가 확성기나 마이크를 통하여 변조되고, 증폭된 것과 같이 들리도록 조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회자나 목사가 특정 인물을 지정한 경우, 해당 인물이 다른 사람들의 가상현실 장비에서 다른 색으로 보이도록 하고, 시야를 전환하여 해당 인물이 줍 업 되어 다른 사람들의 가상현실 장비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각각의 사용자의 음성과 목근육 움직임 등을 분석하여, 찬송가를 부를 때 사람들이 립싱크를 하는지, 또는 실제로 노래를 부르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찬송가에 댄스, 락, 메탈, 발라드, 클래식, 엄숙함, 경건함, 밝음, 어두움, 무거움, 가벼움 등 다양한 설정을 부여하고, 부여된 설정에 대응하는 배경 리듬을 넣거나, 찬송가를 편곡하여 재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의 미로를 설정할 수 있고, 미로 안에 있는 사용자의 가상현실 장비에서는 나침반이 작동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나침반의 방향과 작동양상은 실제와는 상이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눈을 감고 기도를 하는지, 또는 다른 생각을 하거나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다른 영상을 시청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 움직임을 추적하여, 사용자가 가상공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또는 다른 행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끼리는 사용자들 간 대화나 통화시, 서로 사투리를 사용하더라도 같은 음성의 표준말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되, 사용자와 같은 음성으로 번역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설교 중 신도가 졸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졸고 있는 신도를 소리, 빛, 향기 등으로 각성시킬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이용 중 현실의 외부인과 접촉할 시, 사용자가 어떠한 응답을 하여도 이는 가상공간 속 사용자의 움직임에 반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얼굴을 스캔하고, 스캔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의 공간에서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을 바꾸거나, 메이크업을 하거나, 다른 옷을 조합한 사용자의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을 1인칭 뿐 아니라 3인칭 시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가상 공간이나 영상 속 사진, 티비, 잡지, 간판 등의 사진을 찍거나 스캔하면, 가상현실 장비는 대응하는 위치를 추적, 설명 및 안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이나 영상 속 제품에 대해서도 동일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실제로 들고 있는 물건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물건을 가상공간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공간 내에서 망치나 드라이버가 필요한 경우 실제로 이러한 물건을 손에 든 채로 가상공간으로 들어가고, 사용자는 가상공간에 삽입된 물건을 이용하여 가상공간 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현실과, 그에 대응하는 가상을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가상 쇼핑공간으로 들어가게 되면 신상품, 인기상품 등만 보이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과거 쇼핑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상품들만이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쇼핑공간에서 모두 판매되었거나 없는 물건은 자동으로 삭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나이트클럽이나 술집에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술을 마시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주류를 제조하여 잔에 술을 따라준다. 술이 따라진 잔의 위치는 가상공간 내의 가상의 컵 위치와 매칭되도록 하고, 사용자는 가상의 술을 실제로 마시는 체험을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복제인간들을 만들고, 여러 장소에 동시에 참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가상 세미나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복제인간들을 만들어 두 개의 세미나에 동시에 보낼 수 있다. 복제인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제어되거나,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제어하지 않는 복제인간에 대하여 다른 사람이 말을 걸거나, 복제인간에 대한 외부 자극이 있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복제인간을 제어하도록 화면을 전환시킬 수 있다.
각각의 복제인간이 수행한 체험이 끝난 후, 사용자는 해당 체험의 기록을 통해 자신이 실제로 참석한 것과 같이 동일하게 진행되는 가상공간의 경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세미나가 끝난 후, 복제인간에 의하여 획득된 기록에 기초하여 세미나에 직접 참가한 것과 같은 경험을 처음부터 다시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복제인간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참여한 경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다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동일한 강의를 복습하기 위해 여러 번 재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복제인간이 가상공간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타인이 대화를 요청하거나, 직접적인 대화 요청은 없어도 주변에서 많은 대화가 진행중이거나, 서로 신체적 접촉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해당 복제인간을 직접 제어하도록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마약을 하거나 술을 마시고 특정 공간에 입장시 이를 제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말투, 오타, 표정, 표현방식, 기타 정신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로부터 나는 냄새와 기타 부자연스러운 행동, 그리고 사용자의 몸의 행동, 균형, 눈동자, 이동방향이나 시간, 피부, 눈꺼풀, 동공의 움직임, 체온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마약을 하거나 술을 마셨는지 알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타인의 화장하지 않은 얼굴을 유추할 수 있고, 상대방이 성형을 했는지 여부와, 어디를 어떻게 성형했는지를 상대방의 얼굴 생김새와 움직임 등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들고 있는 객체가 다른 객체로 보이도록 다른 사용자의 가상현실 장비를 제어하거나,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술병을 들고 있어도, 상대방은 사용자가 꽃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신 술의 종류와 양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에는 음주측정 센서가 구비되어, 각 사용자가 마신 술의 히스토리를 기록하거나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나 가상 공간에서 다른 기기가 사용자를 촬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를 촬영하고 있는 경우, 상대방이 사용자의 어느 부위를 얼마나 촬영하거나,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음료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각 음료의 주 원료를 탑재하고, 각 음료의 온도, 향, 맛 등을 합성하여 특정한 맛이 나는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조합은 다른 가상현실 장비에도 전달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를 이용하여 음료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가상 공간에 사용자가 입장시, 가상 공간의 주인에 대하여 노크를 하거나, 초인종을 울리거나, 얼굴을 보여주는 등 실제 공간과 같은 요청절차가 포함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의 주인이 특정 사용자의 입장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 입장할 때, 실제 위치 또는 가상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의 날씨(예를 들어, 비, 더위, 바람, 습도, 추위 등)가 가상공간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나 연예인 등으로 사용자의 애인이나 친구 등, 가상공간 내에서 가상의 지인을 만들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소정의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스캔할 수 있는데, 이 때, 스캔된 결과는 사용자의 신체를 제외한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나 액세서리만을 포함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투명인간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특정 가상공간을 방문할 때, 방문한 가상공간을 복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저작권 침해를 피하기 위해 방문한 가상공간을 복제하되, 세부 디자인을 조금씩 변경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가상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공간에 대응하는 가상공간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생성된 가상공간에서 원하는 행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와 같은 구조의 가상공간을 만들고, 사용자가 평소에는 할 수 없는 행동들을 가상공간에서 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대응하는 부동산을 매매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되, 각 지역에 대한 발전 정보(예를 들어, 도로, 항만, 철도, 도시계획 등)와 리스크 정보(예를 들어, 지진, 단층, 원자력, 환경, 소음 등)를 취합하고, 그 외에도 교육, 교통, 자연환경 등 각각의 부동산에 대하여 부여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종류의 속성정보를 획득하고 취합하여, 학습하고, 그에 대응하는 시세변화를 학습하여, 각 부동산의 미래 시세를 예측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필터를 설정하고, 설정된 필터에 대응하는 부동산 매물을 지속적으로 검색,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매물이 발견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각 매물의 허위여부를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로, 가상현실 장비는 과거 매물정보 및 허위매물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부동산을 매입하거나 매입추천시, 관청 등의 자료와 기타 시세변동이나 리스크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준공연도, 경매, 압류, 근저당 설정, 계약자의 변동 등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부동산의 건축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지진이나, 장마, 눈, 곰팡이 등에 취약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부동산의 모습을 획득하고, 획득된 모습에 대한 화면인식을 통해 실시간을 위험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의 모양이 지진에 취약한 모양인지 판단하고,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분석하여 벽에 갈라진 곳이 있는지, 비가 새는 곳이 있는지, 잘 안 보이지만 곰팡이가 있는지 등을 화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실시간 위험도를 알려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집의 구조나 건축정보가 눈에 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눈이 올 때 경고를 제공할 수 있고, 천장에 쌓인 눈 등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들에 기초하여 현재 위험상태를 판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의 이용자들은, 계좌 전송 등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사용자 간에 지폐나 아이콘 등을 전달함으로써, 또는 음성으로 송금과 관련된 정보를 발화함으로써 송금을 할 수 있다. 또한, QR 코드를 이용하여 송금이 가능하되, QR 코드는 흑백 패턴뿐 아니라 깊이 개념이 추가된 3차원 QR코드일 수 있다.
3차원 QR 코드는 각각의 픽셀에 대하여 콘트라스트를 달리하여 깊이 개념을 추가하거나, 가상공간에서 인식가능한 3차원 큐브 방식의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QR 코드는 일반 QR 코드보다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인에 의한 복제가 어려우므로, 금융거래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QR 코드는 양자컴퓨터 개념이 추가되어, 각각의 픽셀이 0과 1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고, 그 중간의 다양한 수치로 해석될 수 있으며, 또한 이는 시간대별로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사람이 완벽하게 동일한 QR코드를 촬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QR 코드의 보안성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또한, QR 코드 각각에 대한 발행 일련코드가 부여되고, 이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어, 각 QR 코드를 이용하는 모든 종류의 거래는(다른 예로, QR 코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거래방법을 포함) 거래시마다 모든 사용자에게 그 거래이력이 전송 및 저장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전송되는 사람의 수가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거래정보 및 그 결과에 따른 자산의 이동 및 각 자산의 보유자에 대한 정보가 전체 사용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를 표시하되, 사용자가 특정 표적을 클릭하면, 그에 대응하는 토지, 건물 등의 공시지가, 실거래가, 용도 및 그 변경여부, 대출가능금액, 사용자의 조건 하에서 목적하는 사업의 허가가능성 여부(예를 들어, 그린벨트 개발관련, 또는 식당 허가여부 등)를 판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종류의 매물들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3차원으로 표시,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서 각각의 매물의 내부와 외부, 이동경로 등을 살펴보고, 각 매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지도 상 특정 위치 주변을 3차원으로 표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 카페를 개업하고자 하는 경우, 그 주변 카페들에 대한 정보, 밀집도, 개업/폐업률, 유동인구, 소비층의 나이대, 경제력, 각 카페의 특징 등을 수집하여 제공하고, 사업의 성공률을 알려주거나 이를 높일 수 있는 조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실질적인 판단정보 외에도 매입하고자 하는 건물이나 집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면, 풍수지리에 입각하여 명당의 위치를 판단하고, 이사시 이사날짜, 가구배치 등을 풍수와 사주팔자에 입각하여 풀이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사하기 좋은 길일이나, 침대의 머리위치, 가구배치 등을 조언해줄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사용자의 도보 속도를 고려하여 실제 도착까지의 속도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에게 특화된 가상의 시청각실을 구축하고,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사용자에게 추천된 각종 뉴스나 영상물 등을 분류하고, 분야별로 소정의 비율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소정의 비율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관심사를 가상현실 장비가 자동으로 판단하여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 국민이 주목할만한 큰 이슈의 경우, 설정된 비율과 무관하게 바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문자나 동영상에서, 모르는 인물, 단어, 장소 등을 터치하거나 뇌파 또는 음성을 통한 입력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질의하고, 질의 내용에 대응하는 상세한 답변을 제공받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시간 방송을 재생하는 중에도 방송을 정지시키고 세부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과거의 기사들을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정치인 등 공인의 발언을 과거의 행동이나 발언과 비교하여,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바로 체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제공받은 정보의 분야들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어떤 분야의 정보를 많이 제공받고 있는지, 또는 어떤 분야의 정보를 풍부하게 제공받고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에게 부족한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해당 분야의 정보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환기시킬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영상 시청 중 인공지능과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고, 즉시 사용자에게 검색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영상에 포함된 광고를 제거할 수 있고, 영상을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각 사용자별로 편집된 신문이나 뉴스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밤하늘에 보이는 별이나 행성, 은하 등의 이름을 표시하여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명칭을 말하거나 생각하면, 이를 검색하여 밤하늘 상에서의 위치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뉴스를 구독하는 사용자들의 각 기사에 대한 긍정이나 부정반응 등 감정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수집하여 각 기사에 대한 통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에 기초하여 뉴스를 구독하는 사용자들의 성향(예를 들어, 정치 지지성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시점에 따라 구독자층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각 구독자가 각 기사에서 어떤 부분에 집중하여 읽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 사람들의 얼굴이나 헤어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부위를 확대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상현실 장비는, 특정 표적까지의 거리와 각도 높이 등을 계산하고, 표적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와 같이 사용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삼각측량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운동정보나, 이동속도, 경사도, 휴식여부, 음식 섭취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카메라나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섭취하는 칼로리와, 소비하는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완성된 제품사진과 실제 조립된 제품을 비교하여, 가상의 화면에 실제 조립된 제품을 표시하되, 잘못된 부분이나 미완성된 부분, 일부 부품이 누락된 부분 등을 찾아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도나 완성제품 대비 크기나 색상이 다르거나, 스티커나 나사 등이 누락된 경우 등을 판단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품 조립뿐 아니라, 건축이나 조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부상부위나 뱀에 물린 부위, 곤충에 쏘인 부위 등을 보여주면, 상처의 종류를 인식하여 처치법을 알려주고, 위급한 경우 주변에 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피부병이 있는 사용자의 피부를 관찰하여, 병명을 체크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맥박, 체온 및 표정 등을 하나 이상의 센서나 카메라로 인식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논밭의 면적을 측정하여, 비료, 종자, 거름, 퇴비 등의 적정 필요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파종, 수확, 기타 중간작업에서, 기계 선택에 따른 작업시간을 산출하여 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지하철, 버스, 비행기 등의 운송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와, 각각의 교통수단을 탑승하여야 하는 위치 및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이용가능한 대중교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번호판이나 대중교통 수단을 촬영하여, 해당 대중교통 수단의 이동경로나 요금, 목적지까지 걸리는 시간 등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음식을 스캔하면, 현재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후 섭취를 권장하는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정확한 식단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제공하고, 추천해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통화 착신시 전화번호 앞에 식별기호를 추가할 수 있다. 각각의 식별기호는, 예를 들어 알파벳일 수 있으며, 마케팅전화이거나, 지인의 전화이거나, 이전에 통화한 적 있는 사람의 전화이거나, 해외전화이거나, 착신자부담 전화 등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해발 위치, 온도, 계절, 날씨, 강수량, 일조시간 등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주변의 지형지물이나 등고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주변 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땅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실제로 땅의 속성을 측정하여, 땅의 속성에 적합한 재배법을 시간별 또는 시기별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햇볕, 바람, 습도 등을 계산, 최적의 파종기나 수확기, 물주기 시점 등을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비료주기, 거름주기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최적의 농사방법과 실제 농사의 진행상황을 비교분석하여, 일치하거나 차이가 나는 정도 및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농사가 잘못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에게 현재 상태에서 최적의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미리 설정되는 기능에 따라 프로그래밍되는 대로, 농사용 기계들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물주기, 거름주기, 햇볕 가리기와, 가축의 먹이주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평소 가축들을 관찰하여, 이상동작을 하는(예를 들어, 아프거나 어딘가가 불편한) 가축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농업과 마찬가지로 축산업에 대해서도 최적의 방법(예를 들어, 가축들의 식사시간, 식사량, 운동량 등)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최적의 방법과 실제 방법을 비교검토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맹인을 위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맹인에게 주변 환경을 설명하고, 길을 안내하거나, 문자를 읽거나 분석해주고, 길을 안내해주고, 엘리베이터 버튼의 위치를 알려주거나 대신 눌러주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상점이나 서점에서 주변에 인식되는 모든 것들을 음성으로 표현하거나 변환하여 제공하여 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기능도 수행할 수 있고, 상대방의 말을 그림이나 이모티콘, 텍스트 등으로 다양하게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의 소음 또한 분석하여, 주변 정황이나 상대방의 말의 뉘앙스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부동산과 마찬가지로,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설졍하여 둔 필터에 기초하여 매물을 검색하고, 조건에 맞는 매물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서 지인을 찾을 경우, 연락이 불가능하다면, 가상현실 장비는 그동안 지인을 만났던 공간과, 지인에 대한 정보, 암시행위, 연락내용 등의 빅데이터 자료를 통해 지인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장소들을 하나 이상 선택하거나 특정하여, 해당 위치에 지인을 찾고 있다는 메모를 남기거나, 가상의 아바타가 지인을 찾는다는 메시지를 들고 다니게 하는 등, 후보지에서 지인을 찾기 위한 후속 동작을 수행하여 지인을 찾을 수 있다.
공인의 경우, 가상공간 내에서 스케쥴이 있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업로드된 스케쥴을 검색하여, 공개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공인(예를 들어, 연예인)의 예상 등장지에 아바타나 복제인간들을 대기잠복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대기할 수도 있다 아바타나 복제인간은 공인이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아바타나 복제인간과 사용자는 즉시 감각을 공유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현실공간에서 다른 사람들이 사용자를 바라보는 시선을 360도로 체크하고, 주변을 촬영하여 몇 명의 사람이 사용자를 보거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람들이 사용자의 어디를 보고 있는지도 알 수 있고, 호감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평소 운전습관과, 속도위반, 신호위반 등 다양한 운전정보를 수집하여, 보험사에 제공할 수 있다. 보험사는 보험료를 산정하거나 보험가입 여부를 판단할 때, 제공된 정보들을 활용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이나 실제 공간에서, 주변의 범죄자나 테러리스트의 위치를 판단하고, 범죄자나 테러리스트의 이동방향, 방문예상 위치 등을 판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눈의 건조도, 피로도, 안구상태 등을 관찰하고, 사용자의 눈의 근육의 수축, 팽창과, 사용자의 노화도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시력에 따른 원근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안구 스트레칭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위치나 점을 주목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주목하는 점이 화면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하고, 화면의 상, 하, 좌, 우 등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안구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진동 등을 이용하여 눈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고, 이는 가상현실 장비가 사용자의 눈을 관찰하여, 사용자의 눈꺼풀이 감기거나(예를 들어, 사용자가 졸거나) 눈이 피곤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의 애인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가상의 애인은 인격과 감정을 가져,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화가 나거나 토라지고, 싸울 수도 있다. 또한 가상의 아바타가 제공될 수 있는데, 아바타는 무조건적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따르는 것이 아니고, 귀찮아하거나 때로 반발하기도 하여, 사용자가 실제 사람과 소통하는 느낌이 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와의 관계에 따라 감정상태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상의 애인이나 아바타의 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가상의 아바타에게 고통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가상의 아바타가 고통을 느끼게 되면 고통의 제스쳐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아바타는 실제 사람과 같이 살이 빠지거나 찔 수도 있고, 고통을 이용하여 아바타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이는 추후 반발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시각을 뒤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야를 상하 반전시켜, 사용자가 물구나무를 선 것과 같은 시선을 만들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시야를 변경시킬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특정 표적을 지정하면, 해당 표적이 시야 내에 있는 경우 지속적으로 표적을 추적하고, 표적이 시야 내에 없는 경우, 표적의 이동에 따른 흔적(예를 들어, 끌고 간 자국이나 발자국 등)을 검색하여 표적을 추적할 수 있다.
표적이 시야 내에 있는 경우, 가상현실 장비는 표적에게 후광을 비추거나, 이동경로를 표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가 표적을 용이하게 추적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나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를 촬영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을 촬영하여 카메라의 모양을 인식할 수 있고, 또는 카메라로부터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역추적하여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표적이 지정되면, 이와 무관한 주변 환경이나 사람들은 지워버리거나 흐리게 표시하고, 표적만이 시야에 명확히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적에 색상을 부여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공간에 배치할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음성입력이나 뇌파, 사용자의 직접 지정 등으로 입력받고,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배치함으로써, 가상의 인테리어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기존의 배경에서 특정 객체를 삭제하고, 다른 객체를 삽입할 수 있으며, 기존의 객체를 재배치하여 새로운 객체와 어우러지도록 하는 배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 속에서 실제와 같이 태양 등의 자연환경을 부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자신의 아바타 캐릭터에 대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바타 캐릭터는 미리 소정의 금액을 지불하고, 그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이용가능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장비는 아바타 캐릭터의 이용가능한 잔여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고, 결제한 시간이 만료되어가는 경우 사용자에게 추가 결제를 위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로 발생하는 화재, 싸움, 범죄현장 등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를 가상으로 해당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장의 위험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가상으로 현장을 둘러보거나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현실공간의 온도, 습도, 냄새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현실공간에 대응하는 가상공간 또한 현실공간과 연동되어 현실의 환경정보가 가상공간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다양한 음성이 섞여서 입력되는 경우에도, 그 중 사람의 음성만을 특정하고, 특정되는 사람의 음성만을 녹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통화 중 또는 대화 중에, 주변 소음이 심해도 상대방의 음성만을 또렷하게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 소음들 중 특정 소리만을 지정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공간에서, 다양한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광고는 사용자의 취향, 취미, 관심사, 신용도 및 경제력 등에 기초하여 다르게 표시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영상에서 광고판이 인식되는 경우, 광고판에 표시되는 광고만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바꾸어서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에 표시되는 객체들에 광고를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나 비행기는 물론, 강아지나 고양이 등에도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람의 동작, 뇌파 패턴 및 음성 등을 조합해서 위급상황을 감지하고, 위급상황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음성 재생 중 타인이 사용자의 이름을 부르는 것이 인식되면 이어폰의 볼륨을 낮추거나, 차단하여 타인이 사용자를 부르는 것을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글씨를 읽을 때, 글씨의 내용에 대응하도록 현실 또는 가상 공간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가 “뜨거운 사막” 이라는 글씨를 인식하면, 주변 온도를 높이고, 바람이 불도록 연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사용자가 책을 읽을 때 사용자가 읽은 곳은 색이 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현실 장비를 통해 책을 어디까지 읽었는지 알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인식되는 텍스트가 사용자 또는 유명인의 음성으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에 대한 가상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스캐닝의 결과로서 사용자 주변에서 동일한 가상공간 안에 있는 객체(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나 동물, 물건 등)의 수, 위치 및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캐닝의 결과 다른 가상현실 장비와 연동되는 경우, 서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전철, 비행기, 길거리 등 대중이 모이는 장소에서, 마음에 드는 이성이 있을 경우, 상대방의 맥박, 눈동자, 표정 등을 체크하여, 상대방이 나에게 관심이 있는지 판단해볼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맥박, 눈동자, 표정 등을 체크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이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이성이 사용자에게 관심을 갖는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서로의 호감이 일치하는 경우, 서로를 자동으로 안내하고 소개하는 중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전자기기가 스캔되면, 스캔된 전자기기에 대한 안내와 작동법을 그래픽으로 제공하고, 외국어를 포함하는 경우 번역과 함께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와 다른 사람들의 뇌파를 분석하여, 외롭거나 다른 누군가를 만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우 서로 만날 수 있도록 매칭하여 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 중, 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의 이상형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자동으로 매칭하여 소개시켜 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키보드판에 가상의 광고를 표시할 수 있고, 가상의 공간에 가상의 키보드판을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에서 판매대상 상품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대상인 상품을 하이라이트하거나,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카페나 집 등 공간에서, 진열되어 있는 제품들 중 주인이 판매할 의사가 있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력하여 두면, 가상현실 장비는 판매대상인 제품을 다르게 표시하여, 손님들로 하여금 해당 제품을 구매할 의사가 있는지 확인하고, 실제로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가정 집에서도 판매하고 싶은 물건들을 체크하여 두고 공개하면, 벼룩시장처럼 다른 사람들이 방문하여 원하는 판매대상 물건을 체크하고, 구매하거나 주문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수화를 음성이나 텍스트로 번역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텍스트나 음성을 수화로 번역하여 상대방에게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화면에 포함된 객체와,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손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객체를 잡거나, 들거나, 여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방의 크기로 손을 잡았을 때, 사용자가 가방을 잡은 것으로 인식하여, 사용자가 손을 움직이면 가방이 함께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아기나 강아지 등 관찰과 보호가 필요한 생명체가 잠에서 깨어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도한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 잠에서 깨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대상이 깨어난 경우 신호를 울리거나 알림을 제공하고, 동영상을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쇼핑을 할 때, 실제 공간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보이도록 할 수도 있고, 번잡한 것을 사용자가 싫어하는 경우 사람이 10명 정도만 보이도록 간결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사람이 실제로도 별로 없는 경우에 아바타를 추가하여 사람이 많아 보이게 할 수 있고, 연예인이나 좋아하는 캐릭터가 같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같은 공간에 위치하는 사람의 속성이나 종류를 변경할 수 있어, 주변에 외국인이나 미남미녀만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상 공간에서 쇼핑 중 가족이나 지인을 소환할 수도 있다. 가족이나 지인이 소환되는 경우 쇼핑을 도와줄 수 있고, 사주고 싶은 옷을 입혀보거나 의견을 구할 수도 있다. 소환되는 가족이나 지인은 아바타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옷을 입혀보거나 사이즈를 보는 등의 동작만 가능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특정 의상을 피팅한 결과를 1인칭 및 3인칭으로 다양한 시점에서 관찰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의 특정 위치(예를 들어, 벽이나 창문 등)에서 공연이나 뮤지컬, 오페라 등이 상영되거나, 실황처럼 중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가상속에서 음료를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음료나 담배를 들이마신 양 만큼 음료나 담배가 줄어들도록 하여,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커피숍, 매장, 사무실 등 가상공간의 바깥 공간을 변화시켜서, 바깥에 실제 아마존이나 이집트 등 이국적인 풍경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근무 중일지라도 특이한 장소에 와 있는 체험을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로 하여금 눈으로 특정 객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멀리 있는 객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손이 가리키는 곳을 명확히 하도록 손 끝에서 광선이 나가거나, 목적지에 마커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오므리면 목적 객체가 줌업되고, 손가락을 펴면 객체가 줌아웃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선택된 객체가 사용자의 앞으로 이동되어 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동작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서 특정 동작을 하고자 하는 경우 그 동작을 완료시켜, 번거로운 동작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가방을 열기 시작하는 동작이 인식되면, 바로 가방을 열어버릴 수 있고, 신발을 발에 가져다 대면, 바로 신발이 발에 신겨져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매니큐어를 바르기 시작하면, 바로 매니큐어가 모두 발라지고 건조되어 있을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가 쇼핑을 할 때, 가상의 허공 공간에 블랙홀과 같은 작은 창이 떠다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물건을 창에 넣어 보관(장바구니)할 수 있고, 창을 통해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거나, 다른 공간을 들여다볼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되, 사용자의 지문을 크게 확대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지문을 크게 확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지문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지진빈발지역 등의 땅 속에 설치된, 땅의 미세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와 연동되어, 지진이 발생하기 전에 전조증상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람이 느끼지 못하는 진동을 미리 감지할 수 있고, 해당 지역의 활성단층 등 사전지식을 활용하면 더욱 정확하게 지진을 예측하거나 감지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가 달리거나 걷는 속도, 날아가는 속도 등을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수치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뇌파를 이용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출처를 알 수 없고 의심이 가는 접속의 경우 안전이 보정된 영역 내에서 먼저 접속을 수행하고, 문제가 없는 경우 실제로 접속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 위험을 차단하고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멀웨어 등이 유입되는 경우 이를 역추적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생방송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에도, 안전영역에서 1차로 수신한 후, 안전이 검증되면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 내에서의 이동이나 쇼핑 등 모든 활동을 현실성과 무관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선 등의 신체활동과 뇌파 등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장비에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악기 등을 연주할 때, 잘못 연주한 부분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들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에 기초하여 특정 사진에 포함된 사용자의 모습을 변경하거나, 포즈를 바꾸거나, 얼굴을 보정하는 등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수정을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글씨체, 음성, 단어, 말의 높낮이, 말하기 속도, 억양, 호흡, 얼굴의 표정, 근육의 움직임, 몸의 표현, 패턴, 빈도, 글의 표현 형식, 가상 환경의 태도, 눈의 움직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격을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톱 색이나 혈액순환 상태 등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건강에 대한 조언이나 경고를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배경화면 곳곳에 터치 버튼을 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화면에 표시된 강아지는 인터넷 어플이고, 꽃은 갤러리 어플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가 가상현실 장비를 획득하여도, 숨겨진 기능들을 알지 못하므로 가상현실 장비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현실공간의 특정 위치를 촬영하고, 이를 마커 또는 전자 코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촬영하고, 그에 대응하여 소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사용자가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려면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사진을 촬영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보를 공유함에 있어 실제 위치에 따른 물리적, 공간적 한정사항을 추가하는 것으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데이팅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이상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두면, 가상현실 장비는 다른 가상현실 장비와의 통신 또는 획득되는 영상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이상형에 가까운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획득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를 획득된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하나 이상의 후보군을 제시한다. 후보군은 서로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각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한다. 가상현실 장비는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후보군을 추출 및 제시한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대방의 위치로 사용자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서로 다른 가상현실 장비들과의 통신을 통하여, 서로의 취향에 소정의 기준값 이상 일치하는 사용자 쌍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용자 각각에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사용자는 자신의 이상형에 대한 정보와, 자신에 대한 개인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술한 데이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 또는 서버는 입력된 각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이상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와 잘 맞는 이성의 후보군을 획득하거나, 최적의 이성을 획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 또는 서버는 획득된 후보군을 적합도에 따른 순위로 리스트업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는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고, 만남에 대한 의사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상대방의 모습 또는 상대방의 아바타 캐릭터를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는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된 모습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만날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된 상대방과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면, 가상현실 장비는 외국에서 한국인들이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한국인 사용자의 가상현실 장비 간에 서로의 위치를 공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성 범죄자 등 전자발찌 착용자의 위치를 획득하고, 주변에 전자발찌 착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지도를 이용하여 전자발찌 착용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장비들 간의 통신으로, 서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이상행동을 보이는 다른 가상현실 장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가상현실 장비가 지속적으로 특정 거리를 유지하며 따라오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대 가상현실 장비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스토커의 위험이 있으므로 상대 가상현실 장비에 경고를 보내거나, 외부 서버(경찰 등)에 상대 가상현실 장비에 대한 정보 또는 구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 사용자 간의 소환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다른 가상현실 장비 사용자의 승인 하에, 다른 가상현실 장비 사용자를 자신의 앞으로 소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가상현실 장비 사용자 각각의 가상현실 화면에는 서로가 표시된다.
다른 예로, 서로 다른 가상현실 장비 사용자 간에 서열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는 승인없이 자녀를 소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환기능은 초대기능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가상현실 공간에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여, 실제로는 서로 다른 공간에 있어도 같은 가상현실 공간에서 같은 가상현실 공간의 가상현실 영상을 함께 시청할 수 있다.
초대한 사용자와 초대된 사용자는 서로의 실제 모습이나, 서로의 캐릭터(또는 아바타)를 보고 서로 대화하거나 상호작용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다른 대상자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되, 다른 사용자들의 SNS 정보나 기타 검색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출생, 취미, 친구, 관심분야, 성향, 학력, 종교, 이메일, 회사명, 수상경력, 신체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명함, 사업제안서, 각종 프로필 등을 클릭 한 번에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고, 또는 NFC를 이용하여 다른 휴대폰과 전화번호나 기타 정보를 한 번에 주고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클릭 대신 음성이나 뇌파에 기초하여 전송대상과 전송내용을 설정하고, 전송을 수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가상현실 장비는 상대방의 눈 부분 근육의 움직임, 눈동자의 상태 등을 분석함으로써 상대방의 감정을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문화권이나 인종에 따라 상이할 수 있어, 데이터베이스의 분류 및 분류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한 학습을 필요로 한다.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 소리를 감지하고, 주변 상황을 판단하여, 이에 기초하여 무드에 맞는 음악이나 효과음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이성과의 만남을 원하는 사람의 경우 자신이 싱글이고, 다른 사람과의 만남을 원한다는 의미의 표식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만남을 원하는 사람들은, 현실공간 또는 가상공간에서 특정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받고싶지 않아 하는 전화의 경우, 잡음이 많이 섞이는 듯한 음성을 상대에게 제공하여, 수신이 좋지 않아 전화를 끊는다는 연출을 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상대방의 동의가 있다면 서로의 위치를 공유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가상현실 장비가 서로 접근하는 경우, 서로의 위치, 이동속도 및 위험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주변 영상에 특정 테마나 스킨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평범한 길거리 영상에 공포 컨셉 테마를 부여하는 경우, 귀신이 돌아다니고, 건물이 폐허가 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척박한 길을 꽃길처럼 보이도록 하는 혼합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다양한 컨셉의 스킨을 실제 영상과 결합하여 다양한 테마의 혼합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임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실제 공간을 촬영한 영상에 표시되는 게임요소를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된 실제 영상을 디지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영상을 렌더링하여 디지털(예를 들어, 3D) 영상으로 변환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변경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길거리가 촬영된 영상을 렌더링하여 디지털화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전봇대의 위치를 변경하고, 건물을 부수거나 여러 건물들을 들어서 블록을 쌓는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디지털화된 영상에서 사용자로부터 멀리 위치한 일 객체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객체를 줌업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사용자로부터 멀리 위치한 일 객체를 잡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 원근법을 무시하고 객체가 사용자의 손에 잡히도록 할 수도 있고, 잡힌 객체는 사용자의 손 위치로 이동하여 크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가 특정 객체를 촬영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객체는 가상현실 장비에 저장되어, 다른 가상현실 공간이나 가상현실 영상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가 나무를 촬영하고, 사용자가 촬영된 나무를 선택하는 경우, 촬영된 나무에 대한 정보는 디지털화되어 가상현실 장비에 저장되고, 다른 가상현실 공간에서 저장된 나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화된 나무의 영상이 렌더링되어 추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실 장비는 하나 이상의 사물과 배경에 대하여 미리 촬영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들을 결합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영상이 표시되는 실제 또는 가상의 날짜, 시간 및 날씨에 기초하여 빛의 방향과 밝기, 그림자의 위치와 길이, 전체적인 색상의 농도 등을 결정하고,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 상술한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날씨, 시간, 날짜 등을 변경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영상 디지털화 기능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영상 내에서 집 안의 가구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인테리어를 시뮬레이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는 각 객체들의 실제 크기와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되는 각 객체들의 크기를 비교하여, 각 객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거리에 따라 각 객체의 명암이나 색상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 곳에 위치한 객체로 판단될수록 흐리게 표시하고, 가까운 곳에 위치한 객체로 판단될수록 진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비는 학습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사물들의 원근과 거리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물의 원근과 거리에 따라 화소를 조절함으로써, 멀리 있는 객체일수록 흐리게 보이고, 가까이 있는 객체일수록 진하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의 위치 및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를 판단하고, 태양의 위치에 따라 그림자나 빛의 각도를 다르게 렌더링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더욱 현실에 가깝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및 MR(Mixed Reality)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영상의 용량을 줄이고, 영상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360도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된 부분만이 재생되거나 렌더링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시야의 범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시할 수 있는 제1 시야범위와, 사용자의 시야 내에는 들어오지만 주시하지는 않는 제2 시야범위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사람마다 시야의 범위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제2 시야범위는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나는 일정 범위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화면 속 형상에 대하여, 영상을 응시하는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하여 영상 내 사물들 간의 원근과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가까이 위치한 사물은 선명하게 보이고, 멀리 위치한 사물은 흐리게 보이도록 화소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가상현실 장비는 제1 시야범위에 포함되는 가상현실 영상은 움직임과 렌더링이 충분히 수행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제2 시야범위에 포함되는 가상현실 영상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또는 시야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차등적으로, 영상의 움직임이나 렌더링이 줄어들도록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와 시스템의 부하를 크게 절약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시선변화에 따른 처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사용자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고 자연스럽게 가상현실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도 12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객체와 배경을 합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서로 다른 배경(9100)과 객체(9200)를 합성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배경(9100)과 객체(9200)는 서로 광원이 상이하고, 거리에 따른 원근법이 상이하며, 색상의 농도와 명암이 상이하고, 기준이 되는 크기가 다르므로, 배경과 합성된 객체에서 이질감이 느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장비는 자동으로 배경(9100)과 객체(9200)의 농도와 명암, 빛의 방향, 그림자의 위치와 길이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배경(9100)과 합성되는 객체(9200) 사이의 이질감이 없도록 자연스럽게 합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경(9100)에 객체(9200)를 추가할 때, 가상현실 장비는 배경(9100)을 기준으로 하여 객체(9200)의 농도와 명암, 빛의 방향, 그림자의 위치와 길이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객체(9200)가 배경(9100) 내에서 이질감이 없도록 자연스럽게 합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배경(9100) 및 객체(9200)를 포함하는 실사 영상을 디지털로 변화하여, 테마별로 햇볕, 빛, 그림자, 낮, 밤 등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주변 환경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합성된 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합성되는 배경(9100)과 객체(9200)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선(9300)에 블러 효과를 추가하여 안개처럼 뿌옇게 하거나, 경계선 부분의 색상을 조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경계선(9300)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배경(9100)과 객체(9200)를 자연스럽게 합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되는 객체(9200)를 선명하게 표시하고, 객체(9200)를 제외한 나머지 배경(9100)을 흐리게 처리하는 아웃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영상과 실사 영상의 결합에 있어서, 가상 영상과 실사 영상 사이의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실사 화면의 화소, 농도 등을 가상 영상(배경)과 맞추거나, 가상 영상과 실사 영상이 50%씩 보정되어 유사한 느낌으로 보정될 수 있다.
가상현실 영상은 사용자가 다른 사람에게 주택의 방이나 거실 등 집 구조를 안내할 때, 방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방문자가 보는 화면을 고려, 미리 설정된 영상을 실제 영상과 합성하여 방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영상은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력에 맞는 화소나 농도를 갖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영상은, 좌안과 우안 영상으로 나뉘어서 제공될 수 있다. 가상현실 영상은 각각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 시력 또는 시야의 특성에 기초하여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공간에서, 일부 공간에 창을 두어, 창 안에서 또 다른 실사 영상 또는 가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창에는 영화나 드라마가 표시될 수도 있고, 다른 사용자의 공간이 표시되어 서로 상호작용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글씨나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다수의 창을 띄워 다수의 채널을 재생할 수 있으며, 특정 클립이 선택되면 특정 창으로 이동이 되며, 티비 외에도 메신저, 업무화면 등 다양한 창을 표시할 수 있고, 그 중 선택된 창이 메인이 되어, 다른 창들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화면을 수많은 점으로 인식하고, 각각의 점 사이의 위치를 파악해, 각 객체의 거리, 면적, 가로 및 세로 길이 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공간이나 가상 공간에 비어있는 영역이 있는 경우, 음성 또는 뇌파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주변 환경을 변화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들을 추가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실제 화면과 가상 영상을 합성함에 있어서 각각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화면을 흐리게 표시하고 실사 화면을 진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물건을 찾기 용이하도록 할 수 도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 공간을 구축함에 있어서, 일부 구체적인 부분을 실제 화면과 조합함으로써, 가상 공간임에도 실제처럼 자연스럽게 보이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영역을 3D 로 렌더링만 하는 것이 아니고, 실제 영상을 섞어 줌으로써 사용자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고, 실제 영상인 것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가상 영상을 보는 중에 간식을 먹거나 실제 물건을 이용하여야 할 때, 영상의 일부에 실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 구석에 과자가 있는 위치의 영상을 작게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과자에 손을 뻗을 때에는 과자가 있는 위치의 영상을 크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과자를 쉽게 집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더 집중하는 쪽의 영상을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의 자세가 바뀌어도, 영상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사용자가 눕거나 엎드려서도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단체촬영시 자신의 얼굴을 실제보다 조금 뒤로 이동시켜, 다른 사람들보다 얼굴이 작아보이게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사진 촬영시 사용자를 거인처럼 키우거나, 소인처럼 작게 조작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부모의 영상을 조합하여, 아이의 얼굴을 나이대별로 추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이미지 속에서 객체를 분리할 때,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배경과 사물을 구분하고, 사물분석을 통해 사물의 모양대로 외곽선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다양한 후보 외곽선들에 기초하여 사물을 분리하고, 사용자에게 후보군을 제시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객체를 분리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객체를 분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장비는 복수의 이미지를 합성함에 있어서, 배경과 객체가 서로 이질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계를 흐리게 처리하거나, 색상 톤, 광원, 그림자 등이 통일되도록 복수의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시청중인 가상현실 내부의 환경을 체험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장비 주변의 온도를 올리기 위한 가열수단과,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비는 사용자가 시청중인 가상현실 화면의 오르막이나 내리막, 경사도 등을 분석하여 도 1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현실 신발 장치에 반영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가상현실에서 탑승하고 있는 이동수단을 확인, 가속도에 따라 바람을 일으키거나 주변 환경의 냄새가 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수단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을 더욱 실제와 같이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300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110, 310 : 메인 바디
120, 320 : 접안 플레이트 130, 330 : 스크린 부재
140 : 스크린 통 150 : 후면 커버
160 : 고정 부재 170 : 바람 발생부
120, 320 : 접안 플레이트 130, 330 : 스크린 부재
140 : 스크린 통 150 : 후면 커버
160 : 고정 부재 170 : 바람 발생부
Claims (58)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거리 조절 부재;
상기 접안 플레이트에 확장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이격 상태에 있는 상기 접안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메인 바디를 향해 확장되어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전방에 암실 공간을 형성하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상기 스크린 부재의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 을 포함하고,
상기 암실 공간을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증강현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통은 내벽 및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외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는 한 쌍의 접안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기 접안 렌즈 각각에 대해 분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도 각각의 상기 스크린 부재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는 한 쌍의 접안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하나로 형성되어 하나의 상기 암실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정면 및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환되며, 스크린 부재 및 상기 스크린 부재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환 바디; 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상기 메인 바디의 일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장측부 또는 단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디스플레이 및 측면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메인 바디의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정면 및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환되며, 스크린 부재 및 상기 스크린 부재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환 바디; 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상기 메인 바디의 일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메인 바디의 장측면 또는 단측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메인 바디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전환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재장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의 정면 및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환되며, 스크린 부재 및 상기 스크린 부재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환 바디; 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정면 및 배면 간에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상기 메인 바디의 일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전환 바디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속하는 레일 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장측부 또는 단측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의 정면 및 배면에 탈부착되면서 전환되며, 스크린 부재 및 상기 스크린 부재에 장착된 접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환 바디; 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상기 메인 바디의 일 면에 밀착되도록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바디는 탈부착 버튼, 자석 버튼, 결속 돌기-홈 구조, 흡착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일 면에 한 쌍의 영상 발광부가 형성된 메인 바디의 상기 영상 발광부 각각에 근접 거리로 장착된 접안 렌즈;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 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발광부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발광부는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발광부 및 상기 접안 렌즈는 고정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발광부 및 상기 접안 렌즈를 수용하는 경통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 부재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렌즈에 장착된 아이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이컵은 상기 메인 바디에 밀착되는 평면 상태 및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굴곡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 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에어 튜브로서 공기의 출입을 통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상기 밀착 상태 또는 상기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로 자동으로 공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양방향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크린 부재 사이의 공간을 밀폐된 튜브 공간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을 밀폐된 튜브 공간으로 형성하여 확장 또는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유로 공간을 밀폐된 튜브 공간으로 형성하여 확장 또는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좌우로 분리된 쌍안경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도 분리된 상기 스크린 부재에 대응하여 좌우로 독립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 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조각편들을 이용하여 제공되며, 상기 조각편들이 상호 접철되면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상기 밀착 상태 또는 상기 이격 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합성수지 판넬, 금속 박막, 복합 소재 또는 종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 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는 롤스크린을 이용하여 제공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크린은 복수개로 제공되며, 상기 롤스크린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보호케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 또는 상기 스크린 부재는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만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대향하는 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고, 상기 만입부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린 통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통은 내벽 및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외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 통은 상기 내벽에 형성된 제1 통풍구 및 상기 외벽에 형성된 제2 통풍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풍구 및 상기 제2 통풍구는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밀착 상태 및 상기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거리 조절부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이격 상태에서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을 포함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에 통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 밴드 및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중앙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평 밴드에 일부 고정되는 중심 밴드를 포함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보호케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밴드의 단부는 Y-자 형상으로 분기되어 제1 분기라인 및 제2 분기라인을 형성하며, 분기된 상기 제1 분기라인 및 상기 제2 분기라인의 단부는 각각 상기 수평 밴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밴드는 상기 제1 분기라인 및 상기 제2 분기라인을 횡방향으로 잇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밴드 및 상기 중심 밴드는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상기 접안 플레이트에 내장되어 있다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바디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를 내장하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보호케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는 상기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위한 카메라, 메인 보드,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자의 안면에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보호케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가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부재의 얼굴 측 단부에는 상기 얼굴의 윤곽에 대응하는 만입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는 상기 스크린 부재가 연장된 상태로 전환될 때 같이 이동하며, 상기 스크린 부재가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부재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 또는 상기 스크린 부재는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만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의 후면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밀착 상태에 있는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덮고, 만개한 상태에서는 이격 상태에 있는 상기 접안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바디 사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복수개의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보호케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는 이격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접안 플레이트와 함께 만개한 상태로 벌어지거나 만개한 상태에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만개한 상태의 상기 플립 커버 간의 틈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 및 상기 차단막을 지지하는 지지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코너는 상기 지지샤프트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샤프트에 의해서 안내되거나 상기 지지샤프트와 함께 이격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일 측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타 측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 바디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보호케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바디, 상기 제1 측면 바디, 상기 접안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바디는 순서대로 연결되어 닫힌 폴딩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 상기 제1 측면 바디, 상기 접안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바디의 내면들이 상호 밀착되어 납작한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 상기 제1 측면 바디, 상기 접안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바디가 사각 기둥을 형성하여 입체적 형상을 유지하되,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이격 상태에서 개방된 사각 기둥의 평면과 저면을 차단하기 위한 폴딩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바디 및 상기 제2 측면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피커, 보조 디스플레이 또는 키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를 차단하는 광 차단막 및 상기 광 차단막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보호케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구조는 상기 광 차단막의 전체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 차단막의 내면 또는 외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구조는 상기 광 차단막의 내부에서 긴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상기 접안 플레이트 또는 상기 광 차단막을 복수의 지점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에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발포성 재질의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보호케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121A KR20190033414A (ko) | 2017-09-21 | 2018-03-15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KR1020240068907A KR20240078651A (ko) | 2017-09-21 | 2024-05-27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122067 | 2017-09-21 | ||
KR1020170122067 | 2017-09-2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3405A true KR20190033405A (ko) | 2019-03-29 |
Family
ID=658987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6437A KR20190033405A (ko) | 2017-09-21 | 2018-01-18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KR1020180030121A KR20190033414A (ko) | 2017-09-21 | 2018-03-15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KR1020240068907A KR20240078651A (ko) | 2017-09-21 | 2024-05-27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0121A KR20190033414A (ko) | 2017-09-21 | 2018-03-15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KR1020240068907A KR20240078651A (ko) | 2017-09-21 | 2024-05-27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2019003340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41068A (zh) * | 2019-07-18 | 2021-01-19 | 三星电子株式会社 | 能够多深度表达的图像显示装置 |
KR20210079162A (ko) * | 2019-12-19 | 2021-06-29 | 이우준 |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 번역 서비스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16920B2 (en) * | 2019-05-31 | 2022-01-04 | Apple Inc. | Enhanced local contrast |
CN114341705A (zh) * | 2019-07-18 | 2022-04-12 | 三星电子株式会社 | 能够表达多个深度的图像显示设备 |
KR102409103B1 (ko) * | 2019-11-11 | 2022-06-21 |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 이미지 변형 방법 |
US20220176842A1 (en) * | 2020-12-07 | 2022-06-09 | Honda Motor Co., Ltd. |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station management |
KR102613078B1 (ko) * | 2023-10-16 | 2023-12-12 | 주식회사 집쇼코리아 | 관찰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지털 전망경 |
CN117289469B (zh) * | 2023-11-20 | 2024-03-08 | 歌尔股份有限公司 | Vr眼镜 |
-
2018
- 2018-01-18 KR KR1020180006437A patent/KR20190033405A/ko unknown
- 2018-03-15 KR KR1020180030121A patent/KR20190033414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4
- 2024-05-27 KR KR1020240068907A patent/KR20240078651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41068A (zh) * | 2019-07-18 | 2021-01-19 | 三星电子株式会社 | 能够多深度表达的图像显示装置 |
KR20210079162A (ko) * | 2019-12-19 | 2021-06-29 | 이우준 |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 번역 서비스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3414A (ko) | 2019-03-29 |
KR20240078651A (ko) | 2024-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011545A1 (en) |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 |
JP7126709B2 (ja) | 折りたたみ式仮想現実装置 | |
KR20190033405A (ko)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
KR20200107395A (ko)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
EP2059899A2 (en) | Genius adaptive design | |
TW200926033A (en) | Adaptive electronic design | |
KR20200066280A (ko)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
Padgett et al. | Struck by genius: How a brain injury made me a mathematical marvel | |
Swift | Shuttlecock | |
Hartley et al. | I can read you like a book: how to spot the messages and emotions people are really sending with their body language | |
Sicker | Ulysses, film and visual culture | |
Subramanian | How to feel: The science and meaning of touch | |
KR20240154492A (ko) |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 |
Murphy | The Shape of Sound | |
Blauner | Slow Motion Riot: A Mystery | |
Schissel | On the Corporeal Exchange: Thai Boxing's Sacrificial Movement | |
Hartley et al. | The Art of Body Talk: How to Decode Gestures, Mannerisms, and Other Non-Verbal Messages | |
Ooi | Mindgame | |
Bennett | The Lens of Perception: A User's Guide to Higher Consciousness | |
Stross | Glasshouse | |
Burns | Develop your psychic abilities | |
Cole | Discerning the Way: Lessons from Parkinson's Disease | |
Palmer | The Patient: A Novel | |
Elam | The Desert Somatic | |
Hawks | The traveler: a novel |